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410B1 - 인공지능 기반의 지방의원의 의정활동 지원 장치,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기반의 지방의원의 의정활동 지원 장치,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96410B1 KR102596410B1 KR1020220132041A KR20220132041A KR102596410B1 KR 102596410 B1 KR102596410 B1 KR 102596410B1 KR 1020220132041 A KR1020220132041 A KR 1020220132041A KR 20220132041 A KR20220132041 A KR 20220132041A KR 102596410 B1 KR102596410 B1 KR 1025964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al
- information
- meeting
- council
- bill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58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17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7
- 238000007405 data analysi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3480 data coll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5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5
- 230000002996 emo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4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451 e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528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801 machine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193 craw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062 neural network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1218 seg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19 statis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50 audi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22 calculation algorith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3 computer appl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136 deep learning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06 recurr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9 supple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97 syste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85 targe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6—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social or collaborative filter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지방의원의 의정활동 지원 장치에 관한 것이며, 지방의원의 의정활동 지원 장치는 자치법령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자동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수집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자치법령 관련 정보에 대해 빅데이터 분석과 패턴 분석을 수행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된 결과를 기반으로, 지방의원의 의정활동 지원을 위한 지원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지방의원이 소지한 지방의원 단말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치법령 관련 정보는, 지방의회와 국회 각각의 의정정보, 법률정보, 정책 정보, 및 의원현황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의정정보는, 조례안 정보 및 회의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방의원의 의정활동 지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인공지능 기반의 지방의원의 의정활동 지원 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국회의원과 지방의원은 의회에서 활동하고 지역을 활동한다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각 의회의 주체 관점에서 결정적 차이가 있다.
국회는 국가 단위로 운영되는 의회, 지방의회는 각 지역(광역·기초단체) 단위의 의회를 의미한다. 국가 단위에서는 대통령 등 행정부가 정책을 집행하고, 국회의원들이 법률 제정·예산안 처리 등을 도맡는 반면, 지역 단위에서는 시장 등의 지자체장이 정책을 집행하고, 지방의원들이 조례 제정 등의 역할을 맡는다.
다시 말해, 국회의원은 헌법에서 정하고 있는 입법부(국회)의 구성원으로서 국회의원 개개인이 입법권을 가지고 있는 헌법기관이며, 국회의원도 지역구를 가지고 있지만 이들은 모두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이라 할 수 있다.
반면, 지방의원(지방의회의원)은 대한민국 각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의회를 구성하고 있는 의원으로서, 세부적으로는 기초의회의원(지방 기초의원)과 광역의회의원(지방 광역의원)으로 나뉜다. 즉, 지방의원은 지방자치, 풀뿌리민주주의의 구성원으로서, 지방 기초의원은 시·군·구에 소속되고, 지방 광역의원은 광역시·도의회에 소속되어, 해당 지역들의 자치예산 및 조례에 대한 개정 권한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지방의원은, 국회의원과 달리 지원되는 보좌진이나 운전기사가 없어서 의원 본인이 모든 업무를 다 해야 하며, 또한 실비보전 성격의 교통비나 출장비 외의 수당 지급이 없다. 이처럼, 국회(국회의원)와 달리 지방의원은 보좌진이 없고, 국회사무처, 예산정책처, 입법조사처와 같은 전문적으로 의정활동을 지원할 상시조직이 없기 때문에, 지방의원의 의정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14873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국회와 달리 보좌진이 없고, 국회사무처, 예산정책처, 입법조사처와 같은 전문적으로 의정활동을 지원할 상시조직이 없는 지방의원(지방의회의원)들의 의정활동을 지원하는 AI 보좌관(AI Aides) 역할을 수행하는 지방의원의 의정활동 지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의원의 의정활동 지원 장치는, 자치법령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자동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수집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자치법령 관련 정보에 대해 빅데이터 분석과 패턴 분석을 수행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된 결과를 기반으로, 지방의원의 의정활동 지원을 위한 지원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지방의원이 소지한 지방의원 단말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치법령 관련 정보는, 지방의회와 국회 각각의 의정정보, 법률정보, 정책 정보, 및 의원현황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의정정보는, 조례안 정보 및 회의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자치법령 관련 정보 중 지방의회의 조례안 정보의 내용으로부터 의안이슈 키워드를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부; 상기 추출된 의안이슈 키워드와 관련된 소셜 데이터를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집하여 소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소셜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소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소셜 데이터에 대해 감성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소셜 데이터에 대응하는 감성분석 데이터를 의안이슈 키워드에 대한 여론 정보로서 도출하는 감성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방의원 단말에서 조례 발의 아이디어 제공에 관한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의안이슈 키워드에 대한 여론 정보를 고려하여 생성된 신규 조례 발의 데이터를 상기 지원 정보로서 상기 지방의원 단말의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자치법령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지방의회의 의원으로 활동중인 복수의 지방의원 각각의 지역구 내 평판 분석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방의원 단말에서 상기 복수의 지방의원 중 어느 한 지방의원의 선택 후 평판 정보 제공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평판 정보 제공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된 상기 어느 한 지방의원의 지역구 내 평판 분석 결과 정보를 상기 지원 정보로서 상기 지방의원 단말의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의원의 의정활동 지원 장치는, 의안과 관련하여 진행되는 회의의 내용을 실시간으로 획득함으로써 상기 회의의 내용에 대응하는 회의 기록 데이터가 포함된 회의록 파일을 생성하는 실시간 회의록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방의원 단말에서 회의메모기능 제공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실시간 회의록 생성부에 의해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상기 지방의원이 참석한 회의의 내용에 대응하는 현재 회의 기록 데이터가 상기 지방의원 단말의 화면에 실시간으로 노출되도록 하되, 상기 현재 회의 기록 데이터가 상기 화면에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지방의원으로부터 메모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 상기 메모 데이터와 상기 현재 회의 기록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생성된 메모 반영 회의록 파일을 상기 지원 정보로서 상기 지방의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지방의원의 의정활동 지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국회와 달리 보좌진이 없고, 국회사무처, 예산정책처, 입법조사처와 같은 전문적으로 의정활동을 지원할 상시조직이 없는 지방의원(지방의회의원)들의 의정활동을 효과적이고 적극적으로 지원하여, 지방의원들로 하여금 원활한 의정활동을 수행 가능하도록 하고, 지방의원의 의정활동에 대한 AI 보좌관(AI Aides)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의원의 의정활동 지원 장치를 포함하는 지방의원 의정활동 지원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의원의 의정활동 지원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의원의 의정활동 지원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의원의 의정활동 지원 장치(10)를 포함하는 지방의원 의정활동 지원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의원의 의정활동 지원 장치(10)를 본 장치(10)라 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의원 의정활동 지원 시스템(100)을 본 시스템(100)이라 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100) 및 본 장치(10)는, 국회(국회의원)와 달리 지방의원(지방의회의원)들의 경우 보좌진이 없고, 국회사무처, 예산정책처, 입법조사처와 같은 전문적으로 의정활동을 지원할 상시조직이 없음을 고려하여, 지방의원들의 의정활동을 지원하는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보좌관(비서관) 역할을 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시스템(100) 및 본 장치(10)는 지방의원의 의정활동을 지원하는 AI 보좌관(AI Aides) 시스템 및 장치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본 시스템(100) 및 본 장치(10)는, 주요 기능으로서 일예로 스케줄 관리, 뉴스 갈무리, 지역구 평판분석, 조례 발의 아이디어 제공, 의정자료 수집과 분석, 회의 메모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고, 이 뿐만 아니라 지방의원의 의정활동 지원을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시스템(100) 및 본 장치(10)는 전술한 다양한 기능들(스케줄 관리, 뉴스 갈무리, 지역구 평판분석, 조례 발의 아이디어 제공, 의정자료 수집과 분석, 회의 메모 기능)과 관련된 정보를 지방의원(31)의 의정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지원 정보로서 지방의원 단말(30)로 제공할 수 있다.
본 시스템(100)은 본 장치(10) 및 지방의원 단말(30)을 포함할 수 있다. 지방의원 단말(30)은 지방의원(31)이 소지한 단말로서, 본 발명에서 단말 등의 용어로 달리 지칭될 수도 있다. 지방의원 단말(30)은 일예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 노트북, 웨어러블 디바이스, 데스크탑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방의원(31)은 본 장치(10)를 이용하는 사용자로서, 지방의회의원, 의원, 서비스 이용자, 고객, 회원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지방의원(31)은 대한민국 각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의회를 구성하고 있는 의원으로서, 기초의회의원(지방 기초의원) 및 광역의회의원(지방 광역의원)을 포함할 수 있다. 기초의회의원은 시, 군, 구에 소속된 의원을 의미하고, 광역의회의원은 광역시, 도의회에 소속된 의원을 의미할 수 있다. 지방의원(31)은 각 지역들의 자치예산, 조례에 대한 개정 등의 권한을 가질 수 있다. 지방의원(31)의 역할, 권한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에서 생략하기로 하며, 통상 지방의원이 가지는 역할, 권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장치(10)는 지방의원 단말(30)과 네트워크(20)를 통해 연동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지방의원 단말(30)의 작동(일예로 화면 표시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네트워크(20)는 일예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다양한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일예에서는, 본 장치(10)가 하나의 지방의원(31)이 소지한 하나의 지방의원 단말(30)과 네트워크(20)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본 장치(10)는 복수의 지방의원 각각이 소지한 복수개의 지방의원 단말 각각과 네트워크(20)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지방의원 단말(30)(또는 지방의원(31))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복수개의 지방의원 단말(또는 복수의 지방의원) 각각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일예로 본 장치(10)는 지방의원 단말(30)에 포함된 장치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장치(10)는 지방의원 단말(30)에 설치되는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어플, 앱)의 형태로 구현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달리 말해, 본 장치(10)를 통해 제공되는 지방의원의 의정활동 지원 방법은 일예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되어 지방의원 단말(30)을 통해 지방의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일예로 본 장치(10)는 지방의원 단말(30)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서버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서버의 형태로 마련된 본 장치(10)는,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한 지방의원(31)의 단말(즉, 지방의원 단말(30))의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한 설명에서는 본 장치(10)가 일예로 서버의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이러한 경우 본 장치(10)는 서버, 지방의원의 의정활동 지원 서버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어플, 앱)은 지방의원의 의정활동 지원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이하 설명의 편의상 본 앱이라 하기로 한다. 본 장치(10)는 본 앱의 제공을 통해 지방의원의 의정활동 지원을 위한 플랫폼(본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장치(10)는 지방의원(31)의 의정활동 지원과 관련된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본 장치(10)를 이용하는 지방의원(31)이 소지한 지방의원 단말(3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방의원(31)은 본 장치(10)를 통해 의정활동에 필요한 각종 지원(즉, 상술한 각종 기능과 관련된 서비스로서, 스케줄 관리, 뉴스 갈무리, 지역구 평판분석, 조례 발의 아이디어 제공, 의정자료 수집과 분석, 회의 메모 기능 등의 서비스에 대한 지원)을 받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원활한 의정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장치(1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본 장치(10)는 수집부(11), 분석부(12), 제어부(13), 데이터베이스부(14) 및 실시간 회의록 생성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집부(11)는 조례(조례안) 등의 자치법령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자동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부(14)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자치법령 관련 정보는 지방의회와 국회 각각의 의정정보(즉, 지방의회의 의정정보, 국회의 의정정보), 법률정보, 정책 정보, 및 의원현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치법령 관련 정보는 회의 일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법률정보는 지방자치법규 정보, 국회법률정보, 법률문헌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책정보는 지방정책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의원현황 정보는 국회의원 현황정보, 지방의회 의원(즉, 지방의원) 현황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의정정보(즉, 지방의회의 의정정보, 국회의 의정정보)는 의안 정보 및 회의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자치법령 관련 정보는 지방의회의 의안 정보(특히, 조례안 등의 정보)와 회의록 정보, 국회의 의안 정보와 회의록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지방의회(지방의원)도 조례 입안(입법) 권한이 있다.
전술한 자치법령 관련 정보에 포함된 정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국회 및 지방의회의 안팎에서 생성되는 입법(입법 및 정책)과 관련된 각종 정보(즉, 의안, 인물, 보고서, 입법예고, 국정감사, 일정, 회의록, 의사중계 등에 관한 각종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수집부(11)는 국회지방의회 의정정보시스템, 국회 의안정보 시스템, 및 각 지방의회 홈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자치법령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자동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부(14)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출원일 현재를 기준으로, 국회지방의회 의정정보시스템의 URL은 'https://clik.nanet.go.kr/index.do'와 같고, 국회 의안정보 시스템의 URL은 '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와 같을 수 있다.
국회 의안정보 시스템의 사이트에는 의안종류, 처리여부(처리/계류), 발의자나 제안자의 성명, 의안번호, 의안명, 제안대수(국회가 몇 대 국회인지)를 선택해 의안을 검색할 수 있으며, 최근 본회의 처리의안의 리스트와 그 내용(의안원문), 최근 접수된 의안의 리스트와 그 내용, 본회의부의안건과 그 내용 등을 각각 공시하고 있으며, 수집부(11)는 이들 정보를 수집해 데이터베이스부(14)에 저장할 수 있다. 국회의 의안(의안 정보)은 일예로 법률안(법률안 정보)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지방의회의 의안(의안 정보)이라 함은 일예로 조례안 정보를 지칭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국회지방의회 의정정보시스템의 사이트에는 국회의 의정정보 뿐만 아니라, 지방의회의 의정정보와 관련하여 광역시도의회의 유형, 기초의회의 유형, 의안종류, 의안상태, 대수, 제안일 등을 선택해 접수된 의안(접수된 의안의 리스트와 그 내용 등)을 검색할 수 있으며, 수집부(11)는 이들 정보를 수집해 데이터베이스부(14)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기초의회의 유형(즉, 의회의 유형)에는 시, 군, 자치구의회의의의 유형이 포함되고, 의안종류는 전체, 조례안, 예산안/결산안, 동의/승인안, 건의안, 결의안, 규칙/규정안, 규약안, 계획안, 의견청취안, 요구안, 청원, 기타 등을 포함하고, 의안상태는 전체, 접수, 가결(원안), 가결(수정), 가결(대안), 의결(원안), 의결(수정), 상정, 미상정, 승인, 동의, 채택, 부결(폐기), 폐기, 철회, 기타(처리), 보류, 재회부, 미처리(계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방의회의 의안의 내용에는 제공기관, 대수, 의안번호, 제안일, 제안회기, 의안종류, 제안자, 소관위원회정보, 본회의정보, 첨부파일, 제어번호 등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수집부(11)는 오픈 API를 이용하여 국회지방의회 의정정보시스템, 국회 의안정보 시스템, 및 각 지방의회 홈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자치법령 관련 정보(즉, 국회의 의안 정보, 지방의회의 의안 정보 등)를 검색하여 실시간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부(14)에 저장할 수 있다. 수집부(11)는 국회 및 지방의회에 제출된 의안(의안 정보)를 일예로 오픈 API를 이용해 실시간으로 자동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부(14)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수집부(11)는 자치법령 관련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국회지방의회 의정정보시스템, 국회 의안정보 시스템, 및 각 지방의회 홈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해 오픈 API를 사용할 수 있는데 그 중 웹크롤러(Web Crawler)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웹 크롤러란 조직적, 자동화된 방법으로 월드 와이드 웹을 탐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웹 크롤러가 하는 작업을 웹크롤링(WebCrawling) 혹은 스파이더링(Spidering)이라 부르며 봇이나 소프트웨어 에이전트의 한 형태이다. 웹 크롤러는 크게 일반 웹크롤러와 분산 웹 크롤러가 있다. 웹 크롤러의 기본 동작을 설명하면, 우선 URL 프론티어(Frontier) 모듈에서 URL을 가져와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해 해당 URL의 웹 페이지를 가져오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런 다음 패치(Fetch) 모듈에서 임시 저장소에 웹 페이지를 저장하고, 파서(Parser) 모듈에서 텍스트와 링크를 추출을 하고 텍스트는 인덱서(Indexer)에 보내진다. 링크의 경우는 URL 프론티어에 추가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Content Seen, URL Filter, Duplication URL Element 모듈들을 거치면서 판단하게 된다. 이때, 웹 문서를 전부를 일반 웹 크롤러로 크롤링 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분산 웹 크롤러를 더 사용할 수 있다.
분산 웹 크롤러는 크게 2가지로 나누어지는데 그 중 하나가 중앙 집중식(Centralized)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P2P(or Fully-Distributed) 방식이다. 중앙 집중식 분산 웹 크롤러는 URL 매니저가 서버와 같은 역을 수행하고, 크롤러가 클라이언트 역을 하는 구조이다. 크롤러에서 문서를 다운로드 받고 아웃링크(OutLink) URL을 추출하여 URL 매니저에게 넘겨주면 URL 매니저는 다운로드 받은 문서의 URL인지 검사하여 URL 중복을 제거를 한다. 즉 일반 웹 크롤러에서 URL 중복과 URL 관리를 하는 부분을 URL 매니저가 대신 해 주는 것이다. 한편, P2P 방식은 각 Crawler가 완전 독립적인 구조를 가진다. P2P 방식은 각각의 크롤러가 일반 웹 크롤러처럼 동작을 한다. 각각의 크롤러는 문서를 다운로드 받고 OutLink URL을추출하고 URL 중복제거까지 모두 각각의 크롤러가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크롤러에서 관리하는 다운로드 받은 URL 목록은 서로 배타적이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서로 다른 크롤러에서 같은 문서를 다운로드 받는 현상이 발생할 것이다. 이것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각각의 크롤러는 다운로드 받을 URL 도메인(Domain)을 서로 배타적으로 나눠서 관리할 수 있다. 즉, 자신이 다운로드 도메인에 속하는 것만 관리하고 나머지 URL은 다른 크롤러에게 넘기는 방법인데,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각각의 크롤러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그 다음은 웹 콘텐츠를 추출해야 하는데, 웹 콘텐츠 추출 기술은 웹 문서로부터 정보 분석에 활용될 콘텐츠인 리셀 상품의 상품명, 작성자, 게시일, 본문, 본문 내 상세정보 등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웹 콘텐츠 추출 시스템은 콘텐츠를 추출하는 규칙을 자동 생산해 콘텐츠만을 추출하는 장치로 콘텐츠 추출 규칙을 자동 생성하는 규칙 생성기(Rule Generator), 주어진 웹 문서에서 내비게이션 콘텐츠를 제거하는 네비게이션 콘텐츠 제거기(Navigation Content Eliminator), 콘텐츠 추출 규칙 키워드 유사도 비교를 통해 콘텐츠를 추출하는 콘텐츠 추출기(Core Context Extractor)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크롤링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간 자료(자치법령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것도 가능하며 나열된 것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열거되지 않은 이유로 배제되지 않는다.
데이터베이스부(14)에는 수집된 자치법령 관련 정보와 관련해, 단 한번의 검색만으로 '의안-인물-위원회-회의록-보고서-일정 정보'가 연계된 연계 정보를 쳬계적으로 검색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수집된 자치법령 관련 정보들이 전처리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데이터베이스부(14)에는 특정 기준을 따라 검색 가능하도록 자치법령 관련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4)는 지능형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으며, 수집부(11)에서 수집된 자치법령 관련 정보를 소정의 데이터 셋(data set)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셋은 회의록을 활용하기 쉽도록 일예로 안건, 발언 내용, 주요 키워드 등의 형태로 구조화한 데이터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셋 및 데이터베이스부(14)는 기계적 처리(machine readable)이 가능한 구조화된 데이터 집합으로서, 패턴 처리는 물론 빅데이터(big data) 분석이나 인공지능 학습이 가능하도록 가공된 데이터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데이터베이스부(14) 및 데이터 셋은 다양한 기계적 분석과 기계 학습 등이 가능함을 의미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4)와 데이터 셋은 서로 동일한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분석부(12)는, 데이터베이스부(14)에 저장된 자치법령 관련 정보에 대해 빅데이터 분석과 패턴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일예로, 분석부(12)는 데이터베이스부(14)(즉, 데이터 셋)을 파싱(parsing)하여 분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분석부(12)는 각 의안 정보(즉, 지방의회의 의안 정보나 국회의 의안 정보)와 관련하여, 각 의안 정보 별로 각 의안 심사 단계의 통과 여부, 각 의안 심사 단계의 계류 기간, 각 국회상임위원회의 의안 개수, 공포 법률의 개수, 각 의원(국회의원 또는 지방의원)의 의안 개수, 의안의 카테고리와 종류, 키워드 등을 기간, 소속 정당, 기초의회의 유형(즉, 의회의 유형)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석하고 통계 처리를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분석부(12)는 키워드 추출부(12a), 소셜 데이터 수집부(12b) 및 감성 분석부(12c)를 포함할 수 있다.
키워드 추출부(12a)는, 데이터베이스부(14)에 저장된 자치법령 관련 정보 중 지방의회의 조례안 정보의 내용으로부터 의안이슈 키워드(즉, 조례안의 이슈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소셜 데이터 수집부(12b)는, 키워드 추출부(12a)에서 추출된 의안이슈 키워드와 관련된 소셜 데이터를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제공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집하여 소셜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감성 분석부(12c)는, 소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소셜 데이터에 대해 감성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소셜 데이터에 대응하는 감성분석 데이터를 의안이슈 키워드에 대한 여론 정보로서 도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키워드 추출부(12a)는 데이터베이스부(14)에 저장된 의안 정보(특히, 자치법령 관련 정보 중 지방의회의 조례안 정보)의 내용(주요내용)으로부터 의안이슈 키워드(keyword)(조례안의 이슈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키워드 추출부(12a)는 데이터베이스부(14)에 저장된 복수의 의안 정보(국회의 의안 정보 및 지방의회의 의안 정보를 포함한 복수의 의안 정보) 각각에 대하여 의안이슈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의안이슈 키워드는 해당 의안(의안 정보)이 어떠한 주제와 관련된 의안(안건)인지를 나타내는 키워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해당 의안을 대표하는 대표 키워드, 주제 키워드 등이라 달리 지칭될 수 있다. 키워드 추출부(12a)는 일예로 의안 정보 내 특히 대안의 주요내용이나 제안이유 항목에 적힌 데이터에 대하여, 종래에 기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데이터 분석 기술(일예로, 의미론적 분석, 키워드별 빈도수 분석 등)을 적용함으로써, 의안 정보에 대응하는 의안이슈 키워드(대표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키워드 추출부(12a)는 의안 정보 각각마다, 적어도 하나의 의안이슈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복수의 의안 정보 중 제1 의안 정보가 지방의회의 의안 정보(특히, 조례안 정보)이고, 제1 의안 정보의 내용(주요내용으로서, 일예로 제목)이 '충청남도 산업단지 개발 지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과 관련된 내용인 경우, 제1 의안 정보에 대응하는 의안이슈 키워드는 일예로 '산업단지', '산업단지 개발' 등과 같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의안 정보(즉, 제2 조례안 정보)의 주요내용이 '인천광역시교육청 심리적 위기학생 지원 조례안' 관련 내용인 경우, 제2 의안 정보에 대응하는 의안이슈 키워드에는 일예로 '심리', '심리적 위기', 학생 지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소셜 데이터 수집부(12b)는, 키워드 추출부(12a)에서 추출된 의안이슈 키워드와 관련된 소셜 데이터(즉, 의안이슈 키워드 관련 소셜 데이터)를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제공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집하여 소셜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소셜 데이터 수집부(12b)는 복수의 의안 정보 각각에 대하여, 각 의안 정보에서 추출된 의안이슈 키워드와 관련된 소셜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실시간으로 자동수집하여 본 장치(10) 내 소셜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으며, 수집된 소셜 데이터를 그와 관련된 의안 정보의 고유번호와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제공 서버(미도시)는 미디어, 콘텐츠 등의 정보(데이터)를 업로드하여 사용자들 간 정보 공유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포털사이트의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제공 서버(미도시)는 네이버, 구글, 다음, 페이스북, 트위터, 싸이월드 등의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소셜 데이터는 이러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제공 서버 상에 존재하는 미디어, 콘텐츠 등의 각종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일예로 뉴스, SNS(SNS 게시글), 블로그, 커뮤니티(커뮤니티 게시글) 등의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으로, 키워드 추출부(12a)가 제2 의안 정보에 대응하는 의안이슈 키워드로서 '심리', '심리적 위기', 학생 지원'를 포함해 3개의 의안이슈 키워드를 추출했다고 하자. 이 경우, 소셜 데이터 수집부(12b)는, '심리', '심리적 위기', 학생 지원' 각각과 관련된 복수개의 소셜 데이터를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제공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집하여 제2 의안 정보의 고유번호와 매칭시켜 소셜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소셜 데이터 수집부(12b)는 3개의 의안이슈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의 의안이슈 키워드를 포함하고 있는 모든 각종 소셜 데이터를 수집하여 소셜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감성 분석부(12c)는 소셜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된 소셜 데이터에 대하여 감성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소셜 데이터에 대응하는 감성분석 데이터를 의안이슈 키워드에 대한 여론 정보로서 도출할 수 있다. 감성 분석부(12c)는 소셜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된 의안 정보별 복수의 소셜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감성분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셜 데이터마다 감성분석 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다.
감성 분석부(12c)는 소셜 데이터(이는 복수개의 소셜 데이터 중 어느 한 소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음)의 텍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감성분석을 수행하여, 소셜 데이터에 대응하는 감성분석 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감성분석 데이터는 소셜 데이터의 텍스트 정보에 해당하는 의견에 대한 감성 분석의 수행 결과로서, 이는 소셜 데이터에 대응하는 의안(의안 정보)에 대한 통과 의견인 긍정 의견(즉, 소셜 데이터에 관한 제출된 의안이 국회 또는 지방의회에서 통과할 것이라 생각하는 긍정적 의견) 또는 의안에 대한 불통과 의견인 부정 의견(즉, 소셜 데이터에 관한 제출된 의안이 국회 또는 지방의회에서 통과하지 못할 것이라 생각하는 부정적 의견)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감성 분석부(12c)에 의해 도출된 감성분석 데이터(즉, 소셜 데이터에 대응하는 감성분석 데이터)는, 통과 의견 또는 불통과 의견으로 구분되는 정보임에 따라, 소셜 데이터와 관련 있는 의안이 국회에 제출된 이후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국회에 제출된 의안과 관련하여 형성(생성)되는 여론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즉, 감성 분석부(12c)에 의해 도출된 감성분석 데이터는, 국회 또는 지방의회에 의안이 제출된 이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국회 또는 지방의회에 제출된 의안의 통과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의 파라미터(여론 정보)로서 활용(고려)될 수 있다.
감성 분석부(12c)는 추출된 의안이슈 키워드와 관련하여 실시간으로 수집된 복수개의 소셜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감성분석 데이터를 도출함으로써, 도출된 감성분석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출된 의안(소셜 데이터 관련 의안)을 둘러싼 여론의 변화 정보(여론의 변화 추이 정보)를 판단(분석) 가능할 수 있다.
감성 분석부(12c)는 소셜 데이터의 텍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감성분석을 수행하여 소셜 데이터에 대응하는 감성분석 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다.
소셜 데이터가 뉴스 기사인 경우로 예를 들면, 감성 분석부(12c)는 소설 데이터(일예로 뉴스 기사) 내 텍스트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텍스트 정보(이는 한국어 뿐만 아니라 외국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바, 다국어 텍스트일 수 있음)를 언어별로 분리한 다음 감성분석을 진행하고, 극성치를 종합하는 다중언어 감성분석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감성 분석부(12c)는 입력받은 언어 별로 문장을 분리하는(Segmentation) 과정을 거쳐 일본어, 중국어, 한국어 및 영어 단어 즉, 단어를 단위로 나누어 저장한다. 예를 들어, 한국어 형태소 분석기 Rhino 1.0을 사용할 수 있고, 중국어 Segmentation Tool로는 Jieba를 사용할 수 있으며, 중국어 형태소 분석기로는 Stanford POS Tagger 중 Chinese Stanford Tagger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감성 분석부(12c)는 4 개국 단어를 형태소 분석기에 돌려 입력 받은 4 개국 문장에 포함된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의 개수를 센다. 또한 단어 단위로 저장한 4 개국어를 4 개국 감성사전을 통해 4 개국어의 감성점수를 구한다. 그 외에 댓글이나 코멘트에 많이 등장하는 이모티콘도 감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중언어 감성분석에 추가할 수 있다. 이모티콘 감성사전은 Emoji Sentiment Ranking 1.0을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4 개 국어 및 이모티콘의 감성점수 그리고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어근 및 감성 이모티콘의 개수를 통해 전체 다중언어의 감성점수를 구하게 된다.
다중언어 감성분석 프로세스의 구체적인 과정은 일예로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다중언어 감성분석을 위한 기법은 크게 3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우선 감성 분석부(12c)는 감성분석을 하고자 하는 문장을 입력받으면 그 문장을 단어 단위로 쪼갠 후 형태소 분석기를 통해 각 단어의 형태소를 판단하고, 형태소 중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의 개수를 센다. 특히 감성 분석부(12c)는 한글의 경우 단어구성이 중국어를 포함한 4개국어와 다르기 때문에 한글은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외에 어근도 추가하여 센다. 또한 감성 분석부(12c)는 이모티콘의 감성값이 긍정 혹은 부정이면 이모티콘의 개수를 센다. 이때, 한국어와 중국어의 경우를 예로 들면, 한국어는 ΣWk, 중국어는 ΣWc, 이모티콘은 ΣEc라고 표현될 수 있다.
감성 분석부(12c)는 두 번째 단계에서 감성사전을 통한 감성분석을 진행할 수 있다. 만약 분리된 단어가 감성사전에 속해 있는 단어이면, 감성사전 중의 감성점수로 그 단어의 감성값을 반영한다. 이를 수학식 1 및 수학식 2로 표현할 수 있다. Sj는 특정 단어의 감성점수, Wj는 다중 언어로 구성된 구절을 Segmentation과정을 거쳐서 얻은 특정단어이며 SDW는 감성사전에 포함되어 있는 감성단어이다. 특히 수학식 2는 특정단어가 감성사전 속 단어에 포함되어 있지 않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로 이럴 때에는 특정단어의 감성점수 Sj값은 0이 된다
[수학식 1]
[수학식 2]
감성 분석부(12c)는 마지막으로 언어별로 얻은 총 감성점수를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어근(한국어의 경우에만 해당) 및 긍정 및 부정 감성값이 존재하는 이모티콘 개수(이모티콘의 경우에만 해당)의 합으로 나눈 후 나온 결과와 각 언어에서 할당된 가중치를 반영하여 최종 얻고자 하는 다중언어 감성점수를 구하게 된다. 이것을 수학식 3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Wc는 중국어가 전체 다중언어에 차지하는 가중치, Wk는 한국어가 차지하는 가중치이며 We는 이모티콘이 차지하는 가중치이다. Sc는 감성분석을 하고자 하는 모든 중국어의 감성점수 Sj의 합이고, Sk는 중국어와 마찬가지로 모든 한국어 감성점수 Sj의 합이며, Se는 모든 이모티콘의 감성점수 Sj의 합이다. S는 다중언어의 감성점수이다.
[수학식 3]
즉, 감성 분석부(12c)는 상술한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수학식 3으로부터 S를 도출함으로써, 소셜 데이터에 대응하는 감성분석 데이터(감성점수)를 도출할 수 있다. 도출된 감성분석 데이터 S에 의하면, 감성 분석부(12c)는 소셜 데이터 내 텍스트에 해당하는 의견이 긍정적인 감정(즉, 통과 의견)인지, 부정적인 감정(즉, 불통과 의견)인지를 도출(추출)해 낼 수 있다. 감성 분석부(12c)는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복수의 소셜 데이터들에 대하여 감성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그 감성분석 결과로부터 여론의 변화 추이 정보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감성 분석부(12c)는 데이터베이스부(14)에 저장된 복수개의 의안 정보 중 일예로 제2 의안 정보(즉, 제2 조례안 정보)와 관련하여, 제2 의안 정보에 대응하는 3개의 의안이슈 키워드(즉, '심리', '심리적 위기', 학생 지원') 각각과 관련된 실시간으로 수집된 복수개의 소셜 데이터 각각에 대해 감성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감성 분석부(12c)는 3개의 의안이슈 키워드 중 제1 의안이슈 키워드인 '심리'과 관련하여 수집된 복수개의 소셜 데이터 각각, 제2 의안이슈 키워드인 '심리적 위기'와 관련하여 수집된 복수개의 소셜 데이터 각각, 제3 의안이슈 키워드인 '학생 지원'과 관련하여 수집된 복수개의 소셜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감성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각 소셜 데이터마다의 감성분석 데이터(긍정인지 부정인지의 결과 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다.
이후, 감성 분석부(12c)는 제2 의안 정보와 관련하여 수집된 복수개의 소셜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도출된 감성분석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2 의안 정보에 대응하는 정량화된 여론 정보(즉, 여론 변화 정보, 여론 변화 추이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일예로, 정량화된 여론 정보는 복수개의 소셜 데이터의 전체 개수 중 긍정 의견과 부정 의견 각각이 차지하는 비율로 표현되는 정보일 수도 있고, 또는 긍정 의견(또는 부정 의견)의 퍼센트 정보로 표현되는 정보일 수도 있으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개의 소셜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도출된 감성분석 데이터의 종합 의견 결과를 나타낼 수 있는 정보의 표현 방식이라면 무엇이든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의안 정보와 관련해 100개의 소셜 데이터가 수집되고, 이 중 70%가 긍정 의견, 30%가 부정 의견인 경우, 정량화된 여론 정보는 '7:3', '70:30', '긍정 70%', '부정 30%' 등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제어부(13)는, 분석부(12)에서 분석된 결과를 기반으로, 지방의원(31)의 의정활동 지원을 위한 지원 정보를 생성하여 지방의원(31)이 소지한 지방의원 단말(30)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생성된 지원 정보를 지방의원 단말(3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지방의원 단말(30)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일예로 지방의원 단말(30)에서 조례 발의 아이디어 제공에 관한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분석부(12)에서 도출된 의안이슈 키워드에 대한 여론 정보를 고려하여 생성된 신규 조례 발의 데이터를 지원 정보로서 지방의원 단말(30)의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즉, 감성 분석부(12c)에 의해 복수개의 의안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여론 정보(특히, 정량화된 여론 정보)가 도출되면, 이후 제어부(13)는, 지방의원 단말(30)에서 조례 발의 아이디어 제공에 관한 요청이 이루어졌을 때, 그에 응답하여 도출된 여론 정보(복수개의 의안 정보 각각에 대한 여론 정보)를 고려하여 생성된 신규 조례 발의 데이터를 지원 정보로서 지방의원 단말(30)의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신규 조례 발의 데이터를 지원 정보로서 제공함으로써, 지방의원(31)에게 조례 발의 아이디어 제공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조례 발의 아이디어 제공에 관한 요청은, 일예로 제어부(13)에 의해 지방의원 단말(30)의 화면 일영역에 표시된 발의 아이디어 요청 버튼을 지방의원(31)이 클릭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신규 조례 발의 데이터는 일예로 인공지능 모델(AI)을 이용해 자동으로 생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신규 조례 발의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부(14)에 기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의안 정보 중 조례안에 대응하는 의안 정보(즉, 지방의회의 의안 정보 중 조례안과 관련된 의안 정보들)와 적어도 일부 다르게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신규 조례 발의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인공지능 모델은, 일예로 데이터베이스부(14)에 저장된 복수의 의안 정보, 각 의안 정보에 대응하여 추출된(키워드 추출부(12a)에 의해 추출된 의안이슈 키워드) 및 분석부(12)에서 도출된 의안이슈 키워드에 대한 여론 정보를 입력으로 하고, 신규 조례 발의를 위한 데이터(신규 조례 발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학습된 기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려되는 인공지능 모델은, 딥러닝 모델, 인공지능 알고리즘 모델, 기계학습(머신러닝) 모델, 신경망 모델(인공 신경망 모델), 뉴로 퍼지 모델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모델은, 예시적으로 컨볼루션 신경망(Convolution Neural Network, CNN, 합성곱 신경망), 순환신경망(RNN, Recurrent Neural Network), 딥 신경망(Deep Neural Network) 등 종래에 이미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신경망 모델이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일예에서는, 인공지능 모델이 조례 발의를 위한 데이터를 신규하게 생성하고 이를 제어부(13)가 지방의원 단말(30)로 제공하는 것으로 예시(즉, 제어부가 신규 조례 발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으로만 예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고려되는 인공지능 모델은, 조례 발의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의안 종류(일예로, 조례안 뿐만 아니라, 예산안/결산안, 동의/승인안, 건의안, 결의안, 규칙/규정안, 규약안, 계획안, 의견청취안, 요구안, 청원 등)에 해당하는 의안(안건)의 발의를 위한 데이터를 신규하게 생성하고, 이를 제어부(13)가 지방의원 단말(3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3)는 조례와 관련된 신규 발의 데이터(즉, 신규 조례 발의 데이터)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의안 종류(일예로, 조례안, 예산안, 결산안, 건의안, 결의안, 규약안, 계획안 등)과 관련된 신규 발의 데이터를 지방의원 단말(3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분석부(12)는, 데이터베이스부(14)에 저장된 자치법령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지방의회의 의원으로 활동중인 복수의 지방의원 각각의 지역구 내 평판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분석부(12)는 복수의 지방의원 각각의 지역구 내 평판 분석 결과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지방의원 각각의 지역구 내 평판 분석 결과 정보는, 일예로 자치법령 관련 정보 뿐만 아니라, 앞서 말한 빅데이터 분석의 수행에 의한 빅데이터 분석 결과 정보, 통계 분석을 통한 통계 분석 결과 정보, 분석부(12)에 의한 분석 결과 정보, 복수의 지방의원 각각과 관련하여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제공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집된 소셜 데이터(즉, 복수의 지방의원 관련 소셜 데이터로서, 기사, 블로그 등)를 토대로 감성 분석부(12c)에 의해 도출된 감성분석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함으로써 도출된 것일 수 있다.
제어부(13)는, 지방의원 단말(30)에서 복수의 지방의원 중 어느 한 지방의원의 선택 후 평판 정보 제공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평판 정보 제공 요청에 응답하여, 분석부(12)에서 분석된 상기 어느 한 지방의원의 지역구 내 평판 분석 결과 정보를 지원 정보로서 지방의원 단말(30)의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평판 정보 제공 요청은, 일예로 제어부(13)에 의해 지방의원 단말(30)의 화면 일영역에 표시된 평판 정보 제공 요청 버튼을 지방의원(31)이 클릭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3)는 지역구 내 평판 분석 결과 정보를 지원 정보로서 제공함으로써, 지방의원(31)에게 지역구 평판분석 제공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간 회의록 생성부(15)는 의안과 관련하여 진행되는 회의의 내용을 실시간으로 획득함으로써 상기 회의의 내용에 대응하는 회의 기록 데이터가 포함된 회의록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회의의 내용이라 함은 회의의 진행중에, 회의 내 참석한 참석자들 중 적어도 한 참석자에 의해 발화되는 발화음성에 대응하는 내용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회의 기록 데이터는, 적어도 한 참석자에 의해 발화되는 발화음성에 대응하는 내용(즉, 발화음성 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함으로써 생성된 텍스트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의안과 관련하여 진행되는 회의의 종류(유형)에는 일예로 본회의, 상임위원회(일예로 경제관광위원회, 의회운영위원회 등), 예산결산특별위원회, 특별위원회 및 기타(일예로, 개회식 등) 등과 관련된 회의가 포함될 수 있다.
실시간 회의록 생성부(15)는 발화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음성 텍스트 변환 기술인 STT(speech-to-text)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회의 기록 데이터가 포함된 회의록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간 회의록 생성부(15)는 국회나 지방의회에서 진행되는 각종 회의(모든 회의)의 내용을 실시간(real-time)으로 획득함으로써 회의 진행중에 회의 기록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생성해 지방의원 단말(30)로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실시간으로 생성된 회의 기록 데이터가 포함된 회의록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지방의원 단말(30)에서 회의메모기능 제공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실시간 회의록 생성부(15)에 의해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지방의원이 참석한 회의의 내용에 대응하는 현재 회의 기록 데이터가 지방의원 단말(30)의 화면에 실시간으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는 상기 현재 회의 기록 데이터가 지방의원 단말(30)의 화면에 노출된 상태(즉, 실시간으로 노출되는 상태)에서 지방의원(31)으로부터 메모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 입력된 메모 데이터와 지방의원 단말(30)의 화면에 노출되는 현재 회의 기록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생성된 메모 반영 회의록 파일을 지원 정보로서 지방의원 단말(30)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생성된 메모 반영 회의록 파일을 지방의원 단말(30)로 제공하여 지방의원 단말(30)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회의메모기능 제공 요청은, 일예로 제어부(13)에 의해 지방의원 단말(30)의 화면 일영역에 표시된 메모 요청 버튼을 지방의원(31)이 클릭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현재 회의 기록 데이터는, 지방의원(31)이 현재 참석한 회의의 진행중에 해당 회의에 참석한 참석자들 중 적어도 한 참석자에 의해 발화되는 발화음성에 대응하는 내용(즉, 발화음성 데이터)을 텍스트로 변환함으로써 실시간 생성되는 텍스트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사용자가 입력한 메모 데이터와 현재 회의 기록 데이터가 포함된 메모 반영 회의록 파일을 생성해 지방의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실시간 회의록 생성부(15)는 현재 회의 기록 데이터만 포함되도록 회의록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회의록 파일을 데이터베이스부(14)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지방의원 단말(30)에서 회의메모기능 제공 요청이 이루어졌을 때, 데이터베이스부(14)에 저장된 회의 일정 정보와 지방의원 단말(30)의 GPS 정보를 고려하여, 회의메모기능 제공 요청이 이루어진 시점에 지방의원 단말(30)의 GPS 정보가 회의 일정 정보에 대응하는 회의 장소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지방의원(31)이 참석한 회의의 내용에 대응하는 현재 회의 기록 데이터가 지방의원 단말(30)의 화면에 실시간으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회의메모기능 제공 요청이 이루어진 시점에 지방의원 단말(30)의 GPS 정보가 회의 일정 정보에 대응하는 회의 장소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면, 지방의원(31)이 회의 일정에 대응하는 회의 장소에 실제 참석을 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인식)하여, 이에 따라 회의 장소에서 진행되는 회의(즉, 상기 회의 장소에서의 회의)의 내용에 대응하는 현재 회의 기록 데이터를 생성해 지방의원 단말(30)의 화면에 실시간으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현재 국회나 지방의회에서 진행되는 회의에 대한 회의록은, 회의가 종료된 이후 회의록을 확인하는 데까지 통상 2-3주가 걸리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지방의원(31)이 특정 회의에 참석했을 때, 회의 시 특정 참석자(발화자)가 발화한 내용을 메모하거나 발화한 내용과 관련된 내용을 메모하길 희망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지방의원(31)이 메모하는 속도(글을 쓰는 속도)에 한계가 있음에 따라 원하는 내용을 모두 입력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지방의원(31)은 회의가 끝난 이후, 메모된 내용(일예로 간단하게 메모된 내용)이 정확히 어떤 사항과 관련된 내용이었는지를 확실히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제어부(13)는 현재 회의 기록 데이터를 지방의원 단말(30)의 화면에 실시간으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노출된 현재 회의 기록 데이터로 하여금 i) 특정 참석자가 발화하는 내용을 지방의원(31)이 직접 메모할 필요가 없도록 하고, ii) 특정 참석자가 발화하는 동시에 발화되는 내용에 해당하는 텍스트(글자)를 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며, iii) 지방의원(31)이 화면에 노출되는 현재 회의 기록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노출된 현재 회의 기록 데이터 상에 지방의원 단말(30)이 원하는 내용(즉, 발화한 내용과 관련된 내용)만을 메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바, 회의 내용 기록/메모와 관련해 지방의원(31)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메모 반영 회의록 파일로 하여금, 지방의원(31)이 회의가 끝난 이후에 즉시 회의 내용 및 회의 진행시 자신이 메모한 내용을 정확하고 확실하게 기억 및 확인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는 현재 회의 기록 데이터가 지방의원 단말(30)의 화면에 실시간으로 노출되도록 하되, 노출시 지방의원 단말(30)의 화면 일영역에 마련된 미녹음 버튼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는 미녹음 버튼에 대하여 지방의원(31)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일예로 15초)동안만 누름 입력이 발생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누름 입력이 중단된 경우(즉, 지방의원이 15초 동안만 미녹음 버튼을 누른 후 이후 미녹음 버튼으로부터 손을 뗀 경우), 실시간 회의록 생성부(15)에 의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에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현재 회의 기록 데이터가 지방의원 단말(30)의 화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누름 입력이 중단된 시점 이후에 실시간 회의록 생성부(15)에 의해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현재 의회 기록 데이터가 지방의원 단말(30)의 화면에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는 현재 회의 기록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지방의원 단말(30)의 화면에 노출되도록 함에 있어서, 미녹음 버튼에 대한 지방의원(31)의 누름 입력 중일 때에는 누름 입력 중일때의 회의의 내용에 해당하는 현재 회의 기록 데이터가 화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미녹음 버튼에 대한 지방의원(31)이 누르지 않았을 경우에만 누르지 않았을 때의 회의의 내용에 해당하는 현재 회의 기록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생성되어 화면에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회의에서는 다수의 참석자들이 존재할 수 있고, 이들 중 적어도 한 발화자가 발화를 할 수 있는데, 이때 지방의원(31)은 특정 발화의 내용에 대해서는 기록을 원치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는 지방의원(31)이 미녹음 버튼을 누르는 경우, 미녹음 버튼을 누르고 있는 중에 회의에서 발화되는 내용은 현재 회의 기록 데이터로 지방의원 단말(30)의 화면 상에 실시간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13)는, 지방의원(31)이 미녹음 버튼을 누르고 있지 않은 경우에만, 미녹음 버튼이 눌려지지 않은 상태일 때 회의에서 발화되는 내용이 현재 기록 데이터로서 지방의원 단말(30)의 화면 상에 실시간으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미녹음 버튼으로 하여금 지방의원 단말(30)의 원하는 내용만이 현재 회의 기록 데이터로서 자신의 단말(지방의원 단말(30))의 화면 상에 표출, 기록 되고 저장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현재 회의 기록 데이터를 실시간 노출시키고 메모 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지원 정보로서 지방의원 단말(3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방의원(31)에게 회의 메모 기능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는 뉴스 갈무리 기능 및 스케줄 관리 기능을 지원 정보로서 지방의원 단말(30)에 제공할 수 있다. 뉴스 갈무리 기능은 일예로 수집부(11)에서 '입법' 혹은 '조례 등 자치법령 관련 정보'과 관련하여 수집된 복수의 뉴스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지방의원 단말(30)로 제공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뉴스 데이터는 일예로 각 지역 홈페이지로부터 수집된 정보로서, 홍보, 보도, 소식 관련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스케줄 관리 기능은 지방의회 또는 국회에서 진행되는 회의와 관련된 스케줄, 각종 행사에 관한 스케줄 등을 포함하여, 지방의원(31)의 의정활동에 관한 다양한 스케줄을 관리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장치(10)는 지방의원(31)이 소지한 지방의원 단말(30)로 지방의원(31)의 의정활동을 지원하는 지원 정보로서, 스케줄 관리, 뉴스 갈무리, 지역구 평판분석, 조례 발의 아이디어 제공, 의정자료 수집과 분석, 회의 메모 기능 등과 관련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지원)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는 상술한 기능들 외에도, 의원 평판 관리 기능 및 유권자관리(voter relations) 기능을 지원 정보로서 지방의원 단말(3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의원 평판 관리 기능은, 일예로 뉴스나 SNS 등에서 언급되는 지방의원의 정보(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 분석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의원 평판 관리 기능에 의하면, 제어부(13)는, 뉴스, SNS 등의 원문 정보를 지방의원 단말(30)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그 외에 언급량(버즈), 감성분석(긍정/부정) 등의 분석 결과를 지방의원 단말(3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의원 평판 관리 기능은 상술한 분석부(12)가 평판 분석 결과 정보를 지방의원 단말(30)로 제공하는 기능과 상응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본 장치(10)는 특정 사람(일예로 지방의원)의 평판을 분석함에 있어서, 종래에 기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평판(평판도) 분석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권자관리 기능과 관련하여, 통상 지방의원은 지역의 유권자와 상시 소통하고 관계를 맺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유권자의 정보를 개인 휴대전화나 엑셀프로그램을 통해 관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장치(10)의 제어부(13)는, 유권자관리 기능으로서, 지방의원(31)이 관리하여야 할 유권자 정보를 활용하여 생일 등과 같은 기념일에 대한 알림 기능을 제공하고, 유권자를 특성별로 분류(sorting)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유권자 개인의 특성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한 유권자 관리가 가능한 기능들을 지방의원 단말(3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AI 보좌관(AI Aides) 역할을 수행하는 본 장치(10)를 제공함으로써, 지방의원(31)이 관리해야 할 유권자 정보를 활용하여 생일 등 기념일 알림, 유권자 특성별 분류(sorting) 저장 기능, 개인 특성에 따른 가중치 적용한 유권자관리 등을 제공(즉, 유권자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바, 이를 통해 지방의원(31)이 보다 체계적으로 유권자를 관리할 수 있도록 도움줄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는 유권자관리 기능의 제공을 위해, 일예로 종래에 기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인맥 관리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는 지방의원(31)의 의정활동의 편의를 위해, 다음과 같은 기능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우선, 지방의회에 제출 또는 발의되는 의안(안건)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방의회에서 안건이라 함(즉, 지방의회의 의안 정보라 함)은, 본회의 또는 위원회의회의에서 의제로 상정돼 논의되는 모든 사항을 의미한다. 안건은 여러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안건에는 회의를 통해 심의해 의견을 하나로 종합하는 결정, 즉 의결과정이 필요한 것이 있는가 하면, 의결과정이 필요 없는 것이 있다. ‘의결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은 심사한 안건에 대해 의원들에게 찬성·반대 여부를 물어서 가부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안건 중에는 의결이 필요한 것이 대부분인데, 이러한 안건에는 의안, 동의(動議), 청원, 선거 등이 있다. 한편 논의(심의)는 하되, 결정과정이 필요 없는 안건이 있는데, 이러한 안건으로는 질문, 연설, 보고 등이 있다. 질문한 후 답변을 듣고, 보고를 들은 후 의문이 나는 사항에 대해 질의하는 것으로 충분할 뿐 의원들에게 찬성이나 반대 여부를 물어볼 필요가 없다.
지방의회에서 의결이 필요한 안건 중에서 중요한 것을 ‘의안’이라고 구분한다. 이 의안은 안건 중에서 ‘일정한 형식적인 요건을 갖춰 서면으로 제출하는 안건’을 말한다. 그 외에 중요한 안건으로서 일정한 요건을 갖추지 아니하고 제출하는 ‘동의’와 주민이 억울한 사정을 의회에 호소하는 ‘청원’이 있다.
안건의 제출과 관련하여, 안건은 시장·군수 등 단체장과 지방의원, 지방의회의 위원회가 제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의장·부의장선거와 같이 법령이나 조례에 정해진 지방의회의 의무적인 사항은 의장이 안건을 제출하게 된다.
< 의안(議案)의 의미와 종류 >
의안은 의결이 필요한 안건 중 한 종류를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의회의 의결, 즉, 결정을 필요로 하는 안건 중에서 지방의원 또는 단체장, 지방의회의 위원회가 일정한 형식을 갖춰 제출하는 안건을 의안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의안이 갖춰야 할 요건은, 1) 일정한 형식적인 요건(안)을 갖춰야 하고, 2) 단체장, 지방의회의 위원회 또는 일정한 의원 수 이상의 찬성(지방의회 재적의원의 1/5 이상 또는 10인 이상)을 얻어 서면으로 제출해야 하며, 3) 수정이 가능하고 4) 상임위원회가 설치돼 있으면 상임위원회에서 먼저 심사를 거쳐야 하는 것을 말한다. 다만, 모든 의안이 앞에 설명한 모든 요건을 갖추는 것은 아니고 예외적인 사항도 있다.
그런데 지방자치법령이나 조례, 회의규칙 등에서 분명히 무엇이 의안이라고 규정하지 않아 통일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안건과 의안을 구별하지 않고 혼동해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의안은 안건 등의 용어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의안의 종류에는 일반적으로 조례안, 예산안 및 결산, 동의안과 승인안, 건의안, 결의안, 의회규칙안 등이 있을 수 있다. 이 의안의 종류들 중에서 의원과 위원회가 낼 수 있는 의안은 조례안, 결의안, 건의안, 의회규칙안이고, 나머지는 단체장이 제출할 수 있는 전속권을 가진다.
< 지방의회에서 의안의 성립요건 >
지방의회에 제출 또는 발의되는 의안은 일정한 요건을 갖춰야 유효하게 접수되고 심의·의결되게 된다. 의안이 일정한 요건을 갖추지 못하게 되면 접수단계에서 의장은 반려하거나 또는 보완하도록 한다. 지방의회에서 심의·의결이 됐다 하더라도 상위법령 위반 등의 이유로 효력이 무효가 될 수도 있다. 의안이 유효하게 접수되고 심의·의결되기 위해서는 1) 발의요건 2) 형식요건 3) 성립요건이 갖춰져야 한다.
1) 의안의 발의(제출) 요건
지방의회에 의안을 발의 또는 제출할 수 있는 요건이라 함은 자격 있는 자가 의안을 발의 또는 제출했느냐의 여부, 일정 수 이상의 찬성의원 수(발의정족수)가 필요한 경우 이를 충족했는지의 여부라 할 수 있다. 지방의회에 의안을 발의(제출)할 수 있는 자는 지방의회의 의원 및 위원회, 단체장(교육감 포함)이 있을 수 있다. 지방의회 의원이 의안을 발의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재적의원 1/5 이상 또는 10인 이상의 찬성을 얻어야 한다.
2) 형식요건
지방의회에 제출되는 의안은 일정한 형식적인 요건을 갖춰야 한다. 왜냐하면 지방의회에서 의안이 의결되게 되면 당해 자치단체 내에서 일정한 효력이 발생하고 기속력을 갖기 때문에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지방자치법령이나 조례, 규칙 등에서 의안의 형식요건이 규정돼 있지 않고 부분적으로 규정돼 있다. 의안의 형식요건은 다분히 관례적으로 형성되고 있으나 의안의 내용을 명확히 하고 의안심사에 필요한 설명이 있어야 한다고 볼 때 형식요건이 구비되지 않은 의안에 대해 의장은 반려하거나 보완을 명할 수 있다.
의안의 형식적 요건은 의안마다 각기 상이하나 일반적으로 의안명, 제안연월일, 제안자(찬성의원 서명, 날인 포함), 제안 이유, 주요 골자, 의안 내용 등을 구비(포함)한다. 특히, 조례안은 신·구조문 대비표, 청원은 청원소개의견서, 예산안 및 결산서는 따로 정한 법정서식과 첨부서류를 구비해야 한다.
3) 성립요건
지방의회에서 의안이 유효하게 제출돼 접수되기 위해서는 의안내용이 자치단체 또는 지방의회의 권한 범위 내의 내용이어야 한다. 이를 성립요건이라 하는데 의안은 법령의 범위 내 이어야 하고 당해 자치단체의 고유사무와 단체위임사무에 관한 사항으로서 지방자치법에 열거된 의결사항이어야 한다. 예를 들면, ‘의장단불신임의건’의 성립요건은 불신임 사유로서 ‘법령을 위반하거나 정당한 이유 없이 직무를 수행하지 아니한때’가 된다.
< 의원이 발의하는 안건과 단체장이 제출하는 안건 >
지방의회의 심의 대상인 안건은 의원과 단체장, 그리고 위원회가 낼 수 있다. 의원이 내는 안건은 의원 본인이 인지한 문제를 해결하거나 정책 개발을 제안하기 위해 발의하는 것이다. 그리고 시장, 군수가 제출하는 안건은 집행기관의 장으로 의무적으로 제출하는 것과 문제된 사항을 해결하고 정책 개발을 위한 것이다. 위원회도 안건을 제안할 수 있는데 의안과 의안에 대한 수정안 또는 대안을 제안할 수 있다.
의원(지방의원)이 낼 수 있는 안건은 조례안, 결의안, 건의안 등 의안과 본회의 또는 위원회에서 발의하는 동의(動議)와 안건을 심의하는 과정에서 낼 수 있는 수정안이 있다. 그리고 의결과정이 필요 없는 질의와 질문이 있다. 질의와 질문은 의원이 따로 발의(제출)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은 아니다.
의원이 안건을 발의하는 데는 의원 혼자 낼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의원의 1/5 또는 10인 이상의 찬성을 얻어야 하고, 본회의에서 수정안을 내기 위해서는 1/4 또는 13인 이상의 찬성(예산안은 1/3 또는 17인 찬성)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의원이 소속된 위원회에서 수정안을 내는 경우에는 발의하는 의원을 포함해 2인의 찬성이 있으면 된다.
그리고 단체장이 제출하는 안건은 조례안, 예산안, 동의안 및 승인안(결산, 예비비지출 승인의 건)이 있을 수 있다. 의원의 입장에서는 단체장이 제출한 안건을 본회의 또는 위원회에서 심의하면서 수정안을 발의할 수 있고, 의결 시부결시킬 수도 있다. 그 외에 의원은 조례안, 건의안, 결의안에 대해 위원회 심사 시 이를 폐기하고 이에 대신하는 새로운 대안을 발의할 수 있다.
즉, 조례안에 대한 발의의 경우, 이는 지방자치의 장, 지방의회 재적의원 1/5 이상 또는 10인 이상의 연서로 의장에 제출한다. 제출된 안건은 본회의나 상임위원회에서 심사되며 본회의에서 의결된다. 의결정족수는 법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재적과반수의 출석과 출석과반수의 찬성이 요구된다.
조례안이 지방의회에서 의결된 경우에는 지방자치단체장에게 이송되며, 지방자치단체장은 20일 이내에 이를 공포하고,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공포된 날로부터 20일을 경과함으로써 효력이 발생되게 된다.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이송받은 조례안에 대하여 이의(異議)가 있는 경우에 20일 이내에 이유를 붙여 지방의회로 조례안을 환부하고 재의를 요구할 수 있으며, 지방의회는 재적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의원 2/3의 찬성으로 재의결하여 그 조례안을 확정시킬 수 있다. 조례의 재정 ·개폐에 관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시 ·군구의 경우에는 시 ·도지사에게, 시 ·도의 경우에는 내무부장관에게 보고하여야 하며, 보고를 받은 내무부장관은 이를 관계 중앙행정기관의장에게 통보하게 된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장치(10)는 지방의원(31)이 지방의회에 의안(안건)을 제출(발의)함에 있어서, 의안의 제출(발의) 편의를 위해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지방의원(31)이 지방의회에 제출(발의)할 수 있는 의안(안건)에는 조례안, 결의안, 건의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지방의원(31)이 의안(안건)을 제출하는 데에는 지방의원(31) 혼자서 낼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의원의 1/5 또는 10인 이상의 찬성을 얻어야 제출(발의)할 수 있다.
그런데, 통상 현재(종래에) 지방의원이 발의하는 의안(안건)에 대한 지방의회로의 접수(제출 접수)는 모두 수기로 이루어지고 있다. 즉, 현재 지방의원이 발의하는 안건의 경우, 찬성을 얻은 지방의원들에게 모두 사인(서명)을 얻어야만 지방의회에 의안의 접수(제출 접수)가 가능하였는데, 현재 이러한 사인을 얻는 과정이 모두 수기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어서, 특정 지방의원이 의안을 제출/접수함에 있어서 시간이 오래 소요되고,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제어부(13)는 지방의원(31)이 보다 편리하게 의안을 지방의회에 빠르게 제출(접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의안 접수 서비스를 지방의원(31)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시스템(100)은 복수의 지방의원 각각이 소지한 복수개의 지방의원 단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지방의원 단말 중 어느 한 지방의원 단말(일예로 지방의원 단말(30)) 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복수개의 지방의원 단말 각각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지방의원(31)의 지방의원 단말(30)은 일예로 복수의 지방의원 중 제1 지방의원이 소지한 제1 지방의원 단말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방의원(31) 및 지방의원 단말(30) 각각은 본 발명에서 제1 지방의원 및 제1 지방의원 단말이라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복수개의 지방의원 단말 각각은 일예로 휴대 가능한 휴대폰, 스마트폰 등의 단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안 접수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제어부(13)는 지방의원(31)이 소지한 지방의원 단말(30)에서 접수 버튼에 대한 클릭이 이루어진 경우, 의안(안건) 정보 입력 화면을 지방의원 단말(30)의 화면에 표출시키고, 의안 정보 입력 화면에서 지방의원(31)이 입력한 제1 의안 정보를 지방의원 단말(30)로부터 수신하여 본 장치(10) 내 접수 의안 DB(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의안 정보 입력 화면은 지방의원(31)이 제출하고자 하는 의안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의안 정보 입력 화면은 의안 양식에서 요구하는 각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항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 항목에는 일예로 의안종류, 의안제명, 제안이유, 주요내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의안 정보 입력 화면에서 지방의원(31)이 입력한 의안 정보는 제1 의안 정보라 지칭될 수 있고, 이러한 제1 의안 정보는 지방의원(31)이 지방의회에 제출하고자 하는 의안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지방의원 단말(30)로부터 제1 의안 정보가 수신되면, 본 장치(10) 내 접수 의안 DB(미도시)에 저장함과 동시에, 본 장치(10)와 네트워크(20)를 통해 연동된 복수의 타 지방의원 단말(일예로, 제2 지방의원 단말 내지 제n 지방의원 단말) 중 메시지 수신을 허용으로 설정해 둔 메시지 수신 허용 지방의원 단말들로 제1 의안 정보에 대한 서명게재를 요청하는 서명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서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메시지 수신 허용 지방의원 단말의 의원들은 자신이 소지한 단말로 제1 의안 정보의 내용을 확인한 후 해당 제1 의안 정보에 대한 발의에 대한 찬성 여부(찬성 혹은 반대)에 대한 응답을 수행(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즉, 메시지 수신 허용 지방의원 단말이 서명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응답 메시지는 찬성 응답 메시지 또는 거절 응답 메시지일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타 지방의원 단말은 일예로 지방의원 단말(30)의 사용자인 지방의원(31)과 동일한 지역(일예로, 시, 군, 구, 광역시, 도의회 중 어느 한 지역)에 소속된 지방의원(타 지방의원)이 소지한 단말일 수도 있고, 또는 동일하지 않은 지역에 소속된 지방의원이 소지한 단말일 수도 있다.
제어부(13)는 메시지 수신 허용 지방의원 단말들로부터 서명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복수의 응답 메시지가 기 설정된 제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기 설정된 제출 조건을 충족한 시점에 제출용 제1 의안 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제출용 제1 의안 정보를 의안과로 전송함으로써, 의안과에 자동 접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출용 제1 의안 정보는 제1 의안 정보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제출용 제1 의안 정보는 의안 정보 입력 화면에서 지방의원(31)이 입력한 제1 의안 정보에, 응답 메시지로서 찬성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메시지 수신 허용 지방의원 단말들의 의원의 서명이 반영(게재)되도록 생성된 의안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메시지 수신 허용 지방의원 단말에서 본 장치(10)로 전송되는 응답 메시지는, 찬성 여부 정보(즉, 찬성인지, 혹은 반대인지의 정보), 및 찬성일 경우 찬성하는 해당 의원의 서명(싸인)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3)는 서명 요청 메시지가 메시지 수신 허용 지방의원 단말들의 화면 상에 팝업 형태로 노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서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의원들은 별도의 로그인이나 사용자 인증 필요 없이 지방의원 단말의 화면 상에 노출된 서명 요청 메시지를 기반으로 서명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즉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제출 조건은, 메시지 수신 허용 지방의원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응답 메시지 중 찬성 응답 메시지가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인 조건을 의미하되, 이때 미리 설정된 개수는 제1 의안 정보의 의안종류에 따라 각기 다르게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지방의원이 특정 의안을 발의(의안을 제출, 접수)하고자 할 때에는 일정 수 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발의가 가능하다. 이때, 의안의 종류마다 찬성자의 수는 각기 다르게 설정되어 있다. 예시적으로, i) 의안종류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일예로 '조례안'인 경우 '지방의회 재적의원의 1/5 이상 또는 10인 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하고, ii) 의안종류가 본회의에서의 수정안인 경우에는 1/4 또는 13인 이상의 찬성(예산안은 1/3 또는 17인 찬성)이 있어야 하며, iii) 의원이 소속된 위원회에서의 수정안의 제출 시에는 발의하는 의원을 포함해 2인의 찬성이 있어야 한다. 이처럼, 의안종류마다 의안 제출시 필요한 최소 찬성자의 수가 각기 다름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 고려되는 기 설정된 제출 조건 내 '찬성 응답 메시지에 대한 미리 설정된 개수'는 의안종류마다 각기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13)는 제1 의안 정보의 의안종류가 '조례안 발의'인 경우, 메시지 수신 허용 지방의원 단말들로 서명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후 그에 대한 응답으로 메시지 수신 허용 지방의원 단말들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때, 수신되는 응답 메시지를 분석하여 수신된 응답 메시지로서 찬성 응답 메시지가 일예로 10개 수신된 시점을 기 설정된 제출 조건을 충족한 시점인 것으로 인식하여, 10개의 찬성 응답 메시지가 수신된 해당 시점에 제출용 제1 의안 정보를 생성해 지방의회의 의안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는 메시지 수신 허용 지방의원 단말들이 서명 요청 메시지에 대하여 보다 빠르게 응답할 수 있도록(즉, 메시지 수신 허용 지방의원 단말이 찬성 응답 메시지 또는 거절 응답 메시지를 보다 빨리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메시지 수신 허용 지방의원 단말들로 서명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일예로 1시간)이 경과된 시점까지 응답이 없으면, 기 설정된 시간(일예로 1시간)이 경과된 시점 이후 기 정의된 재촉 알림 주기(일예로 10분)마다 서명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재촉하는 응답 재촉 알림 메시지를 메시지 수신 허용 지방의원 단말들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기 정의된 재촉 알림 주기(일예로 10분)의 경과시마다 응답 재촉 알림 메시지의 제공시, 제공되는 응답 재촉 알림 메시지의 알림 유형을 달리할 수 있으며, 응답 재촉 알림 메시지의 반복 제공시 보다 강도가 높은 알림 유형으로 바꾸어 제공할 수 있다. 응답 재촉 알림 메시지의 알림 유형에는 일예로 메시지 유형인 제 1 알림 유형, 메시지와 진동이 결합된 제 2 알림 유형, 메시지와 벨소리가 결합된 제 3 알림 유형 및 전화 연결 유형인 제 4 알림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어부(13)는, 메시지 수신 허용 지방의원 단말로 서명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후 1시간이 경과된 시점(일예로 13시 30분)까지 메시지 수신 허용 지방의원 단말이 응답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경우, 응답의 재촉을 위해 기 정의된 재촉 알림 주기(일예로 10분)마다 응답 재촉 알림 메시지를 메시지 수신 허용 지방의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는 13시 30분에 메시지 수신 허용 지방의원 단말로 1회차 응답 재촉 알림 메시지를 제1 알림 유형(메시지 형태)으로 제공하고, 이에 대하여 역시나 응답이 없으면, 제어부(13)는 13시 40분에 2회차 응답 재촉 알림 메시지를 제2 알림 유형(메시지 제공과 더불어 메시지 수신 허용 지방의원 단말들에 진동이 발생되도록 하는 유형)으로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제 2 알림 유형으로 응답 재촉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응답이 없으면, 제어부(13)는 또 다시 재촉 알림을 제3 알림 유형(메시지와 벨소리가 결합된 형태의 유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13)는 서명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특정 시간 내에 응답이 없으면 서명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재촉하는 응답 재촉 알림 메시지를 기 정의된 재촉 알림 주기(일예로 10분)마다 반복적으로 메시지 수신 허용 지방의원 단말로 제공하되, 반복적으로 응답 재촉 알림 메시지의 제공시 알림 유형을 보다 인지의 강도가 높은 알림 유형으로 바꾸어가며 달리해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응답 재촉 알림 메시지의 제공에 의하면, 본 장치(10)는 지방의원(31)에게 있어서 자신이 제출하고자 하는 의안에 대한 제출(발의)이 보다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하고, 최소 필요한 찬성자 수에 해당하는 타 지방의원들에게 서명을 손쉽게 받음으로써 빠른 제출을 가능케 하며, 메시지 수신 허용 지방의원 단말에게 있어서 서명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에 대한 인지가 확실히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에 따라 빠르게 응답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제어부(13)는 지방의원 단말(30)로부터 제1 의안 정보가 수신되면, 복수의 타 지방의원 단말(일예로, 제2 지방의원 단말 내지 제n 지방의원 단말) 중 메시지 수신을 허용으로 설정해 둔 메시지 수신 허용 지방의원 단말들로 서명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일예로 메시지 수신 허용 지방의원 단말들의 수가 제2 지방의원 단말 내지 제10 지방의원 단말을 포함하여 8개라고 하자. 그리고, 제1 의안 정보의 경우, 일예로 의안종류가 조례안 발의임에 따라 10명의 의원의 찬성이 필요한 상황(즉, 찬성자의 수가 10명 이상이 되어야 하는 상황)이라고 하자. 이러한 상황에서는, 서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모든 지방의원 단말들(즉, 8개의 메시지 수신 허용 지방의원 단말)이 모두 찬성 응답 메시지로 응답을 제공한다 하더라도, 이들의 응답만을 이용해서는 제1 의안 정보를 지방의회에 의안으로서 제출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즉, 의원 2명의 찬성이 추가로 더 있어야만 제1 의안 정보가 의안으로 제출될 수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제어부(13)는 접수 의안 DB(미도시)에 저장된 제1 의안 정보와 관련하여 필요로 하는 최소 필요 찬성자의 수인 제1 값(일예로 10명의 지방의원이 찬성해야 하므로, 10)과 메시지 수신을 허용으로 설정해 둔 메시지 수신 허용 지방의원 단말들의 수인 제2 값(일예로 8)을 서로 비교하여, 제2 값이 제1 값과 같거나 제1 값보다 크면, 제2 값에 대응되는 메시지 수신 허용 지방의원 단말들로 서명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13)는 제1 값과 제2 값을 서로 비교한 결과, 제2 값이 제1 값보다 작으면, 제1 값과 제2 값 간의 차이 값(일예로 10-8=2)을 산출하고, 이후 복수의 타 지방의원 단말(일예로, 제2 지방의원 단말 내지 제n 지방의원 단말) 내 메시지 수신을 미허용으로 설정해 둔 메시지 수신 미허용 지방의원 단말들 중에서 산출된 차이 값에 해당하는 수 만큼의 지방의원 단말을 랜덤하게 선정(즉, 2개의 메시지 수신 미허용 지방의원 단말을 선정하고, 랜덤하게 선정된 지방의원 단말 각각에 대하여 ARS 기능으로 제1 의안 정보에 대한 서명게재를 요청하는 서명 요청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서명 요청 안내 정보(ARS)를 수신한 지방의원 단말이 수락으로 응답하면, 제어부(13)는 수락 응답을 한 지방의원 단말로 서명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해당 지방의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는 본 장치(10)로부터 서명 요청 메시지를 전송받은 지방의원 단말들(이는 메시지 수신 허용 지방의원 단말 및 랜덤하게 선정된 지방의원 단말을 포함할 수 있음) 모두의 응답 메시지(즉, 전체 응답 메시지)를 분석한 결과, 전체 응답 메시지 내 찬성 응답 메시지의 개수인 제3 값(즉, 앞서 8개의 찬성 응답 메시지를 제공받은 후 추가로 제공받은 찬성 응답 메시지를 모두 합한 개수)이, 제1 의안 정보와 관련하여 필요로 하는 최소 필요 찬성자의 수인 제1 값(즉, 10)보다 작으면, 복수의 타 지방의원 단말(일예로, 제2 지방의원 단말 내지 제n 지방의원 단말) 중 본 장치(10)로부터 서명 요청 메시지를 전송받은 지방의원 단말들을 제외한 나머지 지방의원 단말들을 대상으로, 제3 값과 제1 값 간의 차이 값에 해당하는 수 만큼의 지방의원 단말을 랜덤하게 추가 선정한 후, 추가 선정된 지방의원 단말 각각에 대하여 ARS 기능으로 제1 의안 정보에 대한 서명게재를 요청하는 서명 요청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이와 같은 과정(추가 선정 과정)을, 제3 값이 제1 값과 동일한 값이 되는 시점까지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는 찬성 응답 메시지의 개수가 최소 필요 찬성자의 수만큼 될 때까지 랜덤하게 추가 선정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는 메시지 수신을 허용한 지방의원 단말들로 서명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되, 추가적으로 서명 요청이 필요할 경우 랜덤하게 추출되는 최소한의 지방의원 단말에 대해서만 추가적으로 서명 요청을 보내어 서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바, 최소 필요 찬성자의 수 만큼의 찬성 서명을 토대로 신속히 의안 제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본 장치(10)는 지방의원(31)이 의안(제1 의안 정보)을 온라인으로 제출하고자 할 때, 제1 의안 정보를 본 장치(10)에 입력해 두기만 하면, 제1 의안 정보에 대해 찬성하는 의원의 서명정보가 자동 반영된 상태로 제출용 제1 의안 정보가 의안 정보로서 의안과로 자동 전송(제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이러한 본 장치(10)는 의안 제출을 위해, 지방의원(31)이 직접 별도로 여러 의원들을 찾아다니며 찬성 서명을 얻거나 할 필요 없이, 단순히 제1 의안 정보를 본 장치(10)에 입력해 두는 것만으로 자동으로 기 설정된 제출 조건이 충족된 시점에 제출용 제1 의안 정보가 지방의회의 의안과로 전송(제출)되도록 할 수 있는바, 빠르고 간편하게 의안 제출(의안 발의)이 가능하도록 하여 지방의원(31)의 발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지방의원(31)은 지방의회에 의안을 제출하기를 희망하는 경우,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의안 정보 입력 화면에서 제1 의안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의안의 자동 제출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는 의안 정보 입력 화면의 제1 영역에 입력완료버튼을 제공할 수 있고, 입력완료버튼에 대한 지방의원(31)의 클릭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지방의원(31)이 입력한 제1 의안 정보를 본 장치(10) 내 접수 의안 DB(미도시)에 저장함과 동시에 서명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는 의안 정보 입력 화면의 제2 영역에 유사 의안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유사 의안 리스트는 의안 정보 입력 화면에서 지방의원(31)이 입력한 제1 의안 정보와의 유사도가 기 설정된 유사도값(일예로 90%)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유사 의안 정보의 리스트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리스트에 포함된 유사 의안 정보는, 일예로 데이터베이스부(14)에 저장된 복수개의 의안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의 정보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일예로 해외의 해외 의안 DB(미도시)와 연계하여 해외 의안 DB에 저장된 복수개의 의안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의 정보일 수도 있다. 해외 의안 DB는 미국, 일본 등 다양한 해외 국가들에 대하여, 각 국가의 의안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DB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유사 의안 정보가 데이터베이스부(14)에 저장된 복수개의 의안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의 정보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3)는 의안 정보 입력 화면의 제2 영역에 유사 의안 리스트를 제공하기 위해, 제1 의안 정보와 데이터베이스부(14)에 저장된 복수개의 의안 정보 각각 간의 유사도 비교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의안 정보(즉, 제1 의안 정보와 복수개의 의안 정보 중 어느 한 의안 정보) 간의 유사도 비교시에는 종래에 기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유사도 비교 기술(일예로, 문서 간 유사도 분석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유사도는 일예로 일치하는 단어의 수 등을 토대로 분석될 수 있다.
제어부(13)는 지방의원(31)이 입력완료버튼을 클릭하기 이전에 제1 의안 정보를 입력하고 나면, 입력된 제1 의안 정보를 기반으로 그와 유사도가 높은 의안 정보(유사 의안)를 데이터베이스부(14)에 식별한 후, 식별된 유사 의안의 리스트인 유사 의안 리스트를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제1 의원은 제2 영역에 표시된 유사 의안 리스트로 하여금, 과거에 기 제출된 국내/국외의 복수의 의안 정보 중, 자신이 현재 제출하고자 하는 의안과 유사한 의안의 사례로는 어떠한 정보들이 있는지 확인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일예로, 유사 의안 리스트 내에 유사 의안 정보로서 일예로 5개의 유사 의안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하자. 제2 영역에 유사 의안 리스트의 표시 시에는, 일예로 각 유사 의안 정보로서 의안명 정보가 노출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는 제2 영역에 표시된 유사 의안 리스트 내 제1 유사 의안 정보에 대하여 지방의원(31)의 클릭 입력(1초 이내의 클릭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지방의원 단말(30) 상에 표시되어 있던 의안 정보 입력 화면이 제1 유사 의안 정보의 상세정보 표시 화면으로 변경되도록 지방의원 단말(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유사 의안 정보를 지방의원(31)이 클릭하면, 제1 유사 의안 정보의 상세정보의 표시 화면으로 이동될 수 있다.
만약, 제어부(13)는 제2 영역에 표시된 유사 의안 리스트 내 제1 유사 의안 정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누름 시간(일예로 3초) 이상으로 지방의원(31)의 누름 입력이 이루어진 것으로 감지된 경우(일예로 3초 동안 눌렀다가 뗀 경우), 이를 제1 유사 의안 정보의 상세정보의 표시 화면이 팝업 형태로 표시되도록 요청하는 신호로 인식하여(즉, 지방의원 단말의 화면이 제1 유사 의안 정보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페이지로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지방의원 단말(30)의 화면 상에서 제1 유사 의안 정보의 상세정보의 표시 화면이 일정 영역에 오버랩 형태로 표시되도록 요청하는 신호로 인식하여), 제1 유사 의안 정보의 상세정보의 표시 화면을 현재 지방의원 단말(30)의 화면 상에 팝업 형태로 오버레이(의안 정보 입력 화면 상에 일영역 오버랩)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오버랩 표시 영역의 일영역에는 오버랩되어 표시된 상세정보의 화면이 화면 상에 미노출 되도록 하기 위한(즉, 지방의원 단말(30)의 화면 상에 보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꺼짐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꺼짐 버튼에 대한 지방의원(31)의 클릭이 이루어진 경우, 지방의원 단말(30) 상에 오버랩되어 표시되어 있던 상세정보의 화면이 화면 상에서 없어질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13)는 유사 의안 리스트 내 복수개의 유사 의안 정보 각각에 대하여, 지방의원(31)이 미리 설정된 누름 시간(일예로 3초) 이상으로 눌렀다 뗀 경우, 미리 설정된 누름 시간 이상으로 눌린 해당 유사 의안 정보의 상세정보가 현재의 지방의원 단말(30)의 화면 상의 소정의 영역에 오버랩 형태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는 지방의원(31)이 제1 의원 정보를 입력하여 등록/저장을 완료하기 이전에, 자신이 제출하려는 제1 의원 정보(의안)와 유사한 유사 의안 정보를 서로 비교해볼 수 있으며, 특히나 비교시 특정 유사 의안 정보의 상세페이지로 넘어갔다가 다시 이전페이지로 돌아왔다가 하는 등 왔다갔다 할 필요 없이(즉, 번거로움의 필요 없이), 효율적으로 의안 비교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는 데이터베이스부(14)에 저장된 복수개의 의안 정보의 리스트를 지방의원 단말(30)의 화면에 노출시킬 수 있다. 제어부(13)는 리스트 내에서 지방의원(31)이 원하는 의안 정보(검색 희망 의안 정보)의 검색을 가능하게 하는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검색 기능의 제공을 위해, 제어부(13)는 리스트의 표시시, 지방의원 단말(30)의 화면 일영역에 검색 유닛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하고, 검색 유닛 내 입력란(미도시)을 통해 입력된 단어와 매칭되는 매칭 단어를 복수의 방식 중 지방의원(31)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검색한 검색 결과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입력란은 1개의 칸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어 입력란, 키워드 입력란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방식은 검색이 이루어지는 방식(검색 방식)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제1 방식, 제2 방식, 제3 방식 및 제4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식은,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입력란에 입력된 정보와 전체 일치하는 정보(똑같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의안 정보들을 추출해 리스트로 표시해주는 모드일 수 있다. 일예로, 입력란에 입력된 정보가 ‘체육시설 설치’이면, ‘체육시설 설치’를 포함한 의안 정보들의 리스트만 검색 결과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방식은, 입력란에 입력된 정보에서 띄어쓰기가 포함된 경우, 띄어쓰기를 기준으로 앞뒤 단어를 개별 단어로 인식하되, 개별 인식된 단어 중 적어도 한 단어를 포함하고 있는 의안 정보들을 추출해 리스트로 표시해주는 모드일 수 있다. 일예로, 입력란에 입력된 정보가 ‘체육시설 설치’이면, ‘체육시설’를 포함한 의안 정보, ‘설치’를 포함한 의안 정보, ‘체육시설 설치’를 포함한 의안 정보들이 검색 결과의 리스트로 제공될 수 있다.
제3 방식은 입력란에 입력된 정보에서 띄어쓰기가 포함된 경우, 띄어쓰기를 기준으로 앞뒤 단어를 개별 단어로 인식하되, 각 의안 정보 내에 입력되어 있는 텍스트 정보를 대상으로 하여, 개별 인식된 단어들이 하나의 문장 내에 기재되어 있는 의안 정보들을 추출해 리스트로 표시해주는 모드일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문장이라 함은 ‘마침표(.)’를 기준으로 구분되는 문장일 수도 있고, 혹은 마침표 없이 엔터로 단락 변환이 이루어진 경우, 마침표 없는 해당 단락을 문장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 일예로, 입력란에 입력된 정보가 ‘체육시설 설치’이면, ‘체육시설’이라는 단어를 포함하고 있는 의안 정보, ‘체육시설을 어디에 설치해야 하는지’라는 문장을 포함하고 있는 의안 정보들이 검색 결과의 리스트로 제공될 수 있다.
제4 방식은, 입력란에 입력된 정보에서 띄어쓰기가 포함된 경우, 띄어쓰기를 기준으로 앞뒤 단어를 개별 단어로 인식하되, 각 의안 정보 내에 입력되어 있는 텍스트 정보와 각 의안 정보 내에 의안 정보와 연계되어 등록되어 있는 첨부파일을 대상으로 하여, 개별 인식된 단어들이 하나의 문장 내에 기재되어 있는 의안 정보들을 추출해 리스트로 표시해주는 모드일 수 있다. 만약, 입력란에 입력된 정보가 ‘체육시설 설치’일 때, 제1 의안 정보 내 입력되어 있는 텍스트 정보에서는 ‘체육시설’ 혹은 ‘설치’라는 단어가 미포함되어 있으나, 제1 의안 정보 내에 연계돼 첨부되어 있는 pdf 첨부파일 내에는 ‘체육시설을 어디에 설치해야 하는지~ ’라는 문장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1 의안 정보가 검색 결과의 리스트로 제공될 수 있다.
종래에는 pdf 파일, 한글파일 등의 파일을 첨부한 상태로 게시글(일예로 의안 정보 등과 같은 게시글)이 업로드됐을 때, 이와 같은 게시글들 중 단어 검색을 수행하면, 일반적으로 게시글 내 텍스트를 대상으로만 검색이 이루어질 뿐, 게시글과 함께 업로드된 첨부파일 내에서의 검색은 불가능한 구조였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와 완전히 똑같은 단어를 포함하고 있는 단어의 검색만 가능할 뿐이었다.
이처럼, 종래의 검색 기술은 검색 방식에 대한 다양성이 부족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검색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여, 본 장치(10)는 입력란에 입력된 정보(단일 단어 정보)와 관련하여, 입력된 해당 정보에 띄어쓰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 지방의원(31)이 복수의 방식(제1 방식 내지 제4 방식) 중 어느 방식을 선택했는지 등에 따라 각기 다른 검색 결과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어, 데이터베이스부(14)에 저장된 복수의 의안 정보 중 지방의원(31)이 원하는 정보(의안 정보)를 효과적으로 검색하여 제공받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의원의 의정활동 지원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지방의원의 의정활동 지원 방법은 앞서 설명된 본 장치(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본 장치(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지방의원의 의정활동 지원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S11에서 수집부는, 자치법령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자동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자치법령 관련 정보는, 지방의회와 국회 각각의 의정정보, 법률정보, 정책 정보, 및 의원현황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의정정보는, 의안 정보 및 회의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12에서 분석부는,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자치법령 관련 정보에 대해 빅데이터 분석과 패턴 분석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13에서 제어부는, 단계S12에서 분석된 결과를 기반으로, 지방의원의 의정활동 지원을 위한 지원 정보를 생성하여 지방의원이 소지한 지방의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 내지 S13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방의원의 의정활동 지원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지방의원의 의정활동 지원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지방의원의 의정활동 지원 시스템
10: 지방의원의 의정활동 지원 장치
11: 수집부 12: 분석부
12a: 키워드 추출부 12b: 소셜 데이터 수집부
12c: 감성 분석부 13: 제어부
14: 데이터베이스부 15: 실시간 회의록 생성부
10: 지방의원의 의정활동 지원 장치
11: 수집부 12: 분석부
12a: 키워드 추출부 12b: 소셜 데이터 수집부
12c: 감성 분석부 13: 제어부
14: 데이터베이스부 15: 실시간 회의록 생성부
Claims (4)
- 자치법령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자동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수집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자치법령 관련 정보에 대해 빅데이터 분석과 패턴 분석을 수행하는 분석부;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된 결과를 기반으로, 지방의원의 의정활동 지원을 위한 지원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지방의원이 소지한 지방의원 단말로 제공하는 제어부; 및
의안과 관련하여 진행되는 회의의 내용을 실시간으로 획득함으로써 회의 진행중에 상기 회의의 내용에 대응하는 회의 기록 데이터가 포함된 회의록 파일을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실시간 회의록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치법령 관련 정보는, 지방의회와 국회 각각의 의정정보, 법률정보, 정책 정보, 및 의원현황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의정정보는, 조례안 정보 및 회의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회의 기록 데이터는, 회의의 진행중에, 회의 내 참석한 참석자들 중 적어도 한 참석자에 의해 발화되는 발화음성에 대응하는 발화음성 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함으로써 생성된 텍스트 데이터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방의원 단말에서 회의메모기능 제공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회의 일정 정보와 지방의원 단말의 GPS 정보를 고려하여 회의메모기능 제공 요청이 이루어진 시점에 지방의원 단말의 GPS 정보가 회의 일정 정보에 대응하는 회의 장소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지방의원이 회의 일정에 대응하는 회의 장소에 실제 참석을 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해 상기 지방의원이 참석한 상기 회의 장소에서 진행되는 회의의 내용에 대응하는 현재 회의 기록 데이터를 생성해 지방의원 단말의 화면에 실시간으로 노출되도록 하되,
상기 현재 회의 기록 데이터가 상기 화면에 노출되는 상태에서 지방의원으로부터 메모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 입력된 메모 데이터와 상기 화면에 노출되는 현재 회의 기록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생성된 메모 반영 회의록 파일을 지원 정보로서 지방의원 단말로 제공하여 지방의원 단말에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현재 회의 기록 데이터의 노출시 지방의원 단말의 화면 일영역에 미녹음 버튼을 함께 제공하고,
상기 미녹음 버튼에 대하여 지방의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만 누름 입력이 발생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누름 입력이 중단된 경우, 실시간 회의록 생성부에 의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에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현재 회의 기록 데이터가 지방의원 단말의 화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누름 입력이 중단된 시점 이후에 실시간 회의록 생성부에 의해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현재 의회 기록 데이터가 지방의원 단말의 화면에 노출되도록 하는 것인, 지방의원의 의정활동 지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자치법령 관련 정보 중 지방의회의 조례안 정보의 내용으로부터 의안이슈 키워드를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부; 상기 추출된 의안이슈 키워드와 관련된 소셜 데이터를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집하여 소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소셜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소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소셜 데이터에 대해 감성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소셜 데이터에 대응하는 감성분석 데이터를 의안이슈 키워드에 대한 여론 정보로서 도출하는 감성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인, 지방의원의 의정활동 지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자치법령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지방의회의 의원으로 활동중인 복수의 지방의원 각각의 지역구 내 평판 분석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방의원 단말에서 상기 복수의 지방의원 중 어느 한 지방의원의 선택 후 평판 정보 제공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평판 정보 제공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된 상기 어느 한 지방의원의 지역구 내 평판 분석 결과 정보를 상기 지원 정보로서 상기 지방의원 단말의 화면에 제공하는 것인, 지방의원의 의정활동 지원 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2041A KR102596410B1 (ko) | 2022-10-14 | 2022-10-14 | 인공지능 기반의 지방의원의 의정활동 지원 장치, 방법 및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2041A KR102596410B1 (ko) | 2022-10-14 | 2022-10-14 | 인공지능 기반의 지방의원의 의정활동 지원 장치, 방법 및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96410B1 true KR102596410B1 (ko) | 2023-10-31 |
Family
ID=88543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32041A KR102596410B1 (ko) | 2022-10-14 | 2022-10-14 | 인공지능 기반의 지방의원의 의정활동 지원 장치, 방법 및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96410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131799A (ko) * | 2013-05-06 | 2014-11-14 | 윤영배 | 대한민국 국회 의원의 업무 능력 감사 시스템 |
KR102152564B1 (ko) * | 2020-02-25 | 2020-09-04 | 박선춘 | 법률안 심사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
KR102319438B1 (ko) * | 2019-11-25 | 2021-10-29 | (주)나모 | 빅데이터 기반의 감성정보를 반영한 관광지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
KR20220097774A (ko) * | 2020-12-31 | 2022-07-08 | 이영애 | 인터넷 미디어의 댓글 분석을 통한 긍정/부정 선호도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
-
2022
- 2022-10-14 KR KR1020220132041A patent/KR10259641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131799A (ko) * | 2013-05-06 | 2014-11-14 | 윤영배 | 대한민국 국회 의원의 업무 능력 감사 시스템 |
KR102319438B1 (ko) * | 2019-11-25 | 2021-10-29 | (주)나모 | 빅데이터 기반의 감성정보를 반영한 관광지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
KR102152564B1 (ko) * | 2020-02-25 | 2020-09-04 | 박선춘 | 법률안 심사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
KR20220097774A (ko) * | 2020-12-31 | 2022-07-08 | 이영애 | 인터넷 미디어의 댓글 분석을 통한 긍정/부정 선호도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ipulanusat et al. | Drivers and barriers to innovation in the Australian public service: a qualitative thematic analysis | |
Ho et al. | Online, offline, or word-of-mouth? Complementary media usage patterns and credibility perceptions of nuclear energy information in Southeast Asia | |
Bondi et al. | Textual voices in corporate reporting: A cross-cultural analysis of Chinese, Italian, and American CSR reports | |
US20210158302A1 (en) | System and method of authenticating candidates for job positions | |
Wotela | Towards an outcomes-based approach to a ‘research strategy, design, procedure and methods’ chapter for business and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 |
KR102465711B1 (ko) | 소셜 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법률안의 국회 본회의 통과가능성 동적 예측 서비스 제공 시스템 | |
Vaughan et al. | ‘Gorilla exceptions’ and the ethically apathetic corporate lawyer | |
Bawa | “Feminists make too much noise!”: Generational differences and ambivalence in feminist development politics in Ghana | |
CN113672698A (zh) | 一种基于表达分析的智能面试方法、系统、设备和存储介质 | |
US20240005089A1 (en) | Document auto-completion | |
Mehrolhasani et al. | Community empowerment for health promotion in slums areas: A narrative review with emphasis on challenges and interventions | |
Nawaz et al. | Mining public opinion: a sentiment based forecasting for democratic elections of Pakistan | |
Dunne | Can online forums address political disengagement for local government? | |
Lai | Transcribing and translating forensic speech evidence containing foreign languages—An Australian perspective | |
Hvass | Tourism social media and crisis communication: An erupting trend | |
Hayes et al. | Corporate responsibility or core competence? | |
Caplan et al. | Representing the constituency: Institutional design and legislative behaviour | |
Alkarni | Twitter response to Vision 2030: a case study on current perceptions of normative disorder within Saudi social media | |
Bondy | New law or old issues: stakeholder expectations on the bill for the promotion of the elimination of Buraku discrimination | |
KR102596410B1 (ko) | 인공지능 기반의 지방의원의 의정활동 지원 장치, 방법 및 시스템 | |
Di Giammaria et al. | Big text corpora & mixed methods–the roman five star movement blog | |
Wilkinson | The Church of Ireland primary school in an expanding educational marketplace: The use of school websites to promote school identity and ethos | |
Redigolo et al. | Guidelines for Subject Analysis in Subject Cataloging | |
Cunha et al. | The use of ICT in public decision-making participation | |
Fitzgerald | Blackboard/Whiteboard: The Discursive Construction of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in Canad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