KR102607090B1 - 권투 글러브 - Google Patents

권투 글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7090B1
KR102607090B1 KR1020230065395A KR20230065395A KR102607090B1 KR 102607090 B1 KR102607090 B1 KR 102607090B1 KR 1020230065395 A KR1020230065395 A KR 1020230065395A KR 20230065395 A KR20230065395 A KR 20230065395A KR 102607090 B1 KR102607090 B1 KR 102607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weight bar
main body
weigh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5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범
Original Assignee
이준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범 filed Critical 이준범
Priority to KR1020230065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0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63B71/141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in the form of gloves
    • A63B71/145Boxing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5User-manipulated weights worn on user's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게 막대 및 진동판을 내장시킴으로서 권투 연습 중에 권투 글러브의 무게 조절 및 진동 조절을 통한 근육 강화 및 미세근육운동을 위한 권투 글러브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쿠션이 있는 재질의 벙어리장갑 형태로 제작되어, 손을 집어넣는 입구가 벌어지지 않도록 조이는 조임 밴드를 포함하는 본체부(100)와, 주먹을 쥐는 방향인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 외주면 가로방향으로 위치되어, 막대형상에 일정한 무게를 갖는 중량막대(200)와, 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100)의 손목 내측 외주면에 위치되며,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권투 글러브{Boxing Glove}
본 발명은 권투 글러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게 막대 및 진동판을 내장시킴으로서 권투 연습 중에 권투 글러브의 무게 조절 및 진동 조절을 통한 근육 강화 및 미세근육운동을 위한 권투 글러브에 관한 것이다.
권투(拳鬪:Boxing)는 체급이 같은 두 명의 선수가 정사각형의 링(Ring)안에서 주먹에 글러브를 착용하고 펀치(Punch)만을 사용하여 얼굴을 포함한 상대방의 상반신의 전면과 측면만을 공격하고, 정해진 회수의 라운드(Round) 전체를 통하여 보다 많은 점수를 획득하거나 경기 중 상대방을 K.O(Knockout)시킨 선수가 이긴 것으로 하는 격투 스포츠종목이다.
이 같은 권투는 지속적으로 훈련하는 경우 신체의 지구력(Endurance), 순발력(Power), 민첩성(Agility), 근력(Strength), 유연성(Flexibility) 및 평형성(Balance)을 크게 향상시키고, 정신력을 강화시키는 것은 물론 체중감량에 커다란 효과가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전문적인 권투선수를 목표로 하는 사람들 이외에도 남녀를 불문하고 다양한 연령층의 일반인들이 권투를 배우고 있다. 특히, 권투는 타격을 하다보면 인간의 심리 중에 잠재되어 있는 폭력적 본성을 노출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스트레스가 해소되는 육체 및 정신적인 건강에 매우 유익한 운동인 것이다. 따라서 권투연습을 통해서 할 수 있는 여성들의 다이어트나 청소년들의 육체 및 정신건강을 위해 요즈음 한창 붐이 일고 있는 운동으로 이용되고 있다.
권투 글러브는 권투에서 사용하기 위해 손에 끼는 장갑으로, 주먹을 사용한 타격에서 자신의 주먹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인 권투 글러브를 보면, 쿠션이 있는 재질의 벙어리장갑 형태로 제작되어 상대방이나 샌드백 가격 시에 자신의 주먹을 보호할 수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86576호(공개일자 2015.07.29.) 실용신안공보 제20-1986-0000073호(등록일자 1986.02.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무게 막대 및 진동판을 내장시킴으로서 권투 연습 중에 권투 글러브의 무게 조절 및 진동 조절을 통한 근육 강화 및 미세근육운동을 위한 권투 글러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주먹을 쥐는 부분에 가로방향의 막대를 위치시켜, 주먹형상 유지 효과를 주어 착용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권투 글러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진동판과 무게 막대가 연결되는 연결선을 구성하여, 진동판의 진동이 손에 더 잘 전달되도록 한 권투 글러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무게 막대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포켓을 구성하여, 착용자에게 적합한 무게 막대의 중량을 선택 가능하도록 한 권투 글러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권투 글러브의 특징은 쿠션이 있는 재질의 벙어리장갑 형태로 제작되어, 손을 집어넣는 입구가 벌어지지 않도록 조이는 조임 밴드를 포함하는 본체부(100)와, 주먹을 쥐는 방향인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 외주면 가로방향으로 위치되어, 막대형상에 일정한 무게를 갖는 중량막대(200)와, 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100)의 손목 내측 외주면에 위치되며,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량막대(200)와 상기 진동부(300)에 연결되어, 상기 진동부(300)에서 발생되는 진동 에너지를 상기 중량막대(200)로 전달하는 진동 전달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100)은 내측 외주면에 일측 방향으로 상기 중량막대(200)를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중량막대(200)의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한 제1 포켓부(110)와, 상기 본체부(100)는 팔목 내측 외주면에 상기 진동부(300)를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부의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한 제2 포켓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포켓부(110)는 개방된 입구에 돌기형태의 걸림턱이나, 개방된 입구를 덮을 수 있는 차단막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포켓부(110)는 개방된 입구에 개방된 입구를 덮을 수 있는 차단막이나, 서로 결속시켜 입구를 막을 수 있는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권투 글러브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무게 막대 및 진동판을 내장시킴으로서 권투 연습 중에 권투 글러브의 무게 조절 및 진동 조절을 통해 근육 강화와 미세근육운동, 그리고 진동 마사지 효과를 통한 다이어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주먹을 쥐는 부분에 가로방향의 막대를 위치시켜, 주먹형상 유지 효과를 주어 착용감을 높일 수 있어, 권투 글러브를 착용 후 타격 시에 안정감을 주어 주먹을 더욱 보호할 수 있고, 타격에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셋째, 진동판과 무게 막대가 연결되는 연결선을 구성하여, 진동판의 진동이 무게 막대를 통해 손에 더 잘 전달되어 근육강화 및 다이어트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넷째, 권투 글러브에 무게 막대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포켓을 구성하여, 무게 막대의 중량을 용이하게 변경 가능할 수 있어, 착용자 자신의 컨디션이나 운동 강도들에 따라 무게 막대의 중량을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투 글러브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도 1의 권투 글러브에 구성되는 중량막대 및 진동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권투 글러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투 글러브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도 1의 권투 글러브에 구성되는 중량막대 및 진동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권투 글러브는 본체부(100), 중량막대(200), 진동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량막대(200)와 상기 진동부(300)에 연결되어, 상기 진동부(300)에서 발생되는 진동 에너지를 상기 중량막대(200)로 전달하는 진동 전달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는 통상의 권투 글러브와 동일한 구조로서, 쿠션이 있는 재질의 벙어리장갑 형태로 제작되어, 손을 집어넣는 입구가 벌어지지 않도록 조이는 조임 밴드를 포함한다. 이에, 입구로 손을 집어넣은 다음, 조임 밴드로 착용자의 손목을 조여 착용할 수 있다.
상기 중량막대(200)는 주먹을 쥐는 방향인 본체부(100)의 내측 외주면 가로방향으로 위치되어, 중량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중량막대(200)를 통해 권투 글러브에 중량감을 제공함으로써, 주먹에 권투 글러브를 착용하고 펀치(Punch) 운동을 할 때, 근력강화 등의 운동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량막대(200)는 본체부(100)의 내측 외주면의 가로방향으로 위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권투 글러브를 착용한 사용자가 주먹을 쥐었을 때, 손가락이 감싸 쥐는 위치에 상기 중량막대(200)가 위치되어 자연스럽게 주먹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되어 착용감을 높일 수 있다. 이는 권투 글러브를 착용 후 타격 시에 안정감을 주어 주먹을 더욱 보호할 수 있고, 타격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중량막대(200)는 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타원형이나, 삼각형 및 사각형 등 다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대막대(200)는 약 500g~3kg까지 다양한 무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은 내측 외주면에 중량막대(200)를 수납하는 제1 포켓부(110)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포켓부(110)는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일측이 개방된 구조로, 상기 중량막대(200)의 수납이 가능한 수납공간을 구성한다.
상기 제1 포켓부(110)는 일측 방향으로 상기 중량막대(200)이 삽입되어 수납될 수 있으며, 상기 중량막대(200)의 외부 인출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포켓부(110)는 중량막대(200)의 중량을 선택적으로 변경하여 수납할 수 있다. 상기 제1 포켓부(110)는 개방된 입구에 돌기형태의 걸림턱이나, 개방된 입구를 덮을 수 있는 차단막을 추가로 구성하여, 제1 포켓부(110)에 삽입된 중량막대(200)가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포켓부(110)는 상기 중량막대(200)의 삽입/인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중량막대(200)가 제1 포켓부(110)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밀봉됨으로써, 외부로 인출될 수 없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진동부(300)는 판형으로 이루어지며, 본체부(100)의 손목 내측 외주면에 위치되며,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진동부(300)를 통해 권투 글러브에 진동을 제공함으로써, 마사지 효과를 통한 미세 근육운동 및 다이어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진동부(300)는 진동모터를 내장설치하고, 상기 진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원형캠이 회동하면서 발생된 진동을 케이싱 및 케이싱 내부에 설치된 진동판에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부(300)는 케이싱의 내부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건전지 수납부가 형성되어 건전지를 수납토록 하며, 케이싱 외부 일측으로는 진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진동부(300)의 구성은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현재의 공지된 기술에 의해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 진동부(300)는 약, 중, 강으로 진동 강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약은 2000rpm을, 중은 2500rpm을, 강은 2700rpm의 진동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는 팔목 내측 외주면에 상기 진동부(300)를 수납하는 제2 포켓부(120)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포켓부(120)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일측이 개방된 구조로, 상기 진동부(300)의 수납이 가능한 수납공간을 구성한다. 이를 통해, 상기 진동부(300)의 고장 시에 교체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2 포켓부(120)는 일측 방향으로 상기 진동부(300)의 삽입되어 수납될 수 있으며, 상기 진동부(300)의 외부 인출도 가능하다. 상기 제2 포켓부(120)는 개방된 입구에 개방된 입구를 덮을 수 있는 차단막이나, 서로 결속시켜 입구를 막을 수 있는 결합부재를 추가로 구성하여, 제2 포켓부(120)에 삽입된 진동부(300)가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전달부(400)는 연성을 갖는 하드한 와이어로 구성되어, 상기 중량막대(200)와 상기 진동부(300)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진동부(300)에서 발생되는 진동 에너지를 상기 중량막대(2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동 전달부(400)는 연성을 갖는 하드한 재질로 금속, 합금은 물론 플라스틱이나 고무 등의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진동 전달부(400)는 상기 중량막대(200)와 상기 진동부(300)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중량막대(200)까지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중량막대(200)는 진동 전달부(400)로부터 진동을 전달받아, 진동되며 몸체부(100)의 전체로 확장시켜 진동시킬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진동 전달부(400)를 통해, 상기 진동부(3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중량막대(200)를 통해 권투 글러브를 착용한 사용자의 손에 더 잘 전달되어 근육강화는 물론, 마사지 효과나 다이어트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게시된 실시예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개시된 실시예에 병합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특정 용어에 의해 개시된 실시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시된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체부 110: 제1 포켓부
120: 제2 포켓부 200: 중량막대
3000: 진동부 400: 진동 전달부

Claims (3)

  1. 쿠션이 있는 재질의 벙어리장갑 형태로 제작되어, 손을 집어넣는 입구가 벌어지지 않도록 조이는 조임 밴드를 포함하는 본체부(100)와,
    주먹을 쥐는 방향인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 외주면 가로방향으로 위치되어, 막대형상에 일정한 무게를 갖는 중량막대(200)와,
    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100)의 손목 내측 외주면에 위치되며,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300)와,
    상기 중량막대(200)와 상기 진동부(300)에 연결되어, 상기 진동부(300)에서 발생되는 진동 에너지를 상기 중량막대(200)로 전달하는 진동 전달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전달부(400)는 연성을 갖는 하드한 와이어로 구성되어, 상기 중량막대(200)와 상기 진동부(300)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진동부(300)에서 발생되는 진동 에너지를 상기 중량막대(200)로 전달하는 권투 글러브.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은 내측 외주면에 일측 방향으로 상기 중량막대(200)를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중량막대(200)의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한 제1 포켓부(110)와,
    상기 본체부(100)는 팔목 내측 외주면에 상기 진동부(300)를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부의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한 제2 포켓부(120)를 포함하는 권투 글러브.
KR1020230065395A 2023-05-22 2023-05-22 권투 글러브 KR102607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5395A KR102607090B1 (ko) 2023-05-22 2023-05-22 권투 글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5395A KR102607090B1 (ko) 2023-05-22 2023-05-22 권투 글러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7090B1 true KR102607090B1 (ko) 2023-11-29

Family

ID=88969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5395A KR102607090B1 (ko) 2023-05-22 2023-05-22 권투 글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709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073Y1 (ko) 1984-05-03 1986-02-12 주식회사가미산업 권투 글러브
JPH09108397A (ja) * 1995-10-19 1997-04-28 Genichi Sato ゴルフ用手袋
JPH1119270A (ja) * 1997-07-04 1999-01-26 Mochida Shoko Kk ウエイト手袋
KR20150086576A (ko) 2014-01-19 2015-07-29 유원형 압전소자를 이용한 권투 글러브
US20200069991A1 (en) * 2018-09-04 2020-03-05 John Ronan Muscle stimulation device
US20200121972A1 (en) * 2018-10-23 2020-04-23 Maurepaz Auguste Weighted wrist band assembly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073Y1 (ko) 1984-05-03 1986-02-12 주식회사가미산업 권투 글러브
JPH09108397A (ja) * 1995-10-19 1997-04-28 Genichi Sato ゴルフ用手袋
JPH1119270A (ja) * 1997-07-04 1999-01-26 Mochida Shoko Kk ウエイト手袋
KR20150086576A (ko) 2014-01-19 2015-07-29 유원형 압전소자를 이용한 권투 글러브
US20200069991A1 (en) * 2018-09-04 2020-03-05 John Ronan Muscle stimulation device
US20200121972A1 (en) * 2018-10-23 2020-04-23 Maurepaz Auguste Weighted wrist band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1749A (en) Athletic training gloves
US8572764B2 (en) Exercising glove
CA2141150C (en) Hockey players training gloves with removable weights
EP3402581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esting and determining the victor of a combat sport
US8312567B1 (en) Weighted exercise gloves
US5575008A (en) Martial arts training glove
US8876667B2 (en) Weighted wrist band with an offset cuff
US20120100966A1 (en) Ball-hitting glove assembly for boxing training
US8418263B2 (en) Boxing exercise device
US202200012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act Sports Training
US6629911B2 (en) Weighted exercise glove
US9861851B1 (en) Hand speed trainer
US10223557B2 (en) Ergonomic held weight unit
KR102607090B1 (ko) 권투 글러브
Saliyev et al. WAYS TO DEVELOP BOXERS'PHYSICAL SKILLS
US10828553B2 (en) Open palm hand covers and uses of said covers
JP2023101753A (ja) 人間工学的な手持ち式ウェイトユニット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4366956A (en) Rhythm indicating exercisers
KR200496924Y1 (ko) 중량 조절이 가능한 글러브
US20240157192A1 (en) Ergonomic handheld weight unit and method of use
US20210146189A1 (en) Ergonomic handheld weight unit and method of use
KR102585116B1 (ko) 복싱 글러브
CN209809398U (zh) 多功能缠绕式训练配重
Barr Massive, Muscular Arms: Scientifically Proven Strategies for Bigger Biceps, Triceps, and Forearms
KR200358065Y1 (ko) 무술용 손 보호장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