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0737B1 - 모바일기기용 핸드홀더 - Google Patents

모바일기기용 핸드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0737B1
KR102600737B1 KR1020220049892A KR20220049892A KR102600737B1 KR 102600737 B1 KR102600737 B1 KR 102600737B1 KR 1020220049892 A KR1020220049892 A KR 1020220049892A KR 20220049892 A KR20220049892 A KR 20220049892A KR 102600737 B1 KR102600737 B1 KR 102600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protruding
surface portion
mobile device
hand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9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50479A (ko
Inventor
정진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윌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윌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윌비
Priority to KR1020220049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737B1/ko
Publication of KR20230150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0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에 적용하는 모바일기기용 핸드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밴드와 이에 대칭으로 끼워져 결합하는 2개의 걸림편을 포함하되, 상기 밴드는 서로 분리된 일단부와 타단부가 서로 겹친 상태에서 클램프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고리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밴드의 일단부가 적층되는 상면에 다수의 스파이크가 돌출 형성되어 분포된 바닥면부와, 상기 바닥면부의 일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밴드의 일단부의 끝단과 맞닿는 제1 멈춤턱부와, 상기 밴드의 폭만큼의 간격을 두고 상기 바닥면부의 좌우 양측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내벽면부를 갖는 제1 클램프편과; 상기 밴드의 타단부가 적층되는 저면에 다수의 스파이크가 돌출 형성되어 분포되며 상기 바닥면부 상에 포개어지는 덮개면부와, 상기 덮개면부의 일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밴드의 타단부 끝단과 맞닿는 제2 멈춤턱부와, 상기 덮개면부의 좌우 양측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내벽면부와 체결되는 외벽면부를 갖는 제2 클램프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밴드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핸드홀더로서 상기 밴드는 어떠한 형상, 기타 요구되는 조건 없이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오던 신축성 원단 소재의 밴드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Description

모바일기기용 핸드홀더{HAND HOLDER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에 적용하는 액세서리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에서 기기를 놓치지 않도록 해주는 모바일기기용 핸드홀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모바일기기용 핸드홀더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11)로 연결된 2개의 걸림편(12, 13)을 각각 모바일기기(1)의 상하단에 걸어 상기 밴드(11)를 신장시킨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사용 시 손(2)을 모바일기기(1)와 밴드(11) 사이에 끼워넣어 손바닥으로 모바일기기(1)를 받치면서도 떨어지지 않게 붙잡을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모바일기기용 핸드홀더는 밴드(11)가 고리 형태로 봉재되어 길이가 고정적인 관계로 사용하는 모바일기기(1)의 높이에 따라 정해진 규격의 핸드홀더(10)만을 사용할 수 밖에 없다는 제약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특허 제10-2289090호(2021.08.12.)에 개시된 바와 같은 핸드홀더(100)를 제안한 바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110)의 서로 분리된 일단부와 타단부를 겹쳐 클램프(140)를 이용하여 탈착 가능하게 체결시키는 구성을 제안함으로써 밴드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다만, 이를 위해 밴드(110)의 일단부에는 제1 걸림바와 엠보홈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타단부에는 제2 걸림바와 엠보가 형성되어야 하는 제약이 있으므로 그 재질이 실리콘이나 플라스틱 등으로 한정될 수 밖에 없었다.
더욱이, 그러한 밴드(110)는 일정한 규격, 특히 일정한 길이로 제작될 수 밖에 없으므로 하나의 핸드홀더(100)는 하나의 제품군(ex. 휴대폰)에 한정하여 사용될 수 밖에 없었다. 즉, 휴대폰용 핸드홀더(100)는 태블릿PC에는 적용할 수 없으므로 각 제품군마다 별도로 구매하여야 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나아가, 밴드(110)에 얼룩이 묻거나 더러워지는 경우에는 이를 세척하여 다시 사용하는 것이 불편하고, 밴드(110)의 색이 바래는 경우에는 원상태로 복원시키기 불가능하므로 전체의 핸드홀더(100)를 폐기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유의 밴드 구성을 채택함이 없이 신축성 원단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밴드를 그대로 채용할 수 있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핸드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밴드와 상기 밴드에 대칭으로 끼워져 결합하는 2개의 걸림편을 포함하는 모바일기기용 핸드홀더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서로 분리된 일단부와 타단부가 서로 겹친 상태에서 클램프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고리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밴드의 일단부가 적층되는 상면에 다수의 스파이크가 돌출 형성되어 분포된 바닥면부와, 상기 바닥면부의 일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밴드의 일단부의 끝단과 맞닿는 제1 멈춤턱부와, 상기 밴드의 폭만큼의 간격을 두고 상기 바닥면부의 좌우 양측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내벽면부를 갖는 제1 클램프편과; 상기 밴드의 타단부가 적층되는 저면에 다수의 스파이크가 돌출 형성되어 분포되며 상기 바닥면부 상에 포개어지는 덮개면부와, 상기 덮개면부의 일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밴드의 타단부 끝단과 맞닿는 제2 멈춤턱부와, 상기 덮개면부의 좌우 양측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내벽면부와 체결되는 외벽면부를 갖는 제2 클램프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핸드홀더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밴드는 신축성 원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핸드홀더가 적용되는 모바일기기의 사이즈에 맞추어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길이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벽면부는 돌출단 외측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외벽면부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 결합되는 걸림홈이 기단부에 형성되며, 이때 상기 제2 클램프편은 좌우 양측단의 외벽면부 중 어느 하나의 돌출단 외측면에 체결해제용 손잡이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클램프편과 상기 제2 클램프편의 결합 시 상기 제1 멈춤턱부의 돌출단과 상기 덮개면부의 사이, 그리고 상기 제2 멈춤턱부의 돌출단과 상기 바닥면부의 사이에는 상기 밴드의 두께만큼의 간격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핸드홀더에 의하면 밴드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겹쳐 클램프로 체결함으로써 밴드 고리의 길이조절이 가능함은 물론, 특히 밴드 자체에 어떠한 형상, 기타 요구되는 조건 없이 적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오던 신축성 원단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이와 같이 종래의 일반 밴드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음으로 인해 밴드 길이를 충분히 긴 상태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모바일기기 사이즈에 맞추어 적당히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해줄 수 있으므로 휴대폰이든 태블릿PC든 어떠한 제품군이라도 제약없이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나아가, 밴드의 길이를 충분히 여유롭게 제공함으로써, 또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밴드로 사용할 소재를 주위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핸드홀더로서 사용된 밴드에 얼룩 묻거나 더러워진 경우에 이를 버리고 새 밴드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는 핸드홀더를 새것처럼 재사용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핸드홀더의 설치상태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기술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핸드홀더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핸드홀더의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모바일기기용 핸드홀더를 구성하는 제1 클램프편의 사시도,
도 6은 도 3의 모바일기기용 핸드홀더를 구성하는 제2 클램프편의 사시도,
도 7은 도 5, 6으로 구성되는 클램프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5, 6으로 구성되는 클램프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도 5, 6으로 구성되는 클램프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핸드홀더(2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210)와 이에 상하 대칭으로 끼워져 결합하는 2개의 걸림편(201, 202), 그리고 밴드(210)의 서로 분리된 일단부와 타단부를 서로 겹친 상태에서 체결함으로써 고리를 이루도록 해주는 클램프(203)를 포함한다.
클램프(203)는 하측의 제1 클램프편(220)과 상측의 제2 클램프편(230)으로 이루어진다.
제1 클램프편(2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다수의 스파이크(221a)가 돌출 형성되어 분포된 바닥면부(221), 이 바닥면부(221)의 일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1 멈춤턱부(222), 상기 바닥면부(221)의 좌우 양측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내벽면부(223, 224)를 갖는다.
바닥면부(221) 상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210)의 일단부(211)가 적층되며, 이 일단부(211)의 끝단(211a)이 상기 제1 멈춤턱부(222)에 맞닿게 된다. 또한, 좌우 양측의 내벽면부(223, 224) 사이의 간격은 밴드(210)의 폭과 일치함으로써 밴드(210)의 일단부(211)가 정확히 제1 클램프편(220)에 밀접하게 수용된 상태에서 스파이크(221a)에 의해 눌려짐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제2 클램프편(2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에 다수의 스파이크(231a)가 돌출 형성되어 분포된 덮개면부(231), 이 덮개면부(231)의 일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2 멈춤턱부(232), 상기 덮개면부(231)의 좌우 양측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외벽면부(233, 234)를 갖는다.
덮개면부(231) 상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210)의 타단부(212)가 적층되며, 이 타단부(212)의 끝단(212a)이 상기 제2 멈춤턱부(232)에 맞닿게 된다.
좌우 양측의 외벽면부(233, 23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클램프편(220)의 내벽면부(223, 224)와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도 5의 내벽면부(223, 224)는 돌출단의 외측면에 걸림돌기(223a, 224a)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도 6의 외벽면부(233, 234)는 걸림홈(233a, 234a)이 기단부에 형성됨으로써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체결된 제1, 제2 클램프편(220, 230)에 의해 밴드(210)의 일단부(211)와 타단부(212)는 도 7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적층된 상태에서 위아래의 스파이크(221a, 231a)에 의해 맞물린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도 6의 제2 클램프편(230)은 일측 외벽면부(234)의 돌출단 외측면에 체결해제용 손잡이부(235)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체결된 제1, 제2 클램프편(220, 230)을 체결해제 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서로 결합된 제1 클램프편(220, 230) 사이에서 바닥면부(221)와 제2 멈춤턱부(232) 사이에는 밴드(210)의 두께만큼의 간격이 형성됨으로써 밴드(210)의 유동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7 참조). 마찬가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면부(231)와 제1 멈춤턱부(222) 사이에도 밴드(210) 두께만큼의 간격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밴드(210)와 클램프(203)의 조합에 의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210)의 양측단부에 제1 클램프편(220)과 제2 클램프편(230)을 각기 맞추어 적층한 상태에서 서로 체결하기만 하면 밴드(210)의 고리를 이룰 수 있다.
결국, 사용자로서는 밴드(210)를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신의 모바일기기의 규격에 맞추어 적절한 길이의 밴드(210) 고리를 구성할 수 있다. 나아가, 상품공급자로서는 밴드(210)의 길이를 충분히 긴 것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절단하여 고리로 사용한 밴드가 더러워지거나 손상된 경우, 이를 폐기한 다음 남은 밴드(210)에서 필요한 만큼 절단하여 새롭게 밴드 고리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색상의 밴드(210)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취향에 따라 선택하여 밴드 고리를 고성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200: 모바일기기용 핸드홀더 201, 202: 걸림편
203: 클램프 210: 밴드
211: 일단부 212: 타단부
220: 제1 클램프편 221: 바닥면부
221a: 스파이크 222: 제1 멈춤턱부
223, 224: 내벽면부 223a, 224a: 걸림돌기
230: 제2 클램프편 231: 덮개면부
232: 제2 멈춤턱부 233, 234: 외벽면부
233a, 234a: 걸림홈 235: 체결해제용 손잡이

Claims (4)

  1. 밴드와 상기 밴드에 대칭으로 끼워져 결합하는 2개의 걸림편을 포함하는 모바일기기용 핸드홀더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신축성 원단으로 이루어져 서로 분리된 일단부와 타단부가 서로 겹친 상태에서 클램프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고리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밴드의 일단부가 적층되는 상면에 다수의 스파이크가 돌출 형성되어 분포된 바닥면부와, 상기 바닥면부의 일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밴드의 일단부의 끝단과 맞닿는 제1 멈춤턱부와, 상기 밴드의 폭만큼의 간격을 두고 상기 바닥면부의 좌우 양측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내벽면부를 갖는 제1 클램프편과;
    상기 밴드의 타단부가 적층되는 저면에 다수의 스파이크가 돌출 형성되어 분포되며 상기 바닥면부 상에 포개어지는 덮개면부와, 상기 덮개면부의 일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밴드의 타단부 끝단과 맞닿는 제2 멈춤턱부와, 상기 덮개면부의 좌우 양측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내벽면부와 체결되는 외벽면부를 갖는 제2 클램프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핸드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상기 핸드홀더가 적용되는 모바일기기의 사이즈에 맞추어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길이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핸드홀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면부는 돌출단 외측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외벽면부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 결합되는 걸림홈이 기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클램프편은
    좌우 양측단의 외벽면부 중 어느 하나의 돌출단 외측면에 체결해제용 손잡이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핸드홀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프편과 상기 제2 클램프편의 결합 시
    상기 제1 멈춤턱부의 돌출단과 상기 덮개면부의 사이, 그리고 상기 제2 멈춤턱부의 돌출단과 상기 바닥면부의 사이에는 상기 밴드의 두께만큼의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핸드홀더.
KR1020220049892A 2022-04-22 2022-04-22 모바일기기용 핸드홀더 KR102600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9892A KR102600737B1 (ko) 2022-04-22 2022-04-22 모바일기기용 핸드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9892A KR102600737B1 (ko) 2022-04-22 2022-04-22 모바일기기용 핸드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0479A KR20230150479A (ko) 2023-10-31
KR102600737B1 true KR102600737B1 (ko) 2023-11-10

Family

ID=88543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9892A KR102600737B1 (ko) 2022-04-22 2022-04-22 모바일기기용 핸드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073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9090B1 (ko) * 2021-06-08 2021-08-12 주식회사 윌비 모바일기기용 핸드홀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9090B1 (ko) * 2021-06-08 2021-08-12 주식회사 윌비 모바일기기용 핸드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0479A (ko) 202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46881B (zh) 手持裝置保護殼組
US8402569B2 (en) Swim goggles
US20030219115A1 (en) Case for a folding-type mobile phone
JP2010522576A (ja) バックル
KR102600737B1 (ko) 모바일기기용 핸드홀더
US9560900B2 (en) Adjustable watch strap
USD865299S1 (en) Sports wrist strap
US20130087525A1 (en) Support ring of bottle capable of carrying the bottle and connecting bottles
KR101998782B1 (ko) 안전성을 향상한 케이블타이
KR101141761B1 (ko) 휴대 전자기기 보호용 케이스
KR101454767B1 (ko) 장식의 교체가 가능한 반지
JP2986777B1 (ja) 衣類用ベルトセットとそれに使用されるバックル及びベルト
KR100861909B1 (ko) 손가락 부분을 교체할 수 있는 고무장갑
KR200462642Y1 (ko)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US20030106191A1 (en) Buckle for an infant carrying band
KR200393744Y1 (ko) 머리끈 장식 연결구조
KR200479051Y1 (ko) 리모컨키 케이스홀더용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리모컨키 케이스홀더
KR101616686B1 (ko) 장신구 고정용 기구
JP3245370U (ja) 髪用装飾具
US20170042266A1 (en) Decorative mask
KR101902065B1 (ko) 운동용 보호대
KR101674190B1 (ko) 인서트 타입 밸크로를 이용한 옷
USD933527S1 (en) Clothing button
TWM556711U (zh) 可便捷鬆緊之束緊帶
KR100945897B1 (ko) 다이어리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