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519B1 - 신체정보 복합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신체정보 복합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1519B1
KR102591519B1 KR1020210126946A KR20210126946A KR102591519B1 KR 102591519 B1 KR102591519 B1 KR 102591519B1 KR 1020210126946 A KR1020210126946 A KR 1020210126946A KR 20210126946 A KR20210126946 A KR 20210126946A KR 102591519 B1 KR102591519 B1 KR 102591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information
support
user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6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4620A (ko
Inventor
김진승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26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519B1/ko
Publication of KR20230044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4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4Determining motor sk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Gait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4Measuring muscular streng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5Sport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0Means for positioning the patient in relation to the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 A61B5/702Posture restra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5/00Evaluating, monitoring or diagnosing in the context of a particular type of medical care
    • A61B2505/09Rehabilitation or trai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정보 복합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닥면에서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회전 지지체; 상기 회전 지지체와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기준 길이로 길게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회전 지지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상기 회전 지지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하고, 사용자가 파지할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신체신호를 감지하는 신체감지수단을 타측에 구비한 회전 로드; 상기 바닥면에서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서 상기 회전 로드의 일 구간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 로드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회전 지지체와 마주하는 부분에 마련되어서 상기 회전 로드가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될 때 복귀 시점의 복귀신호를 감지하는 시간감지수단을 구비한 지지 로드; 및 상기 신체신호 및 복귀신호를 기 설정된 기준들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상태정보 및 신체활동능력정보를 생성한 후 출력되게 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신체정보 복합 측정장치{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body information}
본 발명은 신체정보 복합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의 근력, 근육량 등의 신체정보와 신체활동능력을 별도의 측정장비 없이 동시에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측정을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며 환자의 경제적 부담을 낮추고, 환자에게 맞춤형 운동처방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신체정보 복합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문 메디컬 분야 뿐만 아니라 휘트니스 분야에서 효과적인 운동처방을 위해서는, 환자 또는 처방 의뢰자(이하, '환자'라 함)의 맥박, 혈압, 근력이나 근육량 등의 신체정보 측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또한 운동처방에 따른 운동 효과의 검정을 위해서도 상기 신체정보의 측정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맥박이나 혈압 등 심혈관 계통의 측정은 간단한 맥박 및 혈압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손쉽게 측정이 가능하지만, 근 골격계 분야의 근력 측정은 이와 달리 몇몇 대형병원을 제외하고는 측정이 어렵거나, 고가의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해야 한다.
특히, 이러한 근 골격계 분야의 근력 측정은 여전히 1970년대부터 측정하던 방식으로 측정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새로운 근력 측정과 평가를 위한 과학적 방안으로 고안된 장비는 보편적으로 등속성 근력 측정 장비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러한 등속성 근력 측정 장비는 대부분 연구를 위해 고안되어서 측정을 위한 장비 세팅 시 전문적 오퍼레이팅 능력이 필요하며 복잡한 기능과 측정값이 많아 연구나 재활용으로 대학, 병원, 연구소 등에서 일부 제한적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1억원 상당의 고가장비로 특정소수만 사용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운동처방과 운동효과 검증을 위한 종래의 측정 장비들은 근력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가지나 환자의 신체 활동 능력을 동시에 측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짐으로써, 환자의 근력, 근육량 등에 기초한 신체 활동 능력 측정을 위해서는 별도의 측정장비를 이용한 추가적인 측정을 필요로 하고, 측정을 위해 긴 시간을 소모해야 하며 환자의 경제적 부담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02461호(2007.10.18.)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근력, 근육량 등의 신체정보와 신체활동능력을 별도의 측정장비 없이 동시에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측정을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며 환자의 경제적 부담을 낮출 수 있도록 하고, 측정된 신체정보와 신체활동능력을 바탕으로 환자에게 맞춤형 운동처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신체정보 복합 측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신체정보 복합 측정장치는,바닥면에서 연직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회전 지지체; 상기 바닥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회전 지지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서 상기 회전 지지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되는 회전로드; 상기 바닥면에서 연직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서 상기 회전 로드의 일 구간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 로드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회전 지지체와 마주하는 부분에 마련되어서 상기 회전 로드가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될 때 복귀 시점의 복귀신호를 감지하는 시간감지수단을 구비한 지지로드; 및 상기 복귀신호를 기 설정된 기준들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활동능력정보를 생성한 후 출력되게 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로드는, 상기 제어기가 상기 신체활동능력정보와 함께 상기 사용자의 신체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가 파지할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신체신호를 감지하는 신체감지수단을 타측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회전로드의 신체감지수단을 파지한 사용자가 상기 회전 지지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 시 상기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상기 바닥면에 배치되어서 상기 회전 지지체와 연결되고 회전 로드의 상기 기준 길이와 대응되는 반경을 가진 원형의 이동 가이드 라인을 형성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회전 지지체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회전 로드 및 지지 로드의 회전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지지체를 중심으로 링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 로드의 단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이드 삽입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회전로드는, 상기 바닥면과 반대되는 상측을 향해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보조로드와, 상기 보조로드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보조로드에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연장로드를 구비한 낙상방지프레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의 낙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로드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사용자의 요추부분을 감싸는 형태의 서포트부재를 구비한 신체보호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신체상태정보는 악력, 근력, 근육량, 체지방량, 체수분량, 내장지방량, 기초대사량 또는 무기질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신체정보일 수 있다.
상기 신체활동능력정보는, 상기 회전 지지체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보행하는 사용자의 보행시간에 기초한 보행능력, 자세유지능력 또는 기립균형능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신체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신체정보 복합 측정장치는, 회전 로드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회전 지지체와 연결되어서 그 회전 지지체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되고, 회전 지지체와 연결되지 않은 회전 로드의 타측에 사용자의 악력 측정을 위한 신체감지수단이 마련되고, 지지 로드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 로드에 연결되어서 그 회전 로드와 함께 회전하고, 지지로드와 회전 지지체가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 시간감지수단을 구비하여 회전 로드의 회전 시 소요된 시간을 측정할 수 있게 하고, 제어기가 신체감지수단 및 시간감지수단으로부터 신체신호와 복귀신호를 각각 전송받아 사용자의 신체상태 및 신체활동능력을 판단한 후 정보를 생성시킴으로써, 환자의 근력, 근육량 등의 신체정보와 신체활동능력을 별도의 측정장비 없이 동시에 측정할 수 있고, 그 측정을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며 환자의 경제적 부담을 낮추고, 측정된 신체정보와 신체활동능력을 바탕으로 환자에게 맞춤형 운동처방이 가능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정보 복합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회전 로드가 회전 지지체에 일측이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 지지체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회전 로드와 회전 지지체 간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체정보 복합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가이드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체정보 복합 측정장치에 채용된 낙상방지프레임 및 신체보호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정보 복합 측정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정보 복합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회전 로드가 회전 지지체에 일측이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 지지체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회전 로드와 회전 지지체 간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정보 복합 측정장치는 회전 지지체(100), 회전 로드(200), 지지 로드(300), 제어기(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 지지체(100)는, 바닥면에서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지지체(100)는 내부의 공간에 상기 제어기(400)를 수용할 수 있고, 상기 바닥면에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시키거나 분리시켜 위치이동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회전 지지체(100)는 회전 로드(200)와 연결되고 그 회전 로드(200)의 안정된 회전을 위해 중심 회전축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회전 지지체(100)는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회전 로드(200)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로드(200)가 회전할 수 있도록 그 회전 로드(200)를 지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 지지체(100)와 회전 로드(200)는 볼 베어링(B)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거나 다양한 기어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회전 로드(200)는 상기 회전 지지체(100)와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기준 길이로 길게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회전 지지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상기 회전 지지체(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한다. 또한 상기 회전 로드(200)는 타측에 신체감지수단(210)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 로드(200)는 0.955m의 기준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회전 로드(200)는 상기 사용자가 신체감지수단(210)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 지지체(100)를 중심으로 회전될 때 둘레가 약 6m(5.9974m)인 원형의 이동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회전 로드(200)에서 상기 신체감지수단(210)은 근력이나 근육량 등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감지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신체감지수단(210)은 체성분 검사를 위해 인바디 측정기에 채용되는 핸드 그립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신체감지수단(210)이 악력계로 이루어진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신체감지수단(210)은 사용자가 파지할 경우 그 사용자로부터의 신체신호를 감지하고, 제어기(400)로 그 신체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상태정보를 취득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운동처방, 근감도추이 확인, 재활치료 등을 필요로 하는 사용자, 환자, 측정 의뢰인 등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지지 로드(300)는 회전 지지체(100)와 같이 바닥으로부터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서 상기 회전 로드의 일구간 즉, 회전 로드(200)의 일측과 타측 사이 구간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 로드(200)를 지지하며 그 회전로드와 함께 회전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 로드(300)는 회전 지지체(100)와 마주하는 부분에 시간감지수단(310)을 구비함으로써, 회전 로드(200)의 회전시 상기 지지 로드(300)가 회전 지지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하는데 소요된 회전시간을 산출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시간감지수단(310)은, 신호 센싱이 가능한 다양한 센서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광센서일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 시간감지수단(310)은 위에서 설명한 광센싱에 의한 시간을 측정하는 것에 국한되지 않고, 예컨대 공지의 엔코더를 활용하여 회전로드의 회전속도를 직접 측정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예로, 상기 시간감지수단(310)은 지지 로드(300)에 마련된 광조사부와, 그 광조사부와 마주하는 회전 지지체(100)에 마련된 광수집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시간감지수단(310)은 회전 로드(200)가 회전하지 않을 경우 광을 송수신하며 그에 따른 감지신호를 제어기(400)로 전달한다.
이후, 상기 시간감지수단(310)은 회전 로드(200)와 함께 지지 로드(300)가 회전 지지체(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이동)될 때, 광을 송수신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감지신호를 제어기(400)로 전달하지 못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시간감지수단(310)은, 회전 로드(200)가 원위치로 복귀될 때 그 복귀 시점에서 다시 광을 송수신하며 그에 따른 감지신호(복귀신호)를 제어기(400)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기(400)는 회전 로드가 회전되지 않을 때의 최초 감지신호와 회전 로드의 회전 후 원위치 복귀시점에서의 감지신호(복귀신호) 간의 시간 차이를 연산하고, 사용자(환자)가 약 6m의 거리를 이동하는 데 어느 정도의 시간이 흘렀는지 판단한다. 상기 제어기(400)는 상기 시간을 기초로 하여 사용자의 신체활동능력을 판단하고 그에 대한 신체활동능력정보를 다양한 표시장치로 표시될 수 있게 한다.
만약, 상기 제어기(400)는 복귀시점에서의 시간 차이가 6초 이내이면 상기 사용자가 6m의 거리를 6초 이내에 이동하였다고 판단하고 그 사용자의 신체활동능력을 정상상태로 판별하며 다양한 표시장치로 표시될 수 있게 한다. 반면,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복귀시점에서의 시간 차이가 7초를 초과하면 그 사용자의 신체활동능력을 비정상상태 혹은 처방이 필요한 상태로 판별한다.
나아가 상기 지지 로드(300)는 바닥면과 접하는 단부에 롤러(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롤러(320)는 바닥면과 지지 로드(300) 사이에 마련되어서 상기 회전 로드(200)의 회전 시 바닥면과 지지 로드(300) 간의 마찰 발생을 방지하고, 상기 회전 로드(200)와 함께 지지 로드(300)의 원활한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어기(400)는 상기 신체감지수단(210) 및 시간감지수단(3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신체감지수단(210) 및 시간감지수단(310)으로부터 상기 신체신호 및 복귀신호를 전달받고, 기 설정된 기준들과 각각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상태 및 신체활동능력을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400)는 그 사용자에 대한 신체상태정보 및 신체활동능력정보를 생성한 후 다양한 표시수단(컴퓨터, 모니터, 스피커 등)으로 출력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기(400)는 회전 로드(200)의 신체감지수단(210)을 파지한 사용자가 회전 지지체(100)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한바퀴(6m)를 이동한 경우, 상기 신체감지수단(210)으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시간감지수단(310)으로부터 복귀신호를 동시에 전달받는다.
이때 상기 제어기(400)는 상기 감지신호에 기초한 신체신호 즉 사용자 악력(握力)과 기 설정된 악력관련 기준을 비교하고, 그 비교 값을 토대로 사용자의 근력에 관한 신체상태정보를 생성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기(400)는 상기 복귀신호와 사용자의 이동 전 최초 감지신호 간의 시간간격을 계산하고 그 시간간격을 토대로, 사용자가 기준거리(6m)를 이동하는데 소요된 시간을 산출한 후 기 설정된 소요시간 기준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활동능력정보를 생성한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제어기(400)는 상기 사용자가 남성일 때 악력이 28kg 이상, 여성일 때 악력이 18kg 이상일 때 그 사용자의 근력을 정상상태라고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기준거리 이동 시 소요된 시간이 6초 이내이면 그 사용자의 신체활동능력이 정상상태라고 판단한다. 이후 상기 제어기(400)는 사용자의 근력에 대한 신체상태정보 및 신체활동능력정보를 다양한 출력수단으로 출력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신체상태정보는 악력, 근력, 근육량, 체지방량, 체수분량, 내장지방량, 기초대사량 또는 무기질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신체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신체활동능력정보는 상기 회전 지지체(100)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보행하는 사용자의 보행시간에 기초한 보행능력, 자세유지능력, 기립균형능력 등의 다양한 신체정보를 의미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정보 복합 측정장치는, 회전 로드(200)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회전 지지체(100)와 연결되어서 그 회전 지지체(100)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되고, 회전 지지체(100)와 연결되지 않은 회전 로드(200)의 타측에 사용자의 악력 측정을 위한 신체감지수단(210)이 마련되고, 지지 로드(300)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 로드(200)에 연결되어서 그 회전 로드(200)와 함께 회전하고, 지지 로드(300)와 회전 지지체(100)가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 시간감지수단(310)을 구비하여 회전 로드(200)의 회전 시 소요된 시간을 측정할 수 있게 하고, 제어기(400)가 신체감지수단(210) 및 시간감지수단(310)으로부터 신체신호와 복귀신호를 각각 전송받아 사용자의 신체상태 및 신체활동능력을 판단한 후 정보를 생성시킴으로써, 환자의 근력, 근육량 등의 신체정보와 신체활동능력을 별도의 측정장비 없이 동시에 측정할 수 있고, 그 측정을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며 환자의 경제적 부담을 낮추고, 측정된 신체정보와 신체활동능력을 바탕으로 환자에게 맞춤형 운동처방이 가능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정보 복합 측정장치를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체정보 복합 측정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체정보 복합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가이드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대부분의 구성이 유사하나, 가이드 플레이트(500)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500)는, 상기 바닥면에 배치되어서 상기 회전 지지체(100)와 연결되어서 그 회전 지지체(100)를 위치고정시키고, 회전 로드(200)의 상기 기준 길이(0.955m)와 대응되는 반경(半徑)을 가진 원형의 이동 가이드 라인(510)을 형성함으로써, 회전 로드(200)의 신체감지수단(210)을 파지한 사용자가 상기 회전 지지체(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그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시간감지수단(310)에 의한 복귀신호 감지 시 감지 정확도를 높이고 신체활동능력의 판단 신뢰도를 증대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500)는 평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사용자 또는 검사자의 선택에 따라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볼트결합방식 등에 의해 상기 회전 지지체(10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500)는 사용자가 상기 이동 가이드 라인(510)을 따라 보행 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표면에 미끄럼 방지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논슬립패드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500)는 지지 로드(300)의 단부 즉, 상기 회전 로드(200)에 연결되지 않은 지지 로드(300)의 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 삽입홈(52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삽입홈(520)은, 상기 회전 지지체(100)를 중심으로한 링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 로드(300)의 단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홈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회전 지지체(100)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회전 로드(200) 및 지지 로드(300)의 회전을 가이드하고, 사용자가 신체감지수단(210)을 파지한 상태로 회전 로드(200) 및 지지 로드(300)를 회전시킬 때 상기 회전 로드(200)가 불균형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둘레가 약 6m(5.9974m)인 원형의 이동경로를 따라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체정보 복합 측정장치를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체정보 복합 측정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체정보 복합 측정장치에 채용된 낙상방지프레임 및 신체보호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대부분의 구성이 유사하나, 상기 회전 로드(200)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고 신체보호수단(6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회전 로드(200)는 한 쌍의 보조로드(221) 및 연장로드(222)로 이루어진 낙상방지프레임(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낙상방지프레임(220)의 상기 보조로드(221)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회전로드(200)의 신체감지수단(210)측에 구비되고, 상기 바닥면과 반대되는 상측을 향해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장로드(222)는 상기 보조로드(221)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그 보조로드(221)에서 각각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낙상방지프레임(220)은 회전 로드(200)에 '┏' 형태로 마련된다.
아울러, 상기 신체보호수단(600)은, 한 쌍의 연결부재(610)와 서포트부재(6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체보호수단(600)의 연결부재(61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보조로드(221)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신체보호수단(600)의 서포트 부재(620)는 상기 연결부재(610)와 결합되고 사용자의 요추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회전 로드(200)의 신체감지수단(210)을 파지하고 이동 시 그 사용자의 낙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포트 부재(620)는 벨크로 타입의 원통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써, 상기 요추부분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발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00: 회전 지지체 200: 회전로드
210: 신체감지수단 220: 낙상방지프레임
221: 보조로드 222: 연장로드
300: 지지로드 310: 시간감지수단
320: 롤러 400: 제어기
500: 가이드 플레이트 510: 이동 가이드 라인
520: 가이드 삽입홈 600: 신체보호수단
610: 연결부재 620: 서포트부재

Claims (7)

  1. 바닥면에서 연직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회전 지지체;
    상기 바닥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회전 지지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서 상기 회전 지지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되는 회전로드;
    상기 바닥면에서 연직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서 상기 회전 로드의 일 구간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 로드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회전 지지체와 마주하는 부분에 마련되어서 상기 회전 로드가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될 때 복귀 시점의 복귀신호를 감지하는 시간감지수단을 구비한 지지로드; 및
    상기 복귀신호를 기 설정된 기준들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활동능력정보를 생성한 후 출력되게 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신체정보 복합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로드는,
    상기 제어기가 상기 신체활동능력정보와 함께 상기 사용자의 신체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가 파지할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신체신호를 감지하는 신체감지수단을 타측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정보 복합 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로드의 신체감지수단을 파지한 사용자가 상기 회전 지지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 시 상기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상기 바닥면에 배치되어서 상기 회전 지지체와 연결되고 회전 로드의 기준 길이와 대응되는 반경을 가진 원형의 이동 가이드 라인을 형성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정보 복합 측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회전 지지체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회전 로드 및 지지 로드의 회전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지지체를 중심으로 링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 로드의 단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이드 삽입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정보 복합 측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로드는,
    상기 바닥면과 반대되는 상측을 향해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보조로드와, 상기 보조로드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보조로드에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연장로드를 구비한 낙상방지프레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정보 복합 측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낙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로드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사용자의 요추부분을 감싸는 형태의 서포트부재를 구비한 신체보호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정보 복합 측정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상태정보는 악력, 근력, 근육량, 체지방량, 체수분량, 내장지방량, 기초대사량 또는 무기질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신체정보이고,
    상기 신체활동능력정보는, 상기 회전 지지체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보행하는 사용자의 보행시간에 기초한 보행능력, 자세유지능력 또는 기립균형능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신체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정보 복합 측정장치.
KR1020210126946A 2021-09-27 2021-09-27 신체정보 복합 측정장치 KR102591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946A KR102591519B1 (ko) 2021-09-27 2021-09-27 신체정보 복합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946A KR102591519B1 (ko) 2021-09-27 2021-09-27 신체정보 복합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4620A KR20230044620A (ko) 2023-04-04
KR102591519B1 true KR102591519B1 (ko) 2023-10-19

Family

ID=85928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6946A KR102591519B1 (ko) 2021-09-27 2021-09-27 신체정보 복합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519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600B1 (ko) * 2007-09-28 2009-08-26 주식회사 한메드 근력 측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4620A (ko) 202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31934B (zh) 估測騎乘自行車之受測者下肢運動狀態的方法及系統
CA2883174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knee flexor assessment
Simonsen Coefficient of variation as a measure of subject effort
KR102093185B1 (ko) 버그 균형 검사장치 및 방법
JP2006145540A (ja) 脈搏或は心搏測定が可能な体重計
EP1359844A2 (en) Non-invasive method and system of quantifying human postural stability
CN101377436A (zh) 体组成体重计
KR101185575B1 (ko) 균형 감각 측정장치
US6706003B2 (en) Muscle strength testing method and apparatus
KR102591519B1 (ko) 신체정보 복합 측정장치
Burnham et al. Shoulder abduction strength measurement in football player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wo field tests
JP2586910B2 (ja) 足関節痙縮度測定装置
US20110212814A1 (en) Balance disorder diagnostic or training apparatus
Moriguchi et al. Ankle movements during normal gait evaluated by flexible electrogoniometer
Novak et al. Postural and respiratory function of the abdominal muscles: A pilot study to measure abdominal wall activity using belt sensors
Bohannon Comparability of force measurements obtained with different strain gauge hand-held dynamometers
CN109247930B (zh) 一种包括台阶测试仪的系统及使用方法
CN217659883U (zh) 足部跖趾关节力量测量装置
CN113303765B (zh) 一种检测感兴趣对象的特定种类肌肉问题的系统
Buckinx et al. Physical performance and muscle strength tests: pros and cons
Oliveira et al. Maximal isokinetic peak torque and EMG activity determined by shorter ranges of motion
Aryan et al. Reliability of force plate-based measures of standing balance in the sub-acute stage of post-stroke recovery
CN108962374B (zh) 使用一体化体检系统进行测试和训练的方法
KR102106416B1 (ko) 건강관리용 검사장치
CN215272761U (zh) 一种人体平衡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