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463B1 - 롤프레스의 프레스롤 어셈블리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롤프레스의 프레스롤 어셈블리 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463B1
KR102597463B1 KR1020230089035A KR20230089035A KR102597463B1 KR 102597463 B1 KR102597463 B1 KR 102597463B1 KR 1020230089035 A KR1020230089035 A KR 1020230089035A KR 20230089035 A KR20230089035 A KR 20230089035A KR 102597463 B1 KR102597463 B1 KR 102597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
support structure
roll
roll assembly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9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섭
이휘웅
오병갑
Original Assignee
(주)피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엔티 filed Critical (주)피엔티
Priority to KR1020230089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4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8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e.g. using C-hooks; Replacing roll chocks on roll shafts
    • B21B31/10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e.g. using C-hooks; Replacing roll chocks on roll shafts by horizontally displacing, i.e. horizontal roll changing
    • B21B31/103Manipulators or carriag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20Roller-and-ring machines, i.e. with roller disposed within a ring and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ing
    • B30B11/201Roller-and-ring machines, i.e. with roller disposed within a ring and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ing for extruding material
    • B30B11/208Roller constructions; Mounting of th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3/00Pres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rotary pressing members, e.g. rollers, rings, discs
    • B30B3/04Pres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rotary pressing members, e.g. rollers, rings, discs co-operating with one another, e.g. with co-operating cones
    • B30B3/045Pres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rotary pressing members, e.g. rollers, rings, discs co-operating with one another, e.g. with co-operating cones with co-operating c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프레스의 프레스롤 어셈블리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지지구조체와, 지지구조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프레스롤 어셈블리를 갖는 롤프레스의 지지구조체에 장착되는 도킹유지부와; 상기 지지구조체에 근접하여 도킹유지부를 통해 지지구조체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지지구조체로부터 분리된 프레스롤 어셈블리를 적재하는 전동대차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롤프레스의 프레스롤 어셈블리 인출장치는, 상하부롤을 분해하지 않고 한꺼번에 인출 이동시킬 수 있어 인출 작업이 효율적이며 신속하다. 또한, 인출 시, 지지구조체에 대한 전동대차의 고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전동대차의 벌어짐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없다.

Description

롤프레스의 프레스롤 어셈블리 인출장치{Apparatus for carrying press roll assembly}
본 발명은 롤프레스에 설치되는 프레스롤 어셈블리를 인출하거나 장착하는데 사용하는 취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스롤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상하부롤을 분해하지 않고 한꺼번에 인출 이동시킬 수 있어 그만큼 유지보수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롤프레스의 프레스롤 어셈블리 인출장치 및 인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반복적 충방전이 가능한 타입의 전지로서, 전해질 중의 이온이, 분리막에 의해 절연된 양극과 음극 사이를 이동함으로써 충전 및 방전을 반복하도록 구성된다. 이차전지의 양극 및 음극은, 금속 재질의 전극 집전체와, 집전체 상에 활물질이 도포되어 구성된 전극 활물질층을 갖는다. 전극 집전체는, 알루미늄 또는 구리로 이루어진 시트나 포일일 수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의 제조공정에는, 전극공정, 조립공정, 화성공정이 포함되며, 전극공정 중 압연단계에는 롤프레스가 사용된다. 압연단계는, 활물질 코팅단계가 끝난 전극의 두께를 축소시켜 용량 밀도를 높이고, 전극 집전체와 활물질 간의 접착성을 증가시키는 과정이다. 압연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롤프레스는, 고온으로 가열된 두 개의 롤을 구비하고, 롤 사이로 전극을 통과시키며 압축한다.
이차전지 제조용 롤프레스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지지되는 상하부롤과 롤구동부를 갖는다. 상하부롤은 롤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며 그 사이로 전극용 자재를 통과시킨다. 그런데 상하부롤은 사용이 오래될수록 외주면이 마모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를 갖는다. 따라서, 상하부롤이 마모될 경우, 상하부롤을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여 외부로 인출 후 적절한 유지보수를 진행하여야 한다. 상하부롤을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전용 인출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인출장치로서, 본 출원 발명자에 의해 제안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437151호 (롤프레스의 상하부 롤유니트 순차 인출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인출장치는, 지면상에서 주행 가능하고, 롤프레스로부터 분리된 상하부롤유니트를 받쳐 지지하는 인출캐리어와; 이동 시 인출캐리어에 적재되고, 사용 시 접지된 상태로 인출캐리어 상의 상하부롤유니트를 지지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승강행거를 포함하고, 인출캐리어는, 바퀴가 구비된 대차와, 대차에 고정되며, 사용 시 지면에 가압력을 가하고, 가압력에 대응한 반작용력에 의해 대차를 상승시키는 다수의 대차고정부와, 대차에 내장되며, 승강행거의 적재를 위해, 대차로부터 외부로 전개되어 승강행거를 받치는 출몰형지지체를 구비한다.
그런데 상기 순차 인출장치는, 하부롤유니트와 상부롤유니트를 순차적으로 인출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상하부롤유니트를 인출할 때 지지구조체에 대한 인출캐리어의 고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한다. 작업 중 인출캐리어가 지지구조체로부터 벌어질 경우, 상하부롤유니트의 인출 시 대형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보다 안정적인 상태에서 신속 인출이 가능한 인출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상하부롤을 분해하지 않고 한꺼번에 인출 이동시킬 수 있고, 인출 시, 지지구조체에 대한 전동대차의 고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없는, 롤프레스의 프레스롤 어셈블리 인출장치 및 인출방법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롤프레스의 프레스롤 어셈블리 인출장치는, 지지구조체와, 지지구조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프레스롤 어셈블리를 갖는 롤프레스의 지지구조체에 장착되는 도킹유지부와; 상기 지지구조체에 근접하여 도킹유지부를 통해 지지구조체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지지구조체로부터 분리된 프레스롤 어셈블리를 적재하는 전동대차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도킹유지부는; 수평의 지지샤프트를 통해 지지구조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일측에 록킹단부가 마련되어 있는 회전바디와, 회전바디를 회전시켜 록킹단부가 지지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하는 회전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전동대차는; 다수의 바퀴를 가져 지면상에서 이동 가능한 상판과, 상판의 단부에 고정되고 지지구조체에 접한 상태로 상기 회전바디의 록킹단부에 걸려 고정되는 록킹브릿지를 포함한다.
아울러, 록킹단부에는 걸림롤이 더 설치되고, 록킹브릿지에는 걸림롤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롤프레스의 지지구조체에는, 프레스롤 어셈블리를 받쳐 지지하는 가동베이스와, 가동베이스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받침롤이 구비되고, 전동대차에는, 가동베이스와 결합하여 가동베이스를 상판위에 올리거나 지지구조체로 이동시키는 이송수단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수단은; 상판위에 수평으로 설치된 리드스크류와, 리드스크류를 축회전시키는 리드스크류 구동부와, 리드스크류에 치합하며 직선운동 하고, 상기 가동베이스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베이스캐리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롤프레스의 프레스롤 어셈블리 인출방법은, 지지구조체와, 지지구조체에 지지된 프레스롤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롤프레스로부터, 상기 프레스롤 어셈블리를 인출하는 방법으로서, 다수의 바퀴를 가지며 주행 가능한 전동대차를 이동시켜 상기 지지구조체에 고정시키는 대차고정단계와; 대차고정단계의 완료 후 프레스롤 어셈블리를 지지구조체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단계와; 지지구조체로부터 분리된 프레스롤 어셈블리를 지지구조체로부터 인출하여 전동대차에 로딩하는 인출단계와; 인출단계의 완료 후, 지지구조체로부터 전동대차를 분리시키는 대차분리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롤프레스의 지지구조체 하부에는, 프레스롤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가동베이스와, 가동베이스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받침롤이 구비되고, 전동대차에는, 상기 가동베이스와 결합하여 가동베이스를 지지구조체로부터 인출하는 이송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인출단계에는, 이송수단에 가동베이스를 연결시키는 커넥팅공정이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롤프레스의 프레스롤 어셈블리 인출장치는, 상하부롤을 분해하지 않고 한꺼번에 인출 이동시킬 수 있어 인출 작업이 효율적이며 신속하다.
또한, 인출 시, 지지구조체에 대한 전동대차의 고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전동대차의 벌어짐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프레스의 프레스롤 어셈블리 인출장치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동대차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전동대차를 A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전동대차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전동대차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전동대차의 조향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롤 어셈블리 인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롤 어셈블이 인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롤 어셈블리 인출장치는, 롤프레스(10)의 지지구조체(11)에 장착되어 있는 프레스롤 어셈블리(13)를, 지지구조체(11)의 외부로 인출할 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유지보수가 완료된 프레스롤 어셈블리(13)를 지지구조체(11)에 재장착 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인출'은, 지지구조체(11)에서 분리된 프레스롤 어셈블리(13)를 지지구조체(11)의 외부로 빼내는 것이고, '재장착'은 유지보수가 완료된 또는 신규의 프레스롤 어셈블리를, 지지구조체(11) 내부로 들여보내는 과정이다. 지지구조체(11) 내부로 들여보내어진 프레스롤 어셈블리(13)는 추가 공정을 통해 지지구조체(11)에 조립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프레스의 프레스롤 어셈블리 인출장치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출장치는, 도킹유지부(20)와 전동대차(30)를 포함한다. 도킹유지부(20)는 전동대차(30)를 지지구조체(11)에 결합시키고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킹유지부(20)가 없다면, 전동대차(30)가 롤프레스(10)로부터 물러나 벌어져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롤프레스(10)는,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구조체(11), 프레스롤 어셈블리(13), 가동베이스(15), 다수의 받침롤(19)을 구비한다. 프레스롤 어셈블리(13)는 상부롤(13a)과 하부롤(13b)로 구성되며 지지구조체(11)에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부롤(13a)과 하부롤(13b)은 상호 선접촉한 상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가공할 대상물은 상부롤(13a)과 하부롤(13b)의 사이를 통과한다.
가동베이스(15)는 프레스롤 어셈블리(13)를 외부로 인출할 때,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스롤 어셈블리(13)를 받쳐지지 한다. 가동베이스 자체는 일반적인 것이지만, 본 실시예에서의 가동베이스에는 일측에 캐리어연결부(15a)를 더 갖는다. 캐리어연결부(15a)는 연결볼트(도 7b의 36)와 결합하는 암나사구멍을 제공하는 돌출부이다.
가동베이스(15)는 다수의 받침롤(19)에 의해 지지된다. 받침롤(19)은 가동베이스(15)를 수평으로 지지하며, 가동베이스가,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킹된 상태로 대기하고 있는) 전동대차(30)로 수평 이동하게 한다.
한편, 도킹유지부(20)는, 지지구조체(11)의 하측부에 설치된다. 도킹유지부(20)에는, 회전바디(23), 회전수단, 걸림롤(25)이 포함된다.
회전바디(23)는, 수평의 지지샤프트(23a)를 통해 지지구조체(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판상부재로서, 두 개가 상호 나란하게 이격 배치된다. (도 1은 측면도이므로 전면의 회전바디만 보인다.) 한 쌍의 회전바디(23)는 상호 평행한 상태로 지지샤프트(23a)로 연결된다. 지지샤프트(23a)는, 양단부가 회전바디(23)에 고정된 샤프트이며 지지구조체(11)에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아울러 회전바디(23)의 일측에는 록킹단부(23c)가 마련되어 있다. 록킹단부(23c)는 록킹브릿지(37)의 걸림홈(37a)에 삽입 가능한 부분이다. 또한, 양측 회전바디(23)의 록킹단부(23c) 사이에는 걸림롤(25)가 설치된다. 걸림롤(25)은 지지샤프트(23a)와 평행한 부재이며 회전바디(23)가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할 때 걸림홈(37a)에 삽입된다.
그리고 회전수단은, 회전바디(23)를 화살표 c방향이나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의 회전수단은 액추에이터(21)이다. 액추에이터(21)는 유압식이나 공압식 또는 전기식 액추에이터로서 후단부가 지지핀(21a)을 통해 지지구조체(11)에 링크된다.
그리고 액추에이터(21)의 피스톤로드(21b) 단부는 로드연결핀(21c)을 통해 회전바디(23)에 링크된다. 피스톤로드(21b)의 중심축선은 항상 지지샤프트(23a)의 하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피스톤로드(21b)의 직선운동에 따라 회전바디(23)의 회전운동이 가능한 것이다.
도 1의 도면부호 11c는 스토퍼이다. 스토퍼(11c)는 도 7a의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하는 전동대차(30)의 선단부에 부딪히며 전동대차(30)를 정지시킨다. 즉 지지구조체(11)에 대해 전동대차를 정위치 시키는 것이다.
한편, 전동대차(30)는, 프레스롤 어셈블리(13)를 이송시키는 말하자면 캐리어이다. 전동대차(30)는 지지구조체(11)를 향해 화살표 d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스토퍼(11c)에 걸린 상태에서 도킹유지부를 통해 지지구조체에 일시 결합된다 .
전동대차(30)는 지지구조체(11)로부터 프레스롤 어셈블리(13)를 인출할 때도 사용하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보수가 완료된 프레스롤 어셀블리(13)를 지지구조체(11)에 진입시킬 때도 사용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동대차(3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전동대차를 A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2의 전동대차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전동대차의 저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전동대차의 조향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동대차(30)는, 상판(31), 록킹브릿지(37), 받침부(33), 레벨센서(38), 이송수단, 배터리(47), 컨트롤패널(41), 다수의 레벨링부(55), 종동휠(53), 주행구동부(51)를 갖는다.
상판(31)은, 가동베이스(15)와 프레스롤 어셈블리(13)를 그 위에 적재하는 구조체이며, 하부에 상기한 주행구동부(51), 종동휠(53), 레벨링부(55)를 갖는다. 또한 상판(31)의 일측에는 케이스(39)가 구비된다.
케이스(39)는, 배터리(47)와 리드스크류 구동부(45)를 수용하는 하우징이며 측부에 컨트롤패널(41)를 갖는다. 컨트롤패널(41)는, 전동대차(30)를 구동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전동대차(30)의 상황, 가령 상판(31)의 높이, 기울어짐 각도, 배터리의 잔량 등을 나타내 보인다. 전동대차(30)의 동작은 컨트롤패널(41)에 의해 제어된다.
배터리(47)는 컨트롤패널(41)의 제어 하에, 전동대차(30)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식 전원이다. 리드스크류 구동부(45)나 주행구동부(51)의 모터는 배터리의 전력을 전달받아 동작한다.
리드스크류 구동부(45)는 리드스크류(34)를 축회전 시키는 역할을 한다. 리드스크류 구동부(45)에는 모터(45a)와 감속기(45b)가 포함된다. 모터(45a)의 회전력은 감속기(45b)를 통해 리드스크류(34)로 전달된다.
상판(31)의 상면에는 두 개의 받침부(33)와 가이드레일(32)이 고정된다. 가이드레일(32)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직선형 부재이며 베이스캐리어(35)의 직선 운동을 가이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캐리어(35)의 하단부는 가이드레일(32)을 수용하며 가이드레일에 지지된다. 베이스캐리어(35)와 가이드레일(32)의 사이에 베어링(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33)는 가이드레일(32)을 중심에 두고 반대편에 설치된다. 각 받침부(33)는 한 쌍의 롤러지지로드(33b)와 다수의 받침롤러(33a)를 갖는다. 롤러지지로드(33b)는 가이드레일(32)과 평행하게 연장된 직선형 부재이며 그 사이에 받침롤러(33a)를 갖는다. 받침롤러(33a)는 가동베이스(15)를 받쳐 지지한다.
또한 상기한 이송수단은, 가동베이스(15)를 상판(31)에 올리거나, 상판(31) 위의 가동베이스(15)를 지지구조체(11)의 받침롤(19) 상부로 밀어 넣는 역할을 한다. 이 때 가동베이스(15)의 상부에는 프레스롤 어셈블리(13)가 로딩되어 있다.
이송수단에는, 리드스크류(34), 리드스크류 구동부, 베이스캐리어(35)가 포함된다. 리드스크류(34)는 가이드레일(32)의 상부에 수평으로 배치된 기계요소이다. 리드스크류(34)의 일단부는 스크류지지판(34a)에 축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타단부는 감속기(45b)에 연결된다. 모터(45a)의 작동에 의해 리드스크류(34)는 양방향으로 축회전 한다.
리드스크류 구동부는, 모터(45a)와 감속기(45b)로 구성되고 리드스크류(34)를 축회전 시킨다.
또한, 베이스캐리어(35)는 리드스크류에 치합하며 직선운동 하고, 가동베이스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 베이스캐리어(35)에는, 슬라이더(35a), 커넥터(35c), 너트블록(35f)이 포함된다.
슬라이더(35a)는 가이드레일(32)에 지지되며 가이드레일(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하는 부재이다. 커넥터(35c)는 슬라이더(35a)의 상부에 수직으로 고정된 판상부재이고 연결구멍(35d)을 갖는다.
연결구멍(35d)은 가동베이스(15)의 캐리어연결부(15a)를 수용하는 구멍이며 내주면에 걸림턱(35e)을 갖는다. 걸림턱(35e)은 캐리어연결부(15a)의 단부가 끼워지는 홈이다. 걸림턱(35e)에 캐리어연결부(15a)의 단부를 끼운 상태에서, 캐리어연결부(15a)의 암나사구에 연결볼트(36)를 결합하면 가동베이스(15)에 대한 베이스캐리어(35)의 결합이 완료된다.
너트블록(35f)은 커넥터(35c)의 전후면에 일체를 이루는 요소로서 리스크류(34)와 치합한다.
그리고 상판(31)의 일측에는 레벨센서(38)가 구비된다. 레벨센서(38)는 상판의 높이를 감지하는 일반적인 센서이다.
록킹브릿지(37)는 상판의 단부에 고정되는 부재이며 선단부에 걸림홈(37a)을 갖는다. 걸림홈(37a)은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킹유지부(20)의 걸림롤(25)이 걸리는 홈이다. 걸림롤(25)이 걸림홈(37a)에 수용되면, 지지구조체(11)에 대한 전동대차(30)의 도킹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상판(31)의 하부에는, 주행구동부(51), 종동휠(53), 레벨링부(55)가 설치된다.
주행구동부(51)는 상판(31)의 중앙부 좌우에 설치되며 전동대차(30)의 추진력을 발생한다. 주행구동부(51)에는, 구동모터(51a), 감속기(51b), 구동휠(51c)이 포함된다. 구동모터(51a)는 배터리의 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력을 출력한다. 감속기(51b)는 구동모터(51a)의 회전력을 받아 구동휠(51c)을 양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양측 주행구동부(51)는 독립적으로 작동한다.
양측 구동휠(51c)의 회전속도가 동일하고 회전방향이 반대일 경우 전동대차(30)는 도 6의 중심점(Z)을 기준으로 그 자리에서 회전한다. 상기 중심점(Z)은, 리드스크류(34)와 평행한 X축과, 구동휠(51c)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Y축의 교차점이다. 물론 양측 구동휠(51c)의 회전 방향이 둘 다 전진 방향이면 전동대차(30)는 전진을, 회전방향이 후진 방향이면 전동대차(30)는 후진한다.
또한 양측 구동휠(51c)의 회전방향이 전진방향 이더라도, 예를 들어, 우측 구동휠(51c)의 회전속도가 좌측 구동휠의 회전속도 보다 빠르다면 전동대차(30)는 좌회전 한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종동휠(53)은 주행구동부(51)를 사이에 두고, 주행구동부(51)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된다. 종동휠(53)도 전동대차(30)의 좌우측에 위치한다. 종동휠(53)은 휠하우징(53a)과 휠본체(53b)를 갖는다. 휠하우징(53a)은 상판(31)의 하부에 지지되며 회전 가능하다. 또한 휠본체(53b)는 휠샤프트(53c)를 통해 휠하우징(53a)에 연결된다. 종동휠(53)은 일반적인 캐스터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종동휠(53)은 상판(31)의 수평 상태를 유지시킨다.
레벨링부(55)는, 종동휠(53)과 구동휠(51c)의 사이에 위치하며, 사용 시 지면에 가압력을 가하고, 가압력에 대응한 반작용력에 의해 전동대차(30)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각 레벨링부(55)는 수직액츄에이터(55a)와 접지판(55c)을 포함한다. 접지판(55c)은 수직액츄에이터(55a)의 피스톤로드(55b) 하단부에 고정된 디스크형 부재이고, 피스톤로드(55b)가 하강할 때 지면을 누른다.
결국, 수직액츄에이터(55a)의 작동에 의해 접지판(55c)이 지면을 가압함에 따라 전동대차(30)가 상승하여 전동대차(30)의 높이가 조절됨과 동시에 전동대차(30)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이 때 구동휠(51c)과 종동휠(53)이 지면으로부터 뜬다. 네 개의 레벨링부(55)를 조작함으로써 상판(31)을 수평으로 유지함과 아울러 캐리어연결부(15a)의 중심축선에 연결구멍(35d)을 맞출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롤 어셈블리 인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프레스롤 어셈블리(13)를 지지구조체(11)로부터 인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a 내지 도 8d는 프레스롤 어셈블리(13)를 지지구조체(11)에 장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롤프레스(10)의 프레스롤 어셈블리(13)를 인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동대차(30)를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시켜 록킹브릿지(37)의 선단부가 스토퍼(11c)에 접하게 한다. 록킹브릿지(37)가 스토퍼(11c)에 접한 상태에서 회전바디(23)는 록킹브릿지(37)의 하부에 위치한다. 이 때 주행구동부(51)를 통해 전동대차(30)의 좌우 방향 위치를 조절하여, 추후, 캐리어연결부(15a)에 연결구멍(35d)을 일치시킬 수 있게 한다.
이어서, 상기 레벨링부(55)를 통해 상판(31)의 높이를 조절하여, 캐리어연결부(15a)와 연결구멍(35d)을 일직선상에 맞추고, 연결볼트(36)를 캐리어연결부(15a)에 결합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도킹유지부(20)의 액추에이터(21)를 구동하여 회전바디(23)를 도 7b의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회전바디(23)의 회전에 따라 걸림롤(25)이 록킹브릿지(37)의 걸림홈(37a)에 삽입되면 지지구조체(11)에 대한 전동대차(30)의 도킹이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과정이 완료되었다면, 지지구조체(11)로부터 프레스롤 어셈블리(13)를 분리한 후 리드스크류(34)를 회전시켜 프레스롤 어셈블리(13)를 화살표 k방향으로 인출한다. 프레스롤 어셈블리(13)는 가동베이스(15)에 지지된 상태로 지지구조체(11)로부터 전동대차로 이동하여 상판(31)에 적재된다. 상기 받침부의 받침롤러(33a)가 가동베이스(15)를 지지하는 것이다. 도 7c는 프레스롤 어셈블리(13)의 인출이 완료된 모습을 보여준다.
프레스롤 어셈블리(13)의 인출이 완료되었다면 도킹유지부(20)의 액추에이터(21)를 통해 회전바디(23)를 도 7d의 화살표 m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회전바디(23)가 화살표 m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걸림롤(25)이 걸림홈(37a)으로부터 분리되어 도킹상태가 해제된다. 도킹이 해제된 후 레벨링부(55)를 통해 전동대차(30)의 높이를 낮춰 구동휠(51c)과 종동휠(53)이 지면에 닿게 한 후, 전동대차(30)를 이동시킨다.
한편, 유지보수가 완료된 프레스롤 어셈블리(13)를 지지구조체(11)에 재장착 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프레스롤 어셈블리(13)가 적재되어 있는 전동대차(30)를 이동시켜 록킹브릿지(37)의 선단부를 스토퍼(11c)에 맞춘다. 이어서, 도킹유지부(20)의 액추에이터(21)를 구동하여 걸림롤(25)을 걸림홈(37a)에 위치시켜 도킹 상태를 만든다. 또한 이와 동시에 접지판(55c)을 내려 구동휠(51c)과 종동휠(53)을 지면으로부터 띄운다.
상기 준비단계가 완료되었다면 리드스크류(34)를 회전시켜 프레스롤 어셈블리(13)를 화살표 n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프레스롤 어셈블리(13)가 화살표 n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가동베이스(15)는 상판(31)에서 벗어나 받침롤(19)의 상부로 옮겨간다. 프레스롤 어셈블리(13)의 이동이 완료되었다면, 프레스롤 어셈블리(13)를 지지구조체(11)에 연결 시킨다.
또한 도킹유지부(20)의 걸림롤(25)을 하강시켜 도킹상태를 해제하고 구동휠(51c)과 종동휠(53)을 내려, 지면에 닿게 한 후 전동대차(30)를 롤프레스(10)로부터 분리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롤 어셈블리 인출방법은, 대차고정단계(101), 분리단계(103), 인출단계(105), 대차분리단계(107)를 포함한다. 이러한 어셈블리 인출방법은, 상기한 롤프레스(10)로부터, 프레스롤 어셈블리(13)를 한꺼번에 인출하는 방법이다. 한꺼번에 인출한다는 의미는, 상부롤(13a)과 하부롤(13b)을 분리하지 않고 사용상태 그대로 분리한다는 의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롤 어셈블이 인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대차고정단계(101)는, 상기한 전동대차(30)를 이동시켜 지지구조체(11)에 고정시키는 과정이다. 즉, 전동대차(30)를 도 7a의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시켜, 전동대차(30)의 록킹브릿지(37)를 스토퍼(11c)에 밀착시키고, 이와 동시에 도킹유지부(20)를 이용해 록킹브릿지(37)를 고정하는 것이다.
이어지는 분리단계(103)는, 프레스롤 어셈블리(13)를 지지구조체(11)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이다. 일반적인 롤프레스(10)에 있어서, 프레스롤 어셈블리(13)가 지지구도체(11)에 고정되어 있는데,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것이다.
분리단계(103)가 완료되었다면 인출단계(105)가 진행된다. 인출단계(105)는, 지지구조체(11)로부터 분리된 프레스롤 어셈블리(13)를 지지구조체로부터 인출하여 전동대차에 로딩하는 과정이다. 분리단계(103)에는 커넥팅공정(105a)이 포함된다. 커넥팅공정(105a)은 베이스캐리어(35)를 이동시켜 캐리어연결부(15a)에 맞추고,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볼트(36)를 이용해 가동베이스(15)와 베이스캐리어(35)를 연결하는 과정이다. 베이스캐리어(35)는, 가동베이스와 결합하여 가동베이스를 지지구조체로부터 인출하는 이송수단이다.
대차분리단계(107)는 인출단계(105)의 완료 후, 지지구조체(11)로부터 전동대차(30)를 분리시키는 과정이다. 즉, 상기 도킹유지부(20)를 통해 회전바디(23)를 록킹브릿지(37)로부터 분리한 후 전동대차(30)를 지지구조체(11)로부터 이격시키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롤프레스 11:지지구조체 11c:스토퍼
13:프레스롤 어셈블리 13a:상부롤 13b:하부롤
15:가동베이스 15a:캐리어연결부 19:받침롤
20:도킹유지부 21:액추에이터 21a:지지핀
21b:피스톤로드 21c:로드연결핀 23:회전바디
23a:지지샤프트 23c:록킹단부 25:걸림롤
30:전동대차 31:상판 32:가이드레일
33:받침부 33a:받침롤러 33b:롤러지지로드
34:리드스크류 34a:스크류지지판 35:베이스캐리어
35a:슬라이더 35c:커넥터 35d:연결구멍
35e:걸림턱 35f:너트블록 36:연결볼트
37:록킹브릿지 37a:걸림홈 38:레벨센서
39:케이스 41:컨트롤패널 45:리드스크류구동부
45a:모터 45b:감속기 47:배터리
51:주행구동부 51a:구동모터 51b:감속기
51c:구동휠 53:종동휠 53a:휠하우징
53b:휠본체 53c:휠샤프트 55:레벨링부
55a:수직액추에이터 55b:피스톤로드 55c:접지판

Claims (8)

  1. 지지구조체와, 지지구조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프레스롤 어셈블리를 갖는 롤프레스의 지지구조체에 장착되는 도킹유지부와;
    상기 지지구조체에 근접하여 도킹유지부를 통해 지지구조체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지지구조체로부터 분리된 프레스롤 어셈블리를 상판 상측에 적재하는 전동대차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대차는 주행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구동부는 상기 전동대차의 상판의 중앙부 좌우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좌우에 설치된 주행구동부는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여, 상기 전동대차의 추진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주행구동부는, 구동 휠과, 상기 각각의 구동휠을 양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회전력을 출력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상기 전동대차는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프레스의 프레스롤 어셈블리 인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유지부는;
    수평의 지지샤프트를 통해 지지구조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일측에 록킹단부가 마련되어 있는 회전바디와,
    회전바디를 회전시켜 록킹단부가 지지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하는 회전수단을 구비하는,
    롤프레스의 프레스롤 어셈블리 인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대차는;
    다수의 바퀴를 가져 지면상에서 이동 가능한 상판과,
    상판의 단부에 고정되고 지지구조체에 접한 상태로 상기 회전바디의 록킹단부에 걸려 고정되는 록킹브릿지를 포함하는,
    롤프레스의 프레스롤 어셈블리 인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록킹단부에는 걸림롤이 더 설치되고,
    록킹브릿지에는 걸림롤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롤프레스의 프레스롤 어셈블리 인출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롤프레스의 지지구조체에는,
    프레스롤 어셈블리를 받쳐 지지하는 가동베이스와, 가동베이스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받침롤이 구비되고,
    전동대차에는, 가동베이스와 결합하여 가동베이스를 상판위에 올리거나 지지구조체로 이동시키는 이송수단이 구비된,
    롤프레스의 프레스롤 어셈블리 인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판위에 수평으로 설치된 리드스크류와,
    리드스크류를 축회전시키는 리드스크류 구동부와,
    리드스크류에 치합하며 직선운동 하고, 상기 가동베이스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베이스캐리어를 포함하는,
    롤프레스의 프레스롤 어셈블리 인출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230089035A 2023-07-10 2023-07-10 롤프레스의 프레스롤 어셈블리 인출장치 KR102597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9035A KR102597463B1 (ko) 2023-07-10 2023-07-10 롤프레스의 프레스롤 어셈블리 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9035A KR102597463B1 (ko) 2023-07-10 2023-07-10 롤프레스의 프레스롤 어셈블리 인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7463B1 true KR102597463B1 (ko) 2023-11-02

Family

ID=88747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9035A KR102597463B1 (ko) 2023-07-10 2023-07-10 롤프레스의 프레스롤 어셈블리 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46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6548U (ko) * 1995-05-25 1996-12-16 로보트의 z축 구동장치
JP4167927B2 (ja) * 2003-04-18 2008-10-22 三甲株式会社 ハンドカート
JP6698818B2 (ja) * 2015-04-24 2020-05-27 ベルフ スペシャル プロダクツ ベスローテン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入れ子可能な運搬手段
KR102437151B1 (ko) * 2022-03-23 2022-08-26 (주)피엔티 롤프레스의 상하부 롤유니트 순차 반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6548U (ko) * 1995-05-25 1996-12-16 로보트의 z축 구동장치
JP4167927B2 (ja) * 2003-04-18 2008-10-22 三甲株式会社 ハンドカート
JP6698818B2 (ja) * 2015-04-24 2020-05-27 ベルフ スペシャル プロダクツ ベスローテン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入れ子可能な運搬手段
KR102437151B1 (ko) * 2022-03-23 2022-08-26 (주)피엔티 롤프레스의 상하부 롤유니트 순차 반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42277B (zh) 一种电池交换站的电池交换方法及其布置
CN102442191B (zh) 一种电动轿车的电池仓
KR102171461B1 (ko) 롤 다이렉트 도킹 자동 가이드 운송체
CN111390816A (zh) 一种用于轴类产品装配的六自由度调姿平台
CN111545854B (zh) 电池模组的装配及焊接系统
KR102597463B1 (ko) 롤프레스의 프레스롤 어셈블리 인출장치
CN211167171U (zh) 一种气瓶翻转车
CN111591165A (zh) 电池包传送装置
CN212653367U (zh) 一种用于轴类产品装配的六自由度调姿平台
CN212292677U (zh) 一种用于搬运舞台板的拖车
CN109911486B (zh) 一种锂电池用存储设备
CN210063324U (zh) 夹持位置可调的夹持小车及翻身设备
CN210340263U (zh) 一种翻转速度可控的翻身设备
CN210340264U (zh) 一种含夹持小车的翻身设备
CN112850154A (zh) 一种纵骨全程自动送料定位装置及方法
CN112026463A (zh) 一种铁路智能巡防机器人
CN219749861U (zh) 一种锂离子电池原料卷的转运车
CN215402841U (zh) 换电小车
CN116040540B (zh) 一种仓储agv快速维修设备
CN219010402U (zh) 一种料垫空中返回车装置
CN203713843U (zh) 手动换电车
CN218664281U (zh) 一种堆垛机
CN219858927U (zh) 一种石墨负极材料物料输送装置
CN214039583U (zh) 一种环形炉坯料装料机
CN212401595U (zh) 一种机体智能制造用自动化装配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