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2680B1 - Wet type air cleaner - Google Patents

Wet type air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2680B1
KR102592680B1 KR1020220130708A KR20220130708A KR102592680B1 KR 102592680 B1 KR102592680 B1 KR 102592680B1 KR 1020220130708 A KR1020220130708 A KR 1020220130708A KR 20220130708 A KR20220130708 A KR 20220130708A KR 102592680 B1 KR102592680 B1 KR 102592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housing
water tan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07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우현
Original Assignee
이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현 filed Critical 이우현
Priority to KR1020220130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68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680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24F8/133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by direct contact with liquid, e.g. with spray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01D47/021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by bubbling the gas through a liquid bat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Abstract

대량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집진 처리할 수 있도록,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방에 배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흡입부, 상기 하우징 하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기흡입부의 하부에 연통되며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액체가 수용된 물통, 상기 하우징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물통과 연통되어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흡입부는 상기 하우징 상단의 입구와 연통되고 하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물통 상단에 연통되는 흡입관, 상기 흡입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구동팬을 포함하는 습식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A housing shaped to effectively collect and process a large amount of air, an air intake part disposed above the housing to suck in external air, detachab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housing and communicating with the bottom of the air intake part. and a water tank containing a liquid that collects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sucked air, an air discharge portion formed on a side of the housing and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tank to discharge the purified air to the outside, and the air intake portion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housing. A wet air purifier is provided, including a suction pipe that communicates with the inlet and extends vertically in a downward direction and communicates with the top of the water tank, and a driving fan installed inside the suction pipe to suck in external air.

Description

습식 공기 청정기{WET TYPE AIR CLEANER}Wet air cleaner {WET TYPE AIR CLEANER}

본 개시내용은 습식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This disclosure relates to wet air purifiers.

산업화로 인한 환경 오염이 심해지고, 실내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실내의 공기를 청정하게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졌다.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는 실내 공기를 청정하게 관리하기 위해 공기청정기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As environmental pollution worsens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time spent indoors increases, keeping indoor air clean has become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Air purifiers are installed and used in homes and offices to keep indoor air clean.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각종 여과필터를 이용하여 외부 공기에서 미세 먼지 등을 제거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습식 공기청정기의 경우, 필터 대신 물을 이용한 것으로, 공기를 물과 접촉시켜 미세 먼지 등을 흡착 제거하게 된다.In general, air purifiers are structured to remove fine dust, etc. from external air using various filtration filters. In the case of a wet air purifier, water is used instead of a filter, and fine dust, etc., is adsorbed and removed by contacting the air with water.

그러나, 종래 습식 공기청정기의 경우, 오염된 공기를 물에 효과적으로 접촉시키기 어려워 오염 제거 효율이 떨어지며, 대량의 공기를 습식으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정화 처리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장치 내에 물을 계속 수용하고 있어야 하므로, 물속에 세균 등이 쉽게 번식하면서 오히려 공기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conventional wet air purifiers,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bring contaminated air into contact with water, which reduces contamination removal efficiency and makes it difficult to quickly and effectively purify a large amount of air in a wet manner. In addition, since water must be continuously contained within the device, bacteria and the like easily multiply in the water, causing air pollution.

최근 들어, 황사나 미세 먼지 등의 환경 오염은 물론, 코로나와 같은 심각한 바이러스의 전파로 인해 인명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공기 정화를 위한 장치에 대한 개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정화 처리할 수 있도록 기술을 개선하여 제공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많은 장점을 줄 수 있다.Recently, as the number of casualties increases due to environmental pollution such as yellow dust and fine dust, as well as the spread of serious viruses such as coronavirus, the need for improvements in air purification devices is increasing. Therefore, providing improved technology to more effectively purify indoor polluted air can provide many advantages to users.

본 과제는 대량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집진 처리할 수 있도록 된 습식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is project is to provide a wet air purifier that can effectively collect and process large amounts of air.

본 과제는 오염된 공기를 물에 효과적으로 접촉시킴으로써, 물에 의한 공기 정화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된 습식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is project is to provide a wet air purifier that can maximize the efficiency of air purification by water by effectively contacting polluted air with water.

본 과제는 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습식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is project is to provide a wet air purifier that can prevent water contamination.

본 과제는 공기를 효과적으로 살균처리할 수 있도록 된 습식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is project is to provide a wet air purifier that can effectively sterilize air.

본 구현예의 공기청정기는,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방에 배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흡입부, 상기 하우징 하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기흡입부의 하부에 연통되며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액체가 수용된 물통, 상기 하우징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물통과 연통되어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purifier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forming an external shape, an air intake unit disposed above the housing for sucking in external air, detachably installed in a lower part of the housing and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part of the air intake unit, and providing the sucked air. It may include a water tank containing a liquid that collects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housing, and an air discharge portion formed on a side of the housing and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tank to discharge purified air to the outside.

상기 공기흡입부는 상기 하우징 상단의 입구와 연통되고 하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물통 상단에 연통되는 흡입관, 상기 흡입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구동팬을 포함할 수 있다.The air intake unit may include a suction pipe that communicates with an inlet at the top of the housing and extends vertically in a downward direction to communicate with the top of the water tank, and a driving fan installed inside the suction pipe to suck in external air.

상기 공기흡입부는 상기 흡입관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suc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installed inside the suction pipe to remove contaminants contained in external air.

상기 하우징은 공기흡입부와 연결되는 입구가 수평면에 대해 경사지게 기울어져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The housing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inlet connected to the air intake unit is inclin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상기 공기흡입부 하단에 설치되어 흡입된 공기를 상기 물통의 수면 상에 와류 형태로 토출하기 위한 분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spray unit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air intake unit to discharge the sucked air in the form of a vortex on the water surface of the water tank.

상기 분사부는 상기 공기흡입부의 하단에 설치되는 원형의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개의 출구, 상기 출구에 연통 설치되고 하부로 연장되는 분사관을 포함할 수 있다.The spray unit may include a circular bottom plat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air intake unit, a plurality of outlets form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ttom plate, and a spray pipe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let and extending downward.

상기 분사관은 수직방향에 대해 바닥판의 접선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게 기울어져 연장된 구조일 수 있다.The injection pipe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inclined and extended at an angle toward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바닥판은 상기 출구가 형성되는 둘레부를 따라 원호형태로 파여진 홈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The bottom plate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grooves dug in an arc shape ar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where the outlet is formed.

상기 분사부는 상기 바닥판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출구 쪽으로 유도하는 원뿔 형태의 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pray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e-shaped cone member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plate to guide external air toward the outlet.

상기 분사부는 상기 물통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 상기 분사관의 하단 위치에 맞춰 상기 커버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분사관 하단과 접하여 연통되는 연결구, 상기 연결구에 연통 설치되고 물통 내부로 연장되는 연결관, 상기 커버 상에 연결구 주위를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배출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pray unit includes a cover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top of the water tank, a connector that is formed through the cover in accordance with the lower position of the spray pipe and communicates with the bottom of the spray pipe, and a connection that is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or and extends into the water tank. The pipe may further include discharge holes formed at intervals around the connector on the cover.

상기 연결관은 수직방향에 대해 바닥판의 접선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게 기울어져 연장된 구조일 수 있다.The connection pipe may have a structure that extends at an angle inclined toward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연결관은 상기 분사관의 중심축선을 따라 연장된 구조일 수 있다.The connection pipe may have a structure extending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injection pipe.

상기 연결관은 물 속으로 잠기도록 연장 형성되어, 공기를 물 속으로 분사하는 구조일 수 있다. The connection pipe may be extended to be submerged in water and may have a structure that sprays air into the water.

상기 물통의 상단에는 상기 커버가 안착되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과 상기 커버에는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서로 맞물리는 돌기와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물통에 대한 커버의 설치 위치를 규제하여, 물통 장착시 커버의 연결구와 분사관 하단이 서로 연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A step on which the cover is seated is formed at the top of the water container, and protrusions and fitting grooves that engage each other are formed on the step and the cover at corresponding positions to regulat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over with respect to the water container, so that the water container is mounted. The connection port of the city cover and the bottom of the injection pipe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물통에 수용된 물을 살균 처리하기 위한 정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purification unit for steriliz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상기 공기배출부에 설치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에 플라즈마를 가해 살균 처리하기 위한 공기살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t may further include an air sterilization unit installed in the air discharge unit to sterilize the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applying plasma.

상기 정화부는 양극판과 음극판을 포함하여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산기(OH)를 발생하는 전극부, 상기 전극부로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urification unit may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an electrode unit that electrolyzes water to generate hydroxyl radicals (OH), and a power supply unit that applies current to the electrode unit.

상기 전원부는 상기 물통 내부에 설치되는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물통 하부 외측에 설치되는 단자부, 상기 하우징 바닥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물통에 설치된 단자부와 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를 인가하는 고정단자부를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에 물통 결합시 단자부가 고정단자부에 연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includes a terminal portion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lectrode portion installed inside the water container and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bottom of the water container, and a fixed terminal portion that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housing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device installed in the water container to apply a current. Therefore, when the water bottle is coupled to the housing, the terminal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fixed terminal portion.

상기 공기살균부는 상기 공기배출부의 배출통로 내측에 설치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에 플라즈마를 인가하여 오염물질을 살균 정화하는 고전압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sterilization unit may include a high voltage generator installed inside the discharge passage of the air discharge unit to sterilize and purify contaminants by applying plasma to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와 같이 본 구현예에 의하면, 오염원쪽으로 기울어진 장치의 상단을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대량의 외부 공기를 효과적으로 흡입하여 신속하게 집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by sucking in outside air through the top of the device tilted toward the source of contamination, a large amount of outside air can be effectively sucked in and dust can be quickly collected.

본 과제는 흡입된 외부 공기에 와류를 형성하여 물에 접촉시킴으로써, 흡입된 공기가 빠짐없이 물에 접촉되면서, 먼지 등 이물질이 보다 효과적으로 물에 흡착 제거될 수 있다. 이에, 같은 흡입력으로도 물에 의한 공기 정화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In this project, by forming a vortex in the sucked outside air and bringing it into contact with water, all the sucked ai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can be more effectively absorbed and removed by the water. Accordingly, the efficiency of air purification using water can be maximized even with the same suction power.

몰통 속에 저장된 물속에 수산기를 가하여 살균 처리함으로써, 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By sterilizing water stored in a boiler by adding hydroxyl radicals, the wat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ntaminated.

집진 처리되어 배출통로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플라즈마를 가함으로써, 공기의 산균 정화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By applying plasma to the dust-collect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the efficiency of air acid bacteria purification can be further increased.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분사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분사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정화부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과 도 9는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물통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 2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the spray unit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 3 is a schematic bottom view showing the spray unit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2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ure 2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urification unit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ures 8 and 9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water tank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7.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presented as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much as possible, identical or similar parts are indicat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below is only for referring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singular forms include plural forms unless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contrary.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the meaning of "comprising" is to specify a specific characteristic, area,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or component, and to specify another specific property, area,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component and/or group. It does not ex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 is only a preferr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Figure 1 schematical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이하 설명에서, 도 1의 y축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 하고 y축 방향을 따라 위쪽을 상 또는 상부라 하고 아래쪽을 하 또는 하부라 한다. 또한, xz평면을 수평면이라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y-axis direction of FIG. 1 is referred to as the up-down direction, the upper part along the y-axis direction is referred to as upper or upper, and the lower part is referred to as lower or lower. Additionally, the xz plane is called a horizontal plan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공기청정기는, 하우징(10), 공기흡입부(20), 액체가 수용된 물통(30), 분사부(40), 공기배출부(5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air purifier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housing 10, an air intake unit 20, a water tank 30 containing liquid, a spray unit 40, and an air discharge unit 50. there is.

하우징(10)은 공기청정기의 외형을 이룬다. 하우징(10)은 내부에 각 구성부 설치를 위한 공간을 구비하며 공기 흡입과 배출 및 물통(30) 교체를 위해 외부와 연통되는 개방된 부분을 갖는다. 하우징(10)의 크기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The housing 10 forms the external appearance of an air purifier. The housing 10 has a space inside for installation of each component and has an open portion that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for air intake and discharge and replacement of the water tank 30. The size or shape of the housing 10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본 실시예의 공기청정기는 하우징(10)의 상부에 공기흡입부(20)를 구비하고 하부 측면에 공기배출부(50)를 구비한 구조로, 하우징(10) 상단의 입구(12)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하우징(10)의 측면에 마련되는 공기배출부(50)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에, 전체적으로 어느 방향으로도 오염된 외부 공기를 효과적으로 흡입하여 처리할 수 있게 된다. The air purifier of this embodiment has an air intake part 20 on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10 and an air discharge part 50 on the lower side, and is provided with an air discharge part 50 on the lower side, and is external through the inlet 12 at the top of the housing 10. It may have a structure that sucks in air and discharges purified air through the air discharge part 50 provid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1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nhale and treat polluted external air from any direction.

또한, 공기흡입부(20)와 연결되는 하우징(10) 상단의 입구(12)는 수평면에 대해 경사지게 기울어져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이에, 하우징(10) 상단의 경사진 입구(12)를 주 오염 공기 발생 쪽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오염된 외부 공기를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주방의 경우 불을 사용하는 조리대쪽에서 주로 오염된 공기가 발생되므로, 하우징(10) 상단의 경사진 면이 조리대쪽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오염된 공기의 정화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Additionally, the inlet 12 at the top of the housing 10 connected to the air intake unit 20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inclin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Accordingly, by directing the inclined inlet 12 at the top of the housing 10 toward the main polluted air generation side, polluted external air can be sucked in more quickly and effectively.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kitchen, polluted air is mainly generated from the counter where the fire is used, so the efficiency of purification of polluted air can be increased by directi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top of the housing 10 toward the counter. .

본 실시예의 공기흡입부(20)는 하우징(10) 상단의 입구(12)와 연통되어 하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어 물통(30) 상단에 연통되는 흡입관(22), 흡입관(22)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구동팬(24)을 포함할 수 있다.The air intake unit 2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12 at the top of the housing 10 and extends vertically along the downward direction to form a suction pipe 22 communicating with the top of the water tank 30, and the inside of the suction pipe 22. It may include a driving fan 24 installed to suck in external air.

흡입관(22)은 수직으로 길게 연장된 원통형태의 관구조물일 수 있다. 흡입관(22)을 따라 일측에 구동팬(24)이 설치된다. 구동팬(24)이 구동함에 따라 입구(12)를 통해 외부 공기가 강제로 흡입되어 수직으로 연장된 흡입관(22)을 따라 아래에 이동되어 물통(30)로 배출될 수 있다.The suction pipe 22 may be a cylindrical pipe structure extending vertically. A driving fan 24 is installed on one side along the suction pipe 22. As the driving fan 24 drives, external air is forcibly sucked in through the inlet 12, moves downward along the vertically extending suction pipe 22, and is discharged into the water tank 30.

공기흡입부(20)는 흡입관(22)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필터(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26)는 예를 들어, 프리필터, 촉매필터, 탈취필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일 수 있다. 필터는 흡입관(22)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필터의 종류나 설치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The air intake unit 20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26 installed inside the suction pipe 22 to remov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external air. As shown in FIG. 1, the filter 26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for example, a pre-filter, a catalytic filter, and a deodorizing filter. The filter may be detachably installed inside the suction pipe 22. The type or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filter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공기흡입부(20)를 통해 흡입된 외부 공기는 흡입관(22)의 하단 출구를 통해 아래쪽에 위치한 물통(30)로 분사되어 정화 처리된다.The external air sucked in through the air intake unit 20 is purified by being sprayed into the water tank 30 located below through the lower outlet of the suction pipe 22.

물통(30)은 하우징(10)의 하부에 설치되어 흡입관(22)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물통(30)은 예를 들어, 하우징(10)의 측면을 통해 하우징(1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하우징(10),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에, 필요시 하우징(10)에서 물통(30)을 외부로 빼내 물통(30)에 물을 교체할 수 있다. 물통(30)의 크기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The water tank 30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10 and is located directly below the suction pipe 22. For example, the water tank 30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10 through a side of the housing 10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10 or pulled out. Accordingly, when necessary, the water tank 30 can be removed from the housing 10 to the outside and the water in the water tank 30 can be replaced. The size or shape of the water tank 30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물통(30)은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용기 구조물일 수 있다. 물통(30)은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단은 개방되어 흡입관(22)의 하단과 연통된다. The water tank 30 may be a container structure that holds water therein. The water tank 30 forms a space inside which can accommodate water, and its upper end is open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end of the suction pipe 22.

이에, 흡입관(22) 하부에서 배출되는 외부 공기는 물통(30)의 수면에 접하면서 오염물질이 물에 접촉되어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물과 접촉되면서 오염물질이 제거된 공기는 공기배출부(50)를 통해 하우징(10) 외측으로 배출된다.Accordingly, the external air discharg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suction pipe 2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water surface of the water tank 30, and contaminants can be removed by contacting the water. Then, the air from which contaminants have been removed through contact with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through the air discharge unit 50.

공기배출부(50)는 하우징(10)의 측면에 형성되어 물통(30) 상부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통로(52)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통로(52)는 하우징(10)의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소정 위치에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The air discharge unit 50 may include at least one discharge passage 52 form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10 and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part of the water tank 30. The discharge passage 52 may be formed continuously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10 or may be formed at intervals at predetermined positions.

공기흡입부(20)를 통해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물통(30)의 물과 접촉하면서 정화처리된 후 물통(30)과 연통된 배출통로(52)를 통해 하우징(10) 외부로 배출된다.The external air that flows into the housing (10) through the air intake unit (20) is purified while coming in contact with the water in the water tank (30) and then flows into the housing (10)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52) connected to the water tank (3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본 실시예에서, 배출통로(52)는 흡입관(22)에서 물통(30)로 공기가 분사되는 위치 즉, 흡입관(22)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부(40)의 하단 높이보다 위쪽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관(22)은 배출통로(52)의 내측 하단을 지나 아래쪽으로 더 연장 형성되며, 흡입관(22) 하단에 설치되는 분사부(40)의 하단은 배출통로(52)의 하단 보다 더 아래쪽에 위치하게 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discharge passage 52 is installed at the position where air is sprayed from the suction pipe 22 to the water tank 30, that is, above the height of the bottom of the spray unit 40 that is installed in the suction pipe 22 and sprays external air. can be placed in As shown in FIG. 1, the suction pipe 22 extends further downward past the inner bottom of the discharge passage 52, and the lower end of the injection unit 40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uction pipe 22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assage 52. ) is located lower than the bottom.

따라서, 분사부(40)에서 분사되는 외부 공기가 물에 의해 정화 처리되지 않고 바로 배출통로(52)를 통해 하우징(10)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하우징(10) 내부로 흡입된 외부 공기는 물통(30)의 물에 모두 접촉하면서 오염물질이 충분히 제거된 후 배출통로(5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ternal air sprayed from the spray unit 40 from escaping directly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52 without being purified by water. Accordingly, the external air sucked into the housing 10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52 after the contaminants are sufficiently removed while all contacting the water in the water tank 30.

분사부(40)는 공기흡입부(20)에서 흡입되는 공기를 와류 형태로 토출하여 물과의 접촉력을 높이게 된다. 이에, 외부 공기는 물과 보다 효과적으로 접촉되어 정화 처리될 수 있다.The spray unit 40 discharges the air sucked in from the air intake unit 20 in the form of a vortex to increase the contact force with water. Accordingly, the outside air can be more effectively contacted with water and purified.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spray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부(40)는 흡입관(22) 하단에 설치되어 흡입된 공기를 물통(30)의 수면 상에 와류 형태로 토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As shown, the spray unit 40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uction pipe 22 and has a structure that discharges the sucked air in the form of a vortex on the water surface of the water tank 30.

이를 위해, 분사부(40)는 흡입관(22) 하단에 설치되는 원형의 바닥판(42), 바닥판(42)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개의 출구(44), 출구(44)에 연통 설치되고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분사관(46)을 포함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spray unit 40 includes a circular bottom plate 42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uction pipe 22, a plurality of outlets 44 form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ttom plate 42, and an outlet 44. It may include a spray pipe 46 that is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and extends downward.

본 실시예의 분사관(46)은 수직방향에 대해 바닥판(42)의 접선방향을 향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기울어져 연장된 구조일 수 있다. 즉, 분사관(46)은 물통(30)의 수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각 분사관(46)의 기울어진 방향과 각도는 모두 동일할 수 있다.The injection pipe 46 of this embodiment may be inclined and extend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42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injection pipe 46 has a structure inclined toward the water surface of the water tank 30. The inclined direction and angle of each injection pipe 46 may be the same.

이에, 흡입관(22)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출구(44)에 연결된 각 분사관(46)을 통해 경사지게 분사되어 전체적으로 와류 형태의 흐름을 갖게 된다. 따라서, 공기는 방향성을 갖고 일방향으로 흐르게 되어 보다 강하게 수면 상에 충돌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uction pipe 22 is injected obliquely through each injection pipe 46 connected to the outlet 44, resulting in an overall vortex-like flow. Therefore, the air has directionality and flows in one direction, allowing it to collide more strongly with the water surface.

이와 같이, 물통(30)의 수면에 와류 형태로 흐르는 공기가 강하게 충돌되면서 외부 공기가 빠짐없이 물과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이 물에 모두 흡착될 수 있어, 오염물질의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air flowing in the form of a vortex strongly collides with the water surface of the water tank 30, allowing all external air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water. Therefore, all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can be absorbed into the water,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removing contaminants.

여기서, 흡입관(22)의 하단은 점차 내경이 작아지도록 내면이 경사진 스커트부(28)를 이룰 수 있다. 이에, 흡입관(22)으로 유입된 공기는 하단의 스커트부(28)를 지나면서 분사부(40)쪽으로 모아져 집중됨으로써, 분사부(40)를 통해 보다 강하게 분사될 수 있다. Here, the lower end of the suction pipe 22 may form a skirt portion 28 with an inner surface inclined so that the inner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Accordingly, the air flowing into the suction pipe 22 is collected and concentrated toward the spray unit 40 as it passes through the lower skirt part 28, so that it can be sprayed more strongly through the spray unit 40.

바닥판(42)은 흡입관(22) 하단을 막는 판 구조물로, 출구(44)가 형성되는 둘레부를 따라 원호형태로 파여진 홈부(47)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ttom plate 42 is a plate structure that blocks the bottom of the suction pipe 22, and a groove 47 dug in an arc shape can b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where the outlet 44 is formed.

또한, 분사부(40)는 바닥판(42)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출구(44) 쪽으로 유도하는 원뿔 형태의 콘부재(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공기는 콘부재(48)를 따라 둘레쪽의 홈부(47)로 흐르게 된다. In addition, the spray unit 40 may further include a cone-shaped cone member 48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plate 42 to guide external air toward the outlet 44. The outside air flows along the cone member 48 and into the groove portion 47 on the circumferential side.

이와 같이, 흡입관(22)으로 유입된 공기는 스커트부(28)와 콘부재(48)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홈부(47)로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관(22)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를 압력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홈부(47)에 형성된 출구(44)를 통해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In this way, the air flowing into the suction pipe 22 can be more effectively guided to the groove portion 47 by the skirt portion 28 and the cone member 48. Therefore, external air flowing into the suction pipe 22 can be effectively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44 formed in the groove 47 while minimizing pressure loss.

이에, 구동팬(24)의 사양을 낮춰 적은 구동력으로도 분사관(46)을 통한 외부 공기의 배출유량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by lowering the specifications of the driving fan 24,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discharge flow rate of external air through the injection pipe 46 even with a small driving force.

또한, 본 실시예의 공기청정기는 공기배출부(50)에 설치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에 플라즈마를 가해 살균 처리하기 위한 공기살균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ir purifier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air sterilizing unit 70 installed in the air discharge unit 50 to sterilize the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applying plasma.

공기살균부(70)는 공기배출부(50)의 배출통로(52) 내측에 설치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에 플라즈마를 인가하여 오염물질을 살균 정화하는 고전압발생기(72)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sterilizing unit 70 may include a high voltage generator 72 that is installed inside the discharge passage 52 of the air discharge unit 50 and sterilizes and purifies contaminants by applying plasma to the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에, 배출통로(52)를 지나는 공기는 고전압발생기(72)에서 발생되는 고전압 에너지에 의해 일부가 오존과 이온으로 변화되어 방출된다. 이러한 오존과 이온들에 의해 공기가 살균 및 정화될 수 있다. 따라서, 오염물질이 제거된 공기는 최종적으로 배출통로(52)를 지나면서 살균 및 정화되어 청정한 상태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air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52 is partially converted into ozone and ions by the high voltage energy generated by the high voltage generator 72 and released. The air can be sterilized and purified by these ozone and ions. Accordingly, the air from which contaminants have been removed is sterilized and purified as it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52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a clean state.

또한, 본 실시예의 공기청정기는 물통(30)에 수용된 물을 살균 처리하기 위한 정화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air purifier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purification unit 60 for steriliz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30.

정화부(60)는 양극판과 음극판을 포함하여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산기(OH)를 발생하는 전극부(62), 전극부로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부(64)를 포함할 수 있다.The purification unit 60 may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an electrode unit 62 that electrolyzes water to generate hydroxyl radicals (OH), and a power supply unit 64 that applies current to the electrode unit.

전극부(62)의 양극과 음극에 전류를 인가하게 되면 물이 전기분해된다. 이때 발생된 수산기에 의해 물이 살균 처리될 수 있다. 물을 전기분해하는 기술은 이미 알려져 있는 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When current is applied to the anode and cathode of the electrode unit 62, water is electrolyzed. At this time, the water can be sterilized by the hydroxyl group generated. Since the technology for electrolyzing water is already known, its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의 전원부(64)는 물통(30) 내부에 마련된 전극부(62)에 보다 간편하게 전류를 인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power supply unit 64 of this embodiment is structured to more easily apply current to the electrode unit 62 provided inside the water tank 30.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64)는, 물통(30) 내부에 설치되는 전극부(6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물통(30) 하부 외측에 설치되는 단자부(65), 하우징(10) 바닥에 고정 설치되어 물통(30)에 설치된 단자부(65)와 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를 인가하는 고정단자부(67)를 포함하여, 하우징(10)에 물통(30) 결합시 단자부(65)가 고정단자부에 연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6, the power supply unit 6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unit 62 installed inside the water tank 30 and includes a terminal portion 65 installed on the lower outer side of the water tank 30, and a housing ( 10) Including a fixed terminal portion 67 tha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floo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portion 65 installed in the water tank 30 to apply current, when the water tank 30 is coupled to the housing 10, the terminal portion 65 ) may be connected to the fixed terminal.

고정단자부(67)는 물통(30)을 하우징(10) 내에 결합하였을 때 단자부(65)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The fixed terminal portion 67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portion 65 when the water container 30 is coupled to the housing 10.

이에, 물통(30)을 하우징(10) 내부에 삽입하여 결합시키면, 물통(30)의 단자부(65)와 하우징(10)의 고정단자부(67)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물통(30)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전극부(62)로 전류를 인가하여 정화부(60)를 구동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water tank 30 is inserted and coupled into the housing 10, the terminal portion 65 of the water tank 30 and the fixed terminal portion 67 of the housing 10 are electrically connected. Accordingly, the purification unit 60 can be driven by applying current to the electrode unit 62 provided inside the water tank 30.

이와 같이, 물통(30)을 하우징(10)에 결합하는 것으로 전원부(64)로부터 물통(30)의 물속에 구비되어 있는 전극부(62)로 전류를 간단히 인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by coupling the water tank 30 to the housing 10, current can be easily applied from the power source unit 64 to the electrode unit 62 provided in the water of the water tank 30.

도 7 내지 도 9는 공기청정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7 to 9 show another embodiment of an air purifier.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공기청정기는 분사관(46)을 물통(30)의 내측으로 연장하여 수면에 보다 근접하여 또는 물속으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실시예의 공기청정기는 분사부(40)를 제외하고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에, 분사부(40) 구조를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기재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air purifier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pray pipe 46 extends inside the water tank 30 to spray air closer to the surface of the water or into the water. The air purifier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6 except for the spray unit 40. Accordingly, except for the structure of the injection unit 40,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분사부(40)는 물통(30)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80), 분사관(46)의 하단 위치에 맞춰 커버(80)에 관통 형성되어 분사관(46) 하단과 접하여 연통되는 연결구(82), 연결구(82)에 연통 설치되고 물통(30) 내부로 연장되는 연결관(84), 커버(80) 상에 연결구(82) 주위를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배출홀(86)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the injection unit 4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through the cover 80 to match the lower position of the cover 80 and the injection pipe 46, which ar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water tank 30, and are formed through the injection pipe 46. (46) A connector (82) that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and communicates with the bottom, a connector (84)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or (82) and extending inside the water tank (30), and a gap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nnector (82) on the cover (80). It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hole 86 formed therein.

이에, 분사관(46)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커버(80)의 연결구(82)로 유입되고, 연결구(82)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관(84)을 통해 물통(30)에 수용된 물속이나 수면 근처로 분사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air discharged from the injection pipe 46 flows into the connector 82 of the cover 80, and enters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30 or near the surface of the water through the connector 84 installed in the connector 82. can be sprayed.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30)은 물을 담을 수 있는 원통형태의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일측에는 하우징에 장착되었을 때 공기청정기의 외면을 이루도록 외피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외피는 하우징의 외형 일부로 이해할 수 있다. 외피에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되어, 하우징 외측에서 손잡이를 이용하여 물통(30)을 쉽게 탈착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the water tank 30 has a cylindrical receiving space capable of holding water, and an outer shell may be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to form the outer surface of the air purifier when mounted in the housing. The outer shell can be understood as part of the exterior of the housing. A handle is formed on the outer shell so that the user can hold it, and the water container 30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using the handle.

물통(30)의 상부에 커버(80)가 장착된다. 커버(80) 장착을 위해 물통(30)의 상단에는 커버(80)가 놓이도록 단턱(90)이 형성된다. A cover 80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water tank 30. In order to install the cover 80, a step 90 is formed at the top of the water container 30 so that the cover 80 can be placed.

커버(80)는 원형의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80)의 중심부에는 각 분사관(46)의 하단 위치에 맞춰 연통될 수 있도록 연결구(82)가 형성된다. The cover 8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plate structure. A connector 8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ver 80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end of each injection pipe 46.

연결구(82)는 분사관(46)의 하단의 수평 단면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사관(46)이 경사지게 기울어지게 형성된 구조의 경우 분사관(46)의 수평 단면은 타원형태를 이루게 되는 데, 연결구(82) 역시 이러한 타원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분사관(46)의 하단이 연결구(82)와 정확하게 연통될 수 있다.The connector 82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shape of the bottom of the injection pipe 46.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injection pipe 46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n angle, the horizontal cross-section of the injection pipe 46 has an oval shape, and the connector 82 may also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is oval shape. Accordingly, the lower end of the injection pipe 46 can be accurately communicated with the connector 82.

본 실시예에서, 분사관(46)은 커버(80) 상단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물통(30)을 하우징에 장착하였을 때, 커버(80)에 형성된 연결구(82)와 분사관(46) 하단이 긴밀하게 접하여 틈새가 나타나지 않게 된다. 또한, 커버(80)의 연결구(82) 주위를 따라 분사관(46) 하단과 코버 사이의 실링을 위한 오링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분사관(46) 하단과 커버(80) 사이가 실링되어 분사관(46)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가 외부로 새지 않고 연결구(82)를 통해 물통(30) 내측으로 분사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injection pipe 46 may extend to the top of the cover 80. Accordingly, when the water tank 30 is mounted on the housing, the connector 82 formed on the cover 80 and the lower end of the injection pipe 46 come into close contact, so that no gap appears. In addition, an O-ring for sealing between the bottom of the injection pipe 46 and the cover may be further installed around the connector 82 of the cover 80. Accordingly,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of the injection pipe 46 and the cover 80 is sealed so that the air sprayed through the injection pipe 46 can be sprayed into the water tank 30 through the connector 82 without leaking to the outside.

복수개의 분사관(46)과 복수개의 연결구(82)가 정확히 연결되기 위해서는, 하우징 내부로 물통(30)을 장착하였을 때, 커버(80)에 형성되어 있는 각 연결구(82)는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각 분사구 하단 위치에 정확히 맞춰져야 한다.In order to accurately connect the plurality of injection pipes 46 and the plurality of connectors 82, when the water tank 30 is mounted inside the housing, each connector 82 formed on the cover 80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It must be accurately aligned with the bottom position of each nozzle.

이를 위해, 물통(30)의 상단에 형성된 단턱(90)과 커버(80)에는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서로 맞물리는 돌기(92)와 끼움홈(94)이 형성되어, 물통(30)에 대한 커버(80)의 설치 위치를 규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For this purpose, protrusions 92 and fitting grooves 94 that engage with each other are form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on the step 90 and the cover 80 formed at the top of the water tank 30, respectively, to provide a cover for the water tank 30. It is structured to regulate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80).

이에, 외피에 의해 물통(30)은 비원형 형태를 이루고 있어 하우징에 대한 물통(30)의 장착방향은 일정하며, 커버(80)는 돌기(92)와 끼움홈(94)에 의해 항상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므로, 물통(30)을 하우징에 장착할 때 커버(80)에 형성된 연결구(82)의 위치는 항상 일정하다.Accordingly, the water container 30 has a non-circular shape due to the outer shell, so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water container 30 with respect to the housing is constant, and the cover 80 is always kept in a constant position by the protrusion 92 and the fitting groove 94. Since it is fixed to, the position of the connector 82 formed on the cover 80 is always constant when the water container 30 is mounted on the housing.

따라서, 커버(80)는 연결구(82)가 분사관(46) 하단 위치에 맞춰진 상태로 물통(30)에 장착되어 하우징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하우징 내부에서 각 분사관(46) 하단과 각 연결구(82)가 서로 정확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refore, the cover 80 is mounted on the water tank 30 with the connector 82 aligned with the lower position of the injection pipe 46 and inserted into the housing, so that the bottom of each injection pipe 46 and each connector ( 82) can be accurately connected to each other.

연결관(84)은 각각의 연결구(82)에 설치되어 물통(30) 내부로 연장된다. 연결관(84)은 커버(8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onnector 84 is installed in each connector 82 and extends into the water tank 30. The connector 84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ver 80.

연결관(84)은 물통(30)의 물 속에 잠길 수 있는 충분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 외에 연결관(84)은 수면 높이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연결구(82)를 통해 공급된 공기를 물통(30)의 수면 상에 또는 물 속에서 와류 형태로 토출할 수 있게 된다. The connection pipe 84 may be formed to have a sufficient length to be submerged in the water of the water tank 30.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connection pipe 84 may be extended to the level of the water surface. Accordingly,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connector 82 can be discharged in the form of a vortex on the water surface of the water tank 30 or in the water.

이하, 연결관(84)이 물 속까지 연장된 구조를 예로서 설명한다.Hereinafter, a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ion pipe 84 extends into the wate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본 실시예의 연결관(84)은 분사관(46)과 마찬가지로 수직방향에 대해 바닥판의 접선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게 기울어져 연장된 구조일 수 있다. 즉, 연결관(84)은 수직방향에 대해 커버(80)의 접선방향을 향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기울어져 연장된 구조일 수 있다. 연결관(84)은 물속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져 잠기게 된다. 각 연결관(84)의 기울어진 방향과 각도는 모두 동일할 수 있다.Like the injection pipe 46, the connection pipe 84 of this embodiment may have a structure that extends at an angle toward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connection pipe 84 may have a structure that extends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cover 80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nnection pipe 84 is tilted and submerged into the water. The inclined direction and angle of each connector 84 may be the same.

본 실시예에서, 연결관(84)은 분사관(46)의 중심축선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분사관(46)과 연결관(84)은 하나의 길게 연장된 관 형태로, 마치 분사관(46)이 커버(80)를 관통하여 물통(30)의 물 속으로 연장된 것과 같은 구조를 이루게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on pipe 84 may extend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injection pipe 46. Accordingly, the injection pipe 46 and the connecting pipe 84 are in the form of one long extended pipe, as if the injection pipe 46 penetrates the cover 80 and extends into the water of the water tank 30. is achieved.

이에, 본 실시예의 분사부(40)는 분사관(46)과 연결된 연결관(84)을 물통(30)의 물속으로 잠기도록 하여 공기를 물 속으로 분사할 수 있으면서, 분사관(46)과의 간섭없이 물통(30)을 하우징에서 외측으로 인출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injection unit 4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spray air into the water by submerging the connection pipe 84 connected to the injection pipe 46 into the water of the water tank 30, and the injection pipe 46 and The water container 30 can be pulled out from the housing without interference.

분사관(46)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연결구(82)에 연결된 각 연결관(84)을 통해 물 속으로 경사지게 분사되어 전체적으로 와류 형태의 흐름을 갖게 된다. 따라서, 공기는 물 속에서 방향성을 갖고 일방향으로 흐르면서 물과 접촉하게 된다.The air discharged from the injection pipe 46 is injected obliquely into the water through each connection pipe 84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 82, resulting in an overall vortex-like flow. Therefore, the air flows in one direction in the water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water.

이와 같이, 물통(30)의 물 속으로 공기가 분사됨으로써, 공기는 빠짐없이 물과 접촉됨은 물론, 와류 형태로 흐르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공기와 물의 접촉 효과를 높이게 된다. 따라서 외부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이 물에 모두 흡착될 수 있어, 오염물질의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as air is sprayed into the water of the water tank 30, the air not onl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water, but also increases the effect of contact between air and water by the flow of air in the form of a vortex. Therefore, all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can be absorbed into the water,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removing contaminants.

연결관(84)을 통해 물 속으로 분사된 공기는 물과 접촉되면서 오염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수면 밖으로 나오게 된다. 수면 밖으로 나온 청정한 공기는 커버(80)에 형성된 배출홀(86)을 통해 물통(30) 외부로 나오고 , 배출통로를 통해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The air injected into the water through the connection pipe 84 comes into contact with water and comes out of the water surface with contaminants removed. Clean air coming out of the water surface can come out of the water tank 30 through the discharge hole 86 formed in the cover 80 and be discharged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Although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mbodiments will occu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se modifications and other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nd included in the appended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ru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하우징 12 : 입구
20 : 공기흡입부 22 : 흡입관
24 : 구동팬 26 : 필터
28 : 스커트부 30 : 물통
32 : 외피 34 : 손잡이
40 : 분사부 42 : 바닥판
44 : 출구 46 : 분사관
47 : 홈부 48 : 콘부재
50 : 공기배출부 52 : 배출통로
60 : 정화부 62 : 전극부
64 : 전원부 65 : 단자부
67 : 고정단자부 70 : 살균부
72 : 고전압발생기 80 : 커버
82 : 연결구 84 : 연결관
86 : 배출홀 90 : 단턱
92 : 돌기 94 : 끼움홈
10: housing 12: entrance
20: air intake unit 22: suction pipe
24: driving fan 26: filter
28: skirt part 30: water tank
32: outer shell 34: handle
40: spray unit 42: bottom plate
44: outlet 46: injection pipe
47: Groove 48: Cone member
50: air outlet 52: discharge passage
60: Purification unit 62: Electrode unit
64: power unit 65: terminal unit
67: fixed terminal part 70: sterilization part
72: high voltage generator 80: cover
82: connector 84: connector
86: discharge hole 90: step
92: Protrusion 94: Fitting groove

Claims (4)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방에 배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흡입부, 상기 하우징 하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기흡입부의 하부에 연통되며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액체가 수용된 물통, 상기 공기흡입부 하단에 설치되어 흡입된 공기를 상기 물통의 물속으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부, 상기 하우징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물통과 연통되어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부, 및 상기 물통에 수용된 물을 살균 처리하기 위한 정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흡입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단 입구와 연통되어 하방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물통 상단에 연통되는 흡입관, 상기 흡입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구동팬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는 상기공기흡입부의 흡입관 하단에 설치되는 원형의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개의 출구, 상기 출구에 연통 설치되고 하부로 연장되는 분사관, 상기 물통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 상기 분사관의 하단 위치에 맞춰 상기 커버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분사관 하단과 접하여 연통되는 연결구, 상기 연결구에 연통 설치되고 물통 내부로 연장되는 연결관, 상기 커버 상에 연결구 주위를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배출홀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은 상기 출구가 형성되는 둘레부를 따라 원호형태로 파여진 홈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의 중심부에는 외부 공기를 상기 바닥판의 둘레 쪽에 형성된 출구쪽으로 유도하는 원뿔 형태의 콘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관의 하단은 점차 내경이 작아지도록 내면이 경사진 스커트부를 이루어, 흡입관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스커트부와 콘부재에 의해 홈부로 효과적으로 유도되는 구조이고,
상기 연결관은 수직방향에 대해 바닥판의 접선방향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물통의 물속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져 잠기도록 형성되고, 상기 각 연결관의 기울어진 방향과 각도는 모두 동일하여, 상기 분사관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각 연결구에 연결된 각 연결관을 통해 물속으로 경사지게 분사되어 전체적으로 일방향을 따라 와류 형태의 흐름을 갖도록 된 습식 공기청정기.
A housing forming an external shape, an air intake part disposed above the housing to suck in external air, detachably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and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part of the air intake part, and collecting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sucked air. A water tank containing a liquid, a spray portion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air intake portion to spray the sucked air into the water of the water tank, and an air form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water tank to discharge the purified air to the outside. It includes a discharge unit and a purification unit for steriliz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The air intake unit includes a suction pipe that communicates with the upper entrance of the housing and extends vertically downward and communicates with the top of the water tank, and a driving fan installed inside the suction pipe to suck in external air,
The spray unit includes a circular bottom plat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uction pipe of the air intake unit, a plurality of outlets form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ttom plate, a spray pipe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let and extending downward, and an upper portion of the water tank. A cover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a connector formed through the cover in accordance with the lower position of the injection pipe and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injection pipe,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bottom of the injection pipe, a connector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or and extending into the water tank, and a connector on the cover It includes discharge holes formed at intervals along the periphery,
The bottom plate has a continuous arc-shaped groove along the circumference where the outlet is formed, and a cone-shaped cone member in the center of the bottom plate that guides external air toward the outlet formed on the circumference of the bottom plate. Formed, the lower end of the suction pipe forms a skirt portion with an inner surface inclined so that the inner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and the air flowing into the suction pipe is effectively guided into the groove portion by the skirt portion and the cone member,
The connection pipe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be inclined and submerged into the water of the water tank. The inclined direction and angle of each connection pipe are all the same, and the injection pip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wet air purifier is sprayed obliquely into the water through each connector connected to each connector, creating a vortex-like flow along one dir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부는 양극판과 음극판을 포함하여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산기(OH)를 발생하는 전극부, 상기 전극부로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물통 내부에 설치되는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물통 하부 외측에 설치되는 단자부, 상기 하우징 바닥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물통에 설치된 단자부와 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를 인가하는 고정단자부를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에 물통 결합시 단자부가 고정단자부에 연결되는 구조의 습식 공기청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purification unit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an electrode unit that electrolyzes water to generate hydroxyl radicals (OH), and a power supply unit that applies current to the electrode unit,
The power supply unit includes a terminal portion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lectrode portion installed inside the water container and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bottom of the water container, and a fixed terminal portion that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housing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device installed in the water container to apply a current. Thus, a wet air purifier with a structure in which the terminal part is connected to the fixed terminal part when the water bottle is coupled to the housing.

KR1020220130708A 2022-10-12 2022-10-12 Wet type air cleaner KR1025926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0708A KR102592680B1 (en) 2022-10-12 2022-10-12 Wet type air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0708A KR102592680B1 (en) 2022-10-12 2022-10-12 Wet type air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2680B1 true KR102592680B1 (en) 2023-10-20

Family

ID=88514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0708A KR102592680B1 (en) 2022-10-12 2022-10-12 Wet type air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68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1827A (en) * 2008-09-16 2010-03-25 (주)알투알 Humidifier having sterilization and air cleaning function
KR20200107336A (en) * 2019-03-07 2020-09-16 이창준 Multi-functional air cleaning apparatus
KR20200107067A (en) * 2019-03-06 2020-09-16 에이치케이시스템 Wet type multifunction air filter
KR20210151505A (en) * 2020-06-05 2021-12-14 주식회사 삼마테크 Water injection type air cleaner apparatus having air cleaning and sterillizating fun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1827A (en) * 2008-09-16 2010-03-25 (주)알투알 Humidifier having sterilization and air cleaning function
KR20200107067A (en) * 2019-03-06 2020-09-16 에이치케이시스템 Wet type multifunction air filter
KR20200107336A (en) * 2019-03-07 2020-09-16 이창준 Multi-functional air cleaning apparatus
KR20210151505A (en) * 2020-06-05 2021-12-14 주식회사 삼마테크 Water injection type air cleaner apparatus having air cleaning and sterillizating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9791B1 (en) Air cleaner
CN107875782B (en) Improved furniture paint spraying and purifying device
KR20190128886A (en) Water layer type cyclone air purifier
CN203408591U (en) Water washing air comprehensive purifying machine
KR20170006088A (en) Air Purifier with water
KR102002022B1 (en) a Fine dust reduction device
JP2002095924A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2592680B1 (en) Wet type air cleaner
CN213077906U (en) Air purification equipment
KR20190143567A (en) Air purifier having plasma filter
KR102649835B1 (en) Wet type air cleaner
CN211078777U (en) Industrial sewage purification equipment
CN113944976B (en) Household air purifier
CN213468217U (en) Electrostatic dust removal device for waste gas treatment
KR20070106847A (en) Air cleaning apparatus for using silver solution
CN212746748U (en) Air conditioner new trend system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device and air purification system
CN113332834A (en) Water circulation air purification device without filter element
KR100725156B1 (en) Air cleaner filter and air cleaner and air cleaner filtering method
CN205048588U (en) Air purifying device
CN213286065U (en) Electrostatic machine tool oil smoke purifier convenient to clean
CN213231864U (en) Energy-concerving and environment-protective sewage cycle equipment of recycling
CN213208163U (en) Charged atomizing plasma generator
CN212987541U (en) Hydroxyl purification and disinfection equipment
CN212431166U (en) Washing air purifier
CN215196257U (en) Smoke detoxification device for chemical industry pro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