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2804B1 - 주파수 가변 전치 왜곡 선형화기 - Google Patents

주파수 가변 전치 왜곡 선형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2804B1
KR102602804B1 KR1020210148017A KR20210148017A KR102602804B1 KR 102602804 B1 KR102602804 B1 KR 102602804B1 KR 1020210148017 A KR1020210148017 A KR 1020210148017A KR 20210148017 A KR20210148017 A KR 20210148017A KR 102602804 B1 KR102602804 B1 KR 102602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bias
transistor
output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8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3119A (ko
Inventor
전상근
박승원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48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804B1/ko
Publication of KR20230063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3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8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03F1/324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using predistortion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77Selecting one or more amplifiers from a plurality of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03F3/1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195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integra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using a combination of several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파수 가변 전치 왜곡 선형화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주파 전력 증폭기의 왜곡을 보상하는 전치 왜곡 선형화기로서, 고주파 입력 신호가 인가되는 1차 와인딩, 상기 고주파 입력 신호의 인가에 따른 개별 유도 전류에 의해 복수의 개별 전력 증폭기에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2차 와인딩 및 가변 저항과 상기 고주파 입력 신호의 인가에 따른 제어 유도 전류에 의해 상기 1차 와인딩 및 상기 복수의 2차 와인딩의 인덕턴스를 변화시키는 컨트롤 와인딩을 포함하는 다중 구조 가변 트랜스포머; 및 복수의 트랜지스터, 전압 분배를 위한 복수의 저항 및 캐패시터를 통해 상기 가변 저항을 변화시키기 위한 출력 DC 전압을 결정하는 바이어스 컨트롤 회로를 포함하는 전치 왜곡 선형화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주파수 가변 전치 왜곡 선형화기{Frequency reconfigurable pre-distortion linearizer}
본 발명은 주파수 가변 전치 왜곡 선형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주파 전력 증폭기의 왜곡 보상이 가능한 주파수 가변 전치 왜곡 선형화기에 관한 것이다.
전력 증폭기는 송신기의 최후단에 위치하며, 무선 통신을 위해 입력된 전기적 신호의 세기(전력)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론적으로 전력 증폭기는 입력된 신호의 세기만을 증가시켜야 하지만, 전력 증폭기가 보유하고 있는 비선형성에 의하여 강한 신호가 전력 증폭기로 인가되는 경우에는 신호의 왜곡이 발생한다.
도 1은 전력 증폭기 비선형성에 의해 발생하는 진폭 변조 (Amplitude modulation : AM)에 따른 진폭 변조 왜곡 (AM-AM 왜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상적인 전력 증폭기의 경우에는 입력 전력에 따라 일정한 이득을 보유하나, 실제 전력 증폭기에서는 입력 전력이 일정 수준 이상 증가하는 경우, 이득이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입력 전력에 따른 전력 증폭기 이득의 변화를 AM-AM 왜곡이라 한다.
도 2는 전력 증폭기 비선형성에 의해 발생하는 진폭 변조 (Amplitude modulation : AM)에 따른 위상 변조 (Phase modulation : PM) 왜곡 (AM-PM 왜곡) 현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상적인 전력 증폭기의 경우에는 입력 전력에 관계없이 일정한 위상을 가지는 신호를 출력하지만, 실제 전력 증폭기에서는 입력 전력이 증가함에 따라 출력 신호의 위상이 변화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입력 전력에 따른 출력 신호 위상의 변화를 AM-PM 왜곡이라 한다.
도 3은 AM-AM 및 AM-PM 왜곡이 실제 무선 통신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왜곡을 겪지 않은 이상적인 16-QAM 신호의 성상도와 전력 증폭기를 통과하여 AM-AM 및 AM-PM 왜곡 현상을 겪은 16-QAM 신호의 성상도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낮은 세기의 신호가 전력 증폭기에 입/출력 되는 경우 (Plow)이상적인 16-QAM 신호의 성상도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지만, 강한 세기의 신호가 전력 증폭기에 입/출력되는 경우 (Phigh) AM-AM 및 AM-PM 왜곡이 일어나 이상적인 16-QAM 성상도에서 벗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성상도의 왜곡은 통신 신호의 Error-Vector-Magnitue (EVM) 성능을 낮추고 Bit-Error-Rate (BER)을 크게 증가시킨다. 고속 무선 통신을 위해서는 QAM 변조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고 16-QAM, 64-QAM, 256-QAM으로 변조 방식이 고도화 될수록 AM-AM 및 AM-PM 왜곡에 의한 EVM 성능 저하가 치명적이다.
상기한 EVM 성능 저하를 막기 위해 기존에 디지털 전치 왜곡 선형화기 및 아날로그 전치 왜곡 선형화기가 제안되었다.
디지털 전치 왜곡 선형화기는 디지털 신호 처리를 통해 전력 증폭기 입력 신호 대비 출력 신호의 비선형 왜곡 정도를 확인하여 그에 따라 왜곡 신호와는 진폭 및 위상이 반대되는 신호를 생성, 인가하여 시스템 출력 신호의 선형 특성을 개선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디지털 전치 왜곡 선형화기는 다수의 회로 블록을 포함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면적 및 복잡도를 크게 증가시키며, DC 소모가 크고 대역폭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아날로그 전치 왜곡 선형화기 중 varactor 기반의 전치 왜곡 선형화기는 입력 전력의 크기에 따라 varactor의 손실 및 캐패시턴스를 적절히 변화시켜 AM-AM 및 AM-PM 왜곡을 보상한다.
종래의 varactor 기반의 아날로그 전치 왜곡 선형화기는 전력 증폭기 입력으로 보이는 캐패시턴스를 늘리기 때문에 매칭 네트워크 구성의 난이도를 증가시키며, 회로의 캐패시턴스 증가에 따라 회로 전체의 대역폭 성능을 제한한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947066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잡도는 낮추면서 AM-AM 및 AM-PM 왜곡을 보상하여 성상도의 왜곡을 최소화하고, 전력 증폭기의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파수 가변 전치 왜곡 선형화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주파 전력 증폭기의 왜곡을 보상하는 전치 왜곡 선형화기로서, 고주파 입력 신호가 인가되는 1차 와인딩, 상기 고주파 입력 신호의 인가에 따른 개별 유도 전류에 의해 복수의 개별 전력 증폭기에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2차 와인딩 및 가변 저항과 상기 고주파 입력 신호의 인가에 따른 제어 유도 전류에 의해 상기 1차 와인딩 및 상기 복수의 2차 와인딩의 인덕턴스를 변화시키는 컨트롤 와인딩을 포함하는 다중 구조 가변 트랜스포머; 및 복수의 트랜지스터, 전압 분배를 위한 복수의 저항 및 캐패시터를 통해 상기 가변 저항을 변화시키기 위한 출력 DC 전압을 결정하는 바이어스 컨트롤 회로를 포함하는 전치 왜곡 선형화기가 제공된다.
상기 가변 저항은 소스, 드레인 및 게이트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이며, 상기 출력 DC 전압에 의해 게이트 바이어스가 변화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트랜지스터는 소스, 드레인 및 게이트를 갖는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어스 컨트롤 회로는 상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의 소스, 드레인 및 게이트 중 하나에 복수의 바이어스를 인가하여 상기 출력 DC 전압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트랜지스터는 소스와 드레인에 동일한 제1 바이어스가 인가되고, 게이트에 제2 바이어스를 인가 받아 가변 저항으로 동작하여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달되는 신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 트랜지스터는 상기 고주파 입력 신호의 크기에 따라 상기 드레인에 흐르는 DC 전류의 양과 상기 제2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제2 저항의 크기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출력 DC 전압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고주파 입력 신호가 미리 설정된 크기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바이어스에 의해 상기 출력 DC 전압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고주파 입력 신호가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소스단에 연결되는 제3 바이어스에 의해 상기 출력 DC 전압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바이어스에 의해 상기 출력 DC 전압의 증가 시작 지점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개별 전력 증폭기는 N개이며, 상기 2차 와인딩은 N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차 와인딩은 N개의 차동 출력 포트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개별 전력 증폭기는 N개의 차동 전력 증폭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전치 왜곡 선형화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면적을 가지고 상대적으로 DC 소모를 가지며, 아날로그 전치 왜곡 선형화기와 비교하여 매칭 네트워크 구성의 난이도를 증가시키지 않고 복잡도는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하고자 하는 주파수와 관계없이 우수한 선형화 특성을 가지며, 주파수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나아가, 선형화기 내부의 트랜스포머 구조를 조절하여 single-ended 구조의 전력 증폭기, 차동 구조의 전력 증폭기에 모두 적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전력 증폭기 비선형성에 의해 발생하는 진폭 변조 (Amplitude modulation : AM)에 따른 진폭 변조 왜곡 (AM-AM 왜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전력 증폭기 비선형성에 의해 발생하는 진폭 변조 (Amplitude modulation : AM)에 따른 위상 변조 (Phase modulation : PM) 왜곡 (AM-PM 왜곡) 현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AM-AM 및 AM-PM 왜곡이 실제 무선 통신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치 왜곡 선형화기가 적용된 전력 증폭기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다중 구조 가변 트랜스포머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다중 구조 가변 트랜스포머의 등가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다중 구조 가변 트랜스포머의 출력 신호 위상 및 손실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 저항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트랜지스터 MC의 게이트 바이어스에 따른 저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바이어스 컨트롤 회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바이어스 컨트롤 회로의 입력 신호에 따른 출력 DC 전압을 나타낸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바이어스 컨트롤 회로에 대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의 트랜지스터 M2의 게이트에 문턱 전압 이상의 전압이 걸리는 구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입력 신호에 따라 다중 구조 가변 트랜스포머의 위상 및 손실을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VSW의 값에 따라 트랜지스터 M2의 게이트에 전달되는 RF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바이어스 컨트롤 회로의 바이어스를 주파수에 따라 달리하였을 때 전치 왜곡 선형화기의 손실 및 위상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바이어스 컨트롤 회로와 다중 구조 가변 트랜스포머를 결합하여 아날로그 전치 왜곡 선형화기를 구성할 경우의 기대되는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본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전치 왜곡 선형화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전치 왜곡 선형화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전치 왜곡 선형화기가 적용된 전력 증폭기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20은 설계된 전력 증폭기의 선형화기가 off된 경우 (바이어스 컨트롤 회로의 바이어스가 모두 0인 경우)와 on된 경우 30 GHz에서의 AM-AM (a) 및 AM-PM (b) 왜곡 성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설계된 전력 증폭기의 선형화기가 on 된 경우 입력 전력에 따라 AM-AM (a) 및 AM-PM (b) 왜곡 성능을 주파수에 따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치 왜곡 선형화기가 적용된 전력 증폭기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치 왜곡 선형화기는 아날로그 전치 왜곡 선형화기로 정의될 수 있으며, 다중 구조 가변 트랜스포머(400) 및 바이어스 컨트롤 회로(40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다중 구조 가변 트랜스포머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다중 구조 가변 트랜스포머(400)는 고주파 입력 신호(입력 전력)가 인가되는 1차 와인딩(primary winding, 410), 고주파 입력 신호의 인가에 따른 개별 유도 전류에 의해 복수의 개별 전력 증폭기에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2차 와인딩(secondary winding, 412) 및 가변 저항과 고주파 입력 신호의 인가에 따른 제어 유도 전류에 의해 1차 와인딩(410) 및 복수의 2차 와인딩(412)의 인덕턴스를 변화시키는 컨트롤 와인딩(control winding, 414)을 포함한다.
도 5에서, LP, L1, L2, LC는 각 와인딩(410,412,414)의 자가 인덕턴스이며, 각 와인딩간의 결합 계수는 각각 kP1, kP2, kPC, k1C, k2C으로 표현한다.
1차 와인딩(410)은 입력으로 동작하며, 2차 와인딩(412)은 개별 전력 증폭기(Unit PA, 420)에 연결되어 개별 전력 증폭기(420)에 신호를 전달한다.
컨트롤 와인딩(414)의 양 끝단에는 가변 저항(Rc)이 연결된다.
도 5에서는 2개의 2차 와인딩(412)에 제공되는 이중 구조 가변 트랜스포머를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주파 입력 신호 IP가 1차 와인딩(410)에 인가되는 경우 2차 와인딩(412)에 유도 전류 I1, I2가 발생하여 개별 전력 증폭기(420)로 신호를 전달한다.
이처럼 다중 구조 가변 트랜스포머는 전력 분배기로 동작한다.
입력 신호 IP가 1차 와인딩(410)에 인가되는 경우 컨트롤 와인딩(414)에도 제어 유도 전류 IC가 발생한다. IC의 크기는 가변 저항 RC의 크기에 의해서 조절된다.
도 5와 같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경우, 1차 및 2차 와인딩(410,412) 각각에서 보이는 자가 및 유도 인덕턴스 (Li,eff, Mij,eff) 및 저항 (Ri,eff)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다중 구조 가변 트랜스포머의 등가 회로는 도 6과 같이 표현된다.
도 7은 다중 구조 가변 트랜스포머의 출력 신호 위상 및 손실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가변 인덕턴스 성분은 다중 구조 가변 트랜스포머의 출력 신호 위상을 변화시키고, 가변 저항 성분은 다중 구조 가변 트랜스포머의 손실 특성을 변화시킨다.
따라서, 컨트롤 와인딩(414)의 가변 저항(RC)을 입력 신호에 따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입력 신호에 따라 변화하는 전력 증폭기의 AM-AM 및 AM-PM 왜곡을 보상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 저항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치 왜곡 선형화기에서 가변 저항은 소스, 드레인 및 게이트를 갖는 트랜지스터 Mc로 구현된다.
소스와 드레인이 같은 DC 전압을 공유할 때, 트랜지스터 MC는 게이트 전압에 의해 조절되는 가변 저항으로써 동작하며 게이트 바이어스에 따른 저항은 도 9와 같다.
따라서 트랜지스터 MC의 게이트 바이어스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필요한 전치 왜곡 선형화기의 위상 특성을 얻어낼 수 있다.
도 1 및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력 증폭기의 AM-AM 및 AM-PM 왜곡은 입력 전력이 증가함에 따라 일어난다. 따라서 전력 증폭기의 왜곡을 보상하기 위해서는 전치 왜곡 선형화기의 손실 및 위상 특성 또한 입력 신호에 따라 변화하여야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치 왜곡 선형화기의 손실 및 위상은 트랜지스터 MC의 게이트 바이어스 (VC)에 의해 조절되므로 VC를 입력 신호에 따라 조절하기 위한 네트워크 즉, 바이어스 컨트롤 회로(402)가 필요하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바이어스 컨트롤 회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바이어스 컨트롤 회로의 입력 신호에 따른 출력 DC 전압을 나타낸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바이어스 컨트롤 회로(402)는 복수의 트랜지스터, 전압 분배를 위한 복수의 저항 및 캐패시터를 통해 컨트롤 와인딩(414)의 가변 저항(트랜지스터 Mc)을 변화시키기 위한 DC 전압(게이트 바이어스)을 출력한다.
바이어스 컨트롤 회로(402)는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M1, M2) 및 여기에 전압을 분배하기 위한 R1, R2 및 캐패시터(Cbyp)를 포함하며, 3개의 바이어스 (VSW, VGG, VDD)를 사용하여 바이어스 네트워크의 동작을 조절한다.
트랜지스터 M1의 소스와 드레인은 동일한 DC 전압을 인가받게 되므로, 트랜지스터 M1은 게이트에 인가되는 VSW(제1 바이어스)에 의해 조절되는 가변 저항으로써 동작한다.
트랜지스터 M2는 문턱 전압 이하의 VGG(제2 바이어스)가 인가되어 동작하며, 트랜지스터 M2에 의해 결정되는 DC 전류의 양과 R2의 크기에 따라 출력 DC 전압 VC가 결정된다.
바이어스 컨트롤 회로(402)에 미리 설정된 크기 이하(예를 들어, -20dBm 이하)의 소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트랜지스터 M2의 게이트 전압은 VGG(제2 바이어스)에 의해서 결정된다. M2의 게이트 전압이 문턱 전압 이하이므로 트랜지스터 M2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R2에 전압 강하가 발생하지 않아 매우 낮은 DC 전압을 출력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어스 컨트롤 회로(402)에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예를 들어, 5dBm 이상)의 대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트랜지스터 M2의 게이트 전압은 시간에 따라 크게 변하게 되고 문턱 전압 이상의 전압이 게이트에 걸리는 구간이 발생한다.
게이트 전압이 문턱 전압을 넘어서는 구간에서 트랜지스터 M2는 전류를 통과시키게 된다. 이때. M2의 드레인 전류는 DC 성분과 RF 주파수 성분 및 고조파 성분으로 분리해낼 수 있고, DC 성분을 제외한 성분들 트랜지스터 M2 아래의 캐패시터 (Cbyp)로 모두 빠져나가게 된다. 따라서, 저항 R2에는 DC 전류만이 흐르기 때문에 바이어스 컨트롤 회로(402)는 출력으로 DC 전압 (Vout)만을 출력하게 된다.
M2 드레인 전류의 DC 성분은 M2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RF 신호의 세기에 비례하므로 입력 신호에 따라 출력 DC 전압이 증가한다.
이와 같은 바이어스 컨트롤 회로(402)의 출력을 다중 구조 가변 트랜스포머의 트랜지스터 MC에 적용하는 경우 도 13과 같이 입력 신호에 따라 다중 구조 가변 트랜스포머의 위상 및 손실을 변화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출력 DC 전압의 경향은 3개의 바이어스, VGG, VDD, VSW에 의해 조절된다. 각 전압의 역할 및 출력 DC 전압 조절의 원리를 설명한다.
VGG는 소신호가 인가될 때 바이어스 네트워크의 출력 DC 전압을 결정한다.
트랜지스터 M2에 흐르는 드레인 전류는 VGG에 의해 결정되며, PMOS에서는 게이트 전압을 증가시킬 경우 드레인 전류가 감소한다. 따라서 VGG를 감소시키는 경우 M2의 드레인 전류가 증가, R2에 발생하는 전압 강하가 증가하게 된다. 반대로 VGG를 증가시키는 경우 M2의 드레인 전류가 감소, R2에 발생하는 전압 강하가 감소하여 출력 DC 전압을 감소시킨다.
VDD(제3 바이어스)는 대신호가 인가될 때 바이어스 네트워크의 출력 DC 전압을 결정한다.
대신호가 인가될 때 트랜지스터 M2는 드레인 바이어스 VDD와 관계없이 항상 매우 큰 DC 전류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트랜지스터 R2에 인가되는 전압이 증가하여 트랜지스터 M2이 triode 영역에 진입하게 한다. 트랜지스터가 triode 영역에서 동작하는 경우, 트랜지스터는 일종의 저항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출력 전압 Vout은 VDD에 비례하게 된다.
VSW는 바이어스 컨트롤 회로(402)의 출력 DC 전압이 증가하기 시작하는 지점을 결정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 M1은 가변 저항으로써 동작하며, M1의 저항 값에 따라서 트랜지스터 M2의 게이트에 전달되는 RF 신호의 세기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VSW의 값이 작은 경우 (트랜지스터 M1의 저항값이 큰 경우) 트랜지스터 M2의 게이트에 전달되는 RF 신호의 값이 상대적으로 작아 강한 신호가 들어올 때 Vout이 증가하기 시작하는 입력 전력 (Pth2)이 매우 높다.
VSW의 값이 큰 경우 (트랜지스터 M1의 저항값이 작은 경우) 트랜지스터 M2의 게이트에 전달되는 RF 신호의 값이 상대적으로 커 Vout이 증가하기 시작하는 입력 전력 (Pth1)이 매우 낮다
이와 같이 Vout의 경향을 주파수에 따라 조절하여, 주파수에 따라 변화하는 전력 증폭기의 AM-AM 및 AM-PM 왜곡을 보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바이어스 컨트롤 회로의 바이어스를 주파수에 따라 달리하였을 때 전치 왜곡 선형화기의 손실 및 위상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에 따라 손실 및 위상 특성이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바이어스 컨트롤 회로와 다중 구조 가변 트랜스포머를 결합하여 아날로그 전치 왜곡 선형화기를 구성할 경우의 기대되는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주파수 (f1 - f4)가 바뀌는 경우, 그에 따라 바이어스 컨트롤 회로(402)의 각 바이어스를 조절하여 각 주파수에 따라 발생하는 전력 증폭기의 왜곡을 보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7은 본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전치 왜곡 선형화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전치 왜곡 선형화기는 트랜스포머를 적층하여 N개의 출력 포트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N개의 개별 전력 증폭기에 전력 분배가 가능한 N-way 전력 분배기로 동작이 가능하며, 동시에 N개의 전력 증폭기의 AM-PM 왜곡을 동시에 보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전치 왜곡 선형화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날로그 전치 왜곡 선형화기가 N개의 차동 출력 포트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8과 같이 구성하는 경우, N개의 개별 차동 전력 증폭기에 전력 분배가 가능한, N-way 차동 전력 분배기로 동작하며, 동시에 N개의 차동 전력 증폭기의 왜곡을 동시에 보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전치 왜곡 선형화기가 적용된 전력 증폭기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전력 증폭기는 28-nm CMOS 공정을 사용, 30 GHz 대역을 목표 주파수로 설계되었다. 출력 전력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캐스코드 및 전류 결합 구조를 채택하였고 적절한 이득을 얻기 위해 2단으로 구현되었으며,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각 증폭기의 게이트 바이어스를 입력 전력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조절하는 바이어스 컨트롤 회로를 추가로 적용하여 설계되었다.
설계에 사용된 아날로그 전치 왜곡 선형화기는 AM-AM 및 AM-PM 왜곡을 보상함과 동시에 2개의 전력 증폭기에 전력을 분배 가능하도록 다중 구조 가변 트랜스포머를 사용하여 구성되었다.
도 20은 설계된 전력 증폭기의 선형화기가 off된 경우 (바이어스 컨트롤 회로의 바이어스가 모두 0인 경우)와 on된 경우 30 GHz에서의 AM-AM (a) 및 AM-PM (b) 왜곡 성능을 나타낸다.
도 2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선형화기가 on된 경우 왜곡 성능이 크게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1은 설계된 전력 증폭기의 선형화기가 on 된 경우 입력 전력에 따라 AM-AM (a) 및 AM-PM (b) 왜곡 성능을 주파수에 따라 나타낸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어스 컨트롤 회로를 조절하여, 광대역한 주파수 대역에서 우수한 왜곡 성능을 보유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회로의 입력 정합 네트워크를 선형화기 내부의 다중 구조 가변 트랜스포머를 사용하여 구성하였으며, 이미 50 Ohm 정합이 되어있는 회로의 경우 정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다중 구조 가변 트랜스포머를 사용하여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고주파 전력 증폭기의 왜곡을 보상하는 전치 왜곡 선형화기로서,
    고주파 입력 신호가 인가되는 1차 와인딩, 상기 고주파 입력 신호의 인가에 따른 개별 유도 전류에 의해 복수의 개별 전력 증폭기에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2차 와인딩 및 가변 저항과 상기 고주파 입력 신호의 인가에 따른 제어 유도 전류에 의해 상기 1차 와인딩 및 상기 복수의 2차 와인딩의 인덕턴스를 변화시키는 컨트롤 와인딩을 포함하는 다중 구조 가변 트랜스포머; 및
    복수의 트랜지스터, 전압 분배를 위한 복수의 저항 및 캐패시터를 통해 상기 가변 저항을 변화시키기 위한 출력 DC 전압을 결정하는 바이어스 컨트롤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트랜지스터는 소스, 드레인 및 게이트를 갖는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어스 컨트롤 회로는 상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의 소스, 드레인 및 게이트 중 하나에 복수의 바이어스를 인가하여 상기 출력 DC 전압을 결정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는 소스와 드레인에 동일한 DC 전압이 인가되고, 게이트에 제1 바이어스를 인가받아 가변 저항으로 동작하여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달되는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며,
    상기 제2 트랜지스터는 게이트에 문턱 전압 이하의 제2 바이어스를 인가받아 동작하며,
    상기 출력 DC 전압의 크기는 상기 고주파 입력 신호의 크기에 비례하는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흐르는 DC 전류의 양과 상기 제2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제2 저항의 크기에 의해 결정되는 전치 왜곡 선형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은 소스, 드레인 및 게이트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이며, 상기 출력 DC 전압에 의해 게이트 바이어스가 변화하는 전치 왜곡 선형화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입력 신호가 미리 설정된 크기 이하인 경우, 상기 제2 바이어스에 의해 상기 출력 DC 전압이 결정되는 전치 왜곡 선형화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입력 신호가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소스단에 연결되는 제3 바이어스에 의해 상기 출력 DC 전압이 결정되는 전치 왜곡 선형화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이어스에 의해 상기 출력 DC 전압의 증가 시작 지점이 결정되는 전치 왜곡 선형화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전력 증폭기는 N개이며, 상기 2차 와인딩은 N개를 포함하는 전치 왜곡 선형화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와인딩은 N개의 차동 출력 포트를 가지며, 상기 개별 전력 증폭기는 N개의 차동 전력 증폭기인 전치 왜곡 선형화기.
KR1020210148017A 2021-11-01 2021-11-01 주파수 가변 전치 왜곡 선형화기 KR102602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017A KR102602804B1 (ko) 2021-11-01 2021-11-01 주파수 가변 전치 왜곡 선형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017A KR102602804B1 (ko) 2021-11-01 2021-11-01 주파수 가변 전치 왜곡 선형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119A KR20230063119A (ko) 2023-05-09
KR102602804B1 true KR102602804B1 (ko) 2023-11-15

Family

ID=86408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8017A KR102602804B1 (ko) 2021-11-01 2021-11-01 주파수 가변 전치 왜곡 선형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28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85162A1 (en) * 2006-05-22 2007-12-13 Theta Microelectronics, Inc. Highly linear Low-noise amplifiers
US20090256631A1 (en) * 2008-04-10 2009-10-15 Bockelman David E Providing pre-distortion to an input signa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10009B2 (en) 2011-09-15 2015-12-08 Intel Corporation Digital pre-distortion filter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85162A1 (en) * 2006-05-22 2007-12-13 Theta Microelectronics, Inc. Highly linear Low-noise amplifiers
US20090256631A1 (en) * 2008-04-10 2009-10-15 Bockelman David E Providing pre-distortion to an input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119A (ko)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8539B2 (en) RF amplifier employing active load linearization
US9543901B2 (en) Optimization methods for amplifier with variable supply power
CN109951159B (zh) 基于变压器的Doherty功率放大器
US9093960B2 (en) Transmitter and method with RF power amplifier having predistorted bias
US9385669B2 (en) Class-E outphasing power amplifier with efficiency and output power enhancement circuits and method
EP2216901B1 (en) Efficient composite amplifier
US20220416730A1 (en) Compensation circuit of amplitude modulation-phase modulation, radio frequency power amplifier and device
JP2001223539A (ja) アクティブフィードフォワード型プレディストーションに基づく線形電力増幅器
US10848109B2 (en) Bias modulation active linearization for broadband amplifiers
EP1524763B1 (en) Modulation dependent biasing for efficient and high-linearity power amplifiers
KR102178526B1 (ko) 전력 증폭기
US20120242405A1 (en) Frequency-Desensitizer for Broadband Predistortion Linearizers
US10979001B2 (en) Method and system for linearizing an amplifier using transistor-level dynamic feedback
WO2018162746A1 (en) Power amplifier with stepwise envelope tracking and adaptive load
US9479123B2 (en) Method and system for linearizing an amplifier using transistor-level dynamic feedback
KR102602804B1 (ko) 주파수 가변 전치 왜곡 선형화기
Zanen et al. A predistortion-less digital transmitter with− 50-dB ACLR exploiting output conductance linearization
EP1658674A4 (en) POWER DISTRIBUTION AND PRELOAD IN HF SWITCHING POWER AMPLIFIERS
EP1254507A2 (en) Circuit for reducing second and third order intermodulation distortion for a broadband rf amplifier
US9871491B2 (en) Method and system for linearizing an amplifier using transistor-level dynamic feedback
KR101890579B1 (ko) 위상변조 왜곡의 감소가 가능한 전력 증폭기
WO2015006441A2 (en) Transmitter and method with rf power amplifier having stabilized bias
US20220329208A1 (en) Sequential continuous wideband amplifiers
Gavell et al. A third order analogue pre-distorter MMIC for E-band PA linearisation
CN118117977A (zh) 线性化电路、功率放大器、芯片以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