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3506B1 - A reclamation type signal lamp assembly of the ground - Google Patents

A reclamation type signal lamp assembly of the grou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3506B1
KR102603506B1 KR1020230113026A KR20230113026A KR102603506B1 KR 102603506 B1 KR102603506 B1 KR 102603506B1 KR 1020230113026 A KR1020230113026 A KR 1020230113026A KR 20230113026 A KR20230113026 A KR 20230113026A KR 102603506 B1 KR102603506 B1 KR 102603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king signal
floor
main body
type walking
sig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30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규원
박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to KR1020230113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350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506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47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를 빠르고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고 시공된 품질도 향상시킬 수 있는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 복수개가 상호 연결되는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 조립체로서, 상기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는, 본체부와; 본체부 위에 배치되는 LED 모듈; 및 LED 모듈을 감싸며 본체부와 결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의 일측 측벽 및/또는 커버부의 일측 측벽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본체부의 타측 측벽 및/또는 커버부의 타측 측벽에는 결합돌기와 맞물리는 형상을 갖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 복수 개가 일렬로 배열되어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의 결합돌기가 다른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의 결합홈과 맞물려 상호 연결되되, 결합돌기 및 결합홈은 본체부의 두께 방향으로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되고, 결합홈은 본체부 및/또는 상기 커버부의 타측 측벽에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며, 결합돌기 및 상기 결합홈은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의 결합돌기가 다른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의 결합홈과 맞물려 결합되어서, 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본체부 및/또는 커버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형상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Disclosed is a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assembly that can quickly and easily construct a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and improve the construction quality.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erein the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includes: a main body; LED module disposed on the main body; and a cover part that surrounds the LED module and is coupled to the main body, wherein a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on one side wall of the main body part and/or one side wall of the cover part, and a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wall of the main body part and/or the other side wall of the cover part. A coupling groove having an engaging shape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the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s are arranged in a row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s of the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s engage with the coupling grooves of other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s and are interconnected, wherein the coupling protrusions and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to have the same shap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ain body,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to be recessed inward on the other side wall of the main body and/or the cover, and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coupling groove are a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The engaging protrusion is engaged and coupled with the engaging groove of another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have a shape structure that limits movement of the main body portion and/or the cover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Description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 조립체{A reclamation type signal lamp assembly of the ground}{A reclamation type signal lamp assembly of the ground}

본 발명은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를 빠르고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고 시공된 품질도 향상시킬 수 있는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assembly, and more specifically, to a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assembly that can quickly and easily construct the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and improve the construction quality.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는 횡단보도가 설치된 지중에 매설되어 상면을 통해 신호용 빛을 방출한다.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는 보행자에게 정지선 또는 가이드선의 기능을 제공하면서 시선 방향에 위치될 수 있으므로 그 효용성이 높이 평가되고 있다. 특히, 최근 스마트폰을 보면서 걷는 보행자가 증가하는 상황과 맞물려서 보행자에게 신호 정보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floor-type pedestrian signal device is buried in the ground where a crosswalk is installed and emits signal light through the upper surface. Floor-type pedestrian signal devices are highly regarded for their effectiveness because they can be located in the line of sight while providing the function of a stop line or guide line to pedestrians. In particular, in line with the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pedestrians walking while looking at their smartphone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provide signal information to pedestrians.

그런데, 지주 등에 설치되는 신호등과 달리,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는 차도(횡단보도)와 인도의 경계를 이루는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 등의 지중에 매설되고 그 상부면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신호용 빛을 방출하기 때문에 외부로 노출된 케이스 부분에 반복적으로 큰 하중이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케이스가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unlike traffic lights installed on stilts, floor-type pedestrian signal devices are buried in the ground, such as concrete or asphalt, which forms the boundary between the roadway (crosswalk) and the sidewalk, and emit signal light with their upper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ase may be damaged if a large load or impact is repeatedly applied to the part of the case exposed to the outside.

특히,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는 외부로 노출된 케이스의 상부면으로 보행자를 비롯하여 무거운 차량 및 오토바이 등이 반복적으로 지나다니기 때문에 케이스에 균열(Crack)이 발생하거나 파손된 경우 파손된 부위를 통해 내부로 수분이 침투되어 보행 신호 장치의 오작동을 유발하거나 고장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외부에서 가해지는 큰 하중이나 충격에도 우수한 내구력을 확보할 수 있는 보행 신호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In particular,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s have pedestrians, heavy vehicles, and motorcycles repeatedly passing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exposed to the outside, so when cracks or damage occur in the case, the damaged area is used to pass inside. There is a risk that moisture may penetrate and cause malfunction or breakdown of the pedestrian signal device. For this reason,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walking signal device that can secure excellent durability even under large loads or impacts applied from the outside.

이상의 배경기술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공개된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tters described in the above background technology are intend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and may include matters that are not disclosed prior art.

등록특허공보 제10-2335546호(2021.12.01 등록)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335546 (registered on December 1, 2021)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의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를 빠르고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고 시공된 품질도 향상시킬 수 있는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assembly that can quickly and easily construct a plurality of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s and improve the construction quality.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 조립체는,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 복수개가 상호 연결되는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 조립체로서,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는, 본체부와; 본체부 위에 배치되는 LED 모듈; 및 LED 모듈을 감싸며 본체부와 결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본체부의 일측 측벽 및/또는 커버부의 일측 측벽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본체부의 타측 측벽 및/또는 커버부의 타측 측벽에는 결합돌기와 맞물리는 형상을 갖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 복수 개가 일렬로 배열되어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의 결합돌기가 다른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의 결합홈과 맞물려 상호 연결되되, 결합돌기 및 결합홈은 본체부의 두께 방향으로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되고, 결합홈은 본체부 및/또는 상기 커버부의 타측 측벽에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며, 결합돌기 및 상기 결합홈은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의 결합돌기가 다른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의 결합홈과 맞물려 결합되어서, 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본체부 및/또는 커버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형상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s described above is a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s are interconnected. is the main body; LED module disposed on the main body; and a cover part that surrounds the LED module and is coupled to the main body, wherein a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on one side wall of the main body and/or one side wall of the cover part, and a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wall of the main body and/or the other side wall of the cover part. A coupling groove having a biting shape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s are arranged in a row,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s of the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engage and interconnect with the coupling grooves of other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s,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and coupling groov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shape is formed to be the sam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ain body,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in a recessed shape in the other side wall of the main body and/or the cover part, and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coupling groove are used to connect the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The protrusion is engaged and coupled with the coupling groove of another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and is formed to have a shape structure that limits movement of the main body and/or the cov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여기서,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는 복수 개가 직선 형태로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Here, a plurality of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s may b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그리고, 서로 이웃하는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는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상하방향으로 끼워져 서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s that are adjacent to each other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having engaging protrusions and engaging grooves fit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 조립체는,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 복수개가 연결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호 연결되는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 조립체로서,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는, 본체부와; 본체부 위에 배치되는 LED 모듈; 및 LED 모듈을 감싸며 본체부와 결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본체부의 일측 측벽 및/또는 커버부의 일측 측벽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본체부의 타측 측벽 및/또는 커버부의 타측 측벽에는 결합돌기와 맞물리는 형상을 갖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연결부재는 일측에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의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홈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의 결합홈과 결합되는 돌기부가 형성되며, 바닥형 보행 신호장치의 결합돌기는 본체부의 두께 방향으로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되고, 연결부재의 홈부는 연결부재의 두께 방향으로 형상이 동일하게 연결부재의 측벽에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며,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의 결합돌기가 연결부재의 홈부와 맞물려 결합되어서, 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본체부 및/또는 커버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형상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the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s are interconnected with a connecting member in between, and the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includes a main body. wealth; LED module disposed on the main body; and a cover part that surrounds the LED module and is coupled to the main body, wherein a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on one side wall of the main body and/or one side wall of the cover part, and a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wall of the main body and/or the other side wall of the cover part. A coupling groove having a biting shape is formed, and the connecting member has a groove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on one side, and a protrusion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on the other side.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walking signal device is formed to have the same shap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groove of the connecting member has the same shap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is recessed inward on the side wall of the connecting member. It is formed, and the engaging protrusion of the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is engaged and coupled with the groove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have a shape structure that limits movement of the main body and/or the cov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여기서, 상기 본체부 및/또는 상기 커버부의 측벽은 외면이 경사진 형태의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연결부재의 양측면은 상기 측벽의 경사면과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side walls of the main body and/or the cover may have outer surfaces formed as inclined surfaces, and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member may be formed as inclined surfaces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side walls.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부에서 볼 때 쐐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necting member may have a wedge shape when viewed from the top.

또한, 상기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는 복수 개가 곡선 형태로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Additionally, a plurality of the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s may be arranged in a curved line.

이 경우, 서로 이웃하는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는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의 결합돌기와 연결부재의 홈부가 상하방향으로 끼워져 서로 연결될 수 있다.In this case, adjacent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fitting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and the groove of the connecting member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의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 조립체 구조에 따르면, 복수의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를 결합돌기와 결합홈의 결합에 의해 빠르고 간편하게 연결시켜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보행 신호 장치들 간의 간격 및 정렬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시공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assembly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ability can be improved because a plurality of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s can be quickly and easily connected and constructed by combining the coupling protrusions and the coupling grooves,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walking signal devices The quality of construction can be improved by ensuring that spacing and alignment are always kept constant.

또한, 시공된 복수의 보행 신호 장치들이 결합돌기 및 결합홈의 결합에 의해 상호 구조적으로 견고한 연결 구조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어느 일측의 보행 신호 장치에 하중 및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인접하는 다른 일측의 보행 신호 장치에 의한 측방향의 지지력이 확보될 수 있기 때문에 하중 및 충격을 효과적으로 분산 및 감쇄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하중 및 충격으로 인한 커버부의 과도한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커버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constructed walking signal devices form a structurally strong connection structure by combining the coupling protrusions and coupling grooves, so that even if a load or impact is applied to one side of the walking signal device, the walking signal of the other adjacent side is maintained. Since lateral support can be secured by the device, load and impact can be effectively distributed and attenuated. Accordingly, damage to the cover part caused by excessive deformation of the cover part due to load and impact can be prevented.

또한, 보행 신호 장치를 곡선부 구간에 시공하는 경우 복수의 보행 신호 장치를 연결부재를 매개로 균일한 간격과 고른 정렬상태를 가지며 조밀하게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곡선부 구간에 시공된 보행 신호 장치의 시공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constructing a walking signal device in a curved section,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plurality of walking signal devices densely with even spacing and even alignment through a connecting member, so the walking signal device constructed in a curved section Construction quality can be greatly improved.

또한, 보행 신호 장치들 사이에 개재된 연결부재가 보행 신호 장치에 가해지는 하중 및 충격을 측방향에서 지지해 주며 인접된 다른 보행 신호 장치로 분산시켜 줌으로써 보행 신호 장치가 하중 및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보행 신호 장치가 하중에 의해 측방향으로 밀려 정렬이 틀어지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walking signal devices supports the load and impact applied to the walking signal device from the side and distributes it to other adjacent walking signal devices, thereby preventing the walking signal device from being easily damaged by load and impact. This can prevent the walking signal device from being pushed laterally by the load and becoming misaligned.

또한, 연결부재가 보행 신호 장치의 높이 및 폭 방향으로 경사진 쐐기 형상을 가짐에 따라, 사출 특성상 외면이 경사면을 갖는 보행 신호 장치를 곡선부 구간에 연결하여 시공하는 경우에도 보행 신호 장치들을 쐐기 형상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최대한 조밀한 구조로 연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시공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connecting member has a wedge shape inclined in the height and width directions of the walking signal device, due to the injection characteristics, even when a walking signal device with an external surface having an inclined surface is connected and constructed in a curved section, the walking signal devices are wedge-shaped. The quality of construction can be improved because it can be connected in the most dense structure using connecting members.

또한, 연결부재의 상면이 보행 신호 장치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도록 시공됨에 따라, 보행자나 오토바이 등이 보행 신호 장치를 밟고 지나가는 과정에서 단차로 인해 걸리거나 간섭되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보행 신호 장치의 상면에 부착된 이물질 등의 청소 작업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s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is constructed to be placed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surface of the walking signal device, there is a risk of safety accidents that may occur due to pedestrians, motorcycles, etc. being caught or interfered with by steps while passing by the walking signal devic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nd cleaning work such as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alking signal device can be easily performed.

또한, 보행 신호 장치의 커버부 및 본체부가 너트 및 볼트에 의한 면 누름 방식으로 조립되기 때문에 보행 신호 장치 내부로 습기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합성수지 재질의 커버부 및 본체부의 체결부위에서 발생하는 깨짐 현상도 방지하여 내구력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ver and main body of the walking signal device are assembled using a surface pressing method using nuts and bolts, it is possible to prevent moisture or foreign substances from penetrating into the walking signal device, and the fastening parts of the cover and main body are made of synthetic resin. It is also possible to increase durability by preventing cracking that occurs.

또한, 너트와 볼트의 체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탄성부재를 통해 강한 탄성 가압력이 유지됨으로써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볼트가 너트로부터 쉽게 풀어지지 않아 본체부와 커버부 간에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nut and bolt are fastened, a strong elastic pressing force is maintained through the elastic member, so that the bolt is not easily loosened from the nut unless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reby maintaining a firm fastening force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over.

또한, 너트의 머리부가 볼트의 선단이 관통되지 않는 비관통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너트에 체결된 볼트의 선단이 커버부의 상면 위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볼트의 선단이 외부 습기와 접촉됨으로써 발생되는 볼트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고, 보행자나 차량 등이 상부로 돌출된 볼트의 선단 부분과 간섭되어 유발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head of the nut is formed in a non-penetrating structure in which the tip of the bolt does not penetrate, the tip of the bolt fastened to the nut is not exposed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art,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bolt caused by the tip of the bolt coming into contact with external moisture. It can prevent corrosion and prevent safety accidents that may be caused by pedestrians or vehicles interfering with the tip of the bolt protruding from the top.

또한, 너트의 머리부 하부에 결합된 실링부재가 너트와 너트 삽입홀 사이를 실링하기 때문에 너트 삽입홀 내부로 외부의 습기나 이물질이 유입되어 보행 신호 장치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부 습기로 인해 볼트 및 너트 체결부위가 부식되어 체결력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ealing member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head of the nut seals between the nut and the nut insertion hole, it is possible to prevent external moisture or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nut insertion hole and penetrating into the inside of the walking signal device. This prevents moisture from corroding bolt and nut fastening areas and reducing fastening force.

또한, 커버부와 본체부가 커버부의 측벽 상부에서 너트를 삽입하고 본체부의 하부에서 볼트를 관통시켜 너트에 체결하는 방식으로 조립됨으로써, 보행 신호 장치가 지면에 매립되어 시공된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볼트를 풀어 보행 신호 장치를 분해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제3자가 보행 신호 장치를 임의로 분해하여 보행자의 교통 안전을 위협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part and the main body are assembled by inserting a nut from the upper part of the side wall of the cover part and passing a bolt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and fastening it to the nut, so that when the walking signal device is embedded in the ground and installed, the bolt cannot be loosened from the outside. Since it is impossible to disassemble the walking signal device, problems such as a third party arbitrarily disassembling the walking signal device and threatening pedestrian traffic safety can be prevented.

또한, 본체부의 베이스면과 리플렉터 사이에 리플렉터를 커버부 측으로 탄성 밀착시킬 수 있는 탄성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커버부에 인가되는 하중이 리플렉터를 통해 탄성부재로 효과적으로 분산 및 흡수됨으로써 커버부에 균열(Crack)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커버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행 신호 장치의 내하중을 증대시킬 수 있고 내구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보행 신호 장치의 사용 수명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s an elastic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base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reflector to elastically adhere the reflector to the cover, the load applied to the cover is effectively distributed and absorbed by the elastic member through the reflector, causing cracks in the cover. It can prevent cracks from occurring and damage to the cover part.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load capacity of the walking signal device can be increased and durability can be improved,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service life of the walking signal device.

특히, 본 발명의 보행 신호 장치는 탄성부재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리플렉터와 커버부가 서로 강하게 밀착된 상태에서 한 몸을 이루며 하중을 지탱하기 때문에 커버부가 항복점(Yield point) 이내에서 탄성 거동을 하게 됨으로써 하중에 의한 커버부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커버부가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부의 파손된 부분을 통해 습기가 침투하여 보행 신호 장치의 오작동을 유발하거나 고장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의 유지 보수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walking sig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one body and supports the load in a state in which the reflector and the cover part are in strong contact with each other due to the elastic repulsion force of the elastic member, so that the cover part exhibits elastic behavior within the yield point, thereby causing the load. This minimizes the deformation of the cover part and prevents the cover part from being easily damag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through damaged parts of the cover and causing malfunction or breakdown of the walking signal device, which has the advantage of significantly reducing time and cost for maintenance of the device.

또한, 본체부와 리플렉터 간의 조립 및 정렬을 위해 본체부의 베이스면 상에 형성한 복수의 홀 내부에 탄성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홀 내부에 삽입되는 리플렉터의 하부돌기 부분을 탄성부재가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본체부나 리플렉터 상에 탄성부재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기구적 장치나 설치공간을 추가적으로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보행 신호 장치 내의 설치 부품수를 줄이고 내부의 공간활용성을 증대시켜 보행 신호 장치의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for assembly and alignment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reflector, an elastic member is installed inside a plurality of holes formed on the base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elastic member elastically supports the lower protrusion of the reflector inserted into the hole. By doing so, there is no need to additionally provide a separate mechanical device or installation spac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elastic member on the main body or reflector,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installed parts in the walking signal device and increasing internal space utilization, making the walking signal devic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chieve miniaturization.

또한, 코일 스프링 구조를 갖는 탄성부재가 리플렉터의 하부돌기 부분에 형성된 단차진 형상의 끼움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베이스면의 홀 내부에 지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리플렉터의 하부돌기와 탄성부재 간의 정렬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부에서 인가되는 하중을 리플렉터의 하부돌기를 통해 탄성부재로 온전히 전달하여 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 및 분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having a coil spring structure is configured to be supported inside the hole on the base surface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stepped fitting part formed on the lower protrusion of the reflector, thereby preventing misalignment between the lower protrusion of the reflector and the elastic member. It has the advantage of effectively absorbing and distributing the load by fully transferring the load applied from the top to the elastic member through the lower protrusion of the reflector.

또한, 본체부의 베이스면을 본체부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차도 측에 배치되는 제1영역과 인도 측에 배치되는 제2영역으로 구획하고, 제1영역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의 개수를 제2영역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의 개수보다 많게 형성하거나, 제1영역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의 탄성계수를 제2영역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의 탄성계수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큰 하중이 가해지는 차도 측 영역의 탄성부재의 설치 개수나 탄성 강도를 증가시켜 영역별로 다르게 가해지는 하중을 탄성부재를 통해 효율적으로 분배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하중의 흡수 및 분산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base surface of the main body is divided into a first area arranged on the roadway side and a second area arranged on the sidewalk side based on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f the main body, and the number of elastic members installed in the first area is divided into the second area. The area on the side of the roadway where a relatively large load is applied by forming more elastic members than the number of elastic members installed in the first area or by forming the elastic modulus of the elastic members installed in the first area to be larger than the elastic modulus of the elastic members installed in the second area. By increasing the number of installed elastic members or the elastic strength, the load applied differently in each area can be efficiently distributed through the elastic members, which has the advantage of maximizing the effect of absorbing and distributing the load.

또한, 커버부의 내면에 격자 배열 구조를 가지며 돌출된 리브가 형성됨에 따라, 하중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커버부의 테두리 안쪽 상판 영역에 대한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커버부의 상판 영역이 인가되는 하중에 의해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리브가 격자 배열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완충시트의 개방된 제1홀이나 리플렉터의 개방된 상단부 부분이 리브에 의해 가려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LED 모듈에서 방출되는 신호용 빛이 커버부를 통해 외부로 정상적으로 투과됨으로써 보행자의 시인성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protruding ribs with a lattice arrangement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art,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upper plate area inside the border of the cover part, which is relatively vulnerable to load, can be improved, and the upper plate area of the cover part is easily deformed by the applied load. It can prevent damage or damage. In addition, as the ribs are formed in a lattice array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pen first hole of the cushioning sheet or the open upper part of the reflector from being obscured by the ribs, so that the signal light emitted from the LED module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ver part. By being transmitted normal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isibility of pedestrians from being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 조립체가 지면에 매립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를 하부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본체부에서 구동 모듈 및 탄성부재를 분해한 사시도.
도 6은 도 2의 A-A'섹션 단면도.
도 7은 도 2의 B-B'섹션 단면도.
도 8은 복수의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들이 결합돌기 및 결합홈의 상하방향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9는 복수의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들이 결합돌기 및 결합홈에 의해 연결된 모습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10은 복수의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들이 결합돌기 및 결합홈에 의해 연결된 모습을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 설치 구조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2는 복수의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들이 곡선부 구간에 연결부재를 매개로 연결 설치된 모습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13은 복수의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들이 곡선부 구간에 연결부재를 매개로 연결 설치된 모습을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embedded in the groun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of Figure 3 viewed from below.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rive module and the elastic member in the main body of Figure 3.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section A-A' of Figure 2;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section B-B' of Figure 2;
Figure 8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a plurality of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s connected to each other by vertical coupling of coupling protrusions and coupling grooves.
Figure 9 is a plan view from the top showing a plurality of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s connected by coupling protrusions and coupling grooves.
Figure 10 is a side view showing a plurality of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s connected by coupling protrusions and coupling grooves.
Figure 11 is a plan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instal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plan view from the top showing a plurality of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s connected and installed in a curved section through a connecting member.
Figure 13 is a side view showing a plurality of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s connected and installed in a curved section through a connecting member.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1)가 지면에 매립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embedded in the ground.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1)는 차도(10)와 인도(20) 사이에 설치된 횡단보도 연석(30)의 일측 지면에 매립 설치될 수 있다.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1)는 복수 개가 케이블(C)(도 4 참조)을 통해 좌우방향으로 일렬로 연결 설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1 can be installed embedded in the ground on one side of the crosswalk curb 30 installed between the roadway 10 and the sidewalk 20. A plurality of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s 1 may be installed in a row connec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rough cables C (see FIG. 4).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1)는 횡단보도 신호등(미도시)을 제어하는 신호 제어기(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횡단보도 신호등과 연동하여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제어기(2)의 제어에 의해 횡단보도 신호등의 적색 램프가 점등되면,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1) 내에 구비된 복수의 LED 소자(220)(도 3 참조) 중 적색 LED 소자가 함께 점등되어 적색의 빛이 방출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제어기(2)의 제어에 의해 횡단보도 신호등의 녹색 램프가 점등되면,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1) 내에 구비된 복수의 LED 소자(220) 중 녹색 LED 소자가 함께 점등되어 녹색의 빛이 방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면에 매립 설치된 보행 신호 장치(1)는 신호 제어기(2)에 의해 횡단보도 신호등과 연동하여 적색, 녹색 및 녹색 점멸로 표시됨에 따라 고개를 숙인 채 휴대폰을 보면서 보행하는 보행자가 주변의 신호 정보 상황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한다.The floor-type pedestrian signal device 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ignal controller 2 that controls a crosswalk signal light (not shown) and can b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crosswalk signal light. For example, when the red lamp of the crosswalk signal light is turned on under the control of the signal controller 2, the red LED element among the plurality of LED elements 220 (see FIG. 3) provided in the floor-type pedestrian signal device 1 may light up together and emit red light. In addition, when the green lamp of the crosswalk signal light is turned on under the control of the signal controller 2, the green LED elements among the plurality of LED elements 220 provided in the floor-type pedestrian signal device 1 are turned on together to emit green light. This can be released. In this way, the pedestrian signal device 1 embedded in the ground displays red, green, and green flashes in conjunction with the crosswalk traffic light by the signal controller 2, so that pedestrians walking with their heads down while looking at their mobile phones are in the surrounding area. Makes it easy to recognize signal information situation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의 외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structure of a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3 and 4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shown in Figure 2.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1)는 본체부(100), LED 모듈(200), 리플렉터(300), 구동 모듈(400), 커버부(500), 가스켓(600), 탄성부재(7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to 4, the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an LED module 200, a reflector 300, a driving module 400, and a cover portion 500. ), a gasket 600, and an elastic member 700.

본체부(100)는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베이스면(110)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베이스면(110)은 본체부(100)의 폭 방향(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 바라볼 때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향 경사진 형태의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면(110)은 수평면 대비 약 10도의 경사 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면(110) 위에는 LED 모듈(200)이 설치될 수 있다. LED 모듈(200)은 상향 경사진 형태의 베이스면(110) 위에 설치됨으로써 수평면에 대해 약 10도의 경사진 각도를 가질 수 있다.The main body 100 may have a base surface 110 that is inclined upward in a direction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That is, the base surface 110 may form an inclined surface that slopes upwar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when viewed in the width direction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For example, the base surface 110 may be formed to have an inclination angle of about 10 degrees relative to the horizontal plane. An LED module 200 may be installed on the base surface 110. The LED module 200 is installed on the upwardly sloping base surface 110 so that it can have an inclined angle of about 1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베이스면(110)은 차도(10) 쪽 방향의 높이보다 인도(20) 쪽 방향의 높이가 더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면(110) 위에 LED 모듈(200)이 설치됨으로써, LED 모듈(200)에 구비된 복수의 LED 소자(220)에서 발생되는 신호용 빛은 지면과 수직한 상부방향으로부터 인도(20) 방향으로 약 10도만큼 기울어진 각도로 방출될 수 있다.The base surface 110 may have a lower height toward the sidewalk 20 than a height toward the roadway 10. By installing the LED module 200 on the base surface 110, the signal light generated from the plurality of LED elements 220 provided in the LED module 200 is directed from the upper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oward the guide 20. It can be emitted at an inclined angle of about 10 degrees.

따라서, 차도(10)와 인도(20) 사이의 횡단보도 상에서 신호대기 중인 보행자는 LED 모듈(200)에서 발생되는 신호용 빛을 보다 더 용이하게 인식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운전자로 향하는 빛의 간섭은 최소화하면서 보행자로 향하는 빛은 증대시킬 수 있다. 즉, 운전자의 운전 방해는 저감시키면서 보행자의 시인성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pedestrians waiting for a signal on the crosswalk between the roadway 10 and the sidewalk 20 can more easily recognize the signal light generated from the LED module 200. Additionally, the interference of light directed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can be minimized while the light directed to pedestrians can be increased. In other words, the driver's driving disturbance can be reduced while pedestrian visi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본체부(100)의 베이스면(110)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면(110)에 형성된 복수의 홀(111)은 LED 모듈(200)에 형성된 복수의 설치홀(211)과 리플렉터(300)에 형성된 복수의 하부돌기(332)에 대응하는 위치 및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holes 111 may be formed on the base surface 110 of the main body 100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plurality of holes 111 formed in the base surface 110 are formed in positions and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installation holes 211 formed in the LED module 200 and the plurality of lower protrusions 332 formed in the reflector 300. It can be.

리플렉터(300)의 하면에 형성된 복수의 하부돌기(332)는 LED 모듈(200)에 형성된 복수의 설치홀(211)을 관통하여 베이스면(110)에 형성된 복수의 홀(111)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LED 모듈(200) 및 리플렉터(300)는 복수의 홀(111)과 하부돌기(332)의 결합을 통해 베이스면(110) 위의 정확한 결합위치 상에 정렬되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lower protrusions 332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flector 300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installation holes 211 formed in the LED module 200 and ar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holes 111 formed on the base surface 110. can be combined Accordingly, the LED module 200 and the reflector 300 can be easily coupled by being aligned at the exact coupling position on the base surface 110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plurality of holes 111 and the lower protrusion 332. .

LED 모듈(200)은 PCB 기판(210)의 일면에 신호용 빛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LED 소자(220)가 행렬(matrix) 구조로 배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소자(220)는 적색 LED 소자 및 녹색 LED 소자가 한 쌍을 이루며 구비되고, 이러한 적색 및 녹색의 한 쌍의 LED 소자로 이루어진 LED 소자(220)가 등간격을 이루며 12행, 6열로 행렬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PCB 기판(210) 상에 총 72개의 LED 소자(220)가 행렬 배치된 구조가 나타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LED 소자(220)는 하나의 단일 소자가 적색 또는 녹색으로 선택적으로 발광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LED 소자(220)의 소비 전력(Power Consumption)은 4.5W 내지 5W일 수 있다.The LED module 200 may have a plurality of LED elements 220 that generate signal light arranged in a matrix structure on one side of the PCB board 210. The LED element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s a pair of a red LED element and a green LED element, and the LED elements 220 consisting of a pair of red and green LED elements are equidistant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has a matrix arrangement of 12 rows and 6 column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in which a total of 72 LED elements 220 are arranged in a matrix on the PCB board 210 is shown, but the number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number. For example, the LED element 220 may be provided so that a single element selectively emits red or green light. Additionally,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ED device 220 may be 4.5W to 5W.

종래에는 다이오드 라운드형 LED 소자(220)가 주로 사용되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소자(220)는 칩타입으로 구비되어 지향각이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넓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1)는 리플렉터(300)를 이용하여 빛의 방출 각도를 조절하고, 빛을 집속하여 휘도를 높일 수 있다.In the past, the diode round type LED element 220 was mainly used, but the LED element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s a chip type and has a relatively wider beam angle than the conventional one. Therefore, the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the reflector 300 to adjust the emission angle of light and increase luminance by focusing the light.

본체부(100)의 베이스면(110)과 리플렉터(300) 사이에는 리플렉터(300)에 상부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여 리플렉터(300)를 커버부(500) 내면에 탄성 밀착시킬 수 있는 복수의 탄성부재(700)가 구비될 수 있다.Between the base surface 110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reflector 300, there are a plurality of elastic bands that can elastically adhere the reflector 300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500 by applying elastic force to the reflector 300 in the upward direction. A member 700 may be provided.

복수의 탄성부재(700)는 코일 스프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코일 스프링 형상을 갖는 복수의 탄성부재(700)는 베이스면(110)에 형성된 복수의 홀(111) 내부에 삽입되어 홀(111) 내부 바닥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700)는 베이스면(110)의 홀(111) 내부에서 리플렉터(300)의 하부돌기(332)에 의해 탄성 압축되는 동시에 리플렉터(300)를 탄성 지지하면서 탄성 반발력에 의해 리플렉터(300)를 상부방향으로 가압하여 커버부(500)의 내면에 탄성 밀착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탄성부재(700)의 기능에 대해서는 뒤에서 좀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700 may have a coil spring shape, and the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700 having a coil spring shape ar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holes 111 formed on the base surface 110 to form the holes 111. It can be supported on the inner floor. This elastic member 700 is elastically compressed by the lower protrusion 332 of the reflector 300 inside the hole 111 of the base surface 110, and at the same time elastically supports the reflector 300 and causes the reflector 300 to react by elastic repulsion. ) functions to elastically adher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500 by pressing it in the upward direction. The function of this elastic member 7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본체부(100)는 하부 테두리(140)에 바닥판(150)이 결합될 수 있다. 바닥판(150)은 볼트 등의 체결 수단(미도시)을 통해 본체부(100)의 하부 테두리(1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닥판(150)은 LED 모듈(200)에서 전달되는 열이 용이하게 방열될 수 있도록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 중 일부만 덮을 수 있다. LED 모듈(200)에서 LED 소자(220) 발광 시 발생하는 열은 LED 모듈(200)의 PCB 기판(210)으로 전달되며, PCB 기판(210)의 열은 본체부(100)의 베이스면(110) 및 개방된 내부 공간을 통하여 지중으로 방열될 수 있다. The main body 100 may have a bottom plate 150 coupled to the lower edge 140. The bottom plate 15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edge 140 of the main body 100 through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not shown). The bottom plate 150 may cover only a portion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100 so that heat transferred from the LED module 200 can be easily dissipated. The heat generated when the LED element 220 emits light in the LED module 200 is transferred to the PCB board 210 of the LED module 200, and the heat of the PCB board 210 is transferred to the base surface 110 of the main body 100. ) and can be dissipated into the ground through the open internal space.

바닥판(150)은 합성수지 또는 습기에 부식이 발생하지 않는 서스(SUS: Steel Use Stainless) 재질로 이루어져 지중의 차가운 기온이 바닥판(150)을 통해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으로 전달되게 할 수도 있다. 여기서, 내부 공간은 본체부(100)의 하단에 배치된 바닥판(150)과 베이스면(11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이러한 내부 공간에는 LED 모듈(200)에 전원 공급 및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C)이 설치될 수 있다. 본체부(100)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러한 재질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bottom plate 150 is made of synthetic resin or SUS (Steel Use Stainless) material that does not corrode in moisture, allowing the cold temperature of the ground to be transmitted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bottom plate 150. It may be possible. Here, the internal space is a space formed between the bottom plate 150 and the base surface 110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0. Power supply and control signals to the LED module 200 are transmitted to this internal space. A cable (C) can be installed to do this. The main body 100 may be made of polycarbonat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material.

보행 신호 장치(1)는 지중에 설치 시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일렬로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보행 신호 장치(1)는 그 길이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양쪽 면 중 한쪽 면에 결합돌기(P)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 면에는 결합돌기(P)와 맞물리는 형상을 갖는 결합홈(G)이 형성되어, 일측 보행 신호 장치(1)의 결합돌기(P)와 타측 보행 신호 장치(1)의 결합홈(G)이 서로 맞물려 결합하는 방식으로 복수 개가 일렬로 연결 설치될 수 있다.When the walking signal device 1 is installed underground, a plurality of walking signal devices 1 may be installed in a row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walking signal device (1) has a coupling protrusion (P) formed on one of the two sides facing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coupling groove (G) having a shape that engages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P) is formed on the other side. Thus, the coupling protrusion (P) of one side of the walking signal device (1) and the coupling groove (G) of the other side of the walking signal device (1) can be connected and installed in a row in such a way that they engage with each other.

그리고, 보행 신호 장치(1) 내부의 케이블(C)은 이웃하는 보행 신호 장치들 사이에서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케이블(C)은 보호 하우징(180)을 통해 구동 모듈(400)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 모듈(400)은 적색 온/오프(On/Off), 녹색 온/오프((On/Off), 녹색 점멸 신호 등과 같은 신호등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각 LED 소자(22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And, the cable C inside the walking signal device 1 can be used to supply power and transmit control signals between neighboring walking signal devices. The cable C may be connected to the driving module 400 through the protective housing 180. The driving module 400 can control the driving of each LED element 220 based on traffic light control signals such as red On/Off, green On/Off, and green flashing signals. there is.

리플렉터(300)는 복수의 LED 소자(220)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반사면(310, 도 6 참조)을 구비할 수 있다. 반사면(310)은 리플렉터(300)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1 벽면(311) 및 제2 벽면(3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반사면(310)의 제1 벽면(311) 및 제2 벽면(312) 사이의 간격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벽면(311)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한 가상선과 제2 벽면(312)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한 가상선이 하측의 어느 한 지점에서 교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플렉터(300)의 복수의 반사면(310)은 LED 모듈(200)에서 12행, 6열로 행렬 구조로 배치된 복수의 LED 소자(220)에 대응하여 12행, 6열로 행렬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The reflector 30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flective surfaces 310 (see FIG. 6)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LED elements 220. The reflective surface 310 may include a first wall 311 and a second wall 312 disposed at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flector 300. Here, the gap between the first wall 311 and the second wall 312 of the reflective surface 31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gradually expands from the bottom to the top. In other words, an imaginary lin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irst wall 311 and an imaginary lin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second wall 312 may be formed to intersect at a certain point on the lower side. The plurality of reflective surfaces 310 of the reflector 300 are arranged in a matrix structure in 12 rows and 6 colum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LED elements 220 arranged in a matrix structure in 12 rows and 6 columns in the LED module 200. It can be.

리플렉터(300)의 하면(330)은 본체부(100)의 베이스면(110)과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리플렉터(300)의 하면(330)은 본체부(100)의 경사진 베이스면(110)과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플렉터(300)의 하면(330)과 베이스면(110)은 서로 대응하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리플렉터(300)의 상면(320)은 커버부(500)의 상면과 평행하도록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LED 소자(220)의 표면에서 발생된 빛은 리플렉터(300)의 반사면(310)에 의해 반사되므로, 보행자의 시야에서 보면 LED 소자(220) 뿐만 아니라 반사면(310)도 광원처럼 보여서 발광 면적을 대폭 확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The lower surface 330 of the reflector 300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base surface 110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lower surface 330 of the reflector 300 is the inclined base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110) can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In this way, the lower surface 330 and the base surface 110 of the reflector 300 are formed to have corresponding slopes and can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upper surface 320 of the reflector 300 is of the cover portion 500. It can be placed horizontally so as to be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Since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LED element 220 is reflected by the reflective surface 310 of the reflector 300, when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a pedestrian, not only the LED element 220 but also the reflective surface 310 appears as a light source, so the light emitting area It has the effect of greatly expanding .

리플렉터(300)는 복수의 개방된 상단부(321)의 면적이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고, 복수의 개방된 하단부(331)의 면적이 모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개방된 상단부(321)의 폭이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고, 개방된 하단부(331)의 폭이 모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개방된 상단부(321)의 면적은 복수의 개방된 하단부(331)의 면적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개방된 상단부(321)의 폭은 개방된 하단부(331)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In the reflector 300, the areas of the plurality of open upper parts 321 may all be formed to be the same, and the areas of the plurality of open lower parts 331 may all be formed to be the same. Additionally, the widths of all open upper portions 321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and the widths of all open lower portions 331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At this time, the area of the plurality of open upper parts 321 may be larger than the area of the plurality of open lower parts 331, and the width of the open upper part 321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open lower part 331. It can be formed to a large extent.

리플렉터(300)의 상면(320)에는 완충시트(S)와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로 돌출된 복수의 상부돌기(3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완충시트(S)에는 리플렉터(300)의 상부돌기(322)에 끼워질 수 있는 복수의 제2홀(H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완충시트(S)는 복수의 제2홀(H2)이 리플렉터(300)에 형성된 복수의 상부돌기(322)에 끼워지게 됨으로써, 완충시트(S)는 리플렉터(300) 상면의 정해진 위치 상에 정확하게 정렬하여 결합될 수 있고, 리플렉터(300)의 상면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유동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upper protrusions 322 protruding upward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320 of the reflector 300 so as to be coupled to the cushioning sheet (S). In response to this, a plurality of second holes (H2)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upper protrusion 322 of the reflector 300 may be formed in the cushioning sheet (S). Accordingly, the cushioning sheet (S) has a plurality of second holes (H2)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upper protrusions 322 formed on the reflector 300, so that the cushioning sheet (S)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flector 300. It can be precisely aligned and coupled, and flow can be suppressed when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flector 300.

리플렉터(300)의 하면(330)에는 본체부(100)와의 결합을 위한 하부로 돌출된 복수의 하부돌기(332)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하부돌기(332)는 본체부(100)의 베이스면(110)에 형성된 복수의 홀(111)과 대응되는 위치 및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체부(100)의 베이스면(110)과 리플렉터(300)의 하면(330) 사이에 개재되는 LED 모듈(200)에도 복수의 하부돌기(332)가 관통되는 복수의 설치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리플렉터(300)의 하부돌기(332)는 LED 모듈(200)의 설치홀(211)을 관통하여 베이스면(110)의 홀(111)에 삽입될 수 있고, 이로 인해 LED 모듈(200) 및 리플렉터(300)는 본체부(100)의 베이스면(110) 상부에서 정해진 결합 위치에 정확하게 정렬하여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리플렉터(300)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A plurality of lower protrusions 332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330 of the reflector 300 for coupling with the main body 100. The plurality of lower protrusions 332 may be formed in positions and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holes 111 formed on the base surface 110 of the main body 100. In addition, the LED module 200 interposed between the base surface 110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lower surface 330 of the reflector 300 has a plurality of installation holes 211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lower protrusions 332 penetrate. This can be formed. Therefore, the lower protrusion 332 of the reflector 300 can penetrate the installation hole 211 of the LED module 200 and be inserted into the hole 111 of the base surface 110, thereby making the LED module 200 And the reflector 300 can be easily coupled by accurately aligning at a predetermined coupling position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surface 110 of the main body 100. The reflector 300 may be made of polycarbonat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커버부(500)는 LED 모듈(200)과 리플렉터(300)를 감싸면서 본체부(100)의 상부 테두리(130)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부(500)는 내부에 LED 모듈(200)과 리플렉터(300) 및 본체부(100)의 상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510)이 형성될 수 있다. The cover part 50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dge 130 of the main body 100 while surrounding the LED module 200 and the reflector 300. The cover part 500 may have a receiving space 510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the LED module 200, the reflector 300, and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0.

커버부(500)는 LED 모듈(2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는 한편 외부의 간섭광을 차단할 수 있는 불투명 재질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커버부(500)는 사각형 판 형상을 갖는 상판(520)과, 상판(520)의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측벽(530)을 구비할 수 있다. The cover portion 500 may be made of an opaque material that can transmit light emitted from the LED module 200 to the outside while blocking external interference light. The cover portion 500 may include a top plate 520 having a square plate shape and a side wall 530 extending downward from an edge of the top plate 520.

커버부(500)의 상판(520)은 표면에 복수의 미끄럼 방지돌기(5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미끄럼 방지돌기(521)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것으로 미끄럼 저항이 40 BPN 이상이 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upper plate 520 of the cover portion 500 may have a plurality of anti-slip protrusions 521 formed on its surface. These plurality of anti-slip protrusions 521 are designed to prevent slipping and are preferably designed to have a slip resistance of 40 BPN or more.

커버부(500)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와 같은 투광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화학 및 내식성을 유지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커버부(500)는 보행자 및 오토바이, 경우에 따라 차량 등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 및 충격을 견딜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판(520)의 두께는 약 8mm 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over portion 500 may be made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such as polycarbonate, and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that can maintain chemical and corrosion resistance. In addition, the cover portion 500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withstand the load and impact applied from pedestrians, motorcycles, and in some cases, vehicles. 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top plate 520 is about 8 mm. It can be formed to have.

커버부(500)는 측벽(530)의 테두리를 따라 상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홀(535)이 형성되고, 이 홀(535) 부분에 길이가 긴 너트(N1)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측벽(530)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의 홀(535)과 대응하여 측벽(530)의 하부에는 상기 홀(535)과 연통되는 복수의 볼트홀(53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볼트홀(531)의 상부는 너트(N1)와 연결되고, 볼트홀(531)의 하부는 본체부(100)의 제1 삽입홀(131)과 서로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100)의 하부에서 제1 삽입홀(131)에 끼워진 볼트(B1) 등의 체결수단은 커버부(500)의 볼트홀(531)을 관통하여 너트(N1)에 체결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본체부(100)와 커버부(500)는 볼트(B1)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cover part 500 has a plurality of holes 535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part along the edge of the side wall 530, and a long nut N1 can be inserted into the holes 535 to be coupled. . In addition, in correspondence with the plurality of holes 535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side wall 530, a plurality of bolt holes 531 communicating with the holes 535 may b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side wall 530. In addition, the upper part of the bolt hole 531 may be connected to the nut N1, and the lower part of the bolt hole 53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insertion hole 131 of the main body 100. Therefore, the fastening means such as the bolt B1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131 at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00 can penetrate the bolt hole 531 of the cover part 500 and be fastened to the nut N1. Because of this, the main body 100 and the cover 500 can be firmly coupled by the bolt B1.

가스켓(600)은 본체부(100)의 상부 테두리(130) 및 커버부(500)의 하단 테두리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가스켓(600)은 커버부(500)의 하단 테두리 둘레 형상에 대응하는 직사각형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스켓(600)은 테두리를 따라 체결홀(610)이 형성될 수 있다. 가스켓(600)의 체결홀(610)은 본체부(100)의 제1 삽입홀(131) 및 커버부(500)의 볼트홀(531)에 대응되는 위치 및 개수로 형성되므로 가스켓(600)은 커버부(500)와 본체부(100)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볼트(B1)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체결됨에 따라 가압될 수 있다. The gasket 60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edge 130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lower edge of the cover part 500. The gasket 60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ring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ower edge of the cover portion 500. The gasket 600 may have a fastening hole 610 formed along the edge. The fastening holes 610 of the gasket 600 are formed in positions and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sertion holes 131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bolt holes 531 of the cover 500, so the gasket 600 is It can be pressed by being fastened through a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B1) while interposed between the cover part 500 and the main body 100.

이러한 가스켓(600)은 커버부(500)와 본체부(100) 사이의 틈새로 물이나 오염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 기능과, 상부에서 인가되는 하중을 완충시키는 방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가스켓(600)은 외부에서 수분, 습기 등이 내부로 유입될 때 LED 모듈(200), 구동 모듈(400)에 형성된 회로패턴의 부식으로 단선 또는 쇼트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가스켓(600)은 EPMD, Viton 등의 고무 가스켓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is gasket 600 can perform a waterproof function to prevent water or contaminants from penetrating into the gap between the cover part 500 and the main body 100, and a dustproof function to buffer the load applied from the top. In other words, the gasket 600 can be provided to prevent problems such as disconnection or short circuit due to corrosion of the circuit pattern formed in the LED module 200 and the driving module 400 when moisture, moisture, etc. flows into the interior from the outside. there is. The gasket 600 may be a rubber gasket such as EPMD or Vito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완충시트(S)는 리플렉터(300)의 상면(320)과 커버부(500)의 내면 사이에 개재되어 커버부(500)의 상부에서 하중이 개해질 경우 리플렉터(300)의 상면(320)과 커버부(500)의 내면 사이에서 하중에 대한 완충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완충시트(S)는 실리콘, 고무, 스펀지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ushioning sheet (S)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surface 320 of the reflector 3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art 500, so that when the load is releas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cover part 500, the upper surface 320 of the reflector 300 and A buffering action against the load can be per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s of the cover portion 500. This cushioning sheet (S) may be made of materials such as silicone, rubber, and sponge.

완충시트(S)는 리플렉터(300)의 개방된 상단부(321)에 대응하여 제1홀(H1)이 형성되기 때문에 완충시트(S)가 리플렉터(300)의 상면(320) 상에 배치되더라도 리플렉터(300)의 개방된 상단부(321)를 가리지 않는다. 또한, 완충시트(S)는 리플렉터(300)의 상면에 형성된 상부돌기(322)에 대응하여 제2홀(H2)이 형성되기 때문에 완충시트(S)의 제2홀(H2)이 리플렉터(300)의 상부돌기(322)에 끼워지게 됨으로써 완충시트(S)는 리플렉터(300) 상면의 정확한 조립위치 상에 정렬하여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Since the first hole (H1) of the buffer sheet (S) is formed in response to the open upper part 321 of the reflector 300, even if the buffer sheet (S)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320 of the reflector 300, the reflector It does not cover the open upper part 321 of 300.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hole (H2) of the buffer sheet (S) is formed in response to the upper protrusion (32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flector (300), the second hole (H2) of the buffer sheet (S) is formed on the reflector (300). ) By being fitted into the upper protrusion 322, the cushioning sheet S can be easily assembled by aligning it at the exact assembly 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flector 300.

한편, 본체부(100)는 대향하는 양쪽 측벽(101,102) 부분에 결합돌기(P1) 및 결합홈(G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P1)는 본체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한쪽 측벽(101) 부분에 하나 이상의 개수로 돌출 형성되고, 결합홈(G1)은 다른 한쪽 측벽(102) 부분에 하나 이상의 개수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P1)와 결합홈(G1)은 보행 신호 장치(1) 복수 개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서로 맞물리는 형상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main body 100 may have engaging protrusions P1 and engaging grooves G1 formed on both opposing side walls 101 and 102, respectively. The coupling protrusion (P1) is formed to protrude in one or more numbers on one side wall 10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coupling groove G1 is recessed in one or more numbers in the other side wall 102. can be formed. The coupling protrusion (P1) and the coupling groove (G1)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engages with each other so that a plurality of walking signal devices (1)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그리고, 커버부(500)는 대향하는 양쪽 측벽(532,533) 부분에 결합돌기(P2) 및 결합홈(G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P2)는 커버부(500)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한쪽 측벽(532) 부분에 하나 이상의 개수로 돌출 형성되고, 결합홈(G2)은 다른 한쪽 측벽(533) 부분에 하나 이상의 개수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P2)와 결합홈(G2)은 보행 신호 장치들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서로 맞물림 가능한 형상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portion 500 may have engaging protrusions (P2) and engaging grooves (G2) formed on both opposing side walls (532 and 533), respectively. The coupling protrusion (P2) is formed to protrude in one or more numbers on one side wall 53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ver portion 500, and the coupling groove (G2) is recessed in one or more numbers in the other side wall 533. can be formed. The coupling protrusion (P2) and the coupling groove (G2)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can be engaged with each other to connect the walking signal devices.

이 경우, 커버부(500)의 양쪽 측벽(532,533) 부분에 배치되는 결합돌기(P2) 및 결합홈(G2)은 커버부(500)의 측벽(530)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너트(N1) 사이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돌기(P2) 및 결합홈(G2)이 너트(N1)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경우 결합돌기(P2) 및 결합홈(G2)이 너트 삽입홀(535) 부분과 바로 붙어 있게 됨으로써 구조적 강성이 취약해질 수 있고, 그로 인해 결합돌기(P2) 및 결합홈(G2)의 체결부위가 파손되는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돌기(P2) 및 결합홈(G2)을 너트 삽입홀(535)과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너트(N1)와 너트(N1) 사이의 커버부 측벽(532,533) 영역에 배치함으로써, 결합돌기(P2) 및 결합홈(G2)의 체결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engaging protrusions (P2) and engaging grooves (G2) disposed on both side walls 532 and 533 of the cover part 500 are between a plurality of nuts N1 installed along the side walls 530 of the cover part 500. Can be placed in an area. When the engaging protrusion (P2) and the engaging groove (G2) are formed adjacent to the nut (N1), the engaging protrusion (P2) and the engaging groove (G2) are directly attached to the nut insertion hole (535), thereby increasing structural rigidity. It may become vulnerable, which may cause damage to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 (P2) and coupling groove (G2). Therefore, by placing the engaging protrusion (P2) and the engaging groove (G2) in the area of the cover portion side walls 532 and 533 between the nut (N1) and the nut (N1) relatively far from the nut insertion hole (535), the engaging protrusion (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fastening portion of P2) and the coupling groove (G2).

아울러, 결합돌기(P2)와 대향하는 커버부(500)의 다른 한쪽 측벽(533) 부분에 배치되는 결합홈(G2)을 측벽(533)의 외면에 함몰된 구조로 형성할 경우에는 너트 삽입홀(535)과 결합홈(G2)이 인접하게 되어 결합홈(G2) 형성 부위에 대한 구조적 강성이 취약해질 수 있다. 따라서, 결합홈(G2)이 배치되는 커버부(500)의 측벽(533)의 외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돌출단(534)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단(534) 부분에 결합홈(G2)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대응하여 본체부(100)의 한쪽 측벽(102) 부분에도 상기 커버부(500)의 돌출단(534)과 대응하는 결합홈(G1)이 형성된 돌출단(10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결합홈(G2) 형성 부위에 대한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켜 결합돌기(P2) 및 결합홈(G2)의 체결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upling groove (G2) disposed on the other side wall 533 of the cover portion 500 opposite the coupling protrusion (P2) is formed in a recessed structur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533, the nut insertion hole Since 535 and the coupling groove (G2)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region where the coupling groove (G2) is formed may become weak. Accordingly, a protruding end 534 that protrudes outward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533 of the cover portion 500 where the coupling groove G2 is disposed, and a coupling groove G2 is formed in the protruding end 534. ) can be configured to form. Correspondingly, a protruding end 103 having a coupling groove G1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end 534 of the cover unit 500 may be formed on one side wall 102 of the main body 100. When configured in this way,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portion where the coupling groove (G2) is formed can be improved and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 (P2) and the coupling groove (G2)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결합돌기(P1)와 결합홈(G1)은 커버부(500)에 형성되는 결합돌기(P2)와 결합홈(G2)과 각각 상하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 및 개수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와 커버부(500)가 서로 조립된 경우 각각의 결합돌기(P,P2)와 결합홈(G1,G2)이 상하방향으로 서로 중첩됨으로써 보행 신호 장치(1)의 양쪽 측벽에 결합돌기(P)와 결합홈(G) 한 쌍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coupling protrusion (P1) and the coupling groove (G1) formed on the main body 100 have positions and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P2) and the coupling groove (G2) formed on the cover part 500 in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It may be formed to have a corresponding shape. Accordingly, as shown in FIG. 2, when the main body portion 100 and the cover portion 500 are assembled together, the respective coupling protrusions (P, P2) and coupling grooves (G1, G2) overlap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walking signal device 1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air of coupling protrusions (P) and coupling grooves (G) are formed on both side walls.

이와 같이 보행 신호 장치(1)의 대향하는 양쪽 측벽에 결합돌기(P)와 결합홈(G) 한 쌍이 서로 맞물림 가능한 형상을 가지며 대칭을 이루며 배치됨으로써, 일측 보행 신호 장치(1)에 형성된 결합돌기(P)와 타측 보행 신호 장치(1)에 형성된 결합홈(G)을 서로 결합하는 방식으로 보행 신호 장치(1) 복수 개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일렬로 연결하여 시공할 수 있다. In this way, a pair of coupling protrusions (P) and coupling grooves (G) have a shape capable of engaging with each other and are arranged symmetrically on both opposing side walls of the walking signal device (1), thereby forming a coupling protrusion on one side of the walking signal device (1). By combining the coupling grooves (G) formed on (P) and the other walking signal device (1), a plurality of walking signal devices (1) can be simply and easily connected in line for construction.

실시예에서는 본체부(100) 및 커버부(500) 양쪽 모두에 결합돌기(P1,P2) 및 결합홈(G1,G2)이 형성된 구조가 일 예로서 나타나 있으나, 결합돌기(P1,P2) 및 결합홈(G1,G2)은 본체부(100)나 커버부(500) 어느 한쪽에만 형성된 구조로도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결합돌기(P1,P2)와 결합홈(G1,G2)의 형상은 서로 맞물리는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라면 실시예에 나타나 있는 형상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a structure in which engaging protrusions (P1, P2) and engaging grooves (G1, G2) are formed on both the main body 100 and the cover unit 500 is shown as an example, but the engaging protrusions (P1, P2) and The coupling grooves G1 and G2 may be formed only on either the main body 100 or the cover 500.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coupling protrusions (P1, P2) and the coupling grooves (G1, G2) is not limited to the shape shown in the embodiment as long as it is a structure that can be coupled in a way that engages with each other, and can be changed and applied to various shapes. there is.

결합돌기(P)와 결합홈(G)을 이용한 복수의 보행 신호 장치(1)들 간의 연결은, 도 8에 도시한 형태와 같이, 일측 보행 신호 장치(1)에 형성된 결합돌기(P)와 타측 보행 신호 장치(1)에 형성된 결합홈(G)이 상하방향으로 끼워지는 방식에 의해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walking signal devices (1) using the coupling protrusion (P) and the coupling groove (G) is, as shown in FIG. 8, the coupling protrusion (P) formed on one side of the walking signal device (1) and The coupling grooves (G) formed on the other walking signal device (1) may be engaged with each other by fit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실시예에서는 결합돌기(P) 및 결합홈(G)이 서로 상하방향으로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구조가 일 예로 나타나 있으나,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수평방향으로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결합홈(G)의 양측에 위치한 돌출단 부분이 탄성 변형에 의해 일시적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일측 보행 신호 장치(1)의 결합돌기(P)를 타측 보행 신호 장치(1)의 결합홈(G)에 수평방향으로 밀어 넣어 탄성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In the embodiment, a structure in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P) and the coupling groove (G)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is shown as an example, but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be coupled in a way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coupling groove are fit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For example, the protruding end portion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groove (G) are configured to temporarily open or retract due to elastic deformation, thereby connecting the coupling protrusion (P) of one side of the walking signal device (1) to the other side of the walking signal device (1).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coupled by pushing it horizontally into the coupling groove (G) of.

한편, 도 5는 도 3의 본체부에서 구동 모듈 및 탄성부재를 분해한 부분 사시도이다.Meanwhile, FIG.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drive module and the elastic member in the main body of FIG. 3 disassembled.

도 5를 참조하면, 본체부(100)는 구동 모듈(400)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설치홈(120)은 케이블(C)이 연결되는 보호 하우징(180) 과 베이스면(110) 사이의 공간으로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main body 100 may be formed with an installation groove 120 for installing the drive module 400. This installation groove 120 may be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the base surface 110 and the protective housing 180 to which the cable C is connected.

구동 모듈(400)은 LED 모듈(2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가장자리에 복수의 고정홈(410)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는 설치홈(120) 내에 구비된 복수의 설치면(121) 각각에 고정홀(121a)이 형성될 수 있고, 이 고정홀(121a)은 구동 모듈(400)의 고정홈(410)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모듈(400)은 고정홈(410) 및 고정홀(121a)을 관통하는 볼트 등의 체결 수단(미도시)에 의해 본체부(100)의 설치면(12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driving module 400 is provided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LED module 200, and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410 may be formed on the edge at regular intervals. In addition, the main body 100 may have a fixing hole 121a form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installation surfaces 121 provid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120, and this fixing hole 121a is used to fix the drive module 400. It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groove 410. Therefore, the drive module 40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installation surface 121 of the main body 100 by fastening means (not shown) such as a bolt penetrating the fixing groove 410 and the fixing hole 121a. You can.

본체부(100)는 설치홈(120) 주변에 위치하는 베이스면(110)에 리플렉터(300)의 하부돌기(332)가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면(110)에 형성된 복수의 홀(111) 및 리플렉터(300)의 하면에 형성된 복수의 하부돌기(332)는 LED 모듈(200) 및 리플렉터(300)를 본체부(100)의 정해진 위치에 정렬시키는 것을 가능케 하고 조립의 용이성도 제공한다. The main body 100 may have a plurality of holes 111 formed on the base surface 110 located around the installation groove 120 to which the lower protrusion 332 of the reflector 300 can be coupled. A plurality of holes 111 formed on the base surface 110 and a plurality of lower protrusions 332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flector 300 allow the LED module 200 and the reflector 300 to be positioned at designated positions of the main body 100. It makes alignment possible and also provides ease of assembly.

베이스면(110)에 형성되는 복수의 홀(111)은 설치홈(120)을 기준으로 일측 부분에 한 쌍이 서로 대칭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고 타측 부분에 두 쌍이 대칭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면(110) 전체적으로는 총 6개의 홀(111)이 배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홀(111)의 형성 위치 및 설치 개수는 보행 신호 장치(1)의 내하중, 내충격성, 내진동성 등의 각종 설계 사양에 맞게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As for the plurality of holes 111 formed in the base surface 110, one pair may be symmetrically arranged on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groove 120, and two pairs may be symmetrically arranged on the other side. Accordingly, a total of six holes 111 may be formed in an array on the base surface 110 as a whole. The formation location and installation number of the holes 111 may be changed in various ways to suit various design specifications such as load resistance, shock resistance, and vibration resistance of the walking signal device 1.

베이스면(110)에 형성된 복수의 홀(111) 내부에는 코일 스프링 형상을 가지는 탄성부재(700)가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700)는 홀(111)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리플렉터(300)의 하부돌기(332)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700)는 홀(111) 내부에서 탄성 압축되고, 탄성 압축에 따른 탄성 반발력에 의해 리플렉터(300)를 상부방향으로 가압하여 커버부(500)의 내면에 강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즉, 리플렉터(300)는 복수의 탄성부재(700)를 통해 작용하는 강한 탄성 반발력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가압되어 커버부(500)의 내면에 강하게 탄성 밀착됨으로써, 커버부(500)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또는 충격)을 감쇄시켜 커버부(500)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An elastic member 700 having a coil spring shape may be installed inside the plurality of holes 111 formed in the base surface 110. The elastic member 700 may elastically support the lower protrusion 332 of the reflector 300 when inserted into the hole 111. The elastic member 700 is elastically compressed inside the hole 111, and the reflector 300 can be pressed upward by the elastic repulsion force resulting from the elastic compression to strongly adher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500. That is, the reflector 300 is pressed upward by a strong elastic repulsion force acting through the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700 and is strongly elastically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art 500, so that the reflector 300 is appli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cover part 500. Deformation of the cover portion 500 can be minimized by attenuating the applied load (or impact). This will be explained in more detail later.

도 6은 도 2의 A-A'섹션 단면도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section A-A' of FIG. 2.

도 3,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체부(100)는 상부 테두리(130)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제1 삽입홀(131)이 형성되고, 하부 테두리(140)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제2 삽입홀(141)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4, and 6, the main body 100 has a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holes 131 form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edge 130,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edge 140. A plurality of second insertion holes 141 may be formed at intervals along .

제1 삽입홀(131)과 제2 삽입홀(141)은 상하방향으로 서로 연결되게 형성되며, 제1 삽입홀(131)의 직경은 제2 삽입홀(141)의 직경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삽입홀(131)과 제2 삽입홀(141)은 직경의 차이로 인해 단차면(f)이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insertion hole 131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141 are form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diameter of the first insertion hole 131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insertion hole 141. there is. That is, a step surface f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insertion hole 131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141 due to a difference in diameter.

본체부(100)와 커버부(500)는 볼트(B1)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체결수단으로서 볼트가 사용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볼트(B1)는 본체부(100)의 하부에서 제2 삽입홀(141)을 통해 끼워져 제1 삽입홀(131)을 관통할 수 있고, 가스켓(600)의 체결홀(610), 커버부(500)의 측벽(530) 하부에 형성된 볼트홀(531)을 관통하여 커버부(500)의 상부에서 삽입된 너트(N1)의 너트홀(N1a)에 체결될 수 있다. The main body 100 and the cover 50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using a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B1.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in which a bolt is used as a fastening means will be described. The bolt (B1) is inserted through the second insertion hole 141 at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00 and can penetrate the first insertion hole 131, and the fastening hole 610 of the gasket 600 and the cover part ( It may pass through the bolt hole 531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side wall 530 of the 500 and be fastened to the nut hole N1a of the nut N1 insert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cover part 500.

이 경우, 볼트(B1)는 스프링 와셔 등의 탄성부재(SW)가 하나 이상 끼워진 상태에서 너트(N1)와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볼트(B1)의 머리부(h)는 제1 삽입홀(131)과 제2 삽입홀(141) 사이의 단차면(f)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SW)는 볼트(B1)와 너트(N1)가 체결된 상태에서 볼트의 머리부(h)와 단차면(f) 사이에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볼트(B1)와 너트(N1)를 이용한 결합 구조는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고, 부품 생산 비용 및 제품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this case, the bolt (B1) may be fastened to the nut (N1) while one or more elastic members (SW) such as spring washers are inserted. Here, the head (h) of the bolt (B1) may be supported by the step surface (f) between the first insertion hole (131)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141). 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SW) can be elastically supported between the head (h) of the bolt and the step surface (f) in a state in which the bolt (B1) and the nut (N1) are fastened. This joint structure using the bolt (B1) and nut (N1)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a solid connection and reducing part production costs and product production costs.

너트(N1)는 길이가 긴 롱(long) 너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너트(N1)는 다각형 형상의 머리부(N1b)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너트(N1)의 머리부(N1b)가 6각형 구조로 형성된 것이 일 예로 나타나 있다. The nut N1 may be configured as a long nut. The nut N1 may have a polygonal head portion N1b. In the embodiment, the head portion (N1b) of the nut (N1) is shown as an example formed in a hexagonal structure.

커버부(500)의 측벽(530) 부분에는 너트(N1)가 삽입되는 복수의 너트 삽입홀(535)이 형성될 수 있다. 너트 삽입홀(535)의 상단에는 너트(N1)의 다각형 머리부(N1b)와 대응하는 홈 형상을 가지며 너트(N1)의 다각형 머리부(N1b)가 안착되어 서로 맞물릴 수 있는 다각형의 안착홈(도면부호 미기재)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너트(N1)는 너트 삽입홀(535)에 삽입된 상태에서 다각형 머리부(N1b)가 다각형 안착홈에 맞물리게 됨으로써 너트 삽입홀(535) 내에서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A plurality of nut insertion holes 535 into which the nut N1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side wall 530 of the cover portion 500. At the top of the nut insertion hole 535 is a polygonal seating groove that has a groove shape corresponding to the polygonal head N1b of the nut N1 and into which the polygonal head N1b of the nut N1 can be seated and engaged with each other. (Diagram not shown) may be formed. Accordingly, when the nut N1 is inserted into the nut insertion hole 535, the polygonal head N1b is engaged with the polygonal seating groove, so that rotation does not occur within the nut insertion hole 535.

너트(N1)의 다각형 머리부(N1b)는 볼트(B1)의 선단이 관통되지 않는 비관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볼트(B1)가 너트(N1)에 체결된 상태에서 볼트(B1)의 선단이 커버부(500)의 상면 위로 노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너트(N1)에는 커버부(500)의 너트 삽입홀(535)과 너트(N1) 사이를 실링할 수 있는 고무링 형상의 실링부재(OR)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다각형 머리부(N1b)의 하부에 위치한 너트(N1)의 외면에는 실링부재(OR)가 끼워질 수 있는 원형의 홈(N1c)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너트(N1)는 커버부(500)의 너트 삽입홀(535)에 삽입된 상태에서 머리부(N1b)가 커버부(500)의 상면 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머리부(N1b)의 상면이 커버부(500)의 상면과 동일하거나 낮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olygonal head N1b of the nut N1 may be formed in a non-penetrating structure in which the tip of the bolt B1 does not penetrate. Accordingly, when the bolt B1 is fastened to the nut N1, the tip of the bolt B1 is not exposed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500. In addition, a rubber ring-shaped sealing member OR that can seal between the nut N1 and the nut insertion hole 535 of the cover part 500 may be coupled to the nut N1. At this time, a circular groove (N1c) into which the sealing member (OR) can be inserted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nut (N1) located below the polygonal head (N1b). This nut (N1) is inserted into the nut insertion hole (535) of the cover part (500) so that the head part (N1b) does not protrude above the top surface of the cover part (500). It may be formed to be disposed at the same or lower position as the upper surface of 500.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커버부(500)의 측벽(530) 상부에서 너트(N1)를 삽입한 후 본체부(100)의 하부에서 볼트(B1)를 관통시켜 너트(N1)에 체결하는 방식으로 본체부(100)와 커버부(500)가 상호 조립되기 때문에 보행 신호 장치(1)가 지면에 매립되어 시공된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볼트(B1)를 풀어 보행 신호 장치(1)를 분해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허가 받지 않은 제3자가 보행 신호 장치(1)를 임의로 분해함으로써 보행자의 교통 안전을 저해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inserting the nut (N1) from the upper part of the side wall 530 of the cover part 500 and then passing the bolt B1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part 100 to fasten it to the nut N1. Because the part 100 and the cover part 500 are assembled together,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disassemble the walking signal device 1 by loosening the bolt B1 from the outside when the walking signal device 1 is built and embedded in the ground. do.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problems such as impeding pedestrian traffic safety by arbitrarily disassembling the pedestrian signal device 1 by an unauthorized third party.

그리고, 기존에 사용되던 일반적인 보행 신호 장치의 경우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본체부와 커버부가 단순 볼트 조임 방식으로 체결되어 조립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볼트의 조임력에 의해 본체부 또는 커버부의 볼트 체결부위가 깨지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행 신호 장치(1)는 커버부(500)의 측벽(530) 부분에 형성된 너트 삽입홀(535)에 길이가 긴 롱(long) 너트(N1)를 상부에서 삽입한 후, 본체부(100)의 하부에서 볼트(B1)를 제2 삽입홀(141), 제1 삽입홀(131), 체결홀(610), 볼트홀(531)에 순차적으로 관통시켜 너트(N1)의 너트홀(N1a)에 체결하는 방식으로 조립이 이루어진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general walking signal device used previously, the body and cover made of synthetic resin were assembled by simply fastening bolts, so the phenomenon of the bolt fastening part of the body or cover being broken due to the tightening force of the bolt. It happened often. However, the walking signal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serts a long nut N1 from the top into the nut insertion hole 535 formed on the side wall 530 of the cover portion 500,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0, the bolt (B1) is sequentially passed through the second insertion hole 141, the first insertion hole 131, the fastening hole 610, and the bolt hole 531 to secure the nut (N1). Assembly is performed by fastening to the nut hole (N1a).

즉, 본 발명의 보행 신호 장치(1)는 너트(N1)의 머리부(N1b)와 볼트(B1)의 머리부(h)가 각각 커버부(500)와 본체부(100) 상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지지되면서 본체부(100)와 커버부(500)를 상호 가압하여 밀착시키는 면 누름 방식의 구조로 조립되기 때문에 본체부(100)와 커버부(500)가 가스켓(600)을 사이에 두고 틈새 발생 없이 견고하게 밀착되어 외부로부터 습기나 이물질 등이 침투할 수 없으며, 기존과 같이 합성수지 재질의 커버부나 본체부 상에 볼트가 직접 체결됨으로써 발생하는 체결부위에서의 깨짐 현상 등도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아울러, 길이가 긴 롱 너트(N1)와 볼트(B1)가 큰 접촉면적을 가지며 상호 체결됨에 따라 본체부(100)와 커버부(500) 간의 체결력이 한층 견고하게 유지됨으로써 보행 신호 장치(1)의 내구성을 높여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That is, in the walking signal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N1b of the nut N1 and the head h of the bolt B1 are oriented in opposite directions on the cover 500 and the main body 100, respectively. Since the main body 100 and the cover 500 are assembled in a surface pressing structure that presses and adheres to each other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main body 100 and the cover 500, there is a gap between the gasket 600. It adheres tightly without any damage, preventing moisture or foreign substances from penetrating from the outside, and cracking at the fastening area, which occurs when bolts are directly fastened to the cover or main body made of synthetic resin, does not occur at all, as in the past. In addition, as the long long nut (N1) and the bolt (B1) have a large contact area and are fastened to each other, the fastening force between the main body 100 and the cover 500 is maintained more firmly, so that the walking signal device (1) By increasing durability, the service life can be extended.

또한, 본 발명은 볼트(B1)에 결합된 복수의 탄성부재(SW)가 볼트의 머리부(h)와 단차면(f) 사이에서 탄성 지지됨에 따라, 너트(N1)에 체결된 볼트(B1)는 탄성부재(SW)를 통해 강한 탄성 가압력이 유지되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너트(N1)로부터 쉽게 풀어지지 않아 본체부(100)와 커버부(500) 간에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부(100)와 커버부(500) 사이가 틈새 발생 없는 견고한 밀폐 구조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보행 신호 장치(1) 내부로 습기나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SW) coupled to the bolt (B1) are elastically supported between the head (h) and the step surface (f) of the bolt, so that the bolt (B1) fastened to the nut (N1) ) maintains a strong elastic pressing force through the elastic member (SW) and is not easily loosened from the nut (N1) unless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reby maintaining a firm fastening force between the main body 100 and the cover portion 500. Accordingly, a solid sealed structure without gaps is formed between the main body 100 and the cover 500, thereby preventing moisture or foreign substances from penetrating into the walking signal device 1.

또한, 너트(N1)가 너트 삽입홀(535)에 삽입된 상태에서 너트(N1)의 다각형 머리부(N1b)가 너트 삽입홀(535)의 다각형 안착홈에 안착되어 서로 맞물리게 됨으로써, 너트(N1)와 볼트(B1)의 체결 과정에서 너트(N1)가 너트 삽입홀(535) 내에서 헛도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볼트(B1)의 체결 작업이 한층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nut (N1) is inserted into the nut insertion hole (535), the polygonal head (N1b) of the nut (N1) is seated in the polygonal seating groove of the nut insertion hole (535) and engages with each other, so that the nut (N1) ) and the bolt (B1), the advantage is that the nut (N1) can be prevented from spinning around in the nut insertion hole (535) and the bolt (B1) can be fastened more easily. there is.

아울러, 너트(N1)의 다각형 머리부(N1b)가 볼트(B1)의 선단이 관통되지 않는 비관통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볼트(B1)가 너트(N1)에 체결된 상태에서 볼트(B1)의 선단이 커버부(500)의 상면 위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볼트(B1)의 선단이 외부 습기와 접촉됨으로써 발생되는 볼트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고, 보행자나 차량 등이 상부로 돌출된 볼트(B1)의 선단 부분과 간섭되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polygonal head N1b of the nut N1 is formed in a non-penetrating structure in which the tip of the bolt B1 does not penetrate, the bolt B1 is Since the tip of the bolt is not exposed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500, corrosion of the bolt caused by the tip of the bolt (B1) coming into contact with external moisture can be prevented, and pedestrians, vehicles, etc. can prevent the bolt (B1) protruding upward. )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that may occur due to interference with the tip of the device.

또한, 너트(N1)의 머리부(N1b) 하부에 너트(N1)와 너트 삽입홀(535) 사이를 실링할 수 있는 실링부재(OR)가 구비됨에 따라, 너트(N1)와 볼트(B1)가 체결된 상태에서 너트 삽입홀(535) 내부로 외부의 습기(또는 이물질)가 유입되어 보행 신호 장치(1)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 습기로 인해 볼트(B1) 및 너트(N1) 체결부위가 부식되어 체결력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 sealing member (OR) capable of sealing between the nut (N1) and the nut insertion hole 535 is provided below the head (N1b) of the nut (N1), the nut (N1) and the bolt (B1) In the fastened st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external moisture (or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nut insertion hole 535 and penetrating into the walking signal device (1), and external moisture causes the bolt (B1) and nut ( N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of corrosion of the fastening area and lowering the fastening force.

아울러, 커버부(500)의 너트 삽입홀(535)에 삽입된 너트(N1)는 머리부(N1b)의 상면이 커버부(500)의 상면과 동일하거나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너트(N1)의 머리부(N1b)가 커버부(500)의 상면 위로 돌출되지 않게 됨으로써, 너트(N1)가 설치된 커버부(500)의 상면이 평탄하고 깔끔한 외관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시공 품질이 향상되며, 커버부(500)를 밟고 지나가는 보행자나 오토바이, 차량 등이 돌출된 너트와 간섭되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nut N1 inserted into the nut insertion hole 535 of the cover part 500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part N1b is equal to or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art 500, so that the nut N1 is inserted into the nut insertion hole 535 of the cover part 500. As the head part N1b does not protrude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art 500,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art 500 where the nut N1 is installed has a flat and neat appearance structure, thereby improving construction quality, and the cover part ( 500), it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that may occur when pedestrians, motorcycles, or vehicles passing by step on the protruding nut interfere with it.

한편, 도 7은 도 2의 B-B'섹션 단면도로서, 리플렉터의 하부돌기가 본체부의 베이스면에 형성된 홀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탄성부재를 통해 탄성 지지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Meanwhile,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section B-B' of Figure 2, showing the lower protrusion of the reflector being elastically supported by an elastic member while inserted into the hole formed on the base surface of the main body.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베이스면(110)에 형성된 복수의 홀(111) 내부에는 코일 스프링 형상의 탄성부재(700)가 삽입된 상태에서 하단이 홀(111)의 바닥면에 지지되고 상단이 리플렉터(300)의 하부돌기(332) 부분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700)는 커버부(500)가 본체부(100)에 조립된 상태에서 리플렉터(300)의 하부돌기(332)가 상부에서 누르는 힘에 의해 일정 부분 탄성 압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coil spring-shaped elastic member 700 is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holes 111 formed on the base surface 110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lower end of the hole 111 is It may be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top may be supported on the lower protrusion 332 of the reflector 300. The elastic member 700 may be elastically compressed to a certain extent by the force appli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protrusion 332 of the reflector 300 when the cover portion 500 is assembled to the main body portion 100.

반면, 리플렉터(300)는 복수의 탄성부재(700)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반발력에 의해 커버부(500)의 내면에 강하게 탄성 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탄성부재(700)를 통해 상부로 작용하는 강한 탄성 반발력에 의해 리플렉터(300)가 커버부(500)의 내면으로 강하게 탄성 밀착됨으로써 커버부(500)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또는 충격)을 리플렉터(300)의 상방 가압력을 통해 일정 부분 상쇄시켜 커버부(500)가 하중 및 충격에 의해 탄성 변형 이상으로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flector 300 may be strongly elastically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500 by the elastic repulsion force exerted in the upward direction by the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700. In this way, the reflector 300 is strongly elastically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art 500 due to the strong elastic repulsion force acting upward through the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700, thereby reducing the load ( or impact) can be partially offset through the upward pressure of the reflector 300 to prevent the cover portion 500 from being excessively deformed beyond elastic deformation due to load and impact.

리플렉터(300)는 하부돌기(332)의 하단부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700)가 끼워질 수 있는 하부돌기(33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단차진 형상의 끼움부(334)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돌기(332)의 끼움부(334) 부분에 탄성부재(700)가 끼워져 결합됨에 따라, 탄성부재(700)와 하부돌기(332)가 상하방향(수직방향)으로 정확한 위치 상에 정렬됨으로써 커버부(500)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리플렉터(300)의 하부돌기(332)를 통해 탄성부재(700)로 온전히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탄성부재(700)를 통해 하중 및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 및 분산시킬 수 있다. The reflector 300 has a stepped fitting portion 334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protrusion 332, which has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lower protrusion 332 into which the elastic member 700 can be inserted, as shown in FIG. ) can be formed. As the elastic member 700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fitting portion 334 of the lower protrusion 332, the elastic member 700 and the lower protrusion 332 are aligned at the correct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cover the cover. Since the load appli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unit 500 can be completely transmitted to the elastic member 700 through the lower protrusion 332 of the reflector 300, the load and shock are effectively absorbed and absorbed through the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700. It can be dispersed.

기존의 일반적인 보행 신호 장치의 경우 리플렉터의 상면과 커버부의 하면 사이가 이격되어 빈 공간이 형성되고, 커버부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버틸 수 있도록 합성수지 커버부 두께를 두껍게 형성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커버부의 상부에서 강한 물리적 충격이 가해질 경우 커버부 하부의 리플렉터에 의한 상방 지지력이 확보되지 못하여 커버부가 하방으로 과도하게 변형됨으로써 커버부에 크랙(Crack)이 발생하고, 크랙이 발생한 부분으로 수분이 침투하여 장치의 오작동 또는 고장을 유발시키는 문제가 있었다.In the case of a typical existing walking signal device, the upper surface of the reflector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were spaced apart to form an empty space, and the synthetic resin cover had a thick structure to withstand the load appli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cover. Therefore, when a strong physical impact is appli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ver part, the upward support force provided by the reflector at the bottom of the cover part is not secured, and the cover part is excessively deformed downward, causing cracks to occur in the cover part, and moisture to the cracked part. There was a problem of this penetration causing malfunction or failure of the device.

그러나, 본 발명은 복수의 탄성부재(700)를 통해 작용하는 강한 탄성 반발력에 의해 리플렉터(300)가 상부에 위치한 커버부(500)의 내면에 탄성 밀착됨에 따라, 커버부(500)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물리적 하중 및 충격을 격자 구조를 갖는 리플렉터(300)를 통해 일차적으로 분산시키고, 복수의 탄성부재(700)를 통해 이차적으로 완충 및 흡수한 후 본체부(100)로 전달하여 본체부(100) 주변의 지표면 내부로 분산시킴으로써, 커버부(500)가 하중 및 충격에 의해 과도하게 변형되어 발생하는 크랙이나 파손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lector 300 is elastically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art 500 located at the top due to a strong elastic repulsion force acting through the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700, The applied physical load and impact are primarily distributed through the reflector 300 having a lattice structure, secondarily buffered and absorbed through the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700, and then transmitted to the main body 100. ) By dispersing it into the surrounding ground surface, it is possible to prevent cracks or damage caused by excessive deformation of the cover part 500 due to load and impact.

예를 들어, 지면 위에 노출된 보행 신호 장치(1)의 커버부(500) 상부로 차량이나 오토바이 등과 같은 무거운 중량물이 지나가면서 커버부(500)에 큰 하중이 가해질 경우, 복수의 탄성부재(700)에 의한 상방 가압력에 의해 커버부(500)의 내면에 강하게 밀착된 리플렉터(300)가 커버부(500)와 한 몸체를 이루며 상부에서 인가되는 하중을 반대방향으로 지탱하면서 분산시켜 일정부분 감쇄시킬 수 있고, 복수의 탄성부재(700)를 통해 하중을 완충 및 흡수한 후에 본체부(100)를 통해 주변의 지표면 내부로 분산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heavy object such as a vehicle or motorcycle passes over the cover part 500 of the walking signal device 1 exposed on the ground and a large load is applied to the cover part 500,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700 The reflector 300, which is strongly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art 500 due to the upward pressure caused by ), forms one body with the cover part 500 and supports and distributes the load applied from the top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reby attenuating a certain portion. The load can be buffered and absorbed through the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700 and then distributed into the surrounding ground surface through the main body 100.

따라서, 커버부(500)의 상부에서 큰 하중 및 충격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커버부(500)는 항복점(Yield point) 이상으로 과도하게 변형되지 않고 항복점 이내의 미미한 수준으로 탄성 거동을 하게 됨으로써 과도한 변형으로 인한 커버부(5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부(500)의 과도한 변형으로 인해 발생된 균열 부위로 외부의 습기가 침투하게 되어 보행 신호 장치(1)의 사용 수명이 저하되는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Therefore, even when a large load or impact is appli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ver part 500, the cover part 500 is not excessively deformed beyond the yield point and has elastic behavior at a slight level within the yield point, thereby preventing excessive deformation. Damage to the cover portion 500 due to this can be prevent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problem that the usable life of the walking signal device 1 is reduced due to external moisture penetrating into cracks caused by excessive deformation of the cover portion 500.

실시예 형태와 같이 리플렉터(300)와 커버부(500) 사이에 완충시트(S)가 구비되는 타입의 경우, 리플렉터(300)와 커버부(500)는 복수의 탄성부재(700)에 의해 작용하는 탄성 반발력에 의해 완충시트(S)를 사이에 두고 강하게 밀착됨으로써 완충시트(S)를 통해 하중을 추가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아울러, 완충시트(S)를 사이에 두고 커버부(500)에 밀착되는 리플렉터(300)를 통해 하중을 지탱하면서 효과적으로 분산시킴으로써 커버부(500)가 상부에서 인가되는 하중에 의해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type in which a cushioning sheet (S) is provided between the reflector 300 and the cover portion 500 as in the embodiment, the reflector 300 and the cover portion 500 act by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700. The load can be additionally absorbed through the buffer sheet (S) by being strongly adhered to the buffer sheet (S) between them due to the elastic repulsion force. In addition, the load is supported and effectively distributed through the reflector 300,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ver part 500 with the buffer sheet (S) in between, thereby preventing the cover part 500 from being excessively deformed by the load applied from the top. It can be prevented.

따라서, 기존의 보행 신호 장치와 같이 리플렉터의 상면과 커버부의 하면 사이가 이격되어 빈 공간이 형성된 경우나, 리플렉터와 커버부 사이가 느슨하게 접촉되어 리플렉터에 의한 지지력이 확보되지 못한 경우에 커버부의 상부에서 작용하는 강한 하중 및 충격으로 인해 커버부의 중앙 부분이 과도하게 변형됨으로써 발생하는 크랙(Crack)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크랙 발생 부분으로 습기가 침투하여 보행 신호 장치의 고장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as in the case of existing walking signal devices, when an empty space is formed due to separation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reflector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art, or when the support force by the reflector is not secured due to loose contact between the reflector and the cover part,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art It can prevent damage such as cracks that occur due to excessive deformation of the central part of the cover due to strong load and impact, and prevents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cracked area and causing malfunction of the walking signal device. can do.

본체부(100)의 베이스면(110)에 설치되는 탄성부재(700)는 차도(10) 쪽에 가까운 베이스면(110)의 영역(AR1)과 인도(20) 쪽에 가까운 베이스면(110)의 영역(AR2)에 그 설치 개수를 달리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700 installed on the base surface 110 of the main body 100 is divided into an area AR1 of the base surface 110 close to the roadway 10 and an area of the base surface 110 close to the sidewalk 20. (AR2) can be configured by varying the number of installations.

차도(10)와 인도(20) 사이에 설치된 횡단보도 연석(30) 일측의 지면에 매립되는 보행 신호 장치(1)는 본체부(100)의 베이스면(110)이 인도(20)에서 차도(10)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경사진 베이스면(110)은 차도(10) 측에 인접한 부분이 인도(20)에 인접한 부분보다 높이가 높게 형성된다.The pedestrian signal device (1) embedded in the ground on one side of the crosswalk curb (30) installed between the roadway (10) and the sidewalk (20) has the base surface (110) of the main body (100) positioned between the sidewalk (20) and the roadway ( Since it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in the direction 10), the inclined base surface 110 has a portion adjacent to the roadway 10 having a higher height than a portion adjacent to the sidewalk 20.

큰 중량물인 차량이나 오토바이 등에 의해 보행 신호 장치(1)에 하중이 가해질 경우 차도(10) 측에서 운행 중인 차량이나 오토바이가 보행 신호 장치(1)를 밟고 인도(20) 측으로 지나가는 상황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 때문에, 차도(10) 측에서 인도(20) 측으로 초기 진입되는 차량이나 오토바이 등에 의해 커버부(500)에 가해지는 하중의 크기는 차도(10) 측과 가까운 커버부(500) 영역(AR1)이 인도(20) 측에 가까운 커버부(500) 영역(AR2)보다 클 수 있다.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pedestrian signal device (1) by a large heavy vehicle or motorcycle, most cases occur when a vehicle or motorcycle running on the roadway (10) steps on the pedestrian signal device (1) and passes on the sidewalk (20). do. For this reason, the magnitude of the load applied to the cover part 500 by a vehicle or motorcycle that initially enters from the roadway 10 side to the sidewalk 20 side is the area AR1 of the cover part 500 close to the roadway 10 side. This may be larger than the area AR2 of the cover portion 500 close to the sidewalk 20 side.

이와 같이 차량이나 오토바이 등이 차도(10)에서 인도(20) 측으로 진행할 때 보행 신호 장치(1)의 내부 영역별로 하중의 크기 다르게 인가되는 상황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본체부(100)의 베이스면(110)을 본체부(100)의 길이방향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차도(10) 측에 가깝게 배치되는 제1영역(AR1)과, 인도(20) 측에 가깝게 배치되는 제2영역(AR2)으로 구획하고, 제1영역(AR1)에 설치되는 탄성부재(700)의 개수를 제2영역(AR2)에 설치되는 탄성부재(700)의 개수보다 많은 개수로 설치할 수 있다. In this way, in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 in which a different size of load is applied to each internal area of the pedestrian signal device 1 when a vehicle or motorcycle, etc. proceeds from the roadway 10 to the sidewalk 2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of the main body 100 The surface 110 is divided into a first area AR1 arranged close to the roadway 10 side based on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of the main body 100, and a second area arranged close to the sidewalk 20 side ( AR2), and the number of elastic members 700 installed in the first area AR1 may be greater than the number of elastic members 700 installed in the second area AR2.

예를 들어, 차도(10)와 가까운 제1영역(AR1)에는 5개의 탄성부재(700)를 설치하고, 인도(20)와 가까운 제2영역(AR2)에는 3개의 탄성부재(700)를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도(10) 측과 가까운 제1영역(AR1)에 설치되는 탄성부재(700)를 인도(20) 측과 가까운 제2영역(AR2)에 설치되는 탄성부재(700)보다 많은 개수로 설치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큰 하중이 인가되는 제1영역(AR1)에서 보다 많은 개수로 설치된 복수의 탄성부재(700)를 하중을 집중적으로 흡수 및 완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1영역(AR1)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할 수 있는 커버부(500)의 파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For example, five elastic members 700 are installed in the first area (AR1) close to the roadway (10), and three elastic members (700) are installed in the second area (AR2) close to the sidewalk (20). You can. In this way, the number of elastic members 700 installed in the first area AR1 close to the roadway 10 is installed in a larger number than the elastic members 700 installed in the second area AR2 close to the sidewalk 20. By doing so, the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700 installed in greater numbers in the first area (AR1), where a relatively large load is applied, can absorb and buffer the load intensively, so that relatively more occurrences occur in the first area (AR1).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damage to the cover part 500.

이와 다른 실시예 형태로서, 베이스면(110)의 제1영역(AR1)과 제2영역(AR2)에 탄성 강도가 서로 다른 탄성부재(70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면(110)의 제1영역(AR1)과 제2영역(AR2)에 각각 설치되는 탄성부재(700)의 설치 개수를 서로 동일하게 가져가되, 제1영역(AR1)에 설치되는 탄성부재(700)의 탄성 강도(stiffness)가 제2영역(AR2)에 설치되는 탄성부재(700)의 탄성 강도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elastic members 700 having different elastic strengths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area AR1 and the second area AR2 of the base surface 110. For example, the number of elastic members 700 installed in the first area AR1 and the second area AR2 of the base surface 110 is the same, but the number of elastic members 700 installed in the first area AR1 and AR2 is the same. The elastic strength (stiffness) of the elastic member 700 installed may be greater than that of the elastic member 700 installed in the second area AR2.

이와 같이, 커버부(500)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큰 하중이 인가되는 차도(10) 쪽에 위치한 영역과 작은 하중이 인가되는 인도(20) 측에 위치한 영역에 탄성부재(700)의 설치 개수나 탄성 강도를 달리하여 구성하게 되면, 커버부(500)의 영역별로 인가되는 하중의 크기에 따라 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 및 완충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number or elastic strength of the elastic members 700 installed in the area of the cover unit 500 located on the side of the roadway 10 where a relatively large load is applied and the area located on the side of the sidewalk 20 where a small load is applied If configured differently, the load can be effectively absorbed and buffer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load applied to each area of the cover part 500.

복수의 탄성부재(700)에 의한 커버부(500)의 과도한 변형 방지 효과와는 별도로, 커버부(500)의 내면에 격자 구조를 이루며 돌출된 복수의 리브(미도시)를 형성함으로써 커버부(500)가 하중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Apart from the effect of preventing excessive deformation of the cover part 500 by the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700, the cover part (500) is formed by forming a plurality of ribs (not shown) protruding in a lattice structur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art 500. 500) can minimize deformation due to load.

이 경우 리플렉터(300)와 커버부(500) 사이에 완충시트(S)가 설치되는 타입에서는 커버부(500) 내면에 형성된 격자 구조를 갖는 리브의 하단 부분이 완충시트(S)의 제1홀(H1)의 주변에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형성함으로써, 격자 구조의 리브가 완충시트(S)의 개방된 제1홀(H) 부분을 가리지 않도록 형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type in which the buffer sheet (S) is installed between the reflector 300 and the cover part 500, the lower part of the rib having a lattice structu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art 500 is the first hole of the buffer sheet (S). By forming it to be suppo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periphery of (H1), the lattice-structured ribs can be formed so as not to cover the open first hole (H) portion of the cushioning sheet (S).

또한, 리플렉터(300)와 커버부(500) 사이에 완충시트(S)가 설치되지 않은 타입의 경우에는 커버부(500) 내면에 형성된 격자 구조의 리브 하단 부분이 리플렉터(300)의 개방된 상단부(321) 주변에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형성함으로써, 격자 구조의 리브가 리플렉터(300)의 개방된 상단부(321) 부분을 가리지 않도록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type in which the buffer sheet (S) is not installed between the reflector 300 and the cover part 500, the lower part of the rib of the lattice structu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art 500 is the open upper part of the reflector 300. By forming it so that it is suppo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rounding area (321), the ribs of the lattice structure can be formed so as not to cover the open upper part 321 of the reflector 300.

이와 같이 커버부(500)의 내면에 격자 구조의 리브를 형성하게 되며, 하중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커버부(500)의 상판(520) 부분에 대한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커버부(500)의 상판(520) 부위가 하중에 의해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way, lattice-structured ribs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art 500, and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upper plate 520 of the cover part 500, which is relatively vulnerable to load, can be improved, so the cover part 5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pper plate 520 from being excessively deformed by load.

한편, 도 8은 복수의 보행 신호 장치가 결합돌기 및 결합홈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모습을 보인 것이다. 또한, 도 9 및 도 10은 복수의 보행 신호 장치가 상호 연결된 모습을 상부 및 측면에서 각각 바라본 보습을 보인 것이다.Meanwhile, Figure 8 shows a plurality of walking signal devices connected to each other by coupling protrusions and coupling grooves. In addition, Figures 9 and 10 show a view of a plurality of walking signal devices interconnected from the top and side, respectively.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1)는 차도(10)와 인도(20) 사이에 설치된 횡단보도 연석(30)의 일측 지면에 일렬로 연결되어 매립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보행 신호 장치(1)는 길이방향으로 대향하는 양쪽 측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P) 및 결합홈(G) 간의 상호 맞물림 결합방식으로 일렬로 연결 설치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1 may be installed buried in a line connected to the ground on one side of the crosswalk curb 30 installed between the roadway 10 and the sidewalk 20.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walking signal devices 1 may be connected and installed in line in a mutually engaging manner between one or more engaging protrusions (P) and engaging grooves (G) formed on both sides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복수의 보행 신호 장치(1)들 간의 연결 작업 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 보행 신호 장치(1)에 형성된 결합돌기(P)와 타측 보행 신호 장치(1)에 형성된 결합홈(G)을 서로 결합하여 연결할 수 있다. 일 예로, 일측 보행 신호 장치(1)의 결합돌기(P)를 타측 보행 신호 장치(1)의 결합홈(G)에 상방 또는 하방으로 끼워 넣어 서로 맞물리게 하는 방식으로 복수의 보행 신호 장치(1)들을 간편하고 빠르게 연결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8, when connecting a plurality of walking signal devices (1), the coupling protrusion (P) formed on one side of the walking signal device (1) and the coupling groove (G) formed on the other walking signal device (1) are connected. They can be connected by combining them with each other. As an example, a plurality of walking signal devices (1) are provided by inserting the coupling protrusion (P) of one side of the walking signal device (1) upward or downward into the coupling groove (G) of the other side of the walking signal device (1) to engage them with each other. You can connect them easily and quickly.

기존에는 복수의 보행 신호 장치들을 지면에 일렬로 배열하여 시공하기 위해 작업자가 보행 신호 장치들의 오(伍)와 열(列)을 일일이 맞춰가며 시공해야만 했기 때문에, 시공성이 떨어지고 시공시간도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었으며, 숙련된 작업자가 아닐 경우 시공된 보행 신호 장치들 간의 간격이나 열(列)이 맞지 않아 시공된 품질을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Previously, in order to construct a plurality of walking signal devices in a row on the ground, workers had to manually align the rows and columns of the walking signal devices, which resulted in poor constructability and a lot of construction time. There was a disadvantage, and if the worker was not an experienced worker, the spacing or rows between the installed pedestrian signal devices did not match, which greatly reduced the quality of the construction.

그러나, 본 발명의 보행 신호 장치(1) 구조를 사용하여 도 8과 같은 연결 방식으로 시공된 복수의 보행 신호 장치(1)들은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직선 형태로 연결된 복수의 보행 신호 장치(1)들 간의 간격과 열(列)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시공된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However, a plurality of walking signal devices (1) constructed in a connection manner as shown in Figure 8 using the structure of the walking signal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 plurality of walking signal devices (1)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traight line as shown in Figures 9 and 10. Since the spacing and rows between the signal devices 1 are kept constant, the quality of construction can be greatly improved.

또한, 복수의 보행 신호 장치의 연결 시공 시 일측 보행 신호 장치(1)의 결합돌기(P)를 타측 보행 신호 장치(1)의 결합홈(G)에 끼워 넣는 간단한 방식으로 시공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공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시공 시간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시공 비용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connecting a plurality of walking signal devices, the construction is performed in a simple manner by inserting the coupling protrusion (P) of one side of the walking signal device (1) into the coupling groove (G) of the other side of the walking signal device (1). The work is very simple and construction time can be greatly shortened, which has the advantage of significantly reducing construction costs.

아울러, 기존에는 복수의 보행 신호 장치들을 지면에 일정 이격 간격을 두고 매립한 후 보행 신호 장치들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토사 등을 채워 넣는 방식으로 시공되기 때문에 보행 신호 장치의 상부에서 하중이 가해질 경우 보행 신호 장치들 간의 측방(수평방향) 지지력이 확보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일렬로 시공된 복수의 보행 신호 장치(1)들이 결합돌기(P) 및 결합홈(G)의 결합에 의해 서로 접촉하여 견고하게 연결된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어느 일측의 보행 신호 장치(1)에 하중이 집중적으로 가해질 경우에도 이웃하는 다른 보행 신호 장치(1)에 의한 측방 지지력이 확보됨으로써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 및 분산시켜 보행 신호 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하중 인가 시에도 보행 신호 장치들 사이의 간격 및 정렬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conventionally, a plurality of walking signal devices are buried in the groun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n filled with soil, etc. in the space between the walking signal devices, so when a load is applied from the top of the walking signal device, Although there w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lateral (horizontal) support between the walking signal devices was not secur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walking signal devices (1) constructed in a row by combining the engaging protrusions (P) and the engaging grooves (G). Since they contact each other to form a solidly connected structure, even when a load is applied intensively to one walking signal device (1), lateral support is secured by the other neighboring walking signal device (1), thereby effectively supporting and distributing the loa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walking signal device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and the spacing and alignment between the walking signal devices can always be kept constant even when a load is applied.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 설치 구조의 변형예를 보여주고 있다.Figure 11 shows a modified example of the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instal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보행 신호 장치(1')는 그 길이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양쪽 면 중 한쪽 면에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P')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 면에는 결합돌기(P')와 맞물리는 형상을 갖는 하나 이상의 결합홈(G')이 형성되어, 일측 보행 신호 장치(1')의 결합돌기(P')와 타측 보행 신호 장치(1')의 결합홈(G')이 서로 맞물리게 결합되는 방식으로 복수 개가 일렬로 연결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the walking signal device 1' has one or more coupling protrusions (P') formed on one of the two sides facing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coupling protrusion (P') on the other side. One or more coupling grooves (G') having a shape that engages with the A plurality of pieces may be connected and installed in a row in such a way that they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이 경우, 보행 신호 장치(1')의 결합홈(G')은 전술된 실시예 형태와 달리 보행 신호 장치(1')의 일측 측벽 부분에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술된 실시예에서는 보행 신호 장치(1)의 일측 측면에 돌출단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단 부분에 결합홈(G)을 형성하였으나, 도 11에 도시된 보행 신호 장치(1')는 일측 측벽 부분에 돌출단이 형성되지 않고 결합홈(G')이 측벽의 테두리 안쪽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upling groove G' of the walking signal device 1' may be formed to be recessed inward on one side wall of the walking signal device 1'. That i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protruding end was formed on one side of the walking signal device 1, and a coupling groove (G) was formed in the protruding end portion, but the walking signal device 1' shown in FIG. 11 is A protruding end may not be formed on one side wall portion, and the coupling groove G' may be formed in a recessed form inside the edge of the side wall.

이에 따라, 복수의 보행 신호 장치(1')가 결합돌기(P')와 결합홈(G')의 결합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시공된 상태에서는 서로 이웃하는 보행 신호 장치(1')들이 간격 없이 서로 밀착된 한층 견고한 연결 구조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어느 일측의 보행 신호 장치(1')에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그와 인접하는 양측의 보행 신호 장치('1)들에 의한 측방 지지력이 확보될 수 있기 때문에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 및 분산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해 보행 신호 장치(1')가 하중 및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walking signal devices (1') are interconnected and constructed by combining the coupling protrusion (P') and the coupling groove (G'), neighboring walking signal devices (1') are connected without a gap. By forming a more robust connection structure that is closely attached to each other, even if a load is applied to the walking signal device (1') on one side, lateral support can be secured by the walking signal devices ('1) on both sides adjacent to it. Therefore, the load can be effectively supported and distributed, and thus the walking signal device 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asily damaged by load and impact.

한편, 도 12 및 도 13는 복수의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가 연결부재를 매개로 곡선형으로 시공된 모습을 상부 및 측면에서 각각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Meanwhile, Figures 12 and 13 show a plurality of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s constructed in a curved shape with connection members as viewed from the top and side, respectively.

보행 신호 장치(1)는 앞서 언급된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보행 신호 장치(1) 복수 개가 직선형으로 일렬로 연결된 구조로 시공될 수 있지만, 차도(10)와 인도(20) 사이의 경계가 곡선 구조로 이루어진 곡선부 구간에서는 보행 신호 장치(1)가 복수 개가 상기 곡선부 구간에 대응하는 곡선 구조로 일렬로 배열되어 시공될 수 있다.The walking signal device 1 may be constructed in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walking signal devices 1 are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as shown in FIGS. 9 and 10 mentioned above, but between the roadway 10 and the sidewalk 20. In a curved section where the boundary has a curved structure, a plurality of walking signal devices 1 may be constructed arranged in a row in a curved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curved section.

보행 신호 장치(1)는 일정한 규격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복수의 보행 신호 장치(1)를 결합돌기(P)와 결합홈(G)을 이용하여 곡선 구조로 연결하여 시공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Since the walking signal device (1) is manufactured in a rectangular shape with a certain standard, it may be difficult to construct a plurality of walking signal devices (1) by connecting them in a curved structure using a coupling protrusion (P) and a coupling groove (G). .

따라서, 복수의 보행 신호 장치(1)를 곡선부 구간에 설치할 경우에는 보행 신호 장치(1)들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메워주면서 이웃하는 보행 신호 장치(1)들 사이를 결합돌기(P)와 결합홈(G)에 의해 상호 연결시켜 줄 수 있는 연결부재(3)를 사용하여 시공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installing a plurality of walking signal devices (1) in a curved section, a coupling protrusion (P) is used to fill the space between the walking signal devices (1) and connect neighboring walking signal devices (1). It can be constructed using a connecting member (3) that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upling groove (G).

복수의 보행 신호 장치(1)를 곡선부 구간에 배열하여 시공하는 경우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보행 신호 장치(1)들 사이에는 부채꼴 형상(또는 쐐기 형상)의 이격된 공간부가 발생될 수 있다. 즉, 곡선부 구간에 배열 시공된 이웃하는 보행 신호 장치(1)들 사이에는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공간부 폭이 점차 넓어지거나 좁아지는 부채꼴 형상의 공간부(도면부로 미기재)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채꼴 형상의 공간부 형상에 대응하는 외형을 갖는 연결부재(3)를 이웃하는 보행 신호 장치(1)들 사이에 개재하여 인접한 보행 신호 장치(1)들과 결합하는 방식으로 곡선부 구간에 복수의 보행 신호 장치(1)를 일렬로 연결하여 시공할 수 있다.When constructing a plurality of walking signal devices 1 by arranging them in a curved section, as shown in FIG. 12, spaced apart spaces in the shape of a fan (or wedge shape) may be generated between neighboring walking signal devices 1. You can. That is, a fan-shaped space (not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formed between neighboring pedestrian signal devices 1 arranged in a curved section, with the width of the space gradually widening or narrowing from one side to the other. Therefore, the curved section is connected to the adjacent walking signal devices 1 by interposing the connecting member 3, which has an exter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an-shaped space, between the neighboring walking signal devices 1. It can be construct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walking signal devices (1) in series.

연결부재(3)는 일측 면(3a)에 이웃하는 보행 신호 장치(1)의 결합돌기(P)와 결합되는 홈부(31)가 형성되고, 타측 면(3b)에 이웃하는 보행 신호 장치(1)의 결합홈(G)과 결합되는 돌기부(32)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3)의 양측 면(3a,3b)에 형성된 홈부(31) 및 돌기부(32)는 이웃하는 보행 신호 장치(1)의 결합돌기(P) 및 결합홈(G)과 각각 맞물릴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3) is formed with a groove portion (31) coupled to the engaging protrusion (P) of the walking signal device (1) adjacent to one side (3a), and the walking signal device (1) adjacent to the other side (3b). ) A protrusion 32 that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G) may be formed. The grooves 31 and protrusions 32 formed on both sides 3a and 3b of the connecting member 3 can be engaged with the engaging protrusions P and the engaging grooves G of the neighboring walking signal device 1, respectively. It can be formed into any shape.

여기서, 연결부재(3)의 수평방향 폭은 이웃하는 보행 신호 장치(1)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 간격에 대응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웃하는 보행 신호 장치(1)들 사이의 간격 조정이 필요한 경우 그 간격 폭에 대응하는 연결부재(3)를 사용하여 보행 신호 장치(1)들 사이의 이격 간격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Here, the horizontal width of the connecting member 3 may be formed to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space gap formed between the neighboring walking signal devices 1. Therefore, when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neighboring walking signal devices 1, the distance between the walking signal devices 1 can be freely adjusted using the connecting member 3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gap.

또한, 연결부재(3)의 또 다른 변형 예로서, 연결부재(3)의 일측 면(3b)에는 이웃하는 보행 신호 장치(1)의 돌출단(103,534) 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홈은 돌출단(103,534)의 외형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연결부재(3)의 일측 면(3b)에 함몰된 구조로 형성되고, 삽입홈의 안쪽 부분에 이웃하는 보행 신호 장치(1)의 결합홈(G)과 결합되는 돌기부(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행 신호 장치(1)의 돌출단(103,534)이 연결부재(3)의 삽입홈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삽입홈 내부에 위치된 돌기부(32)와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연결부재(3)의 양측 면(3a,3b)과 이웃하는 보행 신호 장치(1)들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어 시공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as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connecting member 3, one side surface 3b of the connecting member 3 has an insertion groove (not shown) into which the protruding ends 103 and 534 of the neighboring walking signal device 1 can be inserted. poetry) can be formed. At this time,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a recessed structure on one side (3b) of the connecting member (3)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protruding end (103, 534), and a walking signal device adjacent to the inner part of the insertion groove ( A protrusion 32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G) of 1) may be formed. Accordingly, since the protruding ends 103 and 534 of the walking signal device 1 can be engaged with the protrusion 32 located inside the insertion groove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of the connecting member 3, the connecting member 3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quality of construction can be improved by ensuring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both sides (3a, 3b) of ) and the neighboring pedestrian signal devices (1) is maintained constant.

한편, 보행 신호 장치(1)의 본체부(100) 및 커버부(500)는 합성수지 소재로 사출 성형되는 특성 상 금형으로부터 취출을 용이하기 위해 측벽 부분에 기울기를 준 빼기 구배(Taper and draft angle)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부(100) 및 커버부(500)의 측벽 외면은 경사진 형태의 경사면(SH)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부(100)와 커버부(500)가 상호 조립된 상태의 보행 신호 장치(1) 또한 양쪽 측벽의 외면 형상이 경사진 형태의 경사면(SH)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홈부(31) 및 돌기부(32)가 형성된 연결부재(3)의 양쪽 면(3a,3b) 또한 보행 신호 장치(1)의 양쪽 측벽의 경사면(SH)에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due to the nature of the main body portion 100 and the cover portion 500 of the walking signal device 1 being injection molded from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side wall portion is tilted to facilitate extraction from the mold. can be formed. That is, as shown in FIG. 13, the outer surfaces of the side walls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cover 500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SH. Accordingly, the walking signal device 1 in which the main body 100 and the cover 500 are assembled together may also have the outer surfaces of both side walls formed as inclined surfaces SH. Correspondingly, both surfaces 3a, 3b of the connecting member 3 on which the groove 31 and the protrusion 32 are formed are also formed with slopes corresponding to the slopes SH of both side walls of the walking signal device 1. can

이와 같이 연결부재(3)는 그 외면 형상이 보행 신호 장치(1)의 높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의 쐐기 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양쪽 측벽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보행 신호 장치(1) 복수 개를 서로 연결하여 곡선부 구간에 시공하는 경우에도 쐐기 형상의 연결부재(3)를 사용하여 균일한 간격으로 고른 정렬상태를 유지하도록 곡선부 구간에 조밀하게 연결 시공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기 때문에 곡선부 구간에서 보행 신호 장치(1)의 시공된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connecting member 3 is formed in a wedge shape whose outer surface is inclined in the height and width directions of the walking signal device 1, thereby forming a plurality of walking signal devices 1 with both side walls formed as inclined surfaces. Even in the case of construction in a curved section by connecting them together, it can be possible to densely connect and construct the curved section to maintain even alignment at even intervals using the wedge-shaped connecting member (3). The construction quality of the walking signal device 1 can be greatly improved.

아울러, 곡선부 구간에 복수 개의 보행 신호 장치(1)를 연결부재(3)를 매개로 일렬로 연결하여 시공하는 경우,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부재(3)의 상면이 이웃하는 보행 신호 장치(1)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시공하게 되면, 보행자나 오토바이 등이 보행 신호 장치(1)의 상부면을 밟고 지나가는 경우에도 연결부재(3)와 보행 신호 장치(1)들 간의 높낮이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단차로 인해 보행자 걸려 넘어지거나 오토바이 등이 전복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constructing a plurality of walking signal devices (1) in a curved section by connecting them in series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3), as shown in FIG. 13,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3) is adjacent to the walking signal device. It can be formed to be placed at the same height as the top surface of (1). When constructed with this structure, even when a pedestrian or motorcycle passes by stepp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lking signal device (1), the step caused by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3) and the walking signal device (1) Safety accidents such as pedestrians tripping or motorcycles overturning can be prevented.

또한, 복수의 보행 신호 장치를 연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서 곡선부 구간에 시공하는 경우에는 이웃하는 보행 신호 장치들 사이가 과도하게 벌어지게 되고, 벌어진 공간을 메우기 위해 메우기용 토사를 과도하게 사용하여 시공품질을 떨어뜨리게 되고, 벌어진 공간에 메우기용 토사를 채워 넣더라도 이웃하는 보행 신호 장치들 간에 측방 지지력이 원활히 확보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서로 이웃하는 보행 신호 장치(1)들이 연결부재(3)를 매개로 견고하게 연결된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어느 일측의 보행 신호 장치(1)에 하중이 가해질 경우에도 연결부재(3)를 매개로 결합된 다른 일측의 보행 신호 장치(1)를 통해 측방 지지력이 확보됨으로써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 및 분산시켜 보행 신호 장치(1)가 하중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큰 하중이 인가되더라도 보행 신호 장치(1)들 사이의 간격 및 정렬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multiple pedestrian signal devices are constructed in a curved section without using connecting members, the space between neighboring pedestrian signal devices is excessively widened, and soil for filling is used excessively to fill the gap. The quality deteriorates, and even if the open space is filled with sand for filling,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lateral support cannot be smoothly secured between neighboring pedestrian signal devices. On the other hand, since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tructure in which neighboring walking signal devices (1) are firmly connected via the connecting member (3), even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walking signal device (1) on either side, the connecting member ( By securing lateral support through the walking signal device (1) on the other side coupled via 3), the load can be effectively supported and distributed to prevent the walking signal device (1) from being easily damaged by the load, Even if a large load is appli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pacing and alignment between the walking signal devices 1 can always be maintained constant.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1: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 2: 신호 제어기
3: 연결부재 10: 차도
20: 인도 30: 연석
31: 홈부 32: 돌기부
100: 본체부 103,534: 돌출단
110: 베이스면 120: 설치홈
121: 설치면 121a: 고정홀
130: 상부 테두리 131: 제1 삽입홀
140: 하부 테두리 141: 제2 삽입홀
150: 바닥판 180: 보호 하우징
200: LED 모듈 210: PCB 기판
211: 설치홀 220: LED 소자
300: 리플렉터 310: 반사면
321: 개방된 상단부 322: 상부돌기
331: 개방된 하단부 332: 하부돌기
334: 끼움부 400: 구동 모듈
410: 고정홈 500: 커버부
510: 수용 공간 520: 상판
521: 미끄럼 방지돌기 530: 측벽
531: 볼트홀 535: 너트 삽입홀
600: 가스켓 610: 체결홀
700: 탄성부재 AR1: 제1영역
AR2: 제2영역 C: 케이블
G: 결합홈 N1: 너트
OR: 실링부재 P: 결합돌기
S: 완충시트
1: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2: Signal controller
3: Connecting member 10: Roadway
20: Sidewalk 30: Curb
31: Groove 32: Protrusion
100: main body 103,534: protruding end
110: base surface 120: installation groove
121: Installation surface 121a: Fixing hole
130: Upper border 131: First insertion hole
140: Lower border 141: Second insertion hole
150: bottom plate 180: protective housing
200: LED module 210: PCB board
211: Installation hole 220: LED element
300: reflector 310: reflecting surface
321: open upper part 322: upper protrusion
331: open lower part 332: lower protrusion
334: Fitting portion 400: Driving module
410: Fixing groove 500: Cover part
510: Accommodating space 520: Top plate
521: Non-slip protrusion 530: Side wall
531: bolt hole 535: nut insertion hole
600: Gasket 610: Fastening hole
700: Elastic member AR1: First region
AR2: Second area C: Cable
G: Coupling groove N1: Nut
OR: sealing member P: coupling protrusion
S: Shock absorbing seat

Claims (8)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 복수개가 상호 연결되는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 조립체로서,
상기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위에 배치되는 LED 모듈; 및
상기 LED 모듈을 감싸며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의 일측 측벽 및/또는 상기 커버부의 일측 측벽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타측 측벽 및/또는 상기 커버부의 타측 측벽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맞물리는 형상을 갖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 복수 개가 일렬로 배열되어 상기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의 상기 결합돌기가 다른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의 결합홈과 맞물려 상호 연결되되,
상기 결합돌기 및 상기 결합홈은 상기 본체부의 두께 방향으로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본체부 및/또는 상기 커버부의 타측 측벽에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 및 상기 결합홈은 상기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의 상기 결합돌기가 다른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의 결합홈과 맞물려 결합되어서,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본체부 및/또는 커버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형상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 조립체.
A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s are interconnected,
The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main body;
An LED module disposed on the main body; and
It includes a cover part that surrounds the LED module and is coupled to the main body part,
A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on one side wall of the main body part and/or one side wall of the cover part, and a coupling groove having a shape that engages 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wall of the main body part and/or the other side wall of the cover part,
A plurality of the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s are arranged in a row,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of the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engage with the coupling grooves of other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s and are interconnected,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coupling groove are formed to have the same shap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ain body,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in the form of an inward depression in the other side wall of the main body and/or the cover,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coupling groove are coupled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engages with the coupling groove of another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thereby limiting movement of the main body portion and/or the cover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Formed to have a shape structure that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assemb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는 복수 개가 직선 형태로 일렬로 배열된,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 조립체.The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assembl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the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s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제1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는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상하방향으로 끼워져 서로 연결되는,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 조립체.The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assembl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djacent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fitting the engaging protrusions and the engaging gro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 복수개가 연결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호 연결되는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 조립체로서,
상기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위에 배치되는 LED 모듈; 및
상기 LED 모듈을 감싸며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의 일측 측벽 및/또는 상기 커버부의 일측 측벽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타측 측벽 및/또는 상기 커버부의 타측 측벽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맞물리는 형상을 갖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일측에 상기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의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홈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의 결합홈과 결합되는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바닥형 보행 신호장치의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본체부의 두께 방향으로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홈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두께 방향으로 형상이 동일하게 상기 연결부재의 측벽에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의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홈부와 맞물려 결합되어서,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본체부 및/또는 커버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형상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 조립체.
A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a connecting member in between,
The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main body;
An LED module disposed on the main body; and
It includes a cover part that surrounds the LED module and is coupled to the main body part,
A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on one side wall of the main body part and/or one side wall of the cover part, and a coupling groove having a shape that engages 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wall of the main body part and/or the other side wall of the cover part,
The connecting member has a groove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on one side, and a protrusion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on the other side.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is formed to have the same shap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ain body,
The groove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is recessed inward on the side wall of the connecting member to have the same shap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is formed,
The floor-type walking signal is formed so that the engaging protrusion of the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engages and couples with the groove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to have a shape structure that limits movement of the main body and/or the cover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Device assembl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또는 상기 커버부의 측벽은 외면이 경사진 형태의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양측면은 상기 측벽의 경사면과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ide walls of the main body and/or the cover have an outer surface formed with a sloping surface,
A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assembly, wherein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member are formed with inclined surfaces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side wall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부에서 볼 때 쐐기 형상을 가지는,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 조립체.The floor type walking signal device assembly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has a wedge shape when viewed from the top.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는 복수 개가 곡선 형태로 일렬로 배열된,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 조립체.The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assembly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 plurality of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s are arranged in a curved line. 제4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는 상기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의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홈부가 상하방향으로 끼워져 서로 연결되는,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 조립체.The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assembly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djacent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fitting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floor-type walking signal device and the groove of the connecting member in the vertical direction.
KR1020230113026A 2023-05-02 2023-08-28 A reclamation type signal lamp assembly of the ground KR1026035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3026A KR102603506B1 (en) 2023-05-02 2023-08-28 A reclamation type signal lamp assembly of the grou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7285A KR102603505B1 (en) 2023-05-02 2023-05-02 A reclamation type signal lamp of the ground and its installation structure
KR1020230113026A KR102603506B1 (en) 2023-05-02 2023-08-28 A reclamation type signal lamp assembly of the ground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7285A Division KR102603505B1 (en) 2023-05-02 2023-05-02 A reclamation type signal lamp of the ground and its installation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3506B1 true KR102603506B1 (en) 2023-11-17

Family

ID=8896868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7285A KR102603505B1 (en) 2023-05-02 2023-05-02 A reclamation type signal lamp of the ground and its installation structure
KR1020230113026A KR102603506B1 (en) 2023-05-02 2023-08-28 A reclamation type signal lamp assembly of the ground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7285A KR102603505B1 (en) 2023-05-02 2023-05-02 A reclamation type signal lamp of the ground and its installation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03505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847B1 (en) * 2004-03-27 2007-02-05 종 해 김 The Multiful Road Studs having LED ? Reflector.
KR101001043B1 (en) * 2008-10-23 2010-12-14 우승균 A cross walk
KR101829214B1 (en) * 2017-07-17 2018-02-19 조무호 A crosswalk safety light system
KR20210014492A (en) * 2019-07-30 2021-02-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278415B1 (en) * 2020-07-24 2021-07-15 임형렬 walking signal light
KR102335546B1 (en) 2021-05-13 2021-12-07 주식회사 아모센스 A reclamation type signal lamp of the groun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200Y1 (en) * 2010-04-06 2012-01-30 오길식 Difficult to decompose and Moving cover LED ceiling lamp
KR20210014928A (en) * 2019-07-31 2021-02-10 임철수 Floor signal indicato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847B1 (en) * 2004-03-27 2007-02-05 종 해 김 The Multiful Road Studs having LED ? Reflector.
KR101001043B1 (en) * 2008-10-23 2010-12-14 우승균 A cross walk
KR101829214B1 (en) * 2017-07-17 2018-02-19 조무호 A crosswalk safety light system
KR20210014492A (en) * 2019-07-30 2021-02-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278415B1 (en) * 2020-07-24 2021-07-15 임형렬 walking signal light
KR102335546B1 (en) 2021-05-13 2021-12-07 주식회사 아모센스 A reclamation type signal lamp of the grou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3505B1 (en) 2023-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1027B1 (en) Pavement Traffic Light Controlled in conjunction with Crosswalk Traffic Light
KR101303313B1 (en) Omnidirectional projection reclamation type solar road stud
KR102271084B1 (en) Embedded pavement traffic signal lights having aluminium body
US20170241089A1 (en) Pedestrian tile, replaceable tile section and/or resilient dome structure
KR102278415B1 (en) walking signal light
KR102274912B1 (en) Floor type pedestrian traffic light
KR102317117B1 (en) Waterproof led floor traffic light
KR102335546B1 (en) A reclamation type signal lamp of the ground
KR102152781B1 (en) Traffic Lane Delineator
KR100795417B1 (en) Pillar for road traffic equipment
KR102603506B1 (en) A reclamation type signal lamp assembly of the ground
KR101081380B1 (en) Street post foundation
KR101503517B1 (en) Footpath for easy combining and separating, strengthening earthquake-resistant performance
KR101999672B1 (en) The Landfill Guide Light with Fixture
KR20110130230A (en) A movable overspeed preventive projection
KR102582308B1 (en) A reclamation type signal lamp of the ground with improved waterproof and dustproof function by increasing load capacity and durability through load distribution and absorption
KR102035821B1 (en) Guard rail for preventing jaywalking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CN203320440U (en) Combined warning post
KR100731788B1 (en) Elastic Rubber Bearing as One body, made the most of Magnetic attraction key
KR200428509Y1 (en) Deck plate
KR200429835Y1 (en) Road stud of cushion type
KR101330754B1 (en) Deck road structures having luminous elastic member
KR100920257B1 (en) Led bollard
KR101631239B1 (en) piston type road safety reflector
JP4307309B2 (en) Floor board fixing device and level cros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