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8488B1 - 차염발생기 안전시스템 - Google Patents

차염발생기 안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8488B1
KR102598488B1 KR1020230060215A KR20230060215A KR102598488B1 KR 102598488 B1 KR102598488 B1 KR 102598488B1 KR 1020230060215 A KR1020230060215 A KR 1020230060215A KR 20230060215 A KR20230060215 A KR 20230060215A KR 102598488 B1 KR102598488 B1 KR 102598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tuation
generator
range
rectifier
nor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0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헌
최봉환
이인천
이명선
Original Assignee
(주) 아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큐스 filed Critical (주) 아큐스
Priority to KR1020230060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4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24Halogens or compounds thereof
    • C25B1/26Chlorine; Compounds thereof
    • C25B1/265Chlor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 C25B15/021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of heating or coo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60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 C25B9/65Means for supplying current; Electrode connections; Electric inter-cell conne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차염발생기 안전시스템은 차염을 발생시키는 차염발생기, 차염발생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차염발생기, 차염발생기로 인입되는 인입배관, 차염발생기에서 배출되는 배출배관을 포함하는 상황발생영역에 대한 비상상황을 포함하는 이상상황을 감지하는 상황발생감지부, 상황발생영역의 복수의 상황 각각에 대한 정상상황범위를 저장하고, 상황발생감지부에서 상황발생영역에 대한 이상상황을 감지하면 감지된 이상상황이 정상상황범위를 벗어나는 지 판단하며, 감지된 이상상황이 정상상황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차염발생기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제어하는 비상중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염발생기 안전시스템{Sodium Hypochlorite Generator Safety System}
본 발명은 차염발생기 안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염발생기를 안전하게 가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염발생기 안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염발생기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소금물을 전기분해하여 차염을 발생시키도록 구동된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렇게 구동되는 차염발생기는 전해조의 과열, 과전압 및 과전류 중 하나가 이상하다고 판단되면 제어반에서 정류기의 출력을 제어하도록 제어신호를 정류기로 보내어 DC 출력을 차단하도록 하였다. 또한, 차염발생기나 주변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비상상황의 경우 정류기의 DC 출력을 차단하도록 간접 제어하고 있다.
그러나 차염발생기 및 주변에서 비상상황이 발생하면 정류기의 DC 출력을 차단하도록 간접 제어하고 있음으로 인하여 비상상황에 대응하는 안전성이 하락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상상황에서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는 차염발생기 안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염발생기 안전시스템은 차염을 발생시키는 차염발생기; 상기 차염발생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차염발생기, 상기 차염발생기로 인입되는 인입배관, 상기 차염발생기에서 배출되는 배출배관을 포함하는 상황발생영역에 대한 비상상황을 포함하는 이상상황을 감지하는 상황발생감지부; 및 상기 상황발생영역의 복수의 상황 각각에 대한 정상상황범위를 저장하고, 상기 상황발생감지부에서 상기 상황발생영역에 대한 이상상황을 감지하면 감지된 이상상황이 상기 정상상황범위를 벗어나는 지 판단하며, 감지된 이상상황이 상기 정상상황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염발생기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제어하는 비상중지부를 포함한다. 차염발생기 및 주변에 비상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파악하여 차염발생기로 공급되는 전원이 중지되도록 간접 제어되지 않고 직접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황발생감지부는, 상기 차염발생기의 전해조 온도를 감지하는 전해조온도감지센서; 상기 차염발생기의 전극단자대 온도를 감지하는 전극단자대온도감지센서; 상기 상황발생영역의 연기농도를 감지하는 연기농도감지센서; 상기 전원공급부의 정류기 전압을 감지하는 정류기전압감지센서; 상기 전원공급부의 정류기 전류를 감지하는 정류기전류감지센서; 및 상기 차염발생기의 전해조 압력을 감지하는 전해조압력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단을 가지면 전해조의 온도, 전극단자대 온도, 화재감지를 위한 연기농도, 정류기 전압, 정류기 전류 및 전해조 압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발생기제어부는, 정상전해조온도범위, 정상전극단자대온도범위, 정상연기농도범위, 정상정류기전압범위, 정상정류기전류범위 및 전상전해조압력범위를 저장하고, 감지된 전해조 온도, 전극단자대 온도, 연기 농도, 정류기 전압, 정류기 전류 및 전해조 압력 중 적어도 하나가 해당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염발생기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제어하면 전해조의 온도, 전극단자대 온도, 화재감지를 위한 연기농도, 정류기 전압, 정류기 전류 및 전해조 압력을 모니터링하며 비상상황을 정확히 판단하여 차염발생기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황발생영역의 화재를 포함하는 상기 이상상황을 진압하는 이상상황진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상중지부는, 상기 상황발생영역의 복수의 상황 각각에 대한 안전운전범위를 저장하며, 감지된 이상상황이 상기 안전운전범위를 벗어나는비상상황으로 판단되면 상기 상황발생영역의 상기 이상상황을 진압하도록 상기 이상상황진압부를 제어하면 전해조의 온도, 전극단자대 온도, 화재감지를 위한 연기농도, 정류기 전압, 정류기 전류 및 전해조 압력을 모니터링하며 비상상황이라면 비상상황을 진압하도록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비상중지부는, 감지된 이상상황이 상기 정상상황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염발생기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면 이상상황이 감지될 경우 정상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따라 전원공급부를 제어하여 차염발생기 및 주변에 비상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하고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염발생기 및 주변에 비상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파악하여 차염발생기로 공급되는 전원이 중지되도록 제어하여 간접 제어하지 않고 직접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시스템 보호와 더불어 비상상황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해조의 온도, 전극단자대 온도, 화재감지를 위한 연기농도, 정류기 전압, 정류기 전류 및 전해조 압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전해조의 온도, 전극단자대 온도, 화재감지를 위한 연기농도, 정류기 전압, 정류기 전류 및 전해조 압력을 모니터링하며 비상상황을 정확히 판단하여 차염발생기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해조의 온도, 전극단자대 온도, 화재감지를 위한 연기농도, 정류기 전압, 정류기 전류 및 전해조 압력을 모니터링하며 비상상황이라면 비상상황을 진압하도록 할 수 있고, 이상상황이 감지될 경우 정상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따라 전원공급부를 제어하여 차염발생기 및 주변에 비상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하고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의 차염발생기의 안전시스템의 간략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염발생기 안전시스템의 간략 예시도이다.
도 3은 변형 가능한 차염발생기 안전시스템의 간략 예시도이다.
도 4는 차염발생기 안전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5는 상황발생감지부 및 이상상황진압부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6은 정류기전원 비상중지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7은 전극단자대온도감지센서의 부착 위치 예시도이다.
도 8은 전극단자대온도감지센서의 부착 예시도이다.
도 9는 전극단자대온도감지센서의 다른 부착 예시도이다.
도 10은 연기농도감지센서 및 열감지센서의 설치 예시도이다.
도 11은 정류기전압감지센서와 정류기전류감지센서의 설치 예시도이다.
도 12는 전해조압력감지센서의 설치 예시도이다.
도 13은 이상상황진압부의 화재진압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염발생기 안전시스템(1)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염발생기 안전시스템(1)의 간략 예시도이고, 도 3은 변형 가능한 차염발생기 안전시스템(1)의 간략 예시도이며, 도 4는 차염발생기 안전시스템(1)의 제어블록도이고, 도 5는 상황발생감지부(30) 및 이상상황진압부(50)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차염발생기 안전시스템(1)의 구성을 설명한다.
차염발생기 안전시스템(1)은 차염발생기(10), 전원공급부(20), 상황발생감지부(30), 이상상황진압부(50), 현장제어반(60), 수소감지기(70) 및 비상중지부(80)를 포함한다.
차염발생기(10)는 차염을 발생시키는 전해조, 전극단자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20)는 차염발생기(10)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0)는 전동기제어반(MCC반)(21) 및 정류기(22)를 포함한다.
전동기제어반(MCC반)(21)은 Motor Control Center(MCC)로서, 전동기의 제어(시동·정지, 정전/역전의 절환 등)로 사용하기 위해 전자개폐기나 스위치·표시등 등이 설치된 부분을 말한다. 전동기의 사용목적에 따라 제어 회로도 달라지며, 전자개폐기와 누름 버튼 스위치를 하나의 상자에 설치한 것부터 복잡한 것까지 여러 가지 종류와 모양이 있다. 전동기제어반(MCC반)(21)은 조작 스위치, 계전기, 전자 접촉기, 주간(主幹) 제어기 등을 부착하거나 또는 꾸며 넣어 여러 가지 전기적 제어를 반면(盤面)에서 하는 제어반이다.
정류기(22)는 교류전력에서 직류전력을 얻기 위해 정류작용에 중점을 두고 만들어진 전기적인 회로소자 또는 장치이며 한 방향으로만 전류를 통과시키는 기능을 가졌다. 대부분의 전원장치에서는 실리콘 다이오드가 사용되며 제어 정류기 응용 부분에서는 사이리스터가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정류기(22)는 주기적으로 양과 음 두 가지 방향으로 변화하는 교류전류를 한 가지 방향만 갖는 직류전류로 변환시키는 소자나 장치이다. 정류기는 순방향 저항은 작고 역방향 저항은 충분히 커서 한쪽 방향으로만 전류를 통과시키는 정류 작용이 가능하다. 즉, 가해지는 전압의 방향에 따라 전류가 순조로이 잘 흐르는 순방향과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는 역방향이 구별되는 특성을 말한다. 다이오드와 같은 소자 한 개로도 정류가 가능하지만 효과적인 정류를 위해서 보통 회로상에 여러 개의 소자를 특정하게 배열하여 사용한다.
상황발생감지부(30)는 차염발생기(10)로 인입되는 인입배관, 차염발생기(10)에서 배출되는 배출배관을 포함하는 상황발생영역에 대한 비상상황을 포함하는 이상상황을 감지한다. 상황발생감지부(30)는 전해조온도감지센서(31), 전극단자대온도감지센서(32), 연기농도감지센서(33), 정류기전압감지센서(34), 정류기전류감지센서(35) 및 전해조압력감지센서(36)를 포함한다.
전해조온도감지센서(31)는 차염발생기(10)의 전해조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전극단자대온도감지센서(32)는 차염발생기(10)의 전극단자대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연기농도감지센서(33)는 상황발생영역의 연기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정류기전압감지센서(34)는 전원공급부(20)의 정류기 전압을 감지할 수 있다.
정류기전류감지센서(35)는 전원공급부(20)의 정류기 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
전해조압력감지센서(36)는 차염발생기(10)의 전해조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발생기제어부(40)는 차염발생기의 차염발생을 제어한다.
이상상황진압부(50)는 상황발생영역의 화재를 포함하는 이상상황을 진압할 수 있다. 이상상황진압부(50)는 소화수진압부(51), 소화액진압부(52), 소화분말진압부(53) 혹은 소화기진압부(54)를 포함한다.
소화기진압부(54)는 기분사노즐(미도시), 기분사구동부(미도시), 기분사회전축(미도시)을 포함한다. 기분사노즐은 소화기체를 분사하도록 분사구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기분사노즐 분사구는 상호 대향한 한 쌍의 장벽과 한 쌍의 장벽을 연결하며 대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단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한 쌍의 장벽의 말단이 회전되어 상호 접근 및 이격되어 분사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소화기체가 분사되는 분사형상이 퍼지는 형상, 직선으로 분사되는 형상 등으로 다양화될 수 있다.
소화기진압부(54)는 기분사노즐을 수용하는 기분사본체(미도시)를 가질 수도 있다. 기분사회전축은 소화기진압부(137)의 기분사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기분사회전축에는 기분사노즐이 결합된다. 기분사구동부는 소화기체를 기분사노즐로 이동시키는 소화기분사펌프와 기분사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기분사구동부는 소화기진압부(137)의 기분사본체는 기분사노즐의 회전을 따라 슬롯이 형성될 수도 있다.
현장제어반(60)는 차염발생기(10)의 전단과 후단의 배관, 밸브 및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차염발생기(10)의 후단에 설치되 수소감지기로부터 수소가 감지되면 수소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밸브를 개방되게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차염발생기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수소감지기(70)는 차염발생기실의 상부에 설치되어 차염을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소를 감지할 수 있다.
비상중지부(80)는 상황발생영역의 복수의 상황 각각에 대한 정상상황범위를 저장하고, 상황발생감지부(30)에서 상황발생영역에 대한 이상상황을 감지하면 감지된 이상상황이 정상상황범위를 벗어나는 지 판단하며, 감지된 이상상황이 정상상황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차염발생기(10)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제어하거나 차염발생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전원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비상중지부(80)는 정상전해조온도범위, 정상전극단자대온도범위, 정상연기농도범위, 정상정류기전압범위, 정상정류기전류범위 및 전상전해조압력범위를 저장하고, 감지된 전해조 온도, 전극단자대 온도, 연기 농도, 정류기 전압, 정류기 전류 및 전해조 압력 중 적어도 하나가 해당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차염발생기(10)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제어하거나 발생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전원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비상중지부(80)는 상황발생영역의 복수의 상황 각각에 대한 비상상황값을 저장하며, 감지된 이상상황이 비상상황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황발생영역의 이상상황을 진압하도록 이상상황진압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비상중지부(80)는 감지된 이상상황이 정상상황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동기제어반(MCC반)(21)의 출력전원을 직접 차단하여 대처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차염발생기를 제어하는 현장제어반과는 독립적으로 차염발생기의 이상상황을 감지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비상중지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추가적인 안전장치로 이상발생 상황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화온도 이상일 경우나 연기감지기가 작동할 경우 CO2 등을 이용한 화재진화시스템(이상상황진압부)을 구동할 수 있다.
과전압/과전류 등 전력 과부하의 경우 정류기의 입력 또는 출력 전원을 차단하여 차염발생기를 보호할 수 있다.
기존의 제어반에서 정류기를 제어하는 통신 선로나 프로토콜의 문제 혹은 프로그램상의 오류 등으로 인하여 제대로 제어가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최대한 배제시키기 위해서 직접 하드웨어적으로 AC전원을 차단하는 것이 훨씬 더 확실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중 안전장치이다.
정류기나 MCC반에 서킷 브레이커가 있다. 여기에 차염발생기의 이상신호들 중 하나라도 이상 상황이 생기면 서킷 브레이커에 트리거 신호가 가도록 결선하여 서킷 브레이커가 동작한다.
비상중지부(80)에 센서를 설치하여 여러 가지 비상상황 발생 시그널을 받아서 OR logic으로 회로를 구성하여 트리거 신호를 서킷 브레이커로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염발생기 안전시스템(1)의 간략 예시도이다.
비상중지부(80)는 감지된 이상상황이 정상상황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동기제어반(MCC반)(21)에서 정류기(22)로 전송되는 AC 전원을 직접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직접 전동기제어반(MCC반)(21)에서 정류기(22)로 전송되는 AC 전원을 차단함으로 인하여 기존에 정류기(22)에서 변환되어 출력되는 DC전원을 차단하는 것에 비해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비상상황에 대한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은 변형 가능한 차염발생기 안전시스템(1)의 간략 예시도이다.
비상중지부(80)는 감지된 이상상황이 정상상황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동기제어반(MCC반)(21)에서 정류기(22)로 전송되는 AC 전원을 직접 차단하도록 할 수도 있고, 전동기제어반(MCC반)(21)에서 정류기(22)로 AC 전원이 차단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은 정류기전원 비상중지에 대한 설명도이다.
전해조온도, 전극단자대 온도, 연기감지, 정류기 전압, 정류기 전류 및 전해조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전해조온도, 전극단자대 온도, 연기감지, 정류기 전압, 정류기 전류 및 전해조 압력이 기설정된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정류기 전원공급 MCCB 전원차단기 즉, 비상중지부(80)에서 전동기제어반(MCC반)(21)에서 정류기(22)로 전송되는 AC 전원을 직접 차단하도록 한다.
도 7은 전극단자대온도감지센서의 부착 위치 예시도이다.
전극단자대 온도측정 위치는 전해조 전극터미널 발열부 근접 주변 임의의 위치일 수 있다.
도 8은 전극단자대온도감지센서의 부착 예시도이다.
전극단자대 온도 감지 센서 부착은 터미널 구리봉 중앙심부에 센서삽입시켜 설치될 수 있다. 전극단자대 온도 감지 센서는 전해조 전극터미널 및 전극봉 심부 중앙에 삽입될 수 있다.
도 9는 전극단자대온도감지센서의 다른 부착 예시도이다.
전극단자대 단면적 병목부근에 온도센서가 삽입 장착된다.
도 10은 연기농도감지센서 및 열감지센서의 설치 예시도이다.
차염발생기 안전시스템(1)은 열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열감지센서는 적외선 열감지센서일 수 있으며, 차염발생기(10)의 내부 천정영역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1은 정류기전압감지센서와 정류기전류감지센서의 설치 예시도이다.
전해조에 전원이 인가되는 버스 바아 양단 간의 전압을 측정하고, 전류는 버스 바아 둘 중 한곳에 링프로브를 설치하여 측정한다.
도 12는 전해조압력감지센서의 설치 예시도이다.
1) 차염과 수소 혼합유체가 발생기에서 배출되면 차염은 분리되어 차염탱크로 보내지고, 가스는 상부 밴트배관에서 희석공기와 썩여서 외부 밴트로 배출된다. 이때 차염용액과 수소가스가 분리된 후 가스배관의 압력을 측정한다.
혹은, 차염용액과 수소가스가 분리되기 직전, 발생기 내 혹은 외부 혼합유체상태의 배관에서 압력을 측정한다.
도 13은 이상상황진압부의 화재진압 예시도이다.
CO₂분사를 이용한 화재진화를 위하여 밀폐형 외장을 설치하여 전해조를 내장시키고, 전해조 상부 외장 내부에 CO₂분사 노즐을 장착하여, 연기감지센서나 열감지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화재상황 신호에 따라 CO₂ 가스를 분사하여 캐비닛 내의 산소농도를 희박하게 하여 화재를 조기에 진화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 예 이외의 변형 가능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이상상황진압부(50)는 소화수진압부(51), 소화액진압부(52) 및 소화분말진압부(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화수진압부(51)는 수분사노즐(미도시), 수분사구동부(미도시), 수분사회전축(미도시)을 포함한다. 수분사노즐은 소화수를 분사하도록 분사구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수분사노즐 분사구는 상호 대향한 한 쌍의 장벽과 한 쌍의 장벽을 연결하며 대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단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한 쌍의 장벽의 말단이 회전되어 상호 접근 및 이격되어 분사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소화수가 분사되는 분사형상이 퍼지는 형상, 직선으로 분사되는 형상 등으로 다양화될 수 있다.
소화수진압부(51)는 수분사노즐을 수용하는 수분사본체(미도시)를 가질 수도 있다. 수분사회전축은 소화수진압부(134)의 수분사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수분사회전축에는 수분사노즐이 결합된다. 수분사구동부는 소화수를 수분사노즐로 이동시키는 소화수분사펌프와 수분사노즐이 수분사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수분사구동부는 소화수진압부(134)의 수분사본체는 수분사노즐의 회전을 따라 슬롯이 형성될 수도 있다.
소화액진압부(52)는 액분사노즐(미도시), 액분사구동부(미도시), 액분사회전축(미도시)을 포함한다. 액분사노즐은 소화액을 분사하도록 분사구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액분사노즐 분사구는 상호 대향한 한 쌍의 장벽과 한 쌍의 장벽을 연결하며 대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단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한 쌍의 장벽의 말단이 회전되어 상호 접근 및 이격되어 분사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소화액이 분사되는 분사형상이 퍼지는 형상, 직선으로 분사되는 형상 등으로 다양화될 수 있다.
소화액진압부(52)는 액분사노즐을 수용하는 액분사본체(미도시)를 가질 수도 있다. 액분사회전축은 소화액진압부(135)의 액분사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액분사회전축에는 액분사노즐이 결합된다. 액분사구동부는 소화액을 액분사노즐로 이동시키는 소화액분사펌프와 액분사노즐이 액분사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액분사구동부는 소화액진압부(135)의 액분사본체는 액분사노즐의 회전을 따라 슬롯이 형성될 수도 있다.
소화분말진압부(53)는 분말분사노즐(미도시), 분말분사구동부(미도시), 분말분사회전축(미도시)을 포함한다. 분말분사노즐은 소화분말을 분사하도록 분사구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분말분사노즐 분사구는 상호 대향한 한 쌍의 장벽과 한 쌍의 장벽을 연결하며 대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단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한 쌍의 장벽의 말단이 회전되어 상호 접근 및 이격되어 분사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소화분말이 분사되는 분사형상이 퍼지는 형상, 직선으로 분사되는 형상 등으로 다양화될 수 있다.
소화분말진압부(53)는 분말분사노즐을 수용하는 분말분사본체(미도시)를 가질 수도 있다. 분말분사회전축은 분말진압부(136)의 분말분사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분말분사회전축에는 분말분사노즐이 결합된다. 분말분사구동부는 소화분말을 분말분사노즐로 이동시키는 소화분말분사펌프와 분말분사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분말분사구동부는 분말진압부(136)의 분말분사본체는 분말분사노즐의 회전을 따라 슬롯이 형성될 수도 있다.
천장에 화재진압을 위한 진압수평레일(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수평레일은 진압본체이동부(미도시)가 수평이동하는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볼스크류의 나사축(미도시)으로 마련될 수 있다. 수평레일은 나사축과 함께 평행하게 배치되는 수평축을 포함할 수 있다. 진압본체는 수평레일의 나사축과 수평축이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나사관통공과 수평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나사관통공은 내측에 나사축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나사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진압본체가 수평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진압본체의 수평관통공에 수평축이 삽입되어 있으므로 나사축이 회전하여도 진압본체는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진압본체는 소화수, 소화액, 분말, 소화기를 공급하는 공급배관을 가질 수 있다.
상기의 차염발생기 안전시스템(1)으로 인하여, 차염발생기 및 주변에 비상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파악하여 차염발생기로 공급되는 전원이 중지되도록 제어하여 간접 제어하지 않고 직접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전원 자체를 차단하여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해조의 온도, 전극단자대 온도, 화재감지를 위한 연기농도, 정류기 전압, 정류기 전류 및 전해조 압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전해조의 온도, 전극단자대 온도, 화재감지를 위한 연기농도, 정류기 전압, 정류기 전류 및 전해조 압력을 모니터링하며 비상상황을 정확히 판단하여 차염발생기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해조의 온도, 전극단자대 온도, 화재감지를 위한 연기농도, 정류기 전압, 정류기 전류 및 전해조 압력을 모니터링하며 비상상황이라면 비상상황을 진압하도록 할 수 있고, 차염발생기 및 주변에 비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차염발생기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1: 차염발생기 안전시스템
10: 차염발생기
20: 전원공급부 21: 전동기제어반(MCC반)
22: 정류기
30: 상황발생감지부 31: 전해조온도감지센서
32: 전극단자대온도감지센서 33: 연기농도감지센서
34: 정류기전압감지센서 35: 정류기전류감지센서
36: 전해조압력감지센서
40: 발생기제어부50: 이상상황진압부 51: 소화수진압부
52: 소화액진압부 53: 소화분말진압부
54: 소화기진압부
60: 현장제어반
70: 수소감지기
80: 비상중지부

Claims (5)

  1. 차염발생기 안전시스템에 있어서,
    차염을 발생시키는 차염발생기;
    상기 차염발생기로 전원을 공급하며, 정류기로 전송되는 AC 전원을 차단하는 서킷 브레이커를 갖는 전동기제어반을 포함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차염발생기, 상기 차염발생기로 인입되는 인입배관, 상기 차염발생기에서 배출되는 배출배관을 포함하는 상황발생영역에 대한 비상상황을 포함하는 이상상황을 감지하는 상황발생감지부;
    상기 상황발생영역의 화재를 포함하는 상기 이상상황을 소화수, 소화액 및 소화분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진압하는 이상상황진압부; 및
    상기 상황발생영역의 복수의 상황 각각에 대한 정상상황범위를 저장하고, 상기 상황발생감지부에서 상기 상황발생영역에 대한 이상상황을 감지하면 감지된 이상상황이 상기 정상상황범위를 벗어나는 지 판단하며, 감지된 이상상황이 상기 정상상황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염발생기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제어하는 비상중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상중지부는,
    감지된 이상상황이 상기 정상상황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동기제어반의 서킷 브레이커로 트리거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정류기로 공급되는 상기 교류전력을 직접 차단하도록 하며, 상기 차염발생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직접 차단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상황발생영역의 복수의 상황 각각에 대한 비상상황값을 저장하며, 감지된 이상상황이 상기 비상상황값을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상황발생영역의 상기 이상상황을 진압하도록 상기 이상상황진압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염발생기 안전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발생감지부는,
    상기 차염발생기의 전해조 온도를 감지하는 전해조온도감지센서;
    상기 차염발생기의 전극단자대 온도를 감지하는 전극단자대온도감지센서;
    상기 상황발생영역의 연기농도를 감지하는 연기농도감지센서;
    상기 전원공급부의 정류기 전압을 감지하는 정류기전압감지센서;
    상기 전원공급부의 정류기 전류를 감지하는 정류기전류감지센서; 및
    상기 차염발생기의 전해조 압력을 감지하는 전해조압력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염발생기 안전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중지부는,
    정상전해조온도범위, 정상전극단자대온도범위, 정상연기농도범위, 정상정류기전압범위, 정상정류기전류범위 및 정상전해조압력범위를 저장하고, 감지된 전해조 온도, 전극단자대 온도, 연기 농도, 정류기 전압, 정류기 전류 및 전해조 압력 중 적어도 하나가 해당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염발생기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염발생기 안전시스템.


  4. 삭제
  5. 삭제
KR1020230060215A 2023-05-10 2023-05-10 차염발생기 안전시스템 KR102598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0215A KR102598488B1 (ko) 2023-05-10 2023-05-10 차염발생기 안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0215A KR102598488B1 (ko) 2023-05-10 2023-05-10 차염발생기 안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8488B1 true KR102598488B1 (ko) 2023-11-06

Family

ID=88748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0215A KR102598488B1 (ko) 2023-05-10 2023-05-10 차염발생기 안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4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7854A (ja) * 2002-09-04 2004-04-02 Sanyo Electric Co Ltd 水処理装置
JP2011529391A (ja) * 2008-07-29 2011-12-08 トラストウォーター リミテッド 電気化学装置
JP2016204731A (ja) * 2015-04-28 2016-12-08 シャープ株式会社 電解装置
KR20220022834A (ko) * 2020-08-19 2022-02-28 와이비엔지니어링(주) 스마트 컨트롤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및 공급 유니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7854A (ja) * 2002-09-04 2004-04-02 Sanyo Electric Co Ltd 水処理装置
JP2011529391A (ja) * 2008-07-29 2011-12-08 トラストウォーター リミテッド 電気化学装置
JP2016204731A (ja) * 2015-04-28 2016-12-08 シャープ株式会社 電解装置
KR20220022834A (ko) * 2020-08-19 2022-02-28 와이비엔지니어링(주) 스마트 컨트롤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및 공급 유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0083B1 (ko) 분배전반 자동 소화 장치
KR102519876B1 (ko) 화재감지 및 소방기능을 가지는 배전반
KR101411958B1 (ko) 소화기가 구비된 분전반
KR20110087537A (ko) 자동확산 소화기가 설치된 배전반
WO2008113742A2 (en) Compact secondary substation comprising an arcing fault protection system, a method for arcing fault protection in a compact secondary substation, and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the method
KR200399329Y1 (ko) 수·배전반 자동 소화장치
KR200416819Y1 (ko) 배전반 소화장치
KR102598488B1 (ko) 차염발생기 안전시스템
NO340600B1 (no) Anordning og fremgangsmåte for brannbeskyttelse av elektriske anlegg
KR20190062873A (ko) Iot기반 수배전반 소방방재 시스템
CN104600581A (zh) 一种智能配电箱
KR102045411B1 (ko) 전등기구에 적용 가능한 화재 감지 장치
US20040194978A1 (en) Fire protection device for domestic appliances
CN216981169U (zh) 高压开关柜组
CN107224689A (zh) 一种灭火方法及灭火系统
CN214670979U (zh) 一种建筑电气强电竖井结构
CN116231840A (zh) 一种光伏侧的组串逆变器及消防系统
CN214100267U (zh) 一种具有防自燃功能的配电控制柜
CN107335159A (zh) 基于多元反馈机制的重燃罩壳安全型全淹没式消防系统
CN212845546U (zh) 一种防火预警电表箱
CN104600580A (zh) 一种配电箱
CN210278034U (zh) 基于电气柜的氮气灭火装置
CN216134275U (zh) 一种运行功耗低的电容复合投切开关
SI24126A (sl) Postopek in naprava za varno gašenje fotovoltaičnih elektrarn
CN110639146B (zh) 一种电控箱自主灭火系统及具有该系统的电控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