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609B1 - Jig for insertion/extraction of connector - Google Patents

Jig for insertion/extraction of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609B1
KR102590609B1 KR1020210054417A KR20210054417A KR102590609B1 KR 102590609 B1 KR102590609 B1 KR 102590609B1 KR 1020210054417 A KR1020210054417 A KR 1020210054417A KR 20210054417 A KR20210054417 A KR 20210054417A KR 102590609 B1 KR102590609 B1 KR 102590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lder
jig
accommodat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4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47365A (en
Inventor
김병남
강경일
조성철
임종협
최재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센서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센서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센서뷰
Priority to KR1020210054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609B1/en
Priority to PCT/KR2022/005055 priority patent/WO2022231163A1/en
Publication of KR20220147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3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6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two parts of a coupling device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이 연결된 제1 커넥터를 집어, 전후방향으로 제2 커넥터에 삽입하거나 제2 커넥터에서 발거하는데 사용하는 커넥터의 삽입 및 발거를 위한 지그로서, 일측이 서로 접촉하고, 타측이 조여지면 복원력을 갖는 제1 바디와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에 배치되는 제1 홀더와 상기 제2 바디에 배치되는 제2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홀더와 상기 제2 홀더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면과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 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일부 영역과 전후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삽입 및 발거를 위한 지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jig for inserting and extracting a connector, which is used to pick up a first connector to which a cable is connected and insert it into a second connector in the front-back direction or remove it from the second connector. When one side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other side is tightened,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having restoring force; and a first holder disposed on the first body and a second holder disposed on the second body, wherein the first holder and the second holder each have a receiv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nnector. wherein the receiving portion includes at least a pair of first and second surfaces spaced apar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urfac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surface are loc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It relates to a jig for inserting and removing a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to overlap a portion of the first connecto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Description

커넥터의 삽입 및 발거를 위한 지그{Jig for insertion/extraction of connector}Jig for insertion/extraction of connector}

본 발명은 지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넥터의 삽입 및 발거를 위한 지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ig, and more particularly, to a jig for inserting and extracting a connector.

다양한 종류의 전자장치(예컨대, 유무선 통신기기 등)에서 내부회로는 회로기판에 구현된다. 회로기판을 다른 전자장치 또는 다른 회로기판에 연결하기 위해 커넥터가 사용된다.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various types of electronic devices (e.g.,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etc.), internal circuits are implemented on circuit boards. Connectors are used to connect circuit boards to other electronic devices or other circuit boards. Connectors may include receptacle connectors and plug connectors.

리셉터클 커넥터는 회로기판에 실장되고, 리셉터클 커넥터의 핀이 회로기판의 접점과 연결된다. 그리고 플러그 커넥터는 케이블과 결합되며,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체결되면, 플러그 커넥터의 핀이 리셉터클 커넥터의 핀에 연결되어, 케이블과 회로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receptacle connector is mounted on a circuit board, and the pins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re connected to contact points on the circuit board. The plug connector is coupled to the cable, and when the plug connector is coupl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the pins of the plug connector are connected to the pins of the receptacle connector, so that the cable and the circuit board are electrically connected.

플러그 커넥터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작업자가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직접 연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플러그 커넥터를 잡아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발거하기도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Because the size of the plug connector is small,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for workers to directly connect the plug connector to the receptacle connector. Additionally, when the plug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connector, it is very difficult for an operator to grab the plug connector and remove it from the receptacle connector.

리셉터클 커넥터가 회로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무리하게 플러그 커넥터를 삽입하거나 발거하면, 커넥터뿐만 아니라 회로기판의 소자도 파손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If the plug connector is forcibly inserted or removed while the receptacle connector is mounted on a circuit board, there is a risk that not only the connector but also elements of the circuit board may be damage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플러그 커넥터를 용이하게 삽입하고 발거할 수 있는 지그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jig that can easily insert and remove a plug connector from a receptacle connector.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블이 연결된 제1 커넥터를 집어, 전후방향으로 제2 커넥터에 삽입하거나 제2 커넥터에서 발거하는데 사용하는 커넥터의 삽입 및 발거를 위한 지그로서, 일측이 서로 접촉하고, 타측이 조여지면 복원력을 갖는 제1 바디와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에 배치되는 제1 홀더와 상기 제2 바디에 배치되는 제2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홀더와 상기 제2 홀더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면과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 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일부 영역과 전후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삽입 및 발거를 위한 지그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jig for inserting and removing a connector used to pick up a first connector to which a cable is connected and insert it into or remove it from the second connecto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with one side contacting each other. and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having a restoring force when the other side is tightened; and a first holder disposed on the first body and a second holder disposed on the second body, wherein the first holder and the second holder each have a receiv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nnector. wherein the receiving portion includes at least a pair of first and second surfaces spaced apar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urfac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surface are loc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A jig for inserting and removing a connector is provided, which is disposed to overlap a portion of the first connecto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쉴드캔에 형성된 단턱부가 배치되는 제1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쉴드캔의 외부에 위치하는 케이블이 배치되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수용부는 한 쌍의 제 1 면(제1a면)과 제 2 면(제2a면)을 포함하고, 상기 쉴드캔의 단턱부가 상기 제 1 수용부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a 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쉴드캔의 단턱부의 전면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a 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쉴드캔의 단턱부의 후면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accommodating part includes a first accommodating part in which a step formed in the shield can of the first connector is disposed, an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in which a cable located outside the shield can is arranged,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is a pair. It includes a first side (side 1a) and a second side (side 2a), and in a state where the stepped portion of the shield can is disposed with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ide is of the shield can. It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front surface of the stepped por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surface 2a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rear side of the stepped portion of the shield can.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2 수용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을 감싸는 제1 커넥터의 링부가 배치되는 제3 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수용부는 한 쌍의 제 1 면(제1b면)과 제 2 면(제2b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커넥터의 링부가 상기 제 3 수용부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b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케이블의 외면을 감싸는 상기 제1 커넥터의 링부의 전면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b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링부의 후면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accommodating part further includes a third accommodating part disposed behi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nd having a ring portion of a first connector surrounding the cable, and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has a pair of first surfaces (1b surfaces). and a second surface (2b surface), wherein in a state in which the ring portion of the first connector is disposed in the third receiving por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1b surface is of the first connector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able. It may be arranged to overlap the front surface of the ring part,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b surface may be arranged to overlap the rear surface of the ring part.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3 수용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이 배치되는 제4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ccommodating part may be disposed behind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and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accommodating part where the cable is placed.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바디 또는 제2 바디에 결합하는 제1 파트와, 상기 제1 파트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2 파트와, 상기 제2 파트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3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제1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파트는 상기 제3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older includes a first part coupled to the first body or the second body, a second part protruding forward from the first part, and a third part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second part, The second part may include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third part may include the third accommodating portion.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제1 수용부에 연결되는 하면과 상기 하면과 연결되는 전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면은 상기 전면을 향하여 상향하는 경사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part includes a lower surface connected 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a front surface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may include an inclined area upward toward the front surface.

상기 제1바디 및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의 길이 방향이 수평면에 대해 0° 내지 100°의 각을 이루도록 제1 홀더 및 제2 홀더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may be coupled to the first holder and the second holder, respectively, such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s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form an angle of 0° to 100°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there is.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1 홀더는 서로 결합되거나 일체이고, 상기 제2 바디와 상기 제2 홀더는 서로 결합되거나 일체일 수 있다.The first body and the first holder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or may be integrated with each other, and the second body and the second holder may be combined with or integrated with each other.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는 서로 결합되거나 일체일 수 있다.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or may be integrated with each other.

실시예는, 제2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에 제1 커넥터(플러그 커넥터)를 용이하게 삽입하고 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embodimen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insert and remove the first connector (plug connector) from the second connector (receptacle connector).

실시예는, 제1 커넥터의 결합방향과 수직인 좌우방향 양측으로, 홀더가 진입하여 제1 커넥터를 감싸기 때문에 제1 커넥터를 홀더에 삽입하기 용이한 이점이 있다.The embodiment has the advantage of making it easy to insert the first connector into the holder because the holder enters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perpendicular to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or and surrounds the first connector.

실시예는, 홀더가 제1 커넥터의 쉴드캔 뿐만 아니라 케이블을 감싸는 플러그 쉘의 링부와 걸리도록 구성하여, 홀더와 제1 커넥터의 접촉성을 높이는 이점이 있다.In the embodiment, the holder is configured to engage not only the shield can of the first connector but also the ring portion of the plug shell surrounding the cable, which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contact between the holder and the first connector.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지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지그의 분해도,
도 3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커넥터의 양 측면으로 진입하는 제1 홀더와 제2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한 제1 홀더와 제2 홀더의 평면도,
도 5는 제1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외측에서 바라본 홀더의 사시도,
도 7은 내측에서 바라본 홀더의 사시도,
도 8은 홀더의 측면도,
도 9는 도 6의 B-B를 기준으로 하는 홀더의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D-D를 기준으로 하는 홀더의 단면도,
도 11은 도 6의 C-C를 기준으로 하는 홀더의 단면도,
도 12는 도 7의 E-E를 기준으로 하는 홀더의 단면도,
도 13은 도 1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커넥터와 지그의 단면도로서, 제2 커넥터에 제1 커넥터를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커넥터와 지그의 단면도로서, 제2 커넥터에서 제1 커넥터를 발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그의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서 도시한 홀더의 측면도,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그의 사시도,
도 18은 도 17에서 도시한 지그의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j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jig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holder and a second holder mov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entering both sides of the first connector;
Figure 4 is a plan view of the first holder and the second holder shown in Figure 3;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connector;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lder viewed from the outside;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lder viewed from the inside;
8 is a side view of the holder;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lder based on BB in Figure 6;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lder based on DD in Figure 7;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lder based on CC in Figure 6;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lder based on EE in Figure 7;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and jig based on AA in Figure 1, showing the first connector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or;
Figure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and jig based on AA in Figure 1,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is removed from the second connector;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ji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ure 16 is a side view of the holder shown in Figure 15;
Figure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ji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ure 18 is a side view of the jig shown in Figure 17.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substantially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symbols to avoid redundant description.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Whe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essenc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지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지그의 분해도이다. 이하, 도면에서 x축은 지그의 전후방향을 나타내며, y축은 지그의 좌우방향을 나타내며, z축은 지그의 상하방향을 나타낸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j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jig shown in Figure 1. Hereinafter, in the drawings, the x-axis represents the front-to-back direction of the jig, the y-axis represents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jig, and the z-axis represents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jig.

이하, 제1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일 수 있으며, 제2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일 수 있다. 제1 커넥터는 전후방향으로 제2 커넥터에 결합한다.Hereinafter, the first connector may be a plug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may be a receptacle connector. The first connector is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or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그리고 본 발명에 기재된 “후면”,”후방”은 전후방향(x)을 기준으로 케이블을 향하는 방향이고, “전면”,”전방”은 제2 커넥터를 향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그리고 본 발명에 기재된 “하면”,”하측”과 “상면”,”상측”은 상하방향(z)을 기준으로 나타낸다.And “rear” and “rear”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 to the direction toward the cable based on the front-to-back direction (x), and “front” and “front” refer to the direction toward the second connector. And “lower surface”, “lower side”, “upper surface”, and “upper sid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expressed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z).

실시예에 따른 지그는,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와, 홀더(300)를 포함할 수 있다.A j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body 100, a second body 200, and a holder 300.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는 좌우방향(y)으로 마주보고 배치된다. 그리고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는 일측은 서로 결합되고, 타측은 좌우방향(y)으로 서로 이격되어 핀셋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는 좌우방향(y)으로 조여지면 복원력을 갖도록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는 길이방향으로 수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are disposed facing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y). Additionally, one side of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other side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y) to have a tweezers shape.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may be made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to have a restoring force when tighten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y).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may be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pla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홀더(300)는 제1 커넥터(10)를 직접 파지하는 부분이다. 홀더(300)는 제1 홀더(300A)와 제2 홀더(3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더(300A)는 제1 바디(100)의 타측 단부에 배치된다. 제2 홀더(300B)는 제2 바디(200)의 타측 단부에 배치된다. 제1 홀더(300A)와 제2 홀더(300B)는 좌우방향(y)으로 마주보고 배치된다.The holder 300 is a part that directly holds the first connector 10. The holder 300 may include a first holder 300A and a second holder 300B. The first holder 300A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body 100. The second holder 300B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ody 200. The first holder 300A and the second holder 300B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y).

제1 홀더(300A)는 상측이 제1 바디(100)의 내면에 좌우방향(y)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고, 오버랩된 영역에서, 볼트(BT)가 체결되어 제1 바디(10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홀더(300B)는 제1 홀더(300A)와 마주보도록 상측이 제1 바디(100)의 내면에 좌우방향(y)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고, 오버랩된 영역에서, 볼트(BT)가 체결되어 제2 바디(20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바디(100)는 제1 홀더(300A)와 볼트(BT)에 의한 체결방식 이외에, 입입 방식, 용접 방식, 접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holder 300A is arranged so that its upper side overlaps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ody 10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y), and in the overlapped area, a bolt BT is fastened to be fixed to the first body 100. You can. The second holder 300B is arranged so that its upper side faces the first holder 300A and overlaps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ody 10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y), and in the overlapped area, a bolt BT is fastened. It may be fixed to the second body 200. The first body 10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holder 300A by a fitting method, a welding method, or an adhesive method, in addition to the fastening method using the bolt BT.

좌우방향(y)으로, 제1 홀더(300A)와 제2 홀더(300B) 사이에 파지하고자 하는 제1 커넥터(10)가 위치한다. 제1 커넥터(10)에는 케이블(1)이 연결된다.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y), the first connector 10 to be held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holder 300A and the second holder 300B. A cable (1)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10).

도 3은 좌우방향(y)으로 이동하여 제1 커넥터(10)의 양 측면으로 진입하는 제1 홀더(300A)와 제2 홀더(300B)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한 제1 홀더(300A)와 제2 홀더(300B)의 평면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holder 300A and the second holder 300B mov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y) and entering both sides of the first connector 10, an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lder shown in Figure 3. This is a top view of the first holder 300A and the second holder 300B.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좌우방향(y)으로, 제1 홀더(300A)와 제2 홀더(300B)는 제1 커넥터(1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전후방향(x)으로, 제1 홀더(300A)와 제2 홀더(300B)는 제1 커넥터(10)의 후단부와 케이블(1)을 걸쳐 위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4 ,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y), the first holder 300A and the second holder 300B are disposed with the first connector 10 between them.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x), the first holder 300A and the second holder 300B may be positioned across the rear end of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cable 1.

작업자가,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를 좌우방향(y)을 따라 조이면, 제1 홀더(300A)와 제2 홀더(300B)가 제1 커넥터(10)의 양 측면으로 진입하여, 제1 커넥터(10)의 외면을 감싼다. 홀더(300)는 좌우방향(y)으로 제1 커넥터(10)를 수용하는 수용부(A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가 조여진 상태에서, 제1 커넥터(10)는 수용부(AC)에 위치한다.When the worker tightens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y), the first holder 300A and the second holder 300B are mov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connector 10. Enters and wraps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10. The holder 300 may include an accommodating portion (AC) that accommodates the first connector 1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y). When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are tightened, the first connector 10 is loc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AC.

도 5는 제1 커넥터(1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connector 10.

도 5를 참조하면, 제1 커넥터(10)는 쉴드캔(11)과, 쉴드캔(11)을 덮는 플러그 쉘(12)을 포함할 수 있다. 쉴드캔(11)의 상면에는 단턱부(11a)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플러그 쉘(12)은 케이블(1)의 외면을 감싸는 링부(12a)를 포함할 수 있다. 단턱부(11a)와 링부(12a)는 각각 전후방향(x)으로 홀더(300)에 걸리기 때문에, 홀더(300)를 통해 제1 커넥터(10)를 움직이는데 활용될 수 있는 구성이다.Referring to FIG. 5, the first connector 10 may include a shield can 11 and a plug shell 12 covering the shield can 11. A stepped portion 11a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hield can 11. And the plug shell 12 may include a ring portion 12a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able 1. Since the step portion 11a and the ring portion 12a are each caught by the holder 300 in the front-back direction (x), it is a configuration that can be used to move the first connector 10 through the holder 300.

도 6은 외측에서 바라본 홀더(300)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내측에서 바라본 홀더(300)의 사시도이다.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lder 300 viewed from the outside,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lder 300 viewed from the inside.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홀더(300)는 전체적으로 “ㄴ”자 형상을 갖는 부재로 실시될 수 있다. 홀더(300)는 제1 파트(310)와 제2 파트(320)와 제3 파트(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310)와 제2 파트(320)와 제3 파트(340)는 그 형상 및 기능적 특성에 따라 구분되어 설명될 수 있을 뿐, 서로 상하로 연결된 하나의 수단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6 and 7 , the holder 300 may be implemented as a member having an overall “L” shape. The holder 300 may include a first part 310, a second part 320, and a third part 340. The first part 310, the second part 320, and the third part 340 can be describ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ir shapes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and may be a single means connected vertically to each other.

제1 파트(310)는 제1 바디(100) 또는 제2 바디(200)에 결합하는 부분이다. 제1 파트(310)는 판형 부재일 수 있다. 또는 제1 파트(310)는 각형부재일 수 있다.The first part 310 is a part coupled to the first body 100 or the second body 200. The first part 310 may be a plate-shaped member. Alternatively, the first part 310 may be a square member.

제1 파트(310)는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홀(311)을 포함할 수 있다. 홀(311)은 제1 파트(310)의 외면과 내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홀(311)은 홀더(300)와 제1 바디(100) 또는 홀더(300)와 제2바디(200)를 체결하기 위한 볼트(BT)가 관통하는 곳이다.The first part 310 may include one or more holes 311. The hole 311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outer and inner surfaces of the first part 310. The hole 311 is a place where a bolt BT for fastening the holder 300 and the first body 100 or the holder 300 and the second body 200 passes through.

제2 파트(320)는 제1 파트(310)에서 전방으로 돌출된다. 제2 파트(320)는 제2 파트(320)의 전면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연장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part 320 protrudes forward from the first part 310. The second part 320 may include an extension portion 330 that protrudes forward from the top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part 320.

제3파트(340)는 제2 파트(320)에서 하측으로 돌출된다.The third part 340 protrudes downward from the second part 320.

이러한 제1 파트(310)와 제3 파트(340)는 제1 커넥터(10)가 위치하는 수용부(AC)를 형성한다.These first parts 310 and third parts 340 form an accommodating portion (AC) where the first connector 10 is located.

도 8은 홀더(300)의 측면도이다.Figure 8 is a side view of the holder 300.

도 8을 참조하면, 홀더(300)는 수용부(AC)로서, 제1 수용부(AC1)와, 제2 수용부(AC2)와, 제3 수용부(AC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용부(AC1)와, 제2 수용부(AC2)와, 제3 수용부(AC3)는 전후방향(x)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전후방향(x)으로 제1 수용부(AC1)는 제2 수용부(AC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전후방향(x)으로 제2 수용부(AC2)는 제3 수용부(AC3)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수용부(AC3)의 뒷 공간(도 1의 P)은 비워 두어 홀더(300)의 크기를 줄여 실장부품 간의 간섭을 최소하한 이점이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holder 300 is an accommodating part AC and may include a first accommodating part AC1, a second accommodating part AC2, and a third accommodating part AC3.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C1),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C2), and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AC3)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x),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C1) may be connected to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x). Can be placed in front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C2.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x),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C2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AC3. The rear space (P in FIG. 1) of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AC3 is left empty, which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size of the holder 300 and minimizing interference between mounted components.

제1 수용부(AC1)는 제2 파트(32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수용부(AC1)는 홀더(300)가 제1 커넥터(10)를 수용할 때, 제1 커넥터(10)의 쉴드캔(11)의 단턱부(11a)가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1 수용부(AC1)는 전후방향(x)으로 연장부(330)와 제2 파트(320)의 전면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연장부(330)는 제2 파트(320)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그 단부가 하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연장되어, 제2 파트(320)의 전면과 함께 단턱부(11a)가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한다.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C1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part 320 .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C1 forms a space where the stepped portion 11a of the shield can 11 of the first connector 10 is located when the holder 300 accommodates the first connector 10. This first accommodating part AC1 may be defined as a space between the extension part 33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part 320 in the front-back direction (x). The extension portion 330 extends forward from the front of the second part 320, and its end extends in a downward bent form, so that the step portion 11a is located along with the front of the second part 320. Forms space.

제2 수용부(AC2)는 제3 파트(34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수용부(AC2)는 제1 수용부(AC1)의 후방에 배치되어, 쉴드캔(11)의 후방에 위치한 케이블(1)이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2 수용부(AC2)는 홀더(300)의 내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C2 may be disposed in the third part 340 .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C2 is disposed behin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C1 and forms a space where the cable 1 located behind the shield can 11 is located. This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AC2 may be formed concavely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er 300.

제3 수용부(AC3)는 제3 파트(340)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수용부(AC3)는 제2 수용부(AC2)의 후방에 배치되어, 케이블(1)과 함께 플러그 쉘(12)의 링부(12a)가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AC3 may be disposed in the third part 340.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AC3 is disposed behi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C2 and forms a space where the ring part 12a of the plug shell 12 is located together with the cable 1.

이러한 수용부(AC)는 제1 면(S1)과 제2 면(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S1)과 제2 면(S2)은 수용부(AC)에 위치한 제1 커넥터(10)를 홀더(300)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전후방향(x)으로 밀거나 당기기 위한 구성이다.This accommodating portion (AC) may include a first surface (S1) and a second surface (S2). The first surface (S1) and the second surface (S2) are configured to push or pull the first connector 10 loc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AC)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x)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holder 300.

제1 면(S1)은 수용부(AC)를 형성하는 면으로서, 수용부(AC)에 위치하는 제1 커넥터(10)의 일부영역과 전후방향(x)으로 오버랩되는 면으로 정의된다. 제2 면(S2)은 수용부(AC)를 형성하는 면으로서, 전후방향(x)으로 제1 면(S1)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면이며, 제1 커넥터(10)의 일부영역과 전후방향(x)으로 오버랩되는 면으로 정의된다.The first surface S1 is a surface forming the accommodating part AC and is defined as a surface that overlaps a partial area of the first connector 10 loc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AC in the front-back direction (x). The second surface (S2) is a surface that forms the accommodating portion (AC) and is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S1) in the front-back direction (x), and is located in a partial area of the first connector 10 in the front-back direction. It is defined as the side that overlaps with (x).

한편, 제2 파트(320)의 연장부(330)는 제1 수용부(AC1)에 연결되는 하면(332)과, 하면(332)과 연결되는 전면(331)을 포함할 수 있다. 하면(332)은 전면(331)을 향하여 상향하는 경사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경사진 하면(332)은, 지그를 통해 제1 커넥터(10)를 제2 커넥터(20)에 밀어 넣을 때, 제2 커넥터(20)에 연장부(330)가 걸리는 것을 방지한다.Meanwhile, the extension portion 330 of the second part 320 may include a lower surface 332 connected to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C1 and a front surface 331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332. The lower surface 332 may include an inclined area upward toward the front surface 331 . The inclined lower surface 332 prevents the extension part 330 from getting caught in the second connector 20 when the first connector 10 is pushed into the second connector 20 through a jig.

도 9는 도 6의 B-B를 기준으로 하는 홀더(300)의 단면도이다.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lder 300 based on line B-B of FIG. 6.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면(S1)은 지그를 후진시켜, 제1 커넥터(10)를 제2 커넥터(20)에서 발거할 때, 제1 커넥터(10)와 접촉하여 제1 커넥터(10)를 당기는 면이다. 이러한 제1 면(S1)은 제1a면(S1a)과 제1b면(S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a 면(S1a)은 제1 수용부(AC1)를 형성하는 면으로서, 쉴드캔(11)의 단턱부(11a)의 전면과 접촉한다. Referring to FIGS. 8 and 9, when the jig is retracted and the first connector 10 is removed from the second connector 20, the first surface S1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nector 10 to form the first connector 10. This is the side that pulls the connector (10). This first surface S1 may include a 1a surface S1a and a 1b surface S1b. The first a surface (S1a) forms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C1) and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stepped part (11a) of the shield can (11).

도 10은 도 7의 D-D를 기준으로 하는 홀더(300)의 단면도이다.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lder 300 taken along line D-D of FIG. 7.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2 면(S2)은 지그를 전진시켜, 제1 커넥터(10)를 제2 커넥터(20)에 삽입할 때, 제1 커넥터(10)와 접촉하여 제1 커넥터(10)를 미는 면이다. 이러한 제2 면(S2)은 제2a면(S2a)과 제2b면(S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a 면(S2a)은 제1 수용부(AC1)를 형성하는 면으로서, 쉴드캔(11)의 단턱부(11a)의 후면과 접촉한다. 8 to 10, when the jig is advanced and the first connector 1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or 20, the second surface S2 contacts the first connector 10 to form the first connector 10. This is the side that pushes the connector (10). This second surface (S2) may include a 2a surface (S2a) and a 2b surface (S2b). The second a surface (S2a) forms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C1) and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stepped part (11a) of the shield can (11).

제1a 면(S1a)과 제2 a면(S2a)은 쉴드캔(11)의 단턱부(11a)가 제1 수용부(AC1)에 위치한 상태에서, 단턱부(11a)와 전후방향(x)으로 각각 오버랩되게 배치된다.The first a surface (S1a) and the second a surface (S2a) are aligned with the step portion (11a)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x) in a state where the step portion (11a) of the shield can 11 is loc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C1). are arranged to overlap each other.

도 11은 도 6의 C-C를 기준으로 하는 홀더(300)의 단면도이다.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lder 300 taken along line C-C of FIG. 6.

도 8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b면(1b)은 제3 수용부(AC3)를 형성하는 면으로서, 플러그 쉘(12)의 링부(12a)의 전면과 접촉한다. Referring to FIGS. 8 and 11 , the first b surface 1b is a surface forming the third accommodating portion AC3 and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ring portion 12a of the plug shell 12.

도 12는 도 7의 E-E를 기준으로 하는 홀더(300)의 단면도이다.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lder 300 taken along line E-E of FIG. 7.

도 8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2b면(S2b)은 제3 수용부(AC3)를 형성하는 면으로서, 플러그 쉘(12)의 링부(12a)의 후면과 접촉한다. Referring to FIGS. 8 and 12 , the second b surface S2b is a surface forming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AC3 and contacts the rear surface of the ring part 12a of the plug shell 12.

제1b 면(S1b)과 제2 b면(S2b)은 케이블(1)과 함께 플러그 쉘(12)의 링부(12a)가 제3 수용부(AC3)에 위치한 상태에서, 링부(12a)와 전후방향(x)으로 각각 오버랩되게 배치된다.The first b side (S1b) and the second b side (S2b) are front and rear with the ring portion (12a) in a state where the ring portion (12a) of the plug shell (12) is located in the third accommodating portion (AC3) together with the cable (1). They are arranged to overlap each other in the direction (x).

도 13은 도 1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커넥터와 지그의 단면도로서, 제2 커넥터(20)에 제1 커넥터(10)를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and jig based on line A-A of FIG. 1, showing the first connector 10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or 20.

도 13을 참조하면, 지그를 조여, 홀더(300)의 수용부(도 8의 AC)에 제1 커넥터(10)를 위치시키면, 전후방향(x)으로, 제1 면(S1)과 제2 면(S2)이 쉴드캔(11)의 단턱부(11a)와 플러그 쉘(12)의 링부(12a)에 걸리도록 위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지그를 제2 커넥터(20)를 향하여 전방으로 밀게 되면, 제2 면(S2)이 쉴드캔(11)의 단턱부(11a)의 후면과 플러그 쉘(12)의 링부(12a)의 후면을 각각 밀면서 제1 커넥터(10)를 제2 커넥터(20)에 삽입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13, when the jig is tightened and the first connector 10 is placed in the receiving portion (AC in FIG. 8) of the holder 300, in the front-back direction (x), the first surface (S1) and the second The surface S2 is positioned so as to engage the step portion 11a of the shield can 11 and the ring portion 12a of the plug shell 12. In this state, when the operator pushes the jig forward toward the second connector 20, the second surface (S2) touches the back of the stepped portion 11a of the shield can 11 and the ring portion of the plug shell 12 ( The first connector 1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or 20 while pushing the rear surfaces of each 12a).

제1 커넥터(10)의 크기가 작더라도, 이렇게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만을 조작하여, 홀더(300)에 제1 커넥터(10)를 수용시킨 다음 밀기만 하면, 제1 커넥터(10)를 제2 커넥터(20)에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Even if the size of the first connector 10 is small, by simply manipulating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accommodating the first connector 10 in the holder 300, and then pushing it, 1 The connector 10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or 20.

도 14는 도 1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커넥터와 지그의 단면도로서, 제2 커넥터(20)에서 제1 커넥터(10)를 발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and jig based on line A-A of FIG. 1, and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10 is removed from the second connector 20.

도 14를 참조하면, 제1 커넥터(10)가 제2 커넥터(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지그를 조여, 홀더(300)의 수용부(도 8의AC)에 제1 커넥터(10)를 위치시키면, 전후방향(x)으로, 제1 면(S1)과 제2 면(S2)이 쉴드캔(11)의 단턱부(11a)와 플러그 쉘(12)의 링부(12a)에 걸리도록 위치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지그를 후방으로 잡아 당기면, 제1 면(S1)이 쉴드캔(11)의 단턱부(11a)의 전면과 플러그 쉘(12)의 링부(12a)의 전면을 각각 당기면서 제1 커넥터(10)를 제2 커넥터(20)에서 발거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14, with the first connector 10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or 20, the jig is tightened to attach the first connector 10 to the receiving portion (AC in FIG. 8) of the holder 300. When position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x), the first surface (S1) and the second surface (S2) are positioned so that they are caught by the step portion (11a) of the shield can (11) and the ring portion (12a) of the plug shell (12). do. And when the worker pulls the jig backward, the first surface (S1) pulls the front of the step portion (11a) of the shield can (11) and the front of the ring portion (12a) of the plug shell (12), respectively, to connect the first connector. (10) is removed from the second connector (20).

이렇게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만을 조작하여, 홀더(300)에 제1 커넥터(10)를 수용시킨 다음, 당기기만 하면, 제1 커넥터(10)를 제2 커넥터(20)에 용이하게 발거시킬 수 있다.By manipulating only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in this way, the first connector 10 is accommodated in the holder 300, and then by simply pulling, the first connector 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20. ) can be easily removed.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그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에서 도시한 홀더(300)의 측면도이다.Figure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ji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ure 16 is a side view of the holder 300 shown in Figure 15.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그는 상술한 실시예와 달리, 홀더(300)의 제3 파트(340)에 제4 수용부(AC4)가 추가될 수 있다. 제4 수용부(AC4)는 제3수용부(A3)의 후방에 배치되어, 케이블(1)이 위치하는 공간을 추가적으로 형성한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그는 제4 수용부(AC4)를 통해 케이블(1)을 추가적으로 수용하고 지지함으로써 제1 커넥터(10)를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Referring to FIGS. 15 and 16 , in the ji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fourth accommodating portion (AC4) may be added to the third part 340 of the holder 300. The fourth accommodating part AC4 is disposed behind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A3 and additionally forms a space where the cable 1 is located. The jig according to this other embodimen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ove the first connector 10 stably by additionally accommodating and supporting the cable 1 through the fourth accommodating portion AC4.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그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에서 도시한 지그의 측면도이다.Figure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ji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ure 18 is a side view of the jig shown in Figure 17.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그는 상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가 상하방향(z)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1파트(310)에서 홀더(300)와 연결되는 하부(310B)는 상하방향(z)을 따라 배치되지만, 제1 바디(100) 또는 제2 바디(200)에 연결되는 상부(310A)는 상하방향(z)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7 and 18 ,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ji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has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til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z). can be placed. Correspondingly, the lower part 310B connected to the holder 300 in the first part 310 is dispos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z), but the upper part connected to the first body 100 or the second body 200 (310A) may be arranged incli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z).

구체적으로,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의 삽입방향 즉, 전후방향(x)을 따르는 수평면을 제1 기준(L1)이라 하고,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의 길이방향을 나타내는 기준을 제2 기준(L2)이라 할 때, 제1 기준(L1)과 제2 기준(L2)이 이루는 각도(R)가 0°보다 크고 100°보다 작은 각도일 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horizontal plane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20, that is, the front-back direction (x), is referred to as the first reference L1, and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 When the reference represen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200) is the second reference (L2), the angle (R) formed by the first reference (L1) and the second reference (L2) will be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100°. You can.

이렇게 각도(R)가 예각인 경우, 전후방향(x) 기준으로 제1 바디(100)의 일측과 제2 바디(200)의 일측이 보다 후방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제2 커넥터(20)의 상측에 장애물이 있는 등, 공간 상 제약이 있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지그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가 기울어져 있으면, 펜을 잡은 형태의 모습으로 작업자가 지그를 파지한 상태에서, 지그를 밀거나 당기기 용이한 이점이 있다.In this case, when the angle R is an acute angle, one side of the first body 100 and one side of the second body 200 extend rearward based on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x), so that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connector 20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jig can be easily used even when there are space restrictions, such as obstacles in the area. In addition, if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are til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push or pull the jig while the worker holds the jig in the shape of holding a pen.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examined focusing on its preferred embodiment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perspe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제1 바디
200: 제2 바디
300: 홀더
310: 제1 파트
320: 제2 파트
330: 연장부
340: 제3 파트
300A: 제1 홀더
300B: 제2 홀더
A: 수용부
A1: 제1 수용부
A2: 제2 수용부
A3: 제3 수용부
A4: 제4 수용부
S1: 제1 면
S1a: 제1a 면
S1b: 제1b 면
S2: 제2 면
S2a: 제2a 면
S2b: 제2b 면
100: first body
200: second body
300: Holder
310: Part 1
320: Part 2
330: extension part
340: Part 3
300A: first holder
300B: Second holder
A: Receptor
A1: first receptacle
A2: second receptacle
A3: Third receptacle
A4: Fourth receptacle
S1: Side 1
S1a: Side 1a
S1b: side 1b
S2: Side 2
S2a: Side 2a
S2b: side 2b

Claims (9)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으며 쉴드캔과 쉴드캔을 덮는 플러그 쉘을 포함하는 제1 커넥터(플러그 커넥터)를 집어, 전후방향(x축 방향)으로 제2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하거나 제2 커넥터에서 발거하는데 사용하는 커넥터의 삽입 및 발거를 위한 지그로서,
좌우방향(y축 방향)에서 일측이 서로 접촉하고, 타측이 조여지면 복원력을 갖도록 마주보고 배치되어 핀셋 형상을 이루는 제1 바디와 제2 바디; 및
상하방향(z축 방향)에서 상기 제1 바디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제1 홀더와 상기 제2 바디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제2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홀더와 제2 홀더는 상기 제1 바디 또는 제2 바디에 결합하는 제1 파트(310)와, 상기 제1 파트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2 파트(320)와, 상기 제2 파트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3 파트(34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트(320)는, 상기 제2 파트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단부가 하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연장된 연장부(3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쉴드캔의 상면에는 상기 플러그 쉘의 상부로 돌출되는 단턱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홀더와 상기 제2 홀더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쉴드캔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단턱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수용부(AC1)를 각각 포함하고,
제1 수용부(AC1)는 상기 연장부(330)와 제2 파트(320)의 전면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삽입 및 발거를 위한 지그.
Pick up the first connector (plug connector), which includes the shield can and the plug shell covering the shield can, to which the cable is connected, and insert it into the second connector (receptacle connector)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x-axis direction) or remove it from the second connector. As a jig for inserting and removing connectors used to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arranged facing each other so that one side contacts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y-axis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has a restoring force when tightened, forming a tweezer shape; and
It includes a first holder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body in the vertical direction (z-axis direction) and a second holder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The first holder and the second holder include a first part 310 coupled to the first body or the second body, a second part 320 protruding forward from the first part, and It includes a third part 340 protruding downward,
The second part 320 includes an extension portion 330 that extends forward from the front of the second part and has an end bent downward,
A stepped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top of the plug shell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hield can of the first connector,
The first holder and the second holder each include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C1) for accommodating the stepped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hield can of the first connector,
A jig for inserting and removing a connector, where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C1) is defined as a space between the extension part (33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part (3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쉴드캔의 외부에 위치하는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제3 파트(340)에 배치되는 제2 수용부(AC2)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수용부는 한 쌍의 제 1 면(제1a면)과 제 2 면(제2a면)을 포함하고, 상기 쉴드캔의 단턱부가 상기 제 1 수용부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a 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쉴드캔의 단턱부의 전면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a 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쉴드캔의 단턱부의 후면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삽입 및 발거를 위한 지그.
According to claim 1,
It is disposed behind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includes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AC2) disposed in the third part 340 to accommodate a cable located outside the shield ca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includes a pair of first surfaces (1a side) and a second side (2a side), and when the stepped portion of the shield can is disposed withi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is positioned o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 jig for inserting and removing a connector,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2a is arranged to overlap the front of the stepped portion of the shield ca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surface is disposed to overlap the rear of the stepped portion of the shield can.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의 플러스 쉘은 케이블의 외면을 감싸는 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는 상기 제2 수용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을 감싸는 제1 커넥터의 링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3 수용부(AC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수용부는 한 쌍의 제 1 면(제1b면)과 제 2 면(제2b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커넥터의 링부가 상기 제 3 수용부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b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케이블의 외면을 감싸는 상기 제1 커넥터의 링부의 전면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b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링부의 후면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삽입 및 발거를 위한 지그.
According to clause 2,
The plus shell of the first connector includes a ring portion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able,
The jig is disposed behi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and further includes a third accommodating portion (AC3) for accommodating the ring portion of the first connector surrounding the cable,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includes a pair of first surface (1b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2b surface), and when the ring portion of the first connector is disposed in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the 1b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is disposed to overlap the front surface of the ring portion of the first connector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abl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b surface is disposed to overlap the rear surface of the ring portion. Jig for extraction.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수용부(AC3)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을 배치하기 위한 제4 수용부(AC4)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의 삽입 및 발거를 위한 지그.
According to clause 3,
A jig for inserting and removing a connector disposed behind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AC3) and further comprising a fourth accommodating part (AC4) for arranging the cabl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파트는 상기 제3 수용부를 포함하는 커넥터의 삽입 및 발거를 위한 지그.
According to clause 3,
The third part is a jig for inserting and removing a connector including the third receiving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트의 연장부는 상기 제1 수용부에 연결되는 하면과 상기 하면과 연결되는 전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면은 상기 전면을 향하여 상향하는 경사진 영역을 포함하는 커넥터의 삽입 및 발거를 위한 지그.
According to clause 5,
The extension portion of the second part includes a lower surface connected 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a front surface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A jig for inserting and removing a connector wherein the lower surface includes an inclined area upward toward the fron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의 길이방향이 수평면(x축과 y축이 이루는 평면)에 대해 0° 내지 100°이내의 각을 이루도록 제1 홀더 및 제2 홀더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삽입 및 발거를 위한 지그.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a first holder and a second body such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s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form an angle within 0° to 100°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the plane formed by the x-axis and the y-axis). 2 A jig for inserting and removing connectors, each of which is coupled to a hold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1 홀더는 결합되거나 일체이고,
상기 제2 바디와 상기 제2 홀더는 결합되거나 일체인 커넥터의 삽입 및 발거를 위한 지그.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ody and the first holder are combined or integrated,
A jig for inserting and removing a connector in which the second body and the second holder are combined or integrat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는 서로 결합되거나 일체인 커넥터의 삽입 및 발거를 위한 지그.
According to claim 1,
A jig for inserting and removing a connector in which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combined or integrated with each other.
KR1020210054417A 2021-04-27 2021-04-27 Jig for insertion/extraction of connector KR1025906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417A KR102590609B1 (en) 2021-04-27 2021-04-27 Jig for insertion/extraction of connector
PCT/KR2022/005055 WO2022231163A1 (en) 2021-04-27 2022-04-07 Jig for inserting and extracting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417A KR102590609B1 (en) 2021-04-27 2021-04-27 Jig for insertion/extraction of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365A KR20220147365A (en) 2022-11-03
KR102590609B1 true KR102590609B1 (en) 2023-10-18

Family

ID=83848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417A KR102590609B1 (en) 2021-04-27 2021-04-27 Jig for insertion/extraction of connecto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90609B1 (en)
WO (1) WO2022231163A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778B1 (en) 2006-06-29 2007-08-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Jig for rework and reworking method using the same
US20130283612A1 (en) 2012-04-27 2013-10-31 Yazaki Corporation Terminal treatment method and terminal treatment apparatus for coaxial cable
JP2018029013A (en) * 2016-08-18 2018-02-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Flat conductor insertion jig and flat conductor insertion method
JP2020202090A (en) 2019-06-11 2020-12-17 I−Pex株式会社 Electric connector mounting jig and conne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67099B (en) * 2014-01-07 2017-09-26 株式会社村田制作所 Fixture
JP6741175B2 (en) * 2017-12-18 2020-08-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ji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778B1 (en) 2006-06-29 2007-08-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Jig for rework and reworking method using the same
US20130283612A1 (en) 2012-04-27 2013-10-31 Yazaki Corporation Terminal treatment method and terminal treatment apparatus for coaxial cable
JP2018029013A (en) * 2016-08-18 2018-02-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Flat conductor insertion jig and flat conductor insertion method
JP2020202090A (en) 2019-06-11 2020-12-17 I−Pex株式会社 Electric connector mounting jig and conne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365A (en) 2022-11-03
WO2022231163A1 (en)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9018B2 (en) Heat sink retaining clip for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8062041B2 (en) Connector
EP3190667B1 (en) Connector
US20160233611A1 (en) Connector device including cable connector
CN103117485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EMI gasket
CN108695614A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JP2003168519A (en) Connector
JP3495000B2 (en) connector
US9419357B2 (en) Connector assembly
KR102590609B1 (en) Jig for insertion/extraction of connector
CN206211123U (en) Electric connector
JPH09147976A (en) Connector
US9331428B2 (en) Connector mateable with mating connector and having lock structure including lock member and operation member which is operable to move lock member
KR20140044742A (en) Electric connector assembly
JP5446397B2 (en) Electric connector fitting jig
CN106898916B (en) Connector
CN110994258B (en) Radio frequency plug
TWI821351B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a mating connector assembly
KR101697256B1 (en) Connector
EP2096722A1 (en) Card connector
CN110797689A (en) High-speed socket electric connector assembly with stable structure
CN208189875U (en) Electric connector
CN110957602A (en) Radio frequency plug
CN115411591A (en) Unlocking jig for self-locking connector
CN211428387U (en) High-speed socket electric connector assembly with stabl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