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5377B1 -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조명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조명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5377B1
KR102595377B1 KR1020220160544A KR20220160544A KR102595377B1 KR 102595377 B1 KR102595377 B1 KR 102595377B1 KR 1020220160544 A KR1020220160544 A KR 1020220160544A KR 20220160544 A KR20220160544 A KR 20220160544A KR 102595377 B1 KR102595377 B1 KR 102595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lighting
unique identification
lighting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0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필
박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럭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럭시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럭시티
Priority to KR1020220160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377B1/ko
Priority to KR1020230143308A priority patent/KR20240078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3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발광체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에 기초하여, 가상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공간 내 상기 발광체의 후보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조명을 관리하는 방법.

Description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조명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Lighting in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본 개시는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조명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가상 공간을 생성하여,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조명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기술은 각종 사물에 센서, 통신 기능 등을 내장하여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술로서, 무선 통신을 통해 각종 사물을 연결하는 기술이다. 사물 인터넷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설정들이 필요한데, 사물과 소통이 가능하도록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있어야함은 물론, 원하는 사물을 제어할 수 있도록 각 사물의 신원을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사물 인터넷을 실현하는 IoT 디바이스의 종류가 다양해지는 환경에서 사용자 경험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하나의 관리 장비로 여러 기기를 등록 및 제어할 필요성이 존재하였다. 조명의 경우, 사용자가 IoT 디바이스인 조명들을 직관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실내 공간에서 각 조명들의 위치에 기반하여 조명을 관리할 수 있는 조명 관리 인터페이스가 개발되었다.
선행 기술에 따르면 사람의 측정에 의해 실제 공간을 측정한 뒤 가상 공간을 구현하여야 하는 등 각종 수작업 요소를 필요로 한다는 불편이 존재하였다. 또한 IoT 디바이스들의 신원을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를 이용할 때에도 IoT 디바이스를 설치할 때에 각 IoT 디바이스의 신원과 위치를 수동으로 매칭시켜야 하므로, 조명 관리 인터페이스 제공에 불편이 존재하였다.
본 개시는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조명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개시의 다른 과제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해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제1 측면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체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이미지에 기초하여, 가상 공간을 생성하고, 상기 가상 공간 내 상기 발광체의 후보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조명을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2 측면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체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이미지에 기초하여, 가상 공간을 생성하고, 상기 가상 공간 내 상기 발광체의 후보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조명을 관리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3 측면은, 본 개시의 제1 측면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전술한 본 개시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IoT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IoT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3차원 공간상에 제공함으로써 직관적, 효율적인 조명 관리를 지원하여,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IoT 디바이스를 위치와 관련시켜 등록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실제 공간을 재현한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를 활용하게 함으로써, 수작업에 의한 정보 입력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조명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발광체가 포함된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성된 가상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 내 발광체의 후보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발광체 그룹과 매핑하여 생성된 위치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고유 식별정보를 위치 정보와 매핑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체가 포함되는 발광체 그룹과 매핑된 위치 정보에 고유 식별정보가 매핑되도록 사용자 입력을 유도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체에 대응하는 후보 위치가 식별되는 것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 없이 고유 식별정보를 위치 정보와 매핑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조명을 관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편의를 위하여 임의로 나타낸 것으로, 본 개시는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조명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명 관리 장치는 고유 식별정보와 매핑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공간(100)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고유 식별정보는, IoT 디바이스인 발광체를 각각 제어하기 위해서 각각의 발광체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한편, 고유 식별정보와 매핑된 위치 정보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9와 관련하여 상세하게 후술된다.
조명 관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IoT 디바이스인 발광체를 하나의 단말로 제어하기 위한 조명 관리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 관리 장치는 실제 공간을 촬영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발광체의 위치를 3차원 가상 공간(100) 내에 재현할 수 있다. 조명 관리 장치는 재현된 가상 공간(100)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IoT 디바이스인 발광체를 직관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사용자를 지원할 수 있다. 기존의 2차원 환경 조명 제어 시스템은 공간별 조명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었으나, 높이 값을 포함한 3차원 위치를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웠으며, 가상 환경에서의 시뮬레이션이 불가능하였는 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를 해소할 수 있다.
한편, 발광체는 빛을 내는 물체로서, 실내 또는 실외 공간을 밝히기 위하여 이용되는 조명을 포함한다. 조명은 백열등, 삼파장 전구, 형광등, LED 등 사람이 소정의 목적을 가지고 특정 위치에 이동형 또는 고정형으로 설치한 모든 종류의 조명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 관리 장치는 가상 공간(100)을 표시하는 조명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조명 관리 인터페이스만으로 실제 공간에서의 조명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조명 현황을 가시화할 수 있다.
한편, 조명 관리 장치는 가상 공간(100)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 내에 관리 대상 조명 아이콘(110, 120, 130)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제 공간에서 제1 벽면의 내측에 두개의 조명이 설치되어 있고, 제2 벽면의 내측에 한 개의 조명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조명 관리 장치는 가상 공간(100)내에 가상으로 구현된 제1 벽면에 두개의 관리 대상 조명 아이콘(110, 120)을 표시하고, 제2 벽면에 한 개의 관리 대상 조명 아이콘(130)을 표시하는 조명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조명 관리 장치는 조명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조명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에 부합하게 조명을 제어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벽면의 좌측 조명을 점등하고, 우측 조명을 소등하길 원하는 경우, 조명 관리 장치는 좌측 조명 아이콘(120)을 점등하도록 하는 사용자 입력 및 우측 조명 아이콘(110)을 소등하도록 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실제 조명을 점등 또는 소등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벽면의 두 조명을 그룹화하여, 제1 벽면의 두 조명을 제어의 단위객체로 설정하도록 의도하는 경우, 조명 관리 장치는 제1 벽면의 두 조명 아이콘(110, 120)을 그룹화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제1 벽면의 두개의 실제 조명을 하나의 제어 단위객체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 관리 장치는 발광체의 고유 식별정보를 위치 정보와 매핑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수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다. 기존의 조명 관리 시스템은 IoT 디바이스인 발광체의 고유 식별정보와 위치 정보를 매핑하는 과정에서, 많은 수작업을 요하였다.
기존의 조명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발광체에 위치 정보를 할당하는 경우, 사용 단계에서 각 발광체의 위치 정보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 및 등록함으로써 발광체의 고유 식별정보와 위치 정보를 매핑하였다. 또는, 생산 단계에서 각 발광체에 위치 정보를 미리 입력하고, 사용 단계에서 발광체를 위치 정보에 따라 알맞은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고유 식별정보와 위치 정보를 매핑하였다. 또는, 발광체의 고유 식별정보 리스트와 위치 정보 리스트를 이용하여 매핑 테이블을 수동으로 제작함으로써 발광체의 고유 식별정보와 위치 정보를 매핑하였다.
즉, 기존 조명 관리 시스템의 경우, 전자적으로 제어의 대상이 되는 발광체를 식별하는 것은 고유 식별정보가 입력된 IoT 게이트웨이를 이용하는 것 만으로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었으나, 해당 발광체를 위치와 관련시켜 사용자의 이용을 도모하는 과정에서는 수작업이 필수적으로 수반되었다. 다시 말해, 제1 채널을 통해 제1 발광체를 점등하는 것은 용이하였으나, 특정 위치에 존재하는 발광체를 제1 발광체로서 제어하기 위해서는 제1 발광체와 제1 발광체의 실제 위치를 매핑시키는 수작업을 요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유 식별정보와 위치 정보를 매핑하는 과정에서, 조명 관리 장치는 발광체의 후보 위치를 포함한 가상 공간(100)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고유 식별정보와 위치 정보를 매핑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 관리 장치는 발광체의 고유 식별정보와 위치 정보를 자동으로 매핑할 수 있다.
조명 관리 장치는 발광체의 후보 위치를 포함한 가상 공간(100)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발광체의 고유 식별정보와 발광체의 위치 정보를 매핑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수작업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관리 장치는 고유 식별정보가 1 내지 3인 발광체를 가상 공간(100) 내에 재현하여, 고유 식별정보 1 내지 3에 대응하는 관리 대상 조명 아이콘(110, 120, 130)을 포함하는 가상 공간(100)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제1 관리 대상 조명 아이콘(110)을 제1 위치에, 제2 관리 대상 조명 아이콘(120)을 제2 위치에, 제3 관리 대상 조명 아이콘(130)을 제3 위치에 배치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1 내지 3의 고유 식별정보를 제1 내지 제3 위치와 매핑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조명 관리 장치(210) 및 발광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 관리 장치(210)는, IoT 환경에서 조명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웹 및/또는 앱을 관리하는 모든 종류의 서버를 의미할 수 있으며 각종 관리 플랫폼의 홈페이지 등을 관리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조명 관리 장치(21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가전기기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조명 관리 장치(210)는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시계, 안경, 헤어 밴드 및 반지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촬영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촬영 장치(미도시)는 조명 관리 장치(210)의 일부로서 포함되거나, 조명 관리 장치(210)의 외부에서 조명 관리 장치(210)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조명 관리 장치(210)는 촬영 장치(미도시)로부터 촬영 장치(미도시)가 실제 공간을 촬영함으로써 생성한 발광체(220)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IoT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IoT 게이트웨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oT 게이트웨이(미도시)는 조명 관리 장치(210)의 일부로서 포함되거나, 조명 관리 장치(210)의 외부에서 조명 관리 장치(210)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조명 관리 장치(210)는 발광체(220)에 부여된 고유 식별정보, 외형상 특징, 발광체 그룹, 위치 정보를 매핑하는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IoT 게이트웨이(미도시)를 이용할 수 있다. IoT 게이트웨이(미도시)는 각각의 발광체(220)를 미리 저장된 고유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식별할 수 있다. 한편, IoT 게이트웨이의 미리 저장된 고유 식별정보를 이용한 식별은 전자적 제어의 대상 내지 통신의 대상을 식별하는 것으로서, 이미지상의 식별 또는 위치의 식별과는 구별되는 것일 수 있다.
조명 관리 장치(210)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조명 관리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인터페이스를 조명 관리 장치(210)의 자체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별도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발광체(220)는 앞서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모든 종류의 조명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체(220)는 복수 개로 존재할 수 있으며,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각각의 통신부를 가지는 IoT 디바이스에 해당될 수 있다.
발광체(220)는 다른 발광체와 구별되는 외형상 특징을 가질 수 있으며, 외형상 특징은 모양, 크기, 조도 및 색온도 등 이미지상 식별되는 특징일 수 있다. 발광체(220)는 외형상 특징에 따라 구별되는 복수 개의 발광체 그룹 중 하나의 발광체 그룹에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조명 관리 장치(210), 발광체(220), 촬영 장치(미도시) 및 IoT 게이트웨이(미도시)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및 이들의 상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도 2에 도시된 각 구성들(210, 220)이 서로 원활하게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포괄적인 의미의 데이터 통신망이며,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및 모바일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무선 랜(Wi-Fi),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명 관리 장치(210)는 네트워크를 통해 발광체(220), 촬영 장치(미도시) 및 IoT 게이트웨이(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11에서 설명되는 조명 관리 장치(210)의 동작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관리 장치(21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발광체(220)에 제어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발광체(220)를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 관리 장치(210)는 발광체(220)와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발광체(220)가 외형상 특징을 갖도록 조정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발광체가 포함된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조명 관리 장치(210)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체(311)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310, 320)를 획득할 수 있다. 조명 관리 장치(210)는 3차원 이미지 또는 2차원 이미지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310, 320)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310, 320)는, 모양, 크기, 조도 및 색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발광체(311)의 외형상 특징이 식별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이미지(310, 320)는 촬영 장치가 발광체(311)가 존재하는 실제 공간을 촬영함으로써 생성한 것일 수 있다. 촬영 장치는 발광체(311)를 포함하여 피사체에 반사된 전자기파를 이용함으로써 이미지(310, 320)를 생성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시광선을 이용하는 촬영 장치 및 적외선, 자외선 및 엑스선을 포함하는 비가시광선 전자기파를 이용하는 촬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조명으로 사용되는 발광체(311)를 촬영할 경우 촬영 장치는 가시광선을 이용하는 장치일 수 있으나, 촬영 장치의 종류는 발광체(311)의 외형상 특징을 식별할 수 있는 전자기파의 파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관리 장치(210)는 이미지(310, 320)를 이용하여 발광체(311)의 외형상 특징, 예를 들어 모양, 크기, 조도, 색온도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촬영 장치는 발광체(311)의 외형상 특징이 식별될 수 있을 정도의 해상도를 갖는 이미지(310, 320)를 생성할 수 있다.
조명 관리 장치(210)는 발광체(311)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제 공간 이미지(310, 320)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관리 장치(210)는 직육면체 형태의 실내 공간의 한 꼭짓점에서 촬영한 이미지(310)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조명 관리 장치(210)는 직육면체 형태의 실내 공간의 한 꼭짓점에서 촬영한 이미지(310)를 획득하고, 다른 꼭짓점에서 촬영한 이미지(320)를 함께 획득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성된 가상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조명 관리 장치(210)는 획득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가상 공간(400)을 생성할 수 있다.
조명 관리 장치(210)는 획득된 이미지 및 3차원 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가상 공간(400)을 생성할 수 있으며, 가상 공간(400)은 발광체가 존재하는 공간을 재현한 3차원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 관리 장치(210)는 직육면체를 포함하는 소정의 형태의 실내 공간을 재현한 가상 공간(400)을 생성할 수 있다. 실내 공간이 복수 개의 단위 공간으로 구획된 경우, 조명 관리 장치(210)는 단위 공간 각각을 촬영한 이미지를 획득하여 복수 개의 가상 단위 공간을 포함하는 가상 공간(400)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조명 관리 장치(210)는 3차원 그리드 좌표를 가지는 가상 공간(400)을 생성할 수 있다. 3차원 그리드 좌표는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z축을 갖는 좌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3차원 공간상의 좌표를 나타낼 수 있는 모든 그리드 좌표를 포함한다. 조명 관리 장치(210)는 획득된 이미지를 생성한 촬영 장치의 위치 및 촬영 방향을 입력 받음으로써 가상 공간의 그리드 좌표를 설정할 수 있다.
조명 관리 장치(210)는 획득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실제 공간을 재현한 가상 공간(400)을 생성하고, 생성된 가상 공간(400)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조명 관리 장치(210)는 획득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실제 공간상의 발광체 위치에 대응하는 가상 공간 내 후보 위치(410)를 함께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조명 관리 장치(210)는 가상 공간(400) 내에 후보 위치(410)가 함께 표시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발광체의 고유 식별정보와 위치 정보를 손쉽게 매핑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 내 발광체의 후보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조명 관리 장치(210)는 생성된 가상 공간(500) 내 발광체의 후보 위치(510)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후보 위치(510)는 실제 공간의 발광체 위치와 대응하는 가상 공간(500) 내에서의 특정한 위치를 의미하며, 위치 정보는 후보 위치(510)의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 관리 장치(210)는 획득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가상 공간(500)을 생성할 수 있고, 가상 공간(500) 내의 후보 위치(510)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조명 관리 장치(210)는 획득된 이미지상에서 조도가 임계 값보다 큰 영역의 중심점을 후보 위치(510)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조명 관리 장치(210)는 획득된 발광체의 이미지를 생성된 가상 공간(500)과 관련하여 분석함으로써 후보 위치(510)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관리 장치(210)는, 1차적으로 발광체의 위치로 추정되는 위치 주변에서 예측되는 반사 경향과 실제 이미지상 반사 경향을 비교하여, 2차적으로 발광체의 위치를 추정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후보 위치(510)를 결정할 수 있다.
조명 관리 장치(210)는 결정된 후보 위치(510)의 좌표 값을 위치 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관리 장치(210)는 생성된 가상 공간(500) 내에서 가상 공간(500)의 밑면 및 옆면을 기준으로 하여 x축, y축, z축을 설정하고, 결정된 후보 위치(510)의 3차원 그리드 좌표 (x, y, z)를 위치 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발광체 그룹과 매핑하여 생성된 위치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발광체는, 외형상 구별되는 특징을 갖는 복수 개의 발광체 그룹 중 하나의 발광체 그룹에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발광체 그룹을 구별하는 외형상 특징은 발광체의 모양, 크기, 조도, 색온도 등 발광체의 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식별될 수 있는 모든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체는 모양이 원형인 발광체 그룹과 선형인 발광체 그룹 중 한 그룹에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발광체 그룹 리스트(612)는 외형상 특징인 원형 및 선형 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발광체 그룹은 외형상 특징에 의해 구별되는 바, 발광체 그룹에 관한 정보는 외형상 특징에 관한 정보와 동일하거나 적어도 밀접하게 관련된 것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조명리스트 A(610)는 발광체의 고유 식별정보 리스트(611)와 발광체 그룹 리스트(612)의 매핑 관계를 표시하는 테이블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리스트 A(610)는 고유 식별정보가 1 내지 8에 해당하는 발광체는 모양이 원형인 발광체 그룹에 포함되고, 고유 식별정보가 9 내지 16에 해당하는 발광체는 모양이 선형인 발광체 그룹에 포함되는 매핑 관계를 표시하는 테이블에 해당될 수 있다.
IoT 디바이스인 발광체가 생산되는 경우, 각 발광체의 모양 또는 크기에 관한 정보는 발광체 각각의 고유 식별정보와 미리 매핑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고유 식별정보 리스트(611)와 발광체 그룹 리스트(612)는 별도의 사용자 동작을 요구하지 않고 매핑될 수 있다.
조명 관리 장치(210)는 복수 개의 발광체 그룹과 매핑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관리 장치(210)는 복수 개의 위치 정보를 하나의 발광체 그룹에 대응하도록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조명리스트 B(620)는 위치 정보 리스트(621), 발광체 그룹 리스트(622) 및 고유 식별정보 리스트(623)의 매핑 관계를 표시하는 테이블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조명 관리 장치(210)는 복수 개의 발광체 그룹이 존재하는 가상 공간(630)을, 발광체 그룹에 따라 구별되는 후보 위치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리스트 B(620)의 상단 8개 위치 정보는 가상 공간(630)의 상단에 도시된 8개의 제1 발광체 그룹 후보 위치(631)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일 수 있으며, 조명리스트 B(620)의 하단 8개 위치 정보는 가상 공간(630)의 하단에 도시된 8개의 제2 발광체 그룹 후보 위치(632)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일 수 있다. 조명 관리 장치(210)는 제1 발광체 그룹 후보 위치(631) 및 제2 발광체 그룹 후보 위치(632)를 포함하는 가상공간(630)을 표시할 수 있다.
조명 관리 장치(210)는 가상 공간(630)을 생성하고, 발광체 그룹에 따른 후보 위치를 포함하는 가상 공간(630)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조명 관리 장치(210)는 제1 발광체 그룹 후보 위치(631)를 가상 공간(630) 내에 표시할 수 있으며, 제2 발광체 그룹 후보 위치(632)를 제1 발광체 그룹 후보 위치(631)와 구별되게 가상 공간(630) 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조명 관리 장치(210)는 가상 공간(630)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와 함께 제1 발광체 그룹 후보 위치(631)는 원형 발광체 그룹의 후보 위치이며, 제2 발광체 그룹 후보 위치(632)는 선형 발광체 그룹의 후보 위치인 것임을 표시하는 별도의 인터페이스(미도시)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조명 관리 장치(210)는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발광체의 외형상 특징을 식별함으로써, 어떤 후보 위치가 어떤 외형상 특징을 갖는 발광체 그룹의 후보 위치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관리 장치(210)는 실제 공간의 상단 8개 위치에 원형 모양의 외형상 특징을 갖는 발광체가 존재하고, 실제 공간의 하단 8개 위치에 선형 모양의 외형상 특징을 갖는 발광체가 존재하는 것을 식별함으로써, 가상 공간(630)의 상단 8개 후보 위치(631)가 원형 모양 발광체의 후보 위치에 해당하고, 하단 8개 후보 위치(632)가 선형 모양 발광체의 후보 위치에 해당하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조명 관리 장치(21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또는 생산 단계에서의 입력에 의해, 조명리스트 A(610)에서 확인되는 것과 같이 고유 식별정보와 발광체 그룹을 매핑할 수 있다.
조명 관리 장치(210)는 획득된 실제 공간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발광체의 외형상 특징을 식별함으로써 조명리스트 B(620)에서 확인되는 것과 같이 발광체 그룹과 매핑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조명 관리 장치(210)는 조명리스트 B(620)에서 확인되는 것과 같이 외형상 특징에 따라 구별되는 발광체 그룹을 매개로 하여, 고유 식별정보와 위치 정보를 매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리스트 A(610)의 상단 8개 고유 식별정보를 가지는 발광체가 원형 특징을 갖는 발광체 그룹에 포함되면, 조명 관리 장치(210)는 원형 특징을 갖는 것으로 식별된 조명리스트 B(620)의 상단 8개 후보 위치의 위치 정보를 조명리스트 A(610)의 상단 8개 고유 식별정보와 매핑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고유 식별정보를 위치 정보와 매핑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조명 관리 장치(210)는 발광체에 부여된 고유 식별정보를 위치 정보와 매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관리 장치(210)는 발광체의 고유 식별정보를 하나의 후보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와 매핑할 수 있다.
조명 관리 장치(21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고유 식별정보를 위치 정보와 매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관리 장치(210)는 후보 위치(711)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공간을 표시하는 제1 영역(710) 및 고유 식별정보 리스트(722)를 표시하는 제2 영역(720)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조명 관리 장치(210)는 제1 영역(710) 및 제2 영역(720)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고유 식별정보를 위치 정보와 매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은 드래그 앤드 드롭(Drag-and-drop) 방식을 통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관리 장치(210)는 사용자가 3에 해당하는 고유 식별정보를 드래그(Drag) 하여 가상 공간 내 하나의 후보 위치(711)에 드롭(Drop)하는 경우, 드롭된 후보 위치(711)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드래그 된 고유 식별정보와 매핑할 수 있다. 이때, 조명 관리 장치(210)는 제2 영역(720)에 현재 사용자가 드래그 중인 고유 식별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활성 표시 영역(721)을 고유 식별정보 리스트(722)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체가 포함되는 발광체 그룹과 매핑된 위치 정보에 고유 식별정보가 매핑되도록 사용자 입력을 유도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조명 관리 장치(210)는 발광체가 포함되는 발광체 그룹과 매핑된 위치 정보에 고유 식별정보가 매핑되도록 사용자 입력을 유도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조명리스트(820)는 고유 식별정보 리스트(822) 및 발광체 그룹 리스트(823)의 매핑 관계를 표시하는 테이블에 해당될 수 있다. 조명 관리 장치(82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고유 식별정보를 위치 정보와 매핑하기 위하여, 조명리스트(820)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조명 관리 장치(210)는 현재 사용자 입력에 의해 매핑중인 고유 식별정보를 표시하는 활성화 표시 영역(821)을 더 포함하여 조명리스트(820)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제 공간에 16개의 발광체가 존재하고, 고유 식별정보가 1 내지 8인 발광체는 원형 발광체 그룹에 포함되며, 고유 식별정보가 9 내지 16인 발광체는 선형 발광체 그룹에 포함되는 경우, 조명 관리 장치(21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원형 발광체 그룹에 포함되는 발광체의 고유 식별정보를 원형 발광체 후보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와 매핑하기 위해 조명리스트(820)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조명 관리 장치(210)는 발광체가 포함되는 발광체 그룹과 매핑된 위치 정보에 고유 식별정보가 매핑되도록 사용자 입력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정의 발광체에 부여된 고유 식별정보를 소정의 발광체가 포함되지 않는 발광체 그룹의 후보 위치에 연결하는 사용자 입력을 시도하는 경우, 조명 관리 장치(210)는 상기 사용자 입력 시도시에, 사용자에게 문자, 기호 등 직관적인 표시를 인터페이스상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조명 관리 장치(210)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불가능하도록 상기 소정의 발광체가 포함되지 않는 발광체 그룹의 후보 위치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또는, 조명 관리 장치(210)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무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 관리 장치(210)는 드래그 앤드 드롭 방식으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원형 발광체 그룹에 포함되는 발광체 중, 한 발광체에 부여된 고유 식별정보 1을 드래그 하는 경우, 조명 관리 장치(210)는 원형 발광체 그룹과 매핑된 위치 정보를 가지는 후보 위치(811)만을 활성화하고, 원형 발광체 그룹과 매핑되지 않은 위치 정보를 가지는 후보 위치(812)는 비활성화 함으로써 발광체가 포함되는 원형 발광체 그룹과 매핑된 위치 정보에 고유 식별정보가 매핑되도록 사용자 입력을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활성화는 원형 발광체 그룹과 매핑되지 않은 위치 정보를 가지는 후보 위치(812)에는 원형 발광체 그룹에 포함되는 발광체에 부여된 고유 식별정보를 드롭할 수 없도록 후보 위치를 비활성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는, 조명 관리 장치(210)는 사용자가 원형 발광체 그룹에 포함되는 발광체 중, 한 발광체에 부여된 고유 식별정보 1을 드래그 하는 경우, 원형 발광체 그룹과 매핑되지 않은 위치 정보를 가지는 후보 위치(812)에 겹쳐 X 표시를 함으로써 발광체가 포함되는 원형 발광체 그룹과 매핑된 위치 정보에 고유 식별정보가 매핑될 수 있도록 사용자 입력을 유도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체에 대응하는 후보 위치가 식별되는 것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 없이 고유 식별정보를 위치 정보와 매핑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발광체는, 외형상 각각 구별되는 특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외형상 각각 구별되는 특징은 모양, 크기, 조도, 색온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가상 공간 내(910)에 표시된 4개의 발광체 후보 위치는 제1 후보 위치(911), 제2 후보 위치(912), 제3 후보 위치(913) 및 제4 후보 위치(914)로서, 각각 다른 발광체와 구별되는 외형상 특징을 갖는 발광체의 후보 위치를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조명 관리 장치(210)는 각각 구별되는 외형상 특징에 기초하여, 하나의 발광체에 하나의 후보 위치가 대응되도록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조명 관리 장치(210)는 각각의 발광체에 대응하는 후보 위치가 식별되는 것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 없이, 고유 식별정보를 위치 정보와 매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 발광체가 제1 내지 제4 특징을 갖는 경우, 조명 관리 장치(210)는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제1 내지 제4 특징에 각각 대응하는 제1 내지 제4 후보 위치를 각각 나타내는 제1 내지 제4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조명 관리 장치(210)는 제1 내지 제4 발광체에 각각 대응하는 제1 내지 제4 후보 위치를 식별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제1 발광체의 고유 식별정보를 제1 후보 위치를 나타내는 제1 위치 정보와 매핑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내지 제4 발광체의 고유 식별정보를 각각 제2 내지 제4 위치 정보와 매핑할 수 있다.
조명 관리 장치(210)는 발광체가 외형상 각각 구별되는 특징을 갖도록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체가 제어 신호에 따라 조도와 색온도가 조정될 수 있는 조명인 경우, 조명 관리 장치(210)는 고유 식별정보가 1인 발광체의 조도를 a1, 색온도를 a2로 조정하고, 고유 식별정보가 2인 발광체의 조도를 b1, 색온도를 b2로 조정하고, 고유 식별정보가 3인 발광체의 조도를 c1, 색온도를 c2로 조정하고, 고유 식별정보가 4인 발광체의 조도를 d1, 색온도를 d2로 조정할 수 있다.
조명 관리 장치(210)는 외형상 특징이 조정된 발광체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관리 장치(210)는 조명 관리 장치(210)에 의해 조도 및 색온도가 조정된 상기 네 개의 발광체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조명 관리 장치(210)는 각각의 발광체가 모두 서로 구별되는 외형상 특징을 갖도록 조정하고, 조정된 발광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각각의 발광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발광체의 고유 식별정보와 위치 정보를 매핑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조명리스트(920)는 고유 식별정보 리스트(921), 위치 정보 리스트(922), 외형상 특징 리스트(923)의 매핑 관계를 표시하는 테이블에 해당될 수 있다.
고유 식별정보 리스트(921)는 외형상 특징 리스트(923)와 사용자 입력 또는 생산단계에서의 입력에 의해 미리 매핑될 수 있다. 한편, 조명 관리 장치(210)에 의해 각각의 발광체가 모두 서로 구별되는 외형상 특징을 갖도록 조정되는 경우에는, 조명 관리 장치(210)가 송신한 조정 신호를 기록함으로써 고유 식별정보와 외형상 특징을 매핑할 수 있다. 조명 관리 장치(210)는 기록된 조정 신호에 의해 어떤 고유 식별정보를 갖는 발광체가 어떤 외형상 특징을 갖도록 조정되었는지 식별할 수 있으므로, 고유 식별정보와 외형상 특징을 매핑할 수 있다.
한편 조명 관리 장치(210)는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외형상 특징 리스트(923)과 위치 정보 리스트(922)를 매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관리 장치(210)는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제1 내지 제4 특징에 각각 대응하는 제1 내지 제4 후보 위치를 나타내는 제1 내지 제4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제1 내지 제4 특징과 제1 내지 제4 위치 정보를 매핑할 수 있다.
따라서, 조명 관리 장치(210)는 이미지 분석에 의해 식별된 외형상 특징을 매개로 하여, 고유 식별정보와 위치 정보를 매핑할 수 있다. 또한, 조명 관리 장치(210)는 조명 관리 장치(210)에 의해 조정된 발광체의 외형상 특징을 매개로 하여, 고유 식별정보와 위치 정보를 매핑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조명을 관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 1010에서, 조명 관리 장치(210)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체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발광체는, 외형상 구별되는 특징을 갖는 복수 개의 발광체 그룹 중 하나의 발광체 그룹에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발광체는, 외형상 각각 구별되는 특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조명 관리 장치(210)는 발광체가 외형상 각각 구별되는 특징을 갖도록 조정할 수 있다.
조명 관리 장치(210)는 조정된 발광체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미지는, 모양, 크기, 조도 및 색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발광체의 외형상 특징이 식별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단계 1020에서, 조명 관리 장치(210)는 이미지에 기초하여, 가상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1030에서, 조명 관리 장치(210)는 가상 공간 내 발광체의 후보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조명 관리 장치(210)는 복수 개의 발광체 그룹과 매핑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조명 관리 장치(210)는 특징에 기초하여, 하나의 발광체에 하나의 후보 위치가 대응되도록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조명 관리 장치(210)는 발광체에 부여된 고유 식별정보를 위치 정보와 매핑할 수 있다.
조명 관리 장치(21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고유 식별정보를 위치 정보와 매핑할 수 있다.
조명 관리 장치(210)는 발광체가 포함되는 발광체 그룹과 매핑된 위치 정보에 고유 식별정보가 매핑되도록 사용자 입력을 유도할 수 있다.
조명 관리 장치(210)는 발광체에 대응하는 후보 위치가 식별되는 것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 없이, 고유 식별정보를 위치 정보와 매핑할 수 있다.
조명 관리 장치(210)는 고유 식별정보와 매핑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공간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조명 관리 장치(1100)는 프로세서(1110), 메모리(1120) 및 통신 모듈(11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의 조명 관리 장치(1100)에는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 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조명 관리 장치(1100)는 도 2의 조명 관리 장치(210)와 대응될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조명 관리 장치(1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10)는 메모리(112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메모리(1120), 통신 모듈(1130), 입력부(미도시), 디스플레이(미도시), 촬영 장치(미도시), IoT 게이트웨이(미도시)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조명 관리 장치(1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도 1 내지 도 11에서 설명되는 조명 관리 장치(1100)의 동작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120)는 조명 관리 장치(1100) 내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하드웨어로서, 프로세서(111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20)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CD-ROM, 블루레이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30)은 외부 서버 또는 외부 장치와 유선/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1130)은, 근거리 통신부(미도시), 이동 통신부(미도시) 및 방송 수신부(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개시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개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개시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개시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실제 공간에 설치된 복수 개의 발광체에 대하여, 상기 발광체가 외형상 각각 구별되는 특징을 갖도록 조정하는 단계;
    상기 외형상 각각 구별되는 특징을 갖는 복수 개의 발광체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에 기초하여, 가상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상 공간 내 상기 발광체의 후보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외형상 각각 구별되는 특징을 식별함으로써 상기 발광체에 대응하는 상기 후보 위치가 식별되는 경우,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상기 발광체에 부여된 고유 식별정보를 상기 위치 정보와 매핑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고유 식별정보는 상기 발광체를 제어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조명을 관리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상기 외형상 각각 구별되는 특징이 식별될 수 있는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외형상 각각 구별되는 특징은 모양, 크기, 조도 및 색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고유 식별정보와 매핑된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가상 공간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외형상 각각 구별되는 특징에 기초하여, 하나의 발광체에 하나의 후보 위치가 대응되도록 상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동작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실제 공간에 설치된 복수 개의 발광체에 대하여, 상기 발광체가 외형상 각각 구별되는 특징을 갖도록 조정하고, 상기 외형상 각각 구별되는 특징을 갖는 복수 개의 발광체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이미지에 기초하여, 가상 공간을 생성하고, 상기 가상 공간 내 상기 발광체의 후보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외형상 각각 구별되는 특징을 식별함으로써 상기 발광체에 대응하는 상기 후보 위치가 식별되는 경우,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상기 발광체에 부여된 고유 식별정보를 상기 위치 정보와 매핑하되, 상기 고유 식별정보는 상기 발광체를 제어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조명을 관리하는 장치.
  12. 제 1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220160544A 2022-11-25 2022-11-25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조명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95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0544A KR102595377B1 (ko) 2022-11-25 2022-11-25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조명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230143308A KR20240078320A (ko) 2022-11-25 2023-10-24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조명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0544A KR102595377B1 (ko) 2022-11-25 2022-11-25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조명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3308A Division KR20240078320A (ko) 2022-11-25 2023-10-24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조명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5377B1 true KR102595377B1 (ko) 2023-10-31

Family

ID=8854318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0544A KR102595377B1 (ko) 2022-11-25 2022-11-25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조명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230143308A KR20240078320A (ko) 2022-11-25 2023-10-24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조명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3308A KR20240078320A (ko) 2022-11-25 2023-10-24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조명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9537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8887A (ja) * 2009-12-17 2011-06-3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照明設計支援装置および照明設計支援方法
JP2014081924A (ja) * 2012-09-26 2014-05-08 Koizumi Lighting Technology Corp 照明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照明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媒体
JP2022032271A (ja) * 2020-08-11 2022-02-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制御装置、照明システム、端末装置、照明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425153B1 (ko) * 2022-01-27 2022-07-27 한국가상현실 (주) 가상 공간 내의 분할된 영역의 면적을 이용하는 조명 배치 방법
KR102440322B1 (ko) * 2021-11-12 2022-09-05 주식회사 플럭시티 디지털 트윈 환경에 기반한 조명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8887A (ja) * 2009-12-17 2011-06-3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照明設計支援装置および照明設計支援方法
JP2014081924A (ja) * 2012-09-26 2014-05-08 Koizumi Lighting Technology Corp 照明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照明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媒体
JP2022032271A (ja) * 2020-08-11 2022-02-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制御装置、照明システム、端末装置、照明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440322B1 (ko) * 2021-11-12 2022-09-05 주식회사 플럭시티 디지털 트윈 환경에 기반한 조명 제어 시스템
KR102425153B1 (ko) * 2022-01-27 2022-07-27 한국가상현실 (주) 가상 공간 내의 분할된 영역의 면적을 이용하는 조명 배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8320A (ko) 2024-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7362B2 (en) Wireless lighting control system
US9041731B2 (en) Method and a user interaction system for controlling a lighting system,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RU2557084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нтерактивным освещением
JP6207762B2 (ja) 近接ベースの照明制御
RU2622405C2 (ru) Дистанционное управление источником света
RU2733649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осветитель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EP3375253B1 (en) Image based lighting control
CN109156068B (zh) 用于控制照明设备的方法和系统
US20200265647A1 (en) Augmented Reality-Based Lighting System Design And Commissioning
US20180220511A1 (en) Lighting device with context based light output
KR20210083574A (ko) 가상 공간 인테리어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US20230284361A1 (en) A method of configuring a plurality of parameters of a lighting device
KR102595377B1 (ko)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조명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95765B1 (ko) 네트워크 맵을 이용한 빌딩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3424660B (zh) 用于控制光源的控制器及其方法
US20200126264A1 (en) A system for rendering virtual objects and a method thereof
US20230142829A1 (en) Autonomous room boundary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with low resolution sensors
JP7126507B2 (ja) 照明デバイスを介して仮想オブジェクトの存在を示すためのコントローラ及びそ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