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9894B1 - A fecal image analysis system and a method therefor - Google Patents

A fecal image analysis system and a metho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9894B1
KR102599894B1 KR1020200087913A KR20200087913A KR102599894B1 KR 102599894 B1 KR102599894 B1 KR 102599894B1 KR 1020200087913 A KR1020200087913 A KR 1020200087913A KR 20200087913 A KR20200087913 A KR 20200087913A KR 102599894 B1 KR102599894 B1 KR 102599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tool
user
image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9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09572A (en
Inventor
김은선
이상수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소프트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소프트넷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87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894B1/en
Publication of KR20220009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95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894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38Devices for taking faeces samples; Faecal examina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2010/0003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including means for analysis by an unskilled pers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Nur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Analysi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대변 영상을 분석하여 대장 질환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대변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된 대변 영상을 전처리하는 전처리부, 상기 전처리된 대변 영상을 분석하여 대변 정보를 생성하는 대변 정보 생성부, 상기 생성된 대변 정보를 대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대변 정보 저장부 및 상기 대변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대변 정보를 분석하여 대장 질환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대변 영상 분석 시스템과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that provides information related to colonic disease by analyzing a user's stool image, comprising: an imaging unit for capturing a stool image, a preprocessing unit for preprocessing the captured stool image, and the preprocessed stool. A stool information generator that analyzes images to generate stool information, a stool information storage unit that stores the generated stool information in a stool information database, and a stool information storage unit that analyzes the stool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ol information storage unit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colon disease to the user. A stool image analysis system including an information provision unit provided to a user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re provided.

Description

대변 영상 분석 시스템 및 방법 {A fecal image analysis system and a method therefor}Fecal image analysis system and method {A fecal image analysis system and a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대변 영상 분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직접 촬영한 대변 영상을 분석하여 대변의 상태를 확인하고, 이를 기초로 대장 질환 관련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stool images, which analyzes stool images taken by the user to check the condition of the stool and provides information related to colon disease to the user based on this. will be.

본 발명은 산업통상자원부 및 산업기술평가원 바이오융합팀의 창의산업미래성장동력-PHR기반개인맞춤형건강관리시스템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03767, 과제명: 염증성장질환 개인주도형 라이프케어 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 플랫폼 개발 및 실증].The present invention was derived from research conducted as part of the creative industry future growth engine - PHR-based personalized health management system project of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nd the Bio Convergence Team of the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Project Management Number: 20003767, Project Name: Inflammatory Growth [Development and demonstration of a health management service platform tailored to individual-led disease life care].

염증성 장질환과 같은 대장 질환 환자가 늘어나면서, 대변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환자가 직접 본인의 대변 상태를 의료진에게 알려주고 이를 토대로 대장의 상태를 확인하고 적절한 처방을 하도록 하고 있다.As the number of patients with colonic diseases such as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creases, the need to continuously monitor the condition of stool is increasing. Therefore, in most cases, patients directly report the condition of their stool to the medical staff, and based on this, the condition of the large intestine is checked and appropriate prescriptions are prescribed.

종래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780128호, "영상 정보를 이용한 검변 시스템"은 변기에 설치되는 검변 시스템을 이용하여 대변의 영상을 촬영하고 이 정보를 수집하여 대변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건강상태를 진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rior art, Korean Patent No. 10-1780128, “Stool System Using Image Information,” uses a stool system installed in a toilet to take images of stool and collect this information to diagnose health conditions that can be confirmed from stool. It is to make it possible.

그러나, 이와 같은 시스템의 경우 환자가 주로 사용하는 화장실의 좌변기 등에 직접 시스템을 설치해야 하고, 해당 시스템이 설치된 좌변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만 검사가 가능하기 때문에, 염증성 장질환과 같이 지속적인 대변 상태 모니터링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활용하기가 어려웠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system, the system must be installed directly on the toilet seat of the restroom that the patient mainly uses, and testing is possible only when using the toilet seat on which the system is installed. Therefore, in cases such as inflammatory bowel disease that require continuous monitoring of stool status, In some cases, it was difficult to use.

특히, 집, 회사, 외부 화장실 등 다양한 화장실을 이용해야 하는 현대인의 특성을 고려할 때, 이와 같이 좌변기에 설치하는 검변 시스템보다는 다양한 환경에서 대변의 상태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이를 통합 분석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people who have to use various toilets such as at home, work, and outside toilets, a system that accurately recognizes the state of feces in various environments and analyzes it in an integrated way is better than a feces system installed on the toilet seat. It is being demanded.

한국등록특허 제10-1780128호Korean Patent No. 10-1780128

본 발명은 별도의 시스템을 변기에 설치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대변 상태를 지속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inuously monitor the user's stool status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system in the toile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다양한 화장실의 조도, 조명 색상 등을 고려하여 정확한 대변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ccurate monitoring of stool status by considering the illuminance and lighting color of various restrooms used by users.

본 발명은 자주 이용하는 화장실의 조도, 조명 색상 등에 대해 별도로 입력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대변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convenient monitoring of stool status without separately inputting the illuminance, lighting color, etc. of frequently used bathrooms.

본 발명은 대변과 함께 변기 물의 색상 정보를 추출하여, 혈변 여부 등을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xtract color information of toilet water along with stool to more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there is blood in the stool.

본 발명은 대변의 상태를 혈색소 수치 정보 등의 건강 정보와 연계하여 분석함으로써, 건강 상태를 정확하게 모니터링하고 이에 맞는 처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curately monitor health status and provide appropriate prescriptions by analyzing the status of stool in conjunction with health information such as hemoglobin level information.

본 발명은 영상을 통해 추출된 대변 분석 결과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을 통해 정확한 대변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고, 향후 대변 분석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ccurate stool analysis through user feedback on stool analysis results extracted through images, and to ensure that stool analysis can be performed accurately in the futur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변 영상 분석 시스템은 대변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된 대변 영상을 전처리하는 전처리부, 상기 전처리된 대변 영상을 분석하여 대변 정보를 생성하는 대변 정보 생성부, 상기 생성된 대변 정보를 대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대변 정보 저장부 및 상기 대변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대변 정보를 분석하여 대장 질환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ool image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for capturing a stool image, a preprocessing unit for preprocessing the captured stool image, and analyzing the preprocessed stool image to generate stool information. To include a stoo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a stool information storage unit that stores the generated stool information in a stool information database, and an information provider that analyzes the stool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ol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provides information about colon disease to the user. It can be configured.

이 때, 상기 대변 정보 생성부는 상기 대변 영상에서 대변 부분 및 변기 물 부분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대변 부분과 변기 물 부분을 각각 분석하여 상기 대변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ool information generator may be configured to extract the stool portion and the toilet water portion from the stool image, and generate the stool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extracted stool portion and the toilet water portion, respectively.

또한, 상기 대변 정보 생성부는 상기 추출된 대변 부분으로부터 대변 형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변기 물 부분으로부터 대변 색상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상기 대변 형태 정보 및 상기 대변 색상 정보를 포함하는 대변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o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generates stool shape information from the extracted stool portion, generates stool color information from the toilet water portion, and generates stool information including the stool shape information and the stool color information. It can be configured to do so.

또한, 본 발명의 대변 영상 분석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혈색소 수치 정보를 저장하는 혈색소 수치 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생성된 대변 색상 정보와 상기 혈색소 수치 정보의 상관관계를 계산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ol image analysi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hemoglobin level information storage unit that stores the user's hemoglobin level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calculates and provides a correlation between the generated stool color information and the hemoglobin level information. It can be configured.

또한, 상기 전처리부는 자주 이용하는 화장실의 조도 및 조명 색상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화장실 정보를 저장하는 화장실 정보 저장부, 상기 촬영부에서 대변 영상을 촬영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확인부 및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화장실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화장실 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조회된 화장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된 대변 영상의 밝기 및 색상을 조정하는 영상 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processing unit includes a restroom information storage unit that stores restroom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such as the illumination level and lighting color of frequently used restrooms, a location confirmation unit that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where the stool image was taken by the photographing unit, and the receive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image adjustment unit that searches restroom information stored in the restroom information storage unit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and adjusts the brightness and color of the captured stool image using the searched restroom information.

이 때, 상기 위치 확인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화장실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자주 이용하는 화장실 목록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 입력 받아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cation confirma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the user with a list of frequently used restrooms stored in the bathroom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by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rom the user.

또한, 상기 대변 정보 생성부는 하나 이상의 후보 대변 형태 및 후보 대변 색상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확인 받은 정보를 기초로 상기 대변 형태 및 색상을 확정하여 대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ol information generator extracts one or more candidate stool shape and candidate stool color information and provides them to the user, and determines the stool shape and color based on the information confirmed by the user to generate stool information. It can be configured.

이 때, 상기 대변 정보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확인 받은 정보를 기초로 상기 후보 대변 형태 및 후보 대변 색상 정보를 생성하는 로직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ool information generator may be configured to change the logic for generating the candidate stool shape and candidate stool color information based on information confirmed by the user.

또한, 상기 대변 정보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확인 받은 정보를 기초로 상기 화장실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화장실 정보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toilet information generator may be configured to change toilet information stored in the toilet information storage unit based on information confirmed by the user.

본 발명은 별도의 시스템을 변기에 설치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대변 상태를 지속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continuous monitoring of the user's stool status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system in the toile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다양한 화장실의 조도, 조명 색상 등을 고려하여 정확한 대변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ccurate monitoring of stool status by considering the illuminance and lighting color of various restrooms used by users.

본 발명은 자주 이용하는 화장실의 조도, 조명 색상 등에 대해 별도로 입력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대변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conveniently monitor stool status without separately inputting the illuminance and lighting color of frequently used bathrooms.

본 발명은 대변과 함께 변기 물의 색상 정보를 추출하여, 혈변 여부 등을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extracts color information of toilet water along with feces, making it possible to more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there is blood in the stool.

본 발명은 대변의 상태를 혈색소 수치 정보 등의 건강 정보와 연계하여 분석함으로써, 건강 상태를 정확하게 모니터링하고 이에 맞는 처방을 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state of stool in conjunction with health information such as hemoglobin level information, thereby enabling accurate monitoring of the health state and making appropriate prescriptions.

본 발명은 영상을 통해 추출된 대변 분석 결과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을 통해 정확한 대변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고, 향후 대변 분석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ccurate stool analysis through user feedback on stool analysis results extracted through images, and ensures that stool analysis can be performed accurately in the fu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변 영상 분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변 영상 분석 시스템에서 대변 부분과 변기 물 부분을 추출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변 영상 분석 시스템에서 저장한 화장실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변 영상 분석 시스템에서 후보 대변 형태 및 후보 대변 색상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변 영상 분석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tool image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extracting the feces portion and the toilet water portion in the feces image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oilet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ol image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that provides candidate stool shape and candidate stool color information in the stool image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low chart showing the flow of a stool image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구체적인 수치는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에 의하여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아니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dditionally, i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numbers are only examples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본 발명에 따른 대변 영상 분석 시스템(101)은 중앙처리장치(CPU) 및 메모리(Memory, 기억장치)를 구비하고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하여 다른 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서버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중앙처리장치 및 메모리 등의 구성에 의해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더 탐색 시스템은 물리적으로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복수의 장치에 분산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어,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물리적인 장치의 구성에 의하여 한정되지 아니한다.The stool image analysis system 10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erver equipped with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d memory (memory) and connectable to other terminals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memory. Additionally, the folder searc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hysically configured as a single device, or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form across multiple device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configuration of such physical device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변 영상 분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tool image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대변 영상 분석 시스템(101)은 촬영부(110), 전처리부(120), 대변 정보 생성부(130), 대변 정보 저장부(140), 정보 제공부(150), 혈색소 수치 정보 저장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전처리부(120)는 화장실 정보 저장부(121), 위치 확인부(122), 영상 조정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물리적으로 동일한 컴퓨터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일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 2개 이상으로 분리된 컴퓨터 시스템이 서로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형태일 수 있는데, 동일한 기능을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형태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The stool image analysis system 10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ing unit 110, a preprocessing unit 120, a stoo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30, a stool information storage unit 140,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and hemoglobin level informati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torage unit 160, and in this case, the pre-processing unit 1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athroom information storage unit 121, a location confirmation unit 122, and an image adjustment unit 130. Each component may be a software module that operates within the same physically computer system, or may be configured so that two or more physically separated computer systems can operat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and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The embodim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촬영부(110)는 대변 영상을 촬영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대변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하여 변기에 다양한 검변 시스템을 설치해야 하였는데, 본 발명에서는 휴대전화 등과 같이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에 부착된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손쉽게 변기 내 대변 영상을 촬영하여 이를 분석하도록 할 수 있다.The imaging unit 110 captures images of stool. In the prior art, various feces systems had to be installed in the toilet to monitor the condition of feces,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images of feces in the toilet can be easily captured using a camera module attached to a terminal carried by the user, such as a mobile phone. You can have it analyzed.

촬영부(110)에서 촬영되는 대변 영상은 변기 안쪽의 변기 물과 대변을 포함하는 영상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대변의 상태와 색상 등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동일한 대변이라고 하더라도, 화장실의 조도, 조명 색상 등의 정보에 따라서 다르게 인식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확인하여 영상을 처리하는 기술이 필요하다.The feces image captured by the imaging unit 110 may be an image containing toilet water and feces inside the toilet,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condition and color of the feces. However, even if it is the same stool, it may be recognized differently depending on information such as the illumination level of the bathroom and the color of the lighting, so technology to confirm this and process the image is needed.

전처리부(120)는 상기 촬영된 대변 영상을 전처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화장실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를 통해 동일한 대변 정보를 추출해 내기 위해서는 화장실별로 상이한 조도나 조명 색상을 고려하여 영상을 전처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아침에 이용한 화장실은 밝은 조도의 백색 계열의 조명으로 되어 있었으나, 오후에 이용한 화장실은 어두운 조명의 노란색 계열의 조명으로 되어 있다고 하면, 오후에 촬영한 대변 영상이 더 어둡고 진하게 나타나, 혈변 정도를 더 심각하게 인식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The preprocessing unit 120 preprocesses the captured stool image.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extract the same stool information from image information captured in various restrooms, it is necessary to pre-process the images by taking into account different illuminance or lighting colors for each restroom. For example, if the bathroom the user used in the morning was brightly lit with white lighting, but the bathroom they used in the afternoon was dimly lit with yellow lighting, the stool image captured in the afternoon would appear darker and darker. , there may be a problem of recognizing the degree of bloody stool as more serious.

따라서, 전처리부(120)는 사용자가 일상 생활 속에서 다양한 화장실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화장실의 조명 특성에 관계 없이 일관된 분석 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화장실 정보 저장부(121), 위치 확인부(122) 및 영상 조정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processing unit 120 includes the toilet information storage unit 121, the location confirmation unit 122, and It may include an image adjustment unit 123.

화장실 정보 저장부(121)는 자주 이용하는 화장실의 조도 및 조명 색상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화장실 정보를 저장한다. 사용자가 다양한 화장실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집이나 회사 등 주로 사용하는 화장실이 있는 경우가 많고, 이 화장실에 대해서는 조도나 조명 색상이 일정하기 때문에, 동일한 화장실을 방문했을 때는 동일한 정도의 전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restroom information storage unit 121 stores restroom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such as illuminance and lighting color of frequently used restrooms. Even when users use various restrooms, there is often a restroom that they mainly use, such as at home or work, and the illuminance or lighting color is constant for these restrooms, so it is recommended to perform the same level of pretreatment when visiting the same restroom. possible.

따라서, 화장실 정보 저장부(121)에서는 화장실별 조도, 조명 색상 등 전처리를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해 두고, 사용자가 해당 화장실을 이용한 경우, 해당 정보를 활용하여 전처리를 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the restroom information storage unit 121 stores information necessary for preprocessing, such as illuminance and lighting color for each restroom, and allows preprocessing to be performed using the information when the user uses the restroom.

위치 확인부(122)는 촬영부(110)에서 대변 영상을 촬영한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전화 등과 같은 휴대용 기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경우, 해당 기기에서 인식하는 위치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는데, 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대변 영상을 촬영할 때에 어느 화장실에서 촬영을 했는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서, 상기 화장실 정보 저장부(121)에 저장된 정보를 조회하여 이를 기초로 촬영된 대변 영상을 전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The location confirmation unit 122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where the stool image was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10. As described above, when filming using the camera of a portab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location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device can be received. This information can be used to determine which bathroom the user is filming in when filming a stool video. Since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whether the toilet information storage unit 121 has been used,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toilet information storage unit 121 can be searched and the captured stool image can be preprocessed based on this.

영상 조정부(123)는 위치 확인부(122)에서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초로 화장실 정보 저장부(121)에 저장된 화장실 정보를 조회하고, 조회된 화장실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부(110)에서 촬영된 대변 영상의 밝기 및 색상을 조정한다.The image adjustment unit 123 searches the restroom information stored in the restroom information storage unit 121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osition confirmation unit 122, and uses the searched restroom information to captur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10. Adjust the brightness and color of the stool image.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휴대전화 등을 통하여 확인되는 위치정보를 기초로 전처리하기 위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화장실에 대해서는 초기에 화장실 정보를 확인할 경우, 전처리를 위한 별도의 추가 정보 없이도 정확한 영상 분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information for pre-processing can be obtaine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confirmed through the user's mobile phone, etc., when the bathroom information is initially checked for a restroom frequently used by the user, a separate addition for pre-processing is required. It can enable accurate image analysis even without information.

전처리부(120)는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화장실에 대해서 별도의 동작 없이도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preprocessing unit 120 uses these components to perform preprocessing to enable accurate analysis of restrooms frequently used by users without any additional operation.

전처리부(120)에서 화장실 정보 저장부(121)를 조회하였는데, 사용자가 촬영한 위치에 대응되는 화장실에 대한 정보가 없는 경우, 사용자 이외의 다른 사용자가 저장한 화장실 정보를 조회하여 조도 및 조명 색상 등의 정보를 공유하도록 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가 이용한 정보도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와 같은 정보를 초기에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The pre-processing unit 120 searches the bathroom information storage unit 121, and if there is no information about the bathroom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taken by the user, the bathroom information stored by users other than the user is searched to determine the illuminance and lighting color. Information such as such can be shared, and if information used by other users is not stored, a process can be carried out to initially obtain such information.

전처리부(120)에서는 위치 정보를 기초로 조회되는 화장실 정보가 없는 경우, 변기 위쪽 등과 같이 흰색으로 조명에 드러난 부분을 상기 촬영부(110)를 이용하여 촬영하도록 하여,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조도 및 조명 색상 정보를 추출하고, 현재의 위치정보와 함께 이를 화장실 정보 저장부(121)에 저장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re is no restroom information searche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the pre-processing unit 120 uses the photographing unit 110 to photograph a white illuminated area, such as the top of the toilet, and analyzes the photographed image to determine the illuminance. and lighting color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and stored in the bathroom information storage unit 121 along with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전처리부(120)는 이와 같은 프로세스를 통해 사용자가 처음 방문하는 화장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화장실 정보 저장부(121)에 저장함으로써, 다시 이용할 때에는 별도의 동작 없이도 편리하게 전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rough this process, the pre-processing unit 120 can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restroom that the user visits for the first time, and by storing this in the restroom information storage unit 121, pre-processing is conveniently performed without any additional operation when using it again. You can let it go.

대변 정보 생성부(130)는 상기 전처리된 대변 영상을 분석하여 대변 정보를 생성한다. 이를 위하여 대변 정보 생성부(130)는 전처리부(120)에서 전처리된 대변 영상으로부터 대변 부분 및 변기 물 부분을 추출하고, 추출된 대변 부분과 변기 물 부분을 각각 분석하여 대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stool information generator 130 analyzes the preprocessed stool image and generates stool information. To this end, the stool information generator 130 extracts the stool portion and the toilet water portion from the stool image preprocessed by the preprocessor 120, and analyzes the extracted stool portion and the toilet water portion respectively to generate stool information. .

대변 정보 생성부(130)는 추출된 대변 부분으로부터 대변 형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변기 물 부분으로부터 대변 색상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대변 형태 정보 및 대변 색상 정보를 포함하는 대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stool information generator 130 may generate stool shape information from the extracted stool portion and generate stool color information from the toilet water portion, thereby generating stool information including the generated stool shape information and stool color information. there is.

대변 정보 생성부(130)에서 대변 부분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영상처리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데, 딥러닝 등의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영상 내의 오브젝트를 분리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적용될 수 있다. 추출되는 대변 부분의 윤곽선 정보를 이용하면 대변 형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데, 대변 형태 정보는 사용자 및 의료진이 인식할 수 있도록 정상변, 설사, 점액변 등과 같이 정해진 카테고리 중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In order to extract the stool portion from the stool information generator 130, various image processing methods can be applied. Various techniques for separating objects in the image can be applie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such as deep learning. Using the outline information of the extracted stool portion, stool shape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The stool shape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representing one of the designated categories such as normal stool, diarrhea, mucous stool, etc. so that users and medical staff can recognize it.

대변 정보 생성부(130)에서 변기 물 부분을 분석하여 붉은 빛의 성분이 어느 정도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게 되면, 변의 혈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 대변 정보 생성부(130)는 변기 물 부분에서 대변 부분과 가까운 부분과 멀리 떨어진 부분을 복수의 단계로 구분해 두고 각 단계별 색상 정보를 추출하여 대변 색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When the stoo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30 analyzes the water portion of the toilet bowl and determines the extent to which red components are contained,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stool is bloody. For accurate analysis, the stool information generator 130 can extract stool color information by dividing the portion near and far from the stool portion of the toilet water portion into a plurality of stages and extracting color information at each stage.

대변 정보 생성부(130)에서 대변 색상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서 변기 물 부분을 분석할 수도 있지만, 대변 부분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대변 색상을 확인하고, 혈변의 정도를 확인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 등에 따라서 색상이 달라질 수 있어서, 변기 물 부분에서 인식되는 색상 정보와 함께 보충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ool information generator 130 may analyze the water portion of the toilet bowl to generate stool color information, but may also analyze the stool portion to confirm the color of the stool and the degree of bloody stool based on this. However, in this case, the color may vary depending on the food consumed by the user, so it is desirable to use it supplementary with the color information recognized in the toilet water.

대변 정보 생성부(130)는 분석된 대변 형태 정보와 대변 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후보 대변 형태 및 후보 대변 색상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대변 정보 생성부(130)에서 생성된 대변 정보가 100%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한 것과 실제 분석된 결과가 일치하는지 사용자가 검증하도록 함으로써, 분석의 정확도를 높이고, 이 피드백 정보를 딥러닝 학습 데이터 등으로 이용함으로써, 사용할수록 분석의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The stool information generator 130 may extract one or more candidate stool shape and candidate stool color information using the analyzed stool shape information and stool color information and provide the information to the user. Since the stool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tool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30 may not be 100% accurate, the accuracy of analysis is improved by allowing the user to verify whether what the user sees with the naked eye matches the actual analysis result, and this feedback information is us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analysis. By using it as deep learning training data,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ccuracy of analysis the more it is used.

대변 정보 생성부(130)는 사용자로부터 확인 받은 정보로 대변 형태 및 대변 색상을 확정하고, 이 정보를 기초로 후보 대변 형태 및 후보 대변 색상 정보를 생성하는 로직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로직이라고 하는 것은 룰 기반(Rule-based)의 생성 로직에 직접 반영되도록 하는 것일 수도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딥러닝 등의 학습 기반의 인공지능 모델에 학습 데이터로 활용하여 분석 결과를 개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ool information generator 130 may determine the stool shape and stool color using information confirmed by the user, and change the logic for generating the candidate stool shape and candidate stool color information based on this information. Here, logic may be reflected directly in rule-based generation logic, or,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used as learning data in learning-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such as deep learning to improve analysis results. It can be included.

대변 정보 생성부(130)는 사용자로부터 확인 받은 정보를 기초로 화장실 정보 저장부(121)에 저장된 화장실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화장실 정보 저장부(121)에는 화장실의 조도 정보 및 조명 색상 정보가 저장되는데, 초기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가 잘못 저장되었거나, 변경되는 경우 전처리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대변 정보 생성부(130)에서 확인 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전처리가 잘못되는 부분을 인식하고, 이를 바로잡을 수 있도록 화장실 정보를 변경함으로써, 이후의 분석 과정에서 분석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The stool information generator 130 may change the bathroom information stored in the bathroom information storage unit 121 based on information confirmed by the user. The bathroom information storage unit 121 stores illuminance information and lighting color information of the bathroom. If the initially stored information is incorrectly stored or changed, the preprocessing effect may be reduced. In this case, by using the information confirmed by the stool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30, the pre-processing error is recognized and the toilet information is changed to correct it, thereby improving the analysis accuracy in the subsequent analysis process. .

대변 정보 저장부(140)는 상기 생성된 대변 정보를 대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상기 대변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대변의 형태 및 색상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색상 정보를 기초로 한 혈변의 정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ol information storage unit 140 stores the generated stool information in a stool information database. As described above, the stool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the shape and color of the stool, and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degree of bloody stool based on the color information.

대변 정보 저장부(140)에서 사용자가 촬영할 때마다 인식된 대변 정보를 대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되면, 환자의 대변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의료진이 진단 및 처방을 하는데 근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염증성 장질환 등과 같은 대장 질환의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When the stool information storage unit 140 stores the recognized stool information in the stool information database every time the user takes a picture, the stool status of the patient can be continuously monitored and used as evidence for medical staff to make diagnoses and prescriptions. This can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for colon diseases such as inflammatory bowel disease.

대변 정보 저장부(140)에서 대변 정보를 저장하는 대변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대변 영상 분석 시스템(101)의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고, 의료기관 등에 위치하는 외부 서버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양 쪽에 모두 정보가 저장되도록 구현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구현 형태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stool information database that stores stool information in the stool information storage unit 140 may be located inside the stool image analysis system 101 or may be located on an external server located at a medical institution, etc., and information is stored on both sides. It can be implemented as possib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is implementation form.

정보 제공부(150)는 상기 대변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대변 정보를 분석하여 대장 질환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대장 질환은 염증성 장질환 이외에도 다양한 대장 관련 질환일 수 있는데, 사용자는 이 분석 정보를 이용하여 식이습관 조절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분석된 정보는 환자와 연계된 의료진에게 제공되어, 의료진이 환자의 상태를 진단하고, 이를 토대로 약품 처방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provider 150 analyzes the stool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ol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provides information about colon disease to the user. The colon disease may be a variety of colon-related diseases in addition to inflammatory bowel disease, and the user can use this analysis information to control eating habits. In addition, the analyzed information is provided to medical staff linked to the patient, so that the medical staff can determine the patient's condition. It can be used as a basis for diagnosing the condition and prescribing medication based on this.

혈색소 수치 정보 저장부(160)는 상기 사용자의 혈색소 수치 정보를 저장한다. 정보 제공부(150)는 대변 색상 정보를 분석하면서, 환자의 다양한 상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데, 특히 혈변의 경우 혈색소 수치 정보와 관련성이 높기 때문에, 대변 색상 정보와 혈색소 수치 정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사용자 또는 의료진에게 제공함으로써, 치료의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할 수 있다.The hemoglobin level information storage unit 160 stores the user's hemoglobin level information. The information provider 150 can utilize various status information of the patient while analyzing the stool color informatio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bloody stool, it is highly correlated with the hemoglobin level information, so it analyz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ool color information and the hemoglobin level information. By providing it to users or medical staff, the effect of treatment can be maximized.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변 영상 분석 시스템에서 대변 부분과 변기 물 부분을 추출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extracting the stool portion and the toilet water portion in the stool image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대변을 마친 후 변기 내부의 대변 영상을 촬영하게 되면, 대변 부분(210)과 변기 물 부분(220)을 구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석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영상 처리를 위한 다양한 기법을 활용하여 진행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구체적인 영상 처리 방법에 따라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s shown in the figure, when a user takes an image of the stool inside the toilet after completing a bowel movement, the stool portion 210 and the toilet water portion 220 can be distinguished. Such analysis can be performed using various techniques for image processing, as described abov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such specific image processing methods.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변 영상 분석 시스템에서 저장한 화장실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oilet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ol image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화장실에 대한 화장실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조명 등의 영향에 관계 없이 정확한 대변 영상 분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by storing restroom information about the restroom that the user mainly uses, accurate stool image analysis can be performed regardless of the influence of lighting, etc.

종래 기술에서는 좌변기에 검변 시스템을 설치하는 형태로 대변 분석이 이루어졌는데, 이 경우에는 동일한 조건 하에서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조명이 함께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지정된 화장실에서만 분석이 가능하여, 다양한 곳을 이용해야 하는 사용자들의 대변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In the prior art, stool analysis was performed by installing a feces system on a toilet seat. In this case, in most cases, lighting was installed together to ensure that the analysis could be performed under the same conditions. However,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analysis was only possible in designated restrooms, making it difficult to continuously monitor the stool status of users who had to use various places.

따라서, 다양한 화장실들의 화장실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사용자가 이용하는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해당 화장실의 조도 정보와 조명 색상 정보를 저장해 두고, 이를 기초로 영상을 전처리함으로써, 화장실의 조도에 따라 동일한 대변이 다르게 분석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Therefore, by creating a database of bathroom information of various restrooms, the illuminance information and lighting color information of the bathroom are stor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used by the user, and the image is preprocessed based on this, so that the same stool can be display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illuminance of the restroom. The problem being analyzed can be solved.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화장실 정보는 화장실에 대한 구체적인 위치 정보와 함께 조도 정보, 조명 색상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빈도에 대한 정보도 저장하여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 화장실 정보는 개인정보 보호 등의 문제로 사용자 별로 안전하게 저장되도록 할 수 있는데, 필요한 화장실 정보가 없는 경우, 다른 사용자의 화장실 정보에서 조도 및 조명 색상 정보만을 비식별화하여 조회하여 활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As shown in the drawing, restroom information may include illuminance information, lighting color information, etc. along with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restroom, and information on the frequency of frequent use by the user may also be stored and utilized. This restroom information can be stored safely for each user due to issues such as privacy protection. If the necessary restroom information is not available, it is also possible to de-identify the illuminance and lighting color information from other users' restroom information and use it by searching. do.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변 영상 분석 시스템에서 후보 대변 형태 및 후보 대변 색상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that provides candidate stool shape and candidate stool color information in the stool image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대변 영상 분석 시스템에서는 분석된 대변 형태 및 색상 정보를 사용자가 알기 쉬운 형태로 단순화하여 이미지 또는 텍스트 등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제공되는 후보 정보로부터 자신이 인식한 것을 선택하게 되면, 이 정보를 활용하여 분석하고, 향후 분석 과정에도 이를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in the stool image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alyzed stool shape and color information can be simplified into a form that is easy for users to understand and provided in the form of images or text, and candidat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user. Once you select what you recognize from , you can use this information to analyze it and use it in future analysis processes.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복수의 후보 정보가 제공될 때, 매칭률 정보 등을 함께 제공하거나, 매칭률이 가장 높은 후보에 대해서 먼저 체크 되어 있는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수정의 필요가 없는 경우, 별도의 조작 없이 사용자가 대변 정보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For the user's convenience, when multiple candidate information is provided, matching rate information, etc. is provided together, or the candidate with the highest matching rate is provided in a checked form first, so that there is no need for modification, and separate operation is required. You can have the user enter credit information without doing anything.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변 영상 분석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Figure 5 is a flow chart showing the flow of a stool image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대변 영상 분석 시스템(101)은 대변 영상 분석 방법으로 구현되어 실현될 수 있으며, 대변 영상 분석 시스템(101)의 기술적 사상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The stool image analysis system 101 can be realized by implementing a stool image analysis method,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stool image analysis system 101 can be applied as is.

대변 영상 분석 방법은 중앙처리장치(CPU) 및 메모리(Memory)를 구비하고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해 다른 단말기 또는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서버 형태의 장치로 구성되는 대변 영상 분석 시스템(101)의 동작 방법이다.The stool image analysis method involves the operation of the stool image analysis system 101, which consists of a server-type device equipped with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d memory and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other terminals or servers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It's a method.

이와 같은, 대변 영상 분석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This stool image analysis method may be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or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singly or in combination.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those specific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by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field.

촬영 단계(S501)는 대변 영상을 촬영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대변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하여 변기에 다양한 검변 시스템을 설치해야 하였는데, 본 발명에서는 휴대전화 등과 같이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에 부착된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손쉽게 변기 내 대변 영상을 촬영하여 이를 분석하도록 할 수 있다.In the shooting step (S501), a stool image is captured. In the prior art, various feces systems had to be installed in the toilet to monitor the condition of feces,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images of feces in the toilet can be easily captured using a camera module attached to a terminal carried by the user, such as a mobile phone. You can have it analyzed.

촬영 단계(S501)에서 촬영되는 대변 영상은 변기 안쪽의 변기 물과 대변을 포함하는 영상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대변의 상태와 색상 등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동일한 대변이라고 하더라도, 화장실의 조도, 조명 색상 등의 정보에 따라서 다르게 인식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확인하여 영상을 처리하는 기술이 필요하다.The feces image captured in the filming step (S501) may be an image containing toilet water and feces inside the toilet, through which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condition and color of the feces. However, even if it is the same stool, it may be recognized differently depending on information such as the illumination level of the bathroom and the color of the lighting, so technology to confirm this and process the image is needed.

전처리 단계(S502)는 상기 촬영된 대변 영상을 전처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화장실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를 통해 동일한 대변 정보를 추출해 내기 위해서는 화장실별로 상이한 조도나 조명 색상을 고려하여 영상을 전처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아침에 이용한 화장실은 밝은 조도의 백색 계열의 조명으로 되어 있었으나, 오후에 이용한 화장실은 어두운 조명의 노란색 계열의 조명으로 되어 있다고 하면, 오후에 촬영한 대변 영상이 더 어둡고 진하게 나타나, 혈변 정도를 더 심각하게 인식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In the preprocessing step (S502), the captured stool image is preprocessed.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extract the same stool information from image information captured in various restrooms, it is necessary to pre-process the images by taking into account different illuminance or lighting colors for each restroom. For example, if the bathroom the user used in the morning was brightly lit with white lighting, but the bathroom they used in the afternoon was dimly lit with yellow lighting, the stool image captured in the afternoon would appear darker and darker. , there may be a problem of recognizing the degree of bloody stool as more serious.

따라서, 전처리 단계(S502)는 사용자가 일상 생활 속에서 다양한 화장실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화장실의 조명 특성에 관계 없이 일관된 분석 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화장실 정보 저장 단계, 위치 확인 단계 및 영상 조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processing step (S502) will include a bathroom information storage step, a location confirmation step, and an image adjustment step to provide consistent analysis results regardless of the lighting characteristics of the bathroom even when the user uses various restrooms in daily life. You can.

화장실 정보 저장 단계는 자주 이용하는 화장실의 조도 및 조명 색상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화장실 정보를 저장한다. 사용자가 다양한 화장실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집이나 회사 등 주로 사용하는 화장실이 있는 경우가 많고, 이 화장실에 대해서는 조도나 조명 색상이 일정하기 때문에, 동일한 화장실을 방문했을 때는 동일한 정도의 전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restroom information storage step stores restroom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such as illuminance and lighting color of frequently used restrooms. Even when users use various restrooms, there is often a restroom that they mainly use, such as at home or work, and the illuminance or lighting color is constant for these restrooms, so it is recommended to perform the same level of pretreatment when visiting the same restroom. possible.

따라서, 화장실 정보 저장 단계에서는 화장실별 조도, 조명 색상 등 전처리를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해 두고, 사용자가 해당 화장실을 이용한 경우, 해당 정보를 활용하여 전처리를 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restroom information storage step, information necessary for preprocessing, such as illuminance and lighting color for each restroom, can be stored, and when the user uses the restroom, preprocessing can be performed using the information.

위치 확인 단계는 촬영 단계(S501)에서 대변 영상을 촬영한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전화 등과 같은 휴대용 기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경우, 해당 기기에서 인식하는 위치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는데, 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대변 영상을 촬영할 때에 어느 화장실에서 촬영을 했는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서, 상기 화장실 정보 저장 단계에서 저장된 정보를 조회하여 이를 기초로 촬영된 대변 영상을 전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The location confirmation step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where the stool image was captured in the photographing step (S501). As described above, when filming using the camera of a portab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location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device can be received. This information can be used to determine which bathroom the user is filming in when filming a stool video. Since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whether the toilet information is stored, the stored information can be searched in the toilet information storage step and the captured stool image can be preprocessed based on this.

영상 조정 단계는 위치 확인 단계에서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초로 화장실 정보 저장 단계에서 저장된 화장실 정보를 조회하고, 조회된 화장실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 단계(S501)에서 촬영된 대변 영상의 밝기 및 색상을 조정한다.In the image adjustment step, the bathroom information stored in the bathroom information storage step is search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in the location confirmation step, and the brightness and color of the stool image captured in the shooting step (S501) are adjusted using the retrieved bathroom information. do.

대변 정보 생성 단계(S503)는 상기 전처리된 대변 영상을 분석하여 대변 정보를 생성한다. 이를 위하여 대변 정보 생성 단계(S503)는 전처리 단계(S502)에서 전처리된 대변 영상으로부터 대변 부분 및 변기 물 부분을 추출하고, 추출된 대변 부분과 변기 물 부분을 각각 분석하여 대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the stool information generation step (S503), stool information is generated by analyzing the preprocessed stool image. To this end, the stool information generation step (S503) extracts the stool portion and the toilet water portion from the stool image preprocessed in the preprocessing step (S502), and analyzes the extracted stool portion and the toilet water portion respectively to generate stool information. .

대변 정보 생성 단계(S503)는 추출된 대변 부분으로부터 대변 형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변기 물 부분으로부터 대변 색상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대변 형태 정보 및 대변 색상 정보를 포함하는 대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stool information generation step (S503) may generate stool shape information from the extracted stool portion and generate stool color information from the toilet water portion, thereby generating stool information including the generated stool shape information and stool color information. there is.

대변 정보 생성 단계(S503)에서 변기 물 부분을 분석하여 붉은 빛의 성분이 어느 정도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게 되면, 변의 혈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 대변 정보 생성 단계(S503)는 변기 물 부분에서 대변 부분과 가까운 부분과 멀리 떨어진 부분을 복수의 단계로 구분해 두고 각 단계별 색상 정보를 추출하여 대변 색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In the stool information generation step (S503), if the toilet water is analyzed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red components are contained,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stool is bloody. For accurate analysis, in the stool information generation step (S503), the stool color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by dividing the portion near and far from the stool portion of the toilet water portion into a plurality of stages and extracting color information at each stage.

대변 정보 생성 단계(S503)는 분석된 대변 형태 정보와 대변 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후보 대변 형태 및 후보 대변 색상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대변 정보 생성 단계(S503)에서 생성된 대변 정보가 100%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한 것과 실제 분석된 결과가 일치하는지 사용자가 검증하도록 함으로써, 분석의 정확도를 높이고, 이 피드백 정보를 딥러닝 학습 데이터 등으로 이용함으로써, 사용할수록 분석의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stool information generation step (S503), one or more candidate stool shape and candidate stool color information may be extracted and provided to the user using the analyzed stool shape information and stool color information. Since the stool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stool information generation step (S503) may not be 100% accurate, the accuracy of analysis is improved by allowing the user to verify whether what he or she visually sees matches the actual analysis result, and this feedback information is us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analysis. By using it as deep learning training data,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ccuracy of analysis the more it is used.

대변 정보 생성 단계(S503)는 사용자로부터 확인 받은 정보로 대변 형태 및 대변 색상을 확정하고, 이 정보를 기초로 후보 대변 형태 및 후보 대변 색상 정보를 생성하는 로직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로직이라고 하는 것은 룰 기반(Rule-based)의 생성 로직에 직접 반영되도록 하는 것일 수도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딥러닝 등의 학습 기반의 인공지능 모델에 학습 데이터로 활용하여 분석 결과를 개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stool information generation step (S503), the stool shape and stool color are determined using information confirmed by the user, and the logic for generating candidate stool shape and candidate stool color information can be changed based on this information. Here, logic may be reflected directly in rule-based generation logic, or,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used as learning data in learning-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such as deep learning to improve analysis results. It can be included.

대변 정보 생성 단계(S503)는 사용자로부터 확인 받은 정보를 기초로 화장실 정보 저장 단계에서 저장된 화장실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화장실 정보 저장 단계에서는 화장실의 조도 정보 및 조명 색상 정보가 저장되는데, 초기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가 잘못 저장되었거나, 변경되는 경우 전처리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대변 정보 생성 단계(S503)에서 확인 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전처리가 잘못되는 부분을 인식하고, 이를 바로잡을 수 있도록 화장실 정보를 변경함으로써, 이후의 분석 과정에서 분석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The toilet information generation step (S503) may change the toilet information stored in the toilet information storage step based on the information confirmed by the user. In the bathroom information storage stage, the illuminance information and lighting color information of the bathroom are stored. If the initially stored information is stored incorrectly or changed, the preprocessing effect may be reduced. In this case, using the information confirmed in the stool information generation step (S503), the pre-processing error is recognized and the toilet information is changed to correct it, thereby improving analysis accuracy in the subsequent analysis process. .

대변 정보 저장 단계(S504)는 상기 생성된 대변 정보를 대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상기 대변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대변의 형태 및 색상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색상 정보를 기초로 한 혈변의 정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stool information storage step (S504), the generated stool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tool information database. As described above, the stool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the shape and color of the stool, and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degree of bloody stool based on the color information.

대변 정보 저장 단계(S504)에서 사용자가 촬영할 때마다 인식된 대변 정보를 대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되면, 환자의 대변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의료진이 진단 및 처방을 하는데 근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염증성 장질환 등과 같은 대장 질환의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In the stool information storage step (S504), whenever the user takes a picture, the recognized stool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tool information database, allowing medical staff to continuously monitor the patient's stool condition and use it as evidence for diagnosis and prescription. This can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for colon diseases such as inflammatory bowel disease.

정보 제공 단계(S505)는 상기 대변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대변 정보를 분석하여 대장 질환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대장 질환은 염증성 장질환 이외에도 다양한 대장 관련 질환일 수 있는데, 사용자는 이 분석 정보를 이용하여 식이습관 조절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분석된 정보는 환자와 연계된 의료진에게 제공되어, 의료진이 환자의 상태를 진단하고, 이를 토대로 약품 처방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In the information provision step (S505), information about colon disease is provided to the user by analyzing the stool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ol information storage unit. The colon disease may be a variety of colon-related diseases in addition to inflammatory bowel disease, and the user can use this analysis information to control eating habits. In addition, the analyzed information is provided to medical staff linked to the patient, so that the medical staff can determine the patient's condition. It can be used as a basis for diagnosing the condition and prescribing medication based on this.

정보 제공 단계(S505)는 대변 색상 정보를 분석하면서, 환자의 다양한 상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데, 특히 혈변의 경우 혈색소 수치 정보와 관련성이 높기 때문에, 대변 색상 정보와 혈색소 수치 정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사용자 또는 의료진에게 제공함으로써, 치료의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provision step (S505) can utilize various status information of the patient while analyzing stool color informatio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bloody stool, it is highly related to hemoglobin level information, so the correlation between stool color information and hemoglobin level information is analyzed. By providing it to users or medical staff, the effect of treatment can be maximized.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perform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etc.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at cre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patent claims.

101: 대변 영상 분석 시스템
110: 촬영부 120: 전처리부
121: 화장실 정보 저장부 122: 위치 확인부
123: 영상 조정부 130: 대변 정보 생성부
140: 대변 정보 저장부 150: 정보 제공부
160: 혈색소 수치 정보 저장부
101: Fecal image analysis system
110: Photographing unit 120: Preprocessing unit
121: Toilet information storage unit 122: Location confirmation unit
123: Image adjustment unit 130: Stool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40: stool information storage unit 150: information provision unit
160: Hemoglobin level information storage unit

Claims (19)

대변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된 대변 영상을 전처리하는 전처리부;
상기 전처리된 대변 영상을 분석하여 대변 정보를 생성하는 대변 정보 생성부;
상기 생성된 대변 정보를 대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대변 정보 저장부;
상기 대변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대변 정보를 분석하여 대장 질환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사용자의 혈색소 수치 정보를 저장하는 혈색소 수치 정보 저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처리부는
자주 이용하는 화장실의 조도 및 조명 색상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화장실 정보를 저장하는 화장실 정보 저장부;
상기 촬영부에서 대변 영상을 촬영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확인부 및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화장실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화장실 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조회된 화장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된 대변 영상의 밝기 및 색상을 조정하는 영상 조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대변 정보 생성부는
하나 이상의 후보 대변 형태 및 후보 대변 색상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확인 받은 정보를 기초로 상기 대변 형태 및 색상을 확정하여 대변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확인 받은 정보를 기초로 상기 후보 대변 형태 및 후보 대변 색상 정보를 생성하는 로직을 변경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확인 받은 정보를 기초로 상기 화장실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화장실 정보를 변경하고,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생성된 대변 색상 정보와 상기 혈색소 수치 정보의 상관관계를 계산하여 제공하는 것
를 특징으로 하는 대변 영상 분석 시스템.
A recording unit that takes images of stool;
A pre-processing unit that pre-processes the captured stool image;
a stool information generator that generates stool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preprocessed stool image;
a stool information storage unit that stores the generated stool information in a stool information database;
An information provider that analyzes the stool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ol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provides information about colon disease to the user, and
A hemoglobin level information storage unit that stores the user's hemoglobin level information
Including,
The preprocessing unit
a restroom information storage unit that stores restroom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such as illuminance and lighting color of frequently used restrooms;
A location confirmation unit that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where the stool image was taken by the recording unit, and
An image adjustment unit that searches toilet information stored in the toilet information storage unit based on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nd adjusts the brightness and color of the captured stool image using the retrieved toilet information.
Includes,
The credit information generator
extracting one or more candidate stool shape and candidate stool color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m to the user;
Based on the information confirmed by the user, determine the shape and color of the stool and generate stool information.
Change the logic for generating the candidate stool shape and candidate stool color inform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confirmed by the user,
Change the restroom information stored in the restroom information storage unit based on the information confirmed by the user,
The information provider calculates and provid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enerated stool color information and the hemoglobin level information.
Fecal image analysis system characterized b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변 정보 생성부는
상기 전처리된 대변 영상에서 대변 부분 및 변기 물 부분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대변 부분과 변기 물 부분을 각각 분석하여 상기 대변 정보를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 영상 분석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redit information generator
Extracting the stool portion and toilet water portion from the preprocessed stool image,
Generating the stool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extracted stool portion and toilet water portion, respectively.
Fecal image analysis system characterized b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변 정보 생성부는
상기 추출된 대변 부분으로부터 대변 형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변기 물 부분으로부터 대변 색상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상기 대변 형태 정보 및 상기 대변 색상 정보를 포함하는 대변 정보를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 영상 분석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credit information generator
Generating stool shape information from the extracted stool portion, generating stool color information from the toilet water portion, and generating stool information including the generated stool shape information and the stool color information.
Fecal image analysis system characterized by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확인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화장실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자주 이용하는 화장실 목록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 입력 받아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 영상 분석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location confirmation unit
Providing a list of frequently used restrooms stored in the restroom information storage unit to the user, receiving selection input from the user, and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Fecal image analysis system characterized b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중앙처리장치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대변 영상 분석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대변 영상 분석 방법에 있어서,
대변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단계;
상기 촬영된 대변 영상을 전처리하는 전처리 단계;;
상기 전처리된 대변 영상을 분석하여 대변 정보를 생성하는 대변 정보 생성 단계;;
상기 생성된 대변 정보를 대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대변 정보 저장 단계;
상기 대변 정보 저장 단계에서 저장된 대변 정보를 분석하여 대장 질환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 제공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혈색소 수치 정보를 저장하는 혈색소 수치 정보 저장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전처리 단계는
자주 이용하는 화장실의 조도 및 조명 색상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화장실 정보를 저장하는 화장실 정보 저장 단계;
상기 촬영 단계에서 대변 영상을 촬영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확인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화장실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화장실 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조회된 화장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된 대변 영상의 밝기 및 색상을 조정하는 영상 조정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대변 정보 생성 단계는
하나 이상의 후보 대변 형태 및 후보 대변 색상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확인 받은 정보를 기초로 상기 대변 형태 및 색상을 확정하여 대변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확인 받은 정보를 기초로 상기 후보 대변 형태 및 후보 대변 색상 정보를 생성하는 로직을 변경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확인 받은 정보를 기초로 상기 화장실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화장실 정보를 변경하고,
상기 정보 제공 단계는 생성된 대변 색상 정보와 상기 혈색소 수치 정보의 상관관계를 계산하여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 영상 분석 방법.
In the stool image analysis method operating in a stool image analysis system includ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and memory,
A filming step of taking a stool image;
A pre-processing step of pre-processing the captured stool image;
A stool information generation step of analyzing the preprocessed stool image to generate stool information;
A stool information storage step of storing the generated stool information in a stool information database;
An information provision step of providing information about colon disease to the user by analyzing the stool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ol information storage step, and
Hemoglobin level information storage step of storing the user's hemoglobin level information
Including,
The preprocessing step is
A restroom information storage step of storing restroom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such as illuminance and lighting color of frequently used restrooms;
A location confirmation step of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where the stool image was taken in the photographing step, and
An image adjustment step of querying restroom information stored in the restroom information storage unit based on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nd adjusting the brightness and color of the captured stool image using the searched restroom information.
includes
The stool information generation step is
extracting one or more candidate stool shape and candidate stool color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m to the user;
Based on the information confirmed by the user, determine the shape and color of the stool and generate stool information.
Change the logic for generating the candidate stool shape and candidate stool color inform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confirmed by the user,
Change the restroom information stored in the restroom information storage unit based on the information confirmed by the user,
The information provision step involves calculating and provid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enerated stool color information and the hemoglobin level information.
Fecal image analysis method characterized by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대변 정보 생성 단계는
상기 전처리된 대변 영상에서 대변 부분 및 변기 물 부분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대변 부분과 변기 물 부분을 각각 분석하여 상기 대변 정보를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 영상 분석 방법.
According to clause 10,
The stool information creation step is
Extracting the stool portion and toilet water portion from the preprocessed stool image,
Generating the stool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extracted stool portion and toilet water portion, respectively.
Fecal image analysis method characterized by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대변 정보 생성 단계는
상기 추출된 대변 부분으로부터 대변 형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변기 물 부분으로부터 대변 색상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상기 대변 형태 정보 및 상기 대변 색상 정보를 포함하는 대변 정보를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 영상 분석 방법.
According to clause 11,
The stool information creation step is
Generating stool shape information from the extracted stool portion, generating stool color information from the toilet water portion, and generating stool information including the generated stool shape information and the stool color information.
Fecal image analysis method characterized by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확인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화장실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자주 이용하는 화장실 목록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 입력 받아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 영상 분석 방법.
According to clause 10,
The location confirmation step is
Providing a list of frequently used restrooms stored in the restroom information storage unit to the user, receiving selection input from the user, and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Fecal image analysis method characterized b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0항 내지 제12항 및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that executes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0 to 12 and 15.
KR1020200087913A 2020-07-16 2020-07-16 A fecal image analysis system and a method therefor KR1025998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913A KR102599894B1 (en) 2020-07-16 2020-07-16 A fecal image analysis system and a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913A KR102599894B1 (en) 2020-07-16 2020-07-16 A fecal image analysis system and a method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572A KR20220009572A (en) 2022-01-25
KR102599894B1 true KR102599894B1 (en) 2023-11-08

Family

ID=80048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913A KR102599894B1 (en) 2020-07-16 2020-07-16 A fecal image analysis system and a method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989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92318B2 (en) * 2022-07-13 2024-05-28 Celestin B. Bitjonck Diagnostic lab-on-a-chip device
KR102525371B1 (en) * 2022-10-04 2023-04-25 에이트스튜디오 주식회사 Diagnostic methods and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678B1 (en) * 2004-07-08 2007-02-08 이종원 Apparatus for measuring excretion
KR101780128B1 (en) * 2015-12-29 2017-09-1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Diagnostic system using image information of feces
KR102041602B1 (en) * 2017-12-08 2019-11-06 울산과학기술원 Toilet bowl with a feces separato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iagnosing user's health condition
KR102202617B1 (en) * 2018-11-07 2021-01-13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abdominal disease based on medical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572A (en) 202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7508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whole body measurement extraction
CN110192252A (en) For assessing development condition and providing the method and apparatus of coverage and Control for Dependability
JP2021529382A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ntal health assessment
KR20220064395A (en) A system for collecting and identifying skin conditions from images and expertise
US20140313303A1 (en) Longitudinal dermoscopic study employing smartphone-based image registration
CN108351862A (en)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development progres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user's input
KR102599894B1 (en) A fecal image analysis system and a method therefor
CN106650261A (en) Intelligent inquiry method, device and system
KR20150010255A (en) Apparatus for diagnostic using habit and mathod for diagnostic of thereof
WO2019000852A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riaging patient and automatic triage method
CN110534185A (en) Labeled data acquisition methods divide and examine method,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equipment
CN115862831B (en) Intelligent online reservation diagnosis and treatm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13435236A (en) Home old man posture detection method, system, storage medium, equipment and application
JP6908977B2 (en) Medic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edic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dica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653505B1 (en) Compu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status of health based on image
Vellakani et al. An enhanced OCT image captioning system to assist ophthalmologists in detecting and classifying eye diseases
CN109979568A (en) Mental health method for early warning, server, family members' terminal and system
Mansoor et al. A machine learning approach for non-invasive fall detection using Kinect
Hachuel et al. Augmenting gastrointestinal health: a deep learning approach to human stool recognition and characterization in macroscopic images
Tanigaki et al. Predicting performance improvement of human activity recognition model by additional data collection
KR2020003188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damages by blight and harmful insects
Huo Full-stack application of skin cancer diagnosis based on CNN Model
KR100915922B1 (en) Methods and System for Extracting Facial Features and Verifying Sasang Constitution through Image Recognition
Rani et al. Skin disease diagnosis using vgg19 algorithm and treatment recommendation system
KR102671855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a service based on an intestinal vein authentication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