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015B1 -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전기 촉매 유닛 - Google Patents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전기 촉매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015B1
KR102604015B1 KR1020220144786A KR20220144786A KR102604015B1 KR 102604015 B1 KR102604015 B1 KR 102604015B1 KR 1020220144786 A KR1020220144786 A KR 1020220144786A KR 20220144786 A KR20220144786 A KR 20220144786A KR 102604015 B1 KR102604015 B1 KR 102604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layer
unit
titanium dioxide
catalyst coating
electrocataly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4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영
오선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평
Priority to KR1020220144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0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0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2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by catalytic oxid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06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01J21/063Tita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01J35/0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20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01D2255/207Transition metals
    • B01D2255/20707Tita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80Type of catalytic reaction
    • B01D2255/802Photocataly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5/00Use of specific compounds during water treatment
    • C02F2305/10Photocatalys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전기 촉매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 공급부에 의해 이산화티타늄의 밴드갭 이상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높은 촉매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공기 정화 장치, 수처리 장치, 음식물 처리 장치 등 다양한 정화 장치에 활용될 수 있는, 전기 촉매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전기 촉매 유닛은, 유입구 및 유출구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상에 코팅되어 형성된 촉매 코팅층; 및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촉매 코팅층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전기 촉매 유닛{ELECTROCATALYST UNIT INCLUDING TITANIUM DIOXIDE}
본 발명은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전기 촉매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 공급부에 의해 이산화티타늄의 밴드갭 이상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높은 촉매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공기 정화 장치, 수처리 장치, 음식물 처리 장치 등 다양한 정화 장치에 활용될 수 있는, 전기 촉매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환경오염 문제는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오염물질에 대한 규제도 더욱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난분해성 물질 등의 오염물질을 분해 및 제거하기 위해 물리적, 생물학적 및 화학적 방법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다수 종류의 유기물에 대해 분해 효율이 낮고, 대부분 방법의 경우 많은 2차 부산물이 생성되는 등 효율적인 처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오염물질과 관련하여, 폐수 또는 악취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활성탄을 이용한 흡착제거, 응집, 펜톤 등의 화학적 산화처리,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처리 등의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근본적인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즉, 활성탄과 같은 흡착제를 이용하는 흡착처리 방법에 있어서는 이 방법 자체에 의한 완전한 오염물질의 분해가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흡착된 오염물질의 제거를 위한 또 다른 2차 처리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화학적 산화처리에 있어서도 일반적으로 유기물질의 완전한 분해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다량의 침전 슬러지를 발생하는 등의 2차 오염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오염물질의 처리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생물학적 처리에 있어서도 비교적 처리속도가 느리고 전체 반응계가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처리조건이 까다롭다는 문제점 등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기존의 오염물질 처리 방법을 개선 또는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증가하게 되었다.
이에, 최근 새로운 오염물질 처리기술로서 크게 주목을 받고 있는 광촉매 반응을 이용한 방법은 광촉매를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직접 분해·처리하는 공정이며, 온도, pH, 오염물질의 농도 등의 영향도 비교적 작게 받게 되므로 처리 조건에 있어서도 제약이 거의 없다. 따라서 광촉매 반응을 이용한 오염물질 처리 기술을 이용하면 2차 오염물질의 생성 없이 유해 유기물질을 이산화탄소와 물 등으로 완전히 분해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들로 인해 광촉매 반응을 이용한 오염물질의 처리는 기존의 오염물질 처리 기술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서 그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광촉매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이산화티타늄(TiO2)으로서, 이산화티타늄의 표면에 밴드갭(band gap)보다 큰 에너지 즉, 400 nm이하의 자외선을 조사하게 되면 가전자대(valance band)와 전도대(conduction band)에서 정공(h+)과 전자(e-)가 생성되며, 이때 생성된 전자와 전공은 광촉매 표면으로 이동하게 되고 전도대의 전자들은 중 금속 이온(Mx+) 및 산소(O2)를 전기화학적으로 흡착한 후 중금속 이온을 광환원시키거나, 슈퍼옥사이드 라디칼(superoxide radical)을 생성하게 되며, 슈퍼옥사이드 라디칼은 직접 유기물질을 분해하거나 OH 라디칼을 생성한다. 또한, 가전자대의 양공은 물분자와 반응하여 OH 라디칼을 생성하여, 광촉매 입자 표면에 흡착되어 있는 유기물을 산화시키게 된다.
이러한 광촉매의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우선 비표면적을 크게 해줄 수 있는 다양한 광촉매 제조 기술, 전자와 친화력이 강한 백금과 같은 비금속의 첨가, 그리고 산화 환원 반응을 선택적으로 유발시키기 위한 다른 메 탈옥사이드의 첨가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광촉매 반응을 적용한 오염물질 처리시, 가장 큰 제한 요소로 적용하는 것 중 하나는 광촉매 반응을 유발하기 위하여 자외선 램프를 광원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점이다. 자외선 램프의 사용에 따른 에너지 비용은 난분해성 오염물질 처리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오염물질 처리 방법과 비교하여 비용편익 측면에서 광촉매 반응의 가장 큰 단점으로 인식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0834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외선 램프 없이 전원 공급부에 의해 이산화티타늄이 가진 밴드갭 이상의 에너지를 공급함으로써 촉매 활성 기능을 나타내게 할 수 있는, 전기 촉매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유입구 및 유출구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상에 코팅되어 형성된 촉매 코팅층; 및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촉매 코팅층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전기 촉매 유닛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촉매 코팅층은,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산화주석, 산화지르코늄, 산화텅스텐, 산화바나듐, 산화니켈, 산화철, 황화아연, 탄화규소, 황화카드뮴,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촉매 코팅층에 포함된 금속 산화물의 밴드갭(band gap) 이상의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촉매 코팅층은, 상기 전원 공급부에 의해 밴드갭 이상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촉매 활성 기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촉매 코팅층은,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산화티타늄은, 루타일(rutile), 아나타제(antase), 브루카이트(brookite),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결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입구로 공급된 물 또는 공기에 포함된 악취, 바이러스, 박테리아, 휘발성 유기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오염물질이 상기 기판 상에 코팅되어 형성된 촉매 코팅층을 통해 제거된 후, 유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기 촉매 유닛은, 공기 정화 장치, 수처리 장치, 음식물 처리 장치,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장치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외선 광원의 구비 없이 전원 공급부에 의해 이산화티타늄이 가진 밴드갭 이상의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공급하여 촉매 활성 기능을 나타내게 함으로써 물 또는 공기에 포함된 악취, 바이러스, 박테리아, 휘발성 유기 화합물과 같은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촉매 유닛은 광원을 포함하지 않아 소형화가 가능하고, 광원 탑재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이에 따라 제한되었던 다양한 산업 분야에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비교예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촉매 유닛의 촉매적 H2 방출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의 이러한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측면은, 유입구 및 유출구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상에 코팅되어 형성된 촉매 코팅층; 및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촉매 코팅층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전기 촉매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외선 광원의 구비 없이 전원 공급부에 의해 이산화티타늄이 가진 밴드갭 이상의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공급하여 촉매 활성 기능을 나타내게 함으로써 물 또는 공기에 포함된 악취, 바이러스, 박테리아, 휘발성 유기 화합물과 같은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광원을 구비하지 않으므로 상기 전기 촉매 유닛을 이용한 제품 개발 시 소형화가 가능하고, 광원 탑재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이에 따라 제한되었던 다양한 산업 분야에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촉매 유닛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로 공급된 물 또는 공기에 포함된 악취, 바이러스, 박테리아, 휘발성 유기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오염물질이 상기 기판 상에 코팅되어 형성된 촉매 코팅층을 통해 제거된 후, 유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반투명 또는 투명한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은 폴리메틸메타크릴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프로필렌(PP), 폴리우레탄(PU), 폴리비닐부티랄, 폴리에틸렌글리콜 테레프탈레이트,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판은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은 나노와이어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은 나노와이어는 높은 전기 전도도를 나타내어 상기 전기 촉매 유닛의 활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우수한 항균 및 탈취 성능을 나타내어 상기 전기 촉매 유닛을 수처리 또는 공기 정화 장치에 적용 시 우수한 항균 및 탈취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은 나노와이어 분산 용액을 코팅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은 폴리카보네이트 기판 상에 은 나노와이어 분산 용액을 코팅함으로써 형성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은 나노와이어는 직경 약 10 내지 100 nm 및 길이 약 2 내지 100 μm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은 나노와이어가 직경 약 10 nm 미만 및 길이 약 2 μm 미만일 경우 나노와이어 형태로 상기 기판 상에 코팅되지 않을 수 있으며, 직경 약 100 nm 및 길이 약 100 μm를 초과할 경우 기판 상에 매끄럽게 코팅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촉매 코팅층은,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산화주석, 산화지르코늄, 산화텅스텐, 산화바나듐, 산화니켈, 산화철, 황화아연, 탄화규소, 황화카드뮴,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촉매 코팅층은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촉매 코팅층이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할 경우, 상기 이산화티타늄은 화학기상증착법에 의하여 코팅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촉매 코팅층이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할 경우, 상기 이산화티타늄은 루타일(rutile), 아나타제(antase), 브루카이트(brookite),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결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촉매 코팅층은 아나타제 결정 구조의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이산화티타늄의 결정 구조로서 루타일 결정 구조, 아나타제 결정 구조, 및 브루카이트 결정 구조는 서로 다른 밴드갭 에너지를 가지며, 아나타제 결정 구조를 갖는 이산화티타늄은 가장 낮은 약 3.2 eV의 밴드갭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촉매 코팅층에 포함된 금속 산화물의 밴드갭(band gap) 이상의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촉매 코팅층에 포함된 금속 산화물, 예를 들어 이산화티타늄이 갖는 밴드갭 이상의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촉매 코팅층에 포함되는 이산화티타늄은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밴드갭 이상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정공(h+)와 전자(e-)를 생성시키고, 생성된 전자 및 정공에 의해 산소 발생 반응(oxygen evolution reaction)에 대한 촉매적 활성을 나타내어 산소 기체를 생성하거나, 슈퍼옥사이드 라디칼(superoxide radical)을 생성하여 악취, 바이러스, 박테리아, 휘발성 유기 화합물 등을 포함하는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기 촉매 유닛은, 공기 정화 장치, 수처리 장치, 음식물 처리 장치,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기 촉매 유닛은 전원 공급부로부터 이산화티타늄이 갖는 밴드갭 이상의 에너지, 구체적으로는 약 3.2 eV 이상의 에너지를 공급받아 촉매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공기 정화 분야에서 제거가 힘들었던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휘발성 유기 화합물, 미세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으며, 수질 정화 분야에서는 물 속의 유기물, 계면활성제를 분해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촉매 코팅층은 구리 기반 화합물을 추가 포함함으로써 촉매 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리 기반 화합물은 구리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산화구리(CuO), 구리페라이트(CuFe2O4), 구리 비스무스 산화물(CuBi2O4),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촉매 코팅층은 구리 기반 화합물로서 구리 비스무스 산화물(CuBi2O4)을 포함할 수 있다.
구리 비스무스 산화물은 스피넬 구조의 p-type 반도체로서, 낮은 밴드갭 에너지를 나타내며 물 분해에 적절한 전도대 위치를 나타내고, 지표 상에 풍부한 원소로 구성되어 경제성 측면에서 유리할 뿐만 아니라 유해성이 낮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에, 상기 촉매 코팅층으로서 이산화티타늄과 함께 구리 비스무스 산화물을 추가 포함할 경우, 촉매 활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높은 경제성을 갖는 전기 촉매 유닛을 제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촉매 코팅층의 이산화티타늄 및 구리 비스무스 산화물은 약 1: 0.1 내지 0.3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코팅되는 것일 수 있다. 만약, 상기 구리 비스무스 산화물이 약 0.1 중량비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유기 오염물질 제거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0.3 중량비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촉매 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촉매 코팅층은 현무암 섬유를 추가 포함함으로써 유해물질 흡착 및 제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현무암 섬유는 다공성을 나타내어 악취, 바이러스, 박테리아, 휘발성 유기 화합물 등을 포함하는 오염물질이 상기 현무암 섬유 내 다공성 기공에 의해 흡착되어 제거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촉매 코팅층이 현무암 섬유를 추가 포함할 경우 유해물질 흡착 및 제거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무암 섬유는 다양한 미네랄을 함유하는 현무암으로부터 제조되어 저렴한 비용을 나타내며,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방사선 또는 화학물질에 대한 저항성이 뛰어나므로 전기 촉매 유닛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촉매 코팅층의 이산화티타늄 및 현무암 섬유는 약 1: 0.01 내지 0.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코팅되는 것일 수 있다. 만약, 상기 현무암 섬유가 약 0.01 중량비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상기 현무암 섬유를 포함함에 따라 나타나는 오염물질 제거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0.1 중량비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오히려 촉매 유닛의 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촉매 코팅층은, 상기 이산화티타늄, 구리 비스무스 산화물, 및 현무암 섬유가 약 1 : 0.1 내지 0.3 : 0.01 내지 0.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코팅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카보네이트 기판을 준비한 뒤 상기 기판 상에 촉매로서 루타일(rutile) 결정 구조의 이산화티타늄을 전기증착하여 코팅함으로써 이산화티타늄 촉매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이산화티타늄 촉매 코팅층이 형성된 플레이트를 하우징 내에 설치한 후, 전원 공급부를 연결하여 실시예 1의 전기 촉매 유닛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폴리카보네이트 기판 상에 직경 약 50 nm 및 길이 약 10 μm의 은 나노와이어 분산 용액을 코팅하였다. 은 나노와이어 코팅이 진행된 폴리카보네이트 기판 상에 이산화티타늄과 구리 비스무스 산화물을 1:0.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코팅함으로써 촉매 코팅층을 형성하였고, 이를 하우징 내에 설치하여 전원 공급부를 연결함으로써 실시예 2의 전기 촉매 유닛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폴리카보네이트 기판 상에 직경 약 50 nm 및 길이 약 10 μm의 은 나노와이어 분산 용액을 코팅하였다. 은 나노와이어 코팅이 진행된 폴리카보네이트 기판 상에 이산화티타늄, 구리 비스무스 산화물, 및 현무암 섬유를 1:0.1:0.0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코팅함으로써 촉매 코팅층을 형성하였고, 이를 하우징 내에 설치하여 전원 공급부를 연결함으로써 실시예 3의 전기 촉매 유닛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질산구리 수화물 20 mg을 교반하면서 에틸렌글리콜 10 ml에 용해하고, 이를 가열하여 질산구리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질산구리 용액을 에틸렌글리콜 용액에 분산된 카본블랙 용액에 첨가한 뒤, 200℃까지 가열하여 구 형태의 구리 촉매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구리 촉매 용액을 탄소 플레이트 상에 분무하여 코팅한 뒤 하우징 내에 설치한 후 전극을 연결하여 구리 촉매 유닛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촉매 유닛을 비교예로 명명하였다.
[실험예 1: 촉매 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전기 촉매 유닛 각각에 대하여, H2 생성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촉매적 활성을 측정하였다. 생성된 H2 기체의 양은 기체크로마토그래피(GC, Shimadzu GC-2014)에 의해 측정되었으며, 그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의 전기 촉매 유닛(청색)과 비교하여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자색), 실시예 2(오렌지색), 및 실시예 3(분홍색)의 전기 촉매의 유닛이 더욱 높은 촉매적 활성을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전기 촉매 유닛을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의 효율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전기 촉매 유닛을 각각 동일한 활성탄 필터를 구비한 수처리 정화 장치에 장착함으로써 수처리 시스템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각각의 수처리 시스템에 대하여 동일한 흙탕물을 통과시킨 뒤, 유출구를 통해 나온 정수를 채취하여 대장균, 불소, 암모니아성 질소, 질산성 질소, 잔류 염소, 냄새, 색도, 혼탁도 등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검사 항목 기준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일반 세균 100 CFU/ml 이하 0 0 0 0
총 대장균 N.D/100 ml N.D. N.D. N.D. N.D.
분원성 대장균 N.D/100 ml N.D. N.D. N.D. N.D.
불소 1.5 mg/L 이하 0.2 mg/L N.D. N.D. 0.8 mg/L
암모니아성 질소 0.5 mg/L 이하 N.D. N.D. N.D. N.D.
질산성 질소 10 mg/L 이하 0.7 0.3 N.D 3.5
잔류 염소 4.0 mg/L 이하 0.2 N.D. N.D. 0.8
냄새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염소 향취
색도 5 이하 1 1 1 1
혼탁도 0.5 NTU 이하 0.21 0.1 0.1 미만 0.40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촉매 유닛을 이용한 따른 수처리 시스템의 경우, 비교예의 전기 촉매 유닛을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에 비해 불소, 질소, 잔류 염소, 냄새, 혼탁도 측면에서 향상된 결과값을 나타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전기 촉매 유닛을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의 효율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전기 촉매 유닛을 각각 동일한 활성탄 필터를 구비한 공기 정화 장치에 장착함으로써 공기 정화 시스템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각각의 공기 정화 시스템에 대하여, 악취, 암모니아, 황화수소 및 오존 저감 효과를 수원 하수종말처리장에서 현장테스트를 통해 측정하였다. 복합 악취의 경우 5인의 악취 판정요원을 대상으로 복합 악취-공기희석관능법(하강법)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판정결과는 판정요원 5인 중 최대, 최소 2인을 의 값을 제외한 나머지 3인의 판정 요원 수치를 공기희석관능법으로 계산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암모니아의 경우 용액흡수법(붕산 5 g/1 L)으로 채취하여 UV/Vis(640 nm)를 이용하여 인도페놀법에 의해 분석하였고, 황화수소의 경우 흡인상자법으로 채취하여 GC/FPD를 이용하여 저온농축-모세관컬럼 GC법으로 분석하였다. 오존의 경우 자외선흡수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복합 악취 암모니아 황화수소 오존
실시예 1 유입구 250배 0.15 ppm 0.29 ppm -
유출구 30배 0.03 ppm N.D 0.023 ppm
실시예 2 유입구 250배 0.17 ppm 0.29 ppm -
유출구 25배 0.02 ppm N.D 0.020 ppm
실시예 3 유입구 250배 0.22 ppm 0.45 ppm -
유출구 10배 0.01 ppm N.D 0.015 ppm
비교예 유입구 250배 0.15 ppm 0.31 ppm -
유출구 56배 0.09 ppm 0.01 ppm 0.045 ppm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촉매 유닛을 이용한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의 경우, 비교예의 전기 촉매 유닛을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에 비해 복합 악취,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에 대하여 매우 향상된 저감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8)

  1. 유입구 및 유출구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상에 코팅되어 형성된 촉매 코팅층; 및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촉매 코팅층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전원 공급부;
    를 포함하는, 전기 촉매 유닛으로서,
    상기 플레이트는, 은 나노와이어 분산 용액을 이용하여 코팅된 폴리카보네이트 기판이고,
    상기 촉매 코팅층은, 이산화티타늄 및 구리 비스무스 화합물을 1:0.1 내지 0.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코팅된 것이며,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촉매 코팅층에 포함된 이산화티타늄의 밴드갭(band gap) 이상의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이고,
    상기 촉매 코팅층은, 상기 전원 공급부에 의해 밴드갭 이상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촉매 활성 기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촉매 유닛.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티타늄은,
    루타일(rutile), 아나타제(antase), 브루카이트(brookite),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결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촉매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로 공급된 물 또는 공기에 포함된 악취, 바이러스, 박테리아, 휘발성 유기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오염물질이 상기 기판 상에 코팅되어 형성된 촉매 코팅층을 통해 제거된 후, 유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촉매 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촉매 유닛은,
    공기 정화 장치, 수처리 장치, 음식물 처리 장치,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장치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촉매 유닛.
KR1020220144786A 2022-11-02 2022-11-02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전기 촉매 유닛 KR102604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786A KR102604015B1 (ko) 2022-11-02 2022-11-02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전기 촉매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786A KR102604015B1 (ko) 2022-11-02 2022-11-02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전기 촉매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4015B1 true KR102604015B1 (ko) 2023-11-20

Family

ID=88974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4786A KR102604015B1 (ko) 2022-11-02 2022-11-02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전기 촉매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40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316A (ko) * 2002-07-23 2004-01-31 박승환 전기자장화한 산화티타늄 광촉매를 사용한 공기조화기용정화필터의 제조방법
KR100808343B1 (ko) 2003-06-19 2008-02-27 캐리어 코포레이션 2기능성 망간 산화물/티타늄 이산화물 광촉매/열촉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316A (ko) * 2002-07-23 2004-01-31 박승환 전기자장화한 산화티타늄 광촉매를 사용한 공기조화기용정화필터의 제조방법
KR100808343B1 (ko) 2003-06-19 2008-02-27 캐리어 코포레이션 2기능성 망간 산화물/티타늄 이산화물 광촉매/열촉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ndal et al. Photocatalytic oxidation of pollutant dyes in wastewater by TiO2 and ZnO nano-materials–a mini-review
Li et al. Can environmental pharmaceuticals be photocatalytically degraded and completely mineralized in water using g-C3N4/TiO2 under visible light irradiation?—Implications of persistent toxic intermediates
Natarajan et al. Study on UV-LED/TiO2 process for degradation of Rhodamine B dye
Serpone et al. AM1 simulated sunlight photoreduction and elimination of Hg (II) and CH3Hg (II) chloride salts from aqueous suspensions of titanium dioxide
KR20100126538A (ko) 광촉매 재료, 유기물 분해 방법, 내장부재, 공기청정 장치, 산화제 제조 장치
Sagir et al. Nanoparticles and significance of photocatalytic nanoparticles in wastewater treatment: a review
Reddy et al. A review of photocatalytic treatment for various air pollutants
SG189823A1 (en) A filter and device for treating air
Shaban Effective photocatalytic reduction of Cr (VI) by carbon modified (CM)-n-TiO2 nanoparticles under solar irradiation
Gaur et al. Recent advances in the elimination of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by photocatalysis
Alikhani et al. Photocatalytic removal of Escherichia coli from aquatic solutions using synthesized ZnO nanoparticles: a kinetic study
Salgado et al. Photocatalysis and photodegradation of pollutants
KR100925247B1 (ko) 광촉매,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폐수처리방법
KR102106264B1 (ko) Dual UV 램프와 흡착제를 이용한 악취 제거 장치
US6464951B1 (en) Method, catalyst, and photocatalyst for the destruction of phosgene
US20020141923A1 (en) Method, catalyst, and photocatalyst for the destruction of phosgene
KR102604015B1 (ko)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전기 촉매 유닛
Haghighi et al. TiO2-based photocatalytic oxidation process for indoor air VOCs removal: A comprehensive review
Tabatabaee et al. Photodegradation of dye pollutant on Ag/ZnO Nanocatalyst under UV-irradiation
KR20240043335A (ko)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전기 촉매 유닛
KR101046313B1 (ko) 나노금속 담지 금속산화물 촉매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나노금속 담지 금속산화물 촉매
Assadi et al. Effect of Operational Conditions on Removal of 4-Chlorophenol in Water Using UV/NiO Process
KR100627972B1 (ko) 섬유 다발형 광촉매 필터를 이용한 대기처리 장치
JP4066041B2 (ja) 水浄化装置
Mphela et al.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Salicylic Acid and Reduction of Cr (VI) using TiO2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