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7002B1 - 시공사례 통계분석 기반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시공사례 통계분석 기반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7002B1
KR102607002B1 KR1020210069818A KR20210069818A KR102607002B1 KR 102607002 B1 KR102607002 B1 KR 102607002B1 KR 1020210069818 A KR1020210069818 A KR 1020210069818A KR 20210069818 A KR20210069818 A KR 20210069818A KR 102607002 B1 KR102607002 B1 KR 102607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information
interior
user terminal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9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2203A (ko
Inventor
이정완
김현우
김승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타키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타키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타키움
Priority to KR1020210069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002B1/ko
Publication of KR20220162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2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2Query for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909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은, (a) 복수의 시공업체 단말로부터 인테리어 시공이 완료된 시공사례에 대한 시공대상정보 및 견적정보를 수집하고 시공사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b) 사용자 단말의 위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지역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화면의 제 1영역에 지도를 표시하고 사용자 단말 화면의 제 2영역에 상기 지도 내 시공사례 리스트를 표시하는 인테리어 정보제공UI(user interface)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 2영역에 표시된 상기 시공사례 리스트 중 하나의 시공사례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선택 입력된 시공사례의 시공대상정보 및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된 시공비용 통계정보는 상기 시공사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산출되며, 소공간 별 시공비용 통계 또는 비목 별 시공비용 통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시공사례 통계분석 기반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RVICES THAT PROVIDE INTERIOR INFORMATION BASED ON STATISTICAL ANALYSIS OF CONSTRUCTION CASES}
본 발명은 시공사례 통계분석 기반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인테리어 시공을 원하는 사용자에게 상세한 시공사례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시한다.
종래에는 거주지 또는 사무실 등의 인테리어 시공을 원하는 경우, 광고나 인터넷 검색을 통하여 알게 된 시공업체에 연락하여 상담을 요청한 후, 시공을 진행하는 형식이었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몇 개의 시공업체들이 제시한 인테리어 모델이나 견적을 비교하여 더 나은 시공업체를 결정하는 과정이 일반적이었다. 즉, 해당 지역에서 시공 가능한 업체들을 전부 파악하기 어려워 선택지가 한정적이었다.
또한,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인테리어에 관한 전문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제시된 모델과 견적이 적정한 것인지 판단하기 어려워, 공사 진행에 따른 예산을 책정하는 부분이나 의도치 않은 시공이 이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하고자, 인테리어 시공사례를 소개하고 소비자와 인테리어 시공업체 간 중개를 도와주는 온라인 서비스가 등장하였다.
그러나, 소비자는 일반적으로 시공대상의 소공간 단위로 입찰을 요청하는데, 종래의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비용의 정보는 총 시공비나 평당 시공비와 같이 포괄적인 내용에 불과하였다.
또한, 자재비, 인건비와 같은 비목 별 시공비에 대한 확인이 불가하여 투명성이 결여되며, 이에 따라 인테리어 계획시 소비자가 상세 예산을 책정하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시공사례에 대한 내용을 단순 나열함에 따라, 가독성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인테리어 중개 온라인 서비스는, 소비자가 인테리어 계획을 세우거나 업체를 선택하는 데 있어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하며, 효용가치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공사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수집된 견적 정보를 통계 분석함으로써, 보다 상세한 시공비용 정보를 포함하는 시공사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시각성 및 편의성이 향상된 인테리어 정보제공UI(user interface)에 대한 일 실시예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은, (a) 복수의 시공업체 단말로부터 인테리어 시공이 완료된 시공사례에 대한 시공대상정보 및 견적정보를 수집하고 시공사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b) 사용자 단말의 위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지역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화면의 제 1영역에 지도를 표시하고 사용자 단말 화면의 제 2영역에 상기 지도 내 시공사례 리스트를 표시하는 인테리어 정보제공UI(user interface)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 2영역에 표시된 상기 시공사례 리스트 중 하나의 시공사례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선택 입력된 시공사례의 시공대상정보 및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된 시공비용 통계정보는 상기 시공사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산출되며, 소공간 별 시공비용 통계 또는 비목 별 시공비용 통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상기 견적정보는 상기 견적정보에 대응하는 시공대상 내부의 소공간 별로 시공비용이 분류되어 업로드되되, 각각의 소공간마다, 수행된 인테리어 공정 별로 시공비용이 더 분류되어 업로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상기 (b)단계는, 상기 지도 내 상기 시공사례 리스트에 대응하는 각각의 위치에 기 설정된 플래그를 표시하되, 지도의 축적이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시공대상의 평형 및 총 시공비용 정보를 상기 플래그에 표시하고, 지도의 축적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행정구역을 상기 지도에 표시하되, 시공사례가 존재하는 행정구역의 위치에 플래그를 표시하며, 상기 시공사례가 존재하는 행정구역의 위치에 표시된 플래그에는 전체 시공사례에 대한 평당 시공비용의 평균값이 표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상기 (b)단계는, 상기 제 2영역을 통해 상기 시공사례 리스트에 포함된 각각의 시공사례 별로 총 시공비용, 평당 시공비용, 평형, 공사기간 및 시공대상의 명칭, 주택형태, 이미지 및 주소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지도의 축적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플래그 중 하나의 선택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 1영역을 선택 입력된 플래그에 대한 행정구역과 대응하는 지도로 변경하고 상기 제 2영역을 상기 변경된 지도 내 시공사례 리스트로 변경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상기 (c)단계는, 상기 선택 입력된 시공사례의 시공대상정보 및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상기 제 2영역에서 상기 시공사례 리스트를 제거한 후 상기 제 2영역에 표시하되, 상기 시공대상정보는 시공대상의 명칭, 주택형태, 평형, 사진 및 주소 정보, 총 시공비용, 평당 시공비용, 공사기간 정보 및 상기 선택 입력된 시공사례를 수행한 업체의 대표시공사례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시공비용 통계정보는 총 시공비용을 자재비, 인건비, 경비, 공사관리비 및 공과잡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비목 별 시공비용으로 분류하거나, 시공대상의 소공간 별 시공비용으로 분류함으로써 산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공비용 통계정보는 기 설정된 인포그래픽(information graphics) 형태의 시각화된 정보로 추가 표시되되, 상기 비목 별 또는 소공간 별 각각의 시공비용은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분되고, 상기 비목 별 또는 소공간 별 각각의 시공비용의 액수에 따라 상기 인포그래픽 내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결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상기 (c)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세보기 메뉴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공간 별 상세견적서 정보를 더 제공하되, 상기 공간 별 상세견적서 정보는, 총 시공비용을 시공대상의 소공간 별 시공비용으로 분류한 후, 각각의 소공간 별 시공비용마다 자재비, 인건비, 경비, 공과잡비 및 공사관리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비목 별 시공비용으로 더 분류함으로써 산출되는 테이블 형태의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b)단계 후, 상기 인테리어 정보제공UI는 업체찾기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업체찾기 기능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지도 내 시공사례 이력이 있는 시공업체들을 추출한 후 상기 제 2영역에 상기 시공업체들로 구성된 업체 리스트를 표시하되, 상기 업체 리스트의 각각의 시공업체마다 입찰시공사례 및 독립시공사례의 횟수 정보가 더 표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업체 리스트 중 하나의 시공업체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 2영역에 업체 리스트를 제거한 후 상기 선택 입력된 시공업체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되, 상기 시공업체의 상세 정보는 업체의 서지적 사항, 업체가 수행한 시공사례 및 소비자 리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소비자 리뷰 정보는 기 설정된 항목 별 평점으로 산출되며 각각의 항목을 꼭지점으로 하는 다각형 형태의 인포그래픽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은, (d) 상기 인테리어 정보제공UI 는 인테리어 추천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인테리어 추천 기능을 통한 시공대상의 주택형태, 평형 및 시공예산의 입력에 응답하여 인테리어 구성을 추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상기 (d)단계는, 상기 시공대상의 주택형태, 평형 및 시공예산의 입력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평면전개도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고, 추출된 평면전개도에 나타난 각 소공간 별 면적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입력한 시공예산 범위 내에서, 추천테이블값, 인테리어 우선순위값 및 상기 각 소공간 별 면적을 기초로 인테리어 추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평면전개도는 시공대상의 주택형태 또는 평형 별로 분류되는 것이고, 상기 추천테이블값은 상기 (a)단계를 통하여 수집된 후 가공된 것으로, 시공면적, 공정종류, 자재종류 및 인부수에 따르는 비용을 규정한 테이블을 의미하며, 상기 인테리어 우선순위값은 기 설정된 시공예산 범위 별로 매칭된 공정 우선순위 또는 시공대상이 되는 소공간 우선순위를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테리어 추천정보는 소공간 별, 자재종류 별 및 공정 별 추천옵션 중 적어도 하나의 추천옵션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서버는,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은, (a) 복수의 시공업체 단말로부터 인테리어 시공이 완료된 시공사례에 대한 시공대상정보 및 견적정보를 수집하고 시공사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b) 사용자 단말의 위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지역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화면의 제 1영역에 지도를 표시하고 사용자 단말 화면의 제 2영역에 상기 지도 내 시공사례 리스트를 표시하는 인테리어 정보제공UI(user interface)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 2영역에 표시된 상기 시공사례 리스트 중 하나의 시공사례에 대한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선택 입력된 시공사례의 시공대상정보 및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된 시공비용 통계정보는 상기 시공사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산출되며, 소공간 별 시공비용 통계 또는 비목 별 시공비용 통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시공을 원하는 주변 지역의 인테리어 사례를 제공하여, 시공업체의 시공 스타일과 견적을 동시에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시공업체 선정에 있어 합리적인 사용자의 합리적인 의사 결정에 기여한다.
또한, 시공업체가 업로드한 견적서를 소공간 별, 비목 별로 체계적으로 분류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고 투명성이 보장된 시공비용의 통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공대상의 소공간마다 상세 예산을 책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맞는 입찰 견적을 제안하는 시공업체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보다 경제적이고 안정적인 시공이 착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공비용의 통계정보는 분류된 항목마다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분된 인포그래픽(information graphics) 형태로 시각화되어 제공되며, 이에 따라 가독성이 증대되어 사용자는 이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테리어에 전문성이 떨어지는 사용자들의 특성에 대비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예산 내 효과적인 인테리어 구성을 추천하는 기능을 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견적정보의 일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테리어 정보제공UI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선택 입력된 시공사례의 시공대상정보 및 시공비용 통계정보가 표시되는 제 2영역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상세보기 메뉴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시공사례의 상세정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업체찾기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테리어 추천 기능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VR HMD(예를 들어, HTC VIVE, Oculus Rift, GearVR, DayDream, PSVR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VR HMD 는 PC용 (예를 들어, HTC VIVE, Oculus Rift, FOVE, Deepon 등)과 모바일용(예를 들어, GearVR, DayDream, 폭풍마경, 구글 카드보드 등) 그리고 콘솔용(PSVR)과 독립적으로 구현되는 Stand Alone 모델(예를 들어, Deepon, PICO 등) 등을 모두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NFC, RFID, 초음파(Ultrasonic), 적외선, 와이파이(WiFi), 라이파이(LiFi) 등의 통신 모듈을 탑재한 각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서버(10), 사용자 단말(20) 및 서버(10)에 기 등록된 복수의 시공업체 단말(30)을 포함하며, 서버(10)와 각 단말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서버(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로 인테리어 정보제공UI를 제공하고, UI 내 사용자 단말(20)의 요청 사항에 대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며, 이에 대한 결과를 사용자 단말(20)로 전달한다.
또한, 서버(10)는 인테리어 시공이 완료된 시공사례에 대한 시공대상정보 및 견적정보를 업로드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시공업체 단말(30)로 제공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시공대상정보 및 견적정보들을 해당 시공업체의 식별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한다.
서버(10)는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에 수행되는 과정 상 발생하는 각 종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는 시공업체 단말(30)들로부터 수집한 시공대상정보 및 견적정보를 통해 구축된 시공사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단말(20) 및 시공업체 단말(30)은 사용자 및 시공업체의 관리자가 소유한 디바이스 또는 특정장소에 설치 된 컴퓨팅장치로서, 웹 브라우저가 설치되어 있거나 모바일용 운영체제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서버(10)가 수행하는 프로세스에 대한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단계 S210에서, 서버(10)는 복수의 시공업체 단말(30)로부터 인테리어 시공이 완료된 시공사례에 대한 시공대상정보 및 견적정보를 수집한다. 즉, 서버(10)에 등록된 시공업체는 인테리어 시공을 완료한 후, 진행 과정 및 결과를 나타내는 각 종 자료들을 종합하여 서버(10)에 업로드 할 수 있다.
여기서 시공대상정보는, 시공사례 별로 시공대상의 명칭, 주택형태, 평형, 사진(인테리어 전/후) 및 주소 정보와 총 시공비용, 평당 시공비용과 같은 일반 금액정보 및 공사기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공업체 정보를 등록하거나 갱신할 수 있으며, 여기에는 이전에 수행되었던 대표시공사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물론, 시공대상정보에 대해 상기 나열된 구성들로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공업체가 업로드 하는 견적정보는, 시공사례 별 상세견적을 의미하는 것으로, 기 설정된 상세견적양식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 도 3에는, 상세견적양식에 따라 입력된 견적정보의 일부를 나타내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견적정보는 해당 시공사례에 대한 시공대상 내부의 소공간 별로 시공비용이 분류될 수 있다. 도 3 상단을 참조하면, '침실' 내지 '다용도실' 별로 시공 과정에서 소요된 금액이 구분되어 입력된 상태를 볼 수 있다.
또한, 소공간 별 시공비용은, 공정 별로 비목, 공사내용, 품목정보, 단가, 사용량, 사용금액 및 경비 등의 기 설정된 항목에 따른 시공비(소계)로 더 구체화되어 상세하게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실 내 도배공사의 공정 중, 단가 15,300원의 피그먼트-민트 실크 벽지를 79.2제곱미터만큼 사용하여 73,400원이 소요되었고, 경비가 12,000원이 들어 총 85,440원의 자재비(비목)가 발생하였다는 정보가 서버(10)에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인건비의 비목인 경우, 실크 벽지를 사용하는 도배공사의 공정 중, 급여 50,000원의 인부 2명이 참여하였고, 경비 10,000원이 들어 총 110,000원이 소요되었다는 정보가 서버(10)에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공간 별 시공비용은, 각 소공간에 대하여 수행된 인테리어의 공정 별로 그 금액이 더 분류될 수 있다. 또한, 각 공정은 그 비목 또는 공사내용 별로 복수의 금액으로 더 분류되어 업로드 될 수 있다.
이어서, 서버(10)는 시공사례 별로 수집한 시공대상정보 및 견적정보를 토대로 시공사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는 시공사례 별로 공간을 할당하여 시공대상정보와 견적정보를 저장하며, 이를 업로드한 시공업체의 식별정보와 매칭시킴으로써, 시공업체 단위로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후에 인테리어 정보제공UI 내 사용자 단말(20)의 요청에 따라 정확한 시공사례들을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2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견적정보는 기 설정된 상세견적양식에 따라 시공업체 단말(30)로부터 업로드 되므로, 서버(10)는 이를 토대로 시공사례마다 소공간 별, 비목 별로 분류된 시공비용의 통계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시공사례에서 인테리어가 진행된 소공간이 주방, 거실 및 침실이고, 서버(10)가 각 소공간 별 시공비용 테이블을 검색한 결과, 각각 3개, 5개 및 2개의 자재비 금액이 발견되었다면, 이들을 모두 추출한 후, 10개의 금액을 합산한 결과를 해당 시공사례에 대한 자재비 비목의 통계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소공간 별, 비목 별 분류 이외에도, 서버(10)는 업로드된 견적정보를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공간 별로 도배공사에 대한 금액만을 추출하여, 도배공사에 대한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즉, 공정 별로 시공비용을 분류할 수 있다. 또는, 자재비 비목에 대한 모든 금액을 추출한 후, 이를 기 설정된 단가 범위(예를 들어, 10,000원 이하/10,000-20,000원/20,000원 이상)로 분류하는 등의 비목 별 단가에 대한 통계정보를 산출할 수도 있다.
추가 실시예로, 서버(10)는 시공업체마다 매칭된 시공사례를 통합하여, 시공업체 별 기 설정된 기준으로 분류된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기준이란 시공사례 별 통계정보와 마찬가지로 다양할 수 있으며, 소공간 별, 비목 별, 공정 별 등으로 분류된 시공비용 통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업체가 3개의 시공사례에 대한 견적정보를 업로드 하였다면, 각 시공사례 내 침실에 대한 시공비용을 추출하고, 이들을 각각 기 설정된 면적단위 당 시공비(예로, 1제곱미터 당 시공비)로 변경한 후, 변경된 면적단위 당 시공비에 대한 평균치를 구함으로써, A업체가 침실에 대해 수행한 인테리어 시공의 평균 시공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모든 소공간에 대해 수행하여 A업체의 소공간 별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어지는 추가 실시예로, 서버(10)는 등록된 모든 시공업체를 대상으로 하는 지역 별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지역 별 시공비용 통계정보란, 후술할 인테리어 정보제공UI 내 표시되는 지도에 기초한 것으로서, 지도 내 시공사례에 대한 시공비용 통계정보마다 업체 별로 분류된 것이다. 만약, 지역 내에 하나의 업체로부터 수집한 시공사례가 둘 이상인 경우, 해당 업체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평균 시공비용 산출이 먼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지역 별 통계가 화면에 노출되면, 사용자는 소공간 별, 비목 별로 시공업체마다 얼마의 비용이 소요되었는지 한 눈에 비교할 수 있으며, 업체를 선정하는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는 인테리어 정보제공UI를 통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시공사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시공비용의 분류범위를 결정하고 이에 따른 통계자료를 사용자에게 즉시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S220에서, 서버(10)는 인테리어 정보제공UI를 사용자 단말(20)로 제공한다. 이하에서, 인테리어 정보제공UI의 일 실시예에 대해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테리어 정보제공UI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인테리어 정보제공UI는 사용자 단말 화면의 제 1영역(100)에 지도를 표시하고 사용자 단말 화면의 제 2영역(200)에 해당 지도 내 시공사례 리스트(210)를 표시한다. 즉, 서버(10)는 시공사례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수집된 시공사례 중 지도에 표시된 지역에 대응하는 시공사례를 추출하여 리스트 형식으로 제 2영역(20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지도는 서버(10)가 사용자 단말(20)의 GPS정보 등을 확인하여 파악된 사용자의 위치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지역에 기초하여 표시될 수 있다. 즉, 실제 인테리어 시공을 진행할 공간이 기준이 되어 기 설정된 반경을 가진 지역에 대응하는 지도가 제 1영역(100)에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영역(100) 내 사용자 단말(20)의 입력에 따라 지도의 축적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영역(100) 내 임의의 영역에서 스크롤 또는 터치 입력이 수행되면, 해당 입력에 따라 지도에 표시되는 지역의 범위가 커지거나 줄어들 수 있다. 또는, 제 1영역(100) 내 일 영역에 표시된 지역 입력창에 사용자는 행정구역을 선택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되는 행정구역의 최종 단위(시·도/시·군·구/읍·면·동)에 따라 지도의 축적은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영역(100)의지도 내 시공사례 리스트(210)에 대응하는 각각의 위치에는 기 설정된 플래그(101)가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시공 이력이 있는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플래그(101)는 지도의 축적에 따라 표시되는 정보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도가 읍·면·동 단위의 지역을 표시함으로써, 더 하위의 행정구역으로 확대될 수 없는 등 그 축적이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플래그(101)는 하나의 시공사례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래그(101)에는 해당 시공사례에 대한 시공대상의 평형 및 총 시공비용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반면, 지도가 시·군·구 단위 이상의 지역을 표시함으로써, 더 하위의 행정구역으로 확대될 수 있는 등 그 축적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지도에는 표시된 지역 내에 포함되는 행정구역이 표시되며, 시공사례가 존재하는 행정구역의 위치에 플래그(101)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플래그(101)는 해당하는 행정구역에서 발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공사례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플래그(101)는 이들을 총괄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행정구역명 및 전체 시공사례에 대한 평당 시공비용의 평균값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도의 축적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사용자 단말(20)이 플래그(101) 중 하나를 선택 입력하면, 이에 대한 응답으로 서버(10)는, 제 1영역(100)을 선택입력된 플래그에 대한 행정구역과 대응하는 지도로 변경하고, 제 2영역(200)은 변경된 지도 내의 시공사례 리스트로 변경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화면의 처음 상태가, 제 1영역(100)은 강남구를 나타낸 지도이고, 제 2영역(200)은 강남구에서 발생한 시공사례가 리스트로 표시된 것이라고 가정한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라, 제 1영역(100)에는 강남구에 포함된 동단위의 행정구역이 표시되며, 이 중 시공사례가 존재하는 행정구역에는 플래그(101)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이 중 서초동에 대응하는 플래그(101)를 클릭하거나 터치한 경우, 제 1영역(100)은 축적이 감소하여 서초동을 나타내는 지도로 확대되며, 서버(10)는 제 2영역(200)에 표시된 시공사례 중 서초동에 대응하는 시공사례만을 추출하여 축소된 시공사례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서초동으로 변경된 제 1영역(100)의 지도에는 시공사례 각각에 대응하는 플래그(101)가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는 제 2영역(200)을 통해 시공사례 리스트(210)에 포함된 각각의 시공사례 별로 총 시공비용, 평당 시공비용, 평형, 공사기간 및 시공대상의 명칭, 주택형태, 이미지 및 주소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와 같은 요약 정보를 확인하고, 상세한 내용을 확인하고 싶은 시공사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S230에서, 서버(10)는 시공사례 리스트(210) 중 하나의 시공사례에 대한 사용자 단말(20)의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선택 입력된 시공사례의 시공대상정보 및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상 화면 배치의 전환 없이, 서버(10)는 제 2영역(200)에서 시공사례 리스트(210)를 제거한 후, 선택 입력된 시공사례의 시공대상정보 및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제공한다. 한편, 제 1영역(100)에 표시된 플래그(101) 중 선택 입력된 시공사례에 대응하는 플래그에는, 사용자에게 그 위치를 인지시키기 위한 기 설정된 식별요소가 더 부가될 수 있다. 만약, 시공사례의 선택 전, 제 1영역(100)에 표시된 지도의 축적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라면, 해당 시공사례를 나타내는 플래그(101)가 표시될 수 있도록 지도의 축적이 감소하는 프로세스가 선행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플래그(101)를 선택 입력하여 이에 대응하는 시공사례의 시공대상정보 및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즉, 시공사례의 위치를 중요시하는 사용자는, 지도를 통해 원하는 시공사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제 2영역(200)만이 전환되어 선택된 플래그(101)에 대한 시공사례의 구체적인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하고자 특정 시공사례를 선택하는 경우에도, 제 2영역(200)에 표시되는 사항만이 해당 시공사례의 정보로 전환될 뿐, 사용자 단말(20) 화면 배치의 변경 없이, 제 1영역(100)은 지도로 유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공사례 리스트(210)나 플래그(101) 중 어느 하나를 보고 선택하더라도 시공대상의 위치와 상세내역을 한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하고 정확하게 인테리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선택 입력된 시공사례의 시공대상정보 및 시공비용 통계정보가 표시되는 제 2영역에 대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의 시공사례 선택입력을 수신하면, 시공사례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시공사례의 시공대상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시공대상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시공대상의 명칭, 주택형태, 평형, 사진(시공 전/후) 및 주소 정보, 총 시공비용, 평당 시공비용, 공사기간 정보 및 해당 시공사례를 수행한 업체의 대표시공사례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정보들은 제 2영역(200) 내 기 설정된 위치에 표시된다.
또한, 서버(10)는 시공사례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시공사례의 견적정보를 추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10)는 이 후 추출한 견적정보를 가공, 분석하여 소공간 별 시공비용 통계(212) 또는 비목 별 시공비용 통계(211)를 포함하는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산출하고, 제 2영역(200)을 통해 표시한다.
예를 들어, 서버(10)는 견적정보를 기초로 전체 시공비용을 소공간 별 시공비용(212)으로 분류한다. 즉, 해당 시공대상의 공간별 공사비를 산출한다. 여기서 소공간은 시공대상의 내부를 용도에 따라 나눈 것으로, 주거용뿐만 아니라 사무용, 상업용 등 시공대상의 목적에 따라 소공간의 명칭은 다를 수 있으며, 시공업체 단말(30)에 의해 입력된 견적정보에 의해 그 구성이 결정되는 것이다.
또한, 서버(10)는 견적정보를 기초로 전체 시공비용을 비목 별 시공비용(211)으로 분류한다. 여기서 비목은, 인테리어 시공을 하면서 들어가는 돈의 용도를 목적에 따라 나눈 항목으로서, 자재비, 인건비, 경비, 공사관리비 및 공과잡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시공업체 단말(30)에 의해 입력된 견적정보에 따라 비목의 구성은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공비용 통계정보(211, 212)는 기 설정된 인포그래픽(information graphics) 형태로 시각화되어 추가 표시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비목 별 시공비용(211)은 원형 그래프로, 소공간 별 시공비용(212)은 막대 그래프로 표시된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목 별 또는 소공간 별로 분류된 각각의 시공비용은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비목 별 또는 소공간 별 각각의 시공비용은 그 액수에 따라 인포그래픽 내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결정될 수 있다. 물론, 도 5를 통해 원형 또는 막대 그래프의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정보, 데이터를 온라인상에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라면, 그 형태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인테리어 정보제공UI는, 사용자가 합리적인 예산 측정과 효과적인 인테리어 계획을 세우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체가 아닌 일부 공간만의 인테리어를 원할 수 있는데, 제공되는 시공사례마다 소공간 별 소요된 금액을 살필 수 있으므로, 실익이 크다. 또한, 전체의 인테리어를 계획하였거나, 한정된 예산 속에서 어느 공간의 인테리어를 실시해야 할지 고민이 되는 사용자들은, 인포그래픽을 통해 소공간 별 시공금액의 비율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 보다 원활한 결정이 가능하다. 또한, 비목 별 시공금액 및 그 비율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제공되는 시공비용 정보의 투명성이 보장되며, 이를 통해, 인테리어 계획을 세우는 사용자는, 자재의 단가, 인부의 수 등 세부적인 내용도 고려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서, 서버(10)는 선택 입력된 시공사례의 시공대상정보 및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제공하면서, 해당 시공사례를 수행한 시공업체의 평균 시공비용과 비교 분석한 정보를 제 2영역(200)에 추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는 해당 시공업체가 업로드한 시공대상정보에 포함되는 평당 시공비용들을 모두 추출하고, 추출된 평당 시공비용의 평균값을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해당 시공업체가 업로드한 견적정보를 모두 추출하고, 각 견적정보마다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산출한다. 이 후, 평형을 고려하여, 산출된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기 설정된 면적단위(평당 또는 제곱미터당) 기준으로 변환한 후, 이들의 평균값을 연산한다.
이 후, 서버(10)는 연산된 평균값들과 선택된 시공사례의 시공비용간 비교정보를 제 2영역(200)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시공업체의 평당 시공비용의 평균값과 시공사례의 평당 시공비용을 비교한다. 또한, 기 설정된 면적단위 당 시공비용 통계정보의 평균값과 해당 시공사례의 기 설정된 면적단위 당 시공비용 통계정보 간의 비교를 수행한다. 이러한 비교정보는 시각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출된 평균값들을 축으로 하고, 축을 기준으로 시공사례 시공비용의 양 또는 음의 편차를 표시하는 그래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추가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는 선택한 시공사례가 시공비 참고의 객관적 지표가 될 수 있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공업체의 평균 견적과 심한 편차를 보이는 경우, 해당 시공사례의 견적이 특별히 높거나 낮게 책정된 것으로 파악하고, 객관성이 낮은 자료로 배제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추가 실시예로서, 서버(10)는 선택된 시공사례와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다른 시공사례들과의 시공비용 비교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시공사례는 제 1영역(100)의 지도에 기반하는 것으로, 선택된 시공사례를 제외한 시공사례 리스트(210)에 포함된 전체 시공사례들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전술한 추가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서버(10)는 다른 시공사례들에 대한 평당 시공비용의 평균값 또는 기 설정된 면적단위당 시공비용 통계정보의 평균값을 구한다. 이 후, 선택된 시공사례의 시공비용과 비교정보를 제 2영역(200)에 표시할 수 있으며, 이 또한 산출한 평균값들을 축으로 하고, 축을 기준으로 양 또는 음의 편차를 표시하는 그래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비교정보는, 사용자가 시공업체를 선정하는 자료 중 하나로 활용될 수 있다. 즉, 특정 지역의 시공사례 리스트(210)에 포함된 시공사례들을 열람하면, 해당 지역의 평균 견적보다 저렴한 견적을 제안했던 시공업체를 쉽게 식별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 2영역(200) 내 상세보기 메뉴(213)를 통하여 선택한 시공사례에 대해 보다 상세한 자료를 확인할 수 있다.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의 상세보기 메뉴(213)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세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상세보기 메뉴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시공사례의 상세정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시공사례의 상세정보는 소공간 별 시공비용 통계 및 비목 별 시공비용 통계를 포함하는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비목 별 또는 소공간 별 시공비용이 표시될 수 있으며, 전체 시공비용 중 각각의 시공비용이 차지하는 비율의 수치가 더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시공사례의 상세정보는 공간 별 상세견적서 정보(214)를 포함할 수 있다. 공간 별 상세견적서 정보(214)는 복합적인 기준으로 분류된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테이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 별 상세견적서 정보(214)는, 서버(10)가, 총 시공비용을 시공대상의 소공간 별 시공비용으로 분류한 후, 각각의 소공간 별 시공비용마다 자재비, 인건비, 경비, 공과잡비 및 공사관리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비목 별 시공비용으로 더 분류함으로써, 산출되는 것일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서, 인테리어 정보제공UI는 제 2영역(200)을 통하여, 선택된 시공사례의 견적정보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기 설정된 항목 별 필드값 입력을 통해 원하는 견적정보만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항목이란, 시공업체 단말(30)로 제공되는 상세견적양식에 기초한 것으로, 소공간, 비목, 공정, 단가의 범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항목은 병렬적 관계로,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만을 입력할 수 있으며, 많은 항목에 대해 필드값을 입력할수록 보다 좁은 범위의 견적정보가 제공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사용자가 소공간/비목/공정 항목에 대응하여 각각 침실/자재/바닥공사의 필드값을 선택하는 경우, 서버(10)는 업로드된 견적정보 중 이러한 선택에 대응하는 견적정보만을 추출하여 제 2영역(20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테이블 중 2번행이 발췌되어 화면에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를 통하여 침실의 바닥공사에 사용된 자재의 품목정보 및 단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시공사례들을 선택하여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침실의 바닥공사에 사용되는 자재의 종류 및 단가를 비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추가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는 인테리어에 관한 세부적인 지식을 축적할 수 있으며, 이 후 입찰 요청이나 시공업체와의 협상을 수행할 시, 보다 유리한 위치를 선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테리어 정보제공UI는 업체찾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업체찾기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 1영역(100) 내에 포함되는 업체찾기 메뉴를 클릭하거나 터치할 수 있다. 서버(10)는 이와 같은 입력을 수신하고, 제 1영역(100)에 표시된 지도 내 시공사례 이력이 있는 시공업체들을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시공업체들로 구성된 업체 리스트를 제 2영역(200)에 표시한다. 여기서 업체 리스트에는, 각각의 시공업체마다 입찰시공사례 및 독립시공사례의 횟수 정보가 더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시공업체마다 업체명, 대표이미지, 주소, 업체유형, 전문분야(예로, 주거용, 사무용 등), 시공지역 및 소비자 평가 점수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으며, 나열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서버(10)는 제 1영역(100)에 표시되었던 기존의 플래그(101)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위치에서 시공사례 이력이 있는 시공업체들의 개수 정보를 표시한 플래그(103)로 변경할 수 있다. 서버(10)는 변경된 플래그(103) 중 하나에 대한 사용자 단말(20)의 선택 입력에 따라, 제 2영역(200)에 표시된 업체 리스트 중 선택 입력된 플래그(103)에 대응하는 시공업체만을 추출하여 제 2영역(200)에 리스트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는 제 2영역(200)에 구성된 업체 리스트 중 하나의 시공업체에 대한 사용자 단말(20)의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제 2영역(200)에서 업체 리스트를 제거한 후 선택 입력된 시공업체의 상세 정보를 표시한다. 도 7에는, 시공업체의 상세 정보에 대한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시공업체의 상세 정보는, 업체명, 대표이미지, 주소, 업체유형, 전문분야, 시공지역 등을 포함하는 업체의 서지적 사항, 업체가 수행한 시공사례 및 소비자 리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소비자 리뷰 정보는 기 설정된 항목 별 평점으로 산출될 수 있으며, 각각의 항목을 꼭지점으로 하는 다각형 형태의 인포그래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를 통해 해당 시공업체의 평판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은, 단계 S240에서, 인테리어 구성을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즉, 인테리어 정보제공UI는 인테리어 추천 기능을 제공하며, 사용자는 이를 통해 인테리어 시공을 실시하려는 시공대상의 주택형태, 평형 및 시공예산을 입력할 수 있다. 서버(10)는 이를 수신하고 인테리어 구성을 사용자 단말(20)로 추천할 수 있는데,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이와 관련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테리어 추천 기능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전술한 단계 S210에 대한 실시예로, 단계 S211에서, 서버(10)는 시공사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미리 평면전개도를 확보하고, 추천테이블값 및 인테리어 우선순위값들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는 평면전개도는 시공대상의 주택형태 또는 평형 별로 분류되어 저장되는 것으로서, 서버(10)는, 시공업체 단말(30)들로부터 수신한 시공대상정보들에 기초하여, 특정 주택형태(아파트 등)마다 다양한 평형대의 평면전개도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같은 주택형태 및 평형대에 대해서도 소공간의 구성을 달리하는 복수의 평면전개도가 수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는 추천테이블값은 수집된 시공대상정보 및 견적정보들을 분석하여 가공한 것으로, 시공면적, 공정종류, 자재종류 및 인부수에 따르는 비용을 규정한 테이블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로, 서버(10)는 전체 시공사례에 포함된, 모든 시공면적, 공정종류, 자재종류 및 인부수를 추출한다. 그리고, 각각의 시공면적, 공정종류, 자재종류 및 인부수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를 파악하고, 시공사례 데이터베이스 내 견적정보들을 토대로 각각의 경우의 수에 대한 비용을 산출함으로써, 모든 조합 케이스에 대응하는 추천테이블값을 생성한다. 하나의 예로, '15제곱미터/도배공사/실크벽지/인부2명: 85000원' 이라는 추천테이블값이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테리어 우선순위값은, 기 설정된 시공예산 범위 별로 매칭된 공정 우선순위 또는 시공대상이 되는 소공간의 우선순위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서버(10)는, 시공사례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한정된 시공예산에 따라 먼저 실시해야 할 공정 또는 먼저 시공되어야 할 소공간에 대한 추천값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시공예산 범위에 있어, '도배공사-바닥공사-타일-' 등의 공정 순서가 설정되거나, '거실-부엌-욕실-침실1-' 등의 소공간 순서가 설정될 수 있다.
단계 S241에서, 사용자는 인테리어를 원하는 시공대상에 대한 주택형태, 평형 및 시공예산을 인테리어 정보제공UI를 통해 입력한다.
단계 S242에서, 서버(10)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평면전개도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때, 주택형태 및 평형이 입력되면, 소공간의 구성 및 구성된 소공간마다의 면적을 달리하는 복수의 평면전개도가 추출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는 추출된 평면전개도에 나타난 각각의 소공간 별로 면적을 산출한다.
단계 S243에서, 서버(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시공예산 범위 내에서의 추천테이블값 및 인테리어 우선순위값을 결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테리어 우선순위값은 시공예산 범위 별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서버(10)는 입력된 시공예산에 해당하는 인테리어 우선순위값을 추출하고, 먼저 시공되어야 할 공정 및 소공간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전 단계에서 소공간 별로 면적이 결정되었으므로, 서버(10)는 결정된 면적과 시공예산에 기초하여, 기 생성된 추천테이블값 중 적어도 하나의 적합한 추천테이블값을 추출할 수 있다.
단계 S244에서, 서버(10)는 산출된 소공간 별 면적과 추출된 추천테이블값 및 인테리어 우선순위값을 기초로 인테리어 추천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추출된 평면전개도에 따라 '거실: 30제곱미터, 부엌: 15제곱미터, 욕실: 10제곱미터, 침실: 20제곱미터'로 면적이 산출되었고, 입력된 시공예산에 따라, '거실-부엌-욕실-침실' 및 '도배공사-바닥공사-타일배치' 순으로 시공 순서가 추천되었으면, 추출된 추천테이블값에 따라 각 소공간마다의 시공비용이 책정되어 사용자에게 추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추천테이블값을 통해 어떤 자재를 활용하여 몇 명의 인부로 시공되는 것이 적절한지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된 시공예산이 크거나, 우선순위가 높은 공정 또는 소공간인 경우, 추천되는 자재는 고가의 자재세트로 구성될 수 있고, 반대인 경우, 상대적으로 저가의 자재세트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자재세트는 서버(10)가 미리 파악하여 설정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는 인테리어 추천정보를 제공하면서 다양한 인테리어 옵션을 제안할 수 있다. 여기서 인테리어 옵션은 소공간 별, 자재종류 별 및 공정 별 추천옵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인테리어 우선순위값을 기초로, '거실-부엌', '거실-침실' 과 같이 소공간을 결합한 시공공간 추천옵션을 제시할 수 있다. 또는, 특정 소공간 또는 전체 시공대상을 기준으로, 다양한 자재세트가 선정된, 자재 추천옵션을 제시할 수도 있다. 또는, 인테리어 우선순위값 및 추천테이블값을 기초로, '거실-바닥시공', '침실-도배시공'과 같은 소공간 별 공정 추천옵션을 생성하여 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시되는 추천옵션을 활용하여 가성비가 보장된 인테리어 시공계획을 세울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테리어 추천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주택형태, 평형 및 시공예산만을 입력하여도, 인테리어 구성에 대한 고급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인테리어 정보제공UI를 통해 다수의 정보를 습득하였다 하더라도, 원래부터 인테리어 시공에 부지한 사용자가 대부분이므로, 본 인테리어 추천 기능에 대한 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는 계획한 예산 대비, 보다 효과적인 인테리어 타입을 간편하게 추천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서버
20: 사용자 단말
30: 시공업체 단말

Claims (14)

  1.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a) 복수의 시공업체 단말로부터 인테리어 시공이 완료된 시공사례에 대한 시공대상정보 및 견적정보를 수집하고 시공사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b) 사용자 단말의 위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지역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화면의 제 1영역에 지도를 표시하고 사용자 단말 화면의 제 2영역에 상기 지도 내 시공사례 리스트를 표시하는 인테리어 정보제공UI(user interface)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 2영역에 표시된 상기 시공사례 리스트 중 하나의 시공사례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선택 입력된 시공사례의 시공대상정보 및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된 시공비용 통계정보는 상기 시공사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산출되며, 소공간 별 시공비용 통계 또는 비목 별 시공비용 통계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c)단계는,
    상기 선택 입력된 시공사례의 시공대상정보 및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상기 제 2영역에서 상기 시공사례 리스트를 제거한 후 상기 제 2영역에 표시하되,
    상기 시공대상정보는 시공대상의 명칭, 주택형태, 평형, 사진 및 주소 정보, 총 시공비용, 평당 시공비용, 공사기간 정보 및 상기 선택 입력된 시공사례를 수행한 업체의 대표시공사례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시공비용 통계정보는 총 시공비용을 자재비, 인건비, 경비, 공사관리비 및 공과잡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비목 별 시공비용으로 분류하거나, 시공대상의 소공간 별 시공비용으로 분류함으로써 산출되는 것이고,
    상기 시공비용 통계정보는 기 설정된 인포그래픽(information graphics) 형태의 시각화된 정보로 추가 표시되되,
    상기 비목 별 또는 소공간 별 각각의 시공비용은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분되고,
    상기 비목 별 또는 소공간 별 각각의 시공비용의 액수에 따라 상기 인포그래픽 내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결정되는 것인,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견적정보는 상기 견적정보에 대응하는 시공대상 내부의 소공간 별로 시공비용이 분류되어 업로드되되,
    각각의 소공간마다, 수행된 인테리어 공정 별로 시공비용이 더 분류되어 업로드되는 것인,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지도 내 상기 시공사례 리스트에 대응하는 각각의 위치에 기 설정된 플래그를 표시하되,
    지도의 축적이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시공대상의 평형 및 총 시공비용 정보를 상기 플래그에 표시하고,
    지도의 축적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행정구역을 상기 지도에 표시하되, 시공사례가 존재하는 행정구역의 위치에 플래그를 표시하며, 상기 시공사례가 존재하는 행정구역의 위치에 표시된 플래그에는 전체 시공사례에 대한 평당 시공비용의 평균값이 표시되는 것인,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제 2영역을 통해 상기 시공사례 리스트에 포함된 각각의 시공사례 별로 총 시공비용, 평당 시공비용, 평형, 공사기간 및 시공대상의 명칭, 주택형태, 이미지 및 주소 정보를 표시하는 것인,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의 축적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플래그 중 하나의 선택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 1영역을 선택 입력된 플래그에 대한 행정구역과 대응하는 지도로 변경하고 상기 제 2영역을 상기 변경된 지도 내 시공사례 리스트로 변경하는 것인,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세보기 메뉴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공간 별 상세견적서 정보를 더 제공하되,
    상기 공간 별 상세견적서 정보는, 총 시공비용을 시공대상의 소공간 별 시공비용으로 분류한 후, 각각의 소공간 별 시공비용마다 자재비, 인건비, 경비, 공과잡비 및 공사관리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비목 별 시공비용으로 더 분류함으로써 산출되는 테이블 형태의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의미하는 것인,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 후,
    상기 인테리어 정보제공UI는 업체찾기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업체찾기 기능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지도 내 시공사례 이력이 있는 시공업체들을 추출한 후 상기 제 2영역에 상기 시공업체들로 구성된 업체 리스트를 표시하되, 상기 업체 리스트 내 각각의 시공업체마다 입찰시공사례 및 독립시공사례의 횟수 정보가 더 표시되는 것인,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업체 리스트 중 하나의 시공업체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 2영역에서 업체 리스트를 제거한 후 상기 선택 입력된 시공업체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되,
    상기 시공업체의 상세 정보는 업체의 서지적 사항, 업체가 수행한 시공사례 및 소비자 리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소비자 리뷰 정보는 기 설정된 항목 별 평점으로 산출되며 각각의 항목을 꼭지점으로 하는 다각형 형태의 인포그래픽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d) 상기 인테리어 정보제공UI 는 인테리어 추천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인테리어 추천 기능을 통한 시공대상의 주택형태, 평형 및 시공예산의 입력에 응답하여 인테리어 구성을 추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시공대상의 주택형태, 평형 및 시공예산의 입력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평면전개도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고, 추출된 평면전개도에 나타난 각 소공간 별 면적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입력한 시공예산 범위 내에서, 추천테이블값, 인테리어 우선순위값 및 상기 각 소공간 별 면적을 기초로 인테리어 추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평면전개도는 시공대상의 주택형태 또는 평형 별로 분류되는 것이고,
    상기 추천테이블값은 상기 (a)단계를 통하여 수집된 후 가공된 것으로, 시공면적, 공정종류, 자재종류 및 인부수에 따르는 비용을 규정한 테이블을 의미하며, 상기 인테리어 우선순위값은 기 설정된 시공예산 범위 별로 매칭된 공정 우선순위 또는 시공대상이 되는 소공간 우선순위를 의미하는 것인,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 추천정보는 소공간 별, 자재종류 별 및 공정 별 추천옵션 중 적어도 하나의 추천옵션을 포함하는 것인,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14.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서버에 있어서,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은,
    (a) 복수의 시공업체 단말로부터 인테리어 시공이 완료된 시공사례에 대한 시공대상정보 및 견적정보를 수집하고 시공사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b) 사용자 단말의 위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지역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화면의 제 1영역에 지도를 표시하고 사용자 단말 화면의 제 2영역에 상기 지도 내 시공사례 리스트를 표시하는 인테리어 정보제공UI(user interface)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 2영역에 표시된 상기 시공사례 리스트 중 하나의 시공사례에 대한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선택 입력된 시공사례의 시공대상정보 및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된 시공비용 통계정보는 상기 시공사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산출되며, 소공간 별 시공비용 통계 또는 비목 별 시공비용 통계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c)단계는,
    상기 선택 입력된 시공사례의 시공대상정보 및 시공비용 통계정보를 상기 제 2영역에서 상기 시공사례 리스트를 제거한 후 상기 제 2영역에 표시하되,
    상기 시공대상정보는 시공대상의 명칭, 주택형태, 평형, 사진 및 주소 정보, 총 시공비용, 평당 시공비용, 공사기간 정보 및 상기 선택 입력된 시공사례를 수행한 업체의 대표시공사례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시공비용 통계정보는 총 시공비용을 자재비, 인건비, 경비, 공사관리비 및 공과잡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비목 별 시공비용으로 분류하거나, 시공대상의 소공간 별 시공비용으로 분류함으로써 산출되는 것이고,
    상기 시공비용 통계정보는 기 설정된 인포그래픽(information graphics) 형태의 시각화된 정보로 추가 표시되되,
    상기 비목 별 또는 소공간 별 각각의 시공비용은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분되고,
    상기 비목 별 또는 소공간 별 각각의 시공비용의 액수에 따라 상기 인포그래픽 내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결정되는 것인,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서버.
KR1020210069818A 2021-05-31 2021-05-31 시공사례 통계분석 기반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KR102607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818A KR102607002B1 (ko) 2021-05-31 2021-05-31 시공사례 통계분석 기반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818A KR102607002B1 (ko) 2021-05-31 2021-05-31 시공사례 통계분석 기반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203A KR20220162203A (ko) 2022-12-08
KR102607002B1 true KR102607002B1 (ko) 2023-11-30

Family

ID=84437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818A KR102607002B1 (ko) 2021-05-31 2021-05-31 시공사례 통계분석 기반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70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7829B1 (ko) * 2019-06-14 2019-10-29 정창용 시나리오에 기초한 인테리어 시공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073983B1 (ko) * 2019-07-21 2020-02-05 주식회사 메이크썸노이즈 전자지도 기반 인테리어 시공사례 광고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967A (ko) * 2007-05-30 2009-01-09 박동원 인터넷을 이용한 건축 시공의 직거래 연결 시스템
KR20100104087A (ko) * 2009-03-16 2010-09-29 (주)케이엔케이아트프라자 도면 db를 활용한 3d 홈인테리어 프리뷰 및 자동견적 시스템
KR102217948B1 (ko) * 2018-09-07 2021-02-19 정의상 Nfc 기반의 리뷰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7829B1 (ko) * 2019-06-14 2019-10-29 정창용 시나리오에 기초한 인테리어 시공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073983B1 (ko) * 2019-07-21 2020-02-05 주식회사 메이크썸노이즈 전자지도 기반 인테리어 시공사례 광고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203A (ko)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70300A1 (en) Real estate agent relationship management
US8296667B2 (en)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nd navigating relationships between objects graphically
US8990763B2 (en) User experience maturity level assessment
US201402795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 estate valuation
US83268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computer users to search for and evaluate products and services, typically in a database
Pettit et al. A new toolkit for land value analysis and scenario planning
Laryea et al. Pattern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e use of e-Procurement in Construction
US9053438B2 (en) Energy consumption analysis using node similarity
US20240127136A1 (en) Wait Time Prediction
CA2919551A1 (en) Managing reviews
US20160162830A1 (en) Inventory management based on automatically generating recommendations
JP6299599B2 (ja) 情報システム構築支援装置、情報システム構築支援方法および情報システム構築支援プログラム
EP2870554A2 (en) Visualization of warehouse operations forecast
Adafin et al. Risk impact assessments in project budget development: Architects’ perspectives
Mumford et al. Footfall signatures and volumes: Towards a classification of UK centres
Büyüközkan et al. Extending fuzzy QFD methodology with GDM approaches: An application for IT planning in collaborative product development
KR20210083089A (ko) 관광지 지수 산출 방법 및 시스템
US20200134748A1 (en) Residential real estate layout data collection, search, rating and ranking system and method
US10627984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ynamic virtual data analysis
Feizizadeh et al. Urban restaurants and online food deliver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 spatial and socio-demographic analysis
JP7039393B2 (ja) デジタルソリューション提案支援装置およびデジタルソリューション提案支援方法
JP6648889B2 (ja) 不動産物件評価支援装置、不動産物件評価支援プログラム、不動産物件紹介装置および不動産物件紹介プログラム
KR102607002B1 (ko) 시공사례 통계분석 기반 인테리어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KR102632677B1 (ko) 부동산 거래의 중개서비스를 위한 공인중개사와 사용자를 매칭시키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2989227A (zh) 一种感兴趣对象的目标地址选取的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