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606B1 -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606B1
KR102596606B1 KR1020160112098A KR20160112098A KR102596606B1 KR 102596606 B1 KR102596606 B1 KR 102596606B1 KR 1020160112098 A KR1020160112098 A KR 1020160112098A KR 20160112098 A KR20160112098 A KR 20160112098A KR 102596606 B1 KR102596606 B1 KR 102596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potential
potential voltage
transistor
electrod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5508A (ko
Inventor
임현빈
김도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2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606B1/ko
Priority to US15/389,020 priority patent/US10210807B2/en
Priority to JP2016249166A priority patent/JP6542187B2/ja
Priority to EP16206704.5A priority patent/EP3291216B1/en
Priority to CN201611245114.8A priority patent/CN107784974B/zh
Publication of KR20180025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508A/ko
Priority to US16/242,468 priority patent/US1076284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5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voltage across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96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lowering the supply or operating volt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2Improving the response spe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09G2320/0633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by amplitude modulation of the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09G2320/0653Controlling or limiting the speed of brightness adjustment of the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8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in a matrix display other than LC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35Change or adaptation of the frame rate of the video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노말모드에서 인에이블되어 고전위전압라인으로 제1고전위전압을 공급하고 저전력모드에서 디스에이블되는 전원부, 및 저전력모드에 대응하여 전원부를 디스에이블되도록 제어하고 제2고전위전압을 고전위전압라인으로 공급하여 노말모드에서 저전력모드로 전환할 때, 고전위전압라인에 공급되는 제1고전위전압을 제2고전위전압으로 전환하는 전환시간을 조절함으로써, 고전위전압라인에 인가되는 전압레벨이 제1고전위전압의 전압레벨로부터 제2고전위전압의 전압레벨에 도달하는 시간을 변경하는 패널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저전력모드에서 표시패널에 비정상적인 영상이 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노말모드에서 저전력모드로 전환되는 전환시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표시패널의 휘도가 자연스럽게 변화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DISPLAY 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본 실시예들은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타입의 표시장치가 모발일 기기에 채용되고 있다.
모바일 기기는 특성 상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력관리가 매우 중요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을 경우 표시장치가 소비전력이 적은 저전력모드로 돌입하여 동작하도록 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액정표시장치의 경우 백라이트 유닛의 밝기를 조절하여 저전력모드에 돌입하도록 할 수 있지만,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자발광소자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액정표시장치에 채용한 저전력모드를 채용할 수 없다. 그리고, 액정표시장치에 채용한 저전력모드를 유기발광표시장치에 채용하는 경우 비정상적인 영상이 표현되는 구간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기발광표시장치에 최적화된 저전력모드를 수행하는 구동방법이 개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저전력모드에서 비정상적인 영상이 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를 천천히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복수의 게이트라인, 복수의 고전위전압라인을 포함하며, 적어도 복수의 게이트라인, 복수의 고전위전압라인에 의해 게이트신호와 고전위전압을 전달받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고전위전압라인과 연결되고, 노말모드에서 인에이블되어 고전위전압라인으로 제1고전위전압을 공급하고 저전력모드에서 디스에이블되는 전원부, 및 저전력모드에 대응하여 전원부를 디스에이블되도록 제어하고 제2고전위전압을 고전위전압라인으로 공급하여 노말모드에서 저전력모드로 전환할 때, 고전위전압라인에 공급되는 제1고전위전압을 제2고전위전압으로 전환하는 전환시간의 길이을 조절함으로써, 고전위전압라인에 인가되는 전압레벨이 제1고전위전압의 전압레벨로부터 제2고전위전압의 전압레벨에 도달하는 시간을 변경하는 패널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복수의 게이트라인, 복수의 고전위전압라인을 포함하며, 적어도 복수의 게이트라인, 복수의 고전위전압라인에 의해 게이트신호와 고전위전압을 전달받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고전위전압라인과 연결되고, 노말모드에서 인에이블되어 고전위전압라인으로 제1고전위전압을 공급하고 저전력모드에서 디스에이블되는 전원부, 및 저전력모드에 대응하여 전원부를 디스에이블되도록 제어하고 제2고전위전압을 고전위전압라인으로 공급하여 노말모드를 저전력모드로 전환할 때 표시패널의 휘도변화값을 설정하고, 노말모드에서 휘도를 저전력모드에서 휘도로 변경하는 휘도변경시간을 조절하는 패널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표시패널의 고전위전압라인에 노말모드와 저전력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다른 크기의 전압을 전달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으로, 노말모드에서 제1고전위전압을 고전위전압라인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저전력모드에서 제1고전위전압을 차단하고, 제2고전위전압을 고전위전압라인으로 전달하여 표시패널의 고전위전압라인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1고전위전압에서 제2고전위전압으로 전환하되, 제1고전위전압에서 제2고전위전압으로 전환되는 전환시간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고전위전압라인에 인가되는 전압레벨이 제1고전위전압의 전압레벨로부터 제2고전위전압의 전압레벨에 도달하는 시간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저전력모드에서 표시패널에 비정상적인 영상이 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노말모드에서 저전력모드로 전환되는 전환시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표시패널의 휘도가 자연스럽게 변화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표시장치에서 노말모드에서 저전력모드로 변환되는 과정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표시장치에서 노말모드에서 저전력모드로 변환되는 과정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표시장치에 채용된 화소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표시장치에 채용된 스위치부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표시장치에 채용된 스위치부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로직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스위치부의 동작에 의해 고전위전압의 전압레벨이 변경되는 것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9a는 노말모드에서 저전력모드로 전환되는 전환시간의 길이가 0 프레임에 해당되는 시간인 경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b는 노말모드에서 저전력모드로 전환되는 전환시간의 길이가 2 프레임에 해당되는 시간인 경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c는 노말모드에서 저전력모드로 전환되는 전환시간의 길이가 4 프레임에 해당되는 시간인 경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d는 노말모드에서 저전력모드로 전환되는 전환시간의 길이가 8 프레임에 해당되는 시간인 경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장치(100)는 표시패널(110), 게이트구동부(120), 데이터구동부(130), 전원부(15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10)은 복수의 게이트라인(S1,S2,...,Sn-1,Sn), 복수의 데이터라인(D1,D2,...,Dm-1,Dm), 복수의 고전위전압라인(VL1, VL2,..., VLm-1, VLm)이 교차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의 화소(101)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화소(101)는 게이트라인, 데이터라인, 고전위전압라인이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소(101)는 초기화신호라인, 발광신호라인 등과 더 연결되어 초기화신호, 발광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110)은 노말모드인 경우 제1고전위전압(ELVDD)를 전달받아 구동되고, 저전력모드에서는 제2고전위전압(DDVDH)를 전달받아 구동될 수 있다. 제2고전위전압(DDVDH)의 전압레벨은 제1고전위전압(ELVDD)의 전압레벨보다 낮을 수 있어 저전력모드에서 표시패널(110)에서 소비되는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제1고전위전압(ELVDD)은 전원부(150)에서 생성되는 전압일 수 있고 제2고전위전압(DDVDH)은 게이트구동부(120), 데이터구동부(130), 제어부(140)를 구동하기 위한 전압일 수 있다.
또한, 노말모드는 표시장치(100)가 60Hz, 120Hz의 구동주파수에 따라 동작하는 모드이고, 저전력모드는 표시장치(100)가 7.5~50Hz의 범위 내의 구동주파수에 따라 동작하는 모드일 수 있다. 이로 인해, 노말모드에서 표시장치(100)에 표시되는 영상의 한 프레임의 기간은 저전력모드에서 표시장치(100)에 표시되는 영상의 한 프레임의 기간보다 짧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시간 동안 저전력모드로 표시장치(100)가 구동하게 될 때 영상의 변화가 노말모드보다 적어 저전력모드에서 표시패널(110)에서 소비하는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게이트구동부(120)는 순차적으로 게이트신호를 복수의 게이트라인(S1,S2,...,Sn-1,Sn)으로 전달할 수 있다. 순차적으로 게이트신호가 복수의 게이트라인(S1,S2,...,Sn-1,Sn)을 통해 화소(101)에 전달되면 복수의 데이터라인(D1,D2,...,Dm-1,Dm)을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신호가 화소(101)에 전달되게 할 수 있다. 화소(101)가 발광신호를 전달받는 경우에는, 게이트구동부(120)가 발광신호라인을 통해 화소에 발광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구동부(130)는 데이터신호를 복수의 데이터라인(D1,D2,...,Dm-1,Dm)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복수의 데이터라인(D1,D2,...,Dm-1,Dm)으로 전달된 데이터신호는 게이트구동부(120)를 통해 게이트신호가 전달된 화소(101)로 전달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수직동기신호(Vsync), 수평동기신호(Hsync), 클럭(clk)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게이트구동부(120), 데이터구동부(130)에 전달하여 게이트구동부(120)와 데이터구동부(130)가 구동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데이터구동부(130)에 데이터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노말모드와 저전력모드로 구분하여 제어신호를 게이트구동부(120), 데이터구동부(13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노말모드에서 전원부(150)를 인에이블하여 전원부(150)에서 표시패널(110)의 복수의 고전위전압라인(VL1, VL2,…, VLm-1, VLm)으로 제1고전위전압(ELVDD)을 공급하고 저전력모드에서 전원부(150)를 디스에이블하여 전원부(150)에서 표시패널(110)로 제1고전위전압(ELVDD)을 공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표시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 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원부(150)는 표시패널(110)의 복수의 고전위전압라인(VL1, VL2,..., VLm-1, VLm)에 제1고전위전압(ELVDD)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부(150)는 제어부(140)에 의해 노말모드에서는 인에이블상태가 되며 제1고전위전압(ELVDD)을 복수의 고전위전압라인(VL1, VL2,..., VLm-1, VLm)에 전달할 수 있다. 하지만, 저전력모드에서는 전원부(150)는 제어부(140)에 의해 디스에이블상태가 되어 복수의 고전위전압라인(VL1, VL2,…, VLm-1, VLm)에 제1고전위전압(ELVDD)을 전달하지 않게 될 수 있다. 전원부(150)가 저전력모드에서 디스에이블상태가 되면 전원부(150)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어 표시장치(100)의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부(150)는 직류-직류 변환기(DC-DC Converter)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표시장치(100)는 상기의 게이트구동부(120), 데이터구동부(130), 제어부(140)는 하나의 칩형태로 제작된 패널구동회로(18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패널구동회로(180)는 패널전압을 입력받아 패널구동회로(180)는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게이트구동부(120), 데이터구동부(130), 제어부(140)에서 사용되는 제2고전위전압(DDVDH)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패널구동회로(180)는 저전력모드에서 전원부(150)를 디스에이블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자신이 생성한 제2고전위전압을 표시패널(11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패널구동회로(180)는 전원부(150)를 디스에이블상태가 되도록 제어한 후 자신이 생성한 제2고전위전압(DDVDH)을 복수의 고전위전압라인(VL1, VL2,…, VLm-1, VLm)에 인가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패널구동회로(180)는 노말모드에서 저전력모드로 전환할 때, 노말모드에서 저전력모드로 전환되는데 필요한 전환시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전환시간의 길이는 복수의 고전위전압라인(VL1, VL2,…, VLm-1, VLm)에 공급되는 제1고전위전압(ELVDD)을 제2고전위전압(DDVDH)으로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패널구동회로(180)는 전환시간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복수의 고전위전압라인(VL1, VL2,…, VLm-1, VLm)에 인가되는 전압레벨이 제1고전위전압(ELVDD)의 전압레벨로부터 제2고전위전압(DDVDH)의 전압레벨에 도달하는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전환시간의 길이를 조절하여 복수의 고전위전압라인(VL1, VL2,…, VLm-1, VLm)에 인가되는 전압레벨이 제1고전위전압(ELVDD)의 전압레벨로부터 제2고전위전압(DDVDH)의 전압레벨에 도달하는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노말모드에서 저전력모드로 전환이 급작스럽게 이루어지지 않고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장치(100)에서 표시되는 휘도가 자연스럽게 변화될 수 있어, 노말모드에서 저전력모드로 변환될 때 비정상적인 영상이 표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패널구동회로(180)는 노말모드를 저전력모드로 전환할 때 표시패널(110)의 휘도변화값을 설정하고, 노말모드에서 휘도를 저전력모드에서 휘도로 변경하는 휘도변경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노말모드에서 저전력모드로 전환될 때, 휘도변경시간에 휘도변화값을 적용하여 표시패널(110)에서 표시되는 휘도가 휘도변화값에 대응하여 변화되도록 함으로써 노말모드에서 저전력모드로 변환될 때 비정상적인 영상이 표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장치(200)는 표시패널(230), 전원부(220) 및 패널구동회로(21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230)은 게이트라인(Sn), 고전위전압라인(VLm)을 통해 주사신호와 고전위전압을 공급받는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패널(230)은 패시브 매트릭스 형태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액티브 매트릭스 형태의 구조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하나의 화소만 표시되어 있지만 이는 설명을 위한 것으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소는 표시패널(230)에 포함되어 있는 화소는 하기의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화소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원부(220)는 표시패널(230)의 고전위전압라인(VLm)과 연결되고, 노말모드에서 인에이블되어 고전위전압라인으로 제1고전위전압(ELVDD)을 공급하고 저전력모드에서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전원부(150)는 인에이블단자(221)를 포함하고 인에이블단자(221)에서 패널구동회로(180)로부터 인에이블신호를 전달받으면 전원부(150)는 인에이블상태가 되고 표시패널(110)의 출력단(222)를 통해 고전위전압라인(VL)으로 제1고전위전압(ELVDD)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150)는 인에이블단자(221)에 패널구동회로(180)로부터 인에이블신호를 전달받지 않거나 디스에이블신호를 전달받으면 디스에이블 상태가 되어 표시패널(230)의 고전위전압라인(VLm)으로 제1고전위전압(ELVDD)이 공급되지 않게 할 수 있다.
패널구동회로(210)는 저전력모드에 대응하여 전원부(220)를 디스에이블되도록 제어하고 제2고전위전압(DDVDH)을 고전위전압라인(VLm)으로 공급하여 노말모드에서 저전력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노말모드에서 저전력모드로 전환될 때, 패널구동회로(210)는 고전위전압라인(VLn)에 공급되는 제1고전위전압(ELVDD)을 제2고전위전압(DDVDH)으로 전환하는 전환시간을 조절함으로써, 고전위전압라인(VLm)에 인가되는 전압레벨이 제1고전위전압(ELVDD)의 전압레벨로부터 제2고전위전압(DDVDH)의 전압레벨에 도달하는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제1고전위전압(ELVDD)의 전압레벨로부터 제2고전위전압(DDVDH)의 전압레벨에 도달하는 시간의 변경은 고전위전압라인(VLn)에 제2고전위전압(DDVDH)으로부터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변경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고전위전압(ELVDD)이 차단되더라도 곧바로 고전위전압라인(VLn)에 인가되는 전압이 낮아지지 않게 될 수 있다.
패널구동회로(210)는 패널입력전압(Vpnl)을 조정하여 상기 제2고전위전압(DDVDH)을 출력하는 출력하는 차지펌프(2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패널구동회로(210)는 복수의 경로 중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여 패널구동회로(210)에서 고전위전압라인(VLm)으로 전류의 흐르는 양을 조절하는 스위치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부(212)는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여 고전위전압라인(VLm)으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적게 하고 두 개의 경로를 선택하여 고전위전압라인(VLm)으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크게 할 수 있다. 스위치부(212)에서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여 흐르는 전류의 양을 적게 하면, 고전위전압라인(VLm)의 전압레벨이 낮아지는 시간이 길어져 제1고전위전압(ELVDD)의 전압레벨에서 제2고전위전압(DDVDH)의 전압레벨로 전환되는 전환시간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전환시간의 길이가 너무 길어지게 되면 고전위전압라인(VLm)에 인가되는 전압이 없어 고전위전압라인(VLm)의 전압레벨이 제2고전위전압(DDVDH)의 전압레벨보다 더 낮아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위치부(212)는 복수의 경로 중 다른 하나의 경로를 더 선택하여 고전위전압라인(VLm)으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크게 하여 전환시간을 짧아지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부(212)에서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는 시점 후에 다른 하나의 경로를 더 선택하는 시점을 조절함으로써 전환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고전위전압라인(VLm)의 전압을 감시하여 전압레벨이 제2고전위전압(DDVDH)의 전압레벨보다 낮아지는 시점 보다 이른 시간에 다른 하나의 경로를 더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고전위전압라인(VLm)의 전압레벨이 제2고전위전압(DDVDH)의 전압레벨 보다 더 낮아졌다가 다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패널(110)에서 번쩍임이 나타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220)에서 공급하는 제1고전위전압(ELVDD)는 패널구동회로(210)에서 공급하는 제2고전위전압(DDVDH)의 전압레벨 보다 높은 전압레벨을 갖게 되어 저전력모드에서 낮은 전압을 사용하기 때문에 소비전력을 더 저감할 수 있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표시장치에서 노말모드에서 저전력모드로 변환되는 과정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고,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표시장치에서 노말모드에서 저전력모드로 변환되는 과정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노말모드에서는 수직동기신호가 60Hz 또는 120Hz의 주파수에 대응하여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노말모드에서 전원부(220)는 인에이블상태가 되어 표시패널(230)의 고전위전압라인(VLm)으로 제1고전위전압(ELVDD)을 공급한다. 노말모드에서 측정된 표시패널(230)의 휘도는 각 화소가 각각 최고 계조에 대응하여 빛을 발광하는 것에 대응할 수 있다. 표시패널(230)의 휘도는 노말모드에서 일정한 밝기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저전력모드에서 수직동기신호는 7.5Hz에서 50hz의 범위의 주파수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에 대응되어 발생할 수 있다.
노말모드에서 저전력모드로 전환되면 전원부(220)가 디스에이블되어 전원부(220)에서 제1고전위전압(ELVDD)이 출력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패널구동회로(210)에서는 제2고전위전압(DDVDH)을 고전위전압라인(VLm)에 인가하되, 스위치부(212)를 이용하여 고전위전랍라인(VLm)의 전압레벨이 제2고전위전압(DDVDH)의 전압레벨에 도달하는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패널구동회로(210)는 스위치부(212)를 이용하여 복수의 경로 중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여 흐르는 전류의 양을 적게 하면, 고전위전압라인(VLm)의 전압레벨이 낮아지는 시간이 길어져 제1고전위전압(ELVDD)의 전압레벨에서 제2고전위전압(DDVDH)의 전압레벨로 전환되는 전환시간(Tt)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고, 전환시간(Tt)의 길이가 너무 길어져 고전위전압라인(VLm)의 전압레벨이 제2고전위전압(DDVDH)의 전압레벨보다 낮아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위치부(212)에서 복수의 경로 중 다른 하나의 경로를 더 선택하여 고전위전압라인(VLm)으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크게 함으로써 전환시간(Tt)의 길이가 짧아지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부(212)에서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는 시점 후에 다른 하나의 경로를 더 선택하는 시점을 조절함으로써 전환시간(Tt)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고전위전압라인(VLm)의 전압을 감시하여 전압레벨이 제2고전위전압(DDVDH)의 전압레벨보다 낮아지는 시점 보다 이른 시간에 다른 하나의 경로를 더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고전위전압라인(VLm)의 전압레벨이 제1고전위전압(ELVDD)의 전압레벨에서 제2고전위전압(DDVDH)의 전압레벨로 천천히 감소하도록 할 수 있어 표시패널(230)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번쩍임이 나타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표시패널(230)마다 노말모드에서 저전력모드로 전환될 때 고전위전압라인(VLm)의 전압을 감시하고 제1고전위전압(ELVDD)의 전압레벨에서 제2고전위전압(DDVDH)의 전압레벨로 천천히 감소하도록 할 수 있도록 스위치부(212)를 설정함으로써 전환시간의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전환시간(Tt)에 휘도(L)를 나타내는 선의 기울기는 휘도의 변화값에 대응될 수 있다.
하지만, 패널구동회로(210)에서 전원부(220)를 디스에이블상태가 되도록 하고 곧바로 제2고전위전압(DDVDH)을 고전위전압라인(VLm)에 인가하지 않고 일정시간 경과한 후 인가하게 되면,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전위전압라인(VLm)의 전압레벨은 제2고전위전압(DDVDH)이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 고전위전압라인(VLm)에 인가되는 전압레벨은 제2고전위전압(DDVDH)의 전압레벨보다 낮아지고 제2고전위전압(DDVDH)이 고전위전압라인(VLm)에 인가되면 다시 전압이 높아지게 된다. 이로 인해, 표시패널(230)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가 낮아지다가 다시 높아지는 순간이 나타나게 되어 표시패널(230)에 표시되는 영상에 번쩍임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환시간(Tt)을 조절할 수 없고 고전위전압라인(VLm)에 제2고전위전압(DDVDH)을 곧바로 인가하여야 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표시장치에 채용된 화소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화소(230a)는 OLED와, 제1 및 제2트랜지스터(M1a, M2a) 및 커패시터(C1a)를 구비하며 OLED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화소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트랜지스터(M1a)는 OLED에 흐르는 전류를 구동하는 구동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저전위전압(ELVSS)는 접지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트랜지스터(M1a)의 제1전극은 고전위전압(ELVDD)가 전달되는 고전위전압선(VL)에 연결되고 제2전극은 OLED의 애노드에 연결되고 게이트전극은 제2노드(N2a)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트랜지스터(M1a)는 제1전극과 게이트전극의 전압차에 대응하여 제1전극에서 제2전극 방향으로 전류가 구동되게 할 수 있다.
제2트랜지스터(M2a)의 제1전극은 데이터라인(Dm)에 연결되고 제2전극은 제2노드(N2a)에 연결되며 게이트전극은 게이트라인(Sn)에 연결될 수 있다. 제2트랜지스터(M2a)는 게이트라인(Sn)을 통해 전달되는 게이트신호의 전압에 대응하여 데이터라인(Dm)을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전압(Vdata)을 제2노드(N2a)로 전달할 수 있다.
커패시터(C1a)는 제2노드(N2a)와 제3노드(N3a) 사이에 연결되고 제1트랜지스터(M1a)의 게이트전극과 제1전극 사이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각 트랜지스터의 제1전극은 드레인전극이고 제2전극은 소스전극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트랜지스터는 P 모스 트랜지스터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N 모스 트랜지스터일 수도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표시장치에 채용된 스위치부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스위치부(500)는 제1스위치신호(SW1)에 의해 턴온되어 입력단(IN)을 통해 전달되는 제2고전위전압(DDVDH)을 제1노드(N1)와 연결되어 있는 고전위전압라인으로 전달하는 제1스위치(S1), 제2스위치신호(SW2)에 의해 턴온되어 제2고전위전압(DDVDH)을 고전위전압라인으로 전달하는 제2스위치(S2), 및 제1스위치신호(SW1)와 제2스위치신호(SW2)의 출력시점을 조절하여 출력함으로써,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로직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로직부(510)는 제어부(5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스위치부(500)의 동작은, 노말모드에서 저전력모드로 전환되면, 제1스위치신호(SW1)에 의해 제1스위치(S1)가 턴온된다. 제1스위치신호(SW1)에 의해 제1스위치(S1)가 턴온되면 입력단(IN)에서 제1노드(N1a)의 방향으로 경로가 형성되고 형성된 경로를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된다. 그리고, 제1스위치신호(SW1)에 의해 제1스위치(S1)가 턴온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제2스위치신호(SW2)에 의해 제2스위치(S2)가 턴온되면, 제1스위치(S1)과 제2스위치(S2)에 의해 입력단(IN)에서 제1노드(N1a)의 방향으로 두 개의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각 경로에 흐르는 전류의 양은 제1스위치(S1)와 제2스위치(S2)에 형성되어 있는 저항 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1스위치(S1)와 제2스위치(S2)의 저항의 크기가 동일하면 두 경로를 통해 흐르는 각 전류의 양은 동일할 수 있다. 하지만, 제1스위치(S1)에 비해 제2스위치(S2)의 저항의 크기가 작으면 제2스위치(S2)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양이 제1스위치(S1)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양보다 클 수 있다. 하지만, 제1스위치(S1)만 턴온된 경우보다 제2스위치(S2)까지 턴온된 경우에 하나의 경로가 더 생겼기 때문에 제1노드(N1a)로 흐르는 전류의 양은 더 커질 수 있다. 이로써, 제1스위치(S1)만 턴온된 경우 보다 제1스위치(S1)와 제2스위치(S2) 모두 턴온된 경우 제1노드(N1a)로 흐르는 전류의 양은 더 커 제1스위치(S1)만 턴온된 경우 보다 더 빨리 고전위전압라인(VLm)의 전압레벨이 제2고전위전압의 전압레벨에 도달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스위치(S1)만 턴온된 경우 제1노드(N1a)와 연결되어 있는 고전위전압라인(VLm)에 제2고전위전압(DDDVDH)이 인가되어 고전위전압라인(VLm)의 전압레벨이 제1고전위전압(ELVDD)의 전압레벨에서 제2고전위전압의 전압레벨에 도달하게 되는데, 만약, 고전위전압라인의 전압레벨이 제2고전위전압의 전압레벨에 보다 낮아지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으면 제1스위치(S1)만 턴온되도록 하여 고전위전압라인(VLm)에 공급되는 제1고전위전압(ELVDD)을 제2고전위전압(DDVDH)으로 전환하는 전환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하지만, 고전위전압라인(VLm)의 전압레벨이 제2고전위전압(DDVDH)의 전압레벨에 보다 낮아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될 수 있고 고전위전압라인(VLm)에 공급되는 제1고전위전압(ELVDD)을 제2고전위전압(DDVDH)으로 전환하는 전환시간을 짧게 하기 위해 제1스위치(S1)가 턴온된 상태에서 제2스위치(S2)가 턴온되는 시점을 조절함으로써 고전위전압라인(VLm)에 공급되는 제1고전위전압(ELVDD)을 제2고전위전압(DDVDH)으로 전환하는 전환시간을 보다 짧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고전위전압라인(VLm)의 전압레벨이 제2고전위전압(DDVDH)의 전압레벨에 보다 낮아지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스위치(S1)에 대응하는 저항의 크기를 제2스위치(S2)에 대응하는 저항의 크기 보다 크게 입력단(IN)에서 제1노드(N1a)로 흐르는 전류의 양의 변화를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표시장치에 채용된 스위치부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스위치부(600)는, 제1전극이 제2고전위전압(DDVDH)이 입력되는 입력단(IN)에 연결되고 제2전극이 제3스위치(T3)의 제1전극과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고 게이트전극이 제1스위치신호(SW1)를 전달받는 제1스위치(T1), 제1스위치(T1)와 병렬로 연결되어, 제1전극이 입력단(IN)에 연결되고 제2전극이 제3스위치(T3)의 제1전극과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고 게이트 전극이 제2스위치신호(SW2)를 전달받는 제2스위치(T2), 제1스위치(T1) 및 제2스위치(T2)와 제1노드(N1b) 사이에 연결되며, 제1스위치(T1) 및 제2스위치(T2)에서 제1노드(N1b)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다이오드(D), 다이오드(D)와 병렬로 연결되어, 제1전극이 제1스위치(T1) 및 제2스위치(T2)의 제2전극과 연결되고 제2전극이 제1노드(N1b)에 연결되고 게이트전극이 제2스위치신호(SW2)를 전달받는 제3스위치(T3), 및 제1스위치신호(SW1)와 제2스위치신호(SW2)의 출력시점을 조절하여 출력함으로써, 입력단(IN)에서 제2노드(N1a)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되도록 하는 로직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 로직부(610)는 제어부(6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치부(600)는 제1전극이 제3스위치의 제1전극과 연결되고 제2전극은 저전위전압(VSS)과 연결되어 제1노드(N1b)의 전압을 선택적으로 방전시키는 제4스위치(T4)가 연결될 수 있다. 제4스위치(T4)의 게이트 전극은 제어부(630)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제1노드(N1b)의 저압을 방전시킬 수 있다.
스위치부(600)의 동작은, 노말모드에서 저전력모드로 전환되면, 제1스위치신호(SW1)에 의해 제1스위치(T1)가 턴온되고, 제2스위치(T2), 제3스위치(T3)는 턴오프될 수 있다. 이때, 제4스위치(T4) 역시 턴오프될 수 있다. 제1스위치신호(SW1)에 의해 제1스위치(T1)가 턴온되면 입력단(IN)에서 제1노드(N1b)의 방향으로 제1스위치(T11)와 다이오드(D)가 직렬로 연결되는 경로가 형성되고 형성된 경로를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된다. 다이오드(D)는 노말모드에서 제1고전위전압(ELVDD)이 인가된 고전위전압라인(VLm)에서 제1스위치(T1)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스위치신호(SW1)에 의해 제1스위치(T1)가 턴온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제2스위치신호(SW2)에 의해 제2스위치(T2)와 제3스위치(T3)가 턴온되면 입력단(IN)에서 제1노드(N1a)의 방향으로 두 개의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각 경로에 흐르는 전류의 양은 제1스위치(T1)와 제2스위치(T2)의 저항 비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제1스위치(T1)와 제2스위치(T2)의 저항의 크기가 동일하면 두 경로를 통해 흐르는 각 전류의 양은 동일할 수 있다. 하지만, 제1스위치(T1)에 비해 제2스위치(T2)의 저항의 크기가 작으면 제1스위치(T1)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양이 제2스위치(T2)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양보다 작을 수 있다. 하지만, 하나의 경로가 더 생겼기 때문에 제1스위치(T1)만 턴온된 경우보다 제2스위치(T2)까지 턴온된 경우에 제1노드(N1b)로 흐르는 전류의 양은 더 커질 수 있다. 이로써, 제1스위치(T1)만 턴온된 경우 보다 제1스위치(T1)와 제2스위치(T2) 모두 턴온된 경우 제1노드(N1b)로 흐르는 전류의 양은 더 커 제1스위치(T1)만 턴온된 경우 보다 더 빨리 제1노드(N1b)의 전압레벨이 제2고전위전압(DDVDH)의 전압레벨에 도달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제1스위치(T1)와 제2스위치(T2)가 동시에 턴온된 경우 제3스위치(T3) 역시 턴온되어 있어 제1스위치(T1)와 제2스위치(T2)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다이오드(D)뿐만 아니라 제3스위치(T3)를 통해 더 흐를 수 있어 입력단(IN)에서 제1노드(N1b)로 전류가 더 원활하게 흐를 수 있다.
따라서, 제1스위치(T1)만 턴온된 경우 제1노드(N1b)와 연결되어 있는 고전위전압라인(VLm)에 제2고전위전압(DDVDH)이 인가되어 고전위전압라인(VLm)의 전압레벨이 제1고전위전압(ELVDD)의 전압레벨에서 제2고전위전압(DDVDH)의 전압레벨에 도달하게 되는데, 만약, 고전위전압라인(VLm)의 전압레벨이 제2고전위전압(DDVDH)의 전압레벨에 보다 낮아지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으면 제1스위치(T1)만 턴온되도록 하여 고전위전압라인(VLm)에 공급되는 제1고전위전압(ELVDD)을 제2고전위전압(DDVDH)으로 전환하는 전환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하지만, 전환시간이 많이 길어지면 고전위전압라인(VLm)의 전압레벨이 제2고전위전압(DDVDH)의 전압레벨에 보다 낮아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전위전압라인(VLm)에 공급되는 상기 제1고전위전압(ELVDD)을 제2고전위전압(DDVDH)으로 전환하는 전환시간을 짧게 하기 위해 제1스위치(T1)가 턴온된 상태에서 제2스위치(T2)가 턴온되는 시점을 조절함으로써 고전위전압라인(VLm)에 공급되는 제1고전위전압(ELVDD)의 전압레벨을 제2고전위전압(DDVDH)의 전압레벨로 전환하는 전환시간을 보다 짧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고전위전압라인(VLm)의 전압레벨이 제2고전위전압(DDVDH)의 전압레벨에 보다 낮아지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스위치(T1)에 대응하는 저항의 크기 보다 제2스위치(T2)에 대응하는 저항의 크기를 더 크게 입력단(IN)에서 제1노드(N1b)로 흐르는 전류의 양의 변화를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제4스위치(T4)는 제1노드(N1b)와 저전위전압(VSS) 사이에 연결되고 턴온되면 제1노드(N1b)의 전압을 방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스위치 내지 제3스위치(T1 내지 T3)는 P 모스 트랜지스터로 도시되어 있고 제4스위치(T4)는 N 모스 트랜지스터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로직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로직부(610)는 입력되는 제1논리신호(logic1)를 인버팅하여 제1스위치신호(SW1)를 출력하는 인버터(611), 및, 입력되는 제1논리신호(logic1)와 제2논리신호(logic2)를 낸드 연산하여 제2스위치신호(SW2)를 출력하는 낸드게이트(612)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저전력모드로 전환되면, 로직부(610)는 "1"에 대응하는 제1논리신호(logic1)와 "0"에 대응하는 제2논리신호(logic2)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제1논리신호(logic1)와 제2논리신호(logic2) 중 인버터(611)는 제1논리신호(logic1)를 인버팅하여 제1스위치신호(SW1)가 "0"에 대응되도록 출력할 수 있다. 제1스위치신호(SW1)가 "0"이 되면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제1스위치(T1)가 턴온될 수 있다. 하지만, 제2논리신호(logic1)가 "0"에 대응되기 때문에 낸드게이트(612)는 "1"에 대응하는 제2스위치신호(SW2)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제2스위치(T2)와 제3스위치(T3)는 턴오프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낸드게이트(612)가 "1"에 대응하는 제1논리신호(logic1)를 전달받는 상태에서 전환시간의 길이를 짧게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로직부(610)는"1"에 대응하는 제2논리신호(logic2)를 전달받게 될 수 있다. 로직부(610)이 "1"에 대응하는 제2논리신호(logic2)를 전달받으면, 낸드게이트(612)는 낸드 연산을 하여 "0"에 대응하는 제2스위치신호(SW2)를 출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스위치(T1)가 턴온된 상태에서 제2스위치(T2)와 제3스위치(T3)가 턴온될 수 있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스위치부의 동작에 의해 고전위전압의 전압레벨이 변경되는 것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표시장치가 저전력모드 상태가 되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전원부(220)가 디스에이블되고 제1스위치신호(SW1)가 하이 상태에서 로우 상태가 되어 제1스위치(T1)가 턴온된다. 이로 인해, 제1노드(N1b)와 연결되어 있는 고전위전압라인(VLm)에 제1고전위전압(ELVDD)이 전달되지 않고 제1노드(N1b)로 제2고전위전압(DDVDH)에 의해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로써, 제1노드(N1b)의 전압이 낮아지기 시작을 한다. 그리고, 제1스위치(T1)가 턴온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2스위치신호(SW2)가 하이상태에서 로우상태가 되어 제2스위치(T2)도 턴온된다. 이로 인해, 제2고전위전압에 의해 흐르는 전류의 양이 많아지고 제1노드(N1b)의 전압이 낮아지는 변화량이 더 커지게 된다. 그리고, 제1스위치(T1)와 제2스위치(T2)가 턴온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제1노드(N1b)의 전압은 제2고전위전압(DDVDH)의 전압레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스위치(T1)의 저항값이 제2스위치(T2)의 저항값보다 크기 때문에 제1스위치(T1)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제1노드(N1b)에 흐르는 전류의 양이 작아 전환시간(Tt)에서 전압의 변화를 나타내는 기울기가 작게 나타나지만 제1스위치(T1)과 제2스위치(T2)가 모두 켜지면 제2스위치(T2)의 저항이 제1스위치(T1)의 저항보다 작기 때문에 제2스위치(T2)가 턴온되면 흐르는 전류의 양이 급격히 증가할 수 있어 전환시간(Tt)에서 전압의 변화를 나타내는 기울기가 크게 나타날 수 있어 전환시간(Tt)가 짧아질 수 있다.
그리고, 저전력모드에서 노말모드로 동작을 하게 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1스위치(T1)와 제2스위치(T2)가 턴온된 상태에서 제2스위치신호(SW2)를 하이 상태로 전환하여 제2스위치(T2)가 턴오프되게 한 후 제1스위치신호(SW1)를 하이 상태로 전환하여 제1스위치(T1)도 턴오프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노말모드로 전환하여 전원부가 인에이블되도록 하여 제1고전위전압이 전원부에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제어신호와 제2제어신호가 로우신호가 되는 시점을 조절하여 전환시간(Tt)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9a는 노말모드에서 저전력모드로 전환되는 전환시간의 길이가 0 프레임에 해당되는 시간인 경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9b는 노말모드에서 저전력모드로 전환되는 전환시간의 길이가 2 프레임에 해당되는 시간인 경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9c는 노말모드에서 저전력모드로 전환되는 전환시간의 길이가 4 프레임에 해당되는 시간인 경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9d는 노말모드에서 저전력모드로 전환되는 전환시간의 길이가 8 프레임에 해당되는 시간인 경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장 위에 첫번째로 표시되어 있는 신호는 수직동기신호(Vsync)이고, 두번째 표시되어 있는 신호는 고전위전압라인에 인가되는 고전위전압라인의 전압레벨이며 노말모드에서는 제1고전위전압의 전압레벨을 나타내고 저전력모드에서는 제2고전위전압의 전압레벨을 나타낸다. 또한, 세번째 표시되어 있는 신호는 포토다이오드에서 측정한 표시패널의 휘도를 나타내는 신호이다.
도 9a를 보면, 노말모드에서 곧바로 저전력모드로 전환되었기 때문에 고전위전압라인에 인가되는 전압이 제1고전위전압의 전압레벨에서 제2고전위전압의 전압레벨로 전환되었기 때문에 포토다이오드에서 측정된 표시패널의 휘도가 제1고전위전압의 전압레벨에서 제2고전위전압의 전압레벨로 전환되는 시점에서 휘도가 높아져 번쩍임이 감지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도 9b, 도 9c 및 도 9d에도 마찬가지로 제1고전위전압의 전압레벨에서 제2고전위전압의 전압레벨로 전환되는 시점에서 특별히 높아지는 것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제1고전위전압의 전압레벨에서 제2고전위전압의 전압레벨로 바뀌는 시점을 늦추더라도 휘도가 높아져 번쩍임이 감지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노말모드에서 저전력모드로 변환될 때 휘도를 천천히 변하게 하더라도 변하는 도중에 번쩍임이 나타나지 않아 보다 자연스럽게 표시패널의 휘도가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표시장치는 노말모드와 저전력모드를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표시패널의 고전위전압라인에 노말모드와 저전력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다른 크기의 전압을 전달할 수 있으며, 노말모드에서 제1고전위전압을 고전위전압라인으로 전달하는 단계(S100), 및, 저전력모드에서 제1고전위전압을 차단하고, 제2고전위전압을 고전위전압라인으로 전달하여 표시패널의 고전위전압라인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1고전위전압에서 제2고전위전압으로 전환하되, 제1고전위전압에서 제2고전위전압으로 전환되는 전환시간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고전위전압라인에 인가되는 전압레벨이 제1고전위전압의 전압레벨로부터 제2고전위전압의 전압레벨에 도달하는 시간을 변경하는 단계(S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고전위전압의 전압레벨에 도달하는 시간을 변경하는 단계(S110)는 제2고전위전압에 의해 발생되는 패널구동회로에서 고전위전압라인으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전환시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장치(100)에서 표시되는 휘도가 자연스럽게 변화될 수 있어, 노말모드에서 저전력모드로 변환될 때 비정상적인 영상이 표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표시장치
101: 화소
110: 표시패널
120: 게이트구동부
130: 데이터구동부
140: 전원부
150: 제어부

Claims (24)

  1. 복수의 게이트라인, 복수의 고전위전압라인을 포함하며, 적어도 상기 복수의 게이트라인, 상기 복수의 고전위전압라인에 의해 게이트신호와 고전위전압을 전달받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고전위전압라인과 연결되고, 노말모드에서 인에이블되어 상기 고전위전압라인으로 제1고전위전압을 공급하고 저전력모드에서 디스에이블되는 전원부; 및
    상기 저전력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전원부를 디스에이블되도록 제어하고 제2고전위전압을 상기 고전위전압라인으로 공급하여 상기 노말모드에서 상기 저전력모드로 전환할 때, 상기 노말모드에서 상기 저전력모드로 전환되는 전환시간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고전위전압라인에 인가되는 전압레벨이 제1고전위전압의 전압레벨로부터 상기 제2고전위전압의 전압레벨에 도달하는 시간을 변경하는 패널 구동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구동회로는, 상기 저전력모드에서 상기 전원부를 디스에이블하고, 복수의 경로 중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전위전압라인으로 공급되는 상기 제2고전위전압에 의해 상기 고전위전압라인으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전환시간의 길이를 조절하는 표시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제1스위치신호에 의해 턴온되어 상기 제2고전위전압을 상기 고전위전압라인으로 전달하는 제1트랜지스터;
    제2스위치신호에 의해 턴온되어 상기 제2고전위전압을 상기 고전위전압라인으로 전달하는 제2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스위치신호와 상기 제2스위치신호의 출력시점을 조절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로직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제1트랜지스터, 제2트랜지스터, 제3트랜지스터, 다이오드와, 상기 제1트랜지스터 내지 상기 제3트랜지스터를 제어하는 제1스위치신호와 제2스위치신호를 출력하는 로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트랜지스터는 제1전극이 상기 제2고전위전압이 입력되는 입력단에 연결되고 제2전극이 상기 제3트랜지스터의 제1전극 및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전극에 연결되고 게이트전극이 제1스위치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제2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트랜지스터와 병렬로 연결되며, 제1전극이 상기 입력단에 연결되고 제2전극이 상기 제3트랜지스터의 제1전극 및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전극에 연결되고 게이트 전극이 제2스위치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다이오드는 애노드 전극이 상기 제1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제2전극과 연결되고 캐소드 전극이 상기 제1고전위전압과 연결되는 제1노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3트랜지스터는 상기 다이오드와 병렬로 연결되어, 제1전극이 상기 제1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제2전극과 연결되고 제2전극이 상기 제1노드와 연결되며,
    상기 로직부는 상기 제1스위치신호와 상기 제2스위치신호의 출력시점을 조절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로직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부는,
    입력되는 제1논리신호를 인버팅하여 상기 제1스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인버터; 및
    입력되는 제1논리신호와 제2논리신호를 낸드 연산하여 상기 제2스위치신호를 출력하는 낸드게이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저항값은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저항값 보다 큰 표시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저항값은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저항값보다 큰 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말모드에서 한 프레임의 기간은 상기 저전력모드에서 한 프레임의 기간보다 짧은 표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전위전압의 전압레벨이 상기 제2고전위전압의 전압레벨보다 높은 표시장치.
  11. 복수의 게이트라인, 복수의 고전위전압라인을 포함하며, 적어도 상기 복수의 게이트라인, 상기 복수의 고전위전압라인에 의해 게이트신호와 고전위전압을 전달받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고전위전압라인과 연결되고, 노말모드에서 인에이블되어 상기 고전위전압라인으로 제1고전위전압을 공급하고 저전력모드에서 디스에이블되는 전원부; 및
    상기 저전력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전원부를 디스에이블되도록 제어하고 제2고전위전압을 상기 고전위전압라인으로 공급하여 상기 노말모드를 상기 저전력모드로 전환할 때 상기 표시패널의 휘도변화값을 설정하고, 상기 휘도변화값에 대응하여 상기 노말모드에서 휘도를 상기 저전력모드에서 휘도로 변경함으로써, 휘도변경시간을 조절하는 패널 구동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구동회로는, 상기 저전력모드에서 상기 전원부를 디스에이블하고, 복수의 경로 중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전위전압라인으로 공급되는 상기 제2고전위전압에 의해 상기 고전위전압라인으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휘도변경시간의 길이를 조절하는 표시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제1스위치신호에 의해 턴온되어 상기 제2고전위전압을 상기 고전위전압라인으로 전달하는 제1트랜지스터;
    제2스위치신호에 의해 턴온되어 상기 제2고전위전압을 상기 고전위전압라인으로 전달하는 제2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스위치신호와 상기 제2스위치신호의 출력시점을 조절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전류의 양을 조절되도록 하는 로직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제1트랜지스터, 제2트랜지스터, 제3트랜지스터, 다이오드와, 상기 제1트랜지스터 내지 상기 제3트랜지스터를 제어하는 제1스위치신호와 제2스위치신호를 출력하는 로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트랜지스터는 제1전극이 상기 제2고전위전압이 입력되는 입력단에 연결되고 제2전극이 상기 제3트랜지스터의 제1전극 및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전극에 연결되고 게이트전극이 상기 제1스위치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제2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트랜지스터와 병렬로 연결되며, 제1전극이 상기 입력단에 연결되고 제2전극이 상기 제3트랜지스터의 제1전극 및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전극에 연결되고 게이트 전극이 상기 제2스위치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다이오드는 애노드 전극이 상기 제1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제2전극과 연결되고 캐소드 전극이 상기 제1고전위전압과 연결되는 제1노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3트랜지스터는 상기 다이오드와 병렬로 연결되어, 제1전극이 상기 제1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제2전극과 연결되고 제2전극이 상기 제1노드와 연결되며,
    상기 로직부는 상기 제1스위치신호와 상기 제2스위치신호의 출력시점을 조절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로직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부는,
    입력되는 제1논리신호를 인버팅하여 상기 제1스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인버터; 및
    입력되는 상기 제1논리신호와 제2논리신호를 낸드 연산하여 상기 제2스위치신호를 출력하는 낸드게이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저항값은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저항값보다 큰 표시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저항값은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저항값보다 큰 표시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노말모드에서 한 프레임의 기간은 상기 저전력모드에서 한 프레임의 기간보다 짧은 표시장치.
  20. 표시패널의 고전위전압라인에 노말모드와 저전력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다른 크기의 전압을 전달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으로,
    상기 노말모드에서 제1고전위전압을 상기 고전위전압라인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저전력모드에서 상기 제1고전위전압을 차단하고, 제2고전위전압을 상기 고전위전압라인으로 전달하여 상기 표시패널의 고전위전압라인에 인가되는 전압을 상기 제1고전위전압에서 상기 제2고전위전압으로 전환하되, 상기 제1고전위전압에서 상기 제2고전위전압으로 전환되는 전환시간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고전위전압라인에 인가되는 전압레벨이 제1고전위전압의 전압레벨로부터 상기 제2고전위전압의 전압레벨에 도달하는 시간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저전력모드에서 상기 제2고전위전압의 입력단과 상기 고전위전압라인 사이의 복수의 경로 중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여, 상기 고전위전압라인으로 공급되는 상기 제2고전위전압에 의해 상기 고전위전압라인으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전환시간의 길이를 조절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21. 삭제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의 양은 상기 복수의 경로 중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는 복수의 트랜지스터의 저항비를 조절함으로써 조절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노말모드에서 한 프레임의 기간은 상기 저전력모드에서 한 프레임의 기간보다 짧은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전위전압의 전압레벨이 상기 제2고전위전압의 전압레벨보다 높은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20160112098A 2016-08-31 2016-08-31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596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098A KR102596606B1 (ko) 2016-08-31 2016-08-31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15/389,020 US10210807B2 (en) 2016-08-31 2016-12-22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JP2016249166A JP6542187B2 (ja) 2016-08-31 2016-12-22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EP16206704.5A EP3291216B1 (en) 2016-08-31 2016-12-23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CN201611245114.8A CN107784974B (zh) 2016-08-31 2016-12-29 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US16/242,468 US10762848B2 (en) 2016-08-31 2019-01-08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098A KR102596606B1 (ko) 2016-08-31 2016-08-31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508A KR20180025508A (ko) 2018-03-09
KR102596606B1 true KR102596606B1 (ko) 2023-11-01

Family

ID=57609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098A KR102596606B1 (ko) 2016-08-31 2016-08-31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210807B2 (ko)
EP (1) EP3291216B1 (ko)
JP (1) JP6542187B2 (ko)
KR (1) KR102596606B1 (ko)
CN (1) CN1077849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724B1 (ko) * 2017-08-21 2022-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2511348B1 (ko) * 2018-04-10 2023-03-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464997B1 (ko) * 2018-05-21 2022-1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540011B1 (ko) * 2018-10-05 2023-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KR102610428B1 (ko) * 2018-11-05 2023-12-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c-dc 컨버터,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519570B1 (ko) * 2018-11-12 2023-04-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TWI744603B (zh) * 2019-02-19 2021-11-01 瑞鼎科技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及其運作方法
KR20200128289A (ko) * 2019-05-02 2020-11-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20151075A (ko) 2021-05-04 2022-1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CN113674686B (zh) * 2021-08-17 2022-06-24 晟合微电子(肇庆)有限公司 亮度调节电路、亮度调节方法及显示面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606B1 (ko) * 2007-10-29 2009-04-2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전원 공급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9877A (ja) * 1997-10-20 1999-04-30 Fujitsu Ltd 表示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US6970162B2 (en) * 2001-08-03 2005-11-2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display apparatus
KR100942832B1 (ko) * 2002-12-16 2010-02-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전원 시퀀스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05236520A (ja) * 2004-02-18 2005-09-02 Sanyo Electric Co Ltd ディスプレイ装置
FR2916288B1 (fr) * 2007-05-18 2009-08-21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d'alimentation d'un circuit electronique et circuit electronique
KR100889679B1 (ko) * 2008-01-03 2009-03-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142637B1 (ko) 2010-05-10 2012-05-0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718068B1 (ko) * 2010-08-20 2017-03-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 및 전원 공급 방법
KR101476880B1 (ko) * 2011-09-29 2014-12-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1469479B1 (ko) 2011-11-09 2014-1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130140445A (ko) * 2012-06-14 2013-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전원제어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03268754A (zh) * 2013-05-28 2013-08-28 上海中科高等研究院 上升下降时间控制电路及amoled驱动控制信号产生电路
KR102306076B1 (ko) * 2014-12-18 2021-09-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276185B1 (ko) 2014-12-29 2021-07-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이터 구동부와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2510864B1 (ko) * 2016-05-16 2023-03-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606B1 (ko) * 2007-10-29 2009-04-2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전원 공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508A (ko) 2018-03-09
CN107784974B (zh) 2020-10-09
US10762848B2 (en) 2020-09-01
JP2018036620A (ja) 2018-03-08
US20180061322A1 (en) 2018-03-01
US10210807B2 (en) 2019-02-19
EP3291216B1 (en) 2019-11-20
EP3291216A1 (en) 2018-03-07
JP6542187B2 (ja) 2019-07-10
US20190139493A1 (en) 2019-05-09
CN107784974A (zh) 2018-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6606B1 (ko)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11823604B2 (en) DC-DC convert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373694B1 (ko)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934301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a sensing unit for compensating degradation and threshold voltag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517035B1 (ko)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469479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US8665186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0876276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20130123218A (ko) 유기전계 발광소자 표시장치, 이의 구동회로 및 방법
KR20130140445A (ko) 표시장치, 전원제어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1164529B2 (en) Power suppl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20053688A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US8284182B2 (en) Inverter circuit and display device
KR20210080789A (ko)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210106067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080060897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888443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080000106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160001189A (ko)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116565B1 (ko) Dc-dc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