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703B1 - Method and apparatus for taking edentulous impressions and tray complex therefor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taking edentulous impressions and tray complex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703B1
KR102597703B1 KR1020210101499A KR20210101499A KR102597703B1 KR 102597703 B1 KR102597703 B1 KR 102597703B1 KR 1020210101499 A KR1020210101499 A KR 1020210101499A KR 20210101499 A KR20210101499 A KR 20210101499A KR 102597703 B1 KR102597703 B1 KR 102597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shape
size
patient
maxill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14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20063A (en
Inventor
김영석
유영주
조인호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1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703B1/en
Publication of KR20230020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00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703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06Impression t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61C9/0053Optical means or methods, e.g. scanning the teeth by a laser or light bea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07Image acqui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2018/2035Beam shaping or redirecting; Optical components therefor
    • A61B2018/20351Scanning mechanisms
    • A61B2018/20353Scanning in three dimensions [3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36Dental;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위한 트레이 복합체가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은 예비 인상 과정 없이 환자의 1번의 내원으로 정밀 인상체를 채득할 수 있도록 악궁의 형태 및 크기를 이용하여 트레이의 형태 및 크기를 결정한다.A method and device for making edentulous impressions and a tray complex therefor are disclosed. The edentulous impression-taking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determines the shape and size of the tray using the shape and size of the dental arch so that a precise impression can be taken in a single visit by the patient without a preliminary impression process.

Description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위한 트레이 복합체 {Method and apparatus for taking edentulous impressions and tray complex therefor}Method and apparatus for taking edentulous impressions and tray complex therefor}

본 발명은 환자의 인상을 채득하고 총의치를 제작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echnology for taking an impression of a patient and manufacturing complete dentures.

일반적으로 총의치(Full denture) 제작을 위해서는 환자가 최소 5번 이상의 치과 내원을 하게 된다. 그 중 인상채득 및 총의치 제작을 위한 기초작업으로 3회 이상의 내원이 필요하다. 환자의 1차 내원 시, 기성 트레이를 이용하여 예비 인상체를 채득하고, 채득한 예비 인상체로 환자 맞춤형 개인 트레이를 제작한다. 환자의 2차 내원 시, 개인 트레이를 이용하여 환자 구강의 정밀 인상체를 채득한다. 치과에서 정밀 인상체를 기공소로 보내면, 기공소는 정밀 인상체에 석고를 부어 모형을 만들고, 레코드 베이스와 왁스림을 제작한다. 이후, 환자의 3차 내원 시 왁스림을 환자의 구강 내에 시적하고, 총의치 제작을 위한 기준선을 파악한다.Typically, a patient must visit the dentist at least five times to make a full denture. Among them, three or more visits are required for basic work for impression taking and complete denture production. During the patient's first visit, a preliminary impression is taken using a ready-made tray, and a personalized tray customized for the patient is produced using the obtained preliminary impression. During the patient's second visit, a precise impression of the patient's mouth is taken using a personal tray. When the dental office sends a precision impression to a laboratory, the laboratory pours plaster on the precision impression to create a model and creates a record base and wax cream. Afterwards, during the patient's third visit, wax cream is applied to the patient's mouth and the baseline for manufacturing a complete denture is identified.

이러한 내원 횟수 증가로 총의치 제작 일정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인상체에 석고를 주입하는 기공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석고 모형을 기반으로 작업하는 레코드 베이스와 왁스림의 오차도 발생할 수 있다.Due to this increase in the number of visits, there is a problem of lengthening the complete denture production schedule. Additionally, errors may occur during the process of injecting plaster into the impression body. Because of this, errors may occur between the record base and wax cream, which are based on plaster models.

한국등록특허 10-2226949 (2021년 03월 17일 공고) Korean registered patent 10-2226949 (announced on March 17, 2021)

일 실시 예에 따라, 무치악 환자를 대상으로 단 1번의 내원을 통해 최종 인상체 채득이 가능한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위한 트레이 복합체를 제안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 edentulous impression taking method and device capable of taking a final impression through only one visit for an edentulous patient, and a tray complex therefor are proposed.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은, 형태 및 크기가 상이한 복수의 기성 트레이를 획득하는 단계와, 환자의 스캔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환자의 스캔 데이터에 복수의 랜드마크를 설정하는 단계와, 설정된 복수의 랜드마크를 이용하여 환자의 악궁 형태 및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와, 복수의 기성 트레이 중에서, 판단된 악궁 형태 및 크기에 대응되는 기성 트레이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 edentulous impression-tak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obtaining a plurality of ready-made trays of different shapes and sizes, acquiring scan data of a patient, and setting a plurality of landmarks in the scan data of the patient. , determining the shape and size of the patient's dental arch using a plurality of set landmarks, and selecting a ready-made tray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arch shape and size from a plurality of ready-made trays.

랜드마크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악 트레이의 크기 선택을 위해 상악의 양측 Maxillary Tuberosity를 랜드마크로 설정할 수 있다.In the step of setting a landmark, the Maxillary Tuberosities on both sides of the maxilla can be set as landmarks to select the size of the maxillary tray.

랜드마크를 설정하는 단계는, 하악 트레이의 크기 선택을 위해 하악의 양측 Retromolar Pad Mesial을 랜드마크로 설정할 수 있다.In the step of setting a landmark, the Retromolar Pad Mesial on both sides of the mandible can be set as a landmark to select the size of the mandibular tray.

환자의 악궁 형태 및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악의 양측 Maxillary Tuberosity 간 거리를 계산하여 상악의 악궁 크기를 판단할 수 있고, 기성 트레이를 선택하는 단계는, 계산된 상악의 양측 Maxillary Tuberosity 간 거리와 미리 설정된 크기 값을 비교하여 상악 트레이의 크기를 선택할 수 있다.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shape and size of the patient's dental arch, the size of the maxillary arch can be determined by calcula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maxillary tuberosities on both sides of the maxilla, and in the step of selecting a ready-made tray, the calculated distance between the maxillary tuberosities on both sides of the maxilla is calculated. You can select the size of the maxillary tray by comparing preset size values.

환자의 악궁 형태 및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는, 하악의 양측 Retromolar Pad Mesial 간 거리를 계산하여 하악의 악궁 크기를 판단할 수 있고, 기성 트레이를 선택하는 단계는, 계산된 하악의 양측 Retromolar Pad Mesial 간 거리와 미리 설정된 크기 값을 비교하여 하악 트레이의 크기를 선택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rmining the shape and size of the patient's arch can be done by calcula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retromolar pad mesials on both sides of the mandible. The step of selecting a ready-made tray can be done by calcula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retromolar pad mesials on both sides of the mandible. The size of the mandibular tray can be selected by comparing the distance and the preset size value.

랜드마크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악 트레이의 형태 선택을 위해 상악의 양측 Canine Prominence와 양측 Maxillary Tuberosity를 랜드마크로 설정할 수 있다.In the step of setting landmarks, Canine Prominence on both sides of the maxilla and Maxillary Tuberosity on both sides can be set as landmarks to select the shape of the maxillary tray.

랜드마크를 설정하는 단계는, 하악 트레이의 형태 선택을 위해 하악의 양측 Canine Prominence와 양측 Retromolar Pad Mesial를 랜드마크로 설정할 수 있다.In the step of setting a landmark, the Canine Prominence on both sides of the mandible and the Retromolar Pad Mesial on both sides can be set as landmarks to select the shape of the mandibular tray.

환자의 악궁 형태 및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악의 양측 Canine Prominence 간 거리를 양측 Maxillary Tuberosity 간 거리로 나눈 비율 값을 계산하여 상악의 악궁 형태를 판단할 수 있고, 기성 트레이를 선택하는 단계는, 계산한 비율 값과 미리 설정된 크기 값을 비교하여 상악 트레이의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rmining the shape and size of the patient's dental arch can be done by calculating the ratio valu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Canine Prominences on both sides of the maxilla divid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Maxillary Tuberosities on both sides. The step of selecting a ready-made tray is, The shape of the maxillary tray can be selected by comparing the calculated ratio value and the preset size value.

기성 트레이를 선택하는 단계는, 계산한 비율 값이 제1 값보다 작으면 상악 트레이의 형태를 테이퍼형으로, 계산한 비율 값이 제1 값보다 크고 제2 값보다 작으면 상악 트레이의 형태를 타원형으로, 계산한 비율 값이 제2 값보다 크면 상악 트레이의 형태를 스퀘어형으로 미리 분류하여, 상악 트레이의 크기를 미리 분류된 크기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In the step of selecting a ready-made tray, if the calculated ratio value is smaller than the first value, the shape of the maxillary tray is tapered, and if the calculated ratio value is greater than the first value and smaller than the second value, the shape of the maxillary tray is changed to an oval shape. If the calculated ratio value is greater than the second value, the shape of the maxillary tray is pre-classified as square, and the size of the maxillary tray can be selected from among the pre-classified sizes.

환자의 악궁 형태 및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는, 하악의 양측 Canine Prominence 간 거리를 양측 Retromolar Pad Mesial 간 거리로 나눈 비율 값을 계산하여 하악의 악궁 형태를 판단할 수 있고, 기성 트레이를 선택하는 단계는, 계산한 비율 값과 미리 설정된 크기 값을 비교하여 하악 트레이의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rmining the shape and size of the patient's arch is by calculating the ratio valu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Canine Prominence on both sides of the mandible divid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Retromolar Pad Mesials on both sides. The step of selecting a ready-made tray is , the shape of the mandibular tray can be selected by comparing the calculated ratio value and the preset size value.

기성 트레이를 선택하는 단계는, 계산한 비율 값이 제3 값보다 작으면 하악 트레이의 형태를 테이퍼형으로, 계산한 비율 값이 제3 값보다 크고 제4 값보다 작으면 하악 트레이의 형태를 타원형으로, 계산한 비율 값이 제4 값보다 크면 하악 트레이의 형태를 스퀘어형으로 미리 분류하여, 하악 트레이의 크기를 미리 분류된 크기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In the step of selecting a ready-made tray, if the calculated ratio value is less than the third value, the shape of the mandibular tray is set to a tapered shape. If the calculated ratio value is greater than the third value and smaller than the fourth value, the shape of the mandibular tray is set to an oval shape. If the calculated ratio value is greater than the fourth value, the shape of the mandibular tray is pre-classified as square, and the size of the mandibular tray can be selected from among the pre-classified sizes.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은, 선택된 기성 트레이를 이용하여 환자의 인상을 채득하는 단계와, 환자의 수직고경 높이에 대응되는 상악 교합제 및 하악 교합제를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된 상악 트레이와 상악 교합제, 선택된 하악 트레이와 하악 교합제를 각각 결합하는 단계와, 결합된 트레이 및 교합제를 이용하여 환자의 하악운동을 스캔함에 따라 하악운동 스캔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환자의 구강 내에서 측정되는 교합정보를 기초로 교합 스캔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교합 스캔 데이터와 하악운동 스캔 데이터를 정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dentulous impression-taking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taking an impression of a patient using a selected ready-made tray, selecting a maxillary and mandibular occlusal agent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height of the patient, the selected maxillary tray and maxillary occlusal agent, A step of combining the selected mandibular tray and the mandibular articulator, respectively, obtaining mandibular movement scan data by scanning the patient's mandibular movement using the combined tray and articulator, and occlusal information measured in the patient's mouth. It may further include acquiring occlusion scan data based on , and matching the occlusion scan data and mandibular movement scan data.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는, 환자의 스캔 데이터와, 형태 및 크기가 상이한 복수의 기성 트레이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와, 환자의 스캔 데이터에 복수의 랜드마크를 설정하고, 설정된 복수의 랜드마크를 이용하여 환자의 악궁 형태 및 크기를 판단한 후, 복수의 기성 트레이 중에서 판단된 악궁 형태 및 크기에 대응되는 기성 트레이를 선택하는 제어부와, 선택된 기성 트레이를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An edentulous impression-ta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data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the patient's scan data and a plurality of ready-made trays of different shapes and sizes, sets a plurality of landmarks in the patient's scan data, and sets a plurality of landmarks. After determining the shape and size of the patient's dental arch using the landmark,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selects a ready-made tray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arch shape and size from a plurality of ready-made trays, and an output unit that displays the selected ready-made tray.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이 복합체는, 환자의 악궁 크기 및 형태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태를 가지며 소정의 결착부를 포함하는 상악 트레이 및 하악 트레이와, 베이스 및 베이스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교합 마커로 구성되어 교합 마커의 높이가 조절되며 상기 결착부를 통해 하악 트레이와 결합되는 하악 교합제 및 베이스 및 베이스의 상부 전체에 형성되는 교합부로 구성되어 상기 교합부의 높이가 조절되며 상기 결착부를 통해 상악 트레이와 결합되는 상악 교합제를 포함한다.The tray complex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n upper tray and a lower tray having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patient's arch and including a predetermined attachment portion, a base, and an occlusal marker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base. The height of the occlusal marker is adjusted, and it is composed of a mandibular articulator and a base and an occlusal part formed on the entire upper part of the base, which are coupled to the mandibular tray through the coupling part, so that the height of the occlusal part is adjusted and coupled to the upper tray through the coupling part. Includes maxillary occlusal products.

상악 및 하악의 트레이는, 상악 및 하악의 스캔 데이터에 각각 설정된 복수의 랜드마크를 이용한 거리 값을 통해 그 크기 및 형태가 결정될 수 있다.The size and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jaw trays may be determined through distance values using a plurality of landmarks set in the scan data of the upper and lower jaw, respectively.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 및 이를 위한 트레이 복합체에 따르면, 형태 및 크기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기성 트레이 중에서 환자의 악궁 형태 및 크기에 대응되는 기성 트레이를 선택하여 인상을 채득 하므로 환자의 내원 횟수를 1회로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dentulous impression-taking method and a tray complex theref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 impression is taken by selecting a ready-made tray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patient's arch from among a plurality of ready-made trays of different shapes and sizes,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visits of the patient. can be reduced to 1 time.

일반적으로, 환자가 두번째 내원 했을 때 최종 인상채득을 하게 되는데,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처음 내원 했을 때 환자의 구강 형태 및 크기에 대응되는 트레이 선택으로 최종인상 채득이 가능하므로 환자의 내원 횟수를 줄여 주고 총의치 제작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Generally, the final impression is taken when the patient visits the hospital for the second tim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nal impression can be taken by selecting a tray that corresponds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patient's mouth when the patient visits the hospital for the first time, thus reducing the number of visits by the patient. The complete denture production period can be shorten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2의 기성 트레이 선택 단계의 세부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악 트레이의 크기 선택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악 트레이의 크기 선택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악 트레이의 형태 선택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악 트레이의 형태 선택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선택된 상악 트레이 및 하악 트레이 형태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합제 선택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dentulous impression-ta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flow of an edentulous impression-tak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detailed flow of the ready-made tray selection step of Figure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selecting the size of an upper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selecting the size of a mandibular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selecting the shape of an upper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selecting the shape of a mandibular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examples of upper and lower tray shapes sel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electing an occlusal ag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provide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judg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nd the terms described below will be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of ,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below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tailed below.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이하, 본 명세서에서 '트레이'는 예를 들어 "개인 트레이"처럼 달리 명시되지 않으면 '기성 트레이'를 의미한다.Hereinafter, in this specification, 'tray' means 'off-the-shelf tray' unless otherwise specified, for example, "individual tra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dentulous impression-ta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데이터 획득부(10), 저장부(12), 제어부(14), 입력부(16) 및 출력부(18)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edentulous impression taking device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data acquisition unit 10, a storage unit 12, a control unit 14, an input unit 16, and an output unit 18. .

데이터 획득부(10)는 환자의 손상된 치아를 포함하는 치아들로부터 치과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 치과 영상 데이터는 예를 들어 환자의 스캔 데이터를 포함하는데, 스캔 데이터는 인상체 스캔 데이터, 교합 스캔 데이터, 하악운동 스캔 데이터 등이 있다. 그리고 데이터 획득부(10)는 크기 및 형태가 상이한 복수의 기성 트레이를 획득한다.The data acquisition unit 10 acquires dental image data from teeth including damaged teeth of the patient. Dental image data includes, for example, scan data of a patient, and the scan data includes impression body scan data, occlusion scan data, and mandibular movement scan data. And the data acquisition unit 10 acquires a plurality of ready-made trays of different sizes and shapes.

저장부(12)에는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의 동작 수행을 위해 필요한 정보와 동작 수행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 등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저장부(12)에는 개별 환자의 스캔 데이터가 저장되며, 사용자 요청에 따라 이를 제어부(14)에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2)에는 개별 환자의 상악 및 하악의 치과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특정 환자의 스캔 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를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어부(14)에 제공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2 stores data such as information required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edentulous impression taking device 1 and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For example, scan data of individual patients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 and can be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14 upon user request. Dental image data of the upper and lower jaws of individual patients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 and data including scan data of a specific patient can be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14 upon user request.

제어부(14) 또는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무치악 인상채득을 수행한다. 이때,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한 제어를 통하여 총의치를 제작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4)는 무치악 인상채득을 위한 기성 트레이를 선택한다. 이때, 트레이와 교합제를 분리하여, 환자의 악궁 크기 및 형태에 대응되는 기성 트레이를 선택하고, 환자의 수직고경 높이 및 악궁 형태에 대응되는 교합제를 선택한 후, 선택된 기성 트레이에 교합제를 결합할 수 있다. 트레이 선택 방법은, 복수의 기성 트레이 중에서 환자의 악궁 크기 및 형태에 대응되는 트레이를 선택하는 방법, 환자의 악궁 크기 및 형태에 대응되는 트레이를 디자인한 후 이를 3D 프린터로 출력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4)가 환자의 악궁 크기 및 형태를 소정의 랜드마크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고, 사용자가 랜드마크를 이용하여 거리를 계측하면, 입력부(16)가 계측 값을 입력 받고 제어부(14)가 입력된 계측 값을 이용하여 트레이의 크기 및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 or the edentulous impression-taking device 1 performs edentulous impression-taking. At this time, complete dentures are manufactured through control by a computer program. The control unit 14 according to one embodiment selects a ready-made tray for taking an edentulous impression. At this time, the tray and the occlusal agent are separated, a ready-made tray correspon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patient's arch is selected, an occlusal agent corresponding to the patient's vertical diameter height and arch shape is selected, and then the occlusal agent is combined with the selected ready-made tray. can do. Tray selection methods include selecting a tray that corresponds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patient's arch from among a plurality of ready-made trays, designing a tray that corresponds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patient's arch, and then printing it with a 3D printer.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14 can calculate the size and shape of the patient's dental arch using a predetermined landmark, and when the user measures the distance using the landmark, the input unit 16 receives the measured value and the control unit ( 14) You can select the size and shape of the tray using the entered measurement values.

입력부(16)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 받는다. 예를 들어, 입력부(16)는 출력부(18)를 통해 화면에 가상의 그래픽 객체로 표시되는 치과 영상에서 마우스 클릭 등의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 받는다.The input unit 16 receives user manipulation signals through a user interface. For example, the input unit 16 receives a user manipulation signal, such as a mouse click, from a dental image displayed as a virtual graphic object on the screen through the output unit 18.

출력부(18)는 치과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고, 제어부(14)를 통한 시뮬레이션 과정을 화면에 표시한다. 나아가, 제어부(14)를 통해 디자인된 총의치 또는 트레이를 3차원 프린터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8 displays dental images on the screen and displays the simulation process through the control unit 14 on the screen. Furthermore, complete dentures or trays designed through the control unit 14 can be output through a 3D printer.

일 실시예에 따른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종래의 최소 2회 이상의 내원에 걸쳐 진행되던 인상채득 단계를 1회 내원에서 모두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사용자가 1차 내원 시 기성 트레이를 이용하여 예비 인상을 채득하고 채득한 인상으로 환자 맞춤형 개인 트레이를 제작하며, 그 이후 2차 내원 시 개인 트레이를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의 정밀인상을 채득한다. 이에 비해,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환자가 처음 내원하였을 때 형태 및 크기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기성 트레이 중에서, 환자의 악궁 형태 및 크기에 대응되는 기성 트레이를 선택하고, 선택된 기성 트레이를 이용하여 최종 인상을 채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의 내원횟수가 1회로 줄어들어 총의치 제작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The edentulous impression-taking device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allow the impression-taking steps, which were conventionally performed over at least two visits, to be completed in one visit. For example, conventionally, during the first visit, the user takes a preliminary impression using a ready-made tray and creates a patient-customized personal tray using the impression. Afterwards, during the second visit, the personal tray is used to accurately measure the patient's oral cavity. Get an impression. In contrast, the edentulous impression-taking device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selects a ready-made tray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patient's arch from among a plurality of ready-made trays of different shapes and sizes when the patient first visits the hospital, and selects the selected tray. The final impression can be taken using a ready-made tray. Accordingly, the number of patient visits can be reduced to one, shortening the complete denture production period.

일 실시예에 따른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전용 하드웨어 장치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고, 범용 하드웨어 장치에서 소프트웨어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상에서 수행되는 경우,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환자의 치과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소프트웨어에 의한 제어를 통해 치과 영상 데이터를 이용한 진단 및 분석을 거쳐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무치악 인상체를 채득할 수 있다.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무치악 인상채득을 위한 트레이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선택된 트레이를 이용하여 환자의 인상체 데이터 및 정합 데이터를 획득한 후 인상체 데이터와 정합 데이터를 이용하여 총의치를 제작할 수 있다.The edentulous impression-taking device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be performed through a dedicated hardware device, or may be performed through software in a general-purpose hardware device. When performed on software, the edentulous impression-taking device 1 acquires the patient's dental image data and performs simulation through diagnosis and analysis using the dental image data through control by software to obtain an edentulous impression. . The edentulous impression taking device 1 can select a tray for taking an edentulous impression, acquire the patient's impression data and registration data using the selected tray, and then manufacture a complete denture using the impression data and registration data. there i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flow of an edentulous impression-tak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기성 트레이의 크기 및 형태를 선택한다(S210). 예를 들어, 환자의 악궁 크기에 따라 상악 및 하악의 트레이 크기를 각각 Small(S), Medium(M), Large(L) 크기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악궁 형태에 따라 상악 및 하악의 트레이의 형태를 각각 테이퍼형(Tapering Type), 타원형(Ovoid Type), 스퀘어형(Square Type) 등으로 선택할 수 있다. 기성 트레이의 크기 및 형태 선택 단계(S210)의 세부 흐름은 도 3을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edentulous impression taking device 1 selects the size and shape of the ready-made tray (S210). For exampl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atient's dental arch, the upper and lower tray sizes can be selected as Small (S), Medium (M), and Large (L), respectively.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patient's arch shape, the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trays can be selected as tapering type, oval type, or square type, respectively. The detailed flow of the size and shape selection step (S210) of the ready-made tray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이어서,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선택된 기성 트레이를 이용하여 환자의 인상체를 채득한다(S220). 예를 들어, 폐구 인상법으로 상악 인상체를 먼저 채득한 후 하악 인상체를 채득할 수 있다.Next, the edentulous impression taking device 1 takes an impression of the patient using the selected ready-made tray (S220). For example, using the closed mouth impression method, the upper jaw impression can be taken first and then the lower jaw impression can be taken.

이어서,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환자의 수직고경 높이에 대응되는 상악 교합제 및 하악 교합제를 선택한다(S230). 이때, 하악 교합제의 높이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하악 교합제의 베이스 상의 교합 마커를 이용하여 하악 교합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교합 마커는 콘, 원기둥, 다각형 블록 등이 있다.Next, the edentulous impression taking device 1 selects the maxillary occlusal agent and mandibular occlusal agent corresponding to the patient's vertical diameter height (S230). At this time, rather than selecting the height of the mandibular articulator, the height of the mandibular articulator can be adjusted using the occlusal marker on the base of the mandibular articulator. Occlusal markers include cones, cylinders, and polygonal blocks.

이어서,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선택된 상악 트레이와 상악 교합제를 결합하고, 하악 트레이와 하악 교합제를 결합한다(S240). 상악 또는 하악 트레이에 상악 또는 하악의 교합제를 결합하기 위해 해당하는 트레이 상부의 결착부를 이용할 수 있다.Next, the edentulous impression-taking device 1 combines the selected maxillary tray and the maxillary articulator, and combines the mandibular tray and the mandibular articulator (S240). To connect an upper or lower jaw occlusal device to an upper or lower tray, a fastening portion on the upper part of the corresponding tray can be used.

이어서,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결합된 트레이 및 교합제를 이용하여 환자의 하악운동을 스캔함에 따라 하악운동 스캔 데이터를 획득한다(S250). 하악 운동 시 하악 교합제의 교합 마커의 동적 경로를 스캔 하여 하악운동 스캔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Next, the edentulous impression taking device 1 obtains mandibular movement scan data by scanning the patient's mandibular movement using the combined tray and articulator (S250). Mandibular movement scan data can be obtained by scanning the dynamic path of the occlusal marker of the mandibular occlusal agent during mandibular movement.

또한,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환자의 구강 내에서 측정되는 교합정보를 기초로 교합 스캔 데이터를 획득한다(S260). 이를 위하여, 환자의 안정위 수직고경(무치악 환자가 편안한 상태) 길이를 측정하고, 환자의 인상을 채득한 후 하악 교합제의 교합 마커(예를 들어, 콘)를 연화시켜, 안정위 수직고경 길이에서 약 2~4mm 정도 낮은 높이가 되도록 교합 수직고경의 높이를 결정한다. 교합 수직고경의 높이가 정해지면, 하악운동을 통해 하악운동 스캔 데이터를 획득하고, 중심위 바이트(Centric Relation: CR Bite) 상태에서 교합정보를 채득하여 교합 스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중심위 바이트는 상악과 하악의 맞물림이 가장 편안한 상태를 의미한다.Additionally, the edentulous impression-taking device 1 acquires occlusion scan data based on occlusion information measured within the patient's mouth (S260). For this purpose, the length of the patient's vertical dimension in the resting position (in a comfortable state for edentulous patients) is measured, an impression of the patient is taken, and the occlusal marker (e.g., cone) of the mandibular occlusal agent is softened to determine the length of the vertical diameter in the resting position. Determine the height of the occlusal vertical diameter so that it is approximately 2 to 4 mm lower. Once the height of the occlusal vertical dimension is determined, mandibular movement scan data can be obtained through mandibular movement, and occlusal scan data can be obtained by obtaining occlusal information in a centric relation bite (CR Bite) state. Here, the centric bite refers to the state in which the engagement between the upper and lower jaw is most comfortable.

이어서,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교합 스캔 데이터와 하악운동 스캔 데이터를 정합한다(S270). 이때, 환자의 상/하악 스캔 데이터를 함께 정합하여 하악운동을 재현하고, 이를 이용하여 총의치를 제작할 수 있다.Next, the edentulous impression-taking device 1 matches the occlusion scan data and the mandibular movement scan data (S270). At this time, the patient's upper/mandibular scan data can be matched together to reproduce the mandibular movement, and this can be used to manufacture a complete dentur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2의 기성 트레이 선택 단계의 세부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flow of the ready-made tray selection step of FIG.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형태 및 크기가 상이한 복수의 기성 트레이를 획득하고(S310), 환자의 스캔 데이터를 획득한다(S320).Referring to FIGS. 1 to 3, the edentulous impression-taking device 1 acquires a plurality of ready-made trays of different shapes and sizes (S310) and obtains scan data of the patient (S320).

이어서,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환자의 스캔 데이터에 복수의 랜드마크를 설정한다(S330). 예를 들어,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상악 트레이의 크기 선택을 위해 상악의 양측 Maxillary Tuberosity를 랜드마크로 설정할 수 있다. 하악 트레이의 크기 선택을 위해 하악의 양측 Retromolar Pad Mesial을 랜드마크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상악 트레이의 형태 선택을 위해 상악의 양측 Canine Prominence와 양측 Maxillary Tuberosity를 랜드마크로 설정할 수 있다. 하악 트레이의 형태 선택을 위해 하악의 양측 Canine Prominence와 양측 Retromolar Pad Mesial를 랜드마크로 설정할 수 있다.Next, the edentulous impression taking device 1 sets a plurality of landmarks in the patient's scan data (S330). For example, the edentulous impression taking device 1 can set the Maxillary Tuberosity on both sides of the maxilla as landmarks to select the size of the maxillary tray. To select the size of the mandibular tray, the retromolar pad mesial on both sides of the mandible can be set as a landmark. As another example, the edentulous impression taking device 1 can set the Canine Prominence on both sides of the maxilla and Maxillary Tuberosity on both sides as landmarks to select the shape of the maxillary tray. To select the shape of the mandibular tray, the Canine Prominence on both sides of the mandible and the Retromolar Pad Mesial on both sides can be set as landmarks.

이어서,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설정된 복수의 랜드마크를 이용하여 환자의 악궁 형태 및 크기를 판단(S340) 하고, 복수의 기성 트레이 중에서, 판단된 악궁 형태 및 크기에 대응되는 기성 트레이를 선택한다(S350).Next, the edentulous impression taking device 1 determines the shape and size of the patient's dental arch using a plurality of set landmarks (S340), and selects a ready-made tray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arch shape and size from among the plurality of ready-made trays. Do it (S350).

상악 트레이 크기 선택 예를 들면, 환자의 악궁 형태 및 크기 판단 단계(S340)에서,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상악의 양측 Maxillary Tuberosity 간 거리를 계산하여 상악의 악궁 크기를 판단한다. 이어서, 기성 트레이 선택 단계(S350)에서, 계산된 상악의 양측 Maxillary Tuberosity 간 거리와 미리 설정된 크기 값를 비교하여 상악 트레이의 크기를 선택한다.Selection of Maxillary Tray Size For example,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shape and size of the patient's arch (S340), the edentulous impression taking device 1 determines the size of the maxillary arch by calcula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Maxillary Tuberosities on both sides of the maxilla. Next, in the ready-made tray selection step (S350), the size of the maxillary tray is selected by comparing the calculated distance between the maxillary tuberosities on both sides of the maxilla and a preset size value.

하악 트레이 크기 선택 예를 들면, 환자의 악궁 형태 및 크기 판단 단계(S340)에서,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하악의 양측 Retromolar Pad Mesial 간 거리를 계산하여 하악의 악궁 크기를 판단한다. 이어서, 기성 트레이 선택 단계(S350)에서, 계산된 양측 Retromolar Pad Mesial 간 거리와 미리 설정된 크기 값을 비교하여 하악 트레이의 크기를 선택한다.Selection of mandibular tray size For example,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shape and size of the patient's arch (S340), the edentulous impression taking device 1 determines the arch size of the mandible by calcula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retromolar pad mesials on both sides of the mandible. Next, in the ready-made tray selection step (S350), the size of the mandibular tray is selected by comparing the calculated distance between both retromolar pad mesials and a preset size value.

상악 트레이 형태 선택 예를 들면, 환자의 악궁 형태 및 크기 판단 단계(S340)에서,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상악의 양측 Canine Prominence 간 거리를 양측 Maxillary Tuberosity 간 거리로 나눈 비율 값을 계산하여 상악의 악궁 형태를 판단한다.For example,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shape and size of the patient's arch (S340), the edentulous impression-taking device 1 calculates the ratio value by divid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anine Prominences of the maxilla by the distance between the Maxillary Tuberosities on both sides. Determine the shape of the dental arch.

이어서,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기성 트레이 선택 단계(S350)에서, 계산한 비율 값과 미리 설정된 크기 값을 비교하여 상악 트레이의 형태를 선택한다. 이때, 계산한 비율 값이 제1 값보다 작으면 상악 트레이의 형태를 테이퍼형으로, 계산한 비율 값이 제1 값보다 크고 제2 값보다 작으면 상악 트레이의 형태를 타원형으로, 계산한 비율 값이 제2 값보다 크면 상악 트레이의 형태를 스퀘어형으로 미리 분류하여, 상악 트레이의 크기를 미리 분류된 크기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Next, the edentulous impression taking device 1 selects the shape of the maxillary tray by comparing the calculated ratio value and the preset size value in the ready-made tray selection step (S350). At this time, if the calculated ratio value is less than the first value, the shape of the maxillary tray is tapered, and if the calculated ratio value is greater than the first value and smaller than the second value, the shape of the maxillary tray is elliptical. If it is greater than this second value, the shape of the maxillary tray is pre-classified as square, and the size of the maxillary tray can be selected from among the pre-classified sizes.

하악 트레이 형태 선택 예를 들면, 환자의 악궁 형태 및 크기 판단 단계(S340)에서,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하악의 양측 Canine Prominence 간 거리를 양측 Retromolar Pad Mesial 간 거리로 나눈 비율 값을 계산하여 하악의 악궁 형태를 판단한다.For example,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shape and size of the patient's dental arch (S340), the edentulous impression taking device 1 calculates the ratio value by divid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anine prominences on both sides of the mandible by the distance between the retromolar pad mesials on both sides. Determine the shape of the mandibular arch.

이어서,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기성 트레이 선택 단계(S350)에서, 계산한 비율 값과 미리 설정된 크기 값을 비교하여 하악 트레이의 형태를 선택한다. 이때, 계산한 비율 값이 제3 값보다 작으면 하악 트레이의 형태를 테이퍼형으로, 계산한 비율 값이 제3 값보다 크고 제4 값보다 작으면 하악 트레이의 형태를 타원형으로, 계산한 비율 값이 제4 값보다 크면 하악 트레이의 형태를 스퀘어형으로 미리 분류하여, 하악 트레이의 크기를 미리 분류된 크기 중에서 선택한다.Next, the edentulous impression taking device 1 selects the shape of the mandibular tray by comparing the calculated ratio value and the preset size value in the ready-made tray selection step (S350). At this time, if the calculated ratio value is less than the third value, the shape of the mandibular tray is tapered, and if the calculated ratio value is greater than the third value and smaller than the fourth value, the shape of the mandibular tray is set to oval. If it is greater than this fourth value, the shape of the mandible tray is pre-classified as square, and the size of the mandible tray is selected from the pre-classified size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악 트레이의 크기 선택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selecting the size of an upper jaw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상악 스캔 데이터에 2개의 랜드마크를 설정하고, 설정된 2개의 랜드마크를 이용하여 상악 기성 트레이의 크기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상악의 양측 Maxillary Tuberosity 간 거리(B1)를 측정하여 기성 트레이의 크기를 선택한다.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가 거리(B1)를 측정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가 측정한 값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4, the edentulous impression taking device 1 sets two landmarks in the maxillary scan data and selects the size of the maxillary ready-made tray using the two set landmarks. For example, the size of the ready-made tray is selected by measuring the distance (B1) between the maxillary tuberosities on both sides of the maxilla. The edentulous impression taking device 1 may measure the distance B1, but the user may also input the measured value.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양측 Maxillary Tuberosity 간 거리(B1)에 따라, B1 ≤ 45mm이면, Small로, 45mm < B1 < 51mm이면 Medium으로, 51mm ≤ B1이면 Large 등으로 미리 분류하여, 상악 트레이의 크기를 미리 분류된 크기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크기 값은 예시로 적용했을 뿐 사용자 설정에 의해 변경 가능하며, 크기 분류도 3가지가 아니라 4~5가지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The edentulous impression taking device (1) is pre-classified into Small if B1 ≤ 45mm, Medium if 45mm < B1 < 51mm, Large if 51mm ≤ B1, etc., according to the distance (B1) between the maxillary tuberosities on both sides, and used for maxillary trays. You can choose from pre-sorted sizes. The size value is only applied as an example and can be changed according to user settings, and the size classification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such as 4 to 5 types instead of 3 type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악 트레이의 크기 선택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selecting the size of a lower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하악 스캔 데이터에 2개의 랜드마크를 이용하여 기성 트레이의 크기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하악의 양측 Retromolar Pad Mesial 간 거리(B2)를 측정하여 기성 트레이의 크기를 선택한다.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가 거리(B2)를 측정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가 측정한 값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5, the edentulous impression taking device 1 selects the size of the ready-made tray using two landmarks in the mandibular scan data. For example, select the size of the ready-made tray by measuring the distance (B2) between the retromolar pad mesials on both sides of the lower jaw. The edentulous impression taking device 1 may measure the distance B2, but the user may also input the measured value.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양측 Retromolar Pad Mesial 간 거리(B2)에 따라 B2 ≤ 53mm이면 Small로, 53mm < B2 < 59mm이면 Medium으로, 59mm ≤ B2이면 Large 등으로 트레이의 크기를 선택할 수 있다. 크기 값은 예시로 적용했을 뿐 사용자 설정에 의해 변경 가능하며, 크기 분류도 3가지가 아니라 4~5가지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The edentulous impression taking device (1) can select the size of the tray according to the distance (B2) between the two retromolar pad mesials: Small if B2 ≤ 53mm, Medium if 53mm < B2 < 59mm, Large if 59mm ≤ B2. The size value is only applied as an example and can be changed according to user settings, and the size classification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such as 4 to 5 types instead of 3 types.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악 트레이의 형태 선택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selecting the shape of an upper jaw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상악의 양측 Canine Prominence 간 거리(A1)와 양측 Maxillary Tuberosity 간 거리(B1)를 이용하여 상악 트레이의 형태를 선택한다. 이때, 상악의 양측 Canine Prominence 간 거리(A1)를 양측 Maxillary Tuberosity 간 거리(B1)로 나눈 비율 값(A1/B1)에 따라 상악 트레이의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율 값(A1/B1)에 따라, A1/B1≤0.46mm이면 테이퍼형으로, 0.46mm<A1/B1<0.68mm이면 타원형으로, 0.68mm≤A1/B1이면 스퀘어형 등으로 미리 분류하여, 상악 트레이의 크기를 미리 분류된 크기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형태 값은 예시로 적용했을 뿐 사용자 설정에 의해 변경 가능하며, 형태 분류도 기준 값을 설정하여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6, the edentulous impression taking device 1 selects the shape of the maxillary tray u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anine Prominences of the maxilla (A1)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Maxillary Tuberosities on both sides (B1).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maxillary tray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ratio value (A1/B1) divid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anine prominences of the maxilla (A1) by the distance between the maxillary tuberosities on both sides (B1). For example, depending on the ratio value (A1/B1), if A1/B1≤0.46mm, it is tapered, if 0.46mm<A1/B1<0.68mm, it is oval, if 0.68mm≤A1/B1, it is square, etc. By sorting, the size of the maxillary tray can be selected from among the pre-sorted sizes. The shape value is only applied as an example and can be changed by user settings, and the shape classification can also be changed in various ways by setting a standard valu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악 트레이의 형태 선택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selecting the shape of a lower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하악의 양측 Canine Prominence 간 거리(A2)와 양측 Retromolar Pad Mesial 간 거리(B2)를 이용하여 하악 트레이의 형태를 선택한다. 이때, 하악의 양측 Canine Prominence 간 거리(A2)를 양측 Retromolar Pad Mesial 간 거리(B2)로 나눈 비율 값(A2/B2)에 따라 하악 트레이의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율 값(A2/B2)에 따라, A2/B2≤0.48mm이면 테이퍼형으로, 0.48mm<A2/B2<0.63mm이면 타원형으로, 0.63mm≤A2/B2이면 스퀘어형으로 미리 분류하여, 하악 트레이의 크기를 미리 분류된 크기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형태 값은 예시로 적용했을 뿐 사용자 설정에 의해 변경 가능하며, 형태 분류도 기준 값을 설정하여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7, the edentulous impression taking device 1 selects the shape of the mandibular tray u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anine prominences on both sides of the mandible (A2)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retromolar pad mesials on both sides (B2).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mandibular tray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ratio value (A2/B2) divid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anine prominences of the mandible (A2) by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retromolar pad mesials (B2).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ratio value (A2/B2), if A2/B2≤0.48mm, it is pre-classified as tapered, if 0.48mm<A2/B2<0.63mm, as oval, and if 0.63mm≤A2/B2, as square. Therefore, the size of the mandibular tray can be selected from among pre-classified sizes. The shape value is only applied as an example and can be changed by user settings, and the shape classification can also be changed in various ways by setting a standard valu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선택된 상악 트레이 및 하악 트레이 형태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8 is a diagram illustrating examples of the shapes of the upper and lower trays sel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상악 및 하악의 트레이가 상악 및 하악의 악궁 형태에 따라 테이퍼형, 타원형, 스퀘어형 등으로 선택할 수 있다. 상악 및 하악 트레이의 형태 선택 예는 도 6 및 도 7을 참조로 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Referring to FIGS. 1 and 8 , the edentulous impression taking device 1 may have trays for the upper and lower jaw in a tapered, oval, or square shape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arches. Examples of selecting the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trays ar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합제 선택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electing an occlusal ag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환자의 악궁 형태 및 수직고경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악 교합제(90-1) 및 하악 교합제(90-2)를 선택한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9, the edentulous impression taking device 1 selects the maxillary occlusal agent 90-1 and the mandibular occlusal agent 90-2 in consid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patient's arch shape and vertical dimension. .

상악 교합제(90-1)는 베이스(910-2) 및 베이스(910-2)의 상부 전체에 형성되는 교합부(920-2)로 구성되어 교합부(920-2)의 높이가 조절되며, 결착부를 통해 상악 트레이와 결합된다. 교합부(920-2)의 소재는 무른 성질을 가진 소재, 연화성 소재, 열가소성 소재 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왁스(Wax)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maxillary occlusal device (90-1) consists of a base (910-2) and an occlusal portion (920-2) formed on the entire upper part of the base (910-2), and the height of the occlusal portion (920-2) is adjusted. , It is connected to the maxillary tray through the attachment part. The material of the articulation portion 920-2 may be a soft material, a softenable material, a thermoplastic material, etc., and may be, for example, wax,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하악 교합제(90-2)는 베이스(910-1) 및 베이스(910-1)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교합 마커(920-1)로 구성되어 교합 마커(920-1)의 높이가 조절되며 결착부를 통해 하악 트레이와 결합된다.The mandibular occlusal agent 90-2 is composed of a base 910-1 and a plurality of occlusal markers 920-1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base 910-1. The height is adjusted and connected to the mandibular tray through the attachment part.

하악 교합제(90-2)의 경우, 베이스(910-1)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복수의 교합 마커(920-1)를 이용하여 하악 교합제(90-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데, 복수의 교합 마커(920-1)는 콘, 원기둥, 다각형 블록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교합 마커는 연화성 소재, 열가소성 소재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case of the mandibular articulator 90-2, the height of the mandibular articulator 90-2 can be adjusted using a plurality of occlusal markers 920-1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base 910-1. The plurality of occlusal markers 920-1 may be in the form of a cone, cylinder, or polygonal block. Additionally, the occlusal marker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a softenable material or a thermoplastic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하악의 베이스(910-1)는 레진 등의 단단한 성질을 가진 소재로 제작될 수 있고, 상악의 베이스(910-2)도 레진 등의 단단한 성질을 가진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Meanwhile, the lower jaw base 910-1 may be made of a hard material such as resin, and the upper jaw base 910-2 may also be made of a hard material such as resin.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examined focusing on its embodiment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perspe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5)

형태 및 크기가 상이한 복수의 기성 트레이를 획득하는 단계;
무치악 환자의 스캔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환자의 스캔 데이터에 복수의 랜드마크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복수의 랜드마크를 이용하여 환자의 악궁 형태 및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기성 트레이 중에서, 상기 판단된 악궁 형태 및 크기에 대응되는 기성 트레이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 인상 채득 방법.
Obtaining a plurality of ready-made trays of different shapes and sizes;
Obtaining scan data of an edentulous patient;
Setting a plurality of landmarks in the patient's scan data;
determining the shape and size of the patient's dental arch using the plurality of landmarks set; and
selecting a ready-made tray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arch shape and size from among the plurality of ready-made trays;
An edentulous impression-taking method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랜드마크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악 트레이의 크기 선택을 위해 상악의 양측 Maxillary Tuberosity를 랜드마크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etting the landmark includes
An edentulous impression-taking method characterized by setting the Maxillary Tuberosities on both sides of the maxilla as landmarks to select the size of the maxillary tr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랜드마크를 설정하는 단계는
하악 트레이의 크기 선택을 위해 하악의 양측 Retromolar Pad Mesial을 랜드마크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etting the landmark includes
An edentulous impression-taking method characterized by setting the retromolar pad mesial on both sides of the mandible as landmarks to select the size of the mandibular tray.
제 1 항에 있어서, 환자의 악궁 형태 및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악의 양측 Maxillary Tuberosity 간 거리를 계산하여 상악의 악궁 크기를 판단하고,
기성 트레이를 선택하는 단계는
계산된 상악의 양측 Maxillary Tuberosity 간 거리와 미리 설정된 크기 값을 비교하여 상악 트레이의 크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shape and size of the patient's dental arch includes
Determine the size of the maxillary arch by calcula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Maxillary Tuberosities on both sides of the maxilla.
Steps for choosing a ready-made tray
An edentulous impression-taking method characterized by selecting the size of the maxillary tray by comparing the calculated distance between the maxillary tuberosities on both sides of the maxilla and a preset size value.
제 1 항에 있어서, 환자의 악궁 형태 및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는
하악의 양측 Retromolar Pad Mesial 간 거리를 계산하여 하악의 악궁 크기를 판단하고,
기성 트레이를 선택하는 단계는
계산된 하악의 양측 Retromolar Pad Mesial 간 거리와 미리 설정된 크기 값을 비교하여 하악 트레이의 크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shape and size of the patient's dental arch includes
Determine the size of the mandibular arch by calcula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retromolar pad mesial on both sides of the mandible.
Steps for choosing a ready-made tray
An edentulous impression-taking method characterized by selecting the size of the mandible tray by comparing the calculated distance between the retromolar pad mesials on both sides of the mandible and a preset size valu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랜드마크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악 트레이의 형태 선택을 위해 상악의 양측 Canine Prominence와 양측 Maxillary Tuberosity를 랜드마크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etting the landmark includes
An edentulous impression-taking method characterized by setting the Canine Prominence on both sides of the maxilla and Maxillary Tuberosity on both sides as landmarks to select the shape of the maxillary tr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랜드마크를 설정하는 단계는
하악 트레이의 형태 선택을 위해 하악의 양측 Canine Prominence와 양측 Retromolar Pad Mesial를 랜드마크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etting the landmark includes
An edentulous impression-taking method characterized by setting the Canine Prominence on both sides of the mandible and the Retromolar Pad Mesial on both sides as landmarks to select the shape of the mandibular tray.
제 1 항에 있어서, 환자의 악궁 형태 및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악의 양측 Canine Prominence 간 거리를 양측 Maxillary Tuberosity 간 거리로 나눈 비율 값을 계산하여 상악의 악궁 형태를 판단하고,
기성 트레이를 선택하는 단계는
계산한 비율 값과 미리 설정된 크기 값을 비교하여 상악 트레이의 형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shape and size of the patient's dental arch includes
The arch shape of the maxilla is determined by calculating the ratio value divid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Canine Prominences on both sides of the maxilla by the distance between the Maxillary Tuberosities on both sides.
Steps for choosing a ready-made tray
An edentulous impression-making method characterized by selecting the shape of the maxillary tray by comparing the calculated ratio value and a preset size value.
제 8 항에 있어서, 기성 트레이를 선택하는 단계는
계산한 비율 값이 제1 값보다 작으면 상악 트레이의 형태를 테이퍼형으로, 계산한 비율 값이 제1 값보다 크고 제2 값보다 작으면 상악 트레이의 형태를 타원형으로, 계산한 비율 값이 제2 값보다 크면 상악 트레이의 형태를 스퀘어형으로 미리 분류하여, 상악 트레이의 크기를 미리 분류된 크기 중에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selecting a ready-made tray comprises
If the calculated ratio value is smaller than the first value, the shape of the maxillary tray is tapered. If the calculated ratio value is greater than the first value and smaller than the second value, the shape of the maxillary tray is set to elliptical. The calculated ratio value is set to elliptical. If the value is greater than 2, the edentulous impression-taking metho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f the maxillary tray is pre-classified as square, and the size of the maxillary tray is selected from the pre-classified sizes.
제 1 항에 있어서, 환자의 악궁 형태 및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는
하악의 양측 Canine Prominence 간 거리를 양측 Retromolar Pad Mesial 간 거리로 나눈 비율 값을 계산하여 하악의 악궁 형태를 판단하고,
기성 트레이를 선택하는 단계는
계산한 비율 값과 미리 설정된 크기 값을 비교하여 하악 트레이의 형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shape and size of the patient's dental arch includes
The arch shape of the mandible is determined by calculating the ratio value divid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anine Prominences of the mandible by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Retromolar Pad Mesials,
Steps for choosing a ready-made tray
An edentulous impression-making method characterized by selecting the shape of the mandibular tray by comparing the calculated ratio value and a preset size value.
제 10 항에 있어서, 기성 트레이를 선택하는 단계는
계산한 비율 값이 제3 값보다 작으면 하악 트레이의 형태를 테이퍼형으로, 계산한 비율 값이 제3 값보다 크고 제4 값보다 작으면 하악 트레이의 형태를 타원형으로, 계산한 비율 값이 제4 값보다 크면 하악 트레이의 형태를 스퀘어형으로 미리 분류하여, 하악 트레이의 크기를 미리 분류된 크기 중에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selecting a ready-made tray comprises
If the calculated ratio value is less than the third value, the shape of the mandibular tray is set to tapered. If the calculated ratio value is greater than the third value and smaller than the fourth value, the shape of the mandibular tray is set to oval. The calculated ratio value is set to elliptical. If the value is greater than 4, the edentulous impression-taking metho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f the mandibular tray is pre-classified as square, and the size of the mandibular tray is selected from among the pre-classified sizes.
제 1 항에 있어서,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은
선택된 기성 트레이를 이용하여 환자의 인상을 채득하는 단계;
환자의 수직고경 높이에 대응되는 상악 교합제 및 하악 교합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상악 트레이와 상악 교합제, 선택된 하악 트레이와 하악 교합제를 각각 결합하는 단계;
상기 결합된 트레이 및 교합제를 이용하여 환자의 하악운동을 스캔함에 따라 하악운동 스캔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환자의 구강 내에서 측정되는 교합정보를 기초로 교합 스캔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교합 스캔 데이터와 하악운동 스캔 데이터를 정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edentulous impression taking method is
Taking an impression of the patient using a selected ready-made tray;
Selecting a maxillary occlusal agent and a mandibular occlusal agent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dimension height of the patient;
combining the selected maxillary tray and the maxillary articulator and the selected mandibular tray and the mandibular articulator;
acquiring mandibular movement scan data by scanning the patient's mandibular movement using the combined tray and articulator;
Obtaining occlusion scan data based on occlusion information measured in the patient's mouth; and
Registering the occlusion scan data and the mandibular movement scan data;
An edentulous impression-tak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무치악 환자의 스캔 데이터와, 형태 및 크기가 상이한 복수의 기성 트레이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
상기 환자의 스캔 데이터에 복수의 랜드마크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복수의 랜드마크를 이용하여 환자의 악궁 형태 및 크기를 판단한 후, 복수의 기성 트레이 중에서, 상기 판단된 악궁 형태 및 크기에 대응되는 기성 트레이를 선택하는 제어부; 및
선택된 기성 트레이를 표시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
a data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scan data of an edentulous patient and a plurality of ready-made trays of different shapes and sizes;
After setting a plurality of landmarks in the scan data of the patient and determining the shape and size of the patient's dental arch using the plurality of landmarks, from among the plurality of ready-made trays, a ready-made tray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arch shape and size is selected. A control unit that selects a tray; and
an output unit displaying the selected ready-made tray;
An edentulous impression-taking device comprising:
환자의 악궁 크기 및 형태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태를 가지며 소정의 결착부를 포함하는 상악 트레이 및 하악 트레이; 및
베이스 및 베이스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교합 마커로 구성되어 교합 마커의 높이가 조절되며 상기 결착부를 통해 하악 트레이와 결합되는 하악 교합제; 및
베이스 및 베이스의 상부 전체에 형성되는 교합부로 구성되어 상기 교합부의 높이가 조절되며 상기 결착부를 통해 상악 트레이와 결합되는 상악 교합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복합체.
An upper tray and a lower tray having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patient's arch and including a predetermined attachment portion; and
A mandibular articulator consisting of a base and an occlusal marker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bas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occlusal marker and coupled to the mandibular tray through the coupling portion; and
An upper articulator consisting of a base and an articulating part formed on the entire upper part of the bas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articulating part and coupled to the upper tray through the coupling part;
A tray complex comprising:
제 14 항에 있어서, 상악 트레이 및 하악 트레이는
상악 및 하악의 스캔 데이터에 각각 설정된 복수의 랜드마크를 이용한 거리 값을 통해 그 크기 및 형태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복합체.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are
A tray complex whose size and shape are determined through distance values using a plurality of landmarks respectively set in the scan data of the upper and lower jaw.
KR1020210101499A 2021-08-02 2021-08-02 Method and apparatus for taking edentulous impressions and tray complex therefor KR1025977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499A KR102597703B1 (en) 2021-08-02 2021-08-02 Method and apparatus for taking edentulous impressions and tray complex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499A KR102597703B1 (en) 2021-08-02 2021-08-02 Method and apparatus for taking edentulous impressions and tray complex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063A KR20230020063A (en) 2023-02-10
KR102597703B1 true KR102597703B1 (en) 2023-11-06

Family

ID=85223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1499A KR102597703B1 (en) 2021-08-02 2021-08-02 Method and apparatus for taking edentulous impressions and tray complex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70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44415A1 (en) 2010-04-01 2011-10-06 Mark Batesole Method and system for orthodontic diagnosi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822B1 (en) * 2002-07-22 2006-05-11 최대균 Tooth Impression Acquision Tray for Non-Tooth Patient
KR20070061979A (en) * 2005-12-12 2007-06-15 최대균 Preliminary impression trays for korean edentulous mandibl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200017565A (en) * 2018-07-23 2020-02-19 이기봉 Denture tray using 3d printing technic and denture manufacturing mehtod therefor
KR102226949B1 (en) 2019-01-21 2021-03-17 남관우 Impression tray set and dentur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reof
KR102329967B1 (en) * 2020-01-17 2021-11-2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orthodontic mod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44415A1 (en) 2010-04-01 2011-10-06 Mark Batesole Method and system for orthodontic diagnos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063A (en) 2023-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99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denture
Wesemann et al. Accuracy and efficiency of full-arch digitalization and 3D printing: A comparison between desktop model scanners, an intraoral scanner, a CBCT model scan, and stereolithographic 3D printing.
Albdour et al. A novel in vivo method to evaluate trueness of digital impressions
DeLong et al. Comparing maximum intercuspal contacts of virtual dental patients and mounted dental casts
EP2861180B1 (en) Method for preparing a partial or full dental prosthesis
WO2018112724A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complete denture based on data mining
CN113412098B (en) Digital three-dimensional tooth model dental system
US89986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denture
RU2012139477A (en) DYNAMIC VIRTUAL ARTICULATOR
CN105596106B (en) A kind of method for being segmented modulus and complete dental arch model being gathered by computer registration combination
WO20161548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jaw position relationship
KR10259770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aking edentulous impressions and tray complex therefor
KR102538636B1 (en) Method for taking edentulous impressions and tray complex therefor
Choi et al. Evaluation of accuracy of 3-dimensional printed dental models in reproducing intermaxillary relational measurements: Based on inter-operator differences
Meneghello et al. An integrated methodology for the functional design of dental prosthesis
JPH09238959A (en) Making of complete denture
JPH09238960A (en) Making of complete denture
KR102388411B1 (en) Method for fabricating tray, data transfer method and simulation apparatus therefor
Edher Virtual interocclusal registration using intra-oral scanning
Reyes Clinical application of digitalization of occlusal contacts with dental scanner
방정환 Three-dimensional accuracy of edentulous jaw scan
Santini Digital Dentistry
KR20220115661A (en) Method for fabricating digital denture and apparatus thereof
Bone Occlusal Harmony of Hand Articulated Digitally Mastered Definitive Casts Mounted in Maximal Intercuspal Position
Nida Clinical Evaluation of Occlusal Load Dissipation on Implant Supported Restorations and Optimization Using T-Sc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