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5079B1 - 예술경연시스템 및 이를 수용하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예술경연시스템 및 이를 수용하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5079B1
KR102605079B1 KR1020220129427A KR20220129427A KR102605079B1 KR 102605079 B1 KR102605079 B1 KR 102605079B1 KR 1020220129427 A KR1020220129427 A KR 1020220129427A KR 20220129427 A KR20220129427 A KR 20220129427A KR 102605079 B1 KR102605079 B1 KR 102605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points
disclosure
evalu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9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도영
Original Assignee
정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도영 filed Critical 정도영
Priority to KR1020220129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0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0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4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receiving rewar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공연자가 자신의 영상을 서버에 올려놓으며, 다수의 관람자 및 다수의 광고자는 올려진 영상에 평가를 통해 후원을 하며 투자를 하여 이익을 확보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서버가 선정된 복수의 경연자 영상물을 온라인에 일정기간 노출하는 공개단계(S300); 상기 공개단계 중, 특정 영상물에 광고물을 동시 노출하는 광고단계(S400); 상기 공개단계 중/후, 관람자 또는 전문가가에 의해 영상물을 포인트로 평가하는 평가단계(S500); 상기 평가단계 후, 평가결과에 대해 포인트를 경연자 또는 관람자에게 분배하는 분배단계(S600);를 포함하는 시계열적 절차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예술경연시스템 및 이를 수용하는 기록매체 {Art contest system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본 발명은 다수의 공연자가 자신의 영상을 서버에 올려놓으며, 다수의 관람자 및 다수의 광고자는 올려진 영상에 평가를 통해 후원을 하며 투자를 하여 이익을 확보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특허발명 001 내지 004는 본 발명과 기술적 관련성이 존재하며, 특허발명 001은 오디션을 통한 광고주와 마케터의 매칭 방법을 제시하며, 특허발명 002는 오디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특허발명 003은 모바일 숏폼 동영상 기반의 오디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특허발명 004는 온라인 오디션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온라인 오디션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다.
본 발명과 특허발명 001내지 004는 다수의 공연자가 영상물을 입력하는 점이 유사하나. 특허발명 001 내지 004는 본원발명의 포인트에 의해 선정하며, 이를 투자로 연계하는 기술을 기재하거나 내재하고 있지 않다.
KR 10-2022-0118735 A (공개일자 2022년08월26일) KR 10-2022-0135011 A (공개일자 2022년10월06일) KR 10-2022-0135008 A (공개일자 2022년10월06일) KR 10-2022-0111650 A (공개일자 2022년08월09일)
본 발명은 다수의 공연자가 자신의 영상을 서버에 올려놓으며, 다수의 관람자 및 다수의 광고자는 올려진 영상에 평가를 통해 후원을 하며 투자를 하여 이익을 확보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예술경연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구체적으로 서버가 선정된 복수의 경연자 영상물을 온라인에 일정기간 노출하는 공개단계(S300); 상기 공개단계 중, 특정 영상물에 광고물을 동시 노출하는 광고단계(S400); 상기 공개단계 중/후, 관람자 또는 전문가가에 의해 영상물을 포인트로 평가하는 평가단계(S500); 상기 평가단계 후, 평가결과에 대해 포인트를 경연자 또는 관람자에게 분배하는 분배단계(S600);를 포함하는 시계열적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예술경연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공개단계 전, 관람자가 서버에 접속하는 인증단계(S110); 상기 인증단계 후, 관람자가 포인트를 구매하는 포인트 구매단계(S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예술경연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평가단계는 관람자가 선택한 영상물에 포인트를 부여하는 제1평가단계(S510); 전문가가 선택한 영상물에 포인트를 부여하는 제2평가단계(S520);를 포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예술경연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공개단계는 관람자가 어플의 스위치를 선택하여 죄회수, 포인트수, 성별, 분야를 선택하여 영상물 나열순서를 결정하는 순서결정단계(S310);를 포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예술경연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공개단계 전, 서버에 의해 오디션 개최를 공고하는 공고단계(S210); 상기 공고단계 후, 경연자가 자신의 예심영상을 서버에 올려 신청하는 신청단계(S220); 상기 신청단계 후, 대중 또는 전문가에 의해 예심영상물을 선별하는 예심선별단계(S230);를 포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예술경연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배단계는 공연자에게 분배하는 제1분배단계(S610); 상기 분배단계는 관람자에게 분배하는 제2분배단계(S620); 상기 분배단계는 전문가에게 분배하는 제3분배단계(S630);를 포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예술경연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공개단계 중, 영상물의 포인트 입력시간 분포 및 다시 듣기 횟수를 분석하여 인기도를 예측하는 인기도예측단계(S350);를 포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예술경연시스템을 운영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공연자가 자신의 영상을 통해 쉽게 오디션에 참여할 수 있으며, 공연자, 관람자, 평가자 및 광고자가 평가 및 광고를 통해 이익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예술 경연시스템에 대한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의 인용번호는 지정번호에 한정하지 않으며, 모든 번호를 인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제시된 구성은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으로 확대될 수 있다. 실시예에 제시된 구성의 하위개념은 직접기재 하지 않아도 내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예술경연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구체적으로 서버(100)가 선정된 복수의 경연자(501) 영상물(200)을 온라인에 일정기간 노출하는 공개단계(S300); 상기 공개단계 중, 특정 영상물에 광고물(300)을 동시 노출하는 광고단계(S400); 상기 공개단계 중/후, 관람자(502) 또는 전문가(503)가에 의해 영상물을 포인트(400)로 평가하는 평가단계(S500); 상기 평가단계 후, 평가결과에 대해 포인트를 경연자 또는 관람자에게 분배하는 분배단계(S600);를 포함하는 시계열적 단계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1-2] 본 발명은 예술경연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영상물은 동영상 파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은 예술경연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영상물은 노래, 연주, 무용, 발레, 춤, 코미디,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은 예술경연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평가단계는 복수의 평가가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예술경연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서버에 내장된 프로그램과 다수의 관람자들 휴대용 기기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재능이 있는 다수의 경연자는 자신의 특기(노래, 연주, 무용, 댄스, 발레, 코미디 등)가 저장된 영상물을 서버에 올려놓으며, 다수의 광고자는 자신의 홍보자료를 서버에 저장한다. 서버 및 관리자는 영상물과 홍보자료를 동시에 올리게 된다.
다수의 관람자가 인터넷 환경에서 다수의 경연 영상물을 관람하고, 평가하게 되며, 평가결과에 따라 광고수익의 일부분을 경연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관람자도 자신의 평가에 따라 광고수익의 일부분을 분배 받는다.
이러한 과정은 영상물을 노출하는 공개단계, 공개단계 중, 영상물에 광고물을 노출하는 광고단계, 관람자 또는 전문가에 의해 영상물을 평가하는 평가단계, 평가단계 후, 결과에 따라 포인트를 분배하는 분배단계의 시계열적 절차로 이루어진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공개단계는 복수의 절차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100면 선정, 50명선정, 10명 선정, 5명 선정, 최종 1등 선정 등의 절차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예술경연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공개단계 전, 관람자가 서버에 접속하는 인증단계(S110); 상기 인증단계 후, 관람자가 포인트를 구매하는 포인트 구매단계(S120);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은 예술경연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인증단계는 생체인증, 비밀번호인증, 패턴인증, OTP인증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은 예술경연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생체인증은 지문, 홍체, 얼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은 예술경연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구매단계는 관람자에 따라 포인트 구매한도가 한정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5] 본 발명은 예술경연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구매단계는 유료구매 또는 무료구매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관람자의 인증단계 및 포인트 구매단계를 구체화한다. 관람자는 다수의 영상물을 관람한 후, 영상물을 평가할 수 있으며, 관람자는 자신의 보유 포인트로 영상물에 포인트를 부여하여 영상물을 평가한다. 상기 포인트는 광고수익으로 얻어진 전체이익 중 비율에 맞게 다시 환급되어 관람자에게 투자이익이 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관람자의 인증절차가 요구된다. 상기 인증단계후, 서버에서 포인트를 구매할 수 있다.
인증방식은 지문 및 홍체를 이용한 생체인증, 비밀번호 및 패턴을 이용한 인증, OTP를 이용한 인증이 다양하게 사용되며, 상기 인증방식은 하나 또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매단계는 현급이체, 신용카드이체 등을 활용하여, 자신의 계정에 포인트를 충전할 수 있으며, 자신의 충전포인트를 이용하여 영상물에 투자할 수 있다. 즉, 투자와 평가가 동시에 구현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예술경연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평가단계는 관람자가 선택한 영상물에 포인트를 부여하는 제1평가단계(S510); 전문가가 선택한 영상물에 포인트를 부여하는 제2평가단계(S520);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은 예술경연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관람자 및 전문가의 포인트 수는 구분하여 평가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평가단계를 구체화한다. 영상물에 대한 평가는 2원화 된다. 관람자들에 의한 평가 및 전문가에 의한 평가로 구분된다.
상기 평가는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거나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관람자 및 전문가들에 대한 평가는 포인트로 이루어지며, 관람자 및 전문가가 사용하는 포인트 수는 상이하게 배정된다.
상기 전문가들은 서버 및 관리자에 의해 섭외되며, 섭외받은 전문가는 서버에 의해 일정수량의 포인트를 무상으로 지급받으며, 자신이 받은 포인트를 공연자들의 영상에 배정할 수 있다.
전문가들의 포인트는 광고수익으로부터 이익으로 환수 받거나 또는 기부될 수 있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예술경연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공개단계는 관람자가 어플의 스위치를 선택하여 조회수, 포인트수, 성별, 분야를 선택하여 영상물 나열순서를 결정하는 순서결정단계(S310);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은 예술경연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공개단계 중, 관람자 또는 전문가에 의해 영상물의 평가를 글로 기록하는 댓글단계(S320);를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은 예술경연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댓글단계 중 서버 또는 관리자에 의해 댓글의 일부를 삭제하는 댓글삭제단계(S330);를 포함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은 예술경연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공개단계 중, 관람수를 집계하여 공개영상에 표식을 나타내는 표식표출단계(S3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공개단계의 순서결정단계를 구체화한다. 서버에 내장된 다수의 영상물에 대하여, 관람자는 자신의 단말기로 자신이 원하는 순서로 공연물의 순서를 정할 수 있다.
이는 자신의 단말기 어플을 이용하여, 성별, 나이별, 포인트별, 죄회수별, 분야별을 특정하여, 영상물을 관람한다. 또한 영상물에 대하여 댓글을 올릴 수 있으며, 올려진 댓글은 서버 및 관리자에 의해 일부 삭제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다수의 표식을 영상물에 부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최대 조회수, 최대 포인트 수 등에 대한 표식을 설정하여, 영상물에 노출시킬 수 있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예술경연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공개단계 전, 서버에 의해 오디션 개최를 공고하는 공고단계(S210); 상기 공고단계 후, 경연자가 자신의 예심영상을 서버에 올려 신청하는 신청단계(S220); 상기 신청단계 후, 대중 또는 전문가에 의해 예심영상물을 선별하는 예심선별단계(S230);를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은 예술경연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신청단계 중, 영상물의 분류를 선택하는 제1선택단계(S221);를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은 예술경연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신청단계 중, 경연자의 경력을 선택하는 제2선택단계(S222);를 포함한다.
[실시예 5-4] 본 발명은 예술경연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신청단계 후, 서버에 의해 영상 및 신청자의 적합을 판단하는 제1방식심사단계(S223);를 포함한다.
[실시예 5-5] 본 발명은 예술경연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신청단계 후, 관리자에 의해 영상 및 신청자의 적합을 판단하는 제2방식심사단계(S224);를 포함한다.
[실시예 5-6] 본 발명은 예술경연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예심선별단계는 서버에 저장된 경연자 들의 다수 영상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나열하는 예심공개단계(S231);를 포함한다.
[실시예 5-7] 본 발명은 예술경연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예심공개단계 중 관람자의 관람횟수 및 가점 및 감점포인트를 실시간으로 집계하는 예심심사단계(S23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공개단계에 앞서서, 사전심사단계를 구체화한다. 서버는 오디션 개최에 대하여 공고를 공지하며, 다수의 공연자들이 공고를 확인하고, 자신의 영상을 입력하여 신청하며, 수많은 영상물에 대하여 예심을 통해 일부 선정단계를 구현한다.
영상물을 서버에 올리기 위해, 공연자의 경력, 나이, 성별 등을 올릴 수 있으며, 또한 영상물의 종류를 카테고리에 맞게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6세 여성이 기타연주를 올리기 위해, 서버에 자신의 인적사항을 기록한후, 자신의 기타연주 영상을 서버에 업로드한다. 서버는 다수의 신청서류에 대하여 1차 및 2차에 걸쳐 방식심사를 한다. 지원자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고, 또는 영상의 분량 등을 제한하는 2차방식심사단계를 구현할 수 있다. 1, 2차 방식에 통과된 영상물은 일정기간 공개된 상태에 놓이며, 다수의 관람자가 우수한 영상물을 선정하며, 선정된 영상물은 순위에 따라 공개단계로 진입된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예술경연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분배단계는 공연자에게 분배하는 제1분배단계(S610); 상기 분배단계는 관람자에게 분배하는 제2분배단계(S620); 상기 분배단계는 전문가에게 분배하는 제3분배단계(S630);를 포함한다.
[실시예 6-2] 본 발명은 예술경연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제1분배단계 및 제2분배단계는 포인트에 따라 차등으로 분배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6-3] 본 발명은 예술경연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분배단계 후, 상기 포인트를 현금으로 환전하는 환전단계(S7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분배단계를 구체화한다. 분배단계는 공연자, 관람자, 전문가에게 분배된다. 공연물이 높은 인기를 얻게 되어 포인트가 많이 쌓이게 되면, 광고자는 포인트 수에 맞게 광고비용을 지불하게 된다. 광고자로부터 얻어진 수익은 공연자, 관람자, 전문가에게 비율에 맞게 분배되며, 상기 분배된 포인트는 환전단계를 거쳐 현금화를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 7-1] 본 발명은 예술경연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공개단계 중, 영상물의 포인트 입력시간 분포 및 다시 듣기 횟수를 분석하여 인기도를 예측하는 인기도예측단계(S3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인기도예측단계를 구체화한다. 공연물이 상영되는 시간 중, 관람자로부터 득하게 되는 포인트 량과 시간을 표로 나타내며, 이는 영상물 인기도 판단의 데이터로 활용한다.
[실시예 8-1] 예술경연운용프로그램에 대한 것이며, 앞에서 제시한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기록하는 기록매체에 대한 것이다.
100 : 서버
200 : 영상물
300 : 광고물
400 : 포인트
501 : 경연자
502 : 관람자
503 : 전문가

Claims (8)

  1. 예술경연시스템에 있어서,
    서버가 선정된 복수의 경연자 영상물을 온라인에 일정기간 노출하는 공개단계(S300);
    상기 공개단계(S300) 중, 특정 영상물에 광고물을 동시 노출하는 광고단계(S400);
    상기 공개단계(S300) 중/후, 관람자 또는 전문가에 의해 영상물을 포인트로 평가하는 평가단계(S500);
    상기 평가단계(S500) 후, 평가결과에 대해 포인트를 경연자 또는 관람자에게 분배하는 분배단계(S600);를 포함하고,
    상기 평가단계(S500)는,
    관람자가 선택한 영상물에 포인트를 부여하는 제1평가단계(S510); 및 전문가가 선택한 영상물에 포인트를 부여하는 제2평가단계(S520);를 포함하며,
    상기 공개단계(S300)는 관람자가 어플의 스위치를 선택하여 조회수, 포인트수, 성별, 분야를 선택하여 영상물 나열순서를 결정하는 순서결정단계(S310);를 포함하고,
    상기 공개단계(S300) 중, 관람자 또는 전문가에 의해 영상물의 평가를 글로 기록하는 댓글단계(S320); 및 상기 댓글단계(S320) 중 서버 또는 관리자에 의해 댓글의 일부를 삭제하는 댓글 삭제단계(S330);를 포함하며,
    상기 공개단계(S300) 전, 서버에 의해 오디션 개최를 공고하는 공고단계(S210);
    상기 공고단계(S210) 후, 경연자가 자신의 예심영상을 서버에 올려 신청하는 신청단계(S220);
    상기 신청단계(S220) 후, 대중 또는 전문가에 의해 예심영상물을 선별하는 예심선별단계(S230);를 포함하고,
    상기 신청단계(S220) 중, 영상물의 분류를 선택하는 제1선택단계(S221);
    상기 신청단계(S220) 중, 경연자의 경력을 선택하는 제2선택단계(S222);
    상기 신청단계(S220) 후, 서버에 의해 영상 및 신청자의 적합을 판단하는 제1방식 심사단계(S223);
    상기 신청단계(S220) 후, 관리자에 의해 영상 및 신청자의 적합을 판단하는 제2방식 심사단계(S224);를 포함하는 예술경연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개단계 전, 관람자가 서버에 접속하는 인증단계(S110);
    상기 인증단계 후, 관람자가 포인트를 구매하는 포인트 구매단계(S120);
    를 포함하는 예술경연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배단계는 공연자에게 분배하는 제1분배단계(S610);
    상기 분배단계는 관람자에게 분배하는 제2분배단계(S620);
    상기 분배단계는 전문가에게 분배하는 제3분배단계(S630);
    를 포함하는 예술경연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개단계 중, 영상물의 포인트 입력시간 분포 및 다시 듣기 횟수를 분석하여 인기도를 예측하는 인기도예측단계(S350);
    를 포함하는 예술경연시스템.
  8. 예술경연운용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청구항 1, 2, 6 및 7 중 어느 한 항의 예술경연 운영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기록하는 기록매체.
KR1020220129427A 2022-10-11 2022-10-11 예술경연시스템 및 이를 수용하는 기록매체 KR102605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9427A KR102605079B1 (ko) 2022-10-11 2022-10-11 예술경연시스템 및 이를 수용하는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9427A KR102605079B1 (ko) 2022-10-11 2022-10-11 예술경연시스템 및 이를 수용하는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5079B1 true KR102605079B1 (ko) 2023-11-24

Family

ID=88972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9427A KR102605079B1 (ko) 2022-10-11 2022-10-11 예술경연시스템 및 이를 수용하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507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8608A (ko) * 2001-12-12 2003-06-25 고타로 후지노 아티스트 지원 중개 시스템
KR20200123664A (ko) * 2019-04-22 2020-10-30 주식회사 투플렌 광고 수익금 배분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111650A (ko) 2021-02-02 2022-08-09 주식회사 이룬아이티 온라인 오디션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온라인 오디션 시스템
KR20220118735A (ko) 2021-02-19 2022-08-26 김동욱 오디션을 통한 광고주와 마케터의 매칭 방법
KR20220135008A (ko) 2021-03-29 2022-10-06 주식회사 위시모바일 모바일 숏폼 동영상 기반의 오디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20135011A (ko) 2021-03-29 2022-10-06 주식회사 위시모바일 오디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8608A (ko) * 2001-12-12 2003-06-25 고타로 후지노 아티스트 지원 중개 시스템
KR20200123664A (ko) * 2019-04-22 2020-10-30 주식회사 투플렌 광고 수익금 배분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111650A (ko) 2021-02-02 2022-08-09 주식회사 이룬아이티 온라인 오디션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온라인 오디션 시스템
KR20220118735A (ko) 2021-02-19 2022-08-26 김동욱 오디션을 통한 광고주와 마케터의 매칭 방법
KR20220135008A (ko) 2021-03-29 2022-10-06 주식회사 위시모바일 모바일 숏폼 동영상 기반의 오디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20135011A (ko) 2021-03-29 2022-10-06 주식회사 위시모바일 오디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7054B2 (en) Online entertainment network for user-contributed content
US20110300916A1 (en) Multi-Level Competition/Game, Talent, and Award Show Productions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US6961714B1 (en) Method of quantifying royalty owner rights
KR101857926B1 (ko) 연예인의 인기도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화폐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080097826A1 (en) Demand aggregation for future items contingent upon threshold demand
US20070129956A1 (en) Method for selecting media products
US2009000618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mand aggregation for proposed future items
US201001216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 development
US20080103878A1 (en) Determined rights and forward obligations for future items
US20080195459A1 (en) Method for evaluating media products for purposes of third-party association
US20080097825A1 (en) System and methods for proposing future items contingent upon threshold demand
US20070250878A1 (en) Interactive system for conducting contest
US20070237502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portal to web site for establishing personal relationship with another party
WO2008028188A2 (en) Demand aggregation for future items contingent upon threshold demand
US2010006388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ducing an entertainment product
Cusic Music in the Market
US200702658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hysician to interview and dispense directly prescription to patient that is at location remote from physician
KR102257742B1 (ko) 팬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605079B1 (ko) 예술경연시스템 및 이를 수용하는 기록매체
US20070250374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conduct contest under equivalent recording conditions
US20080021774A1 (en) Media popularity contest method
Sonnabend Pricing
US20070250879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conduct a contest utilizing a booth that provides a control card both to activate a contest recording and to define contest rules
US20080140513A1 (en) Consumer driven product analysis and production system
Austin The construc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American disc jockey occupation, 1950-1993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