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0410B1 - 활어 수조용 스키머 - Google Patents

활어 수조용 스키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0410B1
KR102600410B1 KR1020200158927A KR20200158927A KR102600410B1 KR 102600410 B1 KR102600410 B1 KR 102600410B1 KR 1020200158927 A KR1020200158927 A KR 1020200158927A KR 20200158927 A KR20200158927 A KR 20200158927A KR 102600410 B1 KR102600410 B1 KR 102600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seawater
foam
housing
in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8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1602A (ko
Inventor
최윤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사
Priority to KR1020200158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410B1/ko
Publication of KR20220071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1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4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본 발명은 활어 수조용 스키머에 관한 것으로, 내부가 빈 구조의 하우징; 수조로부터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수조의 해수를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하는 해수유입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획되어 상기 해수유입관을 수용하며, 상기 해수유입관이 유입하는 상기 수조의 해수를 거품을 발생시키며 수용하는 제1 챔버;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획되어 상기 제1 챔버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챔버로부터 거품과 해수를 유입하는 제2 챔버; 상기 제2 챔버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챔버로 유입되는 거품과 해수를 분리하는 거품분리수단;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획되어 상기 제2 챔버와 연결되며, 상기 거품분리수단에 의해 거품이 분리된 해수를 유입하여 상기 수조로 배출하는 제3 챔버;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획되어 상기 제1 및 제2 챔버 위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챔버와 연결되어 상기 거품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거품을 수용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제4 챔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조의 해수를 순환시키는 동안 거품을 강제로 발생시켜 해수로부터 오염물을 분리하고 그 오염물을 함유한 거품을 제거함으로써 수조의 수질을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활어 수조용 스키머{Skimmer for Seawater Fish Aquarium}
본 발명은 활어 수조용 스키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품을 발생시켜 오염물을 제거하며 수조의 해수를 순환시킴으로써 활어 수조의 수질을 효과적으로 정화하는 활어 수조용 스키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활어 수족관, 양어장 등의 수질을 정화하기 위해 스키머가 사용된다. 스키머는 해수 속에 공기를 주입하여 기포를 발생시키고 그 발생된 기포가 유기물이나 단백질, 어류배설물 등의 오염물과 함께 수면 위로 부상하면서 생성되는 스컴(scum)을 분리 제거하여 해수의 수질을 정화한다. 관련 선행기술로 특허등록공보 제10-0922918호 "해수 청정장치"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기포분출관을 통해 해수와 혼합된 기포를 분출시키면 부유물이 상부로 떠올라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은 기포분출관이 펌프와 직결되어 분출압력이 강하므로 기포가 빠르게 유동하면서 부상하므로 기포에 오염물이 잘 달라붙지 않고 양질의 부유물이 생성되기 어려우며, 부유물이 빠르게 다량 생성됨에 따라 물과 혼합된 상태로 배출되면서 물이 낭비되고, 따라서 폐수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은 기포 크기가 커질 수 있고 그에 따라 기포가 깨지기 쉬우며 기포가 커질수록 거품 형태의 부유물 내부에 빈 공간이 많이 생겨 부유물이 차지하는 공간에 비해 정화성능이 낮고, 부유물이 배출될 때 종종 사이펀(siphon) 현상이 발생하여 해수까지 배출되어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특허등록공보 제10-0922918호 "해수 청정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거품을 발생시켜 오염물을 제거하며 수조의 해수를 순환시킴으로써 수조의 수질을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활어 수조용 스키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염물을 함유한 거품을 공간에서 일시 저장한 후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사이펀 현상으로 인한 해수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활어 수조용 스키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순환하는 해수를 오존 처리하여 수질을 정화할 수 있는 활어 수조용 스키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가 빈 구조의 하우징; 수조로부터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수조의 해수를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하는 해수유입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획되어 상기 해수유입관을 수용하며, 상기 해수유입관이 유입하는 상기 수조의 해수를 거품을 발생시키며 수용하는 제1 챔버;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획되어 상기 제1 챔버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챔버로부터 거품과 해수를 유입하는 제2 챔버; 상기 제2 챔버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챔버로 유입되는 거품과 해수를 분리하는 거품분리수단;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획되어 상기 제2 챔버와 연결되며, 상기 거품분리수단에 의해 거품이 분리된 해수를 유입하여 상기 수조로 배출하는 제3 챔버;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획되어 상기 제1 및 제2 챔버 위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챔버와 연결되어 상기 거품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거품을 수용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제4 챔버를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3 챔버에는 상기 거품이 분리된 해수를 월류하여 상기 수조로 배출하는 해수배출관이 바닥으로부터 입설될 수 있다.
상기 제3 챔버에는 오존발생기가 설치되고, 상기 해수유입관의 중간에는 벤츄리관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벤츄리관에는 단부가 상기 제3 챔버에 위치하는 공기주입관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를 구획하는 제1 격벽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챔버가 연결되고, 상기 제1 챔버의 바닥에는 거품발생판체가 상기 제1 격벽과 거리를 두고 입설되고, 상기 해수유입관은 상기 거품발생판체에 상기 수조의 해수를 분사함으로써 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챔버와 상기 제3 챔버를 구획하는 제2 격벽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2 및 제3 챔버가 연결되고, 상기 거품분리수단은 상기 거품발생판체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2 챔버를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 거품분리판체와, 상기 제2 격벽의 하부으로부터 상기 제1 거품분리판체를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2 거품분리판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챔버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구멍을 갖는 V자 형상의 거품이동량조절판체가 상기 제1 및 제2 격벽을 가로질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4 챔버에는 다수개의 노즐공을 갖고 상기 해수유입관과 연결되는 청소관체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해수유입관의 중간에는 펌프가 연결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조의 해수를 순환시키는 동안 거품을 강제로 발생시켜 해수로부터 오염물을 분리하고 그 오염물을 함유한 거품을 제거함으로써 수조의 수질을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수로부터 제거된 오염물을 함유한 거품을 공간에서 일시 저장한 후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사이펀 현상으로 인한 해수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오염물이 제거된 해수를 오존 처리함과 아울러 오존이 함유된 공기를 주입하여 거품을 발생시킴으로써 수조의 해수를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모터 등의 동력없이도 해수 정화가 가능하고 모터 추가 장착시 정화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어 수조용 스키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활어 수조용 스키머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활어 수조용 스키머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활어 수조용 스키머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어 수조용 스키머는 내부가 빈 구조의 하우징(10)을 구비한다. 하우징(10)은 수지 또는 금속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해수 활어가 담긴 수조(미도시)와는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수조의 해수로부터 오염물을 분리하여 제거하고 오존 처리하는 구성요소들의 설치장소를 마련한다.
하우징(10)에는 해수유입관(20)이 설치된다. 해수유입관(20)은 하우징(10)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그 단부가 하우징(10)의 내부에 위치하며, 수조와 연결되어 수조로부터 펌핑되어 압송되는 수조의 해수를 하우징(10)으로 유입한다.
하우징(10)은 내부에 격벽(11)을 세워 해수유입관(20)이 장입되는 공간(30)을 마련할 수 있고, 공간(30)의 중간에는 하우징(10)의 내벽면과 격벽(11)을 가로질러 해수유입관(20)이 관통하는 지지판체(12)를 설치하여 해수유입관(20)을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제1 챔버(40)가 구획되어 형성된다. 하우징(10)의 내부에 격벽(11)과 거리를 두고 제1 격벽(13)이 설치되어 그 제1 격벽(13)과 격벽(11)과의 사이에 제1 챔버(40)가 형성되며, 제1 챔버(40)에는 격벽(11)을 관통한 해수유입관(20)의 단부가 위치한다.
이와 같이 해수유입관(20)을 수용하는 제1 챔버(40)는 해수유입관(20)이 유입하는 수조의 해수를 수용하며, 유기물이나 단백질, 어류배설물 등의 오염물을 해수로부터 분리하는 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한다.
하우징(10) 내부의 상기 제1 챔버(40) 일측에는 상기 제1챔버(40)와 상기 제1 격벽(13)을 사이에 두고 제2 챔버(50)가 구획되어 형성되며, 제2 챔버(50)는 제1 격벽(13)과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제2 격벽(14)과의 사이에 형성된다. 제2 챔버(50)는 제1 격벽(13)이 하우징(10)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됨으로써 형성되는 틈(S1)을 통해 제1 챔버(40)와 연결되며, 제1 챔버(40)로부터 거품과 해수를 유입하여 수용한다.
제1 챔버(40)에는 바닥으로부터 거품발생판체(110)가 해수유입관(20)의 출구 앞쪽에 수직으로 입설되며, 거품발생판체(110)는 제1 격벽(13)과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제1 챔버(40)의 거품과 해수가 틈(S1)을 통해 제2 챔버(50)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거품은 해수유입관(20)이 거품발생판체(110)를 향해 수조의 해수를 분사함으로써 발생되고, 해수유입관(20)는 그 중간에 공기주입관(120)이 연결된 벤츄리관(130)을 연결 설치하여 공기가 혼합된 해수를 거품발생판체(110)를 향해 가속되어 분사함으로써 해수로부터 오염물을 분리하는 거품을 더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챔버(40)의 내부 상측에는 거품을 거품발생판체(110)의 상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벽체(41)를 설치하여 제1 챔부 내부에서 압력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거품발생판체(110)를 통해 발생된 거품과 해수가 신속하고 원활하게 상기 틈(S1)을 통해 제2 챔버(50)로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도면과 같이 가이드벽체(41)는 격벽(11)으로부터 제 1벽체(13)를 향해 연장되는 경사부(41a)를 구비하여 오염물을 함유한 거품을 제2챔버(50)로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벽체(41)는 일측이 상기 격벽(11)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경사부(41a)와 연결되는 제1수평부(41b)와 일측이 경사부(41a)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1 벽체(13)와 연결되는 제2수평부(41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챔버(40)로부터 제2 챔버(50)로 유동하는 거품과 해수는 제2 챔버(50)에 설치된 거품분리수단(140)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거품분리수단(140)은 거품발생판체(110)의 하부로부터 제2 챔버(50)를 향해 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 거품분리판체(141)와, 제2 격벽(14)의 하부으로부터 제1 거품분리판체(141)를 향해 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2 거품분리판체(1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거품분리판체(141)는 거품발생판체(110)와 제1 격벽(13) 사이의 틈(S2)과 틈(S1)을 거쳐 유입되는 거품을 제2 챔버(50)의 상부로 부풀어 오르도록 유도하여 거품과 해수를 분리하고, 제2 거품분리판체(143)는 제1 거품분리판체(141)에서 미쳐 분리되지 않고 해수와 함께 유동하는 거품을 더 잡아 제2 챔버(50)의 상부로 부풀어 오르도록 유도하여 거품과 해수를 완벽히 분리시킨다. 도면에서는 한 개의 제2 거품분리판체(143)가 도시되어 있지만 그 수를 증가시켜 거품과 해수를 더 완벽히 분리시킬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제2 격벽(14)을 사이에 두고 제3 챔버(60)가 구획 형성된다. 제3 챔버(60)는 제2 격벽(14)이 하우징(10)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됨으로써 제2 챔버(50)와 연결되고, 제2 격벽(14)과 하우징(10)의 내벽면 사이에 형성되어 거품이 분리되어 제거된 해수를 제2 챔버(50)로부터 유입하여 수조로 배출한다.
제3 챔버(60)에는 해수배출관(150)이 바닥으로부터 수직으로 입설될 수 있고, 거품이 분리된 해수는 그 해수배출관(150)을 월류하여 수조로 유동한다.
해수배출관(150)은 제3 챔버(60)를 이루는 하우징(10)의 내벽면을 관통하여 수조와 관을 통해서 연결되는 수평관부(151)와, 그 수평관부(151)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관부(153)로 이루어질 수 있고, 거품이 분리된 해수는 수직관부(153)를 월류하여 수평관부(151)를 통해 수조로 유동한다.
이때, 수직관부(153)는 대경부(153a)와 그 대경부(153a)에 끼워져 출몰하는 소경부(153b)로 이루어질 수 있고, 대경부(153a)에 대한 소경부(153b)의 출몰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월류 수위를 조절하며 거품이 분리된 해수를 수조로 유동시킬 수 있다.
제3 챔버(60)에는 오존발생기(161)가 설치될 수 있고, 오존발생기(161)가 제3 챔버(60)에 저류된 해수를 오존 살균하여 수조의 수질을 정화시키며, 벤츄리관(130)과 연결된 공기주입관(120)의 단부가 제3 챔버(60)에 위치함으로써 오존이 함유된 공기가 벤츄리관(130)에 주입되어 해수와 혼합되어 해수를 더 오존 살균하여 수조의 수질을 더 정화할 수 있다.
제3 챔버(60)는 상부에 공기구멍을 갖는 덮개(61)를 설치하여 개폐될 수 있고, 제3 챔버(60)를 형성하는 하우징(10)의 내벽면에 브라켓을 설치하여 오존발생기(161)를 고정할 수 있다. 도면부호 (163)은 오존발생기(161)에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이다.
한편,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제4 챔버(70)가 구획 형성된다. 제4 챔버(70)는 격벽(11)과 제2 격벽(14)을 연결하는 제3 격벽(15)과 하우징(10)의 내벽면 사이에 형성되어 제1 챔버(40) 및 제2 챔버(50) 상측에 위치한다. 제4 챔버(70)는 제2 챔버(50)와 연결되어 거품분리수단(140)에 의해 분리된 거품을 수용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제2 챔버(50) 및 제4 챔버(70)는 제3 격벽(15)에 통공(15a)을 형성하여 서로 연결되며, 제2 챔버(50)에서 해수와 분리되어 부풀어 오른 거품은 통공(15a)을 통해서 제4 챔버(70)로 이동한다. 통공(15a)에는 역류방지관(17)이 설치되어 제4 챔버(70)로 이동한 거품이 제2 챔버(50)로 역류하지 않도록 방지함이 좋다.
또한, 제2 챔버(50)와 제4 챔버(70)를 구획하는 제3 격벽(15)의 부위가 제4 챔버(70)를 향해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제2 챔버(50)의 상하 길이를 제4 챔버(70) 측으로 확장함으로써 제2 챔버(50)와 제4 챔버(70) 사이에 단차(T)를 만들어 제4 챔버(70)에 고인 거품이 제2 챔버(50)로 역류하지 않도록 방지함이 좋고, 제2 챔버(50)가 더 많은 량의 거품을 수용하도록 할 수 있다.
하우징(10)의 외벽면에는 제4 챔버(70)와 연결되어 제4 챔버(70)를 확장하는 확장챔버(80)가 설치될 수 있고, 거품은 확장챔버(80)에 형성된 배출공(83)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제4 챔버(70)와 확장챔버(80)는 거품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사이펀 현상을 완화하여 거품을 따라 제2 챔버(50)의 해수가 누출되지 않도록 방지한다. 즉, 제4 챔버(70)와 확장챔버(80)는 배출공(83)을 통해 작용하는 내외부의 압력차를 완화하여 거품 배출시 사이펀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하며, 배출공(83)은 확장챔버(80)의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하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챔버(50)의 상측에는 제2 격벽(14)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거품차단판체(168)가 설치될 수 있다. 거품차단판체(168)는 제2 거품분리판체(143)에서 분리되어 부풀어 오로는 거품의 일부를 차단하여 병목현상을 유발할 수 있는 과다한 량의 거품이 통공(15a)에 모이지 않도록 방지한다.
제4 챔버(70)에는 막힌 단부에 다수개의 노즐공(191)을 갖고 해수유입관(20)과 연결되는 청소관체(190)가 설치될 수 있고, 청소관체(190)의 중간에는 통수를 개폐하는 밸브(193)가 설치될 수 있다. 청소관체(190)는 하우징(10)을 관통하여 하우징(10)의 외부에 위치하는 해수유입관(20)과 연결될 수 있고, 제4 챔버(70)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노즐공(191)을 통해 해수를 분사하여 제4 챔버(70)를 청소할 수 있다.
청소관체(190)는 스키머를 사용하는 동안 제4 챔버(70)를 청소할 수 있고, 청소관체(190)가 분기되는 부위 아래로 해수유입관(20)의 중간에 밸브(미도시)를 설치하여 그 밸브(201)를 잠금으로써 스키머의 사용 중지시 제4 챔버(70)를 청소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수유입관(20)의 중간에는 하우징(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펌프(201)가 설치되어 수조의 해수를 직접 흡입하여 제2 챔버(40)로 압송할 수 있고, 하우징(10)의 상부에는 제4 챔버(70)를 개폐하여 제4 챔버(70)의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한 캡(211)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활어 수조용 스키머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 챔버(50)의 상부에 제1 및 제2 격벽(13)(14)을 가로질러 다수개의 구멍(171)을 갖는 V자 형상의 거품이동량조절판체(170)가 설치될 수 있다.
거품이동량조절판체(170)는 부풀어 오르는 거품을 눌러 구멍(171)을 통해 일정량만 제4 챔버(70)로 이동하도록 조절하여 제4 챔버(70)와 확장챔버(80)가 사이펀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압력차를 완화하는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거품 배출량을 초과하는 거품이 제4 챔버(70)와 확장챔버(80)에 공급됨으로써 여유 공간이 없이 꽉 차면 외부와의 압력차가 발생하여 배출공(83)을 통해 배출되는 거품을 따라 제2 챔버(50)의 해수가 빨려들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거품이동량조절판체(170)는 거품 이동량을 조절하여 제4 챔버(70)와 확장챔버(80)가 압력차를 완화하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도록 한다. 구멍(171)은 원형공과 길이를 갖는 장공이 혼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조의 해수를 순환시키는 동안 거품을 강제로 발생시켜 해수로부터 오염물을 분리하고 그 오염물을 함유한 거품을 제거함으로써 수조의 수질을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수로부터 제거된 오염물을 함유한 거품을 공간에서 일시 저장한 후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사이펀 현상으로 인한 해수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염물이 제거된 해수를 오존 처리함과 아울러 오존이 함유된 공기를 주입하여 거품을 발생시킴으로써 수조의 해수를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하우징 20: 해수유입관
11: 격벽 12: 지지판체
13: 제1 격벽 14: 제2 격벽
15: 제3 격벽 15a: 통공
17: 역류방지관 30: 공간
40: 제1 챔버 41: 가이드벽체
41a: 수평부 41b: 경사부
50: 제2 챔버 60: 제3 챔버
61: 덮개 70: 제4 챔버
80: 확장챔버 83: 배출공
110: 거품발생판체 120: 공기주입관
130: 벤츄리관 140: 거품분리수단
141: 제1 거품분리판체 143: 제2 거품분리판체
150: 해수배출관 151: 수평관부
153: 수직관부 153a: 대경부
153b: 소경부 161: 오존발생기
170: 거품이동량조절판체 171: 구멍
190: 청소관체 191: 노즐공
193: 밸브 201: 펌프
211: 캡

Claims (7)

  1. 내부가 빈 구조의 하우징;
    수조로부터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수조의 해수를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하는 해수유입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획되어 상기 해수유입관을 수용하며, 상기 해수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해수로부터 거품을 발생시키며 거품을 수용하는 제1 챔버;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획되어 상기 제1 챔버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챔버로부터 거품과 해수를 유입하는 제2 챔버;
    상기 제2 챔버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챔버로 유입되는 거품과 해수를 분리하는 거품분리수단;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획되어 상기 제2 챔버와 연결되며, 상기 거품분리수단에 의해 거품이 분리된 해수를 유입하여 상기 수조로 배출하는 제3 챔버;
    상기 거품이 분리된 해수가 월류되어 상기 수조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3 챔버의 바닥에 입설되는 해수배출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획되어 상기 제1 및 제2 챔버 위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챔버와 연결되어 상기 거품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거품을 수용하는 제4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를 구획하는 제1 격벽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챔버가 연결되고,
    상기 제2 챔버와 상기 제3 챔버를 구획하는 제2 격벽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2 및 제3 챔버가 연결되고
    상기 제4 챔버는 상기 제4 챔버를 상기 제1 및 제2 챔버로부터 구획하는 제3 격벽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상기 제2 챔버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챔버의 거품이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제4 챔버로 이동하며,
    상기 해수유입관의 전방에는 거품발생판체가 상기 제1 격벽과 거리를 두고 제1 챔버 바닥에 입설되고,
    상기 거품분리수단은 상기 거품발생판체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2 챔버를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 거품분리판체와, 상기 제2 격벽의 하부으로부터 상기 제1 거품분리판체를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2 거품분리판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외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4 챔버와 연결되는 확장챔버와, 상기 확장챔버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챔버에 수용되는 거품이 상기 확장챔버와 상기 배출공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 수조용 스키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의 내부 상측에 격벽으로부터 상기 제3 격벽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거품을 상기 거품발생판체의 상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벽체를 더 포함하는 활어 수조용 스키머.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유입관의 중간에 연결 설치되는 벤츄리관과,
    상기 벤츄리관에 연결 설치되는 공기주입관을 더 포함하는 활어 수조용 스키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챔버에 설치되는 오존발생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주입관은 일측 상기 벤츄리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3 챔버 내부에 위치하여 오존이 함유된 공기가 해수유입관에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 수조용 스키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챔버에는 다수개의 노즐공을 갖고 상기 해수유입관과 연결되는 청소관체가 설치되는 활어 수조용 스키머.
KR1020200158927A 2020-11-24 2020-11-24 활어 수조용 스키머 KR102600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927A KR102600410B1 (ko) 2020-11-24 2020-11-24 활어 수조용 스키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927A KR102600410B1 (ko) 2020-11-24 2020-11-24 활어 수조용 스키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602A KR20220071602A (ko) 2022-05-31
KR102600410B1 true KR102600410B1 (ko) 2023-11-09

Family

ID=81780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8927A KR102600410B1 (ko) 2020-11-24 2020-11-24 활어 수조용 스키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04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200Y1 (ko) * 2001-05-19 2001-10-15 이창문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
WO2007129307A2 (en) 2006-05-03 2007-11-15 Red Sea Fish Pharm Ltd Home aquariu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2962A (en) * 1992-07-17 1994-02-01 Chen Chi Der Protein skimmer and power head thereof
KR19980067547U (ko) * 1997-05-27 1998-12-05 전원근 수족관 물정화장치
US7918995B2 (en) * 2006-03-22 2011-04-05 Kabushiki Kaisha Tominaga Jyushi Kogyosho Filter device for water tank
JP5210042B2 (ja) * 2008-05-21 2013-06-12 株式会社冨永樹脂工業所 水中生物飼育システムおよび水槽用浄化ユニット
KR100922918B1 (ko) 2009-03-05 2009-10-22 장광호 해수 청정장치
KR20160130681A (ko) * 2015-05-04 2016-11-14 박동재 수질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200Y1 (ko) * 2001-05-19 2001-10-15 이창문 활어수족관의 정화장치
WO2007129307A2 (en) 2006-05-03 2007-11-15 Red Sea Fish Pharm Ltd Home aquar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602A (ko) 202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9228B2 (en) Non-clogging airlift pumps and systems and methods employing the same
KR101507052B1 (ko) 와류 형성을 위한 사육수 분사용 노즐
JP2007319852A (ja) 泡沫排出レベル自動昇降制御装置
KR102600410B1 (ko) 활어 수조용 스키머
KR101058492B1 (ko) 활어수족관의 살균정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활어수족관
KR101634124B1 (ko) 해수 수족관 정화 시스템
KR101774488B1 (ko) 침강 및 부유하는 슬러지 제거설비 및 이의 운전방법
KR101129407B1 (ko) 비점오염원 정화 및 여과장치
KR100676924B1 (ko) 저비중세척액을 사용하는 수세식변기
KR101096864B1 (ko) 유수분리장치
ES2399844T3 (es) Unidad de flotación de aire disuelto
KR101298691B1 (ko) 수족관 정수장치
KR102211491B1 (ko) 조류 제거 선박
RU1836301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100842880B1 (ko) 초기우수 처리용 필터카트리지 및 초기우수 처리장치
JP2005052773A (ja) 排水処理装置
JP5546330B2 (ja) 泡沫分離装置
JP2005319455A (ja) 汚水タンク
KR101842035B1 (ko) 해파리용 수조
KR20210063692A (ko) 포말분리식 여과기
KR102439796B1 (ko) 수족관 정화시스템
KR101833104B1 (ko) 수족관 시스템
KR101318801B1 (ko) 부양식 악취 정화 배출 장치
JP3561212B2 (ja) 淡水生物飼育水浄化方法及び淡水生物飼育水浄化装置
RU197273U1 (ru) Компактный усреднитель бытовых сточных во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