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9553B1 -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9553B1
KR102599553B1 KR1020207016162A KR20207016162A KR102599553B1 KR 102599553 B1 KR102599553 B1 KR 102599553B1 KR 1020207016162 A KR1020207016162 A KR 1020207016162A KR 20207016162 A KR20207016162 A KR 20207016162A KR 102599553 B1 KR102599553 B1 KR 102599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area
absorbent
absorbent sheet
tors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6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5821A (ko
Inventor
류고 오하시
레이미 요네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85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5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5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61F13/5139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creating a visual effect, e.g. having a printed or coloured topsheet, printed or coloured sub-layer but being visible from the topsheet, other than embossing for purposes of bonding, wicking, acquisition, leakage-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사용자가, 누설에 대한 안심감과 흡수성(吸收性)에 대한 안심감을 모두 얻기 쉬운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한다. 일회용 기저귀(10)는, 앞몸통 둘레 영역 및 뒤몸통 둘레 영역 중 적어도 한쪽에 배치된 흡수(吸水) 시트(70)와, 흡수 시트보다 피부 비대향면측에 배치되는 액불투과성의 백시트(50)를 갖는다. 흡수 시트는 착색되어 있다. 두께 방향의 평면에서 보아, 백시트(50)의 적어도 일부는 흡수 시트(70)에 겹쳐 있다. 흡수 시트(70)는, 백시트(50)의 길이 방향의 외단 가장자리보다 길이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온 길이 방향 연장부(77)를 갖는다.

Description

일회용 기저귀
본 발명은 흡수(吸水) 시트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흡수(吸收) 코어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흡수 코어와는 별도의 흡수 시트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가 알려져 있다. 흡수 시트는, 몸통 둘레 영역에서 착용자의 피부에 닿는 피부 대향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흡수 시트는, 팬츠형의 상태에서 일회용 기저귀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흡수 시트의 피부 비대향면측에는 액불투과성의 백시트가 배치되어 있다. 백시트는, 흡수 시트에 의해 흡수한 체액의 누설을 억제하기 위해, 흡수 시트에 겹쳐서 배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48531호
특허문헌 1의 흡수 시트는, 팬츠형의 상태에서 일회용 기저귀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의 외측으로부터 시인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사용자는, 흡수 시트의 존재를 인식하기 어려워, 땀 등의 체액의 흡수성(吸收性)에 대한 안심감을 충분히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특히, 흡수 시트와 백시트가 겹치는 영역에서는, 사용자는, 기저귀의 외측으로부터의 흡수 시트의 시인성이 낮아져, 흡수 시트의 존재를 인식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흡수 시트의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해, 흡수 시트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백시트를 배치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흡수 시트에 의해 흡수한 체액의 누설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 사용자는 누설에 대한 안심감을 충분히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누설에 대한 안심감과 흡수성에 대한 안심감을 모두 얻기 쉬운 일회용 기저귀가 요구된다.
일 양태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는,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 및 폭 방향과, 앞몸통 둘레 영역, 뒤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뒤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배치된 가랑이 영역과, 적어도 상기 가랑이 영역에 배치되는 흡수성(吸收性) 본체와,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뒤몸통 둘레 영역 중 적어도 한쪽에 배치되는 흡수 시트와, 상기 흡수 시트보다 피부 비대향면측에 배치되는 액불투과성의 백시트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흡수 시트는 착색되어 있고, 두께 방향의 평면에서 보아, 상기 백시트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흡수 시트에 겹쳐 있고, 상기 흡수 시트는, 상기 백시트의 상기 길이 방향의 외단 가장자리보다 상기 길이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온 길이 방향 연장부를 갖는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일회용 기저귀를 피부 대향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일회용 기저귀를 피부 비대향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내는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C-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D-D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E-E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내는 일회용 기저귀를 통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실시형태의 개요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명확해진다.
일 양태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는,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 및 폭 방향과, 앞몸통 둘레 영역, 뒤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뒤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배치된 가랑이 영역과, 적어도 상기 가랑이 영역에 배치되는 흡수성 본체와,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뒤몸통 둘레 영역 중 적어도 한쪽에 배치되는 흡수 시트와, 상기 흡수 시트보다 피부 비대향면측에 배치되는 액불투과성의 백시트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흡수 시트는 착색되어 있고, 두께 방향의 평면에서 보아, 상기 백시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흡수 시트에 겹쳐 있고, 상기 흡수 시트는, 상기 백시트의 상기 길이 방향의 외단 가장자리보다 상기 길이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온 길이 방향 연장부를 갖는다.
본 양태에 의하면, 흡수 시트가 착색되고, 또한 흡수 시트와 백시트가 겹치는 영역과 흡수 시트와 백시트가 겹치지 않는 길이 방향 연장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흡수 시트의 시인성과 체액의 누설을 양립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누설에 대한 안심감과 흡수성에 대한 안심감을 모두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흡수 시트와 상기 백시트가 겹치는 영역의 상기 길이 방향의 길이는, 상기 길이 방향 연장부의 상기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길다.
본 양태에 의하면, 흡수 시트와 백시트와 겹치는 영역쪽이 길이 방향 연장부보다 길어, 체액의 누설을 억제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흡수성 본체는 흡수 코어를 가지며, 상기 두께 방향의 평면에서 보아, 상기 흡수 시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흡수 코어의 피부 대향면측에서 상기 흡수 코어의 상기 길이 방향의 외단 가장자리에 겹쳐 있다.
흡수 시트는, 흡수 코어의 길이 방향의 외단 가장자리에 겹쳐 있고, 흡수 코어의 두께에 의해 착용자측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흡수 시트가 착용자에게 밀착되어, 흡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흡수성 본체는 흡수 코어를 가지며, 상기 흡수 시트는, 상기 길이 방향에서 상기 흡수 코어와 이격되어 있다.
흡수 코어와 흡수 시트가 길이 방향에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 코어가 흡수한 체액이 흡수 시트에 전달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흡수 시트로부터의 체액의 누설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흡수 시트는, 상기 백시트의 상기 폭 방향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상기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온 폭 연장부를 갖는다.
본 양태에 의하면, 사용자는, 흡수 시트의 존재를 보다 인식하기 쉬워, 흡수성에 대한 안심감을 보다 얻기 쉽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폭 연장부는, 상기 백시트의 외측 가장자리와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외측 가장자리의 폭 방향의 중심보다 상기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다.
본 양태에 의하면, 사용자는, 흡수 시트의 존재를 보다 인식하기 쉬워, 흡수성에 대한 안심감을 보다 얻기 쉽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흡수 시트는,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상기 폭 방향의 전역에 배치되어 있다.
본 양태에 의하면, 사용자는, 흡수 시트의 존재를 보다 인식하기 쉬워, 흡수성에 대한 안심감을 보다 얻기 쉽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흡수 시트의 상기 길이 방향의 외단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측 영역과, 상기 흡수 시트의 상기 길이 방향의 내단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측 영역을 가지며, 상기 흡수 시트가 배치된 영역의 상기 폭 방향의 수축력은, 상기 외측 영역과 상기 내측 영역 중 적어도 한쪽의 상기 폭 방향의 수축력보다 높다.
흡수 시트가 배치된 영역의 수축력이 외측 영역의 수축력 또는 내측 영역의 수축력보다 높기 때문에, 흡수 시트가 배치된 영역이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들뜨지 않고 몸에 피트되기 쉽다. 흡수 시트가 몸에 피트되는 것에 의해, 효율적으로 체액을 흡수하여 흡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흡수 시트가 배치된 영역의 상기 폭 방향의 수축력은, 상기 외측 영역의 상기 폭 방향의 수축력보다 높다.
본 양태에 의하면, 흡수 시트가 외측 영역측에서 피부로부터 들뜨기 어려워져, 흡수 시트에 의해 흡수한 체액이 몸통 둘레 개구부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두께 방향의 평면에서 보아, 상기 길이 방향 연장부에 겹치고, 또한 상기 길이 방향 연장부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배치된 신축성 부재를 가지며, 자연 상태의 상기 일회용 기저귀를 피부 비대향면측으로부터 시인한 상태에서의 상기 길이 방향 연장부의 L*a*b* 색공간의 L값은 82 이상이다.
길이 방향 연장부의 L*a*b* 색공간의 L값은, 82 이상인 것에 의해, 신축성 부재가 눈에 띄기 어려워져 위화감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길이 방향에서, 상기 제1 몸통 둘레 영역의 외단 가장자리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외단 가장자리와의 길이는, 상기 제2 몸통 둘레 영역의 외단 가장자리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외단 가장자리와의 길이보다 길다.
본 양태에 의하면, 흡수성 본체가 착용자의 다리에 의해 압축되는 것에 의한 영향을 제1 몸통 둘레 영역이 받기 어려워, 제1 몸통 둘레 영역에 배치된 흡수 시트의 밀착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2) 일회용 기저귀의 실시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에 관해 설명한다. 또,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서, 동일 또는 유사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 부호를 붙였다. 다만,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실제의 것과는 상이하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한, 도면 상호간에도 서로의 치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10)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일회용 기저귀(10)를 피부 대향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며, 도 3은, 일회용 기저귀를 피부 비대향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에 나타내는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평면도는, 신장 상태의 일회용 기저귀를 나타내고 있다. 또, 본 발명에서의 신장 상태란, 후술하는 사이드 접합부(60)를 전개한 상태에서 일회용 기저귀(10)를 주름이 형성되지 않는 상태까지 신장시킨 상태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자연 상태란, 패키지에 수용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패키지로부터 일회용 기저귀를 꺼내어, 20℃±2℃, 상대 습도 60%±5%RH의 분위기하에 24시간 방치한 상태이다.
일회용 기저귀(10)는,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L) 및 폭 방향(W)을 갖는다. 길이 방향(L)은, 신체 앞쪽과 신체 뒤쪽으로 연장되는 방향에 의해 규정된다. 바꿔 말하면, 길이 방향(L)은, 전개된 일회용 기저귀(10)에서 앞뒤로 연장되는 방향이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10)는, 길이 방향(L)과 폭 방향(W)의 양 방향에 직교하는 두께 방향(T)을 갖는다. 두께 방향(T)은, 착용자측으로 향하는 피부 대향면측(T1)과, 착용자로부터 멀어지는 쪽인 피부 비대향면측(T2)으로 연장된다.
일회용 기저귀(10)는, 앞몸통 둘레 영역(S1)과, 뒤몸통 둘레 영역(S2)과, 가랑이 영역(S3)을 갖는다. 앞몸통 둘레 영역(S1)은, 착용자의 앞몸통 둘레(복부)에 대향하는 영역이다. 뒤몸통 둘레 영역(S2)은, 착용자의 뒤몸통 둘레(등부)에 대향하는 영역이다. 가랑이 영역(S3)은, 착용자의 가랑이에 위치하며, 앞몸통 둘레 영역(S1)과 뒤몸통 둘레 영역(S2) 사이에 배치된 영역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술하는 흡수 시트(70)는, 뒤몸통 둘레 영역(S2)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뒤몸통 둘레 영역(S2)은, 본 발명에서의 제1 몸통 둘레 영역을 구성하고, 앞몸통 둘레 영역(S1)은 제2 몸통 둘레 영역을 구성한다. 또, 변형예에서, 흡수 시트(70)가 앞몸통 둘레 영역(S1)에 배치되고, 뒤몸통 둘레 영역(S2)이 제2 몸통 둘레 영역을 구성하고, 앞몸통 둘레 영역(S1)이 제1 몸통 둘레 영역을 구성해도 좋고, 흡수 시트(70)가 앞몸통 둘레 영역(S1) 및 뒤몸통 둘레 영역(S2)의 양쪽에 배치되어도 좋다.
일회용 기저귀(10)는, 앞몸통 둘레 부재(20)와, 뒤몸통 둘레 부재(30)와, 흡수성 본체(40)를 갖고 있어도 좋다. 앞몸통 둘레 부재(20)는, 앞몸통 둘레 영역(S1)에 배치되어 있고, 앞몸통 둘레 부재(20)가 배치된 영역이 앞몸통 둘레 영역이다. 뒤몸통 둘레 부재(30)는, 뒤몸통 둘레 영역(S2)에 배치되어 있고, 뒤몸통 둘레 부재(30)가 배치된 영역이 뒤몸통 둘레 영역이다. 앞몸통 둘레 부재(20)는 본 발명에서의 제2 몸통 둘레 부재를 구성하고, 뒤몸통 둘레 부재(30)는 본 발명에서의 제1 몸통 둘레 부재를 구성한다. 앞몸통 둘레 부재(20) 및 뒤몸통 둘레 부재(30)는, 예컨대 부직포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앞몸통 둘레 부재(20) 및 뒤몸통 둘레 부재(30)는, 일회용 기저귀의 가장 피부 비대향면측(T2)에 배치된 제1 외장 부직포 시트(35)와, 제1 외장 부직포 시트(35)보다 피부 대향면측(T1)에 배치된 제2 외장 부직포 시트(36)를 가져도 좋다. 제1 외장 부직포 시트(35) 및 제2 외장 부직포 시트(36)는 본 발명에서의 부직포 시트를 구성한다. 제1 외장 부직포 시트(35) 및 제2 외장 부직포 시트(36)는 열가소성 섬유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1 외장 부직포 시트(35)의 평량 및 제2 외장 부직포 시트(36)의 평량은, 각각 10 g/㎡∼35 g/㎡이어도 좋다. 제1 외장 부직포 시트(35) 및 제2 외장 부직포 시트(36)는, 스펀본드 부직포, SMS 부직포, 포인트본드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제1 외장 부직포 시트(35)는, 앞몸통 둘레 부재(20)의 내단 가장자리 및 뒤몸통 둘레 부재(30)의 내단 가장자리로부터 길이 방향(L)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몸통 둘레 개구부(62)를 기점으로 피부 대향면측(T1)으로 접혀 있다. 제1 외장 부직포 시트(35)의 접힘부(35F)는, 후술하는 몸통 둘레 개구부(62)의 근방에서, 일회용 기저귀의 피부 대향면측(T1)에 배치되어도 좋다. 제1 외장 부직포 시트(35)의 접힘부(35F)는, 후술하는 흡수 시트의 외단 가장자리를 덮고 있다. 또한, 제1 외장 부직포 시트(35)와 제2 외장 부직포 시트(36) 사이에는, 후술하는 제1 백시트(51)가 배치되어도 좋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의 외단 가장자리란 길이 방향(L)의 외측에 위치하는 가장자리이고, 내단 가장자리란 길이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가장자리이다.
일회용 기저귀(10)에는, 앞몸통 둘레 부재(20)의 외측부와 뒤몸통 둘레 부재(30)의 외측부를 접합하는 사이드 접합부(60)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사이드 접합부(60)는, 앞몸통 둘레 부재(20)의 외측부와 뒤몸통 둘레 부재(30)의 외측부를 서로 걸어서 고정한 부분에 의해 규정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의 외측부란, 폭 방향(W)에서의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폭 방향에 일정한 범위를 차지하는 부분이며, 외측 가장자리란 폭 방향에서의 가장자리이다. 사이드 접합부(60)는, 앞몸통 둘레 부재(20)의 외측 가장자리(20E)(앞몸통 둘레 영역(S1)의 외측 가장자리) 및 뒤몸통 둘레 부재(30)의 외측 가장자리(30E)(뒤몸통 둘레 영역(S2)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해도 좋다. 사이드 접합부(60)의 외측 가장자리는, 구체적으로는, 앞몸통 둘레 부재(20)의 외측 가장자리(20E) 및 뒤몸통 둘레 부재(30)의 외측 가장자리(30E)보다 5 mm 이상 내측에 위치해도 좋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이드 접합부(60)가 형성된 상태에서, 일회용 기저귀(10)에는, 착용자의 몸통이 통과되는 몸통 둘레 개구부(62)와, 착용자의 다리가 각각 삽입되는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66)가 형성된다. 몸통 둘레 개구부(62)는, 앞몸통 둘레 영역(S1)의 전단 가장자리와, 뒤몸통 둘레 영역(S2)의 후단 가장자리에 의해 규정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서, 도 2는, 사이드 접합부(60)에서의 접합을 해제하고, 일회용 기저귀(10)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사이드 접합부(60)는, 앞몸통 둘레 부재(20) 및 뒤몸통 둘레 부재(30)의 각각에서,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앞몸통 둘레 영역(S1)과 가랑이 영역(S3)의 경계는, 앞몸통 둘레 부재(20)에 마련된 사이드 접합부(60)의 후단 가장자리에 의해 규정되어 있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뒤몸통 둘레 영역(S2)과 가랑이 영역(S3)의 경계는, 뒤몸통 둘레 부재(30)에 마련된 사이드 접합부(60)의 전단 가장자리에 의해 규정되어 있어도 좋다.
앞몸통 둘레 영역(S1) 및 뒤몸통 둘레 영역(S2)에는, 폭 방향(W)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성 부재(32)가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신축성 부재(32)는, 예컨대, 폭 방향(W)으로 신축 가능한 실고무, 또는 폭 방향(W)으로 신축 가능한 탄성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그 대신에, 신축성 부재(32)는, 예컨대 신축 가능한 시트에 의해 구성된 앞몸통 둘레 부재(20) 자체 및 뒤몸통 둘레 부재(30) 자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2 몸통 둘레 영역을 구성하는 앞몸통 둘레 영역(S1)의 폭 방향(W)의 수축력은, 제1 몸통 둘레 영역을 구성하는 뒤몸통 둘레 영역(S2)의 폭 방향(W)의 수축력보다 높아도 좋다. 앞몸통 둘레 영역(S1)의 수축력이 뒤몸통 둘레 영역(S2)의 수축력보다 높기 때문에, 장착된 상태에서 뒤몸통 둘레 영역(S2)의 폭 방향(W)의 외측 가장자리가 앞몸통 둘레 영역(S1)측으로 인장된다. 따라서, 뒤몸통 둘레 영역의 폭 방향의 외측 가장자리가, 정면에서 보아 착용자로부터 시인되기 쉬워진다. 또한, 앞몸통 둘레 영역(S1) 및 뒤몸통 둘레 영역(S2)이 수축하면, 뒤몸통 둘레 영역(S2)이 앞몸통 둘레 영역(S1)측으로 인장된다. 뒤몸통 둘레 영역(S2)에 형성되는 주름이 앞몸통 둘레 영역(S1)보다 적어져, 뒤몸통 둘레 영역(S2)이 피부에 밀착되기 쉬워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의 수축력은, 폭 방향으로 쉽게 줄어드는 것을 말하며, 이하와 같이 측정할 수 있다. 우선, 일회용 기저귀의 사이드 접합부를 찢어 일회용 기저귀를 전개 상태로 한다. 앞몸통 둘레 부재의 후단 가장자리 및 뒤몸통 둘레 부재의 전단 가장자리를 따라 기저귀를 절단하고, 가랑이 영역을 분리한다. 이것에 의해, 앞몸통 둘레 영역의 샘플과 뒤몸통 둘레 영역의 샘플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수축력을 측정할 때에는, 앞몸통 둘레 영역 및 뒤몸통 둘레 영역으로부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절취하여, 제1 영역의 샘플과 제2 영역의 샘플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각 샘플에 관해 폭 방향의 각 단부 10 mm를 손잡이부로 하고, 각 손잡이부 이외의 부분을 나머지 부분으로 한 경우에, 상기 나머지 부분을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주름없게 펼친 상태(100%의 신장 상태의 치수)에서의 폭 방향의 치수 LA(mm)를 미리 측정해 둔다. 그렇게 하고, 샘플의 각 손잡이부를, 인장 시험기(예컨대, 시마즈 제작소사 제조의 오토그래프 AGS-X 등)가 구비한 상하의 각 척에 파지시켜, 상하의 각 척끼리의 간격을 넓히는 것에 의해, 수축 상태의 샘플을 100(mm/min)의 인장 속도로 상기 LA의 85%의 길이까지 폭 방향으로 신장하고, 그 후에, LA의 70%의 길이까지 각 척끼리의 간격을 좁힌 상태로 한다. 그리고, 이 좁힌 상태일 때의 힘을 수축력(N)으로 한다.
일회용 기저귀(10)는, 일회용 기저귀를 폐기하기 위한 테이프 부재(80)를 가져도 좋다. 테이프 부재(80)는, 일회용 기저귀(10)의 가장 피부 비대향면측(T2)에 배치되어도 좋다. 테이프 부재(80)는, 폐기시에는, 폐기전의 상태와 비교하여,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어 나올 수 있게 구성되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테이프 부재(80)는, 폭 방향(W)을 따르는 접음선을 기점으로 절첩되어도 좋다. 테이프 부재(80)의 길이 방향(L)의 굽힙 강성은, 일회용 기저귀를 구성하는 다른 구성 부재의 길이 방향의 굽힘 강성보다 높아도 좋고, 테이프 부재(80)의 폭 방향의 굽힘 강성은, 일회용 기저귀를 구성하는 다른 구성 부재의 폭 방향의 굽힘 강성보다 높아도 좋다.
흡수성 본체(40)는, 적어도 가랑이 영역(S3)에 배치되어도 좋다. 흡수성 본체(40)는, 앞몸통 둘레 영역(S1) 및 뒤몸통 둘레 영역(S2)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흡수성 본체(40)는, 앞몸통 둘레 부재(20) 및 뒤몸통 둘레 부재(30)와는 별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흡수성 본체(40)는, 앞몸통 둘레 영역(S1) 및 뒤몸통 둘레 영역(S2)에서, 각각 앞몸통 둘레 부재(20) 및 뒤몸통 둘레 부재(30)와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 방향(L)에서, 뒤몸통 둘레 영역의 외단 가장자리와 흡수성 본체의 외단 가장자리와의 길이(L12)는, 앞몸통 둘레 영역(S1)의 외단 가장자리와 흡수성 본체의 외단 가장자리와의 길이(L11)보다 길어도 좋다.
흡수성 본체(40)는 적어도 흡수 코어(45)를 포함하고 있다. 흡수 코어(45)는, 예컨대 분쇄 펄프 혹은 고흡수성 폴리머(SAP),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흡수 코어(45)는 적어도 가랑이 영역(S3)에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흡수 코어(45)는, 길이 방향(L)에서, 앞몸통 둘레 영역(S1)으로부터 뒤몸통 둘레 영역(S2)에 걸쳐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흡수 코어(45)는 코어랩에 의해 덮여 있어도 좋다. 또한, 흡수성 본체(40)는, 흡수 코어(45)의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톱시트(41)를 갖고 있어도 좋다.
흡수성 본체(40)는 레그 플랩(46)을 가져도 좋다. 레그 플랩(46)은, 흡수 코어(45)보다 폭 방향(W)의 외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레그 플랩(46)은, 적어도 2층의 레그 시트(47)와, 레그 시트(47) 사이에 배치된 레그 탄성 부재(48)를 가져도 좋다. 레그 시트(47)는, 톱시트(41)의 일부이어도 좋고, 도시하지 않은 백시트의 일부이어도 좋고, 톱시트(41) 및 백시트와 별체의 시트이어도 좋다. 레그 탄성 부재(48)는, 길이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레그 시트(47)에 고정되어 있다. 레그 탄성 부재(48)는,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실고무(320∼620 dtex)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레그 탄성 부재(48)는, 레그 플랩(46)에서의 길이 방향의 소정의 영역에서 신장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레그 탄성 부재(48)가 신장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서는 레그 플랩(46)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수축하는 힘이 작용하고, 레그 탄성 부재(48)가 신장 상태로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서는 레그 플랩(46)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수축하는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 중에서는, 이 길이 방향으로 수축하는 힘이 작용하는 영역의 길이 방향 길이를 레그 탄성 부재(48)의 「유효 길이」라고도 한다. 유효 길이 부분은, 기저귀의 자연 상태에서 레그 탄성 부재의 수축에 의해 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다. 도 2에서 레그 탄성 부재(48)의 유효 길이 부분(49)을 나타낸다. 흡수성 본체(40)는, 도 2에 나타내는 접합 영역(R40)에서, 앞몸통 둘레 부재(20) 및 뒤몸통 둘레 부재(30)에 접합되어 있다. 유효 길이 부분(49)은 접합 영역(R40)에 겹쳐 있어도 좋다.
앞몸통 둘레 영역(S1) 및 뒤몸통 둘레 영역(S2) 중 한쪽에는 흡수 시트(70)가 배치되어 있다. 흡수 시트(70)는 땀 등의 체액을 흡수 가능한 시트이다. 흡수 시트(70)는 뒤몸통 둘레 영역(S2)에 배치되어도 좋다. 착용자는, 복부쪽에 비교해 등쪽에서 땀을 흘리기 쉽다. 착용자의 등쪽에 장착되는 뒤몸통 둘레 영역(S2)에 흡수 시트(70)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흡한성(吸汗性)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흡수 시트(70)는, 적어도 펄프 섬유를 포함하는 펄프 시트(71)를 가져도 좋다. 펄프 섬유는, 예컨대 목재 펄프 및 비목재 펄프를 들 수 있다. 목재 펄프로는, 침엽수 펄프 및 활엽수 펄프 등을 예시할 수 있고, 비목재 펄프로는, 면펄프, 마펄프, 짚펄프, 대나무 펄프, 버개스 펄프, 갈대 펄프, 케나프 펄프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펄프 시트(71)는, 펄프 섬유 이외의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친수성 섬유는,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레이온, 비스코스 레이온 등)와 같은 천연 섬유, 반합성 셀룰로오스 섬유(아세테이트 섬유 등), 정제 셀룰로오스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흡수 시트(70)는 흡수(吸水) 부직포 시트(72)를 더 가져도 좋다. 흡수 부직포 시트(72)는, 본 발명에서의 부직포 시트를 구성한다. 흡수 부직포 시트(72)는, 두께 방향(T)에서 펄프 시트(71)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 시트(70)는, 10∼35 g/㎡의 펄프 시트(71)와, 펄프 시트(71)의 두께 방향의 양측에 배치된 10∼25 g/㎡의 흡수 부직포 시트(72)를 가져도 좋다. 펄프 시트(71)는, 펄프 섬유를 가지며, 열가소성 섬유를 갖지 않아도 좋다. 흡수 부직포 시트(72)는 열가소성 섬유를 갖는다. 열가소성 수지 섬유로는, 폴리올레핀계 폴리머(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나, 폴리아미드계 폴리머, 아크릴계 폴리머, 이들을 이용한 섬유나, 이들을 조합하여 구성된 섬유를 예시할 수 있다. 흡수 시트(70)는 착색되어 있어도 좋다. 착색은, 흡수 시트(70)를 구성하는 펄프 시트 자체의 색이어도 좋고, 인쇄 등에 의해 착색되어 있어도 좋다. 흡수 시트(70)의 전체에 걸쳐 착색되어 있어도 좋고, 흡수 시트의 일부에 착색부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착색부는, 무늬나 그림으로 나타내도 좋고, 스트라이프 등의 모양을 나타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 시트는 흡수 시트(70)의 전체에 걸쳐 착색되어 있다.
흡수 시트(70)는 일회용 기저귀(10)의 가장 피부 대향면측(T1)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흡수 시트(70)는 장착 상태에서 착용자의 피부에 닿는다. 흡수 시트(70)는 피부에 닿아 땀 등의 체액을 흡수한다. 흡수 시트(70)는, 두께 방향에서 적어도 제1 외장 부직포 시트(35) 및 제2 외장 부직포 시트(36)에 겹쳐도 좋다. 흡수 시트(70)는, 접착제 등의 접착 수단에 의해 흡수 시트(70)의 피부 비대향면측(T2)에 위치하는 시트 등의 부재에 접합되어 있다.
흡수 시트(70)는, 두께 방향의 평면에서 보아, 레그 플랩(46)의 유효 길이 부분과 겹치지 않아도 좋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앞몸통 둘레 부재와 뒤몸통 둘레 부재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구조의 팬츠형 기저귀는, 흡수 코어(45)보다 폭 방향(W)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고, 앞몸통 둘레 부재(20) 및 뒤몸통 둘레 부재(30)에 고정되어 있는 레그 플랩(46)에 의해, 일회용 기저귀의 다리 둘레 영역을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피트시킨다. 그러나, 흡수 코어가 체액을 흡수하면, 체액의 무게에 의해 흡수성 본체가 아래로 내려가는 힘이 발생하고, 레그 플랩(46)의 길이 방향으로의 수축에 의해 앞몸통 둘레 부재 및 뒤몸통 둘레 부재에 대하여 아래로 내려가는 힘이 가해질 우려가 있다. 레그 플랩(46)의 유효 길이 부분(49)과 흡수 시트(70)가 두께 방향에서 겹치지 않기 때문에, 레그 플랩(46)을 통해 전달되는 아래로 향하는 힘을 흡수 시트(70)에 가하기 어려워져, 흡수 시트가 아래쪽으로 어긋나는 것을 억지하기 쉽다. 따라서, 흡수 시트의 길이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여, 착용자의 몸통 둘레에 흡수 시트를 계속 유지하기 쉽다. 따라서, 착용자에 대하여 적절한 위치에 흡수 시트(70)를 배치하여, 착용자의 땀을 흡수하는 효과를 지속하기 쉽다.
또한, 레그 플랩의 레그 탄성 부재 중,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레그 탄성 부재(482)는 접합 영역(R40)에 겹치지 않고,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레그 탄성 부재(481)는 접합 영역(R40)에 겹쳐도 좋다.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레그 탄성 부재(482)가 접합 영역(R40)에 겹치지 않기 때문에,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대하여 레그 플랩이 피트되었을 때에 레그 플랩이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어, 착용자가 다리를 움직이기 쉬워진다. 또한,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레그 탄성 부재(481)는, 체액을 흡수하는 흡수 코어에 인접해 있어, 체액에 의한 무게가 가해지기 쉽다.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레그 탄성 부재(481)가 접합 영역(R40)에 겹쳐 있는 것에 의해, 체액의 흡수에 의해 흡수 코어가 무거워졌을 때에도, 상기 레그 탄성 부재에 의해 흡수성 본체를 몸통 둘레 부재측으로 계속 끌어올리기 쉬워진다.
흡수 시트(70)는, 뒤몸통 둘레 영역(S2)의 길이 방향(L)의 전역에 대한 일부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흡수 시트(70)의 외단 가장자리(702)는, 사이드 접합부(60)의 외단 가장자리(602)보다 길이 방향(L)의 내측에 위치해도 좋다. 흡수 시트(70)의 내단 가장자리(701)는, 사이드 접합부(60)의 내단 가장자리(601)보다 길이 방향(L)의 내측에 위치해도 좋다. 뒤몸통 둘레 영역(S2)은, 폭 방향(W)에서 뒤몸통 둘레 영역(S2)의 한쪽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다른쪽의 외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되고, 길이 방향(L)에서 흡수 시트(70)의 내단 가장자리로부터 흡수 시트(70)의 외단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는 제1 영역(R1)을 가져도 좋다. 제1 영역(R1)은, 환언하면, 흡수 시트(70)가 배치된 영역과, 뒤몸통 둘레 영역(S2)에서 흡수 시트(70)가 배치된 영역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을 합한 영역이다. 또한, 앞몸통 둘레 영역(S1)은, 제1 영역(R1)과 폭 방향(W)에서 이어지고, 또한 폭 방향(W)에서 앞몸통 둘레 영역(S1)의 한쪽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다른쪽의 외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는 제2 영역(R2)을 가져도 좋다. 제1 영역(R1)과 제2 영역은, 도 1에 나타내는 팬츠형의 상태로 폭 방향(W)으로 이어져 있으면 된다. 또한, 흡수 시트(70)는, 뒤몸통 둘레 영역(S2)의 폭 방향(W)의 전역에 배치되어도 좋다. 흡수 시트(70)는, 사이드 접합부(60)보다 폭 방향(W)의 외측에 배치된 연장부(75)를 가져도 좋다. 연장부(75)는, 흡수 시트(70)의 외측 가장자리(70E)와 사이드 접합부(60) 사이의 부분이다.
일회용 기저귀(10)는, 흡수 시트(70)보다 피부 비대향면측(T2)에 배치된 액불투과성의 백시트(50)를 갖는다. 백시트(50)는, 두께 방향(T)의 평면에서 보아, 적어도 일부가 흡수 시트와 겹쳐 있어도 좋다. 따라서, 흡수 시트에 의해 흡수된 체액이 피부 비대향면측(기저귀의 외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백시트(50)의 적어도 일부가 흡수 시트보다 피부 비대향면측(T2)에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백시트(50)는, 흡수 시트(70)보다 피부 비대향면측(T2)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가져도 좋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시트(50)는, 제1 백시트(51)와, 제1 백시트(51)보다 피부 대향면측(T1)에 위치하는 제2 백시트(52)를 가져도 좋다. 제1 백시트(51)는, 앞몸통 둘레 영역(S1)과 뒤몸통 둘레 영역(S2)의 각각에 배치되어도 좋다. 제1 백시트(51)는, 제1 외장 부직포 시트(35)와 제2 외장 부직포 시트(36) 사이에 위치해도 좋다. 제1 백시트(51)의 내단 가장자리(511)는, 뒤몸통 둘레 영역(S2) 또는 앞몸통 둘레 영역(S1)의 내단 가장자리보다 길이 방향(L)의 외측에 위치해도 좋다. 뒤몸통 둘레 영역(S2)에서의 제1 백시트(51)의 내단 가장자리(511)는, 흡수 시트(70)의 내단 가장자리(701)보다 길이 방향(L)의 내측에 위치해도 좋다. 제1 백시트(51)의 외단 가장자리(512)는, 뒤몸통 둘레 영역(S2) 또는 앞몸통 둘레 영역(S1)의 외단 가장자리보다 길이 방향(L)의 내측에 위치해도 좋다. 뒤몸통 둘레 영역(S2)에서의 제1 백시트(51)의 외단 가장자리(512)는, 흡수 시트(70)의 외단 가장자리(702)보다 길이 방향의 내측에 위치해도 좋고, 제2 백시트(52)의 외단 가장자리(522)보다 길이 방향(L)의 외측에 위치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1 백시트(51)의 외단 가장자리(512)는 백시트의 외단 가장자리를 구성한다. 또, 변형예에서, 제2 백시트(52)의 외단 가장자리(522)가 백시트의 외단 가장자리를 구성해도 좋다.
제2 백시트(52)는, 앞몸통 둘레 영역(S1), 뒤몸통 둘레 영역(S2) 및 가랑이 영역(S3)에 걸쳐 배치되어도 좋다. 제2 백시트(52)는, 흡수 코어(45)의 피부 비대향면측(T2)이자, 앞몸통 둘레 부재(20) 및 뒤몸통 둘레 부재(30)보다 피부 대향면측(T1)에 배치되어도 좋다. 제2 백시트(52)의 외단 가장자리(522)는, 뒤몸통 둘레 영역(S2) 또는 앞몸통 둘레 영역(S1)의 외단 가장자리보다 길이 방향(L)의 내측에 위치한다. 뒤몸통 둘레 영역(S2)에서의 제2 백시트(52)의 외단 가장자리(522)는, 흡수 시트(70)의 외단 가장자리(702)보다 내측에 위치해도 좋고, 제1 백시트의 외단 가장자리(512)보다 내측에 위치해도 좋다. 제1 백시트(51) 및 제2 백시트(52)는, 일회용 기저귀(10)의 폭 방향(W)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일회용 기저귀(10)의 폭 방향(W)의 측부에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두께 방향의 평면에서 보아, 백시트(50)의 적어도 일부는 흡수 시트(70)에 겹쳐도 좋다. 흡수 시트(70)는, 제1 백시트(51)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 있어도 좋고, 제2 백시트(52)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 있어도 좋고, 제1 백시트(51) 및 제2 백시트(52)의 양쪽 모두에 겹쳐 있어도 좋다. 흡수 시트(70)는, 제1 백시트(51)의 외단 가장자리(512)보다 길이 방향(L)의 내측의 영역에서 백시트(50)에 겹쳐 있다. 흡수 시트(70)는, 제2 백시트(52)의 외단 가장자리(522)보다 길이 방향(L)의 내측의 영역에서는, 제1 백시트(51)와 제2 백시트의 양쪽 모두에 겹쳐 있다. 또한, 흡수 시트(70)는, 폭 방향(W)에 있어서, 제1 백시트(51)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내측의 영역 또는 제2 백시트(52)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내측의 영역에서 백시트(50)에 겹쳐 있다. 흡수 시트(70)의 적어도 일부가 백시트(50)에 겹쳐 있기 때문에, 흡수 시트(70)에 의해 흡수한 체액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기저귀의 외측으로부터 시인했을 때에, 흡수 시트(70)의 색의 농도의 차이에 의해, 흡수 시트(70)의 적어도 일부가 백시트와 겹쳐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흡수 시트(70)에 의해 흡수한 체액의 누설에 대한 안심감을 얻기 쉽다.
흡수 시트(70)는, 백시트(50)의 외단 가장자리보다 길이 방향(L)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온 길이 방향 연장부(77)를 가져도 좋다. 도 3에서, 길이 방향 연장부(77)와 후술하는 폭 연장부(78)에 상이한 사선을 부여하여 나타낸다. 길이 방향 연장부(77)는, 제1 백시트(51)의 외단 가장자리(512)와 흡수 시트(70)의 외단 가장자리(702) 사이의 부분이다. 길이 방향 연장부(77)는, 백시트(50)보다 길이 방향(L)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어, 백시트(50)를 통하지 않고 기저귀의 외측으로부터 시인되기 쉬워진다. 또한, 흡수 시트(70)는 착색되어 있고, 기저귀의 외측으로부터 시인되기 쉽다. 사용자는, 길이 방향 연장부(77)를 기저귀의 외측으로부터 시인하여, 흡수 시트(70)의 존재를 인식하기 쉽다. 흡수 시트가 착색부를 갖는 구성에 있어서는, 사용자는, 흡수 시트(70)의 착색부에 기초하여 흡수 시트의 존재를 인식하기 쉽다. 따라서, 사용자는, 땀 등의 체액의 흡수성에 대한 안심감을 얻을 수 있다. 흡수 시트(70)가 착색되고, 또한 흡수 시트(70)와 백시트(50)가 겹친 영역과 흡수 시트(70)와 백시트(50)가 겹치지 않은 영역을 구비하기 때문에, 흡수 시트의 시인성과 체액의 누설을 양립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누설에 대한 안심감과 흡수성에 대한 안심감을 모두 얻기 쉬워진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 시트(70)와 백시트(50)가 겹치는 영역의 길이 방향(L)의 길이(L21)는, 길이 방향 연장부(77)의 길이 방향(L)의 길이(L22)보다 길어도 좋다. 흡수 시트(70)와 백시트(50)가 겹치는 영역의 길이 방향(L)의 길이(L21)는, 제1 백시트(51)의 외단 가장자리(512)와 흡수 시트(70)의 내단 가장자리(701)와의 길이 방향(L)의 거리이다. 길이 방향 연장부(77)의 길이 방향(L)의 길이는, 제1 백시트(51)의 외단 가장자리(512)와 흡수 시트(70)의 외단 가장자리(702)와의 길이 방향(L)의 거리이다. 흡수 시트(70)와 백시트(50)와 겹치는 영역이 길이 방향 연장부(77)보다 길어, 체액의 누설을 억제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흡수 시트(70)는 착색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시트 등에 비해 눈에 띄기 쉽다. 따라서, 길이 방향 연장부(77)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도, 사용자는 흡수 시트(70)의 존재를 파악하기 쉽고, 흡수성에 대한 안심감을 얻을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 연장부(77)의 길이 방향(L)의 길이는, 흡수 시트(70)의 길이 방향(L)의 전체 길이에 대한 30% 미만이어도 좋다. 흡수 시트(70)는, 길이 방향(L)에서 흡수 시트(70)의 전체 길이에 대한 70% 이상의 영역에서 백시트(50)에 겹쳐 있고, 체액의 누설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흡수 시트(70)의 시인성과 누설 방지성을 보다 양립시키기 쉽다.
흡수 시트(70)는, 백시트(50)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온 폭 연장부(78)를 가져도 좋다. 폭 연장부(78)는, 제2 백시트(52)의 외단 가장자리(522)보다 길이 방향의 외측에서는, 제1 백시트(51)의 외측 가장자리와 흡수 시트의 외측 가장자리 사이의 부분이며, 제2 백시트(52)의 외단 가장자리(522)보다 길이 방향의 내측에서는, 제1 백시트(51)의 외측 가장자리와 제2 백시트의 외측 가장자리 중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가장자리와 흡수 시트의 외측 가장자리 사이의 부분이다. 또, 제1 백시트(51)의 외측 가장자리와 제2 백시트의 외측 가장자리의 폭 방향의 위치 관계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폭 연장부(78)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사용자는, 백시트(50)보다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온 흡수 시트(70)를 기저귀의 외측으로부터 시인하여, 흡수 시트의 존재를 인식하기 쉽다. 따라서, 사용자는 흡수성에 대한 안심감을 얻을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 연장부(78)는, 백시트의 외측 가장자리와 일회용 기저귀의 외측 가장자리의 폭 방향의 중심(CL)보다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어도 좋다. 폭 연장부(78)는, 백시트(50)보다 폭 방향(W)의 외측의 영역 중 폭 방향의 절반 이상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백시트보다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온 흡수 시트를 보다 시인하기 쉬워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흡수 시트(70)는, 일회용 기저귀의 폭 방향의 전역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흡수 시트가 일회용 기저귀의 폭 방향의 전역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흡수 시트를 보다 시인하기 쉬워진다. 사용자는, 흡수 시트의 존재를 보다 인식하기 쉬워, 흡수성에 대한 안심감을 얻을 수 있다.
흡수 시트(70)의 길이 방향 연장부(77) 및 폭 연장부(78)는, 백시트와 겹치지 않는 비중첩 영역을 구성한다. 신장 상태에서, 비중첩 영역의 면적은 흡수 시트 전체의 면적에 대해 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신장 상태에서, 흡수 시트는 전체 면적에 대해 60% 이상의 영역에서 백시트에 겹치지 않는다. 따라서, 흡수 시트(70)의 시인성을 보다 확보하기 쉽다.
두께 방향의 평면에서 보아, 신축성 부재(32)는, 길이 방향 연장부(77)에 겹치고 길이 방향 연장부(77)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자연 상태의 일회용 기저귀를 피부 비대향면측으로부터 시인한 상태에서의 길이 방향 연장부(77)의 L*a*b* 색공간의 L값은 82 이상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이어도 좋다. 길이 방향 연장부(77)의 L*a*b* 색공간의 L값은, 흡수 시트(70) 자체의 L값이 아니라, 일회용 기저귀의 피부 비대향면측으로부터 측정한 상태의 L값이다. 자연 상태의 일회용 기저귀를 피부 비대향면측으로부터 시인한 상태란, 일회용 기저귀의 뒤몸통 둘레 영역의 피부 비대향면이 위가 되도록, 상대 습도 60%±5% RH의 분위기하에 24시간 방치하여 기저귀를 시인한 상태이다. 흡수 시트(70)의 길이 방향 연장부(77)는, 제1 외장 부직포 시트(35) 및 제2 외장 부직포 시트(36)를 통해 시인된다. 사용자는, 기저귀의 외측으로부터 흡수 시트(70)를 시인했을 때에 길이 방향 연장부(77)와 함께 신축성 부재(32)를 시인할 수 있다. 이 때, 신축성 부재(32)가 지나치게 눈에 띄면, 신축성 부재(32)에 의한 위화감이 생길 우려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신축성 부재(32)가 지나치게 눈에 띄면, 신축성 부재가 강조되어, 신축성 부재가 눈에 띄지 않게 배치되어 있는 기저귀와 비교하여 위화감이 생기거나, 신축성이 지나치게 강조되어, 피부에 신축에 의한 자국이 생겨 피부에 좋지 않다고 느끼거나, 화학적인 느낌이 강하여 피부에 좋지 않다고 느끼거나 할 우려가 있다. 기저귀의 피부 비대향면측으로부터 시인된 상태에서의 길이 방향 연장부의 L*a*b* 색공간의 L값이 85 이상인 것에 의해, 신축성 부재(32)가 지나치게 눈에 띄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신축성 부재(32)에 의한 위화감을 억제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 연장부(77)의 L*a*b* 색공간의 L값은, 신축성 부재(32)의 L값인 91.6 이하이어도 좋다. 길이 방향 연장부(77)에 대하여 신축성 부재(32)를 보다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 길이 방향 연장부의 L값은, 측정 대상에 관해 시판하는 측색기를 이용하여 색을 측정하고, JIS Z 8729에 규정되는 CIE1976(L*a*b*) 색공간에 기초하여 수치화한 값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흡수 시트(70)는 청색 기조이어도 좋다. 흡수 시트(70)가 청색 기조인 것에 의해, 외견상 청결한 인상을 주고 청량감이 향상된다. 또한, 신축성 부재(32)는 백색 기조이어도 좋다. 신축성 부재(32)가 백색 기조인 것에 의해, 흡수 시트(70)에 비해 눈에 띄기 어려워져, 보다 위화감을 억제하기 쉽다. 또, 백색 기조란, (L*a*b*) 색공간의 L값이 90.0 이상이고, 청색 기조란, (L*a*b*) 색공간의 b값이 0 이하이고 a값이 20 이하이다.
이어서, 이와 같이 구성된 흡수 시트의 위화감의 평가에 관해 설명한다. 실시예 1∼5 및 비교예 1∼2의 자연 상태의 일회용 기저귀를, 평소에 일회용 기저귀를 사용하고 있는 10명의 피험자에게 시인하게 하고, 신축성 부재의 위화감에 관해 이하의 평가 기준에 따라서 앙케이트를 실시했다. 평가에서의 일회용 기저귀의 (L*a*b*)는, 자연 상태의 일회용 기저귀의 피부 비대향면측으로부터 측정한 길이 방향 연장부의 값이다. 본 평가에서의 신축성 부재(32)의 (L*a*b*) 색공간의 L값은 91.6이고, a값은 -0.62이고, b값은 -1.81이다.
(판정 기준)
양호 : 신축성 부재를 인식할 수 없다. 또는, 신축성 부재를 인식할 수 있지만 위화감이 생기지 않는다.
불량 : 신축성 부재를 인식할 수 있고 위화감이 생긴다.
앙케이트 결과로부터, 30명의 피험자 중 80% 이상의 피험자의 결과가 「양호」인 기저귀를 종합 평가 ◎로 하고, 60% 이상의 피험자의 결과가 「양호」인 기저귀를 종합 평가 ○로 하고, 60% 미만의 피험자의 결과가 「양호」인 기저귀를 종합 평가 ×로 했다.
Figure 112020057867717-pct0000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5의 일회용 기저귀는, 신축성 부재에 의한 위화감이 생기기 어렵다. 따라서, 길이 방향 연장부(77)의 L값은 8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시예 1~4의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8할 이상의 사용자가 위화감이 생기기 어렵다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 연장부(77)의 L값은 85 이상이어도 좋다.
이어서, 이와 같이 구성된 일회용 기저귀의 사이드 접합부 근방에서의 앞몸통 둘레 영역(S1)과 뒤몸통 둘레 영역(S2)의 접합에 관해,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C-C 단면,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D-D 단면,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E-E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6 및 도 7은, 흡수 시트(70)가 배치된 영역의 단면이며, 도 8은, 흡수 시트(70)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의 단면이다.
일회용 기저귀(10)에는, 제2 몸통 둘레 영역인 앞몸통 둘레 영역(S1)과 흡수 시트(70)의 연장부(75)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부(NR)가 마련되어 있다. 비접합부(NR)는, 팬츠형의 상태에서, 연장부(75)에서의 앞몸통 둘레 영역(S1)측의 면과, 앞몸통 둘레 부재(20)에서의 뒤몸통 둘레 영역(S2)측의 면이 접합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다. 비접합부(NR)는, 연장부(75)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폭 방향(W)의 내측으로 향하는 영역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고, 연장부(75)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사이드 접합부(60)까지 연속해 있어도 좋다. 비접합부(NR)의 외측 가장자리는, 연장부(75)의 외측 가장자리, 즉 흡수 시트(70)의 외측 가장자리(70E)이다. 비접합부(NR)의 내측 가장자리는, 사이드 접합부(60)에 인접해 있어도 좋고, 사이드 접합부(60)와 폭 방향(W)에서 이격되어 있어도 좋다.
연장부(75)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폭 방향(W)의 내측으로 향하는 영역에서는, 연장부(75)는 앞몸통 둘레 영역(S1)과 접합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연장부(75)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폭 방향(W)의 내측으로 향하는 영역에서는, 연장부(75)가 앞몸통 둘레 영역(S1)으로부터 이격되어, 기저귀의 외측으로부터 시인되기 쉬워진다. 특히, 도 6의 C-C 단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 시트(70)가 제1 외장 부직포 시트(35)의 접힘부(35F)에 의해 덮여 있지 않은 영역에서는, 연장부(75)가 노출되어, 기저귀의 외측으로부터 시인되기 쉬워진다. 또한, 흡수 시트(70)가 착색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흡수 시트(70)를 인식하기 쉽다. 사용자는, 흡수 시트(70)의 연장부(75)에 의해 흡수 시트(70)의 존재를 인식하기 쉽다. 사용자는, 흡수 코어와는 별도로, 체액을 흡수 가능한 흡수 시트(70)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어, 땀 등의 체액의 흡수성에 대한 안심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흡수 시트(70)의 연장부(75)를 안표로 하여 일회용 기저귀의 폭 방향의 외측 가장자리를 인식할 수 있어, 장착시에 일회용 기저귀의 폭 방향의 어긋남을 파악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몸에 대하여 적합한 위치에 일회용 기저귀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제2 몸통 둘레 영역을 구성하는 앞몸통 둘레 영역(S1)의 폭 방향(W)의 수축력은, 제1 몸통 둘레 영역을 구성하는 뒤몸통 둘레 영역(S2)의 폭 방향(W)의 수축력보다 높아도 좋다. 앞몸통 둘레 영역(S1)이 뒤몸통 둘레 영역(S2)보다 폭 방향으로 수축하기 쉽기 때문에, 장착 상태에서 뒤몸통 둘레 영역(S2)의 외측 가장자리가 앞몸통 둘레 영역(S1)측으로 인장된다. 따라서, 흡수 시트(70)의 연장부(75)는, 앞쪽으로 당겨져, 정면에서 시인했을 때에 보다 눈에 띄기 쉬워진다. 즉, 연장부(75)는, 장착자의 신체의 측부가 아니라 앞쪽 또는 뒤쪽으로 치우쳐 있어, 측부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과 비교하여 눈에 띄기 쉽다. 사용자는, 흡수 시트(70)의 연장부(75)를 보다 인식하기 쉬워, 체액의 흡수성에 대한 안심감을 보다 얻기 쉽다. 사용자가 연장부(75)를 인식하기 쉬운 효과를 얻기 위해, 연장부(75)의 폭 방향(W)의 길이는 5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회용 기저귀를 제조하는 경우는, 예컨대 이하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우선, 앞몸통 둘레 부재가 폭 방향으로 연속한 앞연속체와, 뒤몸통 둘레 부재가 폭 방향으로 연속한 뒤연속체를 각각 반송하고, 이 앞연속체와 뒤연속체에 걸치도록 흡수성 본체(40) 등의 구성 부재를 배치한다. 이어서, 앞연속체와 뒤연속체가 겹치도록,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음선을 기점으로 상기 연속체 및 흡수성 본체를 절첩한다. 그리고, 사이드 접합부를 형성하고, 앞몸통 둘레 영역의 외측 가장자리 및 뒤몸통 둘레 영역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체를 절단한다. 이것에 의해,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를 얻을 수 있다.
앞연속체 및 뒤연속체를 절단할 때에는, 앞연속체와 뒤연속체를 겹친 상태로 커터 등의 절단 장치에 의해 절단한다. 따라서, 절단시에 앞연속체와 뒤연속체가 용착되어, 사이드 접합부보다 폭 방향의 외측에 앞연속체(앞몸통 둘레 영역)와 뒤연속체(뒤몸통 둘레 영역)가 접합된 제2 사이드 접합부(61)가 형성된다(도 1 및 도 8 참조). 이 때, 펄프 섬유를 포함하는 펄프 시트(71)와 외장 부직포 시트는 접합하기 어렵고, 외장 부직포 시트끼리는 접합하기 쉽다. 따라서,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펄프 시트(71)를 갖는 흡수 시트(70)가 배치된 영역에서는, 절단에 의한 제2 사이드 접합부(61)가 형성되지 않는다. 한편,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 시트(70)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서는, 절단에 의한 제2 사이드 접합부(61)가 형성된다.
흡수 시트(70)보다 길이 방향(L)의 외측의 영역 및 내측의 영역에서는, 제2 사이드 접합부(61)가 형성되어도 좋다. 제2 사이드 접합부(61)는, 사이드 접합부(60)보다 폭 방향(W)의 외측에서, 앞몸통 둘레 영역(S1)과 뒤몸통 둘레 영역(S2)이 접합된 부분이다. 제2 사이드 접합부(61)는, 사이드 접합부(60)에 대하여 폭 방향(W)으로 이격되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흡수 시트(70)보다 길이 방향(L)의 외측의 영역에서는, 사이드 접합부(60)와 제2 사이드 접합부(61)가 마련되어 있다. 흡수 시트보다 길이 방향의 외측의 영역에서는, 기저귀의 외측으로부터 제1 몸통 둘레 영역과 제2 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손가락 등이 들어가기 어려워, 제2 사이드 접합부(61)에 의해 사이드 접합부(60)의 접합 상태를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중에 사이드 접합부(60)의 접합이 의도치 않게 찢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부직포 시트는, 사이드 접합부(60)가 마련된 영역에서 펄프 시트(71)보다 두께 방향에서의 제1 몸통 둘레 영역측에 배치된 제1측 부직포 시트와, 사이드 접합부(60)가 마련된 영역에서 펄프 시트(71)보다 두께 방향에서의 제2 몸통 둘레 영역측에 배치된 제2측 부직포 시트를 갖는다. 도 6에 나타내는 영역에서는, 제1측 부직포 시트는, 흡수 부직포 시트(72), 뒤몸통 둘레 영역(S2)에서의 제1 외장 부직포 시트(35) 및 뒤몸통 둘레 영역(S2)에서의 제2 외장 부직포 시트(36)에 의해 구성되고, 제2측 부직포 시트는, 흡수 부직포 시트(72), 앞몸통 둘레 영역(S1)에서의 제1 외장 부직포 시트(35) 및 앞몸통 둘레 영역(S1)에서의 제2 외장 부직포 시트(36)에 의해 구성된다. 도 7에 나타내는 영역에서는, 제1측 부직포 시트는, 흡수 부직포 시트(72), 앞몸통 둘레 영역(S1)에서의 1장의 제1 외장 부직포 시트(35), 뒤몸통 둘레 영역(S2)에서의 2장의 제1 외장 부직포 시트(35) 및 뒤몸통 둘레 영역(S2)에서의 제2 외장 부직포 시트(36)에 의해 구성된다. 도 7에 나타내는 영역에서는, 제2측 부직포 시트는, 흡수 부직포 시트(72), 앞몸통 둘레 영역(S1)에서의 제1 외장 부직포 시트(35) 및 앞몸통 둘레 영역(S1)에서의 제2 외장 부직포 시트(36)에 의해 구성된다. 또, 흡수 시트(70)가 흡수 부직포 시트를 갖지 않는 구성에서는, 제1측 부직포 시트 및 제2측 부직포 시트는, 제1 외장 부직포 시트 및 제2 외장 부직포 시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제1측 부직포 시트의 평량 및 제1측 부직포 시트의 평량은, 펄프 시트(71)의 평량보다 높아도 좋다. 제1측 부직포 시트의 평량은, 제1측 부직포 시트를 구성하는 부직포 시트의 합계평량이다. 제2측 부직포 시트의 평량은, 제2측 부직포 시트를 구성하는 부직포 시트의 합계평량이다. 제1측 부직포 시트의 평량 및 제2측 부직포 시트의 평량이 비교적 높기 때문에, 절단시의 부직포 시트끼리의 접합에 의한 제2 사이드 접합부(61)가 형성되기 쉽고, 또한 제2 사이드 접합부(61)의 접합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펄프 시트(71)에 의한 체액의 흡수성을 발휘하면서, 앞몸통 둘레 영역(S1)의 외측 가장자리와 뒤몸통 둘레 영역의 외측 가장자리의 접합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진다.
사이드 접합부(60)는, 열용착 등에 의해 기저귀의 피부 비대향면측(T2)의 면으로 형성된다. 사이드 접합부(60)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부직포 등의 열가소성 섬유가 용착된다. 이 때, 펄프 시트(71)는, 펄프 섬유를 가지며, 부직포와 비교하여 용착되기 어렵다. 따라서, 사이드 접합부(60)에서 펄프 시트(71)와 겹치지 않는 부분의 접합 강도는, 사이드 접합부에서 펄프 시트(71)와 겹치는 부분의 접합 강도보다 높다. 사이드 접합부(60)에서 펄프 시트(71)와 겹치지 않는 부분은, 흡수 시트(70)보다 길이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과 흡수 시트(70)보다 길이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도 6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이드 접합부(60)가 형성된 영역에서는, 두께 방향(T)에서 펄프 시트(71)와 흡수 부직포 시트(72), 제1 외장 부직포 시트(35) 및 제2 외장 부직포 시트(36)가 겹쳐 있다.
흡수 시트(70)는, 뒤몸통 둘레 영역(S2)에 배치되고, 뒤몸통 둘레 영역(S2)에 접착제 등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사이드 접합부(60)가 형성된 상태에서, 펄프 시트(71)보다 두께 방향(T)에서의 뒤몸통 둘레 영역(S2)측에서는, 흡수 시트(70)와 다른 시트의 접합 상태가 유지되기 쉽다. 한편, 펄프 시트(71)보다 두께 방향(T)에서의 앞몸통 둘레 영역(S1)측에서는, 흡수 시트(70)와 다른 시트의 접합 상태가 유지되기 어려울 우려가 있다. 흡수 시트(70)와 앞몸통 둘레 영역(S1)의 접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펄프 시트(71)의 평량은, 펄프 시트(71)보다 제2 몸통 둘레 영역측에 배치된 제2측 부직포 시트의 평량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펄프 시트(71)의 평량이 제2측 부직포 시트의 평량보다 낮기 때문에, 상기 제2측 부직포 시트에 의해 사이드 접합부(60)의 접합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중에 의도치 않게 사이드 접합부(60)가 찢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 시트(70)의 외단 가장자리(702)와 사이드 접합부(60)의 외단 가장자리(602)와의 거리(L1)는, 흡수 시트(70)의 내단 가장자리(701)와 사이드 접합부(60)의 내단 가장자리(601)와의 거리(L2)보다 짧아도 좋다.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자로부터 벗길 때는, 일반적으로 사이드 접합부(60)의 외단 가장자리(602)로부터 길이 방향(L)의 내측을 향해 사이드 접합부(60)를 찢는다. 이 때, 사용자는, 흡수 시트(70)보다 길이 방향(L)의 외측의 영역에서는, 사이드 접합부의 강도가 비교적 높고, 흡수 시트(70)가 배치된 영역에서는, 사이드 접합부(60)의 강도가 비교적 낮다. 흡수 시트(70)의 외단 가장자리(702)와 사이드 접합부(60)의 외단 가장자리(602)와의 거리(L1)가 흡수 시트(70)의 내단 가장자리(701)와 사이드 접합부(60)의 내단 가장자리(601)와의 거리보다 짧기 때문에, 사이드 접합부의 길이 방향의 외단 가장자리로부터 길이 방향의 내측을 향해 사이드 접합부를 찢을 때에, 곧바로 찢기 쉬운 영역에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이드 접합부(60)를 용이하게 찢기 쉬워진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10)는, 흡수 시트(70)가 피부에 밀착되기 쉽도록 구성되어 있다. 흡수 시트(70)가 피부에 밀착되는 것에 의해, 땀 등의 체액의 흡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흡수 시트(70)를 피부에 밀착시키기 쉽게 하기 위한 구성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영역(R1)의 폭 방향(W)의 수축력은, 제2 영역(R2)의 폭 방향의 수축력보다 낮아도 좋다. 장착 상태에서는, 도 2 등에 나타내는 신장 상태와 비교하여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이 폭 방향(W)으로 수축하고, 제1 영역(R1)이 제2 영역(R2)측으로 인장된다. 제1 영역(R1)에 형성되는 주름이 제2 영역(R2)과 비교하여 적어지고, 제1 영역(R1)과 피부의 접착 면적이 증가한다. 따라서, 흡수 시트(70)가 피부에 밀착되어, 땀 등의 체액의 흡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뒤몸통 둘레 영역(S2)의 폭 방향(W)의 수축력은 앞몸통 둘레 영역(S1)의 폭 방향의 수축력보다 낮아도 좋다. 장착 상태에서, 뒤몸통 둘레 영역(S2)이 앞몸통 둘레 영역(S1)측으로 인장된다. 뒤몸통 둘레 영역(S2)에 형성되는 주름이 적어지고, 뒤몸통 둘레 영역(S2)이 피부에 밀착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흡수 시트(70)가 피부에 밀착되어 흡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의 장착 상태는, 사이드 접합부(60)를 통해 앞몸통 둘레 영역(S1)과 뒤몸통 둘레 영역(S2)이 폭 방향(W)으로 연속한 일회용 기저귀를, 신장 상태에 대하여 77%가 되도록 통체(100)에 장착한 상태로 한다. 도 9는, 신장 상태에 대하여 77%가 되도록 통체(100)에 장착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통체(100)의 중심축의 연장선상으로부터 시인한 일회용 기저귀 및 통체를 시인한 상태이다. 신장 상태에 대하여 77%가 되도록 통체(100)에 장착한 상태는, 다음 상태이다. 앞몸통 둘레 영역(S1)과 뒤몸통 둘레 영역(S2)의 주름이 없어지도록 앞몸통 둘레 영역(S1)과 뒤몸통 둘레 영역(S2)을 폭 방향(W)으로 신장시켜, 앞몸통 둘레 영역(S1)의 사이드 접합부(60) 사이의 길이(좌측의 사이드 접합부의 내측 가장자리와 우측의 사이드 접합부의 내측 가장자리와의 길이)(L31)(도 2 참조)와, 뒤몸통 둘레 영역(S2)의 사이드 접합부(60) 사이의 길이(L32)를 측정한다. 앞몸통 둘레 영역(S1)의 사이드 접합부(60) 사이의 길이(L31)와, 뒤몸통 둘레 영역(S2)의 사이드 접합부(60) 사이의 길이(L32)의 합계를 통체(100)에 장착한 일회용 기저귀(10)의 신장 상태에서의 길이로 한다. 이어서, 이 신장 상태의 길이에 대하여 77%의 길이의 외주 길이를 갖는 통체(100)에 일회용 기저귀(10)를 장착한다. 이 상태를, 신장 상태에 대하여 77%가 되도록 통체(100)에 장착한 상태로 한다. 또, 통체(100)의 길이 방향(L)의 길이는, 적어도 사이드 접합부(60)의 길이 방향의 길이 이상을 갖는다. 또한, 통체(100)의 표면 소재는, 실리콘 PET 세퍼레이터(니파 주식회사, PET38*1-B, C70905-13)를 이용할 수 있고, 그 마찰계수는 1 μs 미만이어도 좋다. 또, 마찰계수는 정마찰계수이며, 포터블 마찰계 뮤즈(HEIDON, 닛신 기계 주식회사)를 이용하여, 측정 소자를 통체의 표면에 대는 것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5∼10 곳에서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마찰계수로 한다.
신장 상태에 대하여 77%가 되도록 통체에 장착한 상태에서, 앞몸통 둘레 영역(S1)의 사이드 접합부(60) 사이의 길이(L41)(도 9 참조)는, 뒤몸통 둘레 영역(S2)의 사이드 접합부(60) 사이의 길이(L42)보다 짧아도 좋다. 일회용 기저귀를 설계할 때에, 신장 상태의 폭 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77%의 몸통 둘레 치수는, 장착 상태에서의 착용자의 몸통 둘레 치수에 포함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계한다. 장착 상태에서의 앞몸통 둘레 영역(S1)의 사이드 접합부(60) 사이의 길이(L41)에 대한 뒤몸통 둘레 영역(S2)의 사이드 접합부(60) 사이의 길이(L42)의 비율은, 신장 상태에서의 앞몸통 둘레 영역(S1)의 사이드 접합부(60) 사이의 길이(L31)에 대한 뒤몸통 둘레 영역(S2)의 사이드 접합부(60) 사이의 길이(L32)의 비율보다 높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신장 상태에서의 앞몸통 둘레 영역(S1)의 사이드 접합부(60) 사이의 길이(L31)와, 신장 상태에서의 뒤몸통 둘레 영역(S2)의 사이드 접합부(60) 사이의 길이(L3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하다. 따라서, 신장 상태에서의 앞몸통 둘레 영역(S1)의 사이드 접합부(60) 사이의 길이에 대한 뒤몸통 둘레 영역(S2)의 사이드 접합부(60) 사이의 길이의 비율은 1.0이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 상태에서 사이드 접합부(60)가 앞몸통 둘레 영역(S1)측으로 치우쳐 있다. 장착 상태에서의 뒤몸통 둘레 영역(S2)의 사이드 접합부(60) 사이의 길이(L42)는, 장착 상태에서의 앞몸통 둘레 영역(S1)의 사이드 접합부(60) 사이의 길이(L41)보다 길다. 따라서, 장착 상태에서의 앞몸통 둘레 영역(S1)의 사이드 접합부(60) 사이의 길이(L41)에 대한 뒤몸통 둘레 영역(S2)의 사이드 접합부(60) 사이의 길이(L42)의 비율은 1.0보다 크다. 이와 같이, 장착 상태에서 사이드 접합부(60)가 앞몸통 둘레 영역(S1)측으로 치우쳐 있기 때문에, 뒤몸통 둘레 영역(S2)은, 앞몸통 둘레 영역(S1)보다 주름이 적고, 피부에 밀착되기 쉽다. 따라서, 흡수 시트(70)가 피부에 밀착되어, 땀 등의 체액의 흡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신장 상태에 대하여 77%가 되도록 통체에 장착한 상태에서, 흡수 시트(70)의 연장부(75)가 앞몸통 둘레 영역(S1)측으로 치우쳐 있다. 따라서, 장착 상태에서 연장부(75)가 신체의 앞쪽으로부터 시인되기 쉬워진다.
흡수 시트(70)가 배치된 영역의 폭 방향의 수축력은, 그 길이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영역의 수축력보다 높아도 좋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 시트(70)의 길이 방향(L)의 외단 가장자리(702)로부터 길이 방향(L)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영역을 외측 영역(R4)으로 하고, 흡수 시트(70)의 길이 방향(L)의 내단 가장자리(701)로부터 길이 방향(L)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영역을 내측 영역(R3)으로 한다. 흡수 시트(70)가 배치된 영역의 폭 방향의 수축력은, 외측 영역(R4)과 내측 영역(R3) 중 적어도 한쪽의 폭 방향(W)의 수축력보다 높아도 좋다. 또, 흡수 시트(70)가 배치된 영역이란, 두께 방향의 평면에서 보아 흡수 시트(70)와 겹치는 영역이다. 흡수 시트(70)가 배치된 영역의 수축력이 외측 영역(R4)의 수축력 또는 내측 영역(R3)의 수축력보다 높기 때문에, 흡수 시트(70)가 배치된 영역이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들뜨지 않고 몸에 피트되기 쉽다. 바람직하게는, 흡수 시트(70)가 배치된 영역의 폭 방향(W)의 수축력은, 외측 영역(R4)의 폭 방향(W)의 수축력보다 높아도 좋다. 흡수 시트(70)가 배치된 영역이 외측 영역(R4)보다 몸에 피트되고, 흡수 시트(70)가 외측 영역(R4)측에서 피부로부터 들뜨기 어려워져, 흡수 시트에 의해 흡수한 체액이 몸통 둘레 개구부(62)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흡수 시트가 배치된 영역의 폭 방향의 수축력은, 외측 영역(R4)의 폭 방향의 수축력 및 내측 영역(R3)의 폭 방향의 수축력보다 높아도 좋다. 흡수 시트가 보다 몸에 피트되기 쉽다. 흡수 시트가 피트되는 것에 의해, 효율적으로 체액을 흡수하여 흡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두께 방향의 평면에서 보아, 테이프 부재(80)는, 흡수 시트(70)의 적어도 일부에 겹쳐서 배치되어도 좋다. 흡수 시트(70)는, 테이프 부재와 겹치는 영역에서 테이프 부재에 의해 강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흡수 시트(70)에 주름이 발생하기 어려워지고, 흡수 시트(70)가 피부에 보다 밀착되기 쉬워진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 방향(L)에서, 테이프 부재(80)의 내단 가장자리(801)는, 흡수 시트(70)의 길이 방향(L)의 중심보다 내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흡수 시트(70)는, 땀을 흡수하기 쉬운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착용자의 둔열(臀裂)로부터 등에 걸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프 부재(80)는, 흡수 시트(70)의 길이 방향(L)의 중심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착용자의 둔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기 쉽다. 보다 적합하게는, 길이 방향에서, 테이프 부재(80)의 내단 가장자리(801)는, 흡수 시트(70)의 내단 가장자리(701)보다 내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테이프 부재(80)는, 착용자의 둔열에 대응하는 위치에 보다 배치되기 쉽다. 따라서, 테이프 부재(80)와 겹치는 흡수 시트(70)가 둔열의 오목부에 피트되어, 흡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두께 방향의 평면에서 보아, 테이프 부재(80)는, 뒤몸통 둘레 영역(S2)의 폭 방향의 중심에 겹쳐도 좋다. 테이프 부재(80)는, 뒤몸통 둘레 영역(S2)의 폭 방향의 중심에 겹쳐 있고, 장착시에 착용자에게 둔열의 오목부에 들어가기 쉽다. 보다 적합하게는, 테이프 부재(80)는, 뒤몸통 둘레 영역(S2)의 폭 방향(W)의 중심에 걸쳐 배치되어도 좋다. 테이프 부재(80)는, 둔열의 폭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좌우로 연장되는 일정 범위에서 둔열의 오목부에 들어가기 쉬워진다. 테이프 부재(80)와 겹치는 흡수 시트(70)가 보다 피부에 밀착되어, 흡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두께 방향의 평면에서 보아, 흡수 시트(70)의 적어도 일부는, 흡수 코어(45)의 피부 대향면측에서, 흡수 코어(45)의 길이 방향의 외단 가장자리에 겹쳐도 좋다. 보다 상세하게는, 흡수 시트(70)와 흡수 코어(45)는, 길이 방향(L)에서 흡수 시트의 내단 가장자리로부터 흡수 코어의 외단 가장자리까지의 영역에서 겹치고, 폭 방향(W)에서, 흡수 코어(45)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내측의 영역에서 겹쳐도 좋다. 흡수 코어(45)는, 체액을 흡수하는 흡수 재료가 적층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흡수 코어의 두께는, 백시트 등의 다른 기저귀의 구성 부재의 두께보다 두껍다. 흡수 시트(70)는, 흡수 코어의 길이 방향의 외단 가장자리에 겹쳐 있고, 흡수 코어의 두께에 의해 착용자측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흡수 시트가 착용자에게 밀착되어, 흡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흡수 코어의 외단 가장자리는,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둔열 근방에 겹치도록 마련되어 있다. 흡수 시트는, 흡수 코어의 외단 가장자리에 겹쳐 있고, 둔열에 들어가 배치된다. 따라서, 흡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변형예에서, 흡수 시트(70)는, 길이 방향(L)에서 흡수 코어(45)와 이격되어 있어도 좋다. 흡수 코어(45)와 흡수 시트(70)가 길이 방향에서 이격되어 있다, 즉, 흡수 코어(45)와 흡수 시트(70)가 두께 방향의 평면에서 보아 겹치지 않는 것에 의해, 흡수 코어(45)에 의해 흡수한 체액이 흡수 시트(70)측으로 전달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흡수 시트(70)로부터의 체액의 누설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뒤몸통 둘레 영역(S2)의 외단 가장자리와 흡수성 본체(40)의 외단 가장자리와의 길이(L12)가, 앞몸통 둘레 영역(S1)의 외단 가장자리와 흡수성 본체(40)의 외단 가장자리와의 길이(L11)보다 길어도 좋다. 흡수성 본체(40)는, 가랑이 영역(S3)에 배치되어 있고, 착용시에 다리 사이에 끼워져, 폭 방향(W)으로 압축되기 쉽다. 흡수성 본체(40)가, 길이 방향(L)에서 뒤몸통 둘레 영역(S2)보다 앞몸통 둘레 영역(S1)측으로 치우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뒤몸통 둘레 영역(S2)은, 흡수성 본체(40)가 압축되는 것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렵다. 뒤몸통 둘레 영역(S2)에 배치된 흡수 시트(70)가 피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이상, 전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분명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양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하여 전혀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또, 2017년 11월 1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7-217788호의 모든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삽입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누설에 대한 안심감과 흡수성에 대한 안심감을 모두 얻기 쉬운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할 수 있다.
10 : 일회용 기저귀
20 : 앞몸통 둘레 부재
30 : 뒤몸통 둘레 부재
35 : 제1 외장 부직포 시트(부직포 시트)
36 : 제2 외장 부직포 시트(부직포 시트)
40 : 흡수성 본체
45 : 흡수 코어
46 : 레그 플랩
49 : 유효 길이
50 : 백시트
51 : 제1 백시트
52 : 제2 백시트
60 : 사이드 접합부
70 : 흡수 시트
71 : 펄프 시트
72 : 흡수 부직포 시트(부직포 시트)
75 : 연장부
80 : 테이프 부재
S1 : 앞몸통 둘레 영역
S2 : 뒤몸통 둘레 영역
S3 : 가랑이 영역
L : 길이 방향
W : 폭 방향
T1 : 피부 대향면측
T2 : 피부 비대향면측

Claims (10)

  1.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 및 폭 방향과,
    앞몸통 둘레 영역, 뒤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뒤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배치된 가랑이 영역과,
    적어도 상기 가랑이 영역에 배치되는 흡수성(吸收性) 본체와,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뒤몸통 둘레 영역 중 적어도 한쪽에 배치되는 흡수(吸水) 시트와,
    상기 흡수 시트보다 피부 비대향면측에 배치되는 액불투과성의 백시트
    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흡수 시트는 착색되어 있고,
    두께 방향의 평면에서 보아, 상기 백시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흡수 시트에 겹쳐 있고,
    상기 흡수 시트는, 상기 백시트의 상기 길이 방향의 외단 가장자리보다 상기 길이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온 길이 방향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흡수 시트와 상기 백시트가 겹치는 영역의 상기 길이 방향의 길이는, 상기 길이 방향 연장부의 상기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일회용 기저귀는, 상기 흡수 시트의 상기 길이 방향의 외단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측 영역을 갖는 것인 일회용 기저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에 배치된 앞몸통 둘레 부재와, 상기 뒤몸통 둘레 영역에 배치된 뒤몸통 둘레 부재를 가지며,
    상기 흡수성 본체는, 상기 앞몸통 둘레 부재 및 상기 뒤몸통 둘레 부재와 별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백시트는 상기 앞몸통 둘레 부재와 상기 뒤몸통 둘레 부재 중 적어도 한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일회용 기저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는 흡수(吸收) 코어를 가지며,
    상기 두께 방향의 평면에서 보아, 상기 흡수 시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흡수 코어의 피부 대향면측에 있어서, 상기 흡수 코어의 상기 길이 방향의 외단 가장자리에 겹쳐 있는 것인 일회용 기저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는 흡수 코어를 가지며,
    상기 흡수 시트는, 상기 길이 방향에서 상기 흡수 코어와 이격되어 있는 것인 일회용 기저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시트는, 상기 백시트의 상기 폭 방향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상기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온 폭 연장부를 갖는 것인 일회용 기저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폭 연장부는, 상기 백시트의 외측 가장자리와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외측 가장자리의 상기 폭 방향의 중심보다 상기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온 일회용 기저귀.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시트는,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상기 폭 방향의 전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일회용 기저귀.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시트의 상기 길이 방향의 내단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측 영역을 가지며,
    상기 흡수 시트가 배치된 영역의 상기 폭 방향의 수축력은, 상기 외측 영역과 상기 내측 영역 중 적어도 한쪽의 상기 폭 방향의 수축력보다 높은 것인 일회용 기저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시트가 배치된 영역의 상기 폭 방향의 수축력은, 상기 외측 영역의 상기 폭 방향의 수축력보다 높은 것인 일회용 기저귀.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방향의 평면에서 보아, 상기 길이 방향 연장부에 겹치고, 또한 상기 길이 방향 연장부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배치된 신축성 부재를 가지며,
    자연 상태의 상기 일회용 기저귀를 피부 비대향면측으로부터 시인한 상태에서의 상기 길이 방향 연장부의 L*a*b* 색공간의 L값은 82 이상인 일회용 기저귀.
KR1020207016162A 2017-11-10 2018-11-12 일회용 기저귀 KR1025995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17788 2017-11-10
JPJP-P-2017-217788 2017-11-10
PCT/JP2018/041783 WO2019093507A1 (ja) 2017-11-10 2018-11-12 使い捨ておむ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5821A KR20200085821A (ko) 2020-07-15
KR102599553B1 true KR102599553B1 (ko) 2023-11-06

Family

ID=66438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6162A KR102599553B1 (ko) 2017-11-10 2018-11-12 일회용 기저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01189B2 (ko)
KR (1) KR102599553B1 (ko)
CN (1) CN209450801U (ko)
WO (1) WO20190935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09424B2 (ja) * 2020-04-30 2023-01-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0995A (ja) 2001-03-07 2002-11-19 Sekisui Chem Co Ltd 使い捨ておむつ
JP2007050145A (ja) 2005-08-19 2007-03-01 Livedo Corporation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2007312927A (ja) 2006-05-24 2007-12-06 Kao Corp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2008188182A (ja) 2007-02-02 2008-08-21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JP2009148531A (ja) * 2007-11-30 2009-07-09 Daio Paper Corp 使い捨ておむ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66193B2 (ja) * 2016-11-15 2021-11-10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0995A (ja) 2001-03-07 2002-11-19 Sekisui Chem Co Ltd 使い捨ておむつ
JP2007050145A (ja) 2005-08-19 2007-03-01 Livedo Corporation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2007312927A (ja) 2006-05-24 2007-12-06 Kao Corp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2008188182A (ja) 2007-02-02 2008-08-21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JP2009148531A (ja) * 2007-11-30 2009-07-09 Daio Paper Corp 使い捨ておむ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9450801U (zh) 2019-10-01
KR20200085821A (ko) 2020-07-15
JP7101189B2 (ja) 2022-07-14
WO2019093507A1 (ja) 2019-05-16
JPWO2019093507A1 (ja) 202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6503B1 (ko) 착용 물품
CN104487038B (zh) 穿着物品
AU2011277778B2 (en) Disposable diaper
KR101579186B1 (ko) 흡수성 물품
KR102545688B1 (ko) 남성 사용자에게 특히 적합한 일회용 팬티형 흡수 물품
RU2740882C1 (ru) Одноразовый подгузник
CN111315334B (zh) 一次性尿布
KR20180022809A (ko) 일회용 기저귀
KR20210099002A (ko) 일회용 기저귀
KR102599553B1 (ko) 일회용 기저귀
US11337867B2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
KR20180048594A (ko) 일회용 착용 물품
US9308136B2 (en) Disposable diaper
JP7195266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6220819B2 (ja) 吸収性物品
RU2766831C1 (ru) Одноразовый подгузник типа трусов
CN219763761U (zh) 吸收性物品
JP6132638B2 (ja) パンツ型着用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