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828B1 - 인렛 가이드 베인 - Google Patents

인렛 가이드 베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828B1
KR102597828B1 KR1020180080011A KR20180080011A KR102597828B1 KR 102597828 B1 KR102597828 B1 KR 102597828B1 KR 1020180080011 A KR1020180080011 A KR 1020180080011A KR 20180080011 A KR20180080011 A KR 20180080011A KR 102597828 B1 KR102597828 B1 KR 102597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vane
guide
pin
bush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6357A (ko
Inventor
김재겸
Original Assignee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0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828B1/ko
Priority to CN201920230902.2U priority patent/CN210196139U/zh
Publication of KR20200006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8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04Air intakes for gas-turbine plants 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042Air intakes for gas-turbine plants or jet-propulsion plants having variable geomet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7/00Regulating or controlling by varying flow
    • F01D17/10Final actuators
    • F01D17/12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 F01D17/14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 F01D17/16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by means of nozzle vanes
    • F01D17/165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by means of nozzle vanes for radial flow, i.e. the vanes turning around axes which are essentially parallel to the rotor centre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10Stators
    • F05D2240/12Fluid guiding means, e.g. v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 Cycl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인렛 가이드 베인은 가이드 베인을 구비하는 본체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가이드 베인의 각도를 조절하는 가이드 링과, 가이드 링의 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개구에 돌출 결합되고, 가이드 링과 일체형으로 구동되는 핀과, 가이드 베인과 핀을 연결하여 결합되고, 가이드 베인을 조절하는 가이드 조절부 및 핀에 결합되고, 핀과 가이드 조절부 사이에 배치되는 부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인렛 가이드 베인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렛 가이드 베인{Inlet guide vane}
본 발명은 공기의 유량이나 유동을 컨트롤하는 인렛 가이드 베인에 관한 것이다.
터빈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유체에 의하여 회전 에너지를 다른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터빈은 매우 높은 온도, 압력 및 속도로 유동하는 연소 가스로부터 일(work)을 추출하는 기계를 포함한다. 추출된 일은 발전을 위해 발전기를 구동시키거나, 압축 장치를 구동시키거나, 항공기에 대한 요구 추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연료의 연소는 연소기를 통해 수행될 수 있는데, 연소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공기를 필요로 한다.
압축기는 대량의 공기를 압축하여 연소기에 공급하는 장치로서, 연소기는 공급된 공기를 이용하여 연료를 연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압축기는 공기를 공급하고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인렛 가이드 베인을 구비할 수 있다.
인렛 가이드 베인은 압축기로 유동하는 기체 또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인렛 가이드 베인은 베인부, 베인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구동부와 연결되는 다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는 복수개의 베인부 중 하나와 연결되어 연결된 베인부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컨트롤링을 회전시켜 복수개의 베인부 중 다른 베인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압축기로 기체 또는 유체의 유량, 유동 각도를 컨트롤하기 위해 인렛 가이드 베인의 각도 정밀도는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인렛 가이드 베인의 구동부의 구동방식은 다양하나, 일반적으로 기어를 통한 구동 방식과, 부싱(bushing)을 통한 구동 방식이 있다.
기어 구동 방식을 갖는 인렛 가이드 베인의 구동부의 경우, 메탈 재질로 이루어진 기어 간의 접촉으로 구동된다. 그러나, 엔진 등으로 인한 진동이 기어로 전달되면, 기어들이 엔진 진동에 의한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메탈 경도가 높은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구동부의 잦은 파손을 방지하고 있으나, 기어의 접촉이나 엔진의 진동 등에 따라 발생되는 기어의 마모성을 확인할 방법이 없음은 물론 정비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부싱을 사용하는 인렛 가이드 베인의 구동부의 경우, 폴리이미드(polyimde)와 같은 무윤활 재질로 된 부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의 마모를 방지하면서 교체가 용이하고, 마모성을 쉽게 판단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될 수 있어, 최근 인렛 가이드 베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어 구동 방식이나 부싱을 이용한 구동부는 정비를 위해 커버를 돌리고, 다른 부품들을 분해해야만 교체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정비가 용이하지 않음은 물론 조립성도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24810호(공개일자: 2017.11.1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렛 가이드 베인의 구성들 간, 예를 들어 부싱(bushing)과 가이드 콰더런트(Guide guardant) 및 다른 부품 사이에서 용이한 조립성을 가지면서, 부싱과 같은 소모성 부품의 교체 판단이나 부품 교체를 할 수 있는 인렛 가이드 베인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렛 가이드 베인의 구동부의 백래시(Backlash)를 최소화하면서, 부싱과 가이드 콰더런트 사이의 클리어런스(clearance)도 제로에 가까운 인렛 가이드 베인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렛 가이드 베인은,
가이드 베인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베인의 각도를 조절하는 가이드 링; 상기 가이드 링의 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개구에 돌출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링과 일체형으로 구동되는 핀; 상기 가이드 베인과 상기 핀을 연결하여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베인을 조절하는 가이드 조절부; 및 상기 핀에 결합되고, 상기 핀과 상기 가이드 조절부 사이에 배치되는 부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링은 상기 본체에서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의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가이드 링의 상기 제1 방향의 구동에 따라 상기 부싱에 둘러싸인 상기 핀은 상기 가이드 조절부에 체결되고, 상기 가이드 링의 상기 제2 방향의 구동에 따라 상기 부싱에 둘러싸인 상기 핀은 상기 가이드 조절부에서 이탈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조절부는, 상기 가이드 베인의 후단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에 끼워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의 일면 단부에서 상기 축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부싱에 둘러싸인 상기 핀과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에는 축 방향으로 오픈된 인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링의 상기 제1 방향 구동 또는 상기 제2 방향 구동에 따라 상기 부싱에 둘러싸인 상기 핀은 상기 인입부를 통해 상기 제2 결합부에 결합 또는 이탈될 수 있다.
상기 인입부의 단부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핀을 클램핑할 수 있다.
상기 부싱의 일단과 타단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유동방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유동방지부는 상기 제2 결합부의 축 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인렛 가이드 베인은, 구성들의 결합 구조가 간단하면서, 상기 부싱의 탈, 부착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부싱의 마모 상태를 바로 바로 확인할 수 있어, 부싱의 교체 주기를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렛 가이드 베인의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렛 가이드 베인의 핀에 결합된 부싱과 가이드 조절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렛 가이드 베인에서 가이드 링의 회전에 따라 결합이 해제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렛 가이드 베인의 결합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렛 가이드 베인(100)의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렛 가이드 베인(100)의 핀(140)에 결합된 부싱(150)과 가이드 조절부(130)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렛 가이드 베인(100)에서 가이드 링(120)의 회전에 따라 결합이 해제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렛 가이드 베인(100)의 결합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렛 가이드 베인(100)은, 본체(110), 가이드 링(120), 핀(140), 가이드 조절부(130) 및 부싱(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10)는 회전 축(미도시)에 결합된 블레이드를 수용하는 중공부(101)를 형성하고, 중공부(101)의 주변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가이드 베인(11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베인(111)은 서로가 서로에게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베인(111)은 유체가 일정 압력과 유량으로 블레이드를 밀어낼 수 있도록 조절해 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베인(111)은 회전 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대체로 부드러운 곡선을 이루는 외형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나,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 도 있고,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도 있는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베인(111)의 타단은 상기 본체(110)에서 돌출되는 연장부(112)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연장부(112)는 후술하는 가이드 링(120)의 개구(121)와 인접하여 돌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링(120)은 상기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베인(111)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링(120)은 상기 가이드 베인(111)의 일단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본체(110)에서 제1 방향 또는 제1 방향의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은 시계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2 방향은 반시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상기 제1 방향은 반시계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방향은 시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링(120)의 일면 둘레에는 복수개의 개구(1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핀(140)은 상기 복수개의 개구(121)를 관통하여 돌출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링(120)과 일체형으로 구동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링(120)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개구(121)에서 돌출된 상기 개구(121)에는 후술하는 부싱(150)이 삽입되어, 상기 핀(140)과 상기 가이드 조절부(130) 사이에서 윤활 역할을 할 수 있다.
상술한 상기 핀(140)과 상기 연장부(112)는 서로 인접하여 마치 한 쌍처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조절부(130)는 상기 가이드 베인(111)과 상기 핀(140)을 연결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베인(111)을 조절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조절부(130)는 상기 가이드 베인(111)의 타단에 연장 형성된 상기 연장부(112)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부싱(150)이 결합된 상기 핀(140)에 결합되거나 이탈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조절부(130)는 제1 결합부(131)와 제2 결합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131)와 상기 제2 결합부(132)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면서, 연결되어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131)에는 제1 중공(131a)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중공(131a)에는 상기 연장부(112)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132)는 상기 제1 결합부(131)의 일면 단부에서 상기 축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제1 중공(131a)과 평행한 방향으로 제2 중공(13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중공(132a)에는 상기 핀(140)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132)에는 축 방향으로 오픈된 인입부(132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입부(132b)의 단부(132c)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핀(140)이 상기 제2 중공(132a)에 안착된 상태에서 클램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싱(150)은 상기 핀(140)에 억지끼움과 같은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핀(140)과 상기 가이드 조절부(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부싱(150)은 폴리이미드(Polymide)와 같은 무윤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부싱(150)의 내측에는 상기 핀(140)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150a)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부싱(150)의 양 단부의 타단에는 상기 부싱(150)의 외측으로 절곡된 유동방지부(15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싱(150)이 상기 핀(140)의 주변 둘레를 감싸도록 결합되면, 상기 제2 결합부(132)는 상기 유동방지부(151) 사이에서 상기 부싱(150)의 주변둘레를 감싸면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동방지부(151)는 상기 제2 결합부(132)로 인해 축 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부싱(150)은 상기 가이드 조절부(130)와 구동에 따라 마모되는 구성으로, 상기 부싱(150)이 마모된 상황에서 상기 가이드 조절부(130)를 이동시키면, 상기 부싱(150)은 상기 가이드 조절부(130)에서 이탈되면서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부싱(150)의 마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의 구조를 가지는 상기 인렛 가이드 베인(100)은 축 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110), 상기 가이드 베인(111), 상기 가이드 링(120), 상기 핀(140), 상기 핀(140)을 감싸는 상기 부싱(150) 및 상기 가이드 조절부(130)가 배열될 수 있다.
우선, 상기 가이드 베인(111)은 축의 주변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각도로 배열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링(120)은 상기 가이드 베인(111)의 상부로 상기 본체(11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링(120)의 내측에는 가이드 베인(111)의 단부, 즉 연장부(112)가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출된 연장부(112)에 인접하여 상기 가이드 링(120)의 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개구(121)로는 상기 연장부(112)와 인접하여 핀(140)이 돌출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핀(140)의 주변에는 상기 부싱(150)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조절부(130),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결합부(131)는 상기 연장부(112)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조절부(130),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결합부(132)에 형성된 상기 인입부(132b)는 상기 부싱(150)을 향해 오픈되어 있다. 상기 핀(140)은 상기 개구(121)에 결합된 상태로 돌출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 링(120)의 회전 구동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가이드 링(1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부싱(150)이 결합된 상기 핀(140)은 오픈된 상기 인입부(132b)를 향해 인입되도록 이동된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 링(120)을 제1 방향(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부싱(150)이 결합된 상기 핀(140)은 상기 인입부(132b)를 통해 상기 제2 결합부(132)의 상기 제2 중공(132a)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결합부(132)는 상기 부싱(150)의 유동방지부(151) 사이에 안착되면서 축 방향에 대한 유격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구조를 가지는 상기 인렛 가이드 베인(100)은 터빈이나 압축기와 같은 장치에 실장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상기 인렛 가이드 베인(100)의 결합 구조가 단순해지면서 결합이 용이함을 알 수 있다.
상기의 결합 상태에서, 상기 부싱(150)을 교체하거나 상기 부싱(150)의 마모 상태를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인렛 가이드 베인(100)의 구성들을 분해, 조립하기 위해, 상기 인렛 가이드 베인(100)에서 상기 가이드 링(120)을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부싱(150)이 결합된 상기 핀(140)은 상기 가이드 링(12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고, 상기 핀(140)은 상기 인입부(132b)를 통해 상기 제2 결합부(132)의 중공에서 이탈될 수 있다. 상기 핀(140)이 상기 가이드 조절부(130),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결합부(132)에서 이탈되면서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부싱(150)의 마모 상태나 교체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부싱(150)이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상기 부싱(150)을 축 방향으로 당김에 따라 상기 핀(140)에서 이탈될 수 있고, 또한, 상기 부싱(150)을 축 방향으로 밀어 넣음에 따라 상기 핀(14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렛 가이드 베인(100)의 구동 시에는 가이드 조절부(130)의 스트로크가 제한적으로 구동됨에 따라, 상기 핀(140)에서 상기 부싱(150)이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인렛 가이드 베인은 구성들의 결합 구조가 간단하면서, 상기 부싱의 탈, 부착이 용이하다. 또한, 부싱의 마모 상태를 바로 바로 확인할 수 있어, 부싱의 교체 주기를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인렛 가이드 베인
110: 본체
111: 가이드 베인
120: 가이드 링
121: 개구
130: 가이드 조절부
131: 제1 결합부
131a: 제1 중공
132: 제2 결합부
132a: 제2 중공
132b: 인입부
140: 핀
150: 부싱
151: 유동방지부

Claims (6)

  1. 인렛 가이드 베인에 있어서,
    가이드 베인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으로 상기 가이드 베인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베인의 각도를 조절하는 가이드 링;
    상기 가이드 링의 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개구에 돌출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링과 일체형으로 구동되는 핀;
    상기 가이드 베인과 상기 핀을 연결하여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베인을 조절하는 가이드 조절부; 및
    상기 핀에 결합되고, 상기 핀과 상기 가이드 조절부 사이에 배치되는 부싱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조절부는,
    상기 가이드 베인의 후단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가이드 베인의 연장부에 끼워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의 일면 단부에서 상기 축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부싱에 둘러싸인 상기 핀과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면서 연결되어 서로 교차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부에 상기 가이드 베인의 연장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2 결합부에 핀을 커버하는 상기 부싱을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링의 스트로크 제한적인 회전으로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에 결합된 상기 인렛 가이드 베인과 상기 핀을 커버한 부싱은 함께 회전하나,
    상기 가이드 링의 스트로크 이상의 회전 시에는 상기 제1 결합부에 상기 인렛 가이드 베인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결합부에서 상기 핀 및 상기 부싱이 이탈되고, 상기 부싱은 핀의 축 방향으로 이탈되거나 결합되어 교체 가능하게 구비되는, 인렛 가이드 베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링은 상기 본체에서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의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가이드 링의 상기 제1 방향의 구동에 따라 상기 부싱에 둘러싸인 상기 핀은 상기 가이드 조절부에 체결되고,
    상기 가이드 링의 상기 제2 방향의 구동에 따라 상기 부싱에 둘러싸인 상기 핀은 상기 가이드 조절부에서 이탈되는 인렛 가이드 베인.
  3. 삭제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에는 축 방향으로 오픈된 인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링의 상기 제1 방향의 구동 또는 상기 제2 방향의 구동에 따라 상기 부싱에 둘러싸인 상기 핀은 상기 인입부를 통해 상기 제2 결합부에 결합 또는 이탈되는 인렛 가이드 베인.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의 단부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핀을 클램핑하는 인렛 가이드 베인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의 일단과 타단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유동방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유동방지부는 상기 제2 결합부의 축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인렛 가이드 베인.
KR1020180080011A 2018-07-10 2018-07-10 인렛 가이드 베인 KR102597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011A KR102597828B1 (ko) 2018-07-10 2018-07-10 인렛 가이드 베인
CN201920230902.2U CN210196139U (zh) 2018-07-10 2019-02-21 入口导流叶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011A KR102597828B1 (ko) 2018-07-10 2018-07-10 인렛 가이드 베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357A KR20200006357A (ko) 2020-01-20
KR102597828B1 true KR102597828B1 (ko) 2023-11-03

Family

ID=69367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011A KR102597828B1 (ko) 2018-07-10 2018-07-10 인렛 가이드 베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97828B1 (ko)
CN (1) CN210196139U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2260B2 (ko) * 1973-11-30 1979-12-13
EP1811135A1 (de) * 2006-01-23 2007-07-25 ABB Turbo Systems AG Verstellbare Leitvorrichtung
WO2013116136A1 (en) * 2012-02-02 2013-08-08 Borgwarner Inc. Mixed-flow turbocharger with variable turbine geometry
KR101716181B1 (ko) * 2012-02-27 2017-03-14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인렛 가이드 베인 어셈블리
KR101960712B1 (ko) * 2014-10-24 2019-03-21 한화파워시스템 주식회사 인렛 가이드 베인
KR102567540B1 (ko) 2016-05-03 2023-08-16 한화파워시스템 주식회사 터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0196139U (zh) 2020-03-27
KR20200006357A (ko) 2020-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2991B2 (ja) 段付きスペーサを有する可変ジオメトリのベーンリング組立体
US8668445B2 (en) Variable turbine nozzle system
EP2116694B1 (en) Turbocharger with variable nozzle having vane sealing surfaces
EP2573364B1 (en) Turbocharger with variable nozzle having labyrinth seal for vanes
US8061976B2 (en) Variable geometry turbocharger, vane ring assembly with retaining member
EP2818666B1 (en) Turbocharger with turbine nozzle vanes and an annular rotary bypass valve
AU758433B2 (en) Variable geometry turbocharger
US9121302B2 (en) Radial compressor blade clearance control system
CN101371008A (zh) 可调节的导向装置
US20100008774A1 (en) Variable geometry turbocharger lower vane ring retaining system
CN104204445B (zh) 用于vtg涡轮增压器的叶片套件组件
JP2009531581A (ja) プレスワール・ガイド・デバイス
CN105626167B (zh) 具有单轴、自定心枢转特征件的可变涡轮几何形状叶片
CA2894032C (en) Single bolting flange arrangement for variable guide vane connection
KR102597828B1 (ko) 인렛 가이드 베인
CN107100677A (zh) 一种固定叶片和可调叶片组合的喷嘴环组件
CN110118123A (zh) 涡轮增压器涡轮机组件
WO2017203962A1 (ja) 過給機
US11118469B2 (en) Seal assembly for a turbo machine
JP4865508B2 (ja) 調芯機構
CN106939828A (zh) 一种有效防止叶片卡滞的可变喷嘴环组件
US10487851B2 (en) Guide vane assembly with compensation device
CN206668332U (zh) 一种固定叶片和可调叶片组合的喷嘴环组件
CN207048865U (zh) 一种有效防止叶片卡滞的可变喷嘴环组件
US11506074B1 (en) Turbocharger having variable-vane turbine nozzle including arrangement for locking the vanes in fully open 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