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2465B1 - Heater module for fuel filter and management apparatus thereof - Google Patents

Heater module for fuel filter and management apparatu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2465B1
KR102592465B1 KR1020180120624A KR20180120624A KR102592465B1 KR 102592465 B1 KR102592465 B1 KR 102592465B1 KR 1020180120624 A KR1020180120624 A KR 1020180120624A KR 20180120624 A KR20180120624 A KR 20180120624A KR 102592465 B1 KR102592465 B1 KR 102592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power
heater module
fuel
fuel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6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40555A (en
Inventor
공임모
정길성
Original Assignee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자동차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20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465B1/en
Publication of KR20200040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5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4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30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he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05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internal-combustion engine lubrication or fue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필터용 히터모듈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판 형태로 형성되는 단일 발열판;을 포함하며, 상기 단일 발열판의 일측 끝단 및 타측 끝단에 직류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 단자(+, -)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 단자(+, -)의 적어도 어느 일 측의 전원 단자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스위칭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일 발열판은 저항성 소자로서 일정 간격으로 연료 유입홀이 타공되어 형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er module for a fuel filter, comprising a single heating plate formed in the shape of a single plate, wherein power terminals (+, -) for receiving direct current power are provid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ingle heating plate. At least one power switching unit i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wer terminal (+, -), and the single heating plate is a resistive element and is formed by drilling fuel inlet holes at regular intervals.

Description

연료필터용 히터모듈 및 그 관리 장치{HEATER MODULE FOR FUEL FILTER AND MANAGEMENT APPARATUS THEREOF}Heater module for fuel filter and its management device {HEATER MODULE FOR FUEL FILTER AND MANAGEMENT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연료필터용 히터모듈 및 그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필터 안전성 및 가열 효율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저온 시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연료필터용 히터모듈 및 그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er module for a fuel filter and its management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heater module for a fuel filter and its management device that improves low-temperature startability by increasing fuel filter safety and heating efficiency. will be.

일반적으로 연료에 혼합된 오염물질은 엔진은 물론 밸브류, 펌프류 및 노즐 등에 손상을 입힐 수 있으므로, 연료탱크에서 토출된 연료는 엔진으로 이송되기 전에 연료필터를 거쳐 여과되어 이송된다.In general, contaminants mixed in fuel can damage the engine as well as valves, pumps, and nozzles, so the fuel discharged from the fuel tank is filtered through a fuel filter before being transferred to the engine.

상기 연료필터는 연료에 유입된 이물질 및 수분을 여과시키기 위해 필터재가 내장된다. 특히 수분에 민감하며 온도가 저온으로 떨어질 경우 점도가 증가하는 경유(디젤유)를 연료로 사용하는 차량의 경우에는, 연료필터와 연료히터가 하나의 조립체로서 모듈화되어 차량에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fuel filter has a built-in filter material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and moisture introduced into the fuel.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vehicles that use diesel oil as fuel, which is sensitive to moisture and whose viscosity increases when the temperature drops to low temperatures, it is common for the fuel filter and fuel heater to be modularized as a single assembly and installed on the vehicle.

도 1은 종래의 연료필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필터는 상부에 히터모듈을 포함하고, 이 히터모듈의 하부에 필터모듈이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된다.Figure 1 is an exemplary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fuel filter. As shown, the fuel filter includes a heater module at the top, and a filter module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heater module.

도 1에 도시된 상기 히터모듈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히터모듈은 상하로 각기 배치되는 복수의 전극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극판에는 직류 전원의 각기 다른 전극(예 : 상부 전극판에 (+)전극, 하부 전극판에 (-)전극)이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전극판 사이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발열 소자(예 : PTC 소자)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발열 소자는 상기 복수의 전극판을 통해 인가되는 직류 전원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전극판에는 연료(디젤유)를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의 연료 유입홀(hole)이 일정 간격으로 타공되어 있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heater module shown in FIG. 1 in more detail, the heater module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 plates arranged vertically, and the plurality of electrode plates include different electrodes of a direct current power source (e.g., an upper electrode). A (+)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plate and a (-)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lower electrode plate, and a plurality of heating elements (e.g., PTC elements) are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plurality of electrode plates.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heating elements are driven by direct current power applied through the plurality of electrode plates. In addition, a plurality of fuel inlet holes for allowing fuel (diesel oil) to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electrode plates are perforated at regular intervals.

이에 따라 히터모듈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전극판에 타공된 연료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연료는 히터모듈을 통과하면서 가열되고, 상기 히터모듈의 하부에 위치하는 필터모듈로 이송되고, 이후 수분이 분리된 연료는 여과지를 통해 여과된 다음 토출관(미도시, 연료필터의 중앙에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원기둥 형태의 홀)을 통해 연료펌프(미도시)로 배출된다. Accordingly, the fuel flowing in from the upper side of the heater module through the fuel inlet hole drilled in the electrode plate is he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er module, and is transferred to the filter modul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heater module, and then the fuel from which the moisture is separated. is filtered through filter paper and then discharged to the fuel pump (not shown) through a discharge pipe (not shown, a cylindrical hole formed to penetrate up and down in the center of the fuel filter).

참고로 상기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소자는 전류가 인가되면 내부저항이 증가되어 열을 발산하는 발열소자로서 일정 온도에 도달하면 부도체로 변화하여 항시 일정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PTC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element is a heating element that radiates heat by increasing its internal resistance when a current is applied. When it reaches a certain temperature, it changes into an insulator and can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at all times.

그리고 상기 발열소자의 상부와 하부에 각기 배치되는 전극판은 상기 발열소자에서 발생되는 열을 분산하여 방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Additionally, the electrode plates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eating element function to disperse and emit heat generated from the heating element.

그리고 상기 일측 전극판(예 : 상부 전극판)에는 연료의 온도에 따라 전원인가를 제어하는 바이메탈 소자가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바이메탈 소자는 열팽창 계수가 다른 두 개의 금속체들이 결합된 구조로서 연료의 온도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금속체들의 팽창률 차이를 이용해 전원의 양극이 각각 연결된 터미널들의 단락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 bimetal element that controls power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fuel is mounted on one electrode plate (e.g., the upper electrode plate). Here, the bimetal element is a structure in which two metal bodies with different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are combined, and is configured to control short-circuiting of terminals to which the anode of the power source is connected respectively by using the difference in expansion rate of the metal bodies that occurs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of the fuel.

그런데 상기 히터모듈은 발열소자가 위치한 부분에서만 발열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열 효율성이 떨어지고, 연료(디젤유)의 왁싱을 제거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시동 지연이 발생하며, 또한 차압에 의해 필터메디아가 터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히터모듈의 내부 구조가 복잡하여(즉, 조립해야 해야 하는 부품수가 많아) 양산성이 떨어지고, 복수의 전극판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연료에 포함된 금속 물질이나 불순물에 의해 막힘으로써, 전원 단락이 발생할 수 있어서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heater module generates heat only in the area where the heating element is located, heating efficiency is low, it takes a lot of time to remove wax from the fuel (diesel oil), resulting in startup delays, and the filter media is damaged due to differential pressure. Explosive problems may occur. In additio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heater module is complex (i.e., the number of parts that must be assembled is large), which reduces mass productivity, and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electrode plates is blocked by metal substances or impurities contained in the fuel, causing a power short circuit. There is a problem that safety may be reduced because this can occur.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061024호(2014.05.21. 공개, 경유차량용 연료히터의 구조)에 개시되어 있다. 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61024 (published on May 21, 2014, Structure of Fuel Heater for Diesel Vehicle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연료필터 안전성 및 가열 효율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저온 시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연료필터용 히터모듈 및 그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s a heater module for fuel filter and its management that improves low-temperature startability by increasing fuel filter safety and heating efficienc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evice.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연료필터용 히터모듈은 하나의 판 형태로 형성되는 단일 발열판;을 포함하며, 상기 단일 발열판의 일측 끝단 및 타측 끝단에 직류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 단자(+, -)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 단자(+, -)의 적어도 어느 일 측의 전원 단자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스위칭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일 발열판은 저항성 소자로서 일정 간격으로 연료 유입홀이 타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ter module for a fuel filte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ngle heating plate formed in the shape of a single plate, and power terminals (+, -) for receiving direct current power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ingle heating plate. is formed, and at least one power switching unit i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wer terminal (+, -), and the single heating plate is a resistive element and is formed by drilling fuel inlet holes at regular intervals. do.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원 스위칭부는, 지정된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는 스위칭 오프되어 전원을 차단시키고, 지정된 온도 미만에서는 스위칭 온되어 전원을 도통시키는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단일 발열판에 형성되는 연료 유입홀은, 복수의 전극판 사이에 발열소자가 구성된 연료필터용 히터모듈 대비, 연료 유입홀의 개수가 증가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witching unit includes an element that switches off to cut off the power when the temperature exceeds a specified temperature, and switches on to conduct the power when the temperature is below the specified temperature, and the fuel inlet hole formed in the single heating plate is , Compared to a fuel filter heater module in which a heating element is formed between a plurality of electrode plates, the number of fuel inlet holes is increas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일 발열판은, 복수의 전극판 사이에 발열소자가 구성된 상기 연료필터용 히터모듈 대비, 연료 유입홀의 개수가 증가되게 형성되되, 상기 연료 유입홀의 크기를 더 작게 형성하여 상기 단일 발열판 전체에 바둑판 형태로 고르게 타공된 다공성 판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le heating plate is formed to have an increased number of fuel inlet holes compared to the fuel filter heater module configured with a heating element between a plurality of electrode plates, but the size of the fuel inlet hole is formed smaller, so that the single heating plat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mposed of a porous plate with even perforations in a checkerboard shape throughout the entire heating plat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원 스위칭부는, 상기 단일 발열판의 일측 끝단과 타측 끝단에 형성된 전원 단자(+, -) 중, 어느 일 측의 전원 단자에만 하나의 전원 스위칭부가 형성되거나, 양 측의 전원 단자에 각기 전원 스위칭부가 형성되거나, 또는 어느 일 측의 전원 단자에만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전원 스위칭부가 직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witching unit is formed on only one of the power terminals (+, -)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ingle heating plate, or is formed on both power terminals. Each power switching unit is formed, or a plurality of power switching units of different types are formed in series only at the power terminal on one sid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연료필터용 히터모듈 관리 장치는 차량의 연료필터용 히터모듈에 전원이나 전류가 공급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전원 공급 측정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도 검출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외기 온도 및 내기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검출부; 외기 온도별 적정 연료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히터모듈의 히팅 시간, 및 내기 온도별 적정 연료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히터모듈의 히팅 시간을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온도별 히팅시간 DB; 및 상기 온도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상기 외기 온도와 상기 내기 온도 중 더 높은 온도를 기준으로, 상기 온도별 히팅시간 DB에 저장된 히팅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연료필터용 히터모듈에 전원 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uel filter heater module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upply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the time when power or current is supplied to the fuel filter heater module of a vehicle; a temperature detection unit that measures the external and internal temperatures of the vehicle using at least one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A heating time DB for each temperature that stores the heating time of the heater module for maintaining the appropriate fuel temperature for each outside temperature and the heating time for the heater module for maintaining the appropriate fuel temperature for each temperature in a table format; And power is normally supplied to the fuel filter heater module based on the higher temperature of the outside temperature and the inside temperature detected through the temperature detection unit and the heating time information stored in the heating time DB for each temperatur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별 히팅시간 DB에 저장된 히팅 시간 정보와 오차 범위 이상 차이가 있는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연료필터용 히터모듈이나 전원 공급 모듈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알람을 출력하고, 상기 연료필터용 히터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a failure has occurred in the heater module for the fuel filter or the power supply module when power supply differs by more than an error range from the heating time information stored in the heating time DB for each temperatur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implemented to output an alarm and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fuel filter heater modul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료필터용 히터모듈은, 하나의 판 형태로 형성되는 단일 발열판;을 포함하며, 상기 단일 발열판의 일측 끝단과 타측 끝단에 직류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 단자(+, -)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 단자(+, -)의 적어도 어느 일 측의 전원 단자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스위칭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일 발열판은 저항성 소자로서 일정 간격으로 연료 유입홀이 타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er module for the fuel filter includes a single heating plate formed in the shape of a single plate, and power terminals (+, -) for supplying direct current power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ingle heating plate. is formed, and at least one power switching unit i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wer terminal (+, -), and the single heating plate is a resistive element and is formed by drilling fuel inlet holes at regular intervals. do.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연료필터 안전성 및 가열 효율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저온 시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low-temperature startability by increasing fuel filter safety and heating efficiency.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히터모듈의 고장이나 가동 상태를 검출하여 사용자가 대응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안전성과 동작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failure or operating state of the heater module and allows the user to respond, thereby improving safety and operational stability.

도 1은 종래의 연료필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필터용 히터모듈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필터용 히터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Figure 1 is an exemplary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fuel filter.
Figure 2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heater module management device for a fuel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5 are diagrams show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heater module for a fuel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료필터용 히터모듈 및 그 관리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fuel filter heater module and its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or sizes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필터용 히터모듈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Figure 2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heater module management device for a fuel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필터용 히터모듈 관리 장치는, 전원 공급 측정부(110), 온도 검출부(120), 온도별 히팅시간 DB(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heater module management device for a fuel filt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power supply measurement unit 110, a temperature detection unit 120, a heating time DB 130 for each temperature, and a control unit 140. Includes.

상기 전원 공급 측정부(110)는 연료필터용 히터모듈(200)에 공급(인가)되는 시간(또는 전류)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140)에 전달한다.The power supply measuring unit 110 measures the time (or current) supplied (applied) to the fuel filter heater module 200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40.

상기 온도 검출부(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도 검출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외기 온도 및 내기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140)에 전달한다.The temperature detection unit 120 measures the external and internal temperatures of the vehicle using at least one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and transmits the measurements to the control unit 140.

상기 온도별 히팅시간 DB(130)는 외기 온도별 적정 연료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히팅 시간을 테이블 형태로 저장한다. 또한 상기 온도별 히팅시간 DB(130)는 내기 온도별 적정 연료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히팅 시간을 테이블 형태로 저장한다.The heating time DB 130 for each temperature stores the heating time for maintaining the appropriate fuel temperature for each external temperature in a table format. In addition, the heating time DB 130 for each temperature stores the heating time for maintaining the appropriate fuel temperature for each temperature in a table format.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온도 검출부(120)를 통해 검출된 외기 온도와 내기 온도 중 더 높은 온도를 기준으로, 상기 온도별 히팅시간 DB(130)에 기초하여, 상기 연료필터용 히터모듈(200)에 적정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는지 판단한다.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fuel filter heater module 200 based on the higher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temperature and the indoor temperature detected through the temperature detection unit 120 and the heating time DB 130 for each temperature. ) Determine whether an appropriate power supply is provided.

만약 상기 온도별 히팅시간 DB(130)에 저장된 정보와 오차 범위 이상 차이가 있는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연료필터용 히터모듈(200)이나 전원 공급 모듈(미도시)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If power supply differs from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heating time DB 130 for each temperature by more than an error range, the control unit 140 connects the fuel filter heater module 200 or the power supply module (not shown). It is determined that a malfunction has occurred.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연료필터용 히터모듈(200)이나 전원 공급 모듈(미도시)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경우, 알람을 출력하거나 상기 연료필터용 히터모듈(2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control unit 140 determines that a failure has occurred in the fuel filter heater module 200 or the power supply module (not shown), it outputs an alarm or supplies power to the fuel filter heater module 200. The power can be cut off.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필터용 히터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3 to 5 are exemplary diagrams show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heater module for a fuel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a)를 참조하면, 종래의 연료필터용 히터모듈(200)은 두께가 얇은 복수의 전극판(제1,제2 전극판) 사이에 복수의 발열소자를 배치하여 연료 유입홀을 통해 유입되는 연료를 여러 위치에서(즉, 복수의 발열소자를 통해서) 고르게 가열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전극판을 통해서도 열이 전달되어 연료를 보온시키는 부수적인 효과가 있으나, 상기 전극판의 실질적인 역할은 발열소자에서 직접적으로 발생한 열을 방열시키는 방열판(또는 열 확산판)의 역할을 수행한다.Referring to (a) of FIG. 3, the conventional fuel filter heater module 200 arranges a plurality of heating elements between a plurality of thin electrode plates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to create a fuel inlet hole. It is configured to evenly heat the fuel flowing in through multiple locations (i.e., through a plurality of heating elements). At this time, heat is transferred through the electrode plate, which has a secondary effect of keeping the fuel warm, but the actual role of the electrode plate is to serve as a heat sink (or heat spreader plate) that dissipates heat directly generated from the heating element.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연료필터용 히터모듈(200)은 그 구조적인 특성상 복수의 전극판 사이의 공간이 가능한 한 좁게 밀착되도록 구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복수의 전극판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연료에 포함된 금속 물질이나 불순물이 쌓여 접촉됨으로써 전원 단락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조립 공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fuel filter heater module 200 must be configured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electrode plates is as narrow as possible due to its structural characteristics, so the metal contained in the fuel is stor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electrode plates. There is a problem that a power short circuit may occur when materials or impurities accumulate and come into contact, and the assembly process takes a lot of time, which reduces productivity.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전극판 및 그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발열소자를 사용하지 않고, 대신에 하나의 판 형태로 형성되는 단일 발열판(230)을 이용해 히터 모듈을 형성한다.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b), a plurality of electrode plates and a plurality of heating elements disposed between them are not used, but instead, one electrode plate is used. A heater module is formed using a single heating plate 230 formed in the shape of a plate.

여기서 상기 단일 발열판(230)은 저항성 소자로서 두께를 조절하여 저항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일정 간격으로 연료 유입홀이 타공되어 형성된다.Here, the single heating plate 230 is a resistive element whose resistance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its thickness, and is formed by drilling fuel inlet holes at regular intervals.

이때 상기 단일 발열판(230)의 일측 끝단과 가장 멀리 떨어진 타측 끝단에 전원 단자(+, -)가 형성되어 직류 전원을 공급받는다. 그리고 적어도 어느 일 측의 전원 단자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스위칭부(도 5의 210, 220)가 형성된다.At this time, power terminals (+, -) are formed at one end of the single heating plate 230 and the other end furthest away from each other to receive direct current power. And at least one power switching unit (210, 220 in FIG. 5) i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wer terminal.

여기서 상기 전원 스위칭부(도 5의 210, 220)는 지정된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는 스위칭 오프되어 전원을 차단시키고, 지정된 온도 미만에서는 스위칭 온되어 전원을 도통시킨다.Here, the power switching unit (210, 220 in FIG. 5) is switched off to cut off the power when the temperature exceeds a specified temperature, and is switched on to conduct power when the temperature is below the specified temperature.

한편 상기 단일 발열판(230)에 형성되는 연료 유입홀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연료 유입홀의 배치 간격을 좁게 조절하고 홀의 크기와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a) of FIG. 4, the fuel inlet hole formed in the single heating plate 230 can narrow the arrangement spacing of existing fuel inlet holes and adjust the size and number of holes.

예컨대 종래에는 발열소자가 있는 위치에는 연료 유입홀을 타공할 수 없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발열소자를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위치에 제한없이 연료 유입홀을 타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 유입홀의 개수가 증가될 경우, 연료가 골고루 퍼져서 유입될 수 있게 됨으로써, 연료에 대한 열전달 효율이 증가되기 때문에 단일 발열판(230)의 발열 온도를 더 낮은 온도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를 더욱 증가시키기 위하여,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일 발열판(230)의 전체에 기존 연료 유입홀보다 작은 홀이 바둑판 형태와 같이 배열되어 고르게 타공된 다공성 판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For example, conventionally, the fuel inlet hole could not be drilled at the location where the heating element is located, but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separate heating element is not formed, the fuel inlet hole can be drilled without restrictions on the location. . Therefore, as shown in (a) of FIG. 4, when the number of fuel inlet holes increases, the fuel can be evenly spread and injected, thereby increasing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for the fuel, thereby increasing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single heating plate 230. This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control the temperature to a lower temperature.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is effect, as shown in (b) of FIG. 4, holes smaller than the existing fuel inlet holes are arranged in a checkerboard shape throughout the single heating plate 230 to form an evenly perforated porous plate. It can be configured.

도 5는 상기 도 3에 있어서, 단일 발열판(230)에 직류 전원을 인가할 때 전원 스위칭부를 형성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상기 단일 발열판(230)의 일측 끝단과 가장 멀리 떨어진 타측 끝단에 형성된 전원 단자(+, -) 중, 도 5의 (a)와 같이 어느 일 측의 전원 단자(예 : (-))에만 하나의 전원 스위칭부(210)를 형성하거나, 도 5의 (b)와 같이 양 측의 전원 단자(예 : (+, -))에 각기 다른 종류의 전원 스위칭부(210, 220)를 형성하거나, 또는 도 5의 (c)와 같이 어느 일 측의 전원 단자(예 : (-))에만 서로 다른 종류의 전원 스위칭부(210, 220)를 직렬로 형성할 수 있다.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forming a power switching unit when applying direct current power to the single heating plate 230 in FIG. 3, wherein the other end furthest from one end of the single heating plate 230 Among the power terminals (+, -) formed in , one power switching unit 210 is formed only on the power terminal (e.g. (-)) on one side as shown in (a) of FIG. 5, or (b) in FIG. 5 ), different types of power switching units 210, 220 are formed on both power terminals (e.g. (+, -)), or a power terminal on one side (c) as shown in Figure 5 (c). Example: Different types of power switching units 210 and 220 can be formed in series only in (-)).

여기서 상기 전원 스위칭부(210, 220)(예 : PTC, 바이메탈 등)는 지정된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는 스위칭 오프되어 전원을 차단시키고, 지정된 온도 미만에서는 스위칭 온되어 전원을 도통시킨다. Here, the power switching units 210 and 220 (e.g., PTC, bimetal, etc.) are switched off to cut off the power when the temperature exceeds a specified temperature, and are switched on to conduct power when the temperature is below the specified temperature.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연료필터 안전성 및 가열 효율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저온 시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본 실시예는 히터모듈의 고장이나 가동 상태를 검출하여 사용자가 대응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안전성과 동작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is embodimen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low-temperature startability by increasing fuel filter safety and heating efficiency. Additionally, this embodiment detects failure or operation status of the heater module and allows the user to respond. , has the effect of improving safety and operational stability.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illustrati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You will understand the point. Therefore, th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below.

110 : 전원 공급 측정부
120 : 온도 검출부
130 : 온도별 히팅시간 DB
140 : 제어부
210 : 제1 전원 스위칭부
220 : 제2 전원 스위칭부
230 : 단일 발열판
110: Power supply measuring unit
120: Temperature detection unit
130: Heating time DB by temperature
140: control unit
210: first power switching unit
220: second power switching unit
230: single heating plate

Claims (7)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차량의 연료필터용 히터모듈에 전원이나 전류가 공급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전원 공급 측정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도 검출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외기 온도 및 내기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검출부;
외기 온도별 적정 연료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히터모듈의 히팅 시간, 및 내기 온도별 적정 연료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히터모듈의 히팅 시간을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온도별 히팅시간 DB; 및
상기 온도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상기 외기 온도와 상기 내기 온도 중 더 높은 온도를 기준으로, 상기 온도별 히팅시간 DB에 저장된 히팅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연료필터용 히터모듈에 전원 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료필터용 히터모듈은,
하나의 판 형태로 형성되는 단일 발열판;을 포함하며,
상기 단일 발열판의 일측 끝단과 타측 끝단에 직류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 단자(+, -)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 단자(+, -)의 적어도 어느 일 측의 전원 단자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스위칭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일 발열판은, 저항성 소자로서, 연료 유입홀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타공된 다공성 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필터용 히터모듈 관리 장치.
A power supply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the time when power or current is supplied to the heater module for the fuel filter of the vehicle;
a temperature detection unit that measures the outside temperature and inside temperature of the vehicle using at least one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A heating time DB for each temperature that stores the heating time of the heater module for maintaining the appropriate fuel temperature for each outside temperature and the heating time for the heater module for maintaining the appropriate fuel temperature for each temperature in a table format; and
Based on the higher temperature of the outside temperature and the inside temperature detected through the temperature detection unit, and based on the heating time information stored in the heating time DB for each temperature, whether power is normally supplied to the heater module for the fuel filter.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The heater module for the fuel filter is,
It includes a single heating plate formed in the form of a single plate,
Power terminals (+, -) for receiving direct current power are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ingle heating plate,
At least one power switching unit is formed on at least one power terminal on either side of the power terminals (+, -),
The single heating plate is a resistive element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porous plate with fuel inlet hole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perforated.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별 히팅시간 DB에 저장된 히팅 시간 정보와 오차 범위 이상 차이가 있는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연료필터용 히터모듈이나 전원 공급 모듈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알람을 출력하고, 상기 연료필터용 히터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필터용 히터모듈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 unit:
If the power supply is different than the error range from the heating time information stored in the heating time DB for each temperature,
A heater module management device for a fuel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mplemented to determine that a failure has occurred in the fuel filter heater module or the power supply module, output an alarm, and cut off power supplied to the fuel filter heater module.
삭제delete
KR1020180120624A 2018-10-10 2018-10-10 Heater module for fuel filter and management apparatus thereof KR1025924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624A KR102592465B1 (en) 2018-10-10 2018-10-10 Heater module for fuel filter and management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624A KR102592465B1 (en) 2018-10-10 2018-10-10 Heater module for fuel filter and management apparatu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555A KR20200040555A (en) 2020-04-20
KR102592465B1 true KR102592465B1 (en) 2023-10-23

Family

ID=70467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624A KR102592465B1 (en) 2018-10-10 2018-10-10 Heater module for fuel filter and management apparatu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46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008B1 (en) 2013-12-13 2015-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ontrol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in fuel filter
KR101704248B1 (en) * 2015-08-25 2017-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ter of fuel filter
US20170254299A1 (en) * 2016-03-01 2017-09-07 CT Energy Holdings, LLC Fuel Heating Apparatu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491B1 (en) * 2011-07-28 2018-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uel Heating Apparatus of Fuel Fil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008B1 (en) 2013-12-13 2015-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ontrol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in fuel filter
KR101704248B1 (en) * 2015-08-25 2017-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ter of fuel filter
US20170254299A1 (en) * 2016-03-01 2017-09-07 CT Energy Holdings, LLC Fuel Heating Apparatu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555A (en) 2020-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95952A1 (en) Evaporator unit for an inhaler, in particular for an electronic cigarette product
CN201557323U (en) Structure for heating devices on PCB
US20030038124A1 (en) Compact heating module with soft start
JP2001173535A (en) Fuel filter
KR101619385B1 (en) Fuel filter for diesel engine
EP3850961A1 (en) Atomization core
CN1991272A (en) Fluid-heating apparatus, circuit for heating a fluid,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592465B1 (en) Heater module for fuel filter and management apparatus thereof
CN105789734A (en) Apparatus used for heating battery system and new energy automobile equipped with apparatus
CN106481492A (en) The heater control device of vehicle fuel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ter
KR20120044445A (en) Relief valve for oil pump
JP2009099992A (en)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ptc resistor
US6435005B1 (en) Heater patterns for planar gas sensors
KR102593641B1 (en) Heater module for fuel filter capable of multi stage temperature control and management apparatus thereof
KR102162965B1 (en) Heater module management apparatus for distributed heating fuel filter
US6365880B1 (en) Heater patterns for planar gas sensors
KR102411114B1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RF filter unit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00060844A (en) Fuel filter of vehicle
KR101042923B1 (en) Hitting apparatus having temperature controlling funtion and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CN211831210U (en) From heat-generating body of preventing dry combustion method function in area
KR102272895B1 (en) Electric cooker and its heating control circuit,Control method
KR20050000539A (en) Filter for use in a flowing viscous medium
JP2016052628A (en) Fuel filer device
KR102101621B1 (en) Heater assembly for heating fluid
CN218550214U (en) Heating device with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