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9355B1 - Apparatus for connect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able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nect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ab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9355B1
KR102599355B1 KR1020230115538A KR20230115538A KR102599355B1 KR 102599355 B1 KR102599355 B1 KR 102599355B1 KR 1020230115538 A KR1020230115538 A KR 1020230115538A KR 20230115538 A KR20230115538 A KR 20230115538A KR 102599355 B1 KR102599355 B1 KR 102599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communication uni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55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석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석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석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30115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35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3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joining or terminating ca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통신용 케이블 이음장치는, 임의의 정보통신용 케이블인 제1 케이블과 결합하는 제1 장치; 및 상기 제1 케이블과 다른 정보통신용 케이블인 제2 케이블과 결합하는 제2 장치가 쌍을 이루어 동작하며, 상기 제1 장치 및 상기 제2 장치 각각은 상호 결합을 위해 타장치로 삽입되는 돌출부 및 타장치에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구를 구비하되, 상기 돌출부와 상기 삽입구는 타 장치와의 결합면에 형성된 하우징;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을 유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유선통신부;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을 무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상기 제1 장치 및 상기 제2 장치의 결합여부에 따라 상기 유선통신부 및 상기 무선통신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스위치; 및 상기 제1 장치 및 상기 제2 장치의 결합상태를 감지하여 그 결과를 상기 스위치로 전달하는 스위치조작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함으로써, 정보통신용 케이블이 설치되는 주변 환경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방식을 선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유/무선 통신 기술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 cable joint device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evice coupled to a first cable, which is an arbitrar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able; and a second device that combines the first cable with a second cable, which is anothe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able, to operate as a pair, and each of the first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has a protrusion and a second device that are inserted into the other device for mutual coupling. A housing hav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a protrusion formed on the device is inserted, wherein the protrusion and the insertion hole are formed on a surface that is coupled to another device; a wired communication unit for connecting the first cable and the second cable by wir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connecting the first cable and the second cable; a switch that selectively drives one of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depending on whether the first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are coupled; and a switch operation button that detects the coupling state of the first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switch, and connects the first cable and the second cable by wire or wirelessly for information communication purposes. An appropriate method can be selected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here the cable is installed, which has the advantage of effectively utilizing wired/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Description

정보통신용 케이블 이음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ABLES}Cable connector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PPARATUS FOR CONNECT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ABLES}

본 발명은 정보통신용 케이블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joint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정보통신용 케이블 이음장치는 정보통신망에서 사용되는 케이블을 연결하거나 분기하는 장치로서, 케이블의 연결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신호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하며, 주로 광섬유 케이블이나 동축 케이블 등 다양한 종류의 케이블에 사용되며, 정보통신망의 설치 및 유지보수 작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A cable joint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is a device that connects or branches cables used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s. It maintains cable connections stably and minimizes signal loss to enable efficient data transmission. It is mainly used for various types of cables, such as optical fiber cables and coaxial cables. It is used in various types of cable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s.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881963호에는, 제1 광케이블과 제2 광케이블을 연결하는 정보통신용 케이블 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케이블과 상기 제2 광케이블이 양단에 각각 끼워지는 케이블공이 형성된 이음케이스, 상기 이음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제1 광케이블이 포설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광케이블의 끝단이 연결되는 제1 접촉헤드, 상기 제1 접촉헤드와 마주하여 상기 제2 광케이블이 포설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음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 접촉헤드, 상기 이음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접촉헤드를 상기 제2 접촉헤드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에 의해 지지하는 제1 탄성스프링, 상기 이음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제2 접촉헤드를 상기 제1 접촉헤드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에 의해 지지하는 제2 탄성스프링, 및 상기 제1 접촉헤드와 상기 제2 접촉헤드의 접촉되는 상부에 위치되어 가압 시 상기 제1 접촉헤드와 상기 제2 접촉헤드의 사이로 강제적으로 파고들어 상기 제1 광케이블 또는 상기 제2 광케이블에서 전송되는 광신호를 전달받아 광신호를 체크하는 광신호체크부를 포함하는 정보통신용 케이블 이음장치가 개시되어 있다.Relatedly, in Korean Patent No. 10-1881963, there is a cable joint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necting a first optical cable and a second optical cable, wherein the first optical cable and the second optical cable are formed with cable holes inserted at both ends, respectively. A case, a first contact head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joint cas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optical cable is installed and to which an end of the first optical cable is connected, and the second optical cable faces the first contact head. A second contact head installed inside the joint case so as to be able to slide in the installation direction, and a first contact head supported by elastic force inside the joint cas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contact head is located. An elastic spring, a second elastic spring that supports the second contact head within the joint case by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contact head is located, and a contact between the first contact head and the second contact head. It is located at the top and forcibly penetrates between the first contact head and the second contact head when pressed, and includes an optical signal check unit that receives the opt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optical cable or the second optical cable and checks the optical signal. A cable joint device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s disclosed.

상기 특허에 의하면, 제1 광케이블과 제2 광케이블의 사이에 선택적으로 광신호체크부가 삽입되어 제1 광케이블 또는 제2 광케이블에서 전송되는 광신호를 체크함과 동시에 광케이블의 단선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제1 광케이블 및 제2 광케이블이 케이블가이드에 의해 미리 곡선지도록 휘어져 제1 접촉헤드와 제2 접촉헤드가 광신호체크부에 의해 이격시 광케이블의 절곡에 의한 단선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atent, an optical signal check unit is selectively inserted between the first optical cable and the second optical cable to check the opt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optical cable or the second optical cable and at the same time determine whether the optical cable is disconnected, The first optical cable and the second optical cable are bent in advance by the cable guide, which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isconnection due to bending of the optical cable when the first contact head and the second contact head are separated by the optical signal check unit.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정보통신용 케이블 이음장치는, 복수의 케이블들을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유선통신에 국한됨으로써, 암호화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보안이 보장된 상태에서 무선 통신이 최근의 기술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한다.However, this conventional cable joint for information communication is limited to wired communication that physically connects a plurality of cables, and thus cannot effectively utilize the latest technology for wireless communication while ensuring security due to the development of encryption technology.

또한, 도심의 경우, 가공배전선이 복잡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정보통신용 케이블까지 추가됨으로써, 도시미관을 해치는 경우가 발생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urban areas, overhead distribution lines are installed in a complicated manner, and cables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re also added, which harms the aesthetics of the city.

한국등록특허 제10-1881963호Korean Patent No. 10-1881963

따라서 본 발명은, 유선 또는 무선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복수의 정보통신용 케이블을 연결함으로써, 정보통신용 케이블이 설치되는 주변 환경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방식을 선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유/무선 통신 기술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정보통신용 케이블 이음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a pluralit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ables using either wired or wireless methods, so that an appropriate method can be selected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here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ables are installed, thereby improving wired/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We aim to provide a cable joint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hat can effectively utilize.

또한,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이 복잡하게 설치된 도심의 일부 구간에서 정보통신용 케이블을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보통신용 케이블로 인해 도시미관이 손상되고 환경이 훼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통신용 케이블 이음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ables to be wirelessly connected in some sections of the city where overhead distribution lines are complexly installed, thereby minimizing damage to the cityscape and environment due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ables. We would like to provide a cable joint.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정보통신용 케이블 이음장치는, 임의의 정보통신용 케이블인 제1 케이블과 결합하는 제1 장치; 및 상기 제1 케이블과 다른 정보통신용 케이블인 제2 케이블과 결합하는 제2 장치가 쌍을 이루어 동작하며, 상기 제1 장치 및 상기 제2 장치 각각은 상호 결합을 위해 타장치로 삽입되는 돌출부 및 타장치에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구를 구비하되, 상기 돌출부와 상기 삽입구는 타 장치와의 결합면에 형성된 하우징;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을 유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유선통신부;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을 무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상기 제1 장치 및 상기 제2 장치의 결합여부에 따라 상기 유선통신부 및 상기 무선통신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스위치; 및 상기 제1 장치 및 상기 제2 장치의 결합상태를 감지하여 그 결과를 상기 스위치로 전달하는 스위치조작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cable joint device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evice coupled to a first cable, which is an arbitrar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able; and a second device that combines the first cable with a second cable, which is anothe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able, to operate as a pair, and each of the first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has a protrusion and a second device that are inserted into the other device for mutual coupling. A housing hav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a protrusion formed on the device is inserted, wherein the protrusion and the insertion hole are formed on a surface that is coupled to another device; a wired communication unit for connecting the first cable and the second cable by wir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connecting the first cable and the second cable; a switch that selectively drives one of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depending on whether the first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are coupled; and a switch operation button that detects the coupling state of the first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switch, and connects the first cable and the second cable by wire or wirelessly. do.

바람직하게, 상기 유선통신부는 상기 삽입구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대응된 케이블이 삽입된 소켓단자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제1 연결단자; 및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제2 연결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연결단자는 타장치의 제2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제2 연결단자는 타장치의 제1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Preferably,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includes a first connection terminal formed o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and electrically coupled to a socket terminal into which a corresponding cable is inserted;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otrusion and electrical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is electrically coupled to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of another device,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Can b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of another device.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제1 및 장치 및 상기 제2 장치 각각의 무선통신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식별정보 저장부; 상기 무선통신 식별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1 장치 및 상기 제2 장치 간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프레임을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데이터프레임을 타장치로 전송하고, 타장치에서 생성된 데이터프레임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cludes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that stores wireless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of the first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a data generator that generates a data frame for wirelessly transmitting data between the first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based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the data frame to another device and receives the data frame generated by the other device.

바람직하게, 상기 스위치조작버튼은 상기 돌출부의 상단 및 상기 삽입구의 하부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장치와 상기 제2 장치의 결합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witch operation button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top of the protrusion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to detect whether the first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are coupled.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정보통신용 케이블 이음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복수의 정보통신용 케이블을 연결함으로써, 정보통신용 케이블이 설치되는 주변 환경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방식을 선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유/무선 통신 기술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cable joint device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onnects a plurality of cables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 either a wired or wireless manner, so that an appropriate method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which the cable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s installed. , This has the advantage of effectively utilizing wired/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또한,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이 복잡하게 설치된 도심의 일부 구간에서 정보통신용 케이블을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보통신용 케이블로 인해 도시미관이 손상되고 환경이 훼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damage to the cityscape and environmental damage caused b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ables by enabling wireless connec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ables in some sections of the city where overhead distribution lines are complexly installed.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통신용 케이블 이음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통신용 케이블 이음장치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통신용 케이블 이음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내부회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통신용 케이블 이음장치 복수개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ble joint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able joint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internal circuit diagra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cable joint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mbined state of a plurality of cable joints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여도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다.Below,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eanwhile,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un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descriptions of parts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omitted even if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when it is said that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통신용 케이블 이음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통신용 케이블 이음장치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통신용 케이블 이음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내부회로도이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통신용 케이블 이음장치 복수개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4는 제1 장치(100)와 제2 장치(200)가 분리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제1 장치(100)와 제2 장치(200)가 결합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제1 장치(100)와 제2 장치(200)가 결합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ble joint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able joint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internal circuit diagra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cable joint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Meanwhile, Figures 4 to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mbined state of a plurality of cable joints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the first device 100 and the second device 200 separated.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device 100 and the second device 200 are combined, and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device 100 and the second device 200 are combined. This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n the assembled state.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정보통신용 케이블 이음장치는, 임의의 정보통신용 케이블인 제1 케이블(10)과 결합하는 제1 장치(100), 및 제1 케이블(10)과 다른 정보통신용 케이블인 제2 케이블(20)과 결합하는 제2 장치(200)가 쌍을 이루어 동작하며, 그들 각각은 도 1 내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Referring to Figures 1 to 6, the cable joint device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evice (100) coupled to a first cable (10), which is an arbitrar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able, and a device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cable (10). The second device 200 coupled to the second cable 20, which is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cable, operates as a pair, and each of them is configured as illustrated in FIGS. 1 to 3.

이 때, 제1 및 제2 장치(100 및 200) 각각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도 1 내지 도 3의 예에서는 제1 장치(100)를 기준으로 정보통신용 케이블 이음장치를 설명하고 있다.At this time, sinc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100 and 200 has the same configuration, in the examples of FIGS. 1 to 3, the cable joint device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s explained based on the first device 100.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통신용 케이블 이음장치(일명, 제1 장치)(100)는 원통형의 하우징(180), 유선통신부(A), 무선통신부(150), 배터리(160), 스위치(170), 및 스위치조작버튼(14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s 1 to 3, the cable joint device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ka, firs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ylindrical housing 180, a wired communication unit (A),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0. ), battery 160, switch 170, and switch operation button 140.

하우징(180)은 일측에 정보통신용 케이블(10)이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구(110)가 형성되고, 타측(즉, 타장치와의 결합면)에는 다른 정보통신용 케이블 이음장치(일명, 제2 장치)(200)와 결합하기 위한 돌출부(120), 및 삽입구(130)가 형성된다.The housing 180 is formed on one side with a cable insertion hole 110 into which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able 10 is inserted, and on the other side (i.e., the mating surface with another device), anothe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able joint device (aka, second device) is formed. A protrusion 120 for coupling with 200 and an insertion hole 130 are formed.

돌출부(120)는 하우징(180)과 결합 또는 하우징(180)에 부착되는 기둥형태의 부재로서, 상기 제1 장치(100)가, 제1 케이블(10)과 제2 케이블(20)을 무선으로 연결하는, 무선 모드로 동작시 안테나로 활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장치(100)가, 제1 케이블(10)과 제2 케이블(20)을 유선으로 연결하는, 유선 모드로 동작시 제2 장치(200)에 형성된 삽입구에 삽입된다. 이 때, 돌출부(120)의 돌출길이는, 도 1에 예시된 내용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돌출부(120)의 돌출길이는 안테나로서 동작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sion 120 is a column-shaped member that is coupled to or attached to the housing 180, and the first device 100 connects the first cable 10 and the second cable 20 wirelessly. When operating in a wireless mode, the first device 100 connects the first cable 10 and the second cable 20 by wire, and when operating in a wired mode, it can be used as an antenna. I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device 200. At this time,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protrusion 120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 illustrated in FIG. 1. That is,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protrusion 120 can be formed to be long enough to operate as an antenna.

또한, 돌출부(120)의 끝단은 제2 장치(200)와의 결합시 후술될 스위치 조작버튼(240)과의 접촉면을 확보하기 위해 평면으로 구현되고, 후술될 삽입구 결합돌기(232)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protrusion 120 is implemented as a flat surface to secure a contact surface with the switch operation button 2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combined with the second device 200, and is used for coupling with the insertion hole engaging protrusion 23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 coupling groove 122 may be formed.

삽입구(130)는 제2 장치(200)에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면으로부터 하우징(180) 내측으로, 돌출부(120)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다. The insertion hole 130 extends from the coupling surface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80 by the length of the protrusion 120 so that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second device 200 is inserted.

또한, 삽입구(130)의 내주면 일부에는 제2 장치(200)에 형성된 돌출부에 형성된 결합홈(222)과 결합하여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결합돌기(132)가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 coupling protrusion 132 may be formed on a por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130 to engage with the coupling groove 222 formed on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second device 200 to increase coupling force.

이러한 돌출부(120) 및 삽입구(130)의 결합상태는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다. 즉, 제1 장치(100)의 삽입구(130)에는 제2 장치(200)의 돌출부(220)가 삽입되고, 제2 장치(200)의 삽입구(230)에는 제1 장치(100)의 돌출부(120)가 삽입된다.The coupled state of the protrusion 120 and the insertion hole 130 is as illustrated in FIG. 6. That is, the protrusion 220 of the second device 2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30 of the first device 100, and the protrusion 220 of the first device 1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30 of the second device 200. 120) is inserted.

이 때, 하우징(180)은 지름이 상이한 2단의 원통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지름이 더 넓은 원통 내부에 무선통신용 배터리(160)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80)의 형상은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은 원통형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하우징(180)은 직육면체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housing 180 may be implemented as a two-stage cylindrical shape with different diameters,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battery 16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ylinder with a wider diameter. Meanwhile, the shape of the housing 180 is not limited to a cylindrical shape as illustrated in FIG. 1. For example, the housing 180 may be implement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유선통신부(A)는 제1 케이블(10)과 제2 케이블(20)을 유선으로 연결하기 위해, 제1 장치(100)와 제2 장치(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유선통신부(A)는 삽입구(13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대응된 케이블(즉, 제1 케이블(10))이 케이블 삽입구(110)에 삽입시 접속되는 소켓단자(111)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제1 연결단자(삽입형)(131), 및 돌출부(12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제1 연결단자(삽입형)(131)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제2 연결단자(돌출형)(121)를 포함한다. 이 때, 제1 연결단자(131)는 제2 장치(200)의 제2 연결단자(221)와 전기적으로 결합하고, 제2 연결단자(121)는 제2 장치(200)의 제1 연결단자(231)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며, 소켓단자(111), 제1 연결단자(131), 및 제2 연결단자(121)들 간의 전기적인 연결관계 도 3에 예시하였다.The wired communication unit (A) connects the first cable 10 and the second cable 20 by wire, so that the first device 100 and the second device 2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combined state. . For this purpose,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A)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130 and electrically connects the socket terminal 111 to which the corresponding cable (i.e., the first cable 10) is connected when inserted into the cable insertion hole 110. A first connection terminal (insertable type) 131 coupled to,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protruding type) 121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otrusion 120 and electrical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insertable type) 131. Includes. At this time,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31 is electrically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221 of the second device 200,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21 is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of the second device 200. It is electrically coupled to (231),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socket terminal 111,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31,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21 is illustrated in FIG. 3.

도 3은 제1 장치(100)와 제2 장치(200)가 분리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소켓단자(111)가 후술될 무선통신부(150)와 연결되어 무선통신라인을 형성하는 상태를 예시하고 있으나, 제1 장치(100)와 제2 장치(200)의 결합에 의해, 후술될 스위치 조작버튼(140)이 눌리면 소켓단자(111)가 제1 연결단자(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유선통신라인을 형성하게 된다.Figur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device 100 and the second device 200 are separated,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ocket terminal 111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form a wireless communication line. As an example, by combining the first device 100 and the second device 200, when the switch operation button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pressed, the socket terminal 11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31. A wired communication line is formed.

무선통신부(150)는 제1 케이블(10)과 제2 케이블(20)을 무선으로 연결한다. 이를 위해, 무선통신부(150)는 송/수신 식별정보 저장부(151), 데이터생성부(152), 및 통신부(153)를 포함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0 wirelessly connects the first cable 10 and the second cable 20. For this purpo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0 includes a transmission/recep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51, a data generation unit 152, and a communication unit 153.

송/수신 식별정보 저장부(151)는 제1 장치(100)에게 부여된 무선통신 식별정보, 및 제1 장치(100)와 무선 통신할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치(예컨대, 제2 장치(200))에게 부여된 무선통신 식별정보를 함께 저장한다. 이 때, 송/수신 식별정보 저장부(15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치(예컨대, 제2 장치(200))에게 부여된 무선통신 식별정보를 초기 설정값으로 저장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치(예컨대, 제2 장치(200))와 초기 연결시 유선통신부(A)를 통해 각각에게 부여된 무선통신 식별정보를 상호 교환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recep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51 includes wireless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signed to the first device 100, and at least one other device (e.g., the second device 200) to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first device 100. ) and stor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given to the user. At this time, the transmission/recep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51 stor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given to the at least one other device (e.g., the second device 200) as an initial setting value, or stor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given to the at least one other device (e.g., the second device 200) as an initial setting value. When initially connected to a device (e.g., the second device 200), the wireless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to each device can be exchanged through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A).

데이터생성부(152)는 상기 무선통신 식별정보에 의거하여 제1 장치(10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치(예컨대, 제2 장치(200))간에 무선으로 전송되어질 데이터프레임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생성부(152)는 상기 데이터프레임의 출발지 주소영역에 제1 장치(100)의 무선통신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프레임의 목적지 주소영역에 제2 장치(200)의 무선통신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프레임의 데이터영역에 소켓단자(111)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생성부(152)는 상기 데이터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generator 152 generates a data frame to be transmitted wirelessly between the first device 100 and the at least one other device (eg, the second device 200) based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data generator 152 stor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device 100 in the source address area of the data frame, and stor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200 in the destination address area of the data frame.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stored, and data transmitted from the socket terminal 111 can be recorded in the data area of the data frame. Additionally, the data generator 152 may further include a process of encrypting data stored in the data area.

통신부(153)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치(예컨대, 제2 장치(2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53)는 미리 설정된 무선통신방식으로 상기 데이터프레임을 제2 장치(200)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통신방식으로 제2 장치(200)가 송신한 데이터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53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device (eg, the second device 200).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53 may transmit the data frame to the second device 200 using a preset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receive the data frame transmitted by the second device 200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

이를 위해, 무선통신부(150)는 하우징(180) 내에 함께 장착된 배터리(16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To this e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0 may receive power from the battery 160 mounted within the housing 180.

한편, 배터리(160)는 충전단자(161)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Meanwhile, the battery 160 can be charged by receiving power through the charging terminal 161.

스위치(170)는 소켓단자(111)로부터 연결된 데이터전송라인을 유선통신부(A) 및 무선통신부(150) 중 어느 하나로 연결한다. 이를 위해, 스위치(170)는 후술될 스위치 조작버튼(140)에 의해 제어를 받을 수 있다. 즉, 스위치(170)는 제1 장치(100) 및 제2 장치(200)의 결합여부에 따라 유선통신부(A) 및 무선통신부(15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되, 이를 위해, 후술될 스위치 조작버튼(140)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소켓단자(111)를 유선통신부(A) 또는 무선통신부(150) 중 어느 하나와 연결함으로써 유선통신부(A) 및 무선통신부(15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킨다.The switch 170 connects the data transmission line connected from the socket terminal 111 to either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A)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0. To this end, the switch 170 can be controlled by the switch operation button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switch 170 selectively drives either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A)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0 depending on whether the first device 100 and the second device 200 are combined. For this purpose, as will be described later, One of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A)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0 is connected to the socket terminal 111 with either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A)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0 based on the output signal of the switch operation button 140. Runs selectively.

스위치조작버튼(140)은 제1 장치(100) 및 제2 장치(200)의 결합상태를 감지하여 그 결과를 스위치(170)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스위치조작버튼(140)은 제1 장치(100) 및 제2 장치(200)가 상호 결합했을 때 조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스위치조작버튼(140)은 돌출부(120)의 상단 및 삽입구(130)의 하부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제1 장치(100)와 제2 장치(200)의 결합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The switch operation button 140 detects the coupling state of the first device 100 and the second device 200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switch 170. For this purpose, the switch operation button 140 is preferably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device 100 and the second device 200 are operated when combined with each other. For example, the switch operation button 140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2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130 to detect whether the first device 100 and the second device 200 are coupled. can do.

도 1 내지 도 6에는 스위치조작버튼(140)이 삽입구(130)의 하부면에 설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스위치조작버튼(140)은, 제1 장치(100) 및 제2 장치(200)의 상호 결합에 의해, 삽입구(130) 내로 가이드된 제2 장치(200)의 돌출부(220)의 끝단에 의해 압축되어, 소켓단자(111)와 제1 연결단자(13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스위치(170)를 동작시킬 수 있다.1 to 6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switch operation button 140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130. Referring to FIG. 6, the switch operation button 140 is a protrusion 220 of the second device 200 guided into the insertion hole 130 by mutual coupling of the first device 100 and the second device 200. ), the switch 170 can be operat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ocket terminal 111 and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31.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정보통신용 케이블 이음장치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장치(100)와 제2 장치(200)가 분리된 경우 스위치(170)가 소켓단자(111)를 무선통신부(150)와 연결하여 제1 케이블(10)과 제2 케이블(20)을 무선으로 연결하고, 도 5 및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장치(100)와 제2 장치(200)가 결합한 경우 스위치(170)가 소켓단자(111)를 유선통신부(A) 내의 제1 연결단자(131)와 연결하여 제1 케이블(10)과 제2 케이블(20)을 유선으로 연결한다. In the cable joint device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is configuration, as illustrated in FIG. 4, when the first device 100 and the second device 200 are separated, the switch 170 connects the socket terminal 111. By connecting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0, the first cable 10 and the second cable 20 are wirelessly connected, and as illustrated in FIGS. 5 and 6, the first device 100 and the second device 200 ) is combined, the switch 170 connects the socket terminal 111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31 in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A) to connect the first cable 10 and the second cable 20 by wir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정보통신용 케이블 이음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복수의 정보통신용 케이블을 연결함으로써, 정보통신용 케이블이 설치되는 주변 환경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방식을 선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유/무선 통신 기술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In this way,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able j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a pluralit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ables using either a wired or wireless method, so that an appropriate method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here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able is installed. , It has the characteristic of effectively utilizing wired/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또한,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이 복잡하게 설치된 도심의 일부 구간에서 정보통신용 케이블을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보통신용 케이블로 인해 도시미관이 손상되고 환경이 훼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ables to be wirelessly connected in some sections of the city where overhead distribution lines are complexly installed, thereby minimizing damage to the cityscape and environmental damage caused b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ables. there i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이 실시 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from the embodi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is recognized as equivalent. Includes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extent permitted.

10: 제1 정보통신 케이블 20: 제2 정보통신 케이블
100, 200: 정보통신용 케이블 이음장치(제1 장치, 제2 장치)
110: 케이블 삽입구 111: 소켓단자
120, 220: 돌출부 121, 221: 제2 연결단자(돌출형)
130, 230: 삽입구 131, 231: 제1 연결단자(삽입형)
140: 스위치 조작버튼 150: 무선통신부
151: 송/수신 식별정보 저장부 152: 데이터생성부
153: 통신부 A: 유선통신부
160: 배터리 170: 스위치
180, 280: 하우징
10: 1s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able 20: 2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able
100, 200: Cable joint device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first device, second device)
110: Cable insertion hole 111: Socket terminal
120, 220: Protrusion 121, 221: Second connection terminal (protrusion type)
130, 230: Insertion hole 131, 231: First connection terminal (insert type)
140: switch operation button 15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1: Transmission/recep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52: Data generation unit
153: Communication Department A: Wired Communication Department
160: Battery 170: Switch
180, 280: housing

Claims (4)

정보통신용 케이블 이음장치에 있어서,
임의의 정보통신용 케이블인 제1 케이블과 결합하는 제1 장치; 및
상기 제1 케이블과 다른 정보통신용 케이블인 제2 케이블과 결합하는 제2 장치가 쌍을 이루어 동작하며,
상기 제1 장치 및 상기 제2 장치 각각은
상호 결합을 위해 타장치로 삽입되는 돌출부 및 타장치에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구를 구비하되, 상기 돌출부와 상기 삽입구는 타 장치와의 결합면에 형성된 하우징;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을 유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유선통신부;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을 무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상기 제1 장치 및 상기 제2 장치의 결합여부에 따라 상기 유선통신부 및 상기 무선통신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스위치; 및
상기 제1 장치 및 상기 제2 장치의 결합상태를 감지하여 그 결과를 상기 스위치로 전달하는 스위치조작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용 케이블 이음장치.
In the cable joint device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 first device coupled to a first cable, which is an arbitrar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able; and
A second device that combines the first cable with a second cable, which is anothe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able, operates as a pair,
Each of the first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A housing having a protrusion inserted into another device for mutual coupling and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other device is inserted, wherein the protrusion and the insertion hole are formed on a coupling surface with the other device;
a wired communication unit for connecting the first cable and the second cable by wir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connecting the first cable and the second cable;
a switch that selectively drives one of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depending on whether the first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are coupled; and
Equipped with a switch operation button that detects the coupling state of the first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switch,
A cable joint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able and the second cable are connected wired or wireless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통신부는
상기 삽입구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대응된 케이블이 삽입된 소켓단자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제1 연결단자; 및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제2 연결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연결단자는 타장치의 제2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제2 연결단자는 타장치의 제1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용 케이블 이음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a first connection terminal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and electrically coupled to a socket terminal into which a corresponding cable is inserted; and
It includes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otrusion and electrical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is electrically coupled to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of another device,
A cable joint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is electrical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of another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제1 및 장치 및 상기 제2 장치 각각의 무선통신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식별정보 저장부;
상기 무선통신 식별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1 장치 및 상기 제2 장치 간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프레임을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데이터프레임을 타장치로 전송하고, 타장치에서 생성된 데이터프레임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용 케이블 이음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that stores wireless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a data generator that generates a data frame for wirelessly transmitting data between the first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based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cable joint device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the data frame to another device and receives a data frame generated by the other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조작버튼은
상기 돌출부의 상단 및 상기 삽입구의 하부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장치와 상기 제2 장치의 결합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용 케이블 이음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witch operation button is
A cable joint device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top of the protrusion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to detect whether the first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are coupled.
KR1020230115538A 2023-08-31 2023-08-31 Apparatus for connect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ables KR1025993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5538A KR102599355B1 (en) 2023-08-31 2023-08-31 Apparatus for connect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ab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5538A KR102599355B1 (en) 2023-08-31 2023-08-31 Apparatus for connect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ab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9355B1 true KR102599355B1 (en) 2023-11-07

Family

ID=88747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5538A KR102599355B1 (en) 2023-08-31 2023-08-31 Apparatus for connect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ab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935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713B1 (en) * 2012-01-17 2012-03-22 주식회사 럭스콘테크놀로지 An antenna assembly conbined a coaxial connector and antenna connector
KR20160107760A (en) * 2015-03-05 2016-09-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coaxial cable
KR101881963B1 (en) 2017-11-29 2018-07-25 (유)전일기술단 a connecting device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for cable
KR102548538B1 (en) * 2022-10-27 2023-06-28 이수기술단(주) Indoor Internet Communication Rou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713B1 (en) * 2012-01-17 2012-03-22 주식회사 럭스콘테크놀로지 An antenna assembly conbined a coaxial connector and antenna connector
KR20160107760A (en) * 2015-03-05 2016-09-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coaxial cable
KR101881963B1 (en) 2017-11-29 2018-07-25 (유)전일기술단 a connecting device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for cable
KR102548538B1 (en) * 2022-10-27 2023-06-28 이수기술단(주) Indoor Internet Communication Rou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27647B (en) Connector arrangement
US20070296553A1 (en) Reader/writer, optical transceiver module, and cable system
US20100248503A1 (en) Connector capable of coupling to printed circuit board
CN101800375B (en) Socket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matched with same
US20130157509A1 (en) Apparatus for converting remote control signals
ATE276594T1 (en) ELECTRICAL CONNECTOR PART
CN102957029A (en) Backward compatible contactless socket connector, and backward compatible contactless socket connector system
CN101849330A (en) Electric connector apparatus
CN101667777B (en) Non-contact connecting device for transmitting underwater electric energy and signal
KR102599355B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ables
US5280554A (en) Connecting arrangement with a connector and mating element and a cable with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JP4412606B2 (en) Optical filter and its transmission line
CN212114178U (en) Electric connector combination
KR20040030348A (en) Wireless headphones with connector socket
CN104218384A (en) An electrical connector
CN104218348A (en) Electric connector
EP2689501B1 (en) Plug comprising a pin pivoted out of a socket and socket
JP3118607U (en) Relay adapter
CN213518244U (en) MCU chip prevents broken string structure based on photoelectric coupler
CN203300895U (en) Electric connector
JP2004126885A (en) Non-contact cable and its operation method
KR200293414Y1 (en) Earphone socket
CN101015144A (en)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an electronic device to an optical data bus
KR101494719B1 (en) A connection terminal of plug connector for electronic equipment had dual connect structure
CN214475514U (e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pairing industrial remote con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