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9582B1 - 무선 이어폰 - Google Patents

무선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9582B1
KR102599582B1 KR1020220073955A KR20220073955A KR102599582B1 KR 102599582 B1 KR102599582 B1 KR 102599582B1 KR 1020220073955 A KR1020220073955 A KR 1020220073955A KR 20220073955 A KR20220073955 A KR 20220073955A KR 102599582 B1 KR102599582 B1 KR 102599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ember
rotation
protrusion
speaker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3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배
전지상
김종만
Original Assignee
크레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레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레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3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5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이어폰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이어폰은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유닛 캡; 상기 유닛 캡의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음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 유닛; 및 상기 스피커 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유닛 캡 내부공간에서 회전이 방지되도록 일측 방향으로 회전방지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방지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 부재에는 공기 구멍이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무선 이어폰 {Wireless Earphone}
본 발명은 무선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정보통신기술 및 전자장치 등의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화상통화 및 음성통화가 가능하고, 오디오 기능 및 카메라 기능 등이 포함된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이 보편화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전자장치들이 점차 소형화되고, 소형화된 전자장치들에 많은 기능들이 집약적으로 포함되고 있는 추세이다. 전술한 이동통신 단말기, 소형화되는 전자장치들, 특히 이어폰은 소리 발생기능을 위한 마이크로 스피커를 내장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299650호에는 기압평형수단이 구비된 커널형 이어폰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이어폰은 스피커유닛과, 스피커유닛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스피커유닛은 원통형의 프레임과,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자기회로와, 자기회로의 자기력에 의해서 상하로 진동하는 진동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프론트 하우징의 내주면과 스피커유닛의 외주면이 맞닿아 스피커유닛이 프론트 하우징 내에서 스피커유닛의 전방과 후방 사이를 밀폐하고 있다.
이때, 종래의 이어폰은 진동판 전면의 공기를 프론트 하우징의 프론트 하우징의 전면으로 누설하는 누설홀을 설치하거나, 측면으로 누설하는 누설홀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조는 외부 누설음이 발생하고, 음 간섭으로 인해 음향 특성 저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하우징에 누설홀을 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다른 디자인의 이어폰에 적용할 수 있는 범위가 제한되고,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무선 이어폰의 기압 평형을 유지하고, 조립 공정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다양한 무선 이어폰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유닛 캡; 상기 유닛 캡의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음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 유닛; 및 상기 스피커 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유닛 캡 내부공간에서 회전이 방지되도록 일측 방향으로 회전방지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방지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 부재에는 공기 구멍이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 구멍은 상기 회전방지 돌기의 하측의 프레임 부재 측면과 상기 프레임 부재 측면과 연결되는 프레임 부재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 구멍은 상기 회전방지 돌기에 관통공이 천공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닛 캡에는 상기 회전방지 돌기의 회전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이어폰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무선 이어폰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는 기압 평형 구조를 가져 귀 내부의 기압차를 제거할 수 있다.
둘째, 기압 평형 구조에 의해 음향 특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스피커 유닛의 조립시에 프레임 부재의 회전방지 돌기에 의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a) 및 도 1 (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이어폰과 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무선 이어폰의 A-A선에 따른 수직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무선 이어폰의 외부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 유로를 나타내기 위해 확대된 일부 단면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이어폰의 공기 유로를 나타내기 위한 일부 단면 모식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작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a) 및 도 1 (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이어폰과 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무선 이어폰의 A-A선에 따른 수직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도 3은 도 2의 무선 이어폰의 외부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 유로를 나타내기 위해 확대된 일부 단면 모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무선 이어폰(100)은 유닛 캡(110), 스피커 유닛(120) 및 프레임 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무선 이어폰(100)은 유닛 캡(110)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스피커 유닛(120) 및 스피커 유닛(120)과 결합되어 고정되는 프레임 부재(130)를 수용한다.
유닛 캡(110)은 스피커 유닛(120)을 내부에 수용하고 커버로 덮혀질 수 있다.
유닛 캡(110)은 내측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12)이 프레임 부재(130)의 일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회전방지 돌기(132)와 결합되어 프레임 부재(130)의 원주 방향 회전이 방지된다.
걸림턱(112)은 프레임 부재(130)에서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회전방지 돌기(132)의 양측에서 회전방지 돌기(132)를 고정하게 된다.
걸림턱(112)은 복수개의 회전방지 돌기(132)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복수개의 회전방지 돌기(132)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닛 캡(110)은 걸림턱(112)에 의해 스피커 유닛(120)과 결합되어 고정되는 프레임 부재(130)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스피커 유닛(120)의 단자를 납땜하는 공정에서 유닛 캡(110)의 내부공간에 스피커 유닛(120)을 고정하는 시간과 인력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스피커 유닛(120)은 유닛 캡(1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음향을 발생시킨다.
스피커 유닛(120)은 링 형태의 제1 자석, 제1 자석의 내측의 공간을 제1 진동공간으로 활용하도록 배치되는 제1 코일, 제1 코일의 일 측에 고정되어서 제1 코일의 진동에 따라 함께 진동하면서 제1 음향을 발생시키는 제1 진동판, 제1 자석과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제1 자석의 외곽에 구비되는 링 형태로 구비되며, 제1 자석과 착자 방향이 반대인 제2 자석, 제2 자석의 하측에는 하부 플레이트, 제1 자석과 제2 자석 사이의 일정 간격을 제2 진동공간으로 활용하도록 배치되는 제2 코일, 제2 코일의 타 측에 고정되어 제2 코일의 진동에 따라 함께 진동하면서 제2 음향을 발생시키는 제2 진동판, 및 무선 이어폰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원판 형상의 편평한 요크밑판의 중앙에서 상측 방향으로 중공의 요크원통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요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진동판의 외주는 제1 링에 의해 원판 형상의 상부 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 고정되고, 제2 진동판의 외주는 제2 링에 의해 프레임 부재(130)의 하단과 하부에서 결합되는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프레임 부재(130)는 스피커 유닛(120)의 상기한 구성들이 결합 고정되도록 한다.
프레임 부재(130)는 평면을 기준으로 환형 형상이 바람직하다. 프레임 부재(130)는 스피커 유닛(120)과 결합되되, 프레임 부재(13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유닛 캡(110)의 내부공간에서 프레임 부재(130)의 원주 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일측 방향으로 회전방지 돌기(132)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방지 돌기(132)는 프레임 부재(130)의 상측의 일측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즉, 프레임 부재 측면(132-1)의 상측 부위로부터 반경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회전방지 돌기(132)는 프레임 부재(130)의 외주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프레임 부재(130)에 천공되어 있는 공기 구멍(134)은 회전방지 돌기(132)의 하측의 프레임 부재 측면(132-1)과 프레임 부재 측면(132-1)과 연결되는 프레임 부재 상면(132-2)에 형성되어 있다. 즉, 공기가 흐르는 공기 구멍(134)은 프레임 부재 측면(132-1)의 측면 공기 구멍(134-1) 및 측면 공기 구멍(134-1)과 연결되어 있는 프레임 부재 상면(132-2)의 상면 공기 구멍(134-2)에 의해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 회전방지 돌기(132)에 홈 또는 관통공을 천공하여 공기 구멍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공기 흐름을 설명하면, 공기가 유닛 캡(110)의 일단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114)를 통해 유닛 캡(110)의 내부면을 따라 흐른다. 그리고, 프레임 부재(130)의 공기 구멍(134)을 흘러 외부로 흐른다.
이에 따라, 프레임 부재(130)의 일측에 회전방지 돌기(132)가 형성되도록 하고, 회전방지 돌기(132)에 인접한 프레임 부재(130)에 공기 구멍(134)을 천공하여 외부 공기가 무선 이어폰 내부로 흐르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이어폰의 공기 유로를 나타내기 위한 일부 단면 모식도이다.
도 4를 다른 도면들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무선 이어폰(200)은 유닛 캡(110), 스피커 유닛(120) 및 프레임 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 부재(130)는 스피커 유닛(120)의 구성 요소들이 결합 고정되게 하고, 프레임 부재(13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유닛 캡(110)의 내부공간에서 프레임 부재(130)의 원주 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중심축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회전방지 돌기(132)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방지 돌기(132)는 회전방지 돌기(132)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에 의해 회전이 방지된다.
프레임 부재(130)의 회전방지 돌기(132)에 천공되어 있는 관통공이 공기 구멍(134)으로서 프레임 부재(130)의 중심축에 평행하게 천공되어 있다. 공기는 유닛 캡(110)의 일단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114)를 통해 유닛 캡(110)의 내부면을 따라 공기 구멍(134)을 통해 외부로 흐른다. 또한 회전방지 돌기(132)의 돌출되어 있는 단부에 관통 홈이 형성되어 공기 구멍 역할을 할 수 있고 다른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이어폰은 무선 이어폰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는 기압 평형 구조를 가져 귀 내부의 기압차를 제거할 수 있고, 기압 평형 구조에 의해 음향 특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 유닛의 조립시에 프레임 부재의 회전방지 돌기에 의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작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 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 예가 가능함을 밝혀둔다.
100, 200: 무선 이어폰
110: 유닛 캡
112: 걸림턱
114: 개구
120: 스피커 유닛
130: 프레임 부재
132: 회전방지 돌기
132-1: 프레임 부재 측면
132-2: 프레임 부재 상면
134: 공기 구멍
134-1: 측면 공기 구멍
134-2: 상면 공기 구멍

Claims (4)

  1. 무선 이어폰에 있어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유닛 캡;
    상기 유닛 캡의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음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 유닛; 및
    상기 스피커 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유닛 캡 내부공간에서 회전이 방지되도록 일측 방향으로 회전방지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방지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 부재에는 공기 구멍이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닛 캡에는 상기 회전방지 돌기의 회전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이 상기 프레임 부재의 상기 회전방지 돌기와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 부재의 원주 방향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구멍은 상기 회전방지 돌기의 하측의 프레임 부재 측면과 상기 프레임 부재 측면과 연결되는 프레임 부재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구멍은 상기 회전방지 돌기에 관통공이 천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폰.
  4. 삭제
KR1020220073955A 2022-06-17 2022-06-17 무선 이어폰 KR102599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955A KR102599582B1 (ko) 2022-06-17 2022-06-17 무선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955A KR102599582B1 (ko) 2022-06-17 2022-06-17 무선 이어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9582B1 true KR102599582B1 (ko) 2023-11-09

Family

ID=88747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955A KR102599582B1 (ko) 2022-06-17 2022-06-17 무선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958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9073A (ko) * 2005-08-11 2007-02-15 주식회사 이채 공기순환구조를 갖는 스피커 유닛
KR20210134193A (ko) * 2020-04-30 2021-11-09 부전전자 주식회사 커널형 무선 이어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9073A (ko) * 2005-08-11 2007-02-15 주식회사 이채 공기순환구조를 갖는 스피커 유닛
KR20210134193A (ko) * 2020-04-30 2021-11-09 부전전자 주식회사 커널형 무선 이어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7472B1 (ko) 압력평형 구조를 가진 커널형 이어폰
US8774447B2 (en) Crossover double speaker
JP6195250B2 (ja) スピーカ装置、映像音響機器、携帯型情報処理装置、移動体、およびイヤーホン
US6804366B2 (en) Speaker apparatus
JP2007175570A (ja) 多機能型振動アクチュエータ
KR102317353B1 (ko) 이중 스피커
KR101767467B1 (ko) 소음 차폐 이어셋 및 이의 제조방법
US11463815B2 (en) Yoke assembly for two-way receiver and two-way receiver having the same
WO2022082861A1 (zh) 扬声器单体及电子设备
US10932047B2 (en) Sound generator
CN110881161A (zh) 扬声器及电子设备
KR102599582B1 (ko) 무선 이어폰
JP3948510B2 (ja) スピーカ
US5757942A (en) Speaker unit with an improved acoustic equalizer
KR20060089937A (ko) 스피커
JP2012134718A (ja) スピーカおよび携帯情報端末
US20200045404A1 (en) Sound Generator
KR100375125B1 (ko) 통신 단말기의 수신 유니트
KR100691746B1 (ko) 공기순환구조를 갖는 스피커 유닛
KR100534154B1 (ko) 통신 단말기용 마이크로 스피커의 내부결합구조
KR200394963Y1 (ko) 음향특성의 변화를 제거할 수 있는 마이크로스피커
WO2022062047A1 (zh) 发声单体及扬声器
JP4440001B2 (ja) スピーカ
JP2004274206A (ja) スピーカ
CN215581667U (zh) 防漏磁喇叭结构及蓝牙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