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536B1 -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타우로리딘의 정량 분석 방법 - Google Patents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타우로리딘의 정량 분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536B1
KR102597536B1 KR1020200175482A KR20200175482A KR102597536B1 KR 102597536 B1 KR102597536 B1 KR 102597536B1 KR 1020200175482 A KR1020200175482 A KR 1020200175482A KR 20200175482 A KR20200175482 A KR 20200175482A KR 102597536 B1 KR102597536 B1 KR 102597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alysis
taurolidine
tauroridine
quantitative analysis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5428A (ko
Inventor
오진환
홍석환
박종우
조정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성제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성제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성제약
Priority to KR1020200175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536B1/ko
Publication of KR20220085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5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04Preparation or injection of sample to be analysed
    • G01N30/06Prepa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8Diluting, dispersing or mixing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8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2030/022Column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eparation mechanism
    • G01N2030/027Liquid chromatograph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8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 G01N2030/8809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 G01N2030/884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Other Investigation Or Analysis Of Materials By Electrical Mea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정량 분석 시간동안 타우로리딘이 타우린아미드로 가수 분해되는 것을 억제하는 분석 용매를 제조하는 분석 용매 제조단계와, 상기 분석 용매에 상기 타우로리딘을 함유한 분석 시료를 혼합하여 분석 용액을 제조하는 분석 용액 제조단계 및 HPLC를 이용하여 상기 분석 용액의 타우로리딘의 함량을 정량 분석하는 타우로리딘 정량 분석단계를 포함하는 타우로리딘의 정량분석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타우로리딘의 정량 분석 방법{Method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Taurolidine by Using HPLC}
본 발명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의약품 원료인 타우로리딘의 정량 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타우로리딘(Taurolidine)은 아미노타우린 유도체이며, 감염 예방을 위한 약품으로서 전세계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약물이다. 타우로리딘은 박테리아 세포벽 구조와의 생화학반응을 통하여 박테리아를 사멸시키며 방출된 독소(endotoxin)를 불활성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타우로리딘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인체에 무해한 타우린(Taurine)과 물로 전환되는 특성이 있는 매우 안전한 약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타우로리딘은 최근에는 항암 효과 등에 다방면에서 의약품 원료로 사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약물이다.
타우로리딘은 국내에서 주사제의 형태로 판매되고 있으며, 삼진제약이 가이스트리히제약(Giestlich Pharma)으로부터 기술 제휴 및 원료 공급을 받아 1988년부터 식약처 허가를 받아 삼진타우로린™ 주사2%의 제품으로 시판되고 있다.
타우로리딘의 원료 의약품 합성은 많은 업체들이 시도하고 있으며, 원료 의약품으로 사용 허가를 득하기 위해서는 품질을 지속적으로 보증할 수 있는 자료를 작성해야 한다. 이에 따라 의약품 원료인 타우로리딘의 정량법의 개발은 의약품 개발에 있어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일반적으로 원료 의약품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를 이용하여 정량 분석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타우로리딘은 아래의 화학식 1과 같이 발색단 (Chromophore)이 존재하지 않아 HPLC로 정량 분석하는 것이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화학식 1]
현재까지 개발된 타우로리딘을 정량 분석하는 방법은 전위차 적정 (potentiometric titration), 타우로리딘을 유도체화 시켜 HPLC로 정량하는 방법이 알려지고 있다.
전위차 적정법은 시험이 용이하여 원료 의약품의 정량에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나, 특이성 (Specificity)에 문제가 있어 타우로리딘의 정량 분석에는 적절하지 않다는 사실을 본 연구자들에 의해 확인되었다.
타우로리딘은 발색단이 존재하지 않아 통상적인 230nm 이상의 파장에서는 흡광도를 가지지 않아 정량 분석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타우로리딘을 정량 분석하는 방법으로, 타우로리딘을 5-(디메칠아미노)나프탈렌-1-술포닐 클로라이드 (5-(dimethyamino)naphthalene-1-sulfonyl chloride, Dansyl chloride) 혹은 7-클로로-4-니트로벤즈-2-옥사-1,3-디아졸 클로라이드 (7-chloro-4-nitrobenz-2-oxa-1,3-diazole chloride, NBD-HCl)과 같은 발색단과 반응시킨 후에 자외선 검출기 (UV detector)나 형광 검출기(Fluorescence detector)로 정량하는 분석 전 유도체화 HPLC 분석 (Pre-column derivatization & HPLC assay)법이 사용되고 있다. 분석 전 유도체화 HPLC 분석법은 분석 시료를 제조하는데 상당한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되며, 유도체화 반응을 조절하는데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따르게 되며, 분석의 오차를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한편, 타우로리딘은 230nm 이하의 파장에서는 일정 흡광도를 가지게 되지만, 분석에 사용되는 분석 용매들도 흡광도를 가지게 되어 분석 중 간섭 현상에 의해 정확한 정량이 불가능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타우로리딘을 HPLC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분자의 극성 차이에 의해 분석 대상 물질을 분리하는 역상 크로마토그래피 (Reversed-phase chromatography)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분석 용매로서 유기 용매와 물을 적절히 혼합하여 이동상을 제조하여 사용하게 된다.
다만, 타우로리딘은 수용액내에서 매우 빠르게 분해되어 분해 산물인 타우린아미드로 변환될 수 있다. 즉, 타우로리딘은 수용액에서 불안정하여 가수 분해에 의하여 타우린아미드로 변환되면서 오차를 유발하여 정량 분석의 정확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타우로리딘의 분해를 억제시킬 수 있는 분석 용매를 타우로리딘이 함유된 분석 시료와 혼합하여 분석 용액을 제조함으로써 정량 분석의 정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타우로리딘의 정량 분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석 용액에 함유된 타우로리딘에 발색단을 결합시키는 유도체화 공정을 생략하고 분석하여 정량 분석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타우로리딘의 정량 분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타우로리딘의 정량 분석 방법은 타우로리딘의 가수 분해를 억제시키는 분석 용매에 상기 타우로리딘이 함유된 분석 시료를 혼합하여 제조한 분석 용액에 대하여 HPLC를 이용하여 상기 타우로리딘을 정량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타우로리딘의 정량분석 방법은 적어도 정량 분석 시간동안 타우로리딘이 타우린아미드로 가수 분해되는 것을 억제하는 분석 용매를 제조하는 분석 용매 제조단계와, 상기 분석 용매에 상기 타우로리딘을 함유한 분석 시료를 혼합하여 분석 용액을 제조하는 분석 용액 제조단계 및 HPLC를 이용하여 상기 분석 용액의 타우로리딘의 함량을 정량 분석하는 타우로리딘 정량 분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석 용매는 아세토니트릴과 물의 비율이 94:6 내지 96:4의 부피비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타우로리딘의 정량 분석 방법은 상기 분석 용액에 함유된 상기 타우로리딘에 발색단을 결합시키는 상기 타우로리딘의 유도체화 과정을 생략하고 직접 정량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HPLC의 분석 조건은 검출 파장 210 내지 220 nm, 컬럼 C8, 컬럼 온도 25℃, 시료온도 5℃, 유속이 0.5 내지 1.0 mL/min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우로리딘의 정량 분석 방법은 적어도 정량 분석 시간동안 타우로리딘의 가수 분해를 억제시킬 수 있는 분석 용매를 타우로리딘이 함유된 분석 시료와 혼합하여 분석 용액을 제조함으로써 정량 분석의 정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우로리딘의 정량 분석 방법은 분석 용액에 함유된 타우로리딘에 발색단을 결합시키는 유도체화 과정을 생략하고 정량 분석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타우로리딘의 정량 분석 방법은 타우로리딘의 정량 분석 과정에서 타우로리딘이 타우린아미드로 가수 분해되는 것을 억제하여 정량 분석의 정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우로리딘의 정량 분석 방법에 대한 공정도이다.
도 2는 실시예의 분석 용매를 사용한 분석 용액들에 대한 타우로리딘과 타우린아미드의 정량 분석에 대한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3은 비교예의 분석 용매를 사용한 분석 용액들에 대한 타우로리딘의 정량 분석에 대한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4는 서로 다른 타우로리딘 함량을 갖는 타우로리딘 혼합 분석 용액의 타우로리딘에 대한 정량 분석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타우로리딘 정량 분석 방법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법 검증을 실시한 결과이다.
도 6은 아세토니트릴과 물의 부피비가 다른 블랭크 분석 용액에 대한 정량 분석의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7은 분석 용매의 종류에 따른 타우로리딘에 대한 정량 분석의 크로마토그램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타우로리딘의 정량 분석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우로리딘의 정량 분석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우로리딘의 정량 분석 방법에 대한 공정도이다.
상기 타우로리딘의 정량 분석 방법은, 도 1을 참조하면, 분석 용매 제조단계(S10)와 분석 용액 제조단계(S20) 및 타우로리딘 정량 분석단계(S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타우로리딘의 정량 분석 방법은 타우로리딘을 적어도 정량 분석하는 동안 타우로리딘이 타우린아미드로 가수 분해되는 것을 억제하는 분석 용매에 타우로리딘이 함유된 분석 시료를 혼합하여 제조한 분석 용액에 대하여 타우로리딘을 HPLC를 이용하여 정량 분석하는 방법이다. 상기 타우로리딘의 정량 분석 방법은 분석 용매의 조성 조건에 의해 타우로리딘의 분해 산물인 타우린아미드의 생성이 없으며, 분석 대상 성분인 타우로리딘의 유도체화 공정을 생략하여 신속, 정확하게 정량 분석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수용액내에서 타우로리딘이 타우린아미드로 가수 분해되는 반응 메커니즘을 면밀히 검토한 바, 분석 용매의 비율을 세밀히 조절하면 타우로리딘의 가수 분해가 억제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상기 분석 용매 제조단계(S10)는 타우로리딘을 분해시켜 타우린아미드의 생성하는 것을 억제하는 분석 용매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분석 용매는 적어도 정량 분석의 시간 동안 분석 용액내에서 타우로리딘이 타우린아미드로 가수 분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분석 용매는 아세토니트릴과 물이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아세토니트릴과 물의 혼합비율은 94:6 내지 96:4 부피비의 비율로 조절될 수 있다. 혼합비율이 94:6 보다 낮으면 분석 중에 타우로리딘이 가수분해되어 분해산물인 타우린아미드가 생성되어 타우로리딘의 정량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아세토니트릴과 물의 비율이 94:6보다 작거나 96:4 보다 크게 되면 타우로리딘 피크 위치에서 용매에 기인하는 고스트 피크 (ghost peak)가 발생하거나, 용매 피크의 간섭 현상에 의해 정량성의 저해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 분석 용액 제조단계(S20)는 분석 용매에 분석 시료를 혼합하여 분석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분석 시료는 타우로리딘이 혼합된 원료 의약품일 수 있다. 상기 분석 시료는 분석 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타우로리딘의 개략적인 함량을 고려하여 소정 양으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분석 용액 제조 단계는 HPLC 의 타우로리딘의 정량 한계를 고려하여 분석 시료를 적정한 양으로 혼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HPLC의 정량 한계가 1.30ⅹ10-4M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석 시료는 분석 용매에 1.30ⅹ10-4M ~ 7.0ⅹ10-2M의 혼합량 범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타우로리딘 정량 분석단계(S30)은 HPLC를 이용하여 분석 용액의 타우로리딘의 함량을 정량 분석하는 단계이다.
상기 타우로리딘 정량 분석단계(S30)는 HPLC를 이용한 일반적인 분석 조건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우로리딘 정량 분석단계(S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석 용액을 이용한 타우로리딘의 정량 분석에 적합한 조건을 설정하여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타우로리딘 정량 분석단계는 분석 용액의 소정량을 HPLC 샘플 장치에 주입하고, 검출파장은 210 내지220 nm, 컬럼은 C8, 컬럼 온도 25℃, 시료온도 5℃, 유속은 0.5 내지 1.0 mL/min 조건으로 정량 분석할 수 있다. 상기 HLPC의 분석 조건은 분석 장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타우로리딘의 정량 분석 방법에 따른 분석 용액의 정량 분석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평가에서는 다양한 조성의 분석 용액에 대한 정량 분석을 통하여 분석 용액에 대한 타우로리딘의 유도체화 공정이 없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타우로리딘의 정량 분석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즉, 분석 용액에 포함되는 타우로리딘이 정량 분석 과정에서 타우로리딘이 타우린아미드로 분해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본 평가에서는 분석 용매에 혼합된 타우로리딘의 함량이 정량 분석에 영향을 주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분석 용액에 포함되는 타우로리딘의 함량에 따라 정량 분석 과정에서 타우로리딘이 타우린아미드로 분해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본 평가에서는 상기 타우로리딘 정량 분석 방법의 정량 분석 특이성에 대한 검증도 실시하였다. 또한, 상기 타우로리딘 정량 분석 방법의 정량 분석 조건에 대한 밸리데이션 시험을 통하여 특이성, 정확성, 직선성, 정밀성 등을 확인하였다.
본 평가에서 분석 용액에 대한 정량 분석은 HPLC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HPLC는 Agilent 1260 infinity II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분석 조건은 Capcell Pak 컬럼 UG120 (5 um, 4.5 x 150 mm), 분석 시료의 유속은 0.5 mL/min으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분석 용액 5uL를 HPLC 샘플 장치에 주입하고 컬럼 온도 25℃, 샘플온도는 5℃로 유지하면서 정량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용액은 검출 파장 210 nm에서 분석 용매의 조성에 따른 분석 간섭(interference)를 확인하였다.
1. 분석 용매의 타우로리딘 분해 억제에 대한 평가
본 평가에서는 타우로리딘과 분석 용매가 혼합된 분석 용액에서 타우로리딘이 타우린아미드로 분해되는지 여부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의 분석 용매는 아세토니트릴과 물을 부피비로 95:5로 혼합하여 제조하였으며, 전체 부피가 2L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제조된 분석 용매는 블랭크 분석 용액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분석 용매에 1,000ppm의 타우로리딘을 용해시켜 타우로리딘 혼합 분석 용액을 제조하였다. 또한, 타우로리딘 혼합 용액에 100ppm의 타우린아미드를 용해시켜 타우린아미드 혼합 분석 용액을 제조하였다. 블랭크 분석 용액과 타우로리딘 혼합 분석 용액과 타우린아미드 혼합 분석 용액에 대하여 타우로리딘과 타우린아미드에 대한 정량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비교예의 분석 용매는 아세토니트릴과 물을 부피비로 50:50으로 혼합하여 제조하였으며, 분석 용매에 1,000ppm의 타우로리딘을 용해시켜 타우로리딘 혼합 분석 용액을 제조하였다.
도 2는 실시예의 분석 용매를 사용한 분석 용액들에 대한 타우로리딘과 타우린아미드의 정량 분석에 대한 크로마토그램이다.
블랭크 분석 용액은, 도 2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타우로리딘과 타우린아미드의 피크가 검출되지 않았다. 타우로리딘 혼합 분석 용액은, 도 2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타우로리딘의 피크(3.4분대)만 검출되고 타우린아미드의 피트가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타우로리딘은 분석 용매에서 타우린아미드로 분해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타우로리딘과 타우린아미드 혼합 분석 용액은 타우로리딘의 피크(3.4분대)과 타우린아미드의 피크(2.0분대)가 함께 검출되었다.
도 3은 비교예의 분석 용매를 사용한 분석 용액들에 대한 타우로리딘의 정량 분석에 대한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타우로리딘 함유 분석 용액은 타우로리딘의 피크와 함께 타우린아미드의 피크도 함께 검출되고 있다. 따라서, 비교예의 분석 용매를 사용한 타우로리딘 혼합 분석 용액은 타우로리딘이 타우린아미드로 분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평가로부터 분석 용매의 조성은 타우로리딘의 정량 분석에 영향을 주는 인자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석 용매의 조성은 정량 분석 과정에서 분석 용액에 포함되어 있는 타우로리딘이 타우린아미드로 분해되는 것을 억제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2. 타우로리딘의 함량에 따른 영향 평가.
본 평가에서는 분석 용매에 혼합되는 타우로리딘의 함량이 타우로리딘의 정량 분석에 영향을 주는지 여부를 평가하였다.
본 평가에서는 타우로리딘의 함량이 각각 200ppm, 500ppm, 800ppm, 1000ppm, 1200ppm이 되도록 복수 개의 타우로리딘 혼합 분석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복수의 타우로리딘 혼합 분석 용액에 대하여 각각 타우로리딘에 대한 정량 분석을 진행하였다.
도 4는 서로 다른 타우로리딘 함량을 갖는 타우로리딘 혼합 분석 용액의 타우로리딘에 대한 정량 분석 결과이다.
타우로리딘 혼합 분석 용액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타우로리딘의 함량에 따라 타우로리딘이 비례적으로 정량 분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평가에서 분석 용매에 혼합된 타우로리딘에 대한 정량 분석은 타우로리딘 함량에 대하여 양호한 직선성(R2 = 0.999)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타우로리딘 정량 분석 방법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법 검증을 실시한 결과이다.
상기에서 진행된 다양한 분석 용액에 대한 정량 분석 과정에서 본 발명의 타우로디린 정량 분석 방법에 대한 검증을 함께 진행하였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타우로리딘 정량 분석 방법은 특이성, 정확성, 직선성, 정밀성 등 의약품 개발에 있어 갖추어야 할 검증 기준내에 있으며, 분석 방법 타당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3. 분석 용매의 조성에 따른 영향 평가
본 평가에서는 분석 용매의 조성이 타우로리딘의 정량 분석에 영향을 주는지 여부를 평가하였다.
분석 용매는 아세토니트릴과 물의 비율(부피비)을 각각 95:5, 90:10, 85:15, 80:20, 70:30, 50:50, 30:70, 20:80, 15:85, 10:90 및 5:95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제조된 분석 용매는 블랭크 분석 용액으로 사용하여 정량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때, 블랭크 분석 용액에 대하여 타우로리딘의 피크와 타우린아미드의 피크가 존재하는 영역을 중심으로 정량 분석을 진행하였다.
도 6은 아세토니트릴과 물의 부피비가 다른 블랭크 분석 용액에 대한 정량 분석의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6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세토니트릴과 물의 비율이 95:5인 블랭크 분석 용액은 아무런 피크도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도 6의 (B), (C),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세토니트릴과 물의 비율이 85:15, 70:30, 20:80인 블랭크 분석 용액은 3, 4분대에서 고스트 피크(ghost peak)가 확인되었다. 3, 4분대의 고스트 피크는 타우로리딘의 피크와 일부 겹치게 되거나 인접하여 타우로리딘의 함량을 정량 분석하는데 방해 인자로 작용할 소지가 있다.
따라서, 아세토니트릴과 물의 비율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분석 용매는 타우로리딘의 정량 분석에 부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4. 분석 용매의 종류에 따른 영향 평가
본 평가에서는 분석 용매의 종류가 타우로리딘의 정량 분석에 영향을 주는지 여부를 평가하였다.
비교예의 분석 용매는 아세토니트릴 대신에 에탄올과 메탄올을 사용하였으며, 물과의 혼합 비율은 부피비로 95:5로 하였다. 제조된 분석 용매에 1,000ppm의 타우로리딘을 용해시켜 타우로리딘 혼합 분석 용액을 제조하였다. 또한, 대비를 위하여 본 발명의 분석 용매(아세토니트릴:물=95:5)에 1,000ppm의 타우로리딘을 용해시켜 타우로리딘 혼합 분석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타우로리딘 혼합 분석 용액에 대하여 각각 타우로리딘의 함량을 정량 분석하였다.
도 7은 분석 용매의 종류에 따른 타우로리딘에 대한 정량 분석의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7의 (A)와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에탄올 또는 메탄올이 혼합된 타우로리딘 혼합 분석 용액은 용매의 간섭 효과로 인하여 타우로리딘의 피크가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에, 도 7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세토니트릴이 혼합된 타우로리딘 혼합 용액은 타우로리딘의 피크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에탄올 또는 메탄올은 타우로리딘의 정량 분석을 위한 용매로 적정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Claims (5)

  1. 삭제
  2. 적어도 정량 분석 시간동안 타우로리딘이 타우린아미드로 가수 분해되는 것을 억제하는 분석 용매를 제조하는 분석 용매 제조단계와,
    상기 분석 용매에 상기 타우로리딘을 함유한 분석 시료를 혼합하여 분석 용액을 제조하는 분석 용액 제조단계 및
    HPLC를 이용하여 상기 분석 용액의 타우로리딘의 함량을 정량 분석하는 타우로리딘 정량 분석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분석 용매는 아세토니트릴과 물의 혼합 비율이 94:6 내지 96:4의 부피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우로리딘의 정량분석 방법.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용액에 함유된 상기 타우로리딘에 발색단을 결합시키는 상기 타우로리딘의 유도체화 과정을 생략하고 직접 정량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우로리딘의 정량분석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HPLC의 분석 조건은 검출 파장 210 내지 220 nm, 컬럼 C8, 컬럼 온도 25℃, 시료온도 5℃, 유속이 0.5 내지 1.0 mL/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우로리딘의 정량분석 방법.
KR1020200175482A 2020-12-15 2020-12-15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타우로리딘의 정량 분석 방법 KR102597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482A KR102597536B1 (ko) 2020-12-15 2020-12-15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타우로리딘의 정량 분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482A KR102597536B1 (ko) 2020-12-15 2020-12-15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타우로리딘의 정량 분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428A KR20220085428A (ko) 2022-06-22
KR102597536B1 true KR102597536B1 (ko) 2023-11-03

Family

ID=82217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482A KR102597536B1 (ko) 2020-12-15 2020-12-15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타우로리딘의 정량 분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53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85813A (zh) 2008-04-28 2008-10-15 长春迈灵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牛磺罗定的质量检测方法
JP2014519022A (ja) 2011-05-04 2014-08-07 ディーエックスアップクローズ 微生物を特定し、微生物を計数し、抗微生物感度を判定する装置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078A (ko) * 2018-10-19 2020-05-04 주식회사 엔지켐생명과학 타우로리딘, 타우룰탐 및 타우린아마이드의 분석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85813A (zh) 2008-04-28 2008-10-15 长春迈灵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牛磺罗定的质量检测方法
JP2014519022A (ja) 2011-05-04 2014-08-07 ディーエックスアップクローズ 微生物を特定し、微生物を計数し、抗微生物感度を判定する装置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428A (ko) 202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na-Pereira et al. AGREE—Analytical GREEnness metric approach and software
Vial et al. Experimental comparison of the different approaches to estimate LOD and LOQ of an HPLC method
Burakham et al. Simple flow-injection system for th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nitrite and nitrate in water samples
Schulze et al. A rapid method for quantification of persistent and mobile organic substances in water using supercritical fluid chromatography coupled to high-resolution mass spectrometry
Martinc et al.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gabapentin, pregabalin, vigabatrin, and topiramate in plasma by HPLC with fluorescence detection
Couto et al. The analytical challenge in the determination of cathinones, key-players in the worldwide phenomenon of novel psychoactive substances
Teasdale et al. Analytical control strategies for mutagenic impurities: current challenges and future opportunities?
Jireš et al. Insight into the formation of N-nitrosodimethylamine in metformin products
Kiss et al. Method development for detecting the novel cyanide antidote dimethyl trisulfide from blood and brain, and its interaction with blood
Gill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HPLC-MS-MS method for quantitating bis (2, 2, 6, 6-tetramethyl-4-piperidyl) sebacate (Tinuvin 770) and a related substance in aqueous extracts of plastic materials
Epemolu et al.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ic bioanalysis of a modified γ‐cyclodextrin (Org 25969) and Rocuronium bromide (Org 9426) in guinea pig plasma and urine: its application to determine the plasma pharmacokinetics of Org 25969
KR102597536B1 (ko)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타우로리딘의 정량 분석 방법
Öncü et al. LC-MS/MS Investigation of nitrosamine impurities in certain Sartan group medicinal products available in Istanbul, Türkiye
Hassan et al. Experimental design optimization of simultaneous enantiomeric separation of atenolol and chlorthalidone binary mixture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sing polysaccharide‐based stationary phases
Rajendraprasad et al. Sensitive and selective extraction-free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quetiapine fumarate in pharmaceuticals using two sulphonthalein dyes
Gilpin et al. Pharmaceuticals and related drugs
Raasi Analytical method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Remdesivir in bulk and pharmaceutical dosage forms using reverse-phase-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ohamed et al. Spectrofluorimetric determination of certain biologically active phenothiazines in commercial dosage forms and human plasma
Karvaly et al. A fieldable, high-throughput, cost-efficient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ultraviolet absorption detection (HPLC-UV)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bispyridinium quaternary aldoxime cholinesterase reactivators in blood
Evgen’ev et al. Reversed-phase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isoniazide in human urine as a test of the genetically predetermined type of biotransformation by acetylation
Masne et al. QbD approached in method development, validation and degradation profiling of aripiprazole a antidepressent agent
CN113607836A (zh) 一种茚虫威关键中间体含量的分析方法
CN113219098A (zh) 一种双氯芬酸钠中氯乙酰氯的检测方法
Youssef Validated stability-indicating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nizatidine in the presence of its sulfoxide derivative
Siddiqui et al. Kinetic approach to determine 3-amino methyl hexanoic acid in pharmaceutical formul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