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1710B1 - 양측면 길이조절이 가능한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 - Google Patents

양측면 길이조절이 가능한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710B1
KR102601710B1 KR1020210050259A KR20210050259A KR102601710B1 KR 102601710 B1 KR102601710 B1 KR 102601710B1 KR 1020210050259 A KR1020210050259 A KR 1020210050259A KR 20210050259 A KR20210050259 A KR 20210050259A KR 102601710 B1 KR102601710 B1 KR 102601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user
fabric
sides
mask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4059A (ko
Inventor
김일권
Original Assignee
김일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권 filed Critical 김일권
Priority to KR1020210050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710B1/ko
Publication of KR20220144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7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쉽게 양측면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얼굴에 알맞게 착용할 수 있고, 안면에 긴밀히 밀착시킬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는, 사용자의 안면을 커버하고, 내면과 상기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사용자의 호흡기에 의한 호흡이 이루어지는 호흡공간을 형성하고, 양측단에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1개 이상의 절개선이 각각 형성된 구조를 갖는 마스크 본체; 및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귀에 걸어 상기 마스크 본체가 사용자의 호흡기를 가리도록 지지하는 루프 형상의 착용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양측면 길이조절이 가능한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Customizable mask with adjustable length on both sides}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쉽게 양측면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얼굴에 알맞게 착용할 수 있고, 안면에 긴밀히 밀착시킬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mask)는 마스크 본체와 마스크 본체의 양측에 구비되는 착용 끈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며, 마스크 본체는 필터 부재가 도입되어 호흡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착용 끈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밴드가 마스크 본체의 양측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어 마스크 본체를 호흡기 전방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마스크는 보건 위생상 입(mouth)과 코(nose)를 가려 호흡기 내로 바이러스 또는 세균 등과 같은 병원균이나, 분진, 화학약품, 황사, 초미세먼지 등과 같은 오염물질의 흡입을 방지하여 유해환경으로부터 건강을 보호할 수 있다.
최근에는, 마스크의 착용이 일반화됨에 따라 마스크의 필터링의 성능 이외에도 마스크의 착용감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사용자별로 얼굴 형태와 크기 및 호흡기부터 귀 사이의 거리가 다양하지만, 크기가 균일한 마스크가 양산되어 밀착력, 착용감 등을 개선하기 위해서 착용 끈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착용 끈의 길이 조절 기능을 갖는 다양한 형태의 마스크가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는, 다양한 얼굴크기를 갖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손쉽게 길이를 조절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에 관한 내용은 개시된 바 없어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49857호 (공개일 : 2020.08.31) 한국등록특허 제10-2008346호 (공고일 : 2019.08.07) 한국등록특허 제10-2159200호 (공고일 : 2020.09.23) 한국등록특허 제10-2069375호 (공개일 : 2020.01.22)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착용 끈을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기구를 추가로 구비하지 않아도 사용자가 간편하게 착용끈의 길이를 줄일 수 있어 착용감이 우수한 마스크에 대한 기술 내용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얼굴이 마스크 본체에 비해 크거나, 작은 경우, 또는 안면이 비대칭인 경우에도 사용자가 손쉽게 마스크의 양측 길이를 조절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에 대한 기술 내용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장시간 동안 정전기 유지가 가능해 오염물질에 대한 필터링 성능이 우수한 마스크에 대한 기술 내용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안면을 커버하고, 내면과 상기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사용자의 호흡기에 의한 호흡이 이루어지는 호흡공간을 형성하고, 양측단에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1개 이상의 절개선이 각각 형성된 구조를 갖는 마스크 본체; 및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귀에 걸어 상기 마스크 본체가 사용자의 호흡기를 가리도록 지지하는 루프 형상의 착용끈을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절개선의 양측에 형성되는 보강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절개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1개 이상의 체결홀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가변 확장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가변 확장부는, 접이선, 상기 접이선 사이에 형성된 절개선이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1개 이상 형성된 시트를 상기 접이선을 따라 절곡시킨 접이부가 1개 이상 형성된 자바라 형태의 접이식 구조를 가지며, 최외면 상부측에 상기 착용끈이 부착되고, 사용자가 최하단 접이부를 한 층씩 펼친 다음 상기 가변 확장부에 형성된 절개선을 통해 착용끈이 감아지도록 하여 마스크의 양측면을 길게 연장되도록 하는 가변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 본체는 외피층, 정전필터층 및 내피층을 포함하는 다층 원단을 이용해 형성시키며, 상기 정전필터층은, 제1 직물과 제2 직물이 상호 수평선상에서 이격되어 일정간격으로 상호 반복적으로 교차된 상태에서 일체로 직조되어 단면이 6각형인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이중직 구조의 원단을 활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의 양측면에 절개선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착용끈의 중간 부분을 절개선이 형성하는 절개부에 삽입한 다음 착용끈을 잡아당겨 마스크 본체의 끝단부 외주면에 착용끈이 감아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착용끈의 길이를 짧게 조절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는, 가변 확장부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얼굴이 마스크 본체보다 큰 경우나 장시간 마스크 착용으로 인해 귀가 아플 때 마스크 본체의 양측 길이를 길게 늘릴수 있어 사용자의 얼굴 크기와 장시간 착용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는, 제1 직물과 제2 직물이 서로 반복 교차되는 이중직 구조의 원단을 정전필터로 도입하여 장시간 동안 정전기 유도가 지속됨에 따라, 오염물질에 대한 포집 성능이 우수하고, 오염물질의 흡입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2단 접이식 구조를 갖는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중앙에 접합부가 형성된 평면형 구조를 갖는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전면을 수회 절곡시켜 접지된 주름부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착용끈의 길이를 짧게 조절한 상태의 2단 접이식 마스크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가변 확장부가 설치된 상태의 2단 접이식 마스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가변 확장부가 설치된 상태의 2단 접이식 마스크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가변 확장부를 이용해 마스크 본체의 양측면 길이를 조절한 상태의 2단 접이식 마스크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의 마스크 본체 형성을 위해 사용되는 다층 원단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의 다층 원단에서 정전필터층 형성을 위해 도입되는 정전필터 원단의 직조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의 다층 원단에서 정전필터층 형성을 위해 도입되는 정전필터 원단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10a, 10b, 10c)는, 마스크 본체(100a, 100b, 100c) 및 착용끈(300)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며, 호흡기 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통상적인 다양한 형태의 마스크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전면 부재(F), 상면 부재(U) 및 하면 부재(L)를 일체형으로 접합시켜 전면 부재(F)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접합부(J1, J2)가 형성되며, 상면 부재(U) 및 하면 부재(L)를 상기 전면 부재(F)의 상면에 포갤 수 있는 구조의 마스크 본체(100a) 및 착용끈(300)을 포함하는 2단 접이식 마스크(10a)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는, 2개의 좌우측 측면 부재(S1, S2)를 접합하여 중앙에 접합부(J3)가 형성되고, 좌우측 측면 부재(S1, S2)를 포갤 수 있는 구조의 마스크 본체(100b) 및 착용끈(300)을 포함하는 평면형 마스크 또는 새부리형 마스크(10b)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전면을 수회 절곡시켜 접지된 주름부(W)가 형성된 구조의 마스크 본체(100c) 및 착용끈(300)을 포함하는 비말 차단 마스크(10c) 또는 의료용 마스크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형태 및 구조를 갖는 마스크(10a, 10b, 10c)는 각각 코에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마스크 본체(100a, 100b, 100c)에 설치되는 고정 스트랩이 각각 구비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10a, 10b, 10c)의 구성 요소인 마스크 본체(100a, 100b, 100c)는 얼굴의 전면에 대면하면서 사용자의 안면을 커버하고, 호흡기를 가리도록 안면을 수용하는 구조를 형성하여 내면과 상기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사용자의 호흡기에 의한 호흡이 이루어지는 호흡공간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착용시 바이러스 또는 세균 등과 같은 병원균이나, 분진, 화학약품, 황사, 초미세먼지 등과 같은 오염물질의 흡입을 방지하는 구조를 형성하고, 착용끈(300)은 상기 마스크 본체(100a, 100b, 100c)의 양측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귀에 걸어 상기 마스크 본체(100)가 사용자의 호흡기를 가리도록 지지하는 루프 형상의 구조를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착용끈(300)의 길이를 짧게 조절한 상태의 2단 접이식 마스크(10a)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마스크 본체(100a)는 양측에 각각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개선(101)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절개선(101)을 따라 절개부를 형성시키도록 한 다음 착용끈(300)의 중간 부분을 마스크 본체(100a)의 후면 방향에서 절개부에 삽입하고, 삽입한 착용끈(300)을 잡아당겨 마스크 본체(100a)의 끝단부 외주면을 따라 착용끈(300)이 감아지도록 하여 착용끈(300)의 길이를 짧게 조절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절개선(101)은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마스크 본체(100a)의 양측단에 1개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손쉽게 얼굴크기에 맞는 절개선(101)을 절개하여 절개부를 형성시키도록 한 다음 착용끈(300)을 마스크 본체(100)의 양끝단부에 감아지도록 하여 착용끈(300)의 길이를 조절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 본체(100)는 절개선(101)의 좌우측에 보강부(103)가 추가로 구비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보강부(103)는 착용끈(300)을 강하게 지지하여 마스크 본체(100)가 찢어지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하고, 다층 재질의 마스크 본체(100)의 각층을 일체형으로 접합시켜 절개부를 형성시키는 경우에도 각층이 벌어지지 않도록 하여 마스크 본체(100)의 기능 상실을 방지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103)는 초음파 융착, 열 융착, 레이저 융착, 진동 융착, 적외선 융착 등의 방법을 통해 융착시켜 형성하거나, 재봉 등의 방법을 통해 섬유를 재단하여 형성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마스크 본체(100a, 100b, 100c)는 추가로 체결홀(105)이 관통 형성된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착용끈(300)의 외주면이 체결홀(105)에 면접촉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체결홀(105)은 절개선(1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2개 이상 형성되며, 사용자가 체결홀(105)에 착용끈(300)을 걸어 고정시키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음에 따라 착용끈(300)의 길이를 보다 정밀하게 조절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체결홀(105)은 착용끈(300) 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도록 하여 착용끈(300)이 체결홀(105)에 끼움 결합되도록 하여 착용끈(300)이 단단하게 지지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마스크 본체(100)는 미리 설정된 패턴의 융착부(107)가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융착부(107)는 다층 재질의 마스크 본체(100a, 100b, 100c)의 각층이 일체형으로 접합되도록 해 각층이 벌어지지 않도록 하여 마스크 본체(100a, 100b, 100c)의 기능 상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융착부(107)는 초음파 융착, 열 융착, 레이저 융착, 진동 융착, 적외선 융착 등의 방법을 통해 융착시켜 형성하거나, 재봉 등의 방법을 통해 섬유를 재단하여 형성시킬 수도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가변 확장부(110)가 설치된 상태의 2단 접이식 마스크(10a)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가변 확장부(110)가 설치된 상태의 2단 접이식 마스크(10a)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7은, 가변 확장부(110)를 이용해 마스크 본체(100a)의 양측면 길이를 조절한 상태의 2단 접이식 마스크(10a)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2단 접이식 마스크(10a)를 예로 들어 가변 확장부(110)가 구비된 마스크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10a)는 마스크 본체(100a)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가변 확장부(110)를 추가로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가변 확장부(110)는 사용자의 얼굴이 미리 설정된 마스크 본체(100a)보다 커 마스크 본체(100a)가 사용자의 안면을 수용하기 힘들거나, 장시간 마스크 착용으로 인해 귀가 아플 때 마스크 본체(100a)의 양측면을 길게 형성하여 사용자의 얼굴 크기와 장시간 착용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변 확장부(110)는, 마스크 본체(100a)의 양측면에 형성되며, 접이선(FL), 절개선(101)이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1개 이상 형성된 시트 형상의 구조를 가지며, 접이선(FL)을 따라 1회 이상 절곡시킨 다음 맞닿는 면을 점착 수단으로 점착시켜 자바라 형태의 다단 접이식 구조를 형성하여 마스크 본체(100a)의 양측면에 수납시킨 상태로 설치되며, 사용자가 필요시 절곡된 부분을 펼쳐 마스크 본체(100a)의 양측면을 길게 연장시키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가변 확장부(110)가 구비된 마스크(10a)는 접이식 구조를 갖는 가변 확장부(110)의 최외면 상부측에 착용끈(300)이 부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마스크 착용시 불편함을 느끼거나 마스크가 얼굴 크기에 비해 작다고 생각될 때 최하단 접이부를 한 단씩 펼친 다음 가변 확장부(110)에 형성된 절개선(101)을 통해 착용끈(300)이 감아지도록 하여 마스크의 양측면을 길게 연장되도록 하는 가변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변 확장부(110)가 설치된 상태의 2단 접이식 마스크(10a)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변 확장부(110)에 배치된 절개선(101)이 형성하는 절개부에 착용끈(300)이 감아지도록 하여 가변 확장부(110)가 자바라 구조를 이루도록 지지하는 상태가 되도록 사용자가 조절하여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착용끈의 길이를 조절하고 싶은 경우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에 형성된 절개선(101)이 형성하는 절개부에 착용끈(300)이 감아지도록 하여 착용끈의 길이를 짧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마스크 착용시 불편함을 느끼거나 마스크가 얼굴 크기에 비해 작다고 생각될 때 최하단 접이부를 한 단만 펼친 다음 가변 확장부(110)에 형성된 절개선(101)을 통해 착용끈(300)이 감아지도록 하여 마스크의 양측면을 길게 연장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변 확장부의 접이부가 모두 펼쳐지도록 한 다음 가변 확장부(110)에 형성된 절개선(101)을 통해 착용끈(300)이 감아지도록 하여 마스크의 양측면을 더욱 길게 연장시킬 수 있고, 도 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변 확장부의 접이부가 모두 펼쳐지도록 하여 마스크의 양측면을 가장 길게 연장시키는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100a, 100b, 100c)에 절개선(101)과 가변 확장부(110)가 각각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절개선(101)에 착용끈(300)을 통과시켜 마스크 본체의 양측 외주면을 따라 착용끈(300)이 감아지도록 해 착용끈(300)의 길이를 짧게 조절할 수 있어 얼굴크기가 작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고, 마스크 본체(100a, 100b, 100c)의 양측에 가변 확장부(110)가 설치됨에 따라 일측의 가변 확장부(110)의 단을 펼쳐 마스크 본체의 양측면의 너비를 늘리는 방법을 통해서 사용자의 얼굴이 마스크 본체에 비해 큰 경우에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안면비대칭인 사용자 또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변 확장부(110)는 신축성이 있어 양측으로 연신되는 특성을 나타내어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시 불편감을 해소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탄성 부직포 시트를 이용해 형성시킬 수 있으며, 마스크 본체(100a)의 양측면에 탄성 부직포 시트를 접착시켜 가변 확장부(11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도면에서는 2단 접이식 마스크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마스크에도 이와 같은 가변 확장부(11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마스크(10)는 절개선(101)을 절개하여 형성시킨 절개부에 착용끈(300)을 감아 조절하도록 함에 따라 착용끈(300)의 길이 조절이 간편해 손쉽게 안면에 대한 마스크 본체(100)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고, 끈 조절을 위한 별도의 추가 조절 부재가 구비되지 않아도 사용자가 착용끈(30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플라스틱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며, 제작이 용이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10a, 10b, 10c)는 바이러스 또는 세균 등과 같은 병원균이나, 분진, 화학약품, 황사, 초미세먼지 등과 같은 오염물질의 흡입을 방지하는 통상적인 다양한 형태의 다층 원단을 사용하여 마스크 본체(100a, 100b, 100c)를 제조할 수 있다.
일례로, 다층 원단은, 외피층, 정전필터층 및 내피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3중층 구조이거나, 외피층, 마스크의 형태 안정성을 부여해주는 지지층, 정전필터층 및 내피층을 포함하는 4중층 구조의 마스크 원단을 사용할 수도 있고, 외피층, 지지층, 프리필터층, 정전필터층 및 내피층을 포함하는 5중층 구조를 갖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마스크용 원단을 이루는 각층의 재질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연신 폴리프로필렌(oriented polypropylene, OPP), 카제인 인산펩타이드(casein phosphopeptide, CPP), 나일론(nylon), 종이 또는 이들의 혼합 소재를 이용해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스크용 원단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피층(21), 정전필터층(23) 및 내피층(25)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 다층 원단(20)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다층 원단(20)은 단면이 6각형인 허니콤 형상의 수용공간(AS)을 형성하는 이중직 구조의 원단을 정전필터층(23)으로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정전필터층(21)을 형성하는 다층 원단(20)은, 제1 직물(21a)과 제2 직물(21b)을 포함하고, 제1 직물(23a)과 제2 직물(23b)은 상호 수평선상에서 이격되어 일정간격으로 상호 반복적으로 교차된 상태에서 일체로 직조되어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직물(21a) 및 제2 직물(21b)이 교차되는 지점에는 제1 직물(21a) 및 제2 직물(21b)에 상호 대칭되게 접힌 접힘부(23c)가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다층 원단(20)은 제1 경사(211) 및 제2 경사(213)가 각각 위사(215)와 함께 직조되며, 제1 경사(211) 및 제2 경사(213)는 수평선상으로 간격이 유지되어 위사(215)와 함께 직조되어 제조될 수 있다. 특히, 다층 원단(20)은 영역 1(R1)에서 상기 제1 경사(211) 및 제2 경사(213)가 각각 위사(215)와 함께 제직되고, 영역 2(R2)에서 상부에 위치하는 제1 경사(211)는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직되고, 하부에 위치하는 제2 경사(213)는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직하며, 제1 경사(211) 및 제2 경사(211)의 경사각도(θ)가 30 내지 60° 각도가 되도록 경사지게 제직되며, 영역 3(R3)에서는 제2 경사(213)가 상부에 위치하고, 제1 경사(211)는 하부에 위치한 상태로 제직되며, 이와 같은 구조가 반복적으로 제직된다.
그리고, 제1 경사(211) 및 제2 경사(213)는 상호 순서대로 교차되며, 즉, 제1 경사(211) 및 제2 경사(213)의 각각의 경사가 순서대로 상호 교차되는 동시에 위사(215)가 제직되어 제1 직물(23a)과 제2 직물(23b)은 상호 수평선상에서 이격되어 일정간격으로 상호 반복적으로 교차된 상태에서 일체로 직조되는 과정이 반복되어 단면이 6각형인 허니콤 형상의 수용공간(AS)을 형성하는 이중직 구조의 원단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직물(23a)과 제2 직물(23b)의 반복 교차되는 제직 방법에 의해 허니콤 구조를 갖는 정전필터 원단은 육각형 형태의 수용공간(AS)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직된 허니콤 구조를 갖는 정전필터 원단은 경사(211, 213)를 이중으로 구획시켜 위사(215)로 직조하되, 이를 허니콤 구조의 직물로 일체되게 제직하여 원단의 일체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단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육각형의 수용공간(AS)을 통해 호흡시 공기가 통과하면서 정전기 유도효과가 부여되어 우수한 미세먼지 차단 성능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원단을 포함하는 정전필터층(23)은, 제1 직물(23a)과 제2 직물(23b)이 반복 교차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제1 직물(23a)과 제2 직물(23b)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사용자의 흡기에 의해 제1 직물(23a)과 제2 직물(23b)이 서로 면접촉된 다음 배기에 의해 비접촉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어 호흡에 의해 마찰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제1 직물(23a) 또는 제2 직물(23b)에 정전기 발생이 유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정전필터층(23)은 정전기 유도가 지속되어 오염물질에 대한 포집 성능이 향상되어 오염물질의 흡입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직물(23a)과 제2 직물(23b)은 대전 특성이 상이한 소재의 섬유로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직물(23a)은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제1 경사(211)로 이용해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제2 직물(23b)은 폴리아미드 섬유를 제2 경사(213)로 이용해 제조한 것을 사용하거나, 또는, 제1 직물(23a)은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제1 경사(211)로 이용해 제조한 것을 사용하고, 상기 제2 직물(23b)은 아크릴로니트릴 섬유를 제2 경사(213)로 이용해 제조한 것을 사용하여 정전기가 쉽게 유도될 수 있도록 대전 특성이 서로 상이한 직물 구조를 도입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는 외피층, 정전필터층 및 내피층을 포함하는 3중층 구조의 다층 원단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다층 원단(20)은 외피층, 마스크의 형태 안정성을 부여해주는 외피층, 지지층, 정전필터층 및 내피층을 포함하는 4중층 구조일 수 있고, 외피층, 지지층, 프리필터층, 정전필터층 및 내피층을 포함하는 5중층 구조를 갖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착용끈(300)은 마스크 본체(100)의 양 측단 부분에 각각 양단이 고정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사용자의 안면에서 마스크 본체(100)가 이탈되지 않도록 마스크 본체(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사용자가 마스크 본체(100)를 착용하기에 충분한 길이로 형성시킬 수 있고, 구체적인 길이는 제조업체마다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착용끈(300)은 폴리우레탄, 나일론, 면,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탄성 소재를 이용해 제조한 와이어, 스트립 또는 밴드 형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받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의 양측면에 절개선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착용끈의 중간 부분을 절개선이 형성하는 절개부에 삽입한 다음 착용끈을 잡아당겨 마스크 본체의 끝단부 외주면에 착용끈이 감아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착용끈의 길이를 짧게 조절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는, 가변 확장부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얼굴이 마스크 본체보다 큰 경우나 장시간 마스크 착용으로 인해 귀가 아플 때 마스크 본체의 양측 면적을 늘릴 수 있어 사용자의 얼굴 크기와 장시간 착용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는, 제1 직물과 제2 직물이 서로 반복 교차되는 이중직 구조의 원단을 정전필터로 도입하여 장시간 동안 정전기 유도가 지속됨에 따라, 오염물질에 대한 포집 성능이 우수하고, 오염물질의 흡입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a, 10b, 10c : 마스크
100a, 100b, 100c : 마스크 본체 101 : 절개선
103 : 보강부 105 : 체결홀
107 : 융착부 110 : 가변 확장부
20 : 다층 원단 21 : 외피층
211 : 제1 경사 213 : 제2 경사
215 : 위사 23 : 정전필터층
23a : 제1 직물 23b : 제2 직물
23c : 접힘부 25 : 내피층
300 : 착용끈

Claims (5)

  1. 사용자의 안면을 커버하고, 내면과 상기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사용자의 호흡기에 의한 호흡이 이루어지는 호흡공간을 형성하고, 양측단에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1개 이상의 절개선이 각각 형성된 구조를 갖는 마스크 본체; 및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귀에 걸어 상기 마스크 본체가 사용자의 호흡기를 가리도록 지지하는 루프 형상의 착용끈을 포함하고,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가변 확장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가변 확장부는,
    접이선, 상기 접이선 사이에 형성된 절개선이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1개 이상 형성된 시트를 상기 접이선을 따라 절곡시킨 접이부가 1개 이상 형성된 자바라 형태의 접이식 구조를 가지며,
    최외면 상부측에 상기 착용끈이 부착되고,
    사용자가 최하단 접이부를 한 층씩 펼친 다음 상기 가변 확장부에 형성된 절개선을 통해 착용끈이 감아지도록 하여 마스크의 양측면을 길게 연장되도록 하는 가변형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절개선의 양측에 형성되는 보강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절개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1개 이상의 체결홀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외피층, 정전필터층 및 내피층을 포함하는 다층 원단을 이용해 형성시키며,
    상기 정전필터층은,
    제1 직물과 제2 직물이 상호 수평선상에서 이격되어 일정간격으로 상호 반복적으로 교차된 상태에서 일체로 직조되어 단면이 6각형인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이중직 구조의 원단을 활용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
KR1020210050259A 2021-04-19 2021-04-19 양측면 길이조절이 가능한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 KR102601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259A KR102601710B1 (ko) 2021-04-19 2021-04-19 양측면 길이조절이 가능한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259A KR102601710B1 (ko) 2021-04-19 2021-04-19 양측면 길이조절이 가능한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059A KR20220144059A (ko) 2022-10-26
KR102601710B1 true KR102601710B1 (ko) 2023-11-10

Family

ID=83785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259A KR102601710B1 (ko) 2021-04-19 2021-04-19 양측면 길이조절이 가능한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71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94601A (ja) 2017-11-17 2019-06-20 井上 清 耳カバー付マスク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7749B2 (ja) * 2004-07-09 2010-01-13 太陽化学株式会社 メラニン生成抑制剤
KR200449438Y1 (ko) * 2008-04-02 2010-07-09 백인선 다중자크 및 이를 구비한 의류
KR102008346B1 (ko) 2019-03-22 2019-08-07 류동원 끈 길이조절 가능한 마스크
KR102069375B1 (ko) 2019-06-20 2020-01-22 (주)피앤티디 귀걸이밴드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KR102159200B1 (ko) 2019-07-18 2020-09-23 주식회사 서울세미텍 길이조절 가능한 귀걸이 끈을 갖는 마스크
KR102487103B1 (ko) * 2019-07-22 2023-01-10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필터여재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필터
KR102149857B1 (ko) 2020-01-02 2020-08-31 (유)건영크린텍 양방향 길이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마스크
KR102141779B1 (ko) * 2020-03-12 2020-08-05 이진화 밴드 길이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94601A (ja) 2017-11-17 2019-06-20 井上 清 耳カバー付マスク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WO2006022070 A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059A (ko) 202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25928C1 (ru) Респиратор в виде фильтрующей лицевой маски с амортизирующим носовым элементом
KR102603376B1 (ko) 편평-절첩식 호흡기
JP2994402B2 (ja) 濾過エレメントおよび呼吸マスク
KR100467924B1 (ko) 탄성중합체복합물로구성된머리띠
JP2016529415A (ja) ダーツ付きマスク本体を有するフィルタ式フェースピースレスピレータ
JP2007021031A (ja) 立体マスク
JP2007021031A5 (ko)
CZ294743B6 (cs) Osobní respirační ochranné zařízení a způsob jeho výroby
UA44832C2 (uk) Спосіб виготовлення маски на обличчя і багатоелементного наголовного ремінця, маска на обличчя та багатоелементний наголовний ремінець
KR20110104962A (ko) 보강 망을 구비한 확장성 안면 마스크
JP2016534245A (ja) フィルタ構造と一体的な補強部材を備える、フィルタ式フェースピースレスピレータ
KR20180075355A (ko) 마스크
KR20160048183A (ko) 코 노치를 갖는 안면부 여과식 호흡기
JP2007021029A5 (ko)
JP2007021029A (ja) マスク
EP3691486B1 (en) Personal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personal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
US20220104562A1 (en) Flat Folding N95 Masks
JP4717538B2 (ja) マスク
JP2007021027A5 (ko)
KR102601710B1 (ko) 양측면 길이조절이 가능한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
JP2007021028A (ja) マスク
JP2007021028A5 (ko)
RU2642399C1 (ru) Маска фильтрующая медицинская 3D
KR102387116B1 (ko) 와이어리스 보건 의료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2601714B1 (ko) 가드부를 구비한 마스크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