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9932B1 - Non-woven structure of non-excavated liner for repairing drainpipes and non-excavated liner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 Google Patents

Non-woven structure of non-excavated liner for repairing drainpipes and non-excavated liner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9932B1
KR102599932B1 KR1020230043215A KR20230043215A KR102599932B1 KR 102599932 B1 KR102599932 B1 KR 102599932B1 KR 1020230043215 A KR1020230043215 A KR 1020230043215A KR 20230043215 A KR20230043215 A KR 20230043215A KR 102599932 B1 KR102599932 B1 KR 102599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er pipe
liner
pipe repair
nonwoven fabric
thermosetting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32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철환
김우진
정덕영
Original Assignee
김철환
김우진
정덕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환, 김우진, 정덕영 filed Critical 김철환
Priority to KR1020230043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93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932B1/en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9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8Tubula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32B2262/0284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or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경화성 수지를 균일하게 함침할 수 있도록 니들 펀칭 부직포 또는 서멀본딩 부직포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 제조용 부직포와 이를 이용한 열경화성 수지의 경화후 표면의 평활도가 우수한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 및 시공시 변형되거나 찢김없이 원형 그대로 보수대상의 하수관의 내부로 견인이 가능한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의 시공공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woven fabric for manufacturing a liner for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which is manufactured using needle-punched nonwoven fabric or thermal bonding nonwoven fabric to uniformly impregnate a thermosetting resin, and a nonwoven fabric for repairing trenchless sewer pipes that has excellent surface smoothness after curing of the thermosetting resin. This relates to a construction method for a liner for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that can be towed into the interior of the sewer pipe to be repaired in its original form without being deformed or torn during construction.

Description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 제조용 부직포와 이로부터 제조되는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 및 그 시공공법 { Non-woven structure of non-excavated liner for repairing drainpipes and non-excavated liner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Non-woven fabric for manufacturing non-excavated sewer pipe repair liners, non-excavated sewer pipe repair liners manufactured therefro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Non-woven structure of non-excavated liner for repairing drainpipes and non-excavated liner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its }

본 발명은 열경화성 수지를 균일하게 함침할 수 있도록 니들 펀칭 부직포 또는 서멀본딩 부직포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 제조용 부직포와 이를 이용한 열경화성 수지의 경화후 표면의 평활도가 우수한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 및 시공시 변형되거나 찢김없이 원형 그대로 보수대상의 하수관의 내부로 견인이 가능한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의 시공공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woven fabric for manufacturing a liner for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which is manufactured using needle-punched nonwoven fabric or thermal bonding nonwoven fabric to uniformly impregnate a thermosetting resin, and a nonwoven fabric for repairing trenchless sewer pipes that has excellent surface smoothness after curing of the thermosetting resin. This relates to a construction method for a liner for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that can be towed into the interior of the sewer pipe to be repaired in its original form without being deformed or torn during construction.

최근의 수돗물의 안전한 공급과 싱크홀 등으로 노후된 하수관으로의 정비수요가 많아지면서 노후된 하수관로를 쉽고 빠르게 정비·보수할 수 있는 시공공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하수관로와 같은 도시 기반시설의 정비와 보수는 교통장애를 최소화하고 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비굴착 공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As demand for maintenance of old sewer pipes increases due to the recent safe supply of tap water and sinkholes, interest in construction methods that can easily and quickly maintain and repair old sewer pipes is increasing. For the maintenance and repair of urban infrastructure such as sewer pipes, non-excavating methods are mainly used to minimize traffic obstacles and increase efficiency.

노후된 하수관으로의 비굴착 공법은 좁은 골목이나 교통이 혼잡한 시내에서 적은 예산을 투입해 빠르게 공사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점차로 그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를 사용하는 비굴착 공법은 지면의 굴착공사를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보수공사 시공기간이 단축되고, 교통장애와 굴착시의 안전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demand for non-dig construction methods for old sewer pipes is expected to gradually increase because construction can be carried out quickly with a small budget in narrow alleys or congested cities. In particular, the non-excavation method using a sewer pipe repair liner has the advantage of shortening the repair construction period because ground excavation work can be omitted, and preventing traffic disruptions and safety accidents during excavation.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를 사용하여 노후된 하수관을 보수하는 비굴착 공법은 통상 하수관으로의 내부를 준설 및 세정을 하는 1단계 공정, CCTV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연결관의 돌출부위 절단 및 관내 정밀조사를 하는 2단계 공정,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에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킨 후 이를 냉동차를 이용하여 현장으로 이동시키는 3단계 공정, 수압과 공기압 또는 견인공정을 통해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를 하수관 내로 삽입시키는 4단계 공정,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 내로 온수나 스팀 등을 주입하여 라이너 내에 함침된 열경화 수지를 열경화시키는 5단계 공정, 하수관 양측을 절단하고 입구를 정리하는 6단계 공정, 연결관을 개통하고 마무리 작업하는 7단계 공정 및 최종적으로 하수관을 최종 검사하는 8단계 공정으로 이루어진다.The non-excavating method of repairing old sewer pipes using a sewer pipe repair liner is usually a first-stage process of dredging and cleaning the inside of the sewer pipe, and a second process of cutting the protruding part of the connection pipe and conducting a detailed investigation of the pipe using CCTV cameras, etc. Step process, 3-step process of impregnating the sewer pipe repair liner with thermosetting resin and then moving it to the site using a refrigerated truck; 4-step process of inserting the sewer pipe repair liner into the sewer pipe through water pressure, air pressure, or traction process; sewer pipe repair A 5-step process of injecting hot water or steam into the liner to heat-cure the thermosetting resin impregnated within the liner, a 6-step process of cutting both sides of the sewer pipe and organizing the inlet, a 7-step process of opening and finishing the connection pipe, and the final process. It consists of an 8-step process that includes a final inspection of the sewer pipe.

이러한 비굴착식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에 관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66976호에는 파일이 형성된 벨루어조 니들펀칭 부직포층과, 상기 부직포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아크릴계 수지보강층과, 상기 아크릴계 수지보강층의 하부에 압출코팅되어 형성되는 폴리에틸렌층으로 이루어진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 제조용 벨루어조 니들펀칭 부직포 구조체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24377호에는 상부 웹과 하부 웹, 상기 상부 웹과 하부 웹의 사이에 구비되는 부직포 복합체 및 상기 부직포 복합체의 일측에 구비되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방수용 수지를 용융하여 코팅함으로써 형성되는 방수층을 포함하는 하수관 보수용 이방성 라이너가 개시되어 있다.Looking at the prior art regarding such a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466976 includes a velour-type needle-punched nonwoven fabric layer with piles formed, an acrylic resin reinforcement layer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and the above. A velor needle-punched non-woven fabric structure for manufacturing a sewer pipe repair liner consisting of a polyethylene layer formed by extrusion coating on the lower part of an acrylic resin reinforcement layer is disclosed,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324377 discloses an upper web, a lower web, and the upper web. An anisotropic liner for sewer pipe repair, including a non-woven composite provided between the and the lower web and a waterproof lay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non-woven composite and formed by melting and coating a waterproofing resin composed of polyethylene, polypropylene, or thermoplastic polyurethane. is disclosed.

종래의 비굴착식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는 부직포로 구성되는 수지보강층에 함침되는 열경화성 수지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T-die 등을 통해 열경화성 수지를 압출 및 코팅하여 코팅층을 형성하게 되나, 상기 코팅층에 의해 수지보강층의 하부까지 열경화성 수지의 균일한 함침이 어렵게 된다. Conventional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s form a coating layer by extruding and coating thermosetting resin through a T-die, etc. to prevent the flow of thermosetting resin impregnated in the resin reinforcement layer made of non-woven fabric. It becomes difficult to uniformly impregnate the lower part of the resin reinforcement layer with thermosetting resin.

이에 따라 상기 수지보강층에 함침된 열경화성 수지를 경화하게 되면 상기 수지보강층의 표면이 불균일하게 경화되고, 또한 상기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의 강도차이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Accordingly, when the thermosetting resin impregnated in the resin reinforcement layer is cured, the surface of the resin reinforcement layer is hardened unevenly, and a difference in strength of the sewer pipe repair liner occurs.

본 발명은 우수한 물성을 갖는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의 생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 제조용 부직포와, 상기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 제조용 부직포를 이용하여 부직포층에 열경화성 수지의 함침을 균일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부직포층의 봉제부에 부착하는 밀봉테이프의 부착공정을 생략함으로써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의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 제조용 부직포와 이로부터 제조되는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 및 그 시공공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n-woven fabric for manufacturing a sewer pipe repair liner that can facilitate the production of a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with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and a non-woven fabric for manufacturing a sewer pipe repair liner that can be used to uniformly impregnate the non-woven fabric layer with a thermosetting resin. A non-woven fabric for manufacturing a non-dig sewer pipe repair liner, which has the effect of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sewer pipe repair liner and increasing productivity by omitting the attachment process of a sealing tape attached to the sewing part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and a non-woven fabric therefrom The purpose is to provide a liner for repairing trenchless sewer pipe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 제조용 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 섬유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부직포로 제조될 수 있고, 상기 부직포는 니들 펀칭 부직포 또는 장섬유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nonwoven fabric for manufacturing a liner for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 may be made of a nonwoven fabric made of at least one of polypropylene fibers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s, and the nonwoven fabric is a needle-punched nonwoven fabric or a long fiber nonwoven fabric. It is desirable to b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 제조용 부직포는, 튜브형의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써, 제 1 필름층; 상기 제 1 필름층의 상부에 구비되는 부직포층; 상기 부직포층을 봉제하여 튜브형으로 형성하기 위한 봉제부; 및 상기 부직포층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 2 필름층;을 포함하고, 상기 부직포층은 상기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 의 시공두께에 따라 단독으로 구비되거나 또는 복수의 층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필름층 및 제 2 필름층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및 폴리프로필렌 필름 중 어느 하나의 폴리올레핀계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nonwoven fabric for manufacturing a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manufacturing a tubular sewer pipe repair liner, and includes a first film layer; A non-woven fabric layer provided on top of the first film layer; A sewing unit for sewing the non-woven fabric layer to form a tube shape; and a second film layer provided on top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wherein the non-woven fabric layer may be provided alone or in a plurality of layers depending on the construction thickness of the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The first film layer and the second film layer are preferably any one of a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a low-density polyethylene film, and a polypropylene film.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의 시공공법은, ⅰ) 보수대상의 하수관으로의 내부를 준설 및 세정을 하는 제 1단계; ⅱ)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에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킨 후 이를 냉동차를 이용하여 현장으로 이동시키는 제 2단계; ⅲ) 보수 대상의 하수관으로의 내측 하부에 제 1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를 삽입하는 제 3단계; ⅳ) 견인공정을 통해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와 상기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2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를 함께 상기 제 3 단계에서 보수대상의 하수관으로의 내측 하부에 삽입된 제 1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의 상부로 견인하는 제 4단계; ⅴ) 상기 제 1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 및 제 2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를 제거하는 제 5 단계; ⅵ) 상기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의 내부로 온수 또는 스팀을 주입하여 상기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를 팽창시키면서 함침된 열경화 수지를 경화시키는 제 6단계; ⅶ) 상기 보수대상의 하수관으로의 양측으로 돌출된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를 절단하는 제 7단계; ⅷ) 상기 보수대상의 하수관로를 개통하고 마무리 작업하는 제 8단계; 및 ⅸ) 최종적으로 보수대상의 하수관로를 최종 검사하는 제 9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liner for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 a first step of dredging and cleaning the inside of the sewer pipe to be repaired; ii) a second step of impregnating the liner for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with a thermosetting resin and then transporting it to the site using a refrigerated vehicle; iii) a third step of inserting the first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fabric sheet into the inner lower part of the sewer pipe to be repaired; iv) Repair in the third step together with a non-dig sewer pipe repair liner impregnated with a thermosetting resin through a traction process and a second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fabric sheet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thermosetting resin-impregnated non-dig sewer pipe repair liner. A fourth step of pulling to the top of the first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fabric sheet inserted into the inner lower part of the target's sewer pipe; v) a fifth step of removing the first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fabric sheet and the second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fabric sheet; vi) a sixth step of injecting hot water or steam into the interior of the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impregnated with the thermosetting resin to expand the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while curing the impregnated thermosetting resin; vii) a seventh step of cutting the non-dig sewer pipe repair liner protruding on both sides of the sewer pipe to be repaired; ⅷ) Step 8 of opening and finishing the sewer pipe subject to repair; and ix) a ninth step of finally inspecting the sewer pipe subject to repair.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 제조용 부직포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에 따르면, 상기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의 일측에 구비되는 부직포층에 열경화성 수지의 함침을 균일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경화후 표면이 평활하고, 강도가 우수한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의 시공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의 제조시 상기 부직포층의 봉제부에 부착하는 밀봉테이프의 부착공정이 불필요하여 상기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의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는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후에 보수대상의 하수관으로의 내부로의 원활하게 견인이 가능하고, 상기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의 변형없이 원형 그대로 보수대상의 하수관으로의 내부로의 견인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을 갖는다.According to the nonwoven fabric for manufacturing a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manufactured therefrom, the nonwoven fabric lay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can be uniformly impregnated with a thermosetting resin. This has the effect of enabling the construction of a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with a smooth surface after curing and excellent strength. In addition, when manufacturing the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the attachment process of a sealing tape attached to the sewing portion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is unnecessary, which has the effect of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and increasing productivity. . In particular, the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moothly pulled into the sewer pipe to be repaired after being impregnated with a thermosetting resin, without deforming the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impregnated with the thermosetting resin.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towed into the sewer pipe to be repaired in its original form.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의 모식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의 시공된 표면사진(a) 및 시공된 하수관로의 내측면 사진(b)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의 모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를 시공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liner for sewer pipe repai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photograph of the surface of a sewer pipe repair li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and a photograph of the inner side of a sewer pip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prior art (b);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liner for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rocess diagram for constructing a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have,” or “equipped with”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Additionally,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Below,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overall understanding whe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for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 제조용 부직포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의 모식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의 시공된 표면사진(a) 및 시공된 하수관로의 내측면 사진(b)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의 모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를 시공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Hereinafter, the nonwoven fabric for manufacturing a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100 manufactured therefro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1 attach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ewer pipe repair li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ure 2 is a photograph of the surface of the liner for repairing sewer pip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and a photograph of the inner side of the constructed sewer pipe (b). ,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liner for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process diagram for constructing a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 제조용 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이하 PP) 섬유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이하 PET) 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nonwoven fabric for manufacturing a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made of at least one of polypropylene (PP) fibers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bers.

상기 부직포는 연사, 제직, 편직 등의 공정을 거치지 않고 각종 섬유를 상호 특성에 따라 엉키게하여 시트(천) 모양의 웹(Web)을 형성하고 기계적, 물리적인 방법으로 결합시켜 만든 섬유제품으로 원료 선택이 다양하고 생산성이 높으며 후가공기술의 접목에 따라 독특한 기능을 부가할 수 있어 용도가 다양하고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The non-woven fabric is a textile product made by entangling various fibers according to their mutual characteristics to form a sheet (cloth)-shaped web and combining them by mechanical and physical methods without going through processes such as twisting, weaving, and knitting. It has a variety of uses, high productivity, and unique functions can be added by applying post-processing technology, so it has a variety of uses and can increase added value.

상기 PP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하나로 가볍고 유연한 특징을 갖고, 또한, PET는 투명도가 높고 단열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이다. 상기 PP 섬유와 PET 섬유는 상기 PP와 PET를 용융방사하여 제조할 수 있다. The PP is one of the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s and has light and flexible characteristics, and PET is a synthetic resin with high transparency and excellent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The PP fiber and PET fiber can be manufactured by melt spinning the PP and PET.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PP 섬유와 PET 섬유는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를 제조하기 위해 니들 펀칭 부직포 또는 장섬유 부직포로 제조될 수 있다. The PP fibers and PET fibers manufactured as above can be made into needle-punched nonwoven fabric or long-fiber nonwoven fabric to manufacture the liner for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부직포는 웹(Web) 형성 공정 및 웹 결합 공정을 거처 제조될 수 있고, 웹형성 방식에 따라 습식법 또는 건식법으로 구분될 수 있고, 또한 웹결합에 따라 니들펀칭(needle punching), 서멀본딩(thermal bonding), 멜트블로운(meltblown), 스펀레이스(spunlace), 스티치본딩(stitch bonding)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above nonwoven fabric can be manufactured through a web forming process and a web bonding process, and can be classified into a wet method or a dry method depending on the web forming method, and also needle punching and thermal bonding depending on the web bonding. It can be divided into thermal bonding, meltblown, spunlace, stitch bonding, etc.

즉, 니들 펀칭 부직포는 섬유를 특수바늘을 이용하여 펀칭함으로써 제조되는 부직포를 가리킨다. 섬유 시트가 여러 층으로 적층된 웹(web)을 상기 특수바늘을 이용하여 펀칭함으로써 부직포를 형성하며, 펀칭 회수나 특수바늘의 밀도등에 의하여 제조되는 부직포의 두께 등을 다양화할 수 있다.In other words, needle-punched non-woven fabric refers to a non-woven fabric manufactured by punching fibers using a special needle. Nonwoven fabric is formed by punching a web of several layers of fiber sheets using the special needle, and the thickness of the nonwoven fabric produced can be vari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punches or the density of the special needle.

또한 장섬유 부직포는 일정 길이를 갖는 단섬유가 아닌 장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부직포를 가리킨다. In addition, long fiber nonwoven fabric refers to a nonwoven fabric manufactured using long fibers rather than single fibers with a certain length.

상기 니들 펀칭 부직포는 복수의 층을 적층하여 사용이 가능하므로, 보수대상의 하수관로에 시공되는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의 시공두께의 조절이 용이한 특징을 갖는다. 또한, 장섬유 부직포는 표면이 평활하여 열경화성 수지의 경화후 이후에 설명하는 제 1 필름층(10)의 제거시 균일한 표면의 형성이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 제조용 부직포는 니들 펀칭 부직포 또는 장섬유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the needle-punched nonwoven fabric can be used by laminating multiple layers, it has the characteristic of being easy to adjust the construction thickness of the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100 installed in the sewer pipe to be repaired. In addition, the long-fiber nonwoven fabric has a smooth surface, enabling the formation of a uniform surface when the first film layer 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removed after curing of the thermosetting resi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use needle-punched non-woven fabric or long-fiber non-woven fabric as the non-woven fabric for manufacturing the liner for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 제조용 부직포는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는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 제조용 부직포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The nonwoven fabric for manufacturing the liner for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liner 100 for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nonwoven fabric for manufacturing the liner for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manufactured using

즉,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는 튜브형으로 제조되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필름층(10); 상기 제 1 필름층(10)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 제조용 부직포로 구성되는 부직포층(20); 상기 부직포층(20)을 봉제하여 튜브형으로 형성하기 위한 봉제부(50); 및 상기 부직포층(2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 2 필름층(3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liner 100 for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in a tubular shape and, as shown in FIG. 3, includes a first film layer 10; A non-woven fabric layer (20) provided on the first film layer (10) and made of non-woven fabric for manufacturing the sewer pipe repair liner; A sewing unit 50 for sewing the non-woven fabric layer 20 to form a tube shape; and a second film layer 30 provided on the non-woven fabric layer 20.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제 1 필름층(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Looking at this in detail, the first film layer 10 may be provided in a tube shape as shown in FIG. 3.

즉, 종래기술에 따른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열가소성 수지 즉, 폴리에틸렌을 T-die로 압출하면서 열 및 압력을 가하여 부직포로 구성되는 수지보강층(3)에 부착된 폴리에틸렌층(4)을 구비하게 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ure 1, the sewer pipe repair li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attached to the resin reinforcement layer 3 made of non-woven fabric by applying heat and pressure while extruding a thermoplastic resin, that is, polyethylene, with a T-die on the inside. A polyethylene layer (4) is provided.

이때, 상기 수지보강층(3)은 상기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의 시공두께에 따라 복수의 부직포층을 적층하여 형성하게 된다. 즉,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의 시공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단일의 부직포층을 구비할 수 있고,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의 시공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부직포층(3-1, 3-2, 3-3)을 적층하여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를 제조하여 시공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resin reinforcement layer 3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nonwoven fabric layers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thickness of the sewer pipe repair liner. That is, when the construction thickness of the sewer pipe repair liner is thin, a single non-woven fabric layer can be provided, and when the construction thickness of the sewer pipe repair liner is thick, a plurality of non-woven fabric layers (3-1, 3-2 and 3-3) are stacked to manufacture and construct a sewer pipe repair liner.

그런데 상기와 같이 폴리에틸렌층(4)의 형성시 가해지는 열과 압력에 의해 상기 수지보강층(3)이 압착되면서, 상기 수지보강층(3)을 구성하는 부직포의 밀도가 증가되게 된다. However, as the resin reinforcement layer 3 is compressed by the heat and pressure applied during the formation of the polyethylene layer 4 as described above, the density of the nonwoven fabric constituting the resin reinforcement layer 3 increases.

상기와 같이 수지보강층(3)을 구성하는 부직포의 밀도가 증가되면서 상기 수지보강층(3)을 복수의 부직포층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폴리에틸렌층(4)이 하부에 형성된 수지보강층(3-1)과 상기 폴리에틸렌층(4)을 구비하지 않는 수지보강층(3-2, 3-3)을 구성하는 부직포층 간의 밀도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폴리에틸렌층(4)을 구비하지 않는 수지보강층(3-2, 3-3)을 구성하는 부직포층은 밀도가 낮아 함침되는 열경화성 수지의 양이 증가된다. 반대로 폴리에틸렌층(4)이 하부에 형성된 수지보강층(3-1)은 상기 폴리에틸렌층(4)의 형성시 가해지는 열과 압력에 의해 상기 수지보강층(3)을 형성하는 부직포층의 밀도가 증가되어 함침되는 열경화성 수지의 양이 감소된다. 따라서 수지보강층(3)을 복수의 부직포층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상기 수지보강층(3)에 함침되는 열경화성 수지가 불균일하게 함침되게 된다. As the density of the non-woven fabric constituting the resin reinforcement layer 3 increase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sin reinforcement layer 3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non-woven fabric layers, the polyethylene layer 4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resin reinforcement layer 3-1. A difference in density occurs between the nonwoven fabric layers constituting the resin reinforcement layers (3-2, 3-3) that do not include the polyethylene layer (4). Accordingly, the non-woven fabric layer constituting the resin reinforcement layer (3-2, 3-3) without the polyethylene layer (4) has a low density, so the amount of impregnated thermosetting resin increases. On the other hand, the resin reinforcement layer (3-1) formed below the polyethylene layer (4) is impregnated by increasing the density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forming the resin reinforcement layer (3) due to the heat and pressure applied during the formation of the polyethylene layer (4). The amount of thermosetting resin is reduced. Therefore, when the resin reinforcement layer 3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nonwoven fabric layers, the thermosetting resin impregnated into the resin reinforcement layer 3 is unevenly impregnated.

상기와 같이 수지보강층(3)에 열경화성 수지가 불균일하게 함침되는 경우에 상기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를 하수관로에 투입하여 시공하게 되면, 상기 열경화성 수지가 경화된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의 강도가 불균일하게 경화될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thermosetting resin is unevenly impregnated into the resin reinforcement layer 3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wer pipe repair liner is put into the sewer pipe for construction, the strength of the sewer pipe repair liner in which the thermosetting resin has been cured may harden unevenly. there is.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폴리에틸렌층(4)은 수지보강층(3)에 함침되는 열경화성 수지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나, 상기 폴리에틸렌층(4)의 형성시 수지보강층(3)에 가해지는 열과 압력에 의해 수지보강층(3)의 두께를 따라 열경화성 수지가 불균일하게 함침될 수 있다. The polyethylene layer (4) provided as above is essential to prevent the flow of the thermosetting resin impregnated into the resin reinforcement layer (3), but when forming the polyethylene layer (4), the polyethylene layer (4) is applied to the resin reinforcement layer (3). The thermosetting resin may be unevenly impregnated along the thickness of the resin reinforcement layer 3 due to heat and pressure.

특히, 보수 대상의 하수관로에 시공되는 라이너의 시공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상기 수지보강층(3)을 구성하는 부직포층을 복수로 적층함으로써, 시공두께를 맞추어 시공하게 되나, 이와 같이 복수의 부직포층을 적층하여 제조된 라이너를 시공하게 되는 경우에는 적층되는 상기 폴리에틸렌층(4)을 하부에 구비하는 수지보강층(3-1)과 상기 폴리에틸렌층(4)을 구비하지 않는 수지보강층(3-2, 3-3)간의 밀도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지보강층(3)에 함침되는 열경화성 수지가 균일하게 함침되지 못하게 된다.In particular, when the construction thickness of the liner installed in the sewer pipe to be repaired is thick, the construction is performed to match the construction thickness by laminating a plurality of non-woven fabric layers constituting the resin reinforcement layer 3. In this way, a plurality of non-woven layers are laminated. When constructing a liner manufactured by lamination, a resin reinforcement layer (3-1) having the polyethylene layer (4) at the bottom and a resin reinforcement layer (3-2, 3-) not having the polyethylene layer (4) are laminated. 3) A difference in density occurs between the two. Accordingly, the thermosetting resin impregnated into the resin reinforcement layer 3 is not uniformly impregnated.

상기와 같이 열경화성 수지가 균일하게 함침되지 못하게 되면, 상기 열경화성 수지의 경화후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의 강도가 불균일하게 경화될 수 있다. If the thermosetting resin is not uniformly impregnated as described above, the strength of the sewer pipe repair liner may be hardened unevenly after curing of the thermosetting resi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부직포층(20)의 밀도를 불균일하게 할 수 있는 폴리에틸렌의 압출을 통해 형성되는 폴리에틸렌층(4)을 구비하지 않고, 대신에 도 3과 같이 부직포층(20)의 내측에 제 1 필름층(1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 polyethylene layer 4 formed through extrusion of polyethylene, which can make the density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20 non-uniform as described above, but instead has the non-woven fabric layer 20 as shown in FIG. 3.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first film layer 10 on the inside.

즉, 상기와 같이 압출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폴리에틸렌층(4)을 형성하지 않고 부직포층(20)에 함침되는 열경화성 수지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부직포층(20)의 내측에 제 1 필름층(10)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폴리에틸렌층(4)의 형성시 요구되는 열과 압력을 가하는 공정이 불필요하게 된다. That is, in order to prevent the flow of the thermosetting resin impregnated into the non-woven fabric layer 20 without forming the polyethylene layer 4 formed through the extrusion process as described above, a first film layer ( By providing 10), the process of applying heat and pressure required when forming the polyethylene layer 4 becomes unnecessary.

상기와 같이 부직포층(20)에 열과 압력을 가하는 공정이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상기 부직포층(20)을 복수로 구비하는 경우에도 상기 부직포층(20)의 밀도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유지됨으로써, 열경화성 수지의 함침이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 of applying heat and pressure to the non-woven fabric layer 20 becomes unnecessary, so that the density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20 is maintained uniformly throughout even when the non-woven fabric layer 20 is provided in plurality, so that the thermosetting resin Impregnation can be achieved uniformly.

또한, 통상적으로 하수관의 보수시 사용되는 열경화성 수지는 불포화 PET 수지를 주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 불포화 PET 수지는 자체적으로 점도가 높아 부직포층(20)에 함침이 어려울 수 있어, 상기 불포화 PET 수지의 점도를 낮추기 위하여 스티렌 모노머(Styrene monomer)를 추가하여 제조되고 있다. In addition, the thermosetting resin usually used for repairing sewer pipes is mainly unsaturated PET resin. The unsaturated PET resin itself has a high viscosity, so it may be difficult to impregnate the nonwoven fabric layer 20, so it is manufactured by adding styrene monomer to lower the viscosity of the unsaturated PET resin.

그런데, 상기와 같이 스티렌 모노머가 추가되어 제조된 불포화 PET 수지는 경화시 스팀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불포화 PET 수지의 경화시 스팀을 사용하게 되면, 200 내지 220 ℃에서 불포화 PET 수지의 경화반응이 수행되나, 상기 불포화 PET 수지에 포함된 스티렌 모노머의 휘발온도는 145 ℃ 이다. However, the unsaturated PET resin manufactured by adding styrene monomer as described above uses steam when curing. When steam is used to cure the unsaturated PET resin as described above, the curing reaction of the unsaturated PET resin is performed at 200 to 220°C, but the volatilization temperature of the styrene monomer contained in the unsaturated PET resin is 145°C.

따라서 상기와 같이 스팀을 이용하여 스티렌 모노머가 추가되어 제조된 불포화 PET 수지의 경화를 수행하게 되면, 스티렌 모노머의 휘발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unsaturated PET resin prepared by adding styrene monomer is cured using steam as described above, volatilization of the styrene monomer occurs.

이에 따라 상기 스티렌 모노머의 증기압이 시공시 라이너의 내측에 가해지는 시공압력보다 커지게 되면, 상기 불포화 PET 수지에 포함된 스티렌 모노머가 불포화 PET 수지의 외부로 휘발되어 배출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vapor pressure of the styrene monomer becomes greater than the construction pressure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liner during construction, the styrene monomer contained in the unsaturated PET resin is volatiliz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unsaturated PET resin.

이‹š, 상기 불포화 PET 수지의 경화속도가 매우 빠르거나, 또는 상기 불포화 PET 수지에 스티렌 모노머의 함유량이 많은 경우에는 불포화 PET 수지의 경화시 휘발되는 스티렌 모노머에 의해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의 내측 표면에 도 2와 같이 기포자국을 형성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발생하는 스티렌 모노머의 휘발에 의해 발생하는 기포자국에 의해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의 표면이 불균일하게 될 수 있다. In this case, if the curing speed of the unsaturated PET resin is very fast or the content of styrene monomer in the unsaturated PET resin is high, the styrene monomer volatilized during curing of the unsaturated PET resin may cause damage to the sewer pipe repair liner 100. The phenomenon of forming bubble marks on the inner surface as shown in Figure 2 may often occur. The surface of the sewer pipe repair liner may become uneven due to the bubble marks generated by the volatilization of the styrene monomer as described above.

상기와 같이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의 표면이 불균일하게 경화됨으로써, 도 2의 (a) 및 (b)와 같이, 보수대상의 하수관로의 내부에 시공된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의 표면이 전체적으로 불균일하게 경화될 수 있다. As the surface of the sewer pipe repair liner is hardened unevenly as described above, the overall surface of the sewer pipe repair liner installed inside the sewer pipe to be repaired may be hardened unevenly, as shown in Figures 2 (a) and (b). there is.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는 내측에 폴리에틸렌층(4)의 형성없이 시공후 제거되는 제 1 필름층(10)을 구비함으로써, 도 2와 같이 표면에 불균일하게 경화되는 현상이 사라지게 된다.However, the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film layer 10 that is removed after construction without forming a polyethylene layer 4 on the inside, so that it hardens unevenly on the surface as shown in FIG. 2. The phenomenon disappears.

즉, 본 발명에 따른 제 1 필름층(10)은 부직포층과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접착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상기 부직포층(20)에 함침된 열경화성 수지의 경화시 상기 부직포층(20)과 제 1 필름층(10)의 경계면에서 스티렌 모노머에 의한 기포발생이 없어 보수된 하수관의 내면을 균일한 상태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필름층(10)을 열경화성 수지가 경화된 후에 제거하게 되면, 보수된 하수관의 내면이 스티렌 모노머에 의한 기포발생없이 매끈한 상태로 보수가 가능하게 된다.That is, since the first film lay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hysically or chemically adhered to the nonwoven fabric layer, when the thermosetting resin impregnated in the nonwoven fabric layer 20 is cured, the nonwoven fabric layer 20 and the first film layer 10 are not physically or chemically bonded to the nonwoven fabric layer 20. 1 Since there is no bubble generation due to styrene monomer at the boundary of the film layer 10, the inner surface of the repaired sewer pipe can be formed in a uniform state. Additionally, if the first film layer 10 is removed after the thermosetting resin has hardened, the inner surface of the repaired sewer pipe can be repaired in a smooth state without generating bubbles due to styrene monomer.

상기와 같이 제 1 필름층(10)을 구비한 후에는 상기 제 1 필름층(10)의 상부에는 부직포층(20)을 구비하게 된다. After the first film layer 10 is provided as described above, the non-woven fabric layer 20 is provided on top of the first film layer 10.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부직포층(20)은 PP 섬유와 PET 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니들 펀칭 부직포 또는 장섬유 부직포로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woven fabric layer 20 may be composed of a needle-punched non-woven fabric or a long-fiber non-woven fabric made of one or more of PP fibers and PET fibers.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부직포층(20)은 이후에 열경화성 수지가 내부로 함침되어 상기 부직포층(20)의 내부에 형성된 공극(孔隙)을 메우게 된다. 이후에 상기 열경화성 수지가 경화됨으로써, 상기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부직포층(20)을 형성하게 된다. The nonwoven fabric layer 20 provided as described above is later impregnated with a thermosetting resin to fill the voids formed inside the nonwoven fabric layer 20. Afterwards, the thermosetting resin is cured to form a nonwoven fabric layer 20 containing the thermosetting resi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부직포층(20)은 열경화성 수지의 함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200 내지 900 g/㎡의 평량을 갖는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층(20)의 평량이 200 g/㎡ 미만인 경우에는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밀도가 낮아서 니들 펀칭 공정을 통한 섬유의 결속이 불완전하여 부직포의 제조가 불균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층(20)의 평량이 900 g/㎡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부직포의 제조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층(20)은 200 내지 900 g/㎡의 평량을 갖는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상기 부직포층(20)의 두께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제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woven fabric layer 20 may preferably be made of a non-woven fabric having a basis weight of 200 to 900 g/m2 to facilitate impregnation of the thermosetting resin. If the basis weight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20 is less than 200 g/m2, the density of the fibers constituting the non-woven fabric is low, so binding of the fibers through the needle punching process is incomplete, and thus the production of the non-woven fabric may be uneven. Additionally, if the basis weight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20 exceeds 900 g/m2, manufacturing the nonwoven fabric may be difficult. Therefore, the nonwoven fabric lay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of a nonwoven fabric having a basis weight of 200 to 900 g/m2, which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manufactured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20.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부직포층(20)은 보수대상의 하수관로에 시공되는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의 시공두께에 따라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복수의 층으로 형성하여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보수대상의 하수관로에 시공되는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의 시공두께가 작은 경우에는 부직포층(20)을 단일층으로 형성하여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의 시공두께가 큰 경우에는 상기 부직포층(20)을 복수로 구비함으로써, 상기 보수대상의 하수관로에 시공되는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의 시공두께에 맞추어 적절하게 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woven fabric layer 20 can be used alone or formed of multiple layers depending on the construction thickness of the sewer pipe repair liner 100 to be constructed in the sewer pipe to be repaired. That is, when the construction thickness of the sewer pipe repair liner 100 to be constructed in the sewer pipe to be repaired is small,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non-woven fabric layer 20 as a single layer and construct it, and the sewer pipe repair liner 100 In the case where the construction thickness is large, by providing a plurality of the non-woven fabric layers 20, the construction can be appropriate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thickness of the sewer pipe repair liner 100 to be constructed in the sewer pipe to be repaired.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부직포층(20)은 시트 형상의 부직포를 일정한 폭을 갖도록 재단하고, 상기 재단된 부직포의 양끝을 마주 놓은 상태에서 실을 사용하여 4~7 mm 간격으로 마주 놓인 부직포의 양끝이 연결되게 재봉하여 봉제부(5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봉제부(5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시트 형상의 부직포층(20)을 튜브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다. The non-woven fabric layer 20 provided as described above is made by cutting a sheet-shaped non-woven fabric to have a certain width, placing both ends of the cut non-woven fabric face to face, and using thread to separate the two ends of the non-woven fabric facing each other at intervals of 4 to 7 mm. The sewing portions are connected and sewn to form the sewing portion 50. By forming the sewing portion 50 as described above, the sheet-shaped nonwoven fabric layer 20 can be manufactured into a tube shap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봉제부(50)는 상기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의 직경에 따라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의 직경이 큰 경우에는 복수의 위치에 상기 봉제부(50)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의 직경이 작은 경우에는 단일 위치에 봉제부(50)를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wing portion 50 can be formed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sewer pipe repair liner 100. That is, when the diameter of the sewer pipe repair liner 100 is large, the sewing portion 50 can be form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and when the diameter of the sewer pipe repair liner 100 is small, it can be sewn at a single position. Unit 50 may be formed.

종래기술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제부(5)를 형성하여 수지보강층(3)을 튜브형상으로 제조한 후에는 폭 50 내지 100 mm의 밀봉테이프(6)를 상기 봉제부(5)의 상부에 열압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밀봉테이프(6)를 열압착함으로써, 상기 봉제부(50)를 통해 압력 또는 열경화성 수지가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 1, after forming the sewing portion 5 and manufacturing the resin reinforcement layer 3 in a tube shape, a sealing tape 6 with a width of 50 to 100 mm is applied to the sewing portion ( 5) It is heat-compressed at the top. By thermally compressing the sealing tape 6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pressure or thermosetting resin from leaking through the sewing portion 50.

즉, 상기 봉제부(5)의 상부에 밀봉테이프(6)를 열압착함으로써, 상기 봉제부(5)를 밀봉하게 된다. 상기 봉제부(5)를 밀봉함으로써, 공기압 또는 수압을 가하여 상기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를 보수대상의 하수관로의 내부로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봉제부(5)를 통해 열경화성 수지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sewing portion 5 is sealed by heat-compressing the sealing tape 6 on the upper part of the sewing portion 5. By sealing the sewing portion 5, the sewer pipe repair liner 100 can be inserted into the sewer pipe to be repaired by applying air or water pressure. Additional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rmosetting resin from leaking through the sewing portion 5.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의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제부(50)가 형성된 부직포층(20)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 1 필름층(10)은 수압 또는 공기압을 통해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를 하수관의 내부로 삽입시킬 때 밀봉하여 상기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를 보수대상의 하수관의 내측에 밀착시키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제부(50)가 형성된 부직포층(2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 2 필름층(30)은 상기 봉제부(50)를 밀봉하고, 또한 열경화성 수지의 오염 및 유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As shown in FIG. 3, the tubular sewer pipe repair li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film layer 10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20 on which the sewing portion 50 is formed, using water pressure or air pressure. When the sewer pipe repair liner 100 is inserted into the sewer pipe, it is sealed and the sewer pipe repair liner 10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sewer pipe to be repaire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second film layer 30 provided on the top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20 on which the sewing portion 50 is formed seals the sewing portion 50 and also prevents contamination of the thermosetting resin and It plays a role in preventing leakage.

즉, 본 발명에 따른 제 1 필름층(10)은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를 팽창시켜 보수대상의 하수관의 내측에 밀착시키게 되고, 제 2 필름층(30)은 상기 봉제부(50)를 밀봉하고 또한 함침되는 열경화성 수지의 오염 및 유출방지하는 역할을 위해 구비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film lay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pands the sewer pipe repair liner 100 to adhere closely to the inside of the sewer pipe to be repaired, and the second film layer 30 seals the sewing portion 50. It can be provided to seal and prevent contamination and leakage of the impregnated thermosetting resi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 필름층(10) 및 제 2 필름층(30)은 폴리올레핀계 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필름,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필름 및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필름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ilm layer 10 and the second film layer 30 can be made of polyolefin-based films, especially 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films and low-density polyethylene (Low-density polyethylene) films. It may be desirable to use either LDPE) film or polypropylene (PP) film.

이상과 같이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의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시공될 수 있다.The tubular sewer pipe repair li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constructed in the following manner.

즉,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를 사용하여 노후된 하수관(200)을 보수하는 시공공법은, ⅰ) 보수대상의 하수관(200)의 내부를 준설 및 세정을 하는 제 1단계; ⅱ)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에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킨 후 이를 냉동차를 이용하여 현장으로 이동시키는 제 2단계; ⅲ) 보수 대상의 하수관(200)의 내측 하부에 제 1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110)를 삽입하는 제 3단계; ⅳ) 견인공정을 통해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와 상기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2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120)를 함께 상기 제 3 단계에서 보수대상의 하수관(200)의 내측 하부에 삽입된 제 1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110)의 상부로 견인하는 제 4단계; ⅴ) 상기 제 1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110) 및 제 2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120)를 제거하는 제 5 단계; ⅵ) 상기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의 내부로 온수 또는 스팀을 주입하여 상기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를 팽창시키면서 함침된 열경화 수지를 경화시키는 제 6단계; ⅶ) 상기 보수대상의 하수관(200)의 양측으로 돌출된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를 절단하는 제 7단계; ⅷ) 상기 보수대상의 하수관(200)을 개통하고 마무리 작업하는 제 8단계; 및 ⅸ) 최종적으로 보수대상의 하수관(200)를 최종 검사하는 제 9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construction method of repairing an old sewer pipe 200 using the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 the first step of dredging and cleaning the inside of the sewer pipe 200 to be repaired; ; ii) a second step of impregnating the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100 with a thermosetting resin and then moving it to the site using a refrigerator; iii) a third step of inserting the first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fabric sheet 110 into the inner lower part of the sewer pipe 200 to be repaired; iv) A non-dig sewer pipe repair liner (100) impregnated with a thermosetting resin through a traction process and a second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sheet (120) provided on the lower part of the non-dig sewer pipe repair liner (100) impregnated with the thermosetting resin. ) together to the upper part of the first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fabric sheet 110 inserted into the inner lower part of the sewer pipe 200 to be repaired in the third step; v) a fifth step of removing the first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fabric sheet 110 and the second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fabric sheet 120; vi) A sixth step of curing the impregnated thermosetting resin while injecting hot water or steam into the interior of the liner 100 for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impregnated with the thermosetting resin to expand the liner 100 for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 vii) a seventh step of cutting the non-dig sewer pipe repair liner (100) protruding on both sides of the sewer pipe (200) to be repaired; ⅷ) Step 8 of opening and finishing the sewer pipe 200 to be repaired; and ix) a ninth step of finally inspecting the sewer pipe 200 to be repaired.

즉,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를 사용하여 노후된 하수관(200)을 보수하는 시공공법은 먼저 제 1 단계로서, 보수대상의 하수관(200)의 내부를 준설 및 세정을 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 1 단계는 보수대상의 하수관(200)의 내부에 존재하는 오염물 등을 제거하는 단계로서, 준설차 등을 이용하여 용수를 살포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construction method of repairing an old sewer pipe 200 using the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step, which involves dredging and cleaning the inside of the sewer pipe 200 to be repaired. The steps are performed. The first step is a step of removing contaminants present inside the sewer pipe 200 to be repaired, and can be performed by spraying water using a dredger or the like.

상기 제 1 단계를 수행한 후에는 제 2 단계로서,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에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킨 후 이를 냉동차를 이용하여 현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는 함침된 열경화성 수지의 경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냉동차 등을 이용하여 현장으로 이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fter performing the first step, the second step is to impregnate the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100 with a thermosetting resin and then move it to the site using a refrigerator. It is preferable that the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100 impregnated with the thermosetting resin as described above is transported to the site using a refrigerator or the like to prevent hardening of the impregnated thermosetting resin.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의 시공공법에서 제 3 단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수 대상의 하수관(200)의 내측 하부에 제 1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110)를 삽입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4, the third step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first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sheet 110 on the inner lower part of the sewer pipe 200 to be repaired. ) is performed.

상기 제 1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110)는 시공현장에서 윈치(winch)를 사용하거나 또는 보수대상의 하수관로의 내부를 관측하는 CCTV 로봇 등을 이용하여 삽입하게 된다. The first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sheet 110 is inserted at the construction site using a winch or a CCTV robot that observes the inside of the sewer pipe to be repaired.

상기와 같이 제 1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110)를 보수 대상의 하수관(200)의 내측 하부로 삽입하게 되면, 이후에 설명하는 제 4 단계에서 견인공정을 통해 삽입되는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2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120)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PET 장섬유 부직포 시트는 낮은 마찰계수를 나타내므로, 상기 제 1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110)와 접촉되는 제 2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120)는 용이하게 보수대상의 하수관(200)의 내측으로 견인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sheet 110 is inserted into the inner lower part of the sewer pipe 200 to be repaired, a thermosetting resin-impregnated non-excavating material is inserted through a traction process in the fourth step described later.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fabric sheet 120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sewer pipe repair liner 100. Since the PET long fiber nonwoven fabric sheet exhibits a low coefficient of friction, the second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fabric sheet 120 in contact with the first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fabric sheet 110 can be easily moved to the inside of the sewer pipe 200 to be repaired. can be towed.

즉, 종래기술에 따라 하수관로(200)를 비굴착으로 보수하는 경우에 상기 하수관로(200)의 내측에 돌출부가 있는 경우에는 견인시 상기 라이너(100)가 찢기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너(100)의 무게가 무거운 경우에는 견인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라이너(100)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sewer pipe 200 is repaired without digg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if there is a protrusion on the inside of the sewer pipe 200, the liner 100 may be torn when towed. Additionally, if the weight of the liner 100 is heavy, the liner 100 may be deformed due to external force applied during traction.

상기 제 3 단계를 수행한 후에는 제 4 단계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공정을 통해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와 상기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2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120)를 함께 상기 제 3 단계에서 보수대상의 하수관(200)의 내측 하부에 삽입된 제 1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110)의 상부로 견인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After performing the third step, as a fourth step, as shown in FIG. 4, a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100 impregnated with a thermosetting resin through a pulling process and a trenchless sewer pipe impregnated with the thermosetting resin are formed. The first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fabric sheet 110 inserted into the inner lower part of the sewer pipe 200 to be repaired in the third step together with the second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sheet 120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repair liner 100. ) is carried out to the upper part of the.

종래기술에 따른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는 보수대상의 하수관(200)의 내부로 삽입시 수압 또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반전삽입하거나 또는 견인공정을 통해 보수대상의 하수관(200)의 내부로 삽입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는 수압 또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반전삽입하지 않고, 견인공정을 통해 보수대상의 하수관(200)의 내부로 삽입하게 된다.When inserting the sewer pipe repair liner 100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to the sewer pipe 200 to be repaired, it is reversed using water pressure or pneumatic pressure, or is inserted into the sewer pipe 200 to be repaired through a traction process. do. The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serted reversely using water pressure or pneumatic pressure, but is inserted into the sewer pipe 200 to be repaired through a traction process.

상기 보수대상의 하수관(200)의 내측하부로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와 상기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2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120)를 견인하게 되면, 상기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와 상기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2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단계에서 삽입된 제 1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110)의 상부에 삽입되어 안착되게 된다. A non-dig sewer pipe repair liner (100) impregnated with a thermosetting resin on the inner lower part of the sewer pipe (200) to be repaired, and a second polyethylene provided on the lower part of the non-dig sewer pipe repair liner (100) impregnated with the thermosetting resin. When the long-fiber nonwoven fabric sheet 120 is towed, the thermosetting resin-impregnated non-dig sewer pipe repair liner 100 and the thermosetting resin-impregnated non-dig sewer pipe repair liner 100 are provided below. As shown in FIG. 4, the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fabric sheet 120 is inserted and seated on top of the first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fabric sheet 110 inserted in the third step.

상기와 같이 제 1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110)의 상부에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와 상기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2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120)가 안착되면, 상기 제 1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110)와 제 2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120)가 서로 접촉하게 되고, 상기 PET 장섬유 부직포 시트는 낮은 마찰계수를 나타내므로, 상기 제 1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110)와 접촉되는 제 2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120)는 용이하게 보수대상의 하수관(200)의 내측으로 견인될 수 있다. 즉,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상기 제 1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110)와 제 2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120)를 이용하여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를 하수관로(200)의 내측으로 견인함으로써, 종래기술과 같이 상기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가 찢기는 현상 및 변형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100 impregnated with a thermosetting resin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fabric sheet 110 and a bottom of the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100 impregnated with the thermosetting resin. When the second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fabric sheet 120 is seated, the first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fabric sheet 110 and the second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fabric sheet 12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PET long fiber nonwoven fabric sheet is Since it exhibits a low coefficient of friction, the second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fabric sheet 120 in contact with the first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fabric sheet 110 can be easily pulled to the inside of the sewer pipe 200 to be repaired. That is, the no-dig sewer pipe repair liner 100 impregnated with a thermosetting resin is installed in the sewer pipe 200 using the first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fabric sheet 110 and the second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fabric sheet 120 having a low coefficient of friction. ), it is possible to prevent tearing and deformation of the non-dig sewer pipe repair liner 100 as in the prior art.

상기 제 4 단계를 수행한 후에는 제 5 단계로서, 상기 제 1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110) 및 제 2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120)를 제거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 1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110) 및 제 2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120)는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를 보수대상의 하수관(200)의 내부로 용이하게 견인하기 위한 것이므로, 상기와 같이 제 4 단계를 통해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가 보수대상의 하수관(200)의 내부로 견인된 후에 상기 제 1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110) 및 제 2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120)는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fter performing the fourth step, the fifth step is to remove the first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fabric sheet 110 and the second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fabric sheet 120. The first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fabric sheet 110 and the second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fabric sheet 120 allow the thermosetting resin-impregnated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100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sewer pipe 200 to be repaired. Since it is for towing, the non-dig sewer pipe repair liner 100 impregnated with thermosetting resin through the fourth step as described above is towed to the inside of the sewer pipe 200 to be repaired, and then the first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fabric sheet ( 110) and the second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sheet 120 are preferably rem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 6 단계는 보수대상의 하수관(200)의 내부로 견인된 상기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의 내부로 온수 또는 스팀을 주입하여 상기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를 팽창시키면서 함침된 열경화 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제 6 단계에서 주입되는 온수 또는 스팀에 의해 상기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는 팽창되어 상기 보수대상의 하수관(200)의 내측에 밀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주입되는 온수 또는 스팀에 의해 상기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에 함침된 열경화성 수지의 경화반응이 진행된다.In addition, the sixth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ject hot water or steam into the interior of the thermosetting resin-impregnated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100, which is pulled into the interior of the sewer pipe 200 to be repaired, thereby forming the trenchless sewer pipe. A step of curing the impregnated thermosetting resin is performed while expanding the repair liner 100. That is, the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100 impregnated with the thermosetting resin is expanded by the hot water or steam injected in the sixth step and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sewer pipe 200 to be repaired. At this time, the curing reaction of the thermosetting resin impregnated in the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100 proceeds by the hot water or steam injected as described above.

상기 제6 단계를 수행한 후에는 제 7 단계로서, 상기 보수대상의 하수관(200) 양측으로 돌출된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를 절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절단공정은 상기 보수대상의 하수관(200)의 내부로 절단용 로봇을 투입하여 상기 보수대상의 하수관(200) 양측으로 돌출된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를 절단할 수 있다. After performing the sixth step, in the seventh step, the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100 protruding on both sides of the sewer pipe 200 to be repaired is cut. The cutting process as described above can be performed by inserting a cutting robot into the sewer pipe 200 to be repaired to cut the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100 protruding on both sides of the sewer pipe 200 to be repaired.

본 발명에 따른 제 8 단계는 상기 보수대상의 하수관(200)을 개통하고 마무리 작업하는 단계이며, 상기 제 8 단계 이후에는 제 9 단계로서 최종적으로 보수대상의 하수관(200)을 최종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9 단계는 상기 보수대상의 하수관(200)의 내부로 CCTV등을 투입하여 시공상태를 최종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The eighth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 of opening and finishing the sewer pipe 200 to be repaired, and after the eighth step, the ninth step is a final inspection of the sewer pipe 200 to be repaired. It can be included. In the ninth step, the construction status can be finally inspected by inserting CCTV into the sewer pipe 200 to be repaired.

상기와 같이 제 9 단계를 마치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의 시공을 마칠 수 있다.When the ninth step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construction of the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pleted.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 제조용 부직포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에 따르면, 상기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부직포층(20)에 열경화성 수지의 함침을 균일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표면이 평활하고, 강도가 우수한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의 시공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의 제조시 상기 부직포층(20)의 봉제부(50)에 부착하는 밀봉테이프의 부착공정이 불필요하여 상기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의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the nonwoven fabric for manufacturing a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100 manufactured therefrom, a thermosetting resin is added to the nonwoven fabric layer 2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wer pipe repair liner 100. The impregnation can be made uniform, which has the effect of enabling the construction of a sewer pipe repair liner 100 with a smooth surface and excellent strength. In addition, when manufacturing the sewer pipe repair liner 100, the attachment process of a sealing tape attached to the sewing portion 50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20 is unnecessary, thereby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ewer pipe repair liner 100 and increasing productivity.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의 시공공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를 보수대상의 하수관 내부로의 견인이 원활하게 된다. 즉, 상기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1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110)와 제 2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120)는 마찰계수가 작아 접촉시 작은 힘으로도 원활하게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를 보수대상의 하수관(200)의 내부로의 견인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100 impregnated with the thermosetting resin as described above can be smoothly pulled into the sewer pipe to be repaired. That is, the first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fabric sheet 110 and the second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fabric sheet 120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thermosetting resin-impregnated non-dig sewer pipe repair liner 100 have a small coefficient of friction, so when they contact, It is possible to smoothly pull the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100 impregnated with thermosetting resin into the interior of the sewer pipe 200 to be repaired with a small amount of force.

또한, 상기와 같이 제 1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110)와 제 2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120)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를 작은 힘으로 견인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100)가 국부적으로 변형되거나 찢김없이 원형 그대로 보수대상의 하수관(200)의 내부로의 견인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을 갖는다.In addition, by using the first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fabric sheet 110 and the second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fabric sheet 120 as described above, the non-dig sewer pipe repair liner 100 impregnated with the thermosetting resin can be pulled with a small force. This becomes possible, and as a result, the non-dig sewer pipe repair liner 100 impregnated with the thermosetting resi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pulled into the sewer pipe 200 to be repaired in its original form without being locally deformed or torn. .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험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험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xperimental example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xperimental examples are possible therefrom. Additionall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another specific form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tru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 : 제 1 필름층
20 : 부직포층
30 : 제 2 필름층
50 : 봉제부
100 :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
110 : 제 1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
120 : 제 2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
200 : 하수관로
10: first film layer
20: non-woven layer
30: second film layer
50: Sewing department
100: Liner for sewer pipe repair
110: 1st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fabric sheet
120: 2nd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fabric sheet
200: sewer pipe

Claims (6)

삭제delete 삭제delete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할 수 있는 부직포층에 코팅층이 없는 튜브형의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로서,
제 1 필름층;
상기 제 1 필름층의 상부에 구비되되, 폴리프로필렌 섬유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인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 제조용 부직포로 구성되는 부직포층;
상기 부직포층을 봉제하여 튜브형으로 형성하기 위한 봉제부; 및
상기 부직포층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 2 필름층;을 포함하되,
상기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 제조용 부직포는 니들 펀칭 부직포 또는 장섬유 부직포로서, 평량이 200 내지 900 g/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할 수 있는 부직포층에 코팅층이 없는 튜브형의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
A tubular sewer pipe repair liner with no coating layer on a non-woven fabric layer that can be impregnated with a thermosetting resin,
first film layer;
A non-woven fabric layer provided on the first film layer and composed of a non-woven fabric for manufacturing sewer pipe repair liners made of at least one of polypropylene fibers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s;
A sewing unit for sewing the non-woven fabric layer to form a tube shape; and
A second film layer provided on top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The nonwoven fabric for manufacturing the sewer pipe repair liner is a needle-punched nonwoven fabric or long-fiber nonwoven fabric, and is a tubular sewer pipe repair liner without a coating layer on the nonwoven fabric layer that can be impregnated with a thermosetting resin,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is weight is 200 to 900 g/m 2 .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층은 상기 튜브형의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의 시공두께에 따라 단독으로 구비되거나 또는 복수의 층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할 수 있는 부직포층에 코팅층이 없는 튜브형의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
In claim 3,
A tubular sewer pipe repair liner without a coating layer on a non-woven fabric layer capable of impregnating a thermosetting resin, wherein the non-woven fabric layer is provided alone or in multiple layers depending on the construction thickness of the tubular sewer pipe repair liner.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름층 및 제 2 필름층은 폴리올레핀계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할 수 있는 부직포층에 코팅층이 없는 튜브형의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
In claim 3,
A tubular sewer pipe repair liner without a coating layer on a non-woven fabric layer impregnable with a thermosetting resi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film layer and the second film layer are polyolefin-based films.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의 시공공법으로써.
ⅰ) 보수대상의 하수관의 내부를 준설 및 세정을 하는 제 1단계;
ⅱ)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에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킨 후 이를 냉동차를 이용하여 현장으로 이동시키는 제 2단계;
ⅲ) 보수 대상의 하수관의 내측 하부에 제 1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를 삽입하는 제 3단계;
ⅳ) 견인공정을 통해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와 상기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2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를 함께 상기 제 3 단계에서 보수대상의 하수관의 내측 하부에 삽입된 제 1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의 상부로 견인하는 제 4단계;
ⅴ) 상기 제 1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 및 제 2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시트를 제거하는 제 5 단계;
ⅵ) 상기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의 내부로 온수 또는 스팀을 주입하여 상기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를 팽창시키면서 함침된 열경화 수지를 경화시키는 제 6단계;
ⅶ) 상기 보수대상의 하수관의 양측으로 돌출된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를 절단하는 제 7단계;
ⅷ) 상기 보수대상의 하수관로를 개통하고 마무리 작업하는 제 8단계; 및
ⅸ) 최종적으로 보수대상의 하수관로를 최종 검사하는 제 9단계;를 포함하는 비굴착 하수관 보수용 라이너의 시공공법.

As a construction method for a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i) The first step of dredging and cleaning the inside of the sewer pipe to be repaired;
ii) a second step of impregnating the liner for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with a thermosetting resin and then transporting it to the site using a refrigerated vehicle;
iii) a third step of inserting the first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fabric sheet into the inner lower part of the sewer pipe to be repaired;
iv) Repair in the third step together with a non-dig sewer pipe repair liner impregnated with a thermosetting resin through a traction process and a second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fabric sheet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thermosetting resin-impregnated non-dig sewer pipe repair liner. A fourth step of pulling to the top of the first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fabric sheet inserted into the inner lower part of the target's sewer pipe;
v) a fifth step of removing the first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fabric sheet and the second polyethylene long fiber nonwoven fabric sheet;
vi) a sixth step of injecting hot water or steam into the interior of the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impregnated with the thermosetting resin to expand the trenchless sewer pipe repair liner while curing the impregnated thermosetting resin;
vii) a seventh step of cutting the non-dig sewer pipe repair liner protruding on both sides of the sewer pipe to be repaired;
ⅷ) Step 8 of opening and finishing the sewer pipe subject to repair; and
ⅸ) Construction method of a liner for non-dig sewer pipe repair, including the 9th step of final inspection of the sewer pipe to be repaired.

KR1020230043215A 2023-03-31 2023-03-31 Non-woven structure of non-excavated liner for repairing drainpipes and non-excavated liner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KR1025999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215A KR102599932B1 (en) 2023-03-31 2023-03-31 Non-woven structure of non-excavated liner for repairing drainpipes and non-excavated liner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215A KR102599932B1 (en) 2023-03-31 2023-03-31 Non-woven structure of non-excavated liner for repairing drainpipes and non-excavated liner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9932B1 true KR102599932B1 (en) 2023-11-09

Family

ID=88747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3215A KR102599932B1 (en) 2023-03-31 2023-03-31 Non-woven structure of non-excavated liner for repairing drainpipes and non-excavated liner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993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4813A (en) * 2003-02-19 2004-08-26 주식회사 동국하이텍 A process of preparing non-woven fabric used in repairing drainpipe
JP2004345112A (en) * 2003-05-20 2004-12-09 Takiron Co Ltd Pipe lining material
JP2014034127A (en) * 2012-08-07 2014-02-24 Sekisui Chem Co Ltd Lining materi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4813A (en) * 2003-02-19 2004-08-26 주식회사 동국하이텍 A process of preparing non-woven fabric used in repairing drainpipe
JP2004345112A (en) * 2003-05-20 2004-12-09 Takiron Co Ltd Pipe lining material
JP2014034127A (en) * 2012-08-07 2014-02-24 Sekisui Chem Co Ltd Lining materi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4270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pipe liner bag
US7891381B2 (en) Pipe and tube rehabilitation liners and corresponding resins
US6679966B1 (en) Liner with a tubular film that is coated with a nonwoven
DE69635678T2 (en) Pressure expandable tubular liner
US20080277012A1 (en) Reinforcing Liner
US5879778A (en) Strengthening of structural members
DE202010017654U1 (en) Lining material for sewer and / or piping and sewer and / or pipe lining
PL63997Y1 (en) Cured in place liner with integral inner impermeable layer and continuous method of manufacture
GB2113608A (en) Composite materials and internal lining sheaths for conduits or ducts made of such materials
KR102599932B1 (en) Non-woven structure of non-excavated liner for repairing drainpipes and non-excavated liner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JP6599320B2 (en) Lining hose for fluid transfer piping equipment
EP3174703A1 (en) Tubular liner for the rehabilitation of fluid-conducting pipeline systems
KR101466976B1 (en) Velour needle punching non-woven structure for manufacturing a liner and Liner using the same and its method
JP5763454B2 (en) Branch pipe lining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branch pipe lining method
KR102457749B1 (en) Non-excavation repair/reinforcement tube applied with coated fel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DE102014110930A1 (en) Lining hose for refurbishment of fluid-carrying piping systems
JP2012131218A (en) Lining material
KR102652114B1 (en) Liner tub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10024559A (en) Anisotropic liner used in mending water supply pipe and sewage pipe
KR102131501B1 (en) Liner tub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4560371B2 (en) Pipe lining material and pipe lining method
WO2013179442A1 (en) Lining material, method for manufacturing lining material, and lining method
KR20050016791A (en) A repairing tube for tap water pipeline and sewage pipeline by non-excavation type, and a process of preparing the same
KR101966106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ybrid reinforcing-repairing tube of water and sewage conduit using glass fiber
DE102013111092A1 (en) Lining hose for the refurbishment of fluid-carrying piping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