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558B1 - 영상정보 알고리즘 판독을 통한 병명진단 및 처방방법을 제공하는 블록체인암호화된 의료정보관리의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정보 알고리즘 판독을 통한 병명진단 및 처방방법을 제공하는 블록체인암호화된 의료정보관리의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558B1
KR102604558B1 KR1020220105901A KR20220105901A KR102604558B1 KR 102604558 B1 KR102604558 B1 KR 102604558B1 KR 1020220105901 A KR1020220105901 A KR 1020220105901A KR 20220105901 A KR20220105901 A KR 20220105901A KR 102604558 B1 KR102604558 B1 KR 102604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medical
information
data
acc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5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준철
Original Assignee
강준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준철 filed Critical 강준철
Priority to KR1020220105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5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5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04L9/083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involving central third party, e.g. key distribution center [KDC] or trusted third party [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88Medical equip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정보 알고리즘 판독을 통한 병명진단 및 처방방법을 제공하는 블록체인 암본 발명은 영상정보 알고리즘 판독을 통한 병명진단 및 처방방법을 제공하는 블록체인 암호화된 의료정보관리의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영상정보와 환자개인정보의 연결이 보안처리중앙서버(10)를 통해 블록체인 암호셋으로 구성되는 방식으로 처리되는 가) 영상정보의 처리 단계, 환자의 개인의료정보인 암호화된 코드값(코인값)이 암호정보 보호처리부(20)를 통해 의료기관 계정에서 환자의 계정으로 다시 복귀 처리되는 나) 개인정보의 복귀 처리 단계, 및 의료기관의 계정으로부터 해당 의료영상 원본자료와 해당 환자의 동일성이 보안처리중앙서버(10)를 통해 검증되는 방식으로 처리되는 다) 위조여부의 확인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정보관리의 방법을 제공하는 한편, 영상정보와 환자개인정보의 연결이 블록체인 암호셋으로 구성 처리되게 하는 보안처리중앙서버(10), 각종의 의료장비에서 촬영된 각 영상자료들로부터 받은 입력자료들을 통해 질병이 의심되는 부분을 선형화 방식으로 처리되게 하는 영상정보처리시스템(100), 개인의료정보가 의료기관의 계정에서 환자 본인의 계정으로 복귀 처리시 의료기관의 계정으로부터 해당 의료영상 원본자료와 해당 환자의 동일성을 검증하는 방식으로 처리되게 하는 암호정보 보호처리부(20)를 포함하는 의료정보관리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영상정보 알고리즘 판독을 통한 병명진단 및 처방방법을 제공하는 블록체인암호화된 의료정보관리의 방법 및 시스템{Blockchain-encrypted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that provides diagnosis and prescription methods through image information algorithm reading}
본 발명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사진자료를 AI가 판독하여, 병명을 진단하고, 시술방법, 필요한 처방 등을 카데고리화 하는 방식으로 일목요연하게 의료관계자에게 제공하는 블록체인으로 보안처리된 의료정보 관리의 방법과 이에 대한 시스템인 것이다.
과거 의료영상사진 자료 초음파사진, 엑스레이사진, MRI사진 또는 관련 영상자료에서 각 병변을 판독하는 작업은 숙련된 전문의의 몫이었고, 이를 의학실습과정에서 유사한 사진 등을 인간이 꾸준히 학습하며 의대에서 자연히 터득하게 되는 방식으로, 각 병변의 판독은 순수한 인간만이 해야 하는 기능으로 치부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는 인공지능 영상인식 기술의 발달로 예를 들어 얼굴인식, 신체의 일부를 각 점으로 연결함에 따라, 인간의 얼굴이 판독되면서 신체의 특징까지 잡아낼 수 있고, CCTV 동영상 등에서 범인등 특정인을 식별하는 기술이라던지, 등록된 지문인식기술과 같은 분야는 이제 보편화된 기술이 되고 있다.
그렇다면, 인공지능 AI가 의료영상자료(동영상, 사진 등)에서 인체내 장기로부터 특정 질병등 병변을 읽어내고, 이를 진단하여 수술방법과 필요한 처방약등의 솔루션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의료관계자에게 전달하는 방법이 충분히 가능해진 것이다.
실제로도 IBM 등에서는 인공지능을 통하여 왓슨이라 하는 프로그램으로 영상자료에서 병변등을 인공지능이 읽어내고, 진단 및 처방을 제공하는 방법은 이미 선행 개발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의 영역은 의료개인정보로서 개인적으로는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대상이고, 국가적으로는 자국자의 질병의 분포도를 파악할 수 있는 통계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국가주권의 문제이면서 빅데이터에 포함되는 정보이므로, 외국 진단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외국에 정보를 유출하는 것은 국가적으로 주권에 해가 되는 커다란 문제이다. 따라서 국내기술에 의한 프로그램 제작 및 관련 특허의 취득이 필수적이다.
전술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환자의 의료영상자료를 기반으로 인공지능 AI를 통해 질병의 특정 병변을 알아내고, 이렇게 파악된 병변에 대한 수술방법과 처방약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하면서, 환자의 개인의료정보가 도용되거나 방치됨 없이 안전한 상태로 보완 유지될 수 있게 하는 영상정보 알고리즘 판독을 통한 병명진단 및 처방방법을 제공하는 블록체인암호화된 의료정보관리의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전술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영상정보와 환자개인정보의 연결이 보안처리중앙서버(10)를 통해 블록체인 암호셋으로 구성되는 방식으로 처리되는 가) 영상정보의 처리 단계; 환자의 개인의료정보인 암호화된 코드값(코인값)이 암호정보 보호처리부(20)를 통해 의료기관 계정에서 환자의 계정으로 다시 복귀 처리되는 나) 개인정보의 복귀 처리 단계; 및 의료기관의 계정으로부터 해당 의료영상 원본자료와 해당 환자의 동일성이 보안처리중앙서버(10)를 통해 검증되는 방식으로 처리되는 다) 위조여부의 확인 단계; 를 포함하고, 가) 영상정보의 처리 단계에는, 각종의 의료장비를 통하여 환자로부터 획득된 영상자료들이 카테고리로 분류되며 보안처리중앙서버(10)에서 입력자료의 생성에 따른 ‘입력물 데이터베이스’에 입력처리되는 가1) 영상물의 입력단계; ‘입력물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의 입력자료가 호출될 때, 해당 입력자료를 출력받아 이를 영상정보처리시스템(100)에서 진단하는 방식으로 진단자료의 생성에 따른 '진단물 데이터베이스'에 입력처리되는 가2) 영상물의 진단단계; ‘처방자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질병명의 처방자료가 호출될 때, 병변자료(영상정보에 포함된 병변, 진단자료에 포함된 병변, 질병명에 대응되는 병변을 포함한 자료)와 처방자료가 한 세트로 보안처리중앙서버(10)를 통해 의료기관 또는 환자에게 동시에 출력되는 방식으로 처리되는 가3) 영상물의 처방단계; 및 입력자료, 진단자료, 병변자료들이 어느 환자의 것인지는 블록체인 기술을 통하여 환자의 계정과 의료기관의 계정 외에는 누구도 알 수 없도록 보안처리중앙서버(10)를 통해 암호화되는 방식으로 처리되는 가4) 영상물의 보안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알고리즘 판독을 통한 병명진단 및 처방방법을 제공하는 블록체인 암호화된 의료정보관리의 방법에 그 일례의 특징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이상, 상술된 바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의 개인의료정보들이 의료기관과의 동의 기간 종료나 만료 혹은 다른 사유들의 발생에 따라, 의료기관의 계정에서부터 환자 본인의 계정으로 복귀 처리 가능함으로써, 의료 기관들 입장에서는 개인의료정보들에 대한 관리 및 폐기가 용이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입장에서는 본인의 개인의료정보가 도용되거나 방치되지 않고 보완성을 편리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정보 알고리즘 판독을 통한 병명진단 및 처방방법을 제공하는 블록체인암호화된 의료정보관리의 방법 처리 순서를 블록화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를 참고로 영상정보 알고리즘 판독을 통한 병명진단 및 처방방법을 제공하는 블록체인암호화된 의료정보관리의 방법 처리 순서를 흐름으로 보이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 영상정보의 처리 단계에 포함되는 단계들을 블록화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정보 알고리즘 판독을 통한 병명진단 및 처방방법을 제공하는 블록체인암호화된 의료정보관리의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간단하게 도시한 블록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정보 알고리즘 판독을 통한 병명진단 및 처방방법을 제공하는 블록체인암호화된 의료정보관리의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 도면이다.
도 6은 블록체인의 코드 연결 도면이다.
도 7은 선형화된 모듈의 설명 도면이다.
본 발명에 있어 후술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다른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는 점까지 감안한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 대한 참고용으로 유첨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참조에 불과하므로, 유첨된 도면들이 본 발명의 기술적 권리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구성 요소들에 대해 설명의 방식으로 충분한 이해가 가능한 관계로, 구성 요소들에 대한 불필요한 도면들은 미도시되는 방식으로 생략되나, 이러한 미도시가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에 대한 기재 불비의 이유로 지적될 수는 없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정보 알고리즘 판독을 통한 병명진단 및 처방방법을 제공하는 블록체인암호화된 의료정보관리의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영상정보 알고리즘 판독을 통한 병명진단 및 처방방법을 제공하는 블록체인암호화된 의료정보관리의 방법은, 예컨대 도면 1 내지 도면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 영상정보의 처리 단계, 나) 개인정보의 복귀 처리 단계, 및 다) 위조여부의 확인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 영상정보의 처리 단계
상기 가) 단계에서는 영상정보의 처리 과정으로서, 예컨대 영상정보와 환자개인정보의 연결이 블록체인의 암호셋으로 구성 처리되는데, 이러한 암호셋으로의 구성 처리는 보안처리중앙서버(1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암호셋이 보안처리중앙서버(10)를 통해 암호 처리될 경우, 권한 없는 자 측에서는 영상 정보가 누구의 것인지 전혀 알 수 없다.
그리고, 이러한 암호셋은 암호화된 코드값 예컨대 코인값을 통해 열 수 있는데, 이는 환자의 계정 지갑과 당해 의료 기관의 계정 지갑 사이에서만 공유될 수 있으며, 이들 둘 중에 어느 한쪽의 허락이 없을 경우, 그 보안이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나) 개인정보의 복귀 처리 단계
개인의료정보인 암호화된 코드값(코인값)은 환자가 개인의료정보 보유에 동의한 기간 동안만큼은 환자 계정으로부터 의료기관 계정으로 넘어가 있으나, 일정한 기간이 종료되거나 부동의 효력이 발생될 경우, 이를 파악한 암호정보 보호처리부(20)가 의료기관 계정에 있던 코드값을 환자의 계정으로 다시 복귀 처리하게 된다.
특히, 상기 암호정보 보호처리부(20)는 환자의 개인의료정보 보유에 대한 동의 기간이 종료되거나 만료될 경우, 이를 자동 파악하여 코드값을 의료기관 계정에서 환자의 계정으로 다시 복귀 처리하게 된다.
게다가, 상기 암호정보 보호처리부(20)는 환자의 의료기관 간의 동의 약관을 파기할 수 있는 수많은 이유들이나 부동의 효력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의료기관 계정에서 환자의 계정으로 코드값을 다시 복귀 처리할 수 있다.
즉, 개인이 약관 파기에 필요한 방대한 이유들이나 부동의 효력 내용들을 찾기란 불가하기 때문에, 상기 암호정보 보호처리부(20)에 탑재된 인공지능부(200)가 이를 신속 정확하게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환자와 의료기관 사이의 신뢰가 깨지는 특별한 사정에서도 상기 암호정보 보호처리부(20)를 통해 자신의 개인의료정보를 다시 회수하여 이를 지킬 수 있다. 따라서, 암호정보 보호처리부(20)는 개인의료정보가 방치되거나 타인으로부터 무단 열람되거나 혹은 도용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지능형 장치인 것이다.
상기의 환자는 환자들이 소지한 단말기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고, 의료기관은 의료기관들쪽에서 운용되고 있는 의료관리서버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다) 위조여부의 확인 단계
상기 다) 단계에서는 상기 나) 단계의 수행시 동시에 처리되는 과정으로서, 상기 암호정보 보호처리부(20)를 통해 개인의료정보가 의료기관의 계정에서 환자 본인의 계정으로 복귀 처리될 때에, 보안처리중앙서버(10)는 의료기관의 계정으로부터 해당 의료영상 원본자료와 해당 환자의 동일성을 검증하게 되는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보안처리중앙서버(10)는 블록체인 기술로 보호되고 있는 해당 의료영상 원본자료와 환자 본인의 동일성을 검증하는 과정에서, 의료영상 원본자료가 환자 본인임을 증명하는 방식으로 검증하기 때문에, 위조 여부의 확인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가) 영상정보의 처리 단계에서는, 예컨대 도면 3을 참고할 수 있으며, 하기와 같이 더욱 세분화된 단계들의 이행을 통해 처리될 수 있는 것이다.
가1) 영상물(사진 또는 동영상)의 입력단계
각종의 의료장비를 통하여 환자로부터 예컨대 x레이, CT, 초음파, mri 등 각 영상자료들이 촬영됨에 따라, 이러한 각 영상자료들은 수집된 환자의 개인정보와 함께 블록체인 암호셋으로 구성되면서, 입력자료의 생성과 함께 '입력물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될 수 있다.
가2) 영상물의 진단단계
입력물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의 입력자료가 호출될 경우, 영상정보처리시스템(100)은 해당 입력자료를 출력받아 이를 진단하는 처리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영상정보처리시스템(100)은 AI영상인식처리부(110)의 기술적 기반하에서 1차적으로 입력자료의 질병이 의심되는 부분 위에 점을 새로이 형성하여 점의 분포를 선형화하는 처리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선형화된 자료는 예컨대 도면 7에 도시된 도면을 참고할 수 있으며, 2차적으로 2D 도면상에 생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여러장(1개 이상)의 사본이 진단자료로서 생성되면서 '진단물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될 수 있다.
이렇게 '진단물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된 진단자료는 3차적으로 병변자료(기존에 저장된 다른 환자의 질병이 포함된 샘플자료)와 비교하여 가장 유사성이 인정되는 경우의 3가지 병변을 순위에 따라 목록으로 제공할 수 있다(예시1: 담석, 예시2: 담낭염, 예시3: 담낭암).
이렇게 목록으로 제공된 질병명의 선택시, 의료기관 또는 환자는 4차적으로 진단자료와 병변자료를 화면상에 동시에 비교 배치하여 해당 유사성을 눈으로 확인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의료기관이 유사성을 확인 후 질병임을 인정하게 되면, 해당 진단자료는 5차적으로 질병명과 함께 새로운 병변자료로서 생성 및 확정될 수 있고, 이는 보안처리중앙서버(10)의 병변자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가3) 영상물의 처방단계
질병명이 확정된 영상자료는 병변자료가 되므로, 처방방법이 매뉴얼로 기록된 보안처리중앙서버(10)의 ‘처방자료 데이터베이스’ 로부터 해당 질병명의 처방자료가 호출될 수 있고, 병변자료와 처방자료가 한 세트로 의료기관 또는 환자에게 동시에 출력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처방에는 간단한 시술, 수술 또는 필요한 약품 등 일반적인 의료매뉴얼교재자료가 포함될 수 있으며, 특히 수술의 경우 수술방식을 기록한 의료교재매뉴얼자료가 텍스트, 사진 또는 영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4) 영상물의 보안단계
상술된 입력자료, 진단자료, 병변자료는 각 이름이 다르게 저장될 수 있으나, 이러한 자료들이 어느 환자의 것인지는 블록체인 기술을 통하여 환자의 계정과 의료기관의 계정 외에는 누구도 알 수 없도록 암호화하는 방식으로 보안처리중앙서버(10)에서 보관됨에 따라, 그 보안성이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a) 의료기관지갑계정과 환자지갑계정이 있어야 하고, b) 각 자료는 날짜시간 장소 등을 토대로 정한 새로운 파일네임으로 각 저장된다(예시 2202011110A1K:날짜시간장소환자이니셜), 그리고 c) 파일네임이 생성될 때 암호화된코드값(코인)을 함께 생성하여, 환자의 개인정보(이름생년월일등 동일성식별자료)와 연결하여 보안처리중앙서버(10)의 '보안자료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d) 이후부터는 암호화된 코드값이 없이는 단순히 파일명만이 노출될 뿐이고 환자의 개인정보는 확인 할 수 없어, 그 보안성이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e) 또한 이는 서버에 저장되는 형태가 아니라 암호화된 코드값(코인)이 블록체인을 형성하여 지갑에 저장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보안처리중앙서버(10)에서 검색을 하더라도 코인을 보유한 자가 아니면 이를 확인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영상정보 알고리즘 판독을 통한 병명진단 및 처방방법을 제공하는 블록체인암호화된 의료정보관리의 시스템은, 예컨대 도면 4 및 5를 참고로 도면 6에서와 같이, 영상정보에 해당하는 영상물과 환자개인정보에 해당하는 개인정보 간의 연결이 블록체인 암호셋으로 구성처리할 수 있는 보안처리중앙서버(10), 각종의 의료장비로서 x레이, CT, 초음파, mri 등으로부터 촬영된 각 영상자료들로부터 받은 입력자료들을 통해 질병이 의심되는 부분을 선형화 방식으로 처리하는 영상정보처리시스템(100), 개인의료정보가 의료기관의 계정에서 환자 본인의 계정으로 복귀 처리시 의료기관의 계정으로부터 해당 의료영상 원본자료와 해당 환자의 동일성을 검증하는 방식으로 처리하는 암호정보 보호처리부(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의 영상정보처리시스템(100)은 AI영상인식처리부(110)의 기술적 기반하에서 1차적으로 입력자료의 질병이 의심되는 부분 위에 점을 새로이 형성하는 방식으로 점의 분포를 예컨대 도면 7과 같이 선형화 처리할 수 있으며, AI영상인식처리부(110)의 설치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의 암호정보 보호처리부(20)는 개인이 약관 파기에 필요한 방대한 이유들이나 부동의 효력 내용들을 찾기란 불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인공지능부(200)를 탑재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상기의 인공지능부(200)는 예컨대 도면 6에서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물 데이터베이스로서 영상물과 개인정보 간을 블록체인 암호셋의 코드연결 처리하여 보안처리 중앙서버(10)에서 보안의 안전을 담보하는 방식으로 저장 보관될 수 있게 처리할 수 있다.
보안처리중앙서버(10)
영상정보처리시스템(100)은 AI영상인식처리부(110)
암호정보 보호처리부(20) 인공지능부(200)

Claims (3)

  1. 삭제
  2. 영상정보와 환자개인정보의 연결이 보안처리중앙서버(10)를 통해 블록체인 암호셋으로 구성되는 방식으로 처리되는 가) 영상정보의 처리 단계; 환자의 개인의료정보인 암호화된 코드값(코인값)이 암호정보 보호처리부(20)를 통해 의료기관 계정에서 환자의 계정으로 다시 복귀 처리되는 나) 개인정보의 복귀 처리 단계; 및 의료기관의 계정으로부터 해당 의료영상 원본자료와 해당 환자의 동일성이 보안처리중앙서버(10)를 통해 검증되는 방식으로 처리되는 다) 위조여부의 확인 단계; 를 포함하고,
    가) 영상정보의 처리 단계에는,
    각종의 의료장비를 통하여 환자로부터 획득된 영상자료들이 카테고리로 분류되며 보안처리중앙서버(10)에서 입력자료의 생성에 따른 ‘입력물 데이터베이스’에 입력처리되는 가1) 영상물의 입력단계;
    ‘입력물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의 입력자료가 호출될 때, 해당 입력자료를 출력받아 이를 영상정보처리시스템(100)에서 진단하는 방식으로 진단자료의 생성에 따른 '진단물 데이터베이스'에 입력처리되는 가2) 영상물의 진단단계;
    ‘처방자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질병명의 처방자료가 호출될 때, 병변자료(영상정보에 포함된 병변, 진단자료에 포함된 병변, 질병명에 대응되는 병변을 포함한 자료)와 처방자료가 한 세트로 보안처리중앙서버(10)를 통해 의료기관 또는 환자에게 동시에 출력되는 방식으로 처리되는 가3) 영상물의 처방단계; 및
    입력자료, 진단자료, 병변자료들이 어느 환자의 것인지는 블록체인 기술을 통하여 환자의 계정과 의료기관의 계정 외에는 누구도 알 수 없도록 보안처리중앙서버(10)를 통해 암호화되는 방식으로 처리되는 가4) 영상물의 보안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알고리즘 판독을 통한 병명진단 및 처방방법을 제공하는 블록체인 암호화된 의료정보관리의 방법.

  3. 삭제
KR1020220105901A 2022-08-24 2022-08-24 영상정보 알고리즘 판독을 통한 병명진단 및 처방방법을 제공하는 블록체인암호화된 의료정보관리의 방법 및 시스템 KR102604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901A KR102604558B1 (ko) 2022-08-24 2022-08-24 영상정보 알고리즘 판독을 통한 병명진단 및 처방방법을 제공하는 블록체인암호화된 의료정보관리의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901A KR102604558B1 (ko) 2022-08-24 2022-08-24 영상정보 알고리즘 판독을 통한 병명진단 및 처방방법을 제공하는 블록체인암호화된 의료정보관리의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4558B1 true KR102604558B1 (ko) 2023-11-20

Family

ID=88974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5901A KR102604558B1 (ko) 2022-08-24 2022-08-24 영상정보 알고리즘 판독을 통한 병명진단 및 처방방법을 제공하는 블록체인암호화된 의료정보관리의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455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268B1 (ko) * 2015-10-26 2017-03-27 (주)아이알엠 환자정보 보호를 위한 의료영상의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판독 방법
KR101763827B1 (ko) * 2016-04-07 2017-08-02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블록체인 기반 의료데이터전송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097622B1 (ko) * 2019-05-17 2020-04-06 권성석 개인건강기록 공유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268B1 (ko) * 2015-10-26 2017-03-27 (주)아이알엠 환자정보 보호를 위한 의료영상의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판독 방법
KR101763827B1 (ko) * 2016-04-07 2017-08-02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블록체인 기반 의료데이터전송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097622B1 (ko) * 2019-05-17 2020-04-06 권성석 개인건강기록 공유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K. Tung 외, Beyond Bitcoin: potential applications of blockchain technology in dermatology, British Journal of Dermatology, 2018.08.14., Vol.179, No.4, pp.1013-1014.* *
Mohamed Yaseen Jabarulla 외, Blockchain-Based Distributed Patient-Centric Image Management System, Appl. Sci., 2020.12.28., Vol.11, No.196, pp.1-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22753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endering and displaying medical images
US84240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data security
KR101955025B1 (ko) 개인정보 자동보호처리를 이용한 의료자문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90043611A1 (en) Anonymizing data
US20040054657A1 (en)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8498884B2 (en) Encrypted portabl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DE102007019375A1 (de) Systeme und Verfahren zur Re-Identifikation von Patienten
CA22296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notation of medical imagery to facilitate patient identification, diagnosis, and treatment
CN109243553A (zh) 医疗数据处理方法、系统、计算机设备及可读存储介质
Dyda et al. Differential privacy for public health data: An innovative tool to optimize information sharing while protecting data confidentiality
Olanrewaju et al. ICT in telemedicine: Conquering privacy and security issues in health care services
Roček et al. Zero watermarking: critical analysis of its role in current medical imaging
Brunese et al. Radiomic features for medical images tamper detection by equivalence checking
JP2003091456A (ja) データ破壊や不正閲覧防止策を施された個人的電子健康ファイルシステム
KR102604558B1 (ko) 영상정보 알고리즘 판독을 통한 병명진단 및 처방방법을 제공하는 블록체인암호화된 의료정보관리의 방법 및 시스템
JP2009301131A (ja) 医療データ管理システム、及び医療データ管理方法
JPH04120651A (ja) 医療情報処理システム
Tzelepi et al. Security of medical multimedia
Natu et al. Privacy issues in medical image analysis
CN107317877A (zh) 基于计算机的患者康复资料推送方法
WO2018015409A1 (de) Encryption-decryption engine zur handhabung sensitiver patientendaten und entsprechendes verfahren
Priyadarshini et al. Secure Sharing of Medical Images Using Watermarking Technique
JP2001344345A (ja) 医療介護システムおよび医療介護方法
Jakubowski et al. Blockchain-based applications in various areas of healthcare functioning
AU20052209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onymously indexing electronic record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