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0051B1 -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실시간 계통 주파수 및 전압 변동 모델링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실시간 계통 주파수 및 전압 변동 모델링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0051B1
KR102600051B1 KR1020190165398A KR20190165398A KR102600051B1 KR 102600051 B1 KR102600051 B1 KR 102600051B1 KR 1020190165398 A KR1020190165398 A KR 1020190165398A KR 20190165398 A KR20190165398 A KR 20190165398A KR 102600051 B1 KR102600051 B1 KR 102600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network topology
reconfiguration
processor
gr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4581A (ko
Inventor
김영진
박재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165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051B1/ko
Priority to PCT/KR2020/017901 priority patent/WO2021118216A1/ko
Publication of KR20210074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2203/10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systems management focussing at grid-level, e.g. load flow analysis, node profile computation, meshed network optimisation, active network management or spinning reserv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2203/20Simulating, e g planning, reliability check, modelling or computer assisted design [C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 재구성에 따른 실시간 계통 주파수 및 전압 변동 모델링 방법 및 그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 장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로부터 계통 선로 정보, 기기 정보, 및 스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계통 선로 정보, 상기 기기 정보, 및 상기 스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계통 내 각 모선 별 전압 크기 및 위상 정보를 추정하기 위한 전력 조류를 산출하고, 상기 전력 조류의 산출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계통 내의 각 기기의 정상 상태 조건을 산출하고, 상기 계통 내의 각 기기의 정상 상태 조건으로부터 상기 각 기기 별 선형화 모델을 도출하기 위한 계수 행렬(coefficient matrix)을 산출하고, 상기 계통 선로 정보 및 상기 스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모선 별 유입 전류의 변동량을 산출하고, 상기 모선 별 유입 전류의 변동량을 산출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계통에 대한 상태공간 모델을 구성하고, 상기 계통에 대한 정상 모델에 기반하여 상기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실시간 계통 주파수 및 전압 변동 모델을 결정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도 가능하다.

Description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실시간 계통 주파수 및 전압 변동 모델링 방법 및 그 전자 장치{METHOD FOR MODELING REAL TIME FREQUENCY AND VOLTAGE VARIATIONS DUE TO NETWORK TOPOLOGY RECONFIGUR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실시간 계통 주파수 및 전압 변동 모델링 방법 및 그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계통 네트워크의 토폴로지의 재구성은, 배전 계통 내에 기 설치된 차단기 및 분로 스위치 동작을 통해, 선로 손실 저감, 계통 고장 발생 시 고장 지점 격리 및 부하 복구를 가능하게 해준다. 최근 들어, 부하량, 신재생 발전량 및 전압, 선로 제약 등의 계통 제약 조건을 고려한 최적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 스케줄링 기술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스케줄링 기술에서는 계통의 정상 상태 동작점을 고려하여 최적화 문제를 구성한 후, 혼합 정수 선형 계획법, 메타 휴리스틱 기법 등의 알고리즘을 통해 최적 계통 재구성 스케줄을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1484호(2013.12.09. 등록, 효율적인 전력망 운용을 위한 네트워크 구성과 배전 방법, 및 그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을 위한 선로 스위치 동작은, 계통에 순간적인 과도를 유발함으로써, 계통 주파수 및 전압 변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주파수 및 전압 변동은 전체 계통의 전력 품질을 악화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동기 및 디지털 제어기기 등의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주파수 및 전압 변동이 극심한 경우, 릴레이 및 차단기 등 계통 보호 기기의 의도치 않은 동작에 의해 정전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계통 네트워크 토포롤지 재구성에 따른 실시간 계통 주파수 및 전압 변동의 분석을 위한 방안(solution)이 요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계통 네트워크 토포롤지 재구성에 따른 실시간 계통 주파수 및 전압 변동의 분석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로부터 계통 선로 정보, 기기 정보, 및 스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계통 선로 정보, 상기 기기 정보, 및 상기 스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계통 내 각 모선 별 전압 크기 및 위상 정보를 추정하기 위한 전력 조류를 산출하고, 상기 전력 조류의 산출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계통 내의 각 기기의 정상 상태 조건을 산출하고, 상기 계통 내의 각 기기의 정상 상태 조건으로부터 상기 각 기기 별 선형화 모델을 도출하기 위한 계수 행렬(coefficient matrix)을 산출하고, 상기 계통 선로 정보 및 상기 스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모선 별 유입 전류의 변동량을 산출하고, 상기 모선 별 유입 전류의 변동량을 산출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계통에 대한 상태공간 모델을 구성하고, 상기 계통에 대한 정상 모델에 기반하여 상기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실시간 계통 주파수 및 전압 변동 모델을 결정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의 메모리로부터 계통 선로 정보, 기기 정보, 및 스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계통 선로 정보, 상기 기기 정보, 및 상기 스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계통 내 각 모선 별 전압 크기 및 위상 정보를 추정하기 위한 전력 조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력 조류의 산출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계통 내의 각 기기의 정상 상태 조건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계통 내의 각 기기의 정상 상태 조건으로부터 상기 각 기기 별 선형화 모델을 도출하기 위한 계수 행렬(coefficient matrix)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계통 선로 정보 및 상기 스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모선 별 유입 전류의 변동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모선 별 유입 전류의 변동량을 산출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계통에 대한 상태공간 모델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계통에 대한 정상 모델에 기반하여 상기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실시간 계통 주파수 및 전압 변동 모델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을 위한 스위칭 동작을 어드미턴스 행렬의 변동량으로써 고려하여 각 모선 유입 전류의 변동량을 유도하고, 유도된 변동량을 발전기 및 전력 부하의 동적 모델과 연계함으로써, 모선 유입 전류 번동량을 입력으로 갖는 전체 계통에 대한 상태공간 모델을 유도하고, 유도된 상태공간 모델의 출력을 계통 주파수 및 전압 변동량으로 하는 수식을 이용하여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실시간 계통 주파수 및 각 모선 전압 크기의 변동량에 대한 동적 모델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기 발전기 모델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실시간 계통 주파수 및 전압 변동을 모델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모선 유입 전류 변동량을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실시간 계통 주파수 및 전압 변동 모델링 방법 및 그 전자 장치를 설명한다.
실시 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또는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기 발전기 모델의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및 통신 회로(1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 장치 및/또는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운영 체제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인스트럭션(instruction) 또는 데이터를 메모리(130)에 로드(load)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계통 선로 정보, 기기 정보, 및 스위치 정보를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통신 회로(140)를 통해 계통 선로 정보, 기기 정보, 및 스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입력 장치(미도시)를 통해 계통 선로 정보, 기기 정보, 및 스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계통 선로 정보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선로 임피던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기기 정보는, 계통 구성 기기(예: 발전기 및 부하 등)의 위치, 파라미터, 전력 발전, 및 소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위치 정보는, 토폴로지의 재구성을 위한 스위치 정보 및 각 스위치 별 동작 스케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계통 선로 정보, 기기 정보, 및 스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계통 내 각 모선 별 전압 크기 및 위상 정보를 추정하기 위한 전력 조류를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전력 조류 산출이 수행되면, 전력 조류 산출 결과를 통해 계통 내의 각 기기의 정상 상태 조건을 산출할 수 있다. 계통 내의 각 기기의 정상 상태 조건을 산출하는 방법은, 종래에 널리 알려진 다양한 방법들이 이용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계통 내의 각 기기의 정상 상태 조건이 산출된 것에 응답하여, 각 기기의 정상 상태 조건으로부터 각 기기 별 선형화 모델 도출을 위한 계수 행렬(coefficient matrix)을 유도할 수 있다. 각 기기의 정상 상태 조건으로부터 각 기기 별 선형화 모델 도출을 위한 계수 행렬을 유도하는 방법은, 종래에 널리 알려진 다양한 방법들이 이용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계통 내의 각 기기의 정상 상태 조건이 산출된 것에 응답하여, 계통 선로 정보 및 스위치 동작 정보에 기반하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모선 별 유입 전류의 변동량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 전(또는 차단기 동작 전) 정상상태에서의 모선 유입 전류 모델(node current-injection model)은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 후(또는 차단기 동작 후) 정상상태에서의 모선 유입 전류의 모델은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에서, I0는 전체 모선에 해당하는 dq-축 유입 전류로 구성된 벡터를 나타내고, V0는 전체 모선에 해당하는 dq-축 전압으로 구성된 벡터를 나타내고, Yb는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 전(또는 차단기 동작 전) 어드미턴스 행렬을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2>에서, I0는 전체 모선에 해당하는 dq-축 유입 전류로 구성된 벡터를 나타내고, V0는 전체 모선에 해당하는 dq-축 전압으로 구성된 벡터를 나타내고, Ya는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 후(또는 차단기 동작 후) 어드미턴스 행렬을 나타내고, △I는 각 모선 별 유입 전류의 변동량을 나타내고, △V는 각 모선 별 전압의 변동량을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과 <수학식 2>로부터 전체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전류 및 전압 변동량을 아래의 <수학식 3>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3>에서, (Ya-Yb)는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가 변화하는 경우에만 영행렬이 아니므로, (Ya-Yb)V0항은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 동작으로 인해 발생된 전류임을 확인할 수 있다. <수학식 3>에서, (Ya-Yb)와 V0는 각각 시불변의 상수항이므로, (Ya-Yb)V0는 계통의 정상상태 조류를 변화시키고, 계통 주파수 및 전압 과도를 유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계통 내의 각 기기 별 선형화 모델과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모선 유입 전류의 변동량 모델을 결합함으로써, 전체 계통에 대한 상태공간(또는 상태 공간) 모델을 구성(또는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기기 정보에 기반하여 발전기 및 부하 모델링을 수행하고, 발전기 모델, 부하 모델 및 전체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전류 및 전압 변동량을 결합함으로써, 전체 계통에 대한 상태공간 모델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발전기 모델이 도 2와 같을 경우, 도 2의 발전기 모델을 선형화하여 아래의 <수학식 4> 및 <수학식 5>와 같이 모델링할 수 있다.
<수학식 4>에서, △XGi는 발전기의 상태 변수를 나타내고, △V는 각 모선별 전압의 변동량을 나타내고, AGi 및 BGi는 발전기의 정상상태 동작 조건 및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되는 상수 행렬을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5>에서, △IGi는 발전기로부터의 계통 주입 전류를 나타내고, △V는 전압 변동량을 나타내고, CGi 및 YGi는 발전기의 정상상태 동작 조건 및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되는 상수 행렬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ZIP 모델을 통해 정적 부하의 유효 전력 소비량은 아래의 <수학식 6>과 같이 모델링할 수 있으며, ZIP 모델을 통해 정적 부하의 무효 전력 소비량을 아래의 <수학식 7>와 같이 모델링할 수 있으며, <수학식 6>과 <수학식 7>을 선형화하여, 아래의 <수학식 8>과 같이, 부하 모델을 부하 출력 전류로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8>에서, △ILi는 부하 출력 전류를 나타내고, YLi는 선형화된 부하 모델의 ZIP 계수 행렬을 나타내고, △V는 전압의 변동량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발전기 모델이 <수학식 4> 및 <수학식 5>에 대응하고, 부하 모델이 <수학식 8>에 대응하고, 전체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전류 및 전압 변동량이 <수학식 3>에 대응하는 경우, 전체 계통의 상태공간 모델은 아래의 <수학식 9>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9>에서, △Xsys는 계통 내의 전체 발전기의 상태 변수를 나타내고, Asys는 계통 내의 전체 발전기의 정상상태 동작 조건 및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되는 상수 행렬을 나타내고, ICB는 차단기 동작으로 인해 발생된 전류로, <수학식 3>의 (Ya-Yb)V0를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상태공간 모델의 출력을 계통의 실시간 주파수 변동 및 각 모선 별 전압 크기 변동으로 하는 수식에 기반하여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실시간 계통 주파수 및 전압 변동 모델을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부하 분리 및 회복에 따른 각 발전기의 주파수 변동량을 성분으로 갖는 벡터 △ω 및 각 모선의 전압 크기 변동량을 성분으로 갖는 벡터 △V를 아래의 <수학식 10> 및 <수학식 11>과 같이, <수학식 9>의 계통 상태변수 △Xsys ICB와의 선형 관계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0>에서, △ω는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실시간 계통 주파수의 변동량을 나타내고, Cw는 계통 내의 발전기 각각의 관성 계수를 이용하여 산출된 계통의 전체 관성 계수(H)와 계통 내의 발전기 상태변수로부터 발전기별 주파수를 추출하는 벡터 (S)의 곱을 나타내고, △Xsys는 계통 내의 전체 발전기의 상태 변수를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1>에서, △V는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실시간 계통 전압의 변동량을 나타내고, Cv는 계통 내의 △V를 △|V|로 변환하기 위한 행렬(M), 계통 내의 분배 라인들, 발전기들, 및 부하들의 션트 구성요소(shunt component)를 갖는 임피던스 행렬(Z), 및 계통 내의 발전기의 정상상태 동작 조건 및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되는 상수 행렬(C)의 곱을 나타내고, Dv는 계통 내의 분배 라인들, 발전기들, 및 부하들의 션트 구성요소(shunt component)를 갖는 임피던스 행렬(Z), 및 계통 내의 발전기의 정상상태 동작 조건 및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되는 상수 행렬(C)의 곱을 나타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실시간 계통 주파수 및 전압 변동 모델(예: <수학식 10 및 <수학식 11>)이 도출되면, 도출된 모델의 계단 응답을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도출된 모델의 계단 응답에 대한 정보를 통신 회로(140)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예: 외부 디스플레이)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도출된 모델의 계단 응답에 대한 정보를 출력 장치(미도시)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실시간 계통 주파수 및 전압 변동을 모델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동작 301에서,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계통 선로 정보, 기기 정보, 및 스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입력 장치를 통해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실시간 계통 주파수 및 전압 변동 모델을 요청하는 입력이 수신된 경우, 메모리(130)로부터 계통 선로 정보, 기기 정보, 및 스위치 정보를 로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통신 회로(140)를 통해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실시간 계통 주파수 및 전압 변동 모델을 요청하는 입력이 수신된 경우, 메모리(130)로부터 계통 선로 정보, 기기 정보, 및 스위치 정보를 로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계통 선로 정보는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선로 임피던스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기기 정보는 계통을 구성하는 발전기 및 부하와 같은 기기의 위치, 파라미터, 전력 발전, 및 소비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위치 정보는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을 위한 스위치 정보 및 각 스위치 별 동작 스케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303에서, 프로세서(120)는 전력 조류 및 기기 별 정상상태 동작 조건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계통 선로 정보, 기기 정보, 및 스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계통 내 각 모선 별 전압 크기 및 위상 정보를 추정하기 위한 전력 조류를 산출하고, 전력 조류 산출 결과에 기반하여 계통 내의 각 기기의 정상 상태 조건을 산출할 수 있다.
동작 305에서, 프로세서(120)는 기기 별 선형화 모델 계수 및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모선 별 유입 전류의 변동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계통 내의 각 기기의 정상 상태 조건이 산출된 것에 응답하여, 각 기기의 정상 상태 조건으로부터 각 기기 별 선형화 모델을 도출하기 위한 계수 행렬을 산출하고, 계통 선로 정보 및 스위치 동작 정보에 기반하여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모선 별 유입 전류의 변동량을 산출할 수 있다.
동작 307에서, 프로세서(120)는 기기 별 선형화 모델 계수 및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모선 별 유입 전류의 변동량을 산출한 것에 응답하여 전체 계통에 대한 상태공간 모델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계통 내의 각 기기 별 선형화 모델과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모선 유입 전류의 변동량 모델을 결합함으로써, 전체 계통에 대한 상태공간 모델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체 계통에 대한 상태공간 모델은, 모선 유입 전류의 변동량을 입력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동작 309에서, 프로세서(120)는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실시간 계통 주파수 및 전압 변동 모델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상태공간 모델의 출력을 계통의 실시간 주파수 변동 및 각 모선 별 전압 크기 변동으로 하는 수식에 기반하여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실시간 계통 주파수 및 전압 변동 모델을 도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실시간 계통 주파수 및 전압 변동 모델이 도출되면, 도출된 모델의 계단 응답을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도출된 모델의 계단 응답에 대한 정보를 통신 회로(140)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예: 외부 디스플레이)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도출된 모델의 계단 응답에 대한 정보를 출력 장치(미도시)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모선 유입 전류 변동량을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3의 동작 305에서,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모선 유입 전류의 변동량을 산출하는 동작의 상세 동작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동작 401에서,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 전 제1 어드미턴스 행렬(admittance matrix)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선로 정보 및 스위치 동작 정보에 기반하여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 전 제1 어드미턴스 행렬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어드미턴스 행렬의 성분은 전체 계통 선로의 어드미턴스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어드미턴스 행렬의 성분은, 각 모선 간 연결 구조를 나타낼 수 있다.
동작 403에서, 프로세서(120)는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 후 제2 어드미턴스 행렬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로 정보 및 스위치 동작 정보에 기반하여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 후 제2 어드미턴스 행렬을 생성할 수 있다.
동작 405에서, 프로세서(120)는 제1 어드미턴스 행렬 및 제2 어드미턴스 행렬에 기반하여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 전과 후의 각 모선 별 유입 전류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에에 따르면, 모선 유입 전류는 어드미턴스 행렬과 전체 모선의 전압을 곱하여 산출할 수 있다.
동작 407에서, 프로세서(120)는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 전과 후의 모선 유입 전류에 기반하여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모선 유입 전류의 변동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선 유입 전류의 변동량은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 후와 전의 모선 유입 전류량 간의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모선 유입 전류의 변동량은 각 기기 모델과 연계되어 전체 전력 계통에 대한 상태공간 모델을 구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도 1의 전자 장치(100))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도 1의 메모리(1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100: 전자 장치
120: 프로세서
130: 메모리
140: 통신 회로

Claims (12)

  1.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로부터 계통 선로 정보, 기기 정보, 및 스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계통 선로 정보, 상기 기기 정보, 및 상기 스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계통 내 각 모선 별 전압 크기 및 위상 정보를 추정하기 위한 전력 조류를 산출하고,
    상기 전력 조류의 산출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계통 내의 각 기기의 정상 상태 조건을 산출하고,
    상기 계통 내의 각 기기의 정상 상태 조건으로부터 상기 각 기기 별 선형화 모델을 도출하기 위한 계수 행렬(coefficient matrix)을 산출하고,
    상기 계통 선로 정보 및 상기 스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모선 별 유입 전류의 변동량을 산출하고,
    상기 모선 별 유입 전류의 변동량을 산출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계통에 대한 상태공간 모델을 구성하고, 및
    상기 계통에 대한 정상 모델에 기반하여 상기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실시간 계통 주파수 및 전압 변동 모델을 결정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통 선로 정보는, 선로 토폴로지 정보 및 선로 임피던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기 정보는, 상기 계통을 구성하는 기기의 위치, 파라미터, 전력 발전, 및 소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정보는, 상기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을 위한 스위치 정보 및 각 스위치 별 동작 스케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 전 제1 어드미턴스 행렬(admittance matrix)을 생성하고,
    상기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 후 제2 어드미턴스 행렬(admittance matrix)을 생성하고,
    제1 어드미턴스 행렬 및 제2 어드미턴스 행렬에 기반하여 상기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 전과 후의 각 모선 별 유입 전류를 산출하고, 및
    상기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 전과 후의 각 모선 별 유입 전류에 기반하여, 상기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모선 유입 전류의 변동량을 산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계통 내의 각 기기 별 선형화 모델과 상기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모선 유입 전류의 변동량 모델을 결합함으로써, 상기 계통에 대한 상태공간 모델을 구성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계통에 대한 상태공간 모델의 출력 변수는, 상기 계통 네트워크의 토폴로지 재구성에 따른 실시간 계통 주파수의 변동량 및 모션 별 전압의 변동량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출력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실시간 계통 주파수 및 전압 변동량을 상기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전자 장치.
  7.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의 메모리로부터 계통 선로 정보, 기기 정보, 및 스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계통 선로 정보, 상기 기기 정보, 및 상기 스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계통 내 각 모선 별 전압 크기 및 위상 정보를 추정하기 위한 전력 조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력 조류의 산출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계통 내의 각 기기의 정상 상태 조건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계통 내의 각 기기의 정상 상태 조건으로부터 상기 각 기기 별 선형화 모델을 도출하기 위한 계수 행렬(coefficient matrix)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계통 선로 정보 및 상기 스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모선 별 유입 전류의 변동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모선 별 유입 전류의 변동량을 산출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계통에 대한 상태공간 모델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계통에 대한 정상 모델에 기반하여 상기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실시간 계통 주파수 및 전압 변동 모델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계통 선로 정보는, 선로 토폴로지 정보 및 선로 임피던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기 정보는, 상기 계통을 구성하는 기기의 위치, 파라미터, 전력 발전, 및 소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정보는, 상기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을 위한 스위치 정보 및 각 스위치 별 동작 스케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모선 별 유입 전류의 변동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 전 제1 어드미턴스 행렬(admittance matrix)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 후 제2 어드미턴스 행렬(admittance matrix)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제1 어드미턴스 행렬 및 제2 어드미턴스 행렬에 기반하여 상기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 전과 후의 각 모선 별 유입 전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 전과 후의 각 모선 별 유입 전류에 기반하여, 상기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모선 유입 전류의 변동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계통에 대한 상태공간 모델을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계통 내의 각 기기 별 선형화 모델과 상기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모선 유입 전류의 변동량 모델을 결합함으로써, 상기 계통에 대한 상태공간 모델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계통에 대한 상태공간 모델의 출력 변수는, 상기 계통 네트워크의 토폴로지 재구성에 따른 실시간 계통 주파수의 변동량 및 모션 별 전압의 변동량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출력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실시간 계통 주파수 및 전압 변동량을 상기 전자 장치의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90165398A 2019-12-12 2019-12-12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실시간 계통 주파수 및 전압 변동 모델링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600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398A KR102600051B1 (ko) 2019-12-12 2019-12-12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실시간 계통 주파수 및 전압 변동 모델링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CT/KR2020/017901 WO2021118216A1 (ko) 2019-12-12 2020-12-09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실시간 계통 주파수 및 전압 변동 모델링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398A KR102600051B1 (ko) 2019-12-12 2019-12-12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실시간 계통 주파수 및 전압 변동 모델링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581A KR20210074581A (ko) 2021-06-22
KR102600051B1 true KR102600051B1 (ko) 2023-11-08

Family

ID=76330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398A KR102600051B1 (ko) 2019-12-12 2019-12-12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실시간 계통 주파수 및 전압 변동 모델링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00051B1 (ko)
WO (1) WO20211182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13422B (zh) * 2021-06-24 2023-03-14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基于拓扑结构的配电网线路损耗计算方法及相关装置
CN114050578B (zh) * 2022-01-07 2022-04-15 国网北京市电力公司 一种配电网在线潮流计算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5800322B (zh) * 2023-01-09 2023-07-04 西南大学 一种调频方法
CN116094169B (zh) * 2023-01-28 2024-04-12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连云港供电分公司 一种配电网拓扑模型生成方法及终端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0707A (ja) 2010-10-05 2012-04-19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設備データ推定装置
JP2014531889A (ja) 2011-09-14 2014-11-27 イスパノ・シユイザ Dc給電ネットワークの安定化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59852B2 (ja) * 2008-01-23 2012-01-25 三菱電機株式会社 系統安定化方法及び系統安定化装置
JP2010074995A (ja) * 2008-09-19 2010-04-02 Tokyo Univ Of Science 固有値推定装置、電力系統制御装置、電力系統予防制御装置、プラント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480534B1 (ko) * 2012-07-11 2015-01-08 한국전력공사 비상상태 전력 계통에서의 hvdc 계통 제어 시스템
KR20140032138A (ko) * 2012-09-06 2014-03-14 한국전력공사 배전계통의 구간부하 추정 장치 및 방법
KR102133159B1 (ko) * 2013-09-26 2020-07-13 한국전력공사 배전계통의 훈련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2020654B1 (ko) * 2018-01-05 2019-09-10 한국지역난방공사 전력계통 구성요소 모델링 및 빅데이터 처리를 통한 송전손실계수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0707A (ja) 2010-10-05 2012-04-19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設備データ推定装置
JP2014531889A (ja) 2011-09-14 2014-11-27 イスパノ・シユイザ Dc給電ネットワークの安定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18216A1 (ko) 2021-06-17
KR20210074581A (ko) 202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0051B1 (ko)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실시간 계통 주파수 및 전압 변동 모델링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Gu et al. Power system stability with a high penetration of inverter-based resources
Beerten et al. Identification and small-signal analysis of interaction modes in VSC MTDC systems
Karimi et al. Current sensor fault-tolerant control for WECS with DFIG
Rimorov et al. Quasi-steady-state approach for analysis of frequency oscillations and damping controller design
Nascimento et al. An adaptive overcurrent protection system applied to distribution systems
Yao et al. Efficient and robust dynamic simulation of power systems with holomorphic embedding
Peng et al. Distributed algorithm for optimal power flow on an unbalanced radial network
Venjakob et al. Setup and performance of the real-time simulator used for hardware-in-loop-tests of a VSC-based HVDC scheme for offshore applications
Zhou et al. A fast algorithm for identification and tracing of voltage and oscillatory stability margin boundaries
Abusalah et al. CPU based parallel computation of electromagnetic transients for large power grids
Yousefian et al. Hybrid energy function based real-time optimal wide-area transient stability controller for power system stability
Nguyen et al. Optimal design for control coordination of power system stabilisers and flexible alternating current transmission system devices with controller saturation limits
Haro-Larrode et al. Impact of proportional resonant controller parameters of VSC connected to AC grids with variable X/R characteristic on the small signal stability
Tremblay et al. Real-time simulation of a fully detailed type-IV wind turbine
El-Guindy et al. Formal LPV control for transient stability of power systems
Bolognani et al. A linear dynamic model for microgrid voltages in presence of distributed generation
Bernstein et al. Multiphase optimal and non-singular power flow by successive linear approximations
Bento et al. Design of Power Systems Stabilizers for distributed synchronous generators using Linear Matrix Inequality solvers
Segura et al. Generalised single-equation load flow method for unbalanced distribution systems
Borodulin Effect of numerical integration on critical time evaluation in power system stability studies
Rinaldi et al. Higher order sliding mode observers and nonlinear algebraic estimators for state tracking in power networks
Jain et al. Real-time simulation of IEEE 3-generator 9-bus system on miniature full spectrum simulator
Bian et al. Identification and improvement of probabilistic voltage instability modes of power system with wind power integration
Zhao et al. A novel SIME and sensitivity based model and algorithm of transient stability constrained optimal power fl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