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553B1 - Wearable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Wearable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553B1
KR102596553B1 KR1020220022435A KR20220022435A KR102596553B1 KR 102596553 B1 KR102596553 B1 KR 102596553B1 KR 1020220022435 A KR1020220022435 A KR 1020220022435A KR 20220022435 A KR20220022435 A KR 20220022435A KR 102596553 B1 KR102596553 B1 KR 102596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rism
display device
wearable displa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24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24402A (en
Inventor
김광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2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553B1/en
Publication of KR20220024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44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553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 for correcting geometrical aberrations, distor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실시 예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베이스, 베이스의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는 제1 단부를 포함하는 제1 프리즘, 베이스와 제1 프리즘의 제1 단부를 체결하는 체결 유닛, 베이스의 상부와 결합되는 커버부재, 및 베이스의 하부의 외면과 결합되는 하부 및 커버부재의 외면과 결합되는 상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제1 프리즘의 상기 제1 단부는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 및 입사면의 일측에 위치하고 베이스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체결 유닛은 제1 프리즘의 제1 단부의 측면에 형성되고 베이스의 내측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결합 돌부 및 베이스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결합 돌부와 결합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체결 유닛은 베이스의 내측면과 커버 부재의 내면 사이에 위치한다.The embodiment includes a base in which a receiving space is formed, a first prism including a first end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base, a fastening unit that fastens the base and the first end of the first prism, and a cover member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base. , and a printed circuit board including a lower part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art of the base and an upper part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wherein the first end of the first prism is an incident surface on which light is incident and one side of the incident surface. It is located on and includes a side facing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and the fastening unit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and includes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the side of the first end of the first prism and protruding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and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It includes an insertion part to be coupled, and the fastening unit is locat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Description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WEARABLE DISPLAY APPARATUS}Wearable display device {WEARABLE DISPLAY APPARATUS}

실시예는, 프리즘이 베이스에 대해 움직이는 현상을 현저히 제한할 수 있는 구조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 wearable display device having a structure that can significantly limit the movement of the prism with respect to the base.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simp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embodiments and does not constitute prior art.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비행기의 고도, 속도 등의 비행 정보를 조종사가 알 수 있게 하기 위해 탄생한 장치이다. 일반 상업용 제품은 1990년대에 개발되었으며, 1997년 이후로 상용화 제품이 나오면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Wearable display devices such as HMD (Head Mounted Display) are devices that were created to allow pilots to know flight information such as altitude and speed of an airplane. General commercial products were developed in the 1990s, and commercialized products have been attracting a lot of attention since 1997.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안경처럼 머리에 착용하여 사용자의 눈의 전방에 대형화된 영상이 놓이고, 이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한 장치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는 1인치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고급 광학 기술이 적용되어 약 100배에 가까운 확대화면을 볼 수 있다.A wearable display device is a device that is worn on the head like glasses and displays a large image in front of the user's eyes, allowing the user to view it. The display used here is usually 1 inch or less in size and is of high quality. By applying optical technology, you can see a screen that is close to 100 times enlarged.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주변기기의 기술 개발 및 상용화로 웨어러블(wearable) 컴퓨팅 산업의 성장도 기대되고 있다. 현재까지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로 영화나 게임을 즐기기 위해 개발되었지만 최근에는 컴퓨터 시스템의 고성능화, 소형화, LCD, LED 등으로 대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영상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웨어러블 모니터로서의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용화된 제품도 출시되었다.The growth of the wearable computing industry is also expected due to the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peripheral devices such as wearable display devices. Wearable display devices to date have been mainly developed to enjoy movies or games, but recentl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display devices and video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LCD and LED, as well as higher performance and miniaturization of computer systems, research and development as wearable monitors has been conducted. and commercialized products have also been released.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시장은 과거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으로 인해 시장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었으나 웨어러블 컴퓨터 산업에 편승해 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산업현장, 자동차, 항공기, 선박 등 대형기기의 정비 현장, 물류 창고 등은 물론 자동차 경주와 같은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분야로까지 확장될 것으로 기대된다.The wearable display device market has faced many difficulties in the past due to relatively high prices, but the market is expected to grow significantly by taking advantage of the wearable computer industry. Wearable display devices are expected to expand not only to industrial sites, maintenance sites for large equipment such as automobiles, aircraft, and ships, and logistics warehouses, but also to sports entertainment fields such as car racing.

특히, 프로세서 및 소프트웨어 기술의 발전은 컴퓨팅 장치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고 있으며,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순히 영상을 디스플레이해주는 장치에 그치지 않고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용 컴퓨팅 장치로 발전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In particular, advances in processor and software technology are making it possible to miniaturize computing devices, and wearable display devices are expected to go beyond devices that simply display images and develop into personal computing devices such as smartphones.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안구에 도달하는 광은 소정의 경로를 형성하는데, 이러한 광경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제품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각각의 부품을 결합하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작함에 있어서 특히 사용자의 안구로 입사하는 광이 최종적으로 통과하는 프리즘은 베이스에 결합하게 되는데, 상기 프리즘이 상기 베이스에 고정적으로 결합하지 않고 상기 베이스에 대해 움직일 수 있다.In a wearable display device, light reaching the user's eyes forms a predetermined path, and maintaining this light path stably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erformance of the product. In manufacturing a wearable display device by combining each component, in particular, the prism through which the light entering the user's eye ultimately passes is coupled to the base. The prism is not fixedly coupled to the base, but is connected to the base. You can move.

이러한 베이스에 대한 프리즘의 움직임이 발생하면 광경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품질저하의 우려가 있다.If movement of the prism with respect to the base occurs, the optical path is not maintained stably, and therefore there is a risk of deterioration in the quality of the wearable display devic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접착물질을 사용하여 베이스와 프리즘을 고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접착물질이 흘러내려 착용형 디스플레이장치를 오염시켜 작동성능, 화질 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접착물질은 그 자체로 충분한 결합강도를 확보할 수 없으므로, 여전히 상기 프리즘이 상기 베이스에 대해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To solve this problem, the base and prism can be fixedly combined using an adhesive material, but in this case, the adhesive material may flow down and contaminate the wearable display device, deteriorating operating performance and image quality. Additionally, since the adhesive material itself cannot secure sufficient bonding strength, there is still a problem in that the prism may move relative to the base.

따라서, 실시예는, 프리즘이 베이스에 대해 움직이는 현상을 현저히 제한할 수 있는 구조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urpose of the embodiment is to provide a wearable display device with a structure that can significantly limit the phenomenon of the prism moving relative to the base.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실시 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기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는 제1 단부를 포함하는 제1 프리즘;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1 프리즘의 상기 제1 단부를 체결하는 체결 유닛; 상기 베이스의 상부와 결합되는 커버부재; 및 상기 베이스의 하부의 외면과 결합되는 하부 및 상기 커버부재의 외면과 결합되는 상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리즘의 상기 제1 단부는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 및 상기 입사면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유닛은 상기 제1 프리즘의 상기 제1 단부의 상기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기 내측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결합 돌부 및 상기 베이스의 상기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 돌부와 결합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유닛은 상기 베이스의 상기 내측면과 상기 커버 부재의 내면 사이에 위치한다.A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base in which a receiving space is formed; a first prism including a first end disposed with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base; a fastening unit that fastens the base and the first end of the first prism; a cover member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base; And a printed circuit board including a lower part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art of the base and an upper part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wherein the first end of the first prism is an incident surface on which light is incident; and a side located on one side of the incident surface and facing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wherein the fastening unit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first end of the first prism and protrudes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It includes a coupling protrusion and an insertion part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and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fastening unit is locat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상기 결합 돌부는 복수의 결합 돌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복수의 결합 돌부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삽입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홀 또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protrus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and the insertion part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sertion part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The insertion portion may be formed as a hole or groove.

상기 제1 프리즘은 상기 제1 단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2 단부에 배치되는 출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 프리즘과 결합되는 제2 프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rism may include an emission surface disposed at a second end located opposite to the first end. The wearabl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second prism coupled to the first prism.

상기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재생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재생된 영상을 형성하는 광을 투과시켜 상기 제1 프리즘으로 입사시키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The wearable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unit that plays an image; And it may include a lens that transmits light forming the image reproduced in the display unit and makes it incident on the first prism.

상기 제1 프리즘은 상기 렌즈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의 광 경로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안구에 조사할 수 있고, 상기 제2 프리즘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안구에 도달하는 실상의 왜곡을 줄일 수 있다.The first prism can adjust the optical path of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lens to irradiate it to the user's eyeball, and the second prism can reduce distortion of the real image reaching the user's eyeball.

상기 제1 프리즘의 상기 입사면은 상기 제1 프리즘의 길이 방향에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incident surface of the first prism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prism.

상기 베이스의 상기 내측면은 제1 내측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프리즘의 상기 제1 단부의 상기 측면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 내측면과 대향하는 제1 측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체결 유닛은 상기 제1 프리즘의 상기 제1 단부의 상기 제1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 내측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결합 돌부 및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 돌부와 결합되는 제1 삽입부를 포함하는 제1 체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may include a first inner surface, and the side of the first end of the first prism may include a first side opposite the first inner surface of the base, The fastening unit is formed on the first inner surface of the base and a first engaging protrusion formed on the first side of the first end of the first prism and protruding toward the first inner surface of the base. It may include a first fastening unit including a first insertion part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상기 베이스의 상기 내측면은 상기 제1 내측면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2 내측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프리즘의 상기 제1 단부의 상기 측면은 상기 제1 단부의 상기 제1 측면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2 내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체결 유닛은 상기 제1 프리즘의 상기 제1 단부의 상기 제2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2 내측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2 결합 돌부 및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2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 돌부와 결합되는 제2 삽입부를 포함하는 제2 체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may include a second inner surface located opposite to the first inner surface, and the side of the first end of the first prism is the first side of the first end. It may include a second sid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and facing the second inner side of the base, wherein the fastening unit is formed on the second side of the first end of the first prism and the second side of the base. It may include a second fastening unit including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inner surface and a second insertion part formed on the second inner surface of the base and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내측면과 상기 제2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3 내측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프리즘의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의 제3 내측면에 대향하는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유닛은 상기 제1 프리즘의 상기 하면에 형성되는 제3 결합 돌부 및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3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3 결합 돌부와 결합하는 제3 삽입부를 포함하는 제3 체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may include a third inner sid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inner side and the second inner side, and the first end of the first prism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and a lower surface facing the third inner surface of the base, wherein the fastening unit includes a third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ism and a third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the third inner surface of the base and the third coupling unit. It may include a third fastening unit including a third insertion part coupled to the protrusion.

실시예에서 체결유닛은 베이스에 결합한 프리즘이 베이스에 대해 회전하는 등의 움직임이 발생하여 베이스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각 구성부품과 프리즘을 통과하는 광경로의 변경, 왜곡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체결유닛은 상기 광경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착용형 디스프레이 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n embodiment, the fastening unit causes the prism coupled to the base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base,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change and distortion of the optical path passing through each component and prism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base. Therefore, the fastening un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wearable display device by stably maintaining the optical path.

또한, 프리즘을 베이스에 결합하는 경우, 접착물질을 사용하지 않거나, 결합유닛 즉, 제1프리즘과 베이스에 형성되는 결합돌부, 삽입부, 제1요철부 또는 제2요철부에만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접착물질의 사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착물질에 의한 재생 영상의 화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립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connecting a prism to a base, no adhesive material is used, or the adhesive material is applied only to the coupling unit, that is, the coupling protrusion, insertion portion, first concave-convex portion, or second concave-convex portion formed on the first prism and the base. The use of adhesive material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image quality deterioration of the playback image due to the adhesive material of the wearable display device, and to simplify the assembly process of the wearable display device.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허상을 형성하는 광의 경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프리즘과 베이스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프리즘과 베이스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프리즘과 베이스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프리즘과 베이스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프리즘과 베이스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프리즘과 베이스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path of light forming a virtual image in a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s 4a and 4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mbined state of the first prism and the bas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S. 5A and 5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mbined state of the first prism and the b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ures 6a and 6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mbined state of the first prism and the b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ures 7a and 7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mbined state of the first prism and the b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ures 8a and 8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mbined state of the first prism and the b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ures 9a and 9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mbined state of the first prism and the b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Since the embodiments can be subject to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embodiment. In this process, the size or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Additionally, terms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 are only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embodiment.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in the case where each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n or under", ) includes two elements that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or one or more other elements that are formed (indirectly) between the two elements. Additionally, when expressed as “up” or “on or under,” it can include not only the upward direction but also the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element.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relational terms such as "top/top/top" and "bottom/bottom/bottom" used below do not necessarily require or imply any physical or logical relationship or order between such entities or elements, It may b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entity or element from another entity or element.

또한, 도면에서는 직교 좌표계(x, y, z)를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 x축과 y축은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편의상 광축 방향(z축 방향)은 제1방향, x축 방향은 제2방향, y축 방향은 제3방향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Additionally, a rectangular coordinate system (x, y, z) can be used in the drawing. In the drawing, the x-axis and y-axis refer to plane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For convenience, the optical axis direction (z-axis direction) can be referred to as the first direction, the x-axis direction can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can be referred to as the third direction. .

실시예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인간의 신체 중 안경처럼 착용이 가능하고, 외부의 장치로부터 전송받는 영상을 인간이 장소에 비교적 제한 없이 볼 수 있는 장치이다. 영상을 전송하는 소스가 되는 장치는 스마트폰 기타 모바일 기기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wearable display device of the embodiment is a device that can be worn like glasses on the human body and allows a person to view images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device relatively without restrictions in location. A device that serves as a source for transmitting images may be a smartphone or other mobile device, and may be connected to the wearable display device by wire or wirelessly.

이때, 실시예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착용하기 위해 안경에 탈착식으로 결합하거나, 안경처럼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착용기구가 결합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wear the wearable display device of the embodiment, it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glasses, or may be attached to a separate wearing device that allows the user to wear it like glasse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허상을 형성하는 광의 광경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n optical path of light forming a virtual image in a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실시예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원부(10), 도광부(11), 빔분사부(12), 디스플레이부(13), 편광판(14), 렌즈(15), 제1프리즘(16), 제2프리즘(17)을 포함할 수 있다.The wearable display device of the embodiment includes a light source unit 10, a light guide unit 11, a beam spray unit 12, a display unit 13, a polarizer 14, a lens 15, a first prism 16, and a second prism. (17) may be included.

또한, 실시예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의 각 구성 하나의 묶음으로 결합하기 위해 베이스(18), 커버부재(19), 체결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의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외부의 장치로부터 재생할 영상을 전송받을 수 있도록 인쇄회로기판(20), 커넥터(21)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wearable display device of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base 18, a cover member 19, and a fastening portion 22 to combine each of the above components into one bundle. Additionally, the wearable display device of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printed circuit board 20 and a connector 21 to electrically connect to an external device and receive an image to be played from the external device.

광원부(10)는 인쇄회로기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20)을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재생의 대상인 영상을 최초로 광의 형태로 조사하는 역할을 한다. 광원부(10)는 광을 조사하는 장치로 다양한 것으로 구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내구성이 뛰어나고, 발열이 적으며, 크기가 작은 LED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light source unit 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and serves to first irradiate the image that is the object of playback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in the form of light. The light source unit 10 is a device that irradiates light and can be made of various things. For example, it can be made of LED, which is highly durable, generates little heat, and is small in size.

도광부(11)는 상기 광원부(10)로부터 조사되는 영상을 빔분사부(12)로 향하도록 광경로를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부(11)를 중심으로 보면 광원부(10)와 빔분사부(12)는 서로 대략적으로 직각방향으로 위치한다. 따라서, 광원부(10)로부터 조사되는 영상을 형성하는 광이 빔분사부(12)로 향하도록 하기 위해, 도광부(11)는 그 내부의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각도로 구비되는 복수의 격자가 형성될 수 있다.The light guide unit 11 may serve to adjust the optical path of the image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0 toward the beam emitting unit 12. As shown in FIG. 3, when viewed from the light guide portion 11, the light source portion 10 and the beam emitting portion 12 are positioned at approximately right angles to each other. Therefore, in order to direct the light forming the image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0 to the beam emitting unit 12, the light guide unit 11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grids provided at appropriate positions and angles within the light guide unit 11. there is.

또한, 상기 도광부(11)는 상기 격자가 형성됨으로 인해 광원부(1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빔분사부(12)에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도광부(11)로부터 균일하게 조사되는 광은 상기 도광부(11)와 인접한 상기 빔분사부(12)의 면에 균일하게 입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 guide unit 11 may serve to uniformly distribut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0 to the beam emitting unit 12 due to the formation of the grid. Therefore, the light uniformly irradiated from the light guide 11 can be uniformly incident on the surface of the beam emitter 12 adjacent to the light guide 11.

빔분사부(12)는 상기 도광부(11)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3)에 조사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3)에서 사용자가 육안으로 구체적으로 볼 수 있도록 재생되는 영상을 다시 받아 렌즈(15)로 조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beam projection unit 12 irradiates the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guide unit 11 to the display unit 13, and receives the image played back from the display unit 13 so that the user can see it with the naked eye. (15) can serve as an investigation.

즉, 상기 빔분사부(12)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3)로 광을 전송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13)로부터 재생된 영상을 형성하는 광을 전송받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3)로부터 전송받는 상기 재생된 영상을 형성하는 광의 경로를 조절할 수 있다.That is, the beam projection unit 12 transmits light to the display unit 13 or receives light forming a reproduced image from the display unit 13, and the reproduced image transmitted from the display unit 13 is transmitted. The path of light that forms an image can be adjusted.

이러한 광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빔분사부(12)는 예를 들어 분극 빔분사기(PBS, Polarizing Beam Splitter)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극 빔분사기는 복수의 격자를 결합하여 형성하고, 각 격자에는 광을 반사 및/또는 회절시킬 수 있는 박막을 형성하여 제작할 수 있다.To form such an optical path, the beam spraying unit 12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polarizing beam splitter (PBS). The polarized beam sprayer is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gratings, and can be manufactured by forming a thin film capable of reflecting and/or diffracting light on each grating.

디스플레이부(13)는 상기 빔분사부(12)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그 형체를 구체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영상으로 재생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는 예를 들어, 재생된 영상을 다시 빔분사부(12)로 조사하는 반사형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3 plays the role of reproducing the light incident from the beam emitting unit 12 as an image that allows the user to specifically detect the shape with the naked eye.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3 may be a reflective display that irradiates the reproduced image back to the beam emitting unit 12.

이러한 반사형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Lcos 방식이 있다. Lcos 방식은 반사형 디스플레이로서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켜 영상를 재생하는 방식이다. Lcos 방식에서 디스플레이 소자로는 실리콘 기판을 주로 사용하며 소형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고해상도의 이미지 표시가 가능하다.For example, such a reflective display has an Lcos type. The Lcos method is a reflective display that reproduces images by reflecting incident light. The Lcos method mainly uses silicon substrates as display elements, and high-resolution images can be displayed on a small display screen.

편광판(14)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3)로부터 입사되는 영상을 형성하는 광을 편광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편광판(14)은 입사되는 영상을 형성하는 광의 성분 중 p파의 광을 투과시키고, s파를 흡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polarizing plate 14 may serve to polarize light forming an image incident from the display unit 13. The polarizing plate 14 may transmit p-wave light and absorb s-wave light, which are components of light forming an incident image.

이때, p파는 광의 입사평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파이고, s파는 광의 입사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파이다. 이 경우, 입사평면은 광이 입사하는 매질에서 입사파, 반사파 및 투과파가 형성하는 평면을 말한다.At this time, the p-wave is a light wave that vibrate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ight incident plane, and the s-wave is a light wave that vibrat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ight incident plane. In this case, the incident plane refers to the plane formed by the incident wave, reflected wave, and transmitted wave in the medium where light is incident.

상기 편광판(14)은 입사하는 광 중 p파의 광만을 투과시키므로 편광판(14)을 투과하여 렌즈(15)로 입사하는 광은 p파 성분만을 가지게 된다. 물론, 반대로 다른 종류의 편광판(14)을 사용하여 편광판(14)을 투과하여 렌즈(15)로 입사하는 광이 s파 성분만을 가지게 할 수도 있다.Since the polarizing plate 14 transmits only p-wave light among the incident light,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polarizing plate 14 and incident on the lens 15 has only the p-wave component. Of course, on the other hand, another type of polarizer 14 may be used so that the light that passes through the polarizer 14 and enters the lens 15 has only the s-wave component.

이러한 편광판(14)은 입사하는 영상을 형성하는 광이 p파 성분과 s파 성분을 동시에 가짐으로 인해, p파 성분의 광과 s파 성분의 광이 서로 간섭을 일으켜 영상의 화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is polarizer 14 prevents the light forming the incident image from having a p-wave component and an s-wave component at the same time, causing interference between the light of the p-wave component and the light of the s-wave component, thereby deteriorating the image quality. It can be prevented.

한편, 상기의 도광부(11)도 상기 편광판(14)과 마찬가지로 편광의 기능을 구비하여, 광원부(10)로부터 입사하는 광을 편광시켜 p파 성분의 광과 s파 성분의 광이 서로 간섭을 일으켜 영상의 화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light guide unit 11, like the polarizer 14, has a polarization function and polarizes the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unit 10 to prevent the p-wave component light and the s-wave component light from interfering with each other. This can prevent the image quality from deteriorating.

렌즈(15)는 상기 편광판(14)으로부터 입사하는 영상을 형성하는 광을 전송받아 영상을 확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편광판(14)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형성하는 영상은 크기가 매우 작아 그 영상을 사용자가 그대로 보기에는 불편하다. 따라서, 렌즈(15)는 이러한 영상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보기에 적절한 크기로 확대하는 역할을 한다.The lens 15 may serve to magnify the image by receiving light forming an image incident from the polarizer 14. In other words, the image formed by the light incident from the polarizer 14 is very small in size, making it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view the image as is. Accordingly, the lens 15 serves to enlarge this image to an appropriate size for the user to view with the naked eye.

렌즈(15)를 투과하면서 확대된 영상을 형성하는 광은 제1프리즘(16)으로 입사된다. 이때, 렌즈(15)로부터 제1프리즘(16)으로 입사되는 광경로를 적절히 조절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렌즈(15)의 일부에 굴절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굴절부는 예를 들어 렌즈(15)의 다른 부위와 밀도가 다른 매질을 결합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Light that passes through the lens 15 and forms an enlarged image is incident on the first prism 16. At this time, in order to appropriately adjust the optical path incident from the lens 15 to the first prism 16, a refracting portion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lens 15, if necessary. This refractive part can be formed, for example, by combining media with different densities with other parts of the lens 15.

제1프리즘(16)은 상기 렌즈(15)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사용자의 안구(E)에 도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렌즈(15)로부터 입사되는 영상을 형성하는 광은 그 경로가 적절하게 조절되어야 한다. 이러한 광경로의 조절은 제1프리즘(16)에서의 전반사 현상을 이용하고, 또한 사용자의 안구(E)에 입사하는 최종의 광경로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하기에서 광을 반사하는 반사층(미도시)을 상기 제1프리즘(16)에 형성할 수도 있다.The first prism 16 may serve to allow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lens 15 to reach the user's eyeball E. To this end, the path of the light forming the image incident from the lens 15 must be appropriately adjusted. This adjustment of the optical path uses the total reflection phenomenon in the first prism 16, and in order to control the final optical path incident on the user's eyeball E, a reflective layer (not shown) that reflects light is used as shown below. It may also be formed on the first prism 16.

이때, 상기 렌즈(15)로부터 제1프리즘(16)을 투과하여 사용자의 안구(E)에 입사되는 영상은 허상이다. 즉, 사용자의 안구(E) 전방에 위치하는 실물의 상을 말하는 실상과 달리, 이러한 영상은 사용자의 안구(E) 전방에 위치하지 않는 디스플레이부(13)에서 재생되는 영상이 상기한 바와 같이 광경로가 조절됨으로 인해, 마치 사용자의 안구(E) 전방에 위치하는 것처럼 사용자가 시각적 인식하는 허상이다.At this time, the image that passes through the first prism 16 from the lens 15 and enters the user's eyeball E is a virtual image. That is, unlike the real image, which refers to an image of an actual object located in front of the user's eyeball (E), this image is an image played on the display unit 13 that is not located in front of the user's eyeball (E), as described above. As the light is adjusted, it is an illusion that the user visually perceives as if it were located in front of the user's eyeball (E).

실시예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허상을 형성하는 광경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먼저, 인쇄회로기판(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광원부(10)에서 인쇄회로기판(20)을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재생의 대상이 되는 영상의 정보를 받아 상기 영상을 담은 광을 도광부(11)로 조사한다. 이때, 광원부(10)로부터 조사되는 광은 RGB신호를 담은 것일 수 있다.The optical path forming a virtual image in the wearable display device of the embodiment is as shown in FIG. 3. Specifically, first, the light source unit 1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image to be played from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and transmits the light containing the image to the light guide unit ( 11) to investigate. At this tim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0 may contain RGB signals.

다음으로, 도광부(11)는 광원부(10)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그 광경로를 조절하여 빔분사부(12)로 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도광부(11)는 상기 격자가 형성됨으로 인해 광원부(1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빔분사부(12)에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부(11)는 편광의 기능을 구비하여, 광원부(10)로부터 입사하는 광을 편광시켜 p파 성분의 광과 s파 성분의 광이 서로 간섭을 일으켜 영상의 화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Next, the light guide unit 11 directs the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unit 10 toward the beam emitting unit 12 by adjusting its optical path. At this time, the light guide unit 11 may serve to uniformly distribut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0 to the beam emitting unit 12 due to the formation of the grid. In addition, the light guide unit 11 has a polarization function and polarizes the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unit 10 to prevent the p-wave component light and the s-wave component light from interfering with each other, thereby deteriorating the image quality. It can also be prevented.

다음으로, 빔분사부(12)는 상기 도광부(11)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3)에 조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3)가 입사되는 광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구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영상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Next, the beam projection unit 12 irradiates the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guide unit 11 to the display unit 13, allowing the user to specifically recognize the light incident on the display unit 13 with the naked eye. Allows playback of existing video.

다음으로, 디스플레이부(13)는 상기 빔분사부(12)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구체적인 영상으로 재생하고, 재생된 영상을 형성하는 광은 다시 빔분사부(12)로 조사된다.Next, the display unit 13 reproduces the light incident from the beam emitter 12 as a specific image, and the light forming the reproduced image is irradiated to the beam emitter 12 again.

다음으로, 빔분사부(12)는 디스플레이부(13)로부터 입사되는 영상을 형성하는 광을 편광판(14)으로 입사시킨다. 이때, 빔분사부(12)는 상기의 다양한 광경로 조절을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이, 분극 빔분사기로 형성될 수 있다.Next, the beam emitting unit 12 causes light forming an image incident from the display unit 13 to enter the polarizing plate 14. At this time, the beam ejection unit 12 may be formed as a polarized beam ejector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control the various optical paths.

다음으로 편광판(14)은 상기 빔분사부(12)로부터 입사되는 영상을 형성하는 광을 편광시킨다. 이때, 광은 p파 또는 s파 중 어느 하나의 파만을 투과시키고 나머지 파는 흡수하므로 편광판(14)을 투과한 광은 p파 또는 s파 중 어느 하나의 파만을 가지도록 편광된다.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p파와 s파 서로 간 간섭으로 인한 영상의 화질저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Next, the polarizing plate 14 polarizes the light incident from the beam emitter 12 to form an image. At this time, the light transmits only one of the p-wave or s-wave and absorbs the remaining waves, so the light that passes through the polarizer 14 is polarized to have only one of the p-wave or s-wave. As mentioned above, this is to prevent image quality deterioration due to interference between p-waves and s-waves.

다음으로, 렌즈(15)는 상기 편광판(14)으로부터 입사하는 영상을 형성하는 광을 전송받아 사용자가 육안으로 보기에 적절한 크기로 확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광경로 조절을 위해 렌즈(15)의 일부에 굴절부가 형성될 수 있고, 굴절부를 투과하는 광은 상기 제1프리즘(16)에 설정된 입사각으로 입사한다.Next, the lens 15 receives the light forming the image incident from the polarizer 14 and magnifies it to a size appropriate for the user to view with the naked eye.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a refracting portion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lens 15 to adjust the optical path, and light passing through the refracting portion enters the first prism 16 at a set angle of incidence.

다음으로, 제1프리즘(16)은 상기 렌즈(15)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의 광경로를 조절하여 최종적으로 영상을 형성하는 광을 사용자의 안구(E)에 조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광경로의 조절은 제1프리즘(16)의 전반사 현상, 제1프리즘(16)에 형성되는 상기 반사층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Next, the first prism 16 may serve to control the optical path of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lens 15 and irradiate the light that ultimately forms the image to the user's eyeball E. At this time, adjustment of the optical path can be implemented using the total reflection phenomenon of the first prism 16 and the reflective layer formed on the first prism 16.

제2프리즘(17)은 상기 제1프리즘(16)과 결합하여 사용자의 안구(E)에 도달하는 실상의 왜곡을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프리즘(16)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3)에서 재생되는 영상인 허상과 함께 사용자의 안구(E) 전방에 실제하는 사물의 실상을 동시에 볼 수 있다.The second prism 17 may be combined with the first prism 16 to reduce distortion of the real image reaching the user's eyeball E. Through the first prism 16, the user can simultaneously see a virtual image, which is an image played on the display unit 13, and a real image of an object in front of the user's eyeball E.

그러나, 사용자의 안구(E)와 제1프리즘(16)의 단부가 인접하여 있는 경우 제1프리즘(16)의 단부의 형상으로 인해 사용자의 안구(E)에 도달하는 실상은 왜곡될 수 있다. 이는 제1프리즘(16)의 단부 형상으로 인해 실상을 보여주는 광의 굴절, 회절 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However, when the user's eyeball E and the end of the first prism 16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actual image reaching the user's eyeball E may be distorted due to the shape of the end of the first prism 16. This is because refraction, diffraction, etc. of light showing the real image may occur due to the shape of the end of the first prism 16.

따라서, 제1프리즘(16)의 단부에 제2프리즘(17)을 결합하여 전체 프리즘을 연장형성하면 제1프리즘(16)의 단부 형상으로 인한 실상의 왜곡현상을 줄일 수 있다.Therefore, by combining the second prism 17 with the end of the first prism 16 to extend the entire prism, distortion of the actual image due to the shape of the end of the first prism 16 can be reduced.

베이스(18)는 수용공간(S)이 형성되고, 여기에 도광부(11), 빔분사부(12), 디스플레이부(13), 편광판(14), 렌즈(15) 등을 수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베이스(18)는 실시예의 여러 구성요소를 수용하므로 그 형상이 복잡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18)는 이러한 복잡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 방법 예를 들어, 사출성형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base 18 is formed with a receiving space S, which serves to accommodate the light guide part 11, the beam emitting part 12, the display part 13, the polarizing plate 14, and the lens 15. You can. Since the base 18 accommodates several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its shape may be complex. Therefore, the base 18 can be manufactured into such a complex shape using a method such as injection molding.

커버부재(19)는 상기 베이스(18)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여 상기 베이스(18)에 수용되는 각 구성요소들이 상기 베이스(18)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19)는 체결부(22)에 의해 상기 베이스(18)와 결합할 수 있다.The cover member 19 closes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base 18 so that each component accommodated in the base 18 can be stably accommodated in the base 18. Additionally, the cover member 19 may be coupled to the base 18 by a fastening portion 22.

또한, 커버부재(19)의 상면에는 돌출부(171)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71)에 인쇄회로기판(20)에 형성되는 홈 또는 홀이 결합함으로써 상기 커버부재(19)에 상기 인쇄회로기판(20)의 상부가 결합할 수 있다.In addition, a protrusion 17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19, and the groove or hole form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is coupled to the protrusion 171, thereby attach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171) to the cover member 19. The upper part of 20) can be combined.

인쇄회로기판(20) 상부와 하부가 상기 베이스(18) 및 상기 커버부재(19)와 결합할 수 있고, 상기 광원부(10)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인쇄회로기판(20)은 광원부(10)에 재생의 대상인 영상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광원부(10)와 디스플레이부(13)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may be coupled to the base 18 and the cover member 19,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ght source unit 10 and the display unit 13. Due to this,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can transmit the image signal that is the target of reproduction to the light source unit 10 and supply necessary power to the light source unit 10 and the display unit 13.

한편, 인쇄회로기판(20)은 상부 및 하부에 홈 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재(19)의 상면에 형성되는 돌출부(171)와, 베이스(18)의 하부에 형성되는 돌출부(171)에 각각 인쇄회로기판(20)의 상부 및 하부가 결합할 수 있다.Meanwhile, grooves or holes may be form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Accordingly,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can be coupled to the protrusion 17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19 and the protruding part 171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18, respectively.

커넥터(21)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0)과 외부장치를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외부장치는 실시예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재생할 영상을 수록하는 저장장치,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와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서로 연동시킬 수 있는 통신장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nector 21 may serve to connect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and an external device. At this time, the external device may be composed of a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the wearable display device of the embodiment, a storage device that records the image to be played, a communication device that can link the wearable display device with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phone, etc. .

체결부(22)는 커버부재(19)와 베이스(18)를 서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22)는 상기 커버부재(19)와 상기 베이스(18) 각각에 형성되는 홀 또는 홈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부재(19)와 상기 베이스(18)를 탈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볼트, 나사못, 결합핀 등을 체결부(22)로 사용할 수 있다.The fastening portion 22 may serve to couple the cover member 19 and the base 18 to each other. Therefore, the fastening part 22 is inserted into a hole or groove formed in each of the cover member 19 and the base 18 to detachably couple the cover member 19 and the base 18. You can use any of them. For example, bolts, screws, coupling pins, etc. can be used as the fastening part 22.

도 4a 및 도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프리즘(16)과 베이스(18)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리즘은 베이스(18)와 결합하는데, 실시예에서는 제1프리즘(16)이 베이스(18)와 결합하고, 제1프리즘(16)과 베이스(18)의 결합을 위한 체결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FIGS. 4A and 4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upled state of the first prism 16 and the base 18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ism is coupled to the base 18. In the embodiment, the first prism 16 is coupled to the base 18, and a fastening unit may be provided for coupling the first prism 16 and the base 18. .

이때, 체결유닛은 상기 프리즘의 일부분과 상기 베이스(18)의 일부분이 서로 체결되도록 하여 상기 프리즘의 상기 베이스(18)에 대한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체결유닛은 베이스(18)에 결합한 프리즘이 베이스(18)에 대해 회전하는 등의 움직임이 발생하여 베이스(18)의 수용공간(S)에 수용되는 각 구성부품과 프리즘을 통과하는 광경로의 변경, 왜곡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체결유닛은 상기 광경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착용형 디스프레이 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t this time, the fastening unit may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prism with respect to the base 18 by fastening a portion of the prism and a portion of the base 18 to each other. That is, in the embodiment, the fastening unit moves through the prism coupled to the base 18, such as rotating with respect to the base 18, and passes through each component and prism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S of the base 18. Changes in the optical path and distortion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Therefore, the fastening un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wearable display device by stably maintaining the optical path.

체결유닛은 일 실시예로 상기 프리즘의 단부에 복수로 형성되는 결합돌부(110)와 상기 베이스(18)의 단부의 상기 결합돌부(110)에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결합돌부(110)와 동일 개수로 형성되는 삽입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삽입부(120)는 일 실시예로, 상기 결합돌부(110)가 삽입되도록 홀 또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asten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engaging protrusions 110 formed at the end of the prism and the same number of engaging protrusions 110 at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protrusion 110 at the end of the base 18. It may include an insertion portion 120 formed of . At this time, in one embodiment, the insertion portion 120 may be formed as a hole or groove into which the engaging protrusion 110 is inserted.

이때, 결합돌부(110)는 도 4a에서는 평면형상이 원형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타원형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upling protrusion 110 is shown as a circular planar shape in FIG. 4A,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polygons such as triangles and squares, and ellipses.

또한, 체결유닛의 일 실시예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돌부(110)는 상기 제1프리즘(16)의 저면(16a)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120)는 상기 베이스(18) 하부에 상기 결합돌부(11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fastening unit,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coupling protrusion 11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16a of the first prism 16, and the insertion portion 120 ) may be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protrusion 110 in the lower part of the base 18.

이때, 결합돌부(110)는 베이스(18)에 결합되는 제1프리즘(16)이 베이스(18)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결합돌부(110)는 복수이고, 제1프리즘(16)의 저면(16a) 단부에 상기 베이스(18)와 결합부위라는 제한 내에서 결합돌부(110)의 개수 및 위치는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appropriate that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10 are provided to limit rotation of the first prism 16 coupled to the base 18 with respect to the base 18. In addition, there are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10, and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s 110 can be arbitrarily selected within the limit of the coupling portion with the base 18 at the end of the bottom surface 16a of the first prism 16. .

도 5a 및 도 5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프리즘(16)과 베이스(18)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체결유닛의 다른 실시예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돌부(110)는 제1프리즘(16)의 일측면(16b-1)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120)는 상기 베이스(18)의 일측부에 상기 결합돌부(11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FIGS. 5A and 5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upled state of the first prism 16 and the base 18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fastening unit, as shown in FIGS. 5A and 5B, the coupling protrusion 110 is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ide 16b-1 of the first prism 16, and the insertion portion 120 )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base 18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protrusion 110.

이때, 상기 제1프리즘(16)의 단부에는 투광면(163)이 형성되는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는 투광면(163)이 제1프리즘(16)의 길이방향에 경사지게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프리즘(16)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투광면(163)은 렌즈(15)를 투과한 광이 상기 제1프리즘(16)으로 입사하는 부위이다.At this time, a light transmitting surface 163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prism 16. As shown in FIG. 5A, in the embodiment, the light transmitting surface 163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prism 16.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prism 16. The light transmitting surface 163 is a portion where light passing through the lens 15 enters the first prism 16.

도 6a 및 도 6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프리즘(16)과 베이스(18)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체결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돌부(110)는 제1프리즘(16)의 타측면(16b-2)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120)는 상기 베이스(18)의 타측부에 상기 결합돌부(11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FIGS. 6A and 6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upled state of the first prism 16 and the base 18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fastening unit, as shown in FIGS. 6A and 6B, the coupling protrusion 11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ther side surface 16b-2 of the first prism 16, and the insertion portion ( 120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18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protrusion 110.

제1프리즘(16)의 타측면(16b-2)은 제1프리즘(16)의 양 측면 중 도 5a에 도시된 일측면(16b-1)의 반대측 면을 의미하고, 베이스(18)의 타측부는 도 5b에 도시된 베이스(18)의 삽입부(120)가 형성되는 일측부와 마주보는 부위를 의미한다.The other side 16b-2 of the first prism 16 refers to the side opposite to one side 16b-1 shown in FIG. 5A among both sides of the first prism 16, and the other side of the base 18. The side portion refers to a portion facing one side of the base 18 shown in FIG. 5B where the insertion portion 120 is formed.

상기 각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상기 결합돌부(110)는 상기 각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상기 삽입부(120)에 억지 끼워맞춤 및/또는 접착물질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The engaging protrusion 110 described 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coupled to the insertion portion 120 described 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by interference fit and/or an adhesive material.

접착물질은 다양한 종류의 것이 사용될 수 있으나, 접착력이 좋은 에폭시 계열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자외선(UV) 경화성 에폭시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적절하다.Various types of adhesive materials can be used, but it is appropriate to use an epoxy-based material with good adhesive strength. Additionally, it is more appropriate to use ultraviolet (UV) curable epoxy to facilitate the operation.

한편, 상기 결합돌부(110)는 상기 제1프리즘(16)의 저면(16a) 및 양 측면 즉, 제1프리즘(16)의 일측면(16b-1) 및 제1프리즘(16)의 타측면(16b-2)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120)는 상기 베이스(18) 하부 및 양 측부 즉, 베이스(18)의 일측부 및 베이스(18)의 타측부에 상기 결합돌부(110)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oupling protrusion 110 is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16a and both sides of the first prism 16, that is, one side 16b-1 of the first prism 16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rism 16. It is formed to protrude from each of (16b-2), and the insertion portion 120 is formed on the lower part and both sides of the base 18, that is, on one side of the base 18 and the other side of the base 18. 110) may b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삽입부(120)는 상기 제1프리즘(16)의 저면(16a) 및 양 측면 즉, 제1프리즘(16)의 일측면(16b-1) 및 제1프리즘(16)의 타측면(16b-2)에 각각 홀 또는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부(110)는 상기 베이스(18) 하부 및 양 측부 즉, 베이스(18)의 일측부 및 베이스(18)의 타측부에 상기 삽입부(120)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nsertion portion 120 is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16a and both sides of the first prism 16, that is, one side 16b-1 of the first prism 16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rism 16. Each hole or groove is formed at (16b-2), and the engaging protrusion 110 is inserted into the lower part and both sides of the base 18, that is, one side of the base 18 and the other side of the base 18. They may be formed to protrude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120, respectively.

도 7a 및 도 7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프리즘(16)과 베이스(18)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S. 7A and 7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upled state of the first prism 16 and the base 18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체결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1프리즘(16)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요철부(130)와 상기 베이스(18)의 단부의 상기 제1요철부(130)에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제1요철부(130)와 형합되도록 형성되는 제2요철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fastening unit, the first concavo-convex portion 130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prism 16 and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cave-convex portion 130 at the end of the base 18 are It may include a second concave-convex portion 140 formed to fit with the first concave-convex portion 130.

이때, 제1요철부(130)와 제2요철부(140)의 형상은 도 7a 및 도 8a에서는 사각형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삼각형, 물결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first uneven part 130 and the second uneven part 140 is shown as a square in FIGS. 7A and 8A,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triangle or a wave shape.

또한, 체결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요철부(130)는 상기 제1프리즘(16)의 저면(16a)에 형성되고, 상기 제2요철부(140)는 상기 베이스(18) 하부에 상기 제1요철부(130)에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제1요철부(130)와 형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fastening unit, as shown in FIGS. 7A and 7B, the first uneven portion 13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6a of the first prism 16, and the second uneven portion 13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6a of the first prism 16. The portion 140 may be formed to be fitted with the first concave-convex portion 130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cave-convex portion 130 on the lower part of the base 18.

이때, 제1요철부(130)는 제1프리즘(16)의 저면(16a) 단부에 상기 베이스(18)와 결합부위에서, 그 길이, 폭, 위치, 요부 또는 철부의 개수 등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concavo-convex portion 130 is connected to the base 18 at the end of the bottom surface 16a of the first prism 16, and its length, width, location, number of concave portions or convex portions, etc. are appropriately selected. You can.

도 8a 및 도 8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프리즘(16)과 베이스(18)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체결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요철부(130)는 제1프리즘(16)의 일측면(16b-1)에 형성되고, 상기 제2요철부(140)는 상기 베이스(18)의 일측부에 상기 제1요철부(130)와 대응하는 부위에 상기 제1요철부(130)와 형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FIGS. 8A and 8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upled state of the first prism 16 and the base 18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fastening unit, as shown in FIGS. 8A and 8B, the first uneven portion 130 is formed on one side 16b-1 of the first prism 16, and the second uneven portion 130 is formed on one side 16b-1 of the first prism 16. The portion 14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base 18 to be fitted with the first concave-convex portion 130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cave-convex portion 130 .

이때, 도 5a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프리즘(16)의 단부에는 투광면(163)이 형성되는데,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는 투광면(163)이 제1프리즘(16)의 길이방향에 경사지게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프리즘(16)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5A, a light transmitting surface 163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prism 16. As shown in FIG. 8A, in the embodiment, the light transmitting surface 163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prism 16. Although it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prism 16,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prism 16.

도 9a 및 도 9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프리즘(16)과 베이스(18)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체결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요철부(130)는 제1프리즘(16)의 타측면(16b-2)에 형성되고, 상기 제2요철부(140)는 상기 베이스(18)의 타측부에 상기 제1요철부(130)와 대응하는 부위에 상기 제1요철부(130)와 형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FIGS. 9A and 9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upled state of the first prism 16 and the base 18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fastening unit, as shown in FIGS. 9A and 9B, the first uneven portion 13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16b-2 of the first prism 16, and the second uneven portion 13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16b-2 of the first prism 16. The portion 140 may be formed to be fitted with the first concave-convex portion 130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cave-convex portion 130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18.

제1프리즘(16)의 타측면(16b-2)은 제1프리즘(16)의 양 측면 중 도 8a에 도시된 일측면(16b-1)의 반대측 면을 의미하고, 베이스(18)의 타측부는 도 8b에 도시된 베이스(18)의 제2요철부(140)가 형성되는 일측부와 마주보는 부위를 의미한다.The other side 16b-2 of the first prism 16 refers to the side opposite to one side 16b-1 shown in FIG. 8A among both sides of the first prism 16, and the other side of the base 18. The side portion refers to a portion facing one side of the base 18 shown in FIG. 8B where the second uneven portion 140 is formed.

상기 각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상기 제1요철부(130)와 상기 제2요철부(140)는 서로 억지 끼워맞춤 및/또는 접착물질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The first uneven part 130 and the second uneven part 140 described 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joined to each other by interference fit and/or an adhesive material.

상기 제1요철부(130)는 상기 프리즘의 저면(16a) 및 양 측면 즉, 제1프리즘(16)의 일측면(16b-1) 및 제1프리즘(16)의 타측면(16b-2)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요철부(140)는 상기 베이스(18) 하부 및 양 측부 즉, 베이스(18)의 일측부 및 베이스(18)의 타측부에 상기 제1요철부(130)와 대응하는 부위에 상기 제1요철부(130)와 형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uneven portion 130 is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16a and both sides of the prism, that is, one side 16b-1 of the first prism 16 and the other side 16b-2 of the first prism 16.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lower part and both sides of the base 18, that is, the first uneven part 130 and the second uneven part 130 on one side of the base 18 and the other side of the base 18. It may be formed to match the first concave-convex portion 130 at the corresponding portion.

실시예에 의하면, 프리즘을 베이스(18)에 결합하는 경우, 접착물질을 사용하지 않거나, 결합유닛 즉, 제1프리즘(16)과 베이스(18)에 형성되는 결합돌부(110), 삽입부(120), 제1요철부(130) 또는 제2요철부(140)에만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접착물질의 사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착물질에 의한 재생 영상의 화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립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en coupling the prism to the base 18, an adhesive material is not used, or a coupling unit, that is, a coupling protrusion 110 formed on the first prism 16 and the base 18, an insertion portion ( 120), the adhesive material is applied only to the first uneven portion 130 or the second uneven portion 140,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use of adhesive material.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mage quality of the playback image from being deteriorated due to the adhesive material of the wearable display device, and the assembly process of the wearable display device can be simplified.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Although only a few examples have been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in relation to the embodiments, various other forms of implementation are possible.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be combined in various forms unless they are incompatible technologies, and through this, can be implemented as a new embodiment.

10: 광원부
11: 도광부
12: 빔분사부
13: 디스플레이부
14: 편광판
15: 렌즈
16: 제1프리즘
16a: 제1프리즘의 저면
16b-1: 제1프리즘의 일측면
16b-2: 제1프리즘의 타측면
163: 투광면
17: 제2프리즘
18: 베이스
19: 커버부재
20: 인쇄회로기판
21: 커넥터
22: 체결부
10: Light source unit
11: light guide
12: Beam injection unit
13: Display unit
14: Polarizer
15: Lens
16: first prism
16a: Bottom surface of the first prism
16b-1: One side of the first prism
16b-2: Other side of the first prism
163: light transmitting surface
17: Second prism
18: base
19: Cover member
20: printed circuit board
21: connector
22: fastening part

Claims (11)

하부, 및 상기 하부와 연결되는 제1 측부와 제2 측부를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 측부와 상기 제2 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단부를 포함하는 제1 프리즘;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1 프리즘의 상기 제1 단부를 체결하는 체결 유닛;
상기 베이스의 상부와 결합되는 커버부재; 및
상기 베이스의 상기 하부의 외면과 결합되는 하부 및 상기 커버부재의 외면과 결합되는 상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리즘의 상기 제1 단부는,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 상기 베이스의 상기 하부의 내면과 대향하는 저면, 상기 입사면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 측부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제1 측면, 및 상기 입사면의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2 측부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제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유닛은,
상기 제1 단부의 상기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기 하부의 상기 내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결합 돌부; 및
상기 베이스의 상기 하부의 상기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 돌부와 결합되는 제1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유닛은 상기 베이스의 상기 하부의 상기 내면과 상기 커버 부재의 내면 사이에 위치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A base including a lower part and first and second side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a first prism including a first end disposed between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of the base;
a fastening unit fastening the base and the first end of the first prism;
a cover member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base; and
It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including a lower part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art of the base and an upper part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The first end of the first prism is,
An entrance surface on which light is incident, a bottom surface facing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part of the base, a first side located on one side of the entrance surface and facing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ide of the base, and a bottom surface facing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part of the base, and and a second side located opposite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ide of the base,
The fastening unit is,
a first engaging protrusion formed on the bottom of the first end and protruding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and
A first insertion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and coupled to the first engaging protrusion,
The fastening unit is a wearable display device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돌부는 복수의 제1 결합 돌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삽입부는 상기 복수의 제1 결합 돌부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1 삽입부들을 포함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protrusions,
The first insertion unit is a wear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part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coupling protrus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부는 홀 또는 홈으로 형성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wearable display device wherein the first insertion portion is formed as a hole or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리즘은 상기 제1 단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2 단부에 배치되는 출사면을 포함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prism is a wear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an emission surface disposed at a second end located opposite to the first e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리즘과 결합되는 제2 프리즘을 포함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weara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econd prism coupled to the first prism.
제5항에 있어서,
영상을 재생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재생된 영상을 형성하는 광을 투과시켜 상기 제1 프리즘으로 입사시키는 렌즈를 포함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use 5,
A display unit that plays video; and
A wear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a lens that transmits light forming an image reproduced in the display unit and makes it incident on the first pris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리즘은 상기 렌즈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의 광 경로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안구에 조사하고,
상기 제2 프리즘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안구에 도달하는 실상의 왜곡을 줄이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use 6,
The first prism adjusts the optical path of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lens to irradiate it to the user's eye,
The second prism is a wearable display device that reduces distortion of the real image reaching the eyeball of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리즘의 상기 입사면은 상기 제1 프리즘의 길이 방향에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wearable display device wherein the incident surface of the first prism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pris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유닛은,
상기 제1 프리즘의 상기 제1 단부의 상기 제1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 측부의 상기 내측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2 결합 돌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 측부의 상기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 돌부와 결합되는 제2 삽입부;
상기 제1 프리즘의 상기 제1 단부의 상기 제2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2 측부의 상기 내측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3 결합 돌부; 및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2 측부의 상기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3 결합 돌부와 결합되는 제3 삽입부를 포함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astening unit is,
a second engaging protrusion formed on the first side of the first end of the first prism and protruding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ide of the base;
a second insertion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ide of the base and coupled to the second engaging protrusion;
a third engaging protrusion formed on the second side of the first end of the first prism and protruding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ide of the base; and
A weara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third insertion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ide of the base and coupled to the third coupling protrus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 돌부는 복수의 제2 결합 돌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삽입부는 상기 복수의 제2 결합 돌부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 삽입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결합 돌부는 복수의 제3 결합 돌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삽입부는 상기 복수의 제3 결합 돌부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3 삽입부들을 포함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use 9,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coupling protrusions, and the second insertion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insertion part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second coupling protrusions,
The third coupling protrusion includes a plurality of third coupling protrusions, and the third insertion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third insertion part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third coupling protrusions.
삭제delete
KR1020220022435A 2015-01-23 2022-02-21 Wearable display apparatus KR1025965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435A KR102596553B1 (en) 2015-01-23 2022-02-21 Wearable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028A KR20160091005A (en) 2015-01-23 2015-01-23 Wearable display apparatus
KR1020220022435A KR102596553B1 (en) 2015-01-23 2022-02-21 Wearable display apparatu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1028A Division KR20160091005A (en) 2015-01-23 2015-01-23 Wearable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4402A KR20220024402A (en) 2022-03-03
KR102596553B1 true KR102596553B1 (en) 2023-10-31

Family

ID=5670813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1028A KR20160091005A (en) 2015-01-23 2015-01-23 Wearable display apparatus
KR1020220022435A KR102596553B1 (en) 2015-01-23 2022-02-21 Wearable display apparatus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1028A KR20160091005A (en) 2015-01-23 2015-01-23 Wearable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60091005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40822A1 (en) 2007-11-30 2009-06-04 Ray Chang Toolless video balun
JP2012186018A (en) * 2011-03-04 2012-09-27 Yazaki Corp Connector
JP2014153643A (en) * 2013-02-13 2014-08-25 Seiko Epson Corp Virtual image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5684B2 (en) * 1997-03-28 2005-05-1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Optical pris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40822A1 (en) 2007-11-30 2009-06-04 Ray Chang Toolless video balun
JP2012186018A (en) * 2011-03-04 2012-09-27 Yazaki Corp Connector
JP2014153643A (en) * 2013-02-13 2014-08-25 Seiko Epson Corp Virtual imag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4402A (en) 2022-03-03
KR20160091005A (en) 201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4995B2 (en) Compact illumination module for head mounted display
US876730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near-to-eye display
US8786686B1 (en) Head mounted display eyepiece with integrated depth sensing
JP2021535444A (en) Optical system including light guide optics with two-dimensional extension
US11994703B2 (en) Compact spatial light modulator projection system
US20130016292A1 (en) Eyepiece for near-to-eye display with multi-reflectors
KR20170055992A (en) Compact projection light engine for a diffractive waveguide display
CN112269266B (en) Optical system and wearable device
US11947316B2 (en) Multi-image display apparatus providing holographic image
US8867131B1 (en) Hybrid polarizing beam splitter
US11181815B1 (en) Optical devices including reflective spatial light modulators for project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US10969675B1 (en) Optical assemblies having scanning reflectors for project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US10488617B2 (en) Wearable display device
KR102596553B1 (en) Wearable display apparatus
KR102656241B1 (en) Holographic Display apparatus
JP2023512873A (en) Polarization multiplexing optics for head-mounted display systems
US10634916B2 (en) Wearable display device
TWI824355B (en) Optical system and mixed reality apparatus
JP2017198741A (en) Optical device
KR102451090B1 (en) Wearable display apparatus
KR102398506B1 (en) Wearable display apparatus
JP2010243787A (en) Video display and head-mounted display
KR102346624B1 (en) Wearable display apparatus
KR102344459B1 (en) Wearable display apparatus
KR20210038304A (en) Head mounted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