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175B1 - 소음 공해가 없는 스마트알람장치를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소음 공해가 없는 스마트알람장치를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175B1
KR102596175B1 KR1020230036218A KR20230036218A KR102596175B1 KR 102596175 B1 KR102596175 B1 KR 102596175B1 KR 1020230036218 A KR1020230036218 A KR 1020230036218A KR 20230036218 A KR20230036218 A KR 20230036218A KR 102596175 B1 KR102596175 B1 KR 102596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representative
alarm device
sound
micro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6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형동
김세훈
Original Assignee
(주)에이넷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넷솔루션 filed Critical (주)에이넷솔루션
Priority to KR1020230036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1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3Scree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 공해가 없는 스마트알람장치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알람장치 주변잡음 및 기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신호음 각각과 합성하여 복수의 합성신호음을 생성하고, 복수의 합성신호음 중 어느 하나를 상황에 따라 송출하는, 소음 공해가 없는 스마트알람장치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음 공해가 없는 스마트알람장치를 제공하는 방법 {Method for Smart Alarm Device without Noise Pollution}
본 발명은 소음 공해가 없는 스마트알람장치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알람장치 주변잡음 및 기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신호음 각각과 합성하여 복수의 합성신호음을 생성하고, 복수의 합성신호음 중 어느 하나를 상황에 따라 송출하는, 소음 공해가 없는 스마트알람장치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현장에 배치되는 중장비 등에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주행시 경보음을 내는 알람장치가 설치된다. 알람장치는 보통, 주위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넓은 반경으로 높은 데시벨의 경보음 발생시킨다.
경보음은 안전사고를 예방하기도 하지만, 널리 퍼지고 높고 큰 경보음의 특성에 따른 불편함을 야기하기도 한다. 경보음은 실제 위험 지역에 있는 사람에게만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경보음의 가청 범위에 있는 사람들에게 모두 경고가 전달되므로 산업현장 외에서는 소음 공해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산업현장 내에서도 경보음이 거슬린다는 이유로 경보음을 해제하고 작업하기도 하여, 안전사고로 이어지기도 한다.
한편, 건설 장비 작업자 및 운전자들은 여러 대의 건설장비가 있는 산업현장에서 하루 평균 8시간 이상 작업을 하고 있어, 지속적으로 경보음에 노출이 되고 있는데, 이로 인해 소음성 난청을 소호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음으로 인식되는 수준의 소리가 아닌, 인간이 경계심을 인지할 수 있는 소리 및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르게 들려 범위 외에서는 백색잡음으로 들릴 수 있는 경보음을 송출하는 알람장치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소음 공해가 없는 스마트알람장치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알람장치 주변잡음 및 기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신호음 각각과 합성하여 복수의 합성신호음을 생성하고, 복수의 합성신호음 중 어느 하나를 상황에 따라 송출하는, 소음 공해가 없는 스마트알람장치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음 공해가 없는 스마트알람장치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스마트알람장치는, 상기 스마트알람장치 주변잡음을 수음하는 마이크; 상기 주변잡음에 기초하여 소음 공해가 없는 합성신호음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합성신호음을 송출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상기 마이크로부터 주변잡음을 수신하는 주변잡음수신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상기 주변잡음수신단계에서 수신한 주변잡음이 기설정된 복수의 잡음패턴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해당 주변잡음이 복수의 잡음패턴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해당 주변잡음을 스케일링하여 베이스잡음을 생성하는 베이스잡음생성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기저장된 복수의 신호음 각각을 상기 베이스잡음과 상응하게 스케일링하여 복수의 스케일신호음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스케일신호음 각각을 상기 베이스잡음과 합성하여 복수의 합성신호음을 생성하는 합성신호음생성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상기 복수의 합성신호음 중 어느 하나가 기설정된 송출간격으로 기설정된 송출시간 동안 송출되도록 상기 스피커를 제어하는 송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잡음생성단계, 및 상기 합성신호음생성단계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수행되는, 스마트알람장치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마트알람장치는, 상기 마이크, 상기 스피커 및 상기 제어부가 전기 및 전자적으로 연결되는 기판부; 상기 마이크, 상기 스피커 및 상기 기판부를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결합하여, 상기 스피커를 보호하는 스피커덮개; 및 상기 케이스와 결합하여, 상기 마이크 및 상기 기판부를 보호하는 케이스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내부에는 상기 스피커가 수용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스피커로부터 합성신호음이 송출되도록 송출홀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면에는 상기 스피커덮개가 결합되는 제1수용부; 상기 제1수용부 하측에 형성되어, 내부에는 상기 마이크 및 기판부를 수용하고, 일측면에는 상기 케이스덮개가 결합되는 제2수용부; 및 상기 케이스 양측면 일측이 연장되어 볼트 혹은 피스가 체결되어 상기 스마트알람장치를 고정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수용부의 타측면, 및 상기 제2수용부의 일측면은 높이차에 의해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수용부의 타측면 제1모서리, 제2모서리 및 제3모서리 각각의 중앙부에, 상기 제1수용부의 타측면으로부터 상기 높이차만큼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덮개가 결합되는 케이스결합부; 및 상기 제1수용부 하부 일측, 및 상기 제2수용부 상부 일측에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스피커로부터 상기 기판으로 연결된 선이 수용되는 선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수용부는, 일측면에 외부로부터 주변잡음이 통과하는 수음홀; 내부에 상기 마이크가 배치되고, 마이크로 수신되는, 상기 수음홀을 통해 통과한 주변잡음이 공진되는 공진부; 및 상기 기판이 슬라이드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홈을 포함하는 기판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잡음 및 상기 스케일신호음은, 상기 마이크의 세기에 기초하여 스케일링하고, 상기 베이스잡음생성단계는 잡음패턴판단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잡음패턴판단단계는, 상기 주변잡음수신단계에서 수신한 주변잡음을 분석하여, 복수의 대표주파수대역, 및 각각의 대표주파수대역에 대응되는 대표음량을 도출하는 대표값도출단계; 상기 대표값도출단계에서 도출한 복수의 대표주파수대역, 및 복수의 대표음량에 기초하여, 해당 주변잡음을 제1패턴, 제2패턴, 및 제3패턴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판단단계는, 대표주파수대역이 높아질수록 각각에 대응되는 대표음량이 낮아지는 추세이고, 인접한 대표주파수대역 각각에 대응되는 대표음량의 변화량이 기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경우, 제1패턴으로 판단하는 제1패턴판단단계; 대표주파수대역이 높아질수록 각각에 대응되는 대표음량이 낮아지는 추세이고, 인접한 대표주파수대역 각각에 대응되는 대표음량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기준값 초과인 경우, 제2패턴으로 판단하는 제2패턴판단단계; 및 대표주파수대역이 높아질수록 각각이 대응되는 대표음량이 낮아지는 추세이다가 변곡되어 높아지는 추세인 경우, 제3패턴으로 판단하는 제3패턴판단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영역에는 경보음으로 작용하고, 특정영역외에는 생활 잡음으로 작용하는 합성신호음을 생성하므로, 사람의 안전을 보장하면서도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잡음을 복수의 스케일신호음 각각과 합성하여 복수의 합성신호음을 생성하므로, 상황별로 다른 합성신호음을 송출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변잡음 및 복수의 신호음을 같은 수준으로 스케일링하므로, 합성신호음을 정규화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잡음생성단계 및 합성신호음생성단계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수행되어 기설정된 주기마다 새로운 합성신호음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최신 상황에 최적화된 맞는 합성신호음을 송출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진부에 의해서 외부로부터의 주변잡음이 공진되고, 마이크는 공진부에 위치하므로, 마이크는 보다 더 넓은 주파수대의 주변잡음을 수음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알람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알람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알람장치를 제공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잡음생성단계 및 합성신호음생성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잡음패턴추출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잡음패턴추출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부',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알람장치(1000)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종래의 알람장치는 단순히 큰 소리의 신호음을 송출하여 산업현장뿐만 아니라, 산업현장을 넘어선 영역까지 신호음이 퍼져 소음공해를 유발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산업현장 내(A)에서는 소리가 크지는 않지만 경고음 역할을 할 수 있고, 산업현장 외(B)에서는 백색소음으로 들려 소음공해가 없는 합성신호음을 송출하는 스마트알람장치(1000)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합성신호음을 송출하면, 일정 거리(A)까지는 인간이 본능적으로 경계심을 가질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가 전파되고, 일정 거리를 넘어선 거리(B)에는 백색소음으로 느껴지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가 전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알람장치(1000)는 산업현장에서 쓰이는 장비에 설치되어 움직임을 경고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중장비에 설치되어 해당 중장비가 전진, 후진 등의 움직임에 따라서 합성신호음을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알람장치(1000)는 상술한 바에 의하면 산업현장으로 예시를 들었지만, 소음공해가 없는 경보음이 필요한 모든 장소, 장비에 활용될 수 있어, 활용도를 산업현장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알람장치(10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알람장치(1000)는, 상기 스마트알람장치(1000) 주변잡음을 수음하는 마이크(1200); 상기 주변잡음에 기초하여 소음 공해가 없는 합성신호음을 생성하는 제어부(1100); 상기 합성신호음을 송출하는 스피커(1400); 상기 마이크(1200), 상기 스피커(1400) 및 상기 제어부(1100)가 전기 및 전자적으로 연결되는 기판부(1600); 상기 마이크(1200), 상기 스피커(1400) 및 상기 기판부(1600)를 수용하는 케이스(1500); 상기 케이스(1500)와 결합하여, 상기 스피커(1400)를 보호하는 스피커덮개(1700); 및 상기 케이스(1500)와 결합하여, 상기 마이크(1200) 및 상기 기판부(1600)를 보호하는 케이스덮개(18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알람장치(1000)는 물리적으로 마이크(1200), 스피커(1400), 기판부(1600), 케이스(1500), 스피커덮개(1700), 및 케이스덮개(1800)를 포함할 수 있고, 전자 혹은/및 전기적으로 통신부(1300) 및 제어부(1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A)는 스마트알람장치(1000)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마이크(1200)는 스마트알람장치(1000)가 설치된 곳의 주변잡음을 수음할 수 있고, 이를 제어부(110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200)는 케이스(1500)의 공진부(1521) 내부에 위치할 수 있어, 주변잡음 더욱 효과적으로 수음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변잡음은 마이크(1200)로 수신되는 모든 소리에 해당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변잡음은 기설정된 범위 내의 주파수 소리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200)는 소음이 없는 무음의 환경에서부터 아주 시끄러운 공사장 현장까지 주변 환경의 소음을 측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크(1200)는 움직임에 의해 각도가 틀어져도 수음의 정도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콘덴서 마이크(1200)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상기 스마트알람장치(1000)가 설치된 중장비 등의 진동에 의해서 마이크(1200)의 위치가 달라져도 전방위적으로 수음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제어부(1100)는 상기 마이크(1200)로부터 수신한 주변잡음에 기초하여 합성신호음을 생성할 수 있고, 스피커(1400)에 상기 합성신호음을 송출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통신부(1300)는 CAN통신 및 블루투스통신을 할 수 있다.
상기 CAN통신을 통해서 스마트알람장치(1000)가 설치된 중장비 등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300)는 스마트알람장치(1000)가 설치된 중장비(트럭, 지게차, 포크레인 등)로부터, 해당 중장비의 전진, 후진 등에 대한 동작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동작정보를 상기 제어부(1100)에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0)는 동작정보에 기초하여 송출하는 합성신호음의 종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통신을 통해서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사용자단말 등과 통신을 할 수 있고, 상기 스마트폰에는 스마트알람장치(1000) 조작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스마트폰은 블루투스통신을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조작에 따른 스마트알람장치(1000)에 대한 조작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서 제어부(1100)에 명령어인 조작정보를 송신할 수 있어,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스마트알람장치(1000)의 볼륨을 제어하고, 세팅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팅 변경이란 후술할 기설정된 송출시간, 기저장된 복수의 신호음, 기설정된 복수의 잡음패턴 등을 변경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의 (B)는 스마트알람장치(1000)가 포함하는 물리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케이스(1500)는 스마트알람장치(1000)의 구성요소인 마이크(1200), 스피커(1400), 기판부(1600) 및 기판부(1600)에 연결된 구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500)는 스피커(1400) 및 기판부(1600)와 결합되어 상기 스피커(1400) 및 기판부(1600)를 고정할 수 있고, 스피커덮개(1700)와 결합되어 스피커(1400)를 보호할 수 있고, 케이스덮개(1800)와 결합되어 기판부(1600)와 마이크(1200)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500)(구체적으로는 후술할 케이스(1500)의 체결부(1530))에 체결되는 볼트 혹은 피스에 의해서 중장비 등에 고정될 수 있다.
스피커(1400)는 합성신호음을 송출할 수 있고, 상기 스피커(1400)의 꼭지점 부근 각각에는 피스홀이 형성될 수 있고, 피스 체결에 의해서 상기 스피커(1400) 및 케이스(1500)가 결합되어, 상기 스피커(1400)가 케이스(1500)에 고정될 수 있다.
스피커덮개(170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태로 각각의 꼭지점 부근에 피스가 체결될 수 있는 피스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피커(1400)로부터 소정의 간격이 떨어져 상기 케이스(1500)에 피스에 의해서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덮개(1700)의 상측 모서리 및 양측(좌 및 우) 모서리 중앙부에는 후술할 케이스결합부(1540)에 상응하는 모양으로 홈이 파져있을 수 있어, 상기 스피커덮개(1700)는 후술할 케이스(1500)의 제1수용부(1510) 전면 중 타측에 맞춰져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커덮개(1700)는 스피커(1400)로부터 소정의 간격이 떨어진 케이스(1500)의 제1수용부(1510) 전면 중 타측에 체결되어 케이스(1500)에 결합되므로, 스피커(1400)의 울림통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기판부(1600)에는 상기 마이크(1200), 상기 스피커(1400), 통신부(1300), 제어부(1100) 각각이 전자 혹은/및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부(1600)에는 충전포트, 전원포트, USB 등을 연결하는 연결포트가 추가적으로 전자 혹은/및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기판부(1600)는 PCB기판부(160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덮개(180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태로 하측의 양쪽 꼭지점 부근, 상측 중앙부, 및 양측(좌 및 우) 중앙부 상단에는 피스가 체결될 수 있는 피스홀이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덮개(1800) 하측 중앙부에는 전원포트에 연결된 선이 통과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은 선의 형상에 따라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알람장치(1000)를 제공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알람장치(1000)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제어부(1100)에 의해서, 상기 마이크(1200)로부터 주변잡음을 수신하는 주변잡음수신단계(S100); 상기 제어부(1100)에 의해서, 상기 주변잡음수신단계(S100)에서 수신한 주변잡음이 기설정된 복수의 잡음패턴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해당 주변잡음이 복수의 잡음패턴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해당 주변잡음을 스케일링하여 베이스잡음을 생성하는 베이스잡음생성단계(S200); 상기 제어부(1100)에 의해서, 기저장된 복수의 신호음 각각을 상기 베이스잡음과 상응하게 스케일링하여 복수의 스케일신호음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스케일신호음 각각을 상기 베이스잡음과 합성하여 복수의 합성신호음을 생성하는 합성신호음생성단계(S300); 및 상기 제어부(1100)에 의해서, 상기 복수의 합성신호음 중 어느 하나가 기설정된 송출간격으로 기설정된 송출시간 동안 송출되도록 상기 스피커(1400)를 제어하는 송출단계(S40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잡음생성단계(S200), 및 상기 합성신호음생성단계(S300)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수행될 수 있다.
스마트알람장치(1000)의 제어부(1100)는 주변잡음수신단계(S100), 베이스잡음생성단계(S200), 합성신호음생성단계(S300), 및 송출단계(S400)를 수행할 수 있다.
주변잡음수신단계(S100)에서 제어부(1100)는, 마이크(1200)가 수음한 주변잡음을 상기 마이크(1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베이스잡음생성단계(S200)에서는 상기 주변잡음을 기초로 합성신호음을 생성하는데 재료가 되는 베이스잡음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0)에는 기설정된 복수의 잡음패턴이 저장되어 있어, 제어부(1100)는 상기 주변잡음수신단계(S100)에서 수신한 주변잡음을 분석하여, 해당 주변잡음이 기설정된 복수의 잡음패턴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잡음생성단계(S200)에서 제어부(1100)는 잡음패턴이 판단된 주변잡음을 스케일링하여 베이스잡음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100)에는 복수의 신호음이 기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합성신호음생성단계(S300)에서는, 상기 신호음 및 상기 베이스잡음생성단계(S200)에서 생성한 베이스잡음에 기초하여 합성신호음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신호음 각각을, 상기 베이스잡음을 생성할 때와 같은 방법으로 스케일링하여 복수의 스케일신호음을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합성신호음생성단계(S300)에서는, 복수의 스케일신호음 각각과 상기 베이스잡음생성단계(S200)에서 생성한 베이스잡음을 합성하여 복수의 합성신호음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합성신호음은 ISO-7331에 부합하는 광대역 음향 신호에 해당할 수 있고, 특정 영역 안에서는 경보음 혹은/및 알람음, 특정 영역 밖에서는 일반 생활 잡음처럼 들리는 음원에 해당할 수 있다.
송출단계(S400)는 제어부(1100)에 의해서, 스피커(1400)에 합성신호음을 송출하도록 스피커(1400)를 제어하는 단계에 해당할 수 있고, 상기 송출단계(S400)에서 송출되는 합성신호음은 복수의 합성신호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고, 기설정된 송출간격으로 기설정된 송출시간 동안 송출될 수 있다. 즉, 합성신호음은 기설정된 송출시간 동안 송출되고, 기설정된 정지시간동안 정지되었다가 다시 기설정된 송출시간 동안 송출되어, 기설정된 송출간격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피커(1400)에서 송출되는 합성신호음은 통신부(1300)에 의해서 수신한 동작정보에 따라 복수의 합성신호음 중에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장비가 전진하는 경우에 수신한 전진에 대한 동작정보에 따라 특정 합성신호음이 선택되어 송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송출단계(S400)에서 제어부(1100)는, 마이크(1200)로부터 수신한 주변잡음의 소리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스피커(1400)에서 송출되는 합성신호음의 크기(음량)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변 환경에 소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신호음 각각에 베이스잡음을 합성하여 복수의 합성신호음을 생성하므로,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합성신호음을 송출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잡음생성단계(S200) 및 상기 합성신호음생성단계(S300)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잡음생성단계(S200) 및 상기 합성신호음생성단계(S300)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수행되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달라지는 주변상황에 따른 주변소음을 반영한, 기설정된 주기마다 새로운 복수의 합성신호음을 생성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잡음생성단계(S200) 및 합성신호음생성단계(S3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잡음생성단계(S200)에서는, 해당 주변잡음을 스케일링하여 베이스잡음을 생성하고, 합성신호음생성단계(S300)에서는, 기저장된 복수의 신호음 각각을 상기 베이스잡음과 상응하게 스케일링하여 복수의 스케일신호음을 생성하고, 상기 베이스잡음 및 상기 스케일신호음은, 상기 마이크(1200)의 세기에 기초하여 스케일링할 수 있다.
도 4의 (A)는 베이스잡음생성단계(S200) 및 합성신호음생성단계(S300)에서의 스케일링을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베이스잡음생성단계(S200) 및 합성신호음생성단계(S300)에서의 스케일링은 마이크(1200)의 세기에 기초하여 실시될 수 있다. 마이크(1200)는 소리를 수음할 수 있는데, 상기 마이크(1200)의 세기에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0)에 수신되는 주변잡음의 소리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1200) 세기에 기초하여 스케일링하는 것은 수음된 주변잡음의 소리의 크기에 따라서 스케일링을 달리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스케일링은 상기 마이크(1200)의 세기에 비례하거나, 반비례하거나, 가중치를 적용하거나 하는 등의 마이크(1200)의 세기에 따른 기설정된 규칙에 의해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주변잡음을 스케일링한 베이스잡음의 소리의 크기는 기설정된 범위 내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변잡음은 마이크(1200) 세기에 기초하여 신호음 및 주변잡음을 스케일링하므로, 주변잡음을 재료로 생성하는 합성신호음의 소리 크기를 기설정된 범위 내로 정규화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4의 (B)는 베이스잡음 및 스케일신호음 합성에 따른 합성신호음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도 4의 (B)는 복수의 베이스잡음, 복수의 스케일 신호음, 및 복수의 베이스잡음 중 어느 하나와 복수의 스케일신호음 중 어느 하나의 합성한 합성신호음을 도시한 것이다. 이는 일 실시예일 뿐, 합성신호음, 복수의 베이스잡음, 복수의 스케일신호음의 형상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베이스잡음(A, B 및 C)는 복수의 잡음패턴 각각에 해당하는 주변잡음을 스케일링하여 생성하므로, 주파수응답그래프 상에서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스케일신호음(D, E 및 F)은 기저장된 복수의 신호음 각각을 스케일링하므로 주파수응답그래프 상에서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상기 기저장된 복수의 신호음은, 삼각파, 톱니파, 320Hz, 640Hz, 1280Hz, 및 2560Hz를 포함할 수 있고, 삼각파, 톱니파, 320Hz, 640Hz, 1280Hz, 및 2560Hz 중 1 이상을 합성한 신호음을 포함할 수 있다.
D는 320Hz, 640Hz, 1280Hz, 및 2560Hz를 합성한 신호음에 해당하고, E는 삼각파, F는 톱니파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삼각파 및 상기 톱니파는 320 ~ 640Hz 사이의 주파수의 선형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삼각파(Triangle)는 1kHz를 기준으로 아래쪽으로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고 있을 수 있고, 상기 톱니파(Sawtooth)는 1kHz 이상으로도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베이스잡음 중 어느 하나와 복수의 스케일신호음을 합성하여 합성신호음을 생성하므로, 다양한 합성신호음을 생성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잡음패턴추출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잡음생성단계(S200)는 잡음패턴판단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잡음패턴판단단계는, 상기 주변잡음수신단계에서 수신한 주변잡음을 분석하여, 복수의 대표주파수대역, 및 각각의 대표주파수대역에 대응되는 대표음량을 도출하는 대표값도출단계; 상기 대표값도출단계에서 도출한 복수의 대표주파수대역, 및 복수의 대표음량에 기초하여, 해당 주변잡음을 제1패턴, 제2패턴, 및 제3패턴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0)는 주변잡음의 패턴을 판단하는 잡음패턴판단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잡음패턴판단단계는 대표값도출단계 및 판단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표값도출단계에서는, 주변잡음을 분석하여 복수의 대표주파수대역, 및 각각에 대응되는 대표음량을 도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0)는 마이크(1200)로부터 수신한 주변잡음에 대한 주파수응답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주파수응답그래프는 주파수에 따른 신호의 크기이므로, 해당 주파수응답그래프 상에서 복수의 대표주파수대역을 도출할 수 있고, 해당 주파수응답그래프 상에서 도출한 복수의 대표주파수대역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대표음량을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대표주파수대역은 기설정된 규칙에 의해서 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설정된 규칙은, 기저장된 복수의 주파수대역에 해당하거나, 0Hz부터 기설정된 간격에 해당하거나, OHz부터 기설정된 등차수열, 등비수열 등을 포함하는 수열에 해당할 수 있다.
판단단계에서는, 상기 대표값도출단계에서 도출한 대표음량의 패턴을 분석하여, 해당 주변잡음을 제1패턴, 제2패턴 및 제3패턴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파수응답그래프상에서 복수의 대표음량 각각은 해당하는 Y축(크기) 높이에 위치하므로, 복수의 대표음량의 높이에 따라서 패턴을 도출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대표음량의 전체적인 패턴, 서로간의 상대적인 높낮이에 따라서 패턴을 도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잡음패턴추출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단단계는, 대표주파수대역이 높아질수록 각각에 대응되는 대표음량이 낮아지는 추세이고, 인접한 대표주파수대역 각각에 대응되는 대표음량의 변화량이 기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경우, 제1패턴으로 판단하는 제1패턴판단단계; 대표주파수대역이 높아질수록 각각에 대응되는 대표음량이 낮아지는 추세이고, 인접한 대표주파수대역 각각에 대응되는 대표음량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기준값 초과인 경우, 제2패턴으로 판단하는 제2패턴판단단계; 및 대표주파수대역이 높아질수록 각각이 대응되는 대표음량이 낮아지는 추세이다가 변곡되어 높아지는 추세인 경우, 제3패턴으로 판단하는 제3패턴판단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잡음을 제1패턴, 제2패턴 및 제3패턴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하는 판단단계는 제1패턴판단단계, 제2패턴판단단계 및 제3패턴판단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패턴판단단계에서는 해당 기준에 부합하는 경우에 주변잡음을 제1패턴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패턴은 핑크잡음에 해당할 수 있고, 제1패턴은 주파수응답그래프 상에서 복수의 대표음량이 낮아지는 추세이고, 기울기가 완만한 패턴에 해당할 수 있다.
이를 판단하기 위한 정량적 기준은, 대표주파수대역이 높아질수록, 각각에 대응되는 대표음량이 점점 낮아지고, 인접한 대표주파수대역 각각에 대응되는 대표음량의 변화량이 기설정된 기준값 이하에 해당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주파수응답그래프 상에서의 복수의 대표음량 중 처음과 끝의 대표음량을 포함하는 2차함수를 생성하고, 상기 2차함수의 기울기가 기설정된 기울기값 이하이고, 복수의 대표주파수대역에 대응되는 상기 2차함수 상의 복수의 함수값, 및 해당 대표주파수대역에 대응되는 대표음량의 차이가 기설정된 차이값 이하인 경우에 제1패턴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2패턴판단단계에서는 해당 기준에 부합하는 경우에 주변잡음을 제2패턴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패턴은 레드잡음에 해당할 수 있고, 제2패턴은 주파수응답그래프 상에서 복수의 대표음량이 낮아지는 추세이고, 기울기가 가파른 패턴에 해당할 수 있다.
이를 판단하기 위한 정량적 기준은, 대표주파수대역이 높아질수록, 각각에 대응되는 대표음량이 점점 낮아지고, 인접한 대표주파수대역 각각에 대응되는 대표음량의 변화량이 기설정된 기준값 초과에 해당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주파수응답그래프 상에서의 복수의 대표음량 중 처음과 끝의 대표음량을 포함하는 2차함수를 생성하고, 상기 2차함수의 기울기가 기설정된 기울기값 초과이고, 복수의 대표주파수대역에 대응되는 상기 2차함수 상의 복수의 함수값, 및 해당 대표주파수대역에 대응되는 대표음량의 차이가 기설정된 차이값 이하인 경우에 제2패턴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패턴 및 상기 제2패턴을 비교하면, 변화량 A 및 B를 비교하였을 때, B가 더 크므로, 상기 제2패턴의 대표음량 변화량이 상대적으로 더 빨리 감소할 수 있다.
제3패턴판단단계에서는 해당 기준에 부합하는 경우에 주변잡음을 제3패턴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패턴은 그레이잡음에 해당할 수 있고, 제3패턴은 주파수응답그래프 상에서 복수의 대표음량이 낮아지는 추세이다가 변곡되어 높아지는 추세인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변곡에 해당하는 변곡점은 최소값(C)인 대표음량에 해당할 수 있다.
이를 판단하기 위한 정량적 기준은, 대표주파수대역이 높아질수록, 각각에 대응되는 대표음량이 점점 낮아지다가 높아지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패턴은 주파수응답그래프 상에서의 복수의 대표음량 중 처음과 끝을 제외하고 남은 대표음량 중에서 최소값이 있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500)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500)는, 내부에는 상기 스피커(1400)가 수용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스피커(1400)로부터 합성신호음이 송출되도록 송출홀(1511)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면에는 상기 스피커덮개(1700)가 결합되는 제1수용부(1510); 상기 제1수용부(1510) 하측에 형성되어, 내부에는 상기 마이크(1200) 및 기판부(1600)를 수용하고, 일측면에는 상기 케이스덮개(1800)가 결합되는 제2수용부(1520); 상기 케이스(1500) 양측면 일측이 연장되어 볼트 혹은 피스가 체결되어 상기 스마트알람장치(1000)를 고정하는 체결부(1530); 상기 제1수용부(1510)의 타측면 제1모서리, 제2모서리 및 제3모서리 각각의 중앙부에, 상기 제1수용부(1510)의 타측면으로부터 상기 높이차만큼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덮개(1800)가 결합되는 케이스결합부(1540); 및 상기 제1수용부(1510) 하부 일측, 및 상기 제2수용부(1520) 상부 일측에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스피커(1400)로부터 상기 기판으로 연결된 선이 수용되는 선홈(15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수용부(1520)는, 일측면에 외부로부터 주변잡음이 통과하는 수음홀(1523); 내부에 상기 마이크(1200)가 배치되고, 마이크(1200)로 수신되는, 상기 수음홀(1523)을 통해 통과한 주변잡음이 공진되는 공진부(1521); 및 상기 기판이 슬라이드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홈(1522.1 및 1522.2)을 포함하는 기판결합부(1522);
도 7의 (A) 및 (B)는 방향에 따른 케이스(1500)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케이스(1500)는 내측에는 제1수용부(1510) 및 제2수용부(1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수용부(1510)는 두 개의 층으로 단차가 깊이 방향으로 형성된 수용 공간으로, 두 개의 전면 중 일측면에는 상기 스피커(1400) 및 케이스(15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전면 복수의 꼭지점 부근 각각에는 피스가 체결될 수 있는 피스홀이 형성될 수 있고, 스피커(1400)로부터 송출되는 합성신호음이 외부로 퍼져나갈 수 있도록 송출홀(1511)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1수용부(1510)에는 스피커(1400)가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피커(1400)는 2개의 층으로 단차가 형성된 수용공간 중 내부 쪽에 위치한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두개의 전면 중 타측면에는 스피커덮개(17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면 꼭지점 부근 각각에는 상기 스피커덮개(1700)가 체결될 수 있도록 피스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수용부(1520)는 공진부(1521) 및 기판결합부(152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수용부(1520)의 전면은 상기 제1수용부(1510)의 2개의 전면 중 타측면과 높이차에 의해서 단차를 형성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2수용부(1520)의 전면이 더 높을 수 있다.
기판결합부(1522)는 상기 제2수용부(1520)의 하측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기판이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홈(1522.1 및 152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결합홈(1522.1 및 1522.2)은 상기 기판결합부(1522)의 내부 측면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결합홈(1522.1 및 1522.2)에는 기판의 양측이 슬라이드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판에는 상측에는 마이크(1200)가 연결될 수 있는데, 상기 기판이 상기 복수의 결합홈(1522.1 및 1522.2)에 결합됨에 따라서, 상기 마이크(1200)는 공진부(1521)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크(1200)는 공진부(1521)의 중앙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공진부(1521)는 마이크(1200)가 위치하고, 외부로부터 주변소음이 들어오는 공간인 수음홀(1523)을 포함하고,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주변소음이 공진되는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주변소음은 공진부(1521)에 의해서 공진될 수 있으므로, 공진부(1521) 내부에 위치한 마이크(1200)에 의해서 수음되는 주변소음은 더욱 넓은 대역을 감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제1수용부(1510)에 위치한 스피커(1400)는 전선으로 기판에 연결될 수 있는데, 상기 전선은 상기 제1수용부(1510) 하부의 일측 및 상기 제2수용부(1520) 상부 일측을 관통하는 홈형태로 형성된 선홈(1550)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격벽에 의해서 막힌 제1수용부(1510) 및 제2수용부(1520)를 관통하는 선홈(1550)이 형성되므로, 제1수용부(1510)에 위치하는 스피커(1400)로부터, 제2수용부(1520)에 위치하는 기판으로 연결되는 전선을 정리하고, 돌출된 전선 없이 깔끔하게 스피커덮개(1700)를 결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전면 중 타측면에는 케이스덮개(1800)가 결합되는 케이스결합부(15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결합부(1540)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태로 중앙부에 피스홀이 형성되어있는, 돌출구조로 복수 개가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구조는 상기 타측면의 복수의 모서리 중 제1모서리, 제2모서리, 및 제3모서리(바람직하게는, 상측, 좌측, 및 우측 모서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결합부(1540)의 돌출구조의 높이는, 상기 제1수용부(1510)의 타측면, 및 상기 제2수용부(1520)의 일측면의 높이차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수용부(1520)의 일측면과 케이스결합부(1540)의 높이는 상응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부(1520) 하측 모서리 부근 양쪽에는 케이스덮개(1800)가 결합되기 위한 피스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결합부(1540), 및 상기 제2수용부(1520)에 케이스덮개(180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500)의 전면부에는 이격된 복수의 막대를 포함하는 그릴(15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릴(1560)은 스피커(1400) 전면에 위치하여, 스피커(1400)의 소리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스피커(1400)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스마트알람장치(1000)는 중장비 등에 고정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케이스(1500)가 포함하는 체결부(1530)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체결부(1530)는 케이스(1500) 외측 하부 양측에 형성되어, 'ㄴ'자 단면을 가지는 돌출구조에 해당할 수 있다. 체결부(1530)의 일측에는 사선으로 체결홀(1531)이 형성될 수 있고, 타측에는 직선으로 체결홀(15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홀(1531)에는 볼트 혹은 피스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홀(1531)은 반원, 사각형, 및 반원이 합쳐진 형태로, 볼트 혹은 피스를 살짝만 풀어 스마트알람장치(1000)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술한 도 2에 도시된 제어부(1100)는 상기 도 8에 도시된 컴퓨팅장치(11000)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장치(110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장치(11000)는 도 2에 도시된 제어부(1100)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장치(11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장치(11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장치(11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8의 실시예는, 컴퓨팅장치(11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장치(11000)는 도 8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8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장치는 도 8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장치(11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제어부(1100) 혹은 사용자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제어부(1100) 혹은 사용자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장치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영역에는 경보음으로 작용하고, 특정영역외에는 생활 잡음으로 작용하는 합성신호음을 생성하므로, 사람의 안전을 보장하면서도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잡음을 복수의 스케일신호음 각각과 합성하여 복수의 합성신호음을 생성하므로, 상황별로 다른 합성신호음을 송출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변잡음 및 복수의 신호음을 같은 수준으로 스케일링하므로, 합성신호음을 정규화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잡음생성단계 및 합성신호음생성단계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수행되어 기설정된 주기마다 새로운 합성신호음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최신 상황에 최적화된 맞는 합성신호음을 송출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진부에 의해서 외부로부터의 주변잡음이 공진되고, 마이크는 공진부에 위치하므로, 마이크는 보다 더 넓은 주파수대의 주변잡음을 수음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0: 스마트알람장치
1100: 제어부 1200: 마이크
1300: 통신부 1400: 스피커
1500: 케이스
1510: 제1수용부 1511: 송출홀
1520: 제2수용부 1521: 공진부
1522: 기판결합부 1522: 결합홈
1523: 수음홀 1530: 체결부
1531: 체결홀 1540: 케이스결합부
1550: 선홈 1560: 그릴
1600: 기판부 1700: 스피커덮개
1800: 케이스덮개

Claims (5)

  1. 소음 공해가 없는 스마트알람장치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스마트알람장치는,
    상기 스마트알람장치 주변잡음을 수음하는 마이크; 상기 주변잡음에 기초하여 소음 공해가 없는 합성신호음을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합성신호음을 송출하는 스피커; 및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상기 마이크로부터 주변잡음을 수신하는 주변잡음수신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상기 주변잡음수신단계에서 수신한 주변잡음이 기설정된 복수의 잡음패턴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해당 주변잡음이 복수의 잡음패턴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해당 주변잡음을 스케일링하여 베이스잡음을 생성하는 베이스잡음생성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기저장된 복수의 신호음 각각을 상기 베이스잡음과 상응하게 스케일링하여 복수의 스케일신호음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스케일신호음 각각을 상기 베이스잡음과 합성하여 복수의 합성신호음을 생성하는 합성신호음생성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상기 복수의 합성신호음 중 어느 하나가 기설정된 송출간격으로 기설정된 송출시간 동안 송출되도록 상기 스피커를 제어하는 송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잡음생성단계, 및 상기 합성신호음생성단계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수행되고,
    상기 스마트알람장치가 중장비에 설치된 경우에 상기 통신부는, 해당 중장비와 통신을 통해 해당 중장비에 대한 전진 및 후진을 포함하는 동작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해당 동작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송출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수신한 중장비에 대한 동작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합성신호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한 합성신호음을 송출하고,
    상기 스마트알람장치는,
    상기 마이크, 상기 스피커 및 상기 제어부가 전기 및 전자적으로 연결되는 기판부; 및
    상기 마이크, 상기 스피커 및 상기 기판부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제1수용부;
    상기 제1수용부 하측에 형성되어, 내부에는 상기 마이크 및 기판부를 수용하고, 일측면에는 케이스덮개가 결합되는 제2수용부; 및
    상기 케이스 양측면 일측이 연장되어 볼트 혹은 피스가 체결되어 상기 스마트알람장치를 고정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수용부는,
    일측면에 외부로부터 주변잡음이 통과하는 수음홀;
    내부에 상기 마이크가 배치되고, 마이크로 수신되는, 상기 수음홀을 통해 통과한 주변잡음이 공진되는 공진부; 및
    상기 기판이 슬라이드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홈을 포함하는 기판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는 상기 공진부의 중앙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체결부는 ‘ㄴ’자 단면을 가지고,
    상기 체결부의 일측에는 사선으로 상기 볼트 혹은 피스가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직선으로 상기 볼트 혹은 피스가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부의 일측 및 타측의 체결홀은 반원, 사각형 및 반원이 순서대로 합쳐진 형태로 상기 볼트 혹은 피스를 일부만 풀어 상기 스마트알람장치의 위치 가변이 가능한, 스마트알람장치를 제공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알람장치는,
    상기 케이스와 결합하여, 상기 스피커를 보호하는 스피커덮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덮개는,
    상기 케이스와 결합하여, 상기 마이크 및 상기 기판부를 보호하고,
    상기 제1수용부는,
    내부에는 상기 스피커가 수용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스피커로부터 합성신호음이 송출되도록 송출홀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면에는 상기 스피커덮개가 결합되는, 스마트알람장치를 제공하는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의 타측면, 및 상기 제2수용부의 일측면은 높이차에 의해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수용부의 타측면 제1모서리, 제2모서리 및 제3모서리 각각의 중앙부에, 상기 제1수용부의 타측면으로부터 상기 높이차만큼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덮개가 결합되는 케이스결합부; 및
    상기 제1수용부 하부 일측, 및 상기 제2수용부 상부 일측에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스피커로부터 상기 기판으로 연결된 선이 수용되는 선홈;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알람장치를 제공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잡음 및 상기 스케일신호음은,
    상기 마이크의 세기에 기초하여 스케일링하고,
    상기 베이스잡음생성단계는 잡음패턴판단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잡음패턴판단단계는,
    상기 주변잡음수신단계에서 수신한 주변잡음을 분석하여, 복수의 대표주파수대역, 및 각각의 대표주파수대역에 대응되는 대표음량을 도출하는 대표값도출단계;
    상기 대표값도출단계에서 도출한 복수의 대표주파수대역, 및 복수의 대표음량에 기초하여, 해당 주변잡음을 제1패턴, 제2패턴, 및 제3패턴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하고, 스마트알람장치를 제공하는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대표주파수대역이 높아질수록 각각에 대응되는 대표음량이 낮아지는 추세이고, 인접한 대표주파수대역 각각에 대응되는 대표음량의 변화량이 기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경우, 제1패턴으로 판단하는 제1패턴판단단계;
    대표주파수대역이 높아질수록 각각에 대응되는 대표음량이 낮아지는 추세이고, 인접한 대표주파수대역 각각에 대응되는 대표음량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기준값 초과인 경우, 제2패턴으로 판단하는 제2패턴판단단계; 및
    대표주파수대역이 높아질수록 각각이 대응되는 대표음량이 낮아지는 추세이다가 변곡되어 높아지는 추세인 경우, 제3패턴으로 판단하는 제3패턴판단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알람장치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230036218A 2023-03-21 2023-03-21 소음 공해가 없는 스마트알람장치를 제공하는 방법 KR102596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6218A KR102596175B1 (ko) 2023-03-21 2023-03-21 소음 공해가 없는 스마트알람장치를 제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6218A KR102596175B1 (ko) 2023-03-21 2023-03-21 소음 공해가 없는 스마트알람장치를 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6175B1 true KR102596175B1 (ko) 2023-10-31

Family

ID=88543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6218A KR102596175B1 (ko) 2023-03-21 2023-03-21 소음 공해가 없는 스마트알람장치를 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617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824A (ko) * 2015-02-10 2016-08-18 (주)파트론 노이즈 감쇄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18516A (ko) * 2020-07-17 2023-02-07 지엠이엠에스 테크 센젠 리미티드 소리 수집 장치, 소리 처리 기기 및 방법, 장치, 저장 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824A (ko) * 2015-02-10 2016-08-18 (주)파트론 노이즈 감쇄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18516A (ko) * 2020-07-17 2023-02-07 지엠이엠에스 테크 센젠 리미티드 소리 수집 장치, 소리 처리 기기 및 방법, 장치, 저장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69594B (zh) 具有相位校正元件的低音反射扬声器系统
US7609517B2 (en) Air guiding plate
KR102596175B1 (ko) 소음 공해가 없는 스마트알람장치를 제공하는 방법
Xu et al. A hybrid modal analysis for enclosed sound fields
CN105183946A (zh) 一种基于空调的降噪方法及系统
CN113170256A (zh) 同轴波导
TWI763774B (zh) 警報裝置
US20120101748A1 (en) Recording medium for acoustic analysis program, acoustic analysis method, and acoustic analysis device
US8961123B2 (en) Centrifugal fan
de AC Duarte et al. Indirect measurement of acoustic power into a small room at low frequencies
TWI589112B (zh) 電子裝置的風扇控制方法
US10943453B2 (en) Alarm apparatus
EP3346723B1 (en) Speaker device
EP4009141A2 (en) System and methods to reshape fan noise in electronic devices
TW201525664A (zh) 電子模組與散熱模組
JP2021134786A (ja) 電子デバイス
TWI592578B (zh) 電子裝置的風扇控制方法
CN114174022A (zh) 机器人的控制装置、机器人的控制方法以及程序
JP2011107673A (ja) 消音システムにおける騒音検出手段の位置決定方法
JP2018085707A (ja) ワイヤレススピーカシステム、位置検知システム、アンテナ装置、照明装置、スピーカ装置及び位置検知方法
CN212566246U (zh) 一种主动降噪空调结构
US20220312110A1 (en) Speaker device
Martinez-Lera et al. Robust aeroacoustic computations based on Curle's and Powell's analogies
Lang et al. Determination of sound power levels and directivity of noise sources
US20220326096A1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to generate logic based thermal degradation alerts in compute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