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8672B1 -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종아리 압박 밴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종아리 압박 밴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8672B1
KR102598672B1 KR1020230106016A KR20230106016A KR102598672B1 KR 102598672 B1 KR102598672 B1 KR 102598672B1 KR 1020230106016 A KR1020230106016 A KR 1020230106016A KR 20230106016 A KR20230106016 A KR 20230106016A KR 102598672 B1 KR102598672 B1 KR 102598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band
compression
band body
ca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6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국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컴퍼니
Priority to KR1020230106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6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8Elastic stockings; for contracting aneur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7/00Accessories for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61H2201/1695Enhanced pressure effect, e.g. substantially sharp projections, needles or pyram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무릎과 발목 사이에 착용되어 종아리와 정강이를 감싸고, 복수의 구간에서 착용자의 종아리를 서로 다른 압력으로 압박하고 잡아주어 종아리 근육을 효율적으로 압박함은 물론, 이를 통해 다리의 혈액순환과 부기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종아리 압박 밴드 및 이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종아리 압박 밴드는 사용자의 발목과 무릎 사이에 장착되어 정강이 및 종아리를 감싸는 튜브 형태의 밴드 본체 및 밴드 본체에 일체로 봉제되고, 밴드 본체에 비하여 더 큰 탄성력을 가지며, 밴드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위치에서 사용자의 발목 및 종아리를 서로 다른 압력의 크기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압박 패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종아리 압박 밴드 및 이의 제조 방법{Calf compression band for improving blood circul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종아리 압박 밴드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박밴드 및 압박 스타킹은 신체의 특정 부위, 종아리 등에 압박력을 제공하도록 사용되는데, 이 압력은 발목으로부터 착용자의 다리를 따라 내측 방향으로 점차 감소된다. 이러한 압박밴드 및 압박 스타킹은 다리에 혈액정체(blood pooling)와 특정의 정맥 림프성 질환, 피로, 및 환경으로 인한 좋지 않은 상태에 관련된 그 외의 증상들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압박 밴드 및 압박 스타킹은, 부위별로 동일한 압박력이 가해지므로 특정부위에 과도한 압박력이 가해져 림프액의 흐름을 제한하거나, 혈액순환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8130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릎과 발목 사이에 착용되어 종아리와 정강이를 감싸고, 복수의 구간에서 착용자의 종아리를 서로 다른 압력으로 압박하고 잡아주어 종아리 근육을 효율적으로 압박함은 물론, 이를 통해 다리의 혈액순환과 부기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종아리 압박 밴드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종아리 압박 밴드는 사용자의 발목과 무릎 사이에 장착되어 정강이 및 종아리를 감싸는 튜브 형태의 밴드 본체; 및 상기 밴드 본체에 일체로 봉제되고, 상기 밴드 본체에 비하여 더 큰 탄성력을 가지며, 상기 밴드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위치에서 상기 사용자의 발목 및 종아리를 서로 다른 압력의 크기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압박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압박 패턴은, 제1 압력의 크기로 상기 발목 및 상기 정강이를 압박 및 지지하는 제1 패턴부; 상기 제1 압력의 크기보다 작은 제2 압력의 크기로 상기 종아리를 압박 및 지지하는 제2 패턴부; 및 상기 제2 패턴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압력의 크기보다 작은 제3 압력의 크기로 상기 종아리를 압박 및 지지하는 제3 패턴부;를 포함한다.
상기 밴드 본체의 직경 대비 상기 밴드 본체의 길이의 상대비는 1:3.5 이상 1:4 이하이며, 상기 밴드 본체 및 상기 압박 패턴은 각각 10중량%의 폴리우레탄 섬유 및 90중량%의 폴리아미드 섬유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압력의 크기는 30 mmHg 이상 36 mmHg 이하이고, 상기 제2 압력의 크기는 23 mmHg 이상 30 mmHg 이하이며, 상기 제3 압력의 크기는 16 mmHg 이상 23 mmHg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밴드 본체는, 외면에 상기 압박 패턴이 배치되고, 상기 정강이 및 상기 종아리를 감싸는 제1 밴드부; 상기 제1 밴드부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무릎을 압박 및 지지하고, 상기 제1 밴드부에 비하여 더 큰 탄성력을 가지는 제2 밴드부; 및 상기 제1 밴드부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발목을 압박 및 지지하고, 상기 제1 밴드부에 비하여 더 큰 탄성력을 가지는 제3 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부는, 상기 밴드 본체의 전면에 봉제되어 상기 밴드 본체의 축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정강이를 압박 및 지지하는 제1-1 패턴; 상기 제1-1 패턴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발목을 압박 및 지지하는 제1-2 패턴; 상기 제1-1 패턴의 일단부와 상기 제1-2 패턴의 일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1 패턴의 일단부와 상기 제1-2 패턴의 일단부 사이에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제1-2 패턴의 상부에서 상기 발목의 일부분을 압박 및 지지하는 제1-3 패턴; 및 상기 밴드 본체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밴드 본체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제1-3 패턴에 대향 배치되어, 상기 제1-1 패턴의 타단부와 상기 제1-2 패턴의 타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1 패턴의 타단부와 상기 제1-2 패턴의 타단부 사이에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제1-2 패턴의 상부에서 상기 발목의 다른 일부분을 압박 및 지지하는 제1-4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패턴부는, 상기 밴드 본체의 상단부에서 상기 제1-3 패턴을 향하여 연장되면서 상기 종아리를 지지하는 선형의 제2-1 패턴; 상기 밴드 본체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밴드 본체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제2-1 패턴에 대향 배치되고, 상기 제2-1 패턴에 교차되도록 상기 밴드 본체의 상단부에서 상기 제1-4 패턴을 향하여 연장되면서 상기 종아리를 지지하는 선형의 제2-2 패턴; 상기 제2-1 패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밴드 본체의 상단부에서 상기 제1-3 패턴을 향하여 연장되면서 상기 종아리를 지지하는 선형의 제2-3 패턴; 및 상기 제2-2 패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2-3 패턴에 교차되도록 상기 밴드 본체의 상단부에서 상기 제1-4 패턴을 향하여 연장되면서 상기 종아리를 지지하는 선형의 제2-4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2-1 패턴은, 상기 밴드 본체의 상단부와 상기 제2-2 패턴 사이에 배치되어 비복근을 압박 및 지지하는 제1-1 압박부; 및 상기 제1-1 압박부와 상기 제1-3 패턴 사이에 배치되어 아킬레스건을 압박 및 지지하는 제1-2 압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2 패턴은, 상기 밴드 본체의 상단부와 상기 제2-1 패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비복근을 압박 및 지지하는 제2-1 압박부; 및 상기 제2-1 압박부와 상기 제1-4 패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아킬레스건을 압박 및 지지하는 제2-2 압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3 패턴은, 상기 밴드 본체의 상단부와 상기 제2-4 패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비복근 및 비근을 압박 및 지지하는 제3-1 압박부; 및 상기 제3-1 압박부와 상기 제1-3 패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아킬레스건 및 상기 비근을 압박 및 지지하는 제3-2 압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4 패턴은, 상기 밴드 본체의 상단부와 상기 제2-3 패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비복근 및 상기 비근을 압박 및 지지하는 제4-1 압박부; 및 상기 제4-1 압박부와 상기 제1-4 패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아킬레스건 및 상기 비근을 압박 및 지지하는 제4-2 압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패턴부는, 상기 제2-1 패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밴드 본체의 상단부에서 상기 제1-1 패턴의 일단부를 향하여 연장되면서 상기 종아리를 지지하는 선형의 제2-5 패턴; 및 상기 제2-2 패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2-5 패턴에 교차되도록 상기 밴드 본체의 상단부에서 상기 제1-1 패턴의 타단부를 향하여 연장되면서 상기 종아리를 지지하는 선형의 제2-6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5 패턴은, 상기 밴드 본체의 상단부와 상기 제2-6 패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비복근을 압박 및 지지하는 제5-1 압박부; 및 상기 제5-1 압박부와 상기 제1-1 패턴의 일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아킬레스건 및 상기 비근을 압박 및 지지하는 제5-2 압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6 패턴은, 상기 밴드 본체의 상단부와 상기 제2-5 패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비복근을 압박 및 지지하는 제6-1 압박부; 및 상기 제6-1 압박부와 상기 제1-1 패턴의 타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아킬레스건 및 상기 비근을 압박 및 지지하는 제6-2 압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박 패턴은, 상기 제1-1 압박부와 상기 제3-1 압박부 사이에 복수로 배치되어 상기 제1-1 압박부와 상기 제3-1 압박부를 연결하고, 상기 종아리를 지지하는 제4 패턴부; 상기 제2-1 압박부와 상기 제4-1 압박부 사이에 복수로 배치되어 상기 제2-1 압박부와 상기 제4-1 압박부를 연결하고, 상기 종아리를 지지하는 제5 패턴부; 상기 제1-1 압박부와 상기 제5-1 압박부 사이에 복수로 배치되어 상기 제1-1 압박부와 상기 제5-1 압박부를 연결하고, 상기 종아리를 지지하는 제6 패턴부; 및 상기 제2-1 압박부와 상기 제6-1 압박부 사이에 복수로 배치되어 상기 제2-1 압박부와 상기 제6-1 압박부를 연결하고, 상기 종아리를 지지하는 제7 패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밴드 본체의 전면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는, 절개된 상기 밴드 본체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1 테이프; 상기 제1 테이프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체인; 절개된 상기 밴드 본체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2 테이프; 상기 제2 테이프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 체인; 및 상기 제1 체인과 상기 제2 체인을 따라 상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상기 제1 체인과 상기 제2 체인을 결합하여 상기 밴드 본체의 전면을 폐쇄하거나, 상기 제1 체인과 상기 제2 체인을 따라 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상기 제1 체인과 상기 제2 체인을 분리하여 상기 밴드 본체의 전면을 개방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테이프와 상기 제2 테이프는 상기 압박 패턴과 동일한 탄성력을 갖는 신축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제1 테이프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테이프의 전면에 배치되고, 전면에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체인을 어느 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제1 체인 고정돌기들이 형성되는 제1 치수 조절 판; 및 상기 제2 테이프에 결합되어 상기 제2 테이프의 전면에 배치되고, 전면에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체인을 어느 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제2 체인 고정돌기들이 형성되는 제2 치수 조절 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체인은, 상기 제1 체인 고정돌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체인은, 상기 제2 체인 고정돌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밴드부의 내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피; 상기 제1 밴드부와 상기 내피 사이에 수용되는 냉온 찜질팩; 및 상기 제2 밴드부의 내부 및 상기 제3 밴드부의 내부에 각각 수용되고, 상기 압박 패턴과 동일한 탄성력을 가지는 보조 탄성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종아리 압박 밴드의 제조 방법은 튜브 형태의 밴드 본체를 직조하는 단계; 및 상기 밴드 본체의 외면에 압박 패턴을 직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 본체를 직조하는 단계는, 튜브형태의 제1 밴드부를 직조하는 단계; 상기 제1 밴드부의 상단부에 링 형상의 제2 밴드부를 직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밴드부의 하단부에 링 형상의 제3 밴드부를 직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압박 패턴을 직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밴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밴드부의 외면에 제1 패턴부를 직조하는 단계; 상기 제1 밴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밴드부의 외면에 제2 패턴부를 직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밴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밴드부의 외면에 제3 패턴부를 직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 본체의 외면에 다양한 형상의 압박 패턴이 형성되므로, 종아리와 정강이를 안정적으로 감싸줄 수 있음은 물론, 복수의 구간에서 착용자의 종아리를 부위별로 다른 압력으로 압박하고 잡아주어 종아리 근육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나아가 다리의 혈액순환과 부기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아리 압박 밴드가 사용자의 종아리에 착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아리 압박 밴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아리 압박 밴드를 나타낸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아리 압박 밴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아리 압박 밴드가 사용자의 종아리에 착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아리 압박 밴드가 개폐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아리 압박 밴드의 종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아리 압박 밴드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아리 압박 밴드가 사용자의 종아리에 착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아리 압박 밴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아리 압박 밴드를 나타낸 좌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아리 압박 밴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종아리 압박 밴드(1000)(이하 '종아리 압박 밴드(1000)'라 함)는 밴드 본체(1) 및 압박 패턴(2)을 포함한다.
밴드 본체(1)는 미리 설정된 직경 및 길이를 가지는 튜브 형태로 형성되고, 사용자가 착용 시 사용자의 발목(A)과 무릎(K) 사이에 장착되어 정강이 및 종아리(C)를 감싼다.
밴드 본체(1)의 직경(D) 대비 밴드 본체(1)의 길이(L)의 상대비는 1:3.5 이상 1:4 이하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밴드 본체(1)의 직경(D) 대비 밴드 본체(1)의 길이(L)의 상대비는 1:3.7 이상 1:3.9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밴드 본체(1)는 10중량%의 폴리우레탄 섬유 및 90중량%의 폴리아미드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섬유는 라이크라 섬유로 적용되고, 폴리아미드 섬유는 나일론 섬유로 적용될 수 있다.
밴드 본체(1)는 제1 밴드부(11), 제2 밴드부(12) 및 제3 밴드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밴드부(11)는 외면에 압박 패턴(2)이 배치되고, 정강이 및 종아리(C)를 감싸는 튜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밴드부(12)는 제1 밴드부(11)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무릎(K)을 압박 및 지지하고, 제1 밴드부(11)에 비하여 더 큰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즉, 제2 밴드부(12)는 제1 밴드부(11)에 비하여 두께 및 밀도가 더 조밀하게 직조되어 제1 밴드부(11) 보다 더 큰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제3 밴드부(13)는 제1 밴드부(11)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발목(A)을 압박 및 지지하고, 제1 밴드부(11)에 비하여 더 큰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즉, 제3 밴드부(13)는 제1 밴드부(11)에 비하여 두께 및 밀도가 더 조밀하게 직조되어 제1 밴드부(11) 보다 더 큰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압박 패턴(2)은 밴드 본체(1)에 일체로 봉제되고, 밴드 본체(1)에 비하여 더 큰 탄성력을 가진다.
즉, 압박 패턴(2)은 밴드 본체(1)에 비하여 두께 및 밀도가 더 조밀하게 직조되어 밴드 본체(1) 보다 더 큰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압박 패턴(2)은 밴드 본체(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위치에서 사용자의 발목(A) 및 종아리(C)를 서로 다른 압력의 크기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압박 패턴(2)은 10중량%의 폴리우레탄 섬유 및 90중량%의 폴리아미드 섬유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섬유는 라이크라 섬유로 적용되고, 폴리아미드 섬유는 나일론 섬유로 적용될 수 있다.
압박 패턴(2)은 제1 패턴부(21), 제2 패턴부(22) 및 제3 패턴부(23)를 포함한다.
제1 패턴부(21)는 제1 압력의 크기로 발목(A) 및 정강이를 압박 및 지지하고, 제2 패턴부(22)는 제1 압력의 크기보다 작은 제2 압력의 크기로 종아리(C)를 압박 및 지지하며, 제3 패턴부(23)는 제2 패턴부(22)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2 압력의 크기보다 작은 제3 압력의 크기로 종아리(C)를 압박 및 지지한다.
여기서, 제1 압력의 크기는 30mmHg 이상 36mmHg 이하이고, 제2 압력의 크기는 23mmHg 이상 30mmHg 이하이며, 제3 압력의 크기는 16mmHg 이상 23mmHg 이하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압력의 크기는 33 mmHg, 제2 압력의 크기는 26.5 mmHg, 제3 압력의 크기는 19.8 mmHg일 수 있다.
제1 패턴부(21)는 제1-1 패턴(211), 제1-2 패턴(212), 제1-3 패턴(213) 및 제1-4 패턴(2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1 패턴(211)은 밴드 본체(1)의 전면에 봉제되어 밴드 본체(1)의 축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고, 정강이를 압박 및 지지할 수 있다.
제1-2 패턴(212)은 제1-1 패턴(211)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발목(A)을 압박 및 지지할 수 있다.
제1-3 패턴(213)은 제1-1 패턴(211)의 일단부와 제1-2 패턴(212)의 일단부를 연결하고, 제1-1 패턴(211)의 일단부와 제1-2 패턴(212)의 일단부 사이에 경사지게 배치되며, 제1-2 패턴(212)의 상부에서 발목(A)의 일부분을 압박 및 지지할 수 있다.
제1-4 패턴(214)은 밴드 본체(1)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밴드 본체(1)의 폭방향을 따라 제1-3 패턴(213)에 대향 배치되어, 제1-1 패턴(211)의 타단부와 제1-2 패턴(212)의 타단부를 연결하고, 제1-1 패턴(211)의 타단부와 제1-2 패턴(212)의 타단부 사이에 경사지게 배치되며, 제1-2 패턴(212)의 상부에서 발목(A)의 다른 일부분을 압박 및 지지할 수 있다.
제2 패턴부(22)는 제2-1 패턴(221), 제2-2 패턴(222), 제2-3 패턴(223) 및 제2-4 패턴(2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1 패턴(221)은 선형 구조로 형성되고, 밴드 본체(1)의 상단부에서 제1-3 패턴(213)을 향하여 연장되면서 종아리(C)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1 패턴(221)은 밴드 본체(1)의 상단부와 제2-2 패턴(222) 사이에 배치되어 비복근(C1)을 압박 및 지지하는 제1-1 압박부(221A) 및 제1-1 압박부(221A)와 제1-3 패턴(213) 사이에 배치되어 아킬레스건(C2)을 압박 및 지지하는 제1-2 압박부(2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2 패턴(222)은 선형 구조로 형성되고, 밴드 본체(1)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밴드 본체(1)의 폭방향을 따라 제2-1 패턴(221)에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제2-2 패턴(222)은 제2-1 패턴(221)에 교차되도록 밴드 본체(1)의 상단부에서 제1-4 패턴(214)을 향하여 연장되면서 종아리(C)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2 패턴(222)은 밴드 본체(1)의 상단부와 제2-1 패턴(221) 사이에 배치되어 비복근(C1)을 압박 및 지지하는 제2-1 압박부(222A) 및 제2-1 압박부(222A)와 제1-4 패턴(214) 사이에 배치되어 아킬레스건(C2)을 압박 및 지지하는 제2-2 압박부(2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3 패턴(223)은 선형 구조로 형성되어, 제2-1 패턴(221)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밴드 본체(1)의 상단부에서 제1-3 패턴(213)을 향하여 연장되면서 종아리(C)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3 패턴(223)은 밴드 본체(1)의 상단부와 제2-4 패턴(224) 사이에 배치되어 비복근(C1) 및 비근(C3)을 압박 및 지지하는 제3-1 압박부(223A) 및 제3-1 압박부(223A)와 제1-3 패턴(213) 사이에 배치되어 아킬레스건(C2) 및 비근(C3)을 압박 및 지지하는 제3-2 압박부(22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4 패턴(224)은 선형 구조로 형성되어 제2-2 패턴(222)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제2-3 패턴(223)에 교차되도록 밴드 본체(1)의 상단부에서 제1-4 패턴(214)을 향하여 연장되면서 종아리(C)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4 패턴(224)은 밴드 본체(1)의 상단부와 제2-3 패턴(223) 사이에 배치되어 비복근(C1) 및 비근(C3)을 압박 및 지지하는 제4-1 압박부(224A) 및 제4-1 압박부(224A)와 제1-4 패턴(214) 사이에 배치되어 아킬레스건(C2) 및 비근(C3)을 압박 및 지지하는 제4-2 압박부(224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아리 압박 밴드가 사용자의 종아리에 착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패턴부(22)는 제2-5 패턴(225) 및 제2-6 패턴(2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5 패턴(225)은 선형 구조로 형성되어 제2-1 패턴(221)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밴드 본체(1)의 상단부에서 제1-1 패턴(211)의 일단부를 향하여 연장되면서 종아리(C)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5 패턴(225)은 밴드 본체(1)의 상단부와 제2-6 패턴(226) 사이에 배치되어 비복근(C1)을 압박 및 지지하는 제5-1 압박부(225A) 및 제5-1 압박부(225A)와 제1-1 패턴(211)의 일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아킬레스건(C2) 및 비근(C3)을 압박 및 지지하는 제5-2 압박부(22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6 패턴(226)은 선형 구조로 형성되어 제2-2 패턴(222)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제2-5 패턴(225)에 교차되도록 밴드 본체(1)의 상단부에서 제1-1 패턴(211)의 타단부를 향하여 연장되면서 종아리(C)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6 패턴(226)은 밴드 본체(1)의 상단부와 제2-5 패턴(225) 사이에 배치되어 비복근(C1)을 압박 및 지지하는 제6-1 압박부(226A) 및 제6-1 압박부(226A)와 제1-1 패턴(211)의 타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아킬레스건(C2) 및 비근(C3)을 압박 및 지지하는 제6-2 압박부(226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압박 패턴(2)은 제4 패턴부(24), 제5 패턴부(25), 제6 패턴부(26) 및 제7 패턴부(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패턴부(24)는 제1-1 압박부(221A)와 제3-1 압박부(223A) 사이에 복수로 배치되어 제1-1 압박부(221A)와 제3-1 압박부(223A)를 연결하고, 종아리(C)를 지지할 수 있다.
제5 패턴부(25)는 제2-1 압박부(222A)와 제4-1 압박부(224A) 사이에 복수로 배치되어 제2-1 압박부(222A)와 제4-1 압박부(224A)를 연결하고, 종아리(C)를 지지할 수 있다.
제6 패턴부(26)는 제1-1 압박부(221A)와 제5-1 압박부(225A) 사이에 복수로 배치되어 제1-1 압박부(221A)와 제5-1 압박부(225A)를 연결하고, 종아리(C)를 지지할 수 있다.
제7 패턴부(27)는 제2-1 압박부(222A)와 제6-1 압박부(226A) 사이에 복수로 배치되어 제2-1 압박부(222A)와 제6-1 압박부(226A)를 연결하고, 종아리(C)를 지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아리 압박 밴드가 개폐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종아리 압박 밴드(1000)는 개폐부재(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재(3)는 밴드 본체(1)의 전면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본 종아리 압박 밴드(1000)를 발끝에서부터 끼워가며 착용하지 않고, 개폐부재(3)를 개방한 상태에서 압박 밴드를 종아리(C)에 둘러 착용한 후 개폐부재(3)를 폐쇄하여 압박 밴드의 착용을 완료함으로써, 착용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개폐부재(3)는 절개된 밴드 본체(1)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1 테이프(31), 제1 테이프(31)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체인(32), 절개된 밴드 본체(1)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2 테이프(33), 제2 테이프(33)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 체인(34) 및 제1 체인(32)과 제2 체인(34)을 따라 상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제1 체인(32)과 제2 체인(34)을 결합하여 밴드 본체(1)의 전면을 폐쇄하거나, 제1 체인(32)과 제2 체인(34)을 따라 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제1 체인(32)과 제2 체인(34)을 분리하여 밴드 본체(1)의 전면을 개방하는 슬라이더(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테이프(31)와 제2 테이프(33)는 압박 패턴(2)과 동일한 탄성력을 갖는 신축성 재질로 형성되어 폭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의 종아리(C)가 설정된 치수보다 클 경우에도 제1 테이프(31)와 제2 테이프(33)가 사용자의 종아리(C) 사이즈에 맞게 신장되므로, 설정된 압박력이 저하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재(3)는 치수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폐부재(3)는 제1 치수 조절 판(36) 및 제2 치수 조절 판(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치수 조절 판(36)은 제1 테이프(31)에 결합되어 제1 테이프(31)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치수 조절 판(36)의 전면에는 폭 방향을 따라 제1 체인(32)을 어느 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제1 체인 고정돌기들(36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체인 고정돌기(361)는 수직부와, 수평부를 포함하는 후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체인(32)에는 제1 체인 고정돌기(36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체인 고정돌기(36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결합홈(3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치수 조절 판(37)은 제2 테이프(33)에 결합되어 제2 테이프(33)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치수 조절 판(37)의 전면에는 폭 방향을 따라 제2 체인(34)을 어느 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제2 체인 고정돌기들(37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체인 고정돌기(371)는 수직부와, 수평부를 포함하는 후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체인(34)에는 제2 체인 고정돌기(37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체인 고정돌기(37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홈(34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아리 압박 밴드의 종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종아리 압박 밴드(1000)는 내피(4), 냉온 찜질팩(5) 및 보조 탄성링(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내피(4)는 제1 밴드부(11)의 내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피(4)에는 벨크로가 구비되어 밴드 본체(1)의 내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내피(4)는 신축성 재질로 형성되고, 내피(4)에는 복수개의 공기유동홀이 형성될 수 있다.
냉온 찜질팩(5)은 제1 밴드부(11)와 내피(4)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온 찜질팩(5)에는 복수의 충전재 수납공간이 마련되고, 복수의 충전재 수납공간에는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면 보온성을 띄고, 미리 설정된 온도로 냉각되면 냉각성을 띄는 겔(gel) 형태의 충전재가 충전될 수 있다.
보조 탄성링(6)은 제2 밴드부(12)의 내부 및 제3 밴드부(13)의 내부에 각각 수용되고, 압박 패턴(2)과 동일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종아리 압박 밴드의 제조 방법(이하 '종아리 압박 밴드의 제조 방법'이라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본 종아리 압박 밴드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각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종아리 압박 밴드를 설명하면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고, 동일하거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아리 압박 밴드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4 및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10중량%의 폴리우레탄 섬유 및 90중량%의 폴리아미드 섬유를 이용하여 튜브 형태의 밴드 본체(1)를 직조한다(S110).
구체적으로, 먼저, 튜브형태의 제1 밴드부(11)를 직조한다(S111). 제1 밴드부(11)가 직조되면, 제1 밴드부(11)의 상단부에 링 형상의 제2 밴드부(12)를 직조한다(S112). 제2 밴드부(12)가 직조되면, 제1 밴드부(11)의 하단부에 링 형상의 제3 밴드부(13)를 직조한다(S113).
밴드 본체(1)가 직조되면, 밴드 본체(1)의 외면에 압박 패턴(2)을 직조한다(S120).
구체적으로, 밴드 본체(1)가 직조되면, 제1 밴드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밴드부(11)의 외면에 제1 패턴부(21)를 직조한다(S121). 그리고, 제1 패턴부(21)가 직조되면, 제1 밴드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밴드부(11)의 외면에 제2 패턴부(22)를 직조한다(S122). 그리고, 제2 패턴부(22)가 직조되면, 제1 밴드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밴드부(11)의 외면에 제3 패턴부(23)를 직조한다(S123).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 본체(1)의 외면에 다양한 형상의 압박 패턴(2)이 형성되므로, 종아리(C)와 정강이를 안정적으로 감싸줄 수 있음은 물론, 복수의 구간에서 착용자의 종아리(C)를 부위별로 다른 압력으로 압박하고 잡아주어 종아리(C) 근육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나아가 다리의 혈액순환과 부기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0. 종아리 압박 밴드
1. 밴드 본체
11. 제1 밴드부
12. 제2 밴드부
13. 제3 밴드부
2. 압박 패턴
21. 제1 패턴부
211. 제1-1 패턴
212. 제1-2 패턴
213. 제1-3 패턴
214. 제1-4 패턴
22. 제2 패턴부
221. 제2-1 패턴
221A. 제1-1 압박부
221B. 제1-2 압박부
222. 제2-2 패턴
222A. 제2-1 압박부
222B. 제2-2 압박부
223. 제2-3 패턴
223A. 제3-1 압박부
223B. 제3-2 압박부
224. 제2-4 패턴
224A. 제4-1 압박부
224B. 제4-2 압박부
225. 제2-5 패턴
225A. 제5-1 압박부
225B. 제5-2 압박부
226. 제2-6 패턴
226A. 제6-1 압박부
226B. 제6-2 압박부
23. 제3 패턴부
24. 제4 패턴부
25. 제5 패턴부
26. 제6 패턴부
27. 제7 패턴부
3. 개폐부재
31. 제1 테이프
32. 제1 체인
321. 제1 결합홈
33. 제2 테이프
34. 제2 체인
341. 제2 결합홈
35. 슬라이더
36. 제1 치수 조절 판
361. 제1 체인 고정돌기
37. 제2 치수 조절 판
371. 제2 체인 고정돌기
4. 내피
5. 냉온 찜질팩
6. 보조 탄성링
A. 발목
K. 무릎
C. 종아리
C1. 비복근
C2. 아킬레스건
C3. 비근

Claims (3)

  1. 사용자의 발목과 무릎 사이에 장착되어 정강이 및 종아리를 감싸는 튜브 형태의 밴드 본체; 및
    상기 밴드 본체에 일체로 봉제되고, 상기 밴드 본체에 비하여 더 큰 탄성력을 가지며, 상기 밴드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위치에서 상기 사용자의 발목 및 종아리를 서로 다른 압력의 크기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압박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압박 패턴은,
    제1 압력의 크기로 상기 발목 및 상기 정강이를 압박 및 지지하는 제1 패턴부;
    상기 제1 압력의 크기보다 작은 제2 압력의 크기로 상기 종아리를 압박 및 지지하는 제2 패턴부; 및
    상기 제2 패턴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압력의 크기보다 작은 제3 압력의 크기로 상기 종아리를 압박 및 지지하는 제3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 본체의 직경 대비 상기 밴드 본체의 길이의 상대비는 1:3.5 이상 1:4 이하이며,
    상기 밴드 본체 및 상기 압박 패턴은 각각 10중량%의 폴리우레탄 섬유 및 90중량%의 폴리아미드 섬유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압력의 크기는 30 mmHg 이상 36 mmHg 이하이고,
    상기 제2 압력의 크기는 23 mmHg 이상 30 mmHg 이하이며,
    상기 제3 압력의 크기는 16 mmHg 이상 23 mmHg 이하이고,
    상기 밴드 본체는,
    외면에 상기 압박 패턴이 배치되고, 상기 정강이 및 상기 종아리를 감싸는 제1 밴드부;
    상기 제1 밴드부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무릎을 압박 및 지지하고, 상기 제1 밴드부에 비하여 더 큰 탄성력을 가지는 제2 밴드부; 및
    상기 제1 밴드부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발목을 압박 및 지지하고, 상기 제1 밴드부에 비하여 더 큰 탄성력을 가지는 제3 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부는,
    상기 밴드 본체의 전면에 봉제되어 상기 밴드 본체의 축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정강이를 압박 및 지지하는 제1-1 패턴;
    상기 제1-1 패턴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발목을 압박 및 지지하는 제1-2 패턴;
    상기 제1-1 패턴의 일단부와 상기 제1-2 패턴의 일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1 패턴의 일단부와 상기 제1-2 패턴의 일단부 사이에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제1-2 패턴의 상부에서 상기 발목의 일부분을 압박 및 지지하는 제1-3 패턴; 및
    상기 밴드 본체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밴드 본체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제1-3 패턴에 대향 배치되어, 상기 제1-1 패턴의 타단부와 상기 제1-2 패턴의 타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1 패턴의 타단부와 상기 제1-2 패턴의 타단부 사이에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제1-2 패턴의 상부에서 상기 발목의 다른 일부분을 압박 및 지지하는 제1-4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패턴부는,
    상기 밴드 본체의 상단부에서 상기 제1-3 패턴을 향하여 연장되면서 상기 종아리를 지지하는 선형의 제2-1 패턴;
    상기 밴드 본체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밴드 본체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제2-1 패턴에 대향 배치되고, 상기 제2-1 패턴에 교차되도록 상기 밴드 본체의 상단부에서 상기 제1-4 패턴을 향하여 연장되면서 상기 종아리를 지지하는 선형의 제2-2 패턴;
    상기 제2-1 패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밴드 본체의 상단부에서 상기 제1-3 패턴을 향하여 연장되면서 상기 종아리를 지지하는 선형의 제2-3 패턴; 및
    상기 제2-2 패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2-3 패턴에 교차되도록 상기 밴드 본체의 상단부에서 상기 제1-4 패턴을 향하여 연장되면서 상기 종아리를 지지하는 선형의 제2-4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2-1 패턴은,
    상기 밴드 본체의 상단부와 상기 제2-2 패턴 사이에 배치되어 비복근을 압박 및 지지하는 제1-1 압박부; 및
    상기 제1-1 압박부와 상기 제1-3 패턴 사이에 배치되어 아킬레스건을 압박 및 지지하는 제1-2 압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2 패턴은,
    상기 밴드 본체의 상단부와 상기 제2-1 패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비복근을 압박 및 지지하는 제2-1 압박부; 및
    상기 제2-1 압박부와 상기 제1-4 패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아킬레스건을 압박 및 지지하는 제2-2 압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3 패턴은,
    상기 밴드 본체의 상단부와 상기 제2-4 패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비복근 및 비근을 압박 및 지지하는 제3-1 압박부; 및
    상기 제3-1 압박부와 상기 제1-3 패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아킬레스건 및 상기 비근을 압박 및 지지하는 제3-2 압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4 패턴은,
    상기 밴드 본체의 상단부와 상기 제2-3 패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비복근 및 상기 비근을 압박 및 지지하는 제4-1 압박부; 및
    상기 제4-1 압박부와 상기 제1-4 패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아킬레스건 및 상기 비근을 압박 및 지지하는 제4-2 압박부;를 포함하는,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종아리 압박 밴드.
  2. 삭제
  3. 삭제
KR1020230106016A 2023-08-14 2023-08-14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종아리 압박 밴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98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6016A KR102598672B1 (ko) 2023-08-14 2023-08-14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종아리 압박 밴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6016A KR102598672B1 (ko) 2023-08-14 2023-08-14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종아리 압박 밴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8672B1 true KR102598672B1 (ko) 2023-11-06

Family

ID=88748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6016A KR102598672B1 (ko) 2023-08-14 2023-08-14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종아리 압박 밴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67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3005A (ja) * 1999-04-12 2002-01-18 Romu:Kk ハイソックス
KR101581305B1 (ko) 2014-03-07 2015-12-30 (주)에스엔테크 발과 다리 보호용 압박 타이츠
JP2019525027A (ja) * 2016-08-05 2019-09-05 レヴェンジェ エッセ.エッレ.エッレ. チューブ状の着用可能なテキスタイル物品
KR20210157725A (ko) * 2020-06-22 2021-12-29 동국제약 주식회사 압박스타킹
KR20220063776A (ko) * 2020-11-09 2022-05-18 (주)메디위너 코스메틱 섬유가 적용된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편직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3005A (ja) * 1999-04-12 2002-01-18 Romu:Kk ハイソックス
KR101581305B1 (ko) 2014-03-07 2015-12-30 (주)에스엔테크 발과 다리 보호용 압박 타이츠
JP2019525027A (ja) * 2016-08-05 2019-09-05 レヴェンジェ エッセ.エッレ.エッレ. チューブ状の着用可能なテキスタイル物品
KR20210157725A (ko) * 2020-06-22 2021-12-29 동국제약 주식회사 압박스타킹
KR20220063776A (ko) * 2020-11-09 2022-05-18 (주)메디위너 코스메틱 섬유가 적용된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편직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70036B (zh) 具有分离的主体和带子的有刻度压缩装置
KR102134086B1 (ko) 기능성 양말
KR102656017B1 (ko) 원형 머신을 이용하여 제작된 탄성 삽입체를 가진 의류
JP7075175B2 (ja) シューズ、特にスポーツシュー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6510014B (zh) 可变压缩服装
CN102293451B (zh) 袜子
US11503868B2 (en) Denim and other compression garments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KR20140134280A (ko) 조절가능한 탄성 프로파일 압박 의류
KR20120050380A (ko) 장딴지의 근건막 펌프 강화를 위한 압박/봉쇄용 실측맞춤형 보조기구
WO2000047067A1 (en) Support/sport sock and method of use
KR101581305B1 (ko) 발과 다리 보호용 압박 타이츠
KR102598672B1 (ko)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종아리 압박 밴드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6192135A1 (zh) 动态生物功能腿部护具
JP4590529B2 (ja) 下肢用衣料
CN205460874U (zh) 一种体操训练辅助保护器
KR102421761B1 (ko) 무릎보호대
KR102163478B1 (ko) 기능성 압박 스타킹
KR101552352B1 (ko) 압박용 5.25inch 양말의 제직방법
CN201504571U (zh) 一种保健袜
EP3606486B1 (en) Reversible compression garment
CN211861825U (zh) 一种竹炭纤维复合袜子
KR102614953B1 (ko) 양말
CN213607452U (zh) 一种具有调节压力功能的抗血栓用梯度压力袜
KR102418614B1 (ko) 기능성 양말 구조
CN219661039U (zh) 一种高强度帮面的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