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1089B1 -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distance measuring instrument - Google Patents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distance measuring instru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089B1
KR102601089B1 KR1020230087495A KR20230087495A KR102601089B1 KR 102601089 B1 KR102601089 B1 KR 102601089B1 KR 1020230087495 A KR1020230087495 A KR 1020230087495A KR 20230087495 A KR20230087495 A KR 20230087495A KR 102601089 B1 KR102601089 B1 KR 102601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vement
moving
range finder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74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인식
양성철
이종혁
Original Assignee
신진유지건설 주식회사
더본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진유지건설 주식회사, 더본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진유지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87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08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089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8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08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리 측정기를 거치하고, 맨홀 내부에 거리 측정기와 함께 인입되며, 맨홀 내부에서 거리 측정기를 원격 콘트롤하기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에 있어서, 수직 장방향으로 형성되어 맨홀 내부에 기립되어 인입되는 스틱 유닛; 스틱 유닛의 하부에 연결되어 제공되어, 수평을 유지하며 맨홀 내부에 인입되고, 거리 측정기를 고정하는 픽싱 유닛; 및 스틱 유닛으로부터 연장되어 제공되고, 소정의 콘트롤에 따라 거리 측정기의 소정의 영역을 푸시하는 무브먼트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verage system for mounting a distance measuring device, inserting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inside a manhole, and remotely controlling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inside the manhole, including: a stick unit formed in a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and standing upright and entering the inside of the manhole; A fixing unit provided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stick unit, maintained horizontally and inserted into the manhole, and fixing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and a movement unit extending from the stick unit and pushing a predetermined area of the range finde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Description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distance measuring instrument}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distance measuring instrument}

본 발명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거리 측정기를 거치하고, 맨홀 내부에 거리 측정기와 함께 인입되며, 맨홀 내부에서 거리 측정기를 원격 콘트롤하기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에 관한 기술 분야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a distance met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leverage system for mounting a distance meter, inserting the distance meter inside a manhole, and remotely controlling the distance meter inside the manhole. It is a technology field.

하수관로 시설물(맨홀, 하수관로, 하수암거)은 발생한 하수를 처리하기 전에 수집 및 이송하는 매우 핵심적인 사회 기반 시설물로써 문제 발생할 시, 환경적인 문제와 함께 악취문제, 위생문제와 같은 주민 생활의 불편뿐만 아니라 도로침하의 원인으로 작용하여 시민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시설이다. Sewage pipe facilities (manholes, sewer pipes, sewage culverts) are very core social infrastructure facilities that collect and transport generated sewage before processing it. When problems occur, it not only causes environmental problems but also inconveniences to residents' lives such as odor problems and hygiene problems. It is an important facility that directly affects citizen safety by acting as a cause of road subsidence.

하수관로 시설물은 공적인 하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물로써 체계적인 유지관리 방법을 필요로 하며, 하수관로 시설물의 노후화가 진행됨에 따라 수리적, 환경적, 구조적, 운영적 관리가 필요하다.Sewer pipe facilities are facilities that provide public sewage services and require systematic maintenance methods. As sewer pipe facilities deteriorate, hydraulic, environmental, structural, and operational management is required.

맨홀은 지하 매설되어 있음에 따라 시공 후 맨홀 내로 들어가 조사를 해야 하는 불편과 번거로움 및 밀폐 공간에서의 안전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유인 작업은 안정성과 보수 작업에 대한 시간에 따른 비용이 소요됨으로 인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As manholes are buried underground, the inconvenience and hassle of having to enter the manhole to conduct an investigation after construction, as well as safety issues in confined spaces, arise, and manned work requires time-dependent costs for stability and repair work. Problems are emerging.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람이 내부의 밀폐 공간으로 들어가 작업해야 하는 상황을 최소화하기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기술적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great efforts are being made and technological attempts are being made to minimize situations in which people must enter confined spaces to work.

예를 들어 선행 특허문헌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등록번호 제10-2232861호, 특허문헌 1이라 한다.)"가 존재한다.For example, there is a prior patent document titled “Internal Diameter Measuring System through Length Extension Control (Registration No. 10-2232861,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 1의 경우,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은 수직 장방향으로 형성되며, 맨홀 내부에 기립되어 삽입되는 버티컬 유닛; 버티컬 유닛의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제공되며, 수평을 유지하며 맨홀 내부에 삽입되는 호리젠탈 유닛; 및 버티컬 유닛과 호리젠탈 유닛을 상호 연결하여 고정하는 조인트 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1, the internal pipe diameter measuring system through length extension adjustment includes a vertical unit that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s erected and inserted into the manhole; A horizontal unit is provi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vertical unit and is inserted into the manhole while remaining horizontal; and a joint unit for interconnecting and fixing the vertical unit and the horizontal unit.

또한, "굽힘 각도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등록번호 제10-2347965호, 특허문헌2라 한다.)"도 존재한다.In addition, there also exists an “internal diameter measurement system through bending angle adjustment (Registration No. 10-2347965,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2).”

특허문헌 2의 경우, 굽힘 각도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은 수직 장방향으로 형성되며, 맨홀 내부에 기립되어 삽입되는 버티컬 유닛; 및 버티컬 유닛의 하단에 각각 배치되어, 버티컬 유닛과 평행하게 폴딩되며, 버티컬 유닛의 수직 장방향으로부터 각도가 임의 조절되도록 하는 컨버젼 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2, the internal pipe diameter measuring system through bending angle adjustment includes a vertical unit that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s erected and inserted into the manhole; and a conversion unit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vertical unit, folded parallel to the vertical unit, and allowing the angle to be arbitrarily adjusted from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ertical unit.

아울러, "파동의 선택적 리바운드를 통한 맨홀 내부 메저링 시스템(등록번호 제10-2365354호, 이하 특허문헌3이라 한다.)"가 존재한다. In addition, there is a “manhole internal measuring system through selective rebound of waves (Registration No. 10-2365354,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3).”

특허문헌 3의 경우, 파동의 선택적 리바운드를 통한 맨홀 내부 메저링 시스템은 수직 장방향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외주면에 제공되는 스케일을 통해 맨홀의 깊이를 메저링(measuring)하도록 하는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의 상기 내부공간 내에 제공되며,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의 내부로부터 연장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터널 익스텐션 유닛; 및 익스터널 메저링 유닛의 하단에 배치되며, 소정의 파장을 발산하고 상기 소정의 파장이 복귀하는 시간을 기반으로 거리를 측정하도록 하는 웨이브 칼리브레이션 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3, the manhole internal measuring system through selective rebound of waves is formed in a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forms an internal space inside, and measures the depth of the manhole through a scal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unnel measuring unit; An internal extension unit provided within the internal space of the external measuring unit and extending from the inside of the external measuring unit to enable length adjustment; and a wave calibration unit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external measuring unit, emitting a predetermined wavelength and measuring the distance based on the return time of the predetermined wavelength.

종래의 이러한 기술적 문헌들은 맨홀 내부를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사람의 인입을 최소화하기 위한 제공된 것이다. These conventional technical documents are intended to investigate the inside of a manhole and are provided to minimize the entry of people.

다만, 종래의 단순히 맨홀의 내부를 측정하는 것에서 벗어나 측정 장치를 맨홀 내부에서 콘트롤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적 사상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으며, 기술적인 분석과 이에 대한 새로운 기술적 사상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However, no new technical idea has been proposed to control the measuring device inside the manhole, beyond simply measuring the inside of the manhole, and technical analysis and new technical idea should be presented.

등록번호 제10-2232861호Registration number 10-2232861 등록번호 제10-2347965호Registration number 10-2347965 등록번호 제10-2365354호Registration number 10-2365354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The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a laser range f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design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presents the following problems to be solved.

첫째, 맨홀 내부에 직접 인입하지 않고도 맨홀 내부의 직경 또는 맨홀 내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First, it allows measuring the diameter inside the manhole or the distance inside the manhole without directly entering the inside of the manhole.

둘째, 거리 측정기를 원격으로 콘트롤하여 맨홀 내부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Second,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can be remotely controlled to measure the inside of a manhole.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The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a laser range f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은 거리 측정기를 거치하고, 맨홀 내부에 상기 거리 측정기와 함께 인입되며, 상기 맨홀 내부에서 상기 거리 측정기를 원격 콘트롤하기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에 있어서, 수직 장방향으로 형성되어 맨홀 내부에 기립되어 인입되는 스틱 유닛; 상기 스틱 유닛의 하부에 연결되어 제공되어, 수평을 유지하며 상기 맨홀 내부에 인입되고, 거리 측정기를 고정하는 픽싱 유닛; 및 상기 스틱 유닛으로부터 연장되어 제공되고, 소정의 콘트롤에 따라 상기 거리 측정기의 소정의 영역을 푸시하는 무브먼트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a laser distance 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unts a distance meter, is inserted together with the distance meter inside a manhole, and is a leverage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distance meter inside the manhole, A stick unit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standing upright inside the manhole. A fixing unit provided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stick unit, maintained horizontally, inserted into the manhole, and fixing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and a movement unit extending from the stick unit and pushing a predetermined area of the range finde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은 상기 스틱 유닛의 상단에 제공되어 상기 무브먼트 유닛을 선택적으로 콘트롤하는 그립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a laser range f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grip unit provided at the top of the stick unit to selectively control the movement unit.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의 상기 픽싱 유닛은, 상기 스틱 유닛과 이격되어 제공되고, 상기 스틱 유닛과 수평되도록 제공되어 상기 거리 측정기가 거치되는 호리젠탈 바디부; 상기 스틱 유닛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호리젠탈 바디부와 수직되도록 제공되어 상기 스틱 유닛과 상기 호리젠탈 바디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버티컬 바디부; 및 상기 호리젠탈 바디부로부터 연결되어 제공되고, 상기 거리 측정기의 임의 이동을 방지하는 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xing unit of the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a laser range f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rizontal body portion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tick unit and horizontal to the stick unit on which the range finder is mounted; a vertical body portion extending from the stick unit, provid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body portion, and connecting and fixing the stick unit and the horizontal body portion; and a wing part provided by being connected to the horizontal body part and preventing random movement of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은 상기 무브먼트 유닛은, 상기 스틱 유닛의 하부에 형성되어 소정의 움직임을 제공하는 무빙부; 상기 스틱 유닛으로부터 연결되어 제공되며, 상기 무빙부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무빙 서포팅부; 및 상기 스틱 유닛의 하부로부터 상기 무빙부까지 연장되어 제공되어, 상기 거리 측정기까지 인접하도록 수직으로 제공되는 연장 로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a laser range f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ving unit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tick unit to provide a predetermined movement; a moving support part connected to the stick unit and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moving part; and an extension rod part that extends from the lower part of the stick unit to the moving part and is vertically provided adjacent to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의 상기 무브먼트 유닛은, 상기 무빙 서포팅부와 상기 무빙부를 관통하여 상기 무빙 서포팅부에 상기 무빙부를 고정하는 고정 드라이버부; 상기 소정의 타원 반경을 형성하는 홀부; 및 상기 홀부를 관통하여 제공되고 상기 무빙부의 움직임에 따라 연동 슬라이딩되는 연동 드라이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ovement unit of the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a laser range f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driver part that penetrates the moving support part and the moving part and fixes the moving part to the moving support part; a hole portion forming the predetermined elliptical radius; and an interlocking driver part provided through the hole part and interlocked and sliding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part.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의 상기 그립 유닛은, 상기 스틱 유닛의 상단에 제공되어 상기 스틱 유닛의 인입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부; 및 상기 위치 조절부에 연장되어 제공되며, 상기 무브먼트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무브먼트 유닛의 움직임을 콘트롤하는 무빙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grip unit of the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a laser range f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sition adjuster provided at the top of the stick unit to adjust the retraction position of the stick unit; and a moving control unit that extends from the position control unit and is connected to the movement unit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movement unit.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의 상기 픽싱 유닛은, 상기 호리젠탈 바디부의 양측에 돌출되어 제공되고, 제1위치에서 상기 거리 측정기의 임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1드라이버부; 및 상기 호리젠탈 바디부와 상기 윙부를 관통하여 제공되고, 제2위치에서 상기 거리 측정기의 임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2드라이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xing unit of the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a laser range f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protrude on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body part and includes a first driver unit that controls arbitrary movement of the range finder in a first position. ; and a second driver portion provided through the horizontal body portion and the wing portion and controlling arbitrary movement of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at a second position.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의 상기 픽싱 유닛은, 상기 호리젠탈 바디부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호리젠탈 바디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거리 측정기의 일측과 접촉하여 상기 거리 측정기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xing unit of the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the laser range f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body portion,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horizontal body portion and contacts one side of the range find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locking protrusion that prevents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from arbitrarily leaving.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은 상기 무브먼트 유닛은, 상기 무빙부의 일단에 제공되어, 상기 무빙부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거리 측정기의 소정의 위치를 푸시하는 프레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a laser range f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unit includes a pressing part provided at one end of the moving part and pus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range finde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part. Do it as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의 상기 그립 유닛은, 상기 무빙 조절부에 제공되어, 상기 무빙 조절부로부터 연장되는 라인을 형성하여 상기 거리 측정기와 연결하는 어시스트 라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grip unit of the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a laser range f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moving adjuster, and includes an assist line portion that forms a line extending from the moving adjuster and connects to the range finder. It is characterized by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a laser distance 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거리 측정기를 거치하여 맨홀 내에 거리 측정기와 함께 인입됨을 통해 인력이 직접 투입되지 않고도 맨홀 내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First, by mounting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and inserting it into the manhole together with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the distance inside the manhole can be measured without direct input of manpower.

둘째, 레버리지 효과를 통하여 거리 측정기의 원격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인력 투입 없이도 맨홀 내부의 거리 측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Second, the leverage effect enables remote control of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making it possible to measure the distance inside a manhole without the input of manpower.

셋째, 장방향으로 연장되고 기립 인입됨을 통하여 맨홀 내부에서도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며 수평 유지와 함께 거리 측정기의 콘트롤이 가능하도록 한다. Third, b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tanding upright, it maintains levelness even inside the manhole and enables control of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while maintaining levelness.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의 무브먼트 유닛과 픽싱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의 무브먼트 유닛과 픽싱 유닛을 우측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의 무브먼트 유닛과 픽싱 유닛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의 무브먼트 유닛과 픽싱 유닛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의 무브먼트 유닛이 상부로 이동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의 무브먼트 유닛이 하부로 이동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a laser range f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ement unit and a fixing unit of a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a laser distance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vement unit and fixing unit of the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a laser distance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right side.
Figure 4 is a right side view of the movement unit and fixing unit of the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a laser distance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left side view of a movement unit and a fixing unit of a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a laser distance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vement unit of the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a laser range f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d upward.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vement unit of the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a laser range f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d downward.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a laser range f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several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의 무브먼트 유닛과 픽싱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의 무브먼트 유닛과 픽싱 유닛을 우측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의 무브먼트 유닛과 픽싱 유닛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의 무브먼트 유닛과 픽싱 유닛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의 무브먼트 유닛이 상부로 이동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의 무브먼트 유닛이 하부로 이동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a laser range f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ement unit and a fixing unit of a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a laser distance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vement unit and fixing unit of the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a laser distance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right side. Figure 4 is a right side view of the movement unit and fixing unit of the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a laser distance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left side view of a movement unit and a fixing unit of a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a laser distance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vement unit of the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a laser range f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d upward.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vement unit of the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a laser range f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d downward.

본 발명은 거리 측정기를 거치하고, 맨홀 내부에 거리 측정기와 함께 인입되며, 맨홀 내부에서 거리 측정기를 원격 콘트롤하기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leverage system for mounting a distance measuring device, inserting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into a manhole, and remotely controlling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from inside the manhole.

거리 측정기의 경우, 레이저 거리 측정기에 해당할 수 있으며, 그에 상응하는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에 해당한다. In the case of a range finder, it may correspond to a laser range finder and corresponds to a device that can measure the corresponding distance.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은 스틱 유닛(100), 픽싱 유닛(200), 무브먼트 유닛(300), 그립 유닛(40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The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a laser range f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ick unit 100, a fixing unit 200, a movement unit 300, and a grip unit 40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스틱 유닛(100)은 수직 장방향으로 형성되어 맨홀 내부에 기립되어 인입된다. As shown in FIG. 1, first, the stick unit 100 is formed in a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erected and inserted into the manhole.

픽싱 유닛(200)의 경우, 스틱 유닛(100)의 하부에 연결되어 제공되어, 수평을 유지하며 맨홀 내부에 인입되고, 거리 측정기를 고정한다. In the case of the fixing unit 200, it is provided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stick unit 100, is inserted into the manhole while maintaining the level, and fixes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무브먼트 유닛(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틱 유닛(100)으로부터 연장되어 제공되고, 소정의 콘트롤에 따라 거리 측정기의 소정의 영역을 푸시한다. As shown in FIG. 2, the movement unit 300 extends from the stick unit 100 and pushes a predetermined area of the range finde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또한, 그립 유닛(400)은 스틱 유닛(100)의 상단에 제공되어 무브먼트 유닛(300)과 내부적으로 연결되어 무브먼트 유닛(300)을 목적하는 바에 따라 조절한다. Additionally, the grip unit 400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stick unit 100 and is internally connected to the movement unit 300 to adjust the movement unit 300 according to the purpose.

스틱 유닛(100)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에 따라 그립 유닛(400)으로부터 일정하게 경사진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픽싱 유닛(200)의 상부에서부터 일부 구간으로까지 곧은 형태로 형성되어질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stick unit 100, as shown in FIG. 1, it may be provided in a uniformly inclined form from the grip unit 40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hape, and extends from the top of the fixing unit 200 to a certain section. It can be formed in a straight shape.

픽싱 유닛(200)은 거리 측정기를 고정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 측정기가 고정되는 하부의 경우, 플랫(flat)한 상태로 제공되어진다. The fixing unit 200 is provided in a form capable of fixing a distance meter. As shown in FIG. 1, the lower part where the distance meter is fixed is provided in a flat state.

무브먼트 유닛(300)의 경우, 움직임을 제공하는 것으로, 스틱 유닛(100)과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In the case of the movement unit 300, it provides movement and is formed by being connected to the stick unit 100.

무브먼트 유닛(300)의 움직임은 그립 유닛(400)으로부터 제공되는데,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외력에 따라 그립 유닛(400)이 조정되며, 그립 유닛(400)의 움직임을 따라 무브먼트 유닛(300)이 움직임을 형성한다. The movement of the movement unit 300 is provided from the grip unit 400. The grip unit 40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external force provided by the user, and the movement unit 300 mov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grip unit 400. form

그립 유닛(400)으로부터 콘트롤이 제공되고, 그립 유닛(400)의 콘트롤에 따라 무브먼트 유닛(300)의 움직임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Control is provided from the grip unit 400, and the movement of the movement unit 300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grip unit 400 will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의 픽싱 유닛(200)은, 호리젠탈 바디부(210), 버티컬 바디부(220), 윙부(23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The fixing unit 200 of the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the laser range f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horizontal body portion 210, a vertical body portion 220, and a wing portion 230.

먼저, 호리젠탈 바디부(210)는 스틱 유닛(100)과 이격되어 제공되고, 스틱 유닛(100)과 수평되도록 제공되어 거리 측정기가 거치된다. First, the horizontal body portion 210 i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tick unit 100 and is provided to be horizontal to the stick unit 100 so that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is mounted thereon.

버티컬 바디부(220)는 스틱 유닛(100)으로부터 연장되며, 호리젠탈 바디부(210)와 수직되도록 제공되어 스틱 유닛(100)과 호리젠탈 바디부(210)를 연결하여 고정한다. The vertical body portion 220 extends from the stick unit 100 and is provid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body portion 210 to connect and secure the stick unit 100 and the horizontal body portion 210.

윙부(230)는 호리젠탈 바디부(210)로부터 연결되어 제공되고, 거리 측정기(10)의 임의 이동을 방지한다. The wing portion 230 is provided by being connected to the horizontal body portion 210 and prevents random movement of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10.

픽싱 유닛(200)은 스틱 유닛(100)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스틱 유닛(100)의 경우, 수직 장방향으로 맨홀 내 인입된다면, 픽싱 유닛(200)은 수평 방향으로 맨홀 내에 인입하게 된다. The fixing unit 200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tick unit 100. In the case of the stick unit 100, if it enters the manho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xing unit 200 enters the manho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픽싱 유닛(200)는 거리 측정기를 거치하며, 거리 측정기의 임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desirable that the fixing unit 200 mounts the range finder and prevents random movement of the range finder.

픽싱 유닛(200)에서 호리젠탈 바디부(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 측정기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윙부(230)는 호리젠탈 바디부(210)로부터 연결되어 제공된다. In the fixing unit 200, the horizontal body portion 210 forms a space that can accommodate a distance measuring device, as shown in FIG. 2, and the wing portion 230 is connected from the horizontal body portion 210. is provided.

호리젠탈 바디부(210)의 경우, 메인 바디를 형성하게 되며, 호리젠탈 바디부(210)의 내측면에 윙부(230)가 양측으로 연결되어 연장되는 형태로 제공된다. In the case of the horizontal body portion 210, it forms the main body, and wing portions 230 ar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rizontal body portion 210 in a form extended by being connected to both sides.

버티컬 바디부(2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는 스틱 유닛(100)과 연결되어 스틱 유닛(100)을 고정하고, 버티컬 바디부(220)의 하단의 양측은 호리젠탈 바디부(210)의 양측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As shown in FIG. 2,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body portion 220 is connected to the stick unit 100 to secure the stick unit 100, and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body portion 220 are horizontal body portions. It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s of both sides of (210).

버티컬 바디부(220)의 경우, 스틱 유닛(100)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제공되며, 버티컬 바디부(220)와 대응하는 방향으로 호리젠탈 바디부(210)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case of the vertical body portion 220, it is preferable that the horizontal body portion 210 is provid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tick unit 100, and the horizontal body portion 210 is fix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body portion 22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티컬 바디부(220)와 호리젠탈 바디부(210)는 복수 개의 드라이버를 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vertical body portion 220 and the horizontal body portion 210 may be fixed through a plurality of drivers.

버티컬 바디부(220)와 호리젠탈 바디부(210)가 호리젠탈 바디부(210)의 외측면과 접촉하여 고정되며, 윙부(230)의 경우, 호리젠탈 바디부(210)의 내측면을 접촉하며 고정되어진다. The vertical body portion 220 and the horizontal body portion 210 are fixe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horizontal body portion 210, and in the case of the wing portion 230, the inner surface of the horizontal body portion 210 It is fixed by touching the sides.

윙부(230)의 경우, 호리젠탈 바디부(210)의 내측면을 접촉하여 호리젠탈 바디부(210)로부터 내측의 너비를 좁게 형성하게 되는데, 너비가 좁게 형성된 호리젠탈 바디부(210)로부터 윙부(230)는 거리 측정기의 측면을 가압하며 임의 이동을 방지하게 된다. In the case of the wing portion 230, the inner width of the horizontal body portion 210 is formed to be narrow by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horizontal body portion 210. The horizontal body portion 210 is formed to have a narrow width. ), the wing portion 230 presses the side of the range finder and prevents random movement.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의 무브먼트 유닛(300)은 무빙부(310), 무빙 서포팅부(320), 연장 로드부(33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The movement unit 300 of the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the laser range f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ving part 310, a moving supporting part 320, and an extension rod part 330.

무빙부(310)의 경우, 스틱 유닛(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소정의 움직임을 제공한다. In the case of the moving part 310, it is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stick unit 100 and provides a predetermined movement.

무빙부(310)의 경우, 무브먼트 유닛(300)에 메인 움직임을 형성한다. In the case of the moving unit 310, the main movement is formed in the movement unit 300.

무빙 서포팅부(320)는 스틱 유닛(100)으로부터 연장되어 연결되어 제공되며, 무빙부(310)의 움직임을 조절한다. The moving support unit 320 extends from the stick unit 100 and is provided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moving unit 310.

연장 로드부(330)는 스틱 유닛(100)의 하부로부터 무빙부(310)까지 연장되어 제공되어, 거리 측정기까지 인접하도록 수직으로 제공된다. The extension rod part 330 extends from the lower part of the stick unit 100 to the moving part 310 and is provided vertically so as to be adjacent to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무빙부(310)는 기역자 형태로 제공되어 상하 움직임을 제공한다. As shown in Figures 6 and 7, for example, the moving part 31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ruler and provides up and down movement.

연장 로드부(330)는 스틱 유닛(100)으로부터 연장되어 제공되는데, 스틱 유닛(100)은 그립 유닛(400)으로부터 버티컬 바디부(220)까지 형성되며, 버티컬 바디부(220)의 상부 중 내측면으로부터 무빙 서포팅부(320)까지 연장 로드부(330)가 형성되는 것이다. The extension rod 330 is provided to extend from the stick unit 100. The stick unit 100 is formed from the grip unit 400 to the vertical body 220 and is located inside the upper part of the vertical body 220. An extension rod part 330 is formed from the side to the moving supporting part 320.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빙 서포팅부(320)는 연장 로드부(330)의 하단에 연장되어 제공되어진다. As shown in Figures 6 and 7, the moving support part 320 is provided to extend from the lower end of the extension rod part 330.

또한, 무빙 서포팅부(320)는 스틱 유닛(100)으로 연결되어 제공된다 할 수 있는데, 스틱 유닛(100)으로부터 연장 로드부(330)가 연장되어 연결된 형태로 제공되어 짐에 따라 무빙 서포팅부(320)가 스틱 유닛(100)으로부터 연결되어 제공된다 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moving support part 320 can be said to be provided by being connected to the stick unit 100. As the extension rod part 330 is provided in a form extended and connected from the stick unit 100, the moving support part ( 320) can be said to be connected and provided from the stick unit 100.

무빙 서포팅부(320)의 경우, 무빙부(310)의 움직임을 제공하게 된다. In the case of the moving supporting part 320, it provides the movement of the moving part 310.

무빙 서포팅부(320)의 경우, 무빙 홀(321)과 무빙 라인(미도시)을 제공하게 되는데, 무빙 홀(321)을 통하여 무빙부(310)의 타부가 상하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무빙 라인을 통하여 무빙부(310)가 그립 유닛(400)으로부터 제공되는 움직임을 제공받아 움직이게 된다. In the case of the moving supporting part 320, a moving hole 321 and a moving line (not shown) are provided,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other part of the moving part 310 can move up and down through the moving hole 321, The moving part 310 moves by receiving the movement provided from the grip unit 400 through the moving line.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의 무브먼트 유닛(300)은 고정 드라이버부(340), 홀부(350), 연동 드라이버부(36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The movement unit 300 of the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a laser range f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driver unit 340, a hole unit 350, and an interlocking driver unit 360.

고정 드라이버부(340)의 경우, 무빙 서포팅부(320)와 무빙부(310)를 관통하여 무빙 서포팅부(320)에 무빙부(310)를 고정한다. In the case of the fixed driver part 340, it penetrates the moving supporting part 320 and the moving part 310 and fixes the moving part 310 to the moving supporting part 320.

홀부(350)의 경우, 소정의 타원 반경을 형성한다. In the case of the hole portion 350, a predetermined elliptical radius is formed.

연동 드라이버부(360)의 경우, 홀부(350)를 관통하여 제공되고 무빙부(310)의 움직임에 따라 연동 슬라이딩된다. In the case of the interlocking driver part 360, it is provided through the hole part 350 and slides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moving part 310.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빙부(310)는 무빙 서포팅부(320)와 연결되어 제공되는데, 무빙부(310)와 무빙 서포팅부(320)를 고정하는 고정 드라이버부(340)를 통하여 고정된다. As shown in Figures 6 and 7, the moving part 310 is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e moving supporting part 320, and a fixed driver part 340 that fixes the moving part 310 and the moving supporting part 320. It is fixed through.

또한, 무빙 서포팅부(320)의 움직임에 따라 무빙부(310)가 연동되어 움직이도록 하는 홀부(350)와 연동 드라이버부(360)가 제공된다. In addition, a hole part 350 and an interlocking driver part 360 are provided that allow the moving part 310 to move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moving supporting part 320.

홀부(350)의 경우,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으로 형성된다.In the case of the hole portion 350, it is formed in a semicircle as shown in FIGS. 6 and 7.

무빙부(310)는 무빙 서포팅부(320)의 양측면을 가압하는 형태로 제공된다. The moving part 310 is provided to press both sides of the moving supporting part 320.

또한, 무빙부(310)의 경우, 양측면에 홀부(350)를 형성하게 된다. Additionally, in the case of the moving part 310, holes 350 are formed on both sides.

홀부(350)의 경우, 무빙부(310)의 움직임에 따라 연동 드라이버부(360)가 이동하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In the case of the hole part 350, a space is provided for the interlocking driver part 360 to mov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part 310.

연동 드라이버부(360)의 경우, 무빙 서포팅부(320)에서 제공하는 상하 움직임에 따라 연동되어 홀부(350) 내에서 움직임을 형성한다. In the case of the interlocking driver unit 360, it is interlocked according to the up and down movement provided by the moving supporting unit 320 to form movement within the hole unit 350.

즉,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 유닛(400)으로부터 연장 로드부(330) 및 무빙 서포팅부(320)까지 내부로 연장되어 움직임을 제공하는 무빙 라인(미도시)에 연동 드라이버부(360)가 고정되고, 무빙 라인(미도시)의 상하 움직임을 따라 연동 드라이버부(360)가 좌우 이동하게 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S. 6 and 7, a driver linked to a moving line (not shown) that extends inward from the grip unit 400 to the extension rod 330 and the moving support part 320 to provide movement. The unit 360 is fixed, and the interlocking driver unit 360 moves left and right following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moving line (not shown).

무빙 서포팅부(320)는 소정의 형태로 제공되는데,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사각형과 같은 형태를 가지나 한쪽이 기울어진 형태의 사각형의 형태로 제공된다. The moving support unit 320 is provided in a predetermined shape,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6 and 7, it has a rectangular shape, but is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with one side inclined.

무빙 서포팅부(320)의 경우, 무빙 라인이 제공되는 연장 로드부(330)로부터 연장되어 연동 드라이버부(360)가 연결되어 제공되고, 무빙 라인이 제공되지 않는 구간의 무빙 서포팅부(320)는 무빙부(310)와 고정 드라이버부(340)가 고정되는 것이다. In the case of the moving support unit 320, it extends from the extension rod unit 330 provided with a moving line and is connected to the interlocking driver unit 360, and the moving support unit 320 in the section where the moving line is not provided is provided. The moving part 310 and the fixed driver part 340 are fixed.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의 그립 유닛(400)은 위치 조절부(410) 및 무빙 조절부(42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The grip unit 400 of the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a laser distance 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sition control unit 410 and a moving control unit 420.

위치 조절부(410)의 경우, 스틱 유닛(100)의 상단에 제공되어 스틱 유닛(100)의 인입 위치를 조절한다. In the case of the position adjusting unit 410, it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stick unit 100 to adjust the retracting position of the stick unit 100.

무빙 조절부(420)의 경우, 위치 조절부(410)에 연장되어 제공되며, 무브먼트 유닛(300)과 연결되어 무브먼트 유닛(300)의 움직임을 콘트롤한다. In the case of the moving control unit 420, it is provided as an extension to the position control unit 410 and is connected to the movement unit 300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movement unit 300.

그립 유닛(400)의 경우, 인입 위치 조절이 가능한데, 맨홀 내에 레버리지 시스템이 인입되는 경우, 그립 유닛(400)은 맨홀 내부에 인입되지 않으며, 사용자에 의하여 그립 유닛(400)을 잡은 상태로 맨홀 내에 무브먼트 유닛(300), 픽싱 유닛(200) 및 스틱 유닛(100)의 일부가 인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In the case of the grip unit 400, the insertion position can be adjusted. However, when the leverage system is inserted into the manhole, the grip unit 400 is not inserted into the manhole, and the user holds the grip unit 400 inside the manhole. Parts of the movement unit 300, fixing unit 200, and stick unit 100 are inserted.

그립 유닛(400)을 통하여 레버리지 시스템의 인입 위치와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The retraction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leverage system can be adjusted through the grip unit 400.

위치 조절부(410)는 사용자를 통하여 픽싱 유닛(200), 무브먼트 유닛(300)의 인입 정도 및 위치, 방향을 통하여 레버리지 시스템의 인입 정도, 위치, 방향을 조절하게 된다. The position control unit 410 adjusts the retraction degre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leverage system through the retraction degre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fixing unit 200 and the movement unit 300 through the user.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 유닛(400) 내에서 위치 조절부(410)로부터 무빙 조절부(420)가 연결되어 제공되며, 무빙 조절부(420)의 조절을 통해 무빙부(310)의 움직임을 제공하게 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a moving control unit 420 is provided connected to the position control unit 410 within the grip unit 400, and the moving unit 310 is adjusted through adjustment of the moving control unit 420. ) provides movement.

예컨대, 무빙 조절부(420)가 위치 조절부(410)쪽으로 잡아당겨지면, 무빙 조절부(420)로부터 무빙 서포팅부(320)까지 연장되어 연결된 무빙 라인은 당겨지게 되며, 무빙부(310)가 무빙 라인을 따라 이동하며, 도 7과 같이, 연동 드라이버부(360)는 위로 당겨지며 무빙부(310)는 아래로 내려간 형태로 제공된다. For example, when the moving control unit 420 is pulled toward the position control unit 410, the moving line extending and connected from the moving control unit 420 to the moving supporting unit 320 is pulled, and the moving unit 310 It moves along the moving line, and as shown in FIG. 7, the interlocking driver part 360 is pulled upward and the moving part 310 is provided in a downward form.

아울러, 무빙 조절부(420)가 위치 조절부(410)와 멀어지면, 무빙 조절부(420)로부터 무빙 서포팅부(320)까지 연장되어 연결된 무빙 라인은 느슨해지며, 무빙부(310)가 무빙 라인(321)을 따라 이동하며, 도 6과 같이, 연동 드라이버부(360)는 아래로 내려가며 무빙부(310)는 위로 올라간 형태가 된다. In addition, when the moving control unit 420 moves away from the position control unit 410, the moving line extending from the moving control unit 420 to the moving supporting unit 320 becomes loose, and the moving unit 310 moves along the moving line. It moves along 321, and as shown in FIG. 6, the interlocking driver part 360 moves down and the moving part 310 moves up.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의 픽싱 유닛(200)은 제1드라이버부(211, 211'), 제2드라이버부(212, 212')를 포함한다. The fixing unit 200 of the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a laser distance 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driver units 211 and 211' and second driver units 212 and 212'.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의 제1드라이버부(211, 211')는 호리젠탈 바디부(210)의 양측의 내측에 돌출되어 제공되고, 제1위치에서 거리 측정기의 임의 이동을 제어한다. The first driver parts (211, 211') of the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the laser range f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protrude on the inside of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body part 210, and are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of the range finder. Controls arbitrary movement of

제2드라이버부(212)는 호리젠탈 바디부(210)와 윙부(230)를 관통하여 호리젠탈 바디부(210)의 내측에 제공되고, 제2위치에서 거리 측정기의 임의 이동을 제어한다. The second driver part 212 penetrates the horizontal body part 210 and the wing part 230 and is provided inside the horizontal body part 210, and controls arbitrary movement of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at the second position.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드라이버부(211, 211')는 호리젠탈 바디부(210)의 양측으로부터 관통하여 제공되고, 내측면까지 관통되어 거리 측정기의 양측면을 가압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4, the first driver parts 211 and 211' are provided to penetrate from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body part 210, and penetrate to the inner side to press both sides of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또한, 제1 드라이버부(211, 211')로부터 이격되어 제공되는 제2드라이버부(212, 212')는 호리젠탈 바디부(210)와 윙부(230)를 고정할 뿐 아니라, 호리젠탈 바디부(210)와 윙부(230)를 관통하여 제공되어 호리젠탈 바디부(210)의 내측면에서 양측면에서 거리 측정기의 양측면을 가압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second driver parts 212, 212' provided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river parts 211, 211' not only fix the horizontal body part 210 and the wing part 230, but also provide a horizontal It is provided through the body portion 210 and the wing portion 230 to press both sides of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from both sides on the inner side of the horizontal body portion 210.

제1드라이버부(211, 211')와 제2드라이버부(212, 212')는 평행한 위치에 제공되고 이격되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driver units 211 and 211' and the second driver units 212 and 212' are provided in parallel positions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의 픽싱 유닛(200)은 걸림턱부(24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The fixing unit 200 of the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the laser distance 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locking protrusion 240.

걸림턱부(240)는 호리젠탈 바디부(210)의 일측에 제공되어, 호리젠탈 바디부(210)의 일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거리 측정기의 일측과 접촉하여 거리 측정기의 임의 이탈을 방지한다. The locking protrusion portion 24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body portion 210, protrudes inward from one side of the horizontal body portion 210, and contacts one side of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to prevent the range measuring device from being randomly separated. do.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리젠탈 바디부(210)의 일측은 돌출 형성되는 형태로 제공되고, 걸림턱부(240)을 제공하여 거리 측정기가 호리젠탈 바디부(210) 내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 and 4, one side of the horizontal body portion 210 is provided in a protruding form, and a locking protrusion portion 240 is provided so that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can be positioned inside the horizontal body portion 210. It can be ensured that it does not escape from.

걸림턱부(240)의 경우, 거리 측정기의 측정 레이저와 반사되는 레이저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되, 걸림턱을 형성하여 거리 측정기가 호리젠탈 바디부(2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함이다. In the case of the locking protrusion 240, the measuring laser and the reflected laser of the range finder are not interfered with, but the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to prevent the range find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orizontal body portion 210.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의 무브먼트 유닛은(300)은 프레싱부(37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The movement unit 300 of the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a laser distance 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ssing unit 370.

도 5 및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싱부(370)의 경우, 무빙부(310)의 일단에 제공되어, 무빙부(310)의 움직임에 따라 거리 측정기의 소정의 위치를 푸시한다. As shown in FIGS. 5 and 6 to 7, the pressing unit 37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moving unit 310 to push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unit 310. do.

무브먼트 유닛(300)의 움직임의 경우, 거리 측정기의 소정의 위치를 푸시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the case of movement of the movement unit 300, the purpose is to push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거리 측정기의 소정의 위치라 함은, 거리 측정기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하여 푸시되어야 하는 버튼 또는 측정 시작을 위한 버튼이 제공되는 위치라 할 수 있다.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istance meter may be a position where a button to be pushed to measure the distance of the distance meter or a button to start measurement is provided.

본 발명은 맨홀 내의 거리 측정이 인력이 직접적으로 맨홀 투입되지 않고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무빙부(310)의 움직임을 통하여 거리 측정기의 시작 버튼 또는 측정 버튼을 원격 푸시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remotely push the start button or measurement button of the distance meter through the movement of the moving part 310 to enable distance measurement within a manhole without direct input of manpower into the manhole.

프레싱부(370)의 경우, 무빙부(310)의 움직임을 통하여 거리 측정기에 직접적으로 압력을 가하여 거리 측정기의 특정 부분 또는 특정 버튼을 누르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In the case of the pressing unit 370, it serves to press a specific part or a specific button of the distance meter by directly applying pressure to the distance meter through the movement of the moving part 310.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 드라이버부(360)와 프레싱부(370)는 상이한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데, 연동 드라이버부(360)가 무빙 홀(321)의 가장 하부로 내려온 상태에서는 프레싱부(370)는 위로 움직인 상태로 제공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interlocking driver unit 360 and the pressing unit 370 move in different directions. When the interlocking driver unit 360 is lowered to the lowest part of the moving hole 321, the pressing unit (370) is provided in an upwardly moved state.

아울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 드라이버부(360)가 무빙 라인(321)을 통하여 무빙 홀(321)의 가장 상부로 이동한 경우, 프레싱부(370)는 연동 드라이버부(360)와는 상이한 움직임 방향으로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when the interlocking driver unit 360 moves to the uppermost part of the moving hole 321 through the moving line 321, the pressing unit 370 is different from the interlocking driver unit 360. It moves downward in a different direction of movement.

프레싱부(370)가 하부로 이동한 경우, 거리 측정기의 소정의 위치를 푸시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pressing unit 370 moves downward, it is desirable to push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또한, 연동 드라이버부(360)의 무빙 홀(321) 내에서의 이동은 무빙 라인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무빙 라인의 움직임은 그립 유닛(400)의 무빙 조절부(420)를 통하여 제공된다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vement of the interlocking driver unit 360 within the moving hole 321 is achieved through a moving line, and the movement of the moving line is provided through the moving control unit 420 of the grip unit 400. .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의 그립 유닛(400)은 어시스트 라인부(43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The grip unit 400 of the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the laser distance 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ssist line portion 430.

어시스트 라인부(430)의 경우, 무빙 조절부(420)에 제공되어, 무빙 조절부(420)로부터 연장되는 라인을 형성하여 거리 측정기와 연결된다. In the case of the assist line unit 430, it is provided to the moving control unit 420, forms a line extending from the moving control unit 420, and is connected to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연장되는 라인인 어시스트 라인부(430)의 경우, 거리 측정기와 연결되고, 거리 측정기를 고정하게 된다. In the case of the assist line unit 430, which is an extended line, it is connected to the distance meter and fixes the distance meter.

어시스트 라인부(430)의 경우, 거리 측정기가 맨홀 내부로 이탈되거나 인입되지 않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픽싱 유닛(200)에 거치된 거리 측정기(10)의 이탈과 맨홀 내부 인입을 방지하게 된다. In the case of the assist line unit 430, it is provided to prevent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from leaving or entering the manhole, and prevents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10 mounted on the fixing unit 200 from leaving and entering the manhole.

어시스트 라인부(430)는 연결선(431)과 연결고리(432)를 제공하며, 연결선(431)은 무빙 조절부(420)로부터 연장되어 제공되고, 연결고리(432)는 거리 측정기를 고정하여 거리 측정기(10)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ssist line unit 430 provides a connection line 431 and a connection ring 432, the connection line 431 extends from the moving control unit 420, and the connection ring 432 fixes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to measure the distance. It is desirable to prevent random departure of the measuring device 10.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matters stated in the patent claims, and the parentheses used in the patent claims are not used for selective limitation, but are used for clear elements, and the descriptions within the parentheses are also interpreted as essential elements. It has to be.

10: 거리 측정기
100: 스틱 유닛
200: 픽싱 유닛
210: 호리젠탈 바디부
211: 제1드라이버부
212: 제2드라이버부
220: 버티컬 바디부
230: 윙부
240: 걸림턱부
300: 무브먼트 유닛
310: 무빙부
320: 무빙 서포팅부
321: 무빙 홀
330: 연장 로드부
340: 고정 드라이버부
350: 홀부
370: 프레싱부
360: 연동 드라이버부
400: 그립 유닛
410: 위치 조절부
420: 무빙 조절부
430: 어시스트 라인부
431: 연결선
432: 연결고리
10: Distance finder
100: stick unit
200: Fixing unit
210: Horizontal body part
211: First driver unit
212: Second driver unit
220: Vertical body part
230: wing part
240: Locking jaw
300: Movement unit
310: moving part
320: Moving support unit
321: Moving Hall
330: Extension rod part
340: Fixed driver part
350: Odds and ends
370: pressing unit
360: Interlocking driver part
400: Grip unit
410: Position control unit
420: Moving control unit
430: Assist line unit
431: connection line
432: Link

Claims (10)

거리 측정기를 거치하고, 맨홀 내부에 상기 거리 측정기와 함께 인입되며, 상기 맨홀 내부에서 상기 거리 측정기를 원격 콘트롤하기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에 있어서,
수직 장방향으로 형성되어 맨홀 내부에 기립되어 인입되는 스틱 유닛;
상기 스틱 유닛의 하부에 연결되어 제공되어, 수평을 유지하며 상기 맨홀 내부에 인입되고, 거리 측정기를 고정하는 픽싱 유닛;
상기 스틱 유닛으로부터 연장되어 제공되고, 소정의 콘트롤에 따라 상기 거리 측정기의 소정의 영역을 푸시하는 무브먼트 유닛; 및
상기 스틱 유닛의 상단에 제공되어 상기 무브먼트 유닛을 선택적으로 콘트롤하는 그립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픽싱 유닛은,
상기 스틱 유닛과 이격되어 제공되고, 상기 스틱 유닛과 수평되도록 제공되어 상기 거리 측정기가 거치되는 호리젠탈 바디부;
상기 스틱 유닛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호리젠탈 바디부와 수직되도록 제공되어 상기 스틱 유닛과 상기 호리젠탈 바디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버티컬 바디부; 및
상기 호리젠탈 바디부로부터 연결되어 제공되고, 상기 거리 측정기의 임의 이동을 방지하는 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
In the leverage system for mounting a distance measuring device, entering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inside a manhole, and remotely controlling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from inside the manhole,
A stick unit formed in a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and standing upright inside the manhole.
A fixing unit provided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stick unit, maintained horizontally, inserted into the manhole, and fixing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a movement unit extending from the stick unit and pushing a predetermined area of the range finde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and
Includes a grip unit provided at the top of the stick unit to selectively control the movement unit,
The fixing unit is,
A horizontal body portion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tick unit and horizontal to the stick unit on which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is mounted;
a vertical body part extending from the stick unit, provid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body part, and connecting and fixing the stick unit and the horizontal body part; and
A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a laser range find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connected to the horizontal body part and includes a wing part that prevents random movement of the range find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브먼트 유닛은,
상기 스틱 유닛의 하부에 형성되어 소정의 움직임을 제공하는 무빙부;
상기 스틱 유닛으로부터 연결되어 제공되며, 상기 무빙부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무빙 서포팅부; 및
상기 스틱 유닛의 하부로부터 상기 무빙부까지 연장되어 제공되어, 상기 거리 측정기까지 인접하도록 수직으로 제공되는 연장 로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vement unit is:
a moving part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stick unit to provide a predetermined movement;
a moving support part connected to the stick unit and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moving part; and
A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a laser range finde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extension rod part that extends from the lower part of the stick unit to the moving part and is provided vertically so as to be adjacent to the range find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브먼트 유닛은,
상기 무빙 서포팅부와 상기 무빙부를 관통하여 상기 무빙 서포팅부에 상기 무빙부를 고정하는 고정 드라이버부;
상기 소정의 타원 반경을 형성하는 홀부; 및
상기 홀부를 관통하여 제공되고 상기 무빙부의 움직임에 따라 연동 슬라이딩되는 연동 드라이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ovement unit is:
a fixed driver part that penetrates the moving supporting part and the moving part and fixes the moving part to the moving supporting part;
a hole portion forming the predetermined elliptical radius; and
A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a laser range finde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interlocking driver part provided through the hole part and linked and sliding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par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유닛은,
상기 스틱 유닛의 상단에 제공되어 상기 스틱 유닛의 인입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부; 및
상기 위치 조절부에 연장되어 제공되며, 상기 무브먼트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무브먼트 유닛의 움직임을 콘트롤하는 무빙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grip unit,
a position control unit provided at the top of the stick unit to adjust the retraction position of the stick unit; and
A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a laser range find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as an extension of the position control unit and includes a moving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movement unit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movement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픽싱 유닛은,
상기 호리젠탈 바디부의 양측에 돌출되어 제공되고, 제1위치에서 상기 거리 측정기의 임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1드라이버부; 및
상기 호리젠탈 바디부와 상기 윙부를 관통하여 제공되고, 제2위치에서 상기 거리 측정기의 임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2드라이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ixing unit,
a first driver unit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body unit and controlling arbitrary movement of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in a first position; and
A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a laser range finder, comprising a second driver part provided through the horizontal body part and the wing part and controlling arbitrary movement of the range finder in a second posi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픽싱 유닛은,
상기 호리젠탈 바디부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호리젠탈 바디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거리 측정기의 일측과 접촉하여 상기 거리 측정기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xing unit,
A lase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locking protrus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body port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horizontal body portion, and contacting one side of the range finder to prevent random departure of the range finder.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rangefinder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브먼트 유닛은,
상기 무빙부의 일단에 제공되어, 상기 무빙부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거리 측정기의 소정의 위치를 푸시하는 프레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movement unit is:
A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a laser range finde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ressing part provided at one end of the moving part and pus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range finde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par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유닛은,
상기 무빙 조절부에 제공되어, 상기 무빙 조절부로부터 연장되는 라인을 형성하여 상기 거리 측정기와 연결하는 어시스트 라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grip unit,
A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a laser range finde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assist line part provided to the moving control unit and connected to the range finder by forming a line extending from the moving control unit.

KR1020230087495A 2023-07-06 2023-07-06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distance measuring instrument KR1026010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7495A KR102601089B1 (en) 2023-07-06 2023-07-06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distance measuring instru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7495A KR102601089B1 (en) 2023-07-06 2023-07-06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distance measuring instru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1089B1 true KR102601089B1 (en) 2023-11-10

Family

ID=88742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7495A KR102601089B1 (en) 2023-07-06 2023-07-06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distance measuring instru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08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941B1 (en) * 2018-12-20 2020-05-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pparatus for manhole monitoring
KR102232861B1 (en) 2020-08-05 2021-03-26 더본테크(주) System for measuring pipe diameter by adjusting length of extend
KR102347965B1 (en) 2020-08-28 2022-01-07 더본테크 주식회사 System for measuring pipe diameter by adjusting angle
KR102365354B1 (en) 2020-09-18 2022-02-21 더본테크 주식회사 Measuring system of conforming of manhole by using rebound of selective wav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941B1 (en) * 2018-12-20 2020-05-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pparatus for manhole monitoring
KR102232861B1 (en) 2020-08-05 2021-03-26 더본테크(주) System for measuring pipe diameter by adjusting length of extend
KR102347965B1 (en) 2020-08-28 2022-01-07 더본테크 주식회사 System for measuring pipe diameter by adjusting angle
KR102365354B1 (en) 2020-09-18 2022-02-21 더본테크 주식회사 Measuring system of conforming of manhole by using rebound of selective wa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1657B2 (en) Inclinometer system
CA2860937A1 (en) Bracket assembly and forming system for structural components
KR102601089B1 (en) Leverag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distance measuring instrument
KR101768901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sinking of underground or surface
KR101010333B1 (en) Level surveying using a assembly level point device
KR100793696B1 (en) Measuring instruments for settlement of sanitary landfill
JP5389197B2 (en) Ground displacement simple measurement device
GB21872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jacking basement walls outwards
CN102776890A (en) Underwater pushing correcting method of steel cofferdam and pushing device of steel cofferdam
KR20030079504A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ground subsidence
KR100501041B1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ground settlement using a reflection sheet
KR200389266Y1 (en) Slide rail type shoring apparatus
KR20120131325A (en) Double pipe measuring instrument for the sinking of underground or surface and the measuring method therefor
JP3178545U (en) A mortar level adjuster.
KR102206864B1 (en) Laying Structure for Underground Facilities
KR102232861B1 (en) System for measuring pipe diameter by adjusting length of extend
JP2006249735A (en) Construction method of crossing underground structure and crossing underground structure
JP2019100006A (en) Pile core positioning equipment as well as installation method of casing for cast-in-place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of cast-in-place pile
CN214939172U (en) Auxiliary temporary bridge for urban road construction
KR102232580B1 (en) System for measuring pipe diameter by using selective tension function
KR102442031B1 (en) Underground facility survey system for identifying position change of underground facility
JP3222186U (en) Road construction aids
CN216361590U (en) Commercial land measurement planning device for urban expansion
KR10172941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ement of ground settlement
CN218667679U (en) Transmission line concrete foundation parameter measur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