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840B1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s through classification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s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s through classification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840B1
KR102604840B1 KR1020220124310A KR20220124310A KR102604840B1 KR 102604840 B1 KR102604840 B1 KR 102604840B1 KR 1020220124310 A KR1020220124310 A KR 1020220124310A KR 20220124310 A KR20220124310 A KR 20220124310A KR 102604840 B1 KR102604840 B1 KR 102604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quake
content
disaster prevention
class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43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혜원
박재은
이진미
박기종
강형구
박병철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20124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84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840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6Cluster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곳에 흩어져 있는 지진방재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를 분류 및 분석하여 바로 활용이 가능한 콘텐츠를 제공하며, 이를 지진방재 콘텐츠 공유 포털을 통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진 방재 콘텐츠 분류를 통한 지진 방재 콘텐츠 제공 방법과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진 방재 콘텐츠 분류를 통한 지진 방재 콘텐츠 제공 방법은, 분류대상 도출부, 콘텐츠 수집부, 계측기, 분석부 및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지진 방재 콘텐츠 분류를 통한 지진 방재 콘텐츠 제공 방법으로서, (a) 상기 분류대상 도출부가 지진 방재에 대한 주체별 및 시간대별 요구 콘텐츠를 분류하는 단계; (b) 상기 분류대상 도출부가 상기 분류에 따라 분류별 지진 방재 콘텐츠의 수집 대상을 도출하는 단계; (c) 상기 콘텐츠 수집부가 상기 분류별 지진 방재 콘텐츠의 수집 대상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d) 상기 분석부가 상기 수집된 콘텐츠 정보에 근거해 현장 계측 자료를 분석하는 단계; 및 (e) 상기 콘텐츠 제공부가 상기 분석된 결과에 따른 요구 콘텐츠를 지진방재 콘텐츠 공유 포털을 통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classification that collects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data scattered in various places, classifies and analyzes the collected data, provides content that can be used immediately, and shares it through an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sharing portal. It is about the 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A method of providing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through classification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classification through a system including a classification object derivation unit, a content collection unit, a measuring instrument, an analysis unit, and a content provision unit. A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the classification target deriving unit classifies requested content by subject and time zone for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b) the classification target deriving unit deriving a collection target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for each category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c) the content collection unit collecting content information about the collection target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for each category; (d) the analysis unit analyzing field measurement data based on the collected content information; and (e) the content provider providing requested conten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rough an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sharing portal.

Description

지진 방재 콘텐츠 분류를 통한 지진 방재 콘텐츠 제공 방법과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s through classification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s}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s through classification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s}

본 발명은 지진 방재 콘텐츠 분류를 통한 지진 방재 콘텐츠 제공 방법과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다양한 곳에 흩어져 있는 지진방재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를 분류 및 분석하여 바로 활용이 가능한 콘텐츠를 제공하며, 이를 지진방재 콘텐츠 공유 포털을 통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진 방재 콘텐츠 분류를 통한 지진 방재 콘텐츠 제공 방법과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through classification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ollecting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data scattered in various places, classifying and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and providing content that can be used immediately. It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through classification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so that it can be shared through an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sharing portal.

국내 지진 관련 연구는 초고층 및 대형구조물, 원자력발전소 분야 등을 제외하고 국민이나 공무원들이 체감할 수 있는 지진 방재 관련 교육훈련이나 업무가 많지 않았다. 그에 반해 주변국인 일본, 중국에서는 1995년 한신·아와지대지진, 2005년 후쿠오카지진, 2008년 쓰촨성지진, 2016년 구마모토지진 등 대규모 지진피해가 발생함으로 인해 국내의 지진 대비에 대한 많은 의구심이 쏟아졌다. 이웃 국가의 사례를 교훈 삼아 국내에서는 국가 차원의 지진 방재대책에 대한 다양한 문제점이 도출되었고 지진 관련 법과 제도를 개선하려는 노력을 해왔다. 하지만, 실제 국내 지진 발생사례가 없다 보니 현장에 적용하여 기술을 발전시킬 기회가 많지 않았다. In domestic earthquake-related research, there was not much education or work related to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that citizens or public officials could feel, except in the fields of high-rise buildings, large structures, and nuclear power plants. On the other hand, in neighboring countries Japan and China, large-scale earthquake damage occurred such as the Great Hanshin-Awaji Earthquake in 1995, the Fukuoka Earthquake in 2005, the Sichuan Earthquake in 2008, and the Kumamoto Earthquake in 2016, raising many doubts about Korea's earthquake preparedness. . Taking lessons from the cases of neighboring countries, various problems with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at the national level have been identified in Korea, and efforts have been made to improve earthquake-related laws and systems. However, since there have been no actual earthquakes in Korea, there were not many opportunities to develop the technology by applying it to the field.

특히 지진피해는 넓은 지역에 대규모로 발생하며 산사태·액상화 등이 복합적으로 나타나고 교통시설 및 행정력의 마비 등 사회경제적 영향력이 광범위하게 확산되며 여진 등이 장기간 발생하므로 풍수해와는 다르게 피해 복구에 소요되는 기간이 장기화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지진피해로 인한 지역인구 감소, 관광업·상업 등의 경제활동 축소 등이 연쇄적으로 발생하면 결국 피해지역이 쇠퇴하거나 낙후되는 악순환을 걷게 된다.In particular, earthquake damage occurs on a large scale over a wide area, causes complex landslides and liquefaction, has wide-spread socio-economic impacts such as paralysis of transportation facilities and administrative power, and aftershocks occur for a long period of time, so unlike wind and flood damage, it takes a long time to recover from damage. This tends to be prolonged. In addition, if earthquake damage causes a decrease in local population and a decrease in economic activities such as tourism and commerce, a vicious cycle will eventually occur in which the affected area declines or becomes underdeveloped.

도시 인근에서 발생한 지진이 적고, 발생하였던 지진도 대부분 규모 5.0 이하에 그쳤기 때문에 지진피해 규모와 범위가 대부분 한정적이었던 우리나라 지진 발생 상황은 도심지 인근에서 발생한 2016년 9.12지진과 2017년 포항지진을 계기로 많은 부분이 바뀌게 되었다. 이 지진들은 결과적으로 우리나라의 지진 대응 역량을 직접적으로 시험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으며 지진피해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존에 마련된 법과 제도에 대한 개정 혹은 제정하게 만들었다. 특히 포항지진의 경우 지진피해가 심했던 포항시 북구 흥해읍을 복구하기 위한 법·제도적 보완을 추진하였다.There were few earthquakes that occurred near cities, and most of those that did occur were of magnitude 5.0 or less, so the scale and scope of earthquake damage was mostly limited. The situation with earthquakes in Korea, which occurred near downtown, was the 9.12 earthquake in 2016 and the Pohang earthquake in 2017. Many things have changed. As a result, these earthquakes served as an opportunity to directly test our country's earthquake response capabilities and led to the revision or enactment of existing laws and systems to prevent the spread of earthquake damag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Pohang earthquake, legal and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was promoted to restore Heunghae-eup, Buk-gu, Pohang City, which suffered severe earthquake damage.

2017년 11월 15일 포항지진 발생으로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연기되었고 대규모 주거시설 피해 및 이재민 발생으로 인하여 5일 후인 20일에 특별재난지역이 선포되었다. 주택의 지진피해 정도를 주민들에게 알려주는 지진피해 시설물 긴급 위험도 평가가 동년 12월 15일 완료되었지만, 이후 12월 25일 규모 3.5 여진, 2018년 2월 11일 규모 4.6 여진이 발생하여 주택시설의 지진피해 판정 및 정밀 안전 점검이 연장되고 복구계획은 3차 변경되어 진행되었으며, 장기간 이어지는 이재민 생활과 주택 수리, 재난지원금 지급, 임대주택 등 주거 안정화를 위한 업무 장기화로 2018년 3월 2일 포항시에서는 지진피해 수습단이 정식으로 발족 되었다. Due to the Pohang earthquake on November 15, 2017,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was postponed, and a special disaster area was declared five days later on the 20th due to large-scale damage to residential facilities and casualties. The emergency risk assessment of earthquake-damaged facilities, which informs residents of the extent of earthquake damage to their homes, was completed on December 15 of the same year. However, a magnitude 3.5 aftershock occurred on December 25 and a magnitude 4.6 aftershock occurred on February 11, 2018, damaging residential facilities. The damage assessment and detailed safety inspection were extended, the recovery plan was revised for the third time, and due to the prolonged work to stabilize the lives of the victims, repair housing, pay disaster relief funds, and stabilize housing such as rental housing, Pohang City suffered an earthquake on March 2, 2018. A damage control team was officially launched.

앞서 언급했듯이 지진피해로 인하여 장기적으로 흥해지역이 낙후될 위험에 직면하자 국토교통부는 2018년 4월 17일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개정을 통해 도시재생사업 부분에서 재난지역 주민들의 주거지와 일터를 재건하고, 복합적 토지이용, 지역 특화산업 육성, 관광ㆍ문화 등 도시 명소화 사업을 시행토록 하였다. 이와 더불어 지역경제 활성화와 도시 활력 제고를 추진할 수 있는 '특별재생지역' 제도를 신설하였다. 그러던 중 2019년 3월 20일 포항지진과 지열발전 연관성에 대한 정부 조사연구단에서 포항지진이 촉발 지진으로 발표되고 이로 인한 피해 지원을 위해 '포항지진의 진상조사 및 피해 구제 등을 위한 특별법'이 2019년 12월 31일 제정되었다. 이후 포항지진 발생 약 4년 만인 2021년 10월 19일 221개의 텐트에 1,180여명의 이재민이 머물렀던 흥해읍 실내체육관에서 이재민이 모두 퇴소하고 임시구호소가 철거되었다.As mentioned earlier, as the Heunghae area faced the risk of being underdeveloped in the long term due to earthquake damage,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revised the 'Special Act on Revitalization and Support of Urban Regeneration' on April 17, 2018 to provide housing for residents in disaster areas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e city was rebuilt and workplaces were rebuilt, and projects were implemented to make the city an attractive city, including complex land use, fostering local specialized industries, and tourism and culture. In addition, a new 'special regeneration area' system was established to promote local economy revitalization and urban vitality. Meanwhile, on March 20, 2019, the government research grou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hang earthquake and geothermal power generation announced that the Pohang earthquake was a triggering earthquake, and the 'Special Act for Fact-Finding and Damage Relief of the Pohang Earthquake' was enacted in 2019 to support the damage caused. It was enacted on December 31, 2018. Afterwards, on October 19, 2021, about four years after the Pohang earthquake, all victims were discharged from the Heunghae-eup Indoor Gymnasium, where 1,180 victims stayed in 221 tents, and the temporary relief center was dismantled.

9.12지진과 포항지진은 우리나라가 지진안전지역이라는 고정관념을 깨는 계기가 되었고 지진발생 직후의 신속 대응과 단기, 장기적 복구에 관련된 다양한 법·제도와 기술들이 현장에 시험되었으며, 많은 문제점과 함께 개선사항이 드러나게 되었다. 그 중에서 부처, 지방자치단체, 전문가 등 개별로 수행되던 연구성과나 자료 등이 분산되어 있는 점도 문제로 부각되었다. 그리고 현재 흩어져 있는 지진방재 자료에 대한 현황 파악과 수집을 통하여 예산 중복과 편중을 예방하고 양질의 자료 구축 및 수요자 맞춤형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는 인식 또한 공유되었다.The 9.12 earthquake and the Pohang earthquake served as an opportunity to break the stereotype that Korea is an earthquake-safe area, and various laws, systems, and technologies related to rapid response immediately after an earthquake and short-term and long-term recovery were tested in the field, and many problems and improvements were made. This has been revealed. Among them, the fact that research results and data that had been conducted individually by ministries, local governments, and experts were dispersed was also highlighted as a problem. In addition, the recognition that it is necessary to prevent budget duplication and bias by identifying and collecting the status of currently scattered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data, constructing high-quality data, and developing customized content for consumers was also shared.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86758호(등록일: 2020.11.30)에는 지능형 지진 방재 시스템의 제어 및 보안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186758 (registration date: 2020.11.30) describes a control and security method for an intelligent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system.

전술한 요구 사항에 부응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명·주택·시설물 등에 관한 피해현황과 관련 시청의 업무자료를 수집하여 지진발생에 따른 업무 흐름을 파악하고, 대국민, 실무자, 전문가로 구분된 지진방재 수요자에게 필요한 자료 및 정보를 지진재난 발생 단계에 따라 분류하고, 현장에서 계측한 지질지반 자료를 이용하여 지진 발생 전후 외부기관이나 국민들이 요구하는 정보에 따라 분석하여, 수요자들에게 요구되는 지진 방재 콘텐츠를 생성 및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진 방재 콘텐츠 분류를 통한 지진 방재 콘텐츠 제공 방법과 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eet the above-mentioned requirements is to collect the status of damage to people, houses, facilities, etc. and related business data of city hall to understand the work flow following the occurrence of an earthquake, and to collect information on the status of damage to people, houses, facilities, etc., and identify the work flow following the occurrence of an earthquake. The data and information required for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user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tage of earthquake disaster occurrence, and geological ground data measured on-site is used to analyze according to information requested by external organizations or the public before and after the earthquake, and provide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data required by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users. The goal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through classification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that allows the creation and sharing of disaster prevention content.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진 방재 콘텐츠 분류를 통한 지진 방재 콘텐츠 제공 방법은, 분류대상 도출부, 콘텐츠 수집부, 계측기, 분석부 및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지진 방재 콘텐츠 분류를 통한 지진 방재 콘텐츠 제공 방법으로서, (a) 상기 분류대상 도출부가 지진 방재에 대한 주체별 및 시간대별 요구 콘텐츠를 분류하는 단계; (b) 상기 분류대상 도출부가 상기 분류에 따라 분류별 지진 방재 콘텐츠의 수집 대상을 도출하는 단계; (c) 상기 콘텐츠 수집부가 상기 분류별 지진 방재 콘텐츠의 수집 대상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d) 상기 분석부가 상기 수집된 콘텐츠 정보에 근거해 현장 계측 자료를 분석하는 단계; 및 (e) 상기 콘텐츠 제공부가 상기 분석된 결과에 따른 요구 콘텐츠를 지진방재 콘텐츠 공유 포털을 통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providing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through classification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is an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of a system including a classification object derivation unit, a content collection unit, a measuring instrument, an analysis unit, and a content provision unit. A method of providing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through content classification, comprising: (a) the classification target deriving unit classifies required content for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by subject and time period; (b) the classification target deriving unit deriving a collection target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for each category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c) the content collection unit collecting content information about the collection target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for each category; (d) the analysis unit analyzing field measurement data based on the collected content information; and (e) the content provider providing requested conten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rough an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sharing portal.

상기 요구 콘텐츠를 분류하는 단계는, 지진에 대하여 발생 전, 발생 후 및 정기로 항목을 구분하고, 각 항목 내에서 대국민, 실무자, 전문가 별로 실시된 설문조사, 인터뷰, SNS 게시물을 구분하여 분류할 수 있다.In the step of classifying the requested content, items can be divided into before, after, and regular earthquakes, and within each item, surveys, interviews, and SNS posts conducted by the public, practitioners, and experts can be classified. there is.

상기 대국민에 대한 요구 콘텐츠는, 지진발생정보, 지진행동요령, 지진피해상황, 재난피해자 지원 관련 정보, 신뢰할 수 있는 지진방재정보 출처, 대피경로 및 교통상황, 대피소 관련 정보, 건축물 피해 복구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진의 발생 전 정보는 ‘고층건물 지진행동 요령', '국내거주 외국인 대상 대피요령', '실외 지진행동요령', '운전 중 지진행동요령', '대중교통 이용 중 지진행동 요령'을 포함하고, 상기 지진의 발생 직후 단기 정보는 상기 지진으로 인해 대피소로 피난한 국민들이 안전하게 본인의 주거시설로 복귀한 후의 행동수칙을 담은 '가정 복귀 후 행동요령'을 포함하고, 상기 지진의 발생 후 장기 정보는 거주시설이 반파 혹은 완파되어 주거시설로 복귀가 불가능한 국민들을 위한 '거주시설 연계지원'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requested from the public includes earthquake occurrence information, earthquake behavior tips, earthquake damage status, information on disaster victim support, reliable sources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information, evacuation routes and traffic conditions, information on shelters, and information on building damage recovery. Information prior to the occurrence of the above earthquake includes 'Earthquake behavior tips for high-rise buildings', 'Evacuation tips for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Outdoor earthquake behavior tips', 'Earthquake behavior while driving', and 'Earthquake behavior tips while using public transportation.' ', and short-term information immediately after the occurrence of the earthquake includes 'Guidelines for conduct after returning home', which contains the rules of conduct for citizens who evacuated to evacuation centers due to the earthquake and safely return to their residential facilities, and Long-term information after the outbreak may include 'residential facility linkage support' for people who are unable to return to their residential facilities because their residential facilities are half or completely destroyed.

상기 실무자에 대한 요구 콘텐츠는, 지방자치단체 실무자에 대하여 '지진업무 추진에 대한 세부적인 매뉴얼 작성 및 개선', 중앙정부에 대하여 '예산, 인력을 포함해 자체적 해결이 어려운 사안들에 대한 적극 지원과 협력', 피해자 및 이재민에 대하여 '구호시설 이용에 대한 이해 및 이재민 간 양보와 배려', 지진전문가 및 연구자에 대하여 '지진발생 후 향후 발생 가능한 지진에 대한 연구 분석'을 포함하고, 시설관리자의 경우, 지방자치단체 실무자에 대하여 '지진업무와 관련된 자료와 반복적인 교육', 중앙정부에 대하여 '신속한 지진대응 및 복구를 위한 지원', 피해자 및 이재민에 대하여 '실내구호소 내 질서 유지와 이재민 간 양보 및 배려', 지진전문가 및 연구자에 대하여 '내진설계 및 보강 관련 연구개발'을 포함하고, 상기 지진의 발생 전 지진방재계획과 관련된 '긴급소방도로 마련'을 포함하고, 상기 지진의 발생 직후는 '긴급위험도 평가 실시' 및 '타지역의 의료지원 가능 정보 제공'을 포함하고, 상기 지진의 발생 이후 장기적으로 '산업 시설물의 피해' 및 '거주시설 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s requested for the above working-level workers are: 'Preparation and improvement of detailed manuals for earthquake work promotion' for local government workers, 'Active support and improvement of issues that are difficult to resolve on their own, including budget and manpower', for the central government. Cooperation', for victims and disaster victims, 'understanding of the use of relief facilities and concessions and consideration among victims', and for earthquake experts and researchers, 'research and analysis of earthquakes that may occur in the future after an earthquake occurs', and for facility managers, , for local government workers, 'materials and repetitive training related to earthquake work', for the central government, 'support for rapid earthquake response and recovery', and for victims and disaster victims, 'maintenance of order in indoor relief centers and concessions between victims.' and consideration', for earthquake experts and researchers, includes 'research and development related to seismic design and reinforcement', includes 'preparation of emergency fire roads' related to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plans before the occurrence of the above earthquake, and 'preparation of emergency fire roads' immediately after the occurrence of the above earthquake. It includes 'conducting an emergency risk assessment'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availability of medical support in other areas', and may include 'damage to industrial facilities' and 'securing residential facilities' in the long term after the occurrence of the above earthquake.

상기 전문가에 대한 요구 콘텐츠는, 상기 지진의 발생 이전에, 상기 지진을 유발시키는 단층에 대한 '단층별 지진 발생 주기 정보', '단층별 최대발생가능 지진 규모', '단층 활동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진연구 기초정보; '지진유발 산사태', '급경사지 위험지도 현행화', '한반도 3차원 지하 단층', '속도구조 통합모델 개발'을 포함하는 지질지반조사자료; '국내 대표 지진 규모', '규모 보정계수 산정', '국내 기록에 기초한 감쇠식의 개발' 및 '구조재의 내진보강 기술개발'을 포함하는 지진연구 및 실험시설과 관련된 정보; 및 '조기경보 기술 개발의 연구', '지진피해 시나리오를 통한 선제적 대응체계 구축' 및 '시설물 안전성 평가를 위한 피해도 분석'을 포함하는 지진감시 역량 확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진의 발생 직후에는 '지진파 스펙트럼 분석'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required for the experts includes, before the occurrence of the earthquake, 'information on the earthquake occurrence cycle for each fault', 'maximum possible earthquake magnitude for each fault', and 'information on the fault activity rate' for the fault that causes the earthquake. Basic information on earthquake research, including; Geological ground investigation data including ‘earthquake-induced landslides’, ‘currentization of steep slope hazard maps’, ‘3D underground faults on the Korean Peninsula’, and ‘development of integrated velocity structure model’; Information related to earthquake research and testing facilities, including 'domestic representative earthquake magnitude', 'magnitude correction coefficient calculation', 'development of attenuation equation based on domestic records', and 'development of seismic reinforcement technology for structural materials'; and information on securing earthquake monitoring capabilities, including 'research on early warning technology development', 'establishment of a preemptive response system through earthquake damage scenarios', and 'damage analysis for facility safety assessment', immediately after the occurrence of the above earthquake. may include 'seismic spectrum analysis'.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지진 방재 콘텐츠 분류를 통한 지진 방재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지진 방재에 대한 주체별 및 시간대별 요구 콘텐츠를 분류하고, 상기 분류에 따라 분류별 지진 방재 콘텐츠의 수집 대상을 도출하는 분류대상 도출부; 상기 분류별 지진 방재 콘텐츠의 수집 대상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수집하는 콘텐츠 수집부; 상기 수집된 콘텐츠 정보에 근거해 지진 가능 현장 또는 지진 발생 현장에서 지반 증폭 특성 및 지질을 계측하는 계측기; 상기 수집된 콘텐츠 정보에 근거해 상기 계측된 현장 계측 자료를 분석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된 결과에 따른 요구 콘텐츠를 지진방재 콘텐츠 공유 포털을 통하여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n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providing system through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classifica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receives data from the user and classifies required content for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by subject and time period, a classification object derivation unit that derives a collection object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for each category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a content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content information on objects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for each category; An instrument that measures ground amplification characteristics and geology at a possible earthquake site or an earthquake occurrence site based on the collected content information; an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measured field measurement data based on the collected content information; and a content provider that provides requested conten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rough an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sharing portal.

상기 계측기는 진동 감지 센서, 기록계 및 속도계 장비를 이용한 상시 미동을 계측하여 상시 미동 계측 자료를 획득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획득된 상시 미동 계측 자료와 지반 조사 보고서를 비교하여, 불특정 진동원에 의한 상시 미동으로 지반특성을 구하는 HVSR(Horizontal to Vertical Spectral Ratio) 분석을 실행하고, 상기 상시 미동의 계측파형은 5% 코사인 테이퍼링이 사용되고, 상기 분석에 사용된 주파수 범위는 0.1 내지 50 Hz Butterworth filter가 적용되고, 상기 HVSR의 결과 그래프는 Konno-Ohmachi window를 이용한 smoothing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The measuring device acquires continuous fine motion measurement data by measuring constant fine motion using a vibration detection sensor, recorder, and speedometer equipment, and the analysis unit compares the obtained constant fine motion measurement data with the ground investigation report to determine constant fine motion caused by an unspecified vibration source. An HVSR (Horizontal to Vertical Spectral Ratio) analysis is performed to obtain ground properties through fine motion, and the measurement waveform of the constant fine motion is 5% cosine tapering, and the frequency range used in the analysis is 0.1 to 50 Hz Butterworth filter is applied. , a smoothing algorithm using a Konno-Ohmachi window can be applied to the resulting graph of the HVSR.

상기 상시 미동 계측 자료는 지진계를 이용하여 지진동의 움직임을 시간에 따라 기록하는 연속적인 자료이고, 이러한 연속성을 가진 자료의 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자료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분할하여 증가시켜 지진계 주변 잡음이 배제된 자료이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상시 미동 계측 자료를 30초의 시간창(Time window)으로 나누어 계산하고, 각 시간창과 시간창 사이는 6초를 겹쳐서 상기 HVSR 분석을 실행하여, 상기 HVSR 분석의 실행 결과로 계측지점에 대한 지반의 우세주파수를 획득하고, 상기 우세주파수는 지반의 상부층 내에서 진동에 대한 중복반사 현상이 발생되어, 지표면을 크게 진동시키는 공진 현상이 발생할 때의 특정 주파수일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regular motion measurement data is continuous data that records the movement of ground motion over time using a seismometer. In order to increase the number of data with such continuity, the data is divided and increased at regular time intervals to exclude noise around the seismometer. This is the data, and the analysis unit calculates the constant motion measurement data by dividing it into time windows of 30 seconds, and executes the HVSR analysis by overlapping 6 seconds between each time window, and obtains the execution result of the HVSR analysis. The dominant frequency of the ground for the measurement point is obtained, and the dominant frequency may be a specific frequency when a resonance phenomenon that causes the ground surface to vibrate significantly occurs due to a redundant reflection of vibration within the upper layer of the ground.

상기 분석부는 상기 지반 조사 보고서에 포함된 기반암의 근입 깊이(토층두께)와 토층 상부 30m 전단파속도(Vs30)를 비교하고, 상기 기반암의 근입 깊이(토층두께)에 대해 전단파속도(Vs)를 4배의 우세주파수(4f)로 나누어 산출할 수 있다.The analysis unit compares the penetration depth (soil layer thickness) of the bedrock included in the ground investigation report with the shear wave speed (V s30 ) at the top 30 m of the soil layer, and sets the shear wave speed (Vs) to 4 for the penetration depth (soil layer thickness) of the bedrock. It can be calculated by dividing by the ship's dominant frequency (4f).

상기 분석부는, 상기 HVSR 분석의 실행 결과에 대해 HVSR 비율이 일정 기준 3.0 이하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토층 상부 30m 전단파속도(Vs30)를 변환한 결과는 100m/s 내외로 차이가 발생되고, 상기 HVSR 비율이 3.0 이상의 값을 갖는 곳은 토층이 깊은 연약지반으로 분석하며, 3.0 이하의 값을 도출한 지역은 상기 우세주파수가 낮더라도 단단한 지반으로 분석할 수 있다.The analysis unit determines whether the HVSR ratio is less than or equal to a certain standard of 3.0 based on the execution result of the HVSR analysis, and the result of converting the shear wave velocity (V s30 ) at the top of the soil layer at 30 m shows a difference of about 100 m/s, and the Areas where the HVSR ratio is higher than 3.0 are analyzed as soft ground with deep soil layers, and areas where the HVSR ratio is lower than 3.0 can be analyzed as hard ground even if the dominant frequency is low.

본 발명에 의하면, 대국민, 실무자 및 전문가의 요구 콘텐츠를 확인하기 위한 설문조사, 전문가 인터뷰 및 SNS 동향 분석 등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duct surveys, expert interviews, and SNS trend analysis to confirm the content requested by the public, practitioners, and experts.

또한, 해당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진방재 콘텐츠 분류 체계도를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classification system can be continuously improv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또한, 기수행된 연구 결과를 통해 최종 작성된 각 집단의 분류체계 요구 콘텐츠 세부 항목 개수를 계속적으로 추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umber of detailed content items required for the final classification system for each group can be continuously added through the results of previously conducted research.

또한, 지진방재 관련 콘텐츠 수집 외에 지진방재 연구에 중요한 국내 지반정보를 직접 계측하고 수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역별 지반특성정보(주상도, N치, 탄성파 속도 등)를 수집할 수 있으며, 속도계를 이용한 상시미동 현장계측을 통한 지반 특성 분석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ddition to collecting content related to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it is possible to directly measure and collect domestic geotechnical information important for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research. For this purpose, regional ground property information (column diagram, N value, seismic wave velocity, etc.) can be collected, and ground property analysis can also be performed through continuous field measurement using a speedometer.

또한, 수요자 맞춤형 지진방재 콘텐츠 수집을 위해 관련 자료를 보유한 것으로 판단되는 22개의 국가 및 연구기관을 선정하고, 해당 기관들이 보유한 다양한 주제의 자료 중 지진방재 관련 콘텐츠만의 수집을 위해 지진, 지진해일, 지진방재 등의 핵심 단어를 사용하고, 해당 핵심 단어를 통해 초기 수집된 자료에 대해 수요자 요구에 부합되지 않는 콘텐츠와 중복자료를 제외한 최종 수집 콘텐츠를 문서 콘텐츠와 이미지 콘텐츠, 영상 콘텐츠 등으로 분류하여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collect customized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22 countries and research institutes that are judged to have relevant data were selected, and among the various topics held by the relevant organizations, only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related content was collected. Key words such as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are used, and the final collected content, excluding content that does not meet the needs of consumers and duplicate data, is provided by classifying the data initially collected through these key words into document content, image content, video content, etc. can do.

그리고, 수집된 지진방재 콘텐츠가 수요자의 요구를 충실히 반영하였는지 확인하기 위해 각 집단별 요구 콘텐츠 세부항목과 수집된 지진방재 콘텐츠를 비교하고, 각 집단의 수집된 콘텐츠를 대국민 콘텐츠, 실무자 콘텐츠, 전문가 콘텐츠로 분류하여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collected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faithfully reflects the needs of consumers, we compare the detailed items of content requested by each group with the collected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and divide the collected content of each group into public content, practitioner content, and expert content. It can be classified and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 방재 콘텐츠 분류를 통한 지진 방재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 방재 콘텐츠 분류를 통한 지진 방재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시간대별 필요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국민 대상 지진방재 콘텐츠 분류 체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무자 대상 지진방재 콘텐츠 분류 체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무자 대상 지진방재 콘텐츠 분류 체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시미동 계측 대상지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시미동 계측을 위한 계측 장비 및 계측 전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시미동 계측에서 연속계측자료의 시간창 분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시미동 계측자료를 이용한 지반의 우세주파수 도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방재 포털 메인화면 및 주제 분류별 화면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국민의 요구 콘텐츠에 대한 수집 현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무자의 요구 콘텐츠에 대한 수집 현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문가의 요구 콘텐츠에 대한 수집 현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국민, 실무자 및 전문가의 요구 콘텐츠 분류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국민, 실무자 및 전문가의 요구 콘텐츠 수집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요자별, 지진발생 시기별 요구 콘텐츠 수집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류블록 생성부에서 생성된 주체별 분류 블록들과 시간대별 블록들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분류 블록이 매칭 체인을 통해 콘텐츠 블록과 연결 매칭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 분류 블록이 연결 체인을 통해 서로 연결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through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class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through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class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necessary information for each time zone stored in a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a to 4c are diagrams showing a classification system for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for the publ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A to 5C are diagrams showing an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classification system for practition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a to 6c are diagrams showing an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classification system for practition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 point subject to continuous fine movement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measuring equipment and the overall view of the measurement for continuous fine motion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time window division of continuous measurement data in constant motion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deriving the dominant frequency of the ground using constant motion measurement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diagram showing examples of the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portal main screen and screens for each subject categ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2A to 12C are diagrams showing the collection status of content requested by the publ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3A to 13C are diagrams showing the collection status of content requested by practition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4A to 14C are diagrams showing the collection status of content requested by exper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diagram showing a classification of content requested by the public, practitioners, and exper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diagram showing the collection rate of content requested by the public, practitioners, and exper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diagram showing the requested content collection rate by consumer and earthquake occurrence peri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ent provi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 is a diagram showing examples of classification blocks by subject and blocks by time zone generated by the classification block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0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first classification block is connected and matched with a content block through a matching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wo classification bloc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ion chai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that are not 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cases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 Additionally,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되지 않는다.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part, it may be directly on top of the other part or it may be accompanied by another part in between. In contrast, when a part is said to be "directly above" another part, it does not entail any other parts in between.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들은 다양한 부분, 성분, 영역, 층 및/또는 섹션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어느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서술하는 제1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언급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and third are used to describe, but are not limited to, various parts, components, regions, layers, and/or sections.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part,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from another part,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Accordingly, the first part,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described below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part,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only intended to refer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singular forms include plural forms unless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contrary.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the meaning of "comprising" refers to specifying a particular characteristic, area,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or ingredient, and the presence or presence of another characteristic, area,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or ingredient. This does not exclude addition.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 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 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 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Terms indicating relative space, such as “below” and “above,” can be used to more easily describe the relationship of one part shown in the drawing to another part. These terms are intended to include other meanings or operations of the device in use along with the meaning intended in the drawings. For example, if the device in the drawing is turned over, some parts described as being “below” other parts will be described as being “above” other parts. Accordingly, the exemplary term “down” includes both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The device can be rotated 90° or at other angles, and terms indicating relative space are interpreted accordingly.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lthough not defined differently,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thos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further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related technical literature and currently disclosed content, and are not interpreted in ideal or very formal meanings unless defin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 방재 콘텐츠 분류를 통한 지진 방재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Figure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through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class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 방재 콘텐츠 분류를 통한 지진 방재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분류대상 도출부(110), 콘텐츠 수집부(120), 계측기(130), 분석부(140), 콘텐츠 제공부(150) 및 데이터베이스(16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through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class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assification object derivation unit 110, a content collection unit 120, a measuring instrument 130, and an analysis unit. It may include a unit 140, a content providing unit 150, and a database 160.

분류대상 도출부(110)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지진 방재에 대한 주체별 및 시간대별 요구 콘텐츠를 분류하고, 이 분류에 따라 분류별 지진 방재 콘텐츠의 수집 대상을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주체별 분류는 대국민, 실무자, 전문가 별로 분류하고, 시간대별 분류는 발생 전, 발생 후 및 정기로 분류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The classification object derivation unit 110 may receive data from the user, classify content required for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by subject and time period, and derive collection targets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by category according to this classification. Here, for example, the classification by subject is classified by the public, practitioners, and experts, and the classification by time period is classified into before occurrence, after occurrence, and regular.

콘텐츠 수집부(120)는 분류별 지진 방재 콘텐츠의 수집 대상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The content collection unit 120 may collect content information about the collection target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by category.

계측기(130)는 수집된 콘텐츠 정보에 근거해 지진 가능 현장 또는 지진 발생 현장에서 지반 증폭 특성 및 지질을 계측할 수 있다.The instrument 130 can measure ground amplification characteristics and geology at a possible earthquake site or an earthquake occurrence site based on the collected content information.

분석부(140)는 수집된 콘텐츠 정보에 근거해 상기 계측된 현장 계측 자료를 분석할 수 있다.The analysis unit 140 may analyze the measured field measurement data based on the collected content information.

콘텐츠 제공부(150)는 분석된 결과에 따른 요구 콘텐츠를 지진방재 콘텐츠 공유 포털을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The content provider 150 may provide requested conten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rough an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sharing portal.

데이터베이스(160)는 대국민, 실무자, 전문가 별로 분류한 주체별 정보, 발생 전, 발생 후 및 정기로 분류한 시간대별 정보를 저장하거나, 수집 대상에 대한 콘텐츠 정보, 수집 대상에 따라 수집된 콘텐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database 160 stores information by subject classified by the public, practitioners, and experts, and information by time period classified as before, after, and regularly, or stores content information about the collection target and content information collected according to the collection target. You can save it.

또한, 데이터베이스(160)는 지진 발생 현장에서 계측기(130)에 의해 계측된 상시 미동 계측 자료를 저장하거나, 다른 장치나 시스템 등으로부터 수집한 지반 조사 보고서를 저장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database 160 may store constant motion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instrument 130 at an earthquake occurrence site, or store ground investigation reports collected from other devices or systems.

계측기(130)는 지진 방재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과 별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지진 발생 현장에서 이동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지며, 계측된 상시 미동 계측 자료를 무선 통신으로 지진방재 콘텐츠 제공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The measuring device 130 can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device from the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provision system 100, has a form that can be moved at the site of an earthquake, and provides an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provision system ( 100).

계측기(130)는 진동 감지 센서, 기록계 및 속도계 장비를 이용한 상시 미동을 계측하여 상시 미동 계측 자료를 획득할 수 있다.The measuring instrument 130 can obtain constant fine motion measurement data by measuring fine motion at all times using a vibration detection sensor, recorder, and speedometer equipment.

분석부(140)는 획득된 상시 미동 계측 자료와 지반 조사 보고서를 비교하여, 불특정 진동원에 의한 상시 미동으로 지반특성을 구하는 HVSR(Horizontal to Vertical Spectral Ratio) 분석을 실행할 수 있다. The analysis unit 140 may compare the acquired continuous motion measurement data with the ground investigation report and perform HVSR (Horizontal to Vertical Spectral Ratio) analysis to obtain ground characteristics due to constant fine motion caused by an unspecified vibration source.

상시 미동의 계측파형은 5% 코사인 테이퍼링이 사용되고, 분석에 사용된 주파수 범위는 0.1 내지 50 Hz Butterworth filter가 적용되고, HVSR의 결과 그래프는 Konno-Ohmachi window를 이용한 smoothing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5% cosine tapering is used for the always-fine measurement waveform, a 0.1 to 50 Hz Butterworth filter is applied to the frequency range used for analysis, and a smoothing algorithm using a Konno-Ohmachi window can be applied to the resulting graph of HVSR.

상시 미동 계측 자료는 지진계를 이용하여 지진동의 움직임을 시간에 따라 기록하는 연속적인 자료이고, 이러한 연속성을 가진 자료의 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자료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분할하여 증가시켜 지진계 주변 잡음이 배제된 자료일 수 있다.Regular motion measurement data is continuous data that records the movement of ground motion over time using a seismometer. In order to increase the number of data with this continuity, the data is divided into regular time intervals and increased to exclude noise around the seismometer. It could be data.

분석부(140)는 상시 미동 계측 자료를 30초의 시간창(Time window)으로 나누어 계산하고, 각 시간창과 시간창 사이는 6초를 겹쳐서 HVSR 분석을 실행하여, HVSR 분석의 실행 결과로 계측지점에 대한 지반의 우세주파수를 획득할 수 있다.The analysis unit 140 calculates the constant-motion measurement data by dividing it into time windows of 30 seconds, executes HVSR analysis with 6 seconds overlapping between each time window, and calculates the data at the measurement point as a result of the HVSR analysis. The dominant frequency of the ground can be obtained.

여기서, 우세주파수는 지반의 상부층 내에서 진동에 대한 중복반사 현상이 발생되어, 지표면을 크게 진동시키는 공진 현상이 발생할 때의 특정 주파수일 수 있다.Here, the dominant frequency may be a specific frequency when an overlapping reflection phenomenon for vibration occurs within the upper layer of the ground and a resonance phenomenon that causes the ground surface to vibrate significantly occurs.

분석부(140)는, 지반 조사 보고서에 포함된 기반암의 근입 깊이(토층두께)와 토층 상부 30m 전단파속도(Vs30)를 비교하고, 기반암의 근입 깊이(토층두께)에 대해 전단파속도(Vs)를 4배의 우세주파수(4f)로 나누어 산출할 수 있다.The analysis unit 140 compares the penetration depth of the bedrock (soil layer thickness) included in the ground investigation report with the shear wave speed (V s30 ) at the top 30 m of the soil layer, and calculates the shear wave speed (Vs) for the penetration depth (soil layer thickness) of the bedrock. It can be calculated by dividing by 4 times the dominant frequency (4f).

분석부(140)는, HVSR 분석의 실행 결과에 대해 HVSR 비율이 일정 기준 3.0 이하인지를 판단하고, 토층 상부 30m 전단파속도(Vs30)를 변환한 결과는 100m/s 내외로 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The analysis unit 140 determines whether the HVSR ratio is less than or equal to a certain standard of 3.0 based on the results of the HVSR analysis, and the result of converting the shear wave velocity (V s30 ) at the top of the soil layer 30 m may differ by about 100 m/s. there is.

분석부(140)는, HVSR 비율이 3.0 이상의 값을 갖는 곳을 토층이 깊은 연약지반으로 분석하며, 3.0 이하의 값을 도출한 지역을 우세주파수가 낮더라도 단단한 지반으로 분석할 수 있다.The analysis unit 140 analyzes areas where the HVSR ratio has a value of 3.0 or more as soft ground with a deep soil layer, and analyzes areas where the HVSR ratio has a value of 3.0 or less as hard ground even if the dominant frequency is low.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 방재 콘텐츠 분류를 통한 지진 방재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through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class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 방재 콘텐츠 분류를 통한 지진 방재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에서, 분류대상 도출부(110)는 지진 방재에 대한 주체별 및 시간대별 요구 콘텐츠를 분류할 수 있다(S210).Referring to FIG. 2, in the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through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class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assification object derivation unit 110 classifies required content for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by subject and time period. You can do it (S210).

이어, 분류대상 도출부(110)는 전술한 분류에 따라, 분류별 지진 방재 콘텐츠의 수집 대상을 도출할 수 있다(S220).Next, the classification object derivation unit 110 may derive the collection object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for each category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classification (S220).

이어, 콘텐츠 수집부(120)는 분류별 지진 방재 콘텐츠의 수집 대상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230).Next, the content collection unit 120 may collect content information about the collection target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by category (S230).

여기서, 지진 방재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지진 발생 가능 현장이나 지진 발생 현장에서 계측기(130)를 통하여 지반 증폭 특성 및 지질을 계측할 수 있다.Here, the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can measure ground amplification characteristics and geology through the instrument 130 at a site where an earthquake is likely to occur or where an earthquake has occurred.

이어, 분석부(130)는 수집된 콘텐츠 정보에 근거해 현장 계측 자료를 분석할 수 있다(S240).Next, the analysis unit 130 can analyze field measurement data based on the collected content information (S240).

여기서, 지진 방재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계측기(130)로부터 계측된 상시 미동 계측 자료를 수신할 수 있으며, 분석부(130)는 수신된 상시 미동 계측 자료와 지반 조사 보고서를 비교하여, 불특정 진동원에 의한 상시 미동으로 지반특성을 구하는 HVSR 분석을 실행할 수 있다.Here, the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can receive constant fine motion measurement data measured from the measuring instrument 130, and the analysis unit 130 compares the received constant motion measurement data with the ground investigation report to determine the level of unspecified vibra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HVSR analysis to determine ground properties through constant fine movement by the circle.

이어, 콘텐츠 제공부(150)는 분석된 결과에 따른 요구 콘텐츠를 지진방재 콘텐츠 공유 포털을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S250).Next, the content provider 150 may provide requested conten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rough the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sharing portal (S250).

요구 콘텐츠를 분류하는 단계(S210)는, 지진에 대하여 발생 전, 발생 후 및 정기로 항목을 구분하고, 각 항목 내에서 대국민, 실무자, 전문가 별로 실시된 설문조사, 인터뷰, SNS 게시물을 구분하여 분류할 수 있다.In the step of classifying the required content (S210), the items are classified into before, after, and regular earthquakes, and within each item, surveys, interviews, and SNS posts conducted by the public, practitioners, and experts are classified. can do.

대국민에 대한 요구 콘텐츠는, 지진발생정보, 지진행동요령, 지진피해상황, 재난피해자 지원 관련 정보, 신뢰할 수 있는 지진방재정보 출처, 대피경로 및 교통상황, 대피소 관련 정보, 건축물 피해 복구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Contents requested from the public include earthquake occurrence information, earthquake behavior tips, earthquake damage status, information on disaster victim support, reliable sources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information, evacuation routes and traffic conditions, information on shelters, and information on building damage recovery. can do.

지진의 발생 전 정보는 ‘고층건물 지진행동 요령', '국내거주 외국인 대상 대피요령', '실외 지진행동요령', '운전 중 지진행동요령', '대중교통 이용 중 지진행동 요령'을 포함할 수 있다.Information before an earthquake occurs includes ‘Earthquake behavior tips for high-rise buildings’, ‘Evacuation tips for foreigners living in Korea’, ‘Outdoor earthquake behavior tips’, ‘Earthquake behavior tips while driving’, and ‘Earthquake behavior tips while using public transportation’. You can.

지진의 발생 직후 단기 정보는 지진으로 인해 대피소로 피난한 국민들이 안전하게 본인의 주거시설로 복귀한 후의 행동수칙을 담은 '가정 복귀 후 행동요령'을 포함할 수 있다.Short-term information immediately after the occurrence of an earthquake may include 'Guidelines for behavior after returning home', which contains rules of conduct for citizens who evacuated to evacuation centers due to the earthquake after safely returning to their residences.

지진의 발생 후 장기 정보는 거주시설이 반파 혹은 완파되어 주거시설로 복귀가 불가능한 국민들을 위한 '거주시설 연계지원'을 포함할 수 있다.Long-term information after an earthquake may include 'residential facility linkage support' for people who are unable to return to their residential facilities because their residential facilities were half or completely destroyed.

실무자에 대한 요구 콘텐츠는, 지방자치단체 실무자에 대하여 '지진업무 추진에 대한 세부적인 매뉴얼 작성 및 개선', 중앙정부에 대하여 '예산, 인력을 포함해 자체적 해결이 어려운 사안들에 대한 적극 지원과 협력', 피해자 및 이재민에 대하여 '구호시설 이용에 대한 이해 및 이재민 간 양보와 배려', 지진전문가 및 연구자에 대하여 '지진발생 후 향후 발생 가능한 지진에 대한 연구 분석'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quested contents for practitioners are: ‘Creating and improving detailed manuals for earthquake work promotion’ for local government practitioners, and ‘Active support and cooperation for issues that are difficult to resolve on their own, including budget and manpower’ for the central government. ', for victims and disaster victims, 'understanding of the use of relief facilities and concessions and consideration among victims', and for earthquake experts and researchers, 'research and analysis of earthquakes that may occur in the future after an earthquake occurs.'

시설관리자의 경우, 지방자치단체 실무자에 대하여 '지진업무와 관련된 자료와 반복적인 교육', 중앙정부에 대하여 '신속한 지진대응 및 복구를 위한 지원', 피해자 및 이재민에 대하여 '실내구호소 내 질서 유지와 이재민 간 양보 및 배려', 지진전문가 및 연구자에 대하여 '내진설계 및 보강 관련 연구개발'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facility managers, 'earthquake work-related materials and repetitive training' for local government workers, 'support for rapid earthquake response and recovery' for the central government, and 'maintaining order in indoor relief centers' for victims and disaster victims. This may include 'concessions and consideration between the victims and the victims'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related to earthquake-resistant design and reinforcement' for earthquake experts and researchers.

지진의 발생 전 지진방재계획과 관련된 '긴급소방도로 마련'을 포함하고, 지진의 발생 직후는 '긴급위험도 평가 실시' 및 '타지역의 의료지원 가능 정보 제공'을 포함하고, 지진의 발생 이후 장기적으로 '산업 시설물의 피해' 및 '거주시설 확보'를 포함할 수 있다.It includes 'preparation of emergency fire roads' related to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plans before an earthquake occurs, 'conducting an emergency risk assessment'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possible medical support in other areas' immediately after an earthquake occurs, and long-term after an earthquake occurs. This may include ‘damage to industrial facilities’ and ‘securing residential facilities’.

전문가에 대한 요구 콘텐츠는, 지진연구 기초정보, 지질지반 조사자료, 지진연구 및 실험시설과 관련된 정보, 지진감시 역량 확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Contents required for experts may include basic information on earthquake research, geological ground investigation data, information related to earthquake research and experiment facilities, and information on securing earthquake monitoring capabilities.

지진연구 기초정보는 지진의 발생 이전에, 지진을 유발시키는 단층에 대한 '단층별 지진 발생 주기 정보', '단층별 최대발생가능 지진 규모', '단층 활동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Basic information on earthquake research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earthquake occurrence cycle for each fault', 'maximum possible earthquake magnitude for each fault', and 'information on the fault activity rate' about the fault that causes the earthquake before the earthquake occurs. .

지질지반 조사자료는 '지진유발 산사태', '급경사지 위험지도 현행화', '한반도 3차원 지하 단층', '속도구조 통합모델 개발'을 포함할 수 있다.Geological ground investigation data may include ‘earthquake-induced landslides’, ‘current risk map for steep slopes’, ‘3D underground faults on the Korean Peninsula’, and ‘development of integrated velocity structure model’.

지진연구 및 실험시설과 관련된 정보는 '국내 대표 지진 규모', '규모 보정계수 산정', '국내 기록에 기초한 감쇠식의 개발' 및 '구조재의 내진보강 기술개발'을 포함할 수 있다.Information related to earthquake research and testing facilities may include 'domestic representative earthquake magnitude', 'magnitude correction coefficient calculation', 'development of attenuation formula based on domestic records', and 'development of seismic reinforcement technology for structural materials'.

지진감시 역량 확보 정보는 '조기경보 기술 개발의 연구', '지진피해 시나리오를 통한 선제적 대응체계 구축' 및 '시설물 안전성 평가를 위한 피해도 분석'을 포함하는 를 포함할 수 있다.Information on securing earthquake monitoring capabilities may include 'research on early warning technology development', 'establishment of a preemptive response system through earthquake damage scenarios', and 'damage analysis for facility safety assessment'.

전문가에 대한 요구 콘텐츠는, 지진의 발생 직후에는 '지진파 스펙트럼 분석'을 포함할 수 있다. Content required for experts may include ‘seismic wave spectrum analysis’ immediately after an earthquake occurs.

이하에서는 지진방재 콘텐츠 및 지진방재자료에 대하여 설명한다.Below,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and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data are explained.

1. 수요자 맞춤형 지진방재 콘텐츠 분류체계1. Consumer customized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classification system

먼저, 데이터베이스(160)에 저장되어 있는 지진방재자료는 대국민, 실무자, 전문가, SNS 분석 등의 자료를 포함한다.First, the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data stored in the database 160 includes data from the public, practitioners, experts, SNS analysis, etc.

가. 대국민go. public

다음 표 1은 데이터베이스(160)에 저장된 대국민 관련 지진방재 정보의 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Table 1 below shows an example of public-related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160.

표 1은 일본에서 실시한 지진 발생 전과 후로 시점을 나누어 필요 정보 및 콘텐츠를 조사한 사례를 얻은 것이다. 동일한 지진 발생 정보지만 시간 경과에 따라 정보 필요도와 중요도가 다르기 때문에 수요자에 따라, 시점에 따라 정보의 활용성은 크게 다를 수 있다. 구마모토 지진 온라인 조사(2016)와 구마모토 지진 NHK 온라인 수요조사(2017)를 통해 얻어진 지진 발생 전과 후의 필요정보 및 콘텐츠는 표 1과 같다. NHK 조사에서는 지진에 대비해 가정 먼저 준비해야 할 대책으로 지진보험 가입을 선택했으며, 지진 발생 후에는 전기, 수도와 같은 라이프라인 복구정보와 피난장소에서의 안전과 생활용품에 대한 항목이 도출되었다.Table 1 shows a case study of necessary information and content conducted in Japan by dividing the tim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earthquake. Although the earthquake occurrence information is the same, the need for and importance of the information varies over time, so the usability of the information can vary greatly depending on the consumer and time. Table 1 shows the necessary information and content before and after the earthquake, obtained through the Kumamoto Earthquake Online Survey (2016) and the Kumamoto Earthquake NHK Online Demand Survey (2017). In the NHK survey, subscription to earthquake insurance was selected as the first measure for households to prepare for earthquakes, and after an earthquake, information on lifeline restoration such as electricity and water, as well as safety and daily necessities at evacuation sites were identified.

울산과학기술원에서 수행한 '울산형 지진방재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조사연구'에서는 울산시민 500명, 전국 441명(울산, 경남, 경북 제외)을 대상으로 지진에 대비하기 위한 준비사항 7개 항목에 대해 우선순위를 조사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 표 2와 같다. In the 'Survey study to establish an Ulsan-type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plan' conducted by the Ulsa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500 Ulsan citizens and 441 people nationwide (excluding Ulsan, Gyeongnam, and Gyeongbuk) were asked about 7 items to prepare for earthquakes. The priorities were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울산과 전국 모두 제일 중요한 사항으로 'TV 또는 꽃병 등을 높은 곳에 두지 않음' 항목을 1순위로 선택했고, 가장 적게 답한 항목은 '지진 발생에 대비한 비상용품 구비'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진대비 차원에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지진방재를 위해 지원해야 하는 분야는 '내진보강', '지진보험', '내진진단' 순으로 나타났고, 지진피해 복구차원에서 지원해줘야 하는 사항은 '시설물 피해 복구', '이재민 임시주거시설', '구호물품 지원' 순으로 나타났다.In both Ulsan and the nation, 'Do not place TVs or vases in high places' was selected as the most important item, and the item with the fewest answers was 'Have emergency supplies in case of an earthquake.' In addition, in terms of earthquake preparedness, the areas that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support for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were 'seismic reinforcement', 'earthquake insurance', and 'seismic diagnosis', and the items that should be supported in terms of earthquake damage recovery were ' This appeared in the order of ‘recovery of damage to facilities’, ‘temporary housing facilities for victims’, and ‘support of relief goods’.

지진방재센터 위탁연구로 수행된 '지진방재 전문기관 활성화 방안 연구'에서는 포항시에 거주하고 있는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507명을 대상으로 지진 발생 시 어떤 정보가 가장 필요했는지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표 3과 같이 1순위로 지진 발생정보와 지진행동요령이 80.8%, 2순위로 지진피해 현황과 대피소 관련 정보로 나타났다.In the 'Study on Activating Specialized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Institutions' conducted as a commissioned research by the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enter, a survey was conducted on 507 adult men and women aged 19 and older living in Pohang City about what information was most needed in the event of an earthquake. As shown in Table 3, the first priority was earthquake occurrence information and earthquake behavior tips at 80.8%, and the second priority was earthquake damage status and shelter-related information.

또한 지진 직후와 대피 시 필요 정보에 대한 조사결과는 도 3과 같고, 지진 직후와 대피 중 필요한 정보로 공통적으로 지진행동요령 정보와 추위를 피할 곳이라고 응답하였는데 이것은 날씨의 영향인 것으로 보여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시간대별 필요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information needed immediately after the earthquake and during evacuation are shown in Figure 3, and the common information needed immediately after the earthquake and during evacuation was information on earthquake behavior tips and places to avoid the cold, which appears to be an influence of the weather.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necessary information for each time zone stored in a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의 표 4는 데이터베이스(160)에 저장되어 있는 시간대별 필요 정보의 한 예이며, 연구원 자체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로 포항시 흥해실내체육관 내 임시대피시설 거주 주민과 한동대학교 학생, 울산 북구와 울주군 학생을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이다. The following Table 4 is an example of necessary information by time period stored in the database 160, and is a survey conducted by the researcher itself, which included residents living in temporary evacuation facilities in the Heunghae Indoor Gymnasium in Pohang, students at Handong University, and students in Buk-gu and Ulju-gun, Ulsan. These are the results of a targeted survey.

앞서 결과들과 비교하면 주거생활에 대한 책임이 있는 성인들은 지진행동요령과 대피소 관련 정보, 피해자 지원정보를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했고, 미성년자인 고등학생들은 지진 발생과 대피소 관련 정보, 지진피해 현황 순으로 나타나 연령대별로 필요 정보가 다른 것을 알 수 있다.Compared to the previous results, adults who are responsible for housing responded that they most needed earthquake behavior tips, information about shelters, and victim support information, while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minors responded that they needed information about earthquake occurrence and shelters, and earthquake damage status in that order. You can see that the information needed is different for each age group.

포항시 소재 장애인종합복지관 2곳에서 총 91명의 장애인 및 사회복지사, 보호자 등과 같은 조력자를 대상으로 지진방재 콘텐츠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로 나타난 요구 콘텐츠는 지진발생 대비 및 대응을 위하여 장애인을 고려한 지진재난 경보 및 비상연락 기술, 대피장소 위치지도, 주기적인 지진대피 훈련 등과 같은 장애인용 콘텐츠 마련이 필요하며, 지진발생 당시의 경험에 대한 답변과 마찬가지로 위급한 상황에서 도움을 줄 수 있는 조력자 지원제도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A survey was conducted on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targeting a total of 91 disabled people and helpers such as social workers and guardians at two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in Pohang City. It is necessary to prepare conten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such as earthquake disaster warning and emergency contact technology, evacuation site location maps, and periodic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and provide support for helpers who can help in emergency situations, as well as answers about experiences at the time of an earthquake. It was found that a system was needed.

나. 실무자me. hands-on worker

지방자치단체 실무자(포항시청 공무원)와 시설관리자(포항문화재단, 포항시 시설관리공단) 등 총 212명을 대상으로 실무자, 중앙정부, 피해주민, 전문가에게 요구하는 콘텐츠 요청사항은 다음의 표 5와 같다. A total of 212 people, including local government workers (Pohang City Hall officials) and facility managers (Pohang Cultural Foundation, Pohang City Facility Management Corporation), were asked to provide content requests to workers, the central government, affected residents, and experts, as shown in Table 5 below. same.

요청사항에서 동일한 지방자치단체 실무자에 대하여 '지진업무 추진에 대한 세부적인 매뉴얼 작성 및 개선', 중앙정부에 대하여 '예산, 인력 등과 같이 자체적 해결이 어려운 사안들에 대한 적극 지원과 협력', 피해자 및 이재민에 대하여 '구호시설 이용에 대한 이해 및 이재민 간 양보와 배려', 지진전문가 및 연구자에 대하여 '지진발생 후 향후 발생 가능한 지진에 대한 연구 분석' 등을 포한한다. Among the requests, for the same local government workers, 'preparation and improvement of detailed manuals for earthquake work promotion', for the central government, 'active support and cooperation on issues that are difficult to resolve on their own, such as budget, manpower, etc.', victims and It includes 'understanding of the use of relief facilities and concessions and consideration among victims' for disaster victims, and 'research and analysis of earthquakes that may occur in the future after an earthquake occurs' for earthquake experts and researchers.

또한 시설관리자의 경우, 지방자치단체 실무자에 대하여 '지진업무와 관련된 자료와 반복적인 교육', 중앙정부에 대하여 '신속한 지진대응 및 복구를 위한 지원', 피해자 및 이재민에 대하여 '실내구호소 내 질서 유지와 이재민 간 양보 및 배려', 지진전문가 및 연구자에 대하여 '내진설계 및 보강 관련 연구개발'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facility managers, 'materials and repetitive training related to earthquake work' for local government workers, 'support for rapid earthquake response and recovery' for the central government, and 'order within indoor relief centers' for victims and disaster victims. It includes ‘concessions and consideration between the victims and the victims’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related to earthquake-resistant design and reinforcement’ for earthquake experts and researchers.

다. 전문가all. expert

지진 관련 전문가 및 연구자 등 총 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지진방재연구에서 가장 필요한 연구분야 순위로 내진성능 확보 및 강화 관련 연구가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2순위로 지진재난관리와 지반지진공학 관련 연구로 나타났다. 내진성능 확보 및 강화에서 가장 필요한 연구분야 순위로는 내진설계기준 관련 분야가 1순위로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2순위로 내진성능평가, 3순위로 내진보강기술 관련 분야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As a result of a survey of a total of 72 people, including earthquake-related experts and researchers, it was found that research related to securing and strengthening seismic performance was the most necessary research field in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research, and earthquake disaster management and ground were ranked second. It appeared to be a study related to earthquake engineering. In order to secure and strengthen seismic performance, the field related to seismic design standards was found to be the most necessary in the first place, followed by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in the second place, and the field related to seismic reinforcement technology in the third place.

지진재난관리에서 가장 필요한 연구분야 순위로는 지진교육 및 훈련 분야가 1순위로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2순위로 지진피해 추정기술, 3순위로 지진행동요령, 지진대응매뉴얼 관련 분야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반지진공학에서 가장 필요한 연구분야 순위로는 설계지반운동 관련 연구가 1순위로 나타났고, 2순위로 지반분류체계, 3순위로 지반증폭효과 관련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In order of the most necessary research fields in earthquake disaster management, earthquake education and training was found to be the most necessary, followed by earthquake damage estimation technology in second place, and areas related to earthquake behavior tips and earthquake response manuals in third place. . In addition, in the ranking of the most necessary research areas in geotechnical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related to design ground motion was found to be ranked 1st, followed by ground classification system as 2nd, and research related to ground amplification effect as 3rd.

라. SNS 분석la. SNS analysis

2020년에는 포항지진이 발생한 2017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0일까지의 지진 관련 언론 자료를 분석하였다. 키워드로 '놀란', '당황', '무능', '안일' 등 부정단어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는 4,010건의 보도자료를 추출하였으며, 각 보도자료의 본문 내용을 기반으로 부정지수를 산출하였다. 부정지수란 해당 보도자료 내 전체 단어 수 대비 부정단어 키워드가 차지하는 비율(%)로써 계산 되어지는 값으로 부정지수 '10' 이상의 언론 보도자료 239건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지진 트라우마', '재난방송', '재난문자', '대피 안내', '피해보상', '지진 안전', '매뉴얼' 등 6가지 키워드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팔요 콘텐츠를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In 2020, earthquake-related media materials were analyzed from January 1, 2017, when the Pohang Earthquake occurred, to December 30, 2019. We extracted 4,010 press releases containing negative keywords such as 'surprised', 'embarrassed', 'incompetent', and 'complacency', and calculated the negative index based on the main text of each press release. The fraud index is a value calculated as the ratio (%) of negative word keywords to the total number of words in the press release.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239 press releases with a fraud index of '10' or higher.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classify them into six keywords, including 'earthquake trauma', 'disaster broadcasting', 'disaster text', 'evacuation information', 'damage compensation', 'earthquake safety', and 'manual', and based on these, The content is derived as follows.

○ 지진 트라우마 극복을 위한 심리 치료 및 안정 콘텐츠○ Psychological treatment and stability content to overcome earthquake trauma

○ 신속한 재난문자 및 방송을 통한 지진 정보제공 콘텐츠○ Content providing earthquake information through rapid disaster text messages and broadcasting

○ 옥외대피장소, 실내구호소 등 위치 및 경로 안내 콘텐츠○ Location and route information content such as outdoor evacuation sites and indoor relief centers

○ 지진 피해보상 제도 및 신청 방법 홍보 콘텐츠○ Promotional content on earthquake damage compensation system and application method

○ 자가 주택시설에 대한 진단 체크리스트○ Diagnosis checklist for self-contained housing facilities

○ 현실적인 근거 기반의 통일된 지진대비 매뉴얼○ Unified earthquake preparedness manual based on realistic evidence

○ 객관성 및 일관성 있는 지진피해 수습 매뉴얼○ Objectivity and consistent earthquake damage management manual

< 지진방재 콘텐츠 분류 체계도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classification system>

지진방재 콘텐츠 수요자는 대국민, 실무자, 전문가 등 특정대상으로 한정할 수 없으며, 각 수요자가 요구하는 콘텐츠 또한 활용 목적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모든 수요자의 요구를 합리적·효율적으로 반영하기 위해서는 방대한 양의 지진방재 콘텐츠를 수집하는 것뿐만 아니라 수집된 자료의 체계적인 분류가 요구된다. 1~3차년도 연구에서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콘텐츠 분류를 위하여 경주·포항지진피해 업무자료를 시작으로 국내외 지진방재 콘텐츠 현황 및 수요자별 설문조사, SNS 분석 등을 진행하였고 그에 따라 매년 수요자별 분류체계를 작성하였다. The demand for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cannot be limited to a specific group such as the public, practitioners, or experts, and the content required by each consumer also varie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Therefore, in order to reasonably and efficiently reflect the needs of all consumers, not only is it necessary to collect a vast amount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but also a systematic classification of the collected data is required. In the 1st to 3rd years of research, in order to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classify content, starting with business data on damage from the Gyeongju and Pohang earthquakes, the status of domestic and overseas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surveys by consumer, and SNS analysis were conducted. Accordingly, a classification system for each consumer was created every year. did.

4차년도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수행된 설문조사와 SNS분석, 지진방재 로드맵 전문가 의견 등을 분석하여 4차년도 콘텐츠 분류체계를 정리하면 표 6과 같다.In the 4th year of research, the content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4th year is summarized in Table 6 by analyzing the surveys conducted so far, SNS analysis, and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roadmap expert opinions.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국민 대상 지진방재 콘텐츠 분류 체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s 4a to 4c are diagrams showing a classification system for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for the publ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대국민을 대상으로 신규 발굴된 콘텐츠에서 지진 발생 전은 '고층건물 지진행동 요령', '국내거주 외국인 대상 대피요령', '실외 지진행동요령', '운전 중 지진행동요령', '대중교통 이용 중 지진행동 요령' 등 선행 연구에서 발굴된 상황 및 장소를 제외한 추가상황 및 장소에서 지진행동요령이 추가되었으며, 지진대비 교육은 '지진대피 모의 훈련'이 새롭게 발굴되었다. Referring to Figures 4A to 4C, among the newly discovered contents aimed at the general public, before an earthquake occurs, there are 'Earthquake Behavior Tips for High-rise Buildings', 'Evacuation Tips for Foreigners Living in Korea', 'Outdoor Earthquake Behavior Tips', and 'Earthquake While Driving'. Earthquake behavior tips were added in additional situations and locations other than those discovered in previous studies such as 'Behavior Tips' and 'Earthquake Behavior Tips While Using Public Transportation', and 'Earthquake Evacuation Simulation Training' was newly discovered for earthquake preparedness education. .

지진 발생 후(단기)는 지진으로 인해 대피소로 피난한 국민들이 안전하게 본인의 주거시설로 복귀한 후의 행동수칙을 담은 '가정 복귀 후 행동요령'이 추가되었으며, 지진 발생 이후(장기)는 거주시설이 반파 혹은 완파되어 본인의 주거시설로 복귀가 불가능한 국민들을 위한 '거주시설 연계지원'이 추가되었다. After the earthquake occurred (short-term), 'Guidelines for behavior after returning home' was added, which contains rules of conduct for citizens who evacuated to evacuation centers due to the earthquake to safely return to their residential facilities, and after the earthquake occurred (long-term), residential facilities were added. 'Residential facility linkage support' has been added for people who are unable to return to their residential facilities due to half or complete destruction.

또한, 생활환경 복구정보와 관련된 가전, 가구 등 '피해 생활용품 수리 지원'도 새롭게 발굴하였고 신규 추가된 지진방재 콘텐츠 분류 체계도를 나타내면 도 4a 내지 도 4c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In addition, 'support for repairing damaged household goods' such as home appliances and furniture related to living environment recovery information was newly discovered, and the newly added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classification system can be shown as shown in Figures 4A to 4C.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무자 대상 지진방재 콘텐츠 분류 체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s 5A to 5C are diagrams showing an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classification system for practition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실무자를 대상으로 신규 발굴된 콘텐츠에서 지진 발생 전 지진방재계획과 관련된 '긴급소방도로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진 발생 직후는 '긴급위험도 평가 실시'와 같은 구조물 피해 관련 정보와 함께 '타지역의 의료지원 가능 정보 제공' 등의 연계시스템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지진 발생 이후 장기적으로는 '산업 시설물의 피해'와 이로 인해 국가 경제에 미치는 여파에 대한 분석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거시설에 피해를 입은 이재민의 '거주시설 확보'를 위한 국가적 차원의 지원 방향 또한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추가된 지진방재 콘텐츠 분류 체계도를 나타내면 도 5a 내지 도 5c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5a to 5c, newly discovered content for practitioners showed that 'preparation of emergency fire roads' related to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planning before an earthquake occurs is necessary, and 'conducting emergency risk assessment' and 'conducting emergency risk assessment' immediately after an earthquake occurs. It was found that a linkage system such as 'providing information on availability of medical support in other areas' along with information related to damage to the same structure was necessar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analysis of 'damage to industrial facilities' and the resulting impact on the national economy is required in the long term after the earthquake, and a national plan to 'secure residential facilities' for victims whose residential facilities were damaged was found to be required. Direction of support was also found to be required. The newly added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classification system diagram can be shown as Figures 5A to 5C.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무자 대상 지진방재 콘텐츠 분류 체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s 6a to 6c are diagrams showing an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classification system for practition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전문가를 대상으로 신규 발굴된 콘텐츠는 지진방재 자료수집의 필요성을 설명해 주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지진연구 기초정보는 지진을 유발시키는 단층에 대한 '단층별 지진 발생 주기 정보', '단층별 최대발생가능 지진 규모', '단층 활동률에 대한 정보'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질지반조사자료는 '지진유발 산사태' 및 '급경사지 위험지도 현행화', '한반도 3차원 지하 단층', '속도구조 통합모델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자료는 지진의 발생 및 증폭에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지반 특성에 대한 국내 자료가 부족함을 보여주는 단면이라고 판단된다. 지진연구 및 실험시설과 관련하여 '국내 대표 지진 규모', '규모 보정계수 산정', '국내 기록에 기초한 감쇠식의 개발' 및 '구조재의 내진보강 기술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요구사항은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지진 규모 및 보정계수, 감쇠식 등이 지진의 발생이 빈번한 미국, 일본 등의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어 국내의 실정을 명확히 반영하지 못함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지진감시 역량 확보를 위해 '조기경보 기술 개발의 연구', '지진피해 시나리오를 통한 선제적 대응체계 구축' 및 '시설물 안전성 평가를 위한 피해도 분석' 등의 자료도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진 발생 직후에는 '지진파 스펙트럼 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진파의 시계열 데이터를 바탕으로 각 주기별 에너지량을 확인할 수 있는 지진파 스펙트럼 분석은 저주파 에너지가 큰 경우 고층 건물의 피해가 증가하고, 고주파 에너지가 큰 경우 저층 건물의 피해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지진파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구조물의 피해 경향을 유추할 수 있고, 해당 자료의 누적을 통해 국내 실정에 맞는 설계응답스펙트럼의 개선을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지진해일'에 대한 연구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1964년 나이가타 지진해일과 1993년 북해도 남서외해 지진해일처럼 인접국에서 발생 된 지진해일이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쳤던 사례나 1983년 동해 중부에서 발생한 지진해일처럼 우리나라가 직접적인 피해를 입은 사례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지진해일 관련 연구가 미비함에 따른 수요로 판단된다. 이러한 전문가 대상 신규 추가된 지진방재 콘텐츠 분류 체계도를 나타내면 도 6a 내지 도 6c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6A to 6C, newly discovered content targeting experts explains the necessity of collecting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data for the following reasons. It was found that the basic information for earthquake research is 'information on earthquake occurrence cycle by fault', 'maximum possible earthquake magnitude by fault', and 'information on fault activity rate' about faults that cause earthquakes. Geological ground investigation data showed that 'earthquake-induced landslides', 'updating risk maps for steep slopes', 'three-dimensional underground faults on the Korean Peninsula', and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velocity structure model' are necessary. The above data is believed to be a cross-section of the lack of domestic data on ground characteristic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the occurrence and amplification of earthquakes. In relation to earthquake research and testing facilities, it was found that 'domestic representative earthquake magnitude', 'calculation of magnitude correction coefficient', 'development of attenuation formula based on domestic records', and 'development of seismic reinforcement technology for structural materials' were necessary. These requirements are believed to be due to the fact that the earthquake magnitude, correction coefficient, and attenuation equation currently used in Korea were created based on data from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Japan, where earthquakes frequently occur, and do not clearly reflect the domestic situation. In addition, in order to secure earthquake monitoring capabilities, it was found that data such as 'research on early warning technology development', 'establishment of a preemptive response system through earthquake damage scenarios', and 'damage analysis for facility safety assessment' are also needed. It was found that ‘seismic spectrum analysis’ was necessary immediately after an earthquake occurred. Seismic spectrum analysis, which can determine the amount of energy in each cycle based on time series data of seismic waves, is known to increase damage to high-rise buildings when low-frequency energy is large, and damage to low-rise buildings when high-frequency energy is large. Through this analysis of the seismic wave spectrum, it is believed that the damage trend of the structure can be inferred, and through the accumulation of the relevant data, improvement of the design response spectrum suitable for domestic circumstances can be promot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research on 'tsunamis' was also necessary. Despite cases in which tsunamis occurring in neighboring countries affected Korea, such as the 1964 Naigata tsunami and the 1993 tsunami in the southwestern ocean of Hokkaido, or cases in which Korea suffered direct damage, such as the tsunami that occurred in the central East Sea in 1983, domestic It is believed that the demand is due to the lack of tsunami-related research. The newly added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classification system for experts can be shown as shown in FIGS. 6A to 6C.

종합적으로 신규 발굴된 콘텐츠의 특징은 대국민의 경우 지진 발생 전 지진행동요령 및 지진 발생 후 수습·복구 관련 콘텐츠가 비슷한 수준으로 높은 수요를 차지한 반면, 전문가 집단은 지진 발생 전 지진연구 기초정보에 대한 콘텐츠가 높은 수요를 차지하였다는 점이다. 대국민의 경우 지진재난의 특성상 본진 발생 예측 불확실성에 기인하여 새로운 지진이 발생 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증가함과 동시에 포항지진 발생 후 약 4년이라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장기적인 수습·복구에도 관심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전문가의 경우 9.12 지진과 포항 지진을 경험하면서 국내 실정이 반영된 지진방재 관련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기초자료의 필요성이 부각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실무자들은 지진과 같은 국가적인 대형 이슈가 발생할 때 이를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지진대비 콘텐츠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Overall,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ly discovered content are that while the general public has a similarly high demand for earthquake behavior tips before an earthquake and content related to handling and recovery after an earthquake, the expert group has a similarly high demand for content on basic information on earthquake research before an earthquake occurs. is in high demand. In the case of the public, anxiety that a new earthquake may occur is increasing due to the uncertainty in predicting the occurrence of a main earthquake due to the nature of earthquake disasters, and at the same time, interest in long-term control and recovery is increasing as approximately 4 years have passed since the Pohang earthquake. It is judged. For experts, it is believed that the need for basic data to conduct research on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that reflects the domestic situation was highlighted after experiencing the 9.12 earthquake and the Pohang earthquake. In addition, practitioners appear to demand earthquake preparedness content that can efficiently and systematically respond to large-scale national issues such as earthquakes.

2. 지진방재자료와 콘텐츠 수집2. Collection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data and content

2-1. 수집한 지반정보 현황 및 현장계측자료 분석2-1. Analysis of collected ground information status and field measurement data

가. 지역별 지반특성정보 수집 go. Collection of ground characteristics information by region

수요조사 결과, 지진방재 전문가가 요구하는 콘텐츠 중 지질지반조사자료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지역별 지반진동 계측을 통한 지반특성을 조사하고 이를 공유하기 위해 울산과 포항 등 동남권을 중심으로 지질지반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시작된 2018년부터 현재까지 지역별 지반조사보고서를 토대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직접 활용이 용이하도록 데이터베이스(160)에 저장하였다. DB화된 지점별 전단파 속도자료 등 지반특성 자료 일부는 본 출원인이 개발한 지진피해 추정 시스템에 우선적으로 탑재하여 지역별 지진피해추정 결과의 신뢰성 향상에 활용하고 있다. As a result of the demand survey,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a high level of interest in the importance of geological ground survey data among the contents requested by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experts. Accordingly, in order to investigate and share ground characteristics through regional ground vibration measurements, geological ground data was collected focusing on the southeastern region, including Ulsan and Pohang. From 2018, whe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gan, to the present, data were collected based on regional ground investigation reports and stored in the database 160 for easy direct use. Some of the ground characteristics data, such as shear wave velocity data for each point in the database, are preferentially loaded into the earthquake damage estimation system developed by the present applicant and are use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regional earthquake damage estimation results.

우선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수집한 지반조사자료는 다음 표 7과 같이 총 1,528개소에 해당한다. First, the ground investigation data collected from 2018 to 2021 corresponds to a total of 1,528 locations, as shown in Table 7 below.

1차년도인 2018년은 청주 변전소, 화성시청 등에서 194개소, 2019년은 울산 남구 산업단지 일대와 양정동 주민센터 등에서 724개소, 2020년은 울산 다운2지구 및 울산 효문공단 일원 등에서 497개소, 2021년인 금년에는 포항, 울산, 부산 등 127개소에서 자료를 수집하였다.In 2018, the first year, there were 194 locations in the Cheongju substation and Hwaseong City Hall, in 2019, there were 724 locations in the Nam-gu industrial complex and Yangjeong-dong community center in Ulsan, and in 2020, there were 497 locations in Ulsan Down District 2 and the Hyomun Industrial Complex in Ulsan. This year, data was collected from 127 locations including Pohang, Ulsan, and Busan.

자료수집 방법은 초·중·고등학교 대상으로 내진보강 공사를 실시하는 교육청, 도로 및 시설물 내진설계관련 국가기관, 지진관측소 설치를 위한 기상청, 지자체 등에서 1차적으로 지반조사를 실시한 발주기관을 대상으로 협의하여 수집하였다. 그리고 나머지 자료들은 인터넷에서 공유된 지반조사보고서를 검색 및 수집하여 자료를 확보하였다. 특히, 지진방재연구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전단파속도, 시추 주상도, N치와 같은 지반물성치를 위주로 수집하고 자료를 정리하였기 때문에 다른 지반조사 자료보다 지진방재 연구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data collection method was discussed with the ordering organizations that initially conducted ground surveys, such as offices of education carrying out seismic reinforcement construction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national agencies related to seismic design of roads and facilities,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for the installation of seismic observatories, and local governments. and collected. The remaining data was obtained by searching and collecting ground investigation reports shared on the Internet. In particular, because the data was collected and organized mainly on ground properties such as shear wave speed, drilling column, and N value, which are directly necessary for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research, it can be used more effectively in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research than other ground survey data.

나. 지반진동 현장계측자료 분석 me. Ground vibration field measurement data analysis

1) 속도계를 이용한 상시미동 현장계측1) Permanent, fine-moving field measurement using a speedometer

지진 발생 시 인구 및 건축물 등이 집중되어 있는 도심지에 피해가 많이 발생하는 반면, 상대적으로 지반자료가 부족하고 기존의 지반조사 방법으로는 제약이 많이 발생한다. 일반적인 지반조사 방법은 시추조사 방법과 표면파 물리탐사 방법이 이용되지만, 시추는 비용적인 측면에서 일반적으로 1개소에 8백~1천만원 상당의 비용이 필요하다. 또한, 시추작업과 시추결과 분석에 시간이 상대적으로 많이 소요되고 대형 시추기 사용을 위해 소음과 공간적인 제약이 따른다. 하지만, HVSR 방법은 설치가 용이하고 빠른 자료의 계측 및 분석 그리고 저비용의 조사 방법으로 간접적으로 지반특성을 도출한다. 국외에서는 과거부터 본 조사방법을 이용하여 지반증폭특성 및 단층조사 등 지진방재 연구에 활발히 이용 중에 있다.When an earthquake occurs, a lot of damage occurs in urban areas where population and buildings are concentrated, but ground data is relatively lacking and existing ground investigation methods have many limitations. General ground investigation methods include drilling survey methods and surface wave physical exploration methods, but in terms of cost, drilling generally requires a cost equivalent to 800 to 100 million won per location. In addition, drilling work and analysis of drilling results take a relatively long time, and the use of large drilling machines is subject to noise and space constraints. However, the HVSR method is easy to install, quickly measures and analyzes data, and indirectly derives ground properties through a low-cost investigation method. Overseas, this survey method has been actively used in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research, such as ground amplification characteristics and fault surveys, since the past.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심지 지반조사자료가 부족한 지역에 대해 속도계 장비를 이용하여 상시미동을 계측하고 HVSR(Horizontal to Vertical Spectral Ratio)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추가적으로 현장계측자료와 기존 지반조사 보고서의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Therefor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ant fine motion was measured using speedometer equipment in areas where urban ground survey data were lacking, and HVSR (Horizontal to Vertical Spectral Ratio) analysis was performed. In addition, field measurement data were compared with existing ground survey reports. Analysis was conducted.

2) 상시미동 계측자료를 활용한 지반특성 분석2) Analysis of ground properties using constant motion measurement data

지반조사 대상지역은 HVSR 결과물의 비교분석을 위해, 기존 지반조사가 실시된 지점을 토대로 실시하였다. 계측지점은 비교분석이 용이하게 상대적으로 기반암이 얕으면서 단단한 지역과 기반암이 깊고 연약한 지역을 구분하여 계측하였다. 지역은 본 출원인이 위치한 울산 북구, 중구, 남구로 울산지역에 한정하였다. 1차 및 2차로 구분하여 현장계측을 실시하였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울산 북구 지역은 총 3곳으로 상안초, 양정초, 염포초가 해당되고, 중구는 총 4곳으로 함월초 삼일초 우정초, 옥성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시미동 계측 대상지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서 남구지역은 총 5곳으로 야음초, 선암초, 동백초, 동평초, 백합초를 대상으로 계측을 실행하였다.The area subject to ground survey was conducted based on the point where the existing ground survey was conducted for comparative analysis of HVSR results. To facilitate comparative analysis, the measurement points were measured separately between areas with relatively shallow and hard bedrock and areas with deep and soft bedrock. The region was limited to the Ulsan area, including Buk-gu, Jung-gu, and Nam-gu, Ulsan, where the applicant is located. Field measurements were conducted separately into primary and secondary stages. As shown in Figure 7, there are a total of three areas in Buk-gu, Ulsan, including Sangan Elementary School, Yangjeong Elementary School, and Yeompo Elementary School, and there are four locations in Jung-gu, which are Hamwol Elementary School, Samil Elementary School, Ujeong Elementary School, and Okseong Elementary School.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 point subject to continuous fine movement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ure 7, there are a total of 5 locations in the Nam-gu area, and measurements were conducted targeting Yaeumcho, Seonamcho, Dongbaekcho, Dongpyeongcho, and Baeullicho.

속도계를 이용한 상시미동 계측기반의 HVSR 분석을 위해 사용된 장비와 계측 모습은 도 8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시미동 계측을 위한 계측 장비 및 계측 전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된 장비는 영국 GURALP사의 최신형 속도계인 CERTIMUS 장비를 이용하였다. 계측장비는 진동 감지 센서와 기록계가 통합된 모델이다. 계측장비의 성능은 3성분(Z,N,E)의 속도계 장비로서, 0.0083~100Hz 주파수 응답 영역, 149dB 동적범위를 가지고 있다. HVSR 분석은 SESAME 유럽지진연합 프로젝트를 통해 개발된 GEOPSY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GEOPSY 프로그램은 www.geopsy.org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며, 전체적인 HVSR 분석방법은 해당 웹페이지 SESAME에서 발간한 HVSR GUIDELINES(2004) 보고서를 참고하였다.The equipment and measurements used for HVSR analysis based on constant-motion measurement using a speedometer are shown in Figure 8.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measuring equipment and the overall view of the measurement for continuous fine motion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quipment used was the CERTIMUS equipment, the latest speedometer from GURALP, UK. The measuring equipment is a model that integrates a vibration detection sensor and a recorder. The performance of the measuring equipment is a three-component (Z, N, E) speedometer, with a frequency response range of 0.0083~100Hz and a dynamic range of 149dB. HVS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GEOPSY program developed through the SESAME European Seismological Association project. The GEOPSY program can be downloaded from www.geopsy.org, and the overall HVSR analysis method was referred to the HVSR GUIDELINES (2004) report published by SESAME on the corresponding web page.

상시미동 계측파형은 5% 코사인 테이퍼링이 사용되었다. 분석에 사용한 주파수 범위는 0.1~50Hz Butterworth filter가 적용되었으며, HVSR 결과 그래프는 산술평균을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Konno-Ohmachi window를 이용하여 smoothing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STA는 1.00s, LTA는 30.00s, Min STA/LTA는 0.2, Max STA/LTA는 2.5로 설정하여 유의미한 시간창을 도출하여 분석하였다.5% cosine tapering was used for the constant-fine measurement waveform. The frequency range used for analysis was a 0.1~50Hz Butterworth filter, and a smoothing algorithm was applied to the HVSR result graph using the Konno-Ohmachi window to smooth the arithmetic mean. STA was set to 1.00s, LTA was set to 30.00s, Min STA/LTA was set to 0.2, and Max STA/LTA was set to 2.5 to derive and analyze a meaningful time window.

HVSR 분석은 불특정 진동원에 의한 상시미동으로 지반특성을 구하는 방법으로 많은 자료를 가지고 통계적 분석을 하여 신뢰성 있는 값을 얻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상시미동 자료는 지진계를 이용하여 지진동의 움직임을 시간에 따라 기록하는 연속적인 자료이고, 이러한 연속성을 가진 자료의 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자료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분할하여 증가시키면 지진계 주변 잡음을 배제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박남률, 2010).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시미동 계측에서 연속계측자료의 시간창 분할을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9는 HVSR 분석을 실행하여 1,200초 동안 기록된 지반의 상시미동 계측자료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시미동 계측자료를 30초의 시간창(Time window)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각 시간창과 시간창 사이는 6초를 겹쳐서, 자료의 연속성과 보다 많은 자료를 확보 할 수 있도록 설정 하였다.HVSR analysis is a method of determining ground properties through constant slight movement caused by an unspecified vibration source, and it is important to obtain reliable values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with a large amount of data. In general, constant motion data is continuous data that records the movement of ground motion over time using a seismometer. In order to increase the number of data with this continuity, by dividing the data into regular time intervals and increasing it, noise around the seismometer is excluded. There is also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o it (Park Nam-ryul, 2010).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time window division of continuous measurement data in constant motion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Figure 9 is measurement data of constant ground motion recorded for 1,200 seconds by performing HVSR analys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ant motion measurement data was calculated by dividing it into a time window of 30 seconds. Each time window overlapped by 6 seconds, which was set to ensure data continuity and more data.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시미동 계측자료를 이용한 지반의 우세주파수 도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deriving the dominant frequency of the ground using constant motion measurement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상시미동 계측자료를 이용하여 HVSR 분석한 결과, 계측지점에 대한 지반의 우세주파수를 얻을 수 있었다. Referring to Figure 10, as a result of HVSR analysis using constant motion measurement data, the dominant frequency of the ground for the measurement point was obtained.

대상지점은 울산 관내를 대상으로 지역별 총 12개의 지점을 계측하였다. 12개의 계측지점별 HVSR 분석을 통한 중구지역 2곳의 우세주파수는 함월초 12.29Hz, 옥성초 4.08Hz로 분석되었다. 북구 지역 계측지점 3곳의 우세주파수는 상안초 6.06Hz, 양정초 2.19Hz, 염포초 1.48Hz로 각각 도출되었다. 남구지역 5곳은 야음초 3.42Hz, 선암초 8.13Hz, 동백초 2.34Hz, 동평초 30.66Hz, 백합초 1.23Hz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구지역의 두 개 계측지점인 삼일초와 우정초에서는 별도의 우세주파수가 도출되지 않았다.A total of 12 points were measured in each region within Ulsan. Through HVSR analysis at 12 measurement points, the dominant frequencies of two areas in Jung-gu were analyzed as 12.29 Hz in Hamwol Elementary and 4.08 Hz in Okseong Elementary. The dominant frequencies of the three measurement points in the Buk-gu region were derived as 6.06Hz for Sangan Elementary, 2.19Hz for Yangjeong Elementary, and 1.48Hz for Yeompo Elementary. The five locations in Nam-gu area showed 3.42Hz in Yaeumcho, 8.13Hz in Seonamcho, 2.34Hz in Dongbaekcho, 30.66Hz in Dongpyeongcho, and 1.23Hz in Baehwacho. Lastly, no separate dominant frequencies were derived from the two measurement points in the Jung-gu area, Samil Elementary School and Ujeong Elementary School.

3) 상시미동 계측자료를 활용한 지반특성조사 결과 검증3) Verification of ground characteristics survey results using constant motion measurement data

속도계를 이용한 상시미동 계측자료기반 지반조사방법 검증은 기존 지반조사보고서에서 수행된 조사결과로 나타난 기반암의 근입 깊이(토층두께)와 토층 상부 30m 전단파속도(Vs30)를 비교하는 것이다. Verification of the ground investigation method based on constant motion measurement data using a velocity meter is to compare the depth of penetration of bedrock (soil layer thickness) and the shear wave velocity (Vs30) at the top of the soil layer at 30 m as shown in the investigation results performed in the existing ground investigation report.

기반암 근입 깊이를 추정하는 식은 다음 수학식 1과 같다. The equation for estimating the bedrock penetration depth is as follows:

진동이 지반의 상부층 내에서 중복반사 현상이 발생하면 특정 주파수에서 지표면을 크게 진동시키는 공진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를 지반의 '우세주파수'라고 부른다. Okamoto(1984)에 따르면, 우세주파수가 지반의 상부층 두께의 4배일 때 가장 크게 진동한다고 말한다. 이와 같은 원리에 따라 수학식 1을 이용하면 대략적인 토층의 두께를 추정할 수 있다.When vibrations overlap and reflect within the upper layer of the ground, a resonance phenomenon occurs that causes the ground surface to vibrate significantly at a specific frequency, which is called the 'dominant frequency' of the ground. According to Okamoto (1984), the greatest vibration occurs when the dominant frequency is four times the thickness of the upper layer of the ground. According to this principle, the approximate thickness of the soil layer can be estimated using Equation 1.

여기서, Ds는 토층 두께, Vs는 전단파속도, f는 우세주파수를 의미한다. Here, Ds is the soil layer thickness, Vs is the shear wave velocity, and f is the dominant frequency.

지반 상부 30m의 평균 전단파속도(Vs30)의 추정은 다음 수학식 2와 같이 Kwak 외(2018)가 제안한 우세주파수(fpeak)와 VS30 간의 상관관계식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The average shear wave velocity (V s30 ) at the top 30 m above the ground was estimated us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ominant frequency (f peak ) and V S30 proposed by Kwak et al. (2018) as shown in Equation 2 below.

속도계를 이용한 상시미동 계측자료기반 지반조사 방법 검증결과는 표 8과 같다. Table 8 shows the verification results of the ground investigation method based on constant-motion measurement data using a speedometer.

기반암 근입 깊이(상부 토층 두께)에 대한 검증결과는 상안초, 야음초를 제외하고 대체로 유사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상안초의 경우 계측 시 강한 바람과 주변환경으로 인한 상시미동 계측 시 기존 시추 조사지점과의 이격, 복잡한 지질 구조 등으로 인해 검증결과가 상이하게 분석될 수 있다. 야음초는 기존 지반조사보고서와 지질도를 참고할 때, 단단한 지반으로 구성되고 기반암의 근입 깊이도 얕은 곳이다. 야음초가 비록 우세주파수가 도출되었다고는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석결과에서 HVSR 비율이 낮게(3.0 이하) 나타난 현상을 비추어 볼 때 기반암이 얕게 묻혀있고 단단한 지반일 경우에 나타나는 HVSR 그래프 특징이 잘 나타나 있으므로 해당지역은 단단한 지반이 지배적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삼일초는 기존 지반보고서 및 지질도를 참고할 때 기반암이 얕고 단단한 지반으로 볼 수 있는데, 이러한 결과들이 HVSR 비율이 낮고(2.0 이하) 별도의 특정 우세주파수가 도출되지 않는 특징과 부합되면서 전체적으로 기존 지반특성에 근접한 결과가 나온 것으로 볼 수 있다. HVSR 조사방법의 원리가 불연속면을 추정하는 방법임으로 기반암이 얕고 단단한 지반이 존재하는 곳은 증폭이 발생하지 않아 특정 우세주파수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The verification results for bedrock penetration depth (upper soil layer thickness) yielded generally similar results, except for Sangancho and Yaeumcho. In the case of Sangancho, the verification results may be analyzed differently due to the distance from the existing drilling survey site and complex geological structure during continuous measurement due to strong winds and surrounding environment. When referring to existing ground investigation reports and geological maps, Yaeumcho is composed of solid ground and the bedrock penetration depth is shallow. Although the dominant frequency was derived from Yaeumcho, in light of the fact that the HVSR ratio was low (less than 3.0) in the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VSR graph characteristics that appear when the bedrock is shallowly buried and the ground is hard Since it is clearly visible,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area is predominantly composed of hard ground. Samilcho can be seen as a hard ground with shallow bedrock when referring to existing ground reports and geological map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low HVSR ratio (less than 2.0) and no separate specific dominant frequency, and overall, it is close to the existing ground characteristics. It can be seen that the results have been obtained. Since the principle of the HVSR survey method is to estimate the discontinuity surface, it can be seen that in places where bedrock is shallow and solid ground exists, amplification does not occur and a specific dominant frequency does not appear.

HVSR 결과를 토대로 Vs30을 변환한 결과는 100m/s 내외로 차이가 나기 때문에, 대체로 일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야음초에서만 크게 달라지는데 이러한 이유는 야음초의 경우에는 앞서 언급한 우세주파수 도출의 신뢰성 문제 때문에 전단파 속도 값이 상이하게 나온 것으로 분석된다.The result of converting V s30 based on the HVSR result was analyzed to be generally consistent because the difference was about 100 m/s. However, it differs significantly only in Yaeumcho. The reason for this is that in the case of Yaeumcho, the shear wave speed values are different due to the reliability problem of deriving the dominant frequency mentioned above.

일반적으로 인위적인 인간활동이 적은 도심지 외곽이나 밤 시간대에 계측을 하여 상시미동을 계측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심지와 일상생활 속에서도 상시미동 계측자료를 활용한 지반조사방법이 효과적으로 수행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별도의 인위적인 잡음이 배제된 시간대에서 상시미동을 계측하지 않고 사람들이 많이 활동하는 낮에 대부분 계측하였다. 또한, HVSR 분석 시 상시미동 계측자료는 바람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몇몇 계측지점은 바람이 많이 부는 시점에서 상시미동을 계측하여 기존 지반조사보고서와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In general, continuous fine motion is measured by measuring on the outskirts of downtown areas or at night when there is little artificial human activity, bu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determine whether the ground investigation method using constant fine motion measurement data is effectively performed even in urban areas and daily life. For this reason, most of the measurements were made during the day when many people are active, rather than measuring regular movements at times when artificial noise was excluded. In addition, it is known that the constant motion measurement data when analyzing HVSR is affected by wind, and some measurement points measure constant motion at times when there is a lot of wind, which can be seen as a difference from the existing ground investigation report.

다양한 환경과 다수의 실험을 통해 통계적인 조사연구가 별도 수행되어야겠지만 본 연구결과만을 토대로 볼 때 울산지역에서는 H/V 증폭비율이 3.0 이상의 값을 갖는 곳은 비교적 토층이 깊은 연약지반으로 분석되며, 3.0 이하의 값을 도출한 지역은 우세주파수가 낮더라도 단단한 지반으로 분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지역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특정 H/V 증폭비율 이하에서는 기반암이 얕게 분포하고 단단한 지반으로 도출할 수 있다. Although a separate statistical research study must be conducted through various environments and multiple experiments, based solely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the Ulsan area, places with a H/V amplification ratio of 3.0 or more are analyzed as soft ground with relatively deep soil layers. Areas with values below 3.0 were analyzed as solid ground even though the dominant frequency was low. Accordingly, although there may b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region, below a certain H/V amplification ratio, the bedrock is distributed shallowly and can be derived as solid ground.

향후 HVSR 분석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상시미동 분석연구를 통한 지반특성별 적절한 신호 처리 변수설정과 신호 처리기법을 통해 HVSR 분석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지진방재연구를 위해 전단파속도 등 다른 물성치로의 변환을 위한 추가적인 사례조사 및 연구도 필요할 수 있다. 국외에서는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다양한 시도를 통해 의미있는 연구성과를 도출하고 이를 지진방재연구 등에 활용하기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다. 반면 국내에서는 지속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지 못하고, 간헐적으로 수행되고 있으므로 HVSR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 시도와 지속적인 예산투자가 있어야 한다. 이를 통해 도심지 등을 대상으로 하는 효과적인 지반조사 추정방법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In order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HVSR analysis result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HVSR analysis results through appropriate signal processing variable settings and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for each ground characteristic through continuous micromotion analysis research. For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research, additional case studies and research may be needed to convert to other material properties such as shear wave velocity. Overseas, many researchers are making efforts in various fields to derive meaningful research results through various attempts and utilize them for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research. On the other hand, since research is not continuously conducted in Korea and is conducted intermittently, there must be various research attempts and continuous budget investment related to HVSR. Through this, an effective ground survey estimation method targeting urban areas can be usefully utilized.

또한, 지반의 우세주파수와 Vs30의 상관관계는 다양한 계측실험 및 통계분석 등을 통해서 적절한 상관식을 도출할 수 있다. HVSR 분석을 통해 도출되는 지반의 우세주파수 정보 등을 이용하여 Vs30를 도출하는 방법에 대해 조사 연구하거나, 다수의 속도계를 배열하여 지반특성 조사하는 F-K 또는 SPAC 방법 등을 통해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 등을 통해서 지진피해 추정 및 단층조사, 지반액상화, 내진설계, 국가지진위험지도 제작 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국내 지진방재 연구역량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ominant frequency of the ground and V s30 can be derived from an appropriate correlation equation through various measurement experiments and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can be increased through research and research on how to derive V s30 using the dominant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ground derived through HVSR analysis, or through the FK or SPAC method, which investigates ground characteristics by arranging multiple speedometers. These examples have the effect of contributing to improving domestic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research capabilities by providing basic data for earthquake damage estimation, fault investigation, ground liquefaction, seismic design, and national earthquake risk map production.

2-2. 수집한 기관별 지진방재 콘텐츠 현황2-2. Status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collected by organization

앞서 실시한 수요자별 콘텐츠 분류체계도에 따른 자료 수집을 위하여 총 22개의 국가, 연구기관 등을 선정하고, 지진, 지진해일, 지진방재 등 8개의 키워드로 자료를 검색하였다. 초기 수집된 자료에 대해 수요자 요구에 부합되지 않는 콘텐츠와 중복자료를 제외한 최종 수집 콘텐츠는 문서 콘텐츠 2,157개, 이미지 콘텐츠 2개, 영상 콘텐츠 71개 등 총 2,242개이며 수집 현황은 표 9와 같다. In order to collect data according to the content classification system for each consumer previously implemented, a total of 22 countries and research institutes were selected, and data were searched using eight keywords, including earthquake, tsunami, and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The final collected content, excluding duplicate data and content that does not meet the needs of consumers, is a total of 2,242 items, including 2,157 document content, 2 image content, and 71 video content. The collection status is shown in Table 9.

조사 개수에 비해 수집 개수가 10% 내외로 매우 적은 양을 차지하는 것은 기관별 보유 지진방제 관련 콘텐츠의 중복도가 매우 높고, 대부분은 지진이 주요 연구 테마가 아니고 지진으로 유발되는 국부적인 현상만을 다루었기 때문으로 보인다.The reason why the number of collections accounts for a very small amount (about 10%) compared to the number of surveys is because the degree of duplication of earthquake response-related content held by each institution is very high, and most of them only deal with local phenomena caused by earthquakes, and earthquakes are not the main research theme. It seems.

3. 지진방재 콘텐츠 공유 포털3.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sharing portal

3-1. 지진방재자료 공유체계3-1.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data sharing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콘텐츠 제공부(150)에서 지진방재 콘텐츠 공유 포털을 통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분석된 결과에 따른 요구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provider 150 may provide requested conten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as described above through the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sharing portal.

앞서 설명한 콘텐츠 분류체계 ver. 4.0은 수요자, 지진발생 시기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자료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22개의 국가, 연구기관 등에서 수집한 자료현황은 핵심 용어를 더 많이 사용할수록 유용한 자료들을 더 찾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Content classification system ver. described above. 4.0 shows that various types of data are needed depending on the consumer and the time of the earthquake, and the status of data collected from 22 countries and research institutes shows the possibility of finding more useful data as more key terms are used. there is.

이에 수집한 자료들을 한곳에 모아 지진 연구나 재난현장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는 저장고(Repository) 역할을 만들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진방재 콘텐츠 공유 포털을 통해 공유체계를 제공한다. 우선 지진발생 정보에 대해 기상청과 연계하여 계기지진, 역사지진, 국외지진을 손쉽게 찾을 수 있도록 UI를 제공하고, 수요자에 따라 공개, 비공개되는 자료에 대한 권한설정과 회원가입, 수집된 보고서를 PDF 화면으로 확인하는 UI를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30명의 수요자(대국민 10명, 실무자 10명, 전문가 10명)를 대상으로 하여 시범 포털의 사용성, 편의성 등을 조사하였다. In order to collect the collected data in one place and create a repository that can be immediately used in earthquake research or disaster site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aring system through an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sharing portal. First, in connection with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for earthquake occurrence information, we provide a UI to easily find instrumental earthquakes, historical earthquakes, and overseas earthquakes, and set permissions for data to be made public or private depending on the user, sign up for membership, and display the collected reports on a PDF screen. Provides a UI for confirmation. Through this, we investigated the usability and convenience of the pilot portal targeting 30 consumers (10 members of the public, 10 practitioners, and 10 experts).

앞서 수집된 약 2천여 건 지진방재 연구보고서, 콘텐츠 등의 자료를 표 10과 같이 주 메뉴와 상세 메뉴로 분류하였고, 연구원에서 자체적으로 포털의 메뉴를 수정, 추가, 삭제 가능하도록 하고, 회원관리 및 운영에 대한 편의성 등을 강화하도록 관리자 기능을 강화하였다. About 2,000 previously collected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research reports, contents, etc. were classified into main menus and detailed menus as shown in Table 10, and the research institute was able to modify, add, and delete the portal menus on its own, and member management and Administrator functions have been strengthened to enhance operational convenience.

또한, 사용자의 지진방재에 대한 이해와 공유체계에 대한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지진상식, FAQ 등의 정보를 표시하여 제공한다.In addition, to increase users' understanding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and usability of the sharing system, information such as earthquake knowledge and FAQs is displayed and provided.

주 메뉴의 구성은 지진상식, 대국민 지진정보, 지진정책자료, 지진학술자료 4개로 분류되었다. 대부분의 자료들이 특별한 회원가입 없이 열람과 자료 다운이 가능하지만, 지진정책자료 중 일부는 개인정보 또는 기관 비공개자료 지정으로 회원가입을 해야 이용이 가능하다. The main menu wa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earthquake knowledge, public earthquake information, earthquake policy materials, and earthquake academic materials. Most of the data can be viewed and downloaded without special membership registration, but some of the earthquake policy data can be used only after registering as a member due to personal information or designation as non-public data of the organization.

여기서, 콘텐츠 분류 체계도와 공유 포털의 메뉴가 다른 이유는 분류 체계도는 자료 수집 시 요구 콘텐츠의 분석과 수집을 목적으로 만들었고, 공유 포털 메뉴는 수집된 콘텐츠의 내용에 따라 메뉴를 만들었기 때문이다. 또한 콘텐츠 수집률에 따라 자료를 수집한 후 공유 포털의 메뉴를 추가, 수정할 수 있다.Here, the reason why the content classification system and the sharing portal menu are different is because the classification system was created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and collecting required content when collecting data, and the sharing portal menu was created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collected content. Additionally, the menu of the sharing portal can be added or modified after collecting data according to the content collection rate.

다음은 주 메뉴와 상세 메뉴별로 수집된 자료설명이고, 포털 메인화면 및 주제 분류별 화면 예시는 다음의 도 11과 같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방재 포털 메인화면 및 주제 분류별 화면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The following is a description of the data collected by main menu and detailed menu, and an example of the portal main screen and screen by topic category is shown in Figure 11 below. Figure 11 is a diagram showing examples of the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portal main screen and screens for each subject categ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지진방재 콘텐츠 공유 포털의 분류체계에 따른 수집 자료 현황을 살펴보면, 지진의 이해와 용어의 소분류인 지진 발생원인에 지진의 발생 이론인 판구조론과 탄성반발설 및 국내 지진 발생 가능성에 대한 콘텐츠를 수록하였다. 지진 크기와 위치에는 지진의 규모, 진도, 진원 및 진앙에 대한 개념을 이해할 수 있는 그림과 설명을 수록하였으며, 역사지진에는 국내 다양한 역사서에 언급된 지진 기록에 대한 콘텐츠를 수록하였다. Looking at the status of collected data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sharing portal, the causes of earthquakes, which are subcategories of understanding and terminology of earthquakes, include content on plate tectonics and elastic rebound theory, which are theories of earthquake occurrence, and the possibility of domestic earthquakes occurring. . The size and location of earthquakes contains pictures and explanations to help you understand the concepts of the magnitude, intensity, epicenter, and epicenter of the earthquake, and the historical earthquakes section contains content about earthquake records mentioned in various domestic history books.

활성단층과 액상화 현상에서는 활성단층의 정의, 활성단층의 시대적 구분, 활성단층군 구분, 액상화 정의 및 액상화 사례에 대한 정보를 수록하였고, 내진/면진/제진에서는 각 개념의 차이를 상세한 설명과 그림으로 보여주고 있다. Active faults and liquefaction phenomena contain information on the definition of active faults, historical division of active faults, classification of active fault groups, definitions of liquefaction, and liquefaction cases, and in earthquake resistance/seismic isolation/vibration isolation,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concept are explained in detail and illustrated. It's showing.

지진사례에서는 국내에서 발생한 지진인 9.12 지진, 포항 지진뿐만 아니라 해외에서 발생한 지진인 발디비아 대지진, 남아시아 대지진 및 동일본 대지진에 대한 정보도 제공하고 있다. In the earthquake case, information is provided not only on the earthquakes that occurred domestically, such as the 9.12 earthquake and the Pohang earthquake, but also on the earthquakes that occurred overseas, such as the Great Valdivia Earthquake, the Great South Asia Earthquake, and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중분류인 주거시설대비 정보의 소분류 항목 중 지진에 위험한 주택에서 한옥 및 벽돌집이 지진에 취약한 이유를 설명하고, 국내 내진설계기준의 변화를 수록하였다. Among the sub-categories of information on residential facilities, which are in the middle category, it explains why Hanok and brick houses are vulnerable to earthquakes in houses at risk of earthquakes, and includes changes in domestic earthquake-resistant design standards.

"지진에 튼튼한 우리집 만들기"에서는 한옥, 벽돌집 및 공동주택의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보강방법을 설명하고 있으며, "지진! 미리 알면 대비할 수 있어요"에서는 지진 발생 경과 시간에 따라 발생 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를 지적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Making our houses strong against earthquakes" explains reinforcement methods to improve the seismic performance of hanoks, brick houses, and apartments, and "Earthquakes! If you know in advance, you can prepare" explains various problems that may arise depending on the time elapsed after an earthquake. It points out and suggests ways to prevent this.

풍수해 보험에서는 풍수해 보험에 대한 기본개념과 가입대상 시설물, 가입 문의에 대한 콘텐츠를 수록하여, 혹시 발생 될 수 있는 예기치 못한 재난에 대해 스스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Storm and flood damage insurance includes content on the basic concepts of storm and flood damage insurance, facilities eligible for subscription, and subscription inquiries, providing methods to help you cope with unexpected disasters that may occur.

중분류인 지진재해 지원제도에서는 자연재해 지원지도에 대한 서면 작성 방법 및 인터넷 신청 방법에 대한 콘텐츠를 수록하였으며, 지원제도 상세내용에서는 인명피해와 집·가재도구 관련 피해의 대상자, 지원내용, 신청 방법, 지급 절차 및 문의처에 대한 콘텐츠를 수록하여, 재해지원제도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제공한다.The earthquake disaster support system, which is a middle category, contains content on how to write a natural disaster support map and how to apply online. In the details of the support system, it includes the subjects of casualties and damage to houses and household goods, support details, application methods, It provides detailed information on the disaster support system, including content on payment procedures and contact information.

지진 발생정보의 소분류인 계기지진 정보에서는 1970년대 이후 국내에서 발생한 지진에 대해 발생일시, 규모, 발생 깊이, 진앙지 및 최대진도에 대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Instrumental earthquake information, a subcategory of earthquake occurrence information, provides content on the date and time, magnitude, depth, epicenter, and maximum seismic intensity of earthquakes that have occurred in Korea since the 1970s.

역사지진 정보에서는 국내의 역사 문헌에 기록된 지진피해를 바탕으로 지진 발생 위치와 최대 진도에 대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역사지진 자료는 지진의 진앙과 진도에 대해 연구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는 경우가 있으나, 지진이 기록된 시기가 100년이 되지 않아 지진 주기를 판단할 때 역사지진 자료는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Historical earthquake information provides content on the location of earthquake occurrence and maximum seismic intensity based on earthquake damage recorded in domestic historical documents. The results of historical earthquake data may vary depending on the researcher regarding the epicenter and seismic intensity of the earthquake, but since earthquakes were recorded less than 100 years ago, historical earthquake data is known to be very important when determining the earthquake cycle. .

국외지진 정보에서는 세계 각지에서 발생되는 지진의 발생일시, 규모, 발생깊이 및 진앙지에 대한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인접국에서 발생하는 강진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국내의 피해를 미리 방지할 수 있는 콘텐츠로 활용될 수 있다. Overseas earthquake information provides content on the date and time, magnitude, depth, and epicenter of earthquakes that occur around the world, and can be used as content to prevent domestic damage that may be caused by strong earthquakes in neighboring countries. It can be.

중분류인 지진 대비 정보에서는 지진재해 피해현상 등을 사전에 인지하여 피해를 최소화하고, 대비할 수 있는 다양한 지진상식 관련 콘텐츠를 수집하였다. 대표적인 콘텐츠로 2000년 한국토지공사에서 발행된 '지진을 알자', 2017년 행정안전부에서 발행된 '생활 속 지진 안전', 2018년 행정안전부에서 발행된 '지진, 미리 대비하고 알아둡시다.' 등이 있으며, 이 외 총 93개의 문서 및 영상 콘텐츠를 수집하였다. In the middle category, earthquake preparedness information, we collected various earthquake knowledge-related contents that can be used to recognize earthquake damage phenomena in advance, minimize damage, and prepare. Representative contents include 'Let's Know Earthquakes' published by the Korea Land Corporation in 2000, 'Earthquake Safety in Daily Life'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in 2017, and 'Earthquakes, let's prepare and know in advance'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in 2018. In addition, a total of 93 documents and video contents were collected.

중분류인 지진 행동요령에서는 지진으로부터 국민의 생명·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담긴 콘텐츠를 수집하였다. 대표적인 콘텐츠로 2017년 행정안전부에서 발행한 '재난대피 행동요령', 2019년 기상청에서 발행한 '지진 국민행동요령(지진, 미리 대비하고 알아두세요' 및 2019년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 발행된 '지진행동요령 1·2·3 주거시설', '지진행동요령 1·2·3 의료시설' 등이 있으며, 이 외 총 100개의 문서 및 영상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다. In the middle category, earthquake action tips, we collected content containing various ways to protect people's lives and property from earthquakes. Representative contents include the ‘Disaster Evacuation Behavior Guidelines’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in 2017, the ‘Earthquake Citizen Behavior Guidelines (Earthquakes, prepare and know in advance’) publish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in 2019, and the ‘Earthquake Behavior Guidelines’ published by the National Disaster and Safety Research Institute in 2019. There are 'Earthquake Behavior Tips 1, 2, 3 Residential Facilities' and 'Earthquake Behavior Tips 1, 2, 3 Medical Facilities', and a total of 100 other documents and video contents.

재난안전 포털에서는 서울, 인천, 경기, 강원, 대전, 대구, 광주, 부산, 제주, 울산, 경주시에서 제공하는 재난안전 관련 포털의 링크를 제공함으로써, 국내 주요 지역에서 발생하는 지진에 대한 최신 정보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The disaster safety portal provides links to disaster safety-related portals provided by Seoul, Incheon, Gyeonggi, Gangwon, Daejeon, Daegu, Gwangju, Busan, Jeju, Ulsan, and Gyeongju, providing the latest information on earthquakes occurring in major regions of Korea. It is convenient and can be checked quickly.

지진정책 자료의 중분류인 지진 매뉴얼에서는 지진이 발생한 직후 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 담당자가 수행해야 할 행동과 재해발생시 초동기 재해응급대책활동 등을 담은 콘텐츠를 수집하였다. 2003년 서울특별시에서 발행한 '지진재해대책본부 지진방재 행동매뉴얼', 2017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발행한 '지역재난 피해주민 조기 생활 안정을 위한 정부지원 종합 안내서' 등이 대표적인 콘텐츠이며, 이와 유사한 주제의 81개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In the earthquake manual, which is a middle category of earthquake policy data, we collected content that included actions to be taken by disaster management personnel at institutions and local governments immediately after an earthquake occurs and initial disaster emergency response activities when a disaster occurs. Representative contents include the 'Earthquake Disaster Response Headquarters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Action Manual' publish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 2003, and the 'Comprehensive Guide to Government Support for Early Stabilization of the Livelihood of Local Disaster Victims' published by the Central Disaster and Safety Countermeasures Headquarters in 2017. We collected 81 related materials on similar topics.

중분류인 지진 정책자료에서는 국가 차원의 재난관리 상황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고 대응하기 위한 정부 조직의 기능을 마련하는 것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였다. 2008년 국토연구원에서 발행한 '재해에 안전한 도시조성을 위한 방재도시계획 수립방안 연구', 2010년 한국행정연구원에서 발행한 '국가적 차원에서의 종합안전상황정보 시스템 구축 및 운영방안 연구' 및 2013년 한국행정연구원에서 발행한 '한국형 협력적 거버넌스 체계구축 방안 연구'가 대표적인 콘텐츠이며, 이와 유사한 주제의 콘텐츠 461개를 수집하였다. In the middle category, earthquake policy data, data related to establishing the functions of government organizations to effectively handle and respond to disaster management situations at the national level were collected.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disaster-resistant city plan to create a city safe from disasters’ publish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in 2008,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 comprehensive safety situation information system at the national level’ published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in 2010, and Korea in 2013. The 'Study on Establishing a Korean-style Collaborative Governance System' published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is a representative content, and 461 pieces of content with similar topics were collected.

지진 현장조사에서는 '홍성지진의 현황 조사 연구 보고서', '포항지진 분석 보고서' 및 '9.12지진 백서'와 같이 국내에서 발생한 지진에 대한 피해 현장보고서뿐만 아니라 '1999년 터키 이즈미트 지진', '2003년 알제리 부메르데스 지진' 등 해외에서 발생 된 지진에 대한 현장보고서 및 기관별 지진재난관리 현장 기록 등을 총 41개 수집하였다.Earthquake field surveys include damage field reports on earthquakes that occurred in Korea, such as 'Hongseong Earthquake Current Status Research Report', 'Pohang Earthquake Analysis Report', and '9/12 Earthquake White Paper', as well as '1999 Turkey Izmit Earthquake', '2003 A total of 41 field reports on earthquakes that occurred overseas, including the 2008 Algeria Boumerdes Earthquake, and field records of earthquake disaster management by organization were collected.

지진학술자료의 중분류인 지진 관측정보에서는 2004년 국무총리실에서 발행한 '지진 통합관측망 운영 및 신속 경보 시스템 개발 연구(부산-경남지역)'와 같이 국내 가속도 관측소에서 얻은 자료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정책연구뿐만 아니라, 2019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에서 발행한 '지진 조기경보 기술 동향'처럼 지진 조기경보와 관련한 국내외 기술 동향, 정책 동향 및 관련분야 국내 정부 R&D 투자 동향 등의 정보를 담은 자료들도 수록하고 있다. In earthquake observation information, which is a middle category of earthquake academic data, there are ways to efficiently utilize data obtained from domestic acceleration observatories, such as 'Research on earthquake integrated observation network operation and rapid warning system development (Busan-Gyeongnam region)' published by the Prime Minister's Office in 2004. In addition to policy studies on Also included.

이처럼 지진 관측정보에서는 단순 지진 관측과 관련된 콘텐츠뿐만 아니라 지진 관측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 관측된 지진 데이터의 효율적인 활용에 대한 방안 등을 내용으로 하는 콘텐츠를 160개 수집하였다. In this way, 160 pieces of earthquake observation information were collected, including content related to simple earthquake observation, as well as ways to improve the accuracy of earthquake observation and ways to efficiently utilize observed earthquake data.

지반 위험정보에서는 지진시 지반의 액상화, 산사태위험도, 국내 활성단층 조사와 활용방안 등 국내의 지반 및 단층 특성에 대한 폭넓은 자료를 수집하고자 하였다. 대표적인 콘텐츠로는 2000년 국립방재연구소에서 발행한 '지진재해에 대비한 지반특성 파악에 관한 연구', 2015년과 2016년 국민안전처에서 발행한 '지진시 사면붕괴 등 지반피해 예측 기술 개발', '지진가속도 분석 등을 통한 설계지반운동 표시방법 고도화기술 개발', 2020년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 발행한 '활성단층지도시스템 지속적 운영 및 실효성 제고를 위한 기획연구' 등이 있으며, 이 외 188개의 지반 및 단층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In the ground risk information, we sought to collect a wide range of data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untry's ground and faults, including liquefaction of the ground during an earthquake, landslide risk, and investigation and utilization of domestic active faults. Representative contents include ‘Research on understanding ground characteristics in preparation for earthquake disasters’ published by the National Disaster Prevention Research Institute in 2000, ‘Development of ground damage prediction technology such as slope collapse during earthquakes’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in 2015 and 2016, There are 'Development of advanced technology for displaying design ground motion through seismic acceleration analysis, etc.', 'Planning research for continuous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effectiveness of active fault map system' published by the National Disaster and Safety Research Institute in 2020, and 188 other ground motions. and fault-related data were collected.

구조물 설계기준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내진설계관련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대표적인 자료로는 1998년 건설교통부에서 발행한 '주요 시설물의 내진설계성능기준(안)', 2020년 한국시설안전공단에서 발행한 '기존 시설물 내진성능 평가요령' 등이 있다. In terms of structural design standards, various earthquake-resistant design-related data currently used in Korea were collected. Representative data include the 'Seismic Design Performance Standards for Major Facilities (Draft)' issued by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in 1998, and the Korea Infrastructure Safety Corporation in 2020. There are ‘Guidelines for evaluating the seismic performance of existing facilities’.

중분류인 구조물 설계기준에는 앞서 언급된 자료와 유사한 72개의 설계기준, 내진성능 평가요령 및 설계지침에 대한 자료가 수집되어있다. 중분류인 화산에서는 총 13개의 화산 관련 콘텐츠를 수집하였으며, 대표적인 콘텐츠로는 2014년부터 2016년까지 미래창조과학부에서 진행된 '백두산 화산 마그마 특성 및 지구동력학 연구', 2015년 기상청에서 수행된 '제주 한라산 화산체 마그마 조사 및 지열 에너지 분석 연구'이다. The structural design standards, which are a middle category, collect data on 72 design standards,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s, and design guidelines similar to the previously mentioned data. In the middle category of volcanoes, a total of 13 volcano-related contents were collected, and representative contents include 'Research on Baekdu Volcanic Magma Characteristics and Geodynamics'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from 2014 to 2016, and 'Jeju Hallasan Volcanic Body' conduct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in 2015. ‘Magma investigation and geothermal energy analysis research’.

또한, 2015년 기상청에서 수행된 '남극 멜번 호산 주변의 지진활동과 속도구조 연구’와 같이 해외 화산에 대한 콘텐츠, 2015년 국민안전처에서 수행된 '화산성 지진으로 인한 국내 피해 예측 기술 개발'과 같이 화산 활동에 의해 발생 될 수 있는 추가 피해 예측에 대한 콘텐츠도 수집하였다.In addition, content on overseas volcanoes such as 'Seismic activity and velocity structure research around Melbourne Lake, Antarctica' conduct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in 2015, and 'Development of domestic damage prediction technology due to volcanic earthquakes'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in 2015 Likewise, content on predictions of additional damage that could be caused by volcanic activity was also collected.

중분류인 지진해일에서는 2010년 국립기상연구소에서 발행한 '그것이 알고 싶다(지진해일)'과 같이 지진해일에 대한 국민의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쉬운 콘텐츠부터 2015년 국민안전처에서 발행한 '지진해일 안전교육 자료', 2005년 KOTRA에서 발행한 '동남아 쓰나미/지진 피해 복구 추진현황 모니터링', 2015년 국립해양조사원에서 발행한 '지진해일의 발생<지진해일 관측자료 분석>'과 같이 전문적인 콘텐츠까지 총 48개의 콘텐츠를 수집하였다. In the middle category, tsunami, there are easy content that can help the public understand tsunami, such as 'I Want to Know (Tsunami)' publish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in 2010, and 'Tsunami Safety'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in 2015. Professional content such as ‘Educational Materials’, ‘Monitoring Progress of Tsunami/Earthquake Damage Recovery in Southeast Asia’ published by KOTRA in 2005, and ‘Tsunami Occurrence <Tsunami Observation Data Analysis>’ published by the National Oceanographic Research Institute in 2015. 48 pieces of content were collected.

중분류인 해외자료에서는 미국, 일본 등 지진의 발생이 빈번한 국가에서 발행된 각종 지진 대책 매뉴얼, 외국의 지질/지진분야 기술기준 동향 분석 등의 콘텐츠 79개를 수집하였으며, 마지막 중분류인 기타 기술정보에서는 앞서 언급된 분류체계에 포함되지 않은 수집 콘텐츠 886개를 수록하였다. In the middle category, overseas data, we collected 79 pieces of content, such as various earthquake response manuals issued in countries with frequent earthquak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nd analysis of trends in foreign geology/seismic technical standards. In the last middle category, other technical information, we collected It contains 886 collected contents that are not included in the mentioned classification system.

기타 기술정보의 대표적인 콘텐츠로는 2017년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발행한 '노후학교 시설개선 기준 연구', 2018년 한국법제연구원에서 발행한 '지하 라이프라인의 안전관리규제체계에 관한 법제 연구', 2021년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발행한 '내진 안전성 확보를 위한 필로티형 다가구주택의 구조 연성 보강방안 연구' 등이 있다.Representative contents of other technical information include ‘Study on standards for improvement of facilities for old schools’ published by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in 2017, ‘Legal study on safety management regulatory system of underground lifelines’ published by Korea Legislative Research Institute in 2018, 2021 These include ‘Study on structural ductility reinforcement measures for piloti-type multi-family housing to ensure earthquake-resistant safety’ published by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3-2. 지진방재 콘텐츠 수집현황3-2.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collection status

가. 대국민go. public

대국민의 지진 발생 전 요구 콘텐츠는 표 11과 같이 지진행동요령, 주거공간 대비요령, 재난약자 지원체계 등 5개 분류로 구분할 수 있고, 분류별 요구 콘텐츠에 대한 세부항목은 총 26개 였으며, 이 중 24개의 관련 자료를 수집한 것으로 나타났다. As shown in Table 11, the content requested by the public before an earthquake can be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including earthquake behavior tips, residential space preparation tips, and support systems for the vulnerable in disasters. There were a total of 26 detailed items for each category, of which 24. It was found that relevant data was collected.

지진행동요령에서는 행정안전부의 '국민 지진행동요령'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지진행동요령1·2·3' 등이 있으며,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서 발행한 지진 시 물, 전기, 가스등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설명서 '지진으로부터 가족을 보호하기' 콘텐츠 등이 있다. Earthquake behavior guidelines include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s 'National Earthquake Behavior Guidelines' and the 'Earthquake Behavior Guidelines 1, 2, and 3' developed in this study, and those issued by the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USGS) include water, electricity, gas, etc. in the event of an earthquake. There is content such as 'Protecting your family from earthquakes', a manual that can be used safely.

주거공간 대비요령에서는 지진보험 안내 및 가입 방법은 지진방재 콘텐츠 공유포털 내 지진상식의 소분류에 풍수해보험과 관련된 콘텐츠를 수록하였으며, 비구조재 조치 요령의 경우 뉴질랜드 정부에서 발행한 지진 대비 행동요령의 한국어 버전 '지진 발생에 대비한 손쉬운 가정 안전조치'를 수집하였다. In the residential space preparedness tips, information on earthquake insurance and how to sign up are included in the subcategory of earthquake knowledge in the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sharing portal. In the case of non-structural measures, the Korean version of the earthquake preparedness behavior guidelines issued by the New Zealand government is included. 'Easy home safety measures in case of an earthquake' were collected.

재난약자 지원체계에서는 도움 및 구조요청 기관의 경우 2017년 부산소방학교에서 발행한 '119 지진 길라잡이(행동 매뉴얼)'에서 재난·안전 관련 앱, 유관기관 상황실 비상연락망, 유관기관·단체 연락관 지정현황 및 지역 재난관리 책임기관 현황에 대해 수록하고 있다. In the disaster-vulnerable support system, in the case of organizations requesting help and rescue, the '119 Earthquake Guide (Action Manual)' published by the Busan Fire Academy in 2017 includes disaster and safety-related apps, situation room emergency contact networks of related organizations, status of designation of liaison officers for related organizations and organizations, and It contains the current status of local disaster management agencies.

지진대비 교육에서는 지진대피 모의훈련은 2016년 교육부에서 제작한' 지진대피 훈련을 해요' 영상에서 요구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지진 발생 정보에서는 공유포털 내 지진 발생 정보에서 계기지진, 역사지진, 국외지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In earthquake preparedness education, the required information for earthquake evacuation simulation training is provided in the video 'We are conducting an earthquake evacuation drill' produ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2016. Earthquake occurrence information in the shared portal provides information on instrumental earthquakes, historical earthquakes, and overseas earthquakes.

그러나 대부분의 현대 구조물이 대형화, 고층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층건물의 지진행동요령에 대한 자료와 지진방재 운동회와 관련된 사례도 수집되지 않아 해당 세부항목에 대한 추가 자료의 수집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However, in a situation where most modern structures are becoming larger and taller, data on earthquake behavior tips for high-rise buildings and cases related to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sports events have not been collected, so it appears that it is necessary to collect additional data on the relevant details.

대국민의 지진 발생 직후 요구 콘텐츠는 표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진 발생 알림, 가족 안부 확인, 대피 알림 정보 등 4개 분류로 구분할 수 있고, 분류별 요구 콘텐츠에 대한 세부 항목은 총 7개였으며, 이 중 6개의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As shown in Table 12, the content requested by the public immediately after an earthquake can b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including earthquake occurrence notification, family safety confirmation, and evacua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There were a total of 7 detailed items for each category, of which 6 Relevant data were collected.

지진 발생 정보의 경우 지진방재 콘텐츠 공유포털 내 지진 발생 정보의 계기지진 정보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지진해일 위험정보 및 지진해일 대피 정보의 경우 2004년 기상청에서 발행한 '지진해일 이렇게 대비하자' 및 행정안전부에서 발행한 '우리 동네 지진해일 대피 장소'에서 해당 요구 콘텐츠에 대한 상세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가족 안부 확인 콘텐츠는 2012년 행정안전부 '재난현장 대응에 필요한 재난통신망 구축 관련 상용망 활용 가능성 연구용역'으로 대국민이 활용할 수는 없는 연구용역자료일 수 있다.In the case of earthquake occurrence information, it can be found in the seismic earthquake information in the earthquake occurrence information in the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sharing portal, and in the case of tsunami risk information and tsunami evacuation information, 'Let's prepare for a tsunami like this' publish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in 2004 and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Detailed information on the requested contents is provided in 'Our Neighborhood Tsunami Evacuation Site' published by . However, the content to check the family's safety may be research service material that cannot be used by the public as it is a 2012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research service on the possibility of using commercial network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a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necessary for responding to disaster scenes.

대국민의 지진 발생 이후(단기) 요구 콘텐츠는 표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진 발생 정보, 생활 및 피해복구 정보, 지진대피 정보 등 4개 분류로 구분할 수 있고, 분류별 요구 콘텐츠에 대한 세부항목은 총 13개였으며, 이 중 10개의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As shown in Table 13, the content requested by the public after an earthquake (short-term) can b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including earthquake occurrence information, life and damage recovery information, and earthquake evacuation information. There are a total of 13 detailed items for each category. and of these, 10 related data were collected.

지진 발생 정보는 앞서 설명하였고, 생활 및 피해복구 정보의 세부 항목인 집, 직장, 학교 등 복귀 정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추가로 발생 될 수 있는 여진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지진방재 콘텐츠 내 대국민 지진정보의 재난안전 포털을 통해 실시간으로 정부 및 지자체의 대응에 따라야 할 것이다. Earthquake occurrence information was explained earlier, and detailed information on living and damage recovery information, such as return to home, work, school, etc., was included in the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in consideration of the uncertainty of additional aftershocks that may occur as mentioned above. You will have to follow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response in real time through the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portal.

지진대피 정보에서의 안전대피 경로에 대해서는 2018년 행정안전부에서 제작한 '재난 시 어디로 대피해야 할까'에서 영상을 통해 해당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으며, 대중교통 이용정보의 경우 2011년 한국교통연구원에서 발행한 '일본 지진피해의 교통부문 시사점 및 국내 대응 방안'에서 긴급도로의 활용방안 및 기존 버스 노선의 변경을 통한 활용 대책을 제시하고 있다. Safety evacuation routes in earthquake evacuation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hrough videos in 'Where to Evacuate in a Disaster' produced by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in 2018, and public transportation usage information is published by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in 2011. In 'Implications of Japan's Earthquake Damage in the Transportation Sector and Domestic Response Plans', measures to utilize emergency roads and change existing bus routes are presented.

피해자 지원제도에서는 2017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발행한 '자연재난 피해주민 조기 생활 안정을 위한 정부지원 종합 안내서'에서 각종 세제 혜택 및 이재민 구호물품 지원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실내구호소 이용방법 및 임시주거시설, 외국인, 여행객의 피해자 지원제도에 대한 자료는 수집되지 않을 수 있다.In terms of the victim support system, the 'Comprehensive guide to government support for early stabilization of the lives of natural disaster victims' published by the Central Disaster and Safety Countermeasure Headquarters in 2017 provides information on various tax benefits and relief goods support for victims. However, data on how to use indoor relief centers, temporary housing facilities, and victim support systems for foreigners and travelers may not be collected.

대국민의 지진 발생 이후(장기) 요구 콘텐츠는 표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해 치료 정보, 생활환경 복구정보 및 장기적 케어 서비스 3개 분류로 구분할 수 있고, 분류별 요구 콘텐츠에 대한 세부항목은 총 8개 였으며, 이 중 2개의 관련 자료를 수집한 것이다. As shown in Table 14, the public's post-earthquake (long-term) required content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damage treatment information, living environment restoration information, and long-term care service. There were a total of 8 detailed items for each category. Among these, two related data were collected.

피해 치료 정보에서 트라우마 극복 심리치료 및 생활환경 복구정보의 집수리 지원은 2017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발행한 '자연재난 피해주민 조기 생활 안정을 위한 정부지원 종합 안내서'에서 상세한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정밀안전진단 업체 및 내진 보수, 보강 업체 목록이나 어린이 및 육아 지원대책, 거주시설 연계지원 등의 요구 콘텐츠는 수집되지 않을 수 있다.In damage treatment information, psychological treatment to overcome trauma and home repair support through living environment recovery information are explained in detail in the 'Comprehensive Guide to Government Support for Early Stabilization of Life for Residents Victims of Natural Disasters' published by the Central Disaster and Safety Countermeasures Headquarters in 2017. . However, requested content such as a list of precise safety diagnosis companies and seismic repair and reinforcement companies, child and child care support measures, and residential facility linkage support may not be collected.

나. 실무자me. hands-on worker

실무자의 지진 발생 전 요구 콘텐츠는 표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역위험도, 긴급 위험도평가, 위험시설물 위치 등 10개 분류로 구분할 수 있고, 분류별 요구 콘텐츠에 대한 세부항목은 총 26개 였으며, 이 중 17개의 관련 자료를 수집한 것이다. As shown in Table 15, the content required by practitioners before an earthquake occurs can be divided into 10 categories, including regional risk, emergency risk assessment, and location of hazardous facilities. There were a total of 26 detailed items for each category, of which 17 were required. Relevant data was collected.

긴급 위험도 평가는 세부 항목으로 평가방법, 평가단원 교육, 지진 전문가 목록 및 지진현장조사 방법과 장비에 대한 콘텐츠는 2019년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 발행한 '지진피해 건축물 위험도 평가체계 개선방안 및 교육자료 개발'에서 지진피해 건축물 위험도 평가방법에 대해 기술하고, 9.12 지진과 포항지진 시 국내 지진피해 건축물 위험도 평가와 관련한 유형별 피해사진과 위험도 평가단 운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The emergency risk assessment is a detailed item, and the contents on the assessment method, evaluation unit training, list of earthquake experts, and earthquake site investigation methods and equipment are discussed in ‘Measures to improve the risk assessment system for earthquake-damaged buildings and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published by the National Disaster and Safety Research Institute in 2019. ' describes the risk assessment method for earthquake-damaged buildings, and provides damage photos by type and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of the risk assessment team related to the risk assessment of domestic earthquake-damaged buildings during the 9.12 earthquake and the Pohang earthquake.

사전대비체계의 지진대피소 관리는 2014년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 발행한 '재난유형별 대피소 통합관리 및 대피생활 지원 기술개발' 콘텐츠를 수집하였으며, 해당 콘텐츠에서는 대피소의 지정·관리 현황 및 중복성 조사, 운영현황, 관리방안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The management of earthquake shelters in the advance preparedness system collected the contents of 'Integrated management of shelters by disaster type and development of technology to support evacuation life by disaster type' published by the National Disaster and Safety Research Institute in 2014. In this content, the status of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shelters, redundancy investigation, and operation status were collected. It provides information on management plans, etc.

내진 보강율 및 내진 보강의 내진성능 인증제와 관련된 콘텐츠로는 2018년 행정안전부에서 발행한 '국가 내진설계 및 내진보강 마스터플랜 수립'을 수집하였다. Content related to the seismic reinforcement rate and seismic performance certification system of earthquake-resistant reinforcement was collected from 'Establishment of National Seismic Design and Seismic Reinforcement Master Plan'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in 2018.

그러나 산업단지 상세정보나 라이프라인 기초정보와 같이 몇몇 요구 콘텐츠가 수집할 수 없는 자료들임을 고려하면, 현재 수집된 자료가 재난관리실무자의 요구사항을 충실히 반영하여 수집되었다고 할 수 있다.However, considering that some required contents cannot be collected, such as detailed industrial complex information or basic lifeline information, it can be said that the currently collected data was collected by faithfully reflecting the requirements of disaster management practitioners.

실무자의 지진 발생 직후 요구 콘텐츠는 표 16과 같이 언론대응, 지진발생 알림, 타지역·타부서 협력 등 11개 분류로 구분할 수 있고, 분류별 요구 콘텐츠에 대한 세부항목은 총 18개 였으며, 이 중 17개의 관련 자료를 수집한 것이다. As shown in Table 16, the contents requested by practitioners immediately after an earthquake can be divided into 11 categories, including media response, earthquake occurrence notification, and cooperation with other regions and other departments. There were a total of 18 detailed items for each category, of which 17. Relevant data was collected.

언론대응과 민원대응요령은 2015년 국민안전처에서 발행한 '재난수습홍보 교육교재'에서 매체별 특성과 활용법, 국민 소통 전략 등을 기술하고 있다. 지자체 건물 긴급 건전성 평가 및 수능·국가적 행사 등은 2018년 '2017 포항지진 백서'에서 2017년 포항 지진 당시의 사례를 언급하고 있으므로, 해당 사례를 참고할 수 있다. Media response and civil complaint response guidelines are described in the 'Disaster Management and Public Relations Educational Material'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in 2015, which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edia, how to use them, and public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emergency health evaluation of local government buildings, college entrance exams, national events, etc., the case of the 2017 Pohang earthquake is mentioned in the 2018 '2017 Pohang Earthquake White Paper', so you can refer to that case.

구호물품 목록 및 자원봉사 지원물품 관리요령의 경우 2014년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 발행한 '재난유형별 대피소 통합관리 및 대피생활지원 기술개발'에서 지자체 재난상황 대피·구호 물품 보유·사용현황 조사분석, 대피상황 대비 대피소 보관물품의 종류 및 보유량 기준개발, 지자체 재해구호세트 적정 보유량 산정기술 개발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지진피해 수집 집계 자동화에 대한 콘텐츠가 수집되지 않아 추후 연구에서는 해당자료의 검색 또는 관련 연구의 진행이 필요할 것이다.In the case of the list of relief supplies and guidelines for managing volunteer support supplies, the research and analysis of local governments' disaster situation evacuation and relief goods possession and use status and evacuation are based on 'Integrated management of shelters by disaster type and development of evacuation life support technology' published by the National Disaster and Safety Research Institute in 2014. It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standards for the type and amount of storage items in evacuation shelters in preparation for situations, an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calculating the appropriate amount of local government disaster relief set reserves. However, since no content has been collected on the automation of earthquake damage collection and aggregation, it will be necessary to search for relevant data or conduct related research in future research.

실무자의 지진 발생 이후(단기) 요구 콘텐츠는 표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상화 등 지반피해 지역, 건축물 도로 등 시설피해 현황 등 11개 분류로 구분할 수 있고, 분류별 요구 콘텐츠에 대한 세부항목은 총 22개 였으며, 이 중 21개의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As shown in Table 17, the content requested by practitioners after the earthquake (short-term) can be divided into 11 categories, including areas with ground damage such as liquefaction and the status of facility damage such as buildings and roads. There were a total of 22 detailed items for each category. , of which 21 related data were collected.

화재발생 정보, 방사능 유출정보 및 유해화학물질 유출정보의 경우 2019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초기지진손상을 고려한 사회기반 시설물의 화재성능평가', 2011년 대전광역시 교육청의 '지진 발생 및 방사능 유출시 행동요령', 2019년 환경부의 '지진에 의한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조기경보 전파 시스템 개발' 자료를 활용할 수 있으나, 해당 세부 항목의 경우도 지진 발생 지역에 대한 긴급 현장 조사를 통해 추가 자료 수집을 수행하는 것이 적합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fire occurrence information, radioactivity leakage information, and hazardous chemical leakage information,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s 'Fire performance evaluation of social infrastructure facilities considering initial earthquake damage' in 2019, and the Daej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s 'In the event of an earthquake and radiation leakage' in 2011. You can use the 2019 data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s 'Development of an early warning dissemination system for hazardous chemical handling facilities caused by earthquakes', but for the detailed items, additional data must be collected through an emergency field survey in the area where the earthquake occurred. It may be appropriate to do so.

이재민·대피자 관련 지정 및 운영 규정과 지진 옥외대피장소 관련 콘텐츠는 포항지진 대피소 운영사례, 일본 및 국내외 대피소 운영 시사점 및 지진대피소 지정·운영 기준 등의 내용이 포함된 2017년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 '지진대피소 지정·운영 기준 개발'을 수집하였다. Designation and operation regulations related to victims and evacuees and content related to earthquake outdoor evacuation sites are in the 2017 National Disaster and Safety Research Institute's 'National Disaster and Safety Research Institute', which includes contents such as the Pohang Earthquake Shelter Operation Case, Implications of Shelter Operation in Japan and Korea and Overseas, and Earthquake Shelter Designation and Operation Standards. ‘Development of earthquake shelter designation and operation standards’ was collected.

지진방재전문가의 지원체계는 방재자원관리 및 재난발생시 지자체와 관련기관과의 신속한 지원체계 확립을 위한 방재자원 관리 및 운영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는 '재난유형별 방재자원 동원체계 구축 방안'을 수집하였다. The support system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experts collected the 'Plan for building a disaster prevention resource mobilization system by disaster type', which presents guidelines for disaster prevention resource management and operation to establish a quick support system with local governments and related organizations in the event of a disaster.

지진해일 긴급대피장소 및 지진겸용 임시주거시설과 관련된 콘텐츠는 2019년 문화재청에서 발행한 '「지진·지진해일 재난」위기대응 실무 매뉴얼'을 수집하였다. 이재민 의료·교육 등 케어, 피해 긴급 복구 및 보강, 자원봉사자 지원요청 관련 콘텐츠는 2017년 국민안전처에서 발행한 '2017 응급복구 행동지침'에서 관련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Content related to tsunami emergency evacuation sites and temporary residential facilities for earthquakes was collected from the 'Earthquake and Tsunami Disaster Crisis Response Practical Manual' published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in 2019. Contents related to care such as medical care and education for victims, emergency recovery and reinforcement of damage, and requests for volunteer support are described in the '2017 Emergency Recovery Action Guidelines' issued by the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in 2017.

민간 지원물품 관리의 경우 2014년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 발행한 '재난유형별 대피소 통합관리 및 대피생활지원 기술개발'에서 대피소 및 이재민 지원물품 선정·관리에 관한 콘텐츠를 수록하고 있으며, 피해신고 접수양식은 지진방재 콘텐츠 공유포털 내 지진상식의 소분류인 지진재해지원제도에 해당 콘텐츠를 수록하고 있다. In the case of management of private support supplies, 'Integrated management of shelters by disaster type and development of evacuation life support technology' published by the National Disaster and Safety Research Institute in 2014 contains content on the selection and management of shelters and victims' support supplies, and the damage report application form is The content is included in the Earthquake Disaster Support System, a subcategory of earthquake knowledge within the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sharing portal.

그러나, 액상화 등 지반피해 지역, 화재발생 정보, 방사능 유출 정보 등의 세부 항목은 이번 연구를 통해 수집된 콘텐츠를 적용하기보다 긴급 현장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는 것이 현안 대응에 효과적일 것이다.However, for detailed items such as ground damage areas such as liquefaction, fire occurrence information, and radioactivity leak information,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respond to current issues by using the data collected through emergency field surveys rather than applying the content collected through this study.

실무자의 지진 발생 이후(단기) 요구 콘텐츠는 표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상화 등 도시재생사업, 사회경제적 피해정도 등 지반피해 지역, 건축물 도로 등 시설피해 현황 등 4개 분류로 구분할 수 있고, 분류별 요구 콘텐츠에 대한 세부항목은 총 10개 였으며, 이 중 5개의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As shown in Table 18, the content requested by practitioners after the earthquake (short-term) can b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including urban regeneration projects such as liquefaction, ground damage areas such as socio-economic damage, and status of facility damage such as buildings and roads. Contents required for each category There were a total of 10 detailed items, of which 5 related data were collected.

도시재생사업의 세부항목인 재건축계획과 관련하여 2019년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 발행한 '2016 구마모토지진 피해복구 관련 현장조사'에서는 구마모토시 부흥계획 기본방침과 부흥중점 프로젝트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였다. In relation to the reconstruction plan, which is a detailed item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e '2016 Kumamoto Earthquake Damage Recovery Field Survey' published by the National Disaster and Safety Research Institute in 2019 described the basic policies of Kumamoto City's reconstruction plan and the contents of the revival-focused projects.

이재민 지원 중 재난지원금 지원과 세금 등 지원, 의료 지원은 2017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발행한 '자연재난 피해주민 조기 생활 안정을 위한 정부지원 종합 안내서'에서 재난지원금 지원 및 다양한 세금 혜택과 관련된 콘텐츠를 기술하고 있다. Among the support for disaster victims, support for disaster relief funds, taxes, etc., and medical support are contents related to disaster relief funds and various tax benefits in the 'Comprehensive guide to government support for early stabilization of the lives of natural disaster victims' published by the Central Disaster and Safety Countermeasures Headquarters in 2017. It describes.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지진 발생전, 지진 발생직후, 지진 발생 이후(단기)에 대한 재난관리 실무자의 요구 콘텐츠는 충분한 자료의 수집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지진 발생 이후(장기)에 대한 요구 콘텐츠는 대국민과 동일하게 부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재난관리실무자의 요구 콘텐츠 중 수집이 이루어지지 않은 대다수 자료가 재난 발생 지역의 특성 반영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어, 해당 항목들이 고려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Based on the above results, sufficient data was collected for the content required by disaster management practitioners for before the earthquake, immediately after the earthquake, and after the earthquake (short term).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nt required for the period after the earthquake occurred (long-term) was insufficient, as was the case with the general public. In particular,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majority of data that has not been collected among the content requested by disaster management practitioners need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disaster-prone areas, so research that considers these items is continuously needed.

다. 전문가all. expert

전문가의 지진 발생 전 요구 콘텐츠는 표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진연구 기초정보, 지진발생 정보, 지진감시 역량 확보 등 7개 구분할 수 있고, 분류별 요구 콘텐츠는 총 23개였으며, 이 중 17개의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As shown in Table 19, the contents required by experts before an earthquake can be divided into seven categories, including basic earthquake research information, earthquake occurrence information, and securing earthquake monitoring capabilities. A total of 23 contents were required by category, of which 17 were related materials. collected.

지진연구 기초정보에서 전국 지질도의 경우 국토교통부의 국토지반정보 통합 DB센터에서 시추 자료를 바탕으로 전국의 지반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전국 지질도 콘텐츠를 별도로 제공하고 있지 않다. In the case of national geological maps in basic earthquake research information,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s National Geotechnical Information Integrated DB Center provides nationwide geotechnical information based on drilling data, but national geological map contents are not provided separately.

액상화 평가방법은 2019년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 발행한 '지반특성을 반영한 액상화 평가기법(안) 개발'에서 국내 지역환경을 고려한 액상화 평가기법 개발에 대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As for the liquefaction evaluation method, 'Development of a liquefaction evaluation technique (draft) reflecting ground characteristics' published by the National Disaster and Safety Research Institute in 2019 provides content on the development of a liquefaction evaluation technique considering the domestic local environment.

단층조사자료, 지질지반조사자료의 경우 2018년 대한토목학회에서 발행한 '경주지진 원인, 단층 및 진도'와 2019년 부산광역시에서 발행한 '지질·지반조사 자료구축'에서 경주 지역의 단층 조사 자료 및 부산광역시 지진재해도 제작에 활용될 지질·지반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전국 단위의 자료를 제공하는 콘텐츠는 수집이 불가하였다. In the case of fault survey data and geological ground survey data, fault survey data in the Gyeongju area are collected from ‘Gyeongju Earthquake Causes, Faults and Intensity’ published by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in 2018 and ‘Geological and Ground Survey Data Construction’ published by Busan Metropolitan City in 2019. It provides geological and geotechnical information to be used in producing seismic hazard maps for Busan Metropolitan City and Busan Metropolitan City, but it was not possible to collect content that provides nationwide data.

국가지진위험지도 작성의 세부 항목인 지진원은 2008년 한국원자력기술원에서 발행한 '국내 지진의 지진원 특성 규명을 위한 기법 연구' 콘텐츠를 수집하였다. 해당 콘텐츠에서는 진원 결정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조사하고, 현재 사용 가능한 지진들의 모멘트 텐서와 깊이를 결정할 수 있는 파형 역산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The seismic source, which is a detailed item of the national seismic hazard map, was collected from the content of 'Research on techniques for identifying seismic sourc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earthquakes' published by the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in 2008. This content examines the various methods used to determine the epicenter and describes a waveform inversion method that can determine the moment tensor and depth of currently available earthquakes.

국가지진위험지도 작성의 확률론적 지진 위험도 분석(Probabilistic Seismic Hazard Analysis, PSHA) 및 결정론적 지진 위험도 분석(Deterministic Seismic Hazard Analysis, DSHA)에 대한 정보는 1991년 과학기술부에서 발행한 '불확실한 정보에 의한 지진 예측에 관한 연구'를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해당 연구에서는 확률론적 지진예측방법에 있어서의 주관적인 불확실성을 퍼지집합론을 이용하여 취급함으로써, 확률론적 지진예측방법을 보완하는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Information on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Analysis (PSHA) and Deterministic Seismic Hazard Analysis (DSHA) for national seismic hazard mapping can be found in ‘Earthquakes Caused by Uncertain Information’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1991. You may refer to ‘Research on Forecasting’. This study describes how to supplement the probabilistic earthquake prediction method by handling subjective uncertainty in the probabilistic earthquake prediction method using fuzzy set theory.

지진피해 시나리오의 지진취약도 함수는 2007년 및 2008년 국립방재교육연구원에서 발행한 '지진피해 취약도 함수 국산화 연구'를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해당 자료에서는 취약도곡선 도출기법의 비교, 지진취약도함수의 국산화를 통한 시설물별 지진취약도함수의 단계적 국내 적용과 관련된 내용을 상세히 기술하고 있다. 내진설계기준의 경우 지진방재공유포털 내 지진학술자료의 구조물 설계기준에서 국내의 다양한 구조물 설계기준 및 내진설계기준을 수집하여 제공하고 있다.The earthquake vulnerability function of the earthquake damage scenario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the 'Research on localization of the earthquake damage vulnerability function' published by the National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in 2007 and 2008. The data describes in detail the contents related to the comparison of fragility curve derivation techniques and the step-by-step domestic application of the seismic fragility function for each facility through local production of the seismic fragility function. In the case of seismic design standards, various domestic structural design standards and seismic design standards are collected and provided in the structure design standards of earthquake academic materials in the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sharing portal.

그러나 전국지질도나 시설물 정보, 지진가속도 계측자료 파형과 같이 몇몇 요구 콘텐츠들은 자료 수집의 범위가 너무 넓어 수집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콘텐츠를 제외할 경우 현재 수집된 자료가 전문가의 요구를 충실히 반영함을 확인할 수 있다.However, for some requested contents, such as national geological maps, facility information, and seismic acceleration measurement data waveforms, the scope of data collection was so wide that collection itself was impossible. Therefore, if this content is exclude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urrently collected data faithfully reflects the needs of experts.

전문가의 지진 발생 직후 요구 콘텐츠는 표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진이벤트 파형자료, 지진발생지역 지질 및 지반정보, 인프라정보 등 4개 분류로 구분할 수 있고, 분류별 요구 콘텐츠에 대한 세부항목은 총 10개 였으며, 이 중 6개의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As shown in Table 20, the content requested by experts immediately after an earthquake can b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including earthquake event waveform data, geology and ground information of the earthquake occurrence area, and infrastructure information. There were a total of 10 detailed items for each category. , of which 6 related data were collected.

지진 발생지역 지질 및 지반정보는 2005년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지역적 종합 내진 대책 수립을 위한 지반 정보 시스템 구축 기법 개발' 콘텐츠를 수집하였다. 해당 콘텐츠에서는 한반도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지역적 지진 대책 수립을 위해 3차원 GIS 구성 영역 내에서의 지반정보시스템 구축 기법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Geological and geotechnical information on earthquake-prone areas was collected from the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2005 content titled 'Development of geotechnical information system construction techniques for establishing regional comprehensive earthquake resistance measures'. This content describes geotechnical information system construction techniques within the 3D GIS configuration area to establish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regional earthquake measures on the Korean Peninsula.

시설물 안전성 평가를 위한 피해도 분석은 지진 발생 직후 여진 등으로 인한 2차 인명 피해 및 경제적 피해 예방에 대한 조사 및 위험도 평가 기술 개발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 2013년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 발행한 '비선형 지진응답해석에 의한 지진피해 건축물의 여진 위험도 평가기술 개발'을 수집하였다. Damage analysis for facility safety assessment is based on the 'Nonlinear Earthquakes' published by the National Disaster and Safety Research Institute in 2013, which contains information on the prevention of secondary casualties and economic damage caused by aftershocks immediately after an earthquake and the development of risk assessment technology. ‘Development of aftershock risk assessment technology for earthquake-damaged buildings through response analysis’ was collected.

그러나, 지진이벤트 파형자료와 지진 발생지역 건축물 및 인프라 정보에 대한 자료는 수집할 수 없었으나, 지진가속도 파형자료의 경우 기상청을 활용하여 수집이 가능할 것이며, 국외 지진가속도 파형자료의 경우 USGS를 활용하면 수집이 가능할 것이다.However, it was not possible to collect earthquake event waveform data and data on buildings and infrastructure information in the earthquake area. However, seismic acceleration waveform data can be collected using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overseas seismic acceleration waveform data can be collected by using the USGS. Collection will be possible.

전문가의 지진 발생 이후(단기) 요구 콘텐츠는 표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진피해현장조사 참여방법, 지진방재 정보 공유 및 소통체계 등 6개 분류로 구분할 수 있고, 분류별 요구 콘텐츠에 대한 세부항목은 총 7개 였으며, 이 중 5개의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As shown in Table 21, the content requested by experts after the earthquake (short-term) can be divided into six categories, including how to participate in earthquake damage site surveys and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information sharing and communication systems. There are a total of 7 detailed items for each category. There were 5 of them, and relevant data was collected for 5 of them.

지진방재 정보 공유 및 소통체계는 지진방재 콘텐츠 공유 포털 내 대국민 지진정보의 소분류인 재난안전 포털을 통해 다양한 지진방재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The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information sharing and communication system can share various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information through the disaster safety portal, which is a subcategory of public earthquake information within the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sharing portal.

지진피해지역 정보의 지질 및 지반정보와 피해건축물 정보는 2021년 중앙지진재해원인조사단에서 발행한 '「9.12 지진」 현장조사 결과보고', 2021년 기상청의 '포항지진 분석 보고서', 2021년 행정안전부의 '2017 포항지진백서' 등에서 9.12지진과 포항 지진 발생 지역의 지반에 대한 정보 및 피해건축물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The geological and ground information of the earthquake-damaged area and the information on damaged buildings can be found in the '9.12 Earthquake' Field Investigation Results Report' published by the Central Earthquake Disaster Cause Investigation Team in 2021, the 'Pohang Earthquake Analysis Report'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in 2021, and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in 2021. '2017 Pohang Earthquake White Paper' provides information on the ground and damaged buildings in the area where the 9.12 earthquake and Pohang earthquake occurred.

노후 건축물 긴급 보강 보수 기술과 여진에 대한 시설물 안전 확보 방안에 대한 연구자료는 2018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발행한 '보수의 효과를 고려한 철근콘크리트교량의 지진취약도'에서 본진-본진 또는 본진-여진으로 구성된 연속지진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교량에서 연속지진 발생 전에 수행한 보수 또는 보강의 물리적인 효과를 반영한 교량의 내진성능을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연속지진 취약도 평가기법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Research data on emergency reinforcement and repair technologies for old buildings and measures to ensure facility safety against aftershocks are found in ‘Seismic Vulnerability of Reinforced Concrete Bridges Considering Repair Effects’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in 2018. We collected research data on continuous earthquake vulnerability assessment techniques that can effectively predict the seismic performance of bridges that reflect the physical effects of repairs or reinforcement performed before continuous earthquakes on reinforced concrete bridges subjected to continuous earthquakes.

전문가의 지진 발생 이후(장기) 요구 콘텐츠는 표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진백서, 지진피해현장 CCTV 영상, 지진피해자 인터뷰 및 설문 총 3개 분류로 구분할 수 있고, 분류별 요구 콘텐츠에 대한 세부항목은 총 4개 였으며, 이 중 4개의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As shown in Table 22, experts' post-earthquake (long-term) required content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earthquake white paper, earthquake damage site CCTV footage, and earthquake victim interviews and surveys. There are a total of 4 detailed items for each category. There were 4 of them, and related data was collected for 4 of them.

지진백서는 9.12. 지진백서와 2017년 포항지진백서의 경우 2017년 국민 안전처에서 발행한 '9.12. 지진백서 -9.12. 지진과 그 후 180일간의 기록-'과 2018년 행정안전부에서 발행한 '2017 포항지진 백서'를 수집하였고, 지진피해현장 CCTV 영상은 뉴스나 YouTube 영상 등을 수집하였고, 지진피해자 인터뷰 및 설문과 관련된 콘텐츠는 출연금사업에서 수행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지진에 대한 국민 인식 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The earthquake white paper is 9.12. In the case of the earthquake white paper and the 2017 Pohang earthquake white paper, '9.12.'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in 2017. Earthquake White Paper -9.12. We collected records of the earthquake and the 180 days after it and the '2017 Pohang Earthquake White Paper'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in 2018, CCTV footage of earthquake damage sites was collected from news and YouTube videos, and interviews and surveys of earthquake victims were collected. For the content, data on public awareness of earthquakes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conducted by the contribution project.

지진 발생 전, 지진 발생 직후, 지진 발생 이후(단기) 및 지진 발생 이후(장기)에 대한 전문가의 요구 콘텐츠 중 전국 지질도, 시설물 정보, 지진 발생지역 건축물 및 인프라 정보 등 수집이 불가능한 몇몇 자료를 제외한 대부분의 자료를 수집하여 전문가의 요구를 충실히 반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국내 지진연구 기초정보는 지진재난관리를 위해 필요한 자료들이므로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투자와 연구자료 수집 및 자료 공유가 필요할 것이다.Most of the content requested by experts about before, immediately after, after (short-term) and after (long-term) an earthquake, except for some data that cannot be collected, such as national geological maps, information on facilities, and information on buildings and infrastructure in earthquake-prone areas. It was confirmed that the data was collected and faithfully reflected the needs of experts. However, since the basic information on domestic earthquake research is necessary for earthquake disaster management, continuous research investment, research data collection, and data sharing will be necessary.

라. 콘텐츠 수집 현황la. Content collection status

앞서 기술한 수요자별 요구 콘텐츠 분류체계를 바탕으로 각각의 요구 콘텐츠에 대한 수집 자료와 미수집 자료를 구분하여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Based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for content requested by consumer described above, the collected data and uncollected data for each requested content are classified as follows.

콘텐츠 분류 체계도 ver. 4.0에서 대국민의 지진 발생 전과 직후, 지진 발생 이후(단기), (장기)의 전 과정에서 지금까지 요구된 콘텐츠에 대한 수집현황을 나타내면 도 12a 내지 도 12c와 같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국민의 요구 콘텐츠에 대한 수집 현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지금까지 수집한 지진방재 자료 중에서 분류 체계도의 세부 분류에 1개 이상의 자료나 정보가 있는 세부분류는 파란색으로 표시하였는데, 지진 발생 이후(장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수집이 된 상태이다. Content classification system ver. In 4.0, the collection status of the content requested so far in the entire process of the public before and after the earthquake, after the earthquake (short-term), and (long-term) is shown in Figures 12a to 12c. Figures 12A to 12C are diagrams showing the collection status of content requested by the publ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data collected so far, those with more than one piece of data or information in the detailed classification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are marked in blue, and most of them have been collected except for after the earthquake occurred (long-term).

실무자의 요구 콘텐츠에 대한 수집 현황을 나타내면 도 13a 내지 도 13c와 같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무자의 요구 콘텐츠에 대한 수집 현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요구 콘텐츠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실무자는 지진 발생 전과 지진 발생 이후(장기)보다 발생 직후와 이후(단기)의 콘텐츠에 대한 수집이 많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The collection status of content requested by practitioners is shown in Figures 13A to 13C. Figures 13A to 13C are diagrams showing the collection status of content requested by practition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actitioners who are expected to have a lot of required content can see that more content was collected immediately after and after the earthquake (short-term) than before and after the earthquake (long-term).

전문가의 요구 콘텐츠에 대한 수집 현황을 나타내면 도 14a 내지 도 14c와 같이 중분류에 비교하여 세부분류가 많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문가의 요구 콘텐츠에 대한 수집 현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지진방재에 관련된 각 연구분야별 요구 콘텐츠는 향후에 지진방재 R&D 로드맵과 연계하여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부 분류별 요구 콘텐츠를 추가로 도출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국민, 실무자 및 전문가의 요구 콘텐츠 분류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렇게 수집된 콘텐츠에 대한 현황을 보다 정량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1개 이상 수집된 세부 분류를 카운트하여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률로 나타낼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국민, 실무자 및 전문가의 요구 콘텐츠 수집률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요자별, 지진발생 시기별 요구 콘텐츠 수집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의 수요자별 요구 콘텐츠 수집률에서 대국민의 지진 발생 직후와 지진 발생 이후(단기), 전문가의 지진 발생 전과 지진 발생 이후(단기)는 77% 이상의 수집률을 나타내어 양호한 수준의 자료수집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국민의 지진 발생 이후(장기)의 수집률은 25%로 해당 콘텐츠에 대한 자료수집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무자의 지진 발생 직후와 지진 발생 이후(단기)의 수집률은 모두 94% 이상으로 충실히 자료수집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였으나, 지진 발생 전과 지진 발생 이후(장기)는 50~65%로 낮게 나타났다. 전문가의 지진 발생 이후(장기)는 100%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나, 나머지 단계는 60~74%의 수집률을 보였다.When showing the collection status of contents requested by expert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t many detailed classifications compared to the middle classification, as shown in Figures 14a to 14c. Figures 14A to 14C are diagrams showing the collection status of content requested by exper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quired content for each research field related to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an be linked to the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R&D roadmap in the future to additionally derive required content by detailed classification as shown in Figure 15. Figure 15 is a diagram showing a classification of content requested by the public, practitioners, and exper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ore quantitatively indicate the status of the content collected in this way, one or more detailed classifications collected can be counted and expressed as a collection rate as shown in FIGS. 16 and 17. Figure 16 is a diagram showing the collection rate of requested content by the public, practitioners, and exper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7 is a diagram showing the collection rate of requested content by consumer and earthquake occurrence peri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n the content collection rate requested by consumer in Figure 17, the collection rate of over 77% was shown for the general public immediately and after the earthquake (short term) and for experts before and after the earthquake (short term), indicating that a good level of data collection was achieved. appear. However, the public collection rate after the earthquake occurred (long-term) was 25%, indicating that data collection for the relevant content was necessary. The collection rate of practitioners immediately after the earthquake and after the earthquake (short-term) was over 94%, indicating that the data was faithfully collected, but before and after the earthquake (long-term), the rate was low at 50-65%. The experts' post-earthquake occurrence (long-term) showed the highest figure of 100%, but the remaining stages showed a collection rate of 60-74%.

수요자별 수집률은 실무자가 79%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대국민 78%, 전문가 73%로 나타나, 요구 콘텐츠에 대한 수집이 양호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지진 발생 시기별 콘텐츠 수집률에서 지진 발생 전은 77%의 수집률, 지진 발생 직후는 83%, 지진 발생 이후(단기)는 86%, 지진 발생 이후(장기)는 50%로 나타나, 시기별로는 지진 발생 이후(장기)의 콘텐츠 수집이 미흡했음을 보여주었다.The collection rate by demand was the highest for practitioners at 79%, followed by the general public at 78% and experts at 73%, indicating that the requested content was well collected. The content collection rate by earthquake occurrence period shows a collection rate of 77% before the earthquake, 83% immediately after the earthquake, 86% after the earthquake (short-term), and 50% after the earthquake (long-term). It showed that content collection after the outbreak (long-term) was insufficient.

따라서, 향후 수행되는 지진방재 관련 연구에서는 지진이 발생한 도시의 재생사업이나 사회경제적 피해 정도 등과 같이 지진발생 이후 장기적 관점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in future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related research,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the long-term perspective after the earthquake, such as regeneration projects in the city where the earthquake occurred or the extent of socioeconomic damag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요자 맞춤형 지진방재 콘텐츠 공유포털 마련을 위해 2018년부터 4년간 수행된 연구의 성과, 보완점 및 향후 계획을 종합적으로 기술하였다. 우선, 대국민, 실무자 및 전문가의 요구 콘텐츠를 확인하기 위해 설문조사, 전문가 인터뷰 및 SNS 동향 분석 등을 수행하였으며, 해당 결과를 바탕으로 지진방재 콘텐츠 분류 체계도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기수행된 연구 및 올해 수행된 연구 결과를 통해 최종 작성된 각 집단의 분류체계 요구 콘텐츠 세부 항목 개수는 대국민 54개, 실무자 76개, 전문가 44개로 확인되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ults, complements, and future plans of the research conducted over four years since 2018 were comprehensively described to prepare a user-tailored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sharing portal. First, surveys, expert interviews, and SNS trend analysis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content requested by the public, practitioners, and experts. Based on the results, the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classification system was continuously improved.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ly conducted research and this year's research, the final number of detailed content items required for the classification system for each group was confirmed to be 54 for the public, 76 for practitioners, and 44 for experts.

지진방재 관련 콘텐츠 수집 외에 지진방재 연구에 중요한 국내 지반정보를 직접 계측하고 수집하였다. 이를 위해 4년간 총 1,528개소에 대한 지역별 지반특성정보(주상도, N치, 탄성파 속도 등)를 수집하였으며, 속도계를 이용한 상시미동 현장계측을 통한 지반 특성 분석도 수행하였다. In addition to collecting content related to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we directly measured and collected domestic geotechnical information important for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research. For this purpose, regional ground property information (column diagram, N value, seismic wave velocity, etc.) was collected for a total of 1,528 locations over a period of four years, and ground property analysis was also performed through continuous field measurement using a speedometer.

수요자 맞춤형 지진방재 콘텐츠 수집을 위해 관련 자료를 보유한 것으로 판단되는 22개의 국가 및 연구기관을 선정하였으며, 해당 기관들이 보유한 다양한 주제의 자료 중 지진방재 관련 콘텐츠만의 수집을 위해 지진, 지진해일, 지진방재 등 8개의 핵심 단어를 사용하였다. 해당 핵심 단어를 통해 초기 수집된 자료에 대해 수요자 요구에 부합되지 않는 콘텐츠와 중복자료를 제외한 최종 수집 콘텐츠는 문서 콘텐츠 2,157개, 이미지 콘텐츠 2개, 영상 콘텐츠 71개 등 총 2,242개였다. In order to collect customized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we selected 22 countries and research institutes that are judged to have relevant data. Among the various topics held by the relevant institutions, we selected earthquake, tsunami, and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to collect only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Eight key words were used, including: With respect to the data initially collected through the key words, the final collected content excluding content that did not meet the needs of consumers and duplicate data was a total of 2,242, including 2,157 document content, 2 image content, and 71 video content.

수집된 지진방재 콘텐츠가 수요자의 요구를 충실히 반영하였는지 확인하기 위해 각 집단별 요구 콘텐츠 세부항목과 수집된 지진방재 콘텐츠를 비교하였다. 각 집단의 수집된 콘텐츠 개수는 대국민 42개, 실무자 60개, 전문가 32개로 확인되었으며, 수집률은 각각 73~79%를 나타내어 모든 집단에서 70% 이상의 양호한 수집 현황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해당 수집 콘텐츠를 지진 발생 시기별로 구분하면 지진 발생 전, 지진 발생 직후 및 지진 발생 이후(단기)는 각각 77~86%로 양호한 수집률을 보이지만, 지진 발생 이후(장기)는 50%의 수집률을 보여 자료의 수집이 부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To confirm whether the collected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faithfully reflected the needs of consumers, detailed content items requested by each group were compared with the collected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The number of collected contents for each group was confirmed to be 42 for the public, 60 for practitioners, and 32 for experts, and the collection rate was 73 to 79%, respectively, showing a good collection status of more than 70% in all groups. However, when the collected content is divided by the time of the earthquake, the collection rate is 77~86% before the earthquake, immediately after the earthquake, and after the earthquake (short-term), but the collection rate is 50% after the earthquake (long-term). It was confirmed that data collection was insufficient.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부(15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Figure 18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ent providing unit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부(150)는, 분류블록 선출부(210), 수집콘텐츠 선출부(220), 체인 공급부(230), 이송로(2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8, the content provider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assification block selection unit 210, a collection content selection unit 220, a chain supply unit 230, and a transfer path 240. It can be included.

분류블록 선출부(210)는 분류대상 도출부(110)에서 생성된 주체별 분류 또는 시간대별 분류에 해당하는 분류 블록을 선택하여 출력한다.The classification block selection unit 210 selects and outputs a classification block corresponding to the classification by subject or classification by time zone generated by the classification object derivation unit 110.

콘텐츠 선출부(220)는 분류블록 선출부(210)에서 선택 출력한 주체별 분류 블록에 대응되는 수집 콘텐츠를 선택하여 출력하거나, 분류블록 선출부(210)에서 선택 출력한 시간대별 분류 블록에 대응되는 수집 콘텐츠를 선택하여 출력한다.The content selection unit 220 selects and outputs collecte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ubject-specific classification block selected and output by the classification block selection unit 210, or corresponds to the time zone classification block selected and output by the classification block selection unit 210. Select and print the collected content.

체인 공급부(230)는 분류블록 선출부(210)에서 선택 출력된 주체별 분류 블록과 시간대별 분류 블록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체인(Connecting Chain)을 공급한다. 즉, 체인 공급부(230)는 분류블록 선출부(210)에서 선택 출력된 대국민, 실무자, 전문가 별 블록과 발생 전, 발생 후 및 정기 별 블록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체인을 공급하는 것이다.The chain supply unit 230 supplies a connecting chain to connect the subject-specific classification blocks and time zone classification blocks selected and output from the classification block selection unit 210. In other words, the chain supply unit 230 supplies a connection chain to connect the blocks for the public, practitioners, and experts selected and output from the classification block selection unit 210, and the blocks for each block before, after, and regularly.

또한, 체인 공급부(230)는 분류블록 선출부(210)에서 선택 출력된 분류 블록과 콘텐츠 선출부(220)에서 선택 출력된 콘텐츠를 연결 매칭하기 위한 매칭 체인(Matching Block Chain)을 공급한다.In addition, the chain supply unit 230 supplies a matching chain (Matching Block Chain) for connecting and matching the classification block selected and output from the classification block selection unit 210 and the content selected and output from the content selection unit 220.

즉, 체인 공급부(230)는 분류블록 선출부(210)에서 선택 출력된 대국민, 실무자, 전문가 별 블록과 발생 전 및 발생 후 블록을 연결 체인을 통해 연결하고, 여기에 수집된 콘텐츠를 매칭 체인(Matching Block Chain)을 통해 매칭시키는 것이다.That is, the chain supply unit 230 connects the blocks for each citizen, practitioner, and expert selected and output from the classification block selection unit 210 and the blocks before and after the occurrence through a connection chain, and the content collected here is connected to the matching chain ( Matching is done through Matching Block Chain.

이송로(340)는 예컨대, 컨베이어 벨트처럼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는 장치에 의해 매칭 체인을 통해 연결 매칭된 분류 블록과 콘텐츠의 결합체(350)를 이송하여 출력한다.The transfer path 340 transfers and outputs the combination 350 of the classified blocks and contents connected and matched through a matching chain by a device that converts rotational movement into linear movement, such as a conveyor belt.

또한, 이송로(340)는 연결 체인을 통해 서로 연결된 주체별 블록과 시간대별 블록들의 결합체(350)를 이송하여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fer path 340 can transfer and output the combination 350 of blocks for each subject and blocks for each time period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ion chain.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류블록 생성부에서 생성된 주체별 분류 블록들과 시간대별 블록들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9 is a diagram showing examples of classification blocks by subject and blocks by time zone generated by the classification block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류블록들은, 주체별 블록(410)과 시간대별 블록(42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9, classification bloc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block 410 for each subject and a block 420 for each time zone.

주체별 블록(410)은, 대국민 블록(411); 실무자 블록(412); 전문가 블록(413)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bject-specific block 410 includes the public block 411; practitioner block (412); It may include an expert block 413.

시간대별 블록(420)은, 발생이전 블록(421); 발생직후 블록(422); 발생이후(단기) 블록(423); 및 발생이후(장기) 블록(424)을 포함할 수 있다.The time zone block 420 includes the block before occurrence (421); Block immediately after occurrence (422); Post-occurrence (short-term) block (423); and a post-occurrence (long-term) block 424.

이때, 주체별 블록(410)과 시간대별 블록(420)은 각각 독립적인 개체이고, 육면체 또는 구 형태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bject block 410 and the time zone block 420 are each independent entities and may have a hexahedral or spherical shape.

따라서, 제1 분류 블록은 대국민 블록(411)이고, 제2 분류 블록은 실무자 블록(412)이고, 제3 분류 블록은 전문가 블록(413)이고, 제4 분류 블록은 발생이전 블록(421)이고, 제5 분류 블록은 발생직후 블록(422)이고, 제6 분류 블록은 발생이후(단기) 블록(423)이며, 제7 분류 블록은 발생이후(장기) 블록(424)이 될 수 있다.Therefore, the first classification block is the public block 411, the second classification block is the practitioner block 412, the third classification block is the expert block 413, and the fourth classification block is the pre-occurrence block 421. , the fifth classification block may be a post-occurrence block 422, the sixth classification block may be a post-occurrence (short-term) block 423, and the seventh classification block may be a post-occurrence (long-term) block 424.

제1 분류 블록(411) 내지 제7 분류 블록(424)은, 각각 서로 독립된 오브젝트이고, 분석부(130)의 분석 결과에 따라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칭 체인(Matching Chain)(352)을 통해 콘텐츠 블록(354)과 연결 매칭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분류 블록이 매칭 체인을 통해 콘텐츠 블록과 연결 매칭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The first classification block 411 to the seventh classification block 424 are each independent objects, an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the analysis unit 130, a matching chain 352 is formed as shown in FIG. 20. It can be connected and matched with the content block 354. Figure 20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first classification block is connected and matched with a content block through a matching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제1 분류 블록(411) 내지 제7 분류 블록(424)은, 분석부(130)의 분석 결과에 따라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분류 블록(412)과 제5 분류 블록(422)이 연결 체인(Connecting Chain)(354)을 통해 서로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 분류 블록이 연결 체인을 통해 서로 연결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어, 제2 분류 블록(412)과 제5 분류 블록(422)이 연결 체인(Connecting Chain)(354)을 통해 서로 연결된 연결체(350)는 도 5b에 도시된 실무자의 지진 발생 직후에 해당하는 콘텐츠 중 하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o seventh classification blocks 411 to 424 are divided into a second classification block 412 and a fifth classification block ( 422) may be connected to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through a connecting chain (354). Figure 2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wo classification bloc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ion chain. For example, the connection body 350 in which the second classification block 412 and the fifth classification block 42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ing chain 354 is immediately after the occurrence of the earthquake by the practitioner shown in FIG. 5B. It may be one of the corresponding contents.

그리고, 제2 분류 블록(412)과 제5 분류 블록(422)이 연결된 것에 매칭 체인(Matching Chain)(352)을 통해 콘텐츠 블록(354)과 연결된 연결체(350)는, 예를 들면,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재난관리 실무자의 지직발생 직후에 해당하는 현장 지진재난 업무 중 지진재난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이 될 수 있다.And, the connection body 350 connected to the content block 354 through a matching chain 352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classification block 412 and the fifth classification block 422 is, for example, shown in FIG. It can be an action manual for earthquake disaster field measures during on-site earthquake disaster work immediately after the occurrence of cracks by disaster management workers shown in Figures 13a and 13b.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곳에 흩어져 있는 지진방재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를 분류 및 분석하여 바로 활용이 가능한 콘텐츠를 제공하며, 이를 지진방재 콘텐츠 공유 포털을 통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진 방재 콘텐츠 분류를 통한 지진 방재 콘텐츠 제공 방법과 그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data scattered in various places is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is classified and analyzed to provide immediately usable content, and this can be shared through an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sharing portal. ,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can be realized through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classification.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should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an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Just do 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 지진 방재 콘텐츠 제공 시스템 110 : 분류대상 도출부
120 : 콘텐츠 수집부 130 : 계측기
140 : 분석부 150 : 콘텐츠 제공부
160 : 데이터베이스 410 : 주체별 블록
411 : 대국민 블록 412 : 실무자 블록
413 : 전문가 블록 420 : 시간대별 블록
421 : 발생 이전 블록 422 : 발생 직후 블록
423 : 발생이후(단기) 블록 424 : 발생이후(장기) 블록
100: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provision system 110: Classification target derivation unit
120: content collection unit 130: measuring instrument
140: analysis department 150: content provision department
160: Database 410: Block by subject
411: Public Block 412: Practitioner Block
413: Expert block 420: Time zone block
421: Block before occurrence 422: Block immediately after occurrence
423: Post-occurrence (short-term) block 424: Post-occurrence (long-term) block

Claims (10)

분류대상 도출부, 콘텐츠 수집부, 계측기, 분석부 및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지진 방재 콘텐츠 분류를 통한 지진 방재 콘텐츠 제공 방법으로서,
(a) 상기 분류대상 도출부가 지진 방재에 대한 주체별 및 시간대별 요구 콘텐츠를 분류하는 단계;
(b) 상기 분류대상 도출부가 상기 분류에 따라 분류별 지진 방재 콘텐츠의 수집 대상을 도출하는 단계;
(c) 상기 콘텐츠 수집부가 상기 분류별 지진 방재 콘텐츠의 수집 대상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d) 상기 분석부가 상기 수집된 콘텐츠 정보에 근거해 현장 계측 자료를 분석하는 단계; 및
(e) 상기 콘텐츠 제공부가 상기 분석된 결과에 따른 요구 콘텐츠를 지진방재 콘텐츠 공유 포털을 통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진 방재 콘텐츠 분류를 통한 지진 방재 콘텐츠 제공 방법.
As a method of providing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through classification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in a system including a classification object derivation unit, content collection unit, measuring instrument, analysis unit, and content provision unit,
(a) the classification target deriving unit classifies required content by subject and time zone for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b) the classification target deriving unit deriving a collection target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for each category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c) the content collection unit collecting content information about the collection target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for each category;
(d) the analysis unit analyzing field measurement data based on the collected content information; and
(e) the content provider providing requested conten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rough an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sharing portal;
Method of providing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through classification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includ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콘텐츠를 분류하는 단계는, 지진에 대하여 발생 전, 발생 후 및 정기로 항목을 구분하고, 각 항목 내에서 대국민, 실무자, 전문가 별로 실시된 설문조사, 인터뷰, SNS 게시물을 구분하여 분류하는, 지진 방재 콘텐츠 분류를 통한 지진 방재 콘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classifying the requested content is to categorize items into before, after, and regular earthquakes, and to classify surveys, interviews, and SNS posts conducted by the public, practitioners, and experts within each item. Method of providing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through classification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국민에 대한 요구 콘텐츠는, 지진발생정보, 지진행동요령, 지진피해상황, 재난피해자 지원 관련 정보, 신뢰할 수 있는 지진방재정보 출처, 대피경로 및 교통상황, 대피소 관련 정보, 건축물 피해 복구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진의 발생 전 정보는 ‘고층건물 지진행동 요령', '국내거주 외국인 대상 대피요령', '실외 지진행동요령', '운전 중 지진행동요령', '대중교통 이용 중 지진행동 요령'을 포함하고,
상기 지진의 발생 직후 단기 정보는 상기 지진으로 인해 대피소로 피난한 국민들이 안전하게 본인의 주거시설로 복귀한 후의 행동수칙을 담은 '가정 복귀 후 행동요령'을 포함하고,
상기 지진의 발생 후 장기 정보는 거주시설이 반파 혹은 완파되어 주거시설로 복귀가 불가능한 국민들을 위한 '거주시설 연계지원'을 포함하는, 지진 방재 콘텐츠 분류를 통한 지진 방재 콘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2,
The content requested from the public includes earthquake occurrence information, earthquake behavior tips, earthquake damage status, information on disaster victim support, reliable sources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information, evacuation routes and traffic conditions, information on shelters, and information on building damage recovery. Contains,
The information before the earthquake occurs includes ‘Earthquake behavior tips for high-rise buildings’, ‘Evacuation tips for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Outdoor earthquake behavior tips’, ‘Earthquake behavior tips while driving’, and ‘Earthquake behavior tips while using public transportation’. do,
Short-term information immediately after the occurrence of the above earthquake includes 'Guidelines for conduct after returning home', which contains the rules of conduct for citizens who evacuated to evacuation centers due to the above earthquake after safely returning to their residential facilities,
Long-term information after the occurrence of the earthquake is a method of providing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through classification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including 'residential facility linkage support' for citizens who are unable to return to their residential facilities due to half or complete destruction of their residential faciliti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무자에 대한 요구 콘텐츠는, 지방자치단체 실무자에 대하여 '지진업무 추진에 대한 세부적인 매뉴얼 작성 및 개선', 중앙정부에 대하여 '예산, 인력을 포함해 자체적 해결이 어려운 사안들에 대한 적극 지원과 협력', 피해자 및 이재민에 대하여 '구호시설 이용에 대한 이해 및 이재민 간 양보와 배려', 지진전문가 및 연구자에 대하여 '지진발생 후 향후 발생 가능한 지진에 대한 연구 분석'을 포함하고,
시설관리자의 경우, 지방자치단체 실무자에 대하여 '지진업무와 관련된 자료와 반복적인 교육', 중앙정부에 대하여 '신속한 지진대응 및 복구를 위한 지원', 피해자 및 이재민에 대하여 '실내구호소 내 질서 유지와 이재민 간 양보 및 배려', 지진전문가 및 연구자에 대하여 '내진설계 및 보강 관련 연구개발'을 포함하고,
상기 지진의 발생 전 지진방재계획과 관련된 '긴급소방도로 마련'을 포함하고, 상기 지진의 발생 직후는 '긴급위험도 평가 실시' 및 '타지역의 의료지원 가능 정보 제공'을 포함하고, 상기 지진의 발생 이후 장기적으로 '산업 시설물의 피해' 및 '거주시설 확보'를 포함하는, 지진 방재 콘텐츠 분류를 통한 지진 방재 콘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2,
The contents requested for the above working-level workers are: 'Preparation and improvement of detailed manuals for earthquake work promotion' for local government workers, 'Active support and improvement of issues that are difficult to resolve on their own, including budget and manpower', for the central government. Cooperation', for victims and disaster victims, 'understanding of the use of relief facilities and concessions and consideration among victims', and for earthquake experts and researchers, 'research and analysis of earthquakes that may occur in the future after the earthquake'.
In the case of facility managers, 'earthquake work-related materials and repetitive training' for local government workers, 'support for rapid earthquake response and recovery' for the central government, and 'maintaining order in indoor relief centers' for victims and disaster victims. Includes 'concessions and consideration between victims and disaster victims'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related to earthquake-resistant design and reinforcement' for earthquake experts and researchers.
It includes 'preparation of emergency fire roads' related to the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plan before the occurrence of the above earthquake, and includes 'conducting emergency risk assessment' and 'provision of information on availability of medical support in other areas' immediately after the occurrence of the above earthquake. A method of providing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through classification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including 'damage to industrial facilities' and 'securing residential facilities' in the long term after the occurren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문가에 대한 요구 콘텐츠는,
상기 지진의 발생 이전에, 상기 지진을 유발시키는 단층에 대한 '단층별 지진 발생 주기 정보', '단층별 최대발생가능 지진 규모', '단층 활동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진연구 기초정보;
'지진유발 산사태', '급경사지 위험지도 현행화', '한반도 3차원 지하 단층', '속도구조 통합모델 개발'을 포함하는 지질지반조사자료;
'국내 대표 지진 규모', '규모 보정계수 산정', '국내 기록에 기초한 감쇠식의 개발' 및 '구조재의 내진보강 기술개발'을 포함하는 지진연구 및 실험시설과 관련된 정보; 및
'조기경보 기술 개발의 연구', '지진피해 시나리오를 통한 선제적 대응체계 구축' 및 '시설물 안전성 평가를 위한 피해도 분석'을 포함하는 지진감시 역량 확보 정보;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진의 발생 직후에는 '지진파 스펙트럼 분석'을 포함하는 지진 방재 콘텐츠 분류를 통한 지진 방재 콘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2,
The content required for the above experts is:
Before the occurrence of the earthquake, basic information on earthquake research, including 'seismic cycle information for each fault', 'maximum possible earthquake magnitude for each fault', and 'information on fault activity rate' for the fault causing the earthquake;
Geological ground investigation data including ‘earthquake-induced landslides’, ‘currentization of steep slope hazard maps’, ‘3D underground faults on the Korean Peninsula’, and ‘development of integrated velocity structure model’;
Information related to earthquake research and testing facilities, including 'domestic representative earthquake magnitude', 'magnitude correction coefficient calculation', 'development of attenuation equation based on domestic records', and 'development of seismic reinforcement technology for structural materials'; and
Information on securing earthquake monitoring capabilities, including 'research on early warning technology development', 'establishment of a preemptive response system through earthquake damage scenarios', and 'damage analysis for facility safety assessment';
Including,
A method of providing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through classification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including 'seismic wave spectrum analysis' immediately after the occurrence of the above earthquake.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지진 방재에 대한 주체별 및 시간대별 요구 콘텐츠를 분류하고, 상기 분류에 따라 분류별 지진 방재 콘텐츠의 수집 대상을 도출하는 분류대상 도출부;
상기 분류별 지진 방재 콘텐츠의 수집 대상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수집하는 콘텐츠 수집부;
상기 수집된 콘텐츠 정보에 근거해 지진 가능 현장 또는 지진 발생 현장에서 지반 증폭 특성 및 지질을 계측하는 계측기;
상기 수집된 콘텐츠 정보에 근거해 상기 계측된 현장 계측 자료를 분석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된 결과에 따른 요구 콘텐츠를 지진방재 콘텐츠 공유 포털을 통하여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
를 포함하는 지진 방재 콘텐츠 분류를 통한 지진 방재 콘텐츠 제공 시스템.
a classification object derivation unit that receives data from the user, classifies required content for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by subject and time period, and derives collection targets for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for each category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a content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content information on objects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for each category;
An instrument that measures ground amplification characteristics and geology at a possible earthquake site or an earthquake occurrence site based on the collected content information;
an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measured field measurement data based on the collected content information; and
a content provider that provides requested conten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rough an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sharing portal;
A system for providing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through classification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including.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기는 진동 감지 센서, 기록계 및 속도계 장비를 이용한 상시 미동을 계측하여 상시 미동 계측 자료를 획득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획득된 상시 미동 계측 자료와 지반 조사 보고서를 비교하여, 불특정 진동원에 의한 상시 미동으로 지반특성을 구하는 HVSR(Horizontal to Vertical Spectral Ratio) 분석을 실행하고,
상기 상시 미동의 계측파형은 5% 코사인 테이퍼링이 사용되고, 상기 분석에 사용된 주파수 범위는 0.1 내지 50 Hz Butterworth filter가 적용되고,
상기 HVSR의 결과 그래프는 Konno-Ohmachi window를 이용한 smoothing 알고리즘이 적용된, 지진 방재 콘텐츠 분류를 통한 지진 방재 콘텐츠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6,
The measuring instrument measures fine motion at all times using a vibration detection sensor, recorder, and speedometer equipment to obtain constant fine motion measurement data,
The analysis unit compares the obtained constant motion measurement data with the ground investigation report and performs HVSR (Horizontal to Vertical Spectral Ratio) analysis to obtain ground properties through constant motion caused by an unspecified vibration source,
5% cosine tapering is used for the always-fine measurement waveform, and the frequency range used in the analysis is a 0.1 to 50 Hz Butterworth filter,
The result graph of the HVSR above is an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provision system through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classification to which a smoothing algorithm using the Konno-Ohmachi window is applie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시 미동 계측 자료는 지진계를 이용하여 지진동의 움직임을 시간에 따라 기록하는 연속적인 자료이고, 이러한 연속성을 가진 자료의 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자료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분할하여 증가시켜 지진계 주변 잡음이 배제된 자료이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상시 미동 계측 자료를 30초의 시간창(Time window)으로 나누어 계산하고, 각 시간창과 시간창 사이는 6초를 겹쳐서 상기 HVSR 분석을 실행하여, 상기 HVSR 분석의 실행 결과로 계측지점에 대한 지반의 우세주파수를 획득하고,
상기 우세주파수는 지반의 상부층 내에서 진동에 대한 중복반사 현상이 발생되어, 지표면을 크게 진동시키는 공진 현상이 발생할 때의 특정 주파수인, 지진 방재 콘텐츠 분류를 통한 지진 방재 콘텐츠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7,
The above-mentioned regular motion measurement data is continuous data that records the movement of ground motion over time using a seismometer. In order to increase the number of data with such continuity, the data is divided and increased at regular time intervals to exclude noise around the seismometer. It is a material that has been
The analysis unit calculates the constant-motion measurement data by dividing it into time windows of 30 seconds, executes the HVSR analysis with 6 seconds overlapping between each time window, and determines the measurement point as a result of the HVSR analysis. Obtain the dominant frequency of the ground,
The dominant frequency is a specific frequency when an overlapping reflection phenomenon for vibration occurs within the upper layer of the ground and a resonance phenomenon that causes the ground surface to vibrate significantly occurs. A system for providing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through classification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지반 조사 보고서에 포함된 기반암의 근입 깊이(토층두께)와 토층 상부 30m 전단파속도(Vs30)를 비교하고, 상기 기반암의 근입 깊이(토층두께)에 대해 전단파속도(Vs)를 4배의 우세주파수(4f)로 나누어 산출하는, 지진 방재 콘텐츠 분류를 통한 지진 방재 콘텐츠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8,
The analysis unit compares the penetration depth (soil layer thickness) of the bedrock included in the ground investigation report with the shear wave speed (V s30 ) at the top 30 m of the soil layer, and sets the shear wave speed (Vs) to 4 for the penetration depth (soil layer thickness) of the bedrock. A system for providing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through classification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calculated by dividing by the ship's dominant frequency (4f).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HVSR 분석의 실행 결과에 대해 HVSR 비율이 일정 기준 3.0 이하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토층 상부 30m 전단파속도(Vs30)를 변환한 결과는 100m/s 내외로 차이가 발생되고,
상기 HVSR 비율이 3.0 이상의 값을 갖는 곳은 토층이 깊은 연약지반으로 분석하며, 3.0 이하의 값을 도출한 지역은 상기 우세주파수가 낮더라도 단단한 지반으로 분석하는, 지진 방재 콘텐츠 분류를 통한 지진 방재 콘텐츠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9,
The analysis unit determines whether the HVSR ratio is less than or equal to a certain standard of 3.0 based on the execution result of the HVSR analysis,
The result of converting the shear wave velocity (V s30 ) at the top 30 m of the soil layer shows a difference of about 100 m/s,
Areas where the HVSR ratio has a value of 3.0 or more are analyzed as soft ground with a deep soil layer, and areas where the HVSR ratio has a value of 3.0 or less are analyzed as hard ground even if the dominant frequency is low.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through classification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 Delivery system.
KR1020220124310A 2022-09-29 2022-09-29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s through classification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s KR1026048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310A KR102604840B1 (en) 2022-09-29 2022-09-29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s through classification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310A KR102604840B1 (en) 2022-09-29 2022-09-29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s through classification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4840B1 true KR102604840B1 (en) 2023-11-24

Family

ID=88972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4310A KR102604840B1 (en) 2022-09-29 2022-09-29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s through classification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484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890B1 (en) * 2006-09-06 2007-09-05 박상우 System and method for regional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KR102186758B1 (en) 2019-07-02 2020-12-04 주식회사 라온컨버전스 Method for controlling and security of intelligent system for preventing disaster of earthquake
KR20220067152A (en) * 2020-11-17 2022-05-24 한국산업기술시험원 System for evaluating performance of disaster response system using boundary value by using expert evalu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890B1 (en) * 2006-09-06 2007-09-05 박상우 System and method for regional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KR102186758B1 (en) 2019-07-02 2020-12-04 주식회사 라온컨버전스 Method for controlling and security of intelligent system for preventing disaster of earthquake
KR20220067152A (en) * 2020-11-17 2022-05-24 한국산업기술시험원 System for evaluating performance of disaster response system using boundary value by using expert eval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pathoma-Köhle et al. Elements at risk as a framework for assessing the vulnerability of communities to landslides
National Research Council et al. National earthquake resilience: research, implementation, and outreach
Maio et al. Seismic vulnerability assessment of historical urban centres: Case study of the old city centre of Faro, Portugal
Duzgun et al. An integrated earthquake vulnerability assessment framework for urban areas
Mileti et al. Earthquake prediction response and options for public policy
Nazmfar et al. Vulnerability evaluation of urban buildings to various earthquake intensities: A case study of the municipal zone 9 of Tehran
Hajibabaee et al. Earthquake risk assessment in urban fabrics based on physical, socioeconomic and response capacity parameters (a case study: Tehran city)
Aman et al.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for city-scale infrastructure of post-earthquake assembly areas: Case study of Istanbul
Bendito et al. Assessing potential earthquake loss in Mérida State, Venezuela using Hazus
Yıldırım Esen et al. Assessment of risks on a territorial scale for archaeological sites in İzmir
Hassanzadeh Earthquake population loss estimation using spatial modelling and survey data: The Bam earthquake, 2003, Iran
Giuliani et al. Unpacking seismic risk in Italian historic centres: A critical overview for disaster risk reduction
Jamali et al. Urban resilience assessment using hybrid MCDM model based on DEMATEL-ANP method (DANP)
Shakib et al. Proposed seismic risk reduction program for the megacity of Tehran, Iran
Meroni et al. The role of the urban system dysfunction in the assessment of seismic risk in the Mt. Etna area (Italy)
Hadavi et al. Optimal site selection for temporary housing after an earthquake in urban areas using multiple criteria decision making methods and GIS (a case study of municipal district 6, Tehran metropolis)
Kurnianto et al. Earthquake vulnerability disaster in the Lembang district of West Bandung Regency, Indonesia
KR102604840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s through classification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ontents
Ogawa et al. Estimation of supply chain network disruption of companies across the country affected by the Nankai Trough Earthquake tsunami in Kochi City
KR102604841B1 (en)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Capacity Diagnosis Method and System
Marques et al. An improved model for seismic risk assessment in Portugal
Pashova et al. Towards mapping multi-hazard vulnerability of natural disasters for the Bulgarian territory
Inagaki et al. Slope management planning for the mitigation of landslide disaster in urban areas
Özdoğan et al. The importance of architecture education for disaster mitigation
Toda et al. Assessing social vulnerability to climate-related hazards among Haiyan-affected areas in Leyte, Philipp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