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9780B1 - Transfer Car for cleaning - Google Patents

Transfer Car for clean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9780B1
KR102599780B1 KR1020160135167A KR20160135167A KR102599780B1 KR 102599780 B1 KR102599780 B1 KR 102599780B1 KR 1020160135167 A KR1020160135167 A KR 1020160135167A KR 20160135167 A KR20160135167 A KR 20160135167A KR 102599780 B1 KR102599780 B1 KR 102599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guide
close contact
plate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1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42685A (en
Inventor
안진대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5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780B1/en
Publication of KR20180042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6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7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L25/005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sing adhesive or tacky surfaces to remove dirt, e.g. lint rem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클린룸의 바닥에 쌓인 이물질을 수거하는 이송대차에 있어서, 바퀴를 구비하는 대차; 포집부; 및 상기 대차와 상기 포집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포집부를 상기 클린룸의 바닥에 밀착시키는 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집부는 상기 이물질을 점착하여 수거하는 이송대차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원료나 소재 또는 부품을 이송하면서 클린룸 바닥에 쌓인 이물질을 수거할 수 있다. This embodiment is a transfer truck for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on the floor of a clean room, including a truck having wheels; collection unit; and a close contact part disposed between the cart and the collection unit to bring the collection uni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of the clean room, wherein the collection unit adheres to and collects the foreign matter. Accordingly,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on the clean room floor can be collected while transporting raw materials, materials, or parts.

Description

이송대차{Transfer Car for cleaning}Transfer Car {Transfer Car for cleaning}

실시 예는 클린룸에서 이용되는 이송대차에 관한 것이다. The embodiment relates to a transfer truck used in a clean room.

일반적으로 클린룸은 공중의 미립자, 공기의 온ㆍ습도, 실내 압력 등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어된 방이다. 여기서, 클린룸은 공업용과 의료용(바이오클린룸)으로 나누어지는데, 공업용은 주로 전자ㆍ정밀 기기의 제조에 이용되고, 의료용은 제어 조건 외에 생물 미립자의 제어가 규제되어 수술실 등에 사용된다. In general, a clean room is a room where airborne particles, air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indoor pressure are controlled to remain constant. Here, clean rooms are divided into industrial and medical (bio-clean rooms). The industrial room is mainly used for manufacturing electronic and precision equipment, and the medical room is used in operating rooms, etc., where control of biological particles is regulated in addition to control conditions.

이에, 클린룸은 미세한 부유 먼지가 극히 적고, 방에 요구되는 청정도가 항상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고도한 관리가 요구된다. Accordingly, clean rooms have very little fine floating dust and require high level of management because the cleanliness required for the room must be maintained at all times.

그에 따라, 클린룸에서 이물질(먼지 등)을 집진하는 청소기로 진공청소기가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여과율이 좋은 헤파 필터를 사용하므로 통기성이 좋지 않아 잠시만 가동하더라도 모터가 쉽게 가열되어 분진 양이 많은 곳이나 장시간 가동은 불가능하게 된다. Accordingly, a vacuum cleaner can be used as a cleaner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dust, etc.) in a clean room. However, since these vacuum cleaners use a HEPA filter with a high filtration rate, they have poor ventilation and the motor easily heats up even when operated for only a short period of time, making it impossible to operate in places with a lot of dust or for long periods of time.

더욱이, 클린룸에 이용되는 상기 진공청소기는 진공 흡입원으로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여 부유 먼지를 생성하는 문제가 있다. 그에 따라, 제품의 불량률이 상승하는 문제를 초래한다. Moreover, since the vacuum cleaner used in clean rooms is often used as a vacuum suction source, there is a problem of forming air flow and generating floating dust. As a result, the defect rate of the product increases.

나아가, 모터를 동력원으로 하기 때문에 소음이 발생하며, 그에 따라 클린룸 현장이 소음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Furthermore, since it uses a motor as a power source, noise is generated, and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lean room site is exposed to noise.

따라서, 산업의 다각화에 의해 클린룸 현장이 늘어나게 됨에 따라 분진의 부유없이 장시간 가동이 가능한 클린룸 청소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Therefore, as the number of clean room sites increases due to the diversification of the industry, there is a demand for clean room cleaners that can operate for a long time without floating dust.

원료나 소재 또는 부품을 이송하면서 클린룸 바닥에 쌓인 이물질을 수거하는 이송대차를 제공한다. We provide a transport truck that collects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on the clean room floor while transporting raw materials, materials, or parts.

또한, 별도로 구동되는 동력없이 대차의 이동만으로 클린룸 바닥에 쌓인 이물질을 점착하여 수거하는 이송대차를 제공한다. In addition, a transfer truck is provided that collects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on the clean room floor by sticking them only by moving the truck without any separate driving power.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embodiment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her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 과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클린룸의 바닥에 쌓인 이물질을 수거하는 이송대차에 있어서, 바퀴를 구비하는 대차; 포집부; 및 상기 대차와 상기 포집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포집부를 상기 클린룸의 바닥에 밀착시키는 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집부는 상기 이물질을 점착하여 수거하는 이송대차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problem includes: a transport cart for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on the floor of a clean room; a cart having wheels; collection unit; and a close contact part disposed between the cart and the collection unit to bring the collection uni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of the clean room, wherein the collection unit is achieved by a transfer cart that collects the foreign matter by adhering to it.

바람직하게, 상기 이송대차는 적어도 두 개의 포집부를 구비하되, 상기 대차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포집부 중 하나는 상기 바퀴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transport cart is provided with at least two collecting units, and one of the collecting units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wheel based 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art.

여기서, 상기 포집부는, 상기 밀착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롤러; 상기 롤러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점착부재; 및 상기 브라켓에 배치되어 상기 롤러의 일측을 지지하는 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collecting part includes a bracke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lose contact part; A roller detachably disposed on the bracket; An adhesive member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And it may include a detachable part disposed on the bracket and supporting one side of the roller.

그리고, 상기 탈착부는, 상기 브라켓의 일측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양단에 각각 배치되는 플랜지; 및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은 상기 브라켓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플랜지에 지지될 수 있다. And, the detachable part includes a frame disposed through one side of the bracket; Flange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frame; and an elastic member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ame, where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may be supported by the bracket and the other side may be supported by the flange.

그리고, 상기 점착부재는 점착테이프로 제공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adhesive member may be provided as an adhesive tape.

그리고, 상기 밀착부에 의한 상기 점착테이프의 지면압착력은 700~1500g중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adhesive tape's ground pressing force due to the close contact portion may be 700 to 1500 g.

또한, 상기 밀착부는, 밀착판; 상기 밀착판의 일측에 연장 형성된 제1 결합판; 및 상기 밀착판의 타측에 연장 형성된 제2 결합판을 포함하고, 상기 밀착판은 소정의 곡률을 갖는 판 형상의 부재로 제공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lose contact portion includes a close contact plate; a first coupling plate extending on one side of the contact plate; and a second coupling plate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contact plate, wherein the contact plate may be provided as a plate-shaped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그리고, 상기 대차와 상기 밀착부 사이에 배치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밀착부는 상기 가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가이드에 배치될 수 있다. And, it further includes a guide disposed between the cart and the close contact portion, and the close contact portion may be disposed on the guide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그리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대차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몸체; 상기 가이드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몸체에 형성된 가이드 홈; 및 상기 가이드 홈에 이동가능 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판을 포함할 수 있다. And, the guide includes: a guide body detachably disposed on the bogie;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guid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body; And it may include a guide plate movably disposed in the guide groove.

그리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 판의 이동 후 상기 가이드 판을 상기 가이드 몸체에 고정하는 제1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uid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guide plate to the guide body after the guide plate is moved.

그리고, 상기 밀착부의 상기 제1 결합판은 상기 가이드 판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coupling plate of the close contact portion may be detachably disposed on the guide plate.

한편, 상기 밀착부의 상기 제2 결합판은 상기 포집부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econd coupling plate of the close contact part may be detachably disposed in the collection part.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대차는 원료나 소재 또는 부품을 이송하면서 클린룸 바닥에 쌓인 이물질을 수거할 수 있다. The transfer tru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can collect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on the clean room floor while transferring raw materials, materials, or parts.

즉, 부품 등의 이송과 함께 실시간 이물질을 제거하기 때문에, 현장의 이물질 관리가 용이하다. 그에 따라, 바닥 청소 인원의 배정에 따른 노무비를 절감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since foreign substances are removed in real time along with the transfer of parts, etc., it is easy to manage foreign substances on site. Accordingly, labor costs according to the allocation of floor cleaning personnel can be reduced.

또한, 상기 이송대차는 점착식 롤러를 구비하여 이물질을 포집하기 때문에, 부유 이물질을 형성하지 않으면서 바닥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transfer cart is equipped with an adhesive roller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it is possible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on the floor without forming floating foreign substances.

또한, 상기 이송대차는 점착식 롤러를 구비하여 바퀴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바로 제거하여 바퀴를 통해 이물질이 타지역으로 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nsfer cart is equipped with an adhesive roller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attaching to the wheels and at the same time remove them immediately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transferred to other areas through the wheels.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이송대차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이송대차의 포집부, 밀착부 및 가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이송대차에 구비되는 포집부, 밀착부 및 가이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이송대차의 포집부, 밀착부 및 가이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이송대차의 롤러의 탈착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이송대차에서 이물질이 점착된 점착테이프의 제거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nsfer tru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collection part, a close contact part, and a guide of a transfer c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llection unit, adhesion unit, and guide provided on the transfer ca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llection part, contact part, and guide of the transfer ca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roller of the transfer ca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removing an adhesive tape with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it on a transfer tru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ject to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second, first,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구성요소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상기 두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in the case where one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n or under” another component, (on or under) includes both components that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or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that are formed (indirectly) between the two components. Additionally, when expressed as 'on or under', it can include not only the upward direction but also the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but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실시예에 따른 이송대차(1)는 원료나 소재 또는 부품을 이송하면서 클린룸 바닥에 쌓인 이물질을 수거할 수 있다. The transfer truck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collect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on the clean room floor while transferring raw materials, materials, or parts.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실시예에 따른 이송대차(1)는 대차(100), 가이드(200), 밀착부(300) 및 밀착부(300)에 일측에 배치되어 이물질을 수거하는 포집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6, the transfer cart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art 100, the guide 200, the close contact portion 300, and the close contact portion 300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It may include a collection unit 400.

대차(100)는 상기 이송대차(1)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대차(100)의 하부측에는 이동을 위해 바퀴(11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바퀴(110)는 대차(100)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전방바퀴(111)와 후방바퀴(112)로 구분될 수 있다. The cart 100 can form the outer shape of the transfer cart 1. Additionally, wheels 110 may be plac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gie 100 for movement. And, the wheels 110 can be divided into front wheels 111 and rear wheels 112 based 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ogie 100.

그리고, 대차(100)에는 원료나 소재 또는 부품의 이송을 위해 선반(120)이 배치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shelf 120 may be placed on the cart 100 to transport raw materials, materials, or parts.

가이드(200)는 대차(100)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200)에는 밀착부(300)가 가이드(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guide 200 may be detachably disposed on the bogie 100. And, as shown in FIG. 2, a close contact portion 300 may be placed on the guide 200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200.

가이드(200)는 가이드 몸체(210), 가이드 몸체(2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220) 및 가이드 판(23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guide 200 may include a guide body 210, a guide groove 220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body 210, and a guide plate 230.

가이드 몸체(21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몸체(210)는 대차(100)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guide body 210 may be formed in a rod shape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dditionally, the guide body 210 may be detachably disposed on the bogie 100.

가이드홈(220)은 가이드 몸체(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몸체(21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홈(220)에는 가이드 판(230)이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판(230)은 가이드홈(220)에 의해 안내된 후 볼트와 같은 제1 고정부재(10)에 의해 가이드 몸체(210)에 고정될 수 있다. The guide groove 220 may be formed in the guide body 2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body 210. Additionally, the guide plate 230 may be movably disposed in the guide groove 220. Accordingly, as shown in FIG. 2, the guide plate 230 may be guided by the guide groove 220 and then fixed to the guide body 210 by the first fixing member 10 such as a bolt.

그리고, 가이드 판(230)에는 밀착부(300)가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a close contact portion 300 may be detachably disposed on the guide plate 230.

한편, 상기 가이드(200)는 대차(100)와 밀착부(30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데, 상기 이송대차(1)는 가이드(200) 없이 밀착부(300)가 직접 대차(100)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guide 200 is disposed between the cart 100 and the close contact portion 300 as an exampl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n the transfer cart 1, the close contact portion 300 may be directly attached to and detachable from the cart 100 without the guide 200.

밀착부(300)는 가이드 판(230)과 포집부(400) 사이에 배치되어 포집부(400)를 바닥에 밀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밀착부(300)의 일측은 볼트와 같은 제2 고정부재(20)에 의해 가이드 판(230)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밀착부(300)의 타측은 포집부(400)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close contact part 300 is disposed between the guide plate 230 and the collecting part 400 to bring the collecting part 400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Additionally, one side of the close contact portion 300 may be detachably disposed on the guide plate 230 by a second fixing member 20 such as a bolt. Additionally, the other side of the close contact portion 300 may be detachably disposed on the collection portion 400.

만일, 상기 이송대차(1)에 가이드(200)가 없는 경우라면, 밀착부(300)는 대차(100)와 포집부(400)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If the transfer cart 1 does not have a guide 200, the close contact part 300 may be detachably disposed between the cart 100 and the collection unit 400.

밀착부(3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의 부재로 제공될 수 있다. The close contact portion 300 may be provided as a plate-shaped member, as shown in FIGS. 2 to 4 .

밀착부(300)는 밀착판(310), 제1 결합판(320) 및 제2 결합판(3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밀착판(310), 제1 결합판(320) 및 제2 결합판(33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lose contact portion 300 may include a close contact plate 310, a first coupling plate 320, and a second coupling plate 330. Here, the contact plate 310, the first coupling plate 320, and the second coupling plate 330 may be formed as one body.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판(310)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θ)는 45도 이내일 수 있다. 상기 각도(θ)는 밀착부(300)에 의해 포집부(400)의 지면압착력을 좌우하게 되는바, 상기 각도(θ)를 45도 이내로 하여 밀착판(310)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도(θ)는 30~45도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angle θ formed by the contact plate 310 with the ground may be within 45 degrees. The angle θ determines the ground pressing force of the collection unit 400 by the close contact part 300, and the close contact plate 310 can be formed with the angle θ within 45 degrees. At this time, the angle θ may be 30 to 45 degrees.

예컨데, 상기 각도(θ)가 45도를 초과하는 경우 지면에 대한 밀착력이 감소하기 때문에, 이물질을 제거하는 효율성이 떨어진다. 또한, 상기 각도(θ)가 30도 미만인 경우 지면에 대한 밀착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상기 이송대차(1)의 방향 전환에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For example, if the angle θ exceeds 45 degrees, the adhesion to the ground decreases, and thus the efficiency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decreases. In addition, when the angle θ is less than 30 degrees, the adhesion to the ground increases, causing interference in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transfer truck 1.

밀착판(310)은 가상의 점(C)를 기준으로 소정의 곡률(r)을 갖는 판 형상의 부재로 제공될 수 있다. The contact plate 310 may be provided as a plate-shaped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r) based on the virtual point (C).

그에 따라, 밀착판(310)은 밀착부(300)가 포집부(400)를 바닥에 밀착시키는 판 스프링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밀착부(300)는 포집부(400)에 부피가 있는 이물질의 부착될 때, 충격을 완화시켜 대차(100)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ntact plate 310 may function as a leaf spring in which the contact portion 300 brings the collection unit 400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Accordingly, the close contact part 300 can minimize the shaking of the cart 100 by mitigating the impact when bulky foreign substances are attached to the collection part 400.

제1 결합판(320)은 밀착판(310)의 일측에 배치되며, 볼트와 같은 제2 고정부재(20)에 의해 가이드 판(230)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판(320)은 밀착판(310)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coupling plate 32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ntact plate 310 and can be detachably disposed on the guide plate 230 by a second fixing member 20 such as a bolt. At this time, the first coupling plate 320 may extend from one side of the contact plate 310.

제2 결합판(330)은 밀착판(310)의 타측에 배치되며, 볼트와 같은 제3 고정부재(30)에 의해 포집부(400)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결합판(330)은 밀착판(310)의 타측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coupling plate 330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tact plate 310, and can be detachably disposed on the collection unit 400 by a third fixing member 30 such as a bolt. At this time, the second coupling plate 330 may extend from the other side of the contact plate 310.

포집부(400)는 밀착부(300)에 의해 바닥에 밀착되어 클린룸 바닥에 쌓인 이물질을 점착하여 수거할 수 있다. The collection unit 4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by the adhesion unit 300 and can collect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on the clean room floor by adhering to them.

포집부(400)는 대차(100)에 적어도 두 개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포집부는 대차(100)의 전방과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At least two collection units 400 may be disposed on the cart 100. And, the collection unit may be dispos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bogie 100.

예컨데, 전방바퀴(111)의 전방에 배치되는 포집부(400)는 대차(100)의 전방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사전에 포집하여 전방바퀴(111)가 오염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이물질이 바퀴(110)에 묻어 타지역으로 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llection unit 400 disposed in front of the front wheel 111 can prevent the front wheel 111 from being contaminated by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located in the front of the bogie 100 in advanc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sticking to the wheel 110 and being transferred to other areas.

또한, 후방바퀴(112)의 후방에 배치되는 포집부(400)는 원료 등의 이송시 대차(100)로부터 떨어지는 이물질을 즉시 제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llection unit 400 disposed behind the rear wheel 112 can immediately remove foreign substances falling from the bogie 100 when transferring raw materials, etc.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포집부(400)는 밀착부(300)와 연결되는 브라켓(410), 브라켓(410)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롤러(420), 롤러(420)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점착부재(430), 및 롤러(420)의 일측을 지지하는 탈착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2 and 3, the collection unit 400 includes a bracket 410 connected to the close contact unit 300, a roller 420 detachably disposed on the bracket 410, a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420. It may include an adhesive member 430 disposed in and a detachable part 440 supporting one side of the roller 420.

브라켓(4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브라켓(410)의 일측에는 밀착부(300)의 제2 결합판(330)이 탈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bracket 410 may be formed in a U-shape, as shown in FIG. 3 . In addition, the second coupling plate 330 of the close contact portion 300 may be detachably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racket 410.

여기서, 브라켓(410)의 폭 길이(d1)는 밀착부(300)의 길이(d2) 대비 1.5배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부피가 있는 이물질이 롤러(420)에 부착시 덜컹거림에 의한 대차(100)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Here, the width and length (d1) of the bracket 410 may be formed to be 1.5 times the length (d2) of the close contact portion 300. Accordingly, shaking of the cart 100 due to rattling when a bulky foreign substance is attached to the roller 420 can be minimized.

롤러(420)는 브라켓(410)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롤러(420)는 브라켓(41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대차(100)가 이동됨에 따라 롤러(420)는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롤러(420)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점착부재(430)는 바닥의 이물질을 점착하여 수거한다. The roller 420 may be detachably disposed on the bracket 410. Additionally, the roller 420 may be rotatably disposed on the bracket 410. Therefore, as the cart 100 moves, the roller 420 rotates. Additionally, the adhesive member 430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420 adheres and collects foreign substances on the floor.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이송대차의 롤러의 장착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의 (a)는 탈착부에 의해 지지되어 브라켓에 설치되는 롤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의 (b)는 탈착부가 이격됨에 따라 브라켓으로부터 탈거되는 롤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roller of the transfer ca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ure 5 (a) is a diagram showing the roller supported by the detachable part and installed on the bracket, and Figure 5 (b) is a diagram showing the detachment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roller being removed from the bracket as the unit is spaced apart.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420)는 탈착부(440)의 탄성력에 의해 브라켓(410)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420)는 탈착부(440)가 지지해제함에 따라 용이하게 탈거될 수 있다. As shown in (a) of FIG. 5, the roller 420 may be placed on the bracket 41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detachable part 440. And, as shown in (a) of FIG. 5, the roller 420 can be easily removed as the detachable part 440 releases support.

점착부재(430)는 롤러(420)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대차(100)의 이동에 의해 롤러(420)가 회전함에 따라 바닥에 있는 이물질을 점착할 수 있다. The adhesive member 430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420. And, as the roller 420 rotates due to the movement of the cart 100, foreign substances on the floor can be adhered.

여기서, 점착부재(430)로 점착테이프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밀착부(300)에 의한 상기 점착테이프의 지면압착력은 700~1500g중일 수 있다.Here, an adhesive tape may be provided as the adhesive member 430. At this time, the pressure of the adhesive tape on the ground by the close contact portion 300 may be 700 to 1500 g.

예컨데, 상기 점착테이프의 지면압착력이 700g중 미만인 경우 지면에 대한 밀착력이 감소하기 때문에, 점착부재(430)에 의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효율성이 떨어진다. 또한, 상기 점착테이프의 지면압착력이 1500g중을 초과하는 경우 지면에 대한 밀착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상기 점착테이프는 상기 이송대차(1)의 방향 전환에 간섭하게 된다. For example, when the adhesive tape has a pressing force against the ground of less than 700 g, the adhesion to the ground decreases, and thus the efficiency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by the adhesive member 430 decreases. In addition, when the adhesive tape's pressing force against the ground exceeds 1500 g, the adhesion to the ground increases, so the adhesive tape interferes with the change of direction of the transfer truck 1.

상기 점착테이프에 이물질이 더 이상 점착되지 않는 경우, 점착테이프를 롤러(420)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예컨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테이프에 형성된 절개선 또는 절개홈을 따라 이물질이 점착된 점착테이프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이송대차(1)는 계속적으로 이물질을 수거할 수 있다. When foreign substances no longer adhere to the adhesive tape, the adhesive tape can be removed from the roller 42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transfer truck 1 can continuously collect foreign substances by removing a part of the adhesive tape to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adhered along the cut line or groove formed in the adhesive tape.

탈착부(440)는 롤러(420)의 일측을 탄성지지하여, 롤러(420)의 탈착을 용이하게 한다.The detachable portion 440 elastically supports one side of the roller 420 to facilitate detachment of the roller 420.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탈착부(440)는 브라켓(410)의 일측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프레임(441), 프레임(441)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는 플랜지(442) 및 프레임(441)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443)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detachable portion 440 includes a frame 441 disposed through one side of the bracket 410, a flange 442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frame 441, a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ame 441. It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443 disposed in.

프레임(441)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441)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410)의 일측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The frame 441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frame 441 may be disposed to penetrate one side of the bracket 410, as shown in FIGS. 3 and 4 .

플랜지(442)는 프레임(441)의 양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플랜지(442)의 직경은 프레임(44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플랜지(442)는 탄성부재(443)를 지지할 수 있다.Flanges 442 may b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frame 441, respectively. Also, since the diameter of the flange 442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rame 441, the flange 442 can support the elastic member 443.

탄성부재(443)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442)의 일측이 롤러(420)의 일측에 밀착되게 한다.The elastic member 443 allows one side of the flange 442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roller 420, as shown in (a) of FIG. 5.

탄성부재(443)는 스프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프레임(441)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elastic member 443 may be provided as a spring and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ame 441.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443)의 일측은 브라켓(410)에 지지되고 타측은 플랜지(442)에 지지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탄성부재(443)는 플랜지(442)가 롤러(420)의 일측을 탄성 지지되게 한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5,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443 may be supported by the bracket 410 and the other side may be supported by the flange 442. Accordingly, the elastic member 443 allows the flange 442 to elastically support one side of the roller 420.

한편, 상기 이송대차(1)는 대차(100)의 폭보다 포집부(400)가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좁은 통로 이동시 밀착부(300)가 대차(100)의 폭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포집부(400)의 배치 위치를 조정하여 대차(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transfer cart 1 may be arranged so that the collection part 400 protrudes beyond the width of the cart 100. However, since the close contact portion 300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rt 100 when moving in a narrow passage,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collection portion 400 can be adjusted to facilitate movement of the cart 100.

또한, 커브 구간 이동시 포집부(400)의 롤러(420)에 의해 대차(100)의 방향조절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는바, 상기 이송대차(1)는 밀착부(300)를 대차(100)의 폭에 대한 중심쪽으로 이동시켜 포집부(400)의 밀착에 따른 대차(100)의 방향 전환을 유리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moving in a curved section, it may be difficult to adjust the direction of the cart 100 due to the roller 420 of the collection unit 400, and the transfer cart 1 attaches the close contact portion 300 to the cart 100. By moving it toward the center of the width, it is possible to advantageously change the direction of the cart 100 according to the close contact of the collection unit 400.

즉, 상기 이송대차(1)는 폭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주행간섭 및 방향 전환에 유리하다.That is, since the transfer truck 1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width direction, it is advantageous for driving interference and direction changes.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수정과 변경에 관계된 차이점들을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change it. And, the differences related to these modifications and change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 : 이송대차
100 : 대차 110 : 바퀴
200 : 가이드 210 : 가이드 몸체
220 : 가이드 폰 230 : 가이드 판
300 : 밀착부 310 : 밀착판
320 : 제1 결합판 330 : 제2 결합판
400 : 포집부 410 : 브라켓
420 : 롤러 430 : 점착부재
440 : 탈착부 443 : 탄성부재
1: Transfer truck
100: bogie 110: wheel
200: Guide 210: Guide body
220: guide phone 230: guide plate
300: Close contact part 310: Close contact plate
320: first coupling plate 330: second coupling plate
400: collection unit 410: bracket
420: Roller 430: Adhesive member
440: Removable part 443: Elastic member

Claims (12)

클린룸의 바닥에 쌓인 이물질을 수거하는 이송대차에 있어서,
바퀴를 구비하는 대차;
포집부; 및
상기 대차와 상기 포집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포집부를 상기 클린룸의 바닥에 밀착시키는 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집부는 상기 이물질을 점착하여 수거하고,
상기 밀착부는,
밀착판;
상기 밀착판의 일측에 연장 형성된 제1 결합판; 및
상기 밀착판의 타측에 연장 형성된 제2 결합판을 포함하고,
상기 밀착판은 소정의 곡률을 갖는 판 형상의 부재로 제공되는 이송대차.
In the transfer truck that collects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on the floor of the clean room,
A bogie having wheels;
collection unit; and
It includes a close contact part disposed between the cart and the collecting part to bring the collecting par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of the clean room,
The collection unit adheres and collects the foreign matter,
The close contact part,
contact plate;
a first coupling plate extending on one side of the contact plate; and
It includes a second coupling plate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contact plate,
The contact plate is a transfer cart provided as a plate-shaped member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포집부를 구비하되, 상기 대차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포집부 중 하나는 상기 바퀴의 전방에 배치되는 이송대차.
According to paragraph 1,
A transfer cart having at least two collection units, wherein one of the collection units is disposed in front of the wheels based 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rolle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상기 밀착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롤러;
상기 롤러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점착부재; 및
상기 브라켓에 배치되어 상기 롤러의 일측을 지지하는 탈착부를 포함하는 이송대차.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collection unit,
a bracke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lose contact portion;
A roller detachably disposed on the bracket;
An adhesive member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and
A transfer truck including a detachable part disposed on the bracket and supporting one side of the roll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
상기 브라켓의 일측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양단에 각각 배치되는 플랜지; 및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은 상기 브라켓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플랜지에 지지되는 이송대차.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detachable part,
A frame disposed through one side of the bracket;
Flange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frame; and
It includes an elastic member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ame,
A transfer cart in which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is supported by the bracket and the other side is supported by the flang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재는 점착테이프로 제공되는 이송대차.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adhesive member is a transfer truck provided with adhesive tap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에 의한 상기 점착테이프의 지면압착력은 700~1500g중인 이송대차.
According to clause 5,
The transfer truck has a ground pressing force of the adhesive tape due to the close contact portion of 700 to 1500 g.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와 상기 밀착부 사이에 배치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밀착부는 상기 가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가이드에 배치되는 이송대차.
According to paragraph 1,
Further comprising a guide disposed between the bogie and the close contact portion,
The close contact portion is a transfer cart disposed on the guide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대차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몸체;
상기 가이드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몸체에 형성된 가이드 홈; 및
상기 가이드 홈에 이동가능 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판을 포함하는 이송대차.
According to clause 8,
The guide is:
a guide body detachably disposed on the bogie;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guid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body; and
A transfer truck including a guide plate movably disposed in the guide groov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 판의 이동 후 상기 가이드 판을 상기 가이드 몸체에 고정하는 제1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송대차.
According to clause 9,
The guide further includes a first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guide plate to the guide body after movement of the guide plat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의 상기 제1 결합판은 상기 가이드 판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송대차.
According to clause 10,
The first coupling plate of the close contact portion is a transfer trolley in which the first coupling plate is detachably disposed on the guide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의 상기 제2 결합판은 상기 포집부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송대차.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cond coupling plate of the close contact portion is a transfer cart in which the second coupling plate is detachably disposed on the collection portion.
KR1020160135167A 2016-10-18 2016-10-18 Transfer Car for cleaning KR1025997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167A KR102599780B1 (en) 2016-10-18 2016-10-18 Transfer Car for clea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167A KR102599780B1 (en) 2016-10-18 2016-10-18 Transfer Car for clean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685A KR20180042685A (en) 2018-04-26
KR102599780B1 true KR102599780B1 (en) 2023-11-08

Family

ID=62082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167A KR102599780B1 (en) 2016-10-18 2016-10-18 Transfer Car for clean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978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45173B (en) * 2019-11-11 2020-10-30 新昌县万才建材科技有限公司 Categorised transportation equipment of building templates sub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4836A (en) * 2004-05-31 2005-12-08 Renesas Technology Corp Conveying truck, track cleaning method using the same, traveling state inspection meth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100594999B1 (en) 2000-06-02 2006-07-03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Cart for mounting/demounting wafer transfer robot
KR101195251B1 (en) * 2011-04-08 2012-10-29 이의진 Adhesive tape roll cleaner
KR200477084Y1 (en) 2013-04-11 2015-05-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Cleaning apparatus for secondary barrier of LNG tank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0396A (en) * 2008-04-18 2009-10-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Removal apparatus for extraneous matter of shuttle rail for carria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999B1 (en) 2000-06-02 2006-07-03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Cart for mounting/demounting wafer transfer robot
JP2005334836A (en) * 2004-05-31 2005-12-08 Renesas Technology Corp Conveying truck, track cleaning method using the same, traveling state inspection meth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101195251B1 (en) * 2011-04-08 2012-10-29 이의진 Adhesive tape roll cleaner
KR200477084Y1 (en) 2013-04-11 2015-05-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Cleaning apparatus for secondary barrier of LNG ta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685A (en) 2018-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34546B (en) Be used for general cleaning and disinfecting equipment in ward ground
US5827338A (en) Filter cleaning system including belt mounted extending nozzle
EP1373804B1 (en) Air-cleaning device and method for arranging air cleaning in sensitive environments
KR102056846B1 (en) Air cleaning filter that can be used continuously and air cleaner provided with same
US20080190461A1 (en) Overhead Rail Cleaner
CN204830406U (en) Central air conditioning tuber pipe purifier
JP2017524119A (en) Air conditioning filter cleaning device and filter cleaning system
EP3763272A1 (en) Base station for connecting a clean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cleaning system
JP2016540546A (en) Dust container
KR102599780B1 (en) Transfer Car for cleaning
KR101834225B1 (en) Dust removal device of wheel
JP7124606B2 (en) Autonomous cleaning device
CN106880320A (en) Sweeping robot
JP2011226670A (en) Air cleaning equipment with humidifying function
KR20180051244A (en) Air cleaning filter and air cleaner provided with same
KR20180099005A (en) Air cleaning filter and air cleaner provided with same
DE102015010979A1 (en) Mobile dedusting device
KR20190068819A (en) Air cleaner filter for fans
JP2012065720A (en) Clean room and method of cleaning low floor thereof
WO2014091087A1 (en) An arrangement for cleaning of an exhaust air ductwork and a movable dust separation unit for cleaning of an exhaust air ductwork
KR101685147B1 (en) Dust filtering apparatus
CN110290736B (en) Filter system and vacuum cleaner comprising a filter system
JP2005029359A5 (en)
KR102039273B1 (en) Filter assembly for Air cleaner machine
CN211071158U (en) Central air conditioning pipeline clea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