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891B1 - 별도의 파일 트랙들에서의 시퀀스 종단 및 비트스트림 종단 nal 유닛들 - Google Patents

별도의 파일 트랙들에서의 시퀀스 종단 및 비트스트림 종단 nal 유닛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891B1
KR102604891B1 KR1020187033793A KR20187033793A KR102604891B1 KR 102604891 B1 KR102604891 B1 KR 102604891B1 KR 1020187033793 A KR1020187033793 A KR 1020187033793A KR 20187033793 A KR20187033793 A KR 20187033793A KR 102604891 B1 KR102604891 B1 KR 102604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rack
file
nal unit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3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3763A (ko
Inventor
예-쿠이 왕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13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8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video data packet, e.g. a network abstraction layer [NAL]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05Selection of the reference unit for prediction within a chosen coding or prediction mode, e.g. adaptive choice of position and number of pixels used for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04N19/159Prediction type, e.g. intra-frame, inter-frame or bidirectional frame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picture, frame or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3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7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syntax aspects related to video coding, e.g. related to compre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06Content authoring involving a specific file format, e.g. MP4 form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디바이스는, 파일의 제 1 트랙에서, 비트스트림의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에 대한 제 1 시퀀스 종단 (EOS)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NAL) 유닛을 포함한다. 제 1 EOS NAL 유닛은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의 제 1 액세스 유닛에 있다. 디바이스는 또한, 파일의 제 2 트랙에서,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에 대한 제 2 EOS NAL 유닛을 포함한다. 제 2 EOS NAL 유닛은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의 제 2 액세스 유닛에 있고, 제 2 EOS NAL 유닛은 제 1 EOS NAL 유닛과는 상이하다. 디바이스는 비트스트림 종단 (EOB) NAL 유닛들에 대해 유사한 액션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별도의 파일 트랙들에서의 시퀀스 종단 및 비트스트림 종단 NAL 유닛들
본 출원은 2016년 5월 23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2/340,437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은 참조로 통합된다.
본 개시는 비디오 코딩을 수행하고 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파일 포맷들을 사용하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비디오 능력들은 디지털 텔레비전들, 디지털 직접 브로드캐스트 시스템들, 무선 브로드캐스트 시스템들,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들 (PDA들), 랩탑 또는 데스크탑 컴퓨터들, 태블릿 컴퓨터들, e-북 리더들, 디지털 카메라들, 디지털 레코딩 디바이스들,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들, 비디오 게이밍 디바이스들, 비디오 게임 콘솔들, 셀룰러 또는 위성 무선 전화기들, 소위 "스마트 폰들", 비디오 텔레컨퍼런싱 디바이스들, 비디오 스트리밍 디바이스들 등을 포함한, 광범위한 디바이스들에 통합될 수 있다. 디지털 비디오 디바이스들은 MPEG-2, MPEG-4, ITU-T H.263, ITU-T H.264/MPEG-4, 파트 10, 어드밴스드 비디오 코딩 (AVC), ITU-T H.264, 고효율 비디오 코딩 (HEVC) 표준에 의해 정의된 표준들, 및 그러한 표준들의 확장들에서 설명된 기법들과 같은 비디오 압축 기법들을 구현한다. 비디오 디바이스들은 그러한 비디오 압축 기법들을 구현함으로써 디지털 비디오 정보를 더 효율적으로 송신, 수신, 인코딩, 디코딩, 및/또는 저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압축 기법들은 비디오 시퀀스들에 내재한 리던던시를 감소 또는 제거하기 위해 공간 (인트라-픽처) 예측 및/또는 시간 (인터-픽처) 예측을 수행한다. 블록 기반 비디오 코딩에 대해, 비디오 슬라이스 (즉, 비디오 프레임 또는 비디오 프레임의 일부) 는 비디오 블록들로 파티셔닝될 수도 있으며, 이 비디오 블록들은 또한 트리블록들, 코딩 유닛들 (CU들) 및/또는 코딩 노드들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픽처의 인트라-코딩된 (I) 슬라이스에서의 비디오 블록들은 동일 픽처의 이웃 블록들에서의 레퍼런스 샘플들에 대한 공간 예측을 이용하여 인코딩된다. 픽처의 인터-코딩된 (P 또는 B) 슬라이스에서의 비디오 블록들은 동일 픽처의 이웃 블록들에서의 레퍼런스 샘플들에 대한 공간 예측, 또는 다른 레퍼런스 픽처들에서의 레퍼런스 샘플들에 대한 시간 예측을 이용할 수도 있다. 픽처들은 프레임들로서 지칭될 수도 있으며, 레퍼런스 픽처들은 레퍼런스 프레임들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공간 또는 시간 예측은 코딩될 블록에 대한 예측 블록을 발생시킨다. 잔차 데이터는 코딩될 오리지널 블록과 예측 블록 간의 픽셀 차이들을 나타낸다. 인터-코딩된 블록은 예측 블록을 형성하는 레퍼런스 샘플들의 블록을 포인팅하는 모션 벡터, 및 코딩된 블록과 예측 블록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잔차 데이터에 따라 인코딩된다. 인트라-코딩된 블록은 인트라-코딩 모드 및 잔차 데이터에 따라 인코딩된다. 추가적인 압축을 위해, 잔차 데이터는 픽셀 도메인으로부터 변환 도메인으로 변환되어, 잔차 변환 계수들을 발생시킬 수도 있으며, 그 후, 이 잔차 변환 계수들은 양자화될 수도 있다. 2차원 어레이로 초기에 배열되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은 변환 계수들의 1차원 벡터를 생성하기 위해 스캐닝될 수도 있으며, 엔트로피 코딩이 훨씬 더 많은 압축을 달성하도록 적용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은 파일 포맷들에 있어서의 비디오 콘텐츠들의 저장에 관련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법들은, 다중의 트랙들에서 반송되는 고효율 비디오 코딩 (HEVC) 및 계층화된 HEVC 비트스트림들에 대한 시퀀스 종단 (EOS)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NAL) 유닛들 및 비트스트림 종단 (EOB) NAL 유닛들의 핸들링을 개선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적어도 일부 시간 하위계층들이 상이한 트랙들에서 반송된다.
일 예에 있어서, 본 개시는 비디오 콘텐츠의 저장을 위한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그 방법은 파일의 제 1 트랙에서, 비트스트림의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에 대한 제 1 EOS NAL 유닛을 포함하는 단계로서, 제 1 EOS NAL 유닛은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의 제 1 액세스 유닛에 있는, 상기 제 1 EOS NAL 유닛을 포함하는 단계; 및 파일의 제 2 트랙에서,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에 대한 제 2 EOS NAL 유닛을 포함하는 단계로서, 제 2 EOS NAL 유닛은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의 제 2 액세스 유닛에 있고, 제 2 EOS NAL 유닛은 제 1 EOS NAL 유닛과는 상이하고, 제 1 액세스 유닛 및 제 2 액세스 유닛은 상이한 시간 서브계층들에 속하는, 상기 제 2 EOS NAL 유닛을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 있어서, 본 개시는 비디오 콘텐츠의 저장을 위한 파일을 프로세싱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그 방법은 제 1 트랙 및 제 2 트랙을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제 1 트랙은 비트스트림의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의 제 1 액세스 유닛을 포함하고, 제 2 트랙은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의 제 2 액세스 유닛을 포함하고, 제 1 액세스 유닛은 제 1 EOS NAL 유닛을 포함하고, 제 2 액세스 유닛은 제 2 EOS NAL 유닛을 포함하고, 제 2 EOS NAL 유닛은 제 1 EOS NAL 유닛과는 상이하고, 제 1 액세스 유닛 및 제 2 액세스 유닛은 상이한 시간 서브계층들에 속하는, 상기 제 1 트랙 및 제 2 트랙을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 1 EOS NAL 유닛과 연관된 시간과 제 2 EOS NAL 유닛과 연관된 시간의 비교에 기초하여, 제 1 EOS NAL 유닛을 출력하고 제 2 EOS NAL 유닛을 폐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 있어서, 본 개시는 비디오 콘텐츠의 저장을 위한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그 방법은 파일의 제 1 트랙에서, 비트스트림의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에 대한 제 1 EOB NAL 유닛을 포함하는 단계로서, 제 1 EOB NAL 유닛은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의 제 1 액세스 유닛에 있는, 상기 제 1 EOB NAL 유닛을 포함하는 단계; 및 파일의 제 2 트랙에서,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에 대한 제 2 EOB NAL 유닛을 포함하는 단계로서, 제 2 EOB NAL 유닛은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의 제 2 액세스 유닛에 있고, 제 2 EOB NAL 유닛은 제 1 EOB NAL 유닛과는 상이하고, 제 1 액세스 유닛 및 제 2 액세스 유닛은 상이한 시간 서브계층들에 속하는, 상기 제 2 EOB NAL 유닛을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 있어서, 본 개시는 비디오 콘텐츠의 저장을 위한 파일을 프로세싱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그 방법은 제 1 트랙 및 제 2 트랙을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제 1 트랙은 비트스트림의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의 제 1 액세스 유닛을 포함하고, 제 2 트랙은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의 제 2 액세스 유닛을 포함하고, 제 1 액세스 유닛은 제 1 비트스트림 종단 (EOB)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NAL) 유닛을 포함하고, 제 2 액세스 유닛은 제 2 EOB NAL 유닛을 포함하고, 제 1 액세스 유닛 및 제 2 액세스 유닛은 상이한 시간 서브계층들에 속하는, 상기 제 1 트랙 및 제 2 트랙을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 1 EOB NAL 유닛을 출력하고 제 2 EOB NAL 유닛을 폐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 있어서, 본 개시는 비디오 콘텐츠의 저장을 위한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기술하고, 그 디바이스는 비디오 콘텐츠의 저장을 위한 파일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파일의 제 1 트랙에서, 비트스트림의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에 대한 제 1 EOS NAL 유닛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제 1 EOS NAL 유닛은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의 제 1 액세스 유닛에 있는, 상기 제 1 EOS NAL 유닛을 포함하고; 그리고 파일의 제 2 트랙에서,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에 대한 제 2 EOS NAL 유닛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제 2 EOS NAL 유닛은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의 제 2 액세스 유닛에 있고, 제 2 EOS NAL 유닛은 제 1 EOS NAL 유닛과는 상이하고, 제 1 액세스 유닛 및 제 2 액세스 유닛은 상이한 시간 서브계층들에 속하는, 상기 제 2 EOS NAL 유닛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에 있어서, 본 개시는 비디오 콘텐츠의 저장을 위한 파일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기술하고, 그 디바이스는 비디오 콘텐츠의 저장을 위한 파일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제 1 트랙 및 제 2 트랙을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하는 것으로서, 제 1 트랙은 비트스트림의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의 제 1 액세스 유닛을 포함하고, 제 2 트랙은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의 제 2 액세스 유닛을 포함하고, 제 1 액세스 유닛은 제 1 EOS NAL 유닛을 포함하고, 제 2 액세스 유닛은 제 2 EOS NAL 유닛을 포함하고, 제 2 EOS NAL 유닛은 제 1 EOS NAL 유닛과는 상이하고, 제 1 액세스 유닛 및 제 2 액세스 유닛은 상이한 시간 서브계층들에 속하는, 상기 제 1 트랙 및 제 2 트랙을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하고; 그리고 제 1 EOS NAL 유닛과 연관된 시간과 제 2 EOS NAL 유닛과 연관된 시간의 비교에 기초하여, 제 1 EOS NAL 유닛을 출력하고 제 2 EOS NAL 유닛을 폐기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에 있어서, 본 개시는 비디오 콘텐츠의 저장을 위한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기술하고, 그 디바이스는 비디오 콘텐츠의 저장을 위한 파일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파일의 제 1 트랙에서, 비트스트림의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에 대한 제 1 EOB NAL 유닛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제 1 EOB NAL 유닛은 CVS 의 제 1 액세스 유닛에 있는, 상기 제 1 EOB NAL 유닛을 포함하고; 그리고 파일의 제 2 트랙에서,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에 대한 제 2 EOB NAL 유닛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제 2 EOB NAL 유닛은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의 제 2 액세스 유닛에 있고, 제 2 EOB NAL 유닛은 제 1 EOB NAL 유닛과는 상이하고, 제 1 액세스 유닛 및 제 2 액세스 유닛은 상이한 시간 서브계층들에 속하는, 상기 제 2 EOB NAL 유닛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에 있어서, 본 개시는 비디오 콘텐츠의 저장을 위한 파일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그 디바이스는 비디오 콘텐츠의 저장을 위한 파일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제 1 트랙 및 제 2 트랙을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하는 것으로서, 제 1 트랙은 비트스트림의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의 제 1 액세스 유닛을 포함하고, 제 2 트랙은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의 제 2 액세스 유닛을 포함하고, 제 1 액세스 유닛은 제 1 비트스트림 종단 (EOB)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NAL) 유닛을 포함하고, 제 2 액세스 유닛은 제 2 EOB NAL 유닛을 포함하고, 제 1 액세스 유닛 및 제 2 액세스 유닛은 상이한 시간 서브계층들에 속하는, 상기 제 1 트랙 및 제 2 트랙을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하고; 그리고 제 1 EOB NAL 유닛을 출력하고 제 2 EOB NAL 유닛을 폐기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에 있어서, 본 개시는 비디오 콘텐츠의 저장을 위한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기술하고, 그 디바이스는 파일의 제 1 트랙에서, 비트스트림의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에 대한 제 1 EOS NAL 유닛을 포함하는 수단으로서, 제 1 EOS NAL 유닛은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의 제 1 액세스 유닛에 있는, 상기 제 1 EOS NAL 유닛을 포함하는 수단; 및 파일의 제 2 트랙에서,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에 대한 제 2 EOS NAL 유닛을 포함하는 수단으로서, 제 2 EOS NAL 유닛은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의 제 2 액세스 유닛에 있고, 제 2 EOS NAL 유닛은 제 1 EOS NAL 유닛과는 상이하고, 제 1 액세스 유닛 및 제 2 액세스 유닛은 상이한 시간 서브계층들에 속하는, 상기 제 2 EOS NAL 유닛을 포함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 있어서, 본 개시는 비디오 콘텐츠의 저장을 위한 파일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기술하고, 그 디바이스는 제 1 트랙 및 제 2 트랙을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하는 수단으로서, 제 1 트랙은 비트스트림의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의 제 1 액세스 유닛을 포함하고, 제 2 트랙은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의 제 2 액세스 유닛을 포함하고, 제 1 액세스 유닛은 제 1 EOS NAL 유닛을 포함하고, 제 2 액세스 유닛은 제 2 EOS NAL 유닛을 포함하고, 제 2 EOS NAL 유닛은 제 1 EOS NAL 유닛과는 상이하고, 제 1 액세스 유닛 및 제 2 액세스 유닛은 상이한 시간 서브계층들에 속하는, 상기 제 1 트랙 및 제 2 트랙을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하는 수단; 및 제 1 EOS NAL 유닛과 연관된 시간과 제 2 EOS NAL 유닛과 연관된 시간의 비교에 기초하여, 제 1 EOS NAL 유닛을 출력하고 제 2 EOS NAL 유닛을 폐기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 있어서, 본 개시는 비디오 콘텐츠의 저장을 위한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기술하고, 그 디바이스는 파일의 제 1 트랙에서, 비트스트림의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에 대한 제 1 EOB NAL 유닛을 포함하는 수단으로서, 제 1 EOB NAL 유닛은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의 제 1 액세스 유닛에 있는, 상기 제 1 EOB NAL 유닛을 포함하는 수단; 및 파일의 제 2 트랙에서,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에 대한 제 2 EOB NAL 유닛을 포함하는 수단으로서, 제 2 EOB NAL 유닛은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의 제 2 액세스 유닛에 있고, 제 2 EOB NAL 유닛은 제 1 EOB NAL 유닛과는 상이하고, 제 1 액세스 유닛 및 제 2 액세스 유닛은 상이한 시간 서브계층들에 속하는, 상기 제 2 EOB NAL 유닛을 포함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 있어서, 본 개시는 비디오 콘텐츠를 저장하는 파일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기술하고, 그 디바이스는 제 1 트랙 및 제 2 트랙을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하는 수단으로서, 제 1 트랙은 비트스트림의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의 제 1 액세스 유닛을 포함하고, 제 2 트랙은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의 제 2 액세스 유닛을 포함하고, 제 1 액세스 유닛은 제 1 EOB NAL 유닛을 포함하고, 제 2 액세스 유닛은 제 2 EOB NAL 유닛을 포함하고, 제 1 액세스 유닛 및 제 2 액세스 유닛은 상이한 시간 서브계층들에 속하는, 상기 제 1 트랙 및 제 2 트랙을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하는 수단; 및 제 1 EOB NAL 유닛을 출력하고 제 2 EOB NAL 유닛을 폐기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 있어서, 본 개시는 명령들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기술하고, 명령들은, 실행될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파일의 제 1 트랙에서, 비트스트림의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에 대한 제 1 EOS NAL 유닛을 포함하게 하는 것으로서, 제 1 EOS NAL 유닛은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의 제 1 액세스 유닛에 있는, 상기 제 1 EOS NAL 유닛을 포함하게 하고; 그리고 파일의 제 2 트랙에서,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에 대한 제 2 EOS NAL 유닛을 포함하게 하는 것으로서, 제 2 EOS NAL 유닛은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의 제 2 액세스 유닛에 있고, 제 2 EOS NAL 유닛은 제 1 EOS NAL 유닛과는 상이하고, 제 1 액세스 유닛 및 제 2 액세스 유닛은 상이한 시간 서브계층들에 속하는, 상기 제 2 EOS NAL 유닛을 포함하게 한다.
다른 예에 있어서, 본 개시는 명령들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기술하고, 명령들은, 실행될 경우, 비디오 콘텐츠의 저장을 위한 파일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 1 트랙 및 제 2 트랙을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하게 하는 것으로서, 제 1 트랙은 비트스트림의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의 제 1 액세스 유닛을 포함하고, 제 2 트랙은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의 제 2 액세스 유닛을 포함하고, 제 1 액세스 유닛은 제 1 EOS NAL 유닛을 포함하고, 제 2 액세스 유닛은 제 2 EOS NAL 유닛을 포함하고, 제 2 EOS NAL 유닛은 제 1 EOS NAL 유닛과는 상이하고, 제 1 액세스 유닛 및 제 2 액세스 유닛은 상이한 시간 서브계층들에 속하는, 상기 제 1 트랙 및 제 2 트랙을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하게 하고; 그리고 제 1 EOS NAL 유닛과 연관된 시간과 제 2 EOS NAL 유닛과 연관된 시간의 비교에 기초하여, 제 1 EOS NAL 유닛을 출력하게 하고 제 2 EOS NAL 유닛을 폐기하게 한다.
다른 예에 있어서, 본 개시는 명령들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기술하고, 명령들은, 실행될 경우, 비디오 콘텐츠의 저장을 위한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파일의 제 1 트랙에서, 비트스트림의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에 대한 제 1 EOB NAL 유닛을 포함하게 하는 것으로서, 제 1 EOB NAL 유닛은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의 제 1 액세스 유닛에 있는, 상기 제 1 EOB NAL 유닛을 포함하게 하고; 그리고 파일의 제 2 트랙에서,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에 대한 제 2 EOB NAL 유닛을 포함하게 하는 것으로서, 제 2 EOB NAL 유닛은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의 제 2 액세스 유닛에 있고, 제 2 EOB NAL 유닛은 제 1 EOB NAL 유닛과는 상이하고, 제 1 액세스 유닛 및 제 2 액세스 유닛은 상이한 시간 서브계층들에 속하는, 상기 제 2 EOB NAL 유닛을 포함하게 한다.
다른 예에 있어서, 본 개시는 명령들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기술하고, 명령들은, 실행될 경우, 비디오 콘텐츠의 저장을 위한 파일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 1 트랙 및 제 2 트랙을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하게 하는 것으로서, 제 1 트랙은 비트스트림의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의 제 1 액세스 유닛을 포함하고, 제 2 트랙은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의 제 2 액세스 유닛을 포함하고, 제 1 액세스 유닛은 제 1 EOB NAL 유닛을 포함하고, 제 2 액세스 유닛은 제 2 EOB NAL 유닛을 포함하고, 제 2 EOS NAL 유닛은 제 1 EOS NAL 유닛과는 상이하고, 제 1 액세스 유닛 및 제 2 액세스 유닛은 상이한 시간 서브계층들에 속하는, 상기 제 1 트랙 및 제 2 트랙을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하게 하고; 그리고 제 1 EOB NAL 유닛을 출력하게 하고 제 2 EOB NAL 유닛을 폐기하게 한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예들의 상세들은 첨부 도면들 및 하기의 설명에 기재된다. 다른 특징들, 목적들, 및 이점들은 그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도 1 은 본 개시에서 설명된 기법들을 이용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비디오 인코딩 및 디코딩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 는 픽처들의 예시적인 코딩 의존성들을 예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 은 본 개시에서 설명된 기법들을 구현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비디오 인코더를 예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4 는 본 개시에서 설명된 기법들을 구현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비디오 디코더를 예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5 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기법들에 따른, 파일의 예시적인 구조를 예시한 개념 다이어그램이다.
도 6 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기법들에 따른, 파일의 예시적인 구조를 예시한 개념 다이어그램이다.
도 7 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기법들에 따른, 파일의 다중의 트랙들에서의 시퀀스 종단 (EOS)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NAL) 유닛들의 일 예를 예시한 개념 다이어그램이다.
도 8 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기법들에 따른, 파일의 다중의 트랙들에서의 비트스트림 종단 (EOB) NAL 유닛들의 일 예를 예시한 개념 다이어그램이다.
도 9a 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기법들에 따른, 다중의 트랙들에서 EOS NAL 유닛들을 포함하는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동작을 예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9b 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기법들에 따른, 다중의 트랙들에서 EOS NAL 유닛들을 포함하는 파일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예시적인 동작을 예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0a 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기법들에 따른, 다중의 트랙들에서 EOB NAL 유닛들을 포함하는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동작을 예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0b 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기법들에 따른, 다중의 트랙들에서 EOB NAL 유닛들을 포함하는 파일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예시적인 동작을 예시한 플로우차트이다.
국제 표준 기구 (ISO) 베이스 미디어 파일 포맷 (ISOBMFF) 및 ISO 베이스 미디어 파일 포맷으로부터 도출된 파일 포맷들은 비디오 콘텐츠의 저장을 위해 설계된다. ISOBMFF 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 및 관련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네스팅된 "박스들" 의 세트의 관점에서 정의된다. 예를 들어, 미디어 데이터 박스는 하나 이상의 샘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샘플들의 각각은 액세스 유닛에서 하나 이상의 픽처들의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ISOBMFF 파일의 박스들은 트랙 박스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트랙 박스는 개별 트랙에 속한 샘플들을 명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트랙 박스는 제 1 트랙에 속한 샘플들을 명시할 수도 있고, 제 2 트랙 박스는 제 2 트랙에 속한 샘플들을 명시할 수도 있는 등등이다. 따라서, 파일의 트랙은 샘플들의 파일 레벨 그룹핑으로 고려될 수도 있다. 일부 트랙들에 대해, ISOBMFF 파일을 프로세싱하는 디바이스들은, 파일에서의 다른 트랙들의 샘플들에 저장된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해석 또는 디코딩함없이 ISOBMFF 파일의 트랙들에 관한 상이한 액션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일 트랙의 샘플들을 폐기하면서 다른 트랙의 샘플들을 비디오 디코더에 포워딩할 수도 있다.
고효율 비디오 코딩 (HEVC) 및 계층화된 HEVC (L-HEVC) 비디오 코딩 표준들은 계층들 및 서브계층들의 개념들을 정의한다. 멀티-뷰 코딩에 있어서, 상이한 계층들에서의 픽처들은 상이한 뷰들에서의 픽처들에 대응할 수도 있다.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에 있어서, 상이한 비-베이스 계층들에서의 픽처들은 신호대 노이즈 비 (SNR) 인핸스먼트 데이터, 공간 인핸스먼트 데이터, 및/또는 시간 인핸스먼트 데이터와 같은 상이한 타입들의 인핸스먼트들을 포함하는 픽처들에 대응할 수도 있다. 시간 서브계층은 계층 내의 픽처들의 서브세트들이다. 시간 서브계층들은 시간 스케일러빌리티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는 시퀀스 종단 (EOS)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NAL) 유닛들 및 비트스트림 종단 (EOB) NAL 유닛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EOS NAL 유닛들은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들 (CVS들) 의 종단을 마킹한다. 따라서, 비디오 디코더는, EOS NAL 유닛에 기초하여, CVS 가 종단되었음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CVS 는 액세스 유닛들의 시퀀스이다. HEVC 에 있어서, CVS 는, 디코딩 순서에서, 1 과 동일한 NoRaslOutputFlag 를 갖는 IRAP 액세스 유닛 이후 1 과 동일한 NoRaslOutputFlag 를 갖는 IRAP 액세스 유닛들이 아닌 제로 또는 그 초과의 액세스 유닛들 (모든 후속 액세스 유닛들까지 포함 하지만 1 과 동일한 NoRaslOutputFlag 를 갖는 IRAP 액세스 유닛인 임의의 후속 액세스 유닛 불포함) 로 이루어진 액세스 유닛들의 시퀀스이다.
EOB NAL 유닛들은 비트스트림들의 종단을 마킹한다. 따라서, 비디오 디코더는, EOB NAL 유닛에 기초하여, 비트스트림이 종단되었음을 결정할 수도 있다. 비트스트림은, 하나 이상의 CVS들을 형성하는, 코딩된 픽처들 및 관련 데이터의 표현을 형성하는 NAL 유닛 스트림 또는 바이트 스트림의 형태인 비트들의 시퀀스이다. NAL 유닛 스트림은 NAL 유닛들의 시퀀스이다. 바이트 스트림은 (예를 들어, HEVC 의 부록 B 에서 명시된 바와 같은) 시작 코드 프리픽스들 및 NAL 유닛들을 포함하는 NAL 유닛 스트림의 캡슐화이다.
EOS NAL 유닛들 및 EOB NAL 유닛들에 관련된 수개의 문제들은, 상이한 시간 서브계층들과 연관된 NAL 유닛들이 파일의 상이한 트랙들에 있을 경우에 발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EOS NAL 유닛 또는 EOB NAL 유닛을 포함하는 트랙이 (예컨대, 트랙과 연관된 시간 서브계층이 포워딩되거나 디코딩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폐기되면, 이는 CVS 또는 비트스트림이 종단할 경우에 비디오 디코더에 불분명할 수도 있다. 더욱이, 트랙을 폐기하는 것으로부터 기인하는 비트스트림은 비디오 코딩 표준의 요건들에 부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비디오 코딩 표준의 요건들에 부합하는 비트스트림들을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비디오 디코더들은 비디오 코딩 표준의 요건들에 부합하지 않는 비트스트림들을 디코딩할 수 없을 수도 있다.
본 개시의 기법들은 이들 이슈들을 해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법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파일의 제 1 트랙에서, 비트스트림의 CVS 에 대한 제 1 EOS NAL 유닛을 생성할 수도 있다. 즉, 디바이스는, 파일의 제 1 트랙에서, CVS 의 제 1 EOS NAL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EOS NAL 유닛은 CVS 의 제 1 액세스 유닛에 있다. 이 예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파일의 제 2 트랙에서, CVS 에 대한 제 2 EOS NAL 유닛을 생성할 수도 있다. 즉, 디바이스는, 파일의 제 1 트랙에서, CVS 의 제 2 EOS NAL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2 EOS NAL 유닛은 CVS 의 제 2 액세스 유닛에 있다. 이 예에 있어서, 제 1 액세스 유닛 및 제 2 액세스 유닛은 상이한 시간 서브계층들에 속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이한 트랙들에서의 다중의 EOS NAL 유닛들을 허용함으로써, 트랙들 중 하나 이상없이 생성된 비트스트림은 여전히 부합하는 비트스트림일 수도 있다.
다른 예에 있어서, 본 개시의 기법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파일의 제 1 트랙에서, 비트스트림의 CVS 에 대한 제 1 EOB NAL 유닛을 생성할 수도 있다. 즉, 디바이스는, 파일의 제 1 트랙에서, CVS 에 대한 제 1 EOB NAL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EOB NAL 유닛은 CVS 의 제 1 액세스 유닛에 있다. 이 예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파일의 제 2 트랙에서, 비트스트림의 CVS 에 대한 제 2 EOB NAL 유닛을 생성할 수도 있다. 즉, 디바이스는, 타일의 제 2 트랙에서, CVS 에 대한 제 2 EOB NAL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2 EOB NAL 유닛은 CVS 의 제 2 액세스 유닛에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이한 트랙들에서의 다중의 EOB NAL 유닛들을 허용함으로써, 트랙들 중 하나 이상없이 파일로부터 생성된 비트스트림은 여전히 부합하는 비트스트림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기법들은, 파일의 다중의 트랙들에서 저장되었던 비트스트림들을 디코딩하기 위한 비디오 디코더들의 능력을 개선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본 개시의 기법들은 파일 레벨로부터 트랙들을 추출하는 디바이스들의 동작을 가속화할 수도 있는데, 왜냐하면 그러한 디바이스들은, 트랙들에서의 비트스트림들이 EOS 및 EOB NAL 유닛들을 즉석에서 체크 및 생성할 필요성없이 적당한 EOS 및 EOB NAL 유닛들을 가짐이 보장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본 개시에 있어서, "제 1", "제 2", "제 3" 등과 같은 서수사 용어들은 반드시 순서 내의 포지션들의 표시자들은 아니며, 대신, 동일한 것의 상이한 인스턴스들을 구별하기 위해 단순히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 은 본 개시에서 설명된 기법들을 이용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비디오 인코딩 및 디코딩 시스템 (10) 을 예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10) 은, 목적지 디바이스 (14) 에 의해 더 나중의 시간에 디코딩될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소스 디바이스 (12) 를 포함한다. 소스 디바이스 (12) 및 목적지 디바이스 (14) 는 데스크탑 컴퓨터들, 노트북 (즉, 랩탑) 컴퓨터들, 태블릿 컴퓨터들, 셋탑 박스들, 소위 "스마트" 폰들과 같은 전화기 핸드셋들, 소위 "스마트" 패드들, 텔레비전들, 카메라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들, 비디오 게이밍 콘솔들, 비디오 스트리밍 디바이스 등을 포함한 광범위한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소스 디바이스 (12) 및 목적지 디바이스 (14) 는 무선 통신을 위해 장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소스 디바이스 (12) 및 목적지 디바이스 (14) 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로 고려될 수도 있다. 소스 디바이스 (12) 및 목적지 디바이스 (14) 는 비디오 디바이스들로 고려될 수도 있다.
도 1 의 예에 있어서, 소스 디바이스 (12) 는 비디오 소스 (18), 비디오 인코더 (20), 및 출력 인터페이스 (22) 를 포함한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출력 인터페이스 (22) 는 변조기/복조기 (모뎀) 및/또는 송신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 (22) 는 인코딩된 비디오 정보를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6) 에 출력할 수도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 (22) 는 다양한 타입들의 컴포넌트들 또는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인터페이스 (22) 는 무선 송신기, 모뎀, 유선 네트워킹 컴포넌트 (예를 들어, 이더넷 카드), 또는 다른 물리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 (22) 가 무선 송신기를 포함하는 예들에 있어서, 출력 인터페이스 (22) 는 4G, 4G-LTE, LTE 어드밴스드, 5G 등과 같은 셀룰러 통신 표준에 따라 변조되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 (22) 가 무선 송신기를 포함하는 일부 예들에 있어서, 출력 인터페이스 (22) 는 IEEE 802.11 사양, IEEE 802.15 사양 (예를 들어, ZigBee™), Bluetooth™ 표준 등과 같은 다른 무선 표준들에 따라 변조되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출력 인터페이스 (22) 의 회로부는 비디오 인코더 (20) 및/또는 소스 디바이스 (12) 의 다른 컴포넌트들의 회로부에 통합된다. 예를 들어, 비디오 인코더 (20) 및 출력 인터페이스 (22) 는 시스템 온 칩 (SoC) 의 부분들일 수도 있다. SoC 는 또한,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 그래픽스 프로세싱 유닛 등과 같은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소스 디바이스 (12) 에 있어서, 비디오 소스 (18) 는 비디오 캡쳐 디바이스, 예를 들어, 비디오 카메라, 이전에 캡쳐된 비디오를 포함하는 비디오 아카이브, 비디오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비디오를 수신하기 위한 비디오 피드 인터페이스, 및/또는 컴퓨터 그래픽스 데이터를 소스 비디오로서 생성하기 위한 컴퓨터 그래픽스 시스템과 같은 소스, 또는 그러한 소스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개시에서 설명된 기법들은 일반적으로 비디오 코딩에 적용가능할 수도 있으며, 무선 및/또는 유선 어플리케이션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 (20) 는 캡쳐되거나 사전-캡쳐되거나 또는 컴퓨터 생성된 비디오를 인코딩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소스 디바이스 (12) 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소스 디바이스 (12) 의 출력 인터페이스 (22) 를 통해 목적지 디바이스 (14) 로 직접 송신한다.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는 또한 (또는 대안적으로), 디코딩 및/또는 플레이백을 위한 목적지 디바이스 (14)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에 의한 더 나중의 액세스를 위해 저장 디바이스 (33) 상으로 저장될 수도 있다.
목적지 디바이스 (14) 는 입력 인터페이스 (28), 비디오 디코더 (3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2) 를 포함한다. 더욱이, 도 1 의 예에 있어서, 목적지 디바이스 (14) 는 저장 매체 (29) 및 파일 파싱 (parsing) 유닛 (31) 을 포함한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입력 인터페이스 (28) 는 수신기 및/또는 모뎀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목적지 디바이스 (14) 의 입력 인터페이스 (28) 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링크 (16) 상으로 수신한다. 링크 (16) 상으로 통신되는 또는 저장 디바이스 (33) 상에 제공되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는,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함에 있어서 비디오 디코더 (30) 와 같은 비디오 디코더에 의한 사용을 위해 비디오 인코더 (20) 에 의해 생성된 다양한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한 신택스 엘리먼트들에는, 통신 매체 상으로 송신되거나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되거나 또는 파일 서버에 저장되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가 포함될 수도 있다.
목적지 디바이스 (14) 의 입력 인터페이스 (28) 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6) 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입력 인터페이스 (28) 는 다양한 타입들의 컴포넌트들 또는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인터페이스 (28) 는 무선 수신기, 모뎀, 유선 네트워킹 컴포넌트 (예를 들어, 이더넷 카드), 또는 다른 물리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 (28) 가 무선 수신기를 포함하는 예들에 있어서, 입력 인터페이스 (28) 는 4G, 4G-LTE, LTE 어드밴스드, 5G 등과 같은 셀룰러 통신 표준에 따라 변조되는 비트스트림과 같은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 (28) 가 무선 수신기를 포함하는 일부 예들에 있어서, 입력 인터페이스 (28) 는 IEEE 802.11 사양, IEEE 802.15 사양 (예를 들어, ZigBee™), Bluetooth™ 표준 등과 같은 다른 무선 표준들에 따라 변조되는 비트스트림과 같은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입력 인터페이스 (28) 의 회로부는 비디오 디코더 (30) 및/또는 목적지 디바이스 (14) 의 다른 컴포넌트들의 회로부에 통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디코더 (30) 및 입력 인터페이스 (28) 는 SoC 의 부분들일 수도 있다. SoC 는 또한,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 그래픽스 프로세싱 유닛 등과 같은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2) 는 목적지 디바이스 (14) 와 통합될 수도 있거나 또는 그 외부에 있을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목적지 디바이스 (14) 는 통합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고, 또한,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 있어서, 목적지 디바이스 (14) 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2) 는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며, 액정 디스플레이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디스플레이, 또는 다른 타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 (20) 및 비디오 디코더 (30) 각각은, 적용가능할 경우,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DSP들), 주문형 집적회로들 (ASIC들),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들 (FPGA들), 이산 로직,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들과 같은 고정된 기능 및/또는 프로그래밍가능 회로부를 포함하는 다양한 적합한 인코더 또는 디코더 회로부 중 임의의 회로부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기법들이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경우, 디바이스는 적합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소프트웨어에 대한 명령들을 저장하고, 본 개시의 기법들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사용하는 하드웨어로 명령들을 실행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 (20) 및 비디오 디코더 (30) 의 각각은 하나 이상의 인코더들 또는 디코더들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는 개별 디바이스에 있어서 결합된 인코더/디코더 (CODEC) 의 부분으로서 통합될 수도 있다.
목적지 디바이스 (14) 는 디코딩될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링크 (16) 를 통해 수신할 수도 있다. 링크 (16) 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소스 디바이스 (12) 로부터 목적지 디바이스 (14) 로 이동 가능한 임의의 타입의 매체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에 있어서, 링크 (16) 는, 소스 디바이스 (12) 로 하여금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직접 목적지 디바이스 (14) 로 실시간으로 송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과 같은 통신 표준에 따라 변조되고, 목적지 디바이스 (14) 로 송신될 수도 있다. 통신 매체는 무선 주파수 (RF) 스펙트럼 또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 송신 라인들과 같은 임의의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매체는 로컬 영역 네트워크, 광역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과 같은 글로벌 네트워크와 같은 패킷 기반 네트워크의 부분을 형성할 수도 있다. 통신 매체는 라우터들, 스위치들, 기지국들, 또는 소스 디바이스 (12) 로부터 목적지 디바이스 (14) 로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데 유용할 수도 있는 임의의 다른 장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출력 인터페이스 (22) 는 인코딩된 데이터를 저장 디바이스 (33) 에 출력한다. 유사하게, 입력 인터페이스 (28) 는 인코딩된 데이터를 저장 디바이스 (33) 로부터 액세스할 수도 있다. 저장 디바이스 (33) 는 하드 드라이브, 블루-레이 디스크들, DVD들, CD-ROM들, 플래시 메모리,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디지털 저장 매체들과 같은 다양한 분산된 또는 국부적으로 액세스된 데이터 저장 매체들 중 임의의 데이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의 예에 있어서, 저장 디바이스 (33) 는, 소스 디바이스 (12) 에 의해 생성된 인코딩된 비디오를 유지할 수도 있는 파일 서버 또는 다른 중간 저장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도 있다. 목적지 디바이스 (14) 는 저장 디바이스 (33) 로부터의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에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를 통해 액세스할 수도 있다. 파일 서버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고 그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목적지 디바이스 (14) 로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임의의 타입의 서버일 수도 있다. 예시적인 파일 서버들은 웹 서버 (예를 들어, 웹 사이트용), 파일 전송 프로토콜 (FTP) 서버, 네트워크 어태치형 저장 (NAS) 디바이스들, 또는 로컬 디스크 드라이브를 포함한다. 목적지 디바이스 (14) 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에, 인터넷 커넥션을 포함한 임의의 표준 데이터 커넥션을 통해 액세스할 수도 있다. 이는 파일 서버 상에 저장되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에 액세스하기에 적합한 무선 채널 (예를 들어, Wi-Fi 커넥션), 유선 커넥션 (예를 들어, DSL, 케이블 모뎀 등), 또는 이들 양자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의 저장 디바이스 (33) 로부터의 송신은 스트리밍 송신, 다운로드 송신, 또는 이들 양자의 조합일 수도 있다.
본 개시의 기법들은 무선 어플리케이션들 또는 설정들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기법들은, 공중 경유 (over-the-air) 텔레비전 브로드캐스트들, 케이블 텔레비전 송신들, 위성 텔레비전 송신들,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스트리밍 비디오 송신들, 데이터 저장 매체 상의 저장을 위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의 인코딩, 데이터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된 디지털 비디오의 디코딩, 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들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들 중 임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지원으로 비디오 코딩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시스템 (10) 은 비디오 스트리밍, 비디오 플레이백, 비디오 브로드캐스팅, 및/또는 비디오 전화와 같은 어플리케이션들을 지원하기 위해 일방향 또는 양방향 비디오 송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더욱이, 도 1 의 예에 있어서, 시스템 (10) 은 파일 생성 디바이스 (34) 를 포함한다. 파일 생성 디바이스 (34) 는 소스 디바이스 (12) 에 의해 생성된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파일 생성 디바이스 (34) 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을 생성할 수도 있다. 목적지 디바이스 (14) 는 파일 생성 디바이스 (34) 에 의해 생성된 파일을 수신할 수도 있다. 다양한 예들에 있어서, 파일 생성 디바이스 (34) 는 다양한 타입들의 컴퓨팅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파일 생성 디바이스 (34) 는 비디오 인코딩 디바이스, 미디어 인식 네트워크 엘리먼트 (MANE), 서버 컴퓨팅 디바이스, 개인용 컴퓨팅 디바이스, 특수목적 컴퓨팅 디바이스, 상업용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다른 타입의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파일 생성 디바이스 (34) 는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의 부분이다. 파일 생성 디바이스 (34) 는 소스 디바이스 (12) 로부터의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링크 (16) 와 같은 채널을 통해 수신할 수도 있다. 더욱이, 목적지 디바이스 (14) 는 파일 생성 디바이스 (34) 로부터의 파일을 링크 (16) 와 같은 채널을 통해 수신할 수도 있다. 파일 생성 디바이스 (34) 는 비디오 디바이스로 고려될 수도 있다. 도 1 의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생성 디바이스 (34) 는 인코딩된 비디오 콘텐츠를 포함하는 파일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36)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 있어서, 소스 디바이스 (12) 또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가,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을 생성할 수도 있다. 하지만, 설명의 용이를 위해, 본 개시는 파일을 생성하는 것으로서 파일 생성 디바이스 (34) 를 설명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설명들은 일반적으로 컴퓨팅 디바이스들에 적용가능함이 이해되어야 한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MANE, 서버, 또는 다른 타입의 디바이스는 본 개시의 기법들에 따라 생성된 파일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파일로부터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획득함으로써 파일을 프로세싱하고, 획득된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파일 내의 특정 콘텐츠를 목적지 디바이스 (14) 와 같은 다른 디바이스에 포워딩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목적들을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 (22) 및 비디오 디코더 (28) 는 ITU-T H.265, 고효율 비디오 코딩 (HEVC) 표준과 같은 비디오 압축 표준, 또는 그 확장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다. HEVC 표준은 또한 ISO/IEC 23008-2 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HEVC 의 설계는 ITU-T 비디오 코딩 전문가 그룹 (VCEG) 및 ISO/IEC 모션 픽처 전문가 그룹 (MPEG) 의 JCT-VC (Joint Collaboration Team on Video Coding) 에 의해 완결되었다. 비디오 인코더 (20) 및 비디오 디코더 (30) 는 이들 표준들 또는 다른 표준들 중 하나 이상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다. 그러한 다른 비디오 코딩 표준들은, 그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SVC) 및 멀티뷰 비디오 코딩 (MVC) 확장들을 포함하여, ITU-T H.261, ISO/IEC MPEG-1 비주얼, ITU-T H.262 또는 ISO/IEC MPEG-2 비주얼, ITU-T H.263, ISO/IEC MPEG-4 비주얼, ITU-T H.264 또는 ISO/IEC MPEG-4 AVC 를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비디오 인코더 (20) 및 비디오 디코더 (30) 는 MPEG-4, 파트 10, 어드밴스드 비디오 코딩 (AVC) 으로서 대안적으로 지칭되는 ITU-T H.264 표준과 같은 다른 전매특허 또는 산업 표준들, 또는 그러한 표준들의 확장들에 따라 동작한다. 하지만, 본 개시의 기법들은 임의의 특정 코딩 표준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HEVC 에 있어서, 비디오 프레임 또는 픽처는 루마 및 크로마 샘플들 양자를 포함하는 트리블록들 또는 최대 코딩 유닛들 (LCU) 의 시퀀스로 분할될 수도 있다. 트리블록들은 또한 코딩 트리 유닛들 (CTU들) 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트리블록은 H.264/AVC 표준의 매크로블록과 유사한 목적을 갖는다. 슬라이스는 코딩 순서에서의 다수의 연속적인 트리블록들을 포함한다. 비디오 프레임 또는 픽처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들로 파티셔닝될 수도 있다. 각각의 트리블록은 쿼드트리에 따라 코딩 유닛들 (CU들) 로 분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쿼드트리의 루트 노드로서 트리블록은 4개의 자식 노드들로 분할될 수도 있고, 각각의 자식 노드는 결국 부모 노드일 수도 있으며 또다른 4개의 자식 노드들로 분할될 수도 있다. 쿼드트리의 리프 노드로서 최종의 미분할된 자식 노드는 코딩 노드, 즉, 코딩된 비디오 블록을 포함한다. 코딩된 비트스트림과 연관된 신택스 데이터는 트리블록이 분할될 수도 있는 최대 횟수를 정의할 수도 있으며, 또한 코딩 노드들의 최소 사이즈를 정의할 수도 있다.
CU 는 코딩 노드, 그리고 코딩 노드와 연관된 예측 유닛들 (PU들) 및 변환 유닛들 (TU들) 을 포함한다. CU 의 사이즈는 코딩 노드의 사이즈에 대응하고, 형상이 정방형이어야 한다. CU 의 사이즈는 8x8 픽셀들로부터, 최대 64x64 픽셀들 이상을 갖는 트리블록의 사이즈까지 이를 수도 있다. 각각의 CU 는 하나 이상의 PU들 및 하나 이상의 TU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CU 와 연관된 신택스 데이터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PU들로의 CU 의 파티셔닝을 기술할 수도 있다. 파티셔닝 모드들은 CU 가 스킵되거나 직접 모드 인코딩되거나, 인트라-예측 모드 인코딩되거나, 또는 인터-예측 모드 인코딩되는지 여부 간에 상이할 수도 있다. PU들은 형상이 비-정방형이도록 파티셔닝될 수도 있다. CU 와 연관된 신택스 데이터는 또한, 예를 들어, 쿼드트리에 따라 하나 이상의 TU들로의 CU 의 파티셔닝을 기술할 수도 있다. TU 는 형상이 정방형이거나 비-정방형일 수 있다.
HEVC 표준은 TU들에 따른 변환들에 대해 허용하며, 이는 상이한 CU들에 대해 상이할 수도 있다. TU들은 통상적으로, 파티셔닝된 LCU 에 대해 정의된 소정의 CU 내에서의 PU들의 사이즈에 기초하여 사이징되지만, 이것이 항상 그 경우인 것은 아닐 수도 있다. TU들은 통상적으로 PU들과 동일한 사이즈이거나 그 보다 더 작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CU 에 대응하는 잔차 샘플들은 "잔차 쿼드트리 (RQT)" 로서 공지된 쿼드트리 구조를 이용하여 더 작은 유닛들로 세분될 수도 있다. RQT 의 리프 노드들은 TU들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TU들과 연관된 픽셀 차이 값들은 변환 계수들을 생성하도록 변환될 수도 있으며, 이 변환 계수들은 양자화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PU 는 예측 프로세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PU 가 인트라-모드 인코딩될 경우, PU 는 그 PU 에 대한 인트라-예측 모드를 기술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PU 가 인터-모드 인코딩될 경우, PU 는 그 PU 에 대한 모션 벡터를 정의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PU 에 대한 모션 벡터를 정의하는 데이터는 예를 들어, 모션 벡터의 수평 컴포넌트, 모션 벡터의 수직 컴포넌트, 모션 벡터에 대한 분해능 (예를 들어, 1/4 픽셀 정밀도 또는 1/8 픽셀 정밀도), 모션 벡터가 포인팅하는 레퍼런스 픽처, 및/또는 모션 벡터에 대한 레퍼런스 픽처 리스트 (예를 들어, 리스트 0, 리스트 1) 를 기술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TU 는 변환 및 양자화 프로세스들을 위해 사용된다. 하나 이상의 PU들을 갖는 소정의 CU 는 또한 하나 이상의 TU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측 이후, 비디오 인코더 (20) 는 PU 에 대응하는 잔차 값들을 계산할 수도 있다. 잔차 값들은, 엔트로피 코딩을 위한 직렬화된 변환 계수들을 생성하기 위해 변환 계수들로 변환되고 양자화되고 TU들을 이용하여 스캐닝될 수도 있는 픽셀 차이 값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는 통상적으로 용어 "비디오 블록" 을 사용하여, CU 의 코딩 노드 (즉, 코딩 블록) 를 지칭한다. 일부 특정 경우들에 있어서, 본 개시는 또한 용어 "비디오 블록" 을 사용하여, 코딩 노드 그리고 PU들 및 TU 들을 포함하는 트리블록, 즉, LCU 또는 CU 를 지칭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시퀀스는 통상적으로, 비디오 프레임들 또는 픽처들의 시리즈를 포함한다. 픽처의 각각의 슬라이스는 개별 슬라이스에 대한 인코딩 모드를 기술하는 슬라이스 신택스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 (20) 는 통상적으로, 비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하기 위하여 개별 비디오 슬라이스들 내의 비디오 블록들에 대해 동작한다. 비디오 블록은 CU 내의 코딩 노드에 대응할 수도 있다. 비디오 블록들은 고정 또는 가변 사이즈들을 가질 수도 있으며, 명시된 코딩 표준에 따라 사이즈가 상이할 수도 있다.
CU 의 PU들을 이용한 인트라-예측 또는 인터-예측 코딩 이후, 비디오 인코더 (20) 는 CU 의 TU들에 대한 잔차 데이터를 계산할 수도 있다. PU들은 공간 도메인 (픽셀 도메인으로서도 또한 지칭됨) 에 있어서의 픽셀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고, TU들은 변환, 예를 들어, 이산 코사인 변환 (DCT), 정수 변환, 웨이블릿 변환, 또는 잔차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개념적으로 유사한 변환의 적용 이후에 변환 도메인에 있어서 계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잔차 데이터는 인코딩되지 않은 픽처의 픽셀들과 PU들에 대응하는 예측 값들 간의 픽셀 차이들에 대응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 (20) 는 CU 에 대한 잔차 데이터를 포함하는 TU들을 형성하고, 그 후, TU들을 변환하여 CU 에 대한 변환 계수들을 생성할 수도 있다.
변환 계수들을 생성하기 위한 임의의 변환들 이후, 비디오 인코더 (20) 는 변환 계수들의 양자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양자화는 일반적으로, 변환 계수들이 그 계수들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데이터의 양을 가능하게는 감소시키도록 양자화되어 추가 압축을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지칭한다. 양자화 프로세스는 그 계수들의 일부 또는 그 모두와 연관되는 비트 심도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1차원 벡터를 형성하기 위해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을 스캔한 이후, 비디오 인코더 (20) 는, 예를 들어, 컨텍스트 적응 가변 길이 코딩 (CAVLC), 컨텍스트 적응 이진 산술 코딩 (CABAC), 신택스 기반 컨텍스트 적응 이진 산술 코딩 (SBAC), 확률 간격 파티셔닝 엔트로피 (PIPE) 코딩, 또는 다른 엔트로피 인코딩 방법에 따라 1차원 벡터를 엔트로피 인코딩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 (20) 는 또한,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함에 있어서 비디오 디코더 (30) 에 의한 사용을 위해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와 연관된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엔트로피 인코딩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 (20) 는 코딩된 픽처들 및 관련 데이터의 표현을 형성하는 비트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출력할 수도 있다. 용어 "비트스트림" 은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NAL) 유닛 스트림 (예를 들어, NAL 유닛들의 시퀀스) 또는 바이트 스트림 (예를 들어, HEVC 표준의 부록 B 에서 명시된 바와 같이 시작 코드 프리픽스들 및 NAL 유닛들을 포함하는 NAL 유닛 스트림의 캡슐화) 중 어느 하나를 지칭하도록 사용되는 집합적인 용어일 수도 있다. NAL 유닛은, NAL 유닛 내의 데이터의 타입의 표시, 및 필요에 따라 에뮬레이션 방지 비트들로 산재된 RBSP (raw byte sequence payload) 의 형태로 그 데이터를 포함하는 바이트들을 포함하는 신택스 구조이다. NAL 유닛들의 각각은 NAL 유닛 헤더를 포함할 수도 있고 RBSP 를 캡슐화할 수도 있다. NAL 유닛 헤더는, NAL 유닛 타입 코드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NAL 유닛의 NAL 유닛 헤더에 의해 명시된 NAL 유닛 타입 코드는 NAL 유닛의 타입을 나타낸다. RBSP 는, NAL 유닛 내에서 캡슐화되는 정수 개수의 바이트들을 포함하는 신택스 구조일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RBSP 는 제로 비트들을 포함한다.
상이한 타입들의 NAL 유닛들은 상이한 타입들의 RBSP들을 캡슐화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NAL 유닛의 제 1 타입은 픽처 파라미터 세트 (PPS) 에 대한 RBSP 를 캡슐화할 수도 있고, NAL 유닛의 제 2 타입은 슬라이스 세그먼트에 대한 RBSP 를 캡슐화할 수도 있으며, NAL 유닛의 제 3 타입은 보충 인핸스먼트 정보 (SEI) 에 대한 RBSP 를 캡슐화할 수도 있는 등등이다. (파라미터 세트들 및 SEI 메시지들에 대한 RBSP들과 대조적으로) 비디오 코딩 데이터에 대한 RBSP들을 캡슐화하는 NAL 유닛들은 비디오 코딩 계층 (VCL) NAL 유닛들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파라미터 세트들 (예를 들어,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들 (VPS들),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들 (SPS들), PPS들, 또는 다른 타입들의 파라미터 세트들) 을 포함하는 NAL 유닛들은 파라미터 세트 NAL 유닛들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본 개시는, 세그먼트 슬라이스에 대한 RBSP 를 캡슐화한 NAL 유닛을 코딩된 슬라이스 NAL 유닛으로서 지칭할 수도 있다. HEVC 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슬라이스 세그먼트는, 타일 스캔에서 연속적으로 순서화된 그리고 단일 NAL 유닛에서 포함된 정수 개수의 CTU들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HEVC 에 있어서, 슬라이스는, 하나의 독립적인 슬라이스 세그먼트에서 그리고 동일한 액세스 유닛 내의 (있다면) 다음의 독립적인 슬라이스 세그먼트에 선행하는 (있다면) 모든 후속의 종속적인 슬라이스 세그먼트들에서 포함된 정수 개수의 CTU들일 수도 있다. 독립적인 슬라이스 세그먼트는,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의 신택스 엘리먼트들의 값들이 선행하는 슬라이스 세그먼트에 대한 값들로부터 추론되지 않는 슬라이스 세그먼트이다. 종속적인 슬라이스 세그먼트는,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의 일부 신택스 엘리먼트들의 값들이 디코딩 순서에서 선행하는 독립적인 슬라이스 세그먼트에 대한 값들로부터 추론되는 슬라이스 세그먼트이다. 코딩된 슬라이스 NAL 유닛의 RBSP 는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 및 슬라이스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는, 슬라이스 세그먼트에서 표현된 첫번째 또는 모든 CTU들에 관한 데이터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코딩된 슬라이스 세그먼트의 부분이다. 슬라이스 헤더는, 현재 슬라이스 세그먼트인 독립적인 슬라이스 세그먼트의 또는 디코딩 순서에서 현재 종속적인 슬라이스 세그먼트에 선행하는 가장 최근의 독립적인 슬라이스 세그먼트의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이다.
비디오 디코더 (30) 는 비디오 인코더 (20) 에 의해 생성된 비트스트림을 수신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비디오 디코더 (30) 는 비트스트림을 파싱하여,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획득할 수도 있다. 비디오 디코더 (30) 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된 신택스 엘리먼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비디오 데이터의 픽처들을 복원할 수도 있다. 비디오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한 프로세스는 일반적으로, 비디오 인코더 (20) 에 의해 수행된 프로세스에 역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디코더 (30) 는 PU들의 모션 벡터들을 이용하여 현재 CU 의 PU들에 대한 예측 블록들을 결정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비디오 디코더 (30) 는 현재 CU 의 TU들의 계수 블록들을 역양자화할 수도 있다. 비디오 디코더 (30) 는 계수 블록들에 대해 역변환들을 수행하여 현재 CU 의 TU들의 변환 블록들을 복원할 수도 있다. 비디오 디코더 (30) 는 현재 CU 의 PU들에 대한 예측 블록들의 샘플들을, 현재 CU 의 TU들의 변환 블록들의 대응하는 샘플들에 부가함으로써, 현재 CU 의 코딩 블록들을 복원할 수도 있다. 픽처의 각각의 CU 에 대한 코딩 블록들을 복원함으로써, 비디오 디코더 (30) 는 픽처를 복원할 수도 있다.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비디오 인코더 (20) 는, NAL 유닛들의 시리즈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할 수도 있다. 멀티-계층 비디오 코딩에 있어서, 비트스트림의 상이한 NAL 유닛들은 비트스트림의 상이한 계층들과 연관될 수도 있다. 계층은, 동일한 계층 식별자를 갖는 VCL NAL 유닛들 및 관련 비-VCL NAL 유닛들의 세트로서 정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NAL 유닛들은 헤더들 (즉, NAL 유닛 헤더들) 및 페이로드들 (예를 들어, RBSP들) 을 포함할 수도 있다. NAL 유닛 헤더들은 계층 식별자 신택스 엘리먼트들 (예를 들어, HEVC 에서의 nuh_layer_id 신택스 엘리먼트들)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이한 값들을 명시하는 계층 식별자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갖는 NAL 유닛들은 비트스트림의 상이한 "계층들" 에 속한다. 따라서, 멀티-계층 코딩 (예를 들어, MV-HEVC, SVC, 또는 SHVC) 에 있어서, NAL 유닛의 계층 식별자 신택스 엘리먼트는 NAL 유닛의 계층 식별자 (즉, 계층 ID) 를 명시한다.
계층은 멀티뷰 비디오 코딩에 있어서의 뷰와 등가물일 수도 있다. 멀티뷰 비디오 코딩에 있어서, 계층은 상이한 시간 인스턴스들을 갖는 동일한 계층의 모든 뷰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계층 비디오 코딩에 있어서, 용어 "액세스 유닛" 은, 동일한 시간 인스턴스에 대응하는 픽처들의 세트를 지칭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유닛에서의 모든 픽처들은 동일한 출력 시간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뷰 컴포넌트" 는 단일의 액세스 유닛에서의 뷰의 코딩된 표현일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뷰 컴포넌트는 텍스처 뷰 컴포넌트 (즉, 텍스처 픽처) 또는 심도 뷰 컴포넌트 (즉, 심도 픽처)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멀티뷰 비디오 코딩의 일부 예들에 있어서, 계층은 특정 뷰의 코딩된 심도 픽처들 또는 특정 뷰의 코딩된 텍스처 픽처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지만, 심도 픽처들 및 텍스처 픽처들 양자 모두를 포함하지는 않는다. 멀티뷰 비디오 코딩의 다른 예들에 있어서, 계층은 특정 뷰의 텍스처 뷰 컴포넌트들 및 심도 뷰 컴포넌트들 양자 모두를 포함한다.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의 컨텍스트에 있어서, 계층은 통상적으로, 다른 계층들에서의 코딩된 픽처들과는 상이한 비디오 특성들을 갖는 코딩된 픽처들에 대응한다. 그러한 비디오 특성들은 통상적으로, 공간 분해능 및 품질 레벨 (예를 들어, 신호대 노이즈 비) 을 포함한다.
비트스트림의 각각의 개별 계층에 대해, 하위 계층에서의 데이터는 임의의 상위 계층에서의 데이터를 참조하지 않고도 디코딩될 수도 있다.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에 있어서, 예를 들어, 베이스 계층에서의 데이터는 인핸스먼트 계층에서의 데이터를 참조하지 않고도 디코딩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NAL 유닛들을 오직 단일 계층의 데이터만을 캡슐화할 수도 있다. 따라서, 비트스트림의 최고 나머지 계층 (예를 들어, 최고 계층 식별자와 연관된 계층) 의 데이터를 캡슐화하는 NAL 유닛들은 비트스트림의 나머지 계층들에서의 데이터의 디코딩가능성에 영향을 주지 않고도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제거될 수도 있다. 멀티뷰 코딩에 있어서, 상위 계층들은 부가적인 뷰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에 있어서, 상위 계층들은 신호대 노이즈 비 (SNR) 인핸스먼트 데이터, 공간 인핸스먼트 데이터, 및/또는 시간 인핸스먼트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멀티-계층 비디오 코딩에 있어서, 비디오 디코더가 어떠한 다른 계층의 데이터를 참조하지 않고도 계층에서의 픽처들을 디코딩할 수 있다면, 그 계층은 "베이스 계층" 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HEVC 및 다른 비디오 코딩 사양들에 있어서, NAL 유닛의 계층 식별자는, NAL 유닛이 베이스 계층에 있으면 0 과 동일하다. NAL 유닛이 멀티-계층 코딩에 있어서 베이스 계층과 관련되지 않으면, NAL 유닛의 계층 식별자는 비-제로 값을 가질 수도 있다.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에 있어서, 베이스 계층 이외의 계층들은 "인핸스먼트 계층들" 로서 지칭될 수도 있으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의 시각적 품질을 향상시키는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은 공간 분해능, 신호 대 노이즈 비 (즉, 품질) 또는 시간 레이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멀티-계층 비디오 코딩은 계층간 (inter-layer) 예측을 지원할 수도 있다. 계층간 예측은 HEVC 및 다른 비디오 코딩 사양들에서 사용된 인터 예측과 유사하며 동일한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하지만, 비디오 코더가 (PU 와 같은) 현재의 비디오 유닛에 대해 계층간 예측을 수행할 경우, 비디오 코더는, 현재의 비디오 유닛과 동일한 액세스 유닛에 있지만 상이한 계층에 있는 픽처를 레퍼런스 픽처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종래의 인터 예측은 오직 상이한 액세스 유닛들에서의 픽처들만을 레퍼런스 픽처들로서 사용한다. 비-베이스 계층 중 하나에서 픽처를 코딩할 경우, 비디오 코더는, 픽처가 비디오 코더가 현재 코딩하고 있는 픽처와 동일한 시간 인스턴스 (즉, 액세스 유닛) 내이지만 상이한 계층에 있으면, 그 픽처를 레퍼런스 픽처 리스트에 부가할 수도 있다.
더욱이, 계층 내의 일부 픽처들은 동일 계층 내의 다른 픽처들을 참조하지 않고도 디코딩될 수도 있다. 따라서, 계층의 특정 픽처들의 데이터를 캡슐화하는 NAL 유닛들은 계층에서의 다른 픽처들의 디코딩가능성에 영향을 주지 않고도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제거될 수도 있다. 그러한 픽처들의 데이터를 캡슐화하는 NAL 유닛들을 제거하는 것은 비트스트림의 프레임 레이트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계층 내의 다른 픽처들을 참조하지 않고도 디코딩될 수도 있는 계층 내의 픽처들의 서브세트는 본 명세서에서 "서브계층", "시간 계층", 또는 "시간 서브계층" 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따라서, 시간 스케일러빌리티는, 특정 시간 레벨을 갖는 픽처들의 그룹을 서브계층 (즉, 시간 계층) 으로서 정의함으로써 일 계층 내에서 달성될 수도 있다.
NAL 유닛들은 시간 식별자 (예를 들어, HEVC 에서의 temporal_id)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NAL 유닛의 시간 식별자 신택스 엘리먼트는 NAL 유닛의 시간 식별자를 명시한다. NAL 유닛의 시간 식별자는, NAL 유닛이 연관되는 시간 서브계층을 식별한다. 따라서, 비트스트림의 계층의 각각의 시간 서브계층은 상이한 시간 식별자와 연관될 수도 있다. 제 1 NAL 유닛의 시간 식별자가 제 2 NAL 유닛의 시간 식별자보다 작으면, 제 1 NAL 유닛에 의해 캡슐화된 데이터는 제 2 NAL 유닛에 의해 캡슐화된 데이터를 참조하지 않고도 디코딩될 수도 있다.
도 2 는 픽처들의 예시적인 코딩 의존성들을 예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 의 예에 있어서, CVS 는 픽처들 (50, 52, 54, 56, 및 58) 을 포함한다. 픽처들 (50, 52, 54, 56, 및 58) 의 각각은 개별 액세스 유닛들 (AU들) 에 있다. 도 2 의 예는 픽처들 (50, 52, 54, 56, 및 58) 이 동일한 계층에 있는 것을 가정한다. 픽처들 (50 및 58) 은 CVS 에서의 어떠한 다른 픽처들에도 의존하지 않는다. 픽처 (54) 는 픽처들 (50 및 58) 에 의존한다. 즉, 픽처 (54) 는 제 1 디코딩 픽처들 (50 및 58) 없이 디코딩될 수 없다. 예를 들어, 픽처 (54) 에서의 블록들의 모션 파라미터들은 픽처들 (50 및 58) 에서의 블록들을 식별할 수도 있다. 픽처들 (52 및 56) 은 픽처들 (50, 54, 및 58) 에 의존한다.
시간 스케일링을 위해, 픽처들 (52, 54, 및 56) 은, 픽처들 (50 및 58) 을 디코딩하기 위한 비디오 디코더 (30) 의 능력에 영향을 주지 않고도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픽처들 (50 및 58) 은 제 1 시간 서브계층 (즉, 시간 서브계층 0) 을 형성한다. 픽처들 (52 및 56) 은, 픽처 (54) 를 디코딩하기 위한 비디오 디코더 (30) 의 능력에 영향을 주지 않고도 제거될 수 있지만, 픽처들 (50 및 58) 은, 픽처 (54) 를 디코딩하기 위한 비디오 디코더 (30) 의 능력에 영향을 주지 않고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제거될 수 없다. 따라서, 픽처 (54) 는 제 2 시간 서브계층 (즉, 시간 서브계층 1) 을 형성한다. 픽처들 (52 및 56) 은 픽처들 (50, 54, 및 58) 에 의존하며, 따라서, 제 3 시간 서브계층 (즉, 시간 서브계층 2) 을 형성한다.
HEVC 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CVS 는, 디코딩 순서에서, 1 과 동일한 NoRaslOutputFlag 를 갖는 인트라 랜덤 액세스 포인트 (IRAP) 액세스 유닛 이후 1 과 동일한 NoRaslOutputFlag 를 갖는 IRAP 액세스 유닛들이 아닌 제로 또는 그 초과의 액세스 유닛들 (모든 후속 액세스 유닛들까지 포함 하지만 1 과 동일한 NoRaslOutputFlag 를 갖는 IRAP 액세스 유닛인 임의의 후속 액세스 유닛 불포함) 로 이루어진 액세스 유닛들 (AU들) 의 시퀀스이다. IRAP 액세스 유닛은 순시 디코딩 리프레시 (IDR) 액세스 유닛, 차단된 링크 액세스 (BLA) 액세스 유닛, 또는 클린 랜덤 액세스 (CRA) 액세스 유닛일 수도 있다. NoRaslOutputFlag 의 값은, 디코딩 순서에서 비트스트림에서의 제 1 액세스 유닛이거나 디코딩 순서에서 시퀀스 종단 NAL 유닛을 뒤따르는 제 1 액세스 유닛이거나 또는 1 과 동일한 HandleCraAsBlaFlag 를 갖는 각각의 IDR 액세스 유닛, 각각의 BLA 액세스 유닛 및 각각의 CRA 액세스 유닛에 대해, 1 과 동일하다.
더욱이, HEVC 에 있어서, CRA 픽처는, 각각의 VCL NAL 유닛이 CRA_NUT 와 동일한 nal_unit_type 을 갖는 IRAP 픽처이다. HEVC 에 있어서, CRA 픽처는 오직 I 슬라이스들만을 포함하고, 디코딩 순서에서 비트스트림에서의 제 1 픽처일 수도 있거나, 또는 비트스트림에서 더 나중에 나타날 수도 있다. CRA 픽처는 RADL 또는 RASL 픽처들과 연관되었을 수도 있다. CRA 픽처가 1 과 동일한 NoRaslOutputFlag 를 가질 경우, 연관된 RASL 픽처들은, 비트스트림에 존재하지 않는 픽처들에 대한 레퍼런스들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음에 따라 디코딩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디코더에 의해 출력되지 않는다. 클린 랜덤 액세스 (CRA) 액세스 유닛은, 0 과 동일한 nuh_layer_id 를 갖는 코딩된 픽처가 CRA 픽처인 액세스 유닛이다.
HEVC 에 있어서, IRAP 픽처는, 각각의 VCL NAL 유닛이 BLA_W_LP 내지 RSV_IRAP_VCL23 포함의 범위에서의 nal_unit_type 을 갖는 코딩된 픽처이다. IRAP 픽처는 오직 I 슬라이스들만을 포함하며, BLA 픽처, CRA 픽처 또는 IDR 픽처일 수도 있다. 디코딩 순서에서 비트스트림에서의 제 1 픽처는 IRAP 픽처이어야 한다. 필요한 파라미터 세트들이 활성화될 필요가 있을 때 이용가능하면, IRAP 픽처 및 디코딩 순서에서의 모든 후속 비-RASL 픽처들은, 디코딩 순서에서 IRAP 픽처에 선행하는 어떠한 픽처들의 디코딩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고도 정확하게 디코딩될 수 있다. IRAP 픽처들이 아닌 I 슬라이스들만을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에서의 픽처들이 존재할 수도 있다. IRAP 액세스 유닛은, 0 과 동일한 nuh_layer_id 를 갖는 코딩된 픽처가 IRAP 픽처인 액세스 유닛이다.
HEVC 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차단된 링크 액세스 (BLA) 액세스 유닛은, 0 과 동일한 nuh_layer_id 를 갖는 코딩된 픽처가 BLA 픽처인 액세스 유닛이다. BLA 픽처는, 각각의 VCL NAL 유닛이 BLA_W_LP, BLA_W_RADL, 또는 BLA_N_LP 와 동일한 nal_unit_type 을 갖는 IRAP 픽처이다.
이제, 파일 포맷들 및 파일 포맷 표준들이 간략히 논의된다. 파일 포맷 표준들은 ISO 베이스 미디어 파일 포맷 (ISOBMFF, ISO/IEC 14496-12, 이하, "ISO/IEC 14996-12"), 및 MPEG-4 파일 포맷 (ISO/IEC 14496-15), 3GPP 파일 포맷 (3GPP TS 26.244), 그리고 AVC (ISO/IEC 14496-15, 이하, "ISO/IEC 14996-15") 및 그 확장들에 대한 파일 포맷들 뿐 아니라 HEVC 및 그 확장들에 대한 파일 포맷들을 포함하는 ISO/IEC 14496-15 를 포함하여 ISOBMFF 로부터 도출된 다른 파일 포맷 표준들을 포함한다. ISO/IEC 14496-12 는 ISO 베이스 미디어 파일 포맷을 명시한다. 다른 문서들은 특정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ISO 베이스 미디어 파일 포맷을 확장한다. 예를 들어, ISO/IEC 14496-15 는 NAL 유닛 구조화된 비디오의 캐리지를 ISO 베이스 미디어 파일 포맷으로 기술한다. H.264/AVC 및 HEVC 뿐 아니라 그 확장들은 NAL 유닛 구조화된 비디오의 예들이다. ISO/IEC 14496-15 는 H.264/AVC NAL 유닛들의 캐리지를 기술하는 섹션들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ISO/IEC 14496-15 의 섹션 8 은 HEVC NAL 유닛들의 캐리지를 기술한다. 따라서, ISO/IEC 14496-15 의 섹션 8 은 HEVC 파일 포맷을 기술하는 것으로 일컬어진다. 제114차 MPEG 회의 이후, 수개의 국가 단체들로부터 수신된 코멘트들에 기초하여, ISO/IEC 14496-15 드래프트 사양의 새로운 버전에 적용될 ISO/IEC 14496-15 에 대한 일부 변경들을 포함하는 처분 문서가 준비되었다. 이러한 처분 문서는 "MPEG 출력 문서 N15297" 로서 지칭된다.
ISOBMFF 는 AVC 파일 포맷과 같은 다수의 코덱 캡슐화 포맷들에 대한 뿐만 아니라 MPEG-4 파일 포맷, 3GPP 파일 포맷 (3GP), 및 DVB 파일 포맷과 같은 다수의 멀티미디어 컨테이너 포맷들에 대한 기저로서 사용된다. 오디오 및 비디오와 같은 연속적인 미디어에 부가하여, 이미지들과 같은 정적 미디어 뿐 아니라 메타데이터는 ISOBMFF 에 부합하는 파일에 저장될 수 있다. ISOBMFF 에 따라 구조화된 파일들은, 로컬 미디어 파일 플레이백, 원격 파일의 점진적 다운로딩, DASH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에 대한 세그먼트들, 스트리밍될 콘텐츠 및 그 패킷화 명령들에 대한 컨테이너들, 및 수신된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의 레코딩을 포함하여 다수의 목적들로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비록 저장용으로 원래 설계되더라도, ISOBMFF 는, 예를 들어, 점진적 다운로드 또는 DASH 를 위해 스트리밍에 대해 가치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스트리밍 목적들을 위해, ISOBMFF 에서 정의된 영화 프래그먼트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오디오 및 비디오와 같은 연속적인 미디어에 부가하여, ISOBMFF 에 부합하는 파일은 또한, 이미지들과 같은 정적 미디어 뿐 아니라 메타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HEVC 파일 포맷에 부합하는 파일은 박스들로 지칭되는 오브젝트들의 시리즈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박스는, 고유한 타입 식별자 및 길이에 의해 정의되는 오브젝트 지향 빌딩 블록일 수도 있다. 박스는, 4문자 코딩된 박스 타입, 박스의 바이트 카운트, 및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ISOBMFF 에서의 기본 신택스 구조이다. 즉, 박스는, 코딩된 박스 타입, 박스의 바이트 카운트, 및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신택스 구조일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HEVC 파일 포맷에 부합하는 파일에서의 모든 데이터는 박스들 내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박스에 있지 않는 파일에서의 데이터는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ISOBMFF 파일은 박스들의 시퀀스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박스들은 다른 박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박스의 페이로드는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박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다른 곳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도 5 및 도 6 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기법들에 따른, 파일 내의 예시적인 박스들을 도시한다.
ISOBMFF 에 부합하는 파일은 다수의 타입들의 박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ISOBMFF 에 부합하는 파일은 파일 타입 박스, 미디어 데이터 박스, 영화 박스, 영화 프래그먼트 박스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예에 있어서, 파일 타입 박스는 파일 타입 및 호환가능성 정보를 포함한다. 미디어 데이터 박스는 샘플들 (예를 들어, 코딩된 픽처들)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영화 박스 ("moov") 는 파일에 존재하는 연속적인 미디어 스트림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한다. 연속적인 미디어 스트림들의 각각은 파일에 트랙으로서 표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영화 박스는 영화에 관한 메타데이터 (예를 들어, 샘플들 간의 논리적 및 타이밍 관계들, 및 또한 샘플들의 위치들로의 포인터들)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영화 박스들은 수개의 타입들의 서브-박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영화 박스에서의 서브-박스들은 하나 이상의 트랙 박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트랙 박스는 영화의 개별 트랙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트랙 박스는, 단일의 트랙의 전체 정보를 명시하는 트랙 헤더 박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트랙 박스는, 미디어 정보 박스를 포함하는 미디어 박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미디어 정보 박스는, 트랙에 미디어 샘플들을 인덱싱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샘플 테이블 박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샘플 테이블 박스에서의 정보는 시간에 있어서 샘플들을, 그리고 트랙의 샘플들의 각각에 대해, 타입, 사이즈, 컨테이너, 및 샘플의 그 컨테이너로의 오프셋을 로케이팅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트랙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트랙 박스 ("trak") 에서 둘러싸이는 한편, 트랙의 미디어 콘텐츠는 미디어 데이터 박스 ("mdat") 에서 또는 별도의 파일에서 직접 둘러싸인다. 트랙들에 대한 미디어 콘텐츠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액세스 유닛들과 같은 샘플들의 시퀀스를 포함하거나 그 시퀀스로 이루어진다.
ISOBMFF 는 다음의 타입들의 트랙들을 명시한다: 기본 미디어 스트림을 포함하는 미디어 트랙, 미디어 송신 명령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수신된 패킷 스트림을 표현하는 힌트 트랙, 및 시간-동기화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타이밍된 메타데이터 트랙. 각각의 트랙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샘플 디스크립션 엔트리들의 리스트를 포함하고, 샘플 디스크립션 엔트리들의 각각은 트랙에서 사용된 코딩 또는 캡슐화 포맷 및 그 포맷을 프로세싱하기 위해 사용된 초기화 데이터를 제공한다. 각각의 샘플은 트랙의 샘플 디스크립션 엔트리들 중 하나와 연관된다.
ISOBMFF 는 다양한 메커니즘들로 샘플 특정 메타데이터를 명시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샘플 테이블 박스 ("stbl") 내의 특정 박스들은 공통의 필요성들에 응답하도록 표준화되었다. 예를 들어, 싱크 샘플 박스 ("stss") 는 트랙의 랜덤 액세스 샘플들을 리스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샘플 그룹핑 메커니즘은, 파일에서의 샘플 그룹 디스크립션 엔트리로서 명시된 동일한 특성을 공유하는 샘플들의 그룹들로의 4문자 그룹핑 타입에 따른 샘플들의 맵핑을 가능케 한다. 수개의 그룹핑 타입들이 ISOBMFF 에 명시되어 있다. 샘플 테이블 박스는, 트랙에서의 미디어 샘플들의 모든 시간 및 데이터 인덱싱을 포함하는 샘플 테이블을 포함한다. 샘플 테이블 박스에서의 테이블들을 사용하여, 시간에 있어서 샘플들을 로케이팅하고, 그 타입 (예를 들어, I 프레임인지 여부) 을 결정하고, 그리고 그 사이즈, 컨테이너, 및 그 컨테이너로의 오프셋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싱크 샘플 박스 ("stss") 는 샘플 테이블 박스 내의 박스이다. 싱크 샘플 박스는 트랙의 랜덤 액세스 샘플들을 리스팅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개시는 싱크 샘플 박스에 의해 리스팅된 샘플을 싱크 샘플로서 지칭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 있어서, 샘플 그룹핑 메커니즘은, 파일에서의 샘플 그룹 디스크립션 엔트리로서 명시된 동일한 특성을 공유하는 샘플들의 그룹들로의 4문자 그룹핑 타입에 따른 샘플들의 맵핑을 가능케 한다. 수개의 그룹핑 타입들이 ISOBMFF 에 명시되어 있다.
ISOBMFF 사양은 DASH 와의 사용을 위한 6개 타입들의 스트림 액세스 포인트들 (SAP들) 을 명시한다. 첫번째 2개의 SAP 타입들 (타입들 1 및 2) 은 H.264/AVC 및 HEVC 에서의 IDR 픽처들에 대응한다. 제 3 SAP 타입 (타입 3) 은 개방형 GOP 랜덤 액세스 포인트들 따라서 HEVC 에서의 BLA 또는 CRA 픽처들에 대응한다. 제 4 SAP 타입 (타입 4) 은 GDR 랜덤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응한다.
영화 프래그먼트 박스는 상위 레벨 박스이다. 각각의 영화 프래그먼트 박스는, 영화 박스에 이전에 있어 왔던 정보를 제공한다. 영화 프래그먼트 박스는 하나 이상의 트랙 프래그먼트 ("traf") 박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영화 프래그먼트 내에서, 트랙 당 제로 또는 그 초과인 트랙 프래그먼트들의 세트가 존재한다. 트랙 프래그먼트들은, 차례로, 제로 또는 그 초과의 트랙 런(track run)들을 포함하고, 트랙 런들의 각각은 그 트랙에 대한 샘플들의 인접한 런을 도큐먼팅 (document) 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트랙 런은 디코딩 순서와 같은 특정 순서에서 인접한 픽처들의 샘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트랙 프래그먼트 박스는 14996-12 사양에서 정의되고, 하나 이상의 트랙 프래그먼트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트랙 프래그먼트 박스는 트랙 ID, 베이스 데이터 오프셋, 샘플 디스크립션 인덱스, 디폴트 샘플 지속기간, 디폴트 샘플 사이즈, 및 디폴트 샘플 플래그들을 나타내는 트랙 프래그먼트 헤더 박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트랙 프래그먼트 박스는 하나 이상의 트랙 프래그먼트 런 박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트랙 프래그먼트 런 박스들의 각각은 트랙에 대한 샘플들의 인접한 세트를 도큐먼팅한다. 예를 들어, 트랙 프래그먼트 박스는 샘플 카운트, 데이터 오프셋, 샘플 플래그들, 샘플 지속기간, 샘플 사이즈, 샘플 조성 시간 오프셋 등을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구조들 내에서, 다수의 필드들은 옵션적이고, 디폴트될 수 있다.
샘플 테이블 박스는 하나 이상의 SampleToGroup 박스들 및 하나 이상의 샘플 그룹 디스크립션 박스들 (즉, SampleGroupDescription 박스들) 을 포함할 수도 있다. SampleToGroup 박스는, 샘플 그룹의 연관된 디스크립션과 함께, 샘플이 속하는 샘플 그룹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즉, SampleToGroup 박스는, 샘플이 속하는 그룹을 표시할 수도 있다. SampleToGroup 박스는 "sbgp" 의 박스 타입을 가질 수도 있다. SampleToGroup 박스는 그룹핑 타입 엘리먼트 (예를 들어, grouping_type)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본 개시에서, 박스의 엘리먼트는 또한 신택스 엘리먼트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그룹핑 타입 엘리먼트는 샘플 그룹핑의 타입 (즉, 샘플 그룹들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기준) 을 식별하는 정수일 수도 있다. 더욱이, SampleToGroup 박스는 하나 이상의 엔트리들 (즉, 샘플 그룹 엔트리들) 을 포함할 수도 있다. SampleToGroup 박스에서의 각각의 샘플 그룹 엔트리는 트랙에서의 연속적인 샘플들의 상이한 비중첩 시리즈와 연관될 수도 있다. 각각의 샘플 그룹 엔트리는 샘플 카운트 엘리먼트 (예를 들어, sample_count) 및 그룹 디스크립션 인덱스 엘리먼트 (예를 들어, group_description_index) 를 표시할 수도 있다. 샘플 그룹 엔트리의 샘플 카운트 엘리먼트는 샘플 그룹 엔트리와 연관된 샘플들의 수를 표시할 수도 있다. 즉, 샘플 그룹 엔트리의 샘플 카운트 엘리먼트는 동일한 샘플 그룹 디스크립터를 갖는 연속적인 샘플들의 수를 제공하는 정수일 수도 있다. 그룹 디스크립션 인덱스 엘리먼트는, 샘플 그룹 엔트리와 연관된 샘플들의 디스크립션을 포함하는 그룹 디스크립션 엔트리를, SampleGroupDescription 박스 내에서, 식별할 수도 있다. 다중의 샘플 그룹 엔트리들의 그룹 디스크립션 인덱스 엘리먼트들은 동일한 SampleGroupDescription 박스를 식별할 수도 있다.
ISO/IEC 23008-2 (즉, HEVC 및 그 멀티-계층 확장들에 대한 사양) 에 있어서, EOB NAL 유닛이 액세스 유닛 (AU) 에 존재할 경우 이는 AU 에서의 마지막 NAL 유닛일 것이고, EOS NAL 유닛이 AU 에 존재할 경우 이는 AU 에서의 존재한다면 EOS NAL 유닛 이외의 모든 NAL 유닛들에 선행할 것임이 강요된다.
ISO/IEC 14496-15 의 8절 및 9절에 명시된 바와 같은 HEVC 및 그 확장들에 대한 파일 포맷들에 있어서, 9절에서의 소위 계층화된 HEVC (L-HEVC) 파일 포맷은 HEVC 의 멀티-계층 확장들의 비디오 비트스트림들의 저장을 명시한다. L-HEVC 파일 포맷에 따르면, HEVC 또는 L-HEVC 비트스트림의 시간 서브계층들 (간단히, 서브계층들로서도 또한 지칭됨) 은 1 초과의 트랙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하지만, HEVC 또는 L-HEVC 비트스트림의 서브계층들을 저장하는 현재의 설계는 하나 이상의 이슈들을 갖는다. 예를 들어, HEVC 또는 L-HEVC 비트스트림의 CVS 내에 있고 다중의 트랙들에 저장된 상이한 서브계층들에 속하는 AU들에 대해, EOB NAL 유닛이 오직 최고 TemporalId 를 갖는 픽처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AU들에만 포함되도록 허용되면, EOB NAL 유닛은, 그 트랙이 사용되지 않을 경우 손실될 수도 있다. 이는, 복원된 비트스트림에서의 다음 AU 가 클린 랜덤 액세스 (CRA) 픽처를 포함하면 문제일 수 있는데, 왜냐하면 CRA 픽처 직전의 EOB NAL 유닛의 존재는 그러한 EOB NAL 유닛이 존재하지 않을 때와는 그 CRA 픽처에 대한 상이한 디코딩 프로세스를 요구할 것이고, 결과적으로, 잘못된 디코딩 결과가 초래될 수도 있으며 이는 사용자 경험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HEVC 또는 L-HEVC 비트스트림의 동일한 CVS 내에 있고 다중의 트랙들에 저장된 상이한 서브계층들에 속하는 AU들에 대해, EOB NAL 유닛이 오직 최저 TemporalId 및/또는 최고 TemporalId 미만의 다른 TemporalId 중 하나 이상을 갖는 픽처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AU들에만 포함되도록 허용되면, 재순서화 프로세스는, 항상, 비트스트림 복원 프로세스에 있어서 EOB NAL 유닛이 복원된 비트스트림에서의 CVS 의 마지막 AU 의 종단에 배치됨을 보장해야 할 필요가 있고; 그렇지 않으면 복원된 비트스트림은 부합하지 않다. 더욱이, 이 경우, 베이스 계층이 HEVC 이외의 코덱 (예를 들어, AVC) 에 의해 코딩되면, EOB NAL 유닛은 폐기될 필요가 있고, 새로운 EOB NAL 유닛 (즉, HEVC EOB NAL 유닛) 이 생성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상기와 유사한 문제들이 EOS NAL 유닛들에 대해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언급된 이슈들을 해결하기 위해, 하기에서 설명되는 기법들이 제안된다. 양태들의 일부는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고, 기법들의 일부는 조합하여 적용될 수도 있다. 비록 기법들이 HEVC 및 계층화된 HEVC 의 컨텍스트에서 설명되더라도, 기법들은 AVC 및 그 계층화된 확장들과 같이 시간 스케일러빌리티 지원을 갖는 다른 코덱들에 적용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제 1 예시적인 기법에 따르면, HEVC 또는 L-HEVC 비트스트림의 동일한 CVS 내에 있고 다중의 트랙들에 저장된 상이한 서브계층들에 속하는 AU들에 대해, EOS NAL 유닛은 트랙들 중 1 초과의 트랙에 (예를 들어, 트랙들의 각각에), 그러한 트랙에서의 동일한 CVS 내에 있는 마지막 AU 의 부분으로서 존재하도록 허용된다. 본 개시의 제 2 예시적인 기법에 따르면, HEVC 또는 L-HEVC 비트스트림의 동일한 CVS 내에 있고 다중의 트랙들에 저장된 상이한 서브계층들에 속하는 AU들에 대해, 트랙들 중 1 초과의 트랙이 개별 샘플들에 EOS NAL 유닛을 포함할 경우, EOS NAL 유닛들 중 오직 하나만이 이들 액세스 유닛들 중 마지막의 EOB NAL 유닛 (존재할 경우) 을 제외한 모든 NAL 유닛들 이후에 배치된 최종 복원된 비트스트림에 있어서 이들 액세스 유닛들 중 마지막 (최대 코딩 시간을 갖는 하나) 에 유지될 것이고, 다른 EOS NAL 유닛들은 폐기된다.
예를 들어, 파일은 제 1 트랙 및 제 2 트랙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예에 있어서, 제 1 트랙은 비트스트림의 계층의 제 1 시간 서브계층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제 2 트랙은 비트스트림의 동일 계층의 제 2 시간 서브계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더욱이, 이 예에 있어서, 제 1 트랙은 제 1 EOS NAL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제 2 트랙은 제 2 EOS NAL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예에 있어서, 본 개시의 제 2 예시적인 기법에 따르면, 디바이스 (예를 들어, 파일 파싱 유닛 (31)) 가, 파일로부터, 제 1 및 제 2 시간 서브계층들을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추출할 경우, 디바이스는 제 1 EOS NAL 유닛 또는 제 2 EOS NAL 유닛 중 어느 것이든 더 나중의 액세스 유닛에 있는 것을 비트스트림에 포함할 수도 있으며, 다른 EOS NAL 유닛을 폐기할 수도 있다. 하지만, 디바이스가, 파일로부터, 제 1 또는 제 2 시간 서브계층들 중 오직 하나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추출하는 예들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포함된 시간 서브계층의 각각의 NAL 유닛 (포함된 시간 서브계층의 임의의 EOS NAL 유닛들을 포함) 을 포함할 수도 있고, 다른 시간 서브계층의 NAL 유닛들 (다른 시간 서브계층의 임의의 EOS NAL 유닛들을 포함) 중 어떤 것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일부 예들에 있어서, 파일 생성 디바이스 (34) 또는 소스 디바이스 (12) 와 같은 디바이스는, 비디오 콘텐츠의 저장을 위한 파일의 제 1 트랙에서, 비트스트림 (예를 들어, HEVC 비트스트림) 의 CVS 에 대한 제 1 EOS NAL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예에 있어서, 제 1 EOS NAL 유닛은 CVS 의 제 1 액세스 유닛에 있다. 더욱이, 이 예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파일의 제 2 트랙에서, CVS 에 대한 제 2 EOS NAL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예에 있어서, 제 2 EOS NAL 유닛은 CVS 의 제 2 액세스 유닛에 있다. 이 예에 있어서, 제 2 EOS NAL 유닛은 제 1 EOS NAL 유닛과는 상이하다. 제 1 액세스 유닛 및 제 2 액세스 유닛은 상이한 시간 서브계층들에 속할 수도 있다. 이 예의 일부 인스턴스들에 있어서, 제 1 트랙은 CVS 에 대한 비트스트림의 액세스 유닛들의 제 1 세트를 포함할 수도 있고, 제 1 액세스 유닛은 액세스 유닛들의 제 1 세트의 순서에서 마지막 액세스 유닛이다. 더욱이, 이 예의 일부 인스턴스들에 있어서, 제 2 트랙은 CVS 에 대한 비트스트림의 액세스 유닛들의 제 2 세트를 포함하고, 제 2 액세스 유닛은 액세스 유닛들의 제 2 세트의 순서에서 마지막 액세스 유닛이다.
다른 예에 있어서, 목적지 디바이스 (14) (예를 들어, 목적지 디바이스 (14) 의 파일 파싱 유닛 (31)) 와 같은 디바이스는 제 1 트랙 및 제 2 트랙을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 예에 있어서, 제 1 트랙은 비트스트림 (예를 들어, HEVC 비트스트림) 의 CVS 의 제 1 액세스 유닛을 포함한다. 제 2 트랙은 CVS 의 제 2 액세스 유닛을 포함한다. 이 예에 있어서, 제 1 액세스 유닛은 제 1 EOS NAL 유닛을 포함하고, 제 2 액세스 유닛은 제 2 EOS NAL 유닛을 포함한다. 제 1 액세스 유닛 및 제 2 액세스 유닛은 상이한 시간 서브계층들에 속한다. 파일은 제 1 및 제 2 트랙들에 추가하여 트랙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비트스트림은 추가 계층들 및 시간 서브계층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예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제 1 EOS NAL 유닛과 연관된 시간과 제 2 EOS NAL 유닛과 연관된 시간의 비교에 기초하여, 제 1 EOS NAL 유닛을 출력할 수도 있고 제 2 EOS NAL 유닛을 폐기할 수도 있다. 따라서, 파일로부터 복원된 비트스트림은 제 2 EOS NAL 유닛이 아닌 제 1 EOS NAL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제 1 액세스 유닛과 연관된 디코딩 시간과 제 2 액세스 유닛과 연관된 디코딩 시간을 비교한다. 디바이스는, 제 1 EOS NAL 유닛 및 제 2 EOS NAL 유닛 중 어느 것이든 더 나중의 디코딩 시간과 연관된 액세스 유닛에 있는 것을 유지할 수도 있고, 다른 EOS NAL 유닛을 폐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액세스 유닛이 제 2 액세스 유닛보다 더 나중의 디코딩 시간과 연관된다는 것에 기초하여, 디바이스는 제 1 EOS NAL 유닛을 유지하고 제 2 EOS NAL 유닛을 폐기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예에 있어서, 최종 복원된 비트스트림은, CVS 의 순서에서 마지막 액세스 유닛의 존재한다면 EOB NAL 유닛 이외의 모든 NAL 유닛들 이후의 포지션에서 제 1 EOS NAL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예의 일부 인스턴스들에 있어서, 제 1 트랙은 CVS 에 대한 비트스트림의 액세스 유닛들의 제 1 세트를 포함하고, 제 1 액세스 유닛은 액세스 유닛들의 제 1 세트의 순서에서 마지막 액세스 유닛이다. 더욱이, 그러한 인스턴스들에 있어서, 제 2 트랙은 CVS 에 대한 비트스트림의 액세스 유닛들의 제 2 세트를 포함하고, 제 2 액세스 유닛은 액세스 유닛들의 제 2 세트의 순서에서 마지막 액세스 유닛이다. 이 예의 일부 인스턴스들에 있어서, 디바이스 (예를 들어, 파일 파싱 유닛 (31)) 은 제 1 트랙에서의 CVS 의 NAL 유닛들을 비디오 디코더 (30) 에 출력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디바이스 (예를 들어, 파일 파싱 유닛 (31)) 은 제 2 트랙에서의 CVS 의 NAL 유닛들을 비디오 디코더 (30) 에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디코더 (30) 는, 제 1 또는 제 2 트랙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CVS 의 NAL 유닛들에 기초하여, CVS 의 픽처들을 디코딩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제 1 EOS NAL 유닛을 포함하는 제 1 액세스 유닛에 기초하여, 제 1 트랙에 저장된 CVS 의 후속 NAL 유닛들이 존재하지 않음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 예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제 2 EOS NAL 유닛을 포함하는 제 2 액세스 유닛에 기초하여, 제 2 트랙에 저장된 CVS 의 후속 NAL 유닛들이 존재하지 않음을 결정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제 3 예시적인 기법에 따르면, HEVC 또는 L-HEVC 비트스트림의 동일한 CVS 내에 있고 다중의 트랙들에 저장된 상이한 서브계층들에 속하는 AU들에 대해, EOB NAL 유닛은 트랙들 중 1 초과의 트랙에 (예를 들어, 트랙들의 각각에), 그러한 트랙에서의 동일한 CVS 내에 있는 마지막 AU 의 부분으로서 존재하도록 허용된다. 예를 들어, 파일은 제 1 트랙 및 제 2 트랙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예에 있어서, 제 1 트랙은 비트스트림의 계층의 제 1 시간 서브계층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제 2 트랙은 비트스트림의 동일 계층의 제 2 시간 서브계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더욱이, 이 예에 있어서, 본 개시의 제 3 예시적인 기법에 따르면, 제 1 트랙은 제 1 EOB NAL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제 2 트랙은 제 2 EOB NAL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제 4 예시적인 기법에 따르면, HEVC 또는 L-HEVC 비트스트림의 동일한 CVS 내에 있고 다중의 트랙들에 저장된 상이한 서브계층들에 속하는 AU들에 대해, 트랙들 중 1 초과의 트랙이 개별 샘플들에 EOB NAL 유닛을 포함할 경우, EOB NAL 유닛들 중 오직 하나만이 이들 액세스 유닛들 중 마지막의 종단에 배치된 최종 복원된 비트스트림에서 유지될 것이고, 다른 EOB NAL 유닛들은 폐기된다. 예를 들어, 파일은 제 1 트랙 및 제 2 트랙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예에 있어서, 제 1 트랙은 비트스트림의 계층의 제 1 시간 서브계층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제 2 트랙은 비트스트림의 동일 계층의 제 2 시간 서브계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파일은 제 1 및 제 2 트랙들에 추가하여 트랙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비트스트림은 추가 계층들 및 시간 서브계층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더욱이, 이 예에 있어서, 제 1 트랙은 제 1 EOB NAL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제 2 트랙은 제 2 EOB NAL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예에 있어서, 본 개시의 제 4 예시적인 기법에 따르면, 디바이스 (예를 들어, 파일 파싱 유닛 (31)) 가, 파일로부터, 제 1 및 제 2 시간 서브계층들을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추출할 경우, 디바이스는 제 1 EOB NAL 유닛 또는 제 2 EOB NAL 유닛 중 어느 것이든 더 나중의 액세스 유닛에 있는 것을 비트스트림에 포함하고, 다른 EOB NAL 유닛을 폐기할 수도 있다. 하지만, 디바이스가, 파일로부터, 제 1 또는 제 2 시간 서브계층들 중 오직 하나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추출하는 예들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포함된 시간 서브계층의 각각의 NAL 유닛 (포함된 시간 서브계층의 임의의 EOB NAL 유닛들을 포함) 을 포함할 수도 있고, 다른 시간 서브계층의 NAL 유닛들 (다른 시간 서브계층의 임의의 EOB NAL 유닛들을 포함) 중 어떤 것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일 예에 있어서, 파일 생성 디바이스 (34) 또는 소스 디바이스 (12) 와 같은 디바이스는, 비디오 콘텐츠의 저장을 위한 파일의 제 1 트랙에서, 비트스트림 (예를 들어, HEVC 비트스트림) 의 CVS 에 대한 제 1 EOB NAL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예에 있어서, 제 1 EOB NAL 유닛은 CVS 의 제 1 액세스 유닛에 있다. 더욱이, 이 예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파일의 제 2 트랙에서, CVS 에 대한 제 2 EOB NAL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예에 있어서, 제 2 EOB NAL 유닛은 CVS 의 제 2 액세스 유닛에 있다. 이 예에 있어서, 제 2 EOB NAL 유닛은 제 1 EOB NAL 유닛과는 상이하다. 이 예에 있어서, 제 1 액세스 유닛 및 제 2 액세스 유닛은 상이한 시간 서브계층들에 속한다. 이 예의 일부 인스턴스들에 있어서, 제 1 트랙은 비트스트림의 액세스 유닛들의 제 1 세트를 포함하고, 제 1 액세스 유닛은 액세스 유닛들의 제 1 세트의 순서에서 마지막 액세스 유닛이고, 제 2 트랙은 비트스트림의 액세스 유닛들의 제 2 세트를 포함하고, 제 2 액세스 유닛은 액세스 유닛들의 제 2 세트의 순서에서 마지막 액세스 유닛이다.
다른 예에 있어서, 목적지 디바이스 (14) (예를 들어, 목적지 디바이스 (14) 의 파일 파싱 유닛 (31)) 와 같은 디바이스는 제 1 트랙 및 제 2 트랙을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한다. 이 예에 있어서, 제 1 트랙은 비트스트림 (예를 들어, HEVC 비트스트림) 의 CVS 의 제 1 액세스 유닛을 포함한다. 제 2 트랙은 CVS 의 제 2 액세스 유닛을 포함한다. 이 예에 있어서, 제 1 액세스 유닛은 제 1 EOB NAL 유닛을 포함하고 제 2 액세스 유닛은 제 2 EOB NAL 유닛을 포함하며, 제 1 액세스 유닛 및 제 2 액세스 유닛은 상이한 시간 서브계층들에 속하고, 디바이스는 제 1 EOB NAL 유닛을 출력하고 제 2 EOB NAL 유닛을 폐기한다. 디바이스는 CVS 의 마지막 액세스 유닛의 모든 NAL 유닛들 이후의 포지션에서 제 1 EOB NAL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제 1 액세스 유닛과 연관된 디코딩 시간과 제 2 액세스 유닛과 연관된 디코딩 시간을 비교할 수도 있다. 그러한 예들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제 1 EOB NAL 유닛 및 제 2 EOB NAL 유닛 중 어느 것이든 더 나중의 디코딩 시간과 연관된 액세스 유닛에 있는 것을 유지하고, 다른 EOB NAL 유닛을 폐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액세스 유닛이 제 2 액세스 유닛보다 더 나중의 디코딩 시간과 연관된다는 것에 기초하여, 디바이스는 제 1 EOB NAL 유닛을 유지하고 제 2 EOB NAL 유닛을 폐기할 수도 있다.
이 예의 일부 인스턴스들에 있어서, 디바이스 (예를 들어, 파일 파싱 유닛 (31)) 은 제 1 트랙에서의 CVS 의 NAL 유닛들을 비디오 디코더 (30) 에 출력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디바이스 (예를 들어, 파일 파싱 유닛 (31)) 은 제 2 트랙에서의 CVS 의 NAL 유닛들을 비디오 디코더 (30) 에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디코더 (30) 는, 제 1 또는 제 2 트랙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CVS 의 NAL 유닛들에 기초하여, CVS 의 픽처들을 디코딩할 수도 있다.
도 3 는 본 개시에서 설명된 기법들을 구현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비디오 인코더 (20) 를 예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비디오 인코더 (20) 는, 본 개시에서 설명된 파일 포맷 기법들을 사용하여 저장될 수도 있는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비디오 코더의 일 예를 나타낸다. 비디오 인코더 (20) 는 단일 뷰, 멀티뷰, 스케일러블, 3D 및 다른 타입들의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 (20) 는 비디오를 포스트-프로세싱 엔티티 (27) 에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포스트-프로세싱 엔티티 (127) 는, 비디오 인코더 (20) 로부터의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할 수도 있는 MANE 또는 스플라이싱/편집 디바이스와 같은 비디오 엔티티의 일 예를 나타내도록 의도된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포스트-프로세싱 엔티티 (127) 는 네트워크 엔티티의 일 예일 수도 있다. 일부 비디오 인코딩 시스템들에 있어서, 포스트-프로세싱 엔티티 (127) 및 비디오 인코더 (20) 는 별개의 디바이스들의 부분들일 수도 있지만, 다른 경우들에 있어서, 포스트-프로세싱 엔티티 (127) 에 대하여 설명된 기능은, 비디오 인코더 (20) 를 포함하는 동일한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포스트-프로세싱 엔티티 (127) 는 비디오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포스트-프로세싱 엔티티 (127) 는 도 1 의 파일 생성 디바이스 (34) 와 동일할 수도 있다.
프로세싱 회로부는 비디오 인코더 (20) 를 포함하고, 비디오 인코더 (20) 는 본 개시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기법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비디오 인코더 (20) 는 집적 회로부를 포함하고, 도 3 에 예시된 다양한 유닛들은, 회로 버스와 상호접속되는 하드웨어 회로 블록들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들 하드웨어 회로 블록들은 별도의 회로 블록들일 수도 있거나, 또는 그 유닛들 중 2 이상은 공통 하드웨어 회로 블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 회로 블록들은 산술 로직 유닛들 (ALU들), 기본 함수 유닛들 (EFU들) 뿐 아니라 AND, OR, NAND, NOR, XOR, XNOR, 및 다른 유사한 로직 블록들과 같은 로직 블록들과 같은 연산 블록들을 형성하는 전기 컴포넌트들의 조합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도 3 에 예시된 유닛들 중 하나 이상은 프로세싱 회로부 상에서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유닛들일 수도 있다. 그러한 예들에 있어서, 이들 소프트웨어 유닛들에 대한 오브젝트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된다. 오퍼레이팅 시스템은 비디오 인코더 (20) 로 하여금 오브젝트 코드를 취출하게 하고 오브젝트 코드를 실행하게 할 수도 있으며, 이 오브젝트 코드는 비디오 인코더 (20) 로 하여금 예시적인 기법들을 구현하기 위한 동작들을 수행하게 한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소프트웨어 유닛들은, 비디오 인코더 (20) 가 시동 시에 실행하는 펌웨어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비디오 인코더 (20) 는 예시적인 기법들을 수행하는 하드웨어를 갖는 구조적 컴포넌트이거나, 또는 예시적인 기법들을 수행하도록 하드웨어를 특수화하기 위해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하는 소프트웨어/펌웨어를 갖는다.
비디오 인코더 (20) 는 비디오 슬라이스들 내에서 비디오 블록들의 인트라-코딩 및 인터-코딩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인트라-코딩은 소정의 비디오 프레임 또는 픽처 내 비디오에 있어서 공간 리던던시를 감소 또는 제거하기 위해 공간 예측에 의존한다. 인터-코딩은 비디오 시퀀스의 인접한 프레임들 또는 픽처들 내 비디오에 있어서 시간 리던던시를 감소 또는 제거하기 위해 시간 예측에 의존한다. 인트라-모드 (I 모드) 는 수개의 공간 기반 압축 모드들 중 임의의 모드를 지칭할 수도 있다. 단방향 예측 (P 모드) 또는 양방향 예측 (B 모드) 과 같은 인터-모드들은 수개의 시간 기반 압축 모드들 중 임의의 모드를 지칭할 수도 있다.
도 3 의 예에 있어서, 비디오 인코더 (20) 는 파티셔닝 유닛 (135), 예측 프로세싱 유닛 (141), 필터 유닛 (163), 레퍼런스 픽처 메모리 (164), 합산기 (150), 변환 프로세싱 유닛 (152), 양자화 유닛 (154), 및 엔트로피 인코딩 유닛 (156) 을 포함한다. 예측 프로세싱 유닛 (141) 은 모션 추정 유닛 (142), 모션 보상 유닛 (144) 및 인트라 예측 프로세싱 유닛 (146) 을 포함한다. 비디오 블록 복원을 위해, 비디오 인코더 (20) 는 또한 역양자화 유닛 (158), 역변환 프로세싱 유닛 (160), 및 합산기 (162) 를 포함한다. 필터 유닛 (163) 은 디블록킹 (deblocking) 필터, 적응 루프 필터 (ALF), 및 샘플 적응 오프셋 (SAO) 필터와 같은 하나 이상의 루프 필터들을 나타내도록 의도된다. 비록 필터 유닛 (163) 이 인-루프 필터인 것으로서 도 3 에 도시되지만, 다른 구성들에 있어서, 필터 유닛 (163) 은 포스트 루프 필터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 (20) 의 비디오 데이터 메모리 (165) 은, 비디오 인코더 (20) 의 컴포넌트들에 의해 인코딩될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비디오 데이터 메모리 (165) 에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는, 예를 들어, 비디오 소스 (18) 로부터 획득될 수도 있다. 레퍼런스 픽처 메모리 (164) 는, 예를 들어, 인트라 또는 인터 코딩 모드들에서 비디오 인코더 (20) 에 의해 비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함에 있어서 사용하기 위한 레퍼런스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레퍼런스 픽처 메모리일 수도 있다. 비디오 데이터 메모리 (165) 및 레퍼런스 픽처 메모리 (164) 는 동기식 DRAM (SDRAM) 을 포함한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DRAM), 자기저항성 RAM (MRAM), 저항성 RAM (RRAM), 또는 다른 타입들의 메모리 디바이스들과 같은 다양한 메모리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메모리 디바이스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비디오 데이터 메모리 (165) 및 레퍼런스 픽처 메모리 (164) 는 동일한 메모리 디바이스 또는 별도의 메모리 디바이스들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다양한 예들에 있어서, 비디오 데이터 메모리 (165) 는 비디오 인코더 (20) 의 다른 컴포넌트들과 온-칩형이거나 그 컴포넌트들에 대하여 오프-칩형일 수도 있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인코더 (20) 는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파티셔닝 유닛 (135) 은 그 데이터를 비디오 블록들로 파티셔닝한다. 이러한 파티셔닝은 또한, 예를 들어, LCU들 및 CU들의 쿼드트리 구조에 따른 비디오 블록 파티셔닝뿐 아니라 슬라이스들, 또는 다른 더 큰 유닛들로의 파티셔닝을 포함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 (20) 는 일반적으로, 인코딩될 비디오 슬라이스 내에서의 비디오 블록들을 인코딩하는 컴포넌트들을 예시한다. 슬라이스는 다중의 비디오 블록들로 분할될 수도 있다. 예측 프로세싱 유닛 (141) 은 에러 결과들 (예를 들어, 왜곡의 레벨 및 코딩 레이트) 에 기반한 현재 비디오 블록에 대해 복수의 인트라 코딩 모드들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인터 코딩 모드들 중 하나와 같이 복수의 가능한 코딩 모드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도 있다. 예측 프로세싱 유닛 (141) 은 결과적인 인트라- 또는 인터-코딩된 블록을 합산기 (150) 에 제공하여 잔차 블록 데이터를 생성하고, 합산기 (162) 에 제공하여 레퍼런스 픽처로서의 사용을 위한 인코딩된 블록을 복원할 수도 있다.
예측 프로세싱 유닛 (141) 내의 인트라 예측 프로세싱 유닛 (146) 은 공간 압축을 제공하기 위해, 코딩될 현재 블록과 동일한 프레임 또는 슬라이스에 있어서의 하나 이상의 이웃 블록들에 대해 현재 비디오 블록의 인트라-예측 코딩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측 프로세싱 유닛 (141) 내의 모션 추정 유닛 (142) 및 모션 보상 유닛 (144) 은 시간 압축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레퍼런스 픽처들에 있어서의 하나 이상의 예측 블록들에 대해 현재 비디오 블록의 인터-예측 코딩을 수행한다.
모션 추정 유닛 (142) 은 비디오 시퀀스에 대한 미리결정된 패턴에 따라 비디오 슬라이스에 대한 인터-예측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미리결정된 패턴은 시퀀스에서의 비디오 슬라이스들을, P 슬라이스들, B 슬라이스들 또는 GPB 슬라이스들로서 지정할 수도 있다. 모션 추정 유닛 (142) 및 모션 보상 유닛 (144) 은 고도로 통합될 수도 있지만, 개념적인 목적을 위해 별개로 예시된다. 모션 추정 유닛 (142) 에 의해 수행된 모션 추정은, 비디오 블록들에 대한 모션을 추정하는 모션 벡터들을 생성하는 프로세스이다. 모션 벡터는, 예를 들어, 레퍼런스 픽처 내에서의 예측 블록에 대한 현재 비디오 프레임 또는 픽처 내의 비디오 블록의 PU 의 변위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측 블록은 픽셀 차이의 관점에서 코딩될 비디오 블록의 PU 와 밀접하게 매칭하도록 발견되는 블록이며, 이 픽셀 차이는 절대 차이의 합 (SAD), 제곱 차이의 합 (SSD), 또는 다른 상이한 메트릭들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비디오 인코더 (20) 는 레퍼런스 픽처 메모리 (164) 에 저장된 레퍼런스 픽처들의 서브-정수 픽셀 포지션들에 대한 값들을 계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인코더 (20) 는 레퍼런스 픽처의 1/4 픽셀 포지션들, 1/8 픽셀 포지션들, 또는 다른 분수 픽셀 포지션들의 값들을 보간할 수도 있다. 따라서, 모션 추정 유닛 (142) 은 풀 픽셀 포지션들 및 분수 픽셀 포지션들에 대한 모션 탐색을 수행하고, 분수 픽셀 정밀도로 모션 벡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모션 추정 유닛 (142) 은 인터-코딩된 슬라이스에 있어서의 비디오 블록의 PU 에 대한 모션 벡터를, 그 PU 의 포지션을 레퍼런스 픽처의 예측 블록의 포지션과 비교함으로써 계산한다. 레퍼런스 픽처는 제 1 레퍼런스 픽처 리스트 (리스트 0) 또는 제 2 레퍼런스 픽처 리스트 (리스트 1) 로부터 선택될 수도 있으며, 이 리스트들의 각각은 레퍼런스 픽처 메모리 (164) 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레퍼런스 픽처들을 식별한다. 모션 추정 유닛 (142) 은, 계산된 모션 벡터가 결정될 수 있는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엔트로피 인코딩 유닛 (156) 및 모션 보상 유닛 (144) 으로 전송한다.
모션 보상 유닛 (144) 에 의해 수행된 모션 보상은 모션 추정에 의해 결정된 모션 벡터에 기초하여 예측 블록을 페치 또는 생성하여, 가능하게는 서브-픽셀 정밀도로 보간들을 수행하는 것을 수반할 수도 있다. 현재 비디오 블록의 PU 에 대한 모션 벡터를 수신할 시, 모션 보상 유닛 (144) 은, 모션 벡터가 레퍼런스 픽처 리스트들 중 하나에 포인팅하는 예측 블록을 로케이팅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 (20) 는, 코딩되고 있는 현재 비디오 블록의 픽셀 값들로부터 예측 블록의 픽셀 값들을 감산하여 픽셀 차이 값들을 형성함으로써 잔차 비디오 블록을 형성할 수도 있다. 픽셀 차이 값들은 블록에 대한 잔차 데이터를 형성하고, 루마 및 크로마 차이 컴포넌트들 양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합산기 (150) 는 이러한 감산 연산을 수행하는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들을 나타낸다. 모션 보상 유닛 (144) 은 또한, 비디오 슬라이스의 비디오 블록들을 디코딩함에 있어서 비디오 디코더 (30) 에 의한 사용을 위해 비디오 블록들 및 비디오 슬라이스와 연관된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인트라 예측 프로세싱 유닛 (146) 은 현재 블록을,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모션 추정 유닛 (142) 및 모션 보상 유닛 (144) 에 의해 수행된 인터-예측에 대한 대안으로서 인트라-예측할 수도 있다. 특히, 인트라 예측 프로세싱 유닛 (146) 은 현재 블록을 인코딩하는데 이용하기 위한 인트라-예측 모드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인트라 예측 프로세싱 유닛 (146) 은 예를 들어 별도의 인코딩 패스들 동안에 다양한 인트라-예측 모드들을 이용하여 현재 블록을 인코딩할 수도 있으며, 인트라 예측 프로세싱 유닛 (146) 은 테스팅된 모드들로부터의 이용을 위해 적절한 인트라-예측 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트라 예측 프로세싱 유닛 (146) 은 다양한 테스팅된 인트라-예측 모드들에 대한 레이트-왜곡 분석을 이용하여 레이트-왜곡 값들을 계산하고, 테스팅된 모드들 중 최상의 레이트-왜곡 특성들을 갖는 인트라-예측 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레이트-왜곡 분석은 일반적으로, 인코딩된 블록과 그 인코딩된 블록을 생성하도록 인코딩되었던 오리지널의 인코딩되지 않은 블록 간의 왜곡 (또는 에러) 의 양뿐 아니라 인코딩된 블록을 생성하는데 사용된 비트 레이트 (즉, 비트들의 수) 를 결정한다. 인트라 예측 프로세싱 유닛 (146) 은 다양한 인코딩된 블록들에 대한 왜곡들 및 레이트들로부터의 비율들을 계산하여, 어느 인트라-예측 모드가 그 블록에 대한 최상의 레이트-왜곡 값을 나타내는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어떤 경우든, 블록에 대한 인트라-예측 모드를 선택한 이후, 인트라 예측 프로세싱 유닛 (146) 은 블록에 대한 선택된 인트라-예측 모드를 표시하는 정보를 엔트로피 인코딩 유닛 (156) 에 제공할 수도 있다. 엔트로피 인코딩 유닛 (156) 은, 본 개시의 기법들에 따라, 선택된 인트라-예측 모드를 표시한 정보를 인코딩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 (20) 는 송신된 비트스트림에, 복수의 인트라-예측 모드 인덱스 테이블들 및 복수의 수정된 인트라-예측 모드 인덱스 테이블들 (코드워드 매핑 테이블들로서도 또한 지칭됨) 을 포함할 수도 있는 구성 데이터, 다양한 블록들에 대한 인코딩 컨텍스트들의 정의들, 및 컨텍스트들의 각각에 대한 사용을 위한 가장 가능성있는 인트라-예측 모드, 인트라-예측 모드 인덱스 테이블, 및 수정된 인트라-예측 모드 인덱스 테이블의 표시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측 프로세싱 유닛 (141) 이 인터-예측 또는 인트라-예측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현재 비디오 블록에 대한 예측 블록을 생성한 이후, 비디오 인코더 (20) 는 현재 비디오 블록으로부터 예측 블록을 감산함으로써 잔차 비디오 블록을 형성할 수도 있다. 잔차 블록에서의 잔차 비디오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TU들에 포함되고 변환 프로세싱 유닛 (152) 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변환 프로세싱 유닛 (152) 은 이산 코사인 변환 (DCT) 또는 개념적으로 유사한 변환과 같은 변환을 이용하여 잔차 비디오 데이터를 잔차 변환 계수들로 변환한다. 변환 프로세싱 유닛 (152) 은 잔차 비디오 데이터를 픽셀 도메인으로부터 주파수 도메인과 같은 변환 도메인으로 컨버팅할 수도 있다.
변환 프로세싱 유닛 (152) 은 결과적인 변환 계수들을 양자화 유닛 (154) 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양자화 유닛 (154) 은 비트 레이트를 추가로 감소시키기 위해 변환 계수들을 양자화한다. 양자화 프로세스는 그 계수들의 일부 또는 그 모두와 연관되는 비트 심도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양자화의 정도는 양자화 파라미터를 조정함으로써 수정될 수도 있다. 그 후, 일부 예들에 있어서, 양자화 유닛 (154) 은,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을 포함하는 매트릭스의 스캔을 수행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엔트로피 인코딩 유닛 (156) 은 스캔을 수행할 수도 있다.
양자화 이후, 엔트로피 인코딩 유닛 (156) 은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을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엔트로피 인코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엔트로피 인코딩 유닛 (156) 은 컨텍스트 적응 가변 길이 코딩 (CAVLC), 컨텍스트 적응 이진 산술 코딩 (CABAC), 신택스 기반 컨텍스트 적응 이진 산술 코딩 (SBAC), 확률 간격 파티셔닝 엔트로피 (PIPE) 코딩, 또는 다른 엔트로피 인코딩 방법 또는 기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엔트로피 인코딩 유닛 (156) 에 의한 엔트로피 인코딩 이후, 인코딩된 비트스트림은 비디오 디코더 (30) 로 송신되거나, 또는 비디오 디코더 (30) 에 의한 더 나중의 송신 또는 취출을 위해 아카이브될 수도 있다. 엔트로피 인코딩 유닛 (156) 은 또한, 코딩되고 있는 현재 비디오 슬라이스에 대한 모션 벡터들 및 다른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엔트로피 인코딩할 수도 있다.
역양자화 유닛 (158) 및 역변환 프로세싱 유닛 (160) 은, 각각, 역양자화 및 역변환을 적용하여, 레퍼런스 픽처의 레퍼런스 블록으로서의 더 나중 사용을 위해 픽셀 도메인에서 잔차 블록을 복원한다. 모션 보상 유닛 (144) 은, 레퍼런스 픽처 리스트들 중 하나 내에서의 레퍼런스 픽처들 중 하나의 예측 블록에 잔차 블록을 부가함으로써 레퍼런스 블록을 계산할 수도 있다. 모션 보상 유닛 (44) 은 또한, 하나 이상의 보간 필터들을 복원된 잔차 블록에 적용하여, 모션 추정에서 사용하기 위한 서브-정수 픽셀 값들을 계산할 수도 있다. 합산기 (162) 는 복원된 잔차 블록을, 모션 보상 유닛 (144) 에 의해 생성된 모션 보상된 예측 블록에 부가하여, 레퍼런스 픽처 메모리 (164) 로의 저장을 위한 레퍼런스 블록을 생성할 수도 있다. 레퍼런스 블록은, 후속 비디오 프레임 또는 픽처에서의 블록을 인터-예측하기 위해 레퍼런스 블록으로서 모션 추정 유닛 (142) 및 모션 보상 유닛 (144) 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기법에 따르면, 포스트-프로세싱 엔티티 (127) 는 비디오 인코더 (20) 에 의해 생성되는 인코딩된 비디오 콘텐츠의 저장을 위한 파일을 생성할 수도 있다. 포스트-프로세싱 엔티티 (127) 는 본 개시의 기법들 중 임의의 기법에 따라 파일을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포스트-프로세싱 엔티티 (127) 는, 파일의 제 1 트랙에서, 비트스트림의 CVS 에 대한 제 1 EOS NAL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고, 파일의 제 2 트랙에서, CVS 에 대한 제 2 EOS NAL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포스트-프로세싱 엔티티 (127) 는, 파일의 제 1 트랙에서, 비트스트림의 CVS 에 대한 제 1 EOB NAL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고, 파일의 제 2 트랙에서, 비트스트림의 CVS 에 대한 제 2 EOB NAL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 는 본 개시에서 설명된 기법들을 구현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비디오 디코더 (30) 를 예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4 의 비디오 디코더 (30) 는, 본 개시에서 설명된 파일 포맷 기법들을 사용하여 저장될 수도 있는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비디오 디코더의 일 예를 나타낸다.
프로세싱 회로부는 비디오 디코더 (30) 를 포함하고, 비디오 디코더 (30) 는 본 개시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기법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비디오 디코더 (30) 는 집적 회로부를 포함하고, 도 4 에 예시된 다양한 유닛들은, 회로 버스와 상호접속되는 하드웨어 회로 블록들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들 하드웨어 회로 블록들은 별도의 회로 블록들일 수도 있거나, 또는 그 유닛들 중 2 이상은 공통 하드웨어 회로 블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 회로 블록들은 산술 로직 유닛들 (ALU들), 기본 함수 유닛들 (EFU들) 뿐 아니라 AND, OR, NAND, NOR, XOR, XNOR, 및 다른 유사한 로직 블록들과 같은 로직 블록들과 같은 연산 블록들을 형성하는 전기 컴포넌트들의 조합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도 4 에 예시된 유닛들 중 하나 이상은 프로세싱 회로부 상에서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유닛들일 수도 있다. 그러한 예들에 있어서, 이들 소프트웨어 유닛들에 대한 오브젝트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된다. 오퍼레이팅 시스템은 비디오 디코더 (30) 로 하여금 오브젝트 코드를 취출하게 하고 오브젝트 코드를 실행하게 할 수도 있으며, 이 오브젝트 코드는 비디오 디코더 (30) 로 하여금 예시적인 기법들을 구현하기 위한 동작들을 수행하게 한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소프트웨어 유닛들은, 비디오 디코더 (30) 가 시동 시에 실행하는 펌웨어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비디오 디코더 (30) 는 예시적인 기법들을 수행하는 하드웨어를 갖는 구조적 컴포넌트이거나, 또는 예시적인 기법들을 수행하도록 하드웨어를 특수화하기 위해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하는 소프트웨어/펌웨어를 갖는다.
비디오 디코더 (30) 는 단일 뷰, 멀티뷰, 스케일러블, 3D 및 다른 타입들의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 의 예에 있어서, 비디오 디코더 (30) 는 엔트로피 디코딩 유닛 (180), 예측 프로세싱 유닛 (181), 역양자화 유닛 (186), 역변환 프로세싱 유닛 (188), 합산기 (190), 필터 유닛 (191), 및 레퍼런스 픽처 메모리 (192) 를 포함한다. 예측 프로세싱 유닛 (181) 은 모션 보상 유닛 (182) 및 인트라 예측 프로세싱 유닛 (184) 을 포함한다. 비디오 디코더 (30) 는, 일부 예들에 있어서, 도 3 으로부터의 비디오 인코더 (20) 에 대하여 설명된 인코딩 패스에 일반적으로 상호적인 디코딩 패스를 수행할 수도 있다.
코딩된 픽처 버퍼 (CPB) (179) 는 비트스트림의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 (예를 들어, NAL 유닛들) 를 수신 및 저장할 수도 있다. CPB (179) 에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는, 예를 들어, 도 1 의 링크 (16) 로부터, 예컨대, 카메라와 같은 로컬 비디오 소스로부터, 비디오 데이터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또는 물리적 데이터 저장 매체들에 액세스함으로써 획득될 수도 있다. CPB (179) 는, 인코딩된 비디오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디오 데이터 메모리를 형성할 수도 있다. 레퍼런스 픽처 메모리 (192) 는, 예를 들어, 인트라 또는 인터 코딩 모드들에서 비디오 디코더 (30) 에 의해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함에 있어서 사용하기 위한 레퍼런스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레퍼런스 픽처 메모리일 수도 있다. CPB (179) 및 레퍼런스 픽처 메모리 (192) 는 동기식 DRAM (SDRAM) 을 포함한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DRAM), 자기저항성 RAM (MRAM), 저항성 RAM (RRAM), 또는 다른 타입들의 메모리 디바이스들과 같은 다양한 메모리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메모리 디바이스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CPB (179) 및 레퍼런스 픽처 메모리 (192) 는 동일한 메모리 디바이스 또는 별도의 메모리 디바이스들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다양한 예들에 있어서, CPB (179) 는 비디오 디코더 (30) 의 다른 컴포넌트들과 온-칩형이거나 그 컴포넌트들에 대하여 오프-칩형일 수도 있다.
디코딩 프로세스 동안, 비디오 디코더 (30) 는, 인코딩된 비디오 슬라이스의 비디오 블록들 및 관련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나타내는 인코딩된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비디오 인코더 (20) 로부터 수신한다. 도 4 의 예에 있어서, 비디오 디코더 (30) 는, 코딩된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추출하기 위해 파일을 파싱하는 파일 파싱 유닛 (177) 으로부터 인코딩된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파일 파싱 유닛 (177) 은 네트워크 엔티티 (129) 로부터 파일을 수신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엔티티 (129) 는, 예를 들어, 서버, MANE, 비디오 편집기/스플라이서, 또는 상기 설명된 기법들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다른 그러한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 엔티티 (129) 는 비디오 인코더 (20) 와 같은 비디오 인코더를 포함할 수도 있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개시에 설명된 기법들 중 일부는, 네트워크 엔티티 (129) 가 인코딩된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비디오 디코더 (30) 로 송신하는 것 이전에 네트워크 엔티티 (129) 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일부 비디오 디코딩 시스템들에 있어서, 네트워크 엔티티 (129) 및 비디오 디코더 (30) 는 별개의 디바이스들의 부분들일 수도 있지만, 다른 예들에 있어서, 네트워크 엔티티 (129) 에 대하여 설명된 기능은, 비디오 디코더 (30) 를 포함하는 동일한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엔티티 (129) 는 비디오 디바이스인 것으로 고려될 수도 있다.
더욱이, 일부 예들에 있어서, 네트워크 엔티티 (129) 는 도 1 의 파일 생성 디바이스 (34) 이다. 파일 파싱 유닛 (177) 은 목적지 디바이스 (14) 의 부분 또는 목적지 디바이스와는 별도의 디바이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네트워크 엔티티 (129) 및 파일 파싱 유닛 (177) 은 동일한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된다. 파일 파싱 유닛 (177) 은 본 개시의 다양한 기법들을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파일 파싱 유닛 (177) 은 제 1 트랙 및 제 2 트랙을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 예에 있어서, 제 1 트랙은 비트스트림의 CVS 의 제 1 액세스 유닛을 포함하고, 제 2 트랙은 CVS 의 제 2 액세스 유닛을 포함한다. 제 1 액세스 유닛은 제 1 EOS NAL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제 2 액세스 유닛은 제 2 EOS NAL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파일로부터 최종 비트스트림을 추출하는 것의 부분으로서, 파일 파싱 유닛 (177) 은, 최종 비트스트림에서, 제 1 EOS NAL 유닛 또는 제 2 EOS NAL 유닛 중 어느 것이든 더 나중의 디코딩 시간과 연관되는 것을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EOS NAL 유닛과 연관된 디코딩 시간과 제 2 EOS NAL 유닛과 연관된 디코딩 시간의 비교가 제 1 EOS NAL 유닛과 연관된 디코딩 시간이 더 나중임을 드러내는 것에 기초하여, 파일 파싱 유닛 (177) 은 제 1 EOS NAL 유닛을 출력 (예를 들어, 최종 비트스트림에 포함) 할 수도 있고 제 2 EOS NAL 유닛을 폐기할 수도 있다. 파일 파싱 유닛 (177) 은 제 1 트랙에서의 CVS 의 NAL 유닛들을 비디오 디코더 (30) 에 출력할 수도 있고, 제 2 트랙에서의 CVS 의 NAL 유닛들을 비디오 디코더 (30) 에 출력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 있어서, 파일 파싱 유닛 (177) 은 제 1 트랙 및 제 2 트랙을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 예에 있어서, 제 1 트랙은 비트스트림의 CVS 의 제 1 액세스 유닛을 포함하고, 제 2 트랙은 CVS 의 제 2 액세스 유닛을 포함한다. 제 1 액세스 유닛은 제 1 EOB NAL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제 2 액세스 유닛은 제 2 EOB NAL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파일로부터 최종 비트스트림을 추출하는 것의 부분으로서, 파일 파싱 유닛 (177) 은, 최종 비트스트림에서, 제 1 EOB NAL 유닛을 출력할 수도 있고, 제 2 EOB NAL 유닛을 폐기할 수도 있다. 이 예에 있어서, 파일 파싱 유닛 (177) 은 제 1 트랙 및 제 2 트랙 양자의 NAL 유닛들을 최종 비트스트림에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파일 파싱 유닛 (177) 은 제 1 트랙에서의 CVS 의 NAL 유닛들을 비디오 디코더 (30) 에 출력할 수도 있고, 제 2 트랙에서의 CVS 의 NAL 유닛들을 비디오 디코더 (30) 에 출력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파일 파싱 유닛 (177) 은 제 1 EOB NAL 유닛 또는 제 2 EOB NAL 유닛 중 어느 것이든 더 나중의 시간과 연관되는 것을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EOB NAL 유닛과 연관된 시간과 제 2 EOB NAL 유닛과 연관된 시간의 비교가 제 1 EOB NAL 유닛과 연관된 시간이 더 나중임을 드러내는 것에 기초하여, 파일 파싱 유닛 (177) 은 제 1 EOB NAL 유닛을 출력할 수도 있고 제 2 EOB NAL 유닛을 폐기할 수도 있거나 또는 그 역도 성립할 수도 있다.
비디오 디코더 (30) 의 엔트로피 디코딩 유닛 (180) 은 비트스트림의 특정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엔트로피 디코딩하여, 양자화된 계수들, 모션 벡터들, 및 다른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생성한다. 엔트로피 디코딩 유닛 (180) 은 모션 벡터들 및 다른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예측 프로세싱 유닛 (181) 으로 포워딩한다. 비디오 디코더 (30) 는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비디오 슬라이스 레벨 및/또는 비디오 블록 레벨로 수신할 수도 있다.
비디오 슬라이스가 인트라-코딩된 (I) 슬라이스로서 코딩된 경우, 예측 프로세싱 유닛 (181) 의 인트라 예측 프로세싱 유닛 (184) 은 현재 프레임 또는 픽처의 이전에 디코딩된 블록들로부터의 데이터 및 시그널링된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초하여 현재 비디오 슬라이스의 비디오 블록에 대한 예측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비디오 프레임이 인터-코딩된 (즉, B 또는 P) 슬라이스로서 코딩된 경우, 예측 프로세싱 유닛 (181) 의 모션 보상 유닛 (182) 은 엔트로피 디코딩 유닛 (180) 으로부터 수신된 모션 벡터들 및 다른 신택스 엘리먼트들에 기초하여 현재 비디오 슬라이스의 비디오 블록에 대한 예측 블록들을 생성한다. 예측 블록들은 레퍼런스 픽처 리스트들 중 하나 내에서의 레퍼런스 픽처들 중 하나로부터 생성될 수도 있다. 비디오 디코더 (30) 는 레퍼런스 픽처 메모리 (92) 에 저장된 레퍼런스 픽처들에 기초한 디폴트 구성 기법들을 이용하여 레퍼런스 프레임 리스트들, 즉, 리스트 0 및 리스트 1 을 구성할 수도 있다.
모션 보상 유닛 (182) 은 모션 벡터들을 결정하고 그리고 다른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획득함으로써 현재 비디오 슬라이스의 비디오 블록에 대한 예측 정보를 결정하고, 그 예측 정보를 사용하여, 디코딩되고 있는 현재 비디오 블록에 대한 예측 블록들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모션 보상 유닛 (182) 은 수신된 신택스 엘리먼트들 중 일부를 사용하여, 비디오 슬라이스의 비디오 블록들을 코딩하는데 사용되는 예측 모드 (예를 들어, 인트라-예측 또는 인터-예측), 인터-예측 슬라이스 타입 (예를 들어, B 슬라이스 또는 P 슬라이스), 슬라이스에 대한 레퍼런스 픽처 리스트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한 구성 정보, 슬라이스의 각각의 인터-인코딩된 비디오 블록에 대한 모션 벡터들, 슬라이스의 각각의 인터-코딩된 비디오 블록에 대한 인터-예측 상태, 및 현재 비디오 슬라이스에 있어서의 비디오 블록들을 디코딩하기 위한 다른 정보를 결정한다.
모션 보상 유닛 (182) 은 또한, 보간 필터들에 기초하여 보간을 수행할 수도 있다. 모션 보상 유닛 (182) 은 비디오 블록들의 인코딩 동안 비디오 인코더 (20) 에 의해 사용된 바와 같은 보간 필터들을 이용하여, 레퍼런스 블록들의 서브-정수 픽셀들에 대한 보간된 값들을 계산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모션 보상 유닛 (182) 은 수신된 신택스 엘리먼트들로부터 비디오 인코더 (20) 에 의해 사용된 보간 필터들을 결정할 수도 있고, 보간 필터들을 이용하여 예측 블록들을 생성할 수도 있다.
역양자화 유닛 (186) 은 비트스트림에서 제공되고 엔트로피 디코딩 유닛 (180) 에 의해 디코딩되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을 역양자화, 즉, 양자화해제한다. 역양자화 프로세스는 비디오 슬라이스에 있어서의 각각의 비디오 블록에 대해 비디오 인코더 (20) 에 의해 계산된 양자화 파라미터의 이용을 포함하여, 적용되어야 하는 양자화의 정도 및 유사하게 역양자화의 정도를 결정할 수도 있다. 역변환 프로세싱 유닛 (188) 은 픽셀 도메인에서 잔차 블록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역변환, 예를 들어, 역 DCT, 정수 역변환, 또는 개념적으로 유사한 역변환 프로세스를 변환 계수들에 적용한다.
모션 보상 유닛 (182) 이 모션 벡터들 및 다른 신택스 엘리먼트들에 기초하여 현재 비디오 블록에 대한 예측 블록을 생성한 이후, 비디오 디코더 (30) 는 역변환 프로세싱 유닛 (188) 으로부터의 잔차 블록들을 모션 보상 유닛 (182) 에 의해 생성된 대응하는 예측 블록들과 합산함으로써 디코딩된 비디오 블록을 형성한다. 합산기 (190) 는 이러한 합산 연산을 수행하는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들을 나타낸다. 요구된다면, (코딩 루프에 있어서 또는 코딩 루프 이후에) 루프 필터들이 또한 픽셀 천이들을 평활하게 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비디오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필터 유닛 (191) 은 디블록킹 (deblocking) 필터, 적응 루프 필터 (ALF), 및 샘플 적응 오프셋 (SAO) 필터와 같은 하나 이상의 루프 필터들을 나타내도록 의도된다. 비록 필터 유닛 (191) 이 인-루프 필터인 것으로서 도 4 에 도시되지만, 다른 구성들에 있어서, 필터 유닛 (191) 은 포스트 루프 필터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후, 소정의 프레임 또는 픽처에 있어서의 디코딩된 비디오 블록들이 레퍼런스 픽처 메모리 (192) 에 저장되고, 이 레퍼런스 픽처 메모리는 후속적인 모션 보상을 위해 사용되는 레퍼런스 픽처들을 저장한다. 레퍼런스 픽처 메모리 (192) 는 또한, 도 1 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2) 와 같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으로의 더 나중의 프리젠테이션을 위해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한다. 따라서, 레퍼런스 픽처 메모리 (192) 는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 저장 매체들의 일 예일 수도 있다.
도 5 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기법들에 따른, 파일 (300) 의 예시적인 구조를 예시한 개념 다이어그램이다. 도 5 의 예에 있어서, 파일 (300) 은 영화 박스 (302) 및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 박스들 (304) 을 포함한다. 비록 도 5 의 예에서는 동일한 파일에 있는 것으로서 예시되지만, 다른 예들에 있어서, 영화 박스 (302) 및 미디어 데이터 박스들 (304) 은 별도의 파일들에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박스는, 고유한 타입 식별자 및 길이에 의해 정의되는 오브젝트 지향 빌딩 블록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박스는, 4문자 코딩된 박스 타입, 박스의 바이트 카운트, 및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ISOBMFF 에서의 기본 신택스 구조일 수도 있다.
영화 박스 (302) 는 파일 (300) 의 트랙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파일 (300) 의 각각의 트랙은 미디어 데이터의 연속적인 스트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미디어 데이터 박스들 (304) 의 각각은 하나 이상의 샘플들 (305)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샘플들 (305) 의 각각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액세스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각각의 액세스 유닛은 멀티-뷰 코딩 (예를 들어, MV-HEVC 및 3D-HEVC) 및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예를 들어, SHVC) 에서 다중의 코딩된 픽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유닛은 각각의 계층에 대한 하나 이상의 코딩된 픽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더욱이, 도 5 의 예에 있어서, 영화 박스 (302) 는 트랙 박스 (306) 를 포함한다. 트랙 박스 (306) 는 파일 (300) 의 트랙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둘러쌀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 있어서, 영화 박스 (302) 는 파일 (300) 의 상이한 트랙들에 대한 다중의 트랙 박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트랙 박스 (306) 는 미디어 박스 (307) 를 포함한다. 미디어 박스 (307) 는 트랙 내에서 미디어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선언하는 모든 오브젝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미디어 박스 (307) 는 미디어 정보 박스 (308) 를 포함한다. 미디어 정보 박스 (308) 는 트랙의 미디어의 특성 정보를 선언하는 모든 오브젝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미디어 정보 박스 (308) 는 샘플 테이블 박스 (309) 를 포함한다. 샘플 테이블 박스 (309) 는 샘플 특정 메타데이터를 명시할 수도 있다.
도 5 의 예에 있어서, 샘플 테이블 박스 (309) 는 적어도 하나의 SampleToGroup 박스 (310) 및 적어도 하나의 SampleGroupDescription 박스 (312) 를 포함한다. 따라서, 샘플 테이블 박스 (309) 는 "컨테이너 박스" 의 인스턴스이다. 다른 예들에 있어서, 샘플 테이블 박스 (309) 는 SampleToGroup 박스 (310) 및 SampleGroupDescription 박스 (312) 에 추가하여 다른 박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있거나 다중의 SampleToGroup 박스들 및 SampleGroupDescription 박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SampleToGroup 박스 (310) 는 샘플들 (예컨대, 샘플들 (305) 중 특정 샘플들) 을 샘플들의 그룹에 맵핑할 수도 있다. SampleGroupDescription 박스 (312) 는 샘플들의 그룹 (즉, 샘플 그룹) 에서의 샘플들에 의해 공유된 특성을 명시할 수도 있다.
더욱이, 도 5 의 예에 있어서, SampleToGroup 박스 (310) 는 grouping_type 신택스 엘리먼트 (313) (즉, 그룹핑 타입 신택스 엘리먼트), entry_count 신택스 엘리먼트 (314) (즉, 엔트리 카운트 신택스 엘리먼트), 및 하나 이상의 샘플 그룹 엔트리들 (315) 을 포함한다. entry_count 신택스 엘리먼트 (314) 는 샘플 그룹 엔트리들 (315) 의 수를 나타낸다. 샘플 그룹 엔트리들 (315) 의 각각은 sample_count 신택스 엘리먼트 (316) (즉, 샘플 카운트 신택스 엘리먼트) 및 group_description_index 신택스 엘리먼트 (317) (즉, 그룹 디스크립션 인덱스 신택스 엘리먼트) 를 포함한다. sample_count 신택스 엘리먼트 (316) 는 sample_count 신택스 엘리먼트 (316) 를 포함하는 샘플 그룹 엔트리와 연관된 샘플들의 수를 나타낼 수도 있다. group_description_index 신택스 엘리먼트 (317) 는, SampleGroupDescription 박스 (예컨대, SampleGroupDescription 박스 (312)) 내에서, group_description_index 신택스 엘리먼트 (317) 를 포함하는 샘플 그룹 엔트리와 연관된 샘플들의 디스크립션을 포함하는 그룹 디스크립션 엔트리를 식별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도 5 의 예에 있어서, SampleGroupDescription 박스 (312) 는 grouping_type 신택스 엘리먼트 (320), entry_count 신택스 엘리먼트 (322), 및 하나 이상의 그룹 디스크립션 엔트리들 (324) 을 포함한다. entry_count 신택스 엘리먼트 (322) 는 SampleGroupDescription 박스에서의 그룹 디스크립션 엔트리들 (324) 의 수를 나타낸다.
더욱이, 도 5 의 예에 있어서, 샘플 테이블 박스 (308) 는 청크 오프셋 박스 (326), 샘플 투 청크 박스 (328), 및 샘플 사이즈 박스 (330) 를 포함한다. 샘플들은 "청크들" 에서의 파일에서 클러스터링된다. 청크들의 각각은 파일에서의 비트들의 연속적인 시리즈일 수도 있다. 청크 오프셋 박스 (326) 는, 트랙의 샘플들을 포함하는 청크들의 시작 위치들 및/또는 오프셋들을 명시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파일은 샘플들, 및 샘플들에서의 NAL 유닛들을 트랙들과 연관시킬 수도 있다. 상이한 트랙 박스들은 상이한 청크 오프셋 박스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각각의 개별 트랙에 대해, 디바이스는 개별 트랙의 청크 오프셋 박스들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도 있으며, 파일의 그 청크들은 개별 트랙에 대한 샘플들을 포함한다. ISOBMFF 14496-12 의 §8.7.4 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트랙의 샘플, 샘플의 포지션, 및 연관된 샘플 디스크립션을 포함하는 청크를 찾는데 이용가능한 데이터를 어느 것이 포함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구성하기 위해 샘플 투 청크 박스 (328) 에서의 데이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ISOBMFF 14496-12 의 §8.7.3 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샘플 사이즈 박스 (330) 는 트랙에서의 샘플들의 사이즈들을 명시할 수도 있다.
도 5 의 예에 있어서, 트랙 박스 (306) (즉, 제 1 트랙 박스) 는 제 1 트랙에 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파일 (300) 은, 트랙 박스 (306) 의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제 2 트랙 박스 (시각적 단순화를 위해 도 5 의 예에는 도시 안됨)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 2 트랙 박스는 제 2 트랙에 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기법들에 따르면, 제 1 트랙의 미디어 데이터 박스에서의 샘플은 CVS 에 대한 EOS NAL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제 2 트랙의 미디어 데이터 박스에서의 샘플은 동일 CVS 에 대한 EOS NAL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더욱이,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기법들에 따르면, 제 1 트랙의 미디어 데이터 박스에서의 샘플은 CVS 에 대한 EOB NAL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제 2 트랙의 미디어 데이터 박스에서의 샘플은 동일 CVS 에 대한 EOB NAL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 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기법들에 따른, 파일 (450) 의 예시적인 구조를 예시한 개념 다이어그램이다. 도 6 의 예들에 있어서, 파일 (450) 은 하나 이상의 영화 프래그먼트 박스들 (452) 및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 박스들 (454) 을 포함한다. 비록 도 6 의 예에서는 동일한 파일에 있는 것으로서 예시되지만, 다른 예들에 있어서, 영화 프래그먼트 박스들 (452) 및 미디어 데이터 박스들 (454) 은 별도의 파일들에 있을 수도 있다. 미디어 데이터 박스들 (454) 의 각각은 하나 이상의 샘플들 (456)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샘플들 (456) 의 일부 또는 그 모두는 비디오 콘텐츠의 개별 픽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영화 프래그먼트 박스들의 각각은 영화 프래그먼트에 대응한다. 각각의 영화 프래그먼트는 트랙 프래그먼트들의 세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트랙 당 제로 또는 그 초과의 트랙 프래그먼트들이 존재할 수도 있다.
도 6 의 예에 있어서, 영화 프래그먼트 박스 (452) 는 대응하는 영화 프래그먼트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한 정보는 영화 박스 (302) 와 같은 영화 박스에 이전에 있었을 것이다. 영화 프래그먼트 박스 (452) 는 트랙 프래그먼트 박스 (458) 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트랙 프래그먼트 박스 (458) 는 트랙 프래그먼트에 대응하고, 트랙 프래그먼트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6 의 예에 있어서, 트랙 프래그먼트 박스 (458) 는, 트랙 프래그먼트 박스 (458) 에 대응하는 트랙 프래그먼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SampleToGroup 박스들 (462) 및 하나 이상의 SampleGroupDescription 박스들 (464)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트랙 프래그먼트 박스 (458) 는 "컨테이너 박스" 의 인스턴스이다.
더욱이, 도 6 의 예에 있어서, SampleToGroup 박스 (462) 는 grouping_type 신택스 엘리먼트 (470) (즉, 그룹핑 타입 신택스 엘리먼트), entry_count 신택스 엘리먼트 (471) (즉, 엔트리 카운트 신택스 엘리먼트), 및 하나 이상의 샘플 그룹 엔트리들 (472) 을 포함한다. entry_count 신택스 엘리먼트 (471) 는 샘플 그룹 엔트리들 (472) 의 수를 나타낸다. 샘플 그룹 엔트리들 (472) 의 각각은 sample_count 신택스 엘리먼트 (473) (즉, 샘플 카운트 신택스 엘리먼트) 및 group_description_index 신택스 엘리먼트 (474) (즉, 그룹 디스크립션 인덱스 신택스 엘리먼트) 를 포함한다. sample_count 신택스 엘리먼트 (473) 는 sample_count 신택스 엘리먼트 (473) 를 포함하는 샘플 그룹 엔트리와 연관된 샘플들의 수를 나타낼 수도 있다. group_description_index 신택스 엘리먼트 (474) 는, SampleGroupDescription 박스 (예컨대, SampleGroupDescription 박스 (464)) 내에서, group_description_index 신택스 엘리먼트 (474) 를 포함하는 샘플 그룹 엔트리와 연관된 샘플들의 디스크립션을 포함하는 그룹 디스크립션 엔트리를 식별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도 6 의 예에 있어서, SampleGroupDescription 박스 (464) 는 grouping_type 신택스 엘리먼트 (480), entry_count 신택스 엘리먼트 (482), 및 하나 이상의 그룹 디스크립션 엔트리들 (484) 을 포함한다. entry_count 신택스 엘리먼트 (482) 는 SampleGroupDescription 박스 (464) 에서의 그룹 디스크립션 엔트리들 (484) 의 수를 나타낸다.
도 6 의 예에 있어서, 트랙 프래그먼트 박스 (458) 는 또한, 청크 오프셋 박스 (486), 샘플 투 청크 박스 (490), 및 샘플 사이즈 박스 (492) 를 포함한다. 청크 오프셋 박스 (486), 샘플 투 청크 박스 (490), 및 샘플 사이즈 박스 (492) 는 도 5 의 청크 오프셋 박스 (326), 샘플 투 청크 박스 (328), 및 샘플 사이즈 박스 (330) 와 동일한 신택스 및 시맨틱스를 가질 수도 있다.
도 6 의 예에 있어서, 트랙 프래그먼트 박스 (458) (즉, 제 1 트랙 박스) 는 제 1 트랙의 세그먼트에 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파일 (300) 은, 트랙 프래그먼트 박스 (458) 의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제 2 트랙 프래그먼트 박스 (즉, 시각적 단순화를 위해 도 6 의 예에 도시되지 않은 제 2 트랙 박스)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 2 트랙 프래그먼트 박스는 제 2 트랙의 세그먼트에 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기법들에 따르면, 제 1 트랙의 세그먼트의 미디어 데이터 박스에서의 샘플은 CVS 에 대한 EOS NAL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제 2 트랙의 세그먼트의 미디어 데이터 박스에서의 샘플은 동일 CVS 에 대한 EOS NAL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더욱이,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기법들에 따르면, 제 1 트랙의 미디어 데이터 박스에서의 샘플은 CVS 에 대한 EOB NAL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제 2 트랙의 미디어 데이터 박스에서의 샘플은 동일 CVS 에 대한 EOB NAL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7 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기법들에 따른, 파일의 다중의 트랙들에서의 EOS NAL 유닛들의 일 예를 예시한 개념 다이어그램이다. 도 7 의 예에 있어서, 파일은 2개의 트랙들: 즉, 트랙 1 및 트랙 2 를 포함한다. 더욱이, 도 7 의 예에 있어서, 트랙 1 은 제 1 서브계층 (즉, 서브계층 0) 의 NAL 유닛들을 포함하고, 트랙 2 는 제 2 서브계층 (즉, 서브계층 1) 의 NAL 유닛들을 포함한다. 도 7 의 예에 도시된 서브계층 0 및 서브계층 1 의 부분들은 동일한 CVS 에 속한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기법들에 따르면, EOS NAL 유닛들은 파일의 트랙들 (즉, 트랙 1 및 트랙 2) 중 1 초과의 트랙에 존재한다. 더욱이,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기법들에 따르면, 각각의 개별 트랙에 대해, 개별 트랙에서의 EOS NAL 유닛은, CVS 내에 있는 마지막 AU 의 부분이다. 예를 들어, EOS NAL 유닛 (500) 은 CVS 에 있는 트랙 1 의 마지막 AU 이고, EOS NAL 유닛 (502) 은 CVS 에 있는 트랙 2 의 마지막 AU 이다.
도 8 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기법들에 따른, 파일의 다중의 트랙들에서의 EOB NAL 유닛들의 일 예를 예시한 개념 다이어그램이다. 도 8 의 예에 있어서, 파일은 2개의 트랙들: 즉, 트랙 1 및 트랙 2 를 포함한다. 더욱이, 도 8 의 예에 있어서, 트랙 1 은 제 1 서브계층 (즉, 서브계층 0) 의 NAL 유닛들을 포함하고, 트랙 2 는 제 2 서브계층 (즉, 서브계층 1) 의 NAL 유닛들을 포함한다. 도 8 의 예에 도시된 서브계층 0 및 서브계층 1 의 부분들은 동일한 비트스트림에 속한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기법들에 따르면, EOB NAL 유닛들은 파일의 트랙들 (즉, 트랙 1 및 트랙 2) 중 1 초과의 트랙에 존재한다. 더욱이,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기법들에 따르면, 각각의 개별 트랙에 대해, 개별 트랙에서의 EOB NAL 유닛은, 비트스트림 내에 있는 마지막 AU 의 부분이다. 예를 들어, EOB NAL 유닛 (520) 은 비트스트림에 있는 트랙 1 의 마지막 AU 이고, EOB NAL 유닛 (522) 은 비트스트림에 있는 트랙 2 의 마지막 AU 이다.
도 9a 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기법들에 따른, 다중의 트랙들에서 EOS NAL 유닛들을 포함하는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동작을 예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개시의 플로우차트들은 예들이다. 본 개시의 기법에 따른 다른 예들에 있어서, 동작들은 더 많거나 더 적거나 또는 상이한 액션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액션들을 상이한 순서들로 포함할 수도 있다.
도 9a 의 예에 있어서, 컴퓨팅 디바이스 (예를 들어, 소스 디바이스 (12) (도 1), 파일 생성 디바이스 (34) (도 1), 포스트-프로세싱 엔티티 (127) (도 3), 또는 다른 디바이스) 는, 파일의 제 1 트랙에서, 비트스트림의 CVS 에 대한 제 1 EOS NAL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600). 제 1 EOS NAL 유닛은 CVS 의 제 1 액세스 유닛에 있다. 파일의 트랙에서 NAL 유닛 (예를 들어, 제 1 EOS NAL 유닛) 을 포함하기 위해, 디바이스는 샘플들 (305) (도 5) 또는 샘플들 (456) (도 6) 의 임의의 샘플과 같은 샘플에서 NAL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미디어 데이터 박스 (304) (도 5) 또는 미디어 데이터 박스 (454) (도 6) 와 같은 미디어 데이터 박스들에 샘플들을 저장한다. 다른 예들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미디어 데이터 박스에서 샘플을 캡슐화하는 일없이 파일에 직접 샘플을 저장한다. 샘플들은 "청크들" 에서의 파일에서 클러스터링된다. 더욱이, 디바이스는 트랙에 대한 트랙 박스에서 샘플 트랙 박스를 생성할 수도 있다. 샘플 테이블 박스는 청크 오프셋 박스 (예를 들어, 식별자 ('stco' 또는 'co64') 를 갖는 박스) 를 포함한다. 트랙에 대한 청크 오프셋 박스 (즉, 트랙에 대한 트랙 박스 내의 샘플 테이블 박스에서의 청크 오프셋 박스) 는, 트랙의 샘플들을 포함하는 청크들의 시작 위치들 및/또는 오프셋들을 명시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 1 EOS NAL 유닛과 같은 NAL 유닛을 포함하는 청크를 나타내기 위해 청크 오프셋 박스를 생성함으로써, 파일 생성 디바이스 (34) 는 트랙에서 NAL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청크 오프셋 박스는, 파일의 시작부에 대한 청크들의 시작 위치들 및/또는 오프셋들을 명시할 수도 있다. 트랙의 샘플 테이블 박스는 또한, 샘플 투 청크 박스 (예를 들어, 식별자 ('stsc') 를 갖는 박스)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는, 어느 샘플들이 어느 청크들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구성하기 위해 샘플 투 청크 박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테이블은 샘플들 (20 내지 30) 이 청크 2 에 있음을 나타낼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트랙의 샘플 테이블 박스는 샘플 사이즈 박스 (예를 들어, 식별자 ('stsz' 또는 'stz2') 를 갖는 박스) 를 포함한다. ISOBMFF 14996-12 의 §8.5.3.1 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트랙에서의 샘플들의 사이즈들을 나타내는 테이블을 생성하기 위해 샘플 사이즈 박스에서의 정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더욱이, 각각의 샘플은 샘플에서 각각의 NAL 유닛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더욱이, 도 9a 의 예에 있어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파일의 제 2 트랙에서, CVS 에 대한 제 2 EOS NAL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602). 도 9a 의 예에 있어서, 제 2 EOS NAL 유닛은 CVS 의 제 2 액세스 유닛에 있다. 제 2 EOS NAL 유닛은 제 1 EOS NAL 유닛과는 상이하다. 즉, 제 1 EOS NAL 유닛 및 제 2 EOS NAL 유닛들은 별도의 EOS NAL 유닛들이다. 이 예에 있어서, 제 1 액세스 유닛 및 제 2 액세스 유닛은 상이한 시간 서브계층들에 속할 수도 있다. 액세스 유닛은, 액세스 유닛에서의 코딩된 픽처가 시간 서브계층에 속하면, 시간 서브계층에 속할 수도 있다. 제 1 액세스 유닛 및 제 2 액세스 유닛은 상이한 디코딩 시간들과 연관된다.
일 예에 있어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비디오 인코더 (20) 로부터) 비트스트림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 예에 있어서, 비트스트림은 제 1 EOS NAL 유닛을 포함하지만 제 2 EOS NAL 유닛을 포함하진 않는다. 이에 따라, 이 예에 있어서, 비트스트림을 수신한 이후, 컴퓨팅 디바이스는 제 2 EOS NAL 유닛을 생성할 수도 있고, 제 2 트랙에서 제 2 EOS NAL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2 트랙에서 제 2 EOS NAL 유닛을 포함하기 위해, 디바이스는, 제 2 트랙에 대한 트랙 박스에서, 제 2 EOS NAL 유닛을 포함하는 샘플 박스를 명시하는 샘플 테이블 박스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제 1 트랙은 CVS 에 대한 비트스트림의 액세스 유닛들의 제 1 세트를 포함하고, 제 1 액세스 유닛은 액세스 유닛들의 제 1 세트의 순서에서 마지막 액세스 유닛이다. 부가적으로, 제 2 트랙은 CVS 에 대한 비트스트림의 액세스 유닛들의 제 2 세트를 포함하고, 제 2 액세스 유닛은 액세스 유닛들의 제 2 세트의 순서에서 마지막 액세스 유닛이다. 따라서, 이 예에 있어서, 비트스트림 (예를 들어, HEVC 또는 L-HEVC 비트스트림) 의 동일한 CVS 내에 있고 다중의 트랙들에 저장된 상이한 서브계층들에 속하는 AU들에 대해, EOS NAL 유닛은 트랙들 중 1 초과의 트랙에 (예를 들어, 트랙들의 각각에), 그러한 트랙에서의 동일한 CVS 내에 있는 마지막 AU 의 부분으로서 존재하도록 허용된다.
도 9b 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기법들에 따른, 다중의 트랙들에서 EOS NAL 유닛들을 포함하는 파일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예시적인 동작을 예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9b 의 예에 있어서, 컴퓨팅 디바이스 (예를 들어, 목적지 디바이스 (14) (도 1), 파일 파싱 유닛 (177) (도 4), 또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 는 제 1 트랙 및 제 2 트랙을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한다 (620). 일부 예들에 있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스크 드라이브, 프로세서,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다른 컴포넌트가 파일을 수신한다. 제 1 트랙은 비트스트림 (예를 들어, HEVC 또는 L-HEVC 비트스트림) 의 CVS 의 제 1 액세스 유닛을 포함한다. 제 2 트랙은 CVS 의 제 2 액세스 유닛을 포함한다. 도 9b 의 예에 있어서, 제 1 액세스 유닛은 제 1 EOS NAL 유닛을 포함하고, 제 2 액세스 유닛은 제 2 EOS NAL 유닛을 포함한다. 제 2 EOS NAL 유닛은 제 1 EOS NAL 유닛과는 상이하다. 즉, 제 1 EOS NAL 유닛 및 제 2 EOS NAL 유닛들은 별도의 EOS NAL 유닛들이다. 이 예에 있어서, 제 1 액세스 유닛 및 제 2 액세스 유닛은 상이한 시간 서브계층들에 속할 수도 있다. 제 1 액세스 유닛 및 제 2 액세스 유닛은 상이한 디코딩 시간들과 연관된다.
도 9b 의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디바이스는, 제 1 EOS NAL 유닛과 연관된 시간과 제 2 EOS NAL 유닛과 연관된 시간의 비교에 기초하여, 제 1 EOS NAL 유닛을 출력할 수도 있고 제 2 EOS NAL 유닛을 폐기할 수도 있다 (622). 일부 예들에 있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스크 드라이브, 프로세서,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다른 컴포넌트가 제 1 EOS NAL 유닛을 출력한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제 1 EOS NAL 유닛이 제 2 EOS NAL 유닛과 연관된 디코딩 시간보다 더 큰 (즉, 더 나중의) 디코딩 시간과 연관됨을 결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컴퓨팅 디바이스는 파일에서의 NAL 유닛들로부터 복원된 비트스트림의 부분으로서 제 1 EOS NAL 유닛을 출력한다. 더욱이, 일부 예들에 있어서, 제 1 EOS NAL 유닛이 제 2 EOS NAL 유닛과 연관된 디코딩 시간보다 더 큰 (즉, 더 나중의) 디코딩 시간과 연관됨을 결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컴퓨팅 디바이스는 제 2 EOS NAL 유닛을 폐기한다. 따라서, 이 예에 있어서, 동일한 비트스트림 내에 있고 다중의 트랙들에 저장된 상이한 서브계층들에 속하는 AU들에 대해, 트랙들 중 1 초과의 트랙이 EOS NAL 유닛을 포함할 경우, EOS NAL 유닛들 중 오직 하나만이 최종 복원된 비트스트림에서 유지되고, 다른 EOS NAL 유닛들은 폐기된다. 컴퓨팅 디바이스는, 최종 복원된 비트스트림에서 (존재한다면) EOB NAL 유닛 이외의 모든 NAL 유닛들 이후에 유지된 EOS NAL 유닛을 배치할 수도 있다. 이 예에 있어서, EOS NAL 유닛과 연관된 디코딩 시간은, EOS NAL 유닛이 속한 액세스 유닛의 디코딩 시간일 수도 있다.
다양한 예들에 있어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다양한 추가 액션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는 제 1 트랙에서의 CVS 의 NAL 유닛들을 비디오 디코더 (30) 와 같은 비디오 디코더에 출력하고, 제 2 트랙에서의 CVS 의 NAL 유닛들을 비디오 디코더에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디코더는, 제 1 또는 제 2 트랙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CVS 의 NAL 유닛들에 기초하여, CVS 의 픽처들을 디코딩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제 1 EOS NAL 유닛을 포함하는 제 1 액세스 유닛에 기초하여, 제 1 트랙에서의 CVS 의 후속 NAL 유닛들이 존재하지 않음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EOS NAL 유닛의 존재는, 제 1 트랙에 저장된 CVS 의 후속 액세스 유닛들이 존재하지 않음을 컴퓨팅 디바이스에 나타낼 수도 있다. 더욱이, 컴퓨팅 디바이스는, 제 2 EOS NAL 유닛을 포함하는 제 2 액세스 유닛에 기초하여, 제 2 트랙에서의 CVS 의 후속 액세스 유닛들이 존재하지 않음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2 EOS NAL 유닛의 존재는, 제 2 트랙에 저장된 CVS 의 후속 액세스 유닛들이 존재하지 않음을 컴퓨팅 디바이스에 나타낼 수도 있다.
도 10a 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기법들에 따른, 다중의 트랙들에서 EOB NAL 유닛들을 포함하는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동작을 예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0a 의 예에 있어서, 컴퓨팅 디바이스 (예를 들어, 소스 디바이스 (12) (도 1), 파일 생성 디바이스 (34) (도 1), 포스트-프로세싱 엔티티 (127) (도 3), 또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 는, 파일의 제 1 트랙에서, 비트스트림의 CVS 에 대한 제 1 EOB NAL 유닛을 포함한다 (650). 도 10a 의 예에 있어서, 제 1 EOB NAL 유닛은 CVS 의 제 1 액세스 유닛에 있다. 제 1 트랙에서 제 1 EOB NAL 유닛을 포함하기 위해, 디바이스는, 제 1 트랙에 대한 트랙 박스에서, 제 1 EOB NAL 유닛을 포함하는 샘플 박스를 명시하는 샘플 테이블 박스를 생성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도 10a 의 예에 있어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파일의 제 2 트랙에서, 비트스트림의 CVS 에 대한 제 2 EOB NAL 유닛을 포함한다 (652). 제 2 EOB NAL 유닛은 CVS 의 제 2 액세스 유닛에 있다. 제 2 EOB NAL 유닛은 제 1 EOB NAL 유닛과는 상이하다. 즉, 제 1 EOB NAL 유닛 및 제 2 EOB NAL 유닛들은 별도의 EOB NAL 유닛들이다. 제 1 액세스 유닛 및 제 2 액세스 유닛은 상이한 디코딩 시간들과 연관된다. 이 예에 있어서, 제 1 액세스 유닛 및 제 2 액세스 유닛은 상이한 시간 서브계층들에 속한다. 제 1 트랙에서 제 1 EOB NAL 유닛을 포함하기 위해, 디바이스는, 제 1 트랙에 대한 트랙 박스에서, 제 1 EOB NAL 유닛을 포함하는 샘플 박스를 명시하는 샘플 테이블 박스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일 예에 있어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비디오 인코더 (20) 로부터) 비트스트림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 예에 있어서, 비트스트림은 제 1 EOB NAL 유닛을 포함하지만 제 2 EOB NAL 유닛을 포함하진 않는다. 이에 따라, 이 예에 있어서, 비트스트림을 수신한 이후, 컴퓨팅 디바이스는 제 2 EOB NAL 유닛을 생성할 수도 있고, 제 2 트랙에서 제 2 EOB NAL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0b 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기법들에 따른, 다중의 트랙들에서 EOB NAL 유닛들을 포함하는 파일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예시적인 동작을 예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0b 의 예에 있어서, 컴퓨팅 디바이스 (예를 들어, 목적지 디바이스 (14) (도 1), 파일 파싱 유닛 (177) (도 4), 또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 는 제 1 트랙 및 제 2 트랙을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할 수도 있다 (670). 일부 예들에 있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스크 드라이브, 프로세서,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다른 컴포넌트가 파일을 수신한다. 제 1 트랙은 비트스트림의 CVS 의 제 1 액세스 유닛을 포함하고, 제 2 트랙은 CVS 의 제 2 액세스 유닛을 포함한다. 도 10b 의 예에 있어서, 제 1 액세스 유닛은 제 1 EOB NAL 유닛을 포함하고, 제 2 액세스 유닛은 제 2 EOB NAL 유닛을 포함한다. 제 2 EOB NAL 유닛은 제 1 EOB NAL 유닛과는 상이하다. 즉, 제 1 EOB NAL 유닛 및 제 2 EOB NAL 유닛들은 별도의 EOB NAL 유닛들이다. 이 예에 있어서, 제 1 액세스 유닛 및 제 2 액세스 유닛은 상이한 시간 서브계층들에 속할 수도 있다. 제 1 액세스 유닛 및 제 2 액세스 유닛은 상이한 디코딩 시간들과 연관된다.
더욱이, 도 10b 의 예에 있어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제 1 EOB NAL 유닛을 (예를 들어, 비디오 디코더 (30) 와 같은 비디오 디코더에) 출력하고 제 2 EOB NAL 유닛을 폐기한다 (672). 일부 예들에 있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스크 드라이브, 프로세서,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다른 컴포넌트가 제 1 EOB NAL 유닛을 출력한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파일에서의 NAL 유닛들로부터 복원된 비트스트림의 부분으로서 제 1 EOB NAL 유닛을 출력한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제 1 액세스 유닛이 제 2 액세스 유닛과 연관된 디코딩 시간보다 더 큰 (즉, 더 나중의) 디코딩 시간과 연관됨을 결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컴퓨팅 디바이스는 제 2 EOB NAL 유닛을 폐기한다. 따라서, 이 예에 있어서, 비트스트림의 동일한 CVS 내에 있고 다중의 트랙들에 저장된 상이한 서브계층들에 속하는 액세스 유닛들에 대해, 트랙들 중 1 초과의 트랙이 EOB NAL 유닛을 포함할 경우, EOB NAL 유닛들 중 오직 하나만이 최종 복원된 비트스트림에서 유지되고, 다른 EOB NAL 유닛들은 폐기된다. 컴퓨팅 디바이스는, 최종 복원된 비트스트림에서 액세스 유닛의 마지막의 종단에 유지된 EOB NAL 유닛을 배치할 수도 있다. 이 예에 있어서, EOB NAL 유닛과 연관된 디코딩 시간은, EOB NAL 유닛이 속한 액세스 유닛의 디코딩 시간일 수도 있다.
다양한 예들에 있어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다양한 추가 액션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는 제 1 트랙에서의 CVS 의 NAL 유닛들을 비디오 디코더 (30) 와 같은 비디오 디코더에 출력할 수도 있고, 제 2 트랙에서의 CVS 의 NAL 유닛들을 비디오 디코더에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디코더는, 제 1 또는 제 2 트랙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CVS 의 NAL 유닛들에 기초하여, CVS 의 픽처들을 디코딩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제 1 EOB NAL 유닛을 포함하는 제 1 액세스 유닛에 기초하여, 제 1 트랙에 저장된 비트스트림의 후속 NAL 유닛들이 존재하지 않음을 결정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컴퓨팅 디바이스는, 제 2 EOB NAL 유닛을 포함하는 제 2 액세스 유닛에 기초하여, 제 2 트랙에 저장된 비트스트림의 후속 NAL 유닛들이 존재하지 않음을 결정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예들에 있어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된다면, 그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으로 저장 또는 전송되고 하드웨어 기반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데이터 저장 매체들과 같은 유형의 매체에 대응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들, 또는 예를 들어,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일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일반적으로 (1) 비일시적인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들 또는 (2) 신호 또는 캐리어파와 같은 통신 매체에 대응할 수도 있다. 데이터 저장 매체들은 본 개시에서 설명된 기법들의 구현을 위한 명령들, 코드 및/또는 데이터 구조들을 취출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컴퓨터들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들일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정이 아닌 예로서, 그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부, 자기 디스크 저장부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또는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커넥션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히 명명된다. 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쌍선, 디지털 가입자 라인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명령들이 송신된다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쌍선,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은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하지만,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들 및 데이터 저장 매체들은 커넥션들, 캐리어파들, 신호들, 또는 다른 일시적 매체들을 포함하지 않지만 대신 비일시적인 유형의 저장 매체들로 지향됨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디스크 (disk) 및 디스크 (disc) 는 컴팩트 디스크 (CD), 레이저 디스크, 광학 디스크,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 (DVD), 플로피 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 (disk) 는 통상적으로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디스크 (disc) 는 레이저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상기의 조합들이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DSP들),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주문형 집적회로들 (ASIC들),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어레이들 (FPGA들), 또는 다른 등가의 집적된 또는 별도의 로직 회로부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프로세서" 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법들의 구현에 적합한 전술한 구조 또는 임의의 다른 구조 중 임의의 구조를 지칭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일부 양태들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은 인코딩 및 디코딩을 위해 구성되거나 또는 결합된 코덱에서 통합된 전용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들 내에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그 기법들은 하나 이상의 회로들 또는 로직 엘리먼트들에서 완전히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법들은 무선 핸드셋, 집적 회로 (IC) 또는 IC들의 세트 (예를 들어, 칩 세트) 를 포함하여 매우 다양한 디바이스들 또는 장치들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양한 컴포넌트들, 모듈들 또는 유닛들이 개시된 기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들의 기능적 양태들을 강조하기 위해 본 개시에서 설명되지만, 반드시 상이한 하드웨어 유닛들에 의한 실현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다양한 유닛들은 적합한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와 함께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여 코덱 하드웨어 유닛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상호운용식 하드웨어 유닛들의 집합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다양한 예들이 설명되었다. 이들 및 다른 예들은 다음의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다.

Claims (40)

  1.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파일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파일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 1 트랙 및 제 2 트랙을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트랙은 비트스트림의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 (CVS) 의 제 1 세트의 액세스 유닛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트랙은 동일한 상기 CVS 의 제 2 세트의 액세스 유닛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세트의 액세스 유닛들은 제 1 시퀀스 종단 (EOS)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NAL) 유닛을 포함하는 제 1 액세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세트의 액세스 유닛들은 제 2 EOS NAL 유닛을 포함하는 제 2 액세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EOS NAL 유닛은 상기 제 1 EOS NAL 유닛과는 상이하고, 상기 제 1 액세스 유닛은 제 1 시간 서브 계층에 속하고, 상기 제 2 액세스 유닛은 상기 제 1 시간 서브 계층과는 상이한 제 2 시간 서브 계층에 속하는, 상기 제 1 트랙 및 제 2 트랙을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액세스 유닛에 연관된 시간과 상기 제 2 액세스 유닛에 연관된 시간과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EOS NAL 유닛을 출력하고 상기 제 2 EOS NAL 유닛을 폐기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파일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액세스 유닛은 복원된 비트스트림에서 상기 CVS 의 마지막 액세스 유닛인,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파일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는 상기 제 1 액세스 유닛 및 상기 제 2 액세스 유닛과 연관된 디코딩 시간의 비교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파일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액세스 유닛이 상기 제 2 액세스 유닛보다 더 큰 디코딩 시간에 연관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EOS NAL 유닛을 출력하도록 더욱 구성되는,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파일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EOS NAL 유닛은, 상기 CVS 의 상기 제 1 트랙 및 상기 제 2 트랙을 포함하는 복수의 트랙들에 있어서 유일한 EOS NAL 유닛 출력이고, 상기 복수의 트랙들의 모든 다른 EOS NAL 유닛들은 폐기되는,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파일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스트림은 고효율 비디오 코딩 (HEVC) 비트스트림 또는 계층화된 HEVC 비트스트림인,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파일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트랙에서 상기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의 NAL 유닛들을 비디오 디코더에 출력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트랙에서 상기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의 NAL 유닛들을 상기 비디오 디코더에 출력하도록 더욱 구성되는,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파일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시스템.
  8.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파일을 프로세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제 1 트랙 및 제 2 트랙을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트랙은 비트스트림의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 (CVS) 의 제 1 세트의 액세스 유닛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트랙은 동일한 상기 CVS 의 제 2 세트의 액세스 유닛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세트의 액세스 유닛들은 제 1 시퀀스 종단 (EOS)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NAL) 유닛을 포함하는 제 1 액세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세트의 액세스 유닛들은 제 2 EOS NAL 유닛을 포함하는 제 2 액세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EOS NAL 유닛은 상기 제 1 EOS NAL 유닛과는 상이하고, 상기 제 1 액세스 유닛은 제 1 시간 서브 계층에 속하고, 상기 제 2 액세스 유닛은 상기 제 1 시간 서브 계층과는 상이한 제 2 시간 서브 계층에 속하는, 상기 제 1 트랙 및 제 2 트랙을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액세스 유닛에 연관된 시간과 상기 제 2 액세스 유닛에 연관된 시간과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EOS NAL 유닛을 출력하고 상기 제 2 EOS NAL 유닛을 폐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파일을 프로세싱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액세스 유닛은 복원된 비트스트림에서 상기 CVS 의 마지막 액세스 유닛인,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파일을 프로세싱하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는 상기 제 1 액세스 유닛과 상기 제 2 액세스 유닛에 연관된 디코딩 시간과의 비교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파일을 프로세싱하는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것은, 상기 제 1 액세스 유닛이 상기 제 2 액세스 유닛보다 더 큰 디코딩 시간에 연관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EOS NAL 유닛을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파일을 프로세싱하는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EOS NAL 유닛은, 상기 CVS 의 상기 제 1 트랙 및 상기 제 2 트랙을 포함하는 복수의 트랙들에 있어서 유일한 EOS NAL 유닛 출력이고, 상기 복수의 트랙들의 모든 다른 EOS NAL 유닛들은 폐기되는,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파일을 프로세싱하는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스트림은 고효율 비디오 코딩 (HEVC) 비트스트림 또는 계층화된 HEVC 비트스트림인,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파일을 프로세싱하는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랙에서 상기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의 NAL 유닛들을 비디오 디코더에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트랙에서 상기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의 NAL 유닛들을 상기 비디오 디코더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파일을 프로세싱하는 방법.
  15. 명령들이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실행될 경우,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파일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 1 트랙 및 제 2 트랙을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트랙은 비트스트림의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 (CVS) 의 제 1 세트의 액세스 유닛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트랙은 동일한 상기 CVS 의 제 2 세트의 액세스 유닛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세트의 액세스 유닛들은 제 1 시퀀스 종단 (EOS)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NAL) 유닛을 포함하는 제 1 액세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세트의 액세스 유닛들은 제 2 EOS NAL 유닛을 포함하는 제 2 액세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EOS NAL 유닛은 상기 제 1 EOS NAL 유닛과는 상이하고, 상기 제 1 액세스 유닛은 제 1 시간 서브 계층에 속하고, 상기 제 2 액세스 유닛은 상기 제 1 시간 서브 계층과는 상이한 제 2 시간 서브 계층에 속하는, 상기 제 1 트랙 및 제 2 트랙을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액세스 유닛에 연관된 시간과 상기 제 2 액세스 유닛에 연관된 시간과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EOS NAL 유닛을 출력하고 상기 제 2 EOS NAL 유닛을 폐기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액세스 유닛은 복원된 비트스트림에서 상기 CVS 의 마지막 액세스 유닛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는 상기 제 1 액세스 유닛 및 상기 제 2 액세스 유닛에 연관된 디코딩 시간과의 비교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제 1 액세스 유닛이 상기 제 2 액세스 유닛보다 더 큰 디코딩 시간에 연관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EOS NAL 유닛을 출력하게 하는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EOS NAL 유닛은, 상기 CVS 의 상기 제 1 트랙 및 상기 제 2 트랙을 포함하는 복수의 트랙들에 있어서 유일한 EOS NAL 유닛 출력이고, 상기 복수의 트랙들의 모든 다른 EOS NAL 유닛들은 폐기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스트림은 고효율 비디오 코딩 (HEVC) 비트스트림 또는 계층화된 HEVC 비트스트림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 1 트랙에서 상기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의 NAL 유닛들을 비디오 디코더에 출력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트랙에서 상기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의 NAL 유닛들을 상기 비디오 디코더에 출력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KR1020187033793A 2016-05-23 2017-05-23 별도의 파일 트랙들에서의 시퀀스 종단 및 비트스트림 종단 nal 유닛들 KR1026048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40437P 2016-05-23 2016-05-23
US62/340,437 2016-05-23
US15/601,233 2017-05-22
US15/601,233 US10623755B2 (en) 2016-05-23 2017-05-22 End of sequence and end of bitstream NAL units in separate file tracks
PCT/US2017/033925 WO2017205325A1 (en) 2016-05-23 2017-05-23 End of sequence and end of bitstream nal units in separate file trac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763A KR20190013763A (ko) 2019-02-11
KR102604891B1 true KR102604891B1 (ko) 2023-11-21

Family

ID=60330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793A KR102604891B1 (ko) 2016-05-23 2017-05-23 별도의 파일 트랙들에서의 시퀀스 종단 및 비트스트림 종단 nal 유닛들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0623755B2 (ko)
EP (1) EP3466094A1 (ko)
JP (1) JP6960945B2 (ko)
KR (1) KR102604891B1 (ko)
CN (1) CN109155877B (ko)
BR (1) BR112018073877A2 (ko)
CA (1) CA3020519A1 (ko)
TW (1) TWI763669B (ko)
WO (1) WO20172053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23755B2 (en) 2016-05-23 2020-04-14 Qualcomm Incorporated End of sequence and end of bitstream NAL units in separate file tracks
GB2560921B (en) * 2017-03-27 2020-04-08 Canon Kk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media data comprising generated content
US10904574B2 (en) 2018-09-13 2021-01-26 Tencent America LLC Method and device using an out of band end of stream NAL unit in decoding
US10999590B2 (en) * 2018-12-28 2021-05-04 Tencent America LLC Method for identification of random access point and picture types
CN112118453A (zh) * 2019-06-20 2020-12-22 腾讯美国有限责任公司 视频解码方法和设备、计算机设备以及存储介质
CN114009032A (zh) * 2019-06-21 2022-02-01 瑞典爱立信有限公司 视频编码层上切换指示
KR20210080967A (ko) * 2019-12-23 2021-07-0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컨트롤러 및 컨트롤러의 동작방법
US11343524B2 (en) * 2019-12-27 2022-05-24 Tencent America LLC Method for adaptation parameter set reference and constraints in coded video stream
US11792432B2 (en) * 2020-02-24 2023-10-17 Tencent America LLC Techniques for signaling and identifying access unit boundaries
CN111541901B (zh) * 2020-05-11 2022-05-27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图片解码的方法和装置
CN115668933A (zh) 2020-05-22 2023-01-31 字节跳动有限公司 编解码视频中nal单元的排序
WO2021252978A1 (en) 2020-06-12 2021-12-16 Bytedance Inc. Constraints on picture output ordering in a video bitstream
US11711518B2 (en) 2020-09-17 2023-07-25 Lemon Inc. Decoding capability information storage in video coding
US11611752B2 (en) 2020-10-07 2023-03-21 Lemon Inc. Adaptation parameter set storage in video coding
EP4329315A1 (en) * 2021-04-19 2024-02-2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receiving media file on basis of eos sample group,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edia file
EP4329303A1 (en) * 2021-04-19 2024-02-28 LG Electronics Inc. Media fil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therefor
GB2618298A (en) * 2021-09-21 2023-11-08 V Nova Int Ltd Low complexity enhancement video coding with temporal scalability

Family Cites Families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3148B1 (ja) * 2002-10-11 2004-03-3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動画像符号化方法、動画像復号方法、動画像符号化装置、動画像復号装置、動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及び動画像復号プログラム
US20070006274A1 (en) * 2005-06-30 2007-01-04 Toni Pail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ession packets
US20090161762A1 (en) * 2005-11-15 2009-06-25 Dong-San Jun Method of scalable video coding for varying spatial scalability of bitstream in real time and a codec using the same
BRPI0718705A2 (pt) * 2006-11-08 2014-01-07 Sargent & Greenleaf Sistema de rastreamento de dinheiro
TWI473016B (zh) * 2008-07-16 2015-02-11 Sisvel Internat S A 用以處理多視圖視訊位元串流之方法與裝置及電腦可讀媒體
US8514942B2 (en) * 2008-12-31 2013-08-20 Entropic Communications, Inc. Low-resolution video coding content extraction
EP2424257A4 (en) * 2009-04-24 2015-12-02 Lg Electronics Inc VIDEO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US9917874B2 (en) 2009-09-22 2018-03-13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block-request streaming using block partitioning or request controls for improved client-side handling
US8914835B2 (en) * 2009-10-28 2014-12-16 Qualcomm Incorporated Streaming encoded video data
US9049497B2 (en) 2010-06-29 2015-06-02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random access points for streaming video data
JP5628422B2 (ja) * 2010-06-29 2014-11-19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Qualcomm Incorporated トリックモードビデオ表現のためのビデオサンプルを信号伝達すること
US9451284B2 (en) * 2011-10-10 2016-09-20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signaling of reference picture sets
US20130195201A1 (en) * 2012-01-10 2013-08-01 Vidyo, Inc. Techniques for layered video encoding and decoding
US9414085B2 (en) * 2012-01-20 2016-08-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ub-bitstream extraction
US9565431B2 (en) * 2012-04-04 2017-02-07 Qualcomm Incorporated Low-delay video buffering in video coding
RU2612577C2 (ru) * 2012-07-02 2017-03-09 Нокиа Текнолоджиз Ой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дирования видеоинформации
US9654802B2 (en) * 2012-09-24 2017-05-16 Qualcomm Incorporated Sequence level flag for sub-picture level coded picture buffer parameters
US9161039B2 (en) * 2012-09-24 2015-10-13 Qualcomm Incorporated Bitstream properties in video coding
US9584825B2 (en) * 2012-09-27 2017-02-28 Qualcomm Incorporated Long-term reference picture signaling in video coding
CN104813660B (zh) * 2012-09-28 2019-04-05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视频编码和解码的装置和方法
AP3943A (en) * 2012-09-28 2016-12-16 Ericsson Telefon Ab L M Decoding and encoding of pictures of a video sequence
US20140098868A1 (en) * 2012-10-04 2014-04-10 Qualcomm Incorporated File format for video data
US9900609B2 (en) * 2013-01-04 2018-02-20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for video coding and decoding
US20140218473A1 (en) * 2013-01-07 2014-08-07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ding and decoding
US9402076B2 (en) 2013-01-07 2016-07-26 Qualcomm Incorporated Video buffering operations for random access in video coding
JP5672320B2 (ja) * 2013-02-26 2015-02-18 Ntt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デコーダ装置
US9596486B2 (en) * 2013-04-05 2017-03-14 Qualcomm Incorporated IRAP access units and bitstream switching and splicing
EP2982124A4 (en) * 2013-04-05 2016-09-07 Sharp Kk PICTURES WITH DIRECT ACCESS POINTS
US9591321B2 (en) * 2013-04-07 2017-03-07 Dolby International Ab Signaling change in output layer sets
US9674522B2 (en) * 2013-04-08 2017-06-06 Qualcomm Incorporated Device and method for scalable coding of video information
US9602822B2 (en) * 2013-04-17 2017-03-21 Qualcomm Incorporated Indication of cross-layer picture type alignment in multi-layer video coding
US10003815B2 (en) * 2013-06-03 2018-06-19 Qualcomm Incorporated Hypothetical reference decoder model and conformance for cross-layer random access skipped pictures
WO2015004924A1 (en) * 2013-07-10 2015-01-15 Sharp Kabushiki Kaisha Scaling list signaling and parameter sets activation
WO2015009693A1 (en) * 2013-07-15 2015-01-22 Sony Corporation Layer based hrd buffer management for scalable hevc
WO2015015058A1 (en) * 2013-07-31 2015-02-05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ding and decoding
JP5774652B2 (ja) * 2013-08-27 2015-09-09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WO2015052939A1 (en) * 2013-10-10 2015-04-16 Sharp Kabushiki Kaisha Alignment of picture order count
JPWO2015053330A1 (ja) * 2013-10-10 2017-03-09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復号装置
MY178305A (en) * 2013-10-11 2020-10-07 Vid Scale Inc High level syntax for hevc extensions
MX352916B (es) * 2013-10-14 2017-12-14 Ericsson Telefon Ab L M Alineación de conteo de orden de imágenes en video escalable.
WO2015056179A1 (en) * 2013-10-15 2015-04-23 Nokia Technologies Oy Video encoding and decoding using syntax element
US9712843B2 (en) * 2013-10-23 2017-07-18 Qualcomm Incorporated Multi-layer video file format designs
US10284894B2 (en) * 2014-02-03 2019-05-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 for naming video content chunks
US20150264404A1 (en) * 2014-03-17 2015-09-17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ding and decoding
US9794595B2 (en) * 2014-03-18 2017-10-17 Qualcomm Incorporated Derivation of end of sequence NAL unit information for multi-layer bitstreams
KR101560727B1 (ko) * 2014-04-07 2015-10-15 네이버 주식회사 멀티트랙 비디오 컨텐츠의 제공을 위한 멀티트랙 비디오 컨텐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9866852B2 (en) * 2014-06-20 2018-01-09 Qualcomm Incorporated Video coding using end of sequence network abstraction layer units
WO2016098056A1 (en) * 2014-12-18 2016-06-23 Nokia Technologies Oy An apparatus,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for video coding and decoding
GB2534136A (en) * 2015-01-12 2016-07-20 Nokia Technologies Oy An apparatus,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for video coding and decoding
US10148969B2 (en) * 2015-02-11 2018-12-04 Qualcomm Incorporated Of sample entry and operation point signalling in a layered video file format
US20170094288A1 (en) * 2015-09-25 2017-03-30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for video coding and decoding
US9788022B2 (en) * 2015-09-29 2017-10-10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digital advertisement insertion
US10349067B2 (en) * 2016-02-17 2019-07-09 Qualcomm Incorporated Handling of end of bitstream NAL units in L-HEVC file format and improvements to HEVC and L-HEVC tile tracks
US10623755B2 (en) 2016-05-23 2020-04-14 Qualcomm Incorporated End of sequence and end of bitstream NAL units in separate file tracks
CN109155861B (zh) * 2016-05-24 2021-05-25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编码媒体内容的方法和装置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endry et al. Comments on ISO/IEC 14496-15, ISO/IEC JTC1/SC29/WG11, 2016-02-18, pp. 1-4*
Thomas Schierl et al. System Layer Integration of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IEEE, IEEE TRANSACTIONS ON CIRCUITS AND SYSTEM FOR VIDEO TECHNOLOGY, VOL, 22, NO. 12, 2012-12-01, 1871-188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15669B2 (en) 2021-09-07
KR20190013763A (ko) 2019-02-11
WO2017205325A1 (en) 2017-11-30
CN109155877A (zh) 2019-01-04
CN109155877B (zh) 2021-09-21
TWI763669B (zh) 2022-05-11
US20170339421A1 (en) 2017-11-23
CA3020519A1 (en) 2017-11-30
US20200154116A1 (en) 2020-05-14
BR112018073877A2 (pt) 2019-02-26
TW201743607A (zh) 2017-12-16
EP3466094A1 (en) 2019-04-10
US10623755B2 (en) 2020-04-14
JP6960945B2 (ja) 2021-11-05
JP2019520739A (ja) 2019-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5669B2 (en) End of sequence and end of bitstream NAL units in separate file tracks
US9648348B2 (en) Multi-layer video file format designs
JP6637613B2 (ja) L−hevcファイルフォーマットにおけるビットストリーム終了nalユニットの処理、ならびにhevcおよびl−hevcタイルトラックの改善
JP2019517218A (ja) Hevcおよびl−hevcファイルフォーマットでのタイルグルーピングおよびサンプルのマッピング
EP3257262B1 (en) Sample grouping signaling in file form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