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8506B1 - Wearable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Wearable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98506B1 KR102398506B1 KR1020150011030A KR20150011030A KR102398506B1 KR 102398506 B1 KR102398506 B1 KR 102398506B1 KR 1020150011030 A KR1020150011030 A KR 1020150011030A KR 20150011030 A KR20150011030 A KR 20150011030A KR 102398506 B1 KR102398506 B1 KR 1023985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ism
- adhesive
- display device
- light
- wearable displa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 G02B2027/0172—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안구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안구에 도달하는 광의 경로를 조절하여 상기 안구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도달하도록 하는 제1프리즘; 및 상기 제1프리즘과 결합하는 제2프리즘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프리즘과 상기 제2프리즘이 서로 결합하는 각각의 표면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는 접착제가 유입되는 접착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wearable display device includes: a first prism positioned in front of the user's eyeball and controlling a path of light reaching the eyeball so that an image displayed on the eyeball arrives; and a second prism coupled to the first prism, wherein at least one surface of each surface coupled to the first prism and the second prism may be formed with an adhesive groove through which an adhesive is introduced.
Description
실시예는, 서브 프리즘 간 접착을 용이하게 하고 접착제가 프리즘을 통과하는 광의 경로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구조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 wearable display device having a structure that facilitates adhesion between sub-prisms and the adhesive does not adversely affect the path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prisms.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for the embodiment and does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비행기의 고도, 속도 등의 비행 정보를 조종사가 알 수 있게 하기 위해 탄생한 장치이다. 일반 상업용 제품은 1990년대에 개발되었으며, 1997년 이후로 상용화 제품이 나오면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A wearable display device such as a head mounted display (HMD) is a device that was created to allow a pilot to know flight information such as an airplane's altitude and speed. General commercial products were developed in the 1990s, and commercial products have been released since 1997, attracting a lot of attention.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안경처럼 머리에 착용하여 사용자의 눈의 전방에 대형화된 영상이 놓이고, 이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한 장치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는 1인치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고급 광학 기술이 적용되어 약 100배에 가까운 확대화면을 볼 수 있다.A wearable display device is a device that is worn on the head like glasses so that an enlarged image is placed in front of the user's eyes, and the user can see it. Optical technology is applied, so you can see a magnified screen close to 100 times.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주변기기의 기술 개발 및 상용화로 웨어러블(wearable) 컴퓨팅 산업의 성장도 기대되고 있다. 현재까지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로 영화나 게임을 즐기기 위해 개발되었지만 최근에는 컴퓨터 시스템의 고성능화, 소형화, LCD, LED 등으로 대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영상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웨어러블 모니터로서의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용화된 제품도 출시되었다.With the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peripheral devices such as wearable display devices, the wearable computing industry is also expected to grow. Until now, wearable display devices have been mainly developed to enjoy movies and games, but recently, research and development as wearable monitors have been conducted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display devices and image communication technologies represented by high performance and miniaturization of computer systems, LCD, LED, etc. and commercialized products have been released.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시장은 과거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으로 인해 시장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었으나 웨어러블 컴퓨터 산업에 편승해 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산업현장, 자동차, 항공기, 선박 등 대형기기의 정비 현장, 물류 창고 등은 물론 자동차 경주와 같은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분야로까지 확장될 것으로 기대된다.The wearable display device market has suffered a lot in the past due to its relatively high price, but it is expected to grow significantly by riding on the wearable computer industry. Wearable display devices are expected to be expanded to industrial sites, maintenance sites for large equipment such as automobiles, aircraft, and ships, logistics warehouses, etc., as well as sports entertainment fields such as automobile racing.
특히, 프로세서 및 소프트웨어 기술의 발전은 컴퓨팅 장치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고 있으며,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순히 영상을 디스플레이해주는 장치에 그치지 않고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용 컴퓨팅 장치로 발전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processor and software technology enables the miniaturization of computing devices, and the wearable display device is expected to develop into a personal computing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rather than a device that simply displays an image.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안구에 도달하는 광은 소정의 경로를 형성하는데, 이러한 광경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제품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각각의 부품을 결합하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작함에 있어서 특히 사용자의 안구로 입사하는 광이 최종적으로 통과하는 프리즘은 복수의 서브 프리즘으로 형성되어 서로 접착제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In the wearable display device, the light reaching the user's eye forms a predetermined path, and maintaining the optical path stably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the product. In manufacturing a wearable display device by combining respective parts, a prism through which light incident to a user's eye finally passes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sub-prisms and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n adhesive.
접착제에 의한 서브 프리즘 간 결합시 요구되는 접착부위 이외의 부위에 접착제가 흘러내리는 경우 프리즘을 통과하는 광이 영향을 받을 수 있고, 이는 결국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성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When the adhesive flows down to a site other than the required bonding site during bonding between the sub-prisms by the adhesive,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prism may be affected, which in turn may adversely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wearable display device.
따라서, 실시예는, 서브 프리즘 간 접착을 용이하게 하고 접착제가 프리즘을 통과하는 광의 경로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구조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embodiment is to provide a wearable display device having a structure that facilitates adhesion between sub-prisms and the adhesive does not adversely affect the path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prisms.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task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안구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안구에 도달하는 광의 경로를 조절하여 상기 안구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도달하도록 하는 제1프리즘; 및 상기 제1프리즘과 결합하는 제2프리즘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프리즘과 상기 제2프리즘이 서로 결합하는 각각의 표면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는 접착제가 유입되는 접착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wearable display device includes: a first prism positioned in front of the user's eyeball and controlling a path of light reaching the eyeball so that an image displayed on the eyeball arrives; and a second prism coupled to the first prism, wherein at least one surface of each surface coupled to the first prism and the second prism may be formed with an adhesive groove through which an adhesive is introduced.
상기 접착홈부는 상기 제1프리즘의 표면에 또는 상기 제2프리즘의 표면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The adhesive groove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prism or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prism.
상기 접착홈부는, 상기 제1프리즘 및 상기 제2프리즘 각각에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접착홈부는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The adhesive grooves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first prism and the second prism, and each of the adhesive grooves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프리즘과 상기 제2프리즘이 서로 결합하는 부위의 상기 제2프리즘에 형성되는 제2표면에는 상기 안구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구현하는 입사광이 전반사되고, 상기 접착홈부는 상기 입사광의 전반사 부위를 회피하는 부위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wearable display device, incident light for implement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eyeball is totally reflected on a second surface formed on the second prism at a portion where the first prism and the second prism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adhesive groove may be formed in a portion that avoids a portion of total reflection of the incident light.
상기 접착홈부는 상기 제1프리즘이 상기 제2표면과 결합하는 제1표면 또는 상기 제2프리즘의 상기 제2표면의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The adhesive groove portion may be formed at an edge portion of a first surface to which the first prism is coupled to the second surface or an edge of the second surface of the second prism.
상기 제1표면과 상기 제2표면은 사용자의 상기 안구 전방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접착홈부는 그 길이방향이 상기 제1표면 또는 상기 제2표면의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may be inclined in a forward direction of the user's eyeball, and the adhesive groove may have a longitudinal direction formed in an inclined direction of the first surface or the second surface.
상기 접착홈부는, 그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폐쇄되는 연속된 홈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The adhesive groove portion may be formed as a continuous groove in which one side is ope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is closed.
상기 접착홈부는, 상기 제1표면 또는 상기 제2표면에 서로 연통되지 않는 복수의 홈들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홈들은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제1표면 또는 상기 제2표면의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The adhesive groove portion is formed of a plurality of grooves that do no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n the first surface or the second surface, and the plurality of groov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in an inclined direction of the first surface or the second surface. it may be
상기 접착홈부는,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폐쇄되는 연속된 홈으로 형성되는 제1접착홈부; 및 상기 제1표면 또는 상기 제2표면에 서로 연통되지 않는 복수의 홈들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홈들은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제1표면 또는 상기 제2표면의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제2접착홈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adhesive groove portion may include: a first adhesive groove formed as a continuous groove in which one side is op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is closed; and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on the first surface or the second surface that do no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herein the plurality of groov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in an inclined direction of the first surface or the second surface. It may include two adhesive grooves.
상기 접착홈부는 단면이 일측이 개방된 사각형, V자형, 곡선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The adhesive groove portion may be provided in at least one of a square, V-shaped, and curved cross-section with one side open.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의 안구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안구에 도달하는 광의 경로를 조절하여 상기 안구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도달하도록 하는 제1프리즘; 및 상기 제1프리즘과 결합하여 사용자의 안구에 도달하는 실상의 왜곡을 줄이는 제2프리즘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프리즘은 상기 제2프리즘과 결합하는 제1표면이 구비되고, 상기 제2프리즘은 상기 제1프리즘과 결합하는 제2표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표면 또는 상기 제2표면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는 접착제가 유입되는 접착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wearable display device includes: a first prism positioned in front of the user's eyeball and controlling a path of light reaching the eyeball so that an image displayed on the eyeball arrives; and a second prism that combines with the first prism to reduce distortion of an actual image reaching the user's eye, wherein the first prism has a first surface coupled to the second prism, the second prism includes A second surface coupled to the first prism may be formed, and an adhesive groove into which an adhesive is introduced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상기 접착홈부는, 상기 제1표면 및 상기 제2표면 각각에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접착홈부는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The bonding groove portion may be formed on each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nd each of the bonding groove portions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상기 제1표면과 상기 제2표면의 결합부위의 중앙부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홈부는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A space may b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nd the adhesive groove portion may be formed at an edge.
실시예에서, 제1프리즘 또는 제2프리즘의 표면에 접착홈부가 형성됨으로 인해 제1프리즘과 제2프리즘 서로를 용이하고 견고하게 접착제로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n embodiment, since the adhesive groov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prism or the second prism,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irst prism and the second prism can be easily and firmly bonded to each other with an adhesive.
또한, 상기 접착홈부는 접착제가 광경로를 형성하거나 전반사가 일어나는 제1프리즘과 제2프리즘이 서로 결합하는 각각의 표면의 중앙부로 흘러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크린 해상도, 선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adhesive groove portion to improve the screen resolution and sharpness of the wearable display device by preventing the adhesive from flowing into the central portion of each surface where the first prism and the second prism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n optical path or where total reflection occurs. ca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을 형성하는 광의 경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프리즘에 접착홈부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프리즘에 접착홈부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프리즘에 접착홈부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프리즘에 접착홈부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프리즘에 접착홈부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홈부가 형성된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착홈부가 형성된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착홈부가 형성된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path of light forming an image in a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adhesive groove is formed in a first pr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adhesive groove is formed in a first pris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adhesive groove is formed in a second pris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7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adhesive groove is formed in a second pris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8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adhesive groove is formed in a second pris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ion of a wearable display device having an adhesive groove formed there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ion of a wearable display device having an adhesive groove formed there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ion of a wearable display device having an adhesive groove formed there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isplay screen is form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Hereinafter,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ince the embodiment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embodiment. In this process, the size or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In addition, terms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 are only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embodiment.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in "up (up)" or "below (on or under)" of each element, on (on or under) ) includes both elements in which two elem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or one or more other elements are disposed between the two elements indirectly.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up (up)” or “down (on or under)”, the meaning of not only the upward direction but also the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element may be included.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될 수도 있다.Also, as used hereinafter, relational terms such as "upper/upper/above" and "lower/lower/below" etc. do not necessarily require or imply any physical or logical relationship or order between such entities or elements; It may b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entity or element from another entity or element.
또한, 도면에서는 직교 좌표계(x, y, z)를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 x축과 y축은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편의상 광축 방향(z축 방향)은 제1방향, x축 방향은 제2방향, y축 방향은 제3방향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In addition, a Cartesian coordinate system (x, y, z) may be used in the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x-axis and y-axis mea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For convenience, the optical-axis direction (z-axis direction)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direction, the x-axis direction as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as the third direction. .
실시예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인간의 신체 중 안경처럼 착용이 가능하고, 외부의 장치로부터 전송받는 영상을 인간이 장소에 비교적 제한 없이 볼 수 있는 장치이다. 영상을 전송하는 소스가 되는 장치는 스마트폰 기타 모바일 기기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wearable display device of the embodiment is a device that can be worn like glasses in a human body, and a human can view an image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device relatively without restriction in a place. A device serving as a source for transmitting an image may be a smartphone or other mobile device, and may be connected to the wearable display device by wire or wirelessly.
이때, 실시예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착용하기 위해 안경에 탈착식으로 결합하거나, 안경처럼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착용기구가 결합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in order to wear the wearable display device of the embodiment, it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glasses, or a separate wearing device that the user can wear like glasses may be coupled.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을 형성하는 광의 광경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optical path of light forming an image in a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실시예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원부(10), 도광부(11), 빔분사부(12), 디스플레이부(13), 편광판(14), 렌즈(15), 제1프리즘(16), 제2프리즘(17)을 포함할 수 있다.The wearable display device of the embodiment includes a
또한, 실시예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의 각 구성 하나의 묶음으로 결합하기 위해 베이스(18), 커버부재(19), 체결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의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외부의 장치로부터 재생할 영상을 전송받을 수 있도록 인쇄회로기판(20), 커넥터(21)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arable display device of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광원부(10)는 인쇄회로기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20)을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재생의 대상인 영상을 최초로 광의 형태로 조사하는 역할을 한다. 광원부(10)는 광을 조사하는 장치로 다양한 것으로 구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내구성이 뛰어나고, 발열이 적으며, 크기가 작은 LED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도광부(11)는 상기 광원부(10)로부터 조사되는 영상을 빔분사부(12)로 향하도록 광경로를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부(11)를 중심으로 보면 광원부(10)와 빔분사부(12)는 서로 대략적으로 직각방향으로 위치한다. 따라서, 광원부(10)로부터 조사되는 영상을 형성하는 광이 빔분사부(12)로 향하도록 하기 위해, 도광부(11)는 그 내부의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각도로 구비되는 복수의 격자가 형성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도광부(11)는 상기 격자가 형성됨으로 인해 광원부(1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빔분사부(12)에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도광부(11)로부터 균일하게 조사되는 광은 상기 도광부(11)와 인접한 상기 빔분사부(12)의 면에 균일하게 입사될 수 있다.Also, the
빔분사부(12)는 상기 도광부(11)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3)에 조사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3)에서 사용자가 육안으로 구체적으로 볼 수 있도록 재생되는 영상을 다시 받아 렌즈(15)로 조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즉, 상기 빔분사부(12)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3)로 광을 전송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13)로부터 재생된 영상을 형성하는 광을 전송받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3)로부터 전송받는 상기 재생된 영상을 형성하는 광의 경로를 조절할 수 있다.That is, the
이러한 광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빔분사부(12)는 예를 들어 분극 빔분사기(PBS, Polarizing Beam Splitter)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극 빔분사기는 복수의 격자를 결합하여 형성하고, 각 격자에는 광을 반사 및/또는 회절시킬 수 있는 코팅층(100)을 형성하여 제작할 수 있다.In order to form such an optical path, the
디스플레이부(13)는 상기 빔분사부(12)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그 형체를 구체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영상으로 재생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는 예를 들어, 재생된 영상을 다시 빔분사부(12)로 조사하는 반사형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The
이러한 반사형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Lcos 방식이 있다. Lcos 방식은 반사형 디스플레이로서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켜 영상를 재생하는 방식이다. Lcos 방식에서 디스플레이 소자로는 실리콘 기판을 주로 사용하며 소형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고해상도의 이미지 표시가 가능하다.Such a reflective display has, for example, an Lcos type. The Lcos method is a method of reproducing an image by reflecting incident light as a reflective display. In the Lcos method, a silicon substrate is mainly used as a display element, and high-resolution images can be displayed on a small display screen.
편광판(14)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3)로부터 입사되는 영상을 형성하는 광을 편광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편광판(14)은 입사되는 영상을 형성하는 광의 성분 중 p파의 광을 투과시키고, s파를 흡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이때, p파는 광의 입사평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파이고, s파는 광의 입사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파이다. 이 경우, 입사평면은 광이 입사하는 매질에서 입사파, 반사파 및 투과파가 형성하는 평면을 말한다.In this case, the p wave is a light wave that vibrates in a direction horizontal to the incident plane of light, and the s wave is a light wave that vibrat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cident plane of the light. In this case, the incident plane refers to a plane formed by an incident wave, a reflected wave, and a transmitted wave in a medium on which light is incident.
상기 편광판(14)은 입사하는 광 중 p파의 광만을 투과시키므로 편광판(14)을 투과하여 렌즈(15)로 입사하는 광은 p파 성분만을 가지게 된다. 물론, 반대로 다른 종류의 편광판(14)을 사용하여 편광판(14)을 투과하여 렌즈(15)로 입사하는 광이 s파 성분만을 가지게 할 수도 있다.Since the
이러한 편광판(14)은 입사하는 영상을 형성하는 광이 p파 성분과 s파 성분을 동시에 가짐으로 인해, p파 성분의 광과 s파 성분의 광이 서로 간섭을 일으켜 영상의 화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한편, 상기의 도광부(11)도 상기 편광판(14)과 마찬가지로 편광의 기능을 구비하여, 광원부(10)로부터 입사하는 광을 편광시켜 p파 성분의 광과 s파 성분의 광이 서로 간섭을 일으켜 영상의 화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렌즈(15)는 상기 편광판(14)으로부터 입사하는 영상을 형성하는 광을 전송받아 영상을 확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편광판(14)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형성하는 영상은 크기가 매우 작아 그 영상을 사용자가 그대로 보기에는 불편하다. 따라서, 렌즈(15)는 이러한 영상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보기에 적절한 크기로 확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렌즈(15)는 입사되는 광의 색수차(chromatic aberration), 구면수차(spherical aberration) 등을 보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입사하는 광을 굴절시켜 광경로를 변경할 수 있으며, 입사하는 광이 형성하는 영상의 해상도를 높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렌즈(15)를 투과하면서 확대된 영상을 형성하는 광은 제1프리즘(16)으로 입사된다. 이때, 렌즈(15)로부터 제1프리즘(16)으로 입사되는 광경로를 적절히 조절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렌즈(15)의 일부에 굴절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굴절부는 예를 들어 렌즈(15)의 다른 부위와 밀도가 다른 매질을 결합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Light passing through the
제1프리즘(16)은 상기 렌즈(15)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사용자의 안구(E)에 도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렌즈(15)로부터 입사되는 영상을 형성하는 광은 그 경로가 적절하게 조절되어야 한다. 이러한 광경로의 조절은 제1프리즘(16)에서의 전반사 현상을 이용하고, 또한 사용자의 안구(E)에 입사하는 최종의 광경로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하기에서 후술되는 반사층(200)을 상기 제1프리즘(16)에 형성할 수도 있다.The
이때, 상기 렌즈(15)로부터 제1프리즘(16)을 투과하여 사용자의 안구(E)에 입사되는 영상은 허상이다. 즉, 사용자의 안구(E) 전방에 위치하는 실물의 상을 말하는 실상과 달리, 이러한 영상은 사용자의 안구(E) 전방에 위치하지 않는 디스플레이부(13)에서 재생되는 영상이 상기한 바와 같이 광경로가 조절됨으로 인해, 마치 사용자의 안구(E) 전방에 위치하는 것처럼 사용자가 시각적 인식하는 허상이다.At this time, the image passing through the
실시예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허상을 형성하는 광경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먼저, 인쇄회로기판(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광원부(10)에서 인쇄회로기판(20)을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재생의 대상이 되는 영상의 정보를 받아 상기 영상을 담은 광을 도광부(11)로 조사한다. 이때, 광원부(10)로부터 조사되는 광은 RGB신호를 담은 것일 수 있다.An optical path for forming a virtual image in the wearable display device of the embodiment is as shown in FIG. 3 . Specifically, first, the
다음으로, 도광부(11)는 광원부(10)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그 광경로를 조절하여 빔분사부(12)로 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도광부(11)는 상기 격자가 형성됨으로 인해 광원부(1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빔분사부(12)에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부(11)는 편광의 기능을 구비하여, 광원부(10)로부터 입사하는 광을 편광시켜 p파 성분의 광과 s파 성분의 광이 서로 간섭을 일으켜 영상의 화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Next, the
다음으로, 빔분사부(12)는 상기 도광부(11)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3)에 조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3)가 입사되는 광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구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영상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Next, the
다음으로, 디스플레이부(13)는 상기 빔분사부(12)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구체적인 영상으로 재생하고, 재생된 영상을 형성하는 광은 다시 빔분사부(12)로 조사된다.Next, the
다음으로, 빔분사부(12)는 디스플레이부(13)로부터 입사되는 영상을 형성하는 광을 편광판(14)으로 입사시킨다. 이때, 빔분사부(12)는 상기의 다양한 광경로 조절을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이, 분극 빔분사기로 형성될 수 있다.Next, the
다음으로 편광판(14)은 상기 빔분사부(12)로부터 입사되는 영상을 형성하는 광을 편광시킨다. 이때, 광은 p파 또는 s파 중 어느 하나의 파만을 투과시키고 나머지 파는 흡수하므로 편광판(14)을 투과한 광은 p파 또는 s파 중 어느 하나의 파만을 가지도록 편광된다.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p파와 s파 서로 간 간섭으로 인한 영상의 화질저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Next, the
다음으로, 렌즈(15)는 상기 편광판(14)으로부터 입사하는 영상을 형성하는 광을 전송받아 사용자가 육안으로 보기에 적절한 크기로 확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광경로 조절을 위해 렌즈(15)의 일부에 굴절부가 형성될 수 있고, 굴절부를 투과하는 광은 상기 제1프리즘(16)에 설정된 입사각으로 입사한다.Next, the
다음으로, 제1프리즘(16)은 상기 렌즈(15)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의 광경로를 조절하여 최종적으로 영상을 형성하는 광을 사용자의 안구(E)에 조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광경로의 조절은 제1프리즘(16)의 전반사 현상, 제1프리즘(16)에 형성되는 반사층(200)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Next, the
제2프리즘(17)은 상기 제1프리즘(16)과 결합하여 사용자의 안구(E)에 도달하는 실상의 왜곡을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프리즘(16)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3)에서 재생되는 영상인 허상과 함께 사용자의 안구(E) 전방에 실제하는 사물의 실상을 동시에 볼 수 있다.The
그러나, 사용자의 안구(E)와 제1프리즘(16)의 단부가 인접하여 있는 경우 제1프리즘(16)의 단부의 형상으로 인해 사용자의 안구(E)에 도달하는 실상은 왜곡될 수 있다. 이는 제1프리즘(16)의 단부 형상으로 인해 실상을 보여주는 광의 굴절, 회절 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However, when the user's eye E and the end of the
따라서, 제1프리즘(16)의 단부에 제2프리즘(17)을 결합하여 전체 프리즘을 연장형성하면 제1프리즘(16)의 단부 형상으로 인한 실상의 왜곡현상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베이스(18)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여기에 도광부(11), 빔분사부(12), 디스플레이부(13), 편광판(14), 렌즈(15) 등을 수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베이스(18)는 실시예의 여러 구성요소를 수용하므로 그 형상이 복잡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18)는 이러한 복잡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 방법 예를 들어, 사출성형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커버부재(19)는 상기 베이스(18)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여 상기 베이스(18)에 수용되는 각 구성요소들이 상기 베이스(18)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19)는 체결부(22)에 의해 상기 베이스(18)와 결합할 수 있다.The
또한, 커버부재(19)의 상면에는 돌출부(171)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71)에 인쇄회로기판(20)에 형성되는 홈 또는 홀이 결합함으로써 상기 커버부재(19)에 상기 인쇄회로기판(20)의 상부가 결합할 수 있다.In addition, a
인쇄회로기판(20) 상부와 하부가 상기 베이스(18) 및 상기 커버부재(19)와 결합할 수 있고, 상기 광원부(10)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인쇄회로기판(20)은 광원부(10)에 재생의 대상인 영상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광원부(10)와 디스플레이부(13)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rinted
한편, 인쇄회로기판(20)은 상부 및 하부에 홈 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재(19)의 상면에 형성되는 돌출부(171)와, 베이스(18)의 하부에 형성되는 돌출부(171)에 각각 인쇄회로기판(20)의 상부 및 하부가 결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inted
커넥터(21)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0)과 외부장치를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외부장치는 실시예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재생할 영상을 수록하는 저장장치,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와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서로 연동시킬 수 있는 통신장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체결부(22)는 커버부재(19)와 베이스(18)를 서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22)는 상기 커버부재(19)와 상기 베이스(18) 각각에 형성되는 홀 또는 홈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부재(19)와 상기 베이스(18)를 탈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볼트, 나사못, 결합핀 등을 체결부(22)로 사용할 수 있다.The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프리즘(16)에 접착홈부(100)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프리즘(16)에 접착홈부(100)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접착홈부(100)는 상기 제1프리즘(16)과 상기 제2프리즘(17)이 서로 결합하는 각각의 표면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접착제가 유입되는 부위이다. 접착홈부(100)에 유입된 접착제는 경화되어 제1프리즘(16)과 제2프리즘(17)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The
접착홈부(100)의 일 실시예는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프리즘(16)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홈부(100)는 상기 제1프리즘(16)이 상기 제2프리즘(17)의 제2표면(170, 도 6참조)과 결합하는 제1표면(160)의 가장자리(162)에 형성될 수 있다. An embodiment of the
이때, 상기 제1표면(160)은 사용자의 상기 안구(E) 전방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접착홈부(100)는 그 길이방향이 상기 제1표면(160)의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이는 제1표면(160)의 중앙부(161)는 영상을 형성하는 광이 통과하는 광경로 이므로, 상기 중앙부(161)를 통과하는 상기 광의 경로, 특성 등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상기 중앙부(161)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는 것이 적절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한편, 도 4, 도 5에서는 접착홈부(100)가 제1표면(160)의 양측 가장자리(162)에 각각 구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양측 가장자리(162)의 어느 한쪽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Meanwhile, in FIGS. 4 and 5 , the
또한, 접착홈부(100)의 일 실시예는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폐쇄되는 연속된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개방되는 일측이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단턱의 일부에도 홈을 형성하여 접착홈부(100)의 일측이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한편, 상기 접착홈부(100)의 개방되는 일측은 상기 제1표면(160)에서 상기 안구(E)의 시선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프리즘(16)의 전면 또는 후면 어느 쪽에도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홈부(100)의 개방되는 일측은 상기 안구(E)의 시선방향을 기준으로 제1프리즘(16)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홈부(100)의 개방되는 일측은 상기 제1프리즘(16)의 후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pen side of the
제1프리즘(16)과 제2프리즘(17)의 접착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다양한 특성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폭시, 열 경화성 접착제, 광 경화성 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광 경화성 접착제의 경우 UV 경화성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The adhesive used for bonding the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프리즘(17)에 접착홈부(100)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접착홈부(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프리즘(17)의 제2표면(17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표면(170)은 제1표면(160)과 마찬가지로, 상기 안구(E) 전방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착홈부(100)는 그 길이방향이 상기 제2표면(170)의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한편, 상기 제2표면(170)에는 상기 안구(E)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구현하는 입사광이 전반사되고, 상기 접착홈부(100)는 상기 입사광의 전반사 부위를 회피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on the
이때, 상기 입사광의 전반사는 상기 제2프리즘(17)의 상기 제2표면(170)의 중앙부(171)에서 발생하고, 따라서 상기 접착홈부(100)는 전반사가 일어나는 상기 제2표면(170)의 중앙부(171)를 회피하는 제2표면(170)의 가장자리(172)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otal reflection of the incident light occurs in the
한편, 도 6에서는 접착홈부(100)가 제2표면(170)의 양측 가장자리(172)에 각각 구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양측 가장자리(172)의 어느 한쪽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Meanwhile, in FIG. 6 , the
또한, 접착홈부(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폐쇄되는 연속된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개방되는 일측이 도 6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단턱의 일부에도 홈을 형성하여 접착홈부(100)의 일측이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 the
한편, 제1프리즘(16)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접착홈부(100)의 개방되는 일측은 상기 제2표면(170)에서 상기 안구(E)의 시선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프리즘(17)의 전면 또는 후면 어느 쪽에도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상기 접착홈부(100)의 개방되는 일측이 상기 안구(E)의 시선방향을 기준으로 제2프리즘(17)의 후면에 형성되었으나, 제2프리즘(17)의 전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s in the
접착홈부(100)는 상기 제1표면(160)과 제2표면(170)에 서로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하 도 7, 도 8에서 상기 접착홈부(100)의 다른 실시예들은 제2프리즘(17)의 제2표면(170)을 예를 들어 도시한다.Since the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프리즘(17)에 접착홈부(100)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7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접착홈부(100)의 다른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표면(160) 또는 상기 제2표면(170)에 서로 연통되지 않는 복수의 홈들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홈들은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제1표면(160) 또는 상기 제2표면(170)의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접착홈부(100)의 양측 단부는 모두 폐쇄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접착홈부(100)를 형성하는 복수의 홈들 각각에는 접착제가 유입되고, 제1표면(160)과 제2표면(170)을 서로 맞댄 후 접착제가 경화되면 상기 제1프리즘(16)과 상기 제2프리즘(17)은 서로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Adhesive is introduced into each of the plurality of grooves forming the
도 7에서는 직사각형의 평면을 가진 접착홈부(100)들이 도시되었으나, 접착홈부(100)들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 곡선형 기타 다양한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Although the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프리즘(17)에 접착홈부(100)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접착홈부(100)는 제1접착홈부(100-1) 및 제2접착홈부(100-2)를 포함할 수 있다.8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상기 제1접착홈부(100-1)는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폐쇄되는 연속된 홈으로 형성되고, 제2접착홈부(100-2)는 상기 제1표면(160) 또는 상기 제2표면(170)에 서로 연통되지 않는 복수의 홈들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홈들은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제1표면(160) 또는 상기 제2표면(170)의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adhesive groove portion 100-1 is formed as a continuous groove with one side open and the other side cl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adhesive groove portion 100-2 is formed on the
즉, 도 8의 실시예에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를 조합한 접착홈부(10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7,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같이 이유로, 상기 제1표면(160) 또는 상기 제2표면(170)의 가장자리(172) 부위에 각각 형성되는 적절하다.That is, in the embodiment of FIG. 8 , the
한편, 도 7, 도 8에서는 접착홈부(100)가 제2표면(170)의 양측 가장자리(172)에 각각 구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양측 가장자리(172)의 어느 한쪽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Meanwhile, in FIGS. 7 and 8 , the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홈부(100)가 형성된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홈부(100)는 상기 제2프리즘(17)의 제1표면(160)에 형성될 수 있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wearable display device in which the
이때, 상기 접착홈부(100)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경우 즉, 그 길이방향이 상기 제2표면(170)의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폐쇄되는 연속된 홈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1프리즘(16)과 제2프리즘(17)을 용이하게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즉, 제1프리즘(16)과 제2프리즘(17)을 서로 접촉시킨 후 접착홈부(100)의 개방된 개구에 접착제를 유입시키고, 유입된 접착제가 경화되면 제1프리즘(16)과 제2프리즘(17)은 접착제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구의 반대쪽은 폐쇄된 상태이므로 접착홈에 유입된 접착제는 상기 개구의 반대쪽으로 유출될 우려가 없다.That is, after the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착홈부(100)가 형성된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착홈부(100)가 형성된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ion of a wearable display device in which a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홈부(100)는 상기 제1프리즘(16)의 제1표면(160)에 형성될 수 있고, 그 구체적인 형상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 경우에도 도 9의 실시예에서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접착홈부(10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경우 접착제를 사용하여 제1프리즘(16)과 제2프리즘(17)을 용이하게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 the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홈부(100)는, 상기 제1프리즘(16) 및 상기 제2프리즘(17) 각각에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접착홈부(100)는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접착홈부(100)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경우 접착제를 사용하여 제1프리즘(16)과 제2프리즘(17)을 용이하게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11, the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형상으로 상기 접착홈부(100)가 형성되는 경우에도 상기 복수의 홈들 특히, 도 8의 경우 제1접착홈부(100-1)와 제2접착홈부(100-2)는 상기 제1프리즘(16) 및 상기 제2프리즘(17) 각각에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접착홈부(100)는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이때, 상기 각 도면에서 상기 접착홈부(100)의 단면은 일측이 개방된 사각형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단면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접착홈부(100)의 단면은 일측이 개방된 사각형 형상 이외에 V자형, 곡선형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lthough the cross-section of the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홈부(100)가 양측이 폐쇄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접착홈부(100)는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7 , when the
실시예에서, 제1프리즘 또는 제2프리즘의 표면에 접착홈부가 형성됨으로 인해 제1프리즘과 제2프리즘 서로를 용이하고 견고하게 접착제로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n embodiment, since the adhesive groov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prism or the second prism,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irst prism and the second prism can be easily and firmly bonded to each other with an adhesive.
또한, 상기 접착홈부는 접착제가 광경로를 형성하거나 전반사가 일어나는 제1프리즘과 제2프리즘이 서로 결합하는 각각의 표면의 중앙부로 흘러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크린 해상도, 선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adhesive groove portion prevents the adhesive from flowing into the central portion of each surface where the first prism and the second prism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n optical path or to improve the screen resolution and sharpness of the wearable display device. can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에는 사용자가 안구(E)를 통해 볼 수 있는 영상이 구현될 수 있다.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은 상기 제2프리즘(17)의 제2표면(170)의 중앙부(171)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표면(170)의 가장자리(172) 부위에는 접착홈부(100)가 형성되고, 접착홈부(100)에 접착제가 유입되어 경화되어 제1프리즘(16)과 제2프리즘(17)은 서로 결합하고, 상기 제2표면(170)의 중앙부(171)에서 상기 안구(E)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구현하는 입사광이 전반사되어 상기 안구(E)에 도달한다.The
따라서, 전반사 부위인 상기 제2표면(170)의 중앙부(171)에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표면(160)과 상기 제2표면(170)의 결합부위의 중앙부(171)에는 상기 제2표면(170)의 중앙부(171)에 전반사가 뚜렷하게 발생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의 해상도, 화질 등을 높이기 위해 공간(S)이 형성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Although only a few have been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in relation to the embodiments, various other forms of implementation are possible.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combined in various forms unless they are incompatible with each other, and may be implemented in a new embodiment through this.
16: 제1프리즘
17: 제2프리즘
100: 접착홈부
160: 제1표면
161: 제1표면의 중앙부
162: 제1표면의 가장자리
170: 제2표면
171: 제2표면의 중앙부
172: 제2표면의 가장자리
200: 디스플레이 스크린16: first prism
17: second prism
100: adhesive groove
160: first surface
161: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surface
162: edge of the first surface
170: second surface
171: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surface
172: edge of the second surface
200: display screen
Claims (13)
상기 제1 프리즘과 결합하는 제2 프리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리즘의 제1 표면과 상기 제2 프리즘의 제2 표면은 서로 결합되고,
상기 제1 프리즘의 상기 제1 표면 및 상기 제2 프리즘의 상기 제2 표면 중 적어도 하나의 가장 자리 부위에는 접착제가 유입되는 접착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착 홈부는 길이 방향이 상기 제1 표면 또는 상기 제2 표면의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1 표면 또는 상기 제2 표면에 서로 연통되지 않는 복수의 홈들로 형성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a first prism for controlling the path of the incident light; and
and a second prism coupled to the first prism,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prism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second prism are coupled to each other;
An adhesive groove into which an adhesive is introduced is formed in an edge port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prism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second prism;
The adhesive groove portion is a wearable display device in which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of a plurality of grooves that do no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first surface or the second surface formed in an inclined direction of the first surface or the second surface.
영상을 재생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재생된 영상을 형성하는 광을 투과시켜 상기 제1 프리즘으로 입사시키는 렌즈를 포함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According to claim 1,
a display unit for reproducing an image; and
and a lens that transmits light forming the image reproduced by the display unit and enters the first prism.
상기 접착 홈부는,
상기 제1 프리즘의 상기 제1 표면에 형성되는 제1 홈부 및 상기 제2 프리즘의 상기 제2 표면에 형성되는 제2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홈부와 상기 제2 홈부는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adhesive groove portion,
a first groove portion form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prism and a second groove portion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second prism, wherein the first groove portion and the second groove portion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earable display device.
상기 제2 프리즘의 상기 제2 표면으로 입사되는 입사광은 전반사되고,
상기 접착 홈부는 상기 제2 프리즘의 상기 제2 표면에서 상기 입사광의 전반사 부위를 회피하는 부위에 형성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According to claim 1,
Incident light incident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second prism is totally reflected,
The adhesive groove portion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second surface of the second prism that avoids a portion of total reflection of the incident light.
상기 제1 프리즘은 상기 렌즈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의 광 경로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안구에 조사하고,
상기 제2 프리즘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안구에 도달하는 실상의 왜곡을 줄이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prism is irradiated to the user's eye by adjusting the optical path of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lens,
The second prism is a wearable display device to reduce distortion of the real image reaching the eye of the user.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표면은 상기 입사광이 전반사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The wearable display device in which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re incli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incident light is totally reflected.
상기 복수의 홈들 중 적어도 하나의 홈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폐쇄되는 연속된 홈으로 형성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groove among the plurality of grooves,
A wearable display device formed as a continuous groove in which one side is op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is closed.
상기 접착 홈부는 단면이 일측이 개방된 사각형, V자형, 곡선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adhesive groove portion is a wearable display device in which a cross-section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a rectangular shape, a V shape, and a curved shape.
상기 제1 표면의 중앙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재생된 영상을 형성하는 광이 통과하는 영역이고,
상기 접착 홈부는 상기 제1 표면의 상기 중앙부 이외의 상기 제1 표면의 가장 자리 부위에 형성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A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surface is a region through which light forming an image reproduced by the display unit passes,
The adhesive groove portion is a wearable display device formed in an edge portion of the first surface other tha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surface.
상기 제2 표면의 중앙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재생된 영상을 형성하는 광이 전반사되는 영역이고,
상기 접착 홈부는 상기 제2 표면의 상기 중앙부 이외의 상기 제2 표면의 가장 자리 부위에 형성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surface is a region through which light forming an image reproduced by the display unit is totally reflected,
The adhesive groove portion is a wearable display device formed in an edge portion of the second surface other tha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surface.
상기 접착 홈부는 상기 제1 표면 및 상기 제2 표면 중 적어도 하나의 양측 가장 자리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adhesive groove portion is a wearable display device formed in at least one of both sides of the edg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1030A KR102398506B1 (en) | 2015-01-23 | 2015-01-23 | Wearable display apparatus |
PCT/KR2016/000432 WO2016117879A1 (en) | 2015-01-23 | 2016-01-15 | Wearable display device |
US15/545,649 US10488617B2 (en) | 2015-01-23 | 2016-01-15 | Wearable displa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1030A KR102398506B1 (en) | 2015-01-23 | 2015-01-23 | Wearable display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91007A KR20160091007A (en) | 2016-08-02 |
KR102398506B1 true KR102398506B1 (en) | 2022-05-17 |
Family
ID=56708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11030A KR102398506B1 (en) | 2015-01-23 | 2015-01-23 | Wearable display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98506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08935A (en) | 1999-08-05 | 2001-04-20 | Olympus Optical Co Ltd | Head mount type video display device |
JP2003057563A (en) | 2001-08-20 | 2003-02-26 | Canon Inc | Binocular |
JP2007171514A (en) * | 2005-12-21 | 2007-07-05 |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 Prism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rism unit |
JP2009134089A (en) * | 2007-11-30 | 2009-06-18 | Konica Minolta Holdings Inc | Image display device and head mount display |
WO2010035607A1 (en) * | 2008-09-26 | 2010-04-01 |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 Image display device, head-mounted display and head-up display |
JP2013076847A (en) | 2011-09-30 | 2013-04-25 | Seiko Epson Corp | Virtual image display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36109U (en) * | 1993-12-17 | 1995-07-04 |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 Bonding structure of optical components |
-
2015
- 2015-01-23 KR KR1020150011030A patent/KR10239850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08935A (en) | 1999-08-05 | 2001-04-20 | Olympus Optical Co Ltd | Head mount type video display device |
JP2003057563A (en) | 2001-08-20 | 2003-02-26 | Canon Inc | Binocular |
JP2007171514A (en) * | 2005-12-21 | 2007-07-05 |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 Prism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rism unit |
JP2009134089A (en) * | 2007-11-30 | 2009-06-18 | Konica Minolta Holdings Inc | Image display device and head mount display |
WO2010035607A1 (en) * | 2008-09-26 | 2010-04-01 |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 Image display device, head-mounted display and head-up display |
JP2013076847A (en) | 2011-09-30 | 2013-04-25 | Seiko Epson Corp | Virtual image display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91007A (en) | 2016-08-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788809B1 (en) | Compact illumination module for head mounted display | |
EP2740004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 near-to-eye display | |
US8867139B2 (en) | Dual axis internal optical beam tilt for eyepiece of an HMD | |
CN107870438B (en) | Device, light engine component and the method for augmented reality | |
US8760765B2 (en) | Optical beam tilt for offset head mounted display | |
US8760762B1 (en) | Image waveguide utilizing two mirrored or polarized surfaces | |
US9081182B2 (en) | Virtual image display apparatus | |
US8848289B2 (en) | Near-to-eye display with diffractive lens | |
US8471967B2 (en) | Eyepiece for near-to-eye display with multi-reflectors | |
US20160140767A1 (en) | Head-mounted display device | |
US10488617B2 (en) | Wearable display device | |
US8867131B1 (en) | Hybrid polarizing beam splitter | |
KR102656241B1 (en) | Holographic Display apparatus | |
KR102398506B1 (en) | Wearable display apparatus | |
US10634916B2 (en) | Wearable display device | |
TWI824355B (en) | Optical system and mixed reality apparatus | |
KR102451090B1 (en) | Wearable display apparatus | |
KR102596553B1 (en) | Wearable display apparatus | |
KR102346624B1 (en) | Wearable display apparatus | |
JP2017198741A (en) | Optical device | |
KR102344459B1 (en) | Wearable display apparatus | |
US10520738B2 (en) | Optical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