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865B1 - Mri 처리 장치 및 방법, 상기 방법의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Mri 처리 장치 및 방법, 상기 방법의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865B1
KR102596865B1 KR1020230044318A KR20230044318A KR102596865B1 KR 102596865 B1 KR102596865 B1 KR 102596865B1 KR 1020230044318 A KR1020230044318 A KR 1020230044318A KR 20230044318 A KR20230044318 A KR 20230044318A KR 102596865 B1 KR102596865 B1 KR 102596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injection
mri
blood
contrast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4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판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토믹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토믹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토믹스
Priority to KR1020230044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8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involving electronic [EMR] or nuclear [NMR] magnetic resonance, e.g. magnetic resonance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33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Abstract

MRI(Magnetic Resonance Image) 처리 장치 및 방법, 상기 방법의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RI 처리 장치는, LGE(Late Gadolinium Enhancement)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생성을 위한 MRI 처리 장치로서, ECV(extracellular volume), 혈액 내 적혈구 용적률 수치, 조영제 투입 전 심장 근육의 T1 값, 조영제 투입 전 혈액의 T1 값 및 조영제 투입 후 혈액의 T1 값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 및 상기 ECV, 상기 혈액 내 적혈구 용적률 수치, 상기 조영제 투입 전 심장 근육의 T1 값, 상기 조영제 투입 전 혈액의 T1 값 및 상기 조영제 투입 후 혈액의 T1 값 사이의 상관 관계에 근거하여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을 이용하여 MRI의 최적 반전 시점(optimal inversion time)을 산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MRI 처리 장치 및 방법, 상기 방법의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Device and method for MRI processing,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은 MRI 처리 장치 및 방법, 상기 방법의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연 조영 증강(Late Gadolinium Enhancement; LGE) MRI 생성을 위한 MRI 처리 장치 및 방법, 상기 방법의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은 강한 자기장 내에 피검자가 위치한 상태에서 피검자의 인체에 RF(Radio Frequency) 펄스를 전사하고, 반향되는 자기장을 측정하여 영상을 얻는 진단 검사를 의미한다. MRI의 장점은 RF 펄스와 자기장을 이용하기 때문에 방사선을 활용하는 X선 촬영이나 CT와 비교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연부조직의 정보를 다양한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다양한 MRI 기법 중 지연 조영 증강(Late Gadolinium Enhancement; LGE) MRI는 심근 병변의 진단에 효과적이다. 지연 조영 증강 MRI는 조영제가 정상 심근보다 심근 내 병변에 더 오래 머무르는 경향을 활용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지연 조영 증강 MRI는 조영제가 투입된 후 정상 심근 내의 조영제는 상대적으로 많이 배출되고 병변에 상대적으로 많은 조영제가 머무르고 있는 시간 범위에서 얻어진 MRI 데이터에 나타난 정상 심근과 병변 사이의 영상 신호의 강도의 차이에 근거하여 병변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게 해준다.
조영제가 투입된 후 정상 심근 내의 조영제는 상대적으로 다량 배출되고 병변에 조영제가 많이 머물러 조영 증강효과가 나타나는 시간은 수초 내외로 짧다. 또한, 수초 내외의 짧은 시간 동안 MRI에 나타나는 정상 심근과 병변의 영상 신호의 강도는 지속적으로 변한다.
병변의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정상 심근 내의 조영제는 상대적으로 다량 배출되고 병변에 조영제가 많이 머무르는 짧은 시간 동안 정상 심근과 병변 사이의 음영의 차이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나타나는 시점에서의 MRI 영상이 필요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정상 심근의 조영제는 상대적으로 다량 배출되고 병변에 조영제가 상대적으로 많이 머무르는 동안 MRI 상에서 정상 심근과 병변 사이의 음영의 차이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나타나는 시점을 정확하게 포착하여 영상화 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 선보이지 못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2-0030896호 "심박 간격을 이용한 자기공명영상 오차 보정 방법", 2022.03.11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연 조영 증강(LGE) MRI에서 정상 조직과 병변 사이의 음영의 차이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나타나는 시점을 자동적으로 산출하고, 해당 시점에서의 MRI 영상을 포스트 T1 맵(post T1 map)을 활용한 영상 후처리를 통해 획득할 수 있게 해주는 MRI 처리 장치 및 방법, 상기 방법의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LGE(Late Gadolinium Enhancement)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생성을 위한 MRI 처리 장치로서, ECV(extracellular volume), 혈액 내 적혈구 용적률 수치, 조영제 투입 전 심장 근육의 T1 값, 조영제 투입 전 혈액의 T1 값 및 조영제 투입 후 혈액의 T1 값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 및 상기 ECV, 상기 혈액 내 적혈구 용적률 수치, 상기 조영제 투입 전 심장 근육의 T1 값, 상기 조영제 투입 전 혈액의 T1 값 및 상기 조영제 투입 후 혈액의 T1 값 사이의 상관 관계에 근거하여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을 이용하여 MRI의 최적 반전 시점(optimal inversion time)을 산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MRI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MRI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기의 (식 1)에 근거하여 상기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식 1)
(T1_Post_Myo: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 HCT: 혈액 내 적혈구 용적률 수치, T1_Pre_Myo: 조영제 투입 전 심장 근육의 T1 값, T1_Pre_Blood: 조영제 투입 전 혈액의 T1 값, T1_Post_Blood: 조영제 투입 후 혈액의 T1 값)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MRI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ECV는 24~28% 범위에서 선택된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MRI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혈액 내 적혈구 용적률 수치는 38~42% 범위에서 선택된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MRI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을 하기 (식 2)에 대입하여 상기 최적 반전 시점을 산출할 수 있다.
(식 2)
(TI_optimal: 최적 반전 시점, T1_Post_Myo: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MRI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최적 반전 시점에서의 MRI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 신호를 하기 (식 3)을 이용해 정규화하여 정규화된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식 3)
(S_normal: 정규화된 영상 신호, S_TI_optimal: 최적 반전 시점에서의 MRI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 신호, A는 1이상의 실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MRI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최적 반전 시점에서의 MRI 상에서 상기 정규화된 MRI 신호가 기준 값 이상으로 나타나는 부분을 병변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LGE(Late Gadolinium Enhancement)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생성을 위한 MRI 처리 방법으로서, 저장 매체가 ECV(extracellular volume), 혈액 내 적혈구 용적률 수치, 조영제 투입 전 심장 근육의 T1 값, 조영제 투입 전 혈액의 T1 값 및 조영제 투입 후 혈액의 T1 값을 저장하는 단계; 및 프로세서가 상기 ECV, 상기 혈액 내 적혈구 용적률 수치, 상기 조영제 투입 전 심장 근육의 T1 값, 상기 조영제 투입 전 혈액의 T1 값 및 상기 조영제 투입 후 혈액의 T1 값 사이의 상관 관계에 근거하여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을 이용하여 MRI의 최적 반전 시점(optimal inversion time)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MRI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MRI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최적 반전 시점을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기의 (식 1)에 근거하여 상기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식 1)
(T1_Post_Myo: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 HCT: 혈액 내 적혈구 용적률 수치, T1_Pre_Myo: 조영제 투입 전 심장 근육의 T1 값, T1_Pre_Blood: 조영제 투입 전 혈액의 T1 값, T1_Post_Blood: 조영제 투입 후 혈액의 T1 값)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MRI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ECV는 24~28% 범위에서 선택된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MRI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혈액 내 적혈구 용적률 수치는 38~42% 범위에서 선택된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MRI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최적 반전 시점을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을 하기 (식 2)에 대입하여 상기 최적 반전 시점을 산출할 수 있다.
(식 2)
(TI_optimal: MRI의 최적 반전 시점, T1_Post_Myo: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MRI 처리 방법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최적 반전 시점에서의 MRI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 신호를 하기 (식 3)을 이용해 정규화하여 정규화된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 3)
(S_normal: 정규화된 영상 신호, S_TI_optimal: 최적 반전 시점에서의 MRI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 신호, A는 1이상의 실수)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MRI 처리 방법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최적 반전 시점에서의 MRI 상에서 상기 정규화된 MRI 신호가 기준 값 이상으로 나타나는 부분을 병변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MRI 처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non-transitory)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MRI 처리 장치 및 방법, 상기 방법의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지연 조영 증강(LGE) MRI 상에서 정상 조직과 병변 사이의 음영의 차이가 최대로 나타나는 시점을 정확하게 산출하고, 해당 시점에서의 MRI를 효율적으로 획득할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RI 처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심장 근육 내 병변이 있는 피검자의 심장을 수평면(horizontal plane) 상에서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조영제가 투입된 후 정상 조직보다 병변 조직에 상대적으로 많은 조영제가 남아 있는 상태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정상 조직과 병변 조직의 MRI의 영상 신호 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RI 처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RI 처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MRI(Magnetic Resonance Image) 처리 장치(100)는 LGE(Late Gadolinium Enhancement)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를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RI 처리 장치(100)는 가돌리늄 기반 조영제를 이용한 지연 조연 증강(LGE) MRI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 조영제는 가돌리늄을 포함하는 조영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RI 처리 장치(100)는 심근 내 병변의 진단을 위한 T1 강조(T1-weighted) MRI를 생성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RI 처리 장치(100)는 조영제 투입 후 MRI 포스트 T1 맵(Post T1 map)을 이용하여 synLGE(synthetic late gadolinium enhancement)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MRI 포스트 T1 맵(Post T1 map)은 피검자에게 조영제 주입 후 MRI의 각 픽셀 별로 소정 시간 동안의 신호 강도 변화를 누적적으로 저장한 MRI 데이터의 집합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MRI 포스트 T1 맵(Post T1 map)은 조영제 투입 후 소정 시간 구간의 임의의 시점에서의 MRI 각 픽셀 별 신호 강도 데이터들의 집합이라고 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RI 처리 장치(100)는 T1 강조 MRI 생성과 관련된 MRI 처리 장치로서, 저장 매체(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110)는 ECV(extracellular volume), 혈액 내 적혈구 용적률 수치, 조영제 투입 전 심장 근육의 T1 값, 조영제 투입 전 혈액의 T1 값 및 조영제 투입 후 혈액의 T1 값을 저장한다.
저장 매체(11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 크 및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 등과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ECV는 피검자의 인체 내에서 세포가 차지하지 않는 조직의 공간 또는 부피를 의미한다. 피검자의 심근과 관련하여, 상기 ECV는 심근 내의 콜라겐 함량을 반영할 수 있다.
정상인의 경우 상기 ECV가 MRI 및 촬영 조건의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한 수치를 가진다. 이와 같은 사실에 근거해, 상기 ECV는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ECV는 측정 값이 아니라 사전에 설정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ECV는 24~28% 범위에서 선택된 값을 가질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ECV는 26%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혈액 내 적혈구 용적률 수치는 피검자의 혈액에서 적혈구가 차지하고 있는 용적의 크기를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혈액은 혈장과 혈청을 포함하고, 혈청은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을 포함한다. 상기 혈액 내 적혈구 용적률 수치는 혈액의 전체 부피에서 적혈구가 차지하는 부피에 대한 비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혈액 내 적혈구 용적률 수치는 MRI 검사를 받는 피검자에 대해 측정된 값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상기 혈액 내 적혈구 용적률 수치의 측정 값은 사람에 따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상기 혈액 내 적혈구 용적률 수치는 사전에 설정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혈액 내 적혈구 용적률 수치는 38~42% 범위에서 선택된 값을 가질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혈액 내 적혈구 용적률 수치는 40%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조영제 투입 전 심장 근육의 T1 값, 상기 조영제 투입 전 혈액의 T1 값 및 상기 조영제 투입 후 혈액의 T1 값과 관련하여, T1 값은 회전하는 양성자가 MRI 장치 내에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정렬된 상태에서 RF 펄스에 의해 반전된 후 상기 자기장에 대해 재정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더욱 상세하게, T1 값은 자기장 내에 양성자가 정렬된 상태에서 RF 펄스가 주입되어 양성자의 정렬이 반전된 후 자화(magnetization)의 종축 방향(Z축) 성분이 양성자 초기 정렬 상태에서의 최대 자화 값의 63%에 도달하기까지의 소요 시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영제 투입 전 심장 근육의 T1 값은 피검자에게 조영제가 투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MRI 촬영 시 나타나는 심장 근육의 T1 값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조영제 투입 전 혈액의 T1 값은 피검자에서 조영제가 투입되기 전에 나타나는 혈액의 T1 값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조영제 투입 후 혈액의 T1 값은 조영제가 피검자의 혈액 내에 머무를 때 나타나는 혈액의 T1 값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영제 투입 전 심장 근육의 T1 값, 상기 조영제 투입 전 혈액의 T1 값 및 상기 조영제 투입 후 혈액의 T1 값은 측정된 값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영제 투입 전 심장 근육의 T1 값, 상기 조영제 투입 전 혈액의 T1 값 및 상기 조영제 투입 후 혈액의 T1 값은 피검자에 대해 측정되어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ECV, 상기 혈액 내 적혈구 용적률 수치, 상기 조영제 투입 전 심장 근육의 T1 값, 상기 조영제 투입 전 혈액의 T1 값 및 상기 조영제 투입 후 혈액의 T1 값 사이의 상관 관계에 근거하여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을 이용하여 MRI의 최적 반전 시점(optimal inversion time)을 산출한다.
도 2는 심장 근육 내 병변이 있는 피검자의 심장을 수평면(horizontal plane) 상에서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심장(10)은 심근(11)과, 심근(11)의 내부에 형성된 심실(12)을 포함한다. 심실(12)에는 혈액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심근(11)에 병변(13)이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RI 처리 장치(100)는 지연 조영 증강(LGE) MRI의 수행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지연 조영 증강(LGE) MRI는 가돌리늄 기반 조영제가 정상 심근(11)보다 심근 내 병변(13)에 더 오래 머무르는 경향을 활용한 것이다.
지연 조영 증강 MRI는 조영제가 투입된 후 정상 심근(11) 내의 조영제는 대부분 배출되고 심근의 병변(13)에 다량의 조영제가 머무르고 있는 시간 범위에서 얻어진 MRI 데이터에 나타난 정상 심근(11)과 병변(13) 사이의 영상 신호의 강도 차이에 근거하여 병변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게 해준다.
합성 지연 조영 증강 MRI는 조영제가 투입된 후 정상 심근(11)보다 병변(13)에 상대적으로 다량의 조영제가 머무르고 있는 시간 범위에서 얻어진 하나 이상의 MRI 데이터에 나타난 정상 심근(11)과 병변(13) 사이의 영상 신호의 강도 차이에 근거하여 병변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게 해준다. 이때, MRI 데이터는 전술한 포스트 T1 맵으로부터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즉, 합성 지연 조영 증강 MRI는 상기 포스트 T1 맵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도 3은 조영제가 투입된 후 정상 조직보다 병변 조직에 상대적으로 많은 조영제가 남아 있는 상태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정상 조직과 병변 조직의 MRI의 영상 신호 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더욱 상세하게, 도 3은 조영제가 투입된 후 정상 조직에서는 조영제가 대부분 배출되고, 병변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조영제가 머무르는 상태에서 시간 경과 따른 정상 조직과 병변 조직의 MRI 영상 신호의 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에서 음의 신호 강도는 양으로 반전되어 표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조영제 투입 후 정상 심근(11) 내의 조영제는 배출되고 병변(13)에 조영제가 다량 머무르는 시간(T) 동안 MRI 데이터에 포함되는 정상 심근의 영상 신호의 강도 및 병변의 영상 신호의 강도는 지속적으로 변한다. 특정 시점에 얻어진 MRI 데이터의 영상 신호를 정규화(또는 증폭)하여 병변의 유무를 판단하고자 할 경우, 정상 심근의 영상 신호의 강도의 절대 값이 최소(예를 들면, 영상 신호의 강도가 0)로 나타나는 시점(TI_optimal)의 MRI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 또는 해당 시점에서의 T1 영상을 얻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LGE에서 정상 심근의 영상 신호의 강도의 절대 값이 최소 값(S1)으로 나타나는 시점(TI_optimal)에서 병변의 영상 신호의 강도의 절대값(S2)은 정상 심근의 영상 신호의 강도보다 크게 나타나며, 이 시점(TI_optimal)에서 얻어진 MRI 데이터의 영상 신호를 정규화(또는 증폭)할 경우 MRI 상에서 정상 심근은 어둡게 표시되고, 병변은 밝게 표시된다. 그러므로 해당 시점에서의 MRI 데이터를 통해 병변의 유무, 더 나아가 병변이 존재할 경우 병변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최적 반전 시점(TI_optimal)은 조영제 투입 후 정상 심근(11)보다 병변(13)에 상대적으로 다량의 조영제가 머무르는 시간(T) 동안 MRI 데이터에 포함된 정상 심근의 영상 신호의 강도가 최소로 나타나는 시점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최적 반전 시점(TI_optimal)은 MRI 데이터에 포함된 정상 심근의 영상 신호의 강도의 절대값이 최소 값(예를 들면, 0)으로 나타나는 시점이 될 수 있다.
이론 상으로 상기 최소 값은 0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정규화(또는 증폭)를 고려하여 상기 최소 값은 소정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결정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최적 반전 시점(TI_optimal)은 정상 심근의 영상 신호의 강도가 상기 소정의 범위 내로 나타나는 시간의 구간 내에서 임의로 선택된 시점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최소 값과 관련하여 소정의 범위는 정상 심근에 대한 영상 신호의 강도를 정규화(또는 증폭)하였을 때의 값이 70~80 이하로 나타나는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정상 심근에 대한 영상 신호의 강도가 상기 소정의 범위로 나타나는 시간의 구간 내에서 상기 최적 반전 시점이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최적 반점 시점의 산출과 관련하여, 프로세서(120)는 하기의 (식 1)에 근거하여 상기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식 1)
(T1_Post_Myo: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 HCT: 혈액 내 적혈구 용적률 수치, T1_Pre_Myo: 조영제 투입 전 심장 근육의 T1 값, T1_Pre_Blood: 조영제 투입 전 혈액의 T1 값, T1_Post_Blood: 조영제 투입 후 혈액의 T1 값)
뒤에서 살펴보는 바와 같이, 상기 최적 반전 시점의 산출을 위해서는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이 필요하다. 여기서, 심장 근육은 정상 조직을 말하며, 상기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은 조영제가 투입되어 심장 근육 내에 머무를 때 나타나는 심장 근육의 T1 값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T1 값은 RF 펄스가 주입되어 양성자의 정렬이 반전된 후 초기 상태의 63%의 평균 자화가 종축 방향으로 회복될 때까지의 시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조영제 투입 후 조영제가 심장 근육 내에 머무르는 시간은 수초 내외로 매우 짧다. 이로 인하여 상기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은 실질적으로 측정이 매우 어렵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식 1)을 통해 상기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을 산출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실질적으로 측정이 매우 어려운 상기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을 연산을 통해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게 되며,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최적 반전 시점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게 된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을 하기 (식 2)에 대입하여 상기 최적 반전 시점을 산출할 수 있다.
(식 2)
(TI_optimal: 최적 반전 시점, T1_Post_Myo: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
또한, 프로세서(120)는 최적 반전 시점(TI_optimal)에서의 MRI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 신호를 하기 (식 3)을 이용해 정규화하여 정규화된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더욱 상세하게, 프로세서(120)는 포스트 T1 맵에 포함된 MRI 데이터 중 최적 반전 시점(TI_optimal)에서의 MRI 데이터를 선택하고, 해당 MRI 데이터의 각 픽셀 별 영상 신호를 (식 3)을 이용해 각각 정규화할 수 있다.
(식 3)
(S_normal: 정규화된 영상 신호, S_TI_optimal: 최적 반전 시점에서의 MRI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 신호, A는 1이상의 실수)
이때, 상기 (식 3)에서 A는 요구되는 신호의 정규화 수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A는 1000이 될 수 있다. 물론, 이것은 예시적인 것이며, 요구되는 정규화(또는 증폭)의 수준에 따라 A는 얼마든지 증감될 수 있다.
자기장 내에 양성자가 정렬된 상태에서 값은 RF 펄스가 주입되어 양성자의 정렬이 반전된 후 양성자의 정렬이 회복되는 과정에서 정상 심근에 대한 MRI 영상 신호의 절대 값은 하기 (식 4)에 따른다.
(식 4)
(TI: 임의의 시각, T1_Post_Myo: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
최적 반전 시점(TI_optimal)을 상기 (식 4)의 TI에 대입하면, 상기 신호의 강도가 0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프로세서(120)가 상기 최적 반전 시점에서의 MRI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 신호(영상 신호의 강도의 절대 값)를 정규화(또는 증폭)할 경우 정상 심근 부분의 신호 강도는 실질적으로 증폭되지 않는 반면, 병변 부분의 신호 강도는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다. 이에 따라 포스트 T1 맵으로부터 얻어진 MRI 데이터 상에서 정상 심근 부분은 어둡게 나타나고, 병변 부분은 밝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최적 반전 시점(TI_optimal)에서의 MRI 데이터 상에서 상기 정규화된 MRI 신호가 기준 값 이상으로 나타나는 부분을 병변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 피검자의 심장에 병변이 없는 경우 포스트 T1 맵에 포함된 MRI 데이터 중에서 최적 반전 시점(TI_optimal)에서의 MRI 데이터를 선택하고, 해당 MRI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 신호를 정규화하여도 영상 신호가 크게 증폭되는 영역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점이 고려되어, 프로세서(120)는 MRI 데이터에서 상기 정규화된 MRI 신호가 기준 값 이상으로 나타나는 부분을 병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준 값은 MRI 장치, 촬영 환경 등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준 값은 150~250에서 선택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기준 값은 200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준 값은 저장 매체(110)에 저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기준 값은 사전에 설정되어 저장 매체(110)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컴퓨터 내에서 연산 및 제어를 수행하는 하드 웨어 유닛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ALU (Arithmetic Logic Unit)와 처리 레지스터(Regist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RI 처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RI 처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RI 처리 방법은 LGE(Late Gadolinium Enhancement)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생성을 위한 MRI 처리 방법으로서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RI 처리 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RI 처리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저장 매체(110)가 ECV(extracellular volume), 혈액 내 적혈구 용적률 수치, 조영제 투입 전 심장 근육의 T1 값, 조영제 투입 전 혈액의 T1 값 및 조영제 투입 후 혈액의 T1 값을 저장한다(S1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ECV는 측정 값이 아니라 사전에 설정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ECV는 24~28% 범위에서 선택된 값을 가질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ECV는 26%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혈액 내 적혈구 용적률 수치는 사전에 설정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혈액 내 적혈구 용적률 수치는 38~42% 범위에서 선택된 값을 가질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혈액 내 적혈구 용적률 수치는 40%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영제 투입 전 심장 근육의 T1 값, 상기 조영제 투입 전 혈액의 T1 값 및 상기 조영제 투입 후 혈액의 T1 값은 측정된 값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영제 투입 전 심장 근육의 T1 값, 상기 조영제 투입 전 혈액의 T1 값 및 상기 조영제 투입 후 혈액의 T1 값은 피검자에 대해 측정되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ECV 값, 상기 혈액 내 적혈구 용적률 수치, 상기 조영제 투입 전 심장 근육의 T1 값, 상기 조영제 투입 전 혈액의 T1 값 및 상기 조영제 투입 후 혈액의 T1 값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다.
다음으로, 프로세서(120)가 상기 ECV, 상기 혈액 내 적혈구 용적률 수치, 상기 조영제 투입 전 심장 근육의 T1 값, 상기 조영제 투입 전 혈액의 T1 값 및 상기 조영제 투입 후 혈액의 T1 값 사이의 상관 관계에 근거하여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을 이용하여 MRI의 최적 반전 시점(optimal inversion time)을 산출한다(S120).
상기 최적 반전 시점의 산출과 관련하여, 프로세서(120)는 하기의 (식 1)에 근거하여 상기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식 1)
(T1_Post_Myo: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 HCT: 혈액 내 적혈구 용적률 수치, T1_Pre_Myo: 조영제 투입 전 심장 근육의 T1 값, T1_Pre_Blood: 조영제 투입 전 혈액의 T1 값, T1_Post_Blood: 조영제 투입 후 혈액의 T1 값)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최적 반전 시점의 산출을 위해서는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이 필요하다. 여기서, 심장 근육은 정상 조직을 말하며, 상기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은 조영제가 투입되어 심장 근육 내에 머무를 때 나타나는 심장 근육의 T1 값을 의미한다.
상기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은 실질적으로 측정이 어려운 값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할 경우 프로세서(120)가 상기 (식 1)을 통해 상기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위에서 산출된 상기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을 이용하여 상기 최적 반적 시점이 정확하게 산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상기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을 하기 (식 2)에 대입하여 상기 최적 반전 시점을 산출할 수 있다.
(식 2)
(TI_optimal: MRI의 최적 반전 시점, T1_Post_Myo: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
상기 최적 반전 시점은 조영제 투입 후 정상 심근(11)보다 병변(13)에 상대적으로 다량의 조영제가 머무르는 시간(T) 동안 MRI 데이터에 포함된 정상 심근의 영상 신호의 강도가 최소로 나타나는 시점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최적 반전 시점은 MRI 데이터에 포함된 정상 심근의 영상 신호의 강도의 절대값이 최소 값(예를 들면, 0)으로 나타나는 시점이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론 상으로 상기 최소 값은 0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정규화(또는 증폭)를 고려하여 상기 최소 값은 소정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결정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최적 반전 시점(TI_optimal)은 정상 심근의 영상 신호의 강도가 상기 소정의 범위 내로 나타나는 시간의 구간 내에서 임의로 선택된 시점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프로세서(120)가 상기 최적 반전 시점에서의 MRI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 신호를 하기 (식 3)을 이용해 정규화하여 정규화된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S130). 더욱 상세하게, 프로세서(120)는 포스트 T1 맵에 포함된 MRI 데이터 중 최적 반전 시점(TI_optimal)에서의 MRI 데이터의 각 픽셀 별 신호를 (식 3)을 이용해 각각 정규화할 수 있다.
(식 3)
(S_normal: 정규화된 영상 신호, S_TI_optimal: 최적 반전 시점에서의 MRI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 신호, A는 1이상의 실수)
이때, 상기 (식 3)에서 A는 요구되는 신호의 정규화 수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A는 1000이 될 수 있다. 물론, 이것은 예시적인 것이며, 요구되는 정규화(또는 증폭)의 수준에 따라 A는 얼마든지 증감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가 상기 최적 반전 시점에서의 MRI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 신호(영상 신호의 강도의 절대 값)를 정규화(또는 증폭)할 경우 정상 심근 부분의 신호 강도는 실질적으로 증폭되지 않는 반면, 병변 부분의 신호 강도는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다. 이에 따라 MRI 영상에서 정상 심근 부분은 어둡게 나타나고, 병변 부분은 밝게 나타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120)가 상기 최적 반전 시점에서의 MRI 상에서 상기 정규화된 MRI 신호가 기준 값 이상으로 나타나는 부분을 병변으로 판단한다(S140).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가 상기 최적 반전 시점에서의 MRI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 신호(영상 신호의 강도의 절대 값)을 정규화(또는 증폭)할 경우 정상 심근 부분의 신호 강도는 매우 낮게 나타나고, 병변 부분의 신호 강도는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다. 이러한 사실에 근거하여 프로세서(120)는 MRI 데이터에서 상기 정규화된 MRI 신호가 기준 값 이상으로 나타나는 부분을 병변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MRI 처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non-transitory)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함께 제공한다. 이때, 인스트럭션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되는 기계어 코드뿐 아니라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가능한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 크 및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 등과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일시적(non-transitory)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MRI 장치에 배치(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기존 synLGE 방식에 따르면, 조영제 투입 후 소정 시간 동안 임의의 시점들에서의 MRI 각 픽셀 별 신호 강도 데이터들의 집합인 MRI 포스트 T1 맵(Post T1 map)이 생성되고, MRI 포스트 T1 맵으로부터 검사자(의사)가 적절한 시점에서의 MRI 데이터를 선택하여 진단을 수행해야 했다. 다시 말하면, 종래 synLGE 방식에 의할 경우 MRI 포스트 T1 맵에서 정상 조직과 병변의 음영 차이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나타나는 적절한 시점의 MRI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이 수동적으로 수행된다. 이에 따라 부적절한 시점에서의 MRI 데이터의 선택이 이루어지거나 MRI 데이터의 선택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조영제 투입 후 정상 심근보다 병변에 상대적으로 다량의 조영제가 머무르는 시간 동안 MRI 데이터에 포함된 정상 심근의 영상 신호의 강도가 최소로 나타나는 시점인 최적 반전 시점이 자동적으로 산출된다. 다시 말하면, 포스트 T1 맵 상에서 정상 심근의 영상 신호의 강도가 최소로 나타나는 시점이 자동적으로 산출될 수 있다. 또한, 포스트 T1 맵으로부터 최적 반전 시점에서의 MRI 데이터가 선택되어 정규화됨으로써 병변의 판단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MRI 처리 장치
110: 저장 매체 120: 프로세서

Claims (15)

  1. LGE(Late Gadolinium Enhancement)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생성을 위한 MRI 처리 장치로서,
    ECV(extracellular volume), 혈액 내 적혈구 용적률 수치, 조영제 투입 전 심장 근육의 T1 값, 조영제 투입 전 혈액의 T1 값 및 조영제 투입 후 혈액의 T1 값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 및
    상기 ECV, 상기 혈액 내 적혈구 용적률 수치, 상기 조영제 투입 전 심장 근육의 T1 값, 상기 조영제 투입 전 혈액의 T1 값 및 상기 조영제 투입 후 혈액의 T1 값 사이의 상관 관계에 근거하여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을 이용하여 MRI의 최적 반전 시점(optimal inversion time)을 산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하기의 (식 1)에 근거하여 상기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을 산출하고, 상기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을 하기 (식 2)에 대입하여 상기 최적 반전 시점을 산출하는 MRI 처리 장치.
    (식 1)

    (T1_Post_Myo: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 HCT: 혈액 내 적혈구 용적률 수치, T1_Pre_Myo: 조영제 투입 전 심장 근육의 T1 값, T1_Pre_Blood: 조영제 투입 전 혈액의 T1 값, T1_Post_Blood: 조영제 투입 후 혈액의 T1 값)
    (식 2)

    (TI_optimal: 최적 반전 시점, T1_Post_Myo: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CV는 24~28% 범위에서 선택된 값을 가지는 MRI 처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내 적혈구 용적률 수치는 38~42% 범위에서 선택된 값을 가지는 MRI 처리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최적 반전 시점에서의 MRI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 신호를 하기 (식 3)을 이용해 정규화하여 정규화된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MRI 처리 장치.
    (식 3)

    (S_normal: 정규화된 영상 신호, S_TI_optimal: 최적 반전 시점에서의 MRI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 신호, A는 1이상의 실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최적 반전 시점에서의 MRI 상에서 상기 정규화된 MRI 신호가 기준 값 이상으로 나타나는 부분을 병변으로 판단하는 MRI 처리 장치.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LGE(Late Gadolinium Enhancement)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생성을 위한 MRI 처리 방법으로서,
    저장 매체가 ECV(extracellular volume), 혈액 내 적혈구 용적률 수치, 조영제 투입 전 심장 근육의 T1 값, 조영제 투입 전 혈액의 T1 값 및 조영제 투입 후 혈액의 T1 값을 저장하는 단계; 및
    프로세서가 상기 ECV, 상기 혈액 내 적혈구 용적률 수치, 상기 조영제 투입 전 심장 근육의 T1 값, 상기 조영제 투입 전 혈액의 T1 값 및 상기 조영제 투입 후 혈액의 T1 값 사이의 상관 관계에 근거하여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을 이용하여 MRI의 최적 반전 시점(optimal inversion time)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최적 반전 시점을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기의 (식 1)에 근거하여 상기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을 산출하고, 상기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을 하기 (식 2)에 대입하여 상기 최적 반전 시점을 산출하는 MRI 처리 방법.
    (식 1)

    (T1_Post_Myo: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 HCT: 혈액 내 적혈구 용적률 수치, T1_Pre_Myo: 조영제 투입 전 심장 근육의 T1 값, T1_Pre_Blood: 조영제 투입 전 혈액의 T1 값, T1_Post_Blood: 조영제 투입 후 혈액의 T1 값)
    (식 2)

    (TI_optimal: MRI의 최적 반전 시점, T1_Post_Myo: 조영제 투입 후 심장 근육의 T1 값)
  9. 삭제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ECV는 24~28% 범위에서 선택된 값을 가지는 MRI 처리 방법.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내 적혈구 용적률 수치는 38~42% 범위에서 선택된 값을 가지는 MRI 처리 방법.
  12. 삭제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최적 반전 시점에서의 MRI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 신호를 하기 (식 3)을 이용해 정규화하여 정규화된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MRI 처리 방법.
    (식 3)

    (S_normal: 정규화된 영상 신호, S_TI_optimal: 최적 반전 시점에서의 MRI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 신호, A는 1이상의 실수)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최적 반전 시점에서의 MRI 상에서 상기 정규화된 MRI 신호가 기준 값 이상으로 나타나는 부분을 병변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MRI 처리 방법.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8 항, 제 10 항, 제 11 항, 제 13 항 및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의 MRI 처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non-transitory)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30044318A 2023-04-04 2023-04-04 Mri 처리 장치 및 방법, 상기 방법의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596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4318A KR102596865B1 (ko) 2023-04-04 2023-04-04 Mri 처리 장치 및 방법, 상기 방법의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4318A KR102596865B1 (ko) 2023-04-04 2023-04-04 Mri 처리 장치 및 방법, 상기 방법의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6865B1 true KR102596865B1 (ko) 2023-11-02

Family

ID=88747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4318A KR102596865B1 (ko) 2023-04-04 2023-04-04 Mri 처리 장치 및 방법, 상기 방법의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686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409B1 (ko) * 2004-04-29 2012-03-13 지멘스 메디컬 솔루션즈 유에스에이, 인크. 조영-증강된, t1?가중의, 영화 자기 공명 영상 획득
KR101151131B1 (ko) * 2010-10-04 2012-06-0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침습적 관류 자기공명영상 생성 방법
KR20220030896A (ko) 2020-09-03 2022-03-11 주식회사 팬토믹스 심박 간격을 이용한 자기공명영상 오차 보정 방법
KR102382199B1 (ko) * 2019-06-27 2022-04-0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 기준 지표를 활용한 자기 공명 영상의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220092685A (ko) * 2020-12-24 2022-07-04 주식회사 팬토믹스 신경망을 통한 적혈구 용적 예측 기반 ecv 맵 생성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409B1 (ko) * 2004-04-29 2012-03-13 지멘스 메디컬 솔루션즈 유에스에이, 인크. 조영-증강된, t1?가중의, 영화 자기 공명 영상 획득
KR101151131B1 (ko) * 2010-10-04 2012-06-0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침습적 관류 자기공명영상 생성 방법
KR102382199B1 (ko) * 2019-06-27 2022-04-0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 기준 지표를 활용한 자기 공명 영상의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220030896A (ko) 2020-09-03 2022-03-11 주식회사 팬토믹스 심박 간격을 이용한 자기공명영상 오차 보정 방법
KR20220092685A (ko) * 2020-12-24 2022-07-04 주식회사 팬토믹스 신경망을 통한 적혈구 용적 예측 기반 ecv 맵 생성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89903B2 (ja) 患者の磁気共鳴血管造影図を作成するためのmriシステムの作動方法
Karger et al. Quantitation of renal perfusion using arterial spin labeling with FAIR-UFLARE
Beijnink et al. Cardiac MRI to visualize myocardial damage after ST-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a review of its histologic validation
JP2005515809A (ja) 導出されたパラメトリック画像に基づく造影剤取り込みの評価を行う方法及び装置
Mendoza et al. Viability imaging by cardiac computed tomography
Rajappan et al. The role of cardiovascular magnetic resonance in heart failure
US9232907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accessible medium for utilizing cardiac output to improve measurement of tracer input function in dynamic contrast-enhanc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Bustin et al. High-spatial-resolution 3D whole-heart MRI T2 mapping for assessment of myocarditis
Holtackers et al. Steadily increasing inversion time improves blood suppression for free-breathing 3D late gadolinium enhancement MRI with optimized dark-blood contrast
Rao et al. Myocardial parametric mapping by cardiac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pediatric cardiology and congenital heart disease
US20090190806A1 (en) Method for tracking of contrast enhacement pattern for pharmacokinetic and parametric analysis in fast-enhancing tissues using high -resolution mri
Zhang et al. Use of cardiac output to improve measurement of input function in quantitative dynamic contrast‐enhanced MRI
Leo et al. Strengths and weaknesses of alternative noninvasive imaging approaches for microvascular ischemia
US7715900B2 (en) Quadruple inversion recovery for quantitative contrast-enhanced black blood imaging
KR102596865B1 (ko) Mri 처리 장치 및 방법, 상기 방법의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Becker et al. Renal arterial spin label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EP3295197B1 (en) Method for optimizing the predetermination of the time profile of a contrast agent concentration in diagnostic imaging using a magnetic resonance system
Ananthasubramaniam et al. Role of multimodality imaging in ischemic and non-ischemic cardiomyopathy
Fan et al. Apical conicity ratio: a new index on left ventricular apical geometry after myocardial infarction
CN114359262B (zh) 一种基于灌注图像获得流出效应参数的装置和方法
Tarroni et al. MRI-based quantification of myocardial perfusion at rest and stress using automated frame-by-frame segmentation and non-rigid registration
Moroz et al. Dynamic contrast-enhanced MRI
Sawlani et al. Cardiac MRI and ischemic heart disease: role in diagnosis and risk stratification
Crean Technical considerations for ACHD imaging
JP4459550B2 (ja) 画像信号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