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1979A - Preliminary impression trays for korean edentulous mandibl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Preliminary impression trays for korean edentulous mandibl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61979A KR20070061979A KR1020050121553A KR20050121553A KR20070061979A KR 20070061979 A KR20070061979 A KR 20070061979A KR 1020050121553 A KR1020050121553 A KR 1020050121553A KR 20050121553 A KR20050121553 A KR 20050121553A KR 20070061979 A KR20070061979 A KR 2007006197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y
- width
- alveolar
- impression
- tray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06—Impression tray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측정을 위한 연구 모델을 나타낸 사진이고, 1 is a photograph showing a research model for measurement,
도 2는 하악 무치악궁 모델(mandibular edentulous model)의 측정점(measuring point) 및 참고선(reference line)을 나타낸 사진이고, 2 is a photograph showing a measuring point and a reference line of the mandibular edentulous model.
1: 중앙선(mid-line), 2: 최후방선(the most posterior line),1: mid-line, 2: the most posterior line,
3: 후구치판의 절반선(the half line of retromolar pad), 3: the half line of retromolar pad,
4: 4/4 참고선, 5: 3/4 참고선, 4: 4/4 reference line, 5: 3/4 reference line,
6: 2/4 참고선, 7: 1/4 참고선, 6: 2/4 reference line, 7: 1/4 reference line,
8. 최전방선(the most anterior line)8. the most anterior line
도 3a 및 도 3b는 3차원 계측기를 나타낸 사진이고, 3a and 3b is a photograph showing a three-dimensional measuring instrument,
도 4는 참고선을 나타낸 사진이고, 4 is a photograph showing a reference line,
도 5는 전후거리 측정 항목을 나타낸 사진이고, 5 is a photograph showing a front and rear distance measurement item,
1: 좌측-우측 협측 변연간의 폭경, 2: 좌측-우측 치조정부간의 폭경,1: width between left-right buccal margin, 2: width between left-right tooth adjustment,
3: 좌측-우측 구개 변연간의 폭경, 4: 치조정부-구개 변연간의 폭경,3: width between left and right palatal margins, 4: width between palatal and palatal margins,
5: 치조정부-협측 변연간의 폭경, 6: 치조정부-협측 변연간의 높이,5: width between chisel adjustment part and buccal margin, 6: height between chief adjustment part and buccal margin,
7: 치조정부-구개 변연간의 높이7: height between palatal and palatal margins
도 6은 수평면, 시상면, 전두면에서 각 측정치를 나타낸 사진이고, Figure 6 is a photograph showing each measurement in the horizontal plane, sagittal plane, frontal plane,
도 7은 수평면에서 전후의 분류를 나타낸 단면 및 측정치이고,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lassification before and after in the horizontal plane,
ANOVA : 임상 형태에 따른 치조제 요소의 비교, ANOVA: comparison of alveolar components according to clinical form,
사후분석(Duncan's test) : 임상 형태에 따른 ANOVA 분석에서 유효차를 나타내는 치조제 요소의 다양한 비교Duncan's test: Various comparisons of alveolar components showing effective differences in ANOVA analysis according to clinical form
도 8a 내지 도 8d는 4개의 악궁형의 6차 다항식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8A to 8D are graphs showing sixth order polynomials of four arches,
도 9는 시상면에서 구개의 분류를 나타내기 위한 기준점이고, 9 is a reference point for showing the classification of the palate in the sagittal plane,
도 10은 전두면에서 구개 궁형 형태의 분류를 위한 기준점이고, 10 is a reference point for the classification of the palatal arch form in the frontal plane,
도 11은 순측 소대(labial frenum)(좌측) 및 협측 소대(buccal frenum)(우측)의 측정의 기준점이고, 11 is a reference point for measurement of labial frenum (left) and buccal frenum (right),
도 12는 시상면에서 구개깊이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12 is a graph showing the palatal depth in the sagittal plane,
도 13a 및 도 13b는 각 크기 그룹에서 치조제 및 변연 폭경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13A and 13B are graphs showing alveolar and margin widths in each size group,
도 14는 무치악궁의 각 측정을 위한 3차원 좌표축이고, 14 is a three-dimensional coordinate axis for the angle measurement of the periodontal arch,
도 15는 무치악궁의 철사 구조틀(wire framework) 구조이고, 15 is a wire framework structure of the periodontal arch,
도 16은 완성된 구조틀을 기초로 최종적으로 디자인된 신규 트레이 구조이고, 16 is a new tray structure finally designed based on the completed framework,
도 17a 내지 도 17d는 신규 트레이와 기존 트레이의 전체 계측치에서 길이 측정치 및 두께 측정치의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17A to 17D are graphs showing the distribution of the length measurement and the thickness measurement in all measurement values of the new tray and the existing tray,
도 18a 및 도 18b는 신규 트레이와 기존 트레이의 두께에 대한 부위별 paired sample t-test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18A and 18B are graphs showing paired sample t-test results for respective portions of thicknesses of new trays and existing trays.
도 19a 및 도 19b는 총 51개의 표본 중 2 종류 트레이에서 트레이의 크기별 사용 횟수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19A and 19B are graphs showing the number of times the trays are used in two trays out of 51 samples.
도 20a 및 도 20b는 신개발 트레이를 이용안 임상에서의 인상 채득(길이 및 두께)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20A and 20B are graphs showing impression taking (length and thickness) in clinical trials using a newly developed tray,
도 21a 및 도 21b는 AutoCAD 상의 3차원상의 점 및 이들의 부드러운 곡선(spline) 점을 나타낸 도식도이고, 21A and 21B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three-dimensional points on AutoCAD and their smooth spline points;
도 22a 내지 도 22c는 AutoCAD 상의 무치악궁의 치조제를 나타낸 도식도이고, 22a to 22c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alveolar arch of the arch of arch in AutoCAD,
도 23a 내지 도 23c는 AutoCAD 상의 무치악궁과 트레이 내면 사이의 4 ㎜의 간격을 유지시킨 경우의 도식도이고, 23A- 23C are schematic diagrams in the case where a 4 mm gap is maintained between the dental arch and the tray inner surface in AutoCAD,
도 24a 내지 도 24c는 AutoCAD 상의 무치악궁 내부 표면의 인상체 트레이의 모식도이고, 24A- 24C are schematic views of impression tray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rches of arch in AutoCAD,
도 25는 Cimatron90 system에 의하여 제작된 트레이 모델의 완성도이고, 25 is a complete view of a tray model manufactured by the Cimatron90 system,
도 26은 완성된 한국형 하악 예비인상용 트레이 사진이고, Figure 26 is a completed Korean mandible preliminary tray tray picture,
도 27a 내지 도 27c는 개발된 한국형 하악 트레이의 형태학적 특성을 나타낸 사진이고, 27A to 27C are photographs showing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ed Korean lower jaw tray,
도 28은 비교를 위하여 사용된 기존의 무치악 트레이의 사진이고, 28 is a photograph of a conventional edentulous tray used for comparison,
도 29는 신개발 트레이의 모형을 나타낸 사진이고, 29 is a photograph showing a model of a newly developed tray,
도 30a 내지 도 30f는 한국인 통계치 및 종래의 트레이의 측정치(좌측 및 우측 변연간의 변연 폭경)간의 협측 변연 폭경의 비교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30A to 30F are graphs showing comparisons of buccal margin margins between Korean statistics and conventional tray measurements (limbic margins between the left and right margins),
도 31a 내지 도 31f는 한국인 통계치 및 신규 트레이의 측정치(좌측 및 우측 변연간의 변연 폭경)간의 협측 변연 폭경의 비교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31A to 31F are graphs showing the comparison of the buccal margin margin between Korean statistics and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new tray (the margin width between the left and right margins),
도 32a 및 도 32b는 총 전-후 궁형 길이 및 최대 궁형 폭경의 비교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32A and 32B are graphs showing a comparison of total pre-post arch length and maximum arch width,
도 33은 길이/폭경 비율의 비교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33 is a graph showing a comparison of length / width ratios;
도 34는 종래의 트레이 및 신규 트레이간의 인상체 두께의 비교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34 is a graph showing a comparison of impression thickness between a conventional tray and a new tray;
도 35는 종래의 트레이 및 신규 트레이간의 인상체 두께의 비율의 비교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35 is a graph showing a comparison of the ratios of the impression thicknesses between the conventional tray and the new tray;
도 36a 및 도 36b는 인상체 두께의 전체 면적의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36A and 36B are graphs showing the distribution of the total area of the impression body thickness,
도 37a 및 도 37b는 인상체 두께의 좌측 및 우측 평균의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37A and 37B are graphs showing the distribution of the left and right averages of the impression thickness,
도 38은 인상체 두께의 전체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38 is a graph showing an overall distribution of impression body thicknesses;
도 39a 내지 도 39d는 인상체 두께의 전체 면적(도 39a), 협측 면적(도 39b), 구개 면적(도 39c), 및 치조정부 면적(도 39d)의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39A to 39D are graphs showing the distribution of the total area ( FIG. 39A ), buccal area ( FIG. 39B ), palatal area ( FIG. 39C ), and tooth adjuster area ( FIG. 39D ) of the impression thickness.
본 발명은 무치악 인상채득용 트레이, 이의 제작방법 및 피검자의 치아인상을 채득하기 위한 트레이쌍의 선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 부위에서 수직높이(㎜), 후방 부위에서 수직높이(㎜), B3/4 부위에서 수평 폭경(㎜) 및 중앙선에서 시상 길이(㎜)가 특정한 규격으로 이루어진 트레이 군중에서 선택되는 상악 무치악 인상채득용 트레이, 및 1/4 협측폭(㎜), 2/4 협측폭(㎜), 3/4 협측폭(㎜) 및 4/4 협측폭(㎜) 및 2/4 설측폭(㎜), 3/4 설측폭(㎜) 및 4/4 설측폭(㎜)이 특정한 규격으로 이루어진 트레이 군중에서 선택되는 하악 무치악 인상채득용 트레이, 상기 상악 또는 무치악 인상채득용 트레이의 제작방법 및 상기 제작된 트레이의 피검자에 적합한 트레이쌍을 선택하는 피검자의 치아인상을 채득하기 위한 트레이쌍의 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dentulous impression taking tray,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method of selecting a pair of trays for acquiring a dental impression of a subject, and more particularly, a vertical height (mm) at a front part and a vertical height (mm) at a rear part. ), A tray for maxillary gingival impression taken from a tray crowd consisting of a horizontal width (mm) at the B3 / 4 and a sagittal length (mm) at the centerline, and 1/4 buccal width (mm), 2/4 Buccal width (mm), 3/4 buccal width (mm) and 4/4 buccal width (mm) and 2/4 lingual width (mm), 3/4 lingual width (mm) and 4/4 lingual width (mm) To acquire a dental impression of a subject selecting a tray pair for a mandibular edentulous impression acquisition tray selected from a crowd of trays of this particular standar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maxillary or edentulous impression acquisition tray, and a pair of trays suitable for the subject of the manufactured tray. To select the tray pair .
성공적인 총의치 치료를 위해서는 구강내 상황에 맞는 치료 계획, 정확한 인상 그리고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보철물과 지속적인 예후 관찰 등이 필요하다. 총의치 제작에 있어서 인상(impression)의 중요성에 대하여서는 누구나 인정하는 사실이다. 인상은 목적에 따라, 단순한 구강내 해부학적 구조물의 음형을 채득하는 단순한 채득(impression taking)과 기술자의 의도에 의한 치악 조직에 대한 인상을 의미하는 만들어지는 채득(impression making)으로 분류할 수 있다(Hicky, J.C. et. al., BOUCHER'S Prosthodontic Treatment for dental Patients, St. Louis, The C.V. Mosby Co., 1975; Bernard Levin, Impression for Complete Dentures, illinois, Quintessence Publishing Inc., Chicago, 1983; 정재헌, 총의치학, Korea, 靑海社, 1993; Minagi, S. et. al., Int. J. Prosthod., 1: 149-152, 1988). 일반적으로 인상이란 단순한 채득이 아닌 기술자의 의도에 의해 만들어지는 채득을 가리킨다.Successful total denture treatment requires oral treatment planning, accurate impressions, functional and aesthetically pleasing prostheses, and ongoing prognosis. Everyone acknowledges the importance of impressions in making dentures. Impressions can be categorized as simple impression taking to obtain the sound form of an intraoral anatomical structure, and impression making to impress the dental tissue by the intention of the technician, depending on the purpose ( Hicky, JC et al, BOUCHER'S Prosthodontic Treatment for dental Patients, St. Louis, The CV Mosby Co., 1975;.. Bernard Levin, Impression for Complete dentures, illinois, Quintessence Publishing Inc., Chicago, 1983; Jeong Jae-heon, dentures school , South Korea, 1993; Minagi, S. et.al. , Int. J. Prosthod ., 1 : 149-152, 1988). In general, impression refers to the acquisition made by the intention of the technician, not just the acquisition.
또한, 인상은 무치악의 구강에서 의치의 지지, 안정, 그리고 변연 봉쇄를 위해서 채득하는 음형기록으로서, 치료 초기에 진단 등을 목적으로 하는 예비인상과, 최종 보철물 제작을 위한 최종인상으로 나누어지며, 전체 치료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최종인상을 정확히 채득하기 위해서는 환자 개개인에 맞는 개인 트레이를 정확하게 만드는 것이 중요한데, 이러한 개인 트레이는 예비인상에 의한 연구모형 상에서 제작된다. 의치상의 확대 여부는 주로 예비인상에서 결정되므로, 정확한 예비인상은 의치상으로 이용가능한 모든 해부학적 구조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의치상의 변연보다도 약간 연장되어 나와야 한다. 만일 예비인상에서 의치상에 포함되어야 하는 해부학적인 구조물이 모두 채득되지 않는다면 이로부터 제작된 연구모형 상에서 정확한 개인 트레이를 제작할 수 없으며, 이는 총의치 최종인상의 실패를 의미한다(Levin, B., illinois, Quintessence Publishing Inc., Chicago, 1983). 따라서, 총의치를 위한 예비인상의 좋고 나쁨은 총의치 제작의 성패를 좌 우한다고 해도 과장이 아니며, 이와 함께 예비인상에 의하여 제작된 연구용 모형의 정확성 또한 대단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하고 훌륭한 예비인상을 채득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구강해부학에 대한 지식습득과 기술자의 기술도 중요하지만 적절한 트레이의 선택, 적절한 인상재의 선택 및 혼합, 환자 구강상태의 숙지, 기술자의 숙련도 등이 요구된다(Hichy, J.C. et. al., Boucher's Prosthodontic Treatment for Edenturulous Patients, 10th ed., The C.V. Mosby Co., Louis, 176-181, 1990; Bernard Levin, Impression for Complete dentures. Illinois, Quintessence Publishing Inc., Chicago, 1983; 정재헌, 총의치학, 제1판, 청해사, 138-141, 1993).In addition, the impression is a sound record obtained for supporting, stabilizing, and blocking the dentition in the dental cavity. It is divided into a preliminary impression for the diagnosis and the final impression for the final prosthesis.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reatment In order to accurately obtain the final impression, it is important to make a personal tray that is suitable for each patient. The individual tray is manufactured on a research model based on a preliminary impression. Since the enlargement of the denture base is mainly determined from the preliminary impression, the correct preliminary impression should include not only all the anatomical structures available for the denture base but also extend slightly beyond the margins of the denture base. If all the anatomical structures that are to be included in the denture are not obtained from the preliminary impression, then an accurate individual tray cannot be produced from the study model produced therefrom, indicating a failure of the final denture impression (Levin, B., illinois, Quintessence). Publishing Inc. , Chicago, 1983). Therefore, the good and bad of preliminary impressions for the dentures are not exaggerated even if they are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production of the dentures, and the accuracy of the research model produced by the preliminary impressions is also very important. Therefore, in order to obtain accurate and excellent preliminary impressions, knowledge of oral anatomy and technique of technicians are fundamentally important, but selection of appropriate tray, selection and mixing of appropriate impression materials, knowledge of patient oral condition, and skill of technician are required. (Hichy, JC et. Al ., Boucher's Prosthodontic Treatment for Edenturulous Patients , 10th ed., The CV Mosby Co., Louis, 176-181, 1990; Bernard Levin, Impression for Complete dentures.Illinois , Quintessence Publishing Inc., Chicago, 1983; Jeong Jae-heon, dentures studies, first edition, listening Inc., 138-141, 1993).
보철물 제작에 있어서 인상은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며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이렇게 중요한 인상의 정확도는 여러 연구를 통해 인상재의 두께(Eames, W.B. et. al., J. Prosthet. Dent., 41: 304-307, 1979; Phillips, R.W., J. Ohio Dent. Asso., 45: 236-308, 1968; Asgar, K., Dent. Clin. North Am., 15: 81, 1971; Reisbick, M.H. and Matyas, J., J. Prosthet. Dent., 33: 67-72, 1975; Rudd, K.D. et. al., J. Prosthet. Dent., 22: 294-300, 1969; Bomberg, T.J. et. al., J. Prosthet. Dent., 54: 170-172, 1985; David, A.F., et. al., Dent. Clin. North Am., 40: 39-45, 1996), 트레이의 형태(Woodward, J.D. et. al., J. Prosthet. Dent., 53: 347-350, 1985; Arturo, J.M. et. al., J. Prosthet. Dent., 54: 383-388, 1985; Ogden, A.R. et. al., Br. Dent. J., 176: 303-309, 1994; Valderhaug, J. and Floystrand, F., J. Prosthet. Dent., 52: 514-517, 1984; Joseph, V.M. and Joseph, J.D., J. Prosthet. Dent., 33: 67-72, 1975) 및 적합도(송대성 등, 대한치과보철학회지, 27: 131-141, 1989; Shillingberg, H.T. et. al., J. Am. Dent. Assoc., 100: 696-699, 1980) 등의 요인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Wang 등(Wang, H.Y. et. al., J. Prosthet. Dent., 75: 302-308, 1975)은 인상재의 종류와 트레이의 종류에 따른 정밀도에 관하여 보고하였으며, 트레이의 적합도에 관하여 Eames 등(Eames, W.B. et. al., J. Prosthet. Dent., 41: 304-307, 1979)과 Phillips(Phillips, R.W., J. Ohio Dent. Asso., 45: 236-308, 1968)는 고무인상재에서 트레이와 내면과의 두께가 2 ㎜가 적절하다고 하였고, Asgar(Asgar, K., Dent. Clin. North Ame., 15: 81, 1971)는 3~4 ㎜, Reisbick 등(Reisbick, M.H. and Matyas, J., J. Prosthet. Dent., 33: 67-72, 1975)은 2~4 ㎜가 적절하다고 보고하였다. 수교성 콜로이드 인상재에 관하여서는 Rudd 등(Rudd, K.D. et. al., J. Prosthet. Dent., 22: 294-300, 1969)은 3~6 ㎜의 두께를, David 등(David, A.F. and Lyndon, F.C., Dent. Clin. North Ame., 40: 39-45, 1996)은 2~3 ㎜ 두께를 유지하는 것이 인상시 적절하다고 하였다.Impression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manufacture of prosthetics and much research has been done on this. The accuracy of this important impression can be determined by several studies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impression material (Eames, WB et. Al., J. Prosthet. Dent ., 41 : 304-307, 1979; Phillips, RW, J. Ohio Dent. Asso ., 45 : 236-308, 1968; Asgar, K., Dent. Clin.North Am. , 15 : 81, 1971; Reisbick, MH and Matyas, J., J. Prosthet.Dent. , 33 : 67-72, 1975; Rudd, KD et al., J. Prosthet. Dent ., 22 : 294-300, 1969; Bomberg, TJ et. Al., J. Prosthet.Dent ., 54 : 170-172, 1985; David, AF, et.al., Dent.Clin.North Am ., 40 : 39-45, 1996), in the form of trays (Woodward, JD et. al., J. Prosthet.Dent ., 53 : 347-350, 1985; Arturo , JM et al, J. Prosthet Dent , 54:.... 383-388, 1985; Ogden, AR et al, Br Dent J, 176:..... 303-309, 1994; Valderhaug, J. and Floystrand, F., J. Prosthet Dent, 52:.... 514-517, 1984; Joseph, VM and Joseph, JD, J. Prosthet Dent, 33: 67-72, 1975) and goodness of fit (, for such songdaeseong Journal of Advanced, 27: 131-141, 1989; Shillingberg , HT et al, J. Am Dent Assoc, 100:..... 696-699, 1980) , etc. It is known that many recipients affected by the factors. Specifically, Wang et al. (Wang, HY et. Al., J. Prosthet. Dent. , 75 : 302-308, 1975) reported on the accuracy of the impression material and the type of tray, and on the suitability of the tray. Eames et al . (Eames, WB et. Al ., J. Prosthet. Dent ., 41 : 304-307, 1979) and Phillips (Phillips, RW, J. Ohio Dent. Asso. , 45 : 236-308, 1968). The thickness of the tray and the inner surface of rubber impression material was 2 mm, and Asgar (Asgar, K., Dent. Clin. North Ame ., 15 : 81, 1971) was 3-4 mm, Reisbick et al. (Reisbick, MH) and Matyas, J., J. Prosthet. Dent ., 33 : 67-72, 1975) reported that 2-4 mm is appropriate. Regarding handing colloid impression materials, Rudd et al . (Rudd, KD et. Al ., J. Prosthet. Dent ., 22 : 294-300, 1969) have a thickness of 3 to 6 mm, and David et al . (David, AF and Lyndon). , FC, Dent. Clin.North Ame ., 40 : 39-45, 1996), maintaining a thickness of 2-3 mm is appropriate for the impression.
이와 같이 정확한 예비인상을 채득하기 위한 여러 가지 노력이 있었으나, 이러한 연구들은 주로 인상재 재료 자체, 인상채득 물질, 그리고 트레이에 있어서는 유치악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적절한 인상용 트레이의 사용에 따른 변형 의 가능성에는 거의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Although various efforts have been made to obtain accurate preliminary impressions, these studies have been mainly focused on impression material itself, impression material, and trays, and the possibility of deformation due to the use of appropriate impression trays. Has paid little attention.
또한, 형태학적인 연구로는 일부의 무치악 치조제궁을 중심으로 한 연구(Dean, L.J. et. al., J. Am. Dent. Assoc., 113: 35-40, 1986; Miyake, S. et. al., Nippon Hotetsu Shoka Gakkai Zasshi, 34: 442-452, 1990; Luthra, S.P., J. Prosthet. Dent., 30: 25-28, 1973; Uctasli, S. et. al., J. Oral. Rehabilitation, 24: 164-169, 1997; Esa, K. et. al., J. Prosthet. Dent., 75: 281-284, 1996)를 제외하면 대부분 유치악 치조제궁을 중심으로 한 연구(오유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남종현,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5; 김일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6; 김상철 및 남동양, 대한치과교정학회지, 14: 93-101, 1984; 이영철 및 박영철, 대한치과교정학회지, 17: 279-287, 1987; 남종현 및 이기수, 대한치과교정학회지, 26: 535-564, 1996; 권용철 등, 대한치과교정학회지, 19: 95-105, 1989; Sampson, P.D., Am. J. Orthod., 79: 535-548, 1981; Raberin, M. et. al., Am. J. Orthod. Dentofac. Orthop., 104: 67-72, 1993; Ferrario, V.F. et. al., Archs. Biol., 39: 135-139, 1994; Stanley, B. et. al., Orthod., 68: 29-36, 1998; Joanna, M.B., Br. J. Ortho., 23: 21-28, 1996; Ferrario, V.F. et. al., Er. J. Ortho., 16: 287-294, 1994)가 대부분이다. 구체적으로, Dean 등(Dean, L.J. et. al., J. Am. Dent. Assoc., 113: 35-40, 1986)은 무치악 치조제궁의 구개 형태에 관하여 보고하였으며, Miyake 등(Miyake, S. et. al., Nippon Hotetsu Shoka Gakkai Zasshi, 34: 442-452, 1990)든 치조제의 형태학적인 특징에 관하여 보고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외국의 몇몇 연구(Dean, L.J. et. al., J. Am. Dent. Assoc., 113: 35-40, 1986; Miyake, S. et. al., Nippon Hotetsu Shoka Gakkai Zasshi, 34: 442-452, 1990; Luthra, S.P., J. Prosthet. Dent., 30: 25-28, 1973; Uctasli, S. et. al., J. Oral. Rehabilitation, 24: 164-169, 1997; Esa, K. et. al., J. Prosthet. Dent., 75: 281-284, 1996) 외에 다른 무치악 치조제궁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며, 특히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극히 미미한 상태이다.In addition, some morphological studies focus on some alveolar alveolar uterus (Dean, LJ et. Al., J. Am. Dent. Assoc ., 113 : 35-40, 1986; Miyake, S. et. Al. ., Nippon Hotetsu Shoka Gakkai Zasshi , 34 : 442-452, 1990; Luthra, SP, J. Prosthet.Dent. , 30 : 25-28, 1973; Uctasli, S. et.al. , J. Oral.Rehabilitation, 24: 164-169, 1997; Esa, K. et al, J. Prosthet Dent, 75:.... 281-284, 1996) a study about the most evil attract alveolar jegung except for (ohyuri, Kyunghee University Graduate Thesis, Master's Thesis, 1995; Nam Jong-hyun, Graduate School of Kyunghee University , Master's Thesis, 1995; Kim Il-han, Graduate School of Kyunghee University , Master's Thesis, 1996; Kim Sang-chul and Nam Dong-yang, Journal of Korean Orthodontics , 14 : 93-101, 1984; Young-Cheol Lee and Young-Chul Park, The Korean Academy of Orthodontics , 17 : 279-287, 1987; Jong-Hyun Nam and Ki-Soo Lee,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26 : 535-564, 1996; Kwon, Yong-Cheol et al., The Korean Academy of Orthodontics , 19 : 95-105, 1989; Sampson, PD, Am. J. Orthod ., 79 : 535-548, 1981; Raberin, M. et. Al., Am. J. Orthod. Dentofac. Orthop. , 104 : 67-72, 1993; Ferrario, VF et. Al., Archs. Biol ., 39 : 135-139, 1994; Stanley, B. et.al., Orthod ., 68 : 29-36, 1998; Joanna, MB, Br. J. Ortho ., 23 : 21-28, 1996; Ferrario, VF et al ., Er. J. Ortho , 16 : 287-294, 1994). Specifically, Dean et al. (Dean, LJ et. Al., J. Am. Dent. Assoc ., 113 : 35-40, 1986) reported on the palatal morphology of the alveolar alveolar uterus, and Miyake et al. (Miyake, S. et al., Nippon Hotetsu Shoka Gakkai Zasshi , 34 : 442-452, 1990). However, some of these foreign studies (Dean, LJ et. Al., J. Am. Dent. Assoc ., 113 : 35-40, 1986; Miyake, S. et. Al., Nippon Hotetsu Shoka Gakkai Zasshi , 34 : 442) -452, 1990; Luthra, SP, J. Prosthet.Dent. , 30 : 25-28, 1973; Uctasli, S. et.al. , J. Oral.Rehabilitation, 24 : 164-169, 1997; Esa, K et. al., J. Prosthet.Dent. , 75 : 281-284, 1996), and other studies on alveolar alveolar uterus are scarce, especially in Korea.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총의치 제작에 있어 예비인상은 진단 및 최종인상을 위한 개인 트레이 제작 등 일련의 과정에 영향을 주므로(Bernard Levin, Impression for Complete dentures. Illinois, Quintessence Publishing Inc., Chicago, 1983), 정확한 예비인상을 위해 무치악 기성 트레이는 해부학적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도록 크기별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As explained above, preliminary impressions in the production of dentures affect a series of processes, including the production of individual trays for diagnosis and final impressions (Bernard Levin, Impression for Complete dentures. Illinois , Quintessence Publishing Inc., Chicago, 1983). For accurate preliminary impressions, the edentulous tray is preferably sized to include an anatomical structure.
한편, 비가역성 수성 콜로이드 인상재는 치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재료로 그 적절한 사용방법이나 트레이 선택의 중요성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비가역성 수성 콜로이드 인상재를 이용하여 인상을 채득할 때 트레이와 치아사이의 두께가 1/8 ~ 1/4 인치 이상 되어야 변형을 예방할 수 있으며 최대의 정밀성을 얻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비가역성 수성 콜로이드 인상재는 대부분 접착성이 없어서 기계적 결합에 의해 유지되므로 플라스틱 트레이보다는 금속 트레이가 좋고 유공트레이(perforated tray)나 림락 트레이(rim-lock tray)를 사용해야 정밀한 인상이 가능하다고 하였다(김경남 등, 치과재료학, 제1판., 군자출판사, 109-115, 1995).On the other hand, irreversible aqueous colloidal impression materials are widely used in dentistry, and research on the proper use and importance of tray selection has been made. When the impression is taken using an irreversible aqueous colloid impression material, it is known that the thickness between the tray and the teeth should be 1/8 to 1/4 inch or more to prevent deformation and to obtain maximum precision. Since the irreversible aqueous colloid impression material is mostly non-adhesive and maintained by mechanical bonding, metal trays are better than plastic trays, and precise impressions are possible only by using perforated trays or rim-lock trays. Dental Materials , First Edition, Gunja Publisher, 109-115, 1995).
아울러, 트레이 형태가 인상의 정밀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서는 Michell과 Damele(Michell, J.V. and Damele, J.J., J. Prosthet. Dent., 23: 551-557, 1970)은 탄성인상재를 이용해 연구하였고, 비가역성 수교성 인상재를 이용한 인상시 Heartwell 등(Heartwell, C.M. et. al., J. Prosthet. Dent., 27: 494-500, 1972), Mendez(Mendez, A.J., J. Prosthet. Dent., 54: 383-388, 1985), Woodward 등(Woodward, J.D., J. Prosthet. Dent., 53: 347-350, 1985)은 유공트레이와 림락 트레이의 정밀도에 대해 연구하여 보다 안정적이라 하였고, Valderhaug와 Floystrand(Valderhaug, J. and Floystrand, F., J. Prosthet. Dent., 52: 514-517, 1984), Tjan과 Whang(Tjan An, H.l. and Whang, S.B., J. Prosthet. Dent., 58: 175-178, 1987), Biffar와 Bettner(Biffar, R. and Bittner, B., Dtsch. Zahnartl. Z., 44(8): 624-627, 1989)는 기성 트레이와 개인 트레이의 정확도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Arturo 등(Arturo, J.M., et. al., J. Prosthet. Dent., 54: 383-388, 1985)은 폭과 길이에서는 유공트레이가, 구개 깊이에 있어서는 림락 트레이가 안정적이라 하였다. Ogden 등(Ogden, A.R. et. al., Br. Dent. J., 176: 303-309, 1994)은 무치악 트레이의 적합도에 관한 연구에서 변연의 모든 부위를 정확하게 인상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하였다. 이러한 인상의 정확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 중 인상재 자체의 재료학적인 문제는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고, 트 레이에 의한 요소는 주로 유치악 중심으로 트레이와 내면과의 두께와, 트레이의 형태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In addition, the effect of tray type on the precision of impressions was studied by Michell and Damele (Michell, JV and Damele, JJ, J. Prosthet. Dent. , 23 : 551-557, 1970) using irreversible elastic material. Heartwell et al . ( J. Prosthet. Dent ., 27 : 494-500, 1972), Mendez (Mendez, AJ, J. Prosthet. Dent ., 54 : 383). -388, 1985), Woodward et al. (Woodward, JD, J. Prosthet. Dent ., 53 : 347-350, 1985) studied the precision of perforated trays and rimlock trays and called them more stable, and Valderhaug and Floystrand (Valderhaug). , J. and Floystrand, F., J. Prosthet.Dent. , 52 : 514-517, 1984), Tjan and Whang (Tjan An, Hl and Whang, SB, J. Prosthet. Den t., 58 : 175- 178, 1987), Biffar and Bettner (Biffar, R. and Bittner, B., Dtsch.Zahnartl. Z. , 44 (8) : 624-627, 1989) studied the accuracy of ready-made and individual trays. Arturo et al. (Arturo, JM, et.al. , J. Pro sthet.Dent. , 54 : 383-388, 1985) said that the perforated trays were stable in width and length, and the rimlock trays were stable in palatal depth. Ogden et al. (Ogden, AR et. Al. , Br. Dent. J. , 176 : 303-309, 1994) found that it was impossible to accurately raise every part of the margin in a study of the fit of the edentulous tray. Among the factors affecting the accuracy of the impression, the material problem of the impression material itself has been continuously improved to date, and the factor due to the tray is mainly a childish music center, and a study on the thickness of the tray and the inner surface and the shape of the tray Was most of them.
이처럼 인상채득시 환자의 치조제궁에 맞는 트레이의 선택이 중요하며 트레이의 형태는 인상재의 변형량에 큰 변화를 가져온다(Michell, J.V. and Damele, J.J., J. Prosthet. Dent., 23: 551-557, 1970; Johnston, J.F. and Philips, R.W, Modern Practice in Crown and Bridge Prosthodontics, 3rd ed., Philadelphia. WB. Saunders Co., 1971). 적절한 트레이란 필요한 해부학적 구조물을 충분히 덮고, 트레이 내면에 인상재를 위한 적절한 공간이 존재하며, 경화된 인상재를 견고히 유지가능 해야한다(Shillingburg, H.T. et. al., Fundamentals of fixed prosthodontics, 2nd ed., Chicago: Quintessence publ. Co., 228, 1981). 치열궁 및 치조제궁과 유사한 형태를 갖는 트레이일수록 균일한 인상재의 두께를 보장하고, 상기 보고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탄성인상재와 수경성 인상재의 두께가 인상의 정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As such, the selection of the tray to fit the patient's alveolar arch is important when the impression is taken, and the shape of the tray causes a great change in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impression material (Michell, JV and Damele, JJ, J. Prosthet.Dent. , 23 : 551-557, 1970; Johnston, JF and Philips, RW, Modern Practice in Crown and Bridge Prosthodontics , 3rd ed., Philadelphia.WB.Saunders Co., 1971). A suitable tray should cover the necessary anatomical structures, provide adequate space for the impression material on the inside of the tray, and be able to hold the hardened impression material firmly (Shillingburg, HT et. Al ., Fundamentals of fixed prosthodontics , 2nd ed., Chicago: Quintessence publ.Co., 228, 1981). The tray having a similar shape to the dental arch and the alveolar uterus ensures a uniform thickness of the impression material, and as mentioned in the report, it can be seen that the thickness of the elastic impression material and the hydraulic impression material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accuracy of the impression.
한편, 최적의 예비인상을 채득하기 위해서는 상품화된 기성 트레이를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만약 트레이가 너무 크다면, 인상체의 변연 주위로 조직을 변형시킬 것이며 인상체 하방의 연조직을 골로부터 밀어낼 것이다. 반면에 트레이가 너무 작다면, 변연 조직은 치조제 상으로 함몰될 것이다. 이것은 의치를 위한 구순 지지를 감소시키며, 의치상에 의한 구순의 올바른 지지를 저해할 것이다. 따라서, 트레이의 크기는, 보통 중요한 해부학적 구조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잔존 치조제와 트레이 내면 사이에 약 2 내지 3 ㎜ 정도의 공간을 균일하게 허용하도록 크고 여유가 있으며 전정부(vestibular space)도 약간 넓게 포함할 수 있도록 선택하는 것이 임상적으로 유용하다. 이를 위해, 현재 임상에서는 크기별로 제작되어있는 무치악 기성트레이를 사용하여 인상채득하고 있다. 적절한 트레이의 선택은 인상채득의 상태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국내에서 상용되는 무치악용 기성 트레이의 대부분이 서양인의 기준에 따른 통계조사에 의한 것이거나 이를 표방한 것이 대부분으로 이전의 연구에 따르면 한국인의 치조제궁과 치열궁 형태는 서양인과 비교할 때 차이점이 있으며(유종덕, 대한치과의사협회지, 13: 533-538, 1975; 우상민, 대한치과보철학회지, 8: 30-36, 1968), 크기에 있어서도 한국인이 서양인에 비해 좌우 견치간, 구치간 폭이 크다고 알려져 있다(김성일 및 심태양, 대한치과보철학회지, 9: 303-311, 1969; 남종현 및 이기수, 대한치과교정학회지, 26(5): 535-564, 1996; 이영철 및 박영철, 대한치과교정학회지, 17: 279-287, 1987).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obtain an optimum preliminary impression, it is important to select a commercially available ready-made tray appropriately. If the tray is too large, it will deform the tissue around the margin of the impression and push the soft tissue underneath the impression from the bone. On the other hand, if the tray is too small, the marginal tissue will sink into the alveolar phase. This will reduce cleft lip support for dentures and impede proper support of the lip by denture base. Thus, the size of the tray can usually include all of the important anatomical structures and is large and free to allow uniform space of about 2 to 3 mm between the remaining alveola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ray, and the vestibular space. It is clinically useful to choose to include a slightly wider range. To this end, current clinical trials are using impression-ready trays that are manufactured by size to raise impressions.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trays has a great effect on the status of the acquisition. However, most of the commercially available trays used in Korea are based on statistics based on the standards of Westerners. The alveolar arch and the arch form differ from those of Westerners (Yong Jong-deok, Korean Dental Association , 13 : 533-538, 1975; Woo Sang-min, Korean Journal of Dental Prosthetics , 8 : 30-36, 1968). It is known that the width between the left and right canine and posterior teeth is larger than that of Westerners (Kim Sung-il and Shim-sun, The Korean Journal of Dental Prosthodontics , 9 : 303-311, 1969; Nam Jong-hyun and Lee Ki-su,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26 (5) : 535- 564, 1996; Lee Young-chul and Park Young-chul,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Orthodontics , 17 : 279-287, 1987).
아울러, 한국인 성인 유치악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서양인의 통계에 의해 제작된 기성트레이는 한국인 치열궁과 치조제궁에 적합하지 않다고 하였다(송대성 등, 대한치과보철학회지, 27: 131-141, 1989). 또한, 유치악에 대해서는 악궁의 형태 및 크기에 대한 분석이 꾸준히 이루어져 왔고, 한국인에게 적합한 트레이의 시제품 제작 및 이의 적합도에 관한 연구가 양호한 결과를 보고한 바도 있었지만, 무치악에 대해서는 악궁의 형태 및 크기에 대한 연구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 으며, 따라서 무치악에서 기성 트레이와 인상의 정확도에 대한 연구도 전무한 실정이었다. 이와 같이, 한국인 치열궁에 관한 연구의 대부분은 유치악자의 치조제궁 형태를 교정학적으로나 보철학적으로 접근하여 관찰한 것이며, 무치악 환자의 치조제궁 형태나 크기를 측정하거나 관찰한 경우는 드물고, 그나마 무치악의 연구는 발치 후 치조골의 변화양상이나 치조골의 형태에 관한 연구(Jaime Poetrkovski, C.D., J. Prosthet. Dent., 34(4): 456-462, 1973) 정도이므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무치악 트레이의 제작에 관한 보고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 국내에서 시판되는 무치악용 기성 트레이는 서구인들의 무치악 치조제에 적합하도록 제작되어 수입된 것이 대부분이고, 국내에서 제작되었다해도 모두 외국의 것을 그대로 모방하거나, 비과학적 방법으로 설계, 제작된 제품들로 서양인 통계자료에 의한 기성트레이를 한국인 무치악궁에 적용하기에는 임상적으로 어려움이 따르며 결국 총의치 치료의 성공을 위협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study of Korean adult detainees, ready-made trays produced by Western statistics were not suitable for Korean dental arch and alveolar uterus (Song, Dae-Sung et al . , 27 : 131-141, 1989). . In addition, analysis of the shape and size of the archery has been steadily conducted for the deceased teeth, and studies on the fabrication of the tray suitable for Koreans and research on the suitability thereof have reported good results. No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so there has been no study on the accuracy of ready-made trays and impressions in edentulous music. As such, most of the researches on Korean dental archery have been performed by orthodontic or prosthetic approach of the alveolar uterus. The study of alveolar bone after alveolar bone and the shape of alveolar bone (Jaime Poetrkovski, CD, J. Prosthet. Dent ., 34 (4) : 456-462, 1973) was performed. There is no report on the production of. Therefore, most of the ready-to-use qicheo trays that are currently commercially available in Korea are manufactured and imported to suit the gingival alveolar preparations of Westerners, and even if they are manufactured in Korea, all of them are imitated as foreign, or designed and manufactured by non-scientific methods. It is clinically difficult to apply ready-made trays based on Western statistical data to Korean dental arches, which may threaten the success of total denture treatment.
이에, 현재까지 무치악 환자의 총의치 수복시에 가장 기초가 되며 성공의 여부를 결정지을 수 있는 예비인상을 한국인의 치조제궁 형태와는 차이를 보이는 외국인의 기준에 맞춰진 트레이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임상적으로 어려움이 있으므로, 본 발명자들은 한국 성인의 치조제궁 형태, 한국인의 상악 및 하악 무치악자 통계자료 및 무치악 형태와 크기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이를 기초로 실제 임상에 적용될 수 있는 한국인의 상악 및 하악 무치악궁에 적합한 예비인상용 트레이를 설계, 시제품의 제작 및 그 적합도를 검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As a result, the preliminary impression that can be used as the basis for restoring the total denture of the edentulous patients to date has been clinically used since it uses trays that meet foreign standards that differ from the Korean alveolar uterus. Due to the difficulty,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nducted a study on the alveolar uterus form of Korean adults,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statistic data of Koreans, and the morphology and size of gingival teeth, and based on this,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gingiva of Koreans that can be applied to actual clinical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designing a preliminary impression tray suitable for the arch, fabrication of a prototype and inspection of its suitability.
본 발명의 목적은 한국인의 무치악궁에 적합한 상악 및 하악 무치악궁 예비인상 채득용 트레이, 이의 제작방법 및 피검자의 치아인상을 채득하기 위한 트레이쌍의 선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y for obtaining a maxillary and a mandibular arch preliminary impression suitable for a Korean dental arch,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selecting a pair of trays for a dental impression of a subjec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첫 번째 트레이의 전방 부위에서 수직높이(㎜), 후방 부위에서 수직높이(㎜), B3/4 부위에서 수평 폭경(㎜) 및 중앙선에서 시상 길이(㎜)(이하, 동일 순서임)가 각각 13.0-14.0, 12.5-13.5, 60-65 및 49-53, 두 번째 트레이는 13.0-14.0, 13.0-14.0, 62-68 및 50-55, 세 번째 트레이는 13.5-14.5, 13.5-14.5, 65-75 및 51-56, 네 번째 트레이는 14.0-15.0, 14.0-15.0, 68-78 및 51-58, 및 다섯 번째 트레이는 14.0-15.0, 14.0-15.0, 73-83 및 54-62로 이루어진 트레이 군중에서 선택되는 상악 무치악 인상채득용 트레이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rtical height (mm) at the front part of the first tray, a vertical height (mm) at the rear part, a horizontal width diameter (mm) at the B3 / 4 area and a sagittal length (mm) at the centerline. (Hereafter in the same order) are 13.0-14.0, 12.5-13.5, 60-65 and 49-53, the second tray is 13.0-14.0, 13.0-14.0, 62-68 and 50-55, and the third tray is 13.5 -14.5, 13.5-14.5, 65-75 and 51-56, the fourth tray is 14.0-15.0, 14.0-15.0, 68-78 and 51-58, and the fifth tray is 14.0-15.0, 14.0-15.0, 73- Provided is a tray for maxillary gingival impression taken from a tray crowd consisting of 83 and 54-62.
또한, 본 발명은 첫 번째 트레이의 1/4 협측폭(㎜), 2/4 협측폭(㎜), 3/4 협측폭(㎜) 및 4/4 협측폭(㎜)(이하, 동일 순서임)이 각각 36-38, 45-51, 63.5-64.5 및 65-66, 두 번째 트레이는 38-42, 51-57, 64.5-68 및 64.5-67.5, 세 번째 트레이는 42-45, 57-59.5, 68-71 및 67.5-69.5, 네 번째 트레이는 45-45.5, 59.5-61, 71-72.5 및 69.5-71.5, 다섯 번째 트레이는 45.5-47, 61-64, 72.5-76 및 71.5-75, 및 여섯 번째 트레이는 47-49.5, 64-70, 76-80 및 75-79로 이루어지고, 첫 번째 트레이의 2/4 설측폭(㎜), 3/4 설측폭(㎜) 및 4/4 설측폭(㎜)(이하, 동일 순서임)이 각각 17-19, 29-31.5 및 33-35.5, 두 번째 트레이는 19-22, 31.5-33 및 35.5-38.5, 세 번째 트레이는 22-25, 33-34.5 및 38.5-41, 네 번째 트레이는 25-26, 34.5-36 및 41-43, 다섯 번째 트레이는 26-29, 36-39 및 43-46, 및 여섯 번째 트레이는 29-35, 39-44 및 46-54로 이루어진 트레이 군중에서 선택되는 하악 무치악 인상채득용 트레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1/4 buccal width (mm), 2/4 buccal width (mm), 3/4 buccal width (mm) and 4/4 buccal width (mm) of the first tray (hereinafter, in the same order) ) 36-38, 45-51, 63.5-64.5 and 65-66, the second tray 38-42, 51-57, 64.5-68 and 64.5-67.5, the third tray 42-45, 57-59.5 68-71 and 67.5-69.5, the fourth tray is 45-45.5, 59.5-61, 71-72.5 and 69.5-71.5, the fifth tray is 45.5-47, 61-64, 72.5-76 and 71.5-75, and The sixth tray consists of 47-49.5, 64-70, 76-80 and 75-79, and the 2/4 lingual width (mm), 3/4 lingual width (mm) and 4/4 lingual width of the first tray (Mm) (hereinafter in the same order) are 17-19, 29-31.5 and 33-35.5, respectively, the second tray is 19-22, 31.5-33 and 35.5-38.5, and the third tray is 22-25, 33- 34.5 and 38.5-41, the fourth tray is 25-26, the 34.5-36 and 41-43, the fifth tray is 26-29, 36-39 and 43-46, and the sixth tray is 29-35, 39-44 And a tra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46-54 Provides a tray for taking evil impressions.
또한, 본 발명은 ⅰ) 피검자로부터 무치악 주모형을 복제하는 단계; ⅱ) 상기 주모형 내부에 20 내지 50개의 기준점을 설정하고 3차원으로 계측하는 단계; ⅲ) 상기 3차원 계측을 바탕으로 치조제궁의 크기를 분류하는 단계; ⅳ) 상기 분류된 치조제궁의 크기를 3차원 공간좌표로 전환하여 치조제의 형태를 도식화 트레이로 작성하는 단계; 및 ⅴ) 상기 도식화 트레이를 모델링 및 가공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상악 또는 하악 무치악 인상채득용 트레이의 제작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i) replicating the edentulous main model from the subject; Ii) setting 20 to 50 reference points in the main model and measuring them in three dimensions; Iii) classifying the size of the alveolar arch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measurement; Iii) converting the size of the classified alveolar arch into three-dimensional spatial coordinates to form the form of the alveolar into a schematic tray; And iii) modeling and processing the schematic tray, to provide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upper or lower jawless impression impression taking tray.
또한, 본 발명은 피검자의 치악 크기에 따른 다수개의 트레이, 상기 피검자의 상악의 경우에는 치조결절 부위의 좌우 치조제정간의 폭을 계측하고, 하악의 경우에는 구후결절의 전방 부위의 좌우 치조제정간의 폭을 계측하는 디바이더, 및 계측되어 길이가 벌어진 상기 디바이더를 원상회복시키지 않은 채로 접촉시켜 서로 대응된 고유색상을 검출하기 위한 기준테이블을 구비하고, 피검자의 치악크기에 따라 다수개의 상악 및 하악트레이로 분류하는 트레이 분류단계; ⅱ) 동일하게 분류된 한 쌍의 상악 및 하악트레이에는 동일한 고유색상을 부여하고 다르게 분류된 각 쌍의 상악 및 하악트레이에는 상이한 고유색상을 부여하는 고유색상 부여단계; ⅲ) 상기 디바이더를 이용해서 상악의 경우에는 치조결절 부위의 좌우 치조제정간의 폭을 계측하고, 하악의 경우에는 구후결절의 전방 부위의 좌우 치조제정간의 폭을 계측하는 디바이더 계측단계; ⅳ) 상기 계측된 디바이더를 그대로 둔 채로 후술하게 될 기준테이블에 재어서 대응되는 고유색상을 검출하는 색상검출단계; 및 ⅴ) 상기 기준테이블의 고유색상에 대응된 트레이쌍을 선택하는 트레이선택단계를 포함하는, 피검자의 치아인상을 채득하기 위한 트레이쌍의 선정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tray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ubject's jaw, the width of the left and right alveolar jeongjak of the alveolar nodules in the case of the maxilla of the subject, the width of the left and right alveolar jeonggap of the anterior region of the posterior nodules And a reference table for detecting the intrinsic color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by contacting the divider, which is measured and the length of which is opened, without being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and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maxillary and mandibular trays according to the tooth size of the examinee. A tray sorting step; Ii) assigning an intrinsic color to a pair of upper and lower jaw trays that are classified in the same manner and assigning a different intrinsic color to each pair of upper and lower jaw trays classified differently; A divider measuring step of measuring width between left and right alveolar ridges of the alveolar nodules in the case of the maxilla, and measuring width of left and right alveolar vices in the anterior segment of the posterior nodules using the divider; Iii) a color detection step of detecting a corresponding eigencolor by measuring the reference table to be described later while leaving the measured divider intact; And iii) a tray selection step of selecting a tray pair corresponding to the intrinsic color of the reference table.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은 첫 번째 트레이의 전방 부위에서 수직높이(㎜), 후방 부위에서 수직높이(㎜), B3/4 부위에서 수평 폭경(㎜) 및 중앙선에서 시상 길이(㎜)(이하, 동일 순서임)가 각각 13.0-14.0, 12.5-13.5, 60-65 및 49-53, 두 번째 트레이는 13.0-14.0, 13.0-14.0, 62-68 및 50-55, 세 번째 트레이는 13.5-14.5, 13.5-14.5, 65-75 및 51-56, 네 번째 트레이는 14.0-15.0, 14.0-15.0, 68-78 및 51-58, 및 다섯 번째 트레이는 14.0-15.0, 14.0-15.0, 73-83 및 54-62로 이루어진 트레이 군중에서 선택되는 상악 무치악 인상채득용 트레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rtical height (mm) at the front part of the first tray, a vertical height (mm) at the rear part, a horizontal width diameter (mm) at the B3 / 4 part and a sagittal length (mm) at the center line (hereinafter, in the same order). 13.0-14.0, 12.5-13.5, 60-65 and 49-53, the second tray 13.0-14.0, 13.0-14.0, 62-68 and 50-55, the third tray 13.5-14.5, 13.5-14.5, 65-75 and 51-56, the fourth tray consists of 14.0-15.0, 14.0-15.0, 68-78 and 51-58, and the fifth tray consists of 14.0-15.0, 14.0-15.0, 73-83 and 54-62 Provides a tray for maxillary edentulous impressions selected from a tray crowd.
이때, 상기 상악 무치악 인상채득용 트레이는 추가적으로 첫 번째 트레이의 B 3/4 부위에서 악궁의 폭경(㎜) 및 B 3/4 부위에서 트레이의 내부 표면의 폭경(㎜)(이하, 동일 순서임)이 각각 57 이하 및 57-61, 두 번째 트레이는 57-61 및 61-64, 세 번째 트레이는 61-65 및 64-68, 네 번째 트레이는 65-69 및 68-72, 및 다섯 번째 트레이는 69-73 및 72-76으로 이루어진 트레이 군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maxillary edentulous impression acquisition tray is additionally the width of the arch of the arch in the
또한, 상기 상악 무치악 인상채득용 트레이는 첫 번째 트레이의 전방 부위에서 수직높이(㎜), 후방 부위에서 수직높이(㎜), B3/4 부위에서 수평 폭경(㎜), 중앙선에서 시상 길이(㎜) 및 폭경/길이 비율(이하, 동일 순서임)이 각각 13.5, 13, 62, 51 및 1.22, 두 번째 트레이는 13.5, 13.5, 65.5, 52 및 1.26, 세 번째 트레이는 14, 14, 70, 53.5 및 1.31, 네 번째 트레이는 14.5, 14.5, 73.5, 54.5 및 1.35, 및 다섯 번째 트레이는 14.5, 14.5, 78, 58 및 1.35로 이루어진 트레이 군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이에 추가적으로 첫 번째 트레이의 B 3/4 부위에서 악궁의 폭경(㎜) 및 B 3/4 부위에서 트레이의 내부 표면의 폭경(㎜)(이하, 동일 순서임)이 각각 57 이하 및 58.18, 두 번째 트레이는 57-61 및 62.65, 세 번째 트레이는 61-65 및 67.30, 네 번째 트레이는 65-69 및 69.85, 다섯 번째 트레이는 69-73 및 74.32로 이루어진 트레이 군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axillary edentulous impression taking tray has a vertical height (mm) at the front portion of the first tray, a vertical height (mm) at the rear portion, a horizontal width diameter (mm) at the B3 / 4 region, the sagittal length (mm) And width / length ratios (hereinafter in the same order) are 13.5, 13, 62, 51 and 1.22, the second tray is 13.5, 13.5, 65.5, 52 and 1.26, the third tray is 14, 14, 70, 53.5 and More preferably, 1.31, the fourth tray is selected from the tray crowd consisting of 14.5, 14.5, 73.5, 54.5 and 1.35, and the fifth tray is comprised of 14.5, 14.5, 78, 58 and 1.35, in addition to
본 발명자들은 한국인 상악 무치악궁에 적합한 예비인상용 트레이의 제작을 위해 상악 무치악 환자를 대상으로 상악 연구용 모형 제작을 위하여 환자의 주모형(master model)을 기성 트레이를 사용하여 복제모형을 위한 예비인상을 채득하고, 상기 예비인상을 기초로 개인 트레이를 제작하고 변연 형성후 최종인상을 채득하여 최종모형을 만든 다음, 체득된 인상체에 진공 혼합한 제3형 경석고로 연구형 복제모형을 제작하였다(도 1 참조).The present inventors made a preliminary impression for the replication model by using a ready-made tray for the master model of the patient to produce a model for maxillary research for the preparation of a preliminary impression tray suitable for the Korean maxillary arch. After making the individual trays based on the preliminary impressions and forming the margins, the final impressions were obtained by making the final impressions, and then the research replica model was produced by the third type hard stone gypsum mixed in vacuum with the acquired impressions. 1).
상기 환자를 대상으로 별도로 고안된 3차원 계측기를 이용하여 상악 무치악 모형을 선계측하고 각도와 계측 항목간의 비율을 구하였다(도 2, 도 3a 및 도 3b참조)The maxillary edentulous model was pre-measured using a three-dimensional measuring instrument designed for the patient, and the ratio between the angle and the measurement item was calculated (see FIGS. 2, 3A, and 3B).
구체적으로, 변연과 치조제의 폭경을 1/8, 1/4, 2/4, 3/4, 4/4 기준선에서 측정한 선계측 항목 계측치의 평균을 구하였다(표 1 참조). 그 결과, 선계측 항목의 평균을 기준 가로선 및 세로선의 교차점의 5개 항목을 제외한 나머지 29 항목에서는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수평면, 시상면 및 전두면의 각도를 측정하였다(도 6 참조).Specifically, the average of the line measurement item measurement values measured at the 1/8, 1/4, 2/4, 3/4, and 4/4 reference lines for the widths of the margins and the alveolar agent (see Table 1).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males and females in the remaining 29 items except the five items of the intersection of the reference horizontal line and the vertical line as the average of the line measurement items. In addition, the angles of the horizontal plane, sagittal plane and frontal plane were measured (see FIG. 6).
상기 측정을 기초로 상기 모형을 육안적으로 임상적 V, O, U형을 분류한 다음 공통적으로 4번 이상 동일한 형태로 분류된 모형을 통계 처리하여 수평 형태 분류로 분류한다(표 2 참조). 또한, 임상적 분류 군간의 계측 항목간에 차이는 변연 항목보다는 치조제 항목에서 차이를 보인다(표 3 참조). 아울러, 임상적 분류 군간의 차이의 양태는 사후 분석(Duncan's test) 결과 임상적 O, U 형간에는 차이가 없으며, 임상적 V형은 임상적 O, U 형과 차이를 보이고, 형태학적으로 O, U형은 난형-활 모양(ovoid arch)을, T형은 가는 활 모양(taper arch)을 나타내므로(도 7 참조), 전체는 난(ovoid; O)형과 테이퍼(taper; T)형으로 분류하였다. 이와 같이 전방 치조제 항목과 후방 치조제 항목에 의해 분류된 형태를 서로 조합하여 4가지(T-W, T-N, O-W, O-N형)형태로 분류 할 수 있고, 그 결과 O-W형이 가장 많이 분포한다(표 4 참조). 아울러, 시상면에서 구개 형태 분류를 행한 결과, 약간 경사진(mildly inclined)형(51.6%), 급경사(steep)형(39.3%), 편평한(flat)형(9.0%) 순으 로 분포하고, 이러한 결과는 시상면의 전방부분에서 후방으로 이행되는 각도는 전방부의 치조제 높이와 상관성이 있으며, 또한 이는 치조제의 흡수 정도와 상관이 있다. 또한, 전두면에서 구개 형태 분류를 행한 결과, V-궁형, O-궁형, U-궁형순으로 분포한다(도 10 및 표 6 참조). 또한, 크기군에 따른 수평 항목의 평균을 구하고(표 11 참조), 크기 군간에 따른 수평 항목의 차이를 구한다(표 12 참조).Based on the measurement, the model is visually classified into clinical V, O, and U types, and then classified into horizontal form classifications by statistically treating models classified in the same form four or more times in common (see Table 2). In addition, the differences among the measurement items among the clinical classification groups showed differences in alveolar items rather than marginal items (see Table 3). In addition, the pattern of differences between clinical classification groups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clinical O and U types according to the Duncan's test, and clinical V type showed differences from clinical O and U types. U type is ovoid arch, T type is a thin arch shape (see Fig. 7), so the whole is ovoid (O) and taper (T) shape Classified. In this way, the types classified by the front and rear alveolar item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TW, TN, OW, ON type) by combining them, and as a result, the OW type is most distributed (table 4). In addition, as a result of palatal classification in the sagittal plane, it was distributed in the order of mildly inclined (51.6%), steep (39.3%), and flat (9.0%).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angle shifted from the anterior to the posterior of the sagittal plane correlates with the alveolar height in the anterior portion, which is also correlated with the degree of absorption of the alveolar agent. In addition, as a result of palatal classification on the frontal surface, it is distributed in the order of V-arch, O-arch, and U-arch (see FIG. 10 and Table 6). In addition, the average of the horizontal items according to the size group (see Table 11),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horizontal items according to the size group (see Table 12).
그 결과, 치조제의 폭 항목 모든 부위, 변연의 폭 항목 모든 부위에서 유의차가 있으며, 구개 깊이 항목 중 2/4D, 3/4D, 4/4D에서만 유의차가 있고, 변연, 치조제 깊이 항목 중 B 3/4D에서만 유의차가 있고, 나머지 항목에서는 차이가 없음을 나타낸다. 즉, 변연 3/4 폭경을 중심으로한 크기 분류가 폭 항목을 중심으로 적절히 나타남을 확인하였다.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parts of the width item of the alveolar, and all parts of the width item of the margin,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2 / 4D, 3 / 4D, and 4 / 4D of the palatal depth items, and B of the marginal and alveolar depth item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3 / 4D, and no difference in the remaining items. That is, it was confirmed that the size classification centered on the marginal 3/4 width diameter appeared appropriately around the width items.
상악 트레이는 상기 측정치를 근거로 각 크기별 치조제를 3차원 전용 CAD/CAM 시스템을 이용하여 설계한다. 제작된 트레이와 기존의 트레이 중 Schreinemakers trays를 사용하여 기존의 주모형에 있어서의 적합성을 비교하고, 또한 신개발 트레이를 이용한 환자에서의 적합도를 검사한다.The maxillary tray designs the alveolar for each size based on the measured values using a three-dimensional dedicated CAD / CAM system. Schreinemakers trays are used to compare the suitability of the existing main model with the fabricated trays and the existing trays.
구체적으로, PC용 AutoCAD를 이용하여, 악궁의 철사 구조틀(wire framework) 모델링을 완성하고(도 15 참조), 인상체를 위한 공간으로 악궁으로부터 4 ㎜의 옵셋(offset)을 부여하여 알루미늄 합금 블록을 CNC 밀링 기계에서 절삭 가공하여 2 ㎜ 두께를 가진 트레이를 제작한다. 악궁모형의 표면 모델링(surface modeling) 작업을 행하고, 이 악궁모형에서 3차원적으로 4 ㎜의 공간을 두고 트레이 내면의 철사 구조틀(wire framework)을 설계한다. 완성된 구조틀을 이용하여, 2 ㎜의 두께를 가진 트레이를 입체 모델링(solid modeling)으로 설계하고, 인상재를 위한 슬릿(slit) 형태의 유지형태 및 전방 손잡이도 설계하여 제작한다(도 16 참조).Specifically, using AutoCAD for PC, the wire framework modeling of the archery was completed (see FIG. 15), and an aluminum alloy block was provided by giving an offset of 4 mm from the archery as a space for the impression body. The CNC milling machine cuts the tray to a thickness of 2 mm. Surface modeling of the arch model is performed, and the wire framework of the inner surface of the tray is designed with a space of 4 mm in three dimensions. Using the finished framework, a tray having a thickness of 2 mm is designed by solid modeling, and a slit-shaped holding shape and a front handle for the impression material are also designed and manufactured (see FIG. 16).
상기 제작된 상악 트레이를 기존의 Schreinemakers system과 형태에 대해 육안 관찰하고, 실측하여 비교하고, 기존의 모형과 임상에서 적합도를 각각 측정, 비교한다. 구체적으로, 육안 관찰은 전치부 및 구치부 수직 높이, 상악 결절부위의 좌우 폭경, 정중선 상에서의 전후 길이를 각각 측정하고, 각각의 트레이에서 상악 결절부위의 폭에 대한 전후 길이의 비를 비교한 결과, 신개발 트레이가 전치부에서는 더 크고, 구치부 수직 높이에서는 유사하거나 더 작게 나타나고, 좌우 폭경에 비해 전후 길이가 짧다(표 20 참조). 또한 육안관찰에서 협측 소대의 위치가 신개발 트레이에서 상대적으로 더 후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The prepared maxillary tray is visually observed and compared with the existing Schreinemakers system, and compared with each other. Specifically, visual observation was performed by measuring the anterior and posterior vertical height, the right and left width of the maxillary nodules, and the anteroposterior length on the midline, and comparing the ratio of the anterior and posterior lengths to the widths of the maxillary nodules in each tray. The tray is larger in the anterior part, similar or smaller in the posterior vertical height, and shorter in front and rear length compared to the left and right width diameters (see Table 20).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by visual observation that the position of the buccal platoon was located relatively further behind the newly developed tray.
기존의 모형을 이용하여 채득한 인상체에서, 인상체 변연부터 트레이 변연까지의 길이, 인상체의 두께를 측정한다(표 22 및 표 23 참조). 그 결과, 신개발 트레이와 기존의 트레이는 전반적인 인상체의 두께 및 변연부 인상체 길이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으며, 신개발 트레이에서 부위별 편차가 작게 나타난다. 또한, 적합도를 검사한 결과, 신개발 트레이는 모든 부위에 걸쳐 고른 두께를 나타냈으며, 변연부에서 인상재의 길이 또한 고르게 나타난다.In the impression body obtained using the existing model, the length from the impression edge to the tray edge and the thickness of the impression body are measured (see Table 22 and Table 23). As a result, the newly developed tray and the conventional tray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impression body and the length of the marginal impression body, and the variation of each part in the newly developed tray appears small. In addition, as a result of checking the suitability, the newly developed tray showed an even thickness over all parts, and the length of the impression material appeared evenly on the margin.
이상의 결과로부터 기존의 모형을 이용한 적합도 검사에서 신개발 트레이는 기존의 트레이에 비해 인상재의 두께가 더 균일한 양상을 나타내며, 원래 목표로 설정했던 인상재의 두께인 4 ㎜에 전반적으로 더 가까운 양상을 나타낸다. 인상체의 길이 항목에 있어서도, Schreinemakers 트레이는 구치부에서 전치부로 갈수록 증가하는 반면, 신개발 트레이에서는 전반적으로 균일한 양상을 나타낸다.From the above results, the newly developed tray in the goodness-of-fit test using the existing model shows a more uniform thickness of the impression material than the existing tray, and is generally closer to 4 mm, which is the thickness of the impression material originally set as the target. In terms of the length of the impression body, the Schreinemakers trays increase from posterior to anterior, while in the newly developed trays they are generally uniform.
또한, 본 발명은 첫 번째 트레이의 1/4 협측폭(㎜), 2/4 협측폭(㎜), 3/4 협측폭(㎜) 및 4/4 협측폭(㎜)(이하, 동일 순서임)이 각각 36-38, 45-51, 63.5-64.5 및 65-66, 두 번째 트레이는 38-42, 51-57, 64.5-68 및 64.5-67.5, 세 번째 트레이는 42-45, 57-59.5, 68-71 및 67.5-69.5, 네 번째 트레이는 45-45.5, 59.5-61, 71-72.5 및 69.5-71.5, 다섯 번째 트레이는 45.5-47, 61-64, 72.5-76 및 71.5-75, 및 여섯 번째 트레이는 47-49.5, 64-70, 76-80 및 75-79로 이루어지고, 첫 번째 트레이의 2/4 설측폭(㎜), 3/4 설측폭(㎜) 및 4/4 설측폭(㎜)(이하, 동일 순서임)이 각각 17-19, 29-31.5 및 33-35.5, 두 번째 트레이는 19-22, 31.5-33 및 35.5-38.5, 세 번째 트레이는 22-25, 33-34.5 및 38.5-41, 네 번째 트레이는 25-26, 34.5-36 및 41-43, 다섯 번째 트레이는 26-29, 36-39 및 43-46, 및 여섯 번째 트레이는 29-35, 39-44 및 46-54로 이루어진 트레이 군중에서 선택되는 하악 무치악 인상채득용 트레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1/4 buccal width (mm), 2/4 buccal width (mm), 3/4 buccal width (mm) and 4/4 buccal width (mm) of the first tray (hereinafter, in the same order) ) 36-38, 45-51, 63.5-64.5 and 65-66, the second tray 38-42, 51-57, 64.5-68 and 64.5-67.5, the third tray 42-45, 57-59.5 68-71 and 67.5-69.5, the fourth tray is 45-45.5, 59.5-61, 71-72.5 and 69.5-71.5, the fifth tray is 45.5-47, 61-64, 72.5-76 and 71.5-75, and The sixth tray consists of 47-49.5, 64-70, 76-80 and 75-79, and the 2/4 lingual width (mm), 3/4 lingual width (mm) and 4/4 lingual width of the first tray (Mm) (hereinafter in the same order) are 17-19, 29-31.5 and 33-35.5, respectively, the second tray is 19-22, 31.5-33 and 35.5-38.5, and the third tray is 22-25, 33- 34.5 and 38.5-41, the fourth tray is 25-26, the 34.5-36 and 41-43, the fifth tray is 26-29, 36-39 and 43-46, and the sixth tray is 29-35, 39-44 And a tra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46-54 It provides a tray for edentulous impression.
이때, 상기 하악 무치악 인상채득용 트레이는 추가적으로 첫 번째 트레이의 좌우 4/4 치조정간의 폭경(㎜) 및 총 전후길이(㎜)(이하, 동일 순서임)는 65-66 및 42-46, 두 번째 트레이는 66-68 및 46-49, 세 번째 트레이는 68-69.5 및 49-49.5, 네 번째 트레이는 69.5-72 및 49.5-51, 다섯 번째 트레이는 72-75 및 51-52, 및 여섯 번째 트레이는 75-79 및 52-53으로 이루어진 트레이 군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lower jaw impression tray is additionally the width (mm) and the total front and rear length (mm) (hereinafter in the same order) between the left and right 4/4 adjustment of the first tray is 65-66 and 42-46, two 66-68 and 46-49 for the third tray, 68-69.5 and 49-49.5 for the third tray, 69.5-72 and 49.5-51 for the fourth tray, 72-75 and 51-52 for the fifth tray, and sixth The tray is preferably selected from the tray crowd consisting of 75-79 and 52-53.
또한, 하악 무치악 인상채득용 트레이는 첫 번째 트레이의 1/4 협측폭(㎜), 2/4 협측폭(㎜), 3/4 협측폭(㎜) 및 4/4 협측폭(㎜)(이하, 동일 순서임)이 각각 37.42, 48.25, 64.03 및 65.76, 두 번째 트레이는 39.24, 54.32, 65.21 및 66.66, 세 번째 트레이는 44.53, 59.12, 70.31 및 68.72, 네 번째 트레이는 45.47, 60.02, 71.32 및 70.25, 다섯 번째 트레이는 45.53, 62.30, 74.05 및 73.55, 및 여섯 번째 트레이는 48.23, 67.20, 78.04 및 77.26으로 이루어지고, 첫 번째 트레이의 2/4 설측폭(㎜), 3/4 설측폭(㎜) 및 4/4 설측폭(㎜)(이하, 동일 순서임)이 각각 18.44, 30.44 및 34.78, 두 번째 트레이는 20.23, 32.41 및 36.53, 세 번째 트레이는 24.01, 34.02 및 40.42, 네 번째 트레이는 25.43, 35.54 및 42.21, 다섯 번째 트레이는 26.32, 37 및 44.64, 및 여섯 번째 트레이는 32.04, 42.20 및 50.32로 이루어진 트레이 군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추가적으로 첫 번째 트레이의 좌우 4/4 치조정간의 폭경(㎜), 총 전후길이(㎜) 및 길이와 폭간의 비율(이하, 동일 순서임)은 65.76, 44.90 및 0.68, 두 번째 트레이는 66.66, 48.54 및 0.72, 세 번째 트레이는 68.72, 49.07 및 0.71, 네 번째 트레이는 70.25, 50.77 및 0.72, 다섯 번째 트레이는 73.55, 51.93 및 0.71, 및 여섯 번째 트레이는 77.26, 52.00 및 0.67로 이루어진 트레이 군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andible gingival impression taking tray has a 1/4 buccal width (mm), 2/4 buccal width (mm), 3/4 buccal width (mm) and 4/4 buccal width (mm) of the first tray (hereinafter , Same order) 37.42, 48.25, 64.03 and 65.76, the second tray 39.24, 54.32, 65.21 and 66.66, the third tray 44.53, 59.12, 70.31 and 68.72, the fourth tray 45.47, 60.02, 71.32 and 70.25 , The fifth tray consists of 45.53, 62.30, 74.05 and 73.55, and the sixth tray consists of 48.23, 67.20, 78.04 and 77.26, with the 2/4 lingual width (mm) and 3/4 lingual width (mm) of the first tray. And 4/4 lingual width in mm (hereinafter in the same order), respectively, 18.44, 30.44 and 34.78, the second tray is 20.23, 32.41 and 36.53, the third tray is 24.01, 34.02 and 40.42, the fourth tray is 25.43, 35.54 and 42.21, the fifth tray is selected from the tray crowd consisting of 26.32, 37 and 44.64, and the sixth tray 32.04, 42.20 and 50.32 In addition, the width (mm), total front and rear length (mm) and the ratio between length and width (in the same order) between the left and right 4/4 adjustments of the first tray are 65.76, 44.90 and 0.68, and the second tray is 66.66 From a crowd of trays consisting of 48.54 and 0.72, the third tray 68.72, 49.07 and 0.71, the fourth tray 70.25, 50.77 and 0.72, the fifth tray 73.55, 51.93 and 0.71, and the sixth tray 77.26, 52.00 and 0.67 Most preferably chosen.
본 발명자들은 한국인 하악 무치악궁에 적합한 예비인상용 트레이의 제작을 위해 한국인 하악 무치악의 통계자료 및 하악 무치악 환자를 대상으로 하악의 연구용 모형 제작을 위하여 환자의 주모형(master model)을 기성 트레이를 사용하여 복제모형을 위한 예비인상을 채득하고, 상기 예비인상을 기초로 개인 트레이를 제작하고 변연 형성후 최종인상을 채득하여 최종모형을 만든 다음, 체득된 인상체에 진공 혼합한 제3형 경석고로 연구형 복제모형을 제작하였다.The present inventors use the ready-made tray of the patient's master model (master model) for the preparation of the statistical data of the Korean mandibular teeth and mandibular gingival patients for the preparation of a preliminary impression tray suitable for Korean mandibular arches To obtain a preliminary impression for a replica model, to make a personal tray based on the preliminary impression, to obtain a final impression after forming a margin, and then to study with a
선계측 항목의 평균과 표준편차 계측항목에서 남, 여간 유의차를 살펴본 결과, 선계측항목중에 총전후방 길이(TAP), 3/4 좌우 치조정간의 폭(AW3)과 4/4 좌우 치조정간의 폭(AW4)의 3개 항목에서 남, 여간 성별에 따른 유의차가 있다.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measurement items of line measurement items, the total front and rear length (TAP), width between 3/4 left and right adjustment (AW3) and 4/4 right and left adjustmen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between male and female in three items of width AW4.
치조제궁의 크기는 전후적인 변화보다는 좌우적 폭경변화, 특히 좌우 구후결절 전방점을 이은 기준선(4/4 좌우 치조정간의 폭)에서 가장 큰 변화를 보이므로, 이를 트레이 크기 분류의 기준선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치조제궁의 크기를 분류한 결과, 트레이의 크기는 6개 군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 6개의 군의 분포는 56~60 ㎜, 52~56 ㎜, 60~64 ㎜, 48 ㎜ 이하, 48~52 ㎜, 64 ㎜ 이상 순으로 정규분포 곡선을 나타내고 있다(표 16 참조).The size of the alveolar uterus shows the largest change in the lateral width change, especially in the baseline (the width between the 4/4 left and right tooth adjustments) following the anterior and left posterior nodules.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e size of the alveolar uterus, the size of the tray can be classified into six groups, and the distribution of each of the six groups is 56 to 60 mm, 52 to 56 mm, 60 to 64 mm, and 48 mm or less. Normal distribution curve is shown in order of 48-52 mm, and 64 mm or more (refer Table 16).
각군에 따른 각 계측항목의 평균값을 살펴보면 전후방 길이 항목에서 치조제궁의 분류 군이 커짐에 따라 전후방 길이의 항목도 치조제궁의 4/4 치조정간의 폭에 비례하여 증가하며, 치조제궁의 크기 군이 증가함에 따라 좌우 폭 항목도 대체로 비례적으로 증가한다. 육안적 분류에 의한 각 형태의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하 악 치조제궁의 형태를 다시 분류하였을 때 V형, O형, U형으로 분류가 가능하며, O형과 U형간에는 유의차가 없다. 전후방 분류요소에 의해 치조제의 형태를 분류한 경우 V-T형, V-S형, O-T형, O-S형으로 분류된다.Looking at the mean value of each measurement item according to each group, as the classification group of alveolar uterus in the front and rear length items increases, the front and rear length items also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width between the 4/4 tooth adjustments of the alveolar uterus. As it increases, the left and right width items generally increase proportionally. When reclassifying the mandibular alveolar arch using the results of each type of analysis by visual classification, it is possible to classify it into V type, O type, and U type,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O type and U type. When the alveolar type is classified by the front and rear classification elements, it is classified into V-T type, V-S type, O-T type and O-S type.
도식화된 치조제 형태를 기초로 하여 트레이 형상화 작업을 한다. 구체적으로 치조제정에서 접선을 그어 이 접선에 직교하는 수선을 긋고, 치조제정 좌표에서 4 ㎜ 떨어진(OFF-SET) 수선상의 좌표를 트레이 정점으로 정하고, 협설측 변연부에서는 Z축상으로 4 ㎜의 공간을 부여하여 트레이 변연좌표로 정한다(도 23a 내지 도 23c 참조). 이렇게 얻어진 협측, 치조정, 설측의 3점을 다시 부드러운 곡선(SPLINE)으로 연결하여 트레이 내면 형태를 도식화한다. 트레이 설측변연부 연결시에는 수평면에서 투영시 치조제 4/4부위의 설측변연 좌표를 변곡점으로 하여 하악설측의 전형적인 'S curve'를 재현하고, 순측소대를 위해 폭 10 ㎜, 높이 5 ㎜의 함몰을 트레이에 부여한다.Tray shaping is performed based on the schematic alveolar form. Specifically, draw a tangent line in the alveolar ridge to draw an orthogonal line perpendicular to the tangent line, and set the tray coordinate on the
가공을 위해 AutoCAD상에서 도식화된 트레이 자료를 모델링한다. 모델링 작업에서 트레이의 강도를 위해 2 ㎜의 두께를 부여하고, 전방, 후방손잡이의 위치와 형태도 결정한다. 후방손잡이의 경우, 전후적으로 제1대구치 위치에 상응하는 치조제 3/4부위에, 높이는 구치부 치조제 높이에 상응하는 구후결절 1/2 높이로 정하였다. 전방손잡이의 경우 전치부 협측변연의 상방 20 ㎜에 위치시킨다(도 25 참조). 모델링이 완료된 후 CNC를 이용해 가공하여 한국형 하악 예비인상용 트레이를 제작한다(도 26 참조).Model schematic tray data in AutoCAD for machining. In modeling work, a thickness of 2 mm is given for the strength of the tray, and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front and rear handles are also determined. In the case of the rear grip, the height of the alveolu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molar was determined to be the height of the posterior nodules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posterior alveolar. In the case of the front handle, it is located 20 mm above the anterior buccal margin (see Fig. 25). After the modeling is completed by using a CNC to produce a Korean mandible preliminary impression tray (see Figure 26).
신개발 한국형 트레이는 설측변연에 있어 해부학적인 'S curve'를 재현하고, 협측 변연부에 있어서는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진다. 또한, 후방손잡이의 높이는 교합평면에 일치시켰고 그 위치에 있어서는 기존 트레이에 비해 후방으로 위치시킨다(도 27a 내지 도 27c 참조).The newly developed Korean tray reproduces an anatomical 'S curve' in the lingual margin and extends outward in the buccal margin.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rear handle is matched to the occlusal plane, and the position of the rear handle is rearwar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ray (see FIGS. 27A to 27C).
종래의 트레이와 신개발 트레이의 협측폭 항목을 한국인 모형통계치와 비교시, 두 트레이 군간에 차이가 나타나다(표 24, 표 25 및 표 26 참조). 그 결과, 신개발 트레이의 협측폭은 한국인의 협측폭과 대체적으로 일치한다(도 31a 내지 도 31f 참조). 설측폭 항목의 비교시에는 기존 트레이와 신개발 트레이 모두 한국인 모형 통계치에 전반적으로 일치하였다(표 27, 표 28 및 표 29 참조). 종래의 트레이와 신개발 트레이의 최대 폭과 총전후길이 항목을 비교시, 폭에 있어서는 신개발 트레이가 길이에 있어서는 기존 트레이가 큰 값을 나타낸다(도 32a 및 도 32b 참조). 따라서, 길이 대 폭비율에 있어서 신개발 트레이가 작은 값을 보이고, 이는 한국인 모형 통계치와 전반적으로 일치함을 보인다(도 33 참조).When comparing the buccal width items of the conventional tray and the newly developed tray with the Korean model statistics,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tray groups (see Table 24, Table 25 and Table 26). As a result, the buccal width of the newly developed tray generally coincides with the buccal width of Koreans (see Figs. 31A to 31F). When comparing lingual width items, both existing and newly developed trays generally matched the Korean model statistics (see Tables 27, 28 and 29). When comparing the maximum width and total length before and after the conventional tray and the newly developed tray, the newly developed tray shows the larger value in the width in the existing tray in the width (see FIGS. 32A and 32B). Therefore, the newly developed tray shows a small value in the length-to-width ratio,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Korean model statistics (see FIG. 33).
즉, 기존의 상용되는 하악 무치악용 기성 트레이는 한국인 무치악 모형통계치에 비해 그 협측폭이 좁고 전후길이는 과도하게 길어서 서양인 기준에 의한 기성 트레이가 한국인에게는 그 형태와 크기에 있어 적합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즉, 한국인 하악 무치악궁 모형의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새로운 한국형 하악 무치악용 트레이를 제작하여 기존의 트레이와 비교한 결과 선계측값과 길이대 폭 비율에 있어 한국인 모형통계치에 더욱 유사함을 보인다.That is, the conventional commercial mandibular ready-made trays have a narrower narrowing width and an excessively long front and rear length than the Korean edentulous model statistics, indicating that the ready-made trays based on Western standards are not suitable for Koreans in terms of their shape and size. In other words, based on the statistical data of the Korean mandibular archery archery model, a new Korean mandibular jawless tray was produced and compared with the existing trays.
또한, 기존 트레이와 새로 제작된 트레이간의 모형인상시 인상체의 두께를 비교할 때 각 계측 부위서 기존 트레이는 불규칙하여 편차가 큰 것에 비해 새로 제 작된 트레이는 모든 계측부위에서 균일하고 그 편차도 작게 나타난다. 모형상 적합성 검사에서 39개 부위별 인상체 두께분포를 비교시, 이상적인 비가역성 수성 콜로이드 인상재의 두께를 4~6 ㎜라고 볼 때, 기존 트레이는 상당수가 이 범주에서 벗어나 있으나, 새로 제작한 트레이는 극소수만이 이 범주에서 벗어나 있다.In addition, when comparing the thickness of the impression body when the impression of the tray between the existing tray and the newly manufactured tray is compared, the existing tray at each measurement site is irregular and the deviation is large, whereas the newly manufactured tray is uniform and small in all measurement areas. . When comparing the impression thickness distributions of 39 sites in the model conformity test, considering that the ideal irreversible aqueous colloid impression material thickness is 4-6 mm, many of the existing trays deviate from this category, but very few new trays are manufactured. Only is out of this category.
기존의 트레이와 신개발 트레이간의 차이를 검사하기 위해 Pair sample t-test를 시행한 결과 많은 부위에서 유의차를 보인다. 아울러, 실제 임상적용시 인상체 두께를 측정한 결과, 많은 부위가 이상적인 범주에 속하여 임상적으로 적합하다. 즉, 본 발명의 신개발 하악 무치악용 트레이는 기존의 기성 트레이에 비해 한국인 하악 무치악궁의 형태와 크기에 더욱 적합하다.The pair sample t-test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isting tray and the newly developed tray. In addition,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impression thickness during actual clinical application, many sites belong to the ideal category and are clinically suitable. That is, the newly developed mandibular gingival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suitable for the shape and size of Korean mandibular zirconia than the existing ready-made trays.
또한, 본 발명은 ⅰ) 피검자로부터 무치악 주모형을 복제하는 단계; ⅱ) 상기 주모형 내부에 20 내지 50개의 기준점을 설정하고 3차원으로 계측하는 단계; ⅲ) 상기 3차원 계측을 바탕으로 치조제궁의 크기를 분류하는 단계; ⅳ) 상기 분류된 치조제궁의 크기를 3차원 공간좌표로 전환하여 치조제의 형태를 도식화 트레이로 작성하는 단계; 및 ⅴ) 상기 도식화 트레이를 모델링 및 가공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상악 또는 하악 무치악 인상채득용 트레이의 제작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i) replicating the edentulous main model from the subject; Ii) setting 20 to 50 reference points in the main model and measuring them in three dimensions; Iii) classifying the size of the alveolar arch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measurement; Iii) converting the size of the classified alveolar arch into three-dimensional spatial coordinates to form the form of the alveolar into a schematic tray; And iii) modeling and processing the schematic tray, to provide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upper or lower jawless impression impression taking tray.
이때, 상기 상악 또는 하악 무치악 인상채득용 트레이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ⅱ) 단계의 기준점은 39개인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upper or lower jaw gingival impression acquisition tray, it is preferable that the reference point of the step ii) is 39.
또한, 상기 상악 또는 하악 무치악 인상채득용 트레이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3차원 계측은 선계측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선계측은 "4/4 좌우 치조정간의 폭"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upper or lower jaw impression taking tray, the three-dimensional measurement is preferably performed on the line measurement side, and the line measurement is more preferably " width between 4/4 left and right teeth adjustment ".
또한, 상기 상악 또는 하악 무치악 인상채득용 트레이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ⅳ) 단계의 도식화 트레이 작성은 협측, 치조정 및 설측의 3점을 부드러운 곡선으로 연결하는 "S curve"로 트레이 내면 형태를 도식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upper or lower jaw impression taking tray, the drawing tray of step iii) shows the inner surface of the tray with "S curve" which connects three points of buccal, tooth adjustment and lingual in a smooth curve. It is desirable to.
또한, 본 발명은 피검자의 치악 크기에 따른 다수개의 트레이, 상기 피검자의 상악의 경우에는 치조결절 부위의 좌우 치조제정간의 폭을 계측하고, 하악의 경우에는 구후결절의 전방 부위의 좌우 치조제정간의 폭을 계측하는 디바이더, 및 계측되어 길이가 벌어진 상기 디바이더를 원상회복시키지 않은 채로 접촉시켜 서로 대응된 고유색상을 검출하기 위한 기준테이블을 구비하고, 피검자의 치악크기에 따라 다수개의 상악 및 하악트레이로 분류하는 트레이 분류단계; ⅱ) 동일하게 분류된 한 쌍의 상악 및 하악트레이에는 동일한 고유색상을 부여하고 다르게 분류된 각 쌍의 상악 및 하악트레이에는 상이한 고유색상을 부여하는 고유색상 부여단계; ⅲ) 상기 디바이더를 이용해서 상악의 경우에는 치조결절 부위의 좌우 치조제정간의 폭을 계측하고, 하악의 경우에는 구후결절의 전방 부위의 좌우 치조제정간의 폭을 계측하는 디바이더 계측단계; ⅳ) 상기 계측된 디바이더를 그대로 둔 채로 후술하게 될 기준테이블에 재어서 대응되는 고유색상을 검출하는 색상검출단계; 및 ⅴ) 상기 기준테이블의 고유색상에 대응된 트레이쌍을 선택하는 트레이선택단계를 포함하는, 피검자의 치아인상을 채득하기 위한 트레이쌍의 선정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tray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ubject's jaw, the width of the left and right alveolar jeongjak of the alveolar nodules in the case of the maxilla of the subject, the width of the left and right alveolar jeonggap of the anterior region of the posterior nodules in the case of the mandibular And a reference table for detecting the intrinsic color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by contacting the divider, which is measured and the length of which is opened, without being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and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maxillary and mandibular trays according to the tooth size of the examinee. A tray sorting step; Ii) assigning an intrinsic color to a pair of upper and lower jaw trays that are classified in the same manner and assigning a different intrinsic color to each pair of upper and lower jaw trays classified differently; A divider measuring step of measuring width between left and right alveolar ridges of the alveolar nodules in the case of the maxilla, and measuring width of left and right alveolar vices in the anterior segment of the posterior nodules using the divider; Iii) a color detection step of detecting a corresponding eigencolor by measuring the reference table to be described later while leaving the measured divider intact; And iii) a tray selection step of selecting a tray pair corresponding to the intrinsic color of the reference table.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way of examples.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merely to illustrate the invention, but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실시예 1> 연구대상의 선정 및 분류Example 1 Selection and Classification of Research Subjects
<1-1> 연구대상의 선정<1-1> Selection of Research Target
<1-1-1> 상악 연구대상<1-1-1> Maxillary Research Target
한국인 상악 무치악궁에 적합한 예비인상용 트레이의 제작을 위해 K대학교 치과병원 보철과에 내원한 상악 무치악 환자 12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성인 남자 58명, 성인 여자 64명 등 총 122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62.48세(남자 61.74세, 여자 63.16세)였다.122 patients with maxillary dentition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K-Dental Hospital, were prepared for the preparation of preliminary impression trays suitable for Korean maxillary uterus.The average age was 62.48. He was 61 years old (male 61.74, female 63.16).
<1-1-2> 하악 연구대상<1-1-2> Mandibular Research Target
한국인 하악 무치악궁에 적합한 예비인상용 트레이의 제작을 위해 한국인 하악 무치악의 통계자료(강남현 및 최대균, 대한악기능교합학회지, 15권 2호, 1999)를 기초로 하였다. 이 통계자료에 따라 하악 무치악용 트레이를 제작하였고 적합성 검사를 위해 한국인 하악 무치악 모형 64개를 이용하였다.For the fabrication of preliminary impression tray suitable for Korean mandibular arch, Korean mandibular jaw member's statistical data (Kang Nam-hyun and Choi Kyun,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Korean Society of Functional Function, Vol. 15, No. 2, 1999) was used. Based on these statistics, mandibular gingival trays were fabricated and 64 Korean mandibular gingival models were used for the suitability test.
구체적으로, 최근 K대학교 부속병원에 내원하여 총의치 수복을 받았거나 받고있는 남녀 각각 50명, 총 100명 환자를 대상으로 하악 총의치 제작에 있어 인상영역의 핵심이 되는 해부학적인 구조가 모두 인상에 의해 채득되어 쉽게 관찰되는 모형을 대상으로 하악 무치악 주모형을 복제하여 이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Specifically, the anatomical structure, which is the core of the impression area, was acquired by impressions for 50 men and 100 patients, 100 men and women, who had recently received or received a total denture visit to K University Hospital. The main model of the mandibular edentulous mockup was cloned into the easily observed model.
<1-2> 모형의 제작<1-2> Model Making
연구 대상자의 상악 및 하악의 연구용 모형 제작을 위하여 환자의 주모형(master model)을 기성 트레이(Schrene-makers Impression Trays, BV Tandheelkundige producten Clan, Germany)를 사용하여 복제모형을 위한 예비인상을 채득하였으며, 이때 사용한 인상재로는 비가역성 수성 콜로이드 인상재(Aroma Fine DFⅡ, alginate, G-C. Co., Japan)를 사용하였다. 상기 예비인상을 기초로 개인 트레이를 제작하고 변연 형성후 최종인상을 채득하여 최종모형을 만든 다음, 상기 비가역성 콜로이드 인상재로 최종모형을 복제한 후 체득된 인상체에 진공 혼합한 제3형 경석고(New plastone, G-C. Co., Japan)로 연구형 복제모형을 제작하였다(도 1).In order to produce a study model of the upper and lower jaw of the study subjects, a preliminary impression for the cloning model was obtained by using a master tray (Schrene-makers Impression Trays, BV Tandheelkundige producten Clan, Germany). In this case, an irreversible aqueous colloidal impression material (Aroma Fine DF II, alginate, GC. Co., Japan) was used as the impression material. After making the individual tray based on the preliminary impressions, the final impressions were made after the formation of the margins. The final model was duplicated with the irreversible colloidal impression material, and then vacuum mixed with the obtained impressions. plastone, GC. Co., Japan) to produce a research replication model (Fig. 1).
<실시예 2> 상악 무치악 계측Example 2 maxillary edentulous measurement
<2-1> 계측 항목 및 3차원 계측기<2-1> Measurement Items and 3D Measuring Instruments
상기 실시예 <1-1-1>의 실험자를 대상으로 상악 무치악 모형 122개를 선계측하고 각도와 계측 항목간의 비율을 구하였다.For the experimenter of Example <1-1-1>, 122 maxillary edentulous models were premeasured and the ratio between the angle and the measured item was calculated.
각각의 모형마다 39개의 기준점을 설정하였고(도 2), 이를 3차원적으로 계측하였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모형을 제작하고 이들 모형에서 결정된 기준점들을 3차원적(넓이, 길이, 높이/ X, Y, Z 좌표)인 좌표로 측정하기 위해 별도로 고안된 3 차원 계측기를 이용하였다. 상기 계측기의 정밀도 0.01 ㎜이고, 소수점 둘째자리(0.01 ㎜)까지 측정이 가능한 2개의 디지털 버니어 캘리퍼(digital vernier caliper)(Mitutoyo Co., Japan)와 1개의 디지털 깊이측정기(digital depth gauge)(Mitutoyo Co., Japan) 및 조정 테이블(adjustable table)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로 인해 3차원적인 각 점들이 숫자로 제공되고 이를 계측할 수 있다(도 3a 및 도 3b).For each model, 39 reference points were set (FIG. 2) and measured in three dimensions. Specifically, a separate three-dimensional instrument was used to fabricate each model and measure the reference points determined in these models in coordinates that are three-dimensional (width, length, height / X, Y, Z coordinates). Two digital vernier calipers (Mitutoyo Co., Japan) and one digital depth gauge (Mitutoyo Co.) with a precision of 0.01 mm and capable of measuring to two decimal places (0.01 mm) , Japan) and an adjustable table, whereby each three-dimensional point is provided as a number and can be measured (FIGS. 3A and 3B).
<2-2> 기준 평면, 기준선 및 기준점 설정<2-2> Setting the reference plane, baseline, and reference point
모형 계측의 표준화를 위하여 절치유두(incisal apilla)와 양측 익돌절흔(hamular notch)이 0.01 ㎜의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 높이, 즉 동일한 Z 좌표를 가지도록 조정 테이블을 조절하여 기준평면을 설정하였다.In order to standardize the model measurement, the reference plane was set by adjusting the adjustment table so that the incisal apilla and the hamular notch had the same height, that is, the same Z coordinate, within an error range of 0.01 mm.
기준선은 계측점의 설정에 앞서 절치유두와 구개 정중봉합선(midpalatal suture)을 연결한 선을 따라 종적으로 표현되는 선을 기준 세로선, 횡적으로 교차하는 선을 기준 가로선으로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도 4). 세로선은 ① 절치유두와 구개 정중봉합선을 연결한 선(Line M), ② 치조정선(alveolar ridge crest)을 연결한 선(Line R), ③ 변연의 가장 깊은 부위(Line B) 및 ④ Line M과 Line B사이의 이등분선(Line A)으로 이루어지며, 가로선은 Line M을 횡단하는 선으로 절치유두에서 양측 익돌절흔을 이은선까지의 전후거리를 4등분한 선(1/4선, 2/4선, 3/4, 4/4선)과 절단유두(incisal papilla)와 1/4선 사이를 이등분한 선(1/8선)으로 이루어졌다.Before setting the measurement point, the reference line was vertically set as the reference vertical line and the horizontally intersecting line as the reference horizontal line along the line connecting the incision nipple and the palatal midpalatal suture (Fig. 4). . The vertical line is ① line connecting the incisor nipple and palatal medial suture line, ② line connecting the alveolar ridge crest (Line R), ③ the deepest part of the margin (Line B), and ④ Line M It consists of a bisector line (Line A) between Line B. The horizontal line is a line that crosses Line M and divides the front and back distances from the incisor nipple to the line connecting the two pterygoid scars (1/4 line, 2/4 line, 3/4, 4/4 line) and bisected lines (1/8 line) between the incisal papilla and quarter line.
기준점을 설정하기 위하여, 교차점 계측은 가로선과 세로선들이 교차하는 점들을 3차원 계측기를 이용하여 X, Y, Z좌표를 각각 계측하였다. 소대 계측은 소대(frenum)의 세 변곡점을 각각 계측하였으며 협측 소대(buccal frenum)는 명확한 경우에 계측을 시행하였고 두 가지로 나타날 경우, 더 뚜렷한 소대를 계측하였다. 특히, 이 통계자료에서 계측한 항목 중 선계측항목(도 5)의 값을 트레이 제작에 이용하였다.In order to set the reference point, the intersection measurement measured X, Y, and Z coordinates by using a three-dimensional measuring device where the horizontal lines and the vertical lines intersect. Platoons measured the three inflection points of the platoons, and buccal frenums were measured in clear cases and, in two cases, more pronounced platoons. In particular, the value of the line measurement item (FIG. 5) among the items measured by this statistical data was used for tray manufacture.
<2-3> 통계처리 및 분석<2-3> Statistical processing and analysis
통계처리 및 분석은 상악 무치악 치조제궁에 대한 평가를 위하여 선계측값, 계측비, 각도를 각각 구하였으며, 이에 따른 각 항목의 평균값(남녀 t-test), 각도와 계측비를 이용한 수평, 시상, 전두면에서 형태적인 평가 및 분류를 시행하였으며 이를 위해 군집분석(K-means clustering), ANOVA test와 이에 대한 사후 검정으로 사후 분석(Duncan's test)을 이용하였고, 특히 치조제궁의 수평적인 형태 분류에 있어서는 육안을 통한 임상적 분류를 이용하여 수평적 형태 분류를 시행하였다. 소대 분석에서는 순측 소대와 협측 소대의 폭과 길이에 대해 평균을 구하였으며, 협측 소대의 경우 전후 길이에 대한 상대적인 평균 위치와, 주행각도를 검사하였다. 총의치 무치악 인상을 위한 트레이 제작을 위해 변연의 수평 항목이 중요하며, 임상적으로 트레이가 작아서 발생하는 문제가 많은 점을 고려하여, 변연 수평 항목의 최대-최소간의 변화량을 조사하고, 수평항목 중 가장 큰 선계측 값을 보이는 항목을 조사한 다음, 이에 기초하여 크기 분류를 위한 항목을 설정한 후, 이를 기준으로 크기 분류를 시행하였다. 그리고 크기 군에 따른 각 항목의 평균값을 구하였으며, 군간의 차이, 및 사후 분석은 형태분류와 같은 방법으로 통계처리 하였다.Statistical analysis and analysi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premeasurement value, measurement ratio, and angle for the evaluation of maxillary alveolar alveolar uterus, and according to the mean value of each item (male and female t-test), horizontal, sagittal, Morphological evaluation and classification were performed on the frontal plane. For this purpose, K-means clustering, ANOVA test, and post-mortem analysis (Duncan's test) were used. Horizontal morphology was performed using visual classification. In platoon analysis, the mean and width of naval platoons and buccal platoons were averaged. For the buccal platoons, the average position and the angle of travel were examined. In order to produce a tray for the total denture impression, the horizontal item of the margin is important, and considering the problem that is caused by the small tray clinically, the maximum and minimum changes of the horizontal item of the margin are investigated, and the most After the items with large line measurement value were examined, the items for size classification were set based on them, and then the size classification was performed based on this. The mean value of each item according to the size group was obtain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and the post analysis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in the same way as the shape classification.
<2-4> 계측 항목별 측정<2-4> Measurement by measurement item
교차점의 3차원 계측 좌표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계측 항목을 측정하였다.The following measurement items were measured using the three-dimensional measurement coordinates of the intersection points.
<2-4-1> 선계측 항목<2-4-1> Line measurement item
폭경(width)은 변연과 치조제의 폭경을 1/8, 1/4, 2/4, 3/4, 4/4 기준선에서 각각 구하였다. 이때, 변연 폭경(border width)은 ① B 1/8 W, ② B 1/4 W, ③B 2/4 W, ④ B 3/4 W이고, 치조제 폭경(ridge crest width)은 ① R 1/8 W, ② R 1/4 W, ③ R 2/4 W, ④ R 3/4 W, ⑤ R 4/4 W로 나타내었다. 또한, 전후거리(length)는 절치유두에서 양측 익돌 절흔을 이은선에 수직하는 거리를 1/8, 1/4, 2/4, 3/4, 4/4 기준선에서 구하였는데, 이를 ① 1/8 H, ② 1/4 H, ③ 2/4 H, ④ 3/4H, ⑤ 4/4 H로 나타내었다. 변연깊이(border depth)는 계측점의 깊이를 기준 수평면에서의 거리로 구하였는데, 이를 ① B ant. D(순측소대 기저부의 변곡점 이용하여 계측), ② B 1/8 D, ③ B 1/4 D, ④ B 2/4 D, ⑤ B 3/4 D로 나타내었다. 치조제 높이(ridge crest depth)는 계측점의 깊이를 기준 수평면에서의 거리로 구하였는데, 이를 ① R 1/8 D, ② R 1/4 D, ③ R 2/4 D, ④ R 3/4 D로 나타내었다. 변연에서 치조제 높이(border-ridge crest depth)는 변연에서 치조제까지의 수직 깊이 값을 측 정하였는데, 이를 ① B-R 1/8 D, ② B-R 1/4 D, ③ B-R 2/4 D, ④ B-R 3/4 D로 나타내었다. 구개깊이(palatal vault depth)는 Line M, Line A의 계측점을 이용하여 기준 수평면에서의 거리로 구하였는데, 이를 Line M은 ① M 1/4 D, ② M 2/4 D, ③ M 3/4 D, ④ M 4/4 D로 나타내고, Line A는 ① A 1/4 D, ② A 2/4 D, ③ A 3/4 D, ④ A 4/4 D로 나타내었다.The widths of the margins and the alveolar widths were obtained at 1/8, 1/4, 2/4, 3/4, and 4/4 baselines,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border width is ①
이에 따라, 선계측 항목 계측치의 평균을 구하였다(표 1).Thereby, the average of the line measurement item measured values was calculated (Table 1).
상기 표 1에 제시한 바와 같이, 선계측 항목의 평균을 기준 가로선 및 세로선의 교차점의 5개 항목(M4/4D, A1/4D, R3/4D, B3/4D, B1/8W)을 제외한 나머지 29 항목에서는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As shown in Table 1 above, the average of the line measurement items is the remaining 29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P <0.05).
<2-4-2> 수평면, 시상면, 전두면의 각도(도 6)<2-4-2> Angle of horizontal plane, sagittal plane and frontal plane (FIG. 6)
이때, 수평각은 변연 각도 항목(border angle)으로 ① B 1/8 A, ②B 1/4 A, ③ B 2/4 A, ④B 3/4 A, ⑤ B 4/4 A로 나타내고, 치조제 각도 항목(ridge crest angle)은 ① R 1/8 A, ② R 1/4 A, ③ R 2/4 A, ④ R 3/4 A, ⑤ R 4/4 A로 나타내었다. 시상각은 ① 0-1 A, ② 1-2 A, ③ 2-3 A, ④ 3-4 A, ⑤ 0-1-2 A, ⑥ 1-2-3 A, ⑦ 2-3-4 A, ⑧ 0-3-4 A로 나타내고, 전두각은 ① AMA 2/4 A, ② AMA 3/4 A, ③MAB 2/4 A, ④ MAB 3/4 A로 나타내었다.In this case, the horizontal angle is indicated by the border angle item ①
그리고, 계측비는 선계측 항목간의 비율을 수평면과 전두면에서 구하였다. 이때, 수평면은 폭간의 비율을 ① R 8 : 3 Ra.(Ridge 1/8 line width : 3/4 line width Ratio), ② R 1 : 3 Ra.(Ridge 1/4 line width : 3/4 line width Ratio), ③ R 2 : 3 Ra.(Ridge 2/4 line width : 3/4 line width Ratio), ④ R 4 : 3 Ra.(Ridge 4/4 line width : 3/4 line width Ratio), ⑤ B 8 : 3 Ra.(Border 1/8 line width : 3/4 line width Ratio), ⑥ B 1 : 3 Ra.(Border 1/4 line width : 3/4 line width Ratio), ⑦ B 2 : 3 Ra.(Border 2/4 line width : 3/4 line width Ratio), ⑧ B 4 : 3 Ra.(Border 4/4 line width : 3/4 line width Ratio)로 나타내고, 폭 대 길이의 비율은 ① R 1/8 LW Ra.(Ridge 1/8 line length : width Ratio), ② R 1/4 LW Ra.(Ridge 1/8 line length : width Ratio), ③ R 2/4 LW Ra.(Ridge 1/8 line length : width Ratio), ④ R 3/4 LW Ra.(Ridge 1/8 line length : width Ratio), ⑤ H-N LW Ra.(4/4 line length : width Ratio), ⑥ B 1/8 LW Ra.(Border 1/8 line length : width Ratio), ⑦ B 1/4 LW Ra.(Border 1/8 line length : width Ratio), ⑧ B 2/4 LW Ra.(Border 1/8 line length : width Ratio), ⑨ B 3/4 LW Ra.(Border 1/8 line length : width Ratio)로 나타내었다. 전두면은 깊이 대 폭 간의 비율은 ① 2/4 D : W Ra.(2/4 line depth : width Ratio), ② 2/4 D : W Ra(2/4 line depth : width Ratio)로 나타내었다.In addition, the measurement ratio calculated | required the ratio between line measurement items in the horizontal plane and the frontal plane. At this time, the horizontal plane is the ratio between width ① R 8: 3 Ra. (
<2-5> 육안적 분류에 의한 형태분류<2-5>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by Visual Classification
<2-5-1> 수평면에서 형태분류<2-5-1> Classification in horizontal plane
임상 경력 5년 이상의 치과의사 5명으로 하여금 육안적으로 임상적 V, O, U형을 분류하게 한 다음 공통적으로 4번 이상 동일한 형태로 분류된 모형을 통계 처리하여 수평 형태 분류에 대한 기준으로 설정하였다.Five dentists with 5 years or more of clinical experience visually classify clinical V, O, and U types, and then statistically process the model classified four or more times as the basis for horizontal classification. It was.
그 결과 4번 이상 동일한 형태로 분류되는 모형은 52개(42.6%)였으며, 나머지 70개(57.4%)는 다양하게 분포하였다(표 2).As a result, 52 models (42.6%) were classified in the same form more than four times, and the remaining 70 (57.4%) were distributed in various ways (Table 2).
미분류 : 동일한 형태가 4번 이하로 나타난 것Unclassified: the same form appears no more than 4 times
또한, 임상적 분류 군간의 계측 항목간에 차이는 분산분석을 시행한 결과, 변연 항목보다는 치조제 항목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표 3). 이는 육안에 의한 임상적 분류가 변연보다는 치조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In addition, the differences among the measurement items among the clinical classification groups showed differences in alveolar items rather than marginal items as a result of variance analysis (Table 3). It was confirmed that the clinical classification by the naked eye was based on alveolar rather than margin.
* : 유효차(significatly different) (P < 0.05)*: Significantly different (P <0.05)
상기 임상적 분류에 의해 계측 항목간에 차이를 보이는 치조제 항목(표 3)을 기준 가로선 2/4선을 기준으로 전 후로 전방, 후방 치조제 항목으로 나누었으며, 전방 치조제 항목 중 임상적 분류 군간에 차이를 보이는 항목은 6 항목으로 R1/8A, R1/4A, R8:3Ra., R1:3Ra., R1/8LW Ra., R1/4LW Ra.이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임상적 분류 군간의 차이의 양태를 알아보기 위해 사후 분석(Duncan's test)을 시행한 결과 임상적 O, U 형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임상적 V형은 임상적 O, U 형과 차이를 보이며, 형태학적으로 O, U형은 난형-활 모양(ovoid arch)을, T형은 가는 활 모양(taper arch)을 나타내었다(도 7).The alveolar items (Table 3) show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items according to the above clinical classification were divided into front and rear alveolar items based on the reference
따라서 육안에 의한 임상적 분류에서 군간에 차이를 보이는 전방 항목 6항목을 이용하여 전체를 난(ovoid; O)형과 테이퍼(taper; T)형으로 분류하였다.Therefore, all three items were classified into ovoid (O) type and taper (T) type by using the
후방 치조제 항목 항목중 임상적 분류 군간에 차이를 보이는 항목은 2 항목으로 R3/4A, R3/4LW Ra.이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군간의 차이의 양태를 알아보기 위해 사후 분석(Duncan's test)을 시행한 결과, 임상적 O형과 U형 사이에 차이가 있었으며, 형태학적으로 후방 3/4 수평기준선 부위에서 넓은(wide; W) 궁형과 좁은(narrow; N)한 궁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도 7). 임상적 V형은 W형과 N형에 다양하게 분포하였다. 따라서 육안에 의한 임상적 분류에서 군간에 차이를 보이는 후방 항목을 이용하여 전체를 W형과 N형으로 분류하였다.Among the items of the posterior alveolar item, there were 2 items which show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clinical classification groups. R3 / 4A and R3 / 4LW Ra. The Duncan's test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As a resul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clinical type O and type U, and morphologically, it could be classified into wide (W) arch and narrow (N) arch in the
이와 같이 전방 치조제 항목과 후방 치조제 항목에 의해 분류된 형태를 서로 조합하여 4가지(T-W, T-N, O-W, O-N형)형태로 분류 할 수 있었고, 그 결과 O-W형이 33%로 가장 많이 분포하였고, T-W형이 11%로 가장 적게 분포하였다(표 4).In this way, the types classified by the front and rear alveolar item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TW, TN, OW, ON type) by combining them, and as a result, the OW type was most distributed with 33%. TW was the least distributed (11%) (Table 4).
각 4 형태에 대한 치조제의 비율 항목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6차 함수식을 구하였다(도 8a 내지 도 8d). 그 결과, 평균 94%이상 표현 가능하였다. 육안에 의한 V, O, U형 분류는 특징을 가지는 일부 모형의 분류에만 적합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가능한 차이를 보이는 항목을 중심으로 전체를 분류한 결과 전, 후 방에 있어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The sixth order equation was obtained using the average value of the ratio items of the alveolar for each of the four forms (Figs. 8A to 8D). As a result, 94% or more of averages could be expressed. The classification of V, O, and U by the naked eye was only suitable for the classification of some models with characteristics, and based on this, the whole classification was based on the items showing possible differences.
<2-5-2> 시상면에서 구개 형태 분류<2-5-2> Cleft palate in sagittal plane
중앙 기준선을 절단한 시상면에서 각도 항목을 이용하여 경구개의 구개 경사도를 검사하였다.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어지는 경사도에 대해 각도 항목을 이용하여 경사도에 따라 3가지(steep, mildly inclined, flat)형태로 군집 분석(K-means clustering)을 시행한 결과, 약간 경사진(mildly inclined)형(51.6%), 급경사(steep)형(39.3%), 편평한(flat)형(9.0%) 순으로 분포하였고, 사후 분석 시행 결과 0-1-2 A(절치유두에서 1/4선, 2/4선으로 이행되는 각도)를 제외 한 모든 항목에서 형태간에 서로 각각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도 9 및 표 5). 이러한 시상면의 전방부분에서 후방으로 이행되는 각도는 전방부의 치조제 높이와 상관성이 있었으며, 또한 이는 치조제의 흡수 정도와 상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The palatal inclination of the palate was examined using an angle item in the sagittal plane cut off the central baseline. K-means clustering was performed in three forms (steep, mildly inclined, and flat)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using the angle item for the inclination from the front to the back. 51.6%), steep (39.3%), and flat (9.0%), followed by post-analysis 0-1-2 A (1/4 line in incision nipple, 2/4). Except for the angle shifted to the line, all items showed differences between the forms (Fig. 9 and Table 5). The angle shifted from the anterior part of the sagittal plane to the rear was correlated with the alveolar height of the anterior part, which was also correlated with the degree of absorption of the alveolar agent.
<2-5-3> 전두면에서 구개 형태 분류<2-5-3> Cleft palate in frontal plane
수평 기준선 2/4, 3/4 선에서 절단한 전두면에서 각도와 비율 항목을 이용하여 3가지 형태로 군집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 정중봉합선을 중심으로하는 각도(AMA 2/4, 3/4 A)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AMA 2/4 A, 3/4 A의 평균 각도가 127.03˚, 133.13˚인 형태를 V-궁형, 144.48˚, 148.27˚인 형태를 O-궁형, 161.11˚, 157.89˚인 형태를 U-궁형으로 명명하였다. 각 형태의 분포는 O-궁형(41.0%), U-궁형(39.3%), V-궁형(19.7%)순으로 분포하였다(도 10 및 표 6). 깊이와 치조제 폭의 비율을 조사한 결과 V형은 깊고 좁은 구개 형태를 보이고 있었다.Three types of cluster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frontal planes cut from the
<2-6> 소대 분석<2-6> Platoon Analysis
소대의 기저부와 첨부의 세 변곡점을 계측하여 폭과 길이를 구하였으며, 협측 소대에서는 길이에 대한 상대적인 전후 위치 및 주행 방향을 검사하였다(도 11 및 표 7)The base and the three inflection points of the platoon were measured to determine the width and length. In the buccal platoon, the relative front-back position and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plaque were examined (Fig. 11 and Table 7).
그 결과, 순측 소대의 길이는 평균 6.55 ㎜였으며, 폭은 평균 4.60 ㎜로 길이가 더 길었다. 또한, 협측 소대의 길이는 평균 5.31 ㎜였으며, 폭은 평균 7.12 ㎜로 폭이 더 큰 값을 보였으며, 협측 소대의 전후 길이에 대한 평균적인 위치를 통계 처리한 결과, 치조제의 전후길이를 1로 기준하였을 때, 전방에서 0.32 부위에 평균 위치하였고, 변연의 전후 길이를 1로 기준하였을 때 0.36 부위에 평균 위치하였다. 또한 협측 소대의 주행 각도는 소대의 두 변곡 기저점에 대해 82.57˚로 원심으로 주행하고 있었다.As a result, the length of the labial plaque was 6.55 mm in average, and the width was longer in average at 4.60 mm. In addition, the average length of the buccal platoon was 5.31 mm, the width was 7.12 mm, and the width was larger, and the average position of the buccal platoon was measured statistically. The average position was located at 0.32 region from the front, and the average position was 0.36 region based on the front and rear length of the margin. In addition, the driving angle of the buccal platoon was centrifugally traveling at 82.57 degrees with respect to the two inflection bases of the platoon.
해부학적으로 협측 소대는 소구치부에서 기시하여 모디울러스(modiulus) 부위로 진행한다고 보도되었는데(Hicky, J.C. et. al., BOUCHER'S Prosthodontic Treatment for dental Patients, St. Louis, The C.V. Mosby Co., 1975), 이러한 협측 소대의 위치와 각도는 트레이 제작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Anatomically, the buccal platoon originated from the premolar and reportedly progressed to the modiulus site (Hicky, JC et. Al. , BOUCHER'S Prosthodontic Treatment for dental Patients , St. Louis, The CV Mosby Co., 1975 ), The position and angle of the buccal platoon are important factors in the manufacture of the tray.
* 위치(R): 치조제 4/4 길이에서 상대적 위치Position (R): relative position in the
* 위치(B): 변연 4/4 길이에서 상대적 위치* Position (B): relative position at 4/4 of the margin
성별에 따른 유효차는 없음(P < 0.05)There is no effective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P <0.05)
<2-7> 크기에 따른 분류<2-7> Classification according to size
총의치 무치악 인상을 위한 트레이 제작을 위해 변연의 수평 항목이 중요하며, 임상적으로 트레이가 작아서 생기는 문제가 많은 점을 고려하여, 변연 수평 항목의 최대-최소간의 변화량을 조사하고, 수평항목 중 가장 큰 선계측 값을 보이는 항목을 조사한 다음, 이에 기초하여 크기 분류를 위한 항목을 설정한 후 이를 기준으로 크기 분류를 시행하였다.In order to produce a tray for the total denture impression, the horizontal part of the margin is important, and considering the problem that is caused by the small tray clinically, the maximum and minimum variation of the horizontal part of the margin is investigated, and the largest After the items showing the line measurement value were examined, the items for size classification were set based on the size classification.
수평 항목의 최대-최소 변화량의 범위를 보이는 항목은 변연 3/4 폭경이었다(표 8).The item showing the range of maximum and minimum changes in the horizontal item was the marginal 3/4 width (Table 8).
또한, 수평 항목 중 가장 큰 선계측값을 보이는 항목은 변연 3/4 폭경이었다(표 1). 따라서, 무치악을 위한 인상에서 수평적인 요소가 중요할 것으로 판단하여 변연 3/4 폭경 항목(평균 63.52 ㎜, 범위 22.50 ㎜)을 중심으로 크기 분류를 시행하였다.In addition, the item showing the largest line measurement value among the horizontal items was the
크기 분류는 인상재의 두께가 인상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과 변연에서의 인상재 두께를 고려하여 변연 3/4 폭경의 평균에서 4 ㎜ 단위로 크기 분류를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 크기 1(57.5 ㎜ 이하), 크기 2(57.5-61.5 ㎜), 크기 3(61.5-65.5 ㎜), 크기 4(65.5-69.5 ㎜), 크기 5(69.5 ㎜ 이상)로 분류 할 수 있었으며, 크기 3이 가장 많이 분포하였다(표 9).Size classification was performed in 4 mm increments from the average of 3/4 width margins, considering the effect of the thickness of the impression material on the accuracy of the impression and the impression material thickness at the margin. Size 2 (57.5-61.5 ㎜), size 3 (61.5-65.5 ㎜), size 4 (65.5-69.5 ㎜), size 5 (69.5 ㎜ or more), and
크기 군에 따른 수직 항목의 평균을 구하고(표 10), 또한 크기 군간에 따른 수직 항목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분산 분석을 시행한 결과, 치조제와 변연의 수직 깊이 항목에서는 B-R 3/4 D를 제외한 나머지 항목에서 크기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P<0.05). 이로서 깊이에 대한 차이보다는 폭에 의한 차이가 많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구개깊이에 있어서는 2/4, 3/4, 4/4 깊이에서 군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P<0.05), 차이의 양태는 크기 5(69.5 ㎜ 이상)군에서 깊이 차이가 현저하였다(도 12). 하지만 구개 깊이 항목의 차이보다 폭의 의한 차이가 많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The average of vertical items by size group was calculated (Table 10), and variance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of vertical items between size groups.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the size groups in the remaining items (P <0.05).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in width was more than the difference in depth. However, in the depth of the palate,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at depths of 2/4, 3/4, and 4/4 (P <0.05), and the aspect of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in the size 5 (69.5 mm or more) group ( 12).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in width was greater than the difference in palatal depth items.
크기군에 따른 수평 항목의 평균을 구하고(표 11), 또한 크기 군간에 따른 수평 항목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분산 분석을 시행한 결과(표 12), 수평 항목 모두에서 차이가 있었으며(P< 0.05), 차이의 양태를 사후 분석을 이용하여 검사한 결과 치조제, 변연 성분 1/8 폭경에서 3/4 폭경으로 이행하면서 크기 군에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며, 3/4 폭경에서 4/4 폭경으로 이행하면서 다시 그 차이가 줄어들었다. 또한 치조제 보다는 변연의 폭을 중심으로 크기 군에 따른 차이의 양태는 뚜렷하게 나타났다. 한편, 길이 항목을 사후 분석한 결과, 폭 성분에서 크기 군에 따른 차이만큼 길이에 대한 크기 군간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표 13).As a result of variance analysis (Table 12) to find the mean of the horizontal items according to the size group (Table 11), and to find the difference of the horizontal items according to the size group (Table 12), there was a difference in all the horizontal items (P <0.05). ), The pattern of difference was examined using a post hoc analysis. As a result, the alveolar and marginal components shifted from 1/8 width to 3/4 width, and there was a marked difference in size group, and from 3/4 width to 4/4 width As we implemented, the gaps again diminished.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size by the size of the margin was more apparent than the alveolar agent.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the post analysis of the length item, the difference between the size group for the length by the difference in the size group in the width component was not clear (Table 13).
* 유효차 (P < 0.05)Effective difference (P <0.05)
동일한 수치의 평균을 갖는 것은 유효차가 없음(P < 0.05)There is no effective difference with the average of the same values (P <0.05)
또한, 크기 군에 따른 폭 항목을 비교 종합한 그래프를 작성하였다(도 13a 및 도 13b).In addition, a graph in which the width items according to the size groups were compared and synthesized was created (FIGS. 13A and 13B).
상기 실시예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The results of the above example are summarized as follows.
1) 치조제의 폭 항목 모든 부위에서 유의차가 있었다(P<0.05).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areas of alveolar width (P <0.05).
2) 변연의 폭 항목 모든 부위에서 유의차가 있었다(P<0.05).2)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areas of margin width (P <0.05).
3) 구개 깊이 항목 중 2/4D, 3/4D, 4/4D에서만 유의차(P<0.05)가 있었고, 나머지 항목에서는 유의차가 없었다.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P <0.05) only in 2 / 4D, 3 / 4D, and 4 / 4D among the palatal depth items.
4) 변연, 치조제 깊이 항목 중 B 3/4D에서만 유의차 (P<0.05)가 있었고, 나머지 항목에서는 차이가 없었다.4)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P <0.05) in
이상과 같이 변연 3/4 폭경을 중심으로 한 크기 분류가 폭 항목을 중심으로 적절히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As described above, it was found that the size classification centered on the marginal 3/4 width diameter appeared appropriately centered on the width item.
<실시예 3> 하악 무치악 계측Example 3 Mandibular Edentulous Measurement
<3-1> 계측방법<3-1> Measuring method
기준평면이 결정된 모형을 계측이 가능한 위치로 기저판 위에서 평행 이동하고 이 위치에서 모든 계측점의 기준이 되는 기준점을 설정하게 된다. 이 기준점으로는 정중선과 전치부 협측 변연이 만나는 위치의 최전방점(도 1의 1)으로 설정하였다. 이 기준점에 수직 게이지(depth gauge)가 부착된 수직팔(vertical arm)의 끝에 있는 계측침을 놓고 각각 3개의 계측기 수치 (X. Y. Z)가 ‘0.00’의 값을 갖도록 영점 조절을 시행한 다음 기준점을 1)부터 순차적으로 39)까지 X, Y, Z의 값을 측정하여 그 각각의 측정값을 컴퓨터(EXCEL, IBM compatible 586)에 입력하였다. 그 각각의 계측값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선계측, 각도의 계측 및 선계측 항목간 비율을 산출하였다.The model where the reference plane is determined is moved parallel to the base plate to the position where it can be measured, and the reference point that is the reference point of all measurement points is set at this position. This reference point was set to the foremost point (1 in Fig. 1) where the midline and the anterior buccal buccal margin meet. Place the measuring needle at the end of the vertical arm with the depth gauge attached to this reference point, zero-adjust so that each of the three meter readings (XY Z) has a value of '0.00' and then set the reference point. The values of X, Y, and Z were measured sequentially from 1) to 39), and the respective measured values were input to a computer (EXCEL, IBM compatible 586). Through the respective measured values, the following line measurement, angle measurement, and ratio between line measurement items were calculated.
<3-2> 계측 결과<3-2> measurement result
상기 실시예 <1-1-2>에서 설정된 남, 여 각각 50개씩 100개의 모형에 39개의 기준점을 표시한 후에 3차원 계측기를 이용하여 각 기준점의 X, Y, Z의 좌표값을 측정하고 이를 기준하여 선계측 항목, 각계측 항목 및 선계측 항목간의 비를 구하였다. 이 값들의 평균, 표준편차를 표 14 및 표 15에 제시하였다.After displaying 39 reference points in 100 models of 50 males and 50 females each set in Example <1-1-2>, the coordinate values of X, Y, and Z of each reference point are measured using a 3D measuring instrument. The ratio between line measurement items, each measurement item, and line measurement items was obtained as a reference.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se values are presented in Table 14 and Table 15.
각 계측항목에서 남, 여간 유의차를 살펴보기 위해 34개의 선계측항목, 5개의 각계측항목 및 7개의 선계측항목간의 비율의 남, 여간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이를 t-test를 통하여 각 항목에서 남, 여간의 유의차를 비교해 보았다.In order to examine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each measurement item, the male and femal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ratios between 34 line items, 5 each item and 7 line items were calculated. Th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were compared.
34개의 선계측항목중에 총전후방 길이(남자평균: 50.84, 여자평균: 49.85, 총평균: 50.34 ㎜), 3/4 좌우 치조정간의 폭(남자평균: 51.47, 여자평균: 51.06, 총평균: 51.27 ㎜)과 4/4 좌우 치조정간의 폭(남자평균: 57.76, 여자평균: 57.38, 총평균: 57.57 ㎜)의 3개 항목에서 남, 여간 성별에 따른 유의차를 보였다(p ≤ 0.05).Of 34 line items, total anterior and posterior length (male average: 50.84, female average: 49.85, total average: 50.34 mm), 3/4 width between left and right adjustment (male average: 51.47, female average: 51.06, total average: 51.27 ㎜) and 4/4 left and right teeth adjustment (male mean: 57.76, female mean: 57.38, total mean: 57.57 mm)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male and female sex (p ≤ 0.05).
<3-3> 치조제궁의 분류 및 결과분석<3-3> Classification and Results Analysis of Alveolar Palace
모든 선계측항목 중에서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최소값: 45.58 ㎜, 최대값: 66.87 ㎜, 평균값: 57.57 ㎜ 및 최대 최소 범위: 21.29 ㎜) 가장 큰 항목은 ‘4/4 좌우 치조정간의 폭’ 항목이었고 이를 치조제궁의 크기를 분류하는 기준선으로 결정하였다. 이에 따라 분류된 치조제궁의 크기군들이 다른 계측항목에서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먼저 치조제궁의 크기를 분류하기 위해 4/4 좌우 치조정간의 폭의 평균값인 57.57 ㎜를 분류의 중간값으로 하고 이들을 4 ㎜간격으로 각각의 군을 분류하였다. 이때 4 ㎜의 값은 비가역성 수성 콜로이드 인상재가 가장 정밀한 복재가 가능한 인상재의 두께는 4~6 ㎜일 때이며 이를 좌우 양측 변연에서 각각 2 ㎜의 안정역이 있으므로 이를 양측으로 계산하였을 때 4 ㎜의 범위가 된다는 계산에 따라서 4/4치조정간의 폭을 1군(48 ㎜이하), 2군(48~52 ㎜), 3군(52~56 ㎜), 4군(56~60 ㎜), 5군(60~64 ㎜)과 6군(64 ㎜ 이상)의 6개의 군으로 나누었다.Among all line measurement items,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minimum value: 45.58 mm, maximum value: 66.87 mm, average value: 57.57 mm, and maximum minimum range: 21.29 mm) is the largest item. It was determined as a baseline to classify the size of alveolar uterus. This study examined how the size groups of the alveolar uterus categorized correlated with other measurement items. First, in order to classify the size of alveolar uterus, 57.57 mm, which is the average value of the width between the 4/4 left and right teeth adjustments, was used as the median of classification, and each group was classified at 4 mm intervals. In this case, the value of 4 mm is when the thickness of the impression material capable of the most precise reproduction of the irreversible aqueous colloid impression material is 4 to 6 mm.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the width between 4/4 adjustments is 1 group (48 mm or less), 2 groups (48 to 52 mm), 3 groups (52 to 56 mm), 4 groups (56 to 60 mm), 5 groups ( 60-64 mm) and 6 groups (64 mm or more).
각 6개의 군의 분포는 56~60 ㎜의 4군이 51명으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으며 3군(52~56 ㎜) 23명, 5군(60~64 ㎜) 18명, 1, 2군(48 ㎜ 이하, 48~52 ㎜) 각각 3명 및 6군(64 ㎜ 이상) 2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은 정규분포 곡선을 나타내고 있다(표 16).The distribution of each of the six groups was the highest in 51 groups of 56 to 60 mm, with 23 patients in group 3 (52 to 56 mm), 18 groups for group 5 (60 to 64 mm), 1 group and 2 groups. (48 mm or less, 48 to 52 mm) and 3 persons and 6 groups (64 mm and more), respectively, in the order of 2 people, and they show a normal distribution curve (Table 16).
모든 모형을 6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이를 토대로 트레이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각각 그룹의 평균 계측 항목값이 필요하여 이를 측정하였다(표 17 및 표 18).In order to divide all the models into six groups and to make trays based on these, the average measurement item values of each group were needed and measured (Table 17 and Table 18).
각군에 따른 각 계측항목의 평균값을 살펴보면 전후방 길이 항목에서 치조제궁의 분류 군이 커짐에 따라 전후방 길이의 항목도 치조제궁의 4/4 치조정간의 폭에 비례하여 증가함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치조제궁의 크기 군이 증가함에 따라 좌우 폭 항목도 몇 항목의 예외는 있었으나 대체로 비례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Looking at the mean value of each measurement item according to each group, as the classification group of alveolar uterus increased in the anterior-and-rear length category, the anterior-and-forth-length item also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width between the 4/4 tooth adjustments of the alveolar arch. Also, as the size of alveolar uterus increased, the left and right width items also increased proportionally, although there were some exceptions.
남자 50명, 여자 50명 총 100명의 한국인 하악 무치악자 치조제궁의 크기 및 형태를 관찰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The results of observing the size and shape of the Korean mandibular alveolar alveolar uterus, 50 males and 50 females, are as follows.
1. 선계측 항목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측정한 결과, ① 총전후방 길이(TAP), ② 3/4 좌우 치조정간의폭(AW3) 및 ③ 4/4 좌우 치조정간의 폭(AW4)의 3가지 항목에서만 남, 여간 성별에 따른 유의차를 보였다(p ≤ 0.05).1.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line measurement items, 1) the total front and rear length (TAP), ② the width between 3/4 left and right adjustment (AW3) and ③ the width between 4/4 left and right adjustment (AW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male and female genders only in the branches (p ≤ 0.05).
2. 치조제궁의 크기는 전후적인 변화(최소값 31.52 ㎜, 최대값 48.36 ㎜, 평균값 41.30 ㎜)보다는 좌우적 폭경변화, 특히 좌우 구후결절 전방점을 이은 기준선(4/4 좌우 치조정간의 폭; 최소값 45.58 ㎜, 최대값 66.87 ㎜, 평균값 57.57 ㎜)에서 가장 큰 변화를 보였으며, 이는 트레이 크기 분류의 기준선으로 이용할 수 있었다.2. The size of the alveolar uterus is not the change of front and rear (minimum value 31.52 mm, maximum value 48.36 mm, average value 41.30 mm), but the change of the left and right width, especially the baseline (4/4 width between the left and right posterior nodules); 45.58 mm, maximum value 66.87 mm, average value 57.57 mm), showing the largest change, which could be used as a baseline for tray size classification.
3. 트레이의 크기는 좌우 구후결절 전방점을 이은선(4/4 좌우 치조정간의 폭)의 거리 58 ㎜(평균 57.57 ㎜)를 중심으로 4 ㎜ 간격으로 나누어 48 ㎜ 이하, 48~52 ㎜, 52~56 ㎜, 56~60 ㎜, 60~64 ㎜, 64 ㎜ 이상의 6개 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3. The size of the tray is 48 mm or less, 48 to 52 mm, 52 divided by 4 mm intervals around the 58 mm (average 57.57 mm) distance of the anterior line (width between 4/4 left and right teeth adjustment) at the anterior and left posterior nodules. It can classify into six groups more than -56 mm, 56-60 mm, 60-64 mm, and 64 mm.
4. 트레이의 전후적인 길이와 좌우 협설측 변연간의 폭경은 좌우 구후결절 전방점의 거리(4/4좌우 치조정간의 폭)를 이용하여 분류한 각 군의 평균값을 이용할 수 있었다.4. The average length of each group classified by front and rear length and width of left and right buccal margins were classified using the distance between right and left posterior nodules (width between 4/4 left and right adjustment).
5. 하악 치조제궁의 육안적인 분류가 가능한 모형은 100개중 56개(V형-15개, O형-13개, U형-28개)였으며 44개는 명확하게 구분할 수 없었다.5. There were 56 models (V--15, O-13, and U-28) of the mandibular alveolar arches that could be visually classified, and 44 could not be clearly distinguished.
6. 육안적 분류에 의한 각 형태의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하악 치조제궁의 형태를 다시 분류하였을 때 V형(29개), O형(44개), U형(27개)으로 분류가 가능하였으나 O형과 U형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6. The classification of mandibular alveolar uterus using the results of analysis by visual classification was classified into V type (29), O type (44) and U type (27).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O type and U type.
7. 전후방 분류요소에 의해 치조제의 형태를 분류할 경우 V-T형 23개, V-S형 18개, O-T형 28개, O-S형 31개로 분류되었다.7. The types of alveolar dentition were classified into 23 types V-T, 18 types V-S, 28 types O-T, and 31 types O-S.
<3-4> 하악 무치악궁의 분류<3-4> Classification of Mandibles
상기 <3-2>에 실시한 통계자료의 모든 선계측 항목 중에서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최소값: 45.58 ㎜, 최대값: 66.87 ㎜, 평균값: 57.57 ㎜ 및 최대 최소범위: 21.29 ㎜) 가장 큰 항목은 '4/4 좌우 치조정간의 폭' 항목이었고 이를 치조제궁의 크기를 분류하는 기준으로 정하였다. 먼저 치조제궁의 크기를 분류하기 위해 4/4 좌우 치조정간의 폭의 평균값인 57.57 ㎜를 분류의 중간값으로 하고 이를 4 ㎜간격으로 군을 분류하였다. 이때, 4 ㎜의 값은 비가역성 수성콜로이드 인상재의 가장 정밀한 복제가 가능한 두께는 4~6 ㎜일 때이며 이를 좌우 양측변연에서 각각 2 ㎜의 안정역이 있으므로 양측으로 계산하였을 때 4 ㎜의 범위가 된다는 계산에 따라서 6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모든 모형을 6개의 군으로 나누고 각 군의 평균 선계측 항목값을 구하였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minimum value: 45.58 mm, maximum value: 66.87 mm, average value: 57.57 mm, and maximum minimum range: 21.29 mm) among all line measurement items of the statistical data performed in the above <3-2>. Was the item of 'width between 4/4 left and right teeth adjustment' and it was set as a standard to classify the size of alveolar arch. First, in order to classify the size of alveolar uterus, the median value of 57.57 mm, which is the mean value of the width between 4/4 left and right teeth adjustment, was classified into 4 mm intervals. At this time, the value of 4 mm is the thickness of the most accurate replica of the irreversible aqueous colloid impression material is 4 ~ 6 mm and it is calculated as the range of 4 mm when calculated to both sides because there is a stable range of 2 mm in each side Depending on it was divided into six groups. All model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and the average line item was calculated for each group.
<실시예 4> 신규 상악 무치악용 트레이 개발 및 제작<Example 4> Development and manufacture of a new maxillary edentulous tray
상악 트레이의 보다 정확하고 정밀하게 트레이를 제작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에 의한 한국인의 상악 무치악 치조제 형태에 관한 통계치를 근거로 CA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크기별 치조제를 3차원적으로 재현하였고, 이 치조제에서 3차원적으로 4 ㎜씩 인상재가 들어갈 공간을 두고 트레이의 내면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나서 나머지 부분은 3차원 전용 CAD/CAM 시스템을 이용하여 설계하였다. 그 후 CNC 밀링 기계로 알루미늄 블록(aluminium block)을 절삭 가공하여 2 ㎜ 두께의 트레이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트레이와 기존의 트레이 중 Schreinemakers trays를 사용하여 기존의 주모형에 있어서의 적합성 비교하였다. 또한 신개발 트레이를 이용하여 환자에서의 적합도를 검사하였다.In order to make the tray of the maxillary tray more accurately and precisely, the alveolars of each size were reproduced three-dimensionally by using a CAD program based on the statistics on the shape of the maxillary alveolar alveolar of Koreans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inner surface of the tray was designed with a space for the
<4-1> 상악 트레이를 위한 3차원 테이터의 산출<4-1> 3D data calculation for maxillary tray
상기에서 실시한 한국인 무치악자의 상악 치조제 형태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테이터를 산출하였다. 구체적으로, 절치유두와 양측의 익돌절흔를 지나는 평면을 기준평면으로, 절치유두를 원점으로 삼고, x, y축을 설정하여 5개 군에서 각각의 선계측 항목으로부터 각 점의 3차원 좌표를 산출하였다(도 14)The data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study of the maxillary alveolar morphology of the Korean dentifrice. Specifically,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of each point were calculated from each line measurement item in five groups by setting the x- and y-axis as the reference plane, the plane passing through the incisor nipple and the pterygoid scars on both sides, and setting the x and y axes. (Figure 14)
<4-2> 상악 트레이를 위한 악궁의 모델링<4-2> Modeling of the Archery for the Maxillary Tray
PC용 AutoCAD(release 14.01, Autodesk Co.)를 이용하여, 산출된 3차원 좌표에 점을 표시하고, 이 점들 사이를 spline으로 연결하였으며, 소대의 위치와 형태 역시 서 등의 통계치를 바탕으로 설계하여 나머지 부분과 부드럽게 이행되도록 함으로써 악궁의 철사 구조틀(wire framework) 모델링을 완성하였다(도 15).Using AutoCAD for PC (release 14.01, Autodesk Co.), points were plotted on the calculated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and splines were connected between these points, and the location and shape of the platoon were also designed based on statistics such as books. The wire framework modeling of the arch was completed by smooth transition with the rest (FIG. 15).
<4-3> 상악 트레이의 설계<4-3> Design of Maxillary Tray
트레이는 인상체를 위한 공간으로 악궁으로부터 4 ㎜의 옵셋(offset)을 부여하고 제작하기로 하였으며, 알루미늄 합금 블록을 CNC 밀링 기계에서 절삭 가공하여 2 ㎜ 두께를 가진 트레이를 제작하는 것으로 시제품 제작 공정을 최종 결정하고 설계에 들어갔다. 악궁모형의 표면 모델링(surface 모델링) 작업을 행하고, 이 악궁모형에서 3차원적으로 4 ㎜의 공간을 두고 트레이 내면의 철사 구조틀(wire framework)을 설계하였다. 완성된 구조틀을 이용하여, 3차원 전용의 CAD/CAM 시스템인 Cimatron 90(version 9.0, Cimatron Co.)을 이용하여 2 ㎜의 두께를 가진 트레이를, 입체 모델링(solid modeling)으로 설계하고, 인상재를 위한 슬릿(slit) 형태의 유지형태 및 전방 손잡이도 설계하였다(도 16).The tray is designed to give an offset of 4 mm from the archery as a space for the impression body, and the aluminum alloy block is cut on a CNC milling machine to produce a tray with a thickness of 2 mm. The final decision was made and entered into the design. Surface modeling of the arch model was performed, and a wire framework of the inner surface of the tray was designed with a space of 4 mm in three dimensions. Using the finished framework, a tray with a thickness of 2 mm was designed by solid modeling using Cimatron 90 (version 9.0, Cimatron Co.), a three-dimensional CAD / CAM system. A slit-like hold and front handle were also designed (FIG. 16).
CAD/CAM(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컴퓨터 원용 설계, 제작) 시스템이란 물체의 기하학적 형상정보를 표현하고 조작하는 기능을 바탕으로, 설계에서 제조에 이르는 다양한 기술 활동을 지원하고 그 기술 정보를 관리함으로써 설계 및 제조과정을 합리화하고 기술자 사이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컴퓨터 응용기술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CAD는 제품을 설계하고 도면화하는 분야에, CAM은 제품도면에서 주어진 제품에 대한 사양(specification)을 실제 기계가 받아들일 수 있는 가공정보로 바꾸어주는 생산기술의 한 분야에 컴퓨터를 이용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CAM이란 NC 기계에서 절삭가공을 수행하기 위한 가공정보를 만들어 주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일컫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Cimatron 90은 3차원 전용의 CAD/CAM 시스템으로, 3차원적인 형상에 대해 표면 모델링 및 입체 모델링을 수행하며, 여기에서 NC code를 산출하고 tool path를 구하여, CNC 밀링 기계인 VM82에서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직접 가공이 가능하였다.Computer-aided design / computer-aided manufacturing (CAD / CAM) systems support various technical activities from design to manufacturing based on the ability to represent and manipulate geometric shape information of objects. Computer application technology that streamlines the design and manufacturing process by managing information and facilitates communication among technicians. Specifically, CAD is used in the field of designing and drawing products, and CAM uses a computer in the field of production technology, which translates the specification of a given product into product information that can be accepted by the actual machine. will be. In other words, CAM refers to a computer software system that generates machining information for cutting on NC machines. The Cimatron 9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ree-dimensional dedicated CAD / CAM system, which performs surface modeling and three-dimensional modeling on three-dimensional shapes, and calculates NC code and obtains a tool path from the VM82, a CNC milling machine. The direct processing was possible with this data.
한편, CNC 밀링 기계는 컴퓨터화된 수치에 의해 제어되는 밀링 기계로, 대게 CAD/CAM 시스템에서 2차원이나 3차원으로 설계된 제품을 금속이나 수지로 직접 절삭 가공하는데 사용되는 기계이다. 3차원 곡면형상은 3차원 곡면제어를 필요로 하는데 이 경우에 수동으로 동작제어를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3차원 형상의 절삭가공은 특수한 기능을 갖춘 copy milling 기계에서만 가능하다. 이러한 동작제어의 어려움 때문에 수치제어(NC)기술이 개발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수치제어기술을 이용하여 통계적 수치에 의한 트레이의 형태를 3차원적 곡면형태로 설계하고 이를 정확하게 가공할 수 있었다.CNC milling machines, on the other hand, are computerized numerically controlled milling machines that are typically used to directly cut metal or resin products designed in two or three dimensions in a CAD / CAM system. Three-dimensional curved shape requires three-dimensional curved control. In this case, manual motion control is impossible. Therefore, 3D cutting is only possible with specially functioned copy milling machines. Due to this difficulty of motion control, numerical control (NC)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In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numerical control technology, the tray can be designed into a three-dimensional curved shape by a statistical value and precisely processed.
<4-4> 상악 트레이 제작<4-4> Maxillary Tray
Cimatron 90(v.90)을 이용하여, 도안된 트레이에서 NC code를 산출하고 tool path를 구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VM82(Sakasaki, Japan) 밀링 기계(millng machine)로 CNC 밀링을 행하였다(표 19). 절삭가공이 완료된 트레이를 수작업으로 연마하여 마무리하였다. 더 이상의 부가적인 열처리나 표면처리는 행하지 않았다.Using Cimatron 90 (v.90), NC code was calculated from the designed tray and the tool path was obtained. CNC milling was performed using this VM82 (Sakasaki, Japan) milling machine (Table 19). The finished tray was polished by hand and finished. No further heat treatment or surface treatment was performed.
<4-5> 상악 트레이의 적합도의 통계처리 및 분석<4-5> Statistical processing and analysis of fit of maxillary tray
모든 통계처리는 윈도우즈용 SPSS 통계 프로그램(release 8.0, SPSS, Chicago, IL)을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기존 모형을 이용했을 때, 기존의 트레이와 신개발 트레이에서, 인상체의 두께 및 길이에 대한 전체 평균 및 표준편차, 그리고 부위별 평균 및 표준편차를 각각 계산하고, box plots로 도식화하였으며, 부위별 두께와 길이 항목에 대해 P<.05의 유의수준으로 paired sample t-test를 시행하여 신개발 트레이와 기존의 트레이에서 기존 모형과의 적합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임상에서 신개발 트레이를 이용하여 체득한 인상체의 두께 및 길이에 대한 전체 평균 및 표준편차, 그리고 부위별 평균 및 표준편차를 각각 계산하고, box plots로 도식화하였다.All statistics were done using the Windows SPSS statistics program (release 8.0, SPSS, Chicago, IL). When using the existing model, in the existing tray and the newly developed tray, the total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impression thickness and the length, respectively, were calculated and plotted by box plots, respectively. The paired sample t-tests were performed on the P and .05 items for the and and length items to compare the goodness-of-fit with the existing model in the newly developed tray and the existing tray. In addition,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s, and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s of the thickness and length of the impressions obtained from clinically developed trays were calculated and plotted using box plots.
<4-6> 제작된 상악 트레이의 적합도 검사<4-6> Checking the fitness of the manufactured maxillary tray
기존의 Schreinemakers system과 신개발 트레이의 형태에 대해 육안 관찰하고, 실측하여 비교하였으며, 기존의 모형과 임상에서 적합도를 각각 측정, 비교하였다.The existing Schreinemakers system and the shape of the newly developed trays were visually observed and measured and compared.
<4-6-1> 육안 관찰 및 실측치 비교<4-6-1> Visual observation and actual value comparison
신개발 트레이와 기존의 Schreinemakers 트레이에서, 전치부 및 구치부 수직 높이, 상악 결절부위의 좌우 폭경, 정중선 상에서의 전후 길이를 각각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트레이에서 상악 결절부위의 폭에 대한 전후 길이의 비를 비교하였다.In the newly developed tray and the conventional Schreinemakers tray, the anterior and posterior vertical heights,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maxillary nodules, and the anteroposterior length on the midline were measured, respectively. .
그 결과, 트레이의 수직높이 측정결과, 신개발 트레이가 전치부에서는 더 크고, 구치부 수직 높이에서는 유사하거나 더 작게 나타났다(표 20). 또한 신개발 트레이는, 기존의 트레이와 비교하여 좌우 폭경에 있어서는 거의 유사하거나 약간 더 큰 반면, 전후 길이에 있어서는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트레이의 사이즈가 커질수록 크게 나타났다. 육안 관찰에서도 이러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As a result, the vertical height measurement of the tray shows that the newly developed tray is larger in the anterior part and similar or smaller in the posterior height of the posterior part (Table 20). In addition, the newly developed trays were found to be almost similar or slightly larger in left and right widths compared to conventional trays, while being smaller in front and rear lengths. This difference was large as the tray size increased. This difference was confirmed by visual observation.
또한 육안관찰에서 협측 소대의 위치가 신개발 트레이에서 상대적으로 더 후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In addition, the visual observation showed that the buccal platoon was located relatively further behind the newly developed tray.
<4-6-2> 기존 모형과의 적합도 검사<4-6-2> Checking Goodness of Fit with Existing Model
경희대학교 치과병원 보철과에 내원한 상악 무치악 환자 51명의 최종모형이나 최종모형의 복제모형을 이용하였으며, 비가역성 수성 콜로이드 인상재(Aroma Fine DF Ⅱ, alginate, G-C Co., Japan)를 사용하여 기존의 Schreinemakers trays와 신개발 트레이로 모형의 인상을 각각 채득하였다. 트레이의 크기는 표 21에 나타난 기준에 따라 선택하였으며, 인상채득시의 기준으로 삼기 위해, 3개의 정지점(stop)을 4 ㎜의 두께로 형성해 주었으며, 인상재를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혼화하여, 트레이의 후연과 모형 상에서 양측의 익돌절흔을 연결한 선이 일치되도록 하면서 정지점(stop)이 닿을 때까지 트레이를 위치시켰다. 이렇게 채득한 인상체에서 33개의 계측점을 설정, 그 부위에서 인상체 두께를 치주용 탐침(periodontal probe)과 0.5 ㎜ 단위의 자(ruler)를 이용하여 계측하였다. 또한 변연부 계측점에서는 트레이 변연과 인상체 변연 사이의 거리를 계측하였다. 인상의 채득 및 계측은 모두 1명의 기술자가 행하였다.A final model or a duplicate model of 51 maxillary dentifrice patient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Kyung Hee University, was used. The impression of the model was obtained with and the newly developed tray. The size of the tray was selected according to the standard shown in Table 21. In order to use as the basis of the impression taking, three stops were formed to a thickness of 4 mm, and the impression material was mix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The tray was placed until the stop reached, making the line connecting the pterygium notch on both sides coincide with the trailing edge of. 33 measurement points were set in the impression body thus obtained, and the thickness of the impression body was measured at the site using a periodontal probe and a ruler of 0.5 mm. In addition, the edge measurement point measured the distance between the tray edge and the impression edge. All of the impressions were taken and measured by one technician.
WDB3/4, B 3/4 부위에서 악궁의 폭경; WTB3/4, B 3/4 부위에서 트레이의 내부 표면의 폭경Width of the arch in the WDB3 / 4,
기존의 모형을 이용하여 채득한 인상체에서, 인상체 변연부터 트레이 변연까지의 길이는, 신개발 트레이에서 4.72±2.06 mm, 기존의 트레이에서 5.66±3.44 mm이었으며, 인상체의 두께는 4.01±1.31 ㎜, 기존의 트레이에서 4.45±2.36 ㎜이었다(표 22 및 표 23).In the impressions obtained using the existing model, the length from the impression edge to the tray margin was 4.72 ± 2.06 mm in the newly developed tray and 5.66 ± 3.44 mm in the existing tray, and the thickness of the impression was 4.01 ± 1.31 mm , 4.45 ± 2.36 mm in conventional trays (Table 22 and Table 23).
* : 유효차(P < 0.05)*: Effective difference (P <0.05)
* : 유효차(P < 0.05)*: Effective difference (P <0.05)
부위별 길이의 평균은, 신개발 트레이는 1/8 변연(B1/8)에서 최소값(2.83 ㎜)을, 최전방 변연(BAM)에서 최대값(5.34 ㎜)을 나타내었으며, 기존의 트레이에서는 3/4 변연(B3/4)에서 최소값(2.83 ㎜)을, 최전방 변연(BAM)에서 최대값(5.34 ㎜)을 나타내었다. 부위별 두께의 평균은, 신개발 트레이는 2/4변연 부위와 2/4 치조제정 부위의 중점(F2/4)에서 최소값(3.57 ㎜)을, 1/8 변연 부위와 최전방 변연의 중점(BA)에서 최대값(4.55 ㎜)을 나타내었으며, 기존의 트레이에서는 정중선상 1/4(M1/4)부위에서 최소값(1.32 ㎜)을, 1/8 변연 부위와 최전방 변연의 중점(BA)에서 최대값(8.30 ㎜)을 나타내었다.The average length of each part showed that the newly developed tray showed the minimum value (2.83 mm) at the 1/8 margin (B1 / 8) and the maximum value (5.34 mm) at the foremost margin (BAM). The minimum value (2.83 mm) was shown in the margin (B3 / 4), and the maximum value (5.34 mm) was shown in the foremost margin (BAM). The mean of the thickness of each part is that the newly developed tray has the minimum value (3.57 mm) at the mid point (F2 / 4) of the 2/4 marginal part and the 2/4 alveolar definite part, and the 1/8 marginal part and the midpoint of the foremost margin (BA). The maximum value (4.55 ㎜) was shown at, and in the conventional tray, the minimum value (1.32 ㎜) at the 1/4 (M1 / 4) area on the midline and the maximum value at the midpoint (BA) of the 1/8 margin and the foremost margin (8.30 mm) is shown.
전체 계측치에서 길이 측정치 및 두께 측정치의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도 17a 내지 도 17d). 길이 측정치의 분포를 살펴보면, 기존의 트레이의 경우, 3-7 ㎜의 값을 가지는 점들은 전체의 49%이었고, 11 ㎜ 이상이나 1 ㎜ 이하의 값을 가지는 점들은 전체의 15.4%이었다. 반면, 신개발 트레이의 경우, 3-7 ㎜의 값을 가지는 점들은 63%이었고, 11 ㎜ 이상이나 1 ㎜ 이하의 값을 가지는 점들은 전체의 1.31%이었다. 두께 측정치의 분포는, 기존 트레이의 경우 3-7 ㎜의 값을 가지는 점들이 전체의 58%, 9 ㎜ 이상이나 1 ㎜ 이하의 값을 가지는 점들이 전체의 9.6%를 차지하였으며, 신개발 트레이의 경우 3-7 ㎜의 값을 가지는 점들이 전체의 82%, 9 ㎜ 이상이나 1 ㎜ 이하의 값을 가지는 점들이 전체의 0.31%를 차지하였다.The distribution of length measurement and thickness measurement in all measured values is shown (FIGS. 17A to 17D). Looking at the distribution of the length measurements, in the conventional tray, the points having a value of 3-7 mm were 49% of the total, and the points having a value of 11 mm or more and 1 mm or less were 15.4% of the total.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newly developed tray, the points having a value of 3-7 mm were 63%, and the points having a value of 11 mm or more and 1 mm or less were 1.31%. The distribution of the thickness measurement is 58% of the points with 3-7 mm in the existing tray, 9.6% of the points with a value of 9 mm or more and less than 1 mm in the existing tray. The points having a value of 3-7 mm accounted for 82% of the total, and the points having a value of 9 mm or more or 1 mm or less accounted for 0.31% of the total.
신개발 트레이와 기존의 트레이에서 변연부 인상체 길이와 인상체 두께에 대한 paired sample t-test 결과, 각각 두 군간에 유의성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P < 0.05). 또한 길이에 대한 부위별 paired sample t-test 결과, 5부위 모두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 가운데 2부위는 기존의 트레이 길이가 더 짧았고, 나머지 3부위에서는 신개발 트레이가 더 짧았다. 두께에 대한 부위별 paired sample t-test 결과, 9부위에서는 기존의 트레이가 작았고, 10부위에서는 신개발 트레이가 작았으며, 나머지 6부위에서는 유의적인 차가 나타나지 않아서, 결과적으로 총 25부위 중 19부위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도 18a 및 도 18b).Paired sample t-tests for marginal impression length and impression thickness in the new and existing tray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 P <0.05). As a result of paired sample t-test for each length,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5 sites. Of these, 2 trays had shorter tray lengths and 3 trays had newer trays. As a result of paired sample t-test by thickness, the existing tray was smaller at 9 sites, the newly developed tray was smaller at 10 site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maining 6 sites. As a result, it was significant at 19 out of 25 sites. Difference was seen (FIGS. 18A and 18B).
총 51개의 표본 중 2 종류 트레이에서 트레이의 크기별 사용 횟수를 나타낸다(도 19a 및 도 19b). 신개발 트레이는 3번(45.10%), 2번(21.57%), 4번(15.69%), 5번(9.80%) 트레이의 순이었고, 기존 트레이는 33번(33.33%), 34번(31.37%), 35번(23.53%), 32번(11.76%)의 순이었으며 31번 트레이는 한번도 사용되지 않았다.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trays in the two types of trays out of a total of 51 samples is shown (FIGS. 19A and 19B). Newly developed trays were 3 (45.10%), 2 (21.57%), 4 (15.69%), and 5 (9.80%) trays, while existing trays were 33 (33.33%) and 34 (31.37%). ), 35 (23.53%), 32 (11.76%), and
<4-6-3> 임상에서의 적합도 검사<4-6-3> Fitness test in clinical
경희대학교 치과병원 보철과에 내원한 환자 중 상악에 총의치를 장착하고 있는 무치악 환자 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동의하에 역시 표 21의 기준에 따라 알맞은 크기의 트레이를 선택하고 비가역성 수성 콜로이드 인상재(Aroma Fine DF Ⅱ, alginate, G-C Co., Japan)를 사용하여 신개발 트레이로 인상을 채득하였다. 정지점은 사용하지 않았으며, 비가역성 수성 콜로이드 인상재를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혼합하여 통법에 의해 전치부 치조제를 기준으로 트레이를 위치시켰다. 이렇게 채득한 인상체에서 주모형의 적합도를 검사할 때와 동일하게 계측점을 설정하여 그 부위의 인상체 두께를 치주탐침과 0.5 ㎜ 단위의 자로 계측하였다. 또한 변연부 계측점에서는 트레이 변연과 인상체 변연 사이의 거리를 계측하였으며, 인상체 상의 익돌절흔과 트레이 변연 사이의 거리도 추가로 계측하였다. A total of 21 edentulous patients with total dentures in the maxilla were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Kyung Hee University. With the consent of the patients, trays of the appropriate size were also selected according to the criteria in Table 21 and impressions were taken with the newly developed trays using an irreversible aqueous colloidal impression material (Aroma Fine DF II, alginate, G-C Co., Japan). No stop point was used, and the tray was positioned relative to the anterior dentifrice by mixing the irreversible aqueous colloidal impression material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In this way, the measurement points were set in the same manner as when the fitness of the main model was examined, and the thickness of the impression body was measured with a periodontal probe and a ruler of 0.5 mm. In addition, the edge measurement point measured the distance between the tray edge and the impression edge, and additionally measured the distance between the pterygium and the tray edge on the impression body.
신개발 트레이를 이용하여 임상에서 인상을 채득하여 계측한 결과, 인상체 변연에서의 길이는 4.69±2.80 ㎜이었으며, 인상체의 두께는 4.59±1.51 ㎜이었다. 부위별 길이의 평균은 3/4 변연(B3/4)에서 최소값(4.90 ㎜)을, 최전방 변연(BAM)에서 최대값(6.60 ㎜)을 가졌다(도 20a). 부위별 두께의 평균은 1/8 변연(B1/8)에서 최소값(4.03 ㎜)을 절치유두(IP)에서 최대값(5.40 ㎜)을 가졌다(도 20b). 변연부 길이 측정치의 분포를 살펴보면, 기존의 트레이의 경우, 3-7 mm의 값을 가지는 점들은 전체의 49%이었고, 11 ㎜ 이상이나 1 ㎜ 이하의 값을 가지는 점들은 전체의 15.4%이었다. 변연부 두께의 분포를 살펴보면, 3-7 ㎜의 값을 가지는 점들이 전체의 83%를 차지하였고, 9 ㎜ 이상이나 1 ㎜ 이하의 값을 가지는 점들은 전체의 0.24%를 차지하였다.Impressions were collected and measured in the clinic using the newly developed tray, and the length of the impression margin was 4.69 ± 2.80 mm, and the thickness of the impression body was 4.59 ± 1.51 mm. The mean length of each segment had a minimum value (4.90 mm) at the 3/4 margin (B3 / 4) and a maximum value (6.60 mm) at the foremost margin (BAM) (FIG. 20A). The mean thickness of each site had a minimum value (4.03 mm) at the 1/8 margin (B1 / 8) and a maximum value (5.40 mm) at the incisor papillary IP (FIG. 20B). Looking at the distribution of the margin length measurement, in the conventional tray, the points having values of 3-7 mm were 49% of the total, and the points having values of 11 mm or more and 1 mm or less were 15.4% of the total. Looking at the distribution of the margin thickness, the points having a value of 3-7 mm accounted for 83% of the total, and the points having a value of more than 9 mm or less than 1 mm occupied 0.24% of the total.
상기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The abov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육안 관찰 및 실측 비교 결과, 신개발 트레이는 기존의 트레이에 비해, 전치부 수직 높이는 더 높고, 구치부 수직 높이는 더 낮았으며, 좌우 폭경에 비해 전후 길이가 짧았다.1. As a result of visual observation and measurement, the newly developed tray has a higher anterior vertical height, a lower vertical posterior height than the conventional tray, and has a shorter front and rear length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
2. 모형 상에서 적합도 검사 결과, 신개발 트레이와 기존의 트레이는 전반적인 인상체의 두께 및 변연부 인상체 길이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신개발 트레이에서 부위별 편차가 작게 나타났다.2. As a result of the goodness-of-fit test on the mode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impression thickness and marginal impression length between the newly developed tray and the conventional tray, and the variation of each part was small in the newly developed tray.
3. 임상에서 신개발 트레이를 이용하여, 적합도를 검사한 결과, 모든 부위에 걸쳐 고른 두께를 나타내었으며, 변연부에서 인상재의 길이 또한 고르게 나타났다.3. In clinical trials, the newly developed trays were tested for goodness of fit, and evenly distributed over all parts.
이상의 결과로부터 기존의 모형을 이용한 적합도 검사에서 신개발 트레이는 기존의 트레이에 비해 인상재의 두께가 더 균일한 양상을 나타냈으며, 원래 목표로 설정했던 인상재의 두께인 4 ㎜에 전반적으로 더 가까운 양상을 보였다. 인상체의 길이 항목에 있어서도, Schreinemakers 트레이는 구치부에서 전치부로 갈수록 증가하는 반면, 신개발 트레이에서는 전반적으로 균일한 양상을 보였다. 기존 트레이 중 하나인 Schreinemakers 트레이는 특히 좌우 폭경에 비해 전후로 긴 양상을 나타내어, 양측의 익돌절흔을 기준으로 트레이를 위치시켰을 때 전치부의 인상체 두께가 크게 나타났고 구개 전방부의 두께는 얇게 나타났다. 특히, 트레이의 사이즈가 작은 경우에는 큰 차이가 없었지만, 트레이의 사이즈가 커질수록 트레이의 전후 길이에 대한 좌우 폭경이 증가하는 양상이 뚜렸했다. 이와 같은, 기존의 트레이와 신개발 트레이 사이의 적합도 차이는 육안적인 관찰에서도 명백하게 드러났다.From the above results, the new developed tray showed more uniform thickness of the impression material than the conventional tray in the goodness-of-fit test using the existing model, and was closer to 4 mm, the thickness of the impression material originally set as the target. . In terms of the length of the impressions, the Schreinemakers trays increased from posterior to anterior, while the new trays were generally uniform. The Schreinemakers tray, which is one of the existing trays, exhibited a longer shape in front and rea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s. In particular, when the size of the tray is small, there was no big difference, but as the size of the tray became larger, the left and right width diameters with respect to the front and rear length of the tray increased. This difference in fitness between the existing tray and the newly developed tray was also evident in the visual observation.
<실시예 5> 하악 무치악용 트레이 제작Example 5 Fabrication of Mandibular Edentulous Trays
<5-1> 하악 무치악 치조제의 도식화<5-1> Schematic of Mandibular Alveolar Alveolar
우선 각 군의 평균 선계측 항목값을 3차원 공간좌표로 바꾸었다. 이때, 정중선과 전치부 협측변연이 만나는 위치의 최전방점 좌표를 (0,0,0)하고 나머지 점들의 좌표를 구하였다. 이렇게 바뀐 3차원 좌표를 586급 개인용 컴퓨터상의 AutoCAD(R14) system에 입력하여 3차원 공간상에 각각 점들의 위치를 정하였다(도 21a). AutoCAD란 미국 AUTODESK사의 제품으로 CAD 프로그램 중 전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프로그램으로서 2D 도면제작 및 3차원 물체의 모델링에 사용되며, 작성된 도면은 Plotter를 이용하여 도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렇게 입력된 3차원 공간좌표를 치조제의 형태를 고려해 부드러운 곡선(SPLINE)으로 연결하여(도 21b) 치조제의 형태를 도식화하였다(도 22a 내지 도 22c).First, the average line measurement item value of each group was changed to three-dimensional spatial coordinates. At this time, the coordinate of the foremost point of the position where the midline and the anterior buccal margin meets is (0,0,0) and the coordinates of the remaining points are obtained. The changed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were input to the AutoCAD (R14) system on the 586 class personal computer to determine the positions of the points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FIG. 21A). AutoCAD is a product of AUTODESK of USA and is the most widely used program among CAD programs in the world. It is used for 2D drawing and 3D object modeling, and the created drawing can be output as a drawing using Plotter. The input three-dimensional spatial coordinates were connected by a smooth curve (SPLINE)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of the alveolar (FIG. 21B) to illustrate the shape of the alveolar (FIGS. 22A to 22C).
<5-2> 하악 트레이 내면형태의 도식화<5-2> Schematic drawing of the inner shape of the lower tray
도식화된 치조제 형태를 기초로 하여 트레이 형상화 작업을 하였다. 치조제와 트레이 사이에는 인상재를 위한 공간이 필요하다. 비가역성 수성콜로이드 인상재를 위한 공간부여량은 4 ㎜로 정하였다. 치조제 부위에서의 공간부여는 우선 치조제정에서 접선을 그어 이 접선에 직교하는 수선을 긋고, 치조제정 좌표에서 4 ㎜ 떨어진(OFF-SET) 수선상의 좌표를 트레이 정점으로 정하였다. 또한, 협설측 변연부에서는 Z축상으로 4㎜의 공간을 부여하여 트레이 변연좌표로 정하였다(도 23a 내지 도 23c). 이렇게 얻어진 협측, 치조정, 설측의 3점을 다시 부드러운 곡선(SPLINE)으로 연결하여 트레이 내면 형태를 도식화하였다. 트레이 설측변연부 연결시에는 수평면에서 투영시 치조제 4/4부위의 설측변연 좌표를 변곡점으로 하여 하악설측의 전형적인 'S curve'를 재현하였으며, 순측소대를 위해 폭 10 ㎜, 높이 5 ㎜의 함몰을 트레이에 부여하였다. 협측소대부를 위한 설계는 한국인 통계자료 결과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생략하였다. 다음은 설계된 트레이 내면의 도식화된 모습이다(도 24a 내지 도 24c).Tray shaping was performed based on the schematized alveolar morphology. Space for impression material is needed between the ridge and the tray. The space provision amount for the irreversible water colloid impression material was set to 4 mm. To give a space at the alveolar site, first, a tangent line was drawn at the alveolar ridge to draw a perpendicular line to the tangent line, and the tray vertex was set at an offset
<5-3> 최종 하악 트레이 모델링<5-3> Final Mandible Tray Modeling
가공을 위해 AutoCAD상에서 도식화된 트레이 자료를 모델링하였다. 이때, 사용한 프로그램은 CAD/CAM system인 Cimatron90(V9.0, Israel)으로 686급 펜티엄 컴퓨터 상에서 작업하였다. Cimatron90 system은 4개 기본단위(module)로 설계(drafting), 입체(solid), 표면(surface), 유한(finite) 요소의 모델링 작업이 가능한 software이다. 모델링작업에서 트레이의 강도를 위해 2㎜의 두께를 부여하였고, 전방, 후방손잡이의 위치와 형태도 결정하였다. 후방손잡이의 경우, 전후적으로 제1대구치 위치에 상응하는 치조제 3/4부위에, 높이는 구치부 치조제 높이에 상응하는 구후결절 1/2 높이로 정하였다. 전방손잡이의 경우 전치부 협측변연의 상방 20 ㎜에 위치시켰다(도 25).For processing, we modeled the schematic tray data in AutoCAD. The program used was Cimatron 90 (V9.0, Israel), a CAD / CAM system, on a 686 Pentium computer. The Cimatron90 system is software for modeling drafting, solid, surface and finite elements in four modules. In the modeling work, the thickness of the tray was given for the strength of the tray, and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front and rear handles were determined. In the case of the rear grip, the height of the alveolu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molar was determined to be the height of the posterior nodules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posterior alveolar. In the case of the front handle, it was located 20 mm above the anterior buccal margin (Fig. 25).
<5-4> 하악 트레이 가공<5-4> lower jaw tray processing
모델링이 완료된 후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 Engraving & Milling System인 VM82(Sakasaki, Japan)를 이용해 가공하였다. 상기 기계는 10 ㎛의 정밀도로 가공이 가능하며, 모델링된 자료를 Controller[Fanuc 16MC〕에 입력하면 3차원 수치제어에 따라 작업대(Work table)상에서 자동적으로 작업이 진행된다. 트레이 재질로는 2 ㎜의 두께에서 견고한 형태유지가 가능하고 인체에 무해한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였다. 가공 후, 인상재 유지를 위해 트레이 전체를 균일하게 천공하였고, 변연부위를 포함하여 날카로운 부위는 연마하였다. 다음은 완성된 한국형 하악 예비인상용 트레이의 모습이다(도 26).After modeling was completed, the machine was machined using VM82 (Sakasaki, Japan), a CNC (Computer Nume-rical Control) Engraving & Milling System. The machine can be processed with a precision of 10 μm. When the modeled data is input to the controller [Fanuc 16MC], work is automatically performed on a work table according to three-dimensional numerical control. As a tray material, a solid shape can be maintained at a thickness of 2 mm, and an aluminum alloy that is harmless to a human body is used. After processing, the entire tray was uniformly drilled to maintain the impression material, and sharp portions including the marginal portions were polished. Next is the appearance of the completed Korean mandible preliminary tray (Fig. 26).
<5-5> 신개발 한국형 하악 트레이의 형태학적 특성<5-5>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Newly Developed Korean Mandible Tray
기존의 무치악 트레이(Schreinemakers system)와 형태학적으로 비교시 신개발 한국형 트레이는 설측변연에 있어 해부학적인 'S curve'를 재현하였고(도 27a), 협측 변연부에 있어서는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지는 데, 특히 구후결절부 협측에서 확인하였다(도 27b). 또한, 후방손잡이의 높이는 교합평면에 일치시켰고 그 위치에 있어서는 기존 트레이에 비해 후방으로 위치시켜 임상적인 어려움을 개선하고자 하였다(도 27c).Compared with the existing Schreinemakers system, the newly developed Korean type tray reproduces the anatomical 'S curve' in the lingual margin (Fig. 27a), and in the buccal margin, it extends outward,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in the posterior nodules buccal (Fig. 27b).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rear handle was matched to the occlusal plane and the position was to be located rearwar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ray to improve the clinical difficulty (Fig. 27c).
<실시예 6> 종래의 트레이 선택 및 모형제작Example 6 Conventional Tray Selection and Model Production
<6-1> 종래의 하악 무치악 트레이<6-1> conventional lower jawless tray
비교에 사용된 무치악 트레이는 Schreinemakers com-plete denture tray(Clan Dental Products, Netherlands)를 선택하였다(도 28). 이 기성 트레이는 하악 무치악 인상을 위해 크기별 6조로 분류되어있어 트레이 선택시 Caliper를 이용, 양측 구후결절 내측폭를 측정해 이 값과 유사한 트레이를 선택할 수 있게 되어있다.The edentulous tray used in the comparison was selected from Schreinemakers com-plete denture tray (Clan Dental Products, Netherlands) (FIG. 28). The ready-made trays are divided into 6 sets by size for the impression of mandibular gingival impression. By selecting the tray, you can select the trays similar to this value by measuring the inner width of both posterior nodules.
<6-2> 트레이 모형제작<6-2> Tray Model Production
신개발 트레이(도 29)와 기존 트레이와의 비교를 위해 각 트레이의 모형을 제작하였다. 우선 트레이 내면과 변연부위를 2 ㎜의 Sheet wax를 연화, 압접하여 균일하게 공간 부여하였다. 압접시 특정부위가 얇아지지 않도록 주의하였다. 그 후, 제3형 경석고를 이용해 트레이모형을 제작하였다.A model of each tray was produced for comparison with the newly developed tray (FIG. 29) and the existing tray. First, the inner surface of the tray and the marginal part were softened and pressed by 2 mm of sheet wax to give a uniform space. Care was taken not to thin certain areas during welding. Then, the tray model was produced using the
<실시예 7> 종래의 트레이와의 길이-폭 항목 모형비교Example 7 Length-Width Item Model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Trays
<7-1> 통계처리 및 분석<7-1> Statistical processing and analysis
종래의 트레이와 신개발 트레이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Paired sample t-test(P<0.05)를 시행하였고, 인상재의 분포를 도식화하기위해 Windows용 SPSS 8.0 통계프로그램에 자료를 입력하여 분석하였다.The paired sample t-test (P <0.05) was performed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ventional tray and the newly developed tray, and data was inputted into the SPSS 8.0 statistics program for Windows to analyze the distribution of impression materials.
<7-2> 3차원 계측<7-2> three-dimensional measurement
먼저 트레이 모형을 3차원 계측기의 조절판에 고정시키고 이를 계측기 기준판의 적절한 위치에 놓는다. 기준평면 결정판을 이용하여 T자형 판을 양측 구후결절부 후방부에 대고 양측으로 같은 거리에 구후결절부가 위치하도록 한다. T자형 판의 중앙에 있는 창을 통해 전방 중앙기준으로 정중선을 결정하였다. 이 위치를 기준으로 3차원 계측을 시행하였다. 최전방점과 구후결절 전방부사이를 4등분하여 각 부위에서의 협설측 폭과 총 전후길이를 측정하였다.First fix the tray model to the control panel of the 3D instrument and place it in the proper position on the instrument reference plate. Using the reference plane plate, the T-shaped plate is placed on the posterior part of both posterior nodules and the posterior nodules are located at the same distance on both sides. The midline was determined by the forward midline through a window in the center of the T-plate. Three-dimensional measurements were performed based on this location. We divided the frontal and posterior nodules into four quarters and measured the width of the buccal side and the total length before and after.
<7-3> 선계측 항목 비교<7-3> Comparison of line measurement items
<7-3-1> 협측폭 항목 비교<7-3-1> Comparison of Buccal Width Items
종래의 트레이와 신개발 트레이의 협측폭 항목을 한국인 모형통계치와 비교시, 두 트레이 군간에 차이가 나타났다(표 24, 표 25 및 표 26).When comparing the buccal width items of the conventional tray and the newly developed tray with the Korean model statistic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tray groups (Table 24, Table 25 and Table 26).
평균(㎜)Average (mm)
평균(㎜)Average (mm)
평균(㎜)Average (mm)
종래의 트레이 6조의 협측폭 항목을 한국인 모형통계치와 비교시 상호간의 불일치가 현저하여 한국인 무치악자 협측폭과 일치하는 트레이 선택이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도 30a 내지 도 30f). 그러나, 신개발 트레이의 협측폭은 한국인의 협측폭과 대체적으로 일치하였다(도 31a 내지 도 31f).It can be seen that it is difficult to select a tray coinciding with the Korean unchallenged buccal width because the inconsistency between the six buccal width items of the conventional tray and the Korean model statistics is significant (FIGS. 30A to 30F). However, the buccal width of the newly developed tray generally coincided with the buccal width of Koreans (FIGS. 31A to 31F).
<7-3-2> 설측폭 항목 비교<7-3-2> Comparison of lingual width items
설측폭 항목의 비교시에는 기존 트레이와 신개발 트레이 모두 한국인 모형 통계치에 전반적으로 일치하였다(표 27, 표 28 및 표 29).When comparing lingual width items, both existing and newly developed trays were generally consistent with Korean model statistics (Tables 27, 28 and 29).
평균(㎜)Average (mm)
평균(㎜)Average (mm)
평균(㎜)Average (mm)
<7-3-3> 최대폭-총 전후길이 항목 비교<7-3-3> Comparison between Maximum Width and Total Length Before and After
종래의 트레이와 신개발 트레이의 최대 폭과 총전후길이 항목을 비교시(표 30), 폭에 있어서는 신개발 트레이가 길이에 있어서는 기존 트레이가 큰 값을 나타냈다(도 32a 및 도 32b).When comparing the maximum width and total length before and after the conventional tray and the newly developed tray (Table 30), the newly developed tray showed the larger value in the existing tray in terms of the width (FIGS. 32A and 32B).
평균(㎜) W: 좌우 4/4 치조정간의 폭경Average (mm) W: width between the left and right 4/4 adjustment
L: 총 전후길이L: Total length before and after
L/W: 길이와 폭 간의 비율L / W: ratio between length and width
따라서, 길이대 폭비율에 있어서 신개발 트레이가 작은 값을 보였고, 이는 한국인 모형 통계치와 전반적으로 일치함을 보였다(도 33).Therefore, the newly developed tray showed a small value in the length-to-width ratio, which was in general agreement with the Korean model statistics (FIG. 33).
<실시예 8> 신개발 트레이의 적합성 검사Example 8 Compliance Check of Newly Developing Tray
<8-1> 모형검사<8-1> Model Inspection
통계조사에 사용된 한국인 하악 무치악모형 64개를 표본으로하여 제작된 트레이의 적합성을 인상재의 두께를 측정함으로서 검사하였다. 모형검사는 다음의 일련의 과정으로 시행하였다.The suitability of the trays, which were sampled from 64 Korean mandibular subtypes used in the statistical survey, was examined by measuring the thickness of the impression material. Model tests were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sequence.
첫째 통계조사시, 계측에 이용된 모형상의 39개 계측점의 위치를 Copying pencil(JOLLY Austria)로 인기하였다.First, in the statistical survey, the location of 39 measurement points on the model used for measurement was popular as a copying pencil (JOLLY Austria).
둘째, 인상시 표준화를 위해 각각의 트레이 내면 3부위(전방 1부위, 후방 2부위)에 4 ㎜ 두께의 레진블록으로 정지점을 부여하였다.Second, a stop point was given with a resin block of 4 mm thickness on three parts of each tray (
셋째, 비가역성 수성콜로이드 인상재(Aroma Fine DFⅡ, Alginate, GC Co., Japan)를 제조회사의 혼수비에 따라 혼합하여 모형을 인상하였다. 이때, 전방의 정지점이 전치부 치조제에 위치하도록하고 3부위의 정지점이나 트레이 변연이 모형과 접촉할 때까지 트레이를 가압하였다.Third, the irreversible water colloid impression material (Aroma Fine DF II, Alginate, GC Co., Japan) was mixed according to the coma ratio of the manufacturer to raise the model. At this time, the front stop point was placed in the anterior gingiva and the tray was pressed until the stop point or tray margin of the three parts contacted the model.
넷째, 인상재 경화 후, 트레이를 모형에서 제거하여 과도한 인상재를 제거한 후 인상재 내면에 인기된 39개 계측점에서의 인상재 두께를 측정하였다. 두께 측정시, 치주탐침(periodontal probe)을 이용하였고 stopper를 장착하여 수직방향으로 인상면과 접촉하게 하였다. 변연부위 측정시에는 인상재를 변연에 맞게 절단하여 트레이 변연과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두께 측정시 간격은 0.5 ㎜로 하였다.Fourth, after the impression material hardening, the tray was removed from the model to remove the excessive impression material, and then the impression material thickness at 39 measurement points popula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mpression material was measured. In measuring thickness, a periodontal probe was used and a stopper was mounted to contact the lifting surf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measurement of the marginal area, the impression material was cut to the margin to measure the distance from the tray margin. The interval at the time of thickness measurement was 0.5 mm.
다섯째, 위의 과정을 기존의 무치악 트레이(Schreine-makers system)와 신개발 한국형 트레이를 이용해 각각 시행하여 두 트레이간의 모형상 적합성을 검사하였다.Fifth, the above process was carried out using the existing Schreine-makers system and the newly developed Korean tray, respectively, to test the model suitability between the two trays.
<8-1-1> 모형검사의 계측부위별 인상체 두께의 비교<8-1-1> Comparison of Impression Body Thickness by Measuring Area in Model Inspection
총 64개의 한국인 무치악 모형을 인상하여 39개 부위에서의 인상체 두께을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31).A total of 64 Korean edentulous models were drawn up, and the impression thicknesses at 39 sites were measured and compared (Table 31).
평균(㎜)Average (mm)
* : 유효차(P < 0.05)*: Effective difference (P <0.05)
종래의 트레이는 부위별로 인상체 두께에 있어 차이를 보였으나 신개발 트레이는 전반적으로 균일한 값을 나타냈다(도 34). 이상적인 비가역성 수성콜로이드의 두께를 4~6 ㎜라 볼 때, 기존 트레이는 39개 부위 중 16개 부위(41%)의 값이 이 범주에서 벗어나 있음에 비해, 신개발 트레이는 39개 부위 중 3개 부위(8%)만이 벗어나 있었다(도 35). 또한, 두 트레이간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Paired sample t-test를 시행한 결과, 39개 부위 중 23개 부위에서 유의성을 나타내었다(P<0.05).Conventional trays showed a difference in impression thickness for each part, but newly developed trays showed a uniform value overall (FIG. 34). Given that the ideal irreversible aqueous colloid thickness is 4 to 6 mm, the new tray has 3 out of 39 areas compared to 16 out of 39 areas (41%). Only (8%) were off (FIG. 35). In addition, as a result of performing a paired sample t-test to te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rays, 23 of 39 sites showed significance (P <0.05).
<8-1-2> 모형검사의 전체 인상체 두께 분포 비교<8-1-2> Comparison of Overall Impression Thickness Distribution in Model Inspection
전체 39개 부위의 인상재 두께를 살펴보면, 종래의 트레이의 경우 평균값이 불규칙하고, 그 평균값의 편차가 크게 나타났으나, 이에 비해 신개발 트레이는 균일한 평균값과 작은 편차를 나타냈다(도 36). 39개 부위를 좌우 평균하여 살펴 본 결과, 위와 동일한 값을 나타냈다(도 37).Looking at the thickness of the impression material of all 39 sites, the average value of the conventional trays were irregular, the deviation of the average value was large, but the newly developed trays showed a uniform average value and a small deviation (Fig. 36).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39 sites left and right average, the same value as shown above (Fig. 37).
<8-2> 임상검사<8-2> Clinical examination
먼저, 최근 K대학교 치과병원 보철과에 내원한 25명의 하악 무치악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Caliper를 이용해 좌우 구후결절간 거리를 측정하여, 이에 준하는 크기의 트레이를 선택하였다. 비가역성 수성콜로이드 인상재(Aroma Fine DFⅡ, Alginate, GC Co., Japan)를 제조회사의 혼수비에 따라 혼합하여 인상하였다. 인상시 전방치조제를 기준으로 위치 결정 후, 환자에게 혀를 거상시켜 상순부위에 접촉하도록 지시하고 양측 검지로 트레이 후방손잡이를 가압하였다. 트레이 고정 후, 좌우 협측변연부와 하순부의 근형성을 시행하였고 인상재 경화 후 제거하여 즉시 계측을 시행하였다. 변연부위를 표시하고 정중선을 기준하여 15 ㎜ 간격으로 협측변연 9부위, 설측변연 9부위, 치조정 11부위, 총 29부위의 인상재 두께를 치주탐침을 이용해 0.5 ㎜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측정시 변연부위는 인상재의 길이, 치조제 부위는 인상재의 두께를 고려하여 시행하였다.First of all, 25 patients with mandibular edentulous patients who recently visited the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K University Dental Hospital were selected. Caliper was used to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posterior nodules. An irreversible water colloid impression material (Aroma Fine DF II, Alginate, GC Co., Japan) was mixed and mixed according to the coma ratio of the manufacturer. After positioning based on the anterior pretreatment at the time of pulling, the patient was instructed to raise the tongue and contact the upper lip and press the rear handle of the tray with both indexes. After fixation of the tray, muscle formation of the left and right buccal margins and the lower lip was performed. The marginal areas were marked, and the impression material thicknesses of the
<8-2-1> 임상검사의 전체 인상체 두께분포도<8-2-1> Total Impression Thickness Distribution of Clinical Examination
총 25명의 환자에 있어 29개 부위의 인상체 두께를 측정한 결과, 평균 4.20(㎜), 표준편차 1.50(㎜)의 정규분포를 나타냈다(도 38). 이상적인 인상재 두께인 4~6 ㎜ 범주에 53%가, 임상적으로 허용가능한 3~7 ㎜ 범주에 82%를 나타내어 임상적으로 적합함을 보였다.As a result of measuring the impression thickness of 29 sites in a total of 25 patients, the average distribution was 4.20 (mm) and standard deviation 1.50 (mm) (Fig. 38). 53% in the 4-6 mm range, the ideal impression thickness, and 82% in the 3-7 mm clinically acceptable range, indicating clinical fit.
<8-2-2> 임상검사의 29개 부위별 인상체 두께<8-2-2> Impression Thickness of 29 Sites in Clinical Examination
25명의 환자에 있어 29개 부위별 인상체 두께의 평균치는 다음과 같다(표 32).The mean values of impression thickness for 29 sites in 25 patients are as follows (Table 32).
평균(㎜)Average (mm)
이를 도식화하여 살펴보면 신개발 트레이로 인상시 전반적으로 균일하고 그 편차가 작음을 알 수 있다(도 39a). 또한 29개 부위를 협측변연부(도 39b), 설측변연부(도 39c), 치조정부(도 39d)로 나누어 살펴보면 치조제 흡수에 따라 변이가 심한 치조정부에 비해 협, 설측 변연부에 있어 인상체 두께가 상대적으로 균일한 값을 나타내었다. 협설측 변연부는 인상시 핵심이 되는 부위로 신개발 트레이의 경우 임상적으로도 적합함을 알 수 있다.Looking at this diagrammatically, it can be seen that the overall uniformity and the deviation are small when the new tray is raised (FIG. 39A). In addition, the 29 parts are divided into buccal margins (FIG. 39b), lingual margins (FIG. 39c), and tooth adjusters (FIG. 39d). Relatively uniform values are shown. The marginal part of the buccal side is a key part of the impression, and it can be seen that the newly developed tray is also clinically suitable.
이상의 실시예에서 얻어진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The results obtained in the above example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기존의 상용되는 하악 무치악용 기성 트레이는 한국인 무치악 모형통계치에 비해 그 협측폭이 좁았고 전후길이는 과도하게 길었다. 이는 서양인 기준에 의한 기성 트레이가 한국인에게는 그 형태와 크기에 있어 적합하지 않음을 시사한다.1. The conventional commercially available mandibular ready-made trays have narrower buccal width and excessive length before and after compared with Korean modelless teeth. This suggests that ready-made trays by Western standards are not suitable for Koreans in shape and size.
2. 한국인 하악 무치악궁 모형의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새로운 한국형 하악 무치악용 트레이를 제작하여 기존의 트레이와 비교한 결과 선계측값과 길이대 폭 비율에 있어 한국인 모형통계치에 더욱 유사함을 보였다.2. Based on the statistics of Korean mandibular archery model, a new Korean mandibular jaw tray was produced an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tray, which showed more similarity to Korean model statistics in line measurement value and length-to-width ratio.
3. 기존 트레이와 새로 제작된 트레이간의 모형인상시 인상체의 두께를 비교해 보았을 때 각 계측 부위서 기존 트레이는 불규칙하여 편차가 큰 것에 비해 새로 제작된 트레이는 모든 계측부위에서 균일하고 그 편차도 작게 나타났다.3. When comparing the thickness of the impression body when the impression of the impression between the existing tray and the newly manufactured tray is compared, the existing tray at each measurement site is irregular and the deviation is large, whereas the newly manufactured tray is uniform and small in all measurement areas. appear.
4. 모형상 적합성 검사에서 39개 부위별 인상체 두께분포를 비교시, 이상적인 비가역성 수성 콜로이드 인상재의 두께를 4~6 ㎜라고 볼 때, 새로 제작한 트레이에 있어 3개 부위(8%)만이 이 범주에서 벗어나 있음에 비해 기존 트레이는 16개 부위(41%)가 이 범주에서 벗어나 있었다.4. When comparing the impression thickness distributions of 39 parts in the conformity test on the model, only 3 parts (8%) were found in the newly manufactured trays, considering that the ideal irreversible water colloid impression material thickness was 4-6 mm. Compared to being out of category, 16 trays (41%) were out of this category.
5. 기존의 트레이와 신개발 트레이간의 차이를 검사하기 위해 Pair sample t-test를 시행한 결과 총 39개 부위 중 23개 부위에서 유의차를 보였으며(P<0.05), 따라서 새로 제작된 트레이를 기존 트레이와 비교시 그 크기와 형태에 있어 차이를 보였다.5. As a result of performing Pair Sample t-test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isting tray and the newly developed tra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23 out of 39 areas (P <0.05). Compared to the tray, there was a difference in size and shape.
6. 실제 임상적용시 29개 부위의 인상체 두께를 측정한 결과, 전체평균 4.20±1.50(㎜)을 나타냈고, 22개 부위(75%)가 이상적인 4~6 ㎜ 범주에 속하여 임상적으로 적합함을 보였다.6.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thickness of the impressions of 29 sites in actual clinical application, the overall average was 4.20 ± 1.50 (㎜), and 22 sites (75%) belonged to the ideal 4 ~ 6 ㎜ range and were clinically suitable. Showed.
이상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서 신규로 제작된 신개발 하악 무치악용 트레이는 기존의 기성 트레이에 비해 한국인 하악 무치악궁의 형태와 크기에 더욱 적합하였다.In the above results, the newly developed mandibular gingival tray newly produced in the present invention was more suitable for the shape and size of Korean mandibular archery than the conventional ready-made tray.
이상의 결과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신개발 트레이는 부위별 인상체의 두께가 기존 트레이에 비해 균일하게 나왔는데, 이는 한국인 무치악 치조제에 적합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상적인 비가역성 수성 콜로이드 인상재의 두께를 4~6 ㎜라 할 때, 39개 부위에서 계측시 신개발 트레이는 3개 부위만이 이 범주에서 벗어나 있음에 비해 기존의 트레이는 16개 부위가 벗어나 있어 차이를 보였다. 신개발 트레이-기존 트레이 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Paired sample t-test를 시행한 결과, 39개 부위 중 23개 부위가 유의차를 보여(P < 0.05) 두 그룹간에 차이가 있음을 나타낸다.As described above, the newly developed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uniform thickness of the impression body for each part compared with the existing tray, which means that it is suitable for the Korean dentifrice alveolar. In addition, when the thickness of the ideal irreversible aqueous colloidal impression material is 4 to 6 mm, when the 39 trays are measured, the newly developed trays are out of this category, whereas the conventional trays are out of 16 areas. Seemed. The paired sample t-test was performed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newly developed tray and the existing tray. As a result, 23 out of 39 sit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P <0.05), indicating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실제 임상적 적합성을 검사하기 위해 25명의 하악 무치악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는데, 인상체 두께측정시 치조제 부위보다는 협설측 변연부가 악궁의 형태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협설측 변연부위 인상체 두께가 일정하다는 것은 트레이가 그만큼 악궁에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To examine the actual clinical suitability, 25 mandibular edentulous patients were examined. In the measurement of impression thickness, the buccal margin is determined more importantly than the alveolar site. Confirmed that the tray is suitable for the arch.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악 및 하악 무치악 인상채득용 트레이는 인상체의 두께가 기존 트레이에 비해 균일하여 한국인 무치악 치조제에 적합하여 한국인 무치악궁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pper and lower jaw gingival impression acquisition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uniform thickness of the impression body compared to the existing trays suitable for Korean gingival alveolar can be usefully used in the treatment of Korean gingival arch.
Claims (1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21553A KR20070061979A (en) | 2005-12-12 | 2005-12-12 | Preliminary impression trays for korean edentulous mandibl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21553A KR20070061979A (en) | 2005-12-12 | 2005-12-12 | Preliminary impression trays for korean edentulous mandibl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61979A true KR20070061979A (en) | 2007-06-15 |
Family
ID=38357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21553A KR20070061979A (en) | 2005-12-12 | 2005-12-12 | Preliminary impression trays for korean edentulous mandibl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061979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061433A (en) * | 2013-12-19 | 2016-10-26 | 特里斯佩拉牙科公司 |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a bite of an edentulous individual |
US10166091B2 (en) | 2014-02-21 | 2019-01-01 | Trispera Dental Inc. | Augmented reality dental design method and system |
KR20230020063A (en) * | 2021-08-02 | 2023-02-10 |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taking edentulous impressions and tray complex therefor |
-
2005
- 2005-12-12 KR KR1020050121553A patent/KR20070061979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061433A (en) * | 2013-12-19 | 2016-10-26 | 特里斯佩拉牙科公司 |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a bite of an edentulous individual |
US10166091B2 (en) | 2014-02-21 | 2019-01-01 | Trispera Dental Inc. | Augmented reality dental design method and system |
US10912634B2 (en) | 2014-02-21 | 2021-02-09 | Trispera Dental Inc. | Augmented reality dental design method and system |
KR20230020063A (en) * | 2021-08-02 | 2023-02-10 |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taking edentulous impressions and tray complex theref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Pereira et al. | Accuracy of CAD-CAM systems for removable partial denture framework fabrication: A systematic review | |
Arnold et al. | Accuracy of CAD-CAM-fabricated removable partial dentures | |
Ye et al. | Preliminary Clinical Application of Removable Partial Denture Frameworks Fabricated Using Computer-Aided Design and Rapid Prototyping Techniques. | |
Mann et al. | Oral rehabilitation: Part I. Use of the PM instrument in treatment planning and in restoring the lower posterior teeth | |
Baba | Materials and processes for CAD/CAM complete denture fabrication | |
Agarwal et al. | An overview of orthodontic indices | |
Munoz et al. | Comparison of margin discrepancy of complete gold crowns fabricated using printed, milled, and conventional hand-waxed patterns | |
Park et al. | Three-dimensional comparison of 2 digital models obtained from cone-beam computed tomographic scans of polyvinyl siloxane impressions and plaster models | |
Luo et al. | Accuracy of three digital waxing–guided trial restoration protocols for controlling the depths of tooth preparation for ceramic veneers | |
Cox | A clinical study comparing marginal and occlusal accuracy of crowns fabricated from double‐arch and complete‐arch impressions | |
KR20070061979A (en) | Preliminary impression trays for korean edentulous mandibl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Bai et al. | Comparison of four CAD-CAM guides for preparing guiding planes of removable partial dentures | |
Sierra et al. | Accuracy of anterior denture tooth arrangements of CAD-CAM complete removable dental prostheses made with a tooth mold template | |
Mohammed et al. | Evaluation of metal base adaptation and clinical retention of upper complete dentures with a CO-CR metal palate constructed by two different approaches. | |
El-Khamisy et al. | Digital versus conventional design for mandibular distal extension RPD: A study of passivity of RPD components and principal abutment alveolar bone height changes | |
Alkanani et al. | The Fit of Implant Framework a Literature Review | |
Kim et al. | Evaluation of the intaglio surface trueness and fit of zirconia crowns fabricated using different machining strategies with a chairside CAD/CAM system. | |
Alghauli et al. | Accuracy, marginal, and internal fit of additively manufactured provisional restorations and prostheses printed at different orientations | |
Van de Winkel et al. | Fully digital workflow for producing implant-supported overdentures milled from PMMA on titanium bars using PEEK as the female part/sliding mechanism in three clinical visits: A case report. | |
Leavitt | An Evaluation of Invisalign Treatment Comparing Class I and Class II Malocclusion, Using the American Board of Orthodontics Objective Grading System | |
CN218899747U (en) | Intraoral tracing device for digital design printing | |
Kim et al. | Influence of the accuracy of abutment tooth preparation on the marginal adaptation of Co-Cr alloy copings fabricated with a selective laser sintering technology | |
Prasanth et al. | Cephalometric appraisal of various angles of skeletal discrepancy: A systematic review | |
Xhajanka et al. | Biofunctional prosthetic system in Albania | |
Kabir et al. | A Study of Evaluation of Finish Line of Die in Fixed Prosthodontic Laborator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J501 |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