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751B1 - 조립식 후시공 줄눈을 포함하는 비오염성, 심미성, 및 시공성이 향상된 측면 비노출식 패널조립체 - Google Patents

조립식 후시공 줄눈을 포함하는 비오염성, 심미성, 및 시공성이 향상된 측면 비노출식 패널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751B1
KR102594751B1 KR1020230044962A KR20230044962A KR102594751B1 KR 102594751 B1 KR102594751 B1 KR 102594751B1 KR 1020230044962 A KR1020230044962 A KR 1020230044962A KR 20230044962 A KR20230044962 A KR 20230044962A KR 102594751 B1 KR102594751 B1 KR 102594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lip
gasket
joint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4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준
송석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윈테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윈테크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윈테크산업
Priority to KR1020230044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7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sealing elements between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후시공 줄눈을 포함하는 비오염성, 심미성, 및 시공성이 향상된 측면 비노출식 패널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패널의 측면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는 줄눈이 적용되어 있어, 패널과 줄눈의 사이에 고여있는 불순물에 의하여 패널이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비오염성 및 심미성이 우수하고, 조립식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성이 향상된, 조립식 후시공 줄눈을 포함하는 비오염성, 심미성, 및 시공성이 향상된 측면 비노출식 패널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후시공 줄눈을 포함하는 비오염성, 심미성, 및 시공성이 향상된 측면 비노출식 패널조립체{Non-exposed Side Surface Type Panel Assembly Comprising Joint Assembly With Improved Non-staining Property, Aesthetic Impression, And Constructability}
본 발명은 조립식 후시공 줄눈을 포함하는 비오염성, 심미성, 및 시공성이 향상된 측면 비노출식 패널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패널의 측면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는 줄눈이 적용되어 있어, 패널과 줄눈의 사이에 고여있는 불순물에 의하여 패널이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비오염성 및 심미성이 우수하고, 조립식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성이 향상된, 조립식 후시공 줄눈을 포함하는 비오염성, 심미성, 및 시공성이 향상된 측면 비노출식 패널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건물 등 건축물의 외벽은 외부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어 날씨에 따라 해당 건축물의 실내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최근에는 건축물의 외벽에 판재 모양의 패널을 설치하여, 외벽으로부터의 영향을 줄임과 동시에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하고 있다.
한편 패널이 설치된 건축물은 지진발생 시에 진동으로 인하여 패널이 탈락되거나 탈락된 패널로 인하여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점으로 인하여 종래에는 패널에 내진구조를 적용하여 지진발생 시에도 패널을 보호하고 있다. 내진구조가 적용된 패널의 경우 패널을 외벽에 고정시키기 위한 클립을 조립식으로 구성하고, 지진발생시 클립의 내부 구성들에 의하여 패널이 외벽면 상에서 좌우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어 해당 방향으로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다만 지진으로 인한 진동은 외벽면 상에서 좌우방향 뿐만 아니라 외벽면을 축으로 한 회전방향으로도 패널에 가해질 수 있으나, 종래의 패널은 하나의 축방향으로의 진동만을 대응할 뿐 비틀림하중에 대해서는 전혀 대응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의 진동저감방식은 패널을 보호할 수는 있으나, 진동을 저감하는 과정에서 패널의 내부 구성들에 응력이 가해져 내구성이 떨어지고 피로파괴가 발생되어 심각한 문제를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 건축물 외벽에 설치되는 패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가진다.
다만 패널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는 도 1에서와 같이 패널과 줄눈 사이에 물이 고이거나 해당 부분이 먼지나 이물질에 의하여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패널과 줄눈 사이에 고인 물이 줄눈의 내측으로 스며들게 되면, 줄눈의 하부에 위치하는 실리콘부분이 녹아 패널의 외측면으로 흘러내려 비오염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즉 하나의 축방향으로의 진동 뿐만 아니라 다수의 축방향으로의 진동을 저감할 수 있고, 비오염성이 강화되어 심미성이 우수한 패널조립체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패널의 측면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는 줄눈이 적용되어 있어, 패널과 줄눈의 사이에 고여있는 불순물에 의하여 패널이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비오염성 및 심미성이 우수하고, 조립식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성이 향상된, 조립식 후시공 줄눈을 포함하는 비오염성, 심미성, 및 시공성이 향상된 측면 비노출식 패널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후시공 줄눈을 포함하는 패널조립체로서, 각각이 사각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각판의 네 개의 모서리면 각각이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네 개의 측면을 각각 포함하고,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패널부; 상기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패널부 각각의 하측에 위치하고, 일부가 건물 외벽 각관의 일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클립조립체; 상기 복수의 클립조립체의 사이에 위치하고, 일단은 상기 복수의 클립조립체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되고, 타단은 상기 복수의 클립조립체 중 다른 하나에 접촉되는 백업부; 상기 백업부의 상측에 도포되고, 실리콘을 포함하는 실란트부; 상기 실란트부의 상측에 위치하고, 전체적으로 사각관의 형상을 가지는 가스켓몸체, 및 상기 가스켓몸체의 양측면 각각으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를 가지도록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가스켓부; 및 하부가 상기 가스켓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줄눈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패널부 각각의 사이공간, 및 상기 복수의 패널부에 인접하는 다른 복수의 패널부의 사이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가스켓부의 양측면 각각이 상기 복수의 패널부 각각의 측면에 결합되는 줄눈부;를 포함하고, 상기 줄눈부는 상기 복수의 패널부 각각의 측면에 결합되면서, 상기 줄눈덮개의 상면이 상기 복수의 패널부의 상면이 위치하는 평면상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구조에 의하여, 상기 패널조립체는 상기 줄눈부와 복수의 패널부 각각의 사이에 단차가 존재하지 않아, 상기 복수의 패널부 각각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패널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스켓부의 날개부는, 상기 가스켓몸체의 양측면 각각에 위치하고 상기 양측면 각각으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를 가지도록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날개; 상기 제1날개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양측면 각각으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를 가지도록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날개; 및 상기 제2날개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양측면 각각으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를 가지도록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3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줄눈부 및 복수의 패널부의 사이에 불순물이 침투하는 경우에,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1날개를 통해 상기 불순물을 1차적으로 차단하고, 상기 제2날개를 통해 상기 불순물을 2차적으로 차단하고, 상기 제3날개를 통해 상기 불순물을 3차적으로 차단하여, 상기 불순물이 상기 실란트부측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줄눈부는, 상기 가스켓부의 양측면 각각에 위치하고, 일면이 상기 가스켓부의 가스켓몸체, 및 날개부 중 1 이상에 접촉하는 너트; 상기 너트의 일측에 위치하고, 일면은 상기 너트에 접촉하고 타면은 상기 복수의 패널부 각각의 측면에 접촉하는 고무와샤; 및 상기 복수의 패널부 각각의 측면, 고무와샤, 및 너트를 관통하는 형태로 위치하는 리벳;을 포함하는 가스켓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고정부는 상기 리벳에 의하여 상기 가스켓부를 상기 복수의 패널부 각각의 측면에 결합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패널조립체는 상기 줄눈부와 상기 복수의 패널부의 사이에 불순물이 침투되는 경우에, 상기 가스켓고정부의 구조에 의하여 상기 불순물이 상기 실란트부측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백업부는, 양단이 상기 복수의 클립조립체 각각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있어, 상측에 상기 실란트부가 도포되는 경우에 상기 실란트부가 상기 복수의 클립조립체의 내측으로 침투되지 않고, 상기 복수의 클립조립체와 복수의 패널부 사이의 공간을 채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스켓부는, 상기 가스켓몸체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상측연장부; 상기 복수의 상측연장부 각각의 상단을 연결하고, 양단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의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는 돌출면; 및 상기 가스켓몸체의 상면, 복수의 상측연장부, 및 돌출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결합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줄눈덮개는, 상면이 상기 복수의 패널부의 상면이 위치하는 평면상에 배치되고, 사각판의 형상을 가지는 줄눈본체; 및 상기 줄눈본체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하측연장부, 상기 복수의 하측연장부 각각의 하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 및 상기 복수의 하측연장부 및 절곡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안착홈을 포함하는 결합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돌출부는 상기 가스켓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안착부는 상기 줄눈덮개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줄눈부는 상기 결합돌출부의 결합홈에 상기 결합안착부의 안착홈을 슬라이딩방식으로 끼우는 형태로 상기 가스켓부와 줄눈덮개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의 클립조립체는, 상측은 상기 패널부에 결합되고, 하측에는 원기둥의 옆면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슬라이드결합홈이 위치하는 메인클립; 및 일부는 상기 슬라이드결합홈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슬라이드결합홈의 내측에 수용되고, 다른 일부는 건물 외벽 각관의 일면에 결합되는 슬라이딩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클립이 일부가 상기 슬라이드결합홈의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메인클립의 길이방향에 상응하는 z축을 따라 좌우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z축이 위치하는 평면상에서 상기 z축에 수직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x축과 상기 z축 및 x축이 위치하는 평면에 수직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y축의 사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고, 상기 패널부에 상기 x축, y축, 및 z축으로의 응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슬라이딩클립이 상기 z축으로 좌우이동 및 상기 x축 및 y축의 사이에서 회전이동함으로써 상기 x축, y축, 및 z축으로의 응력을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외벽에 클립을 이용하여 패널조립체를 설치함에 따라 패널을 보다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고, 건물의 단열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외벽에 설치된 패널조립체가 클립조립체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3차원 내진성을 가질 수 있어, 외적하중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하여 내하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클립에 슬라이딩클립이 좌우이동 및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어, 클립조립체가 3차원 내진구조를 구현할 수 있어 패널조립체의 내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립조립체가 3차원 내진구조를 가짐으로써, 지진 등이 발생되는 경우에 패널조립체를 보호함과 동시에, 패널조립체의 내부구성요소들이 지진으로 인한 응력을 전달받아 피로 파괴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프링부가 슬라이딩클립의 좌우이동에 따른 하중을 흡수함으로써, 클립조립체가 일축방향으로의 진동에 대응할 수 있고, 진동을 저감하는 과정에서 슬라이딩클립이 파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립조립체의 외측에 클립고정부가 구비되어 있어, 클립조립체를 이루는 구성들 간의 조립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클립의 하측에 형성된 완충결합홈에 회전완충부재가 위치하여 슬라이딩클립의 회전이동에 따른 하중을 흡수함으로써, 클립조립체가 회전방향으로의 진동에 대응할 수 있고, 진동을 저감하는 과정에서 슬라이딩클립이 파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립조립체에 복수의 완충재가 적용되어 있어, 메인클립과 슬라이딩클립 사이에 가해지는 응력 및 메인클립과 패널부 사이에 가해지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 3차원 내진구조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립조립체에 클립형마구리부재를 적용하여 자재를 줄일 수 있어 경제성을 확보하고,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널조립체가 상면이 패널부의 상면이 위치하는 평면상에 배치되는 줄눈부를 포함함에 따라, 패널부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비오염성 및 심미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줄눈부의 가스켓부 측면에 복수의 날개가 형성되어 있어, 패널부와 줄눈부 사이에 고인 이물질이 내측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패널조립체의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부재들로 이루어지는 가스켓고정부를 이용하여 줄눈부를 패널부에 결합시킴으로써, 패널조립체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고, 우수한 수밀성을 보다 강화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백업부의 양단이 복수의 클립조립체 각각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어, 패널조립체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줄눈부가 가스켓부와 줄눈덮개가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형태로 설치됨에 따라, 작업자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널조립체가 상면이 패널부의 상면이 위치하는 평면상에 배치되는 줄눈부를 포함함에 따라, 패널부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비오염성 및 심미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줄눈부의 가스켓부 측면에 복수의 날개가 형성되어 있어, 패널부와 줄눈부 사이에 고인 이물질이 내측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패널조립체의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부재들로 이루어지는 가스켓고정부를 이용하여 줄눈부를 패널부에 결합시킴으로써, 패널조립체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고, 우수한 수밀성을 보다 강화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백업부의 양단이 복수의 클립조립체 각각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어, 패널조립체가 고품질의 밀폐성능을 가질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줄눈부가 가스켓부와 줄눈덮개가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형태로 설치됨에 따라, 작업자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건축물 외벽에 설치되는 패널의 사진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조립체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조립체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조립체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클립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클립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조립체가 진동을 저감하는 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립조립체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립조립체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클립과 슬라이딩클립이 진동을 저감하는 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눈부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부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눈덮개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조립체가 불순물을 차단하는 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 건축물 외벽에 설치되는 패널의 사진을 도시한다.
종래 건축물 외벽에 설치되는 패널은 내진구조가 적용되어 있어, 지진발생시에도 보호될 수 있다.
다만 종래 패널에 적용되는 내진구조는 패널이 외벽면 상에서 좌우방향으로만 유동할 수 있도록 하여, 외벽면을 축으로 한 비틀림저항에 대해서는 전혀 대응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 패널에 적용되는 내진구조는 패널이 유동하는 과정에서 패널의 내부구성요소로 응력이 전달되는 현상을 막을 수 없어, 패널의 내부구성요소에 피로파괴현상이 발생되어 패널의 내구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3차원 내진구조가 적용된 클립을 이용하여 건물 외벽(5)에 패널조립체(1)를 설치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패널조립체(1)는 기본적으로 사각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패널부(1000)와 상기 패널부(1000)를 건물 외벽(5)에 설치할 수 있는 클립조립체(2000)를 포함한다. 상기 클립조립체(2000)는 패널부(1000)에 결합되는 메인클립(2100)과, 건물 외벽(5)에 결합되는 슬라이딩클립(2200)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클립(2200)이 상기 메인클립(2100)의 내측에서 이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클립(2200)은 상기 메인클립(2100)의 내측에서 상기 메인클립(2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이동 가능하게 고정됨과 동시에 회전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에 의하여, 상기 클립조립체(2000)는 지진발생으로 인하여 복수의 축방향으로 응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슬라이딩클립(2200)이 좌우이동 및 회전이동할 수 있어 3차원 내진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건물 외벽(5)에 설치된 패널조립체(1)가 클립조립체(2000)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3차원 내진성을 가질 수 있어, 외적하중에 대한 저항력이 향상되어 우수한 내하력을 가질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클립조립체(2000)가 3차원 내진구조를 가짐으로써, 지진 등이 발생되는 경우에 패널조립체(1)를 보호함과 동시에, 패널조립체(1)의 내부구성요소들이 지진으로 인한 응력을 전달받아 피로 파괴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건축물 외벽에 설치되는 패널은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다만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상기 패널과 줄눈 사이에 물이 고이거나 먼지와 같은 불순물이 발생되어 패널이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특히 고인 물이 줄눈의 내측으로 스며들면 줄눈의 실리콘부분이 녹아 패널의 외측면으로 흘러내려 패널의 비오염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패널의 측면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는 줄눈부(5000)를 적용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줄눈부(5000)는 상면이 패널부(1000)의 상면이 위치하는 평면상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구조에 의하여 본 발명의 패널조립체(1)는 줄눈부(5000)와 패널부(1000) 사이에 단차가 존재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은 패널부(1000)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패널의 측면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는 줄눈이 적용되어 있어, 패널과 줄눈 사이의 물 혹은 이물질에 의하여 패널이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심미성이 우수한 측면 비노출식 패널조립체(1)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패널조립체(1)에 대하여 상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조립체(1)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건물 등 건축물은 단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외벽에 패널이 설치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패널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외벽(5)에 수직각관(2) 및 상기 수직각관(2) 각각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하는 수평각관(3)을 설치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조립체(1)는 건물 외벽(5)에 설치된 상기 수직각관(2) 및 수평각관(3)의 일면에서 다수의 지점에 복수의 클립조립체(2000)를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클립조립체(2000)의 상측에 패널부(1000)가 위치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조립체(1)는 수직각관(2)의 일면 혹은 수평각관(3)의 일면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일면은 건물 외벽(5)으로부터 외측방향에 위치하는 면에 해당한다.
상기 패널조립체(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부(1000) 각각의 네 모서리측에서 1 이상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패널부(1000)의 크기에 따라 설치갯수가 가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조립체(1)는 상기 패널부(1000)의 변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진다.
상기 패널부(1000)는 금속재질의 패널에 해당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조립체(1)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a)는 전술한 도 1의 A-A′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건물 외벽(5)에 단열재(4)를 설치하고, 상기 단열재(4)의 상측에 화스너부재(6)를 이용하여 수직각관(2) 및 수평각관(3)을 설치하고, 상기 수직각관(2) 및 수평각관(3)의 일면에 클립조립체(2000)를 설치한 후에, 상기 클립조립체(2000)를 통해 패널조립체(1)를 상기 건물 외벽(5)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치구조에 의하여, 상기 패널조립체(1)는 건물 외벽(5)에 직접적으로 설치되는 실시예 대비 보다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고, 하측에 설치된 단열재(4)를 통해 건물이 단열성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건물 외벽(5)에 클립을 이용하여 패널조립체(1)를 설치함에 따라 패널을 보다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고, 건물의 단열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3(b)는 도 3(a)의 B의 영역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내진구조를 갖는 패널조립체(1)는, 사각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각판의 네 개의 모서리면 각각이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네 개의 측면을 포함하는 패널부(1000); 상측은 상기 패널부(1000)에 결합되고, 하측에는 원기둥의 옆면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슬라이드결합홈(2131)이 위치하는 메인클립(2100); 및 일부는 상기 슬라이드결합홈(2131)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슬라이드결합홈(2131)의 내측에 수용되고, 다른 일부는 건물 외벽(5) 각관의 일면에 결합되는 슬라이딩클립(2200);을 포함하는 복수의 클립조립체(20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부(1000)는 일반적인 사각판의 형태가 아니라,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의 모서리면 각각이 하측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 패널부(1000)는 모서리면이 하측으로 절곡됨에 따라 네 개의 측면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측면을 통해 클립조립체(2000)에 결합되어 결합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패널부(1000)의 네 개의 측면 각각은 메인클립(2100)의 전체적인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클립조립체(2000)는, 상기 패널부(1000)를 건물 외벽(5),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물 외벽(5)에 설치된 각관의 일면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복수의 클립조립체(2000)는 상기 패널부(1000)의 측면에 결합되는 메인클립(2100)과 상기 각관의 일면에 결합되는 슬라이딩클립(2200)을 포함하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클립(2100)이 패널부(100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부가 상기 패널부(1000)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클립(2200)이 상부가 상기 메인클립(2100)의 하측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하부가 상기 각관의 일면에 결합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클립조립체(2000) 중 슬라이딩클립(2200)은 하부가 상기 각관의 일면에 결합되어 있는 반면, 상부가 상기 메인클립(2100)의 하측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되어 있어, 지진발생으로 인하여 건물이 흔들리는 경우에 상기 상부가 상기 메인클립(2100)의 상기 공간에서 움직이면서 지진발생으로 인한 진동에 대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클립조립체(2000)는, 상기 슬라이딩클립(2200)이 일부가 상기 슬라이드결합홈(2131)의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메인클립(2100)의 길이방향에 상응하는 z축을 따라 좌우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z축이 위치하는 평면상에서 상기 z축에 수직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x축과 상기 z축 및 x축이 위치하는 평면에 수직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y축의 사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지진발생시 건물이 상기 z축을 따라 좌우이동하는 경우(예를들어, 건물이 지면으로부터 위아래로 흔들리는 경우)에, 상기 슬라이딩클립(2200)은 상기 메인클립(2100)의 하측에 형성된 공간에서 상기 z축을 따라 좌우이동하여 응력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지진발생시 건물이 상기 x축과 y축의 사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경우(예를들어, 건물이 지면으로부터 좌우로 흔들리는 경우)에, 상기 슬라이딩클립(2200)은 상기 메인클립(2100)의 하측에 형성된 공간에서 상기 x축 및 y축의 사이에서 회전이동하여 응력을 흡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널부(1000)에 상기 x축, y축, 및 z축으로의 응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슬라이딩클립(2200)이 상기 z축으로 좌우이동 및 상기 x축 및 y축의 사이에서 회전이동함으로써 상기 x축, y축, 및 z축으로의 응력을 흡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클립(2100)에 상기 슬라이딩클립(2200)이 좌우이동 및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어, 상기 클립조립체(2000)가 3차원 내진구조를 구현할 수 있어 상기 패널조립체(1)의 내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조립체(1)는, 서로 인접하게 설치하는 두 개의 클립조립체(2000, 2000′) 사이에 위치하는 백업부(3000), 상기 백업부(3000)의 상측에 위치하는 실란트부(4000), 및 서로 인접하게 설치하는 두 개의 패널부(1000, 1000′)와 두 개의 클립조립체(2000, 2000′) 사이에 위치하는 줄눈부(5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시공 줄눈을 포함하는 패널조립체(1)는, 상기 복수의 클립조립체(2000)의 사이에 위치하고, 일단은 상기 복수의 클립조립체(2000)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되고, 타단은 상기 복수의 클립조립체(2000) 중 다른 하나에 접촉되는 백업부(3000); 상기 백업부(3000)의 상측에 도포되고, 실리콘을 포함하는 실란트부(4000); 상기 실란트부(4000)의 상측에 위치하고, 전체적으로 사각관의 형상을 가지는 가스켓몸체(5110), 및 상기 가스켓몸체(5110)의 양측면 각각으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를 가지도록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날개부(5120)를 포함하는 가스켓부(5100); 및 하부가 상기 가스켓부(5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줄눈덮개(520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패널부(1000) 각각의 사이공간, 및 상기 복수의 패널부(1000)에 인접하는 다른 복수의 패널부(1000)의 사이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가스켓부(5100)의 양측면 각각이 상기 복수의 패널부(1000) 각각의 측면에 결합되는 줄눈부(50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패널부(1000) 각각의 측면은 두 패널부(1000) 각각의 측면 중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측면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줄눈부(5000)는 상기 복수의 패널부(1000) 각각의 측면에 결합되면서, 상기 줄눈덮개(5200)의 상면이 상기 복수의 패널부(1000)의 상면이 위치하는 평면상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구조에 의하여, 상기 패널조립체(1)는 상기 줄눈부(5000)와 복수의 패널부(1000) 각각의 사이에 단차가 존재하지 않아, 상기 복수의 패널부(1000) 각각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패널조립체(1)가 상면이 패널부(1000)의 상면이 위치하는 평면상에 배치되는 줄눈부(5000)를 포함함에 따라, 패널부(1000)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비오염성 및 심미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조립체(1)는 상기 백업부(3000), 실란트부(4000), 및 줄눈부(5000)의 조합을 포함함에 따라, 종래 패널이 내진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줄눈과 클립 사이 지점에 유격이 발생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수직재와 수평재가 만나는 모서리 등과 같은 지점에서 심각한 하자가 발생되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유격이 발생되지 않는 구조를 가질 수 있어, 밀폐성 및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줄눈부(5000)는 상기 가스켓부(5100)의 양측면 각각에 위치하고, 일면이 상기 가스켓부(5100)의 가스켓몸체(5110), 및 날개부(5120) 중 1 이상에 접촉하는 너트(5310); 상기 너트(5310)의 일측에 위치하고, 일면은 상기 너트(5310)에 접촉하고 타면은 상기 복수의 패널부(1000) 각각의 측면에 접촉하는 고무와샤(5320); 및 상기 복수의 패널부(1000, 1000′) 각각의 측면, 고무와샤(5320), 및 너트(5310)를 관통하는 형태로 위치하는 리벳(5330);을 포함하는 가스켓고정부(5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가스켓고정부(5300)는 상기 리벳(5330)에 의하여 상기 가스켓부(5100)를 상기 복수의 패널부(1000) 각각의 측면에 결합시키되, 상기 너트(5310) 및 고무와샤(5320)에 의하여 상기 가스켓부(5100)과 상기 복수의 패널부(1000, 1000′) 각각 사이의 체결을 강화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패널조립체(1)는 상기 줄눈부(5000)와 상기 복수의 패널부(1000)의 사이에 불순물(D)이 침투되는 경우에, 상기 가스켓고정부(5300)의 구조에 의하여 상기 불순물(D)이 상기 실란트부(4000)측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복수의 부재들로 이루어지는 가스켓고정부(5300)를 이용하여 줄눈부(5000)를 패널부(1000)에 결합시킴으로써, 패널조립체(1)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고, 우수한 수밀성을 보다 강화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줄눈부(5000)는 중심부의 부재가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지진발생으로 인하여 건물이 상기 x축과 y축의 사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경우(예를들어, 건물이 지면으로부터 좌우로 흔들리는 경우)에 상기 두 개의 패널부(1000, 1000′)가 서로 부딪히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줄눈부(5000)의 중심부의 부재는 가스켓부(5100)에 해당한다.
상기 줄눈부(500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백업부(3000)는 양단이 상기 복수의 클립조립체(2000, 2000′) 각각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있어, 상측에 상기 실란트부(4000)가 도포되는 경우에 상기 실란트부(4000)가 상기 복수의 클립조립체(2000) 각각의 내측으로 침투되어 슬라이딩클립(220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상기 복수의 클립조립체(2000, 2000′)와 복수의 패널부(1000, 1000′) 사이의 공간을 채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백업부(3000)는 상기 복수의 클립조립체(2000, 2000′)의 사이에서 상기 복수의 패널부(1000, 1000′) 각각의 모서리를 따라 위치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상기 백업부(3000)의 양단이 복수의 클립조립체(2000, 2000′) 각각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어, 패널조립체(1)가 고품질의 밀폐성능을 가질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조립체(1)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상기 패널조립체(1)는 수직각관(2)의 일면에 설치된 클립조립체(2000)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해당하고, 상기 클립조립체(20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형태로 메인클립(2100)과 슬라이딩클립(2200)이 고정되어 있다. 이때 상기 클립조립체(20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클립(2200)의 양단부의 외측에 스프링부(2300)가 위치하고, 상기 메인클립(2100)의 양단부의 외측에 클립고정부(2400)가 위치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클립조립체(2000)의 세부구성요소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클립(2100)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메인클립(2100)은, 상기 패널부(1000)에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1메인파트(2110); 상기 제1메인파트(2110)의 일단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메인파트(2120); 및 상기 제2메인파트(2120)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제1메인파트(2110)에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하측에 상기 슬라이드결합홈(2131), 상기 슬라이드결합홈(2131)에 인접하는 위치에 직사각형의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완충결합홈(2132), 및 상기 완충결합홈(2132)의 상측에 형성되는 마구리결합홀(2133)이 위치하는 제3메인파트(2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메인파트(2110)는 패널부(1000)의 하중을 지지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제1메인파트(2110)의 폭은 상기 패널부(1000)의 변의 길이 대비 짧은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메인파트(2110)의 길이 또한 상기 패널부(1000)의 변의 길이 대비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클립(2100)은 상기 패널부(1000)의 네 개의 모서리면 각각에 1 이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메인파트(2120)는 메인클립(2100)이 패널부(1000)에 결합되기 위한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제2메인파트(2120)의 높이는 상기 패널부(1000)의 측면의 높이에 따라 가변될 수 있고, 상기 제2메인파트(2120)는 상기 제1메인파트(2110), 제2메인파트(2120), 및 제3메인파트(2130)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측공간에 줄눈부(5000)를 상기 패널부(1000)에 결합시키는 가스켓고정부(5300)를 수용할 수 있는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메인파트(2130)는 전체적으로 메인클립(2100)의 하측부에 해당하고, 클립조립체(2000)가 슬라이딩클립(2200)을 통해 3차원 내진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제3메인파트(2130)의 슬라이드결합홈(2131)은 슬라이딩클립(2200)을 수용하기 위한 구성으로,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길이방향홈을 포함한다.
상기 제3메인파트(2130)의 완충결합홈(2132)은 후술하는 회전완충부재(2700)를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회전완충부재(2700)를 통해 슬라이딩클립(2200)의 회전이동에 따른 하중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3메인파트(2130)의 마구리결합홀(2133)은 상기 메인클립(2100)의 양단부 외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클립고정부(2400)를 상기 메인클립(210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피스(2440)가 수용되는 구성으로, 상기 고정피스(2440)를 통해 클립조립체(2000)의 위치를 고정 및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메인클립(2100)은 상기 제1메인파트(2110), 제2메인파트(2120), 및 제3메인파트(2130)에 의하여 형성되는 패널결합홈(2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결합홈(2140)은 줄눈부(5000)를 패널부(1000)에 고정하는 가스켓고정부(5300)가 수용되는 홈에 해당한다. 상기 가스켓고정부(5300)는 상기 패널결합홈(2140)을 통해 상기 메인클립(2100), 패널부(1000), 및 줄눈부(5000)를 결합할 수 있어, 상기 메인클립(2100)을 상기 패널부(1000)에 고정함과 동시에 줄눈부(5000)를 상기 패널부(1000)에 고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클립(2200)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라이딩클립(2200)은, 상기 건물 외벽(5) 각관의 일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1슬라이딩파트(2210); 상기 제1슬라이딩파트(2210)의 일단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되 기설정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하측 대비 상측이 비교적 좁은 폭을 가지는 제2슬라이딩파트(2220); 및 상기 제2슬라이딩파트(2220)의 상측에 위치하고, 외형이 상기 슬라이드결합홈(2131)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중심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결합홀(2231)이 형성되는 제3슬라이딩파트(2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슬라이딩파트(2210)는 건물 외벽(5) 각관의 일면에 슬라이딩클립(2200)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제2슬라이딩파트(2220)는 슬라이딩클립(2200)의 회전이동에 따른 하중을 전달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제2슬라이딩파트(2220)는 상기 슬라이딩클립(2200)이 회전이동하여 패널부(1000)를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회전이동에 따른 하중을 후술하는 회전완충부재(270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3슬라이딩파트(2230)는 슬라이딩클립(2200)의 상부에 해당한다.
상기 제3슬라이딩파트(2230)는 메인클립(2100)의 슬라이드결합홀(2131)의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슬라이드결합홀(2131)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 지진발생으로 인하여 응력을 전달받는 경우에 상기 슬라이딩클립(220)의 회전이동을 구현할 수 있어, 패널조립체(1)가 다축으로의 응력을 흡수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슬라이딩파트(2230)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길이방향홈을 포함한다. 상기 제3슬라이딩파트(2230)의 복수의 길이방향홈 각각은 전술한 메인클립(2100)의 제3메인파트(2130)의 복수의 길이방향홈 각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해 슬라이딩클립(2200)이 지진발생으로 인한 회전방향의 진동을 흡수한 이후에 메인클립(2100)과 슬라이딩클립(2200)의 상대적인 위치가 설치초기에 설정된 위치에 상응하도록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클립조립체(2000)의 결합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슬라이딩파트(2230)는 중심부에 형성된 레일결합홀(2231)의 내측으로 메인레일부(2430)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레일결합홀(2231)을 통해 수용되는 메인레일부(2430)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딩클립(2200)은 상기 메인레일부(24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이동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고정부(24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수의 클립조립체(2000) 각각은, 중심부에 직결피스홀(2411) 및 메인레일홀(2412)이 형성된 복수의 마구리판, 상기 직결피스홀(2411)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고정피스(2440), 및 상기 메인레일홀(2412)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메인레일부(24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프링(2310) 및 제2스프링(2320) 각각의 외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클립고정부(2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a)는 상기 복수의 마구리판 중 제1마구리판(2410)의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7(b)는 상기 메인레일부(2430)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복수의 마구리판은 메인클립(2100)의 양단부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클립(2100)과 상기 메인클립(2100)의 슬라이드결합홈(2131)의 내측에 일부가 수용된 슬라이딩클립(2200), 및 후술하는 스프링부(2300)의 위치를 고정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메인레일부(2430)는 일단이 상기 복수의 마구리판을 구성하는 제1마구리판(2410)에 형성된 메인레일홀(2412)의 내측에 수용되고, 후술하는 스프링부(2300)의 제1스프링(2310)의 내측홀, 슬라이딩클립(2200)의 제3슬라이딩파트(2230)에 형성된 레일결합홀(2231), 및 후술하는 스프링부(2300)의 제2스프링(2320)의 내측홀의 내측에 연속적으로 수용되고, 타단이 상기 복수의 마구리판을 구성하는 제2마구리판(2420)에 형성된 메인레일홀(2412)의 내측에 수용되는 형태로 메인클립(2100) 및 슬라이딩클립(22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7(a) 및 도 7(b)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고정피스(2440)는 일단이 상기 복수의 마구리판을 구성하는 제1마구리판(2410)에 형성된 직결피스홀(2411)의 내측에 수용되고, 메인클립(2100)의 제3메인파트(2130)에 형성된 마구리결합홀(2133)의 내측에 수용되고, 타단이 상기 복수의 마구리판을 구성하는 제2마구리판(2420)에 형성된 직결피스홀(2411)의 내측에 수용되는 형태로 메인클립(2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복수의 클립고정부(2400)는 상기 메인레일부(2430)에 의하여 상기 메인클립(2100), 슬라이딩클립(2200), 및 스프링부(2300)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고정피스(2440)에 의하여 상기 메인클립(2100)에 상호 고정되어 상기 메인레일부(2430)에 의하여 고정된 상기 메인클립(2100), 슬라이딩클립(2200), 및 스프링부(2300)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즉 클립조립체(2000)의 외측에 클립고정부(2400)가 구비되어 있어, 클립조립체(2000)를 이루는 구성들 간의 조립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조립체(2000)가 진동을 저감하는 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a)는 상기 슬라이딩클립(2200)이 회전이동하여 진동을 저감하는 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슬라이딩클립(2200)은 제2슬라이딩파트(2220)의 측면이 메인클립(2100)의 제3메인파트(2130)의 플랜지면으로부터 C만큼의 폭을 가지도록 이격된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딩클립(2200)은 전술한 바와 같은 x축 및 y축의 사이에서, 도 8(a)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x축 및 y축으로의 응력을 흡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메인클립(2100)은, 상기 슬라이드결합홈(2131)에 인접하는 위치에 직사각형의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완충결합홈(2132);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패널조립체(1) 각각은, 상부는 상기 완충결합홈(2132)에 결합되고, 하부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전체적으로 상기 메인클립(2100)과 슬라이딩클립(2200)의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완충부재(2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완충부재(2700)의 상부는 하부대비 비교적 좁은 폭을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회전완충부재(2700)는, 상기 패널부(1000)에 상기 x축 및 y축으로의 응력이 가해져 상기 슬라이딩클립(2200)이 상기 x축 및 y축의 사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하부가 상기 슬라이딩클립(2200)의 일측을 지지하여 상기 슬라이딩클립(2200)의 회전에 따른 하중을 흡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진발생으로 인하여 건물로부터 클립조립체(2000)측으로 압축응력 및 인장응력이 연속적으로 전달되는 경우에, 상기 압축응력 및 인장응력에 의하여 상기 클립조립체(2000)의 슬라이딩클립(2200)이 상기 x축 및 y축의 사이에서 시계방향(도 8(a)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에 상응)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클립(2200)은 패널부(1000)측으로 이동하면서 제2슬라이딩파트(2220)가 회전완충부재(2700)에 접촉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상기 회전완충부재(2700)가 상기 슬라이딩클립(2200)을 통해 전달된 상기 압축응력 및 인장응력을 흡수하여 메인클립(2100)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회전완충부재(2700)의 응력흡수는 상기 메인클립(2100)이 상기 압축응력 및 인장응력에 반복적으로 노출되어 미세균열이 발생되고, 상기 미세균열이 전파되어, 단일 하중의 파단응력 대비 작은 탄성영역의 응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취성파괴되는 피로 파괴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피로 파괴 현상은 클립조립체(2000)가 항복강도 이상의 응력이 아닌 상기 항복강도에도 미치지 못하는 작은 응력에 의해서 예상치 못하게 손상될 수 있어,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한 한편 본 발명은 이에 대한 대응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클립(2100)의 하측에 형성된 완충결합홈(2132)에 회전완충부재(2700)가 위치하여 슬라이딩클립(2200)의 회전이동에 따른 하중을 흡수함으로써, 클립조립체(2000)가 회전방향으로의 진동에 대응할 수 있고, 진동을 저감하는 과정에서 슬라이딩클립(2200)이 파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클립조립체(2000)는 줄눈부(5000)를 통해 지진발생으로 인한 진동을 추가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줄눈부(50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심부가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서로 인접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패널부(1000, 1000′)가 상기 진동에 의하여 유동하는 경우에, 상기 진동을 흡수하여 상기 두 개의 패널부(1000, 1000′)를 보호할 수 있다.
도 8(b)는 상기 슬라이딩클립(2200)이 좌우이동하여 진동을 저감하는 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조립체(2000)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클립(2200)의 양단부의 외측에 스프링부(2300)가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수의 클립조립체(2000) 각각은, 상기 메인클립(2100)의 슬라이드결합홈(2131)의 내측에 위치하고,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클립(2200)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1스프링(2310), 및 상기 메인클립(2100)의 슬라이드결합홈(2131)의 내측에 위치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딩클립(2200)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2스프링(2320)을 포함하는 스프링부(2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스프링(2310)의 타단은 클립고정부(2400)의 제1마구리판(2410)의 내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2스프링(2320)의 타단은 클립고정부(2400)의 제2마구리판(2420)의 내측면을 지지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스프링부(2300)는, 상기 패널부(1000)에 상기 z축으로의 응력이 가해져 상기 슬라이딩클립(2200)이 상기 z축을 따라 좌우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슬라이딩클립(2200)의 양단 각각을 지지하여 상기 슬라이딩클립(2200)의 좌우이동에 따른 하중을 흡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진발생으로 인하여 건물로부터 클립조립체(2000)측으로 응력이 전달되는 경우에, 상기 응력에 의하여 상기 클립조립체(2000)의 슬라이딩클립(2200)이 상기 z축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클립(2200)은 패널고정부의 사이에서 유동하면서 양단부면이 각각 제1스프링(2310) 및 제2스프링(2320)의 단부측에 접촉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상기 제1스프링(2310) 및 제2스프링(2320) 각각이 상기 슬라이딩클립(2200)을 통해 전달된 상기 응력을 흡수하여 상기 클립고정부(2400)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스프링(2310) 및 제2스프링(2320)의 응력흡수는 상기 클립고정부(2400)가 상기 압축응력 및 인장응력에 반복적으로 노출되어 미세균열이 발생되고, 상기 미세균열이 전파되어, 단일 하중의 파단응력 대비 작은 탄성영역의 응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취성파괴되는 피로 파괴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피로 파괴 현상은 클립조립체(2000)가 항복강도 이상의 응력이 아닌 상기 항복강도에도 미치지 못하는 작은 응력에 의해서 예상치 못하게 손상될 수 있어,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한 한편 본 발명은 이에 대한 대응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프링부(2300)가 슬라이딩클립(2200)의 좌우이동에 따른 하중을 흡수함으로써, 클립조립체(2000)가 일축방향으로의 진동에 대응할 수 있고, 진동을 저감하는 과정에서 슬라이딩클립(2200)이 파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조립체(1)는 클립조립체(2000)의 구조를 통해 3차원 내진성을 가질 수 있어, 건물 외벽(5)에 평행하는 축을 기준으로 한 회전방향의 비틀림하중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상기 패널조립체(1)는 복수의 클립조립체(2000)를 통해 패널부(1000) 자체가 깨지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구성요소 자체를 보호하여 피로파괴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립조립체(2000)가 3차원 내진구조를 가짐으로써, 지진 등이 발생되는 경우에 패널조립체(1)를 보호함과 동시에, 패널조립체(1)의 내부구성요소들이 지진으로 인한 응력을 전달받아 피로 파괴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조립체(1)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클립(2100)과 패널부(1000) 사이에 위치하는 고무패드(2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무패드(2600)는 클립조립체(2000)를 통해 패널부(1000)측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클립조립체(2000)에 복수의 완충재가 적용되어 있어, 메인클립(2100)과 슬라이딩클립(2200) 사이에 가해지는 응력 및 메인클립(2100)과 패널부(1000) 사이에 가해지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 3차원 내진구조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립조립체(2000)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립조립체(2000)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a)는 상기 클립조립체(2000)의 메인클립(2100)의 단면도를, 도 10(b)는 상기 클립조립체(2000)의 클립형마구리부재(2800)의 단면도를, 도 10(c)는 상기 클립조립체(2000)의 슬라이딩클립(2200)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클립조립체(2000)는 실시예에 따라 도 9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클립형마구리부재(28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클립조립체(2000) 각각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부(1000)에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1막음파트(2810), 상기 제1막음파트(2810)의 일단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막음파트(2820), 상기 제2막음파트(2820)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메인클립(2100)의 하측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연장 및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3막음파트(2830), 및 상기 제3막음파트(2830)의 내측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슬라이드결합홈(2131)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4막음파트(28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프링(2310) 및 제2스프링(2320) 각각의 외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클립형마구리부재(28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막음파트(2810)는 메인클립(2100)의 너비에 상응하거나 비교적 짧은 너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실시예에서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클립조립체(2000) 각각은 전술한 복수의 클립고정부(2400)를 포함하지 않고, 메인클립(2100)은 패널부(1000)의 네 측면 각각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상기 메인클립(2100)의 슬라이드결합홈(2131)은 하측이 개방된 형태이고, 상기 복수의 클립형마구리부재(2800)는 상기 메인클립(2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클립(2200)은 상기 복수의 클립형마구리부재(2800)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클립형마구리부재(2800) 각각은 가스켓고정부(5300)을 통해 패널부(100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클립조립체(2000) 각각은 상기 메인클립(2100), 슬라이딩클립(2200), 클립형마구리부재(2800), 및 클립고정부(2400)를 제외하고는 전술한 구성들에 상응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와 같은 형태는 마구리판, 고정피스(2440), 및 메인레일부(2430)로 이루어진 클립고정부(2400)를 적용하지 않는 형태로, 전술한 실시예 대비 소요자재를 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립조립체(2000)에 클립형마구리부재(2800)를 적용하여 자재를 줄일 수 있어 경제성을 확보하고,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립조립체(2000)가 진동을 저감하는 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a)은 상기 슬라이딩클립(2200)이 회전이동하여 진동을 저감하는 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클립(2200)은 전술한 바와 같은 x축 및 y축의 사이에서, 도 8(a)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x축 및 y축으로의 응력을 흡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클립조립체(2000)는 줄눈부(5000)를 통해 지진발생으로 인한 진동을 추가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줄눈부(50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심부가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서로 인접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패널부(1000, 1000′)가 상기 진동에 의하여 유동하는 경우에, 상기 진동을 흡수하여 상기 두 개의 패널부(1000, 1000′)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1(b)는 상기 슬라이딩클립(2200)이 좌우이동하여 진동을 저감하는 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해당 실시예의 클립조립체(2000)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클립(2200)의 양단부의 외측에 스프링부(230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부(2300)는 전술한 스프링부(2300)에 상응하는 구성에 해당하고,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스프링부(2300)는, 상기 패널부(1000)에 상기 z축으로의 응력이 가해져 상기 슬라이딩클립(2200)이 상기 z축을 따라 좌우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슬라이딩클립(2200)의 양단 각각을 지지하여 상기 슬라이딩클립(2200)의 좌우이동에 따른 하중을 흡수할 수 있다.
즉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패널조립체(1) 또한, 클립조립체(2000)의 구조를 통해 3차원 내진성을 가질 수 있어, 건물 외벽(5)에 평행하는 축을 기준으로 한 회전방향의 비틀림하중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립조립체(2000)가 3차원 내진구조를 가짐으로써, 지진 등이 발생되는 경우에 패널조립체(1)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눈부(5000)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줄눈부(5000)는 서로 인접하게 설치하는 두 개의 클립조립체(2000, 2000′) 사이에 위치하는 백업부(3000), 및 실란트부(4000)의 상측에서, 서로 인접하게 설치하는 두 개의 패널부(1000, 1000′)와 두 개의 클립조립체(2000, 20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줄눈부(50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켓부(5100)의 상측에 줄눈덮개(5200)가 결합된 형태를 가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스켓부(5100)는 상측에 위치하는 결합돌출부(5130)에 의하여 형성된 결합홈(5133)을 구비하고, 상기 줄눈덮개(5200)는 하측에 위치하는 결합안착부(5220)에 의하여 형성된 안착홈(5223)을 구비하고, 상기 가스켓부(5100)와 줄눈덮개(5200)는 상기 결합홈(5133)에 상기 결합안착부(5220)가 조립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돌출부(5130)는 상기 가스켓부(5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안착부(5220)는 상기 줄눈덮개(5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줄눈부(5000)는 상기 결합돌출부(5130)의 결합홈(5133)에 상기 결합안착부(5220)의 안착홈(5223)을 슬라이딩방식으로 끼우는 형태로 상기 가스켓부(5100)와 줄눈덮개(5200)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줄눈부(5000)가 가스켓부(5100)와 줄눈덮개(5200)가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형태로 설치됨에 따라, 작업자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부(5100)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스켓부(5100)는 상기 실란트부(4000)의 상측에 위치하고, 전체적으로 사각관의 형상을 가지는 가스켓몸체(5110), 및 상기 가스켓몸체(5110)의 양측면 각각으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를 가지도록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날개부(5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스켓부(5100)의 날개부(5120)는, 상기 가스켓몸체(5110)의 양측면 각각에 위치하고 상기 양측면 각각으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를 가지도록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날개(5121); 상기 제1날개(5121)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양측면 각각으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를 가지도록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날개(5122); 및 상기 제2날개(5122)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양측면 각각으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를 가지도록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3날개(5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줄눈부(5000) 및 복수의 패널부(1000)의 사이에 불순물(D)이 침투하는 경우에, 상기 날개부(5120)는 상기 제1날개(5121)를 통해 상기 불순물(D)을 1차적으로 차단하고, 상기 제2날개(5122)를 통해 상기 불순물(D)을 2차적으로 차단하고, 상기 제3날개(5123)를 통해 상기 불순물(D)을 3차적으로 차단하여, 상기 불순물(D)이 상기 실란트부(4000)측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줄눈부(5000)의 가스켓부(5100) 측면에 복수의 날개가 형성되어 있어, 패널부(1000)와 줄눈부(5000) 사이에 고인 이물질이 내측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패널조립체(1)의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스켓부(5100)는, 상기 가스켓몸체(511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상측연장부(5131); 상기 복수의 상측연장부(5131) 각각의 상단을 연결하고, 양단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의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는 돌출면(5132); 및 상기 가스켓몸체(5110)의 상면, 복수의 상측연장부(5131), 및 돌출면(5132)에 의하여 형성되는 결합홈(5133);을 포함하는 결합돌출부(5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가스켓부(5100)는 상측에 위치하는 줄눈덮개(5200)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눈덮개(5200)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줄눈덮개(5200)는, 상면이 상기 복수의 패널부(1000)의 상면이 위치하는 평면상에 배치되고, 사각판의 형상을 가지는 줄눈본체(5210); 및 상기 줄눈본체(5210)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하측연장부(5221), 상기 복수의 하측연장부(5221) 각각의 하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5222), 및 상기 복수의 하측연장부(5221) 및 절곡부(5222)에 의하여 형성되는 안착홈(5223)을 포함하는 결합안착부(5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줄눈덮개(5200)는 하측에 위치하는 가스켓부(5100)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줄눈덮개(5200)는 패널의 형태를 가지는 줄눈의 구성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눈덮개(5200)는 패널부(1000)에 결합되는 가스켓부(5100)의 상측에 패널의 형태를 가지는 줄눈이 결합되는 형태를 가지고 있고, 상면이 패널부(1000)의 상면이 위치하는 평면상에 배치되어 줄눈덮개(5200)의 높이와 패널부(1000)의 높이가 서로 상응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상기 줄눈덮개(5200)는, 별도의 줄눈패널 없이 실리콘 재질의 실란트만 도포하여 실란트가 외부로 노출되던 종래의 1세대 줄눈기술과, 실란트의 상측에 줄눈패널을 설치하여 실란트가 외부로 노출되지는 않으나 줄눈패널의 높이와 외벽패널의 높이가 서로 크게 상이하여 패널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던 종래의 2세대 줄눈기술 대비, 패널조립체(1)의 비오염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심미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구성에 해당한다. 이는 본 발명의 패널조립체(1)는 줄눈부(5000)의 구조에 의하여 상기 패널부(1000)의 측면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인 것에 해당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조립체(1)가 불순물을 차단하는 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조립체(1)의 패널부(1000)와 줄눈부(5000)의 사이에 도 15(a)에서와 같이 물과 같은 불순물(D)이 고이는 경우에, 상기 줄눈부(5000)의 가스켓부(5100)의 날개부(5120)는 상기 가스켓부(5100)의 측면에 형성된 제1날개(5121)를 통해 상기 불순물(D)을 1차적으로 차단한다. 상기 불순물(D)이 상기 제1날개(5121)를 지나 보다 내측으로 침투되는 경우에는 도 15(b)에서와 같이 상기 날개부(5120)는 제2날개(5122)를 통해 상기 불순물(D)을 2차적으로 차단하고, 상기 제2날개(5122)를 지나 보다 내측으로 침투되는 경우에는 도 15(c)에서와 같이 상기 날개부(5120)는 제3날개(5123)를 통해 상기 불순물(D)을 3차적으로 차단한다.
이와 같은 상기 줄눈부(5000)의 불순물(D) 차단프로세스는 상기 가스켓부(5100)의 측면에 형성된 날개부(5120)의 구성과 상기 날개부(5120)측을 패널의 측면에 결합시키는 가스켓고정부(5300)의 구성에 의하여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외벽에 클립을 이용하여 패널조립체를 설치함에 따라 패널을 보다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고, 건물의 단열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외벽에 설치된 패널조립체가 클립조립체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3차원 내진성을 가질 수 있어, 외적하중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하여 내하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클립에 슬라이딩클립이 좌우이동 및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어, 클립조립체가 3차원 내진구조를 구현할 수 있어 패널조립체의 내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립조립체가 3차원 내진구조를 가짐으로써, 지진 등이 발생되는 경우에 패널조립체를 보호함과 동시에, 패널조립체의 내부구성요소들이 지진으로 인한 응력을 전달받아 피로 파괴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프링부가 슬라이딩클립의 좌우이동에 따른 하중을 흡수함으로써, 클립조립체가 일축방향으로의 진동에 대응할 수 있고, 진동을 저감하는 과정에서 슬라이딩클립이 파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립조립체의 외측에 클립고정부가 구비되어 있어, 클립조립체를 이루는 구성들 간의 조립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클립의 하측에 형성된 완충결합홈에 회전완충부재가 위치하여 슬라이딩클립의 회전이동에 따른 하중을 흡수함으로써, 클립조립체가 회전방향으로의 진동에 대응할 수 있고, 진동을 저감하는 과정에서 슬라이딩클립이 파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립조립체에 복수의 완충재가 적용되어 있어, 메인클립과 슬라이딩클립 사이에 가해지는 응력 및 메인클립과 패널부 사이에 가해지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 3차원 내진구조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립조립체에 클립형마구리부재를 적용하여 자재를 줄일 수 있어 경제성을 확보하고,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널조립체가 상면이 패널부의 상면이 위치하는 평면상에 배치되는 줄눈부를 포함함에 따라, 패널부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비오염성 및 심미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줄눈부의 가스켓부 측면에 복수의 날개가 형성되어 있어, 패널부와 줄눈부 사이에 고인 이물질이 내측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패널조립체의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부재들로 이루어지는 가스켓고정부를 이용하여 줄눈부를 패널부에 결합시킴으로써, 패널조립체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고, 우수한 수밀성을 보다 강화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백업부의 양단이 복수의 클립조립체 각각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어, 패널조립체가 고품질의 밀폐성능을 가질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줄눈부가 가스켓부와 줄눈덮개가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형태로 설치됨에 따라, 작업자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패널조립체
1000: 패널부
2000: 클립조립체
2100: 메인클립
2110: 제1메인파트 2120: 제2메인파트
2130: 제3메인파트 2131: 슬라이드결합홈
2132: 완충결합홈 2133: 마구리결합홀
2140: 패널결합홈
2200: 슬라이딩클립
2210: 제1슬라이딩파트 2220: 제2슬라이딩파트
2230: 제3슬라이딩파트 2231: 레일결합홀
2300: 스프링부
2310: 제1스프링 2320: 제2스프링
2400: 클립고정부
2410: 제1마구리판 2411: 직결피스홀
2412: 메인레일홀 2420: 제2마구리판
2430: 메인레일부 2431: 레일본체
2432: 제1레일고정부재 2433: 제2레일고정부재
2440: 고정피스
2500: 클립고정부재 2600: 고무패드
2700: 회전완충부재 2800: 클립형마구리부재
2810: 제1막음파트 2820: 제2막음파트
2830: 제3막음파트 2840: 제4막음파트
3000: 백업부
4000: 실란트부
5000: 줄눈부
5100: 가스켓부
5110: 가스켓몸체 5111: 몸체관통홀
5120: 날개부 5121: 제1날개
5122: 제2날개 5123: 제3날개
5130: 결합돌출부 5131: 상측연장부
5132: 돌출면 5133: 결합홈
5200: 줄눈덮개
5210: 줄눈본체
5220: 결합안착부 5221: 하측연장부
5222: 절곡부 5223: 안착홈
5300: 가스켓고정부 5310: 너트
5320: 고무와샤 5330: 리벳
2: 수직각관
3: 수평각관 31: 용접부
4: 단열재 5: 건물 외벽
6: 화스너부재 61: 단열고정부재
D: 불순물

Claims (7)

  1. 후시공 줄눈을 포함하는 패널조립체로서,
    각각이 사각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각판의 네 개의 모서리면 각각이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네 개의 측면을 각각 포함하고,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패널부;
    상기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패널부 각각의 하측에 위치하고, 일부가 건물 외벽 각관의 일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클립조립체;
    상기 복수의 클립조립체의 사이에 위치하고, 일단은 상기 복수의 클립조립체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되고, 타단은 상기 복수의 클립조립체 중 다른 하나에 접촉되는 백업부;
    상기 백업부의 상측에 도포되고, 실리콘을 포함하는 실란트부;
    상기 실란트부의 상측에 위치하고, 전체적으로 사각관의 형상을 가지는 가스켓몸체, 및 상기 가스켓몸체의 양측면 각각으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를 가지도록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가스켓부; 및 하부가 상기 가스켓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줄눈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패널부 각각의 사이공간, 및 상기 복수의 패널부에 인접하는 다른 복수의 패널부의 사이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가스켓부의 양측면 각각이 상기 복수의 패널부 각각의 측면에 결합되는 줄눈부;를 포함하고,
    상기 줄눈부는 상기 복수의 패널부 각각의 측면에 결합되면서, 상기 줄눈덮개의 상면이 상기 복수의 패널부의 상면이 위치하는 평면상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구조에 의하여, 상기 패널조립체는 상기 줄눈부와 복수의 패널부 각각의 사이에 단차가 존재하지 않아, 상기 복수의 패널부 각각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가스켓부는,
    상기 가스켓몸체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상측연장부; 상기 복수의 상측연장부 각각의 상단을 연결하고, 양단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의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는 돌출면; 및 상기 가스켓몸체의 상면, 복수의 상측연장부, 및 돌출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결합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줄눈덮개는,
    상면이 상기 복수의 패널부의 상면이 위치하는 평면상에 배치되고, 사각판의 형상을 가지는 줄눈본체; 및 상기 줄눈본체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하측연장부, 상기 복수의 하측연장부 각각의 하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 및 상기 복수의 하측연장부 및 절곡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안착홈을 포함하는 결합안착부;를 포함하는, 패널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부의 날개부는,
    상기 가스켓몸체의 양측면 각각에 위치하고 상기 양측면 각각으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를 가지도록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날개;
    상기 제1날개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양측면 각각으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를 가지도록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날개; 및
    상기 제2날개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양측면 각각으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를 가지도록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3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줄눈부 및 복수의 패널부의 사이에 불순물이 침투하는 경우에,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1날개를 통해 상기 불순물을 1차적으로 차단하고, 상기 제2날개를 통해 상기 불순물을 2차적으로 차단하고, 상기 제3날개를 통해 상기 불순물을 3차적으로 차단하여, 상기 불순물이 상기 실란트부측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패널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줄눈부는,
    상기 가스켓부의 양측면 각각에 위치하고, 일면이 상기 가스켓부의 가스켓몸체, 및 날개부 중 1 이상에 접촉하는 너트; 상기 너트의 일측에 위치하고, 일면은 상기 너트에 접촉하고 타면은 상기 복수의 패널부 각각의 측면에 접촉하는 고무와샤; 및 상기 복수의 패널부 각각의 측면, 고무와샤, 및 너트를 관통하는 형태로 위치하는 리벳;을 포함하는 가스켓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고정부는 상기 리벳에 의하여 상기 가스켓부를 상기 복수의 패널부 각각의 측면에 결합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패널조립체는 상기 줄눈부와 상기 복수의 패널부의 사이에 불순물이 침투되는 경우에, 상기 가스켓고정부의 구조에 의하여 상기 불순물이 상기 실란트부측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패널조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백업부는,
    양단이 상기 복수의 클립조립체 각각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있어, 상측에 상기 실란트부가 도포되는 경우에 상기 실란트부가 상기 복수의 클립조립체의 내측으로 침투되지 않고, 상기 복수의 클립조립체와 복수의 패널부 사이의 공간을 채울 수 있도록 하는, 패널조립체.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출부는 상기 가스켓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안착부는 상기 줄눈덮개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줄눈부는 상기 결합돌출부의 결합홈에 상기 결합안착부의 안착홈을 슬라이딩방식으로 끼우는 형태로 상기 가스켓부와 줄눈덮개가 상호 결합되는, 패널조립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클립조립체는,
    상측은 상기 패널부에 결합되고, 하측에는 원기둥의 옆면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슬라이드결합홈이 위치하는 메인클립; 및 일부는 상기 슬라이드결합홈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슬라이드결합홈의 내측에 수용되고, 다른 일부는 건물 외벽 각관의 일면에 결합되는 슬라이딩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클립이 일부가 상기 슬라이드결합홈의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메인클립의 길이방향에 상응하는 z축을 따라 좌우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z축이 위치하는 평면상에서 상기 z축에 수직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x축과 상기 z축 및 x축이 위치하는 평면에 수직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y축의 사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고,
    상기 패널부에 상기 x축, y축, 및 z축으로의 응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슬라이딩클립이 상기 z축으로 좌우이동 및 상기 x축 및 y축의 사이에서 회전이동함으로써 상기 x축, y축, 및 z축으로의 응력을 흡수하는, 패널조립체.
KR1020230044962A 2023-04-05 2023-04-05 조립식 후시공 줄눈을 포함하는 비오염성, 심미성, 및 시공성이 향상된 측면 비노출식 패널조립체 KR102594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4962A KR102594751B1 (ko) 2023-04-05 2023-04-05 조립식 후시공 줄눈을 포함하는 비오염성, 심미성, 및 시공성이 향상된 측면 비노출식 패널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4962A KR102594751B1 (ko) 2023-04-05 2023-04-05 조립식 후시공 줄눈을 포함하는 비오염성, 심미성, 및 시공성이 향상된 측면 비노출식 패널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4751B1 true KR102594751B1 (ko) 2023-10-27

Family

ID=88514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4962A KR102594751B1 (ko) 2023-04-05 2023-04-05 조립식 후시공 줄눈을 포함하는 비오염성, 심미성, 및 시공성이 향상된 측면 비노출식 패널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75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27399A2 (en) * 1999-10-08 2001-04-19 Diversified Panel Systems, Inc. Curtain wall support method and apparatus
KR101785279B1 (ko) * 2017-05-12 2017-10-16 (주)한신산업 충진단열재를 이용한 외장 단열패널 설치구조
KR102021454B1 (ko) * 2018-12-27 2019-09-16 라인강건산업주식회사 오버드레인 배수구조를 갖는 오픈조인트 내진 패널조립체
KR102105165B1 (ko) * 2019-04-30 2020-04-27 그린윈텍주식회사 이중완충구조를 갖는 패널조립체
KR102303616B1 (ko) * 2020-11-02 2021-09-16 정건모 내진방수용 부착형클립의 코킹구조를 갖는 건축용커트시스템패널 연결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27399A2 (en) * 1999-10-08 2001-04-19 Diversified Panel Systems, Inc. Curtain wall support method and apparatus
KR101785279B1 (ko) * 2017-05-12 2017-10-16 (주)한신산업 충진단열재를 이용한 외장 단열패널 설치구조
KR102021454B1 (ko) * 2018-12-27 2019-09-16 라인강건산업주식회사 오버드레인 배수구조를 갖는 오픈조인트 내진 패널조립체
KR102105165B1 (ko) * 2019-04-30 2020-04-27 그린윈텍주식회사 이중완충구조를 갖는 패널조립체
KR102303616B1 (ko) * 2020-11-02 2021-09-16 정건모 내진방수용 부착형클립의 코킹구조를 갖는 건축용커트시스템패널 연결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17562B (zh) 在结构化玻璃组件中或与结构化玻璃组件相关的改进
KR102003898B1 (ko) 내진보강 및 열차단 기능을 갖는 지붕 조립체의 시공방법
KR102038657B1 (ko) 지진 충격 흡수 구조를 가진 노출바형 커튼월
KR101845011B1 (ko) 방음터널 및 방음터널의 시공방법
KR101473997B1 (ko) 방음터널의 천장부 누수차단구조
WO2015045384A1 (ja) 制震壁構造
KR20190003006U (ko) 오염방지 및 내진 구조를 갖는 마감패널 조립체
KR102096496B1 (ko) 내진형 시스템패널
KR101489848B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철골프레임에 프리텐션을 도입한 개구부 내진보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2236477B1 (ko) 충격 완화 구조를 가진 커튼월
KR20170130121A (ko) 공장 제작된 소켓형 연결부재 및 소켓형 연결부재 제작 및 시공방법
KR101368312B1 (ko) 댐퍼 접합에 의한 구조물의 내진보강구조
KR102594751B1 (ko) 조립식 후시공 줄눈을 포함하는 비오염성, 심미성, 및 시공성이 향상된 측면 비노출식 패널조립체
KR101900701B1 (ko) 장대지간형 트러스 방음터널 및 그 시공공법
KR101120502B1 (ko) 투명판 연결용 이음기구와 이 이음기구를 포함하는 방음벽
KR102583113B1 (ko) 3차원 내진구조를 갖는 내진성 및 내하력이 향상된 패널조립체
KR101065186B1 (ko) 점 지지 방식의 유리 커튼 월 시스템
KR101568588B1 (ko) 모듈러유닛의 외장마감조인트와, 이를 활용한 모듈러유닛의 외장마감구조 및, 외장마감구조의 시공방법
JP4904469B2 (ja) ガラススクリーン構造
KR102251214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복합패널 조립체
KR101441809B1 (ko) 방음터널의 천장부 누수차단구조
KR102363789B1 (ko) 내진 열교차단 건축 마감패널 및 그 시공구조
KR102109149B1 (ko) 충격 흡수 구조를 가진 비노출바형 내진 커튼월
KR20100009407A (ko) 교량외장재 체결보강장치
KR101654772B1 (ko) 패널존 보강과 탄성력을 이용한 내진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