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3551B1 - 건조기 내부에 소화기가 설치된 의류건조기 - Google Patents

건조기 내부에 소화기가 설치된 의류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3551B1
KR102593551B1 KR1020210031526A KR20210031526A KR102593551B1 KR 102593551 B1 KR102593551 B1 KR 102593551B1 KR 1020210031526 A KR1020210031526 A KR 1020210031526A KR 20210031526 A KR20210031526 A KR 20210031526A KR 102593551 B1 KR102593551 B1 KR 102593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er
fire extinguisher
air
fire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7026A (ko
Inventor
송봉옥
박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스코
Priority to KR1020210031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551B1/ko
Publication of KR20220127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7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50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05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using nozz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8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 내부에 소화기가 설치된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기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가열히터의 고장이나 공기관통홀이 막혀서 공기의 배출이 안되어 가열히터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센서의 작동에 의하여 소화기가 분무될 수 있도록 건조기 케비넷 본체의 뒤쪽면에 소화기가 설치되어 있어 건조기의 고장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는 건조기 내부에 소화기가 설치된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조기 내부에 소화기가 설치된 의류건조기{DRYER OF CLOTHING}
본 발명은 건조기 내부에 소화기가 설치된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기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가열히터의 고장이나 공기관통홀이 막혀서 공기의 배출이 안되어 가열히터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센서의 작동에 의하여 소화기가 분무될 수 있도록 건조기 케비넷 본체의 뒤쪽면에 소화기가 설치되어 있어 건조기의 고장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는 건조기 내부에 소화기가 설치된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 또는 건조기와 같이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 건조기는 세탁이 완료되어 탈수 과정이 종료된 상태의 세탁물을 드럼 내부로 투입하고 드럼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여 세탁물의 수분을 증발시켜서 세탁물을 건조하는 기기이다.
건조기는 본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과 드럼을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드럼 내부로 공기를 불어 넣는 송풍팬과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가열수단으로 전기저항에 의해 발생되는 고온의 전기 저항열을 이용하거나 혹은 가스를 연소시켜서 발생하는 연소열을 이용하는 히터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드럼에서 배기되는 공기는 드럼 내부의 세탁물의 수분을 가지게 되어 고온 다습한 상태의 공기가 된다.
건조기에서 고온 다습한 공기를 처리하는 방식에 따라서 건조기를 분류할 수 있는데 고온 다습한 공기가 건조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순환하면서 열교환수단을 통해 공기를 이슬점 온도 이하로 냉각하여 고온 다습한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킨 후 재공급하는 순환식 건조기와 드럼을 통과하고 나오는 고온 다습한 상태의 공기를 외부로 직접 배출시켜 버리는 배기식 건조기로 나뉘어진다.
순환식 건조기의 경우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응축시키기 위해서는 공기를 이슬점 이하로 냉각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고 드럼에 재공급되기 전에 가열 수단을 통해 가열되어야 한다. 가열수단으로 히터를 사용하는 경우 드럼으로부터 토출된 고온 다습한 공기를 응축시키기 위한 별도의 열교환수단이 필요하며 히터에 의해 공급된 열에너지가 열교환수단과의 열교환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어 버린다. 히터를 사용하여 필요한 열에너지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지만 열효율이 저하되고 에너지 낭비가 많이 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공기가 순환되기 위해서 충분히 수분이 제거되어야 하기 때문에 열교환수단의 부피가 커지거나 건조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배기식 건조기의 경우 고온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상온의 외기를 유입하여 가열 수단을 통해서 요구되는 온도 수준까지 가열할 필요가 있다. 배기식 건조기에 가열수단으로 히터를 사용하는 경우 별도의 열교환수단이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고 히터를 사용하여 필요한 열에너지를 충분히 공급하여 건조시간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외부로 배출되는 고온의 공기에는 가열 수단에 의해 전달된 열 에너지가 포함되어 그대로 외부로 배출되어 버리므로 열효율이 저하되고 에너지 낭비가 많이 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에서 사용되지 못한 에너지를 회수하여 드럼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데 사용되도록 하여 에너지 효율을 늘릴 수 있는 건조기가 소개되고 있다. 건조기의 히트펌프 시스템을 갖는 건조기가 있다. 히트펌프 시스템은 두 개의 열교환기인 증발기와 응축기와 압축기 및 팽창기를 구비하고 있어 시스템을 순환하는 냉매가 배기되는 열풍이 갖는 에너지를 회수한 후 드럼에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키게 된다.
히트펌프 시스템은 드럼으로부터의 배기측에 증발기를 드럼 유입측에 응축기를 두어 증발기를 통해서 열에너지를 냉매가 흡수한 후 압축기에 의해 고온고압으로 가열된다. 그 후 응축기를 통해서 냉매가 갖는 열에너지가 드럼으로 유입되는 공기로 전달되도록 하여 버려지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열풍을 생성하도록 한다.
히트펌프 시스템을 사용한 건조기의 경우 접촉되는 공기와 증발기 및 응축기를 통과하는 냉매와의 열교환 정도에 따라 에너지 효율과 건조시간이 달라진다. 접촉되는 공기가 히트펌프 시스템의 냉매와 열교환이 잘되고 전달하거나 받는 열량이 많을 경우 그만큼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다.
히트펌프 시스템을 사용하는 건조기의 경우 본체인 케비넷 내부에 덕트 형태의 유로를 형성하여 공기가 정해진 유로를 따라 흐를 수 있도록 한다. 덕트 형태의 유로 내부에 증발기와 응축기를 구비하여 공기의 유로와 접촉 가능하도록 한다.
건조기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덕트 내부에서 공기와 증발기 또는 응축기의 접촉이 보다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증발기와 응축기는 덕트 내부에 장착될 때 어느 정도 덕트의 벽면과 이격되어 설치되어야 한다. 이격된 틈으로 공기가 새어나갈 경우 증발기와 응축기를 통한 열교환 효율이 저하되어 건조기의 에너지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종래의 의류건조기는 건조기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가열히터의 고장이나 공기관통홀이 막혀서 공기의 배출이 안되어 가열히터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센서의 작동에 의하여 소화기가 분무될 수 있는 소화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건조기의 고장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건조기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가열히터의 고장이나 공기관통홀이 막혀서 공기의 배출이 안되어 가열히터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센서의 작동에 의하여 소화기가 분무될 수 있도록 건조기 케비넷 본체의 뒤쪽면에 소화기가 설치되어 있어 건조기의 고장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는 건조기 내부에 소화기가 설치된 의류건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가열히터(140)의 고장이나 공기관통홀(162, 164)이 막혀서 공기의 배출이 안되어 가열히터(140)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센서(60)의 작동에 의하여 소화기(10)가 분무될 수 있도록 건조기 케비넷 본체(100)의 뒤쪽면(102)에 소화기 고정브라켓트(14)를 사용하여 소화기(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소화기(10)의 하단에 소화기 받침대(12)가 결합되어 있고, 소화기(10)의 헤드 상단에 소화기 개폐제어부(30)가 부착되어 있는 소화기(10); 소화기(10)의 헤드에 연결부(59)를 사용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건조기 내부에 설치된 화재감지 센서(60)에 의하여 작동되는 센서감지제어부(50); 소화기(10)의 헤드에 형성되어 있는 주배관(20)에 "T" 자 연결밸브(29)가 연결되어 있으며, "T" 자 연결밸브(29)의 상단에 상부배관(22)가 연결되어 있고, 상부배관(22)의 단부에 연결된 상하 좌우 회전식 다방향 상부노즐(40); 및 "T" 자 연결밸브(29)의 한쪽 측면에 하부배관(22')가 연결되어 있고, 하부배관(22')의 단부에 연결된 상하 좌우 회전식 다방향 하부노즐(40');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는 가열히터의 고장이나 공기관통홀이 막혀서 공기의 배출이 안되어 가열히터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센서의 작동에 의하여 소화기가 분무될 수 있도록 건조기 케비넷 본체의 뒤쪽면에 소화기가 설치되어 있어 건조기의 고장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의류건조기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은 건조기 케비넷 본체(100)의 앞쪽에 건조기 도어(110)가 부착되어 있으며, 건조기 케비넷 본체(100)의 내부에 드럼(12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드럼을 구동하는 구동모터(130)와 드럼(120) 내부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150)과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히터(140)가 구비되어 있으며, 케비넷 본체(100)의 상부면에 다수개의 공기유입구(160)가 형성되어 있고, 가열히터(140)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가 통과되도록 가열히터(140)와 드럼(120) 사이에 다수개의 가열공기 관통홀(162)이 형성되어 있으며, 드럼(120)을 통과한 가열공기가 통과되도록 드럼(120) 하부쪽에 다수개의 공기관통홀(164)이 형성되어 있는 의류건조기에 있어서 가열히터(140)의 고장이나 공기관통홀(162, 164)이 막혀서 공기의 배출이 안되어 가열히터(140)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센서(60)의 작동에 의하여 소화기(10)가 분무될 수 있도록 건조기 케비넷 본체(100)의 뒤쪽면(102)에 소화기 고정브라켓트(14)를 사용하여 소화기(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소화기(10)의 하단에 소화기 받침대(12)가 결합되어 있고, 소화기(10)의 헤드 상단에 소화기 개폐제어부(30)가 부착되어 있는 소화기(10);
소화기(10)의 헤드에 연결부(59)를 사용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건조기 내부에 설치된 화재감지 센서(60)에 의하여 작동되는 센서감지제어부(50);
소화기(10)의 헤드에 형성되어 있는 주배관(20)에 "T" 자 연결밸브(29)가 연결되어 있으며, "T" 자 연결밸브(29)의 상단에 상부배관(22)가 연결되어 있고, 상부배관(22)의 단부에 연결된 상하 좌우 회전식 다방향 상부노즐(40); 및
"T" 자 연결밸브(29)의 한쪽 측면에 하부배관(22')가 연결되어 있고, 하부배관(22')의 단부에 연결된 상하 좌우 회전식 다방향 하부노즐(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내부에 소화기가 설치된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건조기는 건조기 케비넷 본체(100)의 앞쪽에 건조기 도어(110)가 부착되어 있으며, 건조기 케비넷 본체(100)의 내부에 드럼(12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드럼을 구동하는 구동모터(130)와 드럼(120) 내부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과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히터(140)가 구비되어 있으며, 케비넷 본체(100)의 상부면에 다수개의 공기유입구(160)가 형성되어 있고, 가열히터(140)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가 통과되도록 가열히터(140)와 드럼(120) 사이에 다수개의 가열공기 관통홀(162)이 형성되어 있으며, 드럼(120)을 통과한 가열공기가 통과되도록 드럼(120) 하부쪽에 다수개의 공기관통홀(164)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열히터(140)의 고장이나 공기관통홀(162, 164)이 막혀서 공기의 배출이 안되어 가열히터(140)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센서의 작동에 의하여 소화기가 분무될 수 있도록 건조기 케비넷 본체의 뒤쪽면에 소화기가 설치되어 있어 건조기의 고장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건조기에서 소화기(10)는 가열히터(140)의 고장이나 공기관통홀(162, 164)이 막혀서 공기의 배출이 안되어 가열히터(140)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센서(60)의 작동에 의하여 소화기(10)가 분무될 수 있도록 건조기 케비넷 본체(100)의 뒤쪽면(102)에 소화기 고정브라켓트(14)를 사용하여 소화기(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소화기(10)의 하단에 소화기 받침대(12)가 결합되어 있고, 소화기(10)의 헤드 상단에 소화기 개폐제어부(30)가 부착되어 있어 가열히터(140)의 고장이나 공기관통홀(162, 164)이 막혀서 공기의 배출이 안되어 가열히터(140)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센서의 작동에 의하여 소화기가 분무될 수 있도록 건조기 케비넷 본체의 뒤쪽면에 소화기가 설치되어 있어 건조기의 고장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건조기에서 센서감지제어부(50)는 소화기(10)의 헤드에 연결부(59)를 사용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건조기 내부에 설치된 화재감지 센서(60)에 의하여 작동되고, 상하 좌우 회전식 다방향 상부노즐(40)은 소화기(10)의 헤드에 형성되어 있는 주배관(20)에 "T" 자 연결밸브(29)가 연결되어 있으며, "T" 자 연결밸브(29)의 상단에 상부배관(22)가 연결되어 있고, 상부배관(22)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하 좌우 회전식 다방향 하부노즐(40')은 "T" 자 연결밸브(29)의 한쪽 측면에 하부배관(22')가 연결되어 있고, 하부배관(22')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어 가열히터(140)의 고장이나 공기관통홀(162, 164)이 막혀서 공기의 배출이 안되어 가열히터(140)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센서의 작동에 의하여 소화기가 분무될 수 있도록 건조기 케비넷 본체의 뒤쪽면에 소화기가 설치되어 있어 건조기의 고장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도 8과 도 9와 같이 본 발명의 건조기는 "T" 자 연결밸브(29)에 전환밸브(29-1)를 형성하여 화재감지 센서(60,60-1)에서 화재를 감지된 쪽으로 소화기를 집중하여 분사할 수 있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건조기 내부에 소화기가 설치된 의류건조기는 화재 위치에 따라 선별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하여 분산되지 않고 화재발생부분을 집중적으로 빠르게 진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재의 위치에 따라 분사각도와 분사위치에 따라
상부배관(22)의 단부에 연결된 상하 좌우 회전식 다방향 상부노즐(40)과 하부배관(22')의 단부에 연결된 상하 좌우 회전식 다방향 하부노즐(40')는 탈부착 및 교환이 가능하도록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되며, 상부배관에는 먼거리와 집중 소화력을 갖도록 직선분사식 노즐(40-1)을 형성하여 서로 다른 분사방식으로 배열하여 화재시 차별화된 소화액 분사노즐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내부에 소화기가 설치된 의류건조기.
10: 소화기 20: 주배관
30: 개폐제어부 40;40': 상하 좌우 회전식 다방향 상하부노즐

Claims (3)

  1. 건조기 케비넷 본체(100)의 앞쪽에 건조기 도어(110)가 부착되어 있으며, 건조기 케비넷 본체(100)의 내부에 드럼(12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드럼을 구동하는 구동모터(130)와 드럼(120) 내부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150)과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히터(140)가 구비되어 있으며, 케비넷 본체(100)의 상부면에 다수개의 공기유입구(160)가 형성되어 있고, 가열히터(140)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가 통과되도록 가열히터(140)와 드럼(120) 사이에 다수개의 가열공기 관통홀(162)이 형성되어 있으며, 드럼(120)을 통과한 가열공기가 통과되도록 드럼(120) 하부쪽에 다수개의 공기관통홀(164)이 형성되어 있는 건조기 내부에 소화기가 설치된 의류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의류건조기는 가열히터(140)의 고장이나 공기관통홀(162, 164)이 막혀서 공기의 배출이 안되어 가열히터(140)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센서(60)의 작동에 의하여 소화기(10)가 분무될 수 있도록 건조기 케비넷 본체(100)의 뒤쪽면(102)에 소화기 고정브라켓트(14)를 사용하여 소화기(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소화기(10)의 하단에 소화기 받침대(12)가 결합되어 있고, 소화기(10)의 헤드 상단에 소화기 개폐제어부(30)가 부착되어 있는 소화기(10);
    소화기(10)의 헤드에 연결부(59)를 사용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건조기 내부에 설치된 화재감지 센서(60)에 의하여 작동되는 센서감지제어부(50);
    소화기(10)의 헤드에 형성되어 있는 주배관(20)에 "T" 자 연결밸브(29)가 연결되어 있으며, "T" 자 연결밸브(29)의 상단에 상부배관(22)가 연결되어 있고, 상부배관(22)의 단부에 연결된 상하 좌우 회전식 다방향 상부노즐(40); 및 "T" 자 연결밸브(29)의 한쪽 측면에 하부배관(22')가 연결되어 있고, 하부배관(22')의 단부에 연결된 상하 좌우 회전식 다방향 하부노즐(40');
    상기 "T" 자 연결밸브(29)에 전환밸브(29-1)를 형성하여 화재감지 센서(60,60-1)에서 화재를 감지된 쪽으로 소화기를 집중하여 분사할 수 있도록 선택분사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상부배관(22)의 단부에 연결된 상하 좌우 회전식 다방향 상부노즐(40)과 하부배관(22')의 단부에 연결된 상하 좌우 회전식 다방향 하부노즐(40')는 탈부착 및 교환이 가능하도록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되며, 상부배관에는 먼거리와 집중 소화력을 갖도록 직선분사식 노즐(40-1)을 형성하여 서로 다른 분사방식으로 배열하여 화재시 차별화된 소화액 분사노즐을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내부에 소화기가 설치된 의류건조기.

  2. 삭제
  3. 삭제
KR1020210031526A 2021-03-10 2021-03-10 건조기 내부에 소화기가 설치된 의류건조기 KR102593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526A KR102593551B1 (ko) 2021-03-10 2021-03-10 건조기 내부에 소화기가 설치된 의류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526A KR102593551B1 (ko) 2021-03-10 2021-03-10 건조기 내부에 소화기가 설치된 의류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7026A KR20220127026A (ko) 2022-09-19
KR102593551B1 true KR102593551B1 (ko) 2023-10-23

Family

ID=83460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526A KR102593551B1 (ko) 2021-03-10 2021-03-10 건조기 내부에 소화기가 설치된 의류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35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318Y1 (ko) * 2003-01-03 2003-03-31 주식회사 동문 회전 드럼식 의류 건조기
KR101323135B1 (ko) * 2013-09-02 2013-10-30 김주한 에어컨용 실외기 자동소화장치
KR102115421B1 (ko) * 2020-02-18 2020-05-26 (주)동신베스텍 드럼식 진공복사 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6128B1 (ko) * 1994-08-26 1999-01-15 정몽원 자동차의 소화장치
KR20090008573U (ko) * 2008-02-21 2009-08-26 김선정 자동식 소화기용 노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318Y1 (ko) * 2003-01-03 2003-03-31 주식회사 동문 회전 드럼식 의류 건조기
KR101323135B1 (ko) * 2013-09-02 2013-10-30 김주한 에어컨용 실외기 자동소화장치
KR102115421B1 (ko) * 2020-02-18 2020-05-26 (주)동신베스텍 드럼식 진공복사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7026A (ko) 202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6819B1 (ko) 건조기
KR101265616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62364B1 (ko) 세탁 및 건조 장치
CN102869826B (zh) 衣物处理装置
KR100925738B1 (ko) 건조기의 온습도 조절 장치
EP3181751B1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and method of operation
KR20130127816A (ko) 의류건조기
KR20090028028A (ko) 덕트리스 건조기
EP3101169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WO2021169058A1 (zh) 洗衣机及其控制方法
KR20060046827A (ko) 건조 겸용 세탁기 및 건조 겸용 세탁기의 세탁 제어 방법
KR20190010178A (ko) 건조 효율이 향상된 드럼 세탁기
KR101100217B1 (ko) 건조기
ES2376884T3 (es) Lavadora/secadora
CN101381936A (zh) 衣物处理装置及其操作方法
KR102593551B1 (ko) 건조기 내부에 소화기가 설치된 의류건조기
KR101961141B1 (ko) 히트펌프를 구비한 건조기
KR100902564B1 (ko) 건조기의 온습도 조절 장치
KR200493807Y1 (ko) 성능 및 고장 기능이 형성된 의류건조기
KR100920981B1 (ko) 의류건조기
JP2008212169A (ja) 乾燥機
KR101919890B1 (ko) 히트펌프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의 운전방법
US20210108360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2772580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20110495A (ko) 히트펌프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의 운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