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3976B1 - 유리섬유 보강근의 밴딩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근 밴딩 성형방법 - Google Patents

유리섬유 보강근의 밴딩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근 밴딩 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3976B1
KR102603976B1 KR1020230038044A KR20230038044A KR102603976B1 KR 102603976 B1 KR102603976 B1 KR 102603976B1 KR 1020230038044 A KR1020230038044 A KR 1020230038044A KR 20230038044 A KR20230038044 A KR 20230038044A KR 102603976 B1 KR102603976 B1 KR 102603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iber
glass fibers
bundle
thermosetting adhesive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8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종훈
이미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02Bending or folding
    • B29C53/08Bending or folding of tubes or other profiled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5/00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not covered by groups B29B7/00 - B29B13/00
    • B29B15/08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not covered by groups B29B7/00 - B29B13/00 of reinforcements or fillers
    • B29B15/10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 B29B15/12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of reinforcements of indefinite length
    • B29B15/122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of reinforcements of indefinite length with a matrix in liquid form, e.g. as melt, solution or latex
    • B29B15/125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of reinforcements of indefinite length with a matrix in liquid form, e.g. as melt, solution or latex by di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 B29C53/581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using sheets or strips consisting principally of plastics material
    • B29C53/582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using sheets or strips consisting principally of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e.g. wires, 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29C70/10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 B29C70/16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29C70/32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on a rotating mould, former or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5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e.g. prepregs,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cross moulding compounds [XMC]
    • B29C70/52Pultrusion, i.e. forming and compressing by continuously pulling through a die
    • B29C70/521Pultrusion, i.e. forming and compressing by continuously pulling through a die and impregnating the reinforcement before the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5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e.g. prepregs,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cross moulding compounds [XMC]
    • B29C70/52Pultrusion, i.e. forming and compressing by continuously pulling through a die
    • B29C70/5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5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e.g. prepregs,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cross moulding compounds [XMC]
    • B29C70/52Pultrusion, i.e. forming and compressing by continuously pulling through a die
    • B29C70/5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70/528Heating or coo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7Reinforcing element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e.g. of glass, of plastics, or not exclusively made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Architectur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섬유 보강근의 밴딩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근 밴딩 성형방법에 관련되며, 이는 제 1유리섬유 다발이 1차 압축되면서 외주면에 나선골이 형성된 후, 나선골에 제 2유리섬유를 밴딩하여 제 1유리섬유 다발을 2차 압축 고정하도록 구조 개선되어, 제 2유리섬유에 의해 제 1유리섬유 다발의 압축 상태가 견고하게 고정되면서 제 1유리섬유 다발을 고밀도로 정밀하게 밴딩 성형할 수 있도록 유리섬유공급부(10), 함침조(11), 나선압축부(20), 밴딩부(30), 가열로(40)를 포함하여 주요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리섬유 보강근의 밴딩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근 밴딩 성형방법{Bending forming device for glass fiber siding reinforcement and method for forming reinforceme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리섬유 보강근의 밴딩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근 밴딩 성형방법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제 1유리섬유 다발이 1차 압축되면서 외주면에 나선골이 형성된 후, 나선골에 제 2유리섬유를 밴딩하여 제 1유리섬유 다발을 2차 압축 고정하도록 구조 개선되어, 제 2유리섬유에 의해 제 1유리섬유 다발의 압축 상태가 견고하게 고정되면서 제 1유리섬유 다발을 고밀도로 정밀하게 밴딩 성형할 수 있는 유리섬유 보강근의 밴딩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근 밴딩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각종 건물이나 교량 등의 건축구조물을 시공시 타설되는 콘크리트 속에는 건축물의 구조, 크기, 하중 등을 고려한 설계에 따라 강도 보강을 위한 철근을 심는바, 이러한 철근은 대부분 금속재질로 형성되므로 시간이 경과되면서 녹이 슬거나 부식되는 실정이다.
그리고, 근자에는 철근의 부식에 의한 기능 상실 등을 대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배근되는 철근을 대신하거나 또는 철근을 보조하는 용도로 FRP 보강근이 개발되어 있다.
여기서, FRP 보강근은, 실처럼 가는 섬유를 다발로 만들어서 인발기로 인발하는 과정에서, 섬유가 수지에 함침된 상태에서 성형노즐로 들어가서 봉형상의 심재로 성형되고, 필요에 따라서는 표면을 거칠게 하기 위하여 심재의 표면에 추가적인 섬유를 감아서 피복한 후, 수지를 경화시키는 과정을 통해서 제작된다.
일예로서, 종래에 제안된 철근 대용물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제10-1248933호에서, 복수 가닥의 유리섬유에 제1열가소성수지를 함침시켜 유리섬유로빙을 형성하고, 복수의 유리섬유로빙을 한 다발로 모아서 제2열가소성수지로 압출성형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열가소성수지는 5~20㎜의 단유리섬유를 함유하고, 상기 제1열가소성수지 및 상기 제2열가소성수지는 PP, 폴리에틸렌(PE),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스틸렌(PS), ABS,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SAN), 나이론,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열가소성 우레탄(TPU)으로 이루어지되, 서로 다른 열가소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 선 제시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철근에 상응하는 강도를 가지며, 제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배근작업이 용이한 것이나,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만들어진 보강근의 유리섬유철근은 수많은 유리섬유 가닥을 묶음으로 권취하여 단순히 봉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기 때문에 콘크리트와 결합시 접착력이 약하고, 특히, 현장에서 절곡시공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따랐다.
KR 10-1248933 B1 (2013.03.25.)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제 1유리섬유 다발이 1차 압축되면서 외주면에 나선골이 형성된 후, 나선골에 제 2유리섬유를 밴딩하여 제 1유리섬유 다발을 2차 압축 고정하도록 구조 개선되어, 제 2유리섬유에 의해 제 1유리섬유 다발의 압축 상태가 견고하게 고정되면서 제 1유리섬유 다발을 고밀도로 정밀하게 밴딩 성형할 수 있는 유리섬유 보강근의 밴딩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근 밴딩 성형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다수 가닥의 제 1유리섬유(1)를 다발로 모아서 공급하는 유리섬유공급부(10); 상기 제 1유리섬유(1) 다발을 함침하도록 열경화성 접착제(2)가 수용되는 함침조(11); 상기 함침조(11)를 통과하여 함침처리된 제 1유리섬유(1) 다발을 소정의 지름으로 압축하면서 열경화성 접착제를 일부 짜내고, 외주면에 나선골(1a)을 형성하는 나선압축부(20); 상기 나선압축부(20)를 거친 제 1유리섬유(1) 다발의 나선골(1a)에 제 2유리섬유(1')를 나선형으로 권취하도록 구비되는 밴딩부(30); 및 상기 밴딩부(30)를 거친 제 1, 2유리섬유(1)(1')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열경화성 접착제를 경화하도록 구비되는 가열로(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나선압축부(20) 및 밴딩부(30)는 일체로 형성되어 구동부에 의해 회전운동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나선압축부(20)는 중앙에 제 1유리섬유(1) 다발이 압축 통과되면서 나선골(1a)을 형성하도록 암나사홀(21a)이 관통되는 나선금형(21)이 구비되며, 상기 나선금형(21) 후단에 연결되고, 중앙에 암나사홀(21a) 대비 확장된 지름으로 가압홀(31a)이 형성되며, 가압홀(31a) 내부로 제 2유리섬유(1')를 투입하여 제 1유리섬유(1) 외주면에 귄취하도록 피딩홀(31b)이 형성되는 밴딩금형(31)이 구비되고, 상기 밴딩금형(31) 외주면에 설치되어, 제 2유리섬유(1')가 권취되는 보빈(3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제 2유리섬유(1')를 소정의 장력으로 공급하는 피딩바디(33)이 구비되며, 상기 피딩홀(31b)은 암나사홀(21a)과 가압홀(31a)이 접하는 경계에 배치되고, 상기 제 1유리섬유(1) 다발이 암나사홀(21a)을 통과하면서 1차 압축 및 나선골(1a)이 형성된 후, 나선골(1a)에 제 2유리섬유(1')가 권취되면서 제 1유리섬유(1) 다발이 2차 압축 고정된 상태로 가압홀(31a)을 타고 이송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유리섬유 보강근의 밴딩 성형장치를 이용한 보강근 밴딩 성형방법은, 다수 가닥의 제 1유리섬유(1)를 다발로 모아서 공급하는 유리섬유공급단계(S10); 상기 제 1유리섬유(1) 다발을 열경화성 접착제(2)가 수용된 함침조(11)로 투입하여 함침하는 함침단계(S20); 상기 함침단계(S20)를 통과하여 함침처리된 제 1유리섬유(1) 다발을 나선압축부(20)로 투입하여, 소정의 지름으로 압축하면서 열경화성 접착제를 일부 짜내고, 외주면에 나선골(1a)을 형성하는 나선골성형단계(S30); 상기 나선골성형단계(S30)를 거친 제 1유리섬유(1) 다발을 밴딩부(30)로 투입하여, 나선골(1a)에 제 2유리섬유(1')를 나선형으로 권취하는 권취단계(S40); 및 상기 권취단계(S40)를 거친 제 1, 2유리섬유(1)(1')를 가열로(40)로 투입하여 열경화성 접착제로 접착하는 열경화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리섬유공급단계(S10)에서, 제 1유리섬유(1) 다발 중앙부에 흡수튜브(3)가 배치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흡수튜브(3)는 함침단계(S20)에서 열경화성 접착제(2)를 흡수한 상태로 피딩되며, 상기 제 1유리섬유(1) 다발이 제 2유리섬유(1')에 의해 2차 압축되는 중에 흡수튜브(3)에 흡수된 열경화성 접착제(2)가 제 1유리섬유(1) 다발 외측으로 분출되면서 나선형으로 권취된 제 2유리섬유(1') 사이로 공급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경화단계(S50)를 거쳐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유리섬유보강근(100)은 곡선보강모듈(200)에 의해 곡선구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곡선보강모듈(200)은, 내부에 다수 가닥의 제 3유리섬유(1")가 수용되는 주름관(210)과, 주름관(210) 양단부를 마감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제 3유리섬유(1") 양단부가 수용되는 격실(222)이 형성되는 마감캡(220)과, 격실(222) 내부에 설치되어 복수의 타공(232)이 관통되고, 타공(232)에 제 3유리섬유(1")가 이송가능하게 삽입되는 격벽(230)과, 제 3유리섬유(1") 단부에 설치되고, 제 3유리섬유(1") 지름 대비 확장된 사이즈로 형성되는 요철편(240)과, 격실(230) 내부로 열경화성 접착제(2)를 주입 및 격실(230) 내부 공기를 배기하는 한 쌍의 포트(250)와, 마감캡(220)에 연결되어, 직선형 유리섬유보강근(100) 단부를 구속하는 조인트(260)를 포함하고, 상기 주름관(210) 양단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조인트(260)에 직선형 유리섬유보강근(100)을 체결하고, 상기 주름관(210)을 절곡하면, 다수 가닥의 제 3유리섬유(1")가 타공(232)을 타고 이동되면서 소정의 곡률로 절곡되며, 상기 격실(230) 어느 일측에 설치된 포트(250)에 진공발생기를 연결하여 격실(230) 및 주름관(210) 내부 공기를 배기하면서 다른 포트(250)를 통하여 열경화성 접착제(2)를 주입하여, 격실(230) 및 주름관(210) 내부에 열경화성 접착제(2)를 충진한 후, 히터를 이용하여 격실(230) 및 주름관(210)을 가열하여 열경화성 접착제(2)를 경화하고, 상기 격실(230) 내에서 경화된 열경화성 접착제(2)는 요철편(240)과 함께 경화되어 제 3유리섬유(1")를 구속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제 1유리섬유 다발이 1차 압축되면서 외주면에 나선골이 형성된 후, 나선골에 제 2유리섬유를 밴딩하여 제 1유리섬유 다발을 2차 압축 고정하도록 구조 개선되어, 제 2유리섬유에 의해 제 1유리섬유 다발의 압축 상태가 견고하게 고정되면서 제 1유리섬유 다발을 고밀도로 정밀하게 밴딩 성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섬유 보강근의 밴딩 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섬유 보강근의 밴딩 성형장치의 나선압축부 및 밴딩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섬유 보강근의 밴딩 성형장치의 나선압축부 및 밴딩부 성형장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섬유 보강근의 밴딩 성형장치를 이용한 보강근 밴딩 성형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섬유 보강근의 밴딩 성형장치를 이용한 보강근 밴딩 성형방법의 곡선보강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들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섬유 보강근의 밴딩 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섬유 보강근의 밴딩 성형장치의 나선압축부 및 밴딩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섬유 보강근의 밴딩 성형장치의 나선압축부 및 밴딩부 성형장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유리섬유 보강근의 밴딩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근 밴딩 성형방법에 관련되며, 이는 제 1유리섬유 다발이 1차 압축되면서 외주면에 나선골이 형성된 후, 나선골에 제 2유리섬유를 밴딩하여 제 1유리섬유 다발을 2차 압축 고정하도록 구조 개선되어, 제 2유리섬유에 의해 제 1유리섬유 다발의 압축 상태가 견고하게 고정되면서 제 1유리섬유 다발을 고밀도로 정밀하게 밴딩 성형할 수 있도록 유리섬유공급부(10), 함침조(11), 나선압축부(20), 밴딩부(30), 가열로(40)를 포함하여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섬유 보강근의 밴딩 성형장치는, 다수 가닥의 제 1유리섬유(1)를 다발로 모아서 공급하는 유리섬유공급부(10); 상기 제 1유리섬유(1) 다발을 함침하도록 열경화성 접착제(2)가 수용되는 함침조(11); 상기 함침조(11)를 통과하여 함침처리된 제 1유리섬유(1) 다발을 소정의 지름으로 압축하면서 열경화성 접착제를 일부 짜내고, 외주면에 나선골(1a)을 형성하는 나선압축부(20); 상기 나선압축부(20)를 거친 제 1유리섬유(1) 다발의 나선골(1a)에 제 2유리섬유(1')를 나선형으로 권취하도록 구비되는 밴딩부(30); 및 상기 밴딩부(30)를 거친 제 1, 2유리섬유(1)(1')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열경화성 접착제를 경화하도록 구비되는 가열로(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나선압축부(20) 및 밴딩부(30)는 일체로 형성되어 구동부에 의해 회전운동되도록 구비된다.
도 2에서, 상기 나선압축부(20)는 중앙에 제 1유리섬유(1) 다발이 압축 통과되면서 나선골(1a)을 형성하도록 암나사홀(21a)이 관통되는 나선금형(21)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암나사홀(21a)은 입구가 외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확장되는 경사홀로 형성되고, 제 1유리섬유(1) 다발이 나선압축부(20)의 나선골(1a)을 통과하면서 압축되는 과정 중에 배출되는 열경화성 접착제(2)는 암나사홀(21a) 입구 경사홀을 타고 함침조(11)로 회수처리되도록 구비된다.
또, 상기 나선금형(21) 후단에 연결되고, 중앙에 암나사홀(21a) 대비 확장된 지름으로 가압홀(31a)이 형성되며, 가압홀(31a) 내부로 제 2유리섬유(1')를 투입하여 제 1유리섬유(1) 외주면에 귄취하도록 피딩홀(31b)이 형성되는 밴딩금형(31)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밴딩금형(31) 외주면에 설치되어, 제 2유리섬유(1')가 권취되는 보빈(3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제 2유리섬유(1')를 소정의 장력으로 공급하는 피딩바디(33)이 구비된다.
상기 나선압축부(20) 및 밴딩부(3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도 3처럼 상기 피딩홀(31b)은 암나사홀(21a)과 가압홀(31a)이 접하는 경계에 배치되고, 상기 제 1유리섬유(1) 다발이 암나사홀(21a)을 통과하면서 1차 압축 및 나선골(1a)이 형성된 후, 나선골(1a)에 제 2유리섬유(1')가 권취되면서 제 1유리섬유(1) 다발이 2차 압축 고정된 상태로 가압홀(31a)을 타고 이송되도록 구비되고, 제 2유리섬유(1')에 의해 제 1유리섬유(1) 다발의 압축 상태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제 1유리섬유(1) 다발을 고밀도로 정밀하게 밴딩 성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유리섬유공급단계(S10)에서, 제 1유리섬유(1) 다발 중앙부에 흡수튜브(3)가 배치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흡수튜브(3)는 함침단계(S20)에서 열경화성 접착제(2)를 흡수한 상태로 피딩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상기 제 1유리섬유(1) 다발이 제 2유리섬유(1')에 의해 2차 압축되는 중에 흡수튜브(3)에 흡수된 열경화성 접착제(2)가 제 1유리섬유(1) 다발 외측으로 분출되면서 나선형으로 권취된 제 2유리섬유(1') 사이로 공급되도록 구비되므로, 열경화성 접착제(2)에 의한 제 2유리섬유(1') 접착력을 높일 수 있고, 열경화성 접착제(2)의 과다 공급으로 인한 뒷처리공정이 생략되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섬유 보강근의 밴딩 성형장치를 이용한 보강근 밴딩 성형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섬유 보강근의 밴딩 성형장치를 이용한 보강근 밴딩 성형방법의 곡선보강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섬유 보강근의 밴딩 성형장치를 이용한 보강근 밴딩 성형방법은, 유리섬유공급단계(S10), 함침단계(S20), 나선골성형단계(S30), 권취단계(S40), 열경화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 유리섬유공급단계(S10)
본 발명에 따른 유리섬유공급단계(S10)는, 다수 가닥의 제 1유리섬유(1)를 다발로 모아서 공급하는 단계이다.
상기 유리섬유공급단계(S10)는 각각의 보빈에 권취된 제 1유리섬유(1)를 하나의 묶음으로 모아서 후술하는 함침조(11)로 이송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 1유리섬유(1)는 복수의 가이드롤러에 의해 360˚ 방향에서 투입되어, 중심에 위치되는 어느 하나의 제 1유리섬유(1)를 중심으로 원형 배치된다.
2. 함침단계(S20)
본 발명에 따른 함침단계(S20)는, 상기 제 1유리섬유(1) 다발을 열경화성 접착제(2)가 수용된 함침조(11)로 투입하여 함침하는 단계이다.
상기 함침조(11) 내에 수용된 열경화성 접착제(2) 수위 대비 낮게 가이드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제 1유리섬유(1) 다발은 가이드롤러를 경유하여 열경화성 접착제(2)에 함침된 후, 후술하는 나선압축부(20)로 이동된다.
3. 나선골성형단계(S30)
본 발명에 따른 나선골성형단계(S30)는, 상기 함침단계(S20)를 통과하여 함침처리된 제 1유리섬유(1) 다발을 나선압축부(20)로 투입하여, 소정의 지름으로 압축하면서 열경화성 접착제를 일부 짜내고, 외주면에 나선골(1a)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나선골(1a)은 후술하는 제 2유리섬유(1')가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자리로서, 제 2유리섬유(1')의 지름 및 권취 피치를 고려하여 나선골(1a)의 피치 및 사이즈가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나선압축부(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권취단계(S40)에서 밴딩부(30)와 함게 설명한다.
4. 권취단계(S40)
본 발명에 따른 권취단계(S40)는, 상기 나선골성형단계(S30)를 거친 제 1유리섬유(1) 다발을 밴딩부(30)로 투입하여, 나선골(1a)에 제 2유리섬유(1')를 나선형으로 권취하는 단계이다.
도 3에서, 상기 나선압축부(20) 및 밴딩부(30)는 일체로 형성되어 구동부에 의해 회전운동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나선압축부(20)는 중앙에 제 1유리섬유(1) 다발이 압축 통과되면서 나선골(1a)을 형성하도록 암나사홀(21a)이 관통되는 나선금형(21)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암나사홀(21a)은 입구가 외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확장되는 경사홀로 형성되고, 제 1유리섬유(1) 다발이 나선압축부(20)의 나선골(1a)을 통과하면서 압축되는 과정 중에 배출되는 열경화성 접착제(2)는 암나사홀(21a) 입구 경사홀을 타고 함침조(11)로 회수처리되도록 구비된다.
또, 상기 나선금형(21) 후단에 연결되고, 중앙에 암나사홀(21a) 대비 확장된 지름으로 가압홀(31a)이 형성되며, 가압홀(31a) 내부로 제 2유리섬유(1')를 투입하여 제 1유리섬유(1) 외주면에 귄취하도록 피딩홀(31b)이 형성되는 밴딩금형(31)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밴딩금형(31) 외주면에 설치되어, 제 2유리섬유(1')가 권취되는 보빈(3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제 2유리섬유(1')를 소정의 장력으로 공급하는 피딩바디(33)이 구비된다.
상기 나선압축부(20) 및 밴딩부(3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피딩홀(31b)은 암나사홀(21a)과 가압홀(31a)이 접하는 경계에 배치되고, 상기 제 1유리섬유(1) 다발이 암나사홀(21a)을 통과하면서 1차 압축 및 나선골(1a)이 형성된 후, 나선골(1a)에 제 2유리섬유(1')가 권취되면서 제 1유리섬유(1) 다발이 2차 압축 고정된 상태로 가압홀(31a)을 타고 이송되도록 구비되고, 제 2유리섬유(1')에 의해 제 1유리섬유(1) 다발의 압축 상태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제 1유리섬유(1) 다발을 고밀도로 정밀하게 밴딩 성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유리섬유공급단계(S10)에서, 제 1유리섬유(1) 다발 중앙부에 흡수튜브(3)가 배치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흡수튜브(3)는 함침단계(S20)에서 열경화성 접착제(2)를 흡수한 상태로 피딩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도 3처럼, 상기 제 1유리섬유(1) 다발이 제 2유리섬유(1')에 의해 2차 압축되는 중에 흡수튜브(3)에 흡수된 열경화성 접착제(2)가 제 1유리섬유(1) 다발 외측으로 분출되면서 나선형으로 권취된 제 2유리섬유(1') 사이로 공급되도록 구비되므로, 열경화성 접착제(2)에 의한 제 2유리섬유(1') 접착력을 높일 수 있고, 열경화성 접착제(2)의 과다 공급으로 인한 뒷처리공정이 생략되는 이점이 있다.
5. 열경화단계(S50)
본 발명에 따른 열경화단계(S50)는, 상기 권취단계(S40)를 거친 제 1, 2유리섬유(1)(1')를 가열로(40)로 투입하여 열경화성 접착제로 접착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제 1, 2유리섬유(1)(1')가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 가열로(40)를 통과하면서 열경화성 접착제(2)에 의해 결속된 상태로 직선형 유리섬유보강근(100)을 형성하며, 상기 가열로(40)를 통과한 유리섬유보강근(100)은 별도의 피딩롤러에 의해 피딩속도가 제어되도록 구비된다.
도 5에서, 상기 열경화단계(S50)를 거쳐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유리섬유보강근(100)은 곡선보강모듈(200)에 의해 곡선구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곡선보강모듈(200)은, 내부에 다수 가닥의 제 3유리섬유(1")가 수용되는 주름관(210)과, 주름관(210) 양단부를 마감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제 3유리섬유(1") 양단부가 수용되는 격실(222)이 형성되는 마감캡(220)과, 격실(222) 내부에 설치되어 복수의 타공(232)이 관통되고, 타공(232)에 제 3유리섬유(1")가 이송가능하게 삽입되는 격벽(230)과, 제 3유리섬유(1") 단부에 설치되고, 제 3유리섬유(1") 지름 대비 확장된 사이즈로 형성되는 요철편(240)과, 격실(230) 내부로 열경화성 접착제(2)를 주입 및 격실(230) 내부 공기를 배기하는 한 쌍의 포트(250)와, 마감캡(220)에 연결되어, 직선형 유리섬유보강근(100) 단부를 구속하는 조인트(2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조인트(260)는 콜렛 구조로 형성되는바, 즉,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쇄기날이 나사결합에 의한 피치 이동되면서 수축되어 유리섬유보강근(100)을 가압클램핑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유리섬유보강근(100) 및 곡선보강모듈(200)의 현장 시공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주름관(210) 양단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조인트(260)에 직선형 유리섬유보강근(100)을 체결하고, 도 6처럼 상기 주름관(210)을 절곡하면, 다수 가닥의 제 3유리섬유(1")가 타공(232)을 타고 이동되면서 소정의 곡률로 절곡된다.
이후, 도 7과 같이, 상기 격실(230) 어느 일측에 설치된 포트(250)에 진공발생기를 연결하여 격실(230) 및 주름관(210) 내부 공기를 배기하면서 다른 포트(250)를 통하여 열경화성 접착제(2)를 주입하여, 격실(230) 및 주름관(210) 내부에 열경화성 접착제(2)를 충진한 후, 히터를 이용하여 격실(230) 및 주름관(210)을 가열하여 열경화성 접착제(2)를 경화하며, 상기 격실(230) 내에서 경화된 열경화성 접착제(2)는 요철편(240)과 함께 경화되어 제 3유리섬유(1")를 구속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곡선보강모듈(200)을 현장에서 소정의 곡률로 절곡하여 열경화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직선형 유리섬유보강근(100)을 현장 상황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시공할 수 있는 범용성이 제공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0: 유리섬유공급부 11: 함침조
20: 나선압축부 30: 밴딩부
40: 가열로

Claims (5)

  1. 다수 가닥의 제 1유리섬유(1)를 다발로 모아서 공급하는 유리섬유공급단계(S10);
    상기 제 1유리섬유(1) 다발을 열경화성 접착제(2)가 수용된 함침조(11)로 투입하여 함침하는 함침단계(S20);
    상기 함침단계(S20)를 통과하여 함침처리된 제 1유리섬유(1) 다발을 나선압축부(20)로 투입하여, 소정의 지름으로 압축하면서 열경화성 접착제를 일부 짜내고, 외주면에 나선골(1a)을 형성하는 나선골성형단계(S30);
    상기 나선골성형단계(S30)를 거친 제 1유리섬유(1) 다발을 밴딩부(30)로 투입하여, 나선골(1a)에 제 2유리섬유(1')를 나선형으로 권취하는 권취단계(S40); 및
    상기 권취단계(S40)를 거친 제 1, 2유리섬유(1)(1')를 가열로(40)로 투입하여 열경화성 접착제로 접착하는 열경화단계(S50);를 포함하고,
    상기 유리섬유공급단계(S10)에서,
    제 1유리섬유(1) 다발 중앙부에 흡수튜브(3)가 배치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흡수튜브(3)는 함침단계(S20)에서 열경화성 접착제(2)를 흡수한 상태로 피딩되며,
    상기 제 1유리섬유(1) 다발이 제 2유리섬유(1')에 의해 2차 압축되는 중에 흡수튜브(3)에 흡수된 열경화성 접착제(2)가 제 1유리섬유(1) 다발 외측으로 분출되면서 나선형으로 권취된 제 2유리섬유(1') 사이로 공급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보강근의 밴딩 성형장치를 이용한 보강근 밴딩 성형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단계(S50)를 거쳐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유리섬유보강근(100)은 곡선보강모듈(200)에 의해 곡선구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곡선보강모듈(200)은,
    내부에 다수 가닥의 제 3유리섬유(1")가 수용되는 주름관(210)과,
    주름관(210) 양단부를 마감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제 3유리섬유(1") 양단부가 수용되는 격실(222)이 형성되는 마감캡(220)과,
    격실(222) 내부에 설치되어 복수의 타공(232)이 관통되고, 타공(232)에 제 3유리섬유(1")가 이송가능하게 삽입되는 격벽(230)과,
    제 3유리섬유(1") 단부에 설치되고, 제 3유리섬유(1") 지름 대비 확장된 사이즈로 형성되는 요철편(240)과,
    격실(230) 내부로 열경화성 접착제(2)를 주입 및 격실(230) 내부 공기를 배기하는 한 쌍의 포트(250)와,
    마감캡(220)에 연결되어, 직선형 유리섬유보강근(100) 단부를 구속하는 조인트(260)를 포함하고,
    상기 주름관(210) 양단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조인트(260)에 직선형 유리섬유보강근(100)을 체결하고,
    상기 주름관(210)을 절곡하면, 다수 가닥의 제 3유리섬유(1")가 타공(232)을 타고 이동되면서 소정의 곡률로 절곡되며,
    상기 격실(230) 어느 일측에 설치된 포트(250)에 진공발생기를 연결하여 격실(230) 및 주름관(210) 내부 공기를 배기하면서 다른 포트(250)를 통하여 열경화성 접착제(2)를 주입하여, 격실(230) 및 주름관(210) 내부에 열경화성 접착제(2)를 충진한 후, 히터를 이용하여 격실(230) 및 주름관(210)을 가열하여 열경화성 접착제(2)를 경화하고,
    상기 격실(230) 내에서 경화된 열경화성 접착제(2)는 요철편(240)과 함께 경화되어 제 3유리섬유(1")를 구속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보강근의 밴딩 성형장치를 이용한 보강근 밴딩 성형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30038044A 2023-03-16 2023-03-23 유리섬유 보강근의 밴딩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근 밴딩 성형방법 KR1026039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30034319 2023-03-16
KR1020230034319 2023-03-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3976B1 true KR102603976B1 (ko) 2023-11-21

Family

ID=88981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8044A KR102603976B1 (ko) 2023-03-16 2023-03-23 유리섬유 보강근의 밴딩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근 밴딩 성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397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4684A (ja) * 2000-12-25 2002-07-10 Yoshida Kogyo Kk Sz溝付きロッドへのテープ心線落し込み方法
KR101248933B1 (ko) 2009-12-31 2013-03-29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철근대용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24462B1 (ko) * 2021-03-31 2022-07-25 주식회사 자연바이오 유리섬유 보강재 및 그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4684A (ja) * 2000-12-25 2002-07-10 Yoshida Kogyo Kk Sz溝付きロッドへのテープ心線落し込み方法
KR101248933B1 (ko) 2009-12-31 2013-03-29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철근대용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24462B1 (ko) * 2021-03-31 2022-07-25 주식회사 자연바이오 유리섬유 보강재 및 그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5210B2 (en) Reinforcing bar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2198226B1 (ko) 콘크리트용 섬유강화 복합체 보강근 제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섬유강화 복합체 보강근
US20080141614A1 (en) Flexible fiber reinforced composite rebar
AU2002331512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threaded fiber reinforced rod
KR100766954B1 (ko) 자가 함침된 돌기를 가진 섬유강화 폴리머 보강근 및 그제조방법
CN109311240B (zh) 用于生产至少部分具有轮廓的纤维增强塑料型材的方法、具有轮廓的纤维增强塑料型材及其用途
US20050271845A1 (en) Composite poles with an integral mandrel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KR102424462B1 (ko) 유리섬유 보강재 및 그 제조장치
KR100702629B1 (ko) 복합재 콘크리트 리바의 제조장치
KR101764693B1 (ko) 가이드섬유를 이용한 돌기사 위치 고정 구성의 섬유보강폴리머 보강근 제작방법과 제작장치
KR102603976B1 (ko) 유리섬유 보강근의 밴딩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근 밴딩 성형방법
US202102614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einforcing elements for reinforced concrete
US20080241446A1 (en)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s of filament winding, pultrusion and open molding that material
RU2536996C2 (ru) Способ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еклопластикового профиля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качестве армирующего элемента для упрочнения стенки горной выработки
KR102407020B1 (ko) 일체형 리브를 갖는 복합소재 리바의 제조방법
JP2612773B2 (ja) コンクリート補強部材及びその製造法
KR100580226B1 (ko) 그라우팅용 frp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CN106003760A (zh) 拉挤缠绕复合成型制备复合材料空心型材
JPH04224154A (ja) コンクリート補強部材の製造法
KR102349380B1 (ko) 콘크리트용 보강근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근 제조방법
RU2133670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рофильных изделий из полимерных композиционных материалов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2670877B1 (ko) 유리섬유 보강근 제조용 함침수지 조절장치
WO2001076853A2 (en) Fiber reinforced threaded rod
KR102668990B1 (ko) 고강도용 gfrp 보강근 제조방법
KR102589369B1 (ko) 철근 대용 보강근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