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904B1 -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904B1
KR102594904B1 KR1020210164397A KR20210164397A KR102594904B1 KR 102594904 B1 KR102594904 B1 KR 102594904B1 KR 1020210164397 A KR1020210164397 A KR 1020210164397A KR 20210164397 A KR20210164397 A KR 20210164397A KR 102594904 B1 KR102594904 B1 KR 102594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water level
water
heater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4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7282A (ko
Inventor
김범준
차승철
김선우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4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904B1/ko
Priority to PCT/KR2022/014879 priority patent/WO2023096138A1/ko
Priority to AU2022396999A priority patent/AU2022396999A1/en
Publication of KR20230077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7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D06F39/00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ter fil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5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54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ter fil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캐비닛과, 캐비닛 내부에 위치되며 대상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대상물 수용부 외부에 위치되고, 수용부로 공급되기 위한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스팀발생장치는 스팀수를 수용하며, 가열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을 덮는 커버와, 제 1수위의 하부에서 스팀수를 가열하는 제 1히터와, 제 1수위의 상부에서 제 1히터에 의해 가열된 스팀수 또는 스팀을 가열하는 제 2히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steam generator and a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로 다른 용량의 히터를 구비하여 발생된 스팀을 2차 가열함으로써 과열하여 과열스팀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급수된 세탁수와 세제의 작용을 통해 의류에 묻은 오염물을 분리시키는 세탁장치, 젖은 의류에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시키는 건조장치 및 물에 의한 세탁이 아닌 열풍이나 스팀을 이용하여 의류를 리프레시하는 의류관리장치를 포함하는 가전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최근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스팀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의류의 살균, 냄새제거 및 주름제거 등이 가능한 것이 있는데, 종래 스팀발생장치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저장공간, 저장된 물과 직접 접촉되도록 상기 저장공간 내부에 구비되는 히터를 포함하는 구조였다.
여기서, 스팀발생장치는 스팀을 발생시켜 의류나 식기와 같은 대상물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그리고, 스팀은 대상물을 가열하는 가열원 그리고 대상물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 공급원으로의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은 세탁장치뿐만 아니라 다양한 가전제품으로 확장될 수 있다.
즉, 스팀발생장치는 세탁장치에 구비되어 고온의 스팀을 생성하여 세탁물의 세탁행정 중에 스팀을 제공함으로써 세탁 효과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건조 기능을 갖는 세탁장치, 즉 건조장치나 의류관리장치 등과 같은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어 스팀을 제공하여 주름이나 냄새를 제거함으로써 새 옷과 같은 느낌을 주는 리프레쉬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의류처리장치의 대표적인 예로 세탁장치를 중심으로 기술하며, 다른 장치와 배타적이고 모순되지 않는 한 다른 세탁장치, 건조장치, 의류관리장치 및 가전제품으로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장치용 스팀발생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장치를 간략히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팀발생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팀발생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스팀발생장치가 구비된 세탁장치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 내에 수평으로 지지되어 세탁수를 저장하는 원통형의 터브(12)와, 상기 터브(12)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드럼(14)과, 상기 드럼(14)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발생장치(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드럼은 대상물을 수용하는 수용부로써, 세탁 대상물인 의류 등을 수용하게 된다. 그리고, 건조장치에서는 건조 대상물인 의류 등을 수용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리프레시를 위해서는 마른 의류가 대상물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용부는 이의 형상, 대상물의 종류, 가전제품의 기능과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한 구성으로 확장될 수 있다. 즉, 식기가 수용되는 수용부, 리프레시를 위한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부, 수직 세탁장치의 내조 등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에는, 전면에 세탁물을 투입 및 반출할 수 있도록 드럼(14) 내부와 연통되는 투입구(18)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18)를 개폐 가능하도록 도어(20)가 전방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는 상기 스팀발생장치(16)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밸브(22)와 급수호스(2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스팀발생장치(16)의 일측에는 상기 스팀발생장치(16)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드럼(14) 내부로 안내하여 분사하기 위한 통로가 되는 스팀공급관(26)이 연결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스팀발생장치(16)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스팀발생장치(16)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스(28)와, 상기 하부케이스(28)의 상부와 결합되는 상부케이스(30)와, 상기 스팀발생장치(16)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케이스(28)에는 급수호스(24)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급수구(34)와 스팀발생장치(16) 내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스팀공급관(26)으로 토출하는 스팀토출구(36)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히터(32)는 상기 하부케이스(28)의 저부에 하부케이스(28) 바닥면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히터(32)는 상기 스팀발생장치(16)에 물이 공급되면 물에 완전히 잠긴 상태에서 물을 가열하도록 작동된다.
상기 히터의 장착 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으로 형성된 케이스(28,30)의 측면 중 면적인 좁은 일측면을 통하여 장방향으로 히터(32)가 상기 케이스 내부로 상기 하부케이스의 저부와 평행하게 삽입된다. 물론, 상기 히터가 삽입되는 측면에는 누수 등이 방지되도록 밀봉될 것이며, 상기 히터에는 단자(35)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될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케이스(28)의 바닥면에는 브라켓이 구비되는데, 상기 브라켓 내부로 상기 히터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히터(32)는 일측이 상기 브라켓(33)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 상부케이스(28)의 일측에는 스팀발생장치(16)내에 저장된 물위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40)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케이스(28)의 중앙부에는 상기 히터(32)에 의해 가열되는 물과 스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42)가 구비된다.
상기 수위센서(40)은 고수위와 저수위를 센싱하도록 고수위 전극봉(40c), 저수위 전극봉(40b) 그리고 공통 전극봉(4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수위센서(40)을 둘러싸는 격벽(45, 46)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들은 센싱되는 수위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수위감지 시의 오차를 줄이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스팀발생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세탁장치의 세탁행정이 시작되면, 급수구(34)를 통하여 스팀발생장치(16) 내부로 물이 유입된다.
상기 스팀발생장치(16) 내부로 유입된 물은 히터(32)에 의해 가열되어 스팀로 변환되며, 상기 스팀는 상기 스팀토출구(36)를 통해 세탁물이 수용된 드럼(14) 내부로 유입되어 세탁물의 포적심 및 불림 작용을 하여 세탁효율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상기 스팀토출구(36)으로 토출되는 스팀은 고온의 스팀이다. 물론 상기 스팀토출구의 전 또는 후에 스팀의 압력에 의해 개폐되는 토출밸브가 구비된다면 상기 스팀토출구로 토출되는 스팀은 고온 고압의 스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어느 경우나 자체 압력에 의해 드럼으로 스팀이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세탁물의 포적심 및 불림 작용을 완료한 후에는 스팀발생장치(16)의 작동을 중지하고, 일련의 본 세탁행정을 수행하여 세탁물의 세탁을 완료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팀발생장치는 저장공간 내부에 일정량의 물을 채운 뒤 히터를 작동시키게 되므로 저장공간 내부의 물이 모두 채워진 상태에서 히터를 작동하여 저장된 물이 끓어야만 스팀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였다.
따라서, 종래 스팀발생장치는 스팀을 발생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스팀발생장치에서 배출되는 스팀의 온도를 조절하기 어려운 구조였다.
또한, 종래 스팀발생장치는 스팀을 발생시킴에 있어 고정된 용량의 히터만을 구비하고 있어 세탁물의 양에 따라 스팀의 발생량을 조절하기가 어려웠으며, 세탁물이 양이 많을 경우 적정양의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스팀발생장치는 히터에 의해 가열된 물이 끓으면서 발생되는 스팀만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는 스팀의 온도가 비교적 낮아 스팀의 공급거리(즉, 스팀공급관)가 길어질 경우 스팀 공급거리에 따라 스팀의 온도가 저하되어 스팀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스팀발생장치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구조적 한계에 의하여 불포화 스팀을 생성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세탁물 및 세탁수의 빠른 가열을 위하여 100℃이상의 과열스팀을 이용하는 것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스팀발생장치의 경우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구조적 한계에 의하여 불포화 스팀을 생성할 수밖에 없는 구조로 최근 대두되고 있는 살균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100℃이상의 과열스팀을 이용하는 것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의류 처리시 필요한 스팀 용량에 따라 스팀 발생량을 조절하여 필요한 스팀 용량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통상의 스팀수가 공급됨에 따라 예열 및 가열 과정을 통하여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스팀을 발생시킬 수 있는 스팀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통상의 스팀수가 공급됨에 따라 소용량 또는 대용량의 스팀을 공급할 수 있는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이하여 안출된 것으로, 통상의 스팀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과열스팀을 생성하여 공급할 수 있는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발생된 스팀을 2차 가열함으로써 과열스팀을 생성할 수 있는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통상의 스팀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과열스팀을 생성하여 스팀의 이동거리가 길어지더라고 고온의 스팀을 공급할 수 있는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적은 양은 물을 이용하여 스팀을 생성하고, 생성된 스팀을 2차 가열하여 과열스팀을 생성할 수 있는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되며 대상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대상물 수용부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수용부로 공급되기 위한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스팀수를 수용하며 가열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가열공간을 덮는 커버; 제 1수위에서 상기 스팀수를 예열하거나, 상기 스팀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제 1히터; 상기 제 1수위보다 높은 제 2수위의 스팀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거나, 상기 제 1수위에서 발생되는 스팀을 상기 제 1수위와 상기 제 2수위 사이의 공간에서 가열하여 과열스팀을 생성하는 제 2히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상기 가열공간에 급수되는 스팀수의 상기 제 1수위 및 상기 제 2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위감지부는 상기 제 1수위를 감지하는 제 1수위 전극과, 상기 제 2수위를 감지하는 제 2수위 전극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히터는 상기 제 1수위 전극의 수위 감지에 따라 상기 제 1수위의 스팀수를 예열 및 가열하고, 상기 제 2히터는 상기 제 2수위 전극의 수위 감지에 따라 제 2수위의 스팀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상기 가열공간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스팀의 발생을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히터는 상기 온도센서의 스팀 감지에 따라 상기 제 1수위의 상부에서 스팀을 가열하여 과열스팀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상기 제 1수위에서 발생되는 스팀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하부 격벽; 상기 제 2히터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 격벽과 함께 상기 스팀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상부 격벽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 2히터는 상기 하부 격벽과 상기 상부 격벽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 격벽과 상기 상부 격벽 사이를 이동하는 상기 스팀을 가열하여 과열스팀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격벽 및 상기 상부 격벽은 상기 스팀 및 상기 과열스팀을 확산시키도록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격벽은 일측이 개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 격벽을 타측이 개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제 1수위에서 생성되는 상기 스팀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되며 대상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대상물 수용부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수용부로 공급되기 위한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스팀수를 수용하며 가열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가열공간을 덮는 커버; 상기 가열공간에 급수되는 스팀수의 제 1수위 및 상기 제 1수부보다 높은 제 2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 상기 제 1수위의 하부에서 스팀수를 가열하는 제 1히터; 상기 제 1수위의 상부에서 상기 제 1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발생된 스팀을 가열하여 과열스팀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제 2수위까지 급수된 상기 스팀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제 2히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위감지부는 상기 제 1수위를 감지하는 제 1수위 전극과, 상기 제 2수위를 감지하는 제 2수위 전극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히터는 상기 제 1수위 전극의 수위 감지에 따라 상기 제 1수위의 스팀수를 예열 및 가열하고, 상기 제 2히터는 상기 제 2수위 전극의 수위 감지에 따라 제 2수위의 스팀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상기 가열공간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스팀의 발생을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히터는 상기 온도센서의 스팀 감지에 따라 상기 제 1수위의 상부에서 스팀을 가열하여 과열스팀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상기 제 1수위에서 발생되는 스팀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하부 격벽; 상기 제 2히터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 격벽과 함께 상기 스팀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상부 격벽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히터는 상기 하부 격벽과 상기 상부 격벽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 격벽과 상기 상부 격벽 사이를 이동하는 상기 스팀을 가열하여 과열스팀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격벽 및 상기 상부 격벽은 상기 스팀 및 상기 과열스팀을 확산시키도록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격벽은 일측이 개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 격벽을 타측이 개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제 1수위에서 생성되는 상기 스팀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히터는 상기 하부 격벽과 상기 상부 격벽 사이를 유동하는 스팀을 가열하여 과열스팀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를 이용하는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되며 대상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대상물 수용부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수용부로 공급되기 위한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급수된 스팀수를 수용하는 함체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덮는 커버;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1히터; 상기 제 1히터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부 격벽; 상기 하부 격벽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2히터; 상기 제 2히터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격벽;을 구비하며, 상기 제 1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발생되는 스팀은 상기 하부 격벽과 상기 상부 격벽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2히터에 의해 과열스팀으로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격벽은 상기 제 1히터에 의해 생성되는 스팀이 상기 하부 격벽과 상기 상부 격벽 사이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며, 상기 하부 격벽과 상부 격벽은 은 상기 제 2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스팀 가열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격벽 및 상기 상부 격벽은 상기 스팀 및 상기 과열스팀을 확산시키도록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격벽은 일측이 개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 격벽을 타측이 개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제 1수위에서 생성되는 상기 스팀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를 이용하는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되며 대상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대상물 수용부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수용부로 공급되기 위한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스팀수를 수용하며 가열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가열공간을 덮는 커버; 상기 가열공간에 급수되는 스팀수의 제 1수위 및 상기 제 1수위보다 높은 제 2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 상기 제 1수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1히터; 상기 제 1수위와 상기 제 2수위 사이에 위치하는 제 2히터; 상기 제 1수위와 상기 제 2히터 사이에 위치하는 하부 격벽; 상기 2수위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격벽과 스팀 유로를 형성하는 상부격벽;을 구비하며, 상기 제 2히터는 상기 스팀수가 상기 제 1수위에 위치할 때 상기 제 1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발생되는 스팀을 가열하여 과열스팀을 생성하며, 상기 스팀수가 상기 제 2수위에 위치할 때 상기 제 1히터와 같이 상기 스팀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위감지부는 상기 제 1수위를 감지하는 제 1수위 전극과, 상기 제 2수위를 감지하는 제 2수위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 1히터는 상기 제 1수위 전극의 수위 감지에 따라 상기 제 1수위의 스팀수를 예열 또는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상기 가열공간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스팀의 발생을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히터는 상기 온도센서의 스팀 감지에 따라 상기 제 1수위의 상부에서 스팀을 가열하여 과열스팀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를 이용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가열공간으로 급수되는 스팀수의 제 1수위 및 상기 제 1수위보다 높은 제 2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와, 상기 제 1수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1히터와, 상기 제 1수위와 상기 제 2수위 사이에 위치하는 제 2히터를 구비하는 스팀발생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스팀수를 급수하는 급수단계; 급수되는 스팀수의 제 1수위를 감지하는 제 1수위 감지단계; 상기 제 1수위의 스팀수가 상기 제 1히터에 의해 예열되는 예열단계; 상기 제 1수위보다 높은 제 2수위를 감지하는 제 2수위 감지단계; 상기 제 2수위 감지에 따라 상기 제 2히터에 의해 상기 제 2수위의 스팀수가 가열되어 스팀을 발생시키는 가열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열단계 이후에 상기 스팀수의 수위가 제 2수위를 유지하는지 판단하는 제 2수위 유지 감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수위 유지 감지단계에서 상기 제 2수위보다 수위가 내려갈 경우 추가 스팀수를 급수하는 추가 급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를 이용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가열공간으로 급수되는 스팀수의 제 1수위 및 상기 제 1수위보다 높은 제 2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와, 상기 제 1수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1히터와, 상기 제 1수위와 상기 제 2수위 사이에 위치하는 제 2히터를 구비하는 스팀발생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스팀수를 급수하는 급수단계; 급수되는 스팀수의 제 1수위를 감지하는 제 1수위 감지단계; 상기 제 1수위의 스팀수가 상기 제 1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스팀이 발생되는 가열단계; 상기 제 1수위에서 발생되는 스팀이 제 2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과열스팀을 생성하는 과열스팀생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열단계 이후에 상기 가열공간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스팀의 발생을 감지하는 스팀감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열단계 이후에 상기 스팀수의 수위가 제 1수위를 유지하는지 판단하는 제 1수위 유지 감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수위 유지 감지단계에서 상기 제 2수위보다 수위가 내려갈 경우 추가 스팀수를 급수하는 추가 급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의류 처리시 필요한 스팀 용량에 따라 스팀 발생량을 조절함으로써 스팀 용량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통상의 스팀수가 공급됨에 따라 예열 및 가열 과정을 통하여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스팀을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통상의 스팀수가 공급됨에 따라 소용량 또는 대용량의 스팀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통상의 스팀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과열스팀을 생성하여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발생된 스팀을 2차 가열함으로써 과열스팀을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통상의 스팀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과열스팀을 생성하여 스팀의 이동거리가 길어지더라고 고온의 스팀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적은 양은 물을 이용하여 스팀을 생성하고, 생성된 스팀을 2차 가열하여 과열스팀을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장치를 간략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팀발생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팀발생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의 스팀 발생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의 대용량 스팀 발생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의 과열스팀 발생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에 정의된 각각의 명칭들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 될 수 있다.
먼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기 및 이를 이용한 의류처리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100)는 공급되는 스팀수가 일시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함체형상의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에 체결되어 구비되며 하우징(110)에 저장된 스팀수를 가열하여 스팀(불포화증기 또는 습증기, 이하 '스팀'이라 칭함)을 생성하는 제 1히터(130)와, 하우징(110)에 체결되며 제 1히터(130)에 대하여 상측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하우징(110)에 저장된 스팀수 또는 제 1히터(130)에 의해 발생되는 스팀을 가열하여 과열스팀((과열증기, 이하 '과열스팀'이라 칭함)을 생성하는 제 2히터(140)와, 하우징(110)의 개방면을 커버하는 커버(120)와, 커버(120)에 구비되어 하우징(110)에 저장된 스팀수의 수위를 판단하는 수위감지부(150)와, 제 1히터(130) 및 제 2히터(140)에 의해 발생되는 스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60)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 1히터(130)에 의해 생성되는 스팀은 일반적으로 가장 흔한 형태의 증기의 한 종류로 보통 기화되지 않은 물 분자의 습기를 포함하고 있다. 통상적ㅇ로 3% ~ 5%의 습기를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스팀은 100℃ 내외의 온도를 갖고 있으며, 세탁물 또는 세탁수의 가열과 비교적 저온 살균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 2히터(140)에 의해 생성되는 과열스팀은 스팀에 비하여 높은 온도(적어도 100℃ 이상)으로 기화속도와 액화 속도가 동일할 때 생성된다. 이러한, 과열스팀은 과열스팀의 잠열에 의한 높은 열단달계수에 의해 빠르고 균일한 가열이 가능하며 세탁물 또는 세탁수의 빠른 가열과 비교적 고온 살균에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히터(140)의 하부와 상부에는 제 2히터(140)에 대하여 소정간격 이격되어 제 1히터(130)에서 발생되는 스팀이 일시적으로 체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격벽(180) 및 상부 격벽(19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저장공간의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11)와 측면을 형성하는 측벽(112a, 121b, 112c, 112d)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111)와 측벽(112a, 121b, 112c, 112d)들을 통해 내부 저장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은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장방형의 베이스(111) 그리고, 측벽들로 구성될 수 있다. 장방형이므로 길이 방향이 폭 방향보다 더욱 길다고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길이 방향의 측벽(121b, 112d) 그리고 폭 방향의 측벽(112a, 112c)이 베이스(111)에서 상부로 연장되면서 상부가 개방되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111)와 측벽들(112a, 121b, 112c, 112d)을 통하여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다. 물론, 하우징(110)은 물이 가열됨에 따라 상부 또는 전체에서 스팀을 수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하우징(110)은 스팀수를 가열하는 가열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측벽(112a, 121b, 112c, 112d)들 중 후방에 형성되는 측벽(112c)에는 제 1히터(130) 및 제 2히터(140)가 체결되기 위한 하부 히터 장착구(113b)와 상부 히터 장착구(113a)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히터(130)는 하부 히터 장착구(113b)에 고정되는 제 1히터 브라켓(132)과, 제 1히터 브라켓(132)에서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 1히터 코일(131)과, 제 1히터 브라켓(132)에서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구비되어 전원이 연결되는 제 1히터 단자(143)가 구비된다.
또한, 제 2히터(140)는 상부 히터 장착부(113a)에 고정되는 제 2히터 브라켓(142)과, 제 2히터 브라켓(142)에서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 2히터 코일(141)과, 제 2히터 브라켓(142)에서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구비되어 전원이 연결되는 제 2히터 단자(143)가 구비된다.
여기서, 제 1히터(130)와 제 2히터(140)는 별도의 제조과정을 통하여 하우징(110)의 하부 히터 장착구(113b)와 상부 히터 장착구(113a)에 각각 삽입되어 체결 및 고정될 될 수 있다. 다르게는 하우징(110)의 제조시 하우징(110)을 내열성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성형하고, 제 1히터(130)의 제 1히터 브라켓(132) 및 제 2히터(140)의 제 2히터 브라켓(142)이 하부 히터 장착구(113b)와 상부 히터 장착구(113a)에 인서트 사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 1히터(130)와 제 1히터(130)는 서로 다를 출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 2히터(140)는 제 1히터(13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출력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히터(130)의 경우 1000W의 출력을 갖는 것으로 가정할 경우 제 2히터(140)의 경우 600W의 출력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시 최대 전류가 한정되어 있으며, 이를 초과할 경우 댁내의 전류 부하에 무리가 올수 있다. 따라서 제 1히터(130)와 제 2히터(140)의 출력은 댁내의 전류 부하를 고려하여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 1히터(130)의 경우 항시 스팀수를 가열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제 2히터(140)의 경우 스팀수 또는 스팀을 선택적으로 가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히터(130)의 제 1히터 코일(131)과, 제 2히터(140)의 제 2히터 코일(141)은 서로 다른 대상물을 가열하도록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 1히터(130)와 제 2히터(140)의 경우 각각 동시 또는 개별적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제 2히터(140)는 제 1히터(130)에 의해 가열되는 세탁수를 재차 가열하거나 제 1히터(130)에 의해 가열되는 스팀수에서 발생되는 스팀을 재차 가열하여 과열스팀을 생성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제 1히터(130) 및 제 2히터(140)의 제어과정에 대해서는 스팀발생장치(100)의 제어 설명시 상세히 하도록 한다.
한편, 하우징(110)의 측벽들(112a, 121b, 112c, 112d) 내주면에는 하부 격벽(180) 및 상부 격벽(190)이 지지되기 위한 상부 지지리브(미도시)와 하부 지지리부(미도시)가 소정간격으로 상하 방향 이격되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지지리브와 하부 지지리브는 상부 격벽(190) 및 하부 격벽(180)을 개별적으로 지지하도록 한다. 하부 지지리브의 지지되는 하부 격벽(180)의 하부에는 제 1히터(130)의 제 1히터 코일(131)이 연장되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지지리브에 의해 지지되는 상부 격벽(190)의 하부에는 제 2히터(140)의 제 2히터 코일(141)이 연장되어 위치할 수 있다. 즉, 제 2히터 코일(141)은 하부 격벽(180)과 상부 격벽(190) 사이의 공간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의 가열공간은 가열공간에서 가열되는 대상에 따라 다른 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스팀수를 가열하는 제 1히터(130)와, 제 1히터(130)에 의해 가열되는 스팀수에서 발생되는 스팀을 가열하는 제 2히터(14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제 1히터(130)의 경우 가열공간의 하부에 위치하며 가열공간에 저장되는 스팀수를 가열하고, 제 2히터(140)는 가열공간에 저장된 스팀수의 상부에서 발생되는 스팀을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히터(130)에 의해 스팀수가 가열되는 공간은 스팀수 가열공간, 제 2히터(140)에 의해 스팀이 가열되는 공간은 스팀 가열공간으로도 구분할 수도 있다.
한편, 하부 격벽(180)과 상부 격벽(190)에는 스팀수 및 스팀이 통과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홀(181, 19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격벽(180)에 형성되는 관통홀은 제 1히터(130)에서 발생되는 스팀 또는 스팀수가 통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부 격벽(190)에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홀(191)들은 제 2히터(140)에 의해 가열되는 스팀수 또는 스팀이 통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부 격벽(180)은 제 1히터(130)와 제 2히터(14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격벽(180) 및 상부 격벽(190)은 제 1히터(130) 및 제 2히터(140)에 의해 가열되는 스팀수 또는 스팀의 가열공간을 구획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하부 격벽(180)와 상부 격벽(190)은 각각 가열공간의 일측과 타측을 개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하부 격벽(180)은 하우징의 측벽(112a)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격벽(190)은 하우징의 측벽(112c)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히터(130)에 의해 가열되는 스팀수에서 발생되는 스팀은 하부 격벽과 측벽(112a)의 사이의 공간으로 통하여 하부 격벽(180)과 상부 격벽(190) 사이로 이동될 수 있다. 하부 격벽(180)과 상부 격벽(190) 사이로 이동된 스팀은 제 2히터(140)에 의해 가열되어 과열스팀으로 가열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격벽(180)과 상부 격벽(190)에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공(181, 191)들은 스팀수의 이동과 더불어 제 1히터(130)에 의해 발생되는 스팀이 다수의 관통공(181, 191)을 통하여 가열공간 내부로 확산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 1히터(130)에 의해 가열되는 스팀수는 하부 격벽(180)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수위에서 제 1히터(130)에 의해 가열되면서 스팀이 발생되며, 발생되는 스팀은 하부 격벽(180)의 관통공(181)들을 통과하면서 하부 격벽(180)의 상로 확산되면서 하부 격벽(180)과 상부 격벽(190) 사이의 공간으로 확산될 수 있다.
또한, 하부 격벽(180)과 상부 격벽(190)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된 스팀은 제 2히터(140)에 의해 재차 가열되어 과열스팀으로 전환된다. 또한, 하부 격벽(180)과 상부 격벽(190)에서 가열된 과열스팀은 상부 격벽(190)에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공(191)을 통과하면서 확산되어 커버(120)에 형성되는 스팀 토출구(120b)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의 베이스(111) 상면에는 제 1히터(130)의 제 1히터 코일(131)을 지지하기 위한 제 1히터 고정 브라켓(115)이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경우 내열성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나, 하우징(110)의 가열공간 하부에 위치하는 제 1히터(130)가 직접 접촉할 경우 하우징(110)의 변형으로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10)의 베이스(111)와 제 1히터(130)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제 1히터(130)의 제 1히터 코일(131)을 지지하는 제 1히터 고정 브라켓(11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120)는 하우징(110)의 상부 개방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며, 하우징(110)과 동일한 내열성 합성수지 재질에 의해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커버(120)의 하면 외주면은 하우징(110)의 상부 개방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초음파 융착과 같은 결합 방법에 의해 하우징(110)과 일체로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커버(120)의 일측에는 하우징(110)의 가열공간으로 스팀수를 공급하기 위한 스팀수 급수구(120a)가 형성된다. 스팀수 급수구(120a)는 의류처리장치의 급수부(미도시)를 통하여 스팀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급수부와 스팀수 급수구(120a)를 연결하는 유로에는 별도의 제어밸브 또는 감압밸브가 구비되어 스팀수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하우징(110)으로 공급되는 스팀수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커버(120)의 타측에는 하우징(110)의 가열공간에서 발생되는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 토출구(120b)가 형성된다. 스팀 토출구(120b)는 스팀 유로를 형성하는 호스(미도시)에 의해 의류가 수용되는 터브(미도시) 또는 드럼(미도시)과 같은 수용부로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커버(120)의 상면에는 커버(120)를 관통하여 하우징(110)의 가열공간으로 연장되는 수위감지부(150), 온도센서(160), 공통전극(17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커버(120)의 내측에는 수위감지부(150)가 장착되는 수위센서 장착부(121)와, 온도센서(160)가 장착되는 온도센서 장착부(122)와, 공통전극(170)이 장착되는 공통전극 장착부(123)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수위센서 장착부(121)는 수위감지부(150)가 삽입되는 관통홀(121a)과, 커버(120)의 하부에서 관통홀(121a)에 인접하여 가열공간 측으로 일정 거리 연장되는 수위센서 수용부(121b)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위센서 수용부(121b)는 후술할 수위감지부의 각 전극(153a, 153b, 153c)들에 인접하는 스팀수의 유동을 차단하여 수위감지부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수위센서 수용부(121b)의 양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21c)는 수위센서 수용부(121b) 내부로 스팀수가 유입되거나, 수위센서 수용부(121b)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연통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수위감지부(150)는 커버(120)의 수위센서 장착부(121)의 외부에 설치되는 리셉터클 하우징(151)과 리셉터클 하우징(151)의 하부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전극(153a, 153b, 153c)과, 리셉터클 하우징(151)의 상부에 형성되며 제어부(미도시)와 각 전극이 연결되는 다수의 단자(152a, 152b, 152c)들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각 전극(153a, 153b, 153c)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측정하려는 수위에 따라서 결정할 수 있으며, 스팀발생장치(100) 내부에 저장될 스팀수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우징(110)의 저면으로부터 적절한 높이로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3개의 전극으로 구성되는 저수위 전극(153a), 제 1수위 전극(153b), 제 2수위 전극(153c)을 포함 할 수 있다.
한편, 저수위 전극(153a), 제 1수위 전극(153b), 제 2수위 전극(153c)은 공통전극(170)과의 통전에 의해 수위를 감지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공통전극은 저수위 전극(153a), 제 1수위 전극(153b), 제 2수위 전극(153c) 중 가장 저수위를 감지하는 저수위 전극(153a)의 길이보다 같거나 더 길게 가열공간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저수위 전극(153a)은 하우징(1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1히터(130)가 안정적으로 작동하기 위한 최저 수위를 감지하기 전극이다. 이러한 저수위 전극(153a)은 제 1히터(130)의 안전 작동 수위에 대응되어 가열공간의 하부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 1수위 전극(153b)은 제 1히터(130)에 의해 가열될 스팀수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 1수위 전극(153b)은 저수위 전극(153a)보다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제 1수위 전극(153b)의 기능을 저수위 전극(153a)의 기능을 통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수위 전극(153b)의 경우 하부 격벽(180)과 같거나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수위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 1수위 전극(153b)이 하부 격벽(180)보다 높은 수위를 감지하게 될 경우 제 1히터(130)에 의해 가열될 스팀수의 수위가 하부 격벽(180)보다 높은 위치에서 스팀을 생성하게 되어 제 1히터(130)에 의해 생성되는 스팀이 하부 격벽(180)의 관통홀(181)을 통화하지 못하여 스팀의 확산성이 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스팀의 확산성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제 1수위 전극(153b)의 위치가 하부 격벽(180)보다 상부에 위치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한편, 제 2수위 전극(153c)은 제 2히터(140)에 의해 스팀수가 가열될 경우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제 2수위 전극(153c)은 제 2히터(140) 보다 높은 수위를 감지하도록 커버(120)에서 가열공간으로 연장될 것이다.
즉, 제 2히터(140)의 경우 스팀수의 공급 수위에 따라 스팀을 재차 가열하거나, 스팀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화 스팀을 생성할 경우 제 1수위 전극(153b)의 수위 감지에 따라 제 1히터(130)의 스팀수 가열에 의해 발생되는 스팀을 재차 가열할 수 있다.
다르게는 제 2수위 전극(153c)의 수위 감지에 따라 제 1히터(130)와 제 2히터(140)가 스팀수를 동시에 가열하여 보다 빨리 스팀수를 생성하거나, 보다 많은 양의 스팀을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온도센서(160)는 커버(120)의 온도센서 장착부(122)에 설치되어 가열공간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온도센서(160)는 가열공간에서 생성되는 스팀의 온도를 감지하여 스팀, 과열스팀의 생성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온도센서(160)는 커버의 온도센서 장착부(122)에 체결되기 위한 온도센서 브라켓(16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온도센서(160)는 온도센서 브라켓(161)에 의해 커버(120)의 온도센서 장착부(122)에 체결되며, 커버(120)를 관통하여 가열공간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센서(160)는 가열공간 내부의 스팀의 온도를 감지하여야 됨으로 가열공간의 비교적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통전극(170)은 수위감지부(150)의 저수위 전극(153a), 제 1수위 전극(153b), 제 2수위 전극(153c)과 스팀수에 의해 통전되기 위한 것이다. 공통전극은 저수위 전극과 같거나 저수위 전극보다 더 연장되어 가열공간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공통전극(170)은 커버의 공통전극 장착부(123)에 체결되기 위한 공통전극 브라켓(17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공통전극(170)은 공통전극 브라켓(171)에 의해 커버(120)의 공통전극 장착부(123)에 체결되며, 커버(120)를 관통하여 가열공간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각의 요소들은 상술한 설명과 도면을 참조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세탁장치와 같은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일예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스팀발생장치를 이용하는 다른 의류처리장치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스팀을 이용하여 세탁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장치, 또는 스팀을 이용하여 의류를 관리하는 의류관리장치에 적용한다면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일반적인 세탁장치의 경우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 건조행정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세탁행정, 헹구행정, 탈수행정, 건조행정의 과정들의 경우 일반적인 과정과 동일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먼저,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이 시작됨에 따라 드럼과 같은 수용부에 수용된 대상물 수용부에 세탁물이 투입되어 세탁 준비가 완료되면 복수 개의 세탁코스 중 어느 하나의 세탁코스가 선택되어 세탁코스가 시작된다.
세탁코스 시작 후 세탁 대상이 되는 세탁물의 양, 즉 포량이 감지된다(S110). 포량에 기초하여 세탁을 위한 세탁수가 터브 또는 드럼으로 급수된다(S120). 급수와 동시에 또는 급수 후 일정 시간 동안 포적심이 수행된다.
그리고, 포적심 완료 후 후세탁(S150) 또는 메인 세탁이 수행된다. 메인 세탁 후 배수가 이루어져 세탁행정이 종료된다. 세탁행정 종료 후 헹굼행정(S160)과 탈수행정(S170)이 순서로 진행되어 세탁코스가 종료된다.
세탁코스는 세탁수만을 이용하여 세탁이 수행되는 일반적인 세탁코스를 일예로 하였으며, 세탁코스의 진행중에 스팀행정(S200)이 추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팀행정(S200)은 급수단계(S120)와 세탁행정(S150) 사이에 수행될 수 있다. 즉, 포적심이 수행되는 과정중에 스팀행정(S200)이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세탁수가 더 이상 추가되지 않는 상태에서 수행되는 세탁행정(S200) 수행 전에 스팀행정(S200)이 수행될 수 있다.
스팀행정(S200)은 세탁수와 스팀을 사용하여 세탁을 수행하는 코스이다. 따라서, 급수단계(S120) 이후에 스팀발생장치(100)로 스팀수가 급수될 수 있다. 한편, 스팀행정(S200)은 포량 또는 포질에 따라 스팀발생장치에서 공급되는 스팀의 양 및 스팀의 온도가 가병될 수 있다.
일례로, 스팀을 드럼 내부로 공급하여 드럼 내부의 온도가 설정 온도에 도달될 때까지 스팀을 공급하도록 스팀행정(S200)이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설정된 시간 동안 스팀행정(S200)이 수행될 수도 있다. 스팀발생장치(100)는 설정온도에 따라 스팀발생장치(100)로 공급되는 스팀수의 수위 및 제 1히터(130) 및 제 2히터(140)를 제어하여 스팀발생장치(100)에서 발생되는 스팀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스팀을 드럼 내부로 공급하여 드럼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을 일정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세탁물의 살균이 진행되도록 스팀행정(S200)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공급되는 스팀의 양은 세탁물의 포량에 따라 증가되거나 감소될 있다. 스팀발생장치(100)는 감지되는 포량에 따라 스팀발생장치(100)로 공급되는 스팀수의 수위 및 제 1히터(130) 및 제 2히터(140)를 제어하여 스팀발생장치(100)에서 발생되는 스팀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스팀발생장치(100)는 스팀을 공급하는 어느 경우에나 스팀수의 급수 및 제 1히터(130), 제 2히터(140)의 제어를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에 있어서 스팀발생장치(100)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스팀발생장치(100)의 작동은 공급되는 스팀의 양, 온도에 따라 구분될 수 있으며, 각 스팀의 공급과정을 분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의 일반적인 스팀 발생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의 스팀 발생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스팀의 공급을 위하여 스팀발생장치(100)로 스팀수가 급수된다(S130).스팀수가 급수됨에 따라 수위감지부(150)는 저수위 전극(153a)과, 제 1수위 전극(153b)을 통하여 가열공간으로 급수되는 스팀수의 수위를 판단할 수 있다(S141a).
여기서, 가열공간으로 급수되는 스팀수의 수위가 수위감지부(150)의 제 1수위 전극(153b)에 의해 제 1수위에 도달할 경우 스팀수의 급수를 중지할 수 있다(S142a). 이후, 스팀수가 제 1수위에 도달함에 따라 제 1히터(130)에 전원이 공급되고 제 1히터 코일(131)의 가열에 의해 제 1수위 도달한 스팀수가 가열되어 스팀을 발생한다(S143a).
한편, 가열공간으로 급수되는 스팀수의 수위가 저수위 전극에 의해 저수위로 감지될 경우 제 1히터(130)의 작동을 시작하여 제 1수위 이전에 스팀수를 예열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수위에 도달한 이후에 스팀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하는 것보다 빠른 시간에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수위감지부(150)는 제 1히터(130)에 의한 스팀의 발생에 따른 스팀수의 수위 변동을 감지한다(S144a). 여기서, 수위감지부(150)의 제 1수위 전극(153b)에서 제 1수위보다 낮아지는 것이 감지되면 스팀수를 추가 급수하여 스팀수룰 보충할 수 있다(S145a).
한편, 제 1히터(130)에 전원이 인가되어 스팀이 발생하게 되면, 스팀발생에 따른 설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고(146a), 설정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을 경우 제 1수위 감지(S144a) 및 스팀수 추가 급수(S145a)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생성되는 스팀은 커버(120)에 구비되는 스팀 토출구(120b)를 통하여 수용부로 공급되며, 스팀발생에 따른 설정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제 1히터(130)의 작동을 중지하여 스팀행정을 종료할 수 있다(S147a).
한편,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세탁물의 포량에 따라 다량의 스팀이 필요할 수 있다. 이에 다량의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의 대용량 스팀 발생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스팀의 공급을 위하여 스팀발생장치(100)로 스팀수가 급수된다(S130).스팀수가 급수됨에 따라 수위감지부(150)는 저수위 전극(153a)과, 제 1수위 전극(153b)을 통하여 가열공간으로 급수되는 스팀수의 수위를 판단할 수 있다(S141b). 여기서, 가열공간으로 급수되는 스팀수의 수위가 수위감지부(150)의 제 1수위 전극(153b)에 의해 제 1수위에 도달할 경우 스팀수의 급수를 중지할 수 있다.
이후, 스팀수가 제 1수위에 도달함에 따라 제 1히터(130)에 전원이 공급되고 제 1히터 코일(131)의 가열에 의해 제 1수위 도달한 스팀수가 예열될 수 있다(S142a). 즉, 제 1수위에 도달한 스팀수의 경우 제 2수위까지의 도달하기 이전의 중간 수위이며. 제 2수위까지 급수 이전에 제 1히터(130)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제 1수위까지 급수된 스팀수를 미리 예열하여 제 2수위에서의 제 2히터(140)에 의해 가열되는 스팀수의 가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수위감지부(150)는 제 1수위를 넘어 급수되는 스팀수의 수위가 제 2수위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다(S143b). 여기서, 스팀수의 수위가 제 2수위에 도달할 경우 제 2히터(140)에 전원이 공급되고, 제 2히터 코일(141)에 의해 제 2수위까지 도달한 스팀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된다.
여기서, 제 1히터의 제 1히터 코일은 제 1수위 아래의 스팀수를 가열하게 되며, 제 2히텅의 제 2히터 코일은 제 1수위와 제 2수위 사이의 스팀수를 가열하면서 가열공간 내부의 전체 스팀수를 빠르게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히터의 경우 제 1수위까지 급수됨에 따라 스팀수를 미리 예열하고, 제 2히터의 경우 제 2수위까지 급수된 이후에 스팀수를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스팀수가 제 2수위까지 완전히 급수된 이후에 제 1히터와 제 2히터가 작동되는 것보다 빠르게 스팀수를 예열 및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후, 수위감지부(150)는 제 1히터(130)에 의한 스팀의 발생에 따른 스팀수의 수위 변동을 감지한다(S145b). 여기서, 수위감지부(150)의 제 2수위 전극(153c)에서 제 2수위보다 낮아지는 것이 감지되면 스팀수를 추가 급수하여 스팀수룰 보충할 수 있다(S146b).
한편, 제 2히터(140)에 전원이 인가되어 스팀이 발생하게 되면, 스팀발생에 따른 설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고(147b), 설정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을 경우 제 2수위 감지(S145b) 및 스팀수 추가 급수(S146b)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생성되는 스팀은 커버(120)에 구비되는 스팀 토출구(120b)를 통하여 수용부로 공급되며, 스팀발생에 따른 설정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제 1히터(130)와 제 2히터(140)의 작동을 중지하여 스팀행정을 종료할 수 있다(S148b).
한편,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세탁행정의 진행에 따라 비교적 고온의 스팀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이에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의 과열스팀 발생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스팀의 공급을 위하여 스팀발생장치(100)로 스팀수가 급수된다(S130).스팀수가 급수됨에 따라 수위감지부(150)는 저수위 전극(153a)과, 제 1수위 전극(153b)을 통하여 가열공간으로 급수되는 스팀수의 수위를 판단할 수 있다(S141c). 여기서, 가열공간으로 급수되는 스팀수의 수위가 수위감지부(150)의 제 1수위 전극(153b)에 의해 제 1수위에 도달할 경우 스팀수의 급수를 중지할 수 있다.
이후, 스팀수가 제 1수위에 도달함에 따라 제 1히터(130)에 전원이 공급되고 제 1히터 코일(131)의 가열에 의해 제 1수위 도달한 스팀수가 가열되어 스팀을 발생한다(S142a).
한편, 온도센서(160)는 제 1수위에서 제 1히터(130)에 의해 가열되어 발생되는 스팀의 온도를 감지하여 스팀의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43c). 여기서 온도센서(160)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스팀 온도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스팀이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스팀 발생온도까지 대기 할 수 있다(S144c).
여기서, 제 1히터(130)에 의해 제 1수위에서 발생되는 스팀은 하부 격벽(180)의 관통홀(181)을 통하여 하부 격벽(180)과 상부 격벽(190) 사이로 이동됨과 동시에 하부 격벽(180)과 하우징(110)의 측벽(112a)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하부 격벽(180)과 상부 격벽(190) 사이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온도센서(160)에서 스팀 발생 온도를 감지할 경우 제 2히터(140)에 전원이 공급되고, 제 2히터(140)의 제 2히터 코일(141)의 가열에 따라 하부 격벽(180)과 상부 격벽(190) 사이의 체류하는 스팀이 재차 가열되면서 하부 격벽(180)과 상부 격벽(190) 사이에 체류하는 스팀이 과열스팀으로 가열된다(S145c).
여기서, 제 2히터(140)에 의해 하부 격벽과 상부 격벽 사이에서 가열되는 과열스팀은 제 1히터(130)에 의해 발생되는 스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고온/고압을 형성한다. 따라서, 과열스팀을 이용하여 세탁수의 가열, 세탁물의 가열 및 세탁물의 살균에 보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격벽(180)과 상부 격벽(190) 사이에서 가열된 과열스팀은 상부 격벽(190)의 관통홀(191) 및 상부 격벽(190)과 하우징(110)의 측벽(112c)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하여 상부 격벽(190)의 상부로 이동된다.
이후, 수위감지부(150)는 제 1히터(130)에 의한 스팀의 발생에 따른 스팀수의 수위 변동을 감지한다(S146c). 여기서, 수위감지부(150)의 제 1수위 전극(153b)에서 제 1수위보다 낮아지는 것이 감지되면 스팀수를 추가 급수하여 스팀수룰 보충할 수 있다(S147c).
한편, 제 1히터(130)에 전원이 인가되어 스팀이 발생하게 되면, 스팀발생에 따른 설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고(S148c), 설정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을 경우 제 1수위 감지(S146c) 및 스팀수 추가 급수(S147c)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생성되는 스팀은 커버(120)에 구비되는 스팀 토출구(120b)를 통하여 수용부로 공급되며, 스팀발생에 따른 설정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제 1히터(130) 및 제 2히터(140)의 작동을 중지하여 스팀행정을 종료할 수 있다(S147a).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00: 스팀 발생기 110: 하우징
111: 베이스 112a, b, c, d: 측벽
113a: 상부 히터 장착구 113b: 하부 히터 장착구
114: 하우징 고정 브라켓 115: 제 1히터 브라켓
120: 커버 120a: 스팀수 급수구
120b: 스팀 토출구 121: 수위센서 장착부
121a: 관통홀 121b: 수위센서 수용부
121c: 개구부 122: 온도센서 장착부
123: 공통전극 장착부 130: 제 1히터
131: 제 1히터 코일 132: 제 1히터 브라켓
133: 제 1히터 단자 140: 제 2히터
141: 제 2히터 코일 142: 제 2히터 브라켓
143: 제 2히터 단자 150: 수위감지부
151: 리셉터클 하우징 152a: 저수위 단자
152b: 제 1수위 단자 152c: 제 2수위 단자
153a: 저수위 전극 153b: 제 1수위 전극
153c: 제 2수위 전극 160: 온도센서
161: 온도센서 브라켓 170: 공통전극
171: 공통전극 브라켓 180: 하부 격벽
181: 관통홀 182: 수위센서 관통홀
190: 상부 격벽 191: 관통홀
192: 수위센서 관통홀

Claims (31)

  1.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되며 대상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대상물 수용부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수용부로 공급되기 위한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스팀수를 수용하며 가열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가열공간을 덮는 커버;
    제 1수위에서 상기 스팀수를 예열하거나, 상기 스팀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제 1히터;
    상기 제 1수위보다 높은 제 2수위의 스팀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거나, 상기 제 1수위에서 발생되는 스팀을 상기 제 1수위와 상기 제 2수위 사이의 공간에서 가열하여 과열스팀을 생성하는 제 2히터; 및
    상기 가열공간에 급수되는 스팀수의 상기 제 1수위 및 상기 제 2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히터는 상기 수위 감지부의 상기 제 2수위 감지에 따라 제 2수위의 스팀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부는
    상기 제 1수위를 감지하는 제 1수위 전극과, 상기 제 2수위를 감지하는 제 2수위 전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히터는 상기 제 1수위 전극의 수위 감지에 따라 상기 제 1수위의 스팀수를 예열 및 가열하고, 상기 제 2히터는 상기 제 2수위 전극의 수위 감지에 따라 제 2수위의 스팀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상기 가열공간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스팀의 발생을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히터는 상기 온도센서의 스팀 감지에 따라 상기 제 1수위의 상부에서 스팀을 가열하여 과열스팀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상기 제 1수위에서 발생되는 스팀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하부 격벽;
    상기 제 2히터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 격벽과 함께 상기 스팀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상부 격벽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히터는 상기 하부 격벽과 상기 상부 격벽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 격벽과 상기 상부 격벽 사이를 이동하는 상기 스팀을 가열하여 과열스팀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격벽 및 상기 상부 격벽은 상기 스팀 및 상기 과열스팀을 확산시키도록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격벽은 일측이 개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 격벽을 타측이 개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제 1수위에서 생성되는 상기 스팀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되며 대상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대상물 수용부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수용부로 공급되기 위한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스팀수를 수용하며 가열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가열공간을 덮는 커버;
    상기 가열공간에 급수되는 스팀수의 제 1수위 및 상기 제 1수위보다 높은 제 2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
    상기 제 1수위의 하부에서 스팀수를 가열하는 제 1히터;
    상기 제 1수위의 상부에서 상기 제 1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발생된 스팀을 가열하여 과열스팀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제 2수위까지 급수된 상기 스팀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제 2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2히터는 상기 수위감지부의 상기 제 2수위 감지에 따라 제 2수위의 스팀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부는 상기 제 1수위를 감지하는 제 1수위 전극과, 상기 제 2수위를 감지하는 제 2수위 전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히터는 상기 제 1수위 전극의 수위 감지에 따라 상기 제 1수위의 스팀수를 예열 및 가열하고, 상기 제 2히터는 상기 제 2수위 전극의 수위 감지에 따라 제 2수위의 스팀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상기 가열공간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스팀의 발생을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히터는 상기 온도센서의 스팀 감지에 따라 상기 제 1수위의 상부에서 스팀을 가열하여 과열스팀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상기 제 1수위에서 발생되는 스팀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하부 격벽;
    상기 제 2히터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 격벽과 함께 상기 스팀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상부 격벽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히터는 상기 하부 격벽과 상기 상부 격벽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 격벽과 상기 상부 격벽 사이를 이동하는 상기 스팀을 가열하여 과열스팀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격벽 및 상기 상부 격벽은 상기 스팀 및 상기 과열스팀을 확산시키도록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격벽은 일측이 개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 격벽을 타측이 개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제 1수위에서 생성되는 상기 스팀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되며 대상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대상물 수용부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수용부로 공급되기 위한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급수된 스팀수를 수용하는 함체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덮는 커버;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1히터;
    상기 제 1히터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부 격벽;
    상기 하부 격벽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2히터;
    상기 제 2히터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격벽;을 구비하며,
    상기 제 1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발생되는 스팀은 상기 하부 격벽과 상기 상부 격벽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2히터에 의해 과열스팀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격벽은 상기 제 1히터에 의해 생성되는 스팀이 상기 하부 격벽과 상기 상부 격벽 사이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며, 상기 하부 격벽과 상부 격벽은 상기 제 2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스팀 가열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격벽 및 상기 상부 격벽은 상기 스팀 및 상기 과열스팀을 확산시키도록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격벽은 일측이 개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 격벽을 타측이 개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제 1히터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스팀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2.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되며 대상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대상물 수용부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수용부로 공급되기 위한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스팀수를 수용하며 가열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가열공간을 덮는 커버;
    상기 가열공간에 급수되는 스팀수의 제 1수위 및 상기 제 1수위보다 높은 제 2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
    상기 제 1수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1히터;
    상기 제 1수위와 상기 제 2수위 사이에 위치하는 제 2히터;
    상기 제 1수위와 상기 제 2히터 사이에 위치하는 하부 격벽;
    상기 제 2수위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격벽과 스팀 유로를 형성하는 상부격벽;을 구비하며,
    상기 제 2히터는 상기 스팀수가 상기 제 1수위에 위치할 때 상기 제 1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발생되는 스팀을 가열하여 과열스팀을 생성하며, 상기 스팀수가 상기 제 2수위에 위치할 때 상기 제 1히터와 같이 상기 스팀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부는 상기 제 1수위를 감지하는 제 1수위 전극과, 상기 제 2수위를 감지하는 제 2수위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 1히터는 상기 제 1수위 전극의 수위 감지에 따라 상기 제 1수위의 스팀수를 예열 또는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상기 가열공간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스팀의 발생을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히터는 상기 온도센서의 스팀 감지에 따라 상기 제 1수위의 상부에서 스팀을 가열하여 과열스팀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5. 가열공간으로 급수되는 스팀수의 제 1수위 및 상기 제 1수위보다 높은 제 2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와, 상기 제 1수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1히터와, 상기 제 1수위와 상기 제 2수위 사이에 위치하는 제 2히터를 구비하는 스팀발생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스팀수를 급수하는 급수단계;
    급수되는 스팀수의 제 1수위를 감지하는 제 1수위 감지단계;
    상기 제 1수위의 스팀수가 상기 제 1히터에 의해 예열되는 예열단계;
    상기 제 1수위보다 높은 제 2수위를 감지하는 제 2수위 감지단계;
    상기 제 2수위 감지에 따라 상기 제 2히터에 의해 상기 제 2수위의 스팀수가 가열되어 스팀을 발생시키는 가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단계 이후에 상기 스팀수의 수위가 제 2수위를 유지하는지 판단하는 제 2수위 유지 감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수위 유지 감지단계에서 상기 제 2수위보다 수위가 내려갈 경우 추가 스팀수를 급수하는 추가 급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8. 가열공간으로 급수되는 스팀수의 제 1수위 및 상기 제 1수위보다 높은 제 2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와, 상기 제 1수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1히터와, 상기 제 1수위와 상기 제 2수위 사이에 위치하는 제 2히터를 구비하는 스팀발생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스팀수를 급수하는 급수단계;
    급수되는 스팀수의 제 1수위를 감지하는 제 1수위 감지단계;
    상기 제 1수위의 스팀수가 상기 제 1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스팀이 발생되는 가열단계;
    상기 제 1수위에서 발생되는 스팀이 제 2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과열스팀을 생성하는 과열스팀생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단계 이후에 상기 가열공간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스팀의 발생을 감지하는 스팀감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단계 이후에 상기 스팀수의 수위가 제 1수위를 유지하는지 판단하는 제 1수위 유지 감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수위 유지 감지단계에서 상기 제 1수위보다 수위가 내려갈 경우 추가 스팀수를 급수하는 추가 급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210164397A 2021-11-25 2021-11-25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594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397A KR102594904B1 (ko) 2021-11-25 2021-11-25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CT/KR2022/014879 WO2023096138A1 (ko) 2021-11-25 2022-10-04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U2022396999A AU2022396999A1 (en) 2021-11-25 2022-10-04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provided with steam gener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397A KR102594904B1 (ko) 2021-11-25 2021-11-25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7282A KR20230077282A (ko) 2023-06-01
KR102594904B1 true KR102594904B1 (ko) 2023-10-27

Family

ID=86539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4397A KR102594904B1 (ko) 2021-11-25 2021-11-25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594904B1 (ko)
AU (1) AU2022396999A1 (ko)
WO (1) WO2023096138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2231B1 (ko) * 1995-06-16 1998-07-01 이중희 스팀 발생장치
JP2007111396A (ja) * 2005-10-24 2007-05-10 Sharp Corp 洗濯乾燥機
KR101215449B1 (ko) * 2007-05-16 2012-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101481554B1 (ko) * 2008-05-13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10648125B2 (en) * 2015-12-18 2020-05-12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and method of op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7282A (ko) 2023-06-01
WO2023096138A1 (ko) 2023-06-01
AU2022396999A1 (en) 2024-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23663B1 (en) Laundry machine with drying duct comprising a nozzle
US8122741B2 (en) Was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892467B1 (en) Steam generator and laundry machine having the same
RU2362849C1 (ru) Датчик уровня воды для парогенератора стиральной или сушильной машины и парогенератор, содержащий его
EP2176459B1 (en) Apparatus for treating clothing
KR101319874B1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US20090293557A1 (en) Steam Generato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AU2012216380B2 (en) Controlling method of a washing machine including steam generator
EP2562302A2 (en) Home appliance including steam gen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101028259B1 (ko) 의류건조기
KR102290758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0710221B1 (ko) 리프레쉬 장치
KR102594904B1 (ko)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461983B1 (ko) 세탁기
KR20220064194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841307B1 (ko) 세탁 장치
KR100845844B1 (ko) 리프레쉬 장치
KR101461982B1 (ko) 세탁기
KR102450230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443647B1 (ko) 세탁기 제어방법
KR102464964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