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420B1 - Elevaor equipped air sterilizing function with enhanced user pleasantness - Google Patents

Elevaor equipped air sterilizing function with enhanced user pleasantnes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1420B1
KR102591420B1 KR1020230106967A KR20230106967A KR102591420B1 KR 102591420 B1 KR102591420 B1 KR 102591420B1 KR 1020230106967 A KR1020230106967 A KR 1020230106967A KR 20230106967 A KR20230106967 A KR 20230106967A KR 102591420 B1 KR102591420 B1 KR 102591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r
panel
mode
air ster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69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금기
김문식
정무택
유수연
Original Assignee
(주)금영제너럴
이금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영제너럴, 이금기 filed Critical (주)금영제너럴
Priority to KR1020230106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42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4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2Devices monitoring the users of the elevator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4Activity of occup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제어부가 사용자의 선택, 온도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카 내부의 온도 및 모션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카 내부의 탑승체의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정하고, 선정된 모드에 따라 공기살균정화패널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탑승체에게 보다 쾌적한 탑승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wherein the control unit selects one of a plurality of mode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user's selectio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detected by a temperature sensor, and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nside the car detected by a motion sensor. This relates to an elevator that can provide a more comfortable riding environment for passengers by selecting one mod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according to the selected mode.

Description

탑승자 쾌적성이 증대된 공기 살균정화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Elevaor equipped air sterilizing function with enhanced user pleasantness} Elevator equipped with air sterilizing function with enhanced user pleasantness}

공기 살균정화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카에 탑승한 탑승체의 쾌적성을 증대시키는 복수의 모드를 이용하여 카 내부로 살균정화된 공기를 제공하는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This relates to an elevator having an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func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an elevator that provides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to the interior of the car using a plurality of modes that increase the comfort of passengers boarding the car.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각종 건물이나 지하시설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계단을 이용하지 않고 원하는 층으로 보다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의 경우 밀폐된 공간에서 다수의 이용자들이 사용하기 때문에 쾌적하고 건강한 실내환경의 유지 및 관리가 필수적이다. 만일 엘리베이터 카(car) 내부의 공기가 오염되면 카에 탑승한 탑승자에게 알레르기, 천식, 안구충혈, 두통 및 만성 피로 등을 유발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각종 바이러스 및 세균이 전파되는 통로가 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카 내부의 공기의 질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카 내부의 공기의 질을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Generally, elevators are installed in various buildings or underground facilities so that users can more conveniently move to a desired floor without using the stairs. In the case of these elevators, it is essential to maintain and manage a comfortable and healthy indoor environment because many users use them in a closed space. If the air inside the elevator car is polluted, it can not only cause allergies, asthma, bloodshot eyes, headaches, and chronic fatigue in the occupants of the car, but it is also highly likely to become a conduit for the spread of various viruses and bacteria. It is very important to maintain good air quality inside the car, and various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to maintain good air quality inside the car.

이렇게 카 내부 공기를 정화하는 종래기술의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53664호 “엘리베이터의 온도센서를 이용한 환기팬 장치”가 있다. 특허 제10-1653664호는 엘리베이터의 내부 공기를 냉난방하는 동시에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출입구의 개방에 따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거나, 흡입부로 재흡입되면서 재순환되도록 하여 엘리베이터의 내부공기 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온도센서의 엘리베이터 내부온도 검출에 따라 일정온도 이상에서는 냉난방부와 공기정화부가 동시에 가동되고, 일정온도 이하에서는 냉난방부만이 가동될수 있도록 하는 환기팬 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An example of a prior art that purifies the air inside a car in this way is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653664, “Ventilation fan device using an elevator temperature sensor.” Patent No. 10-1653664 allows for ventilation while cooling and heating the interior air of the elevator, and allows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art to be smoothly discharged to the outside as the entrance is opened, or recirculated as it is re-inhaled into the suction part. While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air inside the elevator, the temperature sensor detects the elevator's internal temperature so that the cooling and heating units and air purification units operate simultaneously above a certain temperature, and only the cooling and heating units operate below a certain temperature. The device is disclosed.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의 환기팬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내부 온도가 낮을 시에는 공기정화부가 가동되지 않아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is prior art ventilation fan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purify the air inside the elevator car because the air purifying unit does not operate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elevator is low.

제어부가 사용자의 선택, 온도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카 내부의 온도 및 모션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카 내부의 탑승체의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정하고, 선정된 모드에 따라 공기살균정화패널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탑승체에게 보다 쾌적한 탑승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selects one of a plurality of mode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user's selectio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nside the car detected by the motion sensor,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elevator that can provide a more comfortable riding environment for passengers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according to the selected mode. I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challenges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challenges may be derived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측벽판으로 둘러쌓인 탑승공간을 제공하는 카; 상기 카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 상기 카 내부의 탑승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감지센서; 박스 형태로 전면이 상기 카의 측벽판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상기 카의 측벽판에 매립되며, 상기 카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한 공기를 살균하여 상기 카 내부로 배출하는 공기살균정화패널; 사용자의 선택, 상기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카 내부의 온도 및 상기 모션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카 내부의 탑승체의 움직임에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모드에 따라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An elevato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r providing a boarding space surrounded by side wall plates; A temperature sensor that detects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A motion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movement of the vehicle inside the car; an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that is shaped like a box and is embedded in the side wall plate of the car so that the front part forms part of the side wall plate of the car, sucks air inside the car, sterilizes the sucked air, and discharges it into the car;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mode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user's selectio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nside the car detected by the motion sensor.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according to the selected mod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모드 중 상기 카 내부에 상기 탑승체가 존재하는 조건에서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의 동작을 개시하는 송풍모드 또는 상기 카 내부에 상기 탑승체가 존재하지 않는 조건에서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의 동작을 개시하는 절풍모드가 선정되면 상기 모션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카 내부의 탑승체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Among the plurality of modes, the control unit selects a blowing mode to start the operation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vehicle is present inside the car, or a blowing mode to start the operation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vehicle is not present inside the car. When the low wind mode to start operation is selected, the operation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nside the car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모드에서 상기 모션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카 내부의 탑승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이 상기 카 내부로 살균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so that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discharges sterilized air into the car when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nside the car is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in the blowing mode. .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풍모드에서 상기 모션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카 내부의 탑승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이 상기 카 내부로 살균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to discharge sterilized air into the car when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nside the car is not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in the low wind mode. there is.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풍모드에서 상기 모션감지센서에 의해 마지막으로 상기 탑승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시점으로부터 임계시간 이상 연속하여 상기 모션감지센서에 의한 탑승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이 상기 카 내부로 살균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if the movement of the vehicle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is not detected continuously for more than a threshold time from the time when the movement of the vehicle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was last detected in the low wind mode.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can be controlled to discharge sterilized air into the ca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풍모드에서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이 상기 카 내부로 살균된 공기의 배출을 시작한 이후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살균된 공기의 배출을 정지하도록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의 전력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to stop discharging the sterilized air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starts discharging the sterilized air into the car in the low wind mod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can be reduc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모드 중 상기 카 내부에 상기 탑승체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의 동작을 개시하는 온풍모드가 선정되고, 상기 모션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카 내부의 탑승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이 상기 카 내부로 살균된 공기를 가열하여 배출하도록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selects a warm air mode that starts the operation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when the vehicle is present inside the car among the plurality of modes, and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nside the car is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When detected,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can be controlled to heat and discharge the sterilized air into the car.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카 내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의 모드가 자동으로 선정되는 자동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카 내부의 온도 및 상기 모션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카 내부의 탑승체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automatic mode in which the mode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is automatically selected based o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motion detection sensor. The operation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nside the car detected by .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카 내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의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select one of a plurality of modes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based o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카 내부의 온도가 제1 기준온도 이상이면 상기 송풍모드를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의 모드로 선정하고, 상기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카 내부의 온도가 상기 제1 기준온도 미만 제2 기준온도 이상이면 상기 절풍모드를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의 모드로 선정하며, 상기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카 내부의 온도가 제2 기준온도 미만이면 상기 온풍모드를 공기살균정화패널의 동작모드로 선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selects the blowing mode as the mode of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and the control unit selects the blowing mode as the mode of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If the temperature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but more than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the low wind mode is selected as the mode of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and if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the low wind mode is selected as the mode of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Warm air mode can be selected as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카 내부의 온도가 제3 기준온도 이상이면 상기 송풍모드를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의 모드로 선정하고, 상기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카 내부의 온도가 제3 기준온도 미만이면 상기 절풍모드를 공기살균정화패널의 동작모드로 선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selects the blowing mode as the mode of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higher than the third reference temperature, and the control unit selects the blowing mode as the mode of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If the temperature is below the third reference temperature, the low wind mode can be selected as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은 전측면 상단에는 상단공기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전측면 하단에는 하단공기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전측면 중단에는 살균공기배출구가 형성되는 패널하우징; 상기 패널하우징 내에서 상기 상단공기흡입구의 하단에 설치되어 전방향으로 자외선을 방사함으로써 상기 상단공기흡입구를 통해 상기 패널하우징 내부로 유입되어 하방 이동하는 공기를 살균하는 상단살균기; 상기 패널하우징 내에서 상기 하단공기흡입구의 상단에 설치되어 전방향으로 자외선을 방사함으로써 상기 하단공기흡입구를 통해 상기 패널하우징 내부로 유입되어 상방 이동하는 공기를 살균하는 하단살균기; 상기 패널하우징 내에서 상기 상단살균기 및 상기 하단살균기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상단살균기 또는 상기 하단살균기에 의해 살균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살균공기배출구를 통해 상기 카의 내부로 배출하는 팬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includes a panel housing having an upper air intake port formed at an upper front side, a lower air intake port formed at a lower front side, and a sterilizing air outlet formed at a middle portion of the front side; An upper sterilizer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upper air intake port in the panel housing to sterilize air flowing downwardly into the panel housing through the upper air intake port by emitting ultraviolet rays in all directions; a bottom sterilizer installed at the top of the bottom air intake in the panel housing to sterilize air flowing upwardly into the panel housing through the bottom air intake by radiating ultraviolet rays in all directions; It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sterilizer and the lower sterilizer within the panel housing, and includes a fan module that sucks in air sterilized by the upper sterilizer or the lower sterilizer and discharges it into the interior of the car through the sterilizing air outlet. can do.

제어부가 사용자의 선택, 온도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카 내부의 온도 및 모션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카 내부의 탑승체의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정하고, 선정된 모드에 따라 공기살균정화패널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탑승체에게 보다 쾌적한 탑승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효과가 도출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selects one of a plurality of mode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user's selectio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nside the car detected by the motion sensor,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according to the selected mode, a more comfortable riding environment can be provided to the vehicle. It is not limited to the effects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effects may be deriv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공기살균정화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공기살균정화패널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패널하우징의 전측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살균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살균정화패널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복수의 동작모드의 각 동작모드에서의 동작을 나타낸 표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ar shown in FIG. 1.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shown in Figure 2.
Figure 4 is an exploded view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shown in Figure 2.
FIG. 5 is a view showing the front side plate of the panel housing shown in FIG. 4.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sterilizer shown in Figure 4.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table showing the operation in each operation mode of the plurality of operation modes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탑승자 쾌적성이 증대된 공기 살균정화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간략하게 “엘리베이터”로 호칭될 수도 있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relate to an elevator with an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function that improves passenger comfort, and may be simply referred to as an “elevat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1)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1)는 카(2), 구동부(3), 로프(4), 무게추(5), 제어반(6)으로 구성된다. 카(2)는 탑승체의 탑승 공간을 제공한다. 탑승체의 대표적인 예로는 승객을 들 수 있고, 이외에도 휠체어, 동물 등을 들 수 있다. 로프(4)는 그 일단이 카(2)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무게추(5)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부(3)는 모터, 도르래 등으로 이루어지며, 로프(4)를 이동시킴으로써 카(2)를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제어반(6)은 승객의 조작에 따라 구동부(3)의 구동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카(2)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는 기능에 있으므로 카(2)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수단에 대해서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lev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1, the elevator 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composed of a car 2, a driving unit 3, a rope 4, a weight 5, and a control panel 6. The car 2 provides space for boarding the vehicle. Representative examples of vehicles include passengers, and other examples include wheelchairs and animals. One end of the rope (4) is connected to the car (2),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weight (5). The driving unit 3 consists of a motor, a pulley, etc., and raises or lowers the car 2 by moving the rope 4. The control panel 6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3 according to the passenger's operation. Since the feature of this embodiment is the function of purifying the air inside the car 2, further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eans for raising or lowering the car 2 will be omitted.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카(2)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카(2) 내부의 모습을 도시하기 위해 카(2)의 우측벽판의 도시가 생략되었고, 우측에서 바라본 카(2)의 내부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카(2)는 네 개의 측벽판, 천장판, 및 바닥판으로 이루어진 사각박스 형태를 갖는다. 네 개의 측벽판은 서로 이웃하는 측벽판끼리 직각으로 연결되며, 전측벽판, 후측벽판, 좌측벽판, 우측벽판으로 구성된다. 카(2)의 전측벽판에는 승객이 출입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카(2)의 전측벽판 개구에는 승객의 조작에 따라 전동으로 개폐되는 출입문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카(2)는 이러한 사각박스 형태 외에 원통 형태, 육각통 형태 등 탑승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elevator car 2 shown in FIG. 1. Figure 2 omits the right side wall plate of the car 2 to show the inside of the car 2, and shows the inside of the car 2 viewed from the right side. The car 2 of this embodiment has a square box shape consisting of four side wall plates, a ceiling plate, and a bottom plate. The four side wall plat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right angles and are composed of the front wall plate, rear wall plate, left wall plate, and right wall plate. An opening for passengers to enter and exit is formed in the front wall of the car 2, and an entrance door that is electrically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passenger's operation is installed in the opening of the front wall of the car 2. In addition to the square box shape, the car 2 of this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shapes that can provide a passenger space, such as a cylindrical shape or a hexagonal cylinder shape.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엘리베이터는 공기살균정화패널(10), 온도감지센서(20), 모션감지센서(30) 및 제어부(40)를 더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a temperature sensor 20, a motion sensor 30, and a control unit 40.

공기살균정화패널(10)은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카(2)의 측벽판에 설치된다. 공기살균정화패널(10)은 카(2)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살균한 후 다시 카(2) 내부로 분출함으로써 카(2) 내부의 공기를 살균하고 정화한다.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s formed in a box shape and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plate of the car 2.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sterilizes and purifies the air inside the car 2 by sucking in and sterilizing the air inside the car 2 and then blowing it back into the car 2.

보다 구체적으로, 공기살균정화패널(10)은 박스 형상의 전측면에는 공기흡입구 및 공기배출구가 형성되고, 전면이 카의 측벽판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카의 측벽판에 매립되며, 공기흡입구를 통해 카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한 공기를 살균하여 공기배출구를 통해 카 내부로 배출함으로써 카(2) 내부의 공기를 살균하고 정화한다.More specifically,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10 has an air intake and air outlet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box shape, and the front is embedded in the side wall plate of the car so as to form a part of the side wall plate of the car, and through the air intake port. The air inside the car is sucked in, the air sucked in is sterilized, and the air inside the car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to sterilize and purify the air inside the car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기살균정화패널(10)은 카(2)의 후측벽판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살균정화패널(10)은 전면이 카(2)의 후측벽판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측벽판에 매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전면이 측벽판을 구성하도록 측벽판에 매립됨으로써 공기살균정화패널(10)에 의해 카(2) 내부 공간이 좁아지지 않으며, 카(2) 내부에서 공기살균정화패널(10)이 돌출되지 않음으로써 탑승체가 공기살균정화패널(10)과 충돌하여 부상을 당할 위험성이 현저하게 낮아지며, 이에 따른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파손의 위험 또한 낮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wall plate of the car 2. As shown in FIG. 2,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may be embedded in the side wall plate so that the front surface forms part of the rear wall plate of the car 2. In this way, the front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s embedded in the side wall plate so as to form a side wall plate, so that the space inside the car 2 is not narrowed by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and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does not narrow the space inside the car 2. Since the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does not protrude, the risk of injury due to a vehicle colliding with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s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risk of damage to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s also low.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살균정화패널(10)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분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살균정화패널(10)은 패널하우징(11), 두 개의 팬모듈(12), 상단살균기(13), 하단살균기(14), 적어도 하나의 히터(15) 및 조작패널(16)로 구성된다.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n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n exploded view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3 and 4,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nel housing 11, two fan modules 12, an upper sterilizer 13, and a lower sterilizer 14. , It consists of at least one heater 15 and an operation panel 16.

패널하우징(11)은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 공간에 두 개의 팬모듈(12), 상단살균기(13) 및 하단살균기(14)가 내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패널하우징(11)은 상판, 하판, 및 네 개의 측판으로 구성되는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패널하우징(11)의 크기는 카(2)의 측벽판에 설치 시 카(2) 외부의 벽 및 다른 구조물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카(2)의 승강이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예컨대, 패널하우징(11)은 가로 약 325mm, 세로 약 2420mm, 두께 약 120mm 로 설계될 수 있다.The panel housing 11 is formed in a box shape, and two fan modules 12, an upper sterilizer 13, and a lower sterilizer 14 are built into the internal space. In this embodiment, the panel housing 11 may be formed in a square box shape consisting of an upper plate, a lower plate, and four side plates, and the size of the panel housing 11 is determined by the car when installed on the side wall plate of the car 2. (2) It must be designed so that there is no interference with external walls or other structures and thus does not affect the lifting and lowering movement of the car (2). For example, the panel housing 11 may be designed to be about 325 mm wide, about 2420 mm long, and about 120 mm thick.

패널하우징(11)의 전측판의 상단에는 상단공기흡입구(111)가, 하단에는 하단공기흡입구(112)가, 중단에는 두 개의 살균공기배출구(113)가 전측판의 두께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패널하우징(11)의 전측판의 전면, 즉 패널하우징(11)의 전면이 카(2)의 측벽판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카(2)의 측벽판에 매립 설치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하우징(11)의 상단공기흡입구(111), 하단공기흡입구(112) 및 살균공기배출구(113)를 통해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내부와 카(2) 내부가 연통된다. A top air intake port 111 is formed at the top of the front plate of the panel housing 11, a bottom air intake port 112 is formed at the bottom, and two sterilizing air outlets 113 are formed in the middle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front plate. Since the front of the front side plate of the panel housing 11, that is, the front of the panel housing 11, is installed embedded in the side wall plate of the car 2 to form a part of the side wall plate of the car 2, as shown in FIG. Likewise, the inside of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10 and the inside of the car 2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upper air inlet 111, lower air inlet 112, and sterilizing air outlet 113 of the panel housing 11.

패널하우징(11)의 전측판은 패널하우징(11)의 내부가 개방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사용자는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패널하우징(11)의 전측판은 좌측판 또는 우측판과 힌지결합함으로써 쉽게 패널하우징(11)의 내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The front plate of the panel housing 11 is coupled so that the interior of the panel housing 11 can be open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maintain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10. For example, the front side plate of the panel housing 11 can be easily opened or closed by being hinged with the left side plate or the right side plate.

각 팬모듈(12)은 패널하우징(11)의 전측판 후면에 설치되어 카(2) 내부의 공기가 패널하우징(11) 내부로 흡입되도록 하고, 패널하우징(11)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전측판 중단에 형성된 각 살균공기배출구(113)를 통해 카(2)의 내부에 분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각 팬모듈(12)은 공기를 흡입하고, 살균공기배출구(113)를 향해 분출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취사선택 될 수 있다. Each fan module (12)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front panel of the panel housing (11) to allow the air inside the car (2) to be sucked into the panel housing (11), and to suck the air inside the panel housing (11) into the front panel. It is ejected into the interior of the car (2) through each sterilizing air outlet (113) formed in the middle. In this embodiment, each fan module 1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suck air and blow it out toward the sterilizing air outlet 113, and can be select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팬모듈(12)은 패널하우징(11)의 전측판 후면에 전측판의 길이방향으로 동일선상에 나란히 설치된다. 두 개의 팬모듈(12) 중 상단에 설치된 팬모듈(12)을 상단팬모듈(124), 하단에 설치된 팬모듈(12)을 하단팬모듈(125)이라 칭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wo fan modules 12 are installed side by side on the same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panel at the rear of the front panel of the panel housing 11. Among the two fan modules 12, the fan module 12 installed at the top may be referred to as the top fan module 124, and the fan module 12 installed at the bottom may be referred to as the bottom fan module 125.

각 팬모듈(1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측판 중단에 형성된 각 살균공기배출구(113)에 대응하는 위치에 서로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카(2) 내부에 두 개의 공기살균정화패널(10)이 설치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공기살균정화패널(10)에 설치된 각 팬모듈(12)은 다른 하나의 공기살균정화패널(10)에서 같은 높이에 설치된 각 팬모듈(12)과 각각 쌍을 이룬다.As shown in FIG. 5, each fan module 12 is installed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sterilizing air outlet 113 formed in the middle of the front side plate. Accordingly, when two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s 10 are installed inside the car 2, each fan module 12 installed on on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s connected to the other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 In 10), they are paired with each fan module (12) installed at the same height.

본 실시예에 따른 각 팬모듈(12)은 공기살균정화패널(10) 내에서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고 살균공기배출구(113)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방출한다. 이와 같이 각 팬모듈(12)이 공기살균정화패널(10)내의 공기를 카(2) 내로 방출함에 따라 공기살균정화패널(10)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고 자연스럽게 카(2) 내부의 공기가 다시 공기살균정화패널(10) 내부로 유입된다. 이처럼, 각 팬모듈(12)에 의해 카(2) 내부와 공기살균정화패널(10) 사이의 공기의 흐름을 형성할 수 있으며, 공기살균정화패널(10)내로 흡입된 공기는 상단살균기(13) 및 하단살균기(14)에 의해 살균된 이후 각 팬모듈(12)에 의해 카(2) 내부로 방출되므로 카(2)에는 지속적으로 살균된 공기가 제공될 수 있다. Each fan module 12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draws in surrounding air within the air sterilizing and purifying panel 10 and discharges the sucked air through the sterilizing air outlet 113. In this way, as each fan module 12 releases the air inside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nto the car 2, the pressure inside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decreases and the air inside the car 2 naturally returns. It flows into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10). In this way, the air flow between the inside of the car 2 and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can be formed by each fan module 12, and the air sucked into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s sucked into the upper sterilizer 13. ) and after being sterilized by the bottom sterilizer 14, it is discharged into the car 2 by each fan module 12, so that sterilized air can be continuously provided to the car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팬모듈(12)은 상면 및 하면에 흡입구(121)가 형성되고, 측면에 분출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팬모듈(12)의 상하면에 흡입구(121)가 형성되고, 측면에 분출구가 형성되는 경우 패널하우징(11) 내에는 상단공기흡입구(111) 및 하단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되어 각 팬모듈(12)을 향하는 수직 방향의 공기흐름이 형성된다. Each fan module 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inlet 121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a blower outlet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side. In this way, when the inlet 121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each fan module 12 and the outlet is formed on the side, the air is sucked into the upper air inlet 111 and the lower air inlet 112 in the panel housing 11. A vertical airflow is formed toward each fan module 12.

보다 구체적으로, 각 팬모듈(12)에 의해 카(2) 내부로 공기가 방출됨에 따라 상단공기흡입구(111)를 통해 공기살균정화패널(10) 내로 흡입된 공기는 팬모듈(12)이 하방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하방으로 수직이동하고, 하단공기흡입구(112)를 통해 공기살균정화패널(10)내로 흡입된 공기는 팬모듈(12)이 상방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방으로 수직이동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각 팬모듈(12)은 상단공기흡입구(111) 및 하단공기흡입구(112)를 통해 공기살균정화패널(10) 내로 흡입된 공기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흐름을 형성한다.More specifically, as air is released into the car (2) by each fan module (12), the air sucked into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through the upper air intake port (111) is moved downward by the fan module (12). Since it is installed at the top, it moves vertically downward, and the air sucked into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10) through the lower air intake port (112) moves vertically upward because the fan module (12) is installed at the top. In this way, each fan module 12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orms a flow in which the air sucked into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10 through the upper air intake port 111 and the lower air intake port 112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do.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살균정화패널(10)은 상단입자필터(미도시) 및 하단입자필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입자필터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패널하우징(11)의 전측판 후면에서 각 공기흡입구(111,112)가 형성된 위치에 설치되어 카(2) 내부의 공기가 각 입자필터를 지나 공기살균정화패널(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미세입자가 제거된 공기가 각 팬모듈(12)로 흡입되도록 한다. 각 입자필터는 각 공기흡입구(111,112)를 완전히 덮을 수 있는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를 가지고, 전면이 각 공기흡입구(111,112)를 완전히 덮도록 설치됨으로써 각 공기흡입구(111,112)를 통해 공기살균정화패널(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반드시 각 입자필터를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각 입자필터는 0.3㎛ 크기의 미세먼지를 필터링 할 수 있는 헤파필터일 수 있다.Meanwhile,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particle filter (not shown) and a lower particle filter (not shown). Each particle filter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and is installed at the position where each air intake port (111, 112)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front plate of the panel housing (11), so that the air inside the car (2) passes through each particle filter to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10) By allowing it to flow inside, the air from which fine particles have been removed is sucked into each fan module (12). Each particle filter has a horizontal and vertical length that can completely cover each air intake (111, 112), and is installed so that the front completely covers each air intake (111, 112), so that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 10) You can ensure that the air flowing inside must pass through each particle filter. In this embodiment, each particle filter may be a HEPA filter capable of filtering fine dust with a size of 0.3㎛.

상단살균기(13)는 패널하우징(11) 내에서 상단공기흡입구(111)의 하단에 설치되어 전 방향으로 자외선을 방사함으로써 상단공기흡입구(111)를 통해 패널하우징(11) 내부로 유입되어 하방이동하는 공기를 살균한다. The top sterilizer (13)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top air intake port (111) in the panel housing (11) and radiates ultraviolet rays in all directions, which flows into the panel housing (11) through the top air intake port (111) and moves downward. Sterilizes the air.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단살균기(13)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상단살균기(13)의 내부가 보이도록 기둥형케이스(132)의 일부가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b는 상단살균기(13)가 살균기설치판(131)에 설치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c는 살균기설치판(131)에 상단살균기(13)가 설치된 모습을 정면으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상단살균기(13)는 기둥형케이스(132), 다각기둥형코어봉(133) 및 복수 개의 엘이디(154)로 구성된다.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top sterilizer 1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is a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column-shaped case 132 removed so that the inside of the top sterilizer 13 is visible, and Figure 6b shows the top sterilizer 13 being installed on the sterilizer installation plate 131. 6C is a diagram showing a front view of the upper sterilizer 13 installed on the sterilizer installation plate 131. Referring to FIG. 6, the top sterilizer 13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composed of a columnar case 132, a polygonal columnar core rod 133, and a plurality of LEDs 154.

기둥형케이스(132)는 중공형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중공부분에 다각기둥형코어봉(133) 및 복수 개의 엘이디(154)가 배치됨으로써 다각기둥형코어봉(133) 및 복수 개의 엘이디(154)를 둘러싼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엘이디(154)로부터 방출된 살균광(자외선)은 기둥형케이스(132)의 둘레면을 통해 전 방향으로 방사됨으로써 기둥형케이스(132)의 둘레면을 타고 흐르는 공기가 복수 개의 엘이디(154)에 의해 방사된 자외선에 의해 살균된다.The columnar case 132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column, and a polygonal columnar core rod 133 and a plurality of LEDs 154 are disposed in the hollow portion, thereby forming a polygonal columnar core rod 133 and a plurality of LEDs 154. ) surrounds it. Accordingly, the sterilizing light (ultraviolet rays) emitted from the plurality of LEDs 154 is radiated in all directions throug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lumnar case 132, so that the air flow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lumnar case 132 is radiated to the plurality of LEDs. It is sterilized by ultraviolet rays emitted by (154).

본 실시예에서, 기둥형케이스(132)는 중공형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둥형케이스(132)가 원기둥으로 형성되는 경우, 곡면으로 형성되는 기둥형케이스(132)의 측면을 타고 공기가 보다 오랜시간 흐르며 이동할 수 있어 살균효과가 증대될 수 있으며, 기둥형케이스(132)의 전방향에 대해 균일하게 자외선을 방사할 수 있어 패널하우징(11) 내부의 균일한 살균이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the columnar case 132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cylinder. When the columnar case 132 is formed as a cylinder, the sterilization effect can be increased because air can flow and move along the side of the columnar case 132, which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for a longer period of time. Since ultraviolet rays can be radiated uniformly in all directions, uniform sterilization of the inside of the panel housing 11 is possib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둥형케이스(132)는 중공형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스펀지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둥형케이스(132)는 스펀지에 세라믹 분말 또는 액상을 증착 도포하고, 세라믹 분말 또는 액상을 열처리하여 형태를 만들고, 세라믹 분말 또는 액상 형태의 광촉매를 증착 도포하여 제조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umnar case 132 may be a sponge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cylinder. More specifically, the columnar case 132 may be manufactured by depositing and applying ceramic powder or liquid to a sponge, heat-treating the ceramic powder or liquid to form a shape, and depositing and applying a photocatalyst in the form of ceramic powder or liquid.

이와 같이, 기둥형케이스(132)가 광촉매가 증착 도포된 스펀지로 이루어지는 경우, 엘이디(154)에서 확산되는 빛이 광촉매가 증착 도포된 스펀지의 홀을 빠져 나가면서 접촉 면적이 확장되어 오염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패널하우징(11)내에서 각 팬모듈(12)을 향해 수직이동 하는 공기의 일부는 스펀지의 곡면으로 형성된 측면을 타고 흐르면서 엘이디(154)에 의해 확산된 자외선에 의해 살균되고, 나머지 일부는 스펀지를 통과하면서 엘이디(154)에 의해 확산된 자외선에 의한 살균 및 스펀지에 의한 오염물질 필터링이 이루어질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공기를 살균 및 정화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columnar case 132 is made of a sponge coated with a photocatalyst, the light diffused from the LED 154 passes through the hole of the sponge coated with a photocatalyst, thereby expanding the contact area and easily removing contaminants. It can be removed. In addition, a portion of the air moving vertically toward each fan module 12 within the panel housing 11 flows along the side formed by the curved surface of the sponge and is sterilized by ultraviolet rays diffused by the LED 154, and the remaining portion is sterilized by ultraviolet rays diffused by the LED 154. As it passes through the sponge, sterilization by ultraviolet rays diffused by the LED 154 and filtering of contaminants by the sponge can be achieved, allowing for more effective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of the ai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기둥형케이스(132)는 투명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각 엘이디(154)로부터의 빛이 둘레면으로 확산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umnar case 132 is made of transparent glass or transparent plastic so that light from each LED 154 can be diffused to the peripheral surface.

다각기둥형코어봉(133)은 기둥형케이스(132)의 중공부분에 삽입되며 각 엘이디(154)가 설치될 수 있는 지지대역할을 한다. 다각기둥형코어봉(133)은 사각기둥, 육각기둥, 팔각기둥 등 다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된다. 다각기둥형코어봉(133)의 둘레의 평면에는 각 엘이디(154)가 부착될 수 있다.The polygonal columnar core rod 133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of the columnar case 132 and serves as a support on which each LED 154 can be installed. The polygonal column core rod 133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olygonal column, such as a square column, a hexagonal column, or an octagonal column. Each LED 154 may be attached to a plane around the polygonal columnar core rod 133.

각 엘이디(154)는 공기를 살균할 수 있는 광을 발산한다. 본 실시예에서, 각 엘이디(154)은 UV-C 엘이디 모듈일 수 있다. UV-C 엘이디 모듈은 파장이 200~280 나노미터(nm)로 짧은 자외선을 방출하도록 설계되어, 물체 표면이나 세균 DNA를 파괴하고 특수 물질에 화학반응을 일으켜 살균이나 경화 장치등에 사용된다.Each LED 154 emits light that can sterilize the air. In this embodiment, each LED 154 may be a UV-C LED module. UV-C LED modules are designed to emit short ultraviolet rays with a wavelength of 200 to 280 nanometers (nm), destroying the surface of objects or bacterial DNA and causing chemical reactions in special substances, which are used in sterilization and curing devices.

각 엘이디(154)는 다각기둥형코어봉(133)의 둘레면에 다각기둥형코어봉(133)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각 엘이디(15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엘이디칩이 길이방향으로 나열된 띠엘이디일 수 있다. 띠엘이디는 다각기둥형코어봉(133)의 각 둘레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됨으로써 다각기둥형코어봉(133)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르게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Each LED 154 is install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lygonal columnar core rod 133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lygonal columnar core rod 133.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LED 154 may be a strip LED with a plurality of LED chip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 8. By being attach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lygonal columnar core rod (133), the LED can emit ultraviolet rays even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lygonal columnar core rod (133).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단살균기(13)는 패널하우징(11)의 내부 공간에서, 상단공기흡입구(111)와 두 개의 팬모듈(12) 중 상단팬모듈(13) 사이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단살균기(13)는 상단공기흡입구(111)의 너비보다 긴 길이를 가지고, 상단공기흡입구(111)의 하단에 패널하우징(11)의 바닥판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단공기흡입구(111)를 통해 패널하우징(11)으로 유입되고, 팬모듈(12)의 흡입력에 의해 하방이동 하는 공기의 흐름과 상단살균기(13)의 길이방향이 서로 수직을 이루게 되고, 상단살균기(13)가 상단공기흡입구(111)보다 가로로 긴 길이를 가지므로 상단공기흡입구(111)를 통과한 공기는 상단살균기(13)의 둘레면을 타고 하방으로 흐르며 살균되고, 살균된 공기는 상단에 배치된 팬모듈(12)에 의해 흡입되어 카(2) 내부로 분출된다. The top sterilizer 1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panel housing 11, between the top air intake port 111 and the top fan module 13 of the two fan modules 12. In this embodiment, the top sterilizer 13 has a length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top air intake port 111, and can b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top air intake port 111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ttom plate of the panel housing 11. there is. Accordingly, the air flow that flows into the panel housing 11 through the upper air intake port 111 and moves downwar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fan module 12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sterilizer 13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Since the top sterilizer (13) has a horizontally longer length than the top air intake port (111), the air passing through the top air intake port (111) flows downwar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p sterilizer (13) and is sterilized. Air is sucked in by the fan module 12 disposed at the top and blown out into the car 2.

이때, 기둥형케이스(132)의 직경이 너무 작은 경우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전측판 또는 후측판에 가까운 공기에 대한 살균력이 떨어질 수 있고, 기둥형케이스(132)의 직경이 너무 큰 경우에는 패널하우징(11) 내부에서의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단살균기(13)의 살균성능을 고려하여 기둥형케이스(132)의 직경의 크기를 설계해야한다.At this time, if the diameter of the columnar case 132 is too small, the sterilizing power of the air close to the front or rear panel of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10 may be reduced, and if the diameter of the columnar case 132 is too large, Since the air flow inside the panel housing 11 may not be smooth, the diameter of the columnar case 132 must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sterilizing performance of the top sterilizer 13.

상단살균기(13)는 상단살균기(13)는 패널하우징(11) 내에서 상단공기흡입구(111)와 두 개의 팬모듈(12) 중 상단에 배치된 팬모듈(12) 사이에 가로로 배치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패널하우징(11) 설치될 수 있다.The top sterilizer (13) can be placed horizontally between the top air intake port (111) and the fan module (12) disposed at the top of the two fan modules (12) within the panel housing (11). The panel housing 11 can be installed in a variety of way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단살균기(13)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살균기설치판(131)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살균기설치판(131)은 중심부에 사각형으로 하우징끼움홈(1311)이 형성된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측단 및 우측단이 각각 패널하우징(11)의 좌측판 및 우측판의 후면에, 후측단이 패널하우징(11)의 후측판에 결합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terilizer 13 can be installed by the sterilizer installation plate 131 as shown in Figure 6b. The sterilizer installation plate 13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with a square housing fitting groove 1311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left and right ends are located at the rear of the left and right plates of the panel housing 11, respectively, and the rear end. This can be coupled to the rear plate of the panel housing (11).

살균기설치판(131)의 하우징끼움홈(1311)은 상단살균기(13)의 길이보다는 긴 가로길이를 갖고, 상단살균기(13)의 직경보다는 짧은 세로길이를 가지며, 상단살균기(13)는 살균기설치판(131)의 하우징끼움홈(1311)에 가로방향으로 끼워짐으로써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단살균기(13)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기설치판(131)에 결합 시 살균기설치판(131)의 아래로 상단살균기(13)의 일부가 노출된다. 이에 따라, 살균기설치판(131)의 아랫방향으로의 살균도 가능하다.The housing fitting groove 1311 of the sterilizer installation plate 131 has a horizontal length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upper sterilizer 13 and a vertical length shorter than the diameter of the upper sterilizer 13, and the upper sterilizer 13 is installed as a sterilizer. It is coupl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housing fitting groove 1311 of the plate 13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ly, when the upper sterilizer 13 is coupled to the sterilizer installation plate 131 as shown in FIG. 8C, a portion of the upper sterilizer 13 is exposed below the sterilizer installation plate 131. Accordingly, sterilization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sterilizer installation plate 131 is also possible.

본 실시예에서, 살균기설치판(131)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운 경우 상단살균기(13)의 하단부가 살균기설치판(131)의 아래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보다 양호한 살균효과를 위해서는 살균기설치판(131)의 두께는 상단살균기(13)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두께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embodiment, if the thickness of the sterilizer installation plate 131 is too thick, the lower part of the upper sterilizer 13 may not be exposed below the sterilizer installation plate 131, so for better sterilization effect, the sterilizer installation plate ( The thickness of 131) is preferably designed to be the minimum thickness that can stably support the upper sterilizer (13).

하단살균기(14)는 패널하우징(11) 내에서 하단공기흡입구(112)의 상단에 설치되어 전 방향으로 자외선을 방사함으로써 하단공기흡입구(112)를 통해 패널하우징(11) 내부로 유입되어 상방이동하는 공기를 살균한다. 하단살균기(14)는 설치위치가 상단살균기(13)와 상이할 뿐 구성에 있어서는 상단살균기(13)와 동일하므로, 하단살균기(14)에 대한 설명은 상단살균기(13)의 설명을 준용한다. The lower sterilizer (14)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lower air intake port (112) in the panel housing (11) and radiates ultraviolet rays in all directions, which flows into the panel housing (11) through the lower air intake port (112) and moves upward. Sterilizes the air. The lower sterilizer (14) is the same as the upper sterilizer (13) in configuration except that the installation location is different from the upper sterilizer (13), so the description of the lower sterilizer (14) applies to the upper sterilizer (13).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패널하우징(11) 내에 상단살균기(13) 및 하단살균기(14) 중 어느 하나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단살균기(13)만 패널하우징(11) 내에 설치되는 경우 패널하우징(11)의 전측면에는 상단공기흡입구(111)만이 형성되고, 하단살균기(14)만 패널하우징(11) 내에 설치되는 경우 패널하우징(11)의 전측면에는 하단공기흡입구(112)만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단살균기(13) 또는 하단살균기(14) 만이 패널하우징(11)에 설치되는 경우, 살균효율이 다소 저감될 수 있으나, 공기흡입구가 형성되지 않은 패널하우징(11) 전측면의 상단 또는 하단 공간을 홍보를 위한 디스플레이 또는 알림 등을 부착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어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활용도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stall only one of the upper sterilizer 13 and the lower sterilizer 14 in the panel housing 11. When only the upper sterilizer (13) is installed within the panel housing (11), only the upper air intake port (111)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panel housing (11), and when only the lower sterilizer (14) is installed within the panel housing (11), the panel Only the lower air intake port 112 may b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housing 11. As such, if only the top sterilizer 13 or the bottom sterilizer 14 is installed in the panel housing 11, the sterilization efficiency may be somewhat reduced, but the top or bottom of the front side of the panel housing 11 where the air intake is not formed. The bottom space can be used to attach promotional displays or notifications, which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usability of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10).

한편, 패널하우징(11) 내에 상단살균기(13) 및 하단살균기(14)가 모두 설치되는 경우에도, 상단공기흡입구(111) 또는 하단공기흡입구(112)가 카(2) 내부와 연통할 수 있다면 패널하우징(11)의 전측판의 상단 또는 하단에 디스플레이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7)는 디스플레이(7)와 패널하우징(11)의 전측벽 사이에서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된 연결판(71)을 이용하여 패널하우징(11)의 전측벽에 설치됨에 따라 상단공기흡입구(111)와 카(2) 내부 사이의 공기의 흐름을 막지 않아 패널하우징(11)의 상단공기흡입구(111) 및 하단공기흡입구(112)를 모두 이용하여 카(2) 내부의 공기를 살균하면서 탑승체에게 디스플레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Meanwhile, even when both the top sterilizer 13 and the bottom sterilizer 14 are installed in the panel housing 11, if the top air intake 111 or the bottom air intake 112 can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car 2, A display may be installed on the top or bottom of the front side plate of the panel housing 11. For example, the display 7 shown in FIG. 2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wall of the panel housing 11 using a connecting plate 71 with a plurality of holes formed between the display 7 and the front side wall of the panel housing 11. Accordingly, it does not block the air flow between the upper air intake port (111) and the inside of the car (2), so both the upper air intake port (111) and the lower air intake port (112) of the panel housing (11) are used to control the inside of the car (2). A display screen can be displayed on the vehicle while sterilizing the air.

각 히터(15)는 패널하우징(11) 내부에 설치되고, 패널하우징(11)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여 각 팬모듈(12)로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패널하우징(11) 내에서 각 히터(15)는 각 살균기(13,14)와 각 팬모듈(12)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각 살균기(13,14)에 의해 살균된 공기를 가열하여 각 팬모듈(12)로 공급할 수 있다. Each heater 15 is installed inside the panel housing 11, heats the air introduced into the panel housing 11, and supplies it to each fan module 12. In this embodiment, within the panel housing 11, each heater 15 is installed between each sterilizer 13 and 14 and each fan module 12 to heat the air sterilized by each sterilizer 13 and 14. Thus, it can be supplied to each fan module (12).

각 히터(15)는 각 팬모듈(12)의 흡입구(121)에 인접하게 설치됨으로써 각 히터(15)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카(2) 내부로 배출되기까지의 이동경로를 최소화하고, 이에 따라 가열된 공기가 카(2) 내부로 공급되기 전에 냉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Each heater 15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intake port 121 of each fan module 12, thereby minimizing the path through which air heated by each heater 15 is discharged into the car 2.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ated air from cooling before being supplied into the car 2.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각 팬모듈(12)이 상면 및 하면에 흡입구(121)가 형성된 경우, 각 히터(15)는 각 팬모듈(12)의 상면 및 하면에 인접하게 설치됨으로써 각 히터(15)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각 팬모듈(12)의 흡입구(121)를 통해 각 팬모듈(12) 내부로 흡입되고, 카(2) 내부로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intake port 121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each fan module 12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each heater 15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each fan module 12. As a result, the air heated by each heater 15 can be sucked into each fan module 12 through the intake port 121 of each fan module 12 and discharged into the car 2.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 히터(15)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히터일 수 있다. PTC히터는 특정 온도 이상에서는 저항값이 증가하여 흐르는 전류를 감소시키고, 온도가 낮아지면 저항값이 감소되어 흐르는 전류가 증가되는 저항을 이용하여 발열함으로써 외부의 조작 없이도 일정한 온도가 유지된다. 각 히터(15)가 이러한 PTC 히터로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가 별다른 조작을 하지 않아도 각 히터(15)가 일정한 온도로 공기를 가열할 수 있으며, 과열 시 자동으로 저항이 증가하기 때문에 화재의 위험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전기를 이용하여 동작하므로 냄새가 발생하지 않으며, 연소 과정이 없어 산화가스 등 오염물질이 발생되지 않아 유리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heater 15 may be a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PTC) heater. PTC heaters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without external manipulation by generating heat using resistance, which increases the resistance value above a certain temperature and reduces the flowing current. When the temperature decreases, the resistance value decreases and the flowing current increases. If each heater (15) is made of such a PTC heater, each heater (15) can heat the air to a constant temperature without any special operation by the user, and the risk of fire can be prevented because the resistance automatically increases when overheated. there is. In addition, since it operates using electricity, it does not generate odor, and since there is no combustion process, it does not generate pollutants such as oxidizing gas, which is advantageous.

도 5에서는, 상단팬모듈(121)의 상면 및 하면 측에 히터(15)가 설치된 모습이 도시되나, 이는 예시일 뿐, 상단팬모듈(121) 및 하단팬모듈(122)의 상면 및 하면 측에 모두 히터(15)가 설치될 수 있고, 또는 상단팬모듈(121) 및 하단팬모듈(122)의 상면 또는 하면 측에 히터(15)가 설치될 수 도 있다. 사용자는 엘리베이터(1)의 동작 환경을 고려하여 히터(15)의 배치 위치 및 개수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음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n Figure 5, the heater 15 is shown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upper fan module 121,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upper fan module 121 and the lower fan module 122 are shown. The heater 15 may be installed on both, or the heater 15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or lower side of the upper fan module 121 and the lower fan module 122. It will be easy for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understand that a user can appropriately select the placement location and number of heaters 15 in consideration of the operating environment of the elevator 1.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카(2) 내부 또는 외부에는 에어컨(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에어컨은 카(2)의 상부, 즉 카(2)의 천장판 상에 거치되어 설치되고, 에어컨에 의해 방출되는 냉각된 공기는 관을 통해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카(2)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어컨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카(2) 내부에 직접적으로 배출되지 않고 공기살균정화패널(10)을 통해 카(2) 내부로 배출됨으로써 에어컨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각 살균기(13,14)에 의해 살균된 후 카(2) 내부로 제공될 수 있어 카(2) 내부의 공기 살균에 유리하다.Meanwhile, an air conditioner (not shown) may be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elevator car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onditioner is mounted and installed at the top of the car 2, that is, on the ceiling plate of the car 2, and the cooled air emitted by the air conditioner is passed through a pipe to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10. It may flow into the inside of and be discharged into the car (2). In this way, the air cooled by the air conditioner is not discharged directly into the car 2, but is discharged into the car 2 through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so that the air cooled by the air conditioner is discharged into each sterilizer 13, After being sterilized by 14), it can be provided inside the car (2), which is advantageous for sterilizing the air inside the car (2).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동작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카(2) 내부의 공기가 각 팬모듈(12)의 흡입력에 의해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전면에 형성된 상단공기흡입구(111) 및 하단공기흡입구(112)를 통해 공기살균정화패널(10) 내부로 흡입된다. Figure 7 is an operation diagram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air inside the car (2) flows through the upper air intake port (111) and the lower air intake port (112) formed on the front of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10) by the suction force of each fan module (12). It is sucked into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10) through the air.

상단공기흡입구(111)를 통해 공기살균정화패널(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두 개의 팬모듈(12)의 흡입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고, 하단공기흡입구(112)를 통해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두 개의 팬모듈(12)의 흡입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한다. The air that flows into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through the upper air inlet (111) moves downwar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two fan modules (12), and passes through the lower air inlet (112) to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 The air flowing into the inside of 10) moves upwar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two fan modules (12).

상단공기흡입구(111)를 통해 공기살균정화패널(10) 내부로 유입되어 하방이동 하는 공기는 상단살균기(13)의 둘레면을 따라 흐르며 상단살균기(13)의 전방향으로 방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살균된 후 상단살균기(13)의 아래에 배치된 상단팬모듈(124)에 형성된 흡입구를 통해 상단팬모듈(124)로 흡입된다.The air that flows into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10) through the upper air intake port (111) and moves downward flows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sterilizer (13) and is sterilized by ultraviolet rays emitted in all directions of the upper sterilizer (13). After that, it is sucked into the upper fan module 124 through the suction port formed in the upper fan module 124 disposed below the upper sterilizer 13.

하단공기흡입구(112)를 통해 공기살균정화패널(10) 내부로 유입되어 상방이동 하는 공기는 하단살균기(14)의 둘레면을 따라 흐르며 하단살균기(14)의 전방향으로 방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살균된 후 하단살균기(14)의 위에에 배치된 하단팬모듈(125)에 형성된 흡입구를 통해 하단팬모듈(125)로 흡입된다.The air that flows into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10) through the lower air intake port (112) and moves upward flows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sterilizer (14) and is sterilized by ultraviolet rays emitted in all directions of the lower sterilizer (14). After that, it is sucked into the lower fan module 125 through the suction port formed in the lower fan module 125 disposed above the lower sterilizer 14.

상단팬모듈(124) 및 하단팬모듈(125)로 흡입된 살균된 공기는 각 팬모듈(12)에 의해 패널하우징(11)의 전면의 살균공기방출구(113)를 통해 카(2) 내부로 방출됨에 따라 살균된 공기를 카(2)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The sterilized air sucked into the upper fan module 124 and lower fan module 125 is pumped into the car 2 through the sterilized air outlet 113 on the front of the panel housing 11 by each fan module 12. As it is released, sterilized air can be supplied into the car (2).

만약, 공기살균정화패널(10) 내에 하나의 팬모듈(12)이 설치되는 경우, 팬모듈(12)이 상단살균기(13) 및 하단살균기(14)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단살균기(13)에 의해 살균된 공기는 팬모듈(12)의 상면의 흡입구(1235)를 통해, 하단살균기(14)에 의해 살균된 공기는 팬모듈(12)의 하면의 흡입구(1235)를 통해 팬모듈(12) 내부로 흡입된 후 카(2) 내부로 방출되는 것임을 통상의 기술자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f one fan module 12 is installed in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10, the fan module 12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terilizer 13 and the lower sterilizer 14, and the upper sterilizer 13 The air sterilized by the fan module 12 passes through the intake port 1235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an module 12, and the air sterilized by the lower sterilizer 14 passes through the intake port 1235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an module 12. )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that it is sucked inside and then released into the car 2.

조작패널(16)은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전면에 배치되고, 버튼, 스위치, 레버, 다이얼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동작모드를 선택하는 조작장치(161)로서 포함함으로써 사용자 또는 탑승체체가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복수 개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조작패널(16)의 조작장치(161)는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설치 환경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operation panel 16 is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a button, switch, lever, and dial as an operation device 161 for select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By doing so, the user or the boarding body can select any one mode among the plurality of modes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The operating device 161 of the operating panel 16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of the air sterilizing and purifying panel 10.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조작패널(16)은 하나의 버튼형 조작장치(16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작패널(16)에 하나의 버튼만이 구비되는 경우, 사용자는 버튼을 누르고 있는 시간 또는 버튼을 누르는 횟수를 조절함으로써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동작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panel 16 may include one button-type operation device 161. In this case, when the operation panel 16 is provided with only one button, the user can select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by adjusting the time the button is pressed or the number of times the button is press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조작패널(16)은 다섯 개의 버튼형 조작장치(16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 버튼은 각각 송풍모드, 절풍모드, 온풍모드, 냉풍모드 및 자동모드 에 대응하며 공기살균정화패널(10)은 사용자에 의해 눌러진 버튼에 대응하는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각 동작모드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panel 16 may include five button-type operation devices 161. At this time, each button corresponds to blowing mode, low wind mode, warm wind mode, cold wind mode, and automatic mode, respectively, and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10 can operate in the mode corresponding to the button pressed by the user. Each operation mode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will be examined in more detail below.

온도감지센서(20)는 카(2) 내부에 설치되어 카(2) 내부의 온도를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온도감지센서(20)는 카(2) 내부의 온도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주변에 비해 온도가 특별히 높거나 낮은 곳을 피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온도감지센서(20)는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각 공기흡입구(111,112) 및 살균공기배출구(113)를 피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emperature sensor 20 is installed inside the car 2 and detects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In this embodiment, the temperature sensor 20 is preferably installed to avoid places where the temperature is particularly high or low compared to the surrounding area in order to more accurately measure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For example, the temperature sensor 20 is preferably installed avoiding each of the air intakes 111 and 112 and the sterilizing air outlet 113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각 공기흡입구(111,112) 인근에서는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내부를 향하는 공기의 흐름이 형성되어 있어 카(2) 내부의 실제 온도보다 낮은 온도가 온도감지센서(20)에 의해 감지될 수 있고, 살균공기배출구(113) 인근에서는 각 히터(15)에 의해 가열된 공기에 의해 카(2) 내부의 실제 온도보다 더 높은 온도가 온도감지센서(2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따라서, 온도감지센서(20)는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동작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기살균정화패널(10)로부터 떨어진 곳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Near each air intake port (111, 112)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a flow of air is formed toward the inside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so th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actual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is detected by the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 20), and near the sterilizing air outlet 113,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actual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due to the air heated by each heater 15 is detected by the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20. It can be detected. Therefore, the temperature sensor 20 is preferably installed away from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n order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the operation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모션감지센서(30)는 카(2) 내부에 설치되어 카(2) 내부의 탑승체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모션감지센서(30)는 카(2) 내부의 탑승체의 움직임을 보다 넓은 범위에서 감지하기 위해, 카(2) 내부에서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모션감지센서(30)는 카(2)의 천장판에 설치될 수 있다.The motion detection sensor 30 is installed inside the car 2 and detects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nside the car 2. In this embodiment, the motion detection sensor 30 is preferably installed at a high position inside the car 2 in order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nside the car 2 in a wider range. In this embodiment, the motion detection sensor 30 may be installed on the ceiling plate of the car 2.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감지센서(30)는 감지영역이 수평으로 94도, 수직으로 82도로 형성되고, 5미터 이내의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인체감지센서(passive infrated sensor, PIR)일 수 있다.The motion detection sensor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etection area of 94 degrees horizontally and 82 degrees vertically, and is a passive infrated sensor (PIR) capable of detecting the movement of an object within 5 meters. ) can be.

본 실시예에서, 모션감지센서(30)는 탑승체의 동작의 방향, 속도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 뿐 아니라, 감지영역 내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여부만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일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motion detection sensor 30 may be a sensor that can detect not only the direction and speed of movement of the vehicle, but also whether movement is detected within the detection are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1)의 구성도를 도시하는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어부(40)는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조작패널(16), 온도감지센서(20) 및 모션감지센서(3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각 팬모듈(12), 각 살균기(13,14) 및 각 히터(15)로 신호를 송신한다. Referring to FIG. 8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lev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40 includes the operation panel 16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the temperature sensor 20, and A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otion detection sensor 30, and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each fan module 12, each sterilizer 13 and 14, and each heater 15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는 사용자의 선택, 온도감지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카(2) 내부의 온도 및 모션감지센서(30)에 의해 감지된 카(2) 내부의 탑승체의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정하고, 선정된 모드에 따라 공기살균정화패널(10) 내의 각 팬모듈(12), 각 살균기(13,14) 및 각 히터(15)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공기살균정화패널(10)을 제어한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40 controls the user's selectio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detected by the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20, and the vehicle inside the car 2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30.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movements, one of the plurality of modes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s selected, and each fan module 12 and each sterilizer in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according to the selected mode ( 13, 14) and the operation of each heater 15 to control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10.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제어부(40)는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고,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가 기록된 메모리, 프로세서, 버스 등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된 각 구성 요소는 반드시 별개의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개의 구성 요소가 공통 하드웨어, 예를 들어 프로세서, 메모리, 버스 등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is embodiment belongs will know that the control unit 40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that provides a specific function, or may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a memory, a processor, a bus, etc. on which software that provides a specific function is recorded. It is understandable that it may be implemented. Each of the above components is not necessarily implemented as separate hardware, and several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by a combination of common hardware, such as a processor, memory, and bus.

한편, 도 2에는 제어부(40)가 카(2)의 측벽판에 설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제어부(40)는 카(2)의 네 개의 측벽판, 천장판, 또는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음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쉽게 이해될 수 있다.Meanwhile, Figure 2 shows the control unit 40 installed on the side wall plate of the car 2,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control unit 40 is installed on the four side wall plates, the ceiling plate, or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unit of the car 2. I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t may be installed inside the panel 10.

제어부(40)에 의해 선정될 수 있는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복수의 동작 모드는 송풍모드, 절풍모드, 온풍모드, 냉풍모드, 자동모드 및 슬립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각 동작모드에서의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 9를 참조하여 각 동작모드에서의 공기살균정화패널(10) 및 제어부(40)의 동작을 살펴보도록 한다.A plurality of operation modes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that can be selected by the control unit 40 may include blowing mode, low wind mode, warm air mode, cold wind mode, automatic mode, and sleep mode. Hereinafter,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and the control unit 40 in each operation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n each operation mod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et’s take a look at its operation.

송풍모드는 카(2) 내부에 탑승체가 존재하는 조건에서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동작을 개시하는 모드이다. 제어부(40)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온도감지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카(2) 내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송풍모드가 선정되면 모션감지센서(30)에 의해 감지된 카(2) 내부의 탑승체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blowing mode is a mode that starts the operation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under the condition that a vehicle exists inside the car 2. When the blowing mode is selected based on the user's selection or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0, the control unit 40 controls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30. The operation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s controlled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vehicle.

제어부(40)는 송풍모드로 공기살균정화패널(10)이 동작 시, 모션감지센서(30)에 의해 카(2) 내부의 탑승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공기살균정화패널(10)이 살균된 공기를 카(2) 내부로 배출하도록 공기살균정화패널(10)을 제어함으로써 카(2) 내부에 탑승체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카 내부로 살균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는 송풍모드로 공기살균정화패널(10)이 동작 시 모션감지센서(30)에 의해 카 내부의 탑승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공기살균정화패널(10) 내의 각 살균기(13,14) 및 각 팬모듈(12)이 동작하고, 각 히터(15)는 미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공기살균정화패널(10)이 카(2)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살균한 뒤 카(2) 내부로 배출하도록 제어한다. When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s operated in blowing mode, the control unit 40 detects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nside the car 2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30, and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s sterilized. By controlling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to discharge air into the car 2, sterilized air is discharged into the car only when a vehicle is present inside the car 2. More specifically, when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s operated in the blowing mode, the control unit 40 detects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nside the car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30, and operates each sterilizer in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13,14) and each fan module (12) are controlled to operate and each heater (15) is controlled to not operate, so that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10) sucks in and sterilizes the air inside the car (2) and then the car (15) is controlled to operate. 2) Control to discharge internally.

한편, 제어부(40)는 송풍모드로 공기살균정화패널(10)이 동작 시, 모션감지센서(30)에 의해 카(2) 내부의 탑승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공기살균정화패널(10) 내의 각 살균기(13,14), 각 팬모듈(12) 및 각 히터(15)가 미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공기살균정화패널(10)이 카(2) 내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제어한다. Meanwhile, when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s operated in the blowing mode, the control unit 40 operates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f no movement of the vehicle inside the car 2 is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30. By controlling each sterilizer (13, 14), each fan module (12), and each heater (15) to not operate,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10) is controlled to stop discharging air into the car (2). .

이와 같이, 송풍모드는 카(2) 내부에 탑승체가 존재하는 경우에 카(2) 내부로 살균된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탑승체에게 바람을 송풍한다. 이에 따라, 공기살균정화패널(10)이 송풍모드로 동작하는 카(2)에서 탑승체는 공기살균정화패널(10)로부터 배출되는 바람에 의한 냉감을 느낄 수 있고, 따라서 송풍모드는 외부 날씨가 더운 경우 탑승체의 쾌적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유리하다.As such, the blowing mode blows wind to the vehicle by discharging sterilized air into the car 2 when there is a vehicle inside the car 2. Accordingly, in the car 2 in which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operates in the blowing mode, the vehicle can feel a cold sensation due to the wind discharged from the air sterilizing and purifying panel 10, and therefore the blowing mode is used when the outside weather changes. This is advantageous because it can increase the comfort of the vehicle in hot weather.

절풍모드는 카(2) 내부에 탑승체가 존재하지 않는 조건에서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동작을 개시하는 모드이다. 제어부(40)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온도감지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카(2) 내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절풍모드가 선정되면 모션감지센서(30)에 의해 감지된 카(2) 내부의 탑승체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low wind mode is a mod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starts under the condition that there is no vehicle inside the car 2. When the low wind mode is selected based on the user's selection or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detected by the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20, the control unit 40 controls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30. The operation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s controlled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vehicle.

제어부(40)는 절풍모드로 공기살균정화패널(10)이 동작 시, 모션감지센서(30)에 의해 카(2) 내부의 탑승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공기살균정화패널(10)이 살균된 공기를 카(2) 내부로 배출하도록 공기살균정화패널(10)을 제어함으로써 카(2) 내부에 탑승체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카 내부로 살균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는 절풍모드로 공기살균정화패널(10)이 동작 시 모션감지센서(30)에 의해 카 내부의 탑승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공기살균정화패널(10) 내의 각 살균기(13,14) 및 각 팬모듈(12)이 동작하고, 각 히터(15)는 미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공기살균정화패널(10)이 카(2)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살균한 뒤 카(2) 내부로 배출하도록 제어한다. When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operates in low wind mode, the control unit 40 sterilizes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f no movement of the vehicle inside the car 2 is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30. By controlling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to discharge the sterilized air into the car 2, the sterilized air is discharged into the car only when there is a vehicle inside the car 2. More specifically, when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s operated in low wind mode, if the motion of the vehicle inside the car is not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30, the control unit 40 The sterilizers (13, 14) and each fan module (12) are controlled to operate and each heater (15) is controlled to not operate, so that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10) sucks in the air inside the car (2), sterilizes it, and then sterilizes the air inside the car (2). (2) Control to discharge internal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40)는 절풍모드에서 모션감지센서(30)에 의해 마지막으로 탑승체의 모션이 감지된 시점으로부터 임계시간이상 연속하여 모션감지센서(30)에 의하 탑승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공기살균정화패널(10)이 살균된 공기를 카(2) 내부로 배출하도록 공기살균정화패널(10)을 제어한다. 이때 임계시간은 10초일 수 있다. 절풍모드에서 공기살균정화패널(10)에 의한 공기 배출의 기준이 되는 임계시간은 엘리베이터(1)의 탑승체 이용 분포 등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40)는 카(2) 내부의 탑승객이 하차한 이후 카(2) 내부의 공기를 살균하도록 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40 continuously detects the vehicle's motion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30 for more than a threshold time from the time when the motion of the vehicle was last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30 in low wind mode. If no movement is detected,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s controlled so that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discharges the sterilized air into the car 2. At this time, the critical time may be 10 seconds. The critical time, which is the standard for air discharge by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n low wind mode, can be appropriately set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use of the elevator 1, etc.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40 can sterilize the air inside the car 2 after the passengers inside the car 2 get off.

한편, 제어부(40)는 절풍모드에서 모션감지센서(30)에 의해 카(2) 내부의 탑승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공기살균정화패널(10)이 살균된 공기를 카(2) 내부로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배출하도록 제어한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40)는 절풍모드에서 공기살균정화패널(10)이 카(2) 내부로 살균된 공기의 배출을 시작한 이후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살균된 공기의 배출을 정지시킨다. 여기서, 미리 결정된 시간은 10초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40)가 절풍모드에서 모션감지센서(30)에 의해 카(2) 내부의 탑승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시간 동안이 아닌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공기를 배출하도록 공기살균정화패널(10)을 제어함으로써 전력 소모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Meanwhile, if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nside the car 2 is not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30 in low wind mode, the control unit 40 causes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to send sterilized air into the car 2. Control the discharg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40 stops the discharge of sterilized air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starts discharging sterilized air into the car 2 in the low wind mode. Here,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10 seconds. In this way,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10) allows the control unit 40 to discharge air for a predetermined time, not during the time when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nside the car 2 is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30 in low wind mode. )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한편, 제어부(40)는 절풍모드로 공기살균정화패널(10)이 동작 시, 모션감지센서(30)에 의해 카(2) 내부의 탑승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공기살균정화패널(10) 내의 각 살균기(13,14), 각 팬모듈(12) 및 각 히터가 미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카(2) 내부로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공기살균정화패널(10)을 제어한다. Meanwhile, when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s operated in low wind mode, the control unit 40 detects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nside the car 2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30,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s controlled so that air is not discharged into the car 2 by controlling each sterilizer 13 and 14, each fan module 12, and each heater to not operate.

이와 같이, 절풍모드는 카(2) 내부에 탑승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카(2) 내부로 살균된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비어 있는 카(2) 내부로 살균된 공기를 배출한다. 이에 따라, 공기살균정화패널(10)이 절풍모드로 동작하는 카(2)에서 탑승체는 공기살균정화패널(10)로부터 배출되는 바람을 느끼지 않으면서 살균된 카(2) 내부에 탑승할 수 있다. 따라서 절풍모드는 외부 날씨가 추운 경우 탑승체의 쾌적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유리하다.In this way, the low wind mode discharges sterilized air into the car 2 when there is no vehicle inside the car 2, thereby discharging the sterilized air into the empty car 2. Accordingly, in the car 2 in which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operates in low-wind mode, the vehicle can ride inside the sterilized car 2 without feeling the wind discharged from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there is. Therefore, the low wind mode is advantageous because it can increase the comfort of the vehicle when the weather outside is cold.

온풍모드는 카(2) 내부에 탑승체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동작을 개시하는 모드이다. 제어부(40)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온도감지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카(2) 내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온풍모드가 선정되면 모션감지센서(30)에 의해 감지된 카(2) 내부의 탑승체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warm air mode is a mode in which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starts operating when a vehicle is present inside the car 2. When the hot air mode is selected based on the user's selection or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detected by the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20, the control unit 40 controls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30. The operation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s controlled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vehicle.

제어부(40)는 온풍모드로 공기살균정화패널(10)이 동작 시, 모션감지센서(30)에 의해 카(2) 내부의 탑승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공기살균정화패널(10)이 살균된 공기를 가열하여 카(2) 내부로 배출하도록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는 온풍모드로 공기살균정화패널(10)이 동작 시 모션감지센서(30)에 의해 카 내부의 탑승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공기살균정화패널(10) 내의 각 살균기(13,14), 각 팬모듈(12) 및 각 히터(15)를 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공기살균정화패널(10)이 카(2)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살균한 뒤 가열하여 카(2) 내부로 배출하도록 제어한다. When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s operated in the warm air mode, the control unit 40 detects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nside the car 2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30, and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s sterilized. The air is heated and controlled to be discharged into the car (2). More specifically, when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s operated in the warm air mode, the control unit 40 detects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nside the car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30, and operates each sterilizer in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13, 14), each fan module (12) and each heater (15),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10) sucks in the air inside the car (2), sterilizes it, and then heats it to cool the air inside the car (2). Control to discharge internally.

한편, 제어부(40)는 온풍모드로 공기살균정화패널(10)이 동작 시, 모션감지센서(30)에 의해 카(2) 내부의 탑승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공기살균정화패널(10) 내의 각 살균기(13,14), 각 팬모듈(12) 및 각 히터(15)를 미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공기살균정화패널(10)이 카(2) 내부로 가열된 공기를 배출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제어한다. Meanwhile, when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s operated in the warm air mode, the control unit 40 operates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f no movement of the vehicle inside the car 2 is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30. By controlling each sterilizer (13, 14), each fan module (12), and each heater (15) to not operate,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10) stops discharging heated air into the car (2). Control.

이와 같이, 온풍모드는 카(2) 내부에 탑승체가 존재하는 경우에 카(2) 내부로 살균된 공기를 가열하여 배출함으로써 탑승체에게 온풍을 송풍한다. 이에 따라, 공기살균정화패널(10)이 송풍모드로 동작하는 카(2)에서 탑승체는 공기살균정화패널(10)로부터 배출되는 온풍에 의한 온기를 느낄 수 있고, 따라서 온풍모드는 외부 날씨가 추운 경우 탑승체의 쾌적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유리하다.As such, the warm air mode blows warm air to the vehicle by heating and discharging sterilized air into the car 2 when there is a vehicle inside the car 2. Accordingly, in the car 2 in which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operates in the blowing mode, the vehicle can feel the warmth caused by the warm air discharged from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and therefore the warm air mode is used when the outside weather is different. This is advantageous because it can increase the comfort of the vehicle in cold weather.

냉풍모드는 카(2) 내부의 온도를 일정 온도 이하로 유지하도록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드이다. 제어부(40)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온도감지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카(2) 내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냉풍모드가 선정되면 모션감지센서(30)에 의해 감지된 카(2) 내부의 탑승체의 움직임 및 온도감지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카(2) 내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cold air mode is a mode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to maintai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below a certain temperature. When the cold air mode is selected based on the user's selection or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detected by the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20, the control unit 40 controls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30. The operation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s controlled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vehicle and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0.

제어부(40)는 냉풍모드로 공기살균정화패널(10)이 동작 시, 공기살균정화패널(10)이 살균된 냉기를 카(2) 내부로 배출하도록 공기살균정화패널(10) 및 에어컨을 제어함으로써 카(2) 내부가 상시 시원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는 냉풍모드로 공기살균정화패널(10)이 동작 시 모션감지센서(30)에 의해 카 내부의 탑승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에어컨 및 공기살균정화패널(10) 내의 각 살균기(13,14) 및 각 팬모듈(12)이 동작하고, 각 히터(15)는 미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공기살균정화패널(10)이 카(2)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에어컨으로부터 공급된 냉기와 함께 살균한 뒤 카(2) 내부로 배출하도록 제어한다. When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operates in cold wind mode, the control unit 40 controls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and the air conditioner so that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discharges the sterilized cold air into the car 2. This ensures that the inside of the car (2) remains cool at all times. More specifically, when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s operated in the cold wind mode, the control unit 40 detects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nside the car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30, and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Each sterilizer (13, 14) and each fan module (12) are controlled to operate and each heater (15) is controlled to not operate, so that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10) sucks the air inside the car (2) and supplies it from the air conditioner. After sterilizing it with cold air, it is controlled to be discharged into the car (2).

한편, 제어부(40)는 냉풍모드로 공기살균정화패널(10)이 동작 시, 모션감지센서(30)에 의해 카(2) 내부의 탑승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에어컨 및 공기살균정화패널(10) 내의 각 팬모듈(12)은 동작하고, 공기살균정화패널(10) 내의 각 살균기(13,14) 및 각 히터(15)는 미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공기살균정화패널(10)이 카(2) 내부로 살균되지 않은 냉기를 배출하도록 제어한다. Meanwhile, when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s operated in cold wind mode, the control unit 40 operates the air conditioner and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 Each fan module 12 in 10 is controlled to operate, and each sterilizer 13, 14 and each heater 15 in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10 is controlled to not operate, so that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10 operates. 2) Control to exhaust cold air that has not been sterilized inside.

이와 같이, 냉풍모드는 카(2) 내부에 탑승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카(2) 내부로 살균된 냉기를 배출함으로써 탑승체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고, 카(2) 내부에 탑승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카(2) 내부의 시원함 유지를 위해 냉기를 배출하나 각 살균기(13,14)를 통한 냉기의 살균은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old air mode provides a comfortable environment for the vehicle by discharging sterilized cold air into the car 2 when there is a vehicle inside the car 2, and provides a comfortable environment for the vehicle when there is no vehicle inside the car 2. In this case, cold air is discharged to maintain coolness inside the car 2, but energy can be saved by not sterilizing the cold air through each sterilizer 13 and 14.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40)는 냉풍모드로 공기살균정화패널(10)이 동작 시, 모션감지센서(30)에 의해 카(2) 내부의 탑승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온도감지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카(2) 내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에어컨 및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40 does not detect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nside the car 2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30 when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operates in the cold wind mode. Otherwise,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10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0.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는 냉풍모드로 공기살균정화패널(10)이 동작 시, 모션감지센서(30)에 의해 카(2) 내부의 탑승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고, 온도감지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카(2) 내부의 온도가 임계온도 이상이면, 에어컨 및 공기살균정화패널(10) 내의 각 팬모듈(12)을 동작시킴으로써 카(2) 내부에 냉기를 공급하고, 온도감지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카(2) 내부의 온도가 임계온도 미만이면, 에어컨 및 공기살균정화패널(10) 내의 각 팬모듈(12)이 미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카(2) 내부로 냉기를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operates in the cold wind mode, the control unit 40 does not detect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nside the car 2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30, and the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 If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detected by 20) is above the critical temperature, each fan module 12 in the air conditioner and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10 is operated to supply cold air to the inside of the car 2, and the temperature If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20) is below the critical temperature, each fan module (12) in the air conditioner and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10) is controlled to not operate, thereby allowing the inside of the car (2) to It may not supply cold air.

이와 같이, 공기살균정화패널(10)이 냉풍모드로 동작하는 카(2)에서 탑승체는 공기살균정화패널(10)로부터 배출되는 냉기에 의한 냉감을 느낄 수 있고, 따라서 냉풍모드는 외부 날씨가 더운 경우 탑승체의 쾌적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유리하다.In this way, in the car 2 in which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operates in the cold wind mode, the vehicle can feel a cold sensation due to the cold air discharged from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and therefore the cold wind mode is used when the outside weather is different. This is advantageous because it can increase the comfort of the vehicle in hot weather.

자동모드는 카(2) 내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모드가 자동으로 선정되는 모드이다. 제어부(4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자동모드가 선정되면 온도감지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카(2) 내부의 온도 및 모션감지센서(30)에 의해 감지된 카(2) 내부의 탑승체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automatic mode is a mode in which the mode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s automatically selected based o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When the automatic mode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rol unit 40 controls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detected by the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20 and the inside of the car 2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30. The operation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s controlled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sieve.

제어부(40)는 사용자에 의해 자동모드가 선정되면, 온도감지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카(2) 내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동작모드를 복수의 동작모드 중에서 선정한다. When the automatic mode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rol unit 40 selects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from among a plurality of operation modes based o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0. Sel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40)는 온도감지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카(2) 내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송풍모드, 절풍모드, 온풍모드 및 냉풍모드 중 하나를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동작모드로 선정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40 performs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in one of the blowing air mode, low wind mode, warm air mode, and cold air mode based o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0. Select the operation mode of the panel 10.

제어부(40)는 온도감지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카(2) 내부의 온도가 제1 기준온도 이상이면 복수 개의 동작모드 중 냉풍모드를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동작모드로 선정하고, 온도감지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카(2) 내부의 온도가 제1 기준온도 미만 제2 기준온도 이상이면 송풍모드를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동작모드로 선정하며, 온도감지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카(2) 내부의 온도가 제2 기준온도 미만 제3 기준온도 이상이면 절풍모드를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동작모드로 선정하고, 온도감지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카(2) 내부의 온도가 제3 기준온도 미만이면 온풍모드를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동작모드로 선정 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온도는 23도, 제2 기준온도는 18도, 제3 기준온도는 13도일 수 있다. 제1 기준온도, 제2 기준온도 및 제3 기준온드는 사용환경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If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0 is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40 selects the cold wind mode among the plurality of operation modes as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f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0)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or more than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the blowing mode is selected as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and the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If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detected by (20) is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or more than the third reference temperature, the low wind mode is selected as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10), and the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20) If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detected by is less than the third reference temperature, the warm air mode can be selected as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10. Here,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may be 23 degrees,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may be 18 degrees, and the third reference temperature may be 13 degrees.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and third reference temperature can be freely set by the user depending on the usage environment.

이와 같이, 제어부(40)가 온도감지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카(2) 내부의 온도에 따라 송풍모드, 절풍모드, 온풍모드 및 냉풍모드 중 하나를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동작모드로 선정하는 경우, 카(2) 내부가 무더울 때에는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동작모드를 냉풍모드로 선정하여 탑승체에게 살균된 냉기를 배출함으로써 냉감을 느끼게 하고, 카(2) 내부가 더울 때에는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동작모드를 송풍모드로 선정하여 탑승체에게 살균된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시원함을 느끼게 하며, 카(2) 내부가 서늘한 경우에는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동작모드를 절풍모드로 선정하여 비어있는 카 내부에 살균된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탑승체가 배출되는 공기에 의한 불쾌감을 느끼지 않게 하고, 카(2) 내부가 추운 경우에는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동작모드를 온풍모드로 선정하여 탑승체에게 살균된 공기를 가열하여 배출함으로써 온기를 느끼게 하여 카(2) 내부에서의 탑승체의 쾌적함을 증대시킬 수 있다. In this way, the control unit 40 operates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n one of the blowing mode, low wind mode, warm air mode, and cold wind mod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0. In the case of selecting the mode, when the inside of the car (2) is hot,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s selected as the cold wind mode, so that the vehicle feels cold by discharging sterilized cold air to the vehicle, and the inside of the car (2) When it is hot,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s selected as blowing mode to discharge sterilized air to the vehicle to make the vehicle feel cool, and when the inside of the car (2) is cool,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s By selecting the operation mode as low wind mode and discharging sterilized air inside the empty car, the vehicle does not feel discomfort due to the discharged air, and when the inside of the car (2) is cold,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operates. By selecting the warm air mode, the comfort of the vehicle inside the car 2 can be increased by making the vehicle feel warm by heating and discharging sterilized air to the vehicl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40)는 온도감지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카(2) 내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송풍모드 또는 절풍모드를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동작모드로 선정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40 switches the blowing mode or low wind mode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based o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0. Select.

제어부(40)는 온도감지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카(2) 내부의 온도가 제4 기준온도 이상이면 송풍모드를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동작모드로 선정하고, 온도감지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카(2) 내부의 온도가 제4 기준온도 미만이면 절풍모드를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동작모드로 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기준온도는 15도일 수 있다. 제4 기준온도는 사용환경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If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0 is higher than the fourth reference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40 selects the blowing mode as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and the temperature sensor ( If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detected by 20) is less than the fourth reference temperature, the low wind mode can be selected as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Here, the fourth reference temperature may be 15 degrees. The fourth reference temperature can be freely set by the user depending on the usage environmen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40)는 온도감지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카(2) 내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송풍모드 또는 온풍모드를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동작모드로 선정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40 switches the blowing mode or warm air mode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based o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0. Select.

제어부(40)는 온도감지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카(2) 내부의 온도가 제5 기준온도 이상이면 송풍모드를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동작모드로 선정하고, 온도감지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카(2) 내부의 온도가 제5 기준온도 미만이면 온풍모드를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동작모드로 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5 기준온도는 15도일 수 있다. 제5 기준온도는 사용환경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If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0 is higher than the fifth reference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40 selects the blowing mode as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and the temperature sensor ( If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detected by 20) is less than the fifth reference temperature, the warm air mode can be selected as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Here, the fifth reference temperature may be 15 degrees. The fifth reference temperature can be freely set by the user depending on the usage environment.

이와 같이, 제어부(40)가 자동모드에서 카(2) 내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동작모드중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를 선정하고, 선정된 동작모드에 기초하여 공기살균정화패널(10)을 제어함으로써 카(2) 내부 공기의 질적인 측면 뿐 아니라, 카(2) 내부의 온도 측면에서도 탑승체에게 쾌적함을 제공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ontrol unit 40 selects one of the plurality of operation modes based o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in the automatic mode, and operates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10 based on the selected operation mode. By controlling it, it is possible to provide comfort to the vehicle not only in terms of the quality of the air inside the car (2) but also in terms of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슬립모드는 제어부(40)가 공기살균정화패널(10)을 절전상태로 변환시킴으로써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동작모드이다. 제어부(40)는 공기살균정화패널(10)에 의한 공기 배출 동작 이후 절전대기시간 동안 모션감지센서(30)에 의해 카(2) 내부의 탑승체의 동작이 감지되지 않으면 에어컨 및 공기살균정화패널(10)이 전력을 최소한으로 사용하도록 각 팬모듈(12), 각 살균기(13,14) 및 각 히터(15)의 동작을 정지시킨다.Sleep mode is an operation mode in which the control unit 40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by converting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to a power saving state. If the motion of the vehicle inside the car 2 is not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30 during the power saving standby time after the air discharge operation by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the control unit 40 operates the air conditioner and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10) stops the operation of each fan module (12), each sterilizer (13, 14), and each heater (15) so that power is used to a minimu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에 의하면, 제어부(40)가 사용자의 선택, 온도감지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카(2) 내부의 온도 및 모션감지센서(30)에 의해 감지된 카(2) 내부의 탑승체의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정하고, 선정된 모드에 따라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탑승체에게 보다 쾌적한 탑승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40 controls the user's selectio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detected by the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20, and the car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30. 2)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mode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movements of the internal vehicl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according to the selected mode, thereby creating a more comfortable riding environment for the vehicle. There is a technical effect that can provide.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looked at with a focus on preferred embodiment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perspe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 엘리베이터
2: 카
10: 공기살균정화패널
20: 온도감지센서
30: 모션감지센서
40: 제어부
1: elevator
2: ka
10: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20: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30: Motion detection sensor
40: control unit

Claims (13)

측벽판으로 둘러쌓인 탑승공간을 제공하는 카(2);
상기 카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20);
상기 카 내부의 탑승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감지센서(30);
박스 형태로 전면이 상기 카의 측벽판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상기 카의 측벽판에 매립되며, 상기 카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한 공기를 살균하여 상기 카 내부로 배출하는 공기살균정화패널(10);
사용자의 선택, 상기 온도감지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카(2) 내부의 온도 및 상기 모션감지센서(30)에 의해 감지된 상기 카(2) 내부의 탑승체의 움직임에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모드에 따라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복수의 모드 중 상기 카(2) 내부에 상기 탑승체가 존재하는 조건에서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동작을 개시하는 송풍모드가 선정되면, 상기 모션감지센서(30)에 의해 상기 카(2) 내부의 탑승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10)이 상기 카(2) 내부로 살균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10)을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모드 중 상기 카(2) 내부에 상기 탑승체가 존재하지 않는 조건에서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동작을 개시하는 절풍모드가 선정되면, 상기 모션감지센서(30)에 의해 상기 카(2) 내부의 탑승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10)이 상기 카(2) 내부로 살균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10)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A car (2) providing a boarding space surrounded by side wall plates;
A temperature sensor (20) that detects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A motion detection sensor 30 that detects movement of the vehicle inside the car;
An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that is shaped like a box and is embedded in the side wall plate of the car so that the front side forms part of the side wall plate of the car, sucks air inside the car, sterilizes the sucked air, and discharges it into the car ( 10);
At least one of the user's selectio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detected by the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20, and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nside the car 2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30. It includes a control unit 40 that selects one of the plurality of modes based on the mode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according to the selected mode,
The control unit 40 is
When the blowing mode that starts the operation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s selected among the plurality of modes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vehicle is present inside the car 2, the car ( 2) When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nside is detected,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s controlled so that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discharges sterilized air into the car (2),
When the low wind mode, which starts the operation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vehicle does not exist inside the car 2 among the plurality of modes, is selected, the car is activat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30. (2) When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nside is not detected,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s controlled so that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discharges sterilized air into the car (2). elevat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절풍모드에서 상기 모션감지센서(30)에 의해 마지막으로 상기 탑승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시점으로부터 임계시간 이상 연속하여 상기 모션감지센서(30)에 의한 탑승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10)이 상기 카(2) 내부로 살균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10)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40 detects the movement of the vehicle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30 continuously for a threshold time or more from the time when the movement of the vehicle was last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30 in the low wind mode. An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when not detected,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s controlled so that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discharges sterilized air into the car (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절풍모드에서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10)이 상기 카(2) 내부로 살균된 공기의 배출을 시작한 이후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살균된 공기의 배출을 정지하도록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10)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According to claim 5,
The control unit 40 is configured to stop the discharge of the sterilized air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starts discharging the sterilized air into the car 2 in the low wind mode. An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s reduced by controlling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복수의 모드 중 상기 카(2) 내부에 상기 탑승체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동작을 개시하는 온풍모드가 선정되고, 상기 모션감지센서(30)에 의해 상기 카(2) 내부의 탑승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10)이 상기 카(2) 내부로 살균된 공기를 가열하여 배출하도록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10)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According to claim 6,
Among the plurality of modes, the control unit 40 selects a warm air mode that starts the operation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when the vehicle is present inside the car 2, and the motion detection sensor 30 ), when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nside the car 2 is detected,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heats and discharges the sterilized air into the car 2. An elevator characterized by control.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복수의 모드 중 상기 카(2) 내부의 온도를 일정 온도 이하로 유지하도록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동작을 제어하는 냉풍모드가 선정되고,
상기 모션감지센서(30)에 의해 상기 카(2) 내부의 탑승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이 상기 카(2) 내부로 살균된 냉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10)을 제어하고,
상기 모션감지센서(30)에 의해 상기 카(2) 내부의 탑승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이 상기 카(2) 내부로 살균되지 않은 냉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10)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According to claim 7,
The control unit 40 selects a cold wind mode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to maintai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below a certain temperature among the plurality of modes,
When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nside the car 2 is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30,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is configured to discharge sterilized cold air into the car 2. control,
If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nside the car 2 is not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30,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is configured to discharge unsterilized cold air into the car 2 ( 10) An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rol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카(2) 내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모드가 자동으로 선정되는 자동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온도감지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상기 카(2) 내부의 온도 및 상기 모션감지센서(30)에 의해 감지된 상기 카(2) 내부의 탑승체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According to claim 8,
When the automatic mode in which the mode of the air sterilization panel 10 is automatically selected based o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rol unit 40 uses the temperature sensor 20.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based on the detected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and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nside the car 2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30. Featured elevato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온도감지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상기 카(2) 내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According to clause 9,
The control unit 40 selects one of the plurality of modes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based o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0. Elevator with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온도감지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상기 카(2) 내부의 온도가 제1 기준온도 이상이면 상기 냉풍모드를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모드로 선정하고, 상기 온도감지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상기 카(2) 내부의 온도가 상기 제1 기준온도 미만이고 제2 기준온도 이상이면 상기 송풍모드를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모드로 선정하며, 상기 온도감지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상기 카(2) 내부의 온도가 제2 기준온도 미만이고 제3 기준온도 이상이면 상기 절풍모드를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모드로 선정로 선정하고, 상기 카(2) 내부의 온도가 제3 기준온도 미만이면 상기 냉풍모드를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모드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According to clause 9,
The control unit 40 selects the cold air mode as the mode of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10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0 is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If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0 is below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and above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the blowing mode is selected as the mode of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10. , if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0 is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and is more than the third reference temperature, the low wind mode is selected as the mode of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10. The elevator is characterized in that, if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is less than the third reference temperature, the cold air mode is selected as the mode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온도감지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상기 카(2) 내부의 온도가 제4 기준온도 이상이면 상기 송풍모드를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모드로 선정하고, 상기 온도감지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상기 카(2) 내부의 온도가 제4 기준온도 미만이면 상기 절풍모드를 공기살균정화패널(10)의 동작모드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According to claim 10,
The control unit 40 selects the blowing mode as the mode of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10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0 is higher than the fourth reference temperature, An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2)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0) is less than the fourth reference temperature, the low wind mode is selected as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panel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살균정화패널은
전측면 상단에는 상단공기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전측면 하단에는 하단공기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전측면 중단에는 살균공기배출구가 형성되는 패널하우징;
상기 패널하우징 내에서 상기 상단공기흡입구의 하단에 설치되어 전방향으로 자외선을 방사함으로써 상기 상단공기흡입구를 통해 상기 패널하우징 내부로 유입되어 하방 이동하는 공기를 살균하는 상단살균기;
상기 패널하우징 내에서 상기 하단공기흡입구의 상단에 설치되어 전방향으로 자외선을 방사함으로써 상기 하단공기흡입구를 통해 상기 패널하우징 내부로 유입되어 상방 이동하는 공기를 살균하는 하단살균기;
상기 패널하우징 내에서 상기 상단살균기 및 상기 하단살균기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상단살균기 또는 상기 하단살균기에 의해 살균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살균공기배출구를 통해 상기 카의 내부로 배출하는 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panel is
A panel housing having an upper air intake port formed at the top of the front side, a lower air intake port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ront side, and a sterilizing air outlet formed at the middle of the front side;
An upper sterilizer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upper air intake port in the panel housing to sterilize air flowing downwardly into the panel housing through the upper air intake port by emitting ultraviolet rays in all directions;
a bottom sterilizer installed at the top of the bottom air intake in the panel housing to sterilize air flowing upwardly into the panel housing through the bottom air intake by radiating ultraviolet rays in all directions;
It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sterilizer and the lower sterilizer within the panel housing, and includes a fan module that sucks in air sterilized by the upper sterilizer or the lower sterilizer and discharges it into the interior of the car through the sterilizing air outlet. An elevator characterized by:
KR1020230106967A 2023-08-16 2023-08-16 Elevaor equipped air sterilizing function with enhanced user pleasantness KR1025914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6967A KR102591420B1 (en) 2023-08-16 2023-08-16 Elevaor equipped air sterilizing function with enhanced user pleasantn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6967A KR102591420B1 (en) 2023-08-16 2023-08-16 Elevaor equipped air sterilizing function with enhanced user pleasantnes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1420B1 true KR102591420B1 (en) 2023-10-19

Family

ID=88507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6967A KR102591420B1 (en) 2023-08-16 2023-08-16 Elevaor equipped air sterilizing function with enhanced user pleasantnes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42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2586A (en) * 2010-03-11 2011-09-19 노태호 Air cleaner with air-conditioning unit
KR102369547B1 (en) * 2020-09-14 2022-03-03 하재청 Air sterilization system in wall-mounted elev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2586A (en) * 2010-03-11 2011-09-19 노태호 Air cleaner with air-conditioning unit
KR102369547B1 (en) * 2020-09-14 2022-03-03 하재청 Air sterilization system in wall-mounted elev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18444C (en) Air purificatio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JP7073053B2 (en) Hand dryer with controlled airflow
KR101955964B1 (en) A blowing module for a cool sheet and a cool sheet for a baby using the same
KR101851522B1 (en) A blowing module for a cool sheet and a cool sheet for a baby using the same
KR20180104841A (en) Infrared air purifier using high temperature light
KR20160014336A (en) Armrest for vehicles, seat for vehicles, headrest for vehicles, over head console for vehicles with air cleaning function and air blast function
KR101560084B1 (en) A diffuser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sterilization and a indoor sterilization system having the diffuser
KR20150056498A (en) Air treatment system
KR101400831B1 (en) Continuous air shower booth
KR102591420B1 (en) Elevaor equipped air sterilizing function with enhanced user pleasantness
KR100668938B1 (en) UV Sterilizing System of Elevator
KR20220135370A (en) underfloor air distribution fan terminal unit with space sterilization function
KR101955968B1 (en) A blowing module for a cool sheet and a cool sheet for a baby using the same
KR102421859B1 (en) Handrail epuipped with sterilization device for elevator and elevator having the same
US20220211896A1 (en) Antimicrobial systems for personal spaces
KR101482132B1 (en) Humidifier
KR20150139228A (en) Armrest for vehicles
KR102226005B1 (en) Photocatalyst device
KR102591419B1 (en) Air cleaning panel and elevator including the same
CN208582986U (en) Washroom and rail vehicle
KR200379898Y1 (en) A clean room
KR20150139416A (en) Armrest for vehicles
KR101955971B1 (en) A blowing module for a cool sheet and a cool sheet for a baby using the same
US20230027107A1 (en) Antimicrobial systems for personal spaces
KR102213218B1 (en) Armrest f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