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614B1 - Power transfer unit of agricultural machine and working machinery - Google Patents
Power transfer unit of agricultural machine and working machiner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97614B1 KR102597614B1 KR1020230064929A KR20230064929A KR102597614B1 KR 102597614 B1 KR102597614 B1 KR 102597614B1 KR 1020230064929 A KR1020230064929 A KR 1020230064929A KR 20230064929 A KR20230064929 A KR 20230064929A KR 102597614 B1 KR102597614 B1 KR 1025976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yoke
- input
- output
- connection
- coupl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0687 lubricating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61 compo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02—Details, component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기계와 작업기의 동력 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농기계에 연결되는 입력요크와, 작업기에 연결되는 출력요크와, 입력요크와 출력요크를 연결시키는 연결요크와, 입력 및 출력요크와 연결요크 사이에 구비되어 입력 및 출력요크와 연결요크를 연결시키는 십자베어링을 포함하는 농기계와 작업기의 동력 전달장치로서, 십자베어링은 입력 및 출력요크와 연결요크에 각각 결합되는 양 결합축이 서로 어긋나 편심되게 구비되는 농기계와 작업기의 동력 전달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agricultural machinery and work equipment, and includes an input yoke connected to agricultural machinery, an output yoke connected to a work machine, a connection yoke connecting the input yoke and the output yoke, and a connection yoke between the input and output yokes and the connection yoke. It is a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agricultural machinery and work equipment that includes a cross bearing that connects the input and output yokes and the connection yoke. The cross bearing is provided so that the two coupling axe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input and output yokes and the connection yoke are offset from each other and are eccentric. Provides power transmission devices for agricultural machinery and work equipment.
Description
본 발명은 농기계와 작업기의 동력 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트랙터와 같은 농기계에 연결되어 견인되는 작업기가 농기계로부터 동력을 안정적으로 전달받을 뿐 아니라 농기계로부터 최대의 회전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 농기계와 작업기의 동력 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agricultural machinery and work equipment.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agricultural machinery and work equipment.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transmission device that is connected to and towed by agricultural machinery, such as a tractor, so that a work machine that is towed by agricultural machinery such as a tractor can not only stably receive power from the agricultural machinery but also be rotated at the maximum rotation angle from the agricultural machinery. It concerns the power transmission system of agricultural machinery and work equipment.
일반적으로, 농기계(트랙터, 경운기, 관리기 등)의 동력을 작업기(베일러, 퇴비살포기, 집초기, 예초기 등)로 전달하여 작업기를 구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In general, when you want to transfer the power of agricultural machinery (tractors, cultivators, managers, etc.) to working machines (balers, compost spreaders, mowers, lawn mowers, etc.) to drive the working machines,
첨부도면 도 1(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0-0018046호, 농사용 작업기 연결장치)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농기계의 동력이 입력축(11)을 통하여 작업기에 설치된 출력축(12)으로 전달되고, 출력축(12)으로 전달된 동력은 작업기를 구동시켜 그 작업기에서 해당 작업을 하게 된다.As disclosed in the attached drawing FIG. 1 (Korea Public Utility Model No. 20-2000-0018046, agricultural implement connection device), the power of the agricultural machinery is transmitted to the
이때, 입력축(11)과 출력축(12)의 상호 마주하는 각 단부에는 요크(13)가 설치되고, 그 각 요크(13)의 사이에는 연결요크(15)가 마련되며, 연결요크(15)와 각 요크(13) 간에는 "+"자형 베어링(14)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 설치됨으로써 입력축(11)의 동력이 출력축(12)으로 전달되는 것이다.At this time, a
이와 같은 입력축과 출력축 및 연결요크와 요크 그리고 "+"자형 베어링의 상호 연결관계를 도 2(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7111호, 트랙터용 작업기 견인링크장치)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inter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input shaft, output shaft, connecting yoke, yoke, and "+"-shaped bearing is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ure 2 (Korea Public Utility Model No. 20-2009-0007111, tractor work machine traction link device) as follows. sam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편에 각각의 십자베어링(61,61a)을 힌지 결합한 더블요크유니버셜조인트(60)의 양측에 각각의 스플라인조인트(62,62a)를 링크 결합하고, 플랜지형베어링유닛(63,63a)에 동력입출력스플라인축(64)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농기계의 동력을 동력입출력스플라인축(64)을 통하여 작업기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2, each spline joint (62, 62a) is link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double yoke universal joint (60) in which each cross bearing (61, 61a) is hinged on both sides, and a flange type bearing unit is formed. The power input/
또한, 각 십자베어링(61,61a)은 종/횡 방향의 축 길이가 동일하고, 또 더블요크유니버셜조인트(60)의 양측 입구 직경과 상기 각 스플라인조인트(62,62a)의 입구 직경이 동일하므로 인해 상기 각 십자베어링(61,61a)을 매개로 상기 각 스플라인조인트(62,62a)가 회전될 때에 회전각이 50°이상 회전되지 못하기 때문에 협소한 농로를 방향전환 하거나 또는 작업현장의 작업 각이 심한 코너 부분을 작업할 때에 원활하게 회전하지 못하고 여러 번 전/후진하며 방향 전환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each cross bearing (61, 61a) has the same longitudinal/lateral axis length, and the inlet diameters on both sides of the double yoke universal joint (60) and the inlet diameters of each spline joint (62, 62a) are the same. Due to this, when each of the spline joints (62, 62a) is rotated via each of the cross bearings (61, 61a), the rotation angle cannot be rotated more than 50°, so it is difficult to change direction on a narrow farm road or to change the work angle at a work site. When working on these sharp corners, there was the cumbersome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turn smoothly and having to go forward/backward and change direction several times.
또, 작업 각이 심한 코너 부분의 미작업 영역의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미작업 영역은 인력을 이용한 별도의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인력 낭비의 원인이 되었다.In addition, as the area of the unworked area at the corner with a large working angle increases, work efficiency decreases, and the unworked area requires separate work using manpower, causing waste of manpower.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농기계와 작업기를 연결함에 있어 농기계에 의해 견인되는 작업기가 농기계로부터 동력을 안정적으로 전달받아 작동되면서 농기계로부터 최대의 회전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 농기계와 작업기의 동력 전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n connecting agricultural machinery and work equipment, the work machine towed by the agricultural machinery receives power stably from the agricultural machinery and operates, thereby maximizing rotation from the agricultural machiner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agricultural machinery and work equipment that can be rotated at an angl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농기계와 작업기의 동력 전달장치는, 농기계에 연결되는 입력요크와, 작업기에 연결되는 출력요크와, 입력요크와 출력요크를 연결시키는 연결요크와, 입력 및 출력요크와 연결요크 사이에 구비되어 입력 및 출력요크와 연결요크를 연결시키는 십자베어링을 포함하는 농기계와 작업기의 동력 전달장치로서, 십자베어링은 입력 및 출력요크와 연결요크에 각각 결합되는 양 결합축이 서로 어긋나 편심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agricultural machinery and work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purpose includes an input yoke connected to the agricultural machinery, an output yoke connected to the work machine, a connection yoke connecting the input yoke and the output yoke, input and It is a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agricultural machinery and work equipment that includes a cross bearing provided between the output yoke and the connection yoke to connect the input and output yokes and the connection yoke. The cross bearing is a double coupling shaft that i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input and output yoke and the connection yok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eccentrically and offset from each other.
그리고, 십자베어링의 편심된 양 결합축 중 입력 및 출력요크에 결합되는 입력 및 출력요크 결합축은 입력 및 출력요크 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연결요크에 결합되는 연결요크 결합축은 연결요크 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mong the two eccentric coupling shafts of the cross bearing, the input and output yoke coupling shafts coupled to the input and output yokes are provided to protrude toward the input and output yokes, and the connection yoke coupling shafts coupled to the connection yokes are provided to protrude toward the connection yoke. You can.
또한, 십자베어링의 편심된 양 결합축 중 입력 및 출력요크에 결합되는 입력 및 출력요크 결합축은 연결요크에 결합되는 연결요크 결합축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Additionally, among the two eccentric coupling axes of the cross bearing, the input and output yoke coupling axes coupled to the input and output yokes may be provided to have a shorter length than the connection yoke coupling axes coupled to the connection yoke.
본 발명의 농기계와 작업기의 동력 전달장치에 따르면, 농기계에 의해 견인되는 작업기가 농기계로부터 동력을 안정적으로 전달받아 작동되면서 농기계로부터 최대의 회전각으로 회전됨으로써 방향전환 각이 심한 협소한 농로에서도 방향전환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작업 반경이 심한 코너부의 작업 영역까지 깊숙이 진입하여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작업기의 회전각이 클 때에도 입력축에서 출력축으로의 안정적인 동력 전달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agricultural machinery and work machin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 machine towed by the agricultural machine is operated by stably receiving power from the agricultural machine and rotated at the maximum rotation angle from the agricultural machine, thereby changing direction even on narrow farm roads with a large direction change angle. It can be done simply and easily,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work deep into the work area of corners with a large work radius, and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stable power transmission from the input shaft to the output shaft even when the rotation angle of the work machine is large. there is.
도 1은 종래 제1실시 예의 유니버셜조인트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제2실시 예의 유니버셜조인트의 일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농기계와 작업기를 연결하는 동력 전달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전달장치에 구성되는 십자베어링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십자베어링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십자베어링의 정면 및 측면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전달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전달장치의 입력요크 및 출력요크와 연결요크의 분리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전달장치에 의해 농기계로부터 회전되는 작업기의 최대 회전각을 나타낸 평단면이다.1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universal joi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related art.
Figure 2 is a partially separated perspective view of the universal joint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related art.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wer transmission device connecting agricultural machinery and work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ross bearing included in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cross be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ront and side view of the cross be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upled state of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eparated plan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put yoke, output yoke, and connection yoke of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ross-section showing the maximum rotation angle of a work machine rotated from an agricultural machine by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so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are defined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concept.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components present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he claims. This is an embodiment that includes components that can be replaced as equivalents in the components.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dditionally, optional terms in the examples below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이에,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ccordingly, whe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전달장치 및 이에 구성되는 입력요크, 출력요크, 연결요크, 십자베어링 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3 to 9 are diagrams showing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put yoke, output yoke, connection yoke, cross bearing, etc. comprised therein.
본 발명에 따른 농기계와 작업기의 동력 전달장치는 농기계의 동력을 입력축을 통하여 작업기 측의 출력축으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장치로서, 입력축과 출력축의 연결부분에서 회전각을 크게 형성하여 방향전환 각이 심한 협소한 농로에서도 방향전환을 용이하면서도 간편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 반경이 심한 코너의 깊숙한 작업 영역까지 작업할 수 있는 등 작업 여건이 취약한 곳에서도 농기계 및 작업기의 진입 및 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회전각이 큰 상태에서도 입력축에서 출력축으로의 동력 전달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작업기의 출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agricultural machinery and work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er transmission device that transmits the power of the agricultural machinery through the input shaft to the output shaft on the work machine side. The rotation angle is large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input shaft and the output shaft, so that the direction change angle is narrow and severe. Not only can you easily and conveniently change direction on a single farm road, but you can also work deep into the work area of a corner with a tight work radius, allowing agricultural machinery and work equipment to enter and work efficiently even in places with poor working conditions, and the rotation This is a device that maximizes the output of the work machine by stably transmitting power from the input shaft to the output shaft even when the angle is large.
이러한 농기계와 작업기의 동력 전달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기계 측의 입력축(100)과 스플라인 결합되어 연결되는 입력요크(200)와, 작업기 측의 출력축(300)과 스플라인 결합되어 연결되는 출력요크(400)와, 입력요크(200)와 출력요크(400)를 연결시키는 연결요크(500)와,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와 연결요크(500)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와 연결요크(500)를 연결시키는 십자베어링(6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of such agricultural machinery and work machines includes an
특히, 십자베어링(600)은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와 연결요크(500)에 각각 결합되는 양 결합축 즉 입력 및 출력요크 결합축(620)과 연결요크 결합축(610)이 서로 어긋나 편심되게 구비된다.In particular, the cross bearing 600 has two coupling axes that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input and
게다가, 십자베어링(600)의 편심된 양 결합축 중 입력 및 출력요크(400)에 각각 결합되는 입력 및 출력요크 결합축(620)은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 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연결요크(500)에 결합되는 연결요크 결합축(610)은 연결요크(500) 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In addition, among the two eccentric coupling axes of the cross bearing 600, the input and output
이는, 십자베어링(600)의 입력 및 출력요크 결합축(620)과 연결요크 결합축(610)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와 연결요크(500)가 십자베어링(600)에 동일 선상으로 위치되지 않고 도 5 및 6에서와 같이 각 결합축(610)(620)의 윤활유로(611)(621)가 서로 연통될 수 있는 거리(O.C)만큼 서로 어긋나 편심되게 구비되고, 이에 더하여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와 연결요크(500)가 십자베어링(600)을 통해 바깥쪽으로 멀어지게 위치됨에 따라 십자베어링(600)에 힌지 결합된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와 연결요크(500) 간의 회전각도를 크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This means that the input and output yokes (200) (400) and the connecting yoke (500), which are respectively hinged to the input and output
이에 더하여, 양 결합축(610)(620)이 서로 어긋나 편심된 길이만큼 십자베어링(600)의 중앙부에는 양측으로 돌출된 돌출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십자베어링(600)을 보강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ross bearing 600 can be reinforced by having a protruding structure protruding on both sides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ross bearing 600 by an eccentric length where the two
그리고, 십자베어링(600)의 편심된 양 결합축 중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에 결합되는 입력 및 출력요크 결합축(620)은 연결요크(500)에 결합되는 연결요크 결합축(6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mong the two eccentric coupling axes of the cross bearing 600, the input and output
이와 같이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가 결합되는 입력 및 출력요크 결합축(620)의 길이가 연결요크(500)와 결합되는 연결요크 결합축(61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이유는,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가 연결요크(500)와 십자베어링(600)을 매개로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될 때에는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의 선단부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바와 같이 연결요크(500) 내로 수용되어 회전됨으로써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의 회전각도가 크게 형성됨에 따라 방향전환 각이 심한 협소한 농로의 방향전환 또는 작업 각이 심한 작업공간의 코너부분 깊숙이까지 진입하여 작업할 수 있는 등 작업 여건이 취약한 곳에서도 농기계 및 작업기의 진입 및 작업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reason why the length of the input and output
또한, 상기와 같은 십자베어링(600)의 구성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에 결합되는 입력 및 출력요크 결합축(620)과 연결요크(500)에 결합되는 연결요크 결합축(610)의 내부에는 각 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윤활유로(611)(621)가 직교되게 형성되고, 각 결합축(610)(620)의 단부에는 트러스트베어링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베어링캡(630)이 설치되며, 베어링캡(630)의 어느 하나 또는 서로 직교되는 양 베어링캡(630)에는 윤활유로(611)(621)와 연통되는 오일주입구가 형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configuration of the cross bearing 600 as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the input and output
이때, 입력 및 출력요크 결합축(620)에 형성된 윤활유로(611)와 연결요크 결합축(610)에 형성된 윤활유로(621)는 도 5에서와 같이 서로 어긋나 직교된 상태의 양 윤활유로(611)(621)가 교차되는 중앙부에서 서로 연통되게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lubricating
한편, 상기와 같은 십자베어링(600)에서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와 결합되는 입력 및 출력요크 결합축(620)의 외경(T)을 도 6에서와 같이 연결요크(500)와 결합되는 연결요크 결합축(610)의 외경(t)보다 크게 형성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outer diameter (T) of the input and output
이는, 십자베어링(600)을 매개로 각 입력요크(200) 및 출력요크(400)와 연결요크(500)가 연결된 상태에서 입력축(100) 및 출력축(30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하고 전달받기 위한 입력요크(200) 및 출력요크(400)의 회전 그리고 각도 변환이 수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십자베어링(600)의 입력 및 출력요크 결합축(620)에 부하가 더 걸리게 된다.This is an inpu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wer from the
이로써, 입력요크(200) 및 출력요크(400)와 결합되는 입력 및 출력요크 결합축(620)의 외경(T)을 연결요크 결합축(610)의 외경(t)보다 크게 형성하여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부하에 견딜 수 있도록 하였다.As a result, the outer diameter (T) of the input and output
또한, 도 8에서와 같이,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의 회전각에 대해, 입력요크(200) 및 출력요크(400)의 선단부 외경(R)을 연결요크(500)의 입구 내경(r)보다 작게 형성하여 입력요크(200) 및 출력요크(400)가 회전될 때에 입력요크(200) 및 출력요크(400)의 선단부가 연결요크(50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마찰없이 용이하게 회전되게 형성함으로써 입력요크(200) 및 출력요크(400)가 연결요크(500)로부터 회전각을 크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회전각의 최대 크기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요크(500)의 길이 방향의 축선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각각 최대 75°까지 회전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input and
입력요크(200) 및 출력요크(400)의 선단부가 연결요크(500)의 입구에 수용된 상태로 회전되어 회전각을 크게(축선을 기준으로 좌우 양쪽으로 각각 최대 75°이하) 형성할 수 있는 것은 십자베어링(600)에서 연결요크(500)와 결합되는 연결요크 결합축(610)의 길이(L)를 입력요크(200) 및 출력요크(400)와 결합되는 각각의 입력 및 출력요크 결합축(620)의 길이(l)보다 길게 형성함과 더불어 각 입력요크(200) 및 출력요크(400)의 선단부 외경(R)을 연결요크(500)의 입구 내경(r)보다 작게 형성하기 때문에 가능하다.The tip of the
한편, 상기와 같이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가 연결요크(500)로부터 최대 75° 까지 회전됨과 동시에 동력 전달장치의 전체적인 길이(W) 즉 입력축(100)과 출력축(300) 사이의 길이를 위하여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와 연결요크(500)의 구조를 개선하였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input and output yokes (200) (400) are rotated up to 75° from the connecting yoke (500), and at the same time, the overall length (W) of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that is, between the input shaft (100) and the output shaft (300), is rotated up to 75°. The structures of the input and output yokes (200) (400) and the connection yoke (500) were improved for length.
이를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입력요크(200) 및 출력요크(400)의 선단부 외경(R)을 연결요크(500)의 입구 내경(r)보다 작게 형성하여 입력요크(200) 및 출력요크(400)의 선단부 외측과 연결요크(500)의 입구 내경(r) 상단 간의 이격된 갭(G)을 확보함으로써 입력요크(200) 및 출력요크(400)가 회전될 때 연결요크(500)와의 접촉되는 시점을 최대한 지연시켜 도 9에서와 같이 입력요크(200) 및 출력요크(400)가 연결요크(500)의 길이방향 축선(중심선)으로부터 최대 75°까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If this is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the outer diameter (R) of the tip of the input yoke (200) and the output yoke (400)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inlet inner diameter (r) of the connection yoke (500), so that the input yoke (200) And by securing a spaced gap (G)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tip of the output yoke (400) and the top of the inlet inner diameter (r) of the connection yoke (500), when the input yoke (200) and the output yoke (400) are rotated, the connection yoke ( 500) is delayed as much as possible so that the
또한, 동력 전달장치의 전체적인 길이(W)를 줄이기 위하여, 연결요크(500)의 구성인 바디부(510)의 양측 단부와 각 연결 측 요크부(520)의 결합구(H) 외주연 간의 간격(D)을 짧게 줄여 입력요크(200) 및 출력요크(400)가 연결요크(500)의 바디부(510)에 최대로 근접되게 형성하였고, 또 각 입력요크(200) 및 출력요크(400)의 선단부 외경(R)을 연결요크(500)의 입구 내경(r)보다 작게 형성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reduce the overall length (W) of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the gap between both ends of the
이와 같이 입력요크(200) 및 출력요크(400)와 연결요크(500)의 연결구조를 개선함에 따라 입력요크(200) 및 출력요크(400)가 연결요크(500)의 길이방향 축선에서 양측 방향으로 최대 75°까지 회전될 수 있음은 물론 동력 전달장치의 전체적인 길이(W)가 줄어듦에 따라 부피가 작아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As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그리고, 연결요크(500)는 도 3에서와 같이 중앙에 링 형태로 된 중공의 바디부(510)가 형성되고, 바디부(510)의 양측에는 바디부(510)에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 측 요크부(520)가 서로 마주하도록 구비되며, 바디부(510)의 내주면은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양측의 입구단에서 내측의 중앙부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원호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입력요크(200) 및 출력요크(400)가 회전될 때 입력요크(200) 및 출력요크(400)의 선단부가 연결요크(500)의 바디부(510) 내에서 마찰이 일어나지 않고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And, as shown in FIG. 3, the
이와 더불어, 입력요크(200)는 십자베어링(600)과 마주하는 일단부(후방부)에 도 5에서와 같이 십자베어링(600)의 입력요크 결합축(620)에 결합되는 한 쌍의 입력 측 요크부(220)가 서로 마주하도록 돌출 형성되고, 반대편의 타단부(전방부)에는 입력축(100)과 스플라인 결합되는 입력 측 결합부(210)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출력요크(400) 역시도 십자베어링(600)과 마주하는 일단부(전방부)에는 십자베어링(600)의 출력요크 결합축(620)에 결합되는 한 쌍의 출력 측 요크부(420)가 서로 마주하도록 돌출 형성되고, 반대편의 타단부(후방부)에는 출력축(300)과 스플라인 결합되는 출력 측 결합부(410)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한편, 입력축(100)과 스플라인 결합된 입력 축 결합부(210)는 축 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출력축(300)과 스플라인 결합된 출력 축 결합부(410)는 핀과 같은 고정부재를 매개로 출력축(300)에 고정되게 결합되나, 필요에 따라서는 출력 축 결합부(410) 역시도 출력축(300)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input
그리고, 입력요크(2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요크(200)의 입력 축 결합부(210)의 길이가 출력요크(400)의 출력 축 결합부(4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는 바, 이는 입력요크(200) 및 출력요크(400)의 회전에 따라 입력 축(100)에서 입력 축 결합부(21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이동 거리를 확보하기 위함이다.And, as shown in FIG. 8, the
이로써, 입력축(100)과 입력 축 결합부(210)는 스플라인 결합된 상태로만 구비되어 입력축(100)에서 입력 축 결합부(210)가 전,우로 이동될 수 있게 되고, 출력축(300)과 출력 축 결합부(410)는 스플라인 결합 후 별도의 고정부재로 고정하여 출력축(300)과 출력 축 결합부(410)가 전,후로 이동될 수 없도록 고정함이 바람직하다.As a result, th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농기계와 작업기의 동력 전달장치는, 농기계와 작업기 사이에 구비되어 농기계의 동력을 작업기로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between the agricultural machinery and the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between the agricultural machine and the work machine, and can stably transmit the power of the agricultural machine to the work machine.
이에 더하여, 농기계 측의 입력축(100)과 작업기 측의 출력축(300)을 연결하는 동력 전달장치에서 회전각이 최대로 형성되어 방향전환 각이 심한 협소한 농로에서도 방향전환이 간편하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작업 각이 심한 코너의 깊숙한 작업 영역까지 원활히 진입하여 작업할 수 있는 등 작업 여건이 취약한 곳에서도 농기계 및 작업기의 진입 및 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rotation angle is maximized in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that connects the
또한, 농기계와 작업기의 회전각이 크게 형성될 때에도 입력축(100)에서 출력축(300)으로의 동력 전달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작업기의 출력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even when the rotation angle of the agricultural machinery and the working machine is large, power is transmitted stably from the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this is for detailed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lear that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are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de clear by the appended claims.
100 : 입력축 200 : 입력요크
210 : 입력 측 결합부 220 : 입력 측 요크부
300 : 출력축 400 : 출력요크
410 : 출력 측 결합부 420 : 출력 측 요크부
500 : 연결요크 510 : 바디부
520 : 연결 측 요크부 600 : 십(+)자베어링
610 : 연결요크 결합축 620 : 입력 및 출력요크 결합축
611,621 : 윤활유로 630 : 베어링캡
D : 간격 G : 갭
H : 연결요크의 연결 측 요크부의 결합구
O.C : 십자베어링의 양 결합축 간의 편심 거리
L : 연결요크 결합축의 길이
l : 입력 및 출력요크 결합축의 길이
R : 입력 및 출력요크의 선단부 외경 r : 연결요크의 입구 내경
T : 입력 및 출력요크 결합축의 외경 t : 연결요크 결합축의 외경
W : 동력전달장치 전체 길이100: input shaft 200: input yoke
210: input side coupling part 220: input side yoke part
300: output shaft 400: output yoke
410: output side coupling part 420: output side yoke part
500: Connection yoke 510: Body part
520: Connection side yoke part 600: Ten (+) bearing
610: Connection yoke coupling axis 620: Input and output yoke coupling axis
611,621: Lubricating oil 630: Bearing cap
D: Gap G: Gap
H: Connector of the yoke part on the connection side of the connection yoke
OC: Eccentric distance between both coupling axes of cross bearings
L: Length of connection yoke coupling axis
l: Length of input and output yoke combination axis
R: Outer diameter of the tip of the input and output yoke r: Inlet inner diameter of the connection yoke
T: Outer diameter of input and output yoke coupling shaft t: Outer diameter of connection yoke coupling shaft
W: Total length of power transmission device
Claims (3)
십자베어링은 입력 및 출력요크에 결합되는 입력 및 출력요크 결합축과 연결요크에 결합되는 연결요크 결합축이 서로 어긋나 편심되게 구비되는 농기계와 작업기의 동력 전달장치.
An input yoke connected to agricultural machinery, an output yoke connected to a work machine, a connection yoke connecting the input yoke and the output yoke, and a cross provided between the input and output yokes and the connection yoke to connect the input and output yoke and the connection yoke. As a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agricultural machinery and work equipment including bearings,
A cross bearing is a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agricultural machinery and work equipment in which the input and output yoke coupling shafts coupled to the input and output yokes and the connecting yoke coupling shafts coupled to the connecting yoke are eccentrically aligned with each other.
십자베어링의 편심된 양 결합축 중 입력 및 출력요크에 결합되는 입력 및 출력요크 결합축은 입력 및 출력요크 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연결요크에 결합되는 연결요크 결합축은 연결요크 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농기계와 작업기의 동력 전달장치.
In claim 1,
Among the two eccentric coupling axes of the cross bearing, the input and output yoke coupling axes coupled to the input and output yokes are provided to protrude toward the input and output yokes, and the connection yoke coupling shafts coupled to the connection yokes are provided to protrude toward the connection yoke.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work machines.
십자베어링의 편심된 양 결합축 중 입력 및 출력요크에 결합되는 입력 및 출력요크 결합축은 연결요크에 결합되는 연결요크 결합축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농기계와 작업기의 동력 전달장치.In claim 1,
Among the two eccentric coupling axes of the cross bearing, the input and output yoke coupling axes coupled to the input and output yokes are a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agricultural machinery and work equipment that is provided to have a shorter length than the connecting yoke coupling axis coupled to the connecting yok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64929A KR102597614B1 (en) | 2023-05-19 | 2023-05-19 | Power transfer unit of agricultural machine and working machiner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64929A KR102597614B1 (en) | 2023-05-19 | 2023-05-19 | Power transfer unit of agricultural machine and working machiner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97614B1 true KR102597614B1 (en) | 2023-11-03 |
Family
ID=88745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64929A KR102597614B1 (en) | 2023-05-19 | 2023-05-19 | Power transfer unit of agricultural machine and working machiner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97614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18046U (en) | 1999-03-11 | 2000-10-05 | 김형도 | connection device for farming machine |
KR100860449B1 (en) * | 2006-12-18 | 2008-09-25 | 임순자 | Traction and bending joint for farm machine using tractor |
KR20090007111U (en) | 2009-06-22 | 2009-07-13 | 서경진 | the machinery traction link system for tractor |
KR101828008B1 (en) * | 2017-09-21 | 2018-02-09 | 주식회사 해동에이지케이 | Connection device of farming machine |
KR101833515B1 (en) * | 2018-01-29 | 2018-02-28 | 주식회사 해동에이지케이 | Power transfer unit of working machinery from farming machine |
-
2023
- 2023-05-19 KR KR1020230064929A patent/KR10259761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18046U (en) | 1999-03-11 | 2000-10-05 | 김형도 | connection device for farming machine |
KR100860449B1 (en) * | 2006-12-18 | 2008-09-25 | 임순자 | Traction and bending joint for farm machine using tractor |
KR20090007111U (en) | 2009-06-22 | 2009-07-13 | 서경진 | the machinery traction link system for tractor |
KR101828008B1 (en) * | 2017-09-21 | 2018-02-09 | 주식회사 해동에이지케이 | Connection device of farming machine |
KR101833515B1 (en) * | 2018-01-29 | 2018-02-28 | 주식회사 해동에이지케이 | Power transfer unit of working machinery from farming machin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28008B1 (en) | Connection device of farming machine | |
US7314416B2 (en) | Drive shaft coupling | |
US5152357A (en) | Swivel hitch for connecting an implement to a tractor | |
KR101833515B1 (en) | Power transfer unit of working machinery from farming machine | |
KR102597614B1 (en) | Power transfer unit of agricultural machine and working machinery | |
US5186271A (en) | Swivel hitch with improved mounting of lower gearbox | |
KR101965617B1 (en) | Power transmission module for cultivator and cultivator having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 |
US5099937A (en) | Swivel hitch with reorientable lower gearbox | |
US6755363B2 (en) | High torque driveline coupler | |
US9995345B2 (en) | Cardan drive | |
US5158500A (en) | Primary drive line and coupling for agricultural implements | |
KR200255993Y1 (en) | connection device for farming machine | |
US4682427A (en) | Trench-digger implement carried by a laterally extending boom and drive therefor | |
KR101612874B1 (en) | A powertrain | |
US2380646A (en) | Flexible coupling | |
US20070246270A1 (en) | Quick connect PTO shaft | |
KR20120024114A (en) | Weeder | |
KR950000873B1 (en) | Double universal joint | |
KR102686270B1 (en) | Power coupling device for agricultural machinery | |
US4023638A (en) | Drive line disconnect mechanism | |
KR102686263B1 (en) | Assembly structure and assembly method of power coupling device for agricultural machinery | |
CN217502342U (en) | External axial telescopic structure of cross-axle type universal coupling | |
US5018345A (en) | Crop harvester having angular draft tongue for accommodating sharp turns | |
CN220060302U (en) | Double-section transmission device | |
KR20100012910A (en) | Coupling device, working apparatus and tractor having the coupl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