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775B1 - 조명 기구 고정용 브라켓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기구 고정용 브라켓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775B1
KR102606775B1 KR1020230035492A KR20230035492A KR102606775B1 KR 102606775 B1 KR102606775 B1 KR 102606775B1 KR 1020230035492 A KR1020230035492 A KR 1020230035492A KR 20230035492 A KR20230035492 A KR 20230035492A KR 102606775 B1 KR102606775 B1 KR 102606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upport
block
groove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5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웅
Original Assignee
최원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웅 filed Critical 최원웅
Priority to KR1020230035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7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7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1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 F21V21/042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4Resilient mountings, e.g. shock 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무실이나 가정 등의 실내 천정면에 설치되어 실내공간에 빛을 조사하여 실내공간의 조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현한 조명 기구 고정용 브라켓 장치에 관한 것으로, 천장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사각 각관 형태로 형성되며, 상측 개구부를 통해 상기 고정 브라켓이 내측으로 삽입된 뒤 상기 고정 브라켓에 체결되는 조명 케이싱; 상기 조명 케이싱의 일측 및 타측 개구부를 덮고 설치되는 측면 커버; 상기 조명 케이싱의 내부 공간을 상하 방향으로 분리시켜 주면서 상기 조명 케이싱의 내측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분리 격벽; 상기 분리 격벽의 상측에 설치되는 전원 공급 장치; 상기 분리 격벽의 상측과 상기 전원 공급 장치의 하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이격 설치되어 상기 전원 공급 장치를 지지하는 전원 지지부; 상기 분리 격벽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발광되어 상기 조명 케이싱의 하측 개구부를 통해 빛을 상기 조명 케이싱의 하방으로 조사하는 LED 조명판; 및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조명 케이싱의 하측 개구부를 덮고 설치되는 확산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명 기구 고정용 브라켓 장치{Bracket device for fixing lighting fixtures}
본 발명은 조명 기구 고정용 브라켓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무실이나 가정 등의 실내 천정면에 설치되어 실내공간에 빛을 조사하여 실내공간의 조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현한 조명 기구 고정용 브라켓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 천장면에는 내부 조명을 위해 천장등기구가 설치되며, 상기 천장 등기구는 사용자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면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램프가 점등되면서 실내를 조명하게 된다.
한편, 최근 LED의 제조 단가가 많이 떨어져 일반 전구와 비교시 가격 경쟁력이 있어 LED를 이용한 조명기구에 대한 수요가 증가 되는 추세에 있고, 또 LED 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을 도광판과 반사판과 확산판으로 이루어진 면광 발산부에 측면 조사하여, 면광 발산부에 측면 입사되는 빛을 면광 발산부의 저면으로 확산하여 발산하는 LED 등기구들이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 입사형 LED 등기구는, 측면 입사되는 빛을 저면으로 도광하여 확산하므로, 고휘도의 LED 램프에서 발산되는 빛이 실내공간으로 조사되지 아니하므로 눈부심이 방지될 뿐 아니라, LED 램프가 배치된 발광 패널이 상부에 적층되게 배치되지 아니하므로 두께가 얇은 슬림한 디자인의 연출이 가능한 특이성을 갖는다.
그리고, 최근에는 고휘도의 LED 램프가 보급됨에 따라 면광 발산부의 양측에 측면 발광패널을 배치하지 아니하고, 면광 발산부의 일측에만 발광패널을 배치하여 면광 발산부의 일측면으로만 빛을 입사하도록 한 일측 조사형의 LED 등기구의 보급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07788호 (2020.05.07. 공고)
본 발명의 일측면은 사무실이나 가정 등의 실내 천정면에 설치되어 실내공간에 빛을 조사하여 실내공간의 조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현한 조명 기구 고정용 브라켓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기구 고정용 브라켓 장치는, 천장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사각 각관 형태로 형성되며, 상측 개구부를 통해 상기 고정 브라켓이 내측으로 삽입된 뒤 상기 고정 브라켓에 체결되는 조명 케이싱; 상기 조명 케이싱의 일측 및 타측 개구부를 덮고 설치되는 측면 커버; 상기 조명 케이싱의 내부 공간을 상하 방향으로 분리시켜 주면서 상기 조명 케이싱의 내측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분리 격벽; 상기 분리 격벽의 상측에 설치되는 전원 공급 장치; 상기 분리 격벽의 상측과 상기 전원 공급 장치의 하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이격 설치되어 상기 전원 공급 장치를 지지하는 전원 지지부; 상기 분리 격벽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발광되어 상기 조명 케이싱의 하측 개구부를 통해 빛을 상기 조명 케이싱의 하방으로 조사하는 LED 조명판; 및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조명 케이싱의 하측 개구부를 덮고 설치되는 확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 지지부는, 상기 전원 공급 장치의 하측에 형성되는 유닛 상부 안착홈; 상기 유닛 상부 안착홈과 대향하면서 상기 분리 격벽의 상측에 형성되는 유닛 하부 안착홈; 및 상부 및 하부가 상기 유닛 상부 안착홈 및 상기 유닛 하부 안착홈에 각각 안착되어 상기 전원 공급 장치를 상기 분리 격벽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시켜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단열 완충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열 완충 유닛은, 상기 유닛 상부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전원 공급 장치를 지지하는 제1 지지 유닛;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상하 방향으로의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닛 하부 안착홈에 안착되는 제2 지지 유닛; 및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상기 제2 지지 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상기 제2 지지 유닛 사이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상기 제2 지지 유닛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완충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 유닛은, 상기 완충 유닛의 상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유닛 상부 안착홈의 내측면에 밀착 배치되는 상단 지지 블록;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상부에 형성되는 컨베이어 설치홈의 전단에 설치되는 전단 거치 롤러와 후단에 상기 컨베이어 설치홈의 후단에 설치되는 후단 거치 롤러에 전단 및 후단의 각 내향면이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부가 상기 컨베이어 설치홈으로부터 노출되어 상측 외향면이 상기 유닛 상부 안착홈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이 전후 방향으로 수평 이동함에 따라 회전 구동되는 지지 컨베이어 벨트;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전단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전진 이동에 따른 상기 지지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전방으로 노출되어 상기 유닛 상부 안착홈의 전단에 밀착되어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전진 이동을 제동시켜 주는 전진 이동 제동부; 및 상기 전진 이동 제동부와 전후 방향으로의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후단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후진 이동에 따른 상기 지지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후방으로 노출되어 상기 유닛 상부 안착홈의 후단에 밀착되어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후진 이동을 제동시켜 주는 후진 이동 제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진 이동 제동부는,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전단 내측에 안착되는 밀착 플레이트; 상기 밀착 플레이트의 후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후단홈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는 수평 완충 스프링; 및 상기 수평 완충 스프링에 의해 전단이 지지되어 상기 후단홈에 삽입 안착되며, 후단이 상기 지지 컨베이어 벨트의 하측 외향면에 설치되며,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전진 이동에 따른 상기 지지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 구동에 의해 전진 이동되어 상기 밀착 플레이트를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전방으로 노출시켜 주는 전진 이동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 유닛은,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대향하면서 상기 제1 지지 유닛의 하측에 설치되며, 하측을 따라 다수 개의 사각 기둥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상부 유닛 바디; 상기 제2 지지 유닛과 대향하면서 상기 제2 지지 유닛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사각 기둥이 삽입 안착될 수 있도록 상측을 따라 다수 개의 블록 안착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함몰 형성되는 하부 유닛 바디; 상기 블록 안착홈의 각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블록 안착홈에 안착되는 상기 사각 기둥의 하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사각 기둥으로부터 전달되는 상하 수직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수직 완충 탄성체; 상기 상부 유닛 바디의 상부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유닛의 전단 및 후단을 지지하는 두 개의 회동형 상단 지지부; 및 상기 회동형 상단 지지부과 상하 방향으로의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유닛 바디의 하부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2 지지 유닛의 전단 및 후단을 지지하는 두 개의 회동형 하단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동형 상단 지지부는, 상기 상부 유닛 바디의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상부 유닛 바디의 상부에서 하측으로 둥근 반달형으로 함몰 형성되는 블록 회전홈; 상기 블록 회전홈의 형상에 대응하는 하측으로 둥근 반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블록 회전홈에 회동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반달형 블록; 하부가 상기 블록 회전홈으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반달형 블록의 상부에 함몰 형성되는 기둥 안착홈에 안착되고, 상단이 상기 제1 지지 유닛의 저면을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저면 슬라이딩홈에 전후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유닛을 지지하는 연결 기둥; 및 상기 기둥 안착홈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기둥 안착홈에 안착되는 상기 연결 기둥의 하단을 지지하는 블록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반달형 블록은, 상기 블록 회전홈의 형상에 대응하는 하측으로 둥근 반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블록 회전홈에 회동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블록 바디; 상기 블록 바디의 하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블록 회전홈의 하단에 형성되는 날개 안착홈에 안착되는 지지 날개; 상기 날개 안착홈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날개 안착홈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지지 날개의 전단을 지지하는 제1 날개 지지 스프링; 상기 날개 안착홈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날개 안착홈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지지 날개의 후단을 지지하는 제2 날개 지지 스프링; 및 상기 블록 바디의 일측 및 타측의 곡면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블록 회전홈의 일측 및 타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회동 유도홈에 안착되어 상기 블록 회전홈에서 상기 블록 바디의 회동을 유도하는 회동 유도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 기둥은, 상단 일측 및 타측에 상기 저면 슬라이딩홈의 일측 및 타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 유도홈에 안착되어 상기 저면 슬라이딩홈으로부터의 분리를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저면 슬라이딩홈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 날개가 각각 형성되고, 지지되고 있는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이 움직임에 따라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상기 유도 날개가 형성되는 상부가 회동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 바디는, 상부에 상기 기둥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블록 회전홈의 일측 및 타측의 중심축 위치에 형성되는 축 결합홈에 체결될 수 있도록 일측 및 타측의 중심축 위치에 회전을 위한 회전축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사무실이나 가정 등의 실내 천정면에 설치되어 실내공간에 빛을 조사하여 실내공간의 조도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기구 고정용 브라켓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3은 도 1의 단열 완충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지지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전진 이동 제동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회동형 상단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반달형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기구 고정용 브라켓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기구 고정용 브라켓 장치(10)는, 고정 브라켓(100), 조명 케이싱(150), 측면 커버(200), 분리 격벽(250), 전원 공급 장치(300), 전원 지지부(350), LED 조명판(400) 및 확산판(450)을 포함한다.
고정 브라켓(100)은, 천장면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 및 타측 외향면을 따라 조명 케이싱(150)의 일측 및 타측 내향면을 따라 설치되는 체결 돌기(151)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홈(110)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조명 케이싱(150)은,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사각 각관 형태로 형성되며, 상측 개구부를 통해 고정 브라켓(100)이 내측으로 삽입된 뒤 고정 브라켓(100)에 체결된다.
측면 커버(200)는, 조명 케이싱(150)의 일측 및 타측 개구부를 덮고 설치된다.
도 2에서는, 조명 케이싱(150)의 일측 단부에 측면 커버(200)이 설치되는 것만을 도시하였으나, 반대면에도 역시 동일한 구성의 측면 커버(200)가 설치되어 조명 케이싱(150)의 개구부를 밀폐시켜 줄 수 있다.
분리 격벽(250)은, 조명 케이싱(150)의 내부 공간을 상하 방향으로 분리시켜 주면서 조명 케이싱(150)의 내측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전원 공급 장치(300)는, 분리 격벽(250)의 상측에 설치되며, 스위칭 온되면 LED 조명판(400)으로 전기를 공급한다.
전원 지지부(350)는, 분리 격벽(250)의 상측과 전원 공급 장치(300)의 하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이격 설치되어 전원 공급 장치(300)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원 지지부(350)는, 유닛 상부 안착홈(351), 유닛 하부 안착홈(352) 및 단열 완충 유닛(600)을 포함할 수 있다.
유닛 상부 안착홈(351)은, 단열 완충 유닛(600)의 상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유닛 하부 안착홈(352)과 대향하면서 전원 공급 장치(300)의 하측에 형성된다.
유닛 하부 안착홈(352)은, 단열 완충 유닛(600)의 하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유닛 상부 안착홈(351)과 대향하면서 분리 격벽(250)의 상측에 형성된다.
단열 완충 유닛(600)은, 상부 및 하부가 유닛 상부 안착홈(351) 및 유닛 하부 안착홈(352)에 각각 안착되어 전원 공급 장치(300)를 분리 격벽(250)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시켜 지지하여 전원 공급 장치(300)에서 발생되는 열이 분리 격벽(250)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켜 주는 동시에 전원 공급 장치(30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LED 조명판(400)은, 분리 격벽(250)의 하측에 설치되며, 전원 공급 장치(30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발광되어 조명 케이싱(150)의 하측 개구부를 통해 빛을 조명 케이싱(150)의 하방으로 조사한다.
확산판(450)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되어 조명 케이싱(150)의 하측 개구부를 덮고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기구 고정용 브라켓 장치(10)는, 전원 공급 장치(300)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열이 LED 조명판(400)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켜 LED 조명판(400)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줌은 물론, 사무실이나 가정 등의 실내 천정면에 설치되어 실내공간에 빛을 조사하여 실내공간의 조도를 확보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단열 완충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열 완충 유닛(600)는, 제1 지지 유닛(610), 제2 지지 유닛(620) 및 완충 유닛(630)을 포함한다.
제1 지지 유닛(610)은, 완충 유닛(630)의 상측에 설치되어 유닛 상부 안착홈(351)에 안착되어 전원 공급 장치(300)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 유닛(610)은, 상단 지지 블록(611), 지지 컨베이어 벨트(612), 전진 이동 제동부(613) 및 후진 이동 제동부(6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 지지 블록(611)은, 완충 유닛(630)의 상측에 연결 설치되어 유닛 상부 안착홈(351)의 내측면에 밀착 배치되며, 지지 컨베이어 벨트(612), 전진 이동 제동부(613) 및 후진 이동 제동부(614)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지지 컨베이어 벨트(612)는, 상단 지지 블록(611)의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단 지지 블록(611)의 상부에 형성되는 컨베이어 설치홈(611a)의 전단에 설치되는 전단 거치 롤러(R1)와 후단에 컨베이어 설치홈(611a)의 후단에 설치되는 후단 거치 롤러에(R2) 전단 및 후단의 각 내향면이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부가 컨베이어 설치홈(611a)으로부터 노출되어 상측 외향면이 유닛 상부 안착홈(351)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단 지지 블록(611)이 전후 방향으로 수평 이동함에 따라 회전 구동되어 전진 이동 제동부(613) 및 후진 이동 제동부(614)를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켜 준다.
즉, 상단 지지 블록(611)가 전진 이동함에 따라 지지 컨베이어 벨트(612)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전진 이동 제동부(613)가 상단 지지 블록(611)으로부터 노출되는 방향으로 전진 이동시켜 주고, 반대로 상단 지지 블록(611)가 후진 이동함에 따라 지지 컨베이어 벨트(612)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후진 이동 제동부(614)가 상단 지지 블록(611)으로부터 노출되는 방향으로 후진 이동시켜 주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컨베이어 벨트(6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외향면을 따라 피밀착물과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줄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못 형상의 스파이크(612a)가 반복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전진 이동 제동부(613)는, 후진 이동 제동부(614)와 전후 방향으로의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단 지지 블록(611)의 전단 내측에 설치되며, 상단 지지 블록(611)의 전진 이동에 따른 지지 컨베이어 벨트(612)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상단 지지 블록(611)의 전방으로 노출되어 유닛 상부 안착홈(351)의 전단에 밀착되어 상단 지지 블록(611)의 전진 이동을 제동시켜 준다.
후진 이동 제동부(614)는, 전진 이동 제동부(613)와 전후 방향으로의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단 지지 블록(611)의 후단 내측에 설치되며, 상단 지지 블록(611)의 후진 이동에 따른 지지 컨베이어 벨트(612)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상단 지지 블록(611)의 후방으로 노출되어 유닛 상부 안착홈(351)의 후단에 밀착되어 상단 지지 블록(611)의 후진 이동을 제동시켜 준다.
제2 지지 유닛(620)은, 완충 유닛(630)의 하측에 설치되어 제1 지지 유닛(610)과 상하 방향으로의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며, 유닛 상부 안착홈(351)과 대향하면서 형성되는 유닛 하부 안착홈(352)에 안착된다.
여기서, 제2 지지 유닛(620)은, 상술한 제1 지지 유닛(610)과 상하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서, 제1 지지 유닛(610)의 상단 지지 블록(611), 지지 컨베이어 벨트(612), 전진 이동 제동부(613) 및 후진 이동 제동부(614)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완충 유닛(630)은, 제1 지지 유닛(610)과 제2 지지 유닛(620)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지지 유닛(610)과 제2 지지 유닛(620) 사이를 지지하는 동시에 제1 지지 유닛(610)과 제2 지지 유닛(620)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완충 유닛(630)은, 상부 유닛 바디(631), 하부 유닛 바디(632), 수직 완충 탄성체(633), 두 개의 회동형 상단 지지부(700) 및 두 개의 회동형 하단 지지부(634)를 포함한다.
상부 유닛 바디(631)는, 제1 지지 유닛(610)과 대향하면서 제1 지지 유닛(610)의 하측에 설치되며, 하측을 따라 다수 개의 사각 기둥(6311)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어 하부 유닛 바디(632)의 상측에 설치된다.
하부 유닛 바디(632)는, 제2 지지 유닛(620)과 대향하면서 제2 지지 유닛(620)의 상측에 설치되며, 사각 기둥(6311)이 삽입 안착될 수 있도록 상측을 따라 다수 개의 블록 안착홈(6321)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함몰 형성된다.
수직 완충 탄성체(633)는, 블록 안착홈(6321)의 각 내측에 설치되어 블록 안착홈(6321)에 안착되는 사각 기둥(6311)의 하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사각 기둥(6311)으로부터 전달되는 상하 수직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두 개의 회동형 상단 지지부(700)는, 상부 유닛 바디(631)의 상부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설치되어 제1 지지 유닛(610)의 전단 및 후단을 지지한다.
두 개의 회동형 하단 지지부(634)는, 회동형 상단 지지부(700)과 상하 방향으로의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부 유닛 바디(631)의 하부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설치되어 제2 지지 유닛(620)의 전단 및 후단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단열 완충 유닛(600)는, 전원 공급 장치(300)를 분리 격벽(250)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시켜 지지하여 전원 공급 장치(300)에서 발생되는 열이 분리 격벽(250)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켜 주는 동시에 전원 공급 장치(30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단열 완충 유닛(600)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전진 이동 제동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진 이동 제동부(613)는, 밀착 플레이트(6131), 수평 완충 스프링(6132) 및 전진 이동 프레임(6133)을 포함한다.
여기서, 후진 이동 제동부(614)는, 후술하는 전진 이동 제동부(613)와 전후 방향으로의 대칭 구조의 동일한 구성으로서, 전진 이동 제동부(613)의 밀착 플레이트(6131), 수평 완충 스프링(6132) 및 전진 이동 프레임(6133)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밀착 플레이트(6131)는, 전진 이동 프레임(6133)에 의해 지지되어 상단 지지 블록(611)의 전단 내측에 안착된다.
수평 완충 스프링(6132)은, 밀착 플레이트(6131)의 후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후단홈(6131a)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어 전진 이동 프레임(6133)을 지지하는 동시에 밀착 플레이트(6131)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전진 이동 프레임(6133)은, 수평 완충 스프링(6132)에 의해 전단이 지지되어 후단홈(6131a)에 삽입 안착되며, 후단이 지지 컨베이어 벨트(612)의 하측 외향면에 설치되며, 상단 지지 블록(611)의 전진 이동에 따른 지지 컨베이어 벨트(612)의 회전 구동에 의해 전진 이동되어 밀착 플레이트(6131)를 상단 지지 블록(611)의 전방으로 노출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진 이동 제동부(613)는, 상단 지지 블록(611)으로 수평 방향으로의 진동 또는 충격 등의 외력이 전달되는 경우 지지 컨베이어 벨트(612)에 의해 구동되어 상단 지지 블록(611)으로부터 전방으로 노출됨에 따라 상단 지지 블록(611)이 전진되는 것을 제동하는 한편 상단 지지 블록(611)으로 전달되는 수평 방향으로 진동 또는 충격 등의 외력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회동형 상단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회동형 상단 지지부(700)는, 블록 회전홈(710), 반달형 블록(720), 연결 기둥(730) 및 블록 지지 스프링(740)을 포함한다.
여기서, 회동형 하단 지지부(634)는, 후술하는 회동형 상단 지지부(700)와 상하 대칭구조로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회동형 상단 지지부(700)의 블록 회전홈(710), 반달형 블록(720), 연결 기둥(730) 및 블록 지지 스프링(740) 등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블록 회전홈(7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달형 블록(720)이 안착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상부 유닛 바디(631)의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부 유닛 바디(631)의 상부에서 하측으로 둥근 반달형으로 함몰 형성된다.
반달형 블록(720)은, 블록 회전홈(710)의 형상에 대응하는 하측으로 둥근 반달 형상으로 형성되어 블록 회전홈(7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안착된다.
연결 기둥(730)은, 하부가 블록 회전홈(710)으로부터 노출되는 반달형 블록(720)의 상부에 함몰 형성되는 기둥 안착홈(7211)에 안착되고, 상단이 제1 지지 유닛(610)의 저면을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저면 슬라이딩홈(611b)에 전후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지지 유닛(610)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 기둥(730)은, 상단 일측 및 타측에 저면 슬라이딩홈(611b)의 일측 및 타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 유도홈(611c)에 안착되어 저면 슬라이딩홈(611b)으로부터의 분리를 방지하는 동시에 저면 슬라이딩홈(611b)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 날개(731)가 각각 형성되고, 지지되고 있는 상단 지지 블록(611)이 움직임에 따라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유도 날개(731)가 형성되는 상부(732)가 회동축(732a)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블록 지지 스프링(740)은, 기둥 안착홈(7211)의 내측에 설치되어 기둥 안착홈(7211)에 안착되는 연결 기둥(730)의 하단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회동형 상단 지지부(700)는, 상단 지지 블록(611)이 수평을 유지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상단 지지 블록(611)이 기울어져 경사지는 경우에도 상단 지지 블록(611)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단 지지 블록(611)으로부터 전달되는 수직 방향으로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반달형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반달형 블록(720)은, 블록 바디(721), 지지 날개(722), 제1 날개 지지 스프링(723), 제2 날개 지지 스프링(724) 및 회동 유도 날개(725)를 포함한다.
블록 바디(721)는, 블록 회전홈(710)의 형상에 대응하는 하측으로 둥근 반달 형상으로 형성되어 블록 회전홈(7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안착되며, 지지 날개(722), 제1 날개 지지 스프링(723), 제2 날개 지지 스프링(724) 및 회동 유도 날개(725)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블록 바디(721)는, 상부에 기둥 안착홈(7211)이 형성되며, 블록 회전홈(710)의 일측 및 타측의 중심축 위치에 형성되는 축 결합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체결될 수 있도록 일측 및 타측의 중심축 위치에 회전을 위한 회전축(7212)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날개(722)는, 블록 바디(721)의 하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제1 날개 지지 스프링(723)과 제2 날개 지지 스프링(724)에 의해 지지되어 블록 회전홈(710)의 하단에 형성되는 날개 안착홈(711)에 안착된다.
제1 날개 지지 스프링(723)은, 날개 안착홈(711)의 전단에 설치되어 날개 안착홈(711)에 안착되어 있는 지지 날개(722)의 전단을 지지한다.
제2 날개 지지 스프링(724)은, 날개 안착홈(711)의 후단에 설치되어 날개 안착홈(711)에 안착되어 있는 지지 날개(722)의 후단을 지지한다.
회동 유도 날개(725)는, 블록 바디(721)의 일측 및 타측의 곡면을 따라 설치되며, 블록 회전홈(710)의 일측 및 타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회동 유도홈(712)에 안착되어 블록 회전홈(710)에서 블록 바디(721)의 회동을 유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반달형 블록(720)은, 블록 회전홈(7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록 회전홈(710)에서의 회전 과정에서 연결 기둥(73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역시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줄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조명 기구 고정용 브라켓 장치
100: 고정 브라켓
200: 조명 케이싱
250: 분리 격벽
300: 전원 공급 장치
350: 전원 지지부
400: LED 조명판
450: 확산판

Claims (7)

  1. 천장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사각 각관 형태로 형성되며, 상측 개구부를 통해 상기 고정 브라켓이 내측으로 삽입된 뒤 상기 고정 브라켓에 체결되는 조명 케이싱;
    상기 조명 케이싱의 일측 및 타측 개구부를 덮고 설치되는 측면 커버;
    상기 조명 케이싱의 내부 공간을 상하 방향으로 분리시켜 주면서 상기 조명 케이싱의 내측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분리 격벽;
    상기 분리 격벽의 상측에 설치되는 전원 공급 장치;
    상기 분리 격벽의 상측과 상기 전원 공급 장치의 하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이격 설치되어 상기 전원 공급 장치를 지지하는 전원 지지부;
    상기 분리 격벽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발광되어 상기 조명 케이싱의 하측 개구부를 통해 빛을 상기 조명 케이싱의 하방으로 조사하는 LED 조명판; 및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조명 케이싱의 하측 개구부를 덮고 설치되는 확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 지지부는,
    상기 전원 공급 장치의 하측에 형성되는 유닛 상부 안착홈;
    상기 유닛 상부 안착홈과 대향하면서 상기 분리 격벽의 상측에 형성되는 유닛 하부 안착홈; 및
    상부 및 하부가 상기 유닛 상부 안착홈 및 상기 유닛 하부 안착홈에 각각 안착되어 상기 전원 공급 장치를 상기 분리 격벽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시켜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단열 완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 완충 유닛은,
    상기 유닛 상부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전원 공급 장치를 지지하는 제1 지지 유닛;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상하 방향으로의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닛 하부 안착홈에 안착되는 제2 지지 유닛; 및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상기 제2 지지 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상기 제2 지지 유닛 사이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상기 제2 지지 유닛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완충 유닛;을 포함하는, 조명 기구 고정용 브라켓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유닛은,
    상기 완충 유닛의 상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유닛 상부 안착홈의 내측면에 밀착 배치되는 상단 지지 블록;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상부에 형성되는 컨베이어 설치홈의 전단에 설치되는 전단 거치 롤러와 후단에 상기 컨베이어 설치홈의 후단에 설치되는 후단 거치 롤러에 전단 및 후단의 각 내향면이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부가 상기 컨베이어 설치홈으로부터 노출되어 상측 외향면이 상기 유닛 상부 안착홈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이 전후 방향으로 수평 이동함에 따라 회전 구동되는 지지 컨베이어 벨트;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전단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전진 이동에 따른 상기 지지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전방으로 노출되어 상기 유닛 상부 안착홈의 전단에 밀착되어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전진 이동을 제동시켜 주는 전진 이동 제동부; 및
    상기 전진 이동 제동부와 전후 방향으로의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후단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후진 이동에 따른 상기 지지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후방으로 노출되어 상기 유닛 상부 안착홈의 후단에 밀착되어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후진 이동을 제동시켜 주는 후진 이동 제동부;를 포함하는, 조명 기구 고정용 브라켓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진 이동 제동부는,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전단 내측에 안착되는 밀착 플레이트;
    상기 밀착 플레이트의 후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후단홈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는 수평 완충 스프링; 및
    상기 수평 완충 스프링에 의해 전단이 지지되어 상기 후단홈에 삽입 안착되며, 후단이 상기 지지 컨베이어 벨트의 하측 외향면에 설치되며,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전진 이동에 따른 상기 지지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 구동에 의해 전진 이동되어 상기 밀착 플레이트를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전방으로 노출시켜 주는 전진 이동 프레임;을 포함하는, 조명 기구 고정용 브라켓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유닛은,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대향하면서 상기 제1 지지 유닛의 하측에 설치되며, 하측을 따라 다수 개의 사각 기둥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상부 유닛 바디;
    상기 제2 지지 유닛과 대향하면서 상기 제2 지지 유닛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사각 기둥이 삽입 안착될 수 있도록 상측을 따라 다수 개의 블록 안착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함몰 형성되는 하부 유닛 바디;
    상기 블록 안착홈의 각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블록 안착홈에 안착되는 상기 사각 기둥의 하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사각 기둥으로부터 전달되는 상하 수직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수직 완충 탄성체;
    상기 상부 유닛 바디의 상부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유닛의 전단 및 후단을 지지하는 두 개의 회동형 상단 지지부; 및
    상기 회동형 상단 지지부과 상하 방향으로의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유닛 바디의 하부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2 지지 유닛의 전단 및 후단을 지지하는 두 개의 회동형 하단 지지부;를 포함하는, 조명 기구 고정용 브라켓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형 상단 지지부는,
    상기 상부 유닛 바디의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상부 유닛 바디의 상부에서 하측으로 둥근 반달형으로 함몰 형성되는 블록 회전홈;
    상기 블록 회전홈의 형상에 대응하는 하측으로 둥근 반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블록 회전홈에 회동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반달형 블록;
    하부가 상기 블록 회전홈으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반달형 블록의 상부에 함몰 형성되는 기둥 안착홈에 안착되고, 상단이 상기 제1 지지 유닛의 저면을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저면 슬라이딩홈에 전후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유닛을 지지하는 연결 기둥; 및
    상기 기둥 안착홈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기둥 안착홈에 안착되는 상기 연결 기둥의 하단을 지지하는 블록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는, 조명 기구 고정용 브라켓 장치.
KR1020230035492A 2023-03-17 2023-03-17 조명 기구 고정용 브라켓 장치 KR102606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5492A KR102606775B1 (ko) 2023-03-17 2023-03-17 조명 기구 고정용 브라켓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5492A KR102606775B1 (ko) 2023-03-17 2023-03-17 조명 기구 고정용 브라켓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6775B1 true KR102606775B1 (ko) 2023-11-24

Family

ID=88972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5492A KR102606775B1 (ko) 2023-03-17 2023-03-17 조명 기구 고정용 브라켓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677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439B1 (ko) * 2013-07-26 2013-10-28 (주)일루엔 탈부착이 용이한 배선관로 조명장치
KR101544736B1 (ko) * 2014-11-19 2015-08-17 새빛이앤엘 주식회사 엘이디 조명기구 조립체
CN110071447A (zh) * 2019-05-28 2019-07-30 长城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可拆卸式方便维修的配电柜
KR102107788B1 (ko) 2020-03-30 2020-05-07 주식회사 시우라이팅 Led 등기구
KR20200001861U (ko) * 2019-02-13 2020-08-21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바형 led 조명등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439B1 (ko) * 2013-07-26 2013-10-28 (주)일루엔 탈부착이 용이한 배선관로 조명장치
KR101544736B1 (ko) * 2014-11-19 2015-08-17 새빛이앤엘 주식회사 엘이디 조명기구 조립체
KR20200001861U (ko) * 2019-02-13 2020-08-21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바형 led 조명등
CN110071447A (zh) * 2019-05-28 2019-07-30 长城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可拆卸式方便维修的配电柜
KR102107788B1 (ko) 2020-03-30 2020-05-07 주식회사 시우라이팅 Led 등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2264B1 (en) 2×2 dawn light volumetric fixture
JP5198278B2 (ja) Ledを有する照明器具
KR100945275B1 (ko) 천장 매입형 조명 장치
JP5921649B2 (ja) 照明装置
CN205807087U (zh) 一种教室灯
KR102606775B1 (ko) 조명 기구 고정용 브라켓 장치
JP5357671B2 (ja) 照明装置
JP6206753B2 (ja) 照明システム
JP2010192388A (ja) 照明器具
KR100986782B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평판조명장치
KR101070884B1 (ko) 엘이디 조명장치 구조물
US10901137B2 (en) Lighting fixture
JP2011148406A (ja) 車輌用照明器具
KR100903511B1 (ko) 무대 조명용 서치 라이트
CN103388802A (zh) 嵌入式灯具及其卡簧结构
KR102333645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엘이디조명시스템
JP4931520B2 (ja) 棚装置
KR20180000988A (ko) 엘이디 조명장치
JP2006103631A (ja) 車両の棚下空間用照明装置
CN208546822U (zh) 一种透光性好的防震投光灯
US8702268B1 (en) 2×4 dawn light volumetric fixture
US10976036B2 (en) Rotatable linear downlight
CN213630108U (zh) 一种具有防护功能的灯具
KR101423885B1 (ko) 엘이디 조명장치가 구비된 파티션
JP2012113902A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