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437B1 - Mounting bracked to prevent members from separation - Google Patents

Mounting bracked to prevent members from separ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437B1
KR102606437B1 KR1020210194198A KR20210194198A KR102606437B1 KR 102606437 B1 KR102606437 B1 KR 102606437B1 KR 1020210194198 A KR1020210194198 A KR 1020210194198A KR 20210194198 A KR20210194198 A KR 20210194198A KR 102606437 B1 KR102606437 B1 KR 102606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member
rear cross
bush assembly
vehicle body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41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04438A (en
Inventor
공희상
Original Assignee
서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4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437B1/en
Publication of KR20230104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44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437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62D21/155Sub-frames or under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6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5Mounting of sub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 형태로 이루어지는 리어 크로스 멤버의 양쪽 끝단부위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에 결합된 결합부로부터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갖는 브라켓 본체; 상기 브라켓 본체의 결합부 및 연장부의 말단을 연직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용접되고, 차체 마운팅 너트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이 형성되는 부시 어셈블리; 상기 결합부 측 부시 어셈블리의 하단에 체결되는 제1 하단 스토퍼; 상기 연장부의 말단 측 부시 어셈블리의 하단에 체결되고, 어느 일측이 더 연장되어 그 말단부에 나사결합수단이 형성되는 제2 하단 스토퍼;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와 평행설치되어, 상기 제2 하단 스토퍼에 형성된 나사결합수단과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양측으로 배치된 각각의 브라켓 본체를 체결시키는 강성바; 및 상기 차체 마운팅 너트의 끝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강성바 체결을 위한 별도의 브라켓을 용접할 필요없이 리어 크로스 멤버의 강성을 보조적으로 확보하면서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NVH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cket body each coupled to both ends of a bar-shaped rear cross member and having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rear cross memb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ar cross member; a bush assembly welded while penetrating the end of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extension portion of the bracket body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n insertion hole for inserting a vehicle body mounting nut; a first lower stopper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portion side bush assembly; a second lower stopper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bush assembly at the distal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one side of which is further extended to form a screw coupling means at the distal end thereof; Each bracket body has a length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ar cross member, is installed parallel to the rear cross member, is screwed together with a screw engaging means formed on the second lower stopper, and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ear cross member. A rigid bar for fastening; and a fastening bolt fastened to the end of the car body mounting nut to secure the rear cross member to the car body, thereby supporting the rigidity of the rear cross member without the need to weld a separate bracket for fastening the rigid bar. It is possible to prevent departure while securing , and thus,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NVH performance.

Description

멤버 이탈방지용 마운팅 브라켓{MOUNTING BRACKED TO PREVENT MEMBERS FROM SEPARATION}Mounting bracket to prevent member separation {MOUNTING BRACKED TO PREVENT MEMBERS FROM SEPARATION}

본 발명은 멤버 이탈방지를 위해 부시 어셈블리의 하단에 설치되는 하단 스토퍼의 구조 변경을 통해 강성바가 하단 스토퍼에 비용접식으로 체결가능하도록 구성하여 강성바 체결을 위한 별도의 브라켓을 용접할 필요없이 멤버의 강성을 보조적으로 확보하면서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NVH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멤버 이탈방지용 마운팅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structure of the bottom stopper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bush assembly to prevent member separation so that the rigid bar can be fastened to the bottom stopper in a non-welding manner, so that the member can be fastened without the need to weld a separate bracket for fastening the rigid bar. This relates to a mounting bracket for preventing member separation that can prevent separation while additionally securing rigidity, thereby improving NVH performance.

일반적으로, 승용 차량은 현가 장치(suspension)의 하중이 집중되는 부분에 크로스 멤버를 설치하는데, 이는 현가 장치의 많은 부품들을 지지하면서 차체로 전달되는 횡 방향 하중을 감당하게 된다.Generally, a cross member is installed in a portion of the suspension where the load is concentrated in a passenger vehicle. This supports many parts of the suspension and handles the lateral load transmitted to the vehicle body.

여기서, 크로스 멤버는 통상, 차량의 전방 부위로 프런트 크로스 멤버를 설치하고, 차량의 후방 부위로도 리어 크로스 멤버를 설치해주게 된다.Here, as for the cross member, the front cross member is usually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the rear cross member is also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이러한 크로스 멤버는 통상적으로, 차체의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멤버부재들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용접되어 내부 폐 공간을 형성하면서, 볼트와 너트 및 고무 부시로 이루어진 마운팅 부시 구조를 이용하여 차체쪽으로 체결되어진다.Such a cross member is typically made by welding member members that extend lo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r body overlapping each other to form an internal closed space, and is fastened to the car body using a mounting bush structure made of bolts, nuts, and rubber bushes. Lose.

이와 같은, 크로스 멤버 중 리어 크로스 멤버는 차체에 조립 시, 부시가 처지는 것을 막아주며 부시를 지지하여 차체의 흔들림을 개선하도록 마운팅 부시의 하단에 별도의 스토퍼를 조립하게 된다.When the rear cross member among the cross members is assembled to the car body, a separate stopper is assembled at the bottom of the mounting bush to prevent the bush from sagging and to support the bush and improve shaking of the car body.

하지만, 이러한 스토퍼의 추가는 마운팅 부시를 구성하는 부품수 증가로 관리비가 증가함은 물론, 추가된 부품으로 인한 조립 공수도 늘어나는 불편이 있게 된다.However, the addition of such a stopper not only increases maintenance costs due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ts constituting the mounting bush, but also causes the inconvenience of increasing assembly man-hours due to the added parts.

종래 마운팅 부시의 마운팅 부시 어셈블리는 리어 크로스 멤버의 양 끝단에 용접 결합되며, 마운팅 부시 어셈블리의 하단으로 하단 스토퍼가 위치하여 체결볼트에 의해 고정된다.The mounting bush assembly of the conventional mounting bush is welded to both ends of the rear cross member, and a lower stopper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mounting bush assembly and fixed by a fastening bolt.

이때, 마운팅 부시구조의 체결방법은 먼저, 리어 크로스 멤버 끝단에 결합된 마운팅 부시의 마운팅 부시 어셈블리에 형성된 삽입홀에, 차체에 고정된 마운팅 너트를 삽입하게 된다. 그리고, 별도의 와셔 타입의 스토퍼를 차체 마운팅 너트에 삽입하고, 체결볼트에 의해 최종적으로 체결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method of fastening the mounting bush structure involves first inserting a mounting nut fixed to the vehicle body into an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mounting bush assembly of the mounting bush coupled to the end of the rear cross member. Then, a separate washer-type stopper is inserted into the car body mounting nut and finally fastened with a fastening bolt.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리어 크로스 멤버용 마운팅 부시 구조는 리어 크로스 멤버와 차체간 조립 공정시에 별도의 하단 스토퍼와 체결볼트를 동시에 삽입 및 체결하는 구조이므로, 작업자의 작업성이 불합리한 문제가 존재한다.However, since this type of mounting bush structure for the rear cross member is a structure in which separate lower stoppers and fastening bolts are simultaneously inserted and fastened during the assembly process between the rear cross member and the vehicle bod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perator's workability is unreasonable.

또한, 리어 크로스 멤버와 차체간 조립 공정시에 별도의 하단 스토퍼와 체결볼트를 동시에 삽입 및 체결하는 구조이므로, 조립시 하단 스토퍼를 누락하는 경우가 발생되어 A/S 발생도가 높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In addition, since it is a structure in which a separate lower stopper and fastening bolt are simultaneously inserted and fastened during the assembly process between the rear cross member and the vehicle bod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ower stopper is sometimes missing during assembly, resulting in a high after-sales service occurrence. .

예컨대, 하단 스토퍼를 누락하여 조립할 경우, 리어 크로스 멤버의 이탈로 인해 정상적인 차량 주행이 불가능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하단 스토퍼를 누락하지 않더라도, 강성부족으로 인한 NVH(noise, vibration, harshness) 성능(소음, 진동, 불쾌감을 저감시키는 성능)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브라켓을 리어 크로스 멤버 또는 리어 크로스 멤버와 근접한 차체에 용접하고, 이 브라켓에 강성바를 체결하게 되는데, 이는 결국 또 다른 다양한 문제를 수반한다.For example, if assembled with the lower stopper missing, there is a problem that normal driving of the vehicle may be impossible due to the separation of the rear cross member, and even if the lower stopper is not missing, NVH (noise, vibration, harshness) performance (noise, vibration, harshness) due to lack of rigidity In order to prevent deterioration in performance (reducing vibration, discomfort, etc.), a separate bracket is welded to the rear cross member or the car body close to the rear cross member, and a rigid bar is fastened to this bracket, which ultimately leads to various other problems. do.

상기 강성바 체결을 위한 별도의 브라켓 용접으로 수반되는 문제들로는 투자비, 원가, 중량 등의 상승, 용접부 부식에 의한 이탈, 용접을 위한 최소 공간확보 필요성 불가피, 용접 불량에 의한 제품 불량률 증가 우려 등이 있다.Problems associated with separate bracket welding for fastening the rigid bar include an increase in investment cost, cost, weight, etc., separation due to corrosion of the weld zone, the inevitable need to secure a minimum space for welding, and concerns about an increase in the product defect rate due to welding defects. .

따라서, 하단 스토퍼가 마운팅 부시 어셈블리에 용이하게 사전 조립될 수 있는 동시에, 하단 스토퍼를 활용한 비용접식의 강성바 체결구조를 달성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technology that can easily pre-assemble the lower stopper into the mounting bush assembly and achieve a non-welding rigid bar fastening structure using the lower stopper.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09-0051502호(발명의 명칭: 차량의 리어 크로스 멤버용 마운팅 부시 앗세이)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51502 (Title of invention: Mounting bush assembly for rear cross member of vehicle)

따라서, 본 발명은 멤버 이탈방지를 위해 부시 어셈블리의 하단에 설치되는 하단 스토퍼의 구조 변경을 통해 강성바가 하단 스토퍼에 비용접식으로 체결가능하도록 구성하여 강성바 체결을 위한 별도의 브라켓을 용접할 필요없이 멤버의 강성을 보조적으로 확보하면서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NVH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멤버 이탈방지용 마운팅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structure of the lower stopper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bush assembly to prevent member separation so that the rigid bar can be non-welded to the lower stopper without the need to weld a separate bracket for fastening the rigid bar.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ounting bracket for preventing member separation, which can prevent separation while auxiliary securing the rigidity of the member, and thus improve NVH performance.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It will be understandabl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 형태로 이루어지는 리어 크로스 멤버의 양쪽 끝단부위에 결합되면서 차체 마운팅 너트가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가 차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차체에 체결시키는 마운팅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양쪽 끝단부위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에 결합된 결합부로부터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갖는 브라켓 본체; 상기 브라켓 본체의 결합부 및 연장부의 말단을 연직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용접되고, 상기 차체 마운팅 너트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이 형성되는 부시 어셈블리; 상기 결합부 측 부시 어셈블리의 하단에 체결되는 제1 하단 스토퍼; 상기 연장부의 말단 측 부시 어셈블리의 하단에 체결되고, 어느 일측이 더 연장되어 그 말단부에 나사결합수단이 형성되는 제2 하단 스토퍼;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와 평행설치되어, 상기 제2 하단 스토퍼에 형성된 나사결합수단과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양측으로 배치된 각각의 브라켓 본체를 체결시키는 강성바; 및 상기 차체 마운팅 너트의 끝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를 상기 차체에 고정시키는 체결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rear cross member in the form of a bar is coupled to both ends and a car body mounting nut is inserted to prevent the rear cross memb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ar body. In the mounting bracket that is fastened to the vehicle body, the mounting bracket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rear cross member and extends from the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rear cross memb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ar cross member. a bracket body having a portion; a bush assembly welded while penetrating the end of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extension portion of the bracket body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n insertion hole for inserting the vehicle body mounting nut; a first lower stopper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portion side bush assembly; a second lower stopper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bush assembly at the distal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one side of which is further extended to form a screw coupling means at the distal end thereof; Each bracket body has a length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ar cross member, is installed parallel to the rear cross member, is screwed together with a screw engaging means formed on the second lower stopper, and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ear cross member. A rigid bar for fastening; And it may include a fastening bolt fastened to an end of the vehicle body mounting nut to secure the rear cross member to the vehicle body.

또한, 상기 부시 어셈블리는, 하단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키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2 하단 스토퍼는, 상기 키홈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상향 돌출 형성된 돌기부가 상기 키홈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부시 어셈블리의 하단에 체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sh assembly may have at least two or more keyway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nd the first and second lower stoppers may have protrusions protruding upward in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keyways and inserted into the keyway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and can be fastened to the bottom of the bush assembly.

또한, 상기 제1,2 하단 스토퍼는, 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어느 양단에는 하향 절곡된 꺾임부를 가질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and second lower stoppers may be plate-shaped, and may have downward bent portions at both ends.

또한, 상기 제1,2 하단 스토퍼는, 넓이가 상기 부시 어셈블리의 단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지고, 상기 돌기부 끝단에는 압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하단 스토퍼는, 상기 더 연장된 일측의 말단부를 포함한 일부가 상기 브라켓 본체에 대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lower stoppers have an area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ush assembly, press-fitting portions are formed at the ends of the protrusions, and a portion of the second lower stopper including the distal end of one of the more extended sides is formed. The bracket body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제1, 제2 하단 스토퍼는 부시 어셈블리의 삽입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홀이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는 홀 테두리에 구비되고, 상기 홀 테두리는 상향으로 만곡된 볼록부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lower stoppers have hole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holes of the bush assembly, the protrusions are provided on the edge of the hole, and the edge of the hole may be formed as a convex part curved upward.

본 발명에 따른 멤버 이탈방지용 마운팅 브라켓은, 리어 크로스 멤버 이탈방지를 위해 부시 어셈블리의 하단에 설치되는 하단 스토퍼의 구조 변경을 통해 강성바가 하단 스토퍼에 비용접식으로 체결가능하도록 구성하여 강성바 체결을 위한 별도의 브라켓을 용접할 필요없이 리어 크로스 멤버의 강성을 보조적으로 확보하면서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NVH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mounting bracket for preventing member s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rigid bar can be fastened to the lower stopper in a non-welding manner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lower stopper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bush assembly to prevent the rear cross member from falling away. It is possible to prevent separation while additionally securing the rigidity of the rear cross member without the need to weld a separate bracket, which has the effect of improving NVH performanc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체결볼트를 체결하기 전에 먼저 압입형으로 하단 스토퍼가 부시 어셈블리에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한 구성을 통해 조립공정상에서 작업성 향상 및 부품 누락에 의한 품질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별도로 구성된 기존의 하단 스토퍼를 부시 어셈블리에 사전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topper is easily mounted on the bush assembly using a press-fit type before tightening the fastening bolt,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and preventing quality problems due to missing parts during the assembly proces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xisting separately configured lower stopper can be pre-assembled into the bush assembly.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abov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You will be able to.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멤버 이탈방지용 마운팅 브라켓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제1,2 하단 스토퍼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따른 상기 제1 하단 스토퍼의 결합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에 따른 상기 제2 하단 스토퍼의 결합모습을 나타낸 도면.
Figure 1 is a plan view, side view, and bottom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unting bracket for preventing member sepa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first and second lower stoppers of the mounting bracket according to FIG. 1.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first lower stopper according to Figure 2.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assembly of the second lower stopper according to Figure 2.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by the examples described in the text. In other words, since the embodiments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forms,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that can realize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the purpose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must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s, s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limited thereby.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meaning of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also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Meanwhile,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and "directly neighboring"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refer to the specified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them. It is intended to specify the existence of a combination, and should be understood as not excluding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meaning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멤버 이탈방지용 마운팅 브라켓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제1,2 하단 스토퍼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따른 상기 제1 하단 스토퍼의 결합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 따른 상기 제2 하단 스토퍼의 결합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plan view, side view, and bottom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unting bracket for preventing member sepa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the first and second lower stoppers of the mounting bracket according to FIG. 1.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upled state of the first lower stopper according to FIG. 2, and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upled state of the second lower stopper according to FIG. 2.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멤버 이탈방지용 마운팅 브라켓(100)은 바 형태로 이루어지는 리어 크로스 멤버(10)의 양쪽 끝단부위에 결합되면서 차체 마운팅 너트(미도시)가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10)가 차체(미도시)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차체에 체결시키는 브라켓으로서, 브라켓 본체(110), 부시 어셈블리(120), 제1 하단 스토퍼(130), 제2 하단 스토퍼(140), 강성바(150) 및 체결볼트(16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mounting bracket 100 for preventing member s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ar-shaped rear cross member 10 and a vehicle body mounting nut (not shown) is inserted. As a bracket for fastening the rear cross member 10 to the vehicle body (not shown) so as to prevent i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vehicle body, the bracket body 110, the bush assembly 120, the first lower stopper 130, and the second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 bottom stopper 140, a rigid bar 150, and a fastening bolt 160.

상기 브라켓 본체(110)는 후술될 전체적인 구성들을 체결하여 지지하기 위한 별물로서,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10)의 양쪽 끝단부위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10)에 결합된 결합부(11)로부터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10)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2)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racket body 110 is a separate product for fastening and supporting the overall components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rear cross member 10, respectively, and includes a coupling portion 11 coupled to the rear cross member 10. ) is preferably configured to have an extension portion 12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ar cross member 10.

상기 부시 어셈블리(120)는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브라켓 본체(110)의 결합부(111) 및 연장부(112)의 말단을 연직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용접되고, 상기 차체 마운팅 너트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121)이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ush assembly 120 is welded while penetrating the end of the coupling portion 111 and the extension portion 112 of the bracket body 1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vehicle body mounting nut. A hole 121 is formed.

이러한 상기 부시 어셈블리(120)는 기본적으로 마운팅 부시 내철 파이프(미도시)와 마운팅 부시 외철 파이프(미도시)로 구성되고, 이러한 마운팅 부시 내철 파이프 및 마운팅 부시 외철 파이프 사이 공간에 고무 재질의 매스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통상적으로 게재된 일반적인 공지기술이므로,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bush assembly 120 is basically composed of a mounting bush inner iron pipe (not shown) and a mounting bush outer iron pipe (not shown), and a rubber mass is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the mounting bush inner pipe and the mounting bush outer iron pipe. This may be possible, but since this is a commonly published general known technology, the illustration is omitted, and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부시 어셈블리(120)는 더 바람직하게는, 하단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키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키홈은 부시 어셈블리(120)의 마운팅 부시 내철 파이프의 하단면 내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키홈의 폭과 너비는 후술될 제1,2 하단 스토퍼(130, 140)에 형성된 돌기부(131, 141)의 폭, 너비의 크기와 일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sh assembly 120 may more preferably have at least two keyways formed on its lower surface, and the keyways may b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iron pipe of the mounting bush of the bush assembly 120. , The width and width of the keyway may be configured to match the width and size of the protrusions 131 and 141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lower stoppers 130 and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1 하단 스토퍼(130)는 브라켓 본체(110)와 용접된 상기 부시 어셈블리(120)의 용접부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식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결합부(111) 측 부시 어셈블리(120)의 하단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lower stopper 130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welded portion of the bush assembly 120 welded to the bracket body 110 from being corroded and separated over time, and is a bush assembly on the coupling portion 111 side. It is preferable to be fastened to the bottom of (120).

상기 제2 하단 스토퍼(140)는 상기 제1 하단 스토퍼(13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면서 후술될 강성바(150)의 체결공간이 확보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연장부(112)의 말단 측 부시 어셈블리(120)의 하단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어느 일측이 더 연장되어 그 말단부에 나사결합수단(144)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lower stopper 140 is configured to secure a fastening space for the rigid bar 1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ile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as the first lower stopper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nsion portion 112 ) is preferably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bush assembly 120 on the distal side, and more preferably, one side may be further extended to form a screw coupling means 144 at the distal end.

상술한 제1,2 하단 스토퍼(130, 140)는 1회의 프레스 공정으로 제작되며, 기본적으로 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어느 양단에는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하향 절곡된 꺾임부(132, 142)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first and second lower stoppers (130, 140) are manufactured through a single press process, and can basically be formed in a plate shape, with bent portions (132, 142) bent downward to increase rigidity at both ends. It can be configured.

여기서, 상기 제1,2 하단 스토퍼(130, 140)의 꺾임부(132, 142)를 갖지 않는 타측 양단에는 내부로 삽입된 홈(부호 미표시)이 형성될 수 있다.Here, grooves (not indicated) inserted into the inside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ower stoppers 130 and 140 that do not have the bent portions 132 and 142.

또한, 상기 제1,2 하단 스토퍼(130, 140)는 넓이가 상기 부시 어셈블리(120)의 단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술한 부시 어셈블리(120)의 키홈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상향 돌출 형성된 돌기부(131, 141)가 상기 키홈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부시 어셈블리(120)의 하단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2하단 스토퍼(130, 140)에는 부시 어셈블리(120)의 삽입홀(121)과 대응되는 위치에 홀이 형성되며, 돌기부(131,141)는 홀 테두리에 구비되고, 제1, 제2하단 스토퍼(130, 140)의 홀 테두리는 상향으로 만곡된 볼록부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lower stoppers 130 and 140 are preferably made larger in area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ush assembly 120, and the protrusions are formed to protrude upward by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key grooves of the bush assembly 120 described above. (131, 141) may be inserted into the keyway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and fastened to the bottom of the bush assembly 120.
In addition, holes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lower stoppers 130 and 140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holes 121 of the bush assembly 120, and protrusions 131 and 141 are provided on the edge of the holes, and the first and second lower stoppers 130 and 140 2The hole edges of the lower stoppers 130 and 140 may be formed as upwardly curved convex portions.

이러한 상기 제1,2 하단 스토퍼(130, 140)의 돌기부(131, 141) 끝단에는 압입부(133, 14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술한 바와 같은 체결방식에 의해 부시타입의 리어 크로스 멤버(10)를 차량 조립 업체에 납품할 당시에 상기 제1,2 하단 스토퍼(130, 140)가 장착되어 있어 부품이 누락될 우려가 없으며, 차량 조립 업체에서 차체에 리어 크로스 멤버(10) 조립 공저시 기존 별도 구성된 제1 하단 스토퍼(130)의 관여없이 후술될 체결볼트(160)만으로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10)를 차체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It is preferable that press-fitting portions 133, 143 are formed at the ends of the protruding portions 131, 141 of the first and second lower stoppers 130, 140, and the bush-type rear cross member is secured by the fasten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When delivering (10) to a vehicle assembly company, the first and second lower stoppers (130, 140) are installed, so there is no risk of missing parts, and when the vehicle assembly company assembles the rear cross member (10) to the vehicle body, The rear cross member 10 can be fixed to the vehicle body only with the fastening bolt 1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out involvement of the existing separately configured first lower stopper 130.

한편, 상기 제2 하단 스토퍼(140)는 강성바(150)의 용이한 체결을 위해 상기 더 연장된 일측의 말단부를 포함한 일부가 상기 브라켓 본체(110)에 대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Meanwhile, a portion of the second lower stopper 140, including the distal end of one of the more extended sides,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with respect to the bracket body 110 for easy fastening of the rigid bar 150.

상기 강성바(150)는 리어 크로스 멤버(10)의 강성을 보조적으로 향상시키면서도 상기 부시 어셈블리(120)의 이탈을 보조적으로 방지하는 지지대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10)와 평행설치되어, 상기 제2 하단 스토퍼(140)에 형성된 나사결합수단(144)과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10)의 양측으로 배치된 각각의 브라켓 본체(110)를 체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rigidity bar 150 is a support that auxiliaryly improves the rigidity of the rear cross member 10 and also prevents the bush assembly 120 from being separat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cross member ( 10) has a length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stalled parallel to the rear cross member 10, and is screwed together with the screw engaging means 144 formed on the second lower stopper 140, thereby forming the rear cross member 10. It may be configured to fasten each bracket body 110 disposed on both sides.

이러한 상기 강성바(150)는 막대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금속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해당관련분야의 통상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공지의 강성을 갖는 보강재가 취급될 수 있다.The rigid bar 150 is preferably manufactured in the shape of a bar, and may be made of metal or aluminum allo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us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Reinforcements of known stiffness can be handled.

상기 체결볼트(160)는 리어 크로스 멤버(10)를 상기 차체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결합수단으로서, 차체 마운팅 너트의 끝단부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astening bolt 160 is a coupling means that performs the function of fixing the rear cross member 10 to the vehicle body, and is preferably fastened to the end of the vehicle body mounting nut.

따라서, 본 발명의 멤버 이탈방지용 마운팅 브라켓(100)은 리어 크로스 멤버(10) 이탈방지를 위해 부시 어셈블리(120)의 하단에 설치되는 하단 스토퍼(130)의 구조 변경을 통해 강성바(150)가 하단 스토퍼(140)에 비용접식으로 체결가능하도록 구성하여 강성바(150) 체결을 위한 별도의 브라켓을 용접할 필요없이 리어 크로스 멤버(10)의 강성을 보조적으로 확보하면서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NVH 성능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mounting bracket 100 for preventing member sepa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igid bar 150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lower stopper 130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bush assembly 120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rear cross member 10. By being configured to be non-welded to the lower stopper 140, it is possible to prevent separation while additionally securing the rigidity of the rear cross member 10 without the need to weld a separate bracket for fastening the rigid bar 150. Accordingly, NVH performance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체결볼트(160)를 체결하기 전에 먼저 압입형으로 하단 스토퍼(130, 140)가 부시 어셈블리(120)에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한 구성을 통해 조립공정상에서 작업성 향상 및 부품 누락에 의한 품질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별도로 구성된 기존의 하단 스토퍼(130, 140)를 부시 어셈블리(120)에 사전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toppers (130, 140) are easily mounted on the bush assembly (120) using a press-fit type before fastening the fastening bolt (160),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in the assembly process and improving component integrity. Quality problems due to omission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nd the existing separately constructed lower stoppers (130, 140) can be pre-assembled into the bush assembly (120).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isclosed above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practice the invention.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use each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y combining them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In addition, claims that do not have an explicit reference relationship in the patent claims can be combined to form an embodiment or included as a new claim through amendment after filing.

10 : 리어 크로스 멤버 100 : 마운팅 브라켓
110 : 브라켓 본체 111 : 결합부
112 : 연장부 120 : 부시 어셈블리
121 : 삽입홀 130 : 제1 하단 스토퍼
140 : 제2 하단 스토퍼 131, 141 : 돌기부
132, 142 : 꺾임부 133, 143 : 압입부
144 : 나사결합수단 150 : 강성바
160 : 체결볼트
10: rear cross member 100: mounting bracket
110: bracket body 111: coupling part
112: extension 120: bush assembly
121: Insertion hole 130: First lower stopper
140: second lower stopper 131, 141: protrusion
132, 142: bent portion 133, 143: press-fit portion
144: screw coupling means 150: rigid bar
160: fastening bolt

Claims (4)

바 형태로 이루어지는 리어 크로스 멤버의 양쪽 끝단부위에 결합되면서 차체 마운팅 너트가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가 차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차체에 체결시키는 마운팅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양쪽 끝단부위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에 결합된 결합부로부터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갖는 브라켓 본체;
상기 브라켓 본체의 결합부 및 연장부의 말단을 연직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용접되고, 상기 차체 마운팅 너트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이 형성되는 부시 어셈블리;
상기 결합부 측 부시 어셈블리의 하단에 체결되는 제1 하단 스토퍼;
상기 연장부의 말단 측 부시 어셈블리의 하단에 체결되고, 어느 일측이 더 연장되어 그 말단부에 나사결합수단이 형성되는 제2 하단 스토퍼;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와 평행설치되어, 상기 제2 하단 스토퍼에 형성된 나사결합수단과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양측으로 배치된 각각의 브라켓 본체를 체결시키는 강성바; 및
상기 차체 마운팅 너트의 끝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를 상기 차체에 고정시키는 체결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부시 어셈블리는,하단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키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2 하단 스토퍼는, 상기 키홈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상향 돌출 형성된 돌기부가 상기 키홈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부시 어셈블리의 하단에 체결되며,
상기 제1,2 하단 스토퍼는, 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어느 양단에는 하향 절곡된 꺾임부를 갖고,
상기 제1,2 하단 스토퍼는, 넓이가 상기 부시 어셈블리의 단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지고, 상기 돌기부 끝단에는 압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하단 스토퍼는, 상기 더 연장된 일측의 말단부를 포함한 일부가 상기 브라켓 본체에 대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1, 제2하단 스토퍼는 부시 어셈블리의 삽입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홀이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는 홀 테두리에 구비되고, 상기 홀 테두리는 상향으로 만곡된 볼록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버 이탈방지용 마운팅 브라켓.
In the mounting bracket that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ar-shaped rear cross member and inserts a vehicle body mounting nut, thereby fastening the rear cross member to the vehicle body to prevent i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vehicle body,
a bracket bod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rear cross member and having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rear cross memb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ar cross member;
a bush assembly welded while penetrating the end of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extension portion of the bracket body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n insertion hole for inserting the vehicle body mounting nut;
a first lower stopper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portion side bush assembly;
a second lower stopper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bush assembly at the distal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one side of which is further extended to form a screw coupling means at the distal end thereof;
Each bracket body has a length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ar cross member, is installed parallel to the rear cross member, is screwed together with a screw engaging means formed on the second lower stopper, and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ear cross member. A rigid bar for fastening; and
Includes a fastening bolt fastened to an end of the vehicle body mounting nut to secure the rear cross member to the vehicle body,
The bush assembly has at least two key groove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he first and second lower stoppers are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bush assembly by inserting a number of upwardly protruding protrusions corresponding to the key groove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into the key groove,
The first and second lower stoppers ar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have downward bending portions at both ends,
The first and second lower stoppers have an area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ush assembly, and press-fitting portions are formed at the ends of the protrusions,
A portion of the second lower stopper, including an end portion of the more extended side, is exposed to the outside with respect to the bracket body,
The first and second lower stoppers have hole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holes of the bush assembly, the protrusions are provided on the edge of the hole, and the edge of the hole is formed as a convex part curved upward. Mounting bracket to prevent separ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194198A 2021-12-31 2021-12-31 Mounting bracked to prevent members from separation KR1026064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198A KR102606437B1 (en) 2021-12-31 2021-12-31 Mounting bracked to prevent members from sepa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198A KR102606437B1 (en) 2021-12-31 2021-12-31 Mounting bracked to prevent members from sepa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4438A KR20230104438A (en) 2023-07-10
KR102606437B1 true KR102606437B1 (en) 2023-11-30

Family

ID=87155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4198A KR102606437B1 (en) 2021-12-31 2021-12-31 Mounting bracked to prevent members from separ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643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1865B2 (en) * 2001-09-28 2011-06-01 マツダ株式会社 Front body structure of the vehicle
KR101523850B1 (en) * 2013-12-12 2015-05-29 서진산업 주식회사 Mounting bush assembly for rear cross member in vehicle
KR102160402B1 (en) * 2020-07-08 2020-09-28 한종민 Fixing member for reinforcement of member bushi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1502A (en) 2007-11-19 2009-05-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Mounting bush assembly for rear cross member in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1865B2 (en) * 2001-09-28 2011-06-01 マツダ株式会社 Front body structure of the vehicle
KR101523850B1 (en) * 2013-12-12 2015-05-29 서진산업 주식회사 Mounting bush assembly for rear cross member in vehicle
KR102160402B1 (en) * 2020-07-08 2020-09-28 한종민 Fixing member for reinforcement of member bush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4438A (en) 202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78861B (en) Rear vehicle body structure
JP4751620B2 (en) Body front structure
KR100941255B1 (en) Trailing arm mounting device of small size frame in vehicle
US20030146592A1 (en) Suspension system having reduced stress axle connection
JP4007774B2 (en) Auto body frame structure
US20160375938A1 (en) Suspension member
US7726718B2 (en) Structural support for a bolt collar
JP3975570B2 (en) Vehicle suspension support structure
KR102606437B1 (en) Mounting bracked to prevent members from separation
KR101563174B1 (en) Stud bolt unit
JP6909423B2 (en) Underrun protector
KR101523850B1 (en) Mounting bush assembly for rear cross member in vehicle
JP2008279951A (en) Brace and vehicle body lower part structure
KR102082829B1 (en) Front cross member for vehicle
KR100527713B1 (en) rear suspension of vehicle
KR101755893B1 (en) Assembly structure of suspension member and suspension arm for vehicle
CN103434360B (en) Longitudinal supporting frame of automobile transverse stabilizing bar
KR100539434B1 (en) Part maintenance type sub frame in vehicle
JP2011093347A (en) Front structure of vehicle
KR100508188B1 (en) Combination structure of radiator and cooling fan
KR101021113B1 (en) Bumper for vehicle
JP3196008B2 (en) Mounting structure of bump stopper
KR100694269B1 (en) Engine mounting braket combinationn means of rear engine bus
JPH07285462A (en) Front body structure for automobile
JP2007022293A (en) Vehicle body lower par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