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5323B1 - Inter lock switch assembly and key detecting plate - Google Patents

Inter lock switch assembly and key detecting 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5323B1
KR102605323B1 KR1020220143581A KR20220143581A KR102605323B1 KR 102605323 B1 KR102605323 B1 KR 102605323B1 KR 1020220143581 A KR1020220143581 A KR 1020220143581A KR 20220143581 A KR20220143581 A KR 20220143581A KR 102605323 B1 KR102605323 B1 KR 102605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door
worker
lockout
detec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35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현승
허광석
장현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펙트
황현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펙트, 황현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펙트
Priority to KR1020220143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32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323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PSAFETY DEVICES IN GENERAL; SAFETY DEVICES FOR PRESSES
    • F16P3/00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 F16P3/08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in connection with the locking of doors, covers, guards, or like members giving access to moving machin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4Ca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05Y2900/60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작업자가 점검을 위해서 위험 구역 안으로 들어가려고 도어락 스위치의 락을 해제한 후 슬라이더를 도어 열림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키홀에 삽입된 락아웃 키의 손잡이의 방향이 슬롯에 교차하게 위치하여, 손잡이가 키 검출 플레이트에 간섭되어 작업자가 도어를 열 수 없는 구조인 반면에, 작업자가 상기 락아웃 키를 90도 돌려서 키홀에 삽입된 락아웃 키의 손잡이의 방향이 슬롯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경우에만, 손잡이가 키 검출 플레이트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도어를 열 수 있도록 구성하되, 락아웃 키가 키뭉치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서 작업자가 점검을 위해서 위험 구역 안으로 들어가려고 할 경우에 반드시 락아웃 키를 키홀에서 빼서 소지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위험 구역 내에 작업자가 점검 등의 작업을 하는 중에는 위험 구역 밖의 다른 사람이 도어를 임의로 닫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위험 구역 안에 갇히게 되는 안전사고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위험 구역 내에 갇히게 되는 비상사태가 불가피하게 발생한 경우에도, 그 작업자가 슬라이딩 릴리즈 레버를 이용하여 슬라이더를 슬라이드 언락 상태로 전환한 후에 도어를 푸시하여 키 검출 플레이트를 절단(파손)함으로써 작업자가 위험 구역에서 안전하고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lock switch assembly, and when a worker unlocks the door lock switch to enter a hazardous area for inspection and then switches the slider to the door open state, the direction of the handle of the lockout key inserted into the keyhole It is located across these slots, and the handle interferes with the key detection plate, making it impossible for the worker to open the door. However, when the worker turns the lockout key 90 degrees, the direction of the handle of the lockout key inserted into the keyhole changes. Only when positioned parallel to the slot, the door can be opened so that the handle does not interfere with the key detection plate, but the lockout key is separated from the key bunch so that if the worker tries to enter the hazardous area for inspection, the door can be opened. By encouraging workers to always remove the lockout key from the keyhole and carry it with them, it prevents other people outside the hazardous area from arbitrarily closing the door while workers in the hazardous area are conducting inspections, etc., thus preventing the problem of safety accidents where workers are trapped in the hazardous area. Not only can this be prevented, but even if an emergency situation in which a worker is trapped in a hazardous area inevitably occurs, the worker can use the sliding release lever to switch the slider to the slide unlock state and then push the door to cut the key detection plate. (Damage) allows workers to safely and quickly escape from the hazardous area.

Description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 및 그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의 키 검출 플레이트{INTER LOCK SWITCH ASSEMBLY AND KEY DETECTING PLATE}Interlock switch assembly and key detection plate of the interlock switch assembly {INTER LOCK SWITCH ASSEMBLY AND KEY DETECTING PLATE}

본 발명은 락아웃 장치를 구비하는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점검을 위해서 위험 구역 안으로 들어가려고 할 경우에, 락아웃 키(lock out key)를 키홀(key hole)에서 반드시 빼서 소지(휴대)한 후에 위험 구역 안으로 들어가도록 작업자를 유도하여 작업자가 위험 구역 내에 갇히게 되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는 기술이며, 더 나아가, 마스터키(master key)나 다른 사람의 락아웃 키 등에 의해서 작업자 이외의 다른 사람이 도어를 닫아서 작업자가 위험 구역 내에 갇히게 되는 비상사태가 불가피하게 발생한 경우에도, 그 작업자가 슬라이딩 릴리즈 레버를 이용하여 도어 열림 상태로 전환한 후에 도어를 푸시하여 키 검출플레이트를 절단함으로써 작업자가 위험 구역에서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lock switch assembly having a lockout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when an operator attempts to enter a hazardous area for inspection, the lockout key is inserted into the keyhole. It is a technology that prevents safety accidents in which workers become trapped in a hazardous area by guiding workers to enter the hazardous area after removing it and carrying it. Furthermore, it is a technology that prevents safety accidents where workers become trapped in the hazardous area. Furthermore, it is a technology that prevents safety accidents by using the master key or someone else's lockout key. Even if an emergency situation inevitably occurs in which the worker is trapped in a dangerous area due to someone other than the worker closing the door, the worker switches to the door open state using the sliding release lever and then pushes the door to open the key detection plate. It relates to an interlock switch assembly that allows workers to safely escape from a hazardous area by cutting.

일반적으로 출입 통제가 필요한 위험구역 안에 일정한 작업 범위와 제어를 필요로 하는 기계장치(예를 들어, 작업 로봇)가 설치된 장소에서는 그 둘레에 안전 펜스를 설치하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도록 한다. In general, in places where mechanical devices (for example, work robots) that require a certain work range and control are installed in a hazardous area that requires access control, a safety fence should be installed around it to prevent safety accidents in advance.

안전 펜스에는 작업 로봇의 점검 및 유지보수 작업을 하는 작업자의 출입을 위한 도어가 여닫이 구조로 설치되고, 그 안전 펜스의 지주와 도어 사이에는 도어의 로킹과 언로킹을 수행함과 동시에 도어가 임의로 닫히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가 설치된다.The safety fence is equipped with a door with a hinged structure for the entry and exit of workers performing inspection and maintenance work on work robots, and a door is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of the safety fence and the door to lock and unlock the door and prevent the door from closing arbitrarily. An interlock switch assembly is installed to prevent safety accidents.

작업자는 필요 시에, 도어를 열고 그 위험구역 안을 들어가서 작업 로봇을 점검하거나 유지 보수 작업 등을 실시하는데, 만약 작업자가 위험구역 안에서 작업을 하고 있는 중에, 그 작업자 외의 다른 사람이 그 위험구역 안에서 점검 작업을 하는 사람이 있음을 인지하지 못하고, 안전 펜스 밖에서 그 도어를 닫고 작업 로봇을 작동시킬 경우에 해당 작업자가 안전 펜스 안에 갇히게 되고, 작업 로봇의 작동에 의해서 그 위험구역 안에 갇힌 작업자가 다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은 락아웃 장치를 구비하는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를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가 있다. When necessary, the worker opens the door and enters the hazardous area to inspect the work robot or perform maintenance work, etc. If the worker is working in the hazardous area, someone other than the worker inspects the hazardous area. If you close the door and operate the work robot outside the safety fence without recognizing that there is a person working, the worker in question will be trapped inside the safety fence, and the worker trapped in the danger zone may be injured by the operation of the work robot. It may cause a safety accident. In order to prevent such safety accidents from occurring, the present applicant has applied for and registered an interlock switch assembly equipped with a lockout device.

락아웃 장치는 위험 구역 내에서 작업자가 점검 작업을 진행하고 중에 그 작업자 외의 다른 사람이 열려 있는 도어를 임으로 닫지 못하게 사전에 차단함으로써 그 위험구역 안에 작업자가 갇히게 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The lockout device functions to prevent safety accidents that result in workers being trapped in the hazardous area by preventing anyone other than the worker from arbitrarily closing an open door while the worker is performing inspection work within the hazardous area.

도 1은 일반적으로 위험 구역에 설치된 안전 펜스와 그 안전 펜스에 설치된 도어 그리고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의 설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a safety fence generally installed in a hazardous area, a door installed on the safety fence, and an interlock switch assembly.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 구역에는 그 둘레에 안전 펜스(3)가 설치되고, 그 안전 펜스(3)에는 작업자의 출입을 위한 도어(2)가 여닫이 구조로 개방되도록 설치된다. 위험구역 안에 일정한 작업 범위 및 제어를 필요로 하는 작업 로봇(R)이 설치된다. 미설명 부호 1은 안전 펜스(3)의 지주(고정 기둥)이다. 지주(1)와 도어(2)에는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100)가 설치된다. As shown in FIG. 1, a safety fence 3 is installed around the dangerous area, and a door 2 for workers to enter and exit is installed in the safety fence 3 so as to be opened in a hinged structure. A work robot (R) that requires a certain work range and control is installed in the hazardous area. The unexplained symbol 1 is a support (fixed pillar) of the safety fence (3). An interlock switch assembly 100 is installed on the support 1 and the door 2.

도 2는 종래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종래 락아웃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ventional interlock switch assembly, and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lockout device.

특허 등록번호 10-1585038호, 제10-2333317호, 제10-2200217호, 제10-2238908호의 공보에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 관련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바, 첨부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종래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지 않은 구성은 위 공보들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동일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기로 한다.The publications of Patent Registration Nos. 10-1585038, 10-2333317, 10-2200217, and 10-2238908 disclose technology related to the interlock switch assembly applied by the present applicant, as shown in the attached Figures 2 and 2. A conventional interlock switch assembl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Since the configurations not shown in FIGS. 2 and 3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above publications, the same drawing numbers will be assigned to the same parts.

종래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100)는 도어락 스위치(130)와, 락아웃 장치(140)와, 슬라이드 유닛(120)으로 구성되는데, 안전 펜스(3)의 지주(1)에는 도어락 스위치(130)와 락아웃 장치(140)가 고정 설치되고, 그 도어(2)에는 슬라이드 유닛(120)이 설치된다.The conventional interlock switch assembly 100 consists of a door lock switch 130, a lockout device 140, and a slide unit 120. The support 1 of the safety fence 3 includes a door lock switch 130 and a slide unit 120. The lockout device 140 is fixedly installed, and the slide unit 120 is installed on the door 2.

종래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100)에서는, 작업자가 도어(2)를 열고 위험구역 안으로 들어가서 점검 작업을 하려고 하는 경우, 우선 도어락 스위치(130)를 언로킹하여 도어(2)의 잠금(lock)을 해제한 후, 슬라이드 유닛(120)의 슬라이더(123)를 도면상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한다. 즉, 슬라이더(123)를 도어 열림 가능 상태로 전환한다. In the conventional interlock switch assembly 100, when a worker opens the door 2 and enters the hazardous area to perform inspection work, the door 2 is first unlocked by unlocking the door lock switch 130. After that, the slider 123 of the slide unit 120 is moved from left to right in the drawing. In other words, the slider 123 is switched to the door-openable state.

그 다음, 키뭉치(143)의 키홀(143a)에 삽입된 락아웃 키(142)를 90도 돌려서 플레이트 캠(셔터)(144)(도 3 참조)를 90도 회전시킴에 따라 임의로 키 헤드(114)의 헤드 홀(114a) 안으로 조작키(121)가 삽입되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즉, 위험 구역 내에 작업자가 점검 작업을 하는 도중에 위험 구역 밖의 다른 사람이 도어(2)를 임의로 닫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위험 구역 안에 갇히게 되는 안전사고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Next, the key head ( Blocks the operation key 121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head hole 114a of 114). In other words, by preventing other people outside the danger zone from arbitrarily closing the door 2 while the worker is performing inspection work in the danger zone, the problem of a safety accident resulting from the worker being trapped in the danger zone is prevented.

그러나 종래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100)에서는, 작업자가 점검 작업 등을 위해서 위험 구역 안으로 들어가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가 락아웃 키(142)를 키홀(143a)에서 빼서 소지한 후에 위험구역 안으로 들어가야 하는 규정이 있지만, 작업자의 부주의 혹은 번거로움 때문에 작업자가 락아웃 키(142)를 키홀(143a)에 그대로 꽂아두고 위험 구역 안으로 들어가는 경우가 빈번히 있고, 이 때문에 위험 구역 내에서 작업자가 점검 작업을 하는 도중에 작업자 이외의 다른 사람이 그 락아웃 키(142)를 이용하여 도어(2)를 임의로 닫아버려서 작업자가 위험 구역 안에 갇히게 되는 비상사태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interlock switch assembly 100, when the worker wants to enter the dangerous area for inspection work, etc., there is a regulation that requires the worker to remove the lockout key 142 from the keyhole 143a and enter the dangerous area. However, due to the worker's carelessness or inconvenience, there are frequent cases where the worker leaves the lockout key 142 in the keyhole 143a and enters the danger zone, and for this reason, the worker is injured while the worker is performing inspection work within the danger zone. Emergency situations in which workers are trapped in a dangerous area frequently occur because someone other than the worker arbitrarily closes the door 2 using the lockout key 142.

이와 같이 작업자가 위험 구역 안으로 들어가려고 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락아웃 키(142)를 키홀(143a)에서 반드시 빼서 소지한 후에 위험 구역 안으로 들어가도록 유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비상사태를 사전에 방지함은 물론 불가피하게 비상사태가 발생한 경우에도 그 위험 구역에 갇힌 작업자를 신속하게 탈출시킬 수 있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In this way, when a worker attempts to enter the danger zone, the worker must remove the lockout key 142 from the keyhole 143a and carry it with him before entering the danger zone to prevent the above-described emergency situation in advance. Of course, even in the event of an unavoidable emergency,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echnology that can quickly escape workers trapped in the danger zone.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585038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585038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작업자가 점검을 위해서 위험 구역 안으로 들어가려고 도어락 스위치의 락 상태를 해제한 후 슬라이더를 도어 열림 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키홀에 삽입된 락아웃 키의 손잡이의 방향이 슬롯에 교차하게 위치(직교방향으로 위치)하여, 손잡이가 키 검출 플레이트에 간섭되어 작업자가 도어를 열 수 없는 구조인 반면에, 작업자가 상기 락아웃 키를 90도 돌려서 키홀에 삽입된 락아웃 키의 손잡이의 방향이 슬롯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경우에만, 손잡이가 키 검출 플레이트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도어를 열 수 있도록 구성하되, 락아웃 키가 키뭉치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서 작업자가 점검을 위해서 위험 구역 안으로 들어가려고 할 경우에 반드시 락아웃 키를 키홀에서 빼서 소지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작업자 이외의 다른 사람이 도어를 닫아서 작업자가 위험 구역 내에 갇히게 되는 비상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its purpose is to insert the slider into the keyhole when the worker unlocks the door lock switch to enter the dangerous area for inspection and then switches the slider to the door-opening state. The direction of the handle of the lockout key is positioned to cross the slot (located in a perpendicular direction), so the handle interferes with the key detection plate and the worker cannot open the door. On the other hand, the worker cannot open the door by holding the lockout key for 90 degrees. The door can be opened by preventing the handle from interfering with the key detection plate only when the direction of the handle of the lockout key inserted into the keyhole by turning it is positioned parallel to the slot. However, the lockout key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the key set. Therefore, when workers try to enter the danger zone for inspection, they are encouraged to remove the lockout key from the keyhole and carry it with them, preventing an emergency situation from occurring in which the worker is trapped in the danger zone when someone other than the worker closes the door. To provide a lock switch assembly.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위험 구역 내에 작업자가 작업하는 중에 위험 구역 밖의 다른 사람이 작업자가 작업중임을 인지하지 못하고 도어를 임의로 닫아서 작업자가 위험 구역 안에 갇히게 되는 비상사태가 불가피하게 발생한 경우에도, 위험 구역 안에 갇힌 작업자가 슬라이딩 릴리즈 레버를 이용하여 슬라이더를 도어 열림 가능 상태로 전환한 후에 도어(여닫이 구조임)를 푸시(push)하여 키 검출 플레이트를 절단(파손)함으로써 작업자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는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its purpose is to prevent workers from being trapped in the hazardous area by arbitrarily closing the door while a worker is working in the hazardous area without recognizing that the worker is working. Even if an emergency situation inevitably occurs, a worker trapped in the danger zone can use the sliding release lever to switch the slider to the door-opening state and then push the door (which has a hinged structure) to cut the key detection plate ( The aim is to provide an interlock switch assembly that allows workers to easily and quickly escape by break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는 안전 펜스에 여닫이 구조로 설치된 도어(door)의 로킹과 언로킹을 수행하는 도어락 스위치; 위험 구역 내에서 작업자가 점검 작업을 진행하고 중에 그 작업자 외의 다른 사람이 열려 있는 상기 도어를 임으로 닫지 못하게 사전에 차단함으로써 그 위험구역 안에 작업자가 갇히게 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락아웃 장치; 그리고 상기 도어에 고정 설치되는 슬라이더 베이스(slider base)와, 그 슬라이더 베이스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slider)를 구비하는 슬라이드 유닛(slide unit); 으로 구성된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로서, The interlock switch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door lock switch that locks and unlocks a door installed in a hinged structure on a safety fence; A lockout device that prevents a safety accident in which a worker is trapped in a hazardous area by preventing anyone other than the worker from arbitrarily closing the open door while the worker is performing inspection work in the hazardous area; And a slide unit including a slider base fixedly installed on the door and a slider movably installed on the slider base; An interlock switch assembly consisting of,

상기 슬라이더에는 슬롯(slot)을 갖는 키 검출 플레이트(key detecting plate가 설치되며, 상기 슬롯은 상기 키뭉치의 키홀(key hole)을 항상 노출하도록 키 검출 플레이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기 키 검출 플레이트는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시 연동되어 상기 락아웃 장치의 키뭉치 위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되며,A key detecting plate having a slot is installed on the slider, and the slot is form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key detecting plate to always expose the key hole of the key bundle, and the key detecting plate is installed on the slider. The plate is configured to slide on the key assembly of the lockout device in conjunction with the slide movement of the slider,

작업자가 점검을 위해서 위험 구역 안으로 들어가려고 도어락 스위치(인터락 스위치)의 락 상태를 해제한 후 상기 슬라이더를 도어 열림 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상기 키홀에 삽입된 상기 락아웃 키의 손잡이의 방향이 상기 슬롯에 교차하게 위치하여, 상기 손잡이가 상기 키 검출 플레이트에 간섭되어 작업자가 상기 도어를 열수 없는 구조이며,When a worker releases the lock state of the door lock switch (interlock switch) to enter the dangerous area for inspection and then switches the slider to the door-opening state, the direction of the handle of the lockout key inserted into the keyhole is It is located across the slots, so that the handle interferes with the key detection plate and prevents the operator from opening the door,

작업자가 상기 락아웃 키를 90도 돌려서 상기 키홀에 삽입된 상기 락아웃 키의 손잡이의 방향이 상기 슬롯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손잡이가 상기 키 검출 플레이트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도어를 열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락아웃 키가 상기 키뭉치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서 작업자가 점검을 위해서 상기 위험 구역 안으로 들어가려고 할 경우에 반드시 상기 락아웃 키를 상기 키홀에서 빼서 소지하게 유도하도록 구성된 기술적 특징이 있다.Only when the operator turns the lockout key by 90 degrees and the direction of the handle of the lockout key inserted into the keyhole is positioned parallel to the slot, opens the door so that the handle does not interfere with the key detection plate. However, there is a technical feature configured to ensure that the lockout key is separated from the key assembly so that when the worker attempts to enter the dangerous area for inspection, the lockout key is pulled out of the keyhole and carried. .

또한, 본 발명의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는 작업자가 상기 락아웃 키를 90도 돌려서 상기 키홀에 삽입된 상기 락아웃 키의 손잡이의 방향이 상기 슬롯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경우는, 상기 락아웃 장치의 플레이트 캠(셔터)를 90도 회전시킴에 따라 임의로 키 헤드의 헤드 홀 안으로 조작키가 삽입되지 못하도록 안전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이다.In addition, in the interlock switch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operator turns the lockout key by 90 degrees and the direction of the handle of the lockout key inserted into the keyhole is positioned parallel to the slot, the plate of the lockout device By rotating the cam (shutter) by 90 degrees, the operation key is switched to safety mode to prevent it from being arbitrarily inserted into the head hole of the key head.

또한, 본 발명의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는 위험 구역 내에 작업자가 작업하는 중 위험 구역 밖의 다른 사람이 상기 작업자가 작업중임을 인지하지 못하고 상기 도어 임의로 닫아서 작업자가 위험 구역 안에 갇히게 되는 비상사태가 발생한 경우에, 위험 구역 안에 갇힌 작업자가 상기 슬라이더를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도어 열림 가능 상태로 전환한 후에 상기 도어를 푸시하여 상기 키 검출 플레이트를 절단함으로써 탈출할 수 있도록 상기 키 검출 플레이트는 일정한 힘에 의해 절단 가능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lock switch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the case where an emergency occurs while a worker is working in a hazardous area and another person outside the hazardous area randomly closes the door without recognizing that the worker is working, thereby trapping the worker in the hazardous area. The key detection plate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cut by a certain force so that a worker trapped in a dangerous area can escape by sliding the slider to change the door to an open state and then pushing the door to cut the key detection plate. It can be.

또한, 본 발명의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는 상기 키 검출 플레이트는 위험 구역 안에 갇힌 작업자가 상기 도어를 밀어서 상기 키 검출 플레이트를 절단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interlock switch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 detection plate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so that a worker trapped in a hazardous area can cut the key detection plate by pushing the door.

또한, 본 발명의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는 상기 키 검출 플레이트의 중간에는 예비 절단선이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interlock switch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liminary cutting line may be formed in the middle of the key detection plate.

또한, 본 발명의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에서, 상기 키 검출 플레이트는 상기 슬라이더의 아암에 볼트 고정되는 체결 브래킷; 및 상기 체결 브래킷에 볼트 고정되고 슬롯을 갖는 키 검출 플레이트 바디; 로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interlock switch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 detection plate includes a fastening bracket bolted to the arm of the slider; and a key detection plate body bolted to the fastening bracket and having a slot. It can be composed of:

또한, 본 발명의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는, 상기 슬라이더의 후면에는 위험 구역 안에 갇힌 작업자가 탈출할 때에 사용하는 슬라이딩 릴리즈 레버가 설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interlock switch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a sliding release lever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of the slider for use when a worker trapped in a dangerous area escapes.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작업자가 점검을 위해서 위험 구역 안으로 들어가려고 도어락 스위치의 락 상태를 해제한 후 슬라이더를 도어 열림 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키홀에 삽입된 락아웃 키의 손잡이의 방향이 슬롯에 교차하게 위치하여, 손잡이가 키 검출 플레이트에 간섭되어 작업자가 도어를 열 수 없는 구조인 반면에, 작업자가 락아웃 키를 90도 돌려서 키홀에 삽입된 락아웃 키의 손잡이의 방향이 슬롯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경우에만, 손잡이가 키 검출 플레이트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도어를 열 수 있도록 구성하되, 락아웃 키가 키뭉치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서 작업자가 점검을 위해서 위험 구역 안으로 들어가려고 할 경우에 반드시 락아웃 키를 키홀에서 빼서 소지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위험 구역 내에 작업자가 점검 등의 작업을 하는 중에는 위험 구역 밖의 다른 사람이 도어를 임의로 닫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위험 구역 안에 갇히게 되는 안전사고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First, when a worker releases the lock state of the door lock switch to enter the dangerous area for inspection and then switches the slider to the door-opening state, the direction of the handle of the lockout key inserted into the keyhole is positioned so as to cross the slot. While the structure prevents the worker from opening the door because the handle interferes with the key detection plate, the handle of the lockout key inserted into the keyhole is positioned parallel to the slot when the worker turns the lockout key 90 degrees. , the handle is configured so that the door can be opened so that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key detection plate, but the lockout key is separated from the key bunch so that if the worker tries to enter the danger zone for inspection, the lockout key must be removed from the keyhole. By encouraging workers to carry the door, it is possible to prevent other people outside the danger zone from arbitrarily closing the door while the worker is performing work such as inspection in the danger zone, thereby preventing the problem of safety accidents where workers are trapped in the danger zone.

둘째, 마스터키 등에 의해서 작업자 이외의 다른 사람이 도어를 닫아서 작업자가 위험 구역 내에 갇히게 되는 비상사태가 불가피하게 발생한 경우에도, 그 작업자가 슬라이딩 릴리즈 레버를 이용하여 슬라이더를 도어 열림 가능 상태로 전환한 후에 도어를 푸시하여 키 검출 플레이트를 절단(파손)함으로써 작업자가 위험 구역에서 안전하고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다. Second, even if an emergency situation inevitably occurs in which the worker is trapped in a dangerous area due to someone other than the worker closing the door due to a master key, etc., the worker must use the sliding release lever to switch the slider to the door-opening state. By pushing the door to cut (break) the key detection plate, workers can safely and quickly escape from the hazardous area.

도 1은 일반적으로 위험 구역에 설치된 안전 펜스와 그 안전 펜스에 설치된 도어 그리고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의 설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종래 락아웃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의 키 검출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에서, 작업자가 점검을 위해서 위험 구역 안으로 들어가려고 할 경우에, 락아웃 키(lock out key)를 키홀(key hole)에서 반드시 빼서 소지(휴대)한 후에 위험 구역 안으로 들어가도록 작업자를 유도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a)는 도어 닫힘 상태(슬라이드 락 상태), (b)는 도어 열림 가능 상태(슬라이드 언락 상태), (c)는 락아웃 키 90도 회전 상태, (d)는 락아웃 키 소지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에서, 작업자가 위험 구역 내에 갇히게 되는 비상사태 발생시, 작업자의 탈출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a)는 도어 닫힘 상태, (b)는 도어 열림 가능 상태, (c)는 플레이트 절단 상태를 도시한 도면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a safety fence generally installed in a hazardous area, a door installed on the safety fence, and an interlock switch assembly.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ventional interlock switch assembly.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lockout device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lock switch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terlock switch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lock switch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ide view showing the interlock switch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terlock switch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key detection plate of the interlock switch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side view of Figure 9
Figure 11 shows that in the interlock switch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worker attempts to enter the hazardous area for inspection, the lock out key must be removed from the key hole and carried (carried) before entering the dangerous area. This is a drawing explaining how to guide workers to enter the area. (a) is the door closed state (slide lock state), (b) is the door open state (slide unlock state), and (c) is the lockout key 90 degrees. Rotation state, (d) is a diagram showing the lockout key possession state
Figure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worker's escape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in which the worker is trapped in a dangerous area in the interlock switch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the door closed state, (b) is the door open state, ( c) is a drawing showing the plate cutting state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종래 구성과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drawing numbers will be assigned to conventional configurations and component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4는 본 발명의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의 키 검출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측면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lock switch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terlock switch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lock switch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showing the interlock switch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terlock switch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key detection plate of the interlock switch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0 is a side view of Figure 9.

도 11은 본 발명의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에서, 작업자가 점검을 위해서 위험 구역 안으로 들어가려고 할 경우에, 락아웃 키(lock out key)를 키홀(key hole)에서 반드시 빼서 소지(휴대)한 후에 위험 구역 안으로 들어가도록 작업자를 유도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a)는 도어 닫힘 상태, (b)는 도어 열림 가능 상태, (c)는 락아웃 키 90도 회전 상태, (d)는 락아웃 키 소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에서, 작업자가 위험 구역 내에 갇히게 되는 비상사태 발생시, 작업자의 탈출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a)는 도어 닫힘 상태, (b)는 도어 열림 가능 상태, (c)는 플레이트 절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1 shows that in the interlock switch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worker attempts to enter the hazardous area for inspection, the lock out key must be removed from the key hole and carried (carried) before entering the dangerous area. This is a drawing explaining how to guide workers to enter the area. (a) is the door closed state, (b) is the door can be opened, (c) is the lockout key rotated 90 degrees, and (d) is the lockout key. It is a diagram showing the holding state, and Figure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worker's escape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in which the worker is trapped in a dangerous area in the interlock switch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the door closed state, (b) ) is a diagram showing the door openable state, and (c) is a diagram showing the plate cutting state.

본 발명의 기술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의 구성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lock switch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우선,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1000)는 도어(2)의 로킹(locking)과 언로킹(unlocking)을 수행하는 도어락 스위치(130)와, 위험 구역 내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하고 있는 경우 그 작업자 외의 다른 사람이 열려 있는 도어(2)를 임의로 닫지 못하게 사전에 차단함으로써(안전모드로 전환함으로써) 그 위험구역 안에 작업자가 갇히지 않도록 하는 락아웃 장치(140), 그리고 상기 가이드 블록(116)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하거나 분리되는 (도어 닫힘이나 도어 열림 가능 상태임)하는 슬라이드 유닛(120)으로 구성된다.First, referring to FIGS. 4 to 8, the interlock switch assembly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or lock switch 130 that performs locking and unlocking of the door 2, and a door lock switch 130 in the hazardous area. A lockout device (140) that prevents workers from being trapped in the dangerous area by preventing anyone other than the worker from arbitrarily closing the open door (2) when a worker is working in the area (by switching to safety mode). , and a slide unit 120 that is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guide block 116 in a slide manner (the door can be closed or opened).

전술한 바와 같이, 안전 펜스(3)의 지주(1)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통상의 체결수단, 예를 들어 볼트(미도시)로 고정 설치되며, 그 베이스 플레이트(110) 일측에는 도어락 스위치(130)가 설치되고 그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타측에는 락아웃 장치(140)가 설치된다.As described above, the base plate 110 is fixed to the support 1 of the safety fence 3 with a normal fastening means, for example, a bolt (not shown), and a door lock switch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ase plate 110. 130 is installed and a lockout device 140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plate 110.

베이스 플레이트(110)에는 도 1에 도시된 안전 펜스(3)의 지주(1)에 볼트 체결하기 위한 볼트 홀이 형성되는데, 그 볼트 홀은 통상의 체결구조이므로 이에 대한 도면부호는 생략한다.Bolt holes are formed in the base plate 110 for fastening bolts to the pillars 1 of the safety fence 3 shown in FIG. 1. Since the bolt holes have a normal fastening structure, reference numerals for them are omitted.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는 가이드 블록(116)이 형성될 수 있는데, 그 가이드 블록(116) 안에 삽입되도록 슬라이더(123)의 선단에는 가이드 돌기(124)가 형성된다. A guide block 116 may be formed on the base plate 110, and a guide protrusion 124 is formed at the tip of the slider 123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block 116.

그 가이드 블록(116) 안에 가이드 돌기(124)가 삽입될 때를 도어 닫힘 상태(슬라이드 락 상태)라 하고, 가이드 블록(116) 안에 가이드 돌기(124)가 분리될 때를 도어 열림 가능 상태(슬라이드 언락 상태)라고 정의한다. When the guide protrusion 124 is inserted into the guide block 116, it is called a door closed state (slide lock state), and when the guide protrusion 124 is separated from the guide block 116, the door can be opened (slide lock state). unlocked state).

도어 닫힘 상태에서는 도어(2)가 여닫이 구조이므로 도어(2)를 푸시하여 열 수 없고, 도어 열림 가능 상태에서는 도어(2)가 여닫이 구조이므로 도어(2)를 푸시하여 열수 있다.In the door closed state, the door (2) has a hinged structure, so the door (2) cannot be pushed to open. In the door-openable state, the door (2) has a hinged structure, so the door (2) can be pushed to open.

상기 도어락 스위치(130)는 도어(2)의 로킹과 언로킹을 수행하는바, 이러한 도어락 스위치(130)의 구조와 도어(2)의 로킹/언로킹 작동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에 등록된 등록공보에 개시된 발명을 참조하기로 하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The door lock switch 130 performs locking and unlocking of the door 2. The structure of the door lock switch 130 and the locking/unlocking operation of the door 2 are described in the registration notice registered with the present applicant. Reference will be made to the invention disclosed in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상기 슬라이더 유닛(120)은 도어(2)에 고정 설치되는 슬라이더 베이스(122)와, 그 슬라이더 베이스(12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123)와,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슬라이딩용 핸들(126)을 구비한다. 슬라이더(123)에는 그 슬라이더(123)의 위치를 고정해 주는 위치 고정용 돌기(127)가 설치될 수 있다.The slider unit 120 includes a slider base 122 fixedly installed on the door 2, a slider 123 movably installed on the slider base 122, and a sliding unit for the operator to hold by hand. It is provided with a handle (126). A position fixing protrusion 127 may be installed on the slider 123 to fix the position of the slider 123.

상기 슬라이더(123)의 상하 방향으로는 아암(125)이 돌출 형성될 수 있는데, 그 암(125)에는 키 헤드(114)의 헤드 홀(131)에 삽입될 수 있는 조작 키(121)가 고정 설치된다. 조작 키(121)는 브래킷 형태로 아암(125)에 볼트 등으로 체결될 수 있다. An arm 125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lider 123, and an operation key 121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head hole 131 of the key head 114 is fixed to the arm 125. It is installed. The operation key 121 may be fastened to the arm 125 in the form of a bracket with a bolt or the like.

상기 락아웃 장치(14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안전장치로서, 초기에 락아웃 키(142)가 키뭉치(143)의 키홀(143a)에 끼워져 있는 상태(도어 닫힘 상태)에서, 슬라이더(123)를 우측으로 이동한 상태(도어 열리 가능 상태)로 전환한 후에 락아웃 키(142)를 90도 회전시켜서, 플레이트 캠(셔터)(144)(도 3 참조)를 90도 회전시킴에 따라 임의로 키 헤드(114)의 헤드 홀(131) 안으로 조작키(121)가 삽입되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The lockout device 140 is a safety device that prevents accidents as described above from occurring, and the lockout key 142 is initially inserted into the keyhole 143a of the key bundle 143 (door closed state). ), the slider 123 is moved to the right (door can be opened), then the lockout key 142 is rotated 90 degrees, and the plate cam (shutter) 144 (see FIG. 3) is rotated by 90 degrees. As the operation key 121 is rotated, the operation key 121 is prevented from being arbitrarily inserted into the head hole 131 of the key head 114.

즉, 헤드 홀(131) 안으로 조작키(121)가 삽입되지 못하게 하여 위험 구역 내에 작업자가 작업하는 중에는 위험 구역 밖의 다른 사람이 도어(2)를 임의로 닫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위험 구역 안에 갇히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In other words, the operation key 121 is prevented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head hole 131, preventing other people outside the danger zone from arbitrarily closing the door 2 while the worker is working in the danger zone, resulting in the worker being trapped in the danger zone. Prevent this from occurring.

도 3을 더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면, 상기 락아웃 장치(140)는 그 전면에 락아웃 키(142)를 삽입할 수 있는 키홀(143a)이 형성된 키뭉치(143)를 구비하며, 측면에는 조작키(121)가 삽입될 수 있는 헤드홀(131)이 형성된다. To further explain with reference to FIG. 3, the lockout device 140 is provided with a key bundle 143 having a key hole 143a on the front side through which the lockout key 142 can be inserted, and an operation key on the side. A head hole 131 into which the key 121 can be inserted is formed.

작업자는 락아웃 키(142)를 키홀(143a) 안에 삽입한 후 90도로 회전할 수 있는데, 이때 키뭉치 핀(145) 및 회전샤프트(147c)가 90도로 회전함에 따라 플레이트 캠(셔터)(144)도 90도로 회전하게 되어 그 플레이트 캠(셔터)(144)가 키 헤드(114)의 헤드 홀(131)을 차단하거나 개방하도록 한다.The worker can insert the lockout key 142 into the keyhole 143a and then rotate it 90 degrees. At this time, as the key bunch pin 145 and the rotation shaft 147c rotate 90 degrees, the plate cam (shutter) 144 ) is also rotated by 90 degrees so that the plate cam (shutter) 144 blocks or opens the head hole 131 of the key head 114.

이와 같이 작업자가 위험 구역 내에서 점검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플레이트 캠(셔터)(144)가 키 헤드(114)의 헤드 홀(131)을 차단하도록 락아웃 키(142)를 90도 회전시켜서, 키 헤드(114)의 헤드 홀(131) 안으로 락아웃 키(142)가 삽입되지 못하도록 차단하여(안전모드로 전환하여) 위험 구역 내에서 작업자가 작업하는 중에는 위험 구역 밖의 다른 사람이 도어(2)를 임의로 닫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위험 구역 안에 갇히게 되는 종래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In this way, when an operator performs inspection work in a hazardous area, the lockout key 142 is rotated 90 degrees so that the plate cam (shutter) 144 blocks the head hole 131 of the key head 114, By blocking the insertion of the lockout key (142) into the head hole (131) of the key head (114) (by switching to safety mode), other people outside the hazardous area cannot open the door (2) while a worker is working within the hazardous area. By preventing it from being closed arbitrarily, the conventional problem of workers being trapped in a hazardous area is prevented from occurring.

이하, 본 발명의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의 기술적 특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echnical features of the interlock switch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 내지 도 8, 그리고 도 9 및 도 10을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1000)의 기술적 특징은 작업자가 점검을 위해서 위험 구역 안으로 들어가려고 할 경우에 락아웃 키(142)를 키홀(143a)에서 반드시 빼서 소지(휴대)한 후에 들어가도록 작업자를 유도하기 위하여 슬라이더(123)에 키 검출 플레이트(1100)가 설치된 것에 첫번째 기술적 특징이 있다.Referring further to FIGS. 4 to 8 and FIGS. 9 and 10, the technical feature of the interlock switch assembly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lockout key 142 is used when an operator attempts to enter the hazardous area for inspection. The first technical feature is that a key detection plate 1100 is installed on the slider 123 to guide the operator to enter the key after removing it from the keyhole 143a and carrying it.

더 나아가, 마스터 키(미도시)에 의해서 작업자 이외의 다른 사람이 도어(2)를 닫아서 작업자가 위험 구역 내에 갇히게 되는 비상사태가 발생하는 경우에, 그 작업자가 슬라이더(123)를 도어 열림 상태로 전환한 후에 도어(2)를 푸시하고 절단하여 탈출할 수 있도록 키 검출 플레이트(1100)가 일정한 힘에 의해 파손되도록 하는 것에 두번째 기술적 특징이 있다.Furthermore,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in which a person other than the operator closes the door 2 using a master key (not shown) and the operator is trapped in the danger zone, the operator may move the slider 123 to the door open state. The second technical feature is that the key detection plate 1100 is broken by a certain force so that the door 2 can be pushed and cut to escape after switching.

우선, 본 발명의 첫 번째 기술적 특징을 구현하기 위하여, 슬라이더(123)에는 슬롯(1101)을 갖는 키 검출 플레이트(1100)가 고정 설치된다. First, in order to implement the first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key detection plate 1100 having a slot 1101 is fixedly installed on the slider 123.

상기 슬롯(1101)은 키뭉치(143)의 키홀(143a)을 항상 노출하도록 키 검출 플레이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The slot 1101 is form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key detection plate to always expose the key hole 143a of the key bundle 143.

상기 키 검출 플레이트(1100)는 슬라이더(123)의 슬라이드 이동시, 그 슬라이더(123)에 연동되어 락아웃 장치(140)의 키뭉치(143) 위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된다.The key detection plate 1100 is configured to slide on the key bundle 143 of the lockout device 140 in conjunction with the slider 123 when the slider 123 is moved.

락아웃 키(142)는 키뭉치(143)의 키홀(143a) 안에 꽂은 후에 90도 회전시켜서 플레이트 캠(셔터)(144)를 90도 회전시킴에 따라 키 헤드(114)의 헤드 홀(131)을 차단하거나 개방하도록 구성되는바, 락아웃 키(142)의 손잡이(142a)는 납작하게 형성되어 작업자가 파지하기 쉽게 형성된다.The lockout key 142 is inserted into the key hole 143a of the key bundle 143 and then rotated 90 degrees to rotate the plate cam (shutter) 144 90 degrees, thereby opening the head hole 131 of the key head 114. It is configured to block or open the lockout key 142, and the handle 142a of the lockout key 142 is formed flat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grip it.

초기에 키홀(143a)에 삽입된 락아웃 키(142)의 손잡이(142a)의 방향이 슬롯(1101)에 교차하게 위치하는데, 상기 락아웃 키(142)가 키뭉치(143)의 키홀(143a) 안에 그대로 꽂아 있는 상태로서 슬라이드 락 상태를 말한다.The direction of the handle 142a of the lockout key 142 initially inserted into the keyhole 143a is positioned to cross the slot 1101, and the lockout key 142 is positioned in the keyhole 143a of the key bundle 143. ), which refers to the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slide lock state.

작업자가 점검을 위해서 위험 구역 안으로 들어가려고 할 경우 슬라이더(123)를 이동시켜서 도어 열림 가능 상태로 전환한다. If the worker attempts to enter the hazardous area for inspection, the slider (123) is moved to change the door to an open state.

그 다음, 상기 락아웃 키(142)를 90도 돌려서 락아웃 장치(140)를 안전모드로 전환하는데, 이때 키홀(143a)에 삽입된 락아웃 키(142)의 손잡이(142a)의 방향이 슬롯(1101)에 평행하게 위치함과 동시에 락아웃 키(142)가 키홀(143a)에서 빠지게 됨에 따라 손잡이(142a)가 키 검출 플레이트(1100)에 간섭되지 않게 되고 작업자가 점검을 위해서 위험 구역 안으로 들어가려고 할 때에 반드시 락아웃 키(142)를 소지한 후에 들어가도록 작업자를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Next, the lockout key 142 is turned 90 degrees to switch the lockout device 140 to the safe mode. At this time, the direction of the handle 142a of the lockout key 142 inserted into the keyhole 143a is toward the slot. As the lockout key 142 is located parallel to (1101) and falls out of the keyhole (143a), the handle (142a) does not interfere with the key detection plate (1100) and the operator cannot enter the danger zone for inspection. When trying to go,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worker to enter only after holding the lockout key 142.

여기서, 락아웃 장치(140)를 작동하여 안전모드로 전환하는 경우는 도어 열림 가능 상태로서, 작업자가 락아웃 키(142)를 90도 회전시켜서 플레이트 캠(셔터)(144)(도 3 참조)를 90도 회전시킴에 따라 임의로 키 헤드(114)의 헤드 홀(131) 안으로 조작키(121)가 삽입되지 못하도록 차단함으로써, 위험 구역 내에 작업자가 작업하는 중에는 위험 구역 밖의 다른 사람이 도어(2)를 임의로 닫지 못하게 하는 상태를 말한다.Here, when switching to the safety mode by operating the lockout device 140, the door can be opened, and the worker rotates the lockout key 142 by 90 degrees to open the plate cam (shutter) 144 (see FIG. 3). By rotating the key 114 by 90 degrees, it blocks the operation key 121 from being arbitrarily inserted into the head hole 131 of the key head 114, thereby preventing other people outside the hazardous area from opening the door 2 while a worker is working within the hazardous area. This refers to a state that prevents the device from being closed arbitrarily.

한편, 본 발명의 두 번째 기술적 특징을 구현하기 위하여, 위험 구역 내에 작업자가 작업하는 중 위험 구역 밖의 다른 사람이 도어(2)를 임의로 닫아서 작업자가 위험 구역 안에 갇히게 되는 비상사태가 불가피하게 발생한 경우에, 위험 구역 안에 갇힌 작업자가 슬라이더(123)를 도어 열림 가능 상태로 전환한 후에 도어(2)를 푸시하여 키 검출 플레이트(1100)를 절단하여 탈출할 수 있도록 키 검출 플레이트(1100)는 일정한 힘에 의해 절단 가능한 재질로 구성된다. Meanwhile, in order to implement the second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where an emergency situation inevitably occurs in which the worker is trapped in the danger zone because another person outside the danger zone arbitrarily closes the door (2) while the worker is working in the danger zone, , the key detection plate 1100 is applied with a certain force so that a worker trapped in the danger zone can escape by switching the slider 123 to the door-opening state and then cutting the key detection plate 1100 by pushing the door 2. It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cut by cutting.

예를 들어, 키 검출 플레이트(1100)는 위험 구역 안에 갇힌 작업자가 도어(2)를 밀어서 키 검출 플레이트(1100)를 절단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재질이나 세라믹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key detection plate 1100 may be made of plastic or ceramic so that a worker trapped in a hazardous area can cut the key detection plate 1100 by pushing the door 2.

더 나아가, 키 검출 플레이트(1100)의 중간에 예비 절단선(1102)(도 9에 도시됨)이 형성됨으로써, 도어(2)를 밀어서 키 검출 플레이트(1100)를 절단할 때에 절단이 더 쉽게 될 수도 있다. Furthermore, a preliminary cutting line 1102 (shown in FIG. 9)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key detection plate 1100, so that cutting becomes easier when cutting the key detection plate 1100 by pushing the door 2. It may be possible.

위험 구역 안에 갇힌 작업자가 슬라이더(123)를 도어 열림 가능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123)의 후면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릴리즈 레버(129)가 설치된다. 위험 구역 안에 갇힌 작업자는 슬라이딩 릴리즈 레버(129)를 잡고 슬라이더(123)를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A sliding release lever 129 that the worker can hold by hand is installed on the rear of the slider 123 so that the worker trapped in the danger zone can switch the slider 123 to a door-opening state. A worker trapped in a hazardous area can hold the sliding release lever 129 and slide the slider 123.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키 검출 플레이트(11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키 검출 플레이트(1100)는 슬라이더(123)의 아암(125)에 볼트 고정되는 체결 브래킷(1110); 및 체결 브래킷(1110)에 볼트 고정되고 슬롯(1101)을 갖는 키 검출 플레이트 바디(1120); 로 구성될 수 있다.Looking specifically at the configuration of the key detection plate 1100 shown in FIGS. 9 and 10, the key detection plate 1100 includes a fastening bracket 1110 bolted to the arm 125 of the slider 123; and a key detection plate body (1120) bolted to the fastening bracket (1110) and having a slot (1101); It can be composed of: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점검을 위해서 위험 구역 안으로 들어가려고 도어락 스위치의 락을 해제한 후 슬라이더(123)를 도어 열림 가능 상태로 전환하려고 하는 경우에 있어서, 우선 초기에는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닫힘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때 락아웃 키(lock out key)는 키뭉치(143)의 키홀(143a)에 꽂혀 있고, 락아웃 키(142)의 손잡이(142a)는 키 검출 플레이트(1100)의 슬롯(110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슬라이딩 손잡이(126)를 잡고 우측으로 이동시켜서 도어 열림 가능 상태로 전환한다. 이때 손잡이(142a)의 방향이 슬롯(1101)에 교차하게 위치하여, 손잡이(142a)가 키 검출 플레이트(1100)에 간섭되어 작업자가 도어(2)를 열수 없다.In the interlock switch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11, after the worker unlocks the door lock switch to enter the danger zone for inspection, the slider 123 is switched to the door open state. In the case of trying to do so, the door is initially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as shown in (a). At this time, the lock out key is inserted into the key hole 143a of the key bundle 143, and the lock is locked. The handle 142a of the out key 142 is arrang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slot 1101 of the key detection plate 1100. In this state, as shown in (a), the worker holds the sliding handle 126 and moves it to the right to switch to a state where the door can be opened. At this time, the direction of the handle 142a is positioned to cross the slot 1101, so the handle 142a interferes with the key detection plate 1100, making it impossible for the operator to open the door 2.

그 다음,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락아웃 키(142)를 90도 돌려서, 락아웃 키(142)의 손잡이(142a)가 키 검출 플레이트(1100)의 슬롯(1101)과 평행하게 배치함으로써, 손잡이(142a)가 키 검출 플레이트(1100)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도어(2)를 열수 있다. Then, as shown in (c), the operator rotates the lockout key 142 by 90 degrees so that the handle 142a of the lockout key 142 is parallel to the slot 1101 of the key detection plate 1100. By arranging the handle 142a so that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key detection plate 1100, the door 2 can be opened.

이때, 락아웃 키(142)의 90도 회전에 의해서, 키뭉키(143)가 90도 회전함에 따라, 플레이트 캠(셔터)(도 3 참조)(144)도 90도로 회전하게 되어 그 플레이트 캠(셔터)(144)가 키 헤드(114)의 헤드 홀(131)을 차단하여 조작키(121)가 헤드 홀(131) 안으로 삽입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키 헤드(114)의 헤드 홀(131) 안으로 락아웃 키(142)가 삽입되지 못하도록 차단하여(안전모드로 전환하여) 위험 구역 내에서 작업자가 작업하는 중에는 위험 구역 밖의 다른 사람이 도어(2)를 임의로 닫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위험 구역 안에 갇히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At this time, as the key munchie 143 rotates 90 degrees due to the 90-degree rotation of the lockout key 142, the plate cam (shutter) (see FIG. 3) 144 also rotates 90 degrees, so that the plate cam ( Shutter) 144 blocks the head hole 131 of the key head 114, preventing the operation key 121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head hole 131. Accordingly, the lockout key 142 is blocked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head hole 131 of the key head 114 (by switching to safety mode), so that while workers are working within the hazardous area, other people outside the hazardous area cannot open the door ( By preventing 2) from being closed arbitrarily, the problem of workers being trapped in the hazardous area does not occur.

이와 같이, 키홀(143a)에 삽입된 락아웃 키(142)의 손잡이(142a)의 방향이 슬롯(1101)에 교차하게 위치하여, 손잡이(142a)가 키 검출 플레이트(1100)에 간섭되어 작업자가 도어(2)를 열 수 없는 반면에, 작업자가 슬라이더(123)를 도어 열림 가능 상태로 전환한 후에 락아웃 키(142)를 90도 돌려서 키홀(143a)에 삽입된 락아웃 키(142)의 손잡이(142a)의 방향이 슬롯(1101)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경우에만, 손잡이(142a)가 키 검출 플레이트(1100)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도어(2)를 열 수 있도록 구성하되, 락아웃 키(142)가 키뭉치(143)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서 작업자가 점검을 위해서 위험 구역 안으로 들어가려고 할 경우에 반드시 락아웃 키(142)를 키홀(143a)에서 빼서 소지하고 위험구역 안으로 들어가도록 유도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direction of the handle 142a of the lockout key 142 inserted into the keyhole 143a is positioned to cross the slot 1101, so that the handle 142a interferes with the key detection plate 1100, causing the operator to While the door (2) cannot be opened, after the operator switches the slider (123) to the door-opening state, the lockout key (142) is turned 90 degrees to remove the lockout key (142) inserted into the keyhole (143a). Only when the direction of the handle 142a is positioned parallel to the slot 1101, the door 2 can be opened so that the handle 142a does not interfere with the key detection plate 1100, but the lockout key ( 142) is separated from the key bunch 143, so that when a worker tries to enter the danger zone for inspection, he or she is guided to enter the danger zone by removing the lockout key 142 from the keyhole 143a and holding it.

참고로, 상기 락아웃 키(142)가 키뭉치(143)로부터 이탈되는(빠지는) 이유는 키홀(143a)에서 락아웃 키(142)가 헐거워진 상태가 되고 이때 락아웃 키(142)가 키홀(143a)에서 빠지게 되어 작업자가 락아웃 키(142)가 소지할 수밖에 없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For reference, the reason why the lockout key 142 is separated (falls out) from the key assembly 143 is that the lockout key 142 is loose in the keyhole 143a, and at this time, the lockout key 142 is in the keyhole 143a. This is because it is omitted from (143a) and is configured so that the worker has no choice but to possess the lockout key (142).

더 나아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에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키 등에 의해서 작업자 이외의 다른 사람이 도어를 닫아서 작업자가 위험 구역 내에 갇히게 되는 비상사태가 불가피하게 발생한 경우에, 우선,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닫힘 상태로 락아웃 키(142)의 손잡이(142a)가 키 검출 플레이트(1100)의 슬롯(110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손잡이(142a)가 키 검출 플레이트(1100)에 간섭되어 작업자가 도어(2)를 열 수 없다.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슬라이딩 릴리즈 레버(129)를 이용하여 슬라이더(123)를 도어 열림 가능 상태로 전환한 후에,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닫이 구조의 도어(2)를 푸시하여 키 검출 플레이트(1100)를 절단함으로써 작업자가 위험 구역에서 안전하고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interlock switch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12, an emergency situation inevitably occurs in which a person other than the worker closes the door with a master key or the like, thereby trapping the worker in a dangerous area. In this case, first, as shown in (a), the handle 142a of the lockout key 142 is dispos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slot 1101 of the key detection plate 1100 in the door closed state, so the handle 142a (142a) interferes with the key detection plate 1100, making it impossible for the operator to open the door 2. As shown in (b), after the operator switches the slider 123 to the door-opening state using the sliding release lever 129, the operator pushes the door 2 of the hinged structure as shown in (c). By cutting the key detection plate 1100, the worker can safely and quickly escape from the dangerous area.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작업자가 점검을 위해서 위험 구역 안으로 들어가려고 도어락 스위치의 락을 해제한 후 슬라이더를 도어 열림 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키홀에 삽입된 락아웃 키의 손잡이의 방향이 슬롯에 교차하게 위치하여, 손잡이가 키 검출 플레이트에 간섭되어 작업자가 도어를 열 수 없는 구조인 반면에, 작업자가 상기 락아웃 키를 90도 돌려서 키홀에 삽입된 락아웃 키의 손잡이의 방향이 슬롯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경우에만, 손잡이가 키 검출 플레이트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도어를 열 수 있도록 구성하되, 락아웃 키가 키뭉치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서 작업자가 점검을 위해서 위험 구역 안으로 들어가려고 할 경우에 반드시 락아웃 키를 키홀에서 빼서 소지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위험 구역 내에 작업자가 점검 등의 작업을 하는 중에는 위험 구역 밖의 다른 사람이 도어를 임의로 닫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위험 구역 안에 갇히게 되는 안전사고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First, when a worker unlocks the door lock switch to enter the hazardous area for inspection and then switches the slider to the door-opening state, the direction of the handle of the lockout key inserted into the keyhole is positioned to cross the slot, While the handle interferes with the key detection plate, making it impossible for the worker to open the door, only when the worker turns the lockout key 90 degrees and the direction of the handle of the lockout key inserted into the keyhole is positioned parallel to the slot. , the handle is configured so that the door can be opened so that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key detection plate, but the lockout key is separated from the key bunch so that if the worker tries to enter the danger zone for inspection, the lockout key must be removed from the keyhole. By encouraging workers to carry the door, it is possible to prevent other people outside the danger zone from arbitrarily closing the door while the worker is performing work such as inspection in the danger zone, thereby preventing the problem of safety accidents where workers are trapped in the danger zone.

둘째, 마스터키 등에 의해서 작업자 이외의 다른 사람이 도어를 닫아서 작업자가 위험 구역 내에 갇히게 되는 비상사태가 불가피하게 발생한 경우에도, 그 작업자가 슬라이딩 릴리즈 레버를 이용하여 슬라이더를 도어 열림 가능 상태로 전환한 후에 도어를 푸시하여 키 검출 플레이트를 절단(파손)함으로써 작업자가 위험 구역에서 안전하고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다.Second, even if an emergency situation inevitably occurs in which the worker is trapped in a dangerous area due to someone other than the worker closing the door due to a master key, etc., the worker must use the sliding release lever to switch the slider to the door-opening state. By pushing the door to cut (break) the key detection plate, workers can safely and quickly escape from the hazardous area.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In this specification and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closed, and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these are merely used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intention to limit the scop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예를 들어, 키 검출 플레이트 및 슬롯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것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hapes of the key detection plate and slot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and may be changed into various shapes.

1: 안전 펜스의 지주
2: 도어
3: 안전 펜스
116: 가이드 블록
130: 도어락 스위치
140: 락아웃 장치
120: 슬라이드 유닛
122: 슬라이더 베이스
123: 슬라이더
125: 아암
124: 가이드 돌기
126: 슬라이딩용 핸들
1100: 키 검출 플레이트
1101: 슬롯
1102: 예비 절단선
143: 키뭉치
143a: 키뭉치의 키홀
142: 락아웃 키
142a: 락아웃 키의 손잡이
144: 플레이트 캠(셔터)
114: 키 헤드
131: 헤드 홀
121: 조작키
1110: 체결 브래킷
1120: 키 검출 플레이트 바디
129: 슬라이딩 릴리즈 레버
R: 작업 로봇
1: Support of safety fence
2: door
3: Safety fence
116: Guide block
130: Door lock switch
140: lockout device
120: Slide unit
122: Slider base
123: Slider
125: arm
124: Guide projection
126: Handle for sliding
1100: Key detection plate
1101: slot
1102: preliminary cutting line
143: Key bundle
143a: Keyhole in keychain
142: Lockout key
142a: Handle of lockout key
144: Plate cam (shutter)
114: key head
131: head hole
121: Control keys
1110: fastening bracket
1120: Key detection plate body
129: sliding release lever
R: Work robot

Claims (8)

안전 펜스(3)에 여닫이 구조로 설치된 도어(2)의 로킹과 언로킹을 수행하는 도어락 스위치(130); 위험 구역 내에서 작업자가 점검 작업을 진행하고 중에 그 작업자 외의 다른 사람이 열려 있는 상기 도어(2)를 임의로로 닫지 못하게 사전에 차단함으로써 그 위험구역 안에 작업자가 갇히게 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락아웃 장치(140); 그리고 상기 도어(2)에 고정 설치되는 슬라이더 베이스(122)와, 그 슬라이더 베이스(12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123)를 구비하는 슬라이드 유닛(120); 으로 구성된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로서,
상기 슬라이더(123)에는 슬롯(1101)을 갖는 키 검출 플레이트(1100)가 설치되며, 상기 슬롯(1101)은 키뭉치(143)의 키홀(143a)을 항상 노출하도록 키 검출 플레이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기 키 검출 플레이트(1100)는 상기 슬라이더(123)의 슬라이드 이동시 연동되어 상기 락아웃 장치(140)의 키뭉치(143) 위에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며,
작업자가 점검을 위해서 위험 구역 안으로 들어가려고 상기 도어락 스위치(130)의 락 상태를 해제한 후 상기 슬라이더(123)를 도어 열림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상기 키홀(143a)에 삽입된 락아웃 키(142)의 손잡이(142a)의 방향이 상기 슬롯(1101)에 교차하게 위치하여, 상기 손잡이(142a)가 상기 키 검출 플레이트(1100)에 간섭되어 작업자가 상기 도어(2)를 열수 없는 구조이며,
작업자가 상기 락아웃 키(142)를 90도 돌려서 상기 키홀(143a)에 삽입된 상기 락아웃 키(142)의 손잡이(142a)의 방향이 상기 슬롯(1101)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손잡이(142a)가 상기 키 검출 플레이트(1100)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도어(2)를 열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락아웃 키(142)가 상기 키뭉치(143)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서 작업자가 점검을 위해서 상기 위험 구역 안으로 들어가려고 할 경우에 반드시 상기 락아웃 키(142)를 상기 키홀(143a)에서 빼서 소지하도록 유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
A door lock switch (130) that performs locking and unlocking of the door (2) installed in a hinged structure on the safety fence (3); A lockout device that prevents safety accidents in which a worker is trapped in a hazardous area by preventing anyone other than the worker from arbitrarily closing the open door (2) while the worker is carrying out inspection work in the hazardous area. (140); And a slide unit 120 including a slider base 122 fixed to the door 2 and a slider 123 movably installed on the slider base 122; An interlock switch assembly consisting of,
A key detection plate 1100 having a slot 1101 is installed on the slider 123, and the slot 1101 is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key detection plate so as to always expose the key hole 143a of the key bundle 143. Formed, the key detection plate 1100 is configured to slide on the key bundle 143 of the lockout device 140 in conjunction with the slide movement of the slider 123,
When a worker releases the lock state of the door lock switch 130 to enter the dangerous area for inspection and then switches the slider 123 to the door open state, the lockout key 142 inserted into the keyhole 143a ), the direction of the handle 142a is positioned to cross the slot 1101, so that the handle 142a interferes with the key detection plate 1100 and the worker cannot open the door 2,
Only when the operator turns the lockout key 142 by 90 degrees and the direction of the handle 142a of the lockout key 142 inserted into the keyhole 143a is positioned parallel to the slot 1101, The handle 142a is configured to open the door 2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key detection plate 1100, and the lockout key 142 is separated from the key bundle 143 so that the operator can check it. The interlock switch assembly is configured to ensure that the lockout key (142) is removed from the keyhole (143a) and carried when attempting to enter the danger zone.
제1항에 있어서,
작업자가 상기 락아웃 키(142)를 90도 돌려서 상기 키홀(143a)에 삽입된 상기 락아웃 키(142)의 손잡이(142a)의 방향이 상기 슬롯(1101)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경우는, 상기 락아웃 장치(140)의 플레이트 캠(셔터)(144)를 90도 회전시킴에 따라 임의로 키 헤드(114)의 헤드 홀(131) 안으로 조작키(121)가 삽입되지 못하도록 안전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
According to paragraph 1,
When the operator rotates the lockout key 142 by 90 degrees and the direction of the handle 142a of the lockout key 142 inserted into the keyhole 143a is positioned parallel to the slot 1101, When switching to safety mode to prevent the operation key 121 from being arbitrarily inserted into the head hole 131 of the key head 114 by rotating the plate cam (shutter) 144 of the lockout device 140 by 90 degrees. An interlock switch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위험 구역 내에 작업자가 작업하는 중 위험 구역 밖의 다른 사람이 상기 작업자가 작업중임을 인지하지 못하고 상기 도어(2)를 임의로 닫아서 작업자가 위험 구역 안에 갇히게 되는 비상사태가 발생한 경우에, 위험 구역 안에 갇힌 작업자가 상기 슬라이더(123)를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도어 열림 상태로 전환한 후에 상기 도어(2)를 푸시하여 상기 키 검출 플레이트(1100)를 절단함으로써 탈출할 수 있도록 상기 키 검출 플레이트(1100)는 일정한 힘에 의해 절단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
According to paragraph 1,
If an emergency occurs where a worker is trapped in a hazardous area because another person outside the hazardous area arbitrarily closes the door (2) without recognizing that the worker is working while the worker is working in the hazardous area, the worker trapped in the hazardous area After switching to the door open state by sliding the slider 123, the key detection plate 1100 is pushed by a certain force to enable escape by cutting the key detection plate 1100 by pushing the door 2. An interlock switch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cutable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검출 플레이트(1100)는 위험 구역 안에 갇힌 작업자가 상기 도어(2)를 밀어서 상기 키 검출 플레이트(1100)를 절단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key detection plate (1100) is an interlock switch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so that a worker trapped in the danger zone can cut the key detection plate (1100) by pushing the door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검출 플레이트(1100)의 중간에는 예비 절단선(110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
According to paragraph 1,
An interlock switch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a preliminary cutting line (1102)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key detection plate (11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검출 플레이트(1100)는
상기 슬라이더(123)의 아암에 볼트 고정되는 체결 브래킷(1110); 및
상기 체결 브래킷(1110)에 볼트 고정되고 슬롯을 갖는 키 검출 플레이트 바디(112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key detection plate 1100 is
A fastening bracket 1110 bolted to the arm of the slider 123; and
a key detection plate body (1120) bolted to the fastening bracket (1110) and having a slot; An interlock switch assembly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23)의 후면에는 위험 구역 안에 갇힌 작업자가 상기 슬라이더(123)를 이용하여 탈출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릴리즈 레버(129)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
According to paragraph 1,
An interlock switch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a sliding release lever (129) is installed on the rear of the slider (123) so that a worker trapped in a dangerous area can escape using the slider (123).
안전 펜스(3)에 여닫이 구조로 설치된 도어(2)의 로킹과 언로킹을 수행하는 도어락 스위치(130); 위험 구역 내에서 작업자가 점검 작업을 진행하고 중에 그 작업자 외의 다른 사람이 열려 있는 상기 도어(2)를 임으로 닫지 못하게 사전에 차단함으로써 그 위험구역 안에 작업자가 갇히게 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락아웃 장치(140); 그리고 상기 도어(2)에 고정 설치되는 슬라이더 베이스(122)와, 그 슬라이더 베이스(12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123)를 구비하는 슬라이드 유닛(120); 으로 구성된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1000)에서, 작업자가 점검을 위해서 위험 구역 안으로 들어가려고 할 경우에 반드시 락아웃 키(142)를 키홀에서 빼서 소지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작업자 이외의 다른 사람이 도어(2)를 닫아서 작업자가 위험 구역 내에 갇히게 되는 비상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슬롯(1101)을 구비하는 키 검출 플레이트(1100)로서,
작업자가 점검을 위해서 위험 구역 안으로 들어가려고 도어락 스위치(130)의 락 상태를 해제한 후 슬라이더(123)를 도어 열림 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키홀(143a)에 삽입된 락아웃 키(142)의 손잡이(142a)의 방향이 슬롯(1101)에 교차하게 위치하여, 손잡이(142a)가 간섭되어 작업자가 도어(2)를 열 수 없는 구조인 반면에, 작업자가 상기 락아웃 키(142)를 90도 돌려서 키홀(143a)에 삽입된 락아웃 키(142)의 손잡이(142a)의 방향이 슬롯(1101)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경우에만, 손잡이(142a)가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도어(2)를 열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의 키 검출 플레이트.

A door lock switch (130) that performs locking and unlocking of the door (2) installed in a hinged structure on the safety fence (3); A lockout device (lockout device) that prevents a safety accident in which a worker is trapped in a hazardous area by preventing anyone other than the worker from arbitrarily closing the open door (2) while the worker is carrying out inspection work in the hazardous area. 140); And a slide unit 120 including a slider base 122 fixed to the door 2 and a slider 123 movably installed on the slider base 122; In the interlock switch assembly 1000, when the worker tries to enter the hazardous area for inspection, the worker must remove the lockout key 142 from the keyhole and carry it with him, thereby preventing anyone other than the worker from opening the door 2. A key detection plate 1100 having a slot 1101 to prevent an emergency situation in which a worker is trapped in a dangerous area by closing it,
When a worker releases the lock state of the door lock switch 130 to enter the dangerous area for inspection and then switches the slider 123 to the door-opening state, the lockout key 142 inserted into the keyhole 143a The direction of the handle 142a is positioned to cross the slot 1101, so that the handle 142a interferes and the worker cannot open the door 2. On the other hand, the worker cannot open the door 2 by pressing the lockout key 142 for 90 degrees. Only when the direction of the handle (142a) of the lockout key (142) inserted into the keyhole (143a) by turning it is positioned parallel to the slot (1101), the door (2) can be opened so that the handle (142a) does not interfere. A key detection plate of an interlock switch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allow.

KR1020220143581A 2022-11-01 2022-11-01 Inter lock switch assembly and key detecting plate KR1026053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581A KR102605323B1 (en) 2022-11-01 2022-11-01 Inter lock switch assembly and key detecting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581A KR102605323B1 (en) 2022-11-01 2022-11-01 Inter lock switch assembly and key detecting pl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5323B1 true KR102605323B1 (en) 2023-11-23

Family

ID=88974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3581A KR102605323B1 (en) 2022-11-01 2022-11-01 Inter lock switch assembly and key detecting pl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532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7500A (en) * 2006-02-23 2007-08-28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Safety switch
KR20140063405A (en) * 2012-11-15 2014-05-27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Key switch
KR101585038B1 (en) 2014-08-28 2016-01-13 주식회사 세펙트 Lock out device of interlock switch
JP2017106297A (en) * 2015-09-03 2017-06-15 エムジーアイ クーティエ エスパーニャ エセエレ Automotive equipment to be attached to automotive set, and automotive set equipped with such automotive equip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7500A (en) * 2006-02-23 2007-08-28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Safety switch
KR20140063405A (en) * 2012-11-15 2014-05-27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Key switch
KR101585038B1 (en) 2014-08-28 2016-01-13 주식회사 세펙트 Lock out device of interlock switch
JP2017106297A (en) * 2015-09-03 2017-06-15 エムジーアイ クーティエ エスパーニャ エセエレ Automotive equipment to be attached to automotive set, and automotive set equipped with such automotive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5819B1 (en) Safety switch
US5261258A (en) Padlock protector
JP4927023B2 (en) Emergency stop pushbutton switch
PT1431481E (en) Lock
EP0585220B1 (en) Lever lock
JP4520709B2 (en) Safety switch
RU2360088C2 (en) Bit-key lock
KR102605323B1 (en) Inter lock switch assembly and key detecting plate
KR19990066954A (en) Vehicle door fastener assembly
JP3711663B2 (en) External circuit handle device for circuit breaker
JP2015172270A (en) Lock preventing device
JP4665231B2 (en) Safety retainer
EA004355B1 (en) Door lock with a hook bolt
KR20130113111A (en) Locking device for door
KR200476187Y1 (en) Lock handle for doors
KR102516393B1 (en) Key safety guar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afety slide key door lock including the same
JP2001152711A (en) Door lock handle device
KR102631966B1 (en) Interlock locking device
KR100633108B1 (en) Door having double lock function
KR20120101256A (en) Locking device for door
KR102545569B1 (en) Danger area safety fence door safety switch
KR102382840B1 (en) Sliding window system equipped with a locking device
JP2008121298A (en) Door illicit opening preventing structure for vehicle
KR102457519B1 (en) Door latch assembly for heavy machinery
JP2010156104A (en) Safety f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