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906B1 -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906B1
KR102604906B1 KR1020210052050A KR20210052050A KR102604906B1 KR 102604906 B1 KR102604906 B1 KR 102604906B1 KR 1020210052050 A KR1020210052050 A KR 1020210052050A KR 20210052050 A KR20210052050 A KR 20210052050A KR 102604906 B1 KR102604906 B1 KR 102604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sound
augmented reality
beacon
frequency
ma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5475A (ko
Inventor
최진영
김현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셈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셈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셈블
Priority to KR1020210052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906B1/ko
Publication of KR20220145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9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 G01S2201/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environments
    • G01S2201/02Indoor positioning, e.g. in covered car-parks, mining facilities, warehou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04Mark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기 설정된 지오펜스 영역 내에 설치되고,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고주파음을 송출하는 비콘, 송출되는 고주파음을 수신하고, GPS 정보를 획득하며, 고주파음 및 GPS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요청을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 및 콘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하고, 고주파음 및 GPS 정보에 기반하여 지오펜스 영역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를 추출하고, 추출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및 시스템{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COMPUTING DEVICE AND SYSTEM FOR EXECUTING THE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는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기술과 관련된다.
지오펜스(Geofence)란 지구 또는 토양이라는 뜻을 나타내는 접두어 Geo와 울타리를 의미하는 fence가 결합한 단어로서, 실제 지형에 구획된 가상의 영역을 의미한다. 지오펜스 기술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WiFi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와 결합하여 가상의 영역을 구획하게 되며, 사용자의 위치나 출입 정보를 획득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종래의 지오펜스를 이용한 지역 특화 콘텐츠 제공 서비스는 사용자들이 해당 지역에 접근할 때 마케팅 정보를 전송하는 등의 활용 사례가 많아 스팸 정보로 여겨지는 한계가 있다. 또한, 마커를 통한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 AR)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 마커에 콘텐츠가 물려 있어 특정 장소에서만 제공될 수 있도록 제한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마커가 훼손된 경우, 마커가 제대로 인식되지 않아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데 제한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71444호(2012.07.03)
본 발명은 사용자의 위치에 맞는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기 설정된 지오펜스 영역 내에 설치되고,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고주파음을 송출하는 비콘; 상기 송출되는 고주파음을 수신하고, GPS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고주파음 및 상기 GPS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요청을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콘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고주파음 및 상기 GPS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지오펜스 영역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를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비콘은, 상기 지오펜스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고주파음을 송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비콘은, 건물 실내에 설치되고, 상기 건물 벽의 재질, 상기 건물 벽의 두께, 상기 건물 내 실내의 천장 높이, 및 인접한 다른 비콘과의 이격 거리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주파수 대역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비콘은, 상기 고주파음을 기 설정된 단위 시간마다 음파의 패턴을 다르게 하여 송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GPS 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거시적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고주파음을 주파수 분석하여 상기 고주파음의 주파수 대역을 확인하며, 상기 주파수 대역과 매칭되어 있는 지오펜스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증강 현실에 표시될 객체의 마커를 촬영하여 마커 촬영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마커 촬영 영상을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마커 촬영 영상에서 마커가 존재하는 마커 영역을 검출하고, 기 저장된 마커들 중 상기 마커 영역에서 인식되는 마커와 가장 유사한 마커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이동 형태를 분석하여 이동 형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이동 형태 정보를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GPS 정보 및 상기 고주파음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지오펜스 영역을 검출하고, 기 저장된 증강 현실 콘텐츠들 중 상기 검출한 지오펜스 영역과 대응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들을 1차 추출하며, 1차 추출한 증강 현실 콘텐츠들 중 상기 검출된 마커와 매칭되는 증강 현실 콘텐츠들을 2차 추출하고, 2차 추출한 증강 현실 콘텐츠들 중 상기 이동 형태 정보와 대응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는 컴퓨팅 장치로서, 기 설정된 지오펜스 영역 내에 설치되는 비콘이 송출하는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고주파음을 수신하는 마이크로폰; 복수 개의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반하여 GPS 정보를 획득하는 GPS 모듈; 및 상기 고주파음 및 상기 GPS 정보를 콘텐츠 제공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고주파음 및 상기 GPS 정보에 대응하는 지오펜스 영역의 증강 현실 콘텐츠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증강 현실에 표시될 객체의 마커를 촬영하여 마커 촬영 영상을 획득하는 촬영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마커 촬영 영상을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사용자의 이동 형태를 분석하여 이동 형태 정보를 생성하는 이동 형태 분석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이동 형태 정보를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고주파음, 상기 GPS 정보, 상기 마커 촬영 영상, 및 상기 이동 형태 정보에 기반하여 추출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개시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는 컴퓨팅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고주파음 및 GPS 정보를 수신하고,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고주파음 및 상기 GPS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지오펜스 영역을 검출하는 위치 검출 모듈; 및 상기 고주파음 및 상기 GPS 정보에 대응하는 지오펜스 영역의 증강 현실 콘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통신 모듈로 전달하는 콘텐츠 추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고주파음은, 기 설정된 지오펜스 영역 내에 설치되는 비콘이 송출하는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고주파음이다.
상기 위치 검출 모듈은, 상기 GPS 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거시적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고주파음을 주파수 분석하여 상기 고주파음의 주파수 대역을 확인하며, 상기 주파수 대역과 매칭되어 있는 지오펜스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증강 현실에 표시될 객체의 마커를 촬영한 마커 촬영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마커 촬영 영상에서 마커가 존재하는 마커 영역을 검출하고, 기 저장된 마커들 중 상기 마커 영역에서 인식되는 마커와 가장 유사한 마커를 검출하는 마커 인식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이동 형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콘텐츠 추출 모듈은, 기 저장된 증강 현실 콘텐츠들 중 상기 검출한 지오펜스 영역과 대응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들을 1차 추출하며, 1차 추출한 증강 현실 콘텐츠들 중 상기 검출된 마커와 매칭되는 증강 현실 콘텐츠들을 2차 추출하고, 2차 추출한 증강 현실 콘텐츠들 중 상기 이동 형태 정보와 대응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상기 통신 모듈로 전달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기 설정된 지오펜스 영역 내에 설치되는 비콘이 송출하는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고주파음을 수신하는 동작; 복수 개의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반하여 GPS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고주파음 및 상기 GPS 정보를 콘텐츠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동작; 및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고주파음 및 상기 GPS 정보에 대응하는 지오펜스 영역의 증강 현실 콘텐츠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개시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고주파음 및 GPS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고주파음 및 상기 GPS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지오펜스 영역을 검출하는 동작; 상기 고주파음 및 상기 GPS 정보에 대응하는 지오펜스 영역의 증강 현실 콘텐츠를 추출하는 동작; 및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고주파음은, 기 설정된 지오펜스 영역 내에 설치되는 비콘이 송출하는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고주파음이다.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비콘에서 송출하는 고주파음 및 GPS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지오펜스 영역을 구분함으로써, 실내와 같이 GPS 정보만으로는 지오펜스 영역을 구분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지오펜스 영역을 정확하게 구분하여 그에 맞는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오펜스 영역, 인식된 마커, 및 사용자의 이동 형태에 따라 증강 현실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동일한 실내에서도 각 공간 및 사용자의 이동 형태에 따라 그에 적합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 기반의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4)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버(106)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 기반의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발명의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근거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 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 기반의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비콘(102), 사용자 단말(104), 및 콘텐츠 제공 서버(106)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4) 및 콘텐츠 제공 서버(106)는 통신 네트워크(150)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통신 네트워크(150)는 인터넷, 하나 이상의 로컬 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s),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s), 셀룰러 네트워크, 모바일 네트워크, 그 밖에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들, 또는 이러한 네트워크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비콘(102)은 기 설정된 지오펜스 영역 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비콘(102)은 그 설치된 영역에 따라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고주파음을 송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비콘(102)은 가청 주파수 대역 이상의 고주파음을 송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비콘(102)은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고주파음을 송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비콘(102)은 실내에서 기 설정된 지오펜스 영역 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실내는 박물관, 미술관, 테마 파크, 체험관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콘(102)은 실내에서 층별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고주파음을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비콘(102)은 동일한 층이라 하더라도 각 지오펜스 영역(예를 들어, 각 방(Room)) 마다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고주파음을 송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층의 1번 구역에 설치된 비콘(102)은 23.8kMHz의 고주파음을 송출하고, 1층의 2번 구역에 설치된 비콘(102)은 25.5 kMHz의 고주파음을 송출하며, 2층의 3번 구역에 설치된 비콘(102)은 28.4 kMHz의 고주파음을 송출할 수 있다.
비콘(102)이 실내에 설치된 경우, 실내에서는 GPS에 의한 위치 오차가 증가하므로, 실내에서 특정 영역을 구분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이에 개시되는 실시예에서는, 비콘(102)이 지오펜스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고주파음을 송출하도록 함으로써, 실내에서 각 비콘(102)이 설치된 영역을 구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비콘(102)이 실내에 설치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비콘(102)은 실외에 설치될 수도 있다.
비콘(102)에서 송출하는 고주파음은 비콘(102)이 설치되는 장소의 건물 벽 재질 및 두께, 천장 높이, 및 인접한 다른 비콘(102)과의 이격 거리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최적의 주파수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비콘(102)은 고주파음을 기 설정된 단위 시간(예를 들어, 1초)마다 음파의 패턴을 다르게 하여 송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비콘(102)에서 송출되는 고주파음을 통해 원 타임 패스워드(One Time Password)를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4)의 해당 지오펜스 영역의 출입 시간을 인증하거나 해당 시간 대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4)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4)은 비콘(102)으로부터 송출되는 고주파음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4)은 사용자 단말(104)의 GPS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4)은 사용자의 이동 형태를 분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4)은 증강 현실에 표시될 객체의 마커를 촬영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4)은 고주파음, GPS 정보, 마커 촬영 영상, 및 사용자의 이동 형태 정보를 콘텐츠 제공 서버(106)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4)은 콘텐츠 제공 서버(106)로부터 증강 현실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4)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4)은 통신 모듈(111), 마이크로폰(113), GPS 모듈(115), 촬영 모듈(117), 이동 형태 분석 모듈(119), 및 콘텐츠 출력 모듈(121)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1)은 콘텐츠 제공 서버(106)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통신 모듈(111)은 콘텐츠 제공 서버(106)로 콘텐츠 제공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요청에는 고주파음, GPS 정보, 마커 촬영 영상, 및 사용자의 이동 형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주파음, GPS 정보, 마커 촬영 영상, 및 사용자의 이동 형태 정보가 각각 콘텐츠 제공 서버(106)로 송신될 수도 있다. 통신 모듈(111)은 콘텐츠 제공 서버(106)로부터 증강 현실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13)은 비콘(102)으로부터 송출되는 고주파음을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13)은 사용자 단말(104)이 위치하는 영역에 설치된 비콘(102)으로부터 송출되는 고주파음을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13)은 수신한 고주파음을 통신 모듈(111)로 전달할 수 있다.
GPS 모듈(115)은 사용자 단말(104)의 GPS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GPS 모듈(115)은 복수 개의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104)의 위치에 대한 GPS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GPS 정보는 사용자 단말(104)의 위치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GPS 모듈(115)은 GPS 정보를 통신 모듈(111)로 전달할 수 있다.
촬영 모듈(117)은 증강 현실에 표시될 객체의 마커를 촬영할 수 있다. 즉, 비콘(102)이 설치된 영역에는 하나 이상의 마커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마커는 비콘(102)이 설치된 영역에서 객체에 부착되거나 객체의 인근에 부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마커는 QR 코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커는 객체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 모듈(117)은 마커 촬영 영상을 통신 모듈(111)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마커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마커는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의 성별, 나이 등) 및 주변 환경 정보(날씨, 건물 유형, 행사 유형 등)에 따라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동 형태 분석 모듈(119)은 사용자의 이동 형태를 분석할 수 있다. 이동 형태 분석 모듈(119)은 가속도 센서(예를 들어, 3축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형태 분석 모듈(119)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집된 센싱 값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이동 형태를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이동 형태는 정지(Stop), 걸음(Walk), 뜀(Run) 등이 될 수 있다. 즉, 이동 형태 분석 모듈(119)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집된 센싱 값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정지해 있는지, 걷고 있는지, 뛰고 있는지 등에 대한 이동 형태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형태 분석 모듈(119)은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10초) 동안 가속도 센서의 x축 센싱 값 및 y축 센싱 값을 획득하고, x축 센싱 값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를 기 설정된 제1 임계값과 비교하고, y축 센싱 값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를 기 설정된 제2 임계값과 비교하여 사용자의 이동 형태를 분석할 수 있다. 이동 형태 분석 모듈(119)은 사용자의 이동 형태 정보를 통신 모듈(111)로 전달할 수 있다.
콘텐츠 출력 모듈(121)은 콘텐츠 제공 서버(106)로부터 수신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콘텐츠 출력 모듈(121)은 사용자 단말(104)을 통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콘텐츠 출력 모듈(121)은 사용자 단말(104)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콘텐츠 제공 서버(106)는 사용자 단말(104)로부터 콘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서버(106)는 기 저장된 증강 현실 콘텐츠들 중 콘텐츠 제공 요청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서버(106)는 추출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104)로 송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버(106)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콘텐츠 제공 서버(106)는 통신 모듈(131), 위치 검출 모듈(133), 마커 인식 모듈(135), 및 콘텐츠 추출 모듈(137)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31)은 사용자 단말(104)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모듈(131)은 사용자 단말(104)로부터 콘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요청에는 고주파음, GPS 정보, 마커 촬영 영상, 및 사용자의 이동 형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통신 모듈(131)은 증강 현실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104)로 송신할 수 있다.
위치 검출 모듈(133)은 사용자 단말(104)로부터 수신한 고주파음 및 GPS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104)이 위치한 지오펜스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 검출 모듈(133)은 GPS 정보를 통해 사용자 단말(104)이 위치한 대략적 위치 또는 거시적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4)이 건물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4)이 위치하는 건물을 확인할 수 있다. 위치 검출 모듈(133)은 고주파음을 통해 해당 건물 내에서 사용자 단말(104)이 위치한 지오펜스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위치 검출 모듈(133)은 고주파음을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하여 주파수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푸리에 변환을 수행하여 고주파음을 시간 영역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주파음에 대해 주파수 분석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위치 검출 모듈(133)은 푸리에 변환된 고주파음에서 크기(amplitude)가 가장 큰 주파수 대역을 해당 고주파음의 주파수 대역으로 선택할 수 있다. 위치 검출 모듈(133)은 고주파음의 주파수 대역과 매칭되어 있는 지오펜스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주파음의 주파수 대역이 23.8kMHz인 경우, 위치 검출 모듈(133)은 사용자 단말(104)이 위치한 지오펜스 영역이 해당 건물의 1층 1번 구역인 것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고주파음의 주파수 대역이 25.5 kMHz인 경우, 위치 검출 모듈(133)은 사용자 단말(104)이 위치한 지오펜스 영역이 해당 건물의 1층 2번 구역인 것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고주파음의 주파수 대역이 28.4 kMHz인 경우, 위치 검출 모듈(133)은 사용자 단말(104)이 위치한 지오펜스 영역이 해당 건물의 2층 3번 구역인 것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104)로부터 수신한 고주파음 및 GPS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4)이 위치한 지오펜스 영역을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게 된다.
마커 인식 모듈(135)은 사용자 단말(104)로부터 수신한 마커 촬영 영상으로부터 마커를 인식할 수 있다. 마커 인식 모듈(135)은 마커 촬영 영상에서 마커가 존재하는 마커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마커 인식 모듈(135)은 검출된 마커 영역에서 마커를 분류하여 인식할 수 있다. 마커 인식 모듈(135)은 기 저장된 마커들 중 마커 영역에서 인식된 마커와 가장 유사한 마커를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커가 훼손되어 있더라도 인식 오류를 줄여 마커 촬영 영상에서 마커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마커 인식 모듈(135)은 마커 촬영 영상에서 마커를 인식하기 위해 머신 러닝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마커 인식 모듈(135)은 인공 지능 모델(135a)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지능 모델(135a)은 마커 촬영 영상이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마커 촬영 영상에 포함된 마커를 분류하여 인식하도록 학습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인공 지능 모델(135a)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모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모델 등 그 이외의 다양한 인공 지능 모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콘텐츠 추출 모듈(137)은 위치 검출 모듈(133)이 검출한 지오펜스 영역, 마커 인식 모듈(135)이 인식한 마커, 및 사용자 단말(104)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이동 형태 정보 중 하나 이상에 따라 기 저장된 증강 현실 콘텐츠들 중 사용자 단말(104)로 제공할 증강 현실 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추출 모듈(137)은 기 저장된 증강 현실 콘텐츠들 중 위치 검출 모듈(133)이 검출한 지오펜스 영역과 대응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들을 1차 추출할 수 있다. 콘텐츠 추출 모듈(137)은 1차 추출한 증강 현실 콘텐츠들 중 마커 인식 모듈(135)이 인식한 마커와 매칭되는 증강 현실 콘텐츠들을 2차 추출할 수 있다. 콘텐츠 추출 모듈(137)은 2차 추출한 증강 현실 콘텐츠들 중 사용자의 이동 형태와 대응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104)로 제공할 최종 증강 현실 콘텐츠로 선택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비콘(102)에서 송출하는 고주파음 및 GPS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4)이 위치한 지오펜스 영역을 구분함으로써, 실내와 같이 GPS 정보만으로는 지오펜스 영역을 구분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지오펜스 영역을 정확하게 구분하여 그에 맞는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오펜스 영역, 인식된 마커, 및 사용자의 이동 형태에 따라 증강 현실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동일한 실내에서도 각 공간 및 사용자의 이동 형태에 따라 그에 적합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 기반의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시된 흐름도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4)은 비콘(102)에서 송출하는 고주파음을 획득한다(S 101). 사용자 단말(104)은 마이크로폰(113)을 통해 사용자 단말(104)이 위치하는 지오펜스 영역에 설치된 비콘(102)에서 송출되는 고주파음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104)은 사용자 단말(104)의 GPS 정보를 획득한다(S 103). 사용자 단말(104)은 복수 개의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104)의 위치에 대한 GPS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104)은 증강 현실로 표시하고자 하는 객체의 마커를 촬영하여 마커 촬영 영상을 획득한다(S 105). 마커는 객체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104)은 사용자의 이동 형태 정보를 생성한다(S 107). 사용자 단말(104)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집된 센싱 값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이동 형태를 분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104)은 고주파음, GPS 정보, 마커 촬영 영상, 및 사용자의 이동 형태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요청을 콘텐츠 제공 서버(106)로 송신한다(S 109).
다음으로, 콘텐츠 제공 서버(106)는 사용자 단말(104)로부터 수신한 고주파음 및 GPS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104)이 위치한 지오펜스 영역을 확인한다(S 111).
다음으로, 콘텐츠 제공 서버(106)는 사용자 단말(104)로부터 수신한 마커 촬영 영상으로부터 마커를 인식한다(S 113). 콘텐츠 제공 서버(106)는 인공 지능 모델(135a)을 통해 마커 촬영 영상에서 마커 영역을 검출하고, 마커 영역에서 마커를 분류하여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콘텐츠 제공 서버(106)는 사용자 단말(104)이 위치한 지오펜스 영역, 마커 촬영 영상으로부터 인식한 마커, 및 사용자 단말(104)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이동 형태 정보 중 하나 이상에 따라 기 저장된 증강 현실 콘텐츠들 중 사용자 단말(104)로 제공할 증강 현실 콘텐츠를 추출한다(S 115).
다음으로, 콘텐츠 제공 서버(106)는 추출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104)로 제공한다(S 117). 그러면, 사용자 단말(104)에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출력하여 표시하게 된다(S 119).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10)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컴퓨팅 환경(10)은 컴퓨팅 장치(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2)는 사용자 단말(104)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2)는 콘텐츠 제공 서버(106)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 및 통신 버스(1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는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프로그램(20)은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1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18)는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컴퓨팅 장치(1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는 통신 버스(18)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2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컴퓨팅 장치(12)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장치(1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12)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12)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컴퓨팅 환경
12 컴퓨팅 장치
14 프로세서
16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18 통신 버스
20 프로그램
22 입출력 인터페이스
24 입출력 장치
26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
100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
102 비콘
104 사용자 단말
106 콘텐츠 제공 서버
111 통신 모듈
113 마이크로폰
115 GPS 모듈
117 촬영 모듈
119 이동 형태 분석 모듈
121 콘텐츠 출력 모듈
131 통신 모듈
133 위치 검출 모듈
135 마커 인식 모듈
135a 인공 지능 모델
137 콘텐츠 추출 모듈

Claims (19)

  1. 실내에서 기 설정된 지오펜스 영역 내에 설치되고,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고주파음을 송출하는 비콘;
    송출되는 상기 고주파음을 수신하고, GPS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고주파음 및 상기 GPS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요청을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콘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고주파음 및 상기 GPS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지오펜스 영역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를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비콘이 건물의 상기 실내의 제1 구역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고주파음은 제1 주파수 대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비콘이 상기 실내의 제2 구역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고주파음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제2 주파수 대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고주파음을 기초로 상기 비콘이 설치된 영역을 구분하고,
    상기 고주파음의 주파수 대역은 상기 비콘이 설치된 장소의 벽의 재질, 벽의 두께, 천장 높이 및 상기 비콘과 인접한 다른 비콘과의 이격 거리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결정되고,
    상기 비콘은 상기 고주파음을 기 설정된 단위 시간마다 음파의 패턴을 다르게 하여 송출하고, 송출되는 상기 고주파음을 기초로 원 타임 패스워드를 구현하고, 구현된 상기 원 타임 패스워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지오펜스 영역에 대한 출입 시간 인증에 이용되도록 구성되는,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GPS 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거시적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고주파음을 주파수 분석하여 상기 고주파음의 주파수 대역을 확인하며, 상기 주파수 대역과 매칭되어 있는 지오펜스 영역을 검출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증강 현실에 표시될 객체의 마커를 촬영하여 마커 촬영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마커 촬영 영상을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마커 촬영 영상에서 마커가 존재하는 마커 영역을 검출하고, 기 저장된 마커들 중 상기 마커 영역에서 인식되는 마커와 가장 유사한 마커를 검출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이동 형태를 분석하여 이동 형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이동 형태 정보를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GPS 정보 및 상기 고주파음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지오펜스 영역을 검출하고, 기 저장된 증강 현실 콘텐츠들 중 상기 검출한 지오펜스 영역과 대응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들을 1차 추출하며, 1차 추출한 증강 현실 콘텐츠들 중 상기 검출된 마커와 매칭되는 증강 현실 콘텐츠들을 2차 추출하고, 2차 추출한 증강 현실 콘텐츠들 중 상기 이동 형태 정보와 대응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
  10.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는 컴퓨팅 장치로서,
    실내에서 기 설정된 지오펜스 영역 내에 설치되는 비콘이 송출하는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고주파음을 수신하는 마이크로폰;
    복수 개의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반하여 GPS 정보를 획득하는 GPS 모듈; 및
    상기 고주파음 및 상기 GPS 정보를 콘텐츠 제공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고주파음 및 상기 GPS 정보에 대응하는 지오펜스 영역의 증강 현실 콘텐츠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비콘이 건물의 상기 실내의 제1 구역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고주파음은 제1 주파수 대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비콘이 상기 실내의 제2 구역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고주파음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제2 주파수 대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고주파음을 기초로 상기 비콘이 설치된 영역을 구분하고,
    상기 고주파음의 주파수 대역은 상기 비콘이 설치된 장소의 벽의 재질, 벽의 두께, 천장 높이 및 상기 비콘과 인접한 다른 비콘과의 이격 거리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결정되고,
    상기 비콘은 상기 고주파음을 기 설정된 단위 시간마다 음파의 패턴을 다르게 하여 송출하고, 송출되는 상기 고주파음을 기초로 원 타임 패스워드를 구현하고, 구현된 상기 원 타임 패스워드는 상기 지오펜스 영역에 대한 출입 시간 인증에 이용되도록 구성되는, 컴퓨팅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증강 현실에 표시될 객체의 마커를 촬영하여 마커 촬영 영상을 획득하는 촬영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마커 촬영 영상을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컴퓨팅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사용자의 이동 형태를 분석하여 이동 형태 정보를 생성하는 이동 형태 분석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이동 형태 정보를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컴퓨팅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고주파음, 상기 GPS 정보, 상기 마커 촬영 영상, 및 상기 이동 형태 정보에 기반하여 추출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수신하는, 컴퓨팅 장치.
  14.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는 컴퓨팅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고주파음 및 GPS 정보를 수신하고,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고주파음 및 상기 GPS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지오펜스 영역을 검출하는 위치 검출 모듈; 및
    상기 고주파음 및 상기 GPS 정보에 대응하는 지오펜스 영역의 증강 현실 콘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통신 모듈로 전달하는 콘텐츠 추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고주파음은, 실내에서 기 설정된 지오펜스 영역 내에 설치되는 비콘이 송출하는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고주파음으로 구성되고,
    상기 비콘이 건물의 상기 실내의 제1 구역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고주파음은 제1 주파수 대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비콘이 상기 실내의 제2 구역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고주파음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제2 주파수 대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위치 검출 모듈은, 상기 고주파음을 기초로 상기 비콘이 설치된 영역을 구분하고,
    상기 고주파음의 주파수 대역은 상기 비콘이 설치된 장소의 벽의 재질, 벽의 두께, 천장 높이 및 상기 비콘과 인접한 다른 비콘과의 이격 거리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결정되고,
    상기 비콘은 상기 고주파음을 기 설정된 단위 시간마다 음파의 패턴을 다르게 하여 송출하고, 송출되는 상기 고주파음을 기초로 원 타임 패스워드를 구현하고, 구현된 상기 원 타임 패스워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지오펜스 영역에 대한 출입 시간 인증에 이용되도록 구성되는, 컴퓨팅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 모듈은,
    상기 GPS 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거시적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고주파음을 주파수 분석하여 상기 고주파음의 주파수 대역을 확인하며, 상기 주파수 대역과 매칭되어 있는 지오펜스 영역을 검출하는, 컴퓨팅 장치.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증강 현실에 표시될 객체의 마커를 촬영한 마커 촬영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마커 촬영 영상에서 마커가 존재하는 마커 영역을 검출하고, 기 저장된 마커들 중 상기 마커 영역에서 인식되는 마커와 가장 유사한 마커를 검출하는 마커 인식 모듈을 더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이동 형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콘텐츠 추출 모듈은,
    기 저장된 증강 현실 콘텐츠들 중 상기 검출한 지오펜스 영역과 대응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들을 1차 추출하며, 1차 추출한 증강 현실 콘텐츠들 중 상기 검출된 마커와 매칭되는 증강 현실 콘텐츠들을 2차 추출하고, 2차 추출한 증강 현실 콘텐츠들 중 상기 이동 형태 정보와 대응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상기 통신 모듈로 전달하는, 컴퓨팅 장치.
  18.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실내에서 기 설정된 지오펜스 영역 내에 설치되는 비콘이 송출하는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고주파음을 수신하는 동작;
    복수 개의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반하여 GPS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고주파음 및 상기 GPS 정보를 콘텐츠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동작; 및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고주파음 및 상기 GPS 정보에 대응하는 지오펜스 영역의 증강 현실 콘텐츠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비콘이 건물의 상기 실내의 제1 구역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고주파음은 제1 주파수 대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비콘이 상기 실내의 제2 구역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고주파음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제2 주파수 대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고주파음을 기초로 상기 비콘이 설치된 영역을 구분하고,
    상기 고주파음의 주파수 대역은 상기 비콘이 설치된 장소의 벽의 재질, 벽의 두께, 천장 높이 및 상기 비콘과 인접한 다른 비콘과의 이격 거리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결정되고,
    상기 비콘은 상기 고주파음을 기 설정된 단위 시간마다 음파의 패턴을 다르게 하여 송출하고, 송출되는 상기 고주파음을 기초로 원 타임 패스워드를 구현하고, 구현된 상기 원 타임 패스워드는 상기 지오펜스 영역에 대한 출입 시간 인증에 이용되도록 구성되는,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
  19.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고주파음 및 GPS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고주파음 및 상기 GPS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지오펜스 영역을 검출하는 동작;
    상기 고주파음 및 상기 GPS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지오펜스 영역의 증강 현실 콘텐츠를 추출하는 동작; 및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고주파음은, 실내에서 기 설정된 지오펜스 영역 내에 설치되는 비콘이 송출하는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고주파음으로 구성되고,
    상기 비콘이 건물의 상기 실내의 제1 구역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고주파음은 제1 주파수 대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비콘이 상기 실내의 제2 구역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고주파음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제2 주파수 대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고주파음을 기초로 상기 비콘이 설치된 영역을 구분하고,
    상기 고주파음의 주파수 대역은 상기 비콘이 설치된 장소의 벽의 재질, 벽의 두께, 천장 높이 및 상기 비콘과 인접한 다른 비콘과의 이격 거리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결정되고,
    상기 비콘은 상기 고주파음을 기 설정된 단위 시간마다 음파의 패턴을 다르게 하여 송출하고, 송출되는 상기 고주파음을 기초로 원 타임 패스워드를 구현하고, 구현된 상기 원 타임 패스워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지오펜스 영역에 대한 출입 시간 인증에 이용되도록 구성되는,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0210052050A 2021-04-22 2021-04-22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및 시스템 KR102604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050A KR102604906B1 (ko) 2021-04-22 2021-04-22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050A KR102604906B1 (ko) 2021-04-22 2021-04-22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475A KR20220145475A (ko) 2022-10-31
KR102604906B1 true KR102604906B1 (ko) 2023-11-22

Family

ID=83803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050A KR102604906B1 (ko) 2021-04-22 2021-04-22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49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501B1 (ko) * 2014-06-12 2014-10-08 휴텍 주식회사 고주파 사운드 신호 기반의 매장연계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51753B1 (ko) * 2018-07-03 2020-01-08 주식회사 라온즈 비콘신호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물품자산 관리용 비콘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537B1 (ko) * 2010-10-27 2012-07-16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사용자 장치 및 그의 사용자의 상황 인지 방법
KR101545138B1 (ko) 2010-12-23 2015-08-1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증강 현실을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단말기
KR102086458B1 (ko) * 2016-05-27 2020-03-10 주식회사 케이티 단말 장치 및 이에 의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13918B1 (ko) * 2018-10-15 2020-06-02 주식회사 아이엠알 IoT 플랫폼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도시가스 시설물 유지보수 작업지시 시스템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501B1 (ko) * 2014-06-12 2014-10-08 휴텍 주식회사 고주파 사운드 신호 기반의 매장연계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51753B1 (ko) * 2018-07-03 2020-01-08 주식회사 라온즈 비콘신호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물품자산 관리용 비콘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475A (ko) 202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79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to wireless access point
US2018029377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sharing, and performing augmented reality
US10157504B1 (en) Visual display systems and method for manipulating images of a real scene using augmented reality
JP5985780B2 (ja) 屋内測位データとアプリケーションとをセキュアに配送するための方法
KR101922743B1 (ko) 개선된 장치 위치 검출
US10186133B2 (en) Method for disaster notification service not requiring collecting of location information, and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and application system thereof
CN107194251B (zh) Android平台恶意应用检测方法及装置
US11410326B2 (en) System for determining anatomical feature orientation
US20150358315A1 (en) Smartphone fingerprint pass-through system
US11521378B2 (en) Refined searching based on detected object configurations
US2015008608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pping
EP3533247B1 (en) Wireless network type detec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9225700B1 (en) Proximity-based authentication
WO2013154588A1 (en) Autonomous aggregated search platform and methods using the same
US11392680B2 (en) Authentication and generation of information for authentication
US11854231B2 (en) Localizing an augmented reality device
US11366890B1 (en) Input/output privacy tool
US2018008208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curity mode to user device
JP6645655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00143478A (ko) 네트워크 최적화 방법 및 장치,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및 기억 매체
KR102149914B1 (ko) 클라우드 소싱 기반 관심 지점 정보 업데이트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604906B1 (ko)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및 시스템
KR102125848B1 (ko) 맥 어드레스를 이용한 물리 보안 관제 방법 및 그 시스템
US10223462B2 (en) Associating user logs using geo-point density
KR101602480B1 (ko) 불법 사이트 차단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