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3757B1 - Ai 및 메타버스를 활용한 독서 및 도서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Ai 및 메타버스를 활용한 독서 및 도서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3757B1
KR102603757B1 KR1020230009663A KR20230009663A KR102603757B1 KR 102603757 B1 KR102603757 B1 KR 102603757B1 KR 1020230009663 A KR1020230009663 A KR 1020230009663A KR 20230009663 A KR20230009663 A KR 20230009663A KR 102603757 B1 KR102603757 B1 KR 102603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ding
book
information
unit
p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9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정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팩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팩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팩토리
Priority to KR1020230009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37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7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6Cluster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I 및 메타버스를 활용한 독서 및 도서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AI 기반의 진단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회원별 독서성향을 분석하고, 독서성향에 따른 메타버스 기반의 가상 온라인 도서관을 제공할 수 있는 AI 및 메타버스를 활용한 독서 및 도서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AI 및 메타버스를 활용한 독서 및 도서관리 시스템은 스마트 로봇을 통해 촬영되는 회원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회원영상으로부터 얼굴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회원정보를 인식하는 회원인식부, 상기 회원정보가 인식됨에 따라 반납되는 대상도서의 도서정보를 판독하는 도서관리부, 상기 도서정보를 상기 회원정보로부터 확인된 독서이력 관리페이지에 등록함에 따라, 상기 스마트 로봇을 통해 독서패턴 대화서비스를 활성화시키는 대화서비스부, 상기 독서패턴 대화서비스를 통해 인식된 회원음성을 복수의 독서키워드 문장들로 텍스트변환하고, 이를 AI 진단알고리즘에 적용함에 따라 지능별 출력값과 감정상태별 출력값을 도출하는 정보분석부 및 상기 지능별 출력값과 상기 감정상태별 출력값을 그래픽처리함에 따라 생성되는 독서성향 분석차트를 상기 독서이력 관리페이지에 업데이트하는 통합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AI 및 메타버스를 활용한 독서 및 도서관리 방법 및 시스템{READING AND LIBRARY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ING AI AND METAVERSE}
본 발명은 AI 및 메타버스를 활용한 독서 및 도서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AI 기반의 진단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회원별 독서성향을 분석하고, 독서성향에 따른 메타버스 기반의 가상 온라인 도서관을 제공할 수 있는 AI 및 메타버스를 활용한 독서 및 도서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을 이용한 다양한 정보 제공과 교육관련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다양한 이미지와 소리가 결합된 멀티미디어 방식을 이용하여 쉽고 재미있게 개념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인터넷을 이용한 학습 관련 분야는 인터넷을 이용한 강좌에서부터 학습지 및 각종 학습관련 정보 제공과 관련 지도 등등 많은 분야에 이용되고 있는데, 논술, 심층구술, 면접이 대학입시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포함되면서, 독서지도, 글쓰기, 논술 등의 교육이 매우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사이버 공간을 이용하여 독후감 쓰기, 독서신문 만들기, 독서편지쓰기, 동시 및 생활문 쓰기 등의 다양한 독서 체험 활동을 전개하여 사이버 독서교육을 하는 분야가 많아지고 있고, 이밖에도 독서학습 발표회, 독서작품 전시회, 친구 또는 가족과 함께 하는 독서활동을 전개하는 등 독서교육에 힘쓰고 있기도 하다.
그리고, 글쓰기 기초, 독서교육, 원고지 사용법, 문장부호 등을 익힐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설명문, 논설문, 생활문 등 장르별로 예시문을 읽고 글 쓰는 방법을 배우고, 자신이 쓴 글을 직접 올려 교정받을 수 있게 하고 있다.
특히, 웹을 통하여 개인의 독서 관리를 지원하되, 각 개인의 연령별, 학년별, 분야별로 고르게 맞춤 정보로서 제공함과 아울러 이를 관리하도록 하기 위한 웹을 통한 독서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514939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읽은 책 정보를 회원 본인이 직접 수작업으로 입력하도록 하고 있어 도서목록의 정확성이 보장되지 않으며, 또한, 상기 특허는 독서레벨에 맞는 추천도서 목록만을 제공할 뿐 회원의 지능과 감정상태에 따라 보다 정확하게 분류된 맞춤형 도서를 메타버스 방식으로 제공하지 않습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회원의 독서성향을 분석하여 보다 정확한 맞춤형 도서를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는 AI 및 메타버스를 활용한 독서 및 도서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AI 기반의 진단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회원별 독서성향을 분석하고, 독서성향에 따른 메타버스 기반의 가상 온라인 도서관에 대한 열람권한을 제한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AI 및 메타버스를 활용한 독서 및 도서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I 및 메타버스를 활용한 독서 및 도서관리 시스템은 스마트 로봇을 통해 촬영되는 회원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회원영상으로부터 얼굴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회원정보를 인식하는 회원인식부, 상기 회원정보가 인식됨에 따라 반납되는 대상도서의 도서정보를 판독하는 도서관리부, 상기 도서정보를 상기 회원정보로부터 확인된 독서이력 관리페이지에 등록함에 따라, 상기 스마트 로봇을 통해 독서패턴 대화서비스를 활성화시키는 대화서비스부, 상기 독서패턴 대화서비스를 통해 인식된 회원음성을 복수의 독서키워드 문장들로 텍스트변환하고, 이를 AI 진단알고리즘에 적용함에 따라 지능별 출력값과 감정상태별 출력값을 도출하는 정보분석부 및 상기 지능별 출력값과 상기 감정상태별 출력값을 그래픽처리함에 따라 생성되는 독서성향 분석차트를 상기 독서이력 관리페이지에 업데이트하는 통합관리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독서이력 관리페이지는 상기 회원정보에 따라 사전에 등록된 회원별 개인웹페이지로써, 회원별 독서성향을 분석차트로 그래프화하여 통합관리할 수 있는 독서관리 서비스와 메타버스 기반의 가상 온라인 도서관을 이용하기 위한 아바타를 서비스할 수 있는 메타버스 제공서비스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부는 상기 회원단말로부터 상기 독서관리 서비스를 통해 업로드받는 회원이미지에 상기 도서정보와 상기 독서성향 분석차트를 통합하여 독서이력 관리페이지에 독서일지 갤러리형태로 기록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부는 도서 DB에 기설정된 복수의 카테고리들로부터 상기 독서성향 분석차트에 따라 선정되는 맞춤형 도서카테고리에 기초하여, 상기 메타버스 제공서비스를 통해 생성된 상기 아바타에 대한 상기 가상 온라인 도서관의 카테고리별 열람권한을 제한적으로 부여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부는 상기 회원이미지로부터 인식되는 기설정된 기설정된 이벤트동작, 이벤트사물 및 이벤트 배경객체에 기초하여, 상기 AI 진단알고리즘에 대한 레이어별 가중치를 수정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부는 상기 지능별 출력값 중 각 출력값의 크기순으로 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능을 강점지능으로 식별하는 제1 식별부, 상기 감정상태별 출력값 중 최대값에 해당하는 하나의 감정상태를 대표감정상태로 식별하는 제2 식별부, 상기 강점지능과 상기 대표감정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기설정된 복수의 카테고리들로부터 상기 맞춤형 도서카테고리를 필터링하는 필터링부 및 상기 맞춤형 도서카테고리에 따라 검색되는 도서목록을 이용하여, 맞춤형 도서 포트폴리오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독서이력 관리페이지에 등록하는 페이지관리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관리부는 상기 맞춤형 도서 포트폴리오에 리스트된 도서를 대여, 구매, 선물 및 교환할 수 있도록 도서대여 및 판매 사이트를 상기 맞춤형 도서 포트폴리오에 연동시키고, 상기 독서이력 관리페이지를 통해 등록된 보유 도서를 중고 판매할 수 있도록 중고거래 서비스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관리부는 상기 가상 온라인 도서관에 도서카테고리별로 배치된 서재객체들 중 상기 맞춤형 도서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대상서재객체를 탐색하는 서재관리부, 상기 대상서재객체를 상기 아바타에 대응되는 제1 색상으로 보정처리하고, 나머지 서재객체를 상기 제1 색상의 보색으로 색보정처리하는 색보정부, 상기 회원정보, 상기 도서정보 및 상기 복수의 독서키워드 문장들로부터 6하 원칙 대상키워드에 따라 해시태그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해시태그와 상기 도서정보로부터 확인된 도서이미지를 이용하여, 독서이력 공유게시글을 자동으로 작성하는 게시글작성부 및 상기 독서이력 공유게시글을 공유페이지에 게시하는 공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I 및 메타버스를 활용한 독서 및 도서관리 방법으로서, 회원인식부가 스마트 로봇을 통해 촬영되는 회원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회원영상으로부터 얼굴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회원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도서관리부가 상기 회원정보가 인식됨에 따라 반납되는 대상도서의 도서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대화서비스부가 상기 도서정보를 상기 회원정보로부터 확인된 독서이력 관리페이지에 등록함에 따라, 상기 스마트 로봇을 통해 독서패턴 대화서비스를 활성화는 단계, 정보분석부가 상기 독서패턴 대화서비스를 통해 인식된 회원음성을 복수의 독서키워드 문장들로 텍스트변환하고, 이를 AI 진단알고리즘에 적용함에 따라 지능별 출력값과 감정상태별 출력값을 도출하는 단계 통합관리부가 상기 지능별 출력값과 상기 감정상태별 출력값을 그래픽처리함에 따라 생성되는 독서성향 분석차트를 상기 독서이력 관리페이지에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관리부가 상기 독서성향 분석차트에 따라 도서 DB로부터 분류되는 맞춤형 도서카테고리에 기초하여, 메타버스 기반의 가상 온라인 도서관을 이용하기 위한 아바타의 카테고리별 열람권한을 제한적으로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AI 기반의 재능 및 감정상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회원별 독서성향을 지능과 감정상태별로 분류하여 보다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독서성향에 따른 메타버스 기반의 가상 온라인 도서관에 대한 열람권한을 제한적으로 제공함으로써, 회원별로 맞춤형의 도서를 추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I 및 메타버스를 활용한 독서 및 도서관리 시스템(10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2a는 독서이력 관리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독서관리 서비스에 대한 실시예들이고, 도 2b는 독서이력 관리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메타버스 제공서비스에 대한 실시예이며, 도 2c는 독서이력 관리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독서일지 갤러리에 대한 실시예이고, 도 2d는 독서이력 관리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관계정보 입력 서비스에 대한 실시예이며, 도 2e는 독서관리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위치전송 서비스이고, 도 2f는 도 1의 통합관리부(500)가 추천 알고리즘을 도출하는 실시예이며, 도 2g는 도 1의 통합관리부(500)가 예측수요 알고리즘을 도출하는 실시예이다.
도 3은 도 1의 통합관리부(500)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a는 독서이력 관리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맞춤형 도서 포트폴리오에 대한 실시예이고, 도 4b는 독서이력 관리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회원패턴 분석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페이지관리부(540)에 대한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I 및 메타버스를 활용한 독서 및 도서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I 및 메타버스를 활용한 독서 및 도서관리 시스템(10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고, 도 2a는 독서이력 관리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독서관리 서비스에 대한 실시예들이고, 도 2b는 독서이력 관리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메타버스 제공서비스에 대한 실시예이며, 도 2c는 독서이력 관리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독서일지 갤러리에 대한 실시예이고, 도 2d는 독서이력 관리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관계정보 입력 서비스에 대한 실시예이며, 도 2e는 독서관리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위치전송 서비스이고, 도 2f는 도 1의 통합관리부(500)가 추천 알고리즘을 도출하는 실시예이며, 도 2g는 도 1의 통합관리부(500)가 예측수요 알고리즘을 도출하는 실시예이다.
도 1 내지 도 2g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AI 및 메타버스를 활용한 독서 및 도서관리 시스템(1000)은 회원인식부(100), 도서관리부(200), 대화서비스부(300), 정보분석부(400) 및 통합관리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회원인식부(100)는 스마트 로봇(110)을 통해 촬영되는 회원영상을 수신하고, 회원영상으로부터 얼굴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회원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회원정보는 사전에 등록된 사용자정보 예컨대, 나이, 이름, 얼굴이미지, 학교정보, 회원단말정보 및 부모단말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로봇(110)은 도서반납대(미도시) 주변의 일정 영역을 자율주행하고, 회원객체가 일정거리 이내로 근접함에 따라 회원영상을 촬영하며, 이를 네트워크를 통해 회원인식부(1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로봇(110)은 회원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회원영상을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 카메라모듈에 연동하여, 회원영상의 회원객체에 대한 호흡 및 심박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레이더센서 모듈, 회원객체와의 도서탐색용 챗봇 기능을 서비스하기 위한 마이크 및 스피커모듈, 도서반납대의 환경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환경센서모듈 및 회원객체에 대한 호흡 및 심박신호와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이벤트발생 신호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자단말에 전송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원인식부(100)는 스마트 로봇(110)을 통해 전송받은 회원영상으로부터 검출되는 얼굴특징에 기초하여, 기등록된 복수의 회원정보 중 해당 얼굴특징에 대응되는 회원정보를 필터링하여 인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회원인식부(100)는 출납관리단말(미도시)을 통해 촬영되는 회원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출납관리단말(미도시)은 스마트 로봇(110)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로써, 도서반납대에 배치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회원인식부(100)와 통신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서관리부(200)는 회원인식부(100)를 통해 회원정보가 인식됨에 따라 반납되는 대상도서의 도서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도서는 회원이 해당 도서를 읽고난 후 반납하려는 도서를 의미하고, 도서정보는 대상도서의 도서명, ISBN, 도서 카테고리 및 도서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서관리부(200)는 회원정보가 인식됨에 따라 활성화되는 바코드스캐너(210)를 이용하여, 도서반납대(미도시)로 반납되는 대상도서의 도서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도서관리부(200)는 회원영상으로부터 인식된 QR 코드 정보와 바코드스캐너(210)를 통해 판독된 대상도서의 도서정보 간의 동일 여부에 기초하여, 회원정보로부터 확인된 독서이력 관리페이지에 해당 도서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독서이력 관리페이지는 회원단말(10)을 통해 입력받는 회원정보에 따라 사전에 등록된 회원별 웹페이지로써,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원별 독서성향을 분석차트로 그래프화하여 통합관리할 수 있는 독서관리 서비스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타버스 기반의 가상 온라인 도서관을 이용하기 위한 아바타를 서비스할 수 있는 메타버스 제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도서관리부(200)는 네이버 OPEN API, 국립중앙도서관 단행본 API 및 전집 API를 이용하여, 도서 DB(610)에 사전에 수집된 복수의 도서정보에 대한 검색기능을 스마트 로봇(110) 및 회원단말(1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회원인식부(100)는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서관리 서비스를 통해 접속된 어느 하나의 단말(미도시)로부터 관계정보 입력 서비스를 통해 개별적으로 입력받는 관계정보를 회원단말(10)에 중계함에 따라 피드백받는 승인 신호에 기초하여, 회원정보에 대한 열람 권한을 맞춤형으로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관계정보는 부모나 친인척을 나타내는 가족정보, 어린이집, 유치원, 학원 및 학교를 나타내는 교육기관정보, 상담사나 특정전문가를 나타내는 파트너정보 및 본인을 나타내는 본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대화서비스부(300)는 회원정보로부터 확인되는 독서이력 관리페이지에 도서정보를 등록함에 따라, 스마트 로봇(110)을 통해 독서패턴 대화서비스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독서패턴 대화서비스는 해당 도서정보와 관련된 내용들에 대하여 기설정된 질의 사항들을 스마트 로봇(110)을 통해 음성 출력함에 따라 해당 회원답변을 응답받는 질의-응답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질의 사항들은 회원의 재능과 감정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별도의 질의 사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대화서비스부(300)는 스마트 로봇(110)을 통해 회원음성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회원단말(10)로부터 독서이력 관리페이지를 통해 회원음성을 녹음하도록 스마트 로봇(110)을 통해 요청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정보분석부(400)는 독서패턴 대화서비스를 통해 문장별로 인식된 회원음성을 복수의 독서키워드 문장들로 텍스트변환하고, 이를 AI 진단알고리즘에 적용함에 따라 지능별 출력값과 감정상태별 출력값을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AI 진단알고리즘은 AI 지능별 진단알고리즘과 AI 감정상태별 진단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분석부(400)는 기수집된 제1 학습문장들에 대하여 지능별 종류를 라벨링하여 분류하고, 라벨링된 제1 학습문장들을 머신러닝을 통해 학습함에 따라 모델링되는 AI 지능별 진단알고리즘을 사전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정보분석부(400)는 기수집된 제2 학습문장들에 대하여 감정상태별 종류를 라벨링하여 분류하고, 라벨링된 제2 학습문장들을 머신러닝을 통해 학습함에 따라 모델링되는 AI 감정상태별 진단알고리즘을 사전에 등록할 수 있다.
이러한 AI 지능별 진단알고리즘과 AI 감정상태별 진단알고리즘은 복수의 독서키워드 문장들을 입력받아 지능별 출력값과 감정상태별 출력값을 각각 도출하는 인공 신경 회로망(Artificial Neural Network), SVM(Support Vector Machine), 의사 결정 트리(Decision Tree) 및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 중 어느 하나의 알고리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AI 지능별 진단알고리즘과 AI 감정상태별 진단알고리즘은 Tensorflow, Keras, Pytorc 중 어느 하나의 딥러닝 프레임워크와 CNN, RNN 및 BERT 중 어느 하나의 딥러닝 기법을 이용하는 통계학적 학습 알고리즘일 수 있다.
이때, 지능이란 언어지능, 수리지능, 음악지능, 미술지능, 신체지능, 관계지능, 자연지능 및 자아지능을 포함하고, 감정상태는 행복상태, 슬픔상태, 화남상태, 두려움상태, 혐오상태 및 중립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합관리부(500)는 정보분석부(400)를 통해 도출된 지능별 출력값과 감정상태별 출력값을 그래픽처리함에 따라 생성되는 독서성향 분석차트를 독서이력 관리페이지에 업데이트하여 회원단말(1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독서성향 분석차트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회원의 지능과 감정상태를 한눈에 식별하도록 나타내는 차트그래프들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통합관리부(500)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원단말(10)로부터 독서관리 서비스를 통해 업로드받는 회원이미지에 도서정보와 독서성향 분석차트를 통합하여 독서이력 관리페이지에 독서일지 갤러리형태로 기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합관리부(500)는 도서 DB(610)의 기설정된 복수의 카테고리들로부터 독서성향 분석차트에 따라 선정되는 맞춤형 도서카테고리에 기초하여, 메타버스 제공서비스를 통해 생성된 아바타에 대한 가상 온라인 도서관(620)의 카테고리별 열람권한을 제한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합관리부(500)는 회원이미지로부터 인식되는 기설정된 이벤트동작, 이벤트사물 및 이벤트 배경객체에 기초하여, AI 지능별 진단알고리즘과 AI 감정상태별 진단알고리즘에 대한 레이어별 가중치를 개별적으로 수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합관리부(500)는 독서패턴 대화서비스를 통해 인식된 회원음성이 기설정된 음량세기 이하인 경우, 스마트 로봇(110)에 구비된 스피커모듈(115)을 통해 출력되는 질의사항들에 대한 음량세기를 자동으로 증가시키는 동시에 기준음량세기를 기준으로 회원음성의 음량세기를 스마트 로봇(110)에 구비된 모니터(미도시)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합관리부(500)는 독서패턴 대화서비스를 통해 회원음성이 인식될 때, 스마트 로봇(110)을 통해 주기적으로 촬영되는 회원객체이미지를 촬영하여 회원 본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합관리부(500)는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로봇(110)을 통해 독서패턴 대화서비스를 수행할 때, 회원정보에서 확인되는 부모단말(미도시)에 위치전송 서비스를 통해 회원위치정보를 자동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합관리부(500)는 스마트 로봇(110)을 통해 독서패턴 대화서비스를 수행할 때 스마트 로봇(110)을 통해 주기적으로 주변이미지를 촬영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때, 통합관리부(500)는 주변이미지로부터 검출되는 이벤트객체 예컨대, 회원객체 이외의 타회원객체에 기초하여, 스마트 로봇(110)을 통해 순서 안내 메시지를 출력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합관리부(500)는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회원의 각 독서이력 관리페이지를 통해 등록된 복수의 도서정보를 해당 성별, 연령, 지능 및 감정상태에 따라 분류하여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해당 빅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맞춤추천 도서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추천 알고리즘을 도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합관리부(500)는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빅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맞춤수요 도서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예측수요 알고리즘을 도출할 수도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도 1의 통합관리부(500)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a는 독서이력 관리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맞춤형 도서 포트폴리오에 대한 실시예이고, 도 4b는 독서이력 관리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회원패턴 분석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통합관리부(500)는 제1 식별부(510), 제2 식별부(520), 필터링부(530) 및 페이지관리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식별부(510)는 지능별 출력값 중 각 출력값의 크기순으로 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능을 카운팅함에 따라 누적된 지능별 이력 카운트수에 기초하여, 강점지능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지능이 음악, 관계 및 자아 지능을 카운팅함에 따라 누적된 지능별 이력 카운트수가 관계 63회, 자아 48회, 언어 44회, 자연 32회, 수리 21회, 미술 16회, 음악 14회, 신체 14회인 경우, 제1 식별부(510)는 이력 카운트수가 높은 일정 순위대로 관계, 자아, 언어를 강점지능으로 식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식별부(520)는 감정상태별 출력값 중 최대값에 해당하는 하나의 감정상태를 대표감정상태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정상태별 출력값 중 최대값에 해당하는 하나의 감정상태가 슬픔인 경우, 슬픔을 대표감정상태로 식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필터링부(530)는 제1 및 제2 식별부(510, 520)를 통해 식별된 강점지능과 대표감정상태에 기초하여, 도서 DB(610)에 기설정된 복수의 도서카테고리들로부터 맞춤형 도서카테고리를 필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도서카테고리들은 빈곤퇴치, 기아종식, 건강과 웰빙, 양질의 교육, 성평등, 깨끗한 물과 위생, 모두를 위한 깨끗한 에너지, 양질의 일자리와 경제성장, 산업 혁신 사회기반 시설, 불평등 해소, 지속가능한 도시와 공동체,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기후변화대응, 해양생태계의 보전, 육상생태계의 보호, 정의 평화 효과적인 제도 및 지구촌 협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각 도서카테고리에는 강점지능과 감정상태가 개별적으로 기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빈곤퇴지에 대한 도서카테고리는 관계지능, 자아지능, 언어지능을 포함하는 강점지능과 공포, 슬픔 및 화남에 해당하는 대표감정상태가 기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페이지관리부(54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춤형 도서카테고리에 따라 도서 DB(610)로부터 검색되는 도서목록을 이용하여, 맞춤형 도서 포트폴리오를 생성하고, 이를 독서이력 관리페이지에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페이지관리부(540)는 맞춤형 도서 포트폴리오에 리스트된 도서를 대여, 구매, 선물 및 교환할 수 있도록 도서대여 및 판매 사이트(710)를 맞춤형 도서 포트폴리오에 연동시키고, 독서이력 관리페이지를 통해 등록된 보유 도서를 타회원들에게 중고 판매할 수 있도록 중고거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페이지관리부(540)는 회원별 맞춤형 도서 포트폴리오로부터 확인되는 도서 카테고리 비율에 기초하여, 도서 DB(610)에 공급되는 카테고리별 신규 도서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페이지관리부(540)는 특정문장을 제공함에 따라 촬영된 회원영상으로부터 확인되는 회원객체의 안구움직임 속도에 기초하여 해당 회원의 컨디션 상태를 등급화하고, 컨디션 상태 등급에 따라 맞춤형 도서 포트폴리오에 대한 도서 리스트 순서를 정렬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페이지관리부(54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서이력 관리페이지에 등록된 복수의 도서정보를 리스트화하고, 각 도서정보에 대한 각 주제정보에 대한 통계분석기술 및 텍스트 마이닝 기술을 통해 기설정된 회원 평균 결과와 해당 회원패턴 분석 결과를 독서이력 관리페이지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페이지관리부(540)에 대한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페이지관리부(540)는 서재관리부(541), 색보정부(542), 추출부(543), 게시글작성부(544) 및 공유부(545)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서재관리부(541)는 가상 온라인 도서관(620)에 도서카테고리별로 배치된 서재객체들 중 맞춤형 도서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대상서재객체를 탐색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서재객체는 아바타에 의한 열람권한이 부여되고, 맞춤형 도서 포트폴리오에 포함된 도서목록을 포함하는 가상의 서재객체를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색보정부(542)는 서재관리부(541)를 통해 탐색된 대상서재객체를 아바타의 메인의상색상에 대응되는 제1 색상으로 보정처리하는 동시에, 나머지 서재객체를 제1 색상의 보색(Complementary color)으로 색보정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나머지 서재객체는 해당 아바타에 의한 열람권한이 제한되고, 도서 DB(610)로부터 맞춤형 도서카테고리가 제외된 나머지 카테고리에 개별적으로 대응되는 가상의 서재객체들을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추출부(543)는 회원인식부(100)를 통해 인식된 회원정보, 도서관리부(200)를 통해 판독된 도서정보 및 정보분석부(400)를 통해 텍스트변환된 복수의 독서키워드 문장들로부터 기설정된 6하 원칙 대상키워드에 따라 해시태그를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게시글작성부(544)는 해시태그와 도서정보로부터 확인된 도서이미지를 이용하여, 독서이력 공유게시글을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공유부(545)는 독서이력 공유게시글을 독서이력 관리페이지를 통해 타 회원들에게 공유되는 공유페이지에 게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공유부(546)는 공유페이지를 통해 확인된 독서이력 공유게시글에 대한 부정 피드백 응답수에 기초하여, 독서이력 관리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맞춤형 도서 포트폴리오로부터 해당 도서정보의 카테고리를 제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I 및 메타버스를 활용한 독서 및 도서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S110 단계에서, 회원인식부(100)는 스마트 로봇(110)을 통해 촬영되는 회원영상을 수신하고, 회원영상으로부터 얼굴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회원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그런 다음, S120 단계에서, 도서관리부(200)는 회원정보가 인식됨에 따라 반납되는 대상도서의 도서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그런 다음, S130 단계에서, 대화서비스부(300)는 도서정보를 회원정보로부터 확인된 독서이력 관리페이지에 등록함에 따라, 스마트 로봇(110)을 통해 독서패턴 대화서비스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런 다음, S140 단계에서, 정보분석부(400)는 독서패턴 대화서비스를 통해 인식되는 문장별 회원음성을 복수의 독서키워드 문장들로 텍스트변환하고, 이를 AI 지능별 진단알고리즘과 AI 감정상태별 진단알고리즘에 적용함에 따라 지능별 출력값과 감정상태별 출력값을 도출할 수 있다.
이때, S150 단계에서, 통합관리부(500)는 지능별 출력값과 감정상태별 출력값을 그래픽처리함에 따라 생성되는 독서성향 분석차트를 독서이력 관리페이지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후, S160 단계에서, 통합관리부(500)는 독서성향 분석차트에 따라 도서 DB(610)로부터 분류되는 맞춤형 도서카테고리에 기초하여, 메타버스 기반의 가상 온라인 도서관을 이용하기 위한 아바타의 카테고리별 열람권한을 제한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회원 단말
100: 회원인식부
200: 도서관리부
300: 대화서비스부
400: 정보분석부
500: 통합관리부
610: 도서 DB
620: 가상 온라인 도서관
1000: AI 및 메타버스를 활용한 독서 및 도서관리 시스템

Claims (9)

  1. 스마트 로봇을 통해 촬영되는 회원영상을 수신하고, 해당 회원영상으로부터 얼굴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회원정보를 인식하는 회원인식부;
    상기 회원정보가 인식됨에 따라 반납되는 대상도서의 도서정보를 판독하는 도서관리부;
    상기 도서정보를 상기 회원정보로부터 확인된 독서이력 관리페이지에 등록함에 따라, 상기 스마트 로봇을 통해 독서패턴 대화서비스를 활성화시키는 대화서비스부;
    상기 독서패턴 대화서비스를 통해 인식된 회원음성을 복수의 독서키워드 문장들로 텍스트변환하고, 이를 AI 진단알고리즘에 적용함에 따라 지능별 출력값과 감정상태별 출력값을 도출하는 정보분석부; 및
    상기 지능별 출력값과 상기 감정상태별 출력값을 그래픽처리함에 따라 생성되는 독서성향 분석차트를 상기 독서이력 관리페이지에 업데이트하는 통합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독서이력 관리페이지는 상기 회원정보에 따라 사전에 등록된 회원별 개인웹페이지로써, 회원별 독서성향을 분석차트로 그래프화하여 통합관리할 수 있는 독서관리 서비스와 메타버스 기반의 가상 온라인 도서관을 이용하기 위한 아바타를 서비스할 수 있는 메타버스 제공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통합관리부는 도서 DB에 기설정된 복수의 카테고리들로부터 상기 독서성향 분석차트에 따라 선정되는 맞춤형 도서카테고리에 기초하여, 상기 메타버스 제공서비스를 통해 생성된 상기 아바타에 대한 상기 가상 온라인 도서관의 카테고리별 열람권한을 제한적으로 부여하고,
    상기 통합관리부는 회원단말로부터 상기 독서관리 서비스를 통해 업로드받는 회원이미지에 상기 도서정보와 상기 독서성향 분석차트를 통합하여 독서이력 관리페이지에 독서일지 갤러리형태로 기록하며,
    상기 통합관리부는 상기 회원이미지로부터 인식되는 기설정된 이벤트동작, 이벤트사물 및 이벤트 배경객체에 기초하여, 상기 AI 진단알고리즘에 대한 레이어별 가중치를 수정하고,
    상기 통합관리부는 상기 지능별 출력값 중 각 출력값의 크기순으로 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능을 강점지능으로 식별하는 제1 식별부;
    상기 감정상태별 출력값 중 최대값에 해당하는 하나의 감정상태를 대표감정상태로 식별하는 제2 식별부;
    상기 강점지능과 상기 대표감정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기설정된 복수의 카테고리들로부터 상기 맞춤형 도서카테고리를 필터링하는 필터링부; 및
    상기 맞춤형 도서카테고리에 따라 검색되는 도서목록을 이용하여, 맞춤형 도서 포트폴리오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독서이력 관리페이지에 등록하는 페이지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페이지관리부는 상기 맞춤형 도서 포트폴리오에 리스트된 도서를 대여, 구매, 선물 및 교환할 수 있도록 도서대여 및 판매 사이트를 상기 맞춤형 도서 포트폴리오에 연동시키고, 상기 독서이력 관리페이지를 통해 등록된 보유 도서를 중고 판매할 수 있도록 중고거래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페이지관리부는 상기 가상 온라인 도서관에 도서카테고리별로 배치된 서재객체들 중 상기 맞춤형 도서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대상서재객체를 탐색하는 서재관리부;
    상기 대상서재객체를 상기 아바타에 대응되는 제1 색상으로 보정처리하고, 나머지 서재객체를 상기 제1 색상의 보색으로 색보정처리하는 색보정부;
    상기 회원정보, 상기 도서정보 및 상기 복수의 독서키워드 문장들로부터 6하 원칙 대상키워드에 따라 해시태그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해시태그와 상기 도서정보로부터 확인된 도서이미지를 이용하여, 독서이력 공유게시글을 자동으로 작성하는 게시글작성부; 및
    상기 독서이력 공유게시글을 공유페이지에 게시하는 공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원인식부는 상기 독서관리 서비스를 통해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개별적으로 입력받는 관계정보를 상기 회원단말에 중계함에 따라 피드백받는 승인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회원정보에 대한 열람 권한을 부여할 수 있고,
    상기 페이지관리부는 특정문장을 제공함에 따라 촬영된 상기 회원영상으로부터 확인되는 회원객체의 안구움직임 속도에 따라 등급화되는 컨디션 상태 등급에 기초하여, 상기 맞춤형 도서 포트폴리오에 대한 도서 리스트 순서를 정렬하며,
    상기 공유부는 상기 공유페이지를 통해 확인된 상기 독서이력 공유게시글에 대한 부정 피드백 응답수에 기초하여, 상기 독서이력 관리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맞춤형 도서 포트폴리오로부터 해당 도서정보의 카테고리를 제거하며,
    상기 통합관리부는 상기 스마트 로봇을 통해 상기 독서패턴 대화서비스를 수행할 때, 상기 회원정보에서 확인되는 부모단말에 회원위치정보를 자동으로 전달하고, 상기 스마트 로봇을 통해 촬영되는 주변이미지로부터 검출되는 상기 회원객체 이외의 타회원객체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로봇을 통해 순서 안내 메시지를 출력시키며, 상기 회원음성이 기설정된 음량세기 이하인 경우, 기준음량세기를 기준으로 회원음성의 음량세기를 상기 스마트로봇을 통해 표시하는, AI 및 메타버스를 활용한 독서 및 도서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30009663A 2023-01-25 2023-01-25 Ai 및 메타버스를 활용한 독서 및 도서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603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9663A KR102603757B1 (ko) 2023-01-25 2023-01-25 Ai 및 메타버스를 활용한 독서 및 도서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9663A KR102603757B1 (ko) 2023-01-25 2023-01-25 Ai 및 메타버스를 활용한 독서 및 도서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3757B1 true KR102603757B1 (ko) 2023-11-20

Family

ID=88974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9663A KR102603757B1 (ko) 2023-01-25 2023-01-25 Ai 및 메타버스를 활용한 독서 및 도서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375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468B1 (ko) * 2015-02-27 2016-03-3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텐츠에 대한 키워드 태깅 방법 및 시스템
KR101692439B1 (ko) * 2016-06-07 2017-01-03 주식회사 미래엔 보유 도서 기반 중고 거래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134189B1 (ko) * 2019-07-11 2020-07-15 주식회사 아들과딸 인공지능 로봇을 활용한 도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232957B1 (ko) * 2020-12-22 2021-03-26 주식회사 채움씨앤아이 감정인식을 활용한 도서관 회원 맞춤형 도서추천 키오스크 장치 및 시스템
KR102479528B1 (ko) * 2021-09-13 2022-12-19 김지헌 메타버스를 이용한 예술품 갤러리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468B1 (ko) * 2015-02-27 2016-03-3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텐츠에 대한 키워드 태깅 방법 및 시스템
KR101692439B1 (ko) * 2016-06-07 2017-01-03 주식회사 미래엔 보유 도서 기반 중고 거래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134189B1 (ko) * 2019-07-11 2020-07-15 주식회사 아들과딸 인공지능 로봇을 활용한 도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232957B1 (ko) * 2020-12-22 2021-03-26 주식회사 채움씨앤아이 감정인식을 활용한 도서관 회원 맞춤형 도서추천 키오스크 장치 및 시스템
KR102479528B1 (ko) * 2021-09-13 2022-12-19 김지헌 메타버스를 이용한 예술품 갤러리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ft et al. Organizational information requirements, media richness and structural design
Khosrow-Pour Dictionary of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take Responsive evaluation IV
KR102185733B1 (ko) 프로필 자동생성서버 및 방법
Prifti Professional qualification in “Industrie 4.0”: building a competency model and competency-based curriculum
Santhosh et al. Machine learning based ideal job role fit and career recommendation system
KR102603757B1 (ko) Ai 및 메타버스를 활용한 독서 및 도서관리 방법 및 시스템
Polkinghorne Qualitative research and media
WO2022208953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仮想人材
Jeon Developing middle schoolers’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through project-based learning: investigating cognitive & affective dimensions of learning about AI
Balamurugan et al. Impa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on Organizational Transformation
Rice et al. Navigating the matrix: career development and the responsibilisation of employability in Australia
Ajgaonkar et al. EduKrishnaa: A Career Guidance Web Application Based on Multi-intelligence Using Multiclass Classification Algorithm
Stenger Exploring managers’ perceptions of critical managerial competencies for future success in selected South African manufacturing organisations
Srivastava et al. Vocal Psychiatric Simulator for Public Speaking Anxiety Treatment
Smith et al. Inside Information
Kassem The Birth and Growth of Platforms
Miller et al. Exploring the Technological, Societal, and Institutional Dimensions of College Student Activism
Monsma Turning the Page: Using Foucauldian Rhetorical Criticism to Evaluate Literacy Center Communication
Stockard The write approach: Techniques for effective business writing
Bisson Encountering Algorithms: An Investigation of Algorithmic Literacy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Tolepbergen European Union Artificial Intelligence Regulation: framework and discussion
Bagnall et al. An Indicative Ethic of Authenticity in Lifelong Learning
Muparari Evaluation of mergers of cadastral systems: A corporate cultural perspective
Bousalem et al. Modeling Learner Profiles using Ontologies and Machine Lear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