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021B1 - 밀납 용해장치 - Google Patents

밀납 용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021B1
KR102594021B1 KR1020210049455A KR20210049455A KR102594021B1 KR 102594021 B1 KR102594021 B1 KR 102594021B1 KR 1020210049455 A KR1020210049455 A KR 1020210049455A KR 20210049455 A KR20210049455 A KR 20210049455A KR 102594021 B1 KR102594021 B1 KR 102594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swax
tank
water
inner tank
dis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2872A (ko
Inventor
장인호
Original Assignee
장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인호 filed Critical 장인호
Priority to KR1020210049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021B1/ko
Publication of KR20220142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0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9/00Honey collection
    • A01K59/06Devices for extracting wax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1/00Recovery or refining of other fatty substances, e.g. lanolin or wax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2Ingredi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xtraction Or Liquid Replac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탕타입으로 끓이지 않은 형태로 재료를 용해시키기 때문에 유효성분이 손실되지 않게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고 용해된 순수 밀납액만 분리하여 고형화하기 때문에 이물질을 분리 및 제거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안전을 담보할 수 있으면서 밀납을 얻기 위한 전체적인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고순도의 밀납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저면에 바퀴와 스토퍼를 가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는 벌집을 용해하여 밀납을 얻을 수 있도록 설치하는 용해조와; 상기 용해조는, 밀납을 추출하기 위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조와; 상기 내부조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밀봉되는 외부조와; 상기 내부조와 외부조 사이의 공간에 형성하여 내부조에 수용된 재료를 중탕으로 용해시켜 밀납을 얻을 수 있게 하는 워터자켓과; 상기 외부조의 외측에 마감하여 용해과정에서 사용되는 열이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단열재를 가지는 마감커버와; 상기 내부조의 상부에 단열재로 마감하여 개페되는 뚜껑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밀납 용해장치{BEESWAX MELTING DEVICE}
본 발명은 밀납 용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밀납 양초를 만드는 원료로 사용되는 천연밀납의 용해를 용이하게 하면서도 용해과정에서 갈변현상이나 효능의 감소와 같은 이상현상을 배제하여 안정적이면서 우수한 품질의 밀납을 얻을 수 있도록 한 밀납 용해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천연밀납은 법집을 구성하는 주 성분이며, 이러한 천연밀납을 추출한 후에는 양초(켄들)을 만드는 용도는 물론 제과분야, 약제재료, 화장품 등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으녀 양초로 사용할 경우에는 합성향초에 비하여 연소시간이 길면서도 연소과정에서 꿀향이 발향되고, 음이온의 발생과 더불어 꿀에 함유되어 있는 프로폴리스의 효능에 의하여 공기정화, 냄새제거, 면역력향상, 심신안정 및 염증개선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천연 밀납을 얻기 위해서는 전통적으로 일정한 크기의 용기에 물과 함께 벌집을 투입한 후 끓여주면 60 - 70℃의 온도에서 용해가 되어 물처럼 변하게 되며, 벌집에 함께 있던 이물질을 제거해 준 후 별도의 용기에 투입하여 냉각시켜주면 물은 아래측에 위치하고 밀납은 상측에 위치하여 분리된 상태에어 굳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직접 끓이는 것 보다는 중탕으로 벌집을 용해하는 것이 고온(85℃)으로 인한 갈변현상을 방지하여 최상의 밀납을 얻을 수 있으나, 준비와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으로 인하여 일반적으로는 직접 끓이는 방식을 많이 사용하게 되며, 한번에 많은 양을 얻지 못하게 되므로 여러번에 걸쳐서 얻어진 밀납을 다시 모아서 함께 용해시키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벌집을 용해시켜 천연의 밀납을 얻기 위한 전용의 장치들은 현재 널리 보급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며, 대표적인 예로서 특허문헌을 통하여 기술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채취된 벌꿀 또는 밀납을 수용하고, 하부에 벌꿀을 가열하여 농축시키는 히터가 구비되며, 일측에 상기 농축된 벌꿀 또는 밀납을 배출시키는 밸브가 마련되는 외부용기(10);
상기 외부용기(10)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며, 벌꿀 또는 밀납을 정제하는 메쉬(mesh) 망으로 마련되는 제1걸음망(21)과 상기 제1걸음망이 삽입되며 상기 제1걸음망보다 작은 메쉬망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걸음망으로 정제된 벌꿀 또는 밀납을 2차로 정제하는 제2걸음망(2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걸음망(22)의 하부에는 상기 외부용기(10)의 내측 바닥과 이격되기 위한 다수의 이격부재(221)가 결합되며, 제1걸음망(21)의 상부에 마련된 다수의 지지돌기(212)가 상기 제2걸음망(22)의 상부 테두리에 걸리어 지지됨으로써 상기 제1걸임망(21)과 상기 제2걸음망(22)이 이격되도록 한 걸음망(20);
상기 외부용기(10)의 상부를 개폐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력조절부재와 스팀이 공급되는 스팀홀이 형성된 뚜껑(30) 및 상기 스팀홀에 삽입되는 스팀호스(41)와 물을 수용하는 물저장부(42)와 물저장부(42) 하부에 스팀히터(43)가 구비되고, 상기 제1걸음망(21)과 상기 제2걸음망(22)에 의해 걸러진 밀납을 수거하여 상기 제1걸음망(21) 내측에 적재한 상태에서 고온의 스팀을 가하여 액체 상태로 만들어 상기 제1걸음망(21)과 상기 제2걸음망(22)을 통해 정재되도록 하는 스팀발생기(4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특허 제 10 - 2133599 - 0000 호
없슴.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의 경우에는 법질을 투입하여 꿀을 분리하고 잔여 벌집을 이용하여 밀납을 채취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여러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의 경우에는 끌이 함유되어 있는 청정한 벌집을 공급하여 꿀을 분리한 후 스팀 등을 공급하여 밀납을 얻을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한번에 얻을 수 있는 밀납의 양이 많지 않고, 양을 늘리기 위하여 속이 비어있는 벌집이나 기타 일부 오염되어 있는 벌집을 투입하여 밀납을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오염원에 의하여 장치 내부가 오염되기 때문에 새로운 꿀을 얻고자 하는 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장치를 깨끗하게 청소 및 세정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세척이 이루어진다 하여도 식용으로 꿀을 얻는 작업이기 때문에 위생적으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척이 완벽하지 않고 오염물질이 내부에 잔존하는 상태에서 꿀을 분리하여 담는 과정에서 일부 이물질이 들어가는 불량이 발생할 경우에는 민원이 발생하는 것은 물론, 모르고 이를 섭취할 경우에는 위생적인 측면은 물론 이용자의 건강까지 위협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그리고, 밀납을 얻기 위하여 순수한 벌집만 이용할 경우에는 효율성이 극히 저하되는 원인이 되고, 빈 벌집 등을 함께 수용하여 밀납을 얻고자 할 경우에는 위생적인 문제에 봉착하게 됨으로서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여러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취지는 좋으나 실질적으로는 작업 효율성 측면에서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저면에 바퀴(101)와 스토퍼(102)를 가지는 프레임(103)과;
상기 프레임(103)의 상부에는 벌집을 용해하여 밀납을 얻을 수 있도록 설치하는 용해조(105)와;
상기 용해조(105)는, 밀납을 추출하기 위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조(106)와;
상기 내부조(106)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밀봉되는 외부조(107)와;
상기 내부조(106)와 외부조(107) 사이의 공간에 형성하여 내부조(106)에 수용된 재료를 중탕으로 용해시켜 밀납을 얻을 수 있게 하는 워터자켓(108)과;
상기 외부조(107)의 외측에 마감하여 용해과정에서 사용되는 열이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단열재(109)를 가지는 마감커버(110)와;
상기 내부조(106)의 상부에 단열재(113)로 마감하여 개페되는 뚜껑(112)을 포함하여;
중탕타입으로 끓이지 않은 형태로 재료를 용해시키기 때문에 유효성분이 손실되지 않게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고 용해된 순수 밀납액만 분리하여 고형화하기 때문에 이물질을 분리 및 제거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안전을 담보할 수 있으면서 밀납을 얻기 위한 전체적인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고순도의 밀납을 얻을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밀납 용해를 기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효율성을 높이도록 하면서 이물질이 없는 고순도의 밀납을 얻을 수 있고, 중탕 방식으로 용해함으로서 밀납을 얻는 과정에서 갈변현상을 비롯하여 효능이 저하되는 현상을 배제하여 우수하고 균일한 품질의 밀납을 대량으로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밀납을 용해한 후 이물질이 함유된 밀납액과 순수 밀납액을 분리 배출하여 이물질이 함유된 밀납액느 용해하고자 하는 벌집과 함께 공급하여 다시 용해시키고 순수 밀납액은 대형 용기로 분리 수한 후 일정한 크기로 고형화시킬 수 있게 함으로서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밀납 용해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밀납 용해장치를 도시한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밀납 용해장치를 도시한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밀납 용해장치의 중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밀납 용해장치의 사용상태도로서 이물질을 배출하는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밀납 용해장치의 사용상태도로서 순수 밀납액을 배출하는 상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밀납 용해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밀납 용해장치를 도시한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밀납 용해장치를 도시한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밀납 용해장치의 중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밀납 용해장치의 사용상태도로서 이물질을 배출하는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밀납 용해장치의 사용상태도로서 순수 밀납액을 배출하는 상태도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밀납 용해장치(100)는, 저면에 이동의 용이성을 제공하기 위한 바퀴(101)와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102)를 가지는 프레임(103)을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103)의 상부에는 벌집을 용해하여 밀납을 얻기 위한 용해조(105)를 설치하는 데, 상기 용해조(105)는 밀납을 추출하기 위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조(106)와, 상기 내부조(106)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용접 등을 통하여 밀봉되는 외부조(107)를 포한함다.
상기 내부조(106)와 외부조(107)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내부조(106)에 수용된 재료를 중탕으로 용해시켜 밀납을 얻을 수 있도록 워터자켓(108)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외부조(107)의 외측에는 용해과정에서 사용되는 열이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단열재(109)를 가지는 마감커버(110)를 가지도록 한다.
상기 내부조(106)와 외부조(107)는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될 것이나 바람직하게는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여 장기간 사용에도 분리나, 이격 등으로 인한 손상을 유발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내부조(106)의 상부에는 손잡이(111)를 가지는 뚜껑(112)을 구비하여 재료 투입시에는 개방하고 용해시에는 닫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상기 뚜껑(112)에도 단열재(113)로 마감하여 용해과정에서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워터자켓(108)의 상부 일측에는 가열되는 물이 고온과 압력에 의하여 팽창시 발생할 수 있는 폭발과 같은 안전사고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압력배출튜브(114)를 설치하여 안전을 담보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할 경우에는 별도의 급수관을 더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압력배출튜브(114)는 순수 관체를 절곡하여 혹여 발생할 수 있는 증기 또는 온수가 비산되지 않도록 절곡하여 지면을 향하도록 하는 것이 좋고, 내부에는 체크밸브를 더 설치하여 설정된 압력 이상일 경우에 개방하여 폭발 등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 워터자켓(108)의 바닥 위치에는 중탕을 위하여 공급한 물을 밀납을 추출할 수 있는 용해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히터(115)를 설치하고, 용해조(105)의 전방에 설치되어 워터자켓(108) 내부의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16)의 정보를 인가받는 용해조(105)의 측방에 설치되는 컨트롤러(117)에 의하여 설정된 온도로 물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되도록 한다.
상기 온도센서(116) 측방에는 내부조(106) 내부의 수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게이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레벨게이지(118)를 설치하도록 한다.
상기 내부조(106)의 바닥면 중앙위치 전방에는 용해되어 밀납이 추출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이물질이나 미쳐 용해되지 못한 재료를 내부조(106)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이물질배출밸브(120)를 설치하고, 상기 이물질배출밸브(120) 상측 위치(내부조의 중간 위치 정도)의 내부조(106)에는 용해되어 물과 분리되어 상등된 순수밀납액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밀납배출밸브(121)를 설치한다.
상기 내부조(106)의 바닥면(122)은 내부조(106)의 후측에서 이물질배출밸브(120) 방향으로 하형 경사지게 형성하여 이물질 배출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워터자켓(108)에는 중탕으로 사용된 물의 배출을 위한 물배출밸브(123)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의 밀납 용해장치(100)는 물을 많이 사용하고 재료(벌집)를 용해하여 밀납을 추출하는 과정을 반복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시에도 부식의 우려를 방지하고 부식으로 인하여 밀납에 산화성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테인리스스틸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밀납 용해장치(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작업장에 밀납 용해장치(100)를 위치시켜 움직이지 않도록 한 후 뚜껑(112)을 개방하여 내부조(106)에 물을 채운 후 재료(벌집)을 투입한 후 뚜껑(112)을 닫고, 워터자켓(108)에도 물을 채운 후 콘트롤러(117)를 작동시킨다.
물론, 이물질배출밸브(120)와 밀납배출밸브(121) 및 물배출밸브(123)는 차단상태로 있음은 당연할 것이며, 워터자켓(108)에 수용된 물과 재료가 60 - 70℃의 온도를 유지하여 끓지 않으면서 재료가 용해될 수 있도록 컨트롤러(117)가 히터(115)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히터(115)의 작동으로 워터자켓(108) 내부의 물이 가열되어 내부조(106)에 채워진 물과 재료를 간접열로 용해온도에 도달하게 하고, 지속적으로 그 온도를 유지시켜 투입된 재료 전체가 완전하게 용해될 때까지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는 외부조(107)를 감싸고 있는 마감커버(110)에 단열재(109)를 개재하고 있고, 뚜껑(112)에도 단열재(113)를 강구하고 있어 열손실을 최소화 하면서 작업자가 용해조(105)와 신체적인 접촉이 있더라도 화상을 입게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설정한 온도와 시간만큼 용해조(105)를 작동시키면 내부조(106)에 투입하엮던 재료가 용해되어 물과 같은 상태로 전환되고, 밀납의 특성상 물보다 비중이 낮기 때문에 용해작동을 멈추게 되면 물은 내부조(106)의 아래측에 위치하게 되고 용해된 밀납은 물의 위쪽에 위치하는 상등 상태가 된다.
물론, 물과 밀납의 경계위치에는 이물질 등이 존재하게 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며, 내부조(106)가 안정화된 후에는 이물질배출밸브(120)를 개방시켜 물과 함께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켜 별도의 용기에 저장하여 다른 재료를 용해할 때 이물질을 함께 투입하여 이물질에 포함되어 있는 미용해된 재료를 완전하게 용해시켜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이물질과 용해에 사용되었던 물이 내부조(106)의 외부로 배출되면 내부조(106)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던 용해된 밀납액이 하강하게 되고, 물과 불순물 및 밀납액의 경계위치가 밀납배출밸브(121)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이물질배출밸브(120)를 차단하고, 밀납배출밸브(122)를 개방하여 상등된 순수밀납액을 내부조(106) 외부로 배출시켜 별도의 용기에 저장하도록 한다.
상기 내부조(106)의 상부에 상등된 상태에 있는 밀납액의 아래측과 물의 상측의 경계위치가 밀납배출밸브(121)에 도달하는 지 여부는 레벨게이지(118)를 통하여 수위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1차 추출이 완료되면 다음 추출할 재료를 내부조(106)로 투입하면서 배출된 이물질을 함께 공급하여 2차 추출과정에서 완전하게 추출되도록 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여러차례 추출하여 순수 밀납액만 배출하여 별도 보관한 후 일정한 형상으로 고형화시켜 밀납을 얻도록 한다.
이와 같이 밀납액을 분리하게 되므로 고형화되어 이물질을 별도로 제거하여야 하는 불편을 해소하면서 얻어진 순수 밀납액을 고형화하기 때문에 추후 양초를 만들거나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활용성이 높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재료를 용해하여 밀납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워터자켓(108)에 충진된 물이 히터(115)에 의하여 가열되면서 온도가 높아지면서 혹여 발생할 수 있는 증기와 압력이 발생할 경우에는 압력배출튜브(11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폭발과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워터자켓(108) 내부의 수위를 집수관(119)에 구비되는 게이지창(118)을 통하여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안정화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초기에 물을 투입할 때에도 적정수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히터(115)의 작동은 온도센서(116)를 통하여 워터자켓(108)의 온를 감지하여 컨트롤러(117)로 인가함으로서 제어되어 항상 일정한 온도를 유지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중탕타입으로 끓이지 않은 형태로 재료를 용해시키기 때문에 유효성분이 손실되지 않게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고 용해된 순수 밀납액만 분리하여 고형화하기 때문에 이물질을 분리 및 제거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안전을 담보할 수 있으면서 밀납을 얻기 위한 전체적인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고순도의 밀납을 얻을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100; 밀납 용해장치
103; 프레임
105; 용해조
106; 내부조
107; 외부조
108; 워터자켓
110; 마감커버
114; 압력배출튜브
115; 히터
116; 온도센서
117; 컨트롤러
120; 이물질배출밸브
121; 밀납재출밸브
123; 물배출밸브

Claims (5)

  1. 저면에 바퀴(101)와 스토퍼(102)를 가지는 프레임(103)과;
    상기 프레임(103)의 상부에는 벌집을 용해하여 밀납을 얻을 수 있도록 설치하는 용해조(105)와;
    상기 용해조(105)는, 밀납을 추출하기 위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조(106)와;
    상기 내부조(106)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밀봉되는 외부조(107)와;
    상기 내부조(106)와 외부조(107) 사이의 공간에 형성하여 내부조(106)에 수용된 재료를 중탕으로 용해시켜 밀납을 얻을 수 있게 하는 워터자켓(108)과;
    상기 워터자켓(108)의 바닥 위치에 설치하여 중탕을 위하여 공급한 물을 밀납을 추출할 수 있는 용해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히터(115)와;
    상기 외부조(107)의 외측에 마감하여 용해과정에서 사용되는 열이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단열재(109)를 가지는 마감커버(110)와;
    상기 내부조(106)의 상부에 단열재(113)로 마감하여 개페되는 뚜껑(112)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조(106)의 바닥면 위치에는 용해되어 밀납이 추출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이물질이나 미쳐 용해되지 못한 재료를 내부조(106)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이물질배출밸브(120)와;
    상기 이물질배출밸브(120) 상측 위치의 내부조(106)에는 용해되어 물과 분리되어 상등된 순수밀납액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밀납배출밸브(121)와;
    상기 워터자켓(108)에는 중탕으로 사용된 물의 배출을 위한 물배출밸브(123)를 더 포함하여;
    밀납이 용해되어 용해조의 아래측에 위치하는 물과 이물질을 먼저 배출하여 이물질이 밀납배출밸브 아래측에 위치할 때 밀납배출밸브(121)를 통하여 밀납을 용해조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납 용해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49455A 2021-04-15 2021-04-15 밀납 용해장치 KR102594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455A KR102594021B1 (ko) 2021-04-15 2021-04-15 밀납 용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455A KR102594021B1 (ko) 2021-04-15 2021-04-15 밀납 용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872A KR20220142872A (ko) 2022-10-24
KR102594021B1 true KR102594021B1 (ko) 2023-10-24

Family

ID=83805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455A KR102594021B1 (ko) 2021-04-15 2021-04-15 밀납 용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02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900B1 (ko) * 2007-04-10 2007-12-17 박병호 가열방식으로 토종꿀을 내리는 장치
KR101546257B1 (ko) * 2015-03-07 2015-08-20 서금수 밀납 전용 추출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599B1 (ko) 2019-01-14 2020-07-13 이선광 벌꿀 농축 및 소분기 겸용 밀납 채취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900B1 (ko) * 2007-04-10 2007-12-17 박병호 가열방식으로 토종꿀을 내리는 장치
KR101546257B1 (ko) * 2015-03-07 2015-08-20 서금수 밀납 전용 추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872A (ko) 202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6257B1 (ko) 밀납 전용 추출기
JP2013512697A5 (ko)
RU2014128162A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ия в области пчеловодства
CA275116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il and fat extraction
KR102594021B1 (ko) 밀납 용해장치
CN103416340A (zh) 一种自动换水鱼缸
EP1795092B1 (de) Verfahren zum Betrieb eines Haushaltsgerätes, das Wasser zum Betrieb benötigt, und entsprechendes Haushaltsgerät
KR102133599B1 (ko) 벌꿀 농축 및 소분기 겸용 밀납 채취기
CN208436479U (zh) 一种中药药液精过滤装置
CN212246495U (zh) 一种可快速滤渣开盖的油水分离装置
CN107694148A (zh) 野菊花混合中药材喷淋提取装置
CN205077026U (zh) 药材芳香油提取罐
KR101908461B1 (ko) 채밀형 소비모듈
RU81040U1 (ru) Центрифуга-воскотопка
CN204411766U (zh) 熬煮锅冷凝回流系统防阻塞装置
CN210785534U (zh) 一种高压灭菌锅
EP1915930A3 (de) Wasserkocheinrichtung sowie Filtervorrichtung dafür
CN210905030U (zh) 一种植物药用成分提取用的蒸馏装置
KR100481061B1 (ko) 한약추출기
ES2350216B1 (es) Procedimiento de descontaminación de cera de abejas y cera de abejas resultante.
KR102336428B1 (ko) 증류 추출 설비
KR101635934B1 (ko) 옻물 제조방법
CN215924679U (zh) 一种白及根水纯化提取装置
CN217836896U (zh) 一种保护性好的橄榄油生产用存储装置
BR102019013491A2 (pt) Sistema e método de extração de óleo e seu us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